KR101954398B1 - 축산품 구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축산품 구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4398B1
KR101954398B1 KR1020170142229A KR20170142229A KR101954398B1 KR 101954398 B1 KR101954398 B1 KR 101954398B1 KR 1020170142229 A KR1020170142229 A KR 1020170142229A KR 20170142229 A KR20170142229 A KR 20170142229A KR 101954398 B1 KR101954398 B1 KR 101954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chase
sales
information
livestock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2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
Original Assignee
김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 filed Critical 김진
Priority to KR1020170142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43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품 구매 서비스 시스템은 축산품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정보 또는 구매예정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이벤트 정보를 축산품 구매 플랫폼을 통해 제공하는 구매자 단말; 상기 축산품을 판매하기 위한 판매정보 또는 판매예정정보를 포함하는 판매이벤트 정보를 제공하는 판매자 단말; 및 상기 구매정보와 대응되는 판매정보 또는 판매예정정보를 상기 구매자 단말로 제공하는 구매대행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축산품 구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URCHASING STOCK PRODUCTS}
본 발명은 축산품 구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의 원시적인 농축산품 유통구조는 생산자와 최종 소비자가 농축산물을 직거래하지 못하고 다른 물류 분야보다 복잡한 다수의 중계자에 의한 중간단게를 거쳐 매매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어, 생산자의 산지 가격과는 엄청난 소비자가격으로 최종 소비자에게 거래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산지형 물류센터의 매매개념을 도입하여 생산자 → 물류센터 → 소매상 → 소비자의 매매단계를 거침으로서, 출하업자 도소매 중간인 등을 거치는 중간과정을 생략하여 산지 출하물품을 싱싱한 상태로 신속하고 저렴하게 현지로 배송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산지형 물류센터의 매매개념으로는 거래표준화가 어려운 농축산품에 대해 사육과정에서부터 품질관리를 통한 규격화를 유도하기 곤란할 뿐만 아니라, 생산자와 소비자간의 맞춤형 정보교환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농축산물은 가격변화에 따른 소비변화가 적은 특성이 있어 조금의 생산량 감소나 증가에 따라 가격 변동폭이 커지는 단점이 있다.
특허공개공보 제10-2001-0109733호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축산품 구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품 구매 서비스 시스템은 축산품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정보 또는 구매예정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이벤트 정보를 축산품 구매 플랫폼을 통해 제공하는 구매자 단말; 상기 축산품을 판매하기 위한 판매정보 또는 판매예정정보를 포함하는 판매이벤트 정보를 제공하는 판매자 단말; 및 상기 구매정보와 대응되는 판매정보 또는 판매예정정보를 상기 구매자 단말로 제공하는 구매대행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구매대행서버는 상기 구매이벤트 정보 및 상기 판매이벤트 정보를 카테고리별로 분류 및 관리하는 이벤트 정보 관리부; 상기 구매자 단말 및 상기 판매자 단말의 회원정보를 관리하는 회원관리부; 상기 구매자 단말에서 입력 및 검색된 구매정보와 상응하는 제1 판매정보가 상기 이벤트 정보 관리부 내에 등록되었는 지 여부를 검색하는 정보검색부; 상기 제1 판매정보가 상기 이벤트 정보 관리부 내에 없을 경우, 상기 제1 판매정보와 유사한 제2 판매정보를 상기 이벤트 정보 관리부 내에 추출하는 유사상품추출부; 상기 제1 판매정보가 상기 이벤트 정보 관리부 내에 없을 경우, 제1 판매정보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매자 단말들로부터 판매예정정보를 요청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매자 단말에서 응답한 판매예정정보 및 제2 판매정보를 상기 구매자 단말로 통보하는 판매예정통보부; 및 상기 축산품 구매 플랫폼을 제공하는 플랫폼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매예정통보부는 상기 구매예정정보의 구매예정시점에 판매가능한 판매예정정보의 세부카테고리를 추출한 후, 추출된 세부카테고리들을 판매자별로 분류한 후, 매칭가능한 세부카테고리의 수가 가장 많은 판매예정자를 우선순위 별로 선별하는 선별부; 상기 선별부에서 선별된 판매예정자들이 상기 구매예정시점에 판매할 축산품의 판매예정가격을 비교한 후, 판매예정가격을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으로 분류하여 비교하는 상품비교부를 포함하고, 상기 축산품 구매 플랫폼은 구매예정일, 구매예정수량, 구매예정금액, 구매인도방식 및 유사상품을 입력 및 검색할 수 있는 제1 인터페이스; 및 축산품 종류(한우, 육우, 돼지, 닭, 기타 축산물), 축산품 성별(암, 수, 거세 등), 축산품 생산지, 축산품 도축장(HACCP지정여부, 기타내용 표시), 축산품 도축일자, 축산품 품질등급(각 축산물별 고시기준 및 추가내용), 축산품 보관정보(일반 - 냉장 1℃일, 냉동, 상온, 숙성고 - 습식 7℃일, 건식(드라이에이징)), 구매희망일자, 축산품 구매부위(중량, 손질상태, 두께, 1개당 진공포장, 작업기름), 축산품 포장방법, 배송희망일, 배송장소/방법(체인점 매장구매, 택배, 직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입력할 수 있는 제2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판매예정정보는 상기 축산품의 일자별 판매예정수량, 판매예정가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품 구매 서비스 방법은 구매자 단말에서 축산품 구매 플랫폼을 이용하여 축산품의 구매 이벤트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구매대행서버에서 상기 구매자 단말에서 입력 및 검색된 구매정보와 상응하는 제1 판매정보가 이벤트 정보 관리부 내에 등록되었는 지 여부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제1 판매정보가 상기 이벤트 정보 관리부 내에 없을 경우, 구매대행서버에서 상기 제1 판매정보와 유사한 제2 판매정보를 상기 이벤트 정보 관리부 내에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판매정보가 상기 이벤트 정보 관리부 내에 없을 경우, 상기 구매대행서버에서 제1 판매정보를 제공하는 판매자 단말로 판매예정정보를 요청한 후, 상기 판매자 단말에서 응답한 판매예정정보 및 상기 이벤트 정보 관리부에서 추출한 상기 제2 판매정보를 상기 구매자 단말로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보하는 단계는 구매자의 구매예정시점에 판매자가 판매가능한 판매예정정보의 세부카테고리를 추출한 후, 추출된 세부카테고리들을 판매자 별로 분류한 후, 매칭 가능한 세부카테고리의 수가 가장 많은 판매예정자를 우선순위 별로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우선순위로 선별된 판매예정자들이 상기 구매예정시점에 판매할 축산품의 판매예정가격을 비교한 후, 판매예정가격을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으로 분류하여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축산품 구매 플랫폼은 구매예정일, 구매예정수량, 구매예정금액, 구매인도방식 및 유사상품을 입력 및 검색하기 위한 제1 인터페이스; 및 축산품 종류(한우, 육우, 돼지, 닭, 기타 축산물), 축산품 성별(암, 수, 거세 등), 축산품 생산지, 축산품 도축장(HACCP지정여부, 기타내용 표시), 축산품 도축일자, 축산품 품질등급(각 축산물별 고시기준 및 추가내용), 축산품 보관정보(일반 - 냉장 1℃일, 냉동, 상온, 숙성고 - 습식 7℃일, 건식(드라이에이징)), 구매희망일자, 축산품 구매부위(중량, 손질상태, 두께, 1개당진공포장, 작업기름), 축산품 포장방법, 배송희망일, 배송장소/방법(체인점 매장구매, 택배, 직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입력하기 위한 제2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수단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품 구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면, 구매자가 원하고자 하는 날짜에 도축된 축산품을 원하는 배송(인도)날짜에 판매자(공급자)로부터 신선하게 공급받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축산품의 일자별 변동가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고, 변동가격이 심할 경우, 대체 상품을 선택하여 소비할 수 있으므로, 구매자로서 구매의 선택의 폭이 넓어질 수 있고, 판매자는 중량 미달로 인한 축산품을 다른 구매자 또는 가맹고객을 찾아서 연계하여 판매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고객의 구매희망상품이 조회되지 않을 경우 대체상품 안내 및 그에 따른 계속적인 고객의 구매희망상품 내용의 변경에 맞는 해결내용 또는 차선구매정보가 자동으로 제공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품 구매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매대행서버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축산품 구매 서비스 플랫폼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품 구매 서비스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하는 도이다.
이하,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품 구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품 구매 서비스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매대행서버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축산품 구매 서비스 플랫폼의 일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품 구매 서비스 시스템(100)은 구매자 단말(200), 판매자 단말(300) 및 구매대행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각 구성요소들(200, 300, 400)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망을 통하여 구매자 단말(200) 및 구매대행서버(400)은 연결될 수 있고, 또한, 판매자 단말(300) 및 구매대행서버(400)가 서로 통신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망은 단말(200, 300) 및 서버(400)와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는,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4G, LTE, Wi-Fi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각 단말(200, 300)은 후술할 구매 대행 서버(400)에서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랫폼과 접속 가능한 단말로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용자 단말(2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매자 단말(200)은 구매대행서버(400)에서 제공하는 축산품 구매 서비스 플랫폼을 이용하여 구매자가 구매할 축산품의 구매정보 또는 구매예정인 축산품의 구매예정정보가 포함된 구매 이벤트 정보를 구매 대행 서버(400)로 제공한다.
상기 구매 이벤트 정보는 축산품의 종류, 수량, 원산지, 브랜드, 등급, 유통기한, 결제조건, 축산품 인도 방법, 구매가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구매자 단말(200)은 구매대행서버(400)와 접속 또는 서비스 전용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모든 단말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축산품 구매 플랫폼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고객 단말에 설치 또는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 페이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앱(app)은 모바일 콘텐츠를 자유롭게 사고 파는 가상의 장터인 애플리케이션 마켓에서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축산품 구매 서비스 플랫폼은 ①회원가입 프랫폼, ②축산품 판매 검색/입력 플랫폼, ③구매예정 상품등록 플랫폼 및 ④결제 플랫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매예정 상품등록 플랫폼은 구매예정일, 구매예정수량, 구매예정금액, 구매인도방식 및 유사상품을 입력 및 검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매예정 등록 플랫폼을 통해 구매희망상품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구매예정 등록 플랫폼은 축산품 종류(한우, 육우, 돼지, 닭, 기타 축산물), 축산품 성별(암, 수, 거세 등), 축산품 생산지, 축산품 도축장(HACCP지정여부, 기타내용 표시), 축산품 도축일자, 축산품 품질등급(각 축산물별 고시기준 및 추가내용, 일 예로, 한우 - 1++A, 1++B, 1++C, 1+A, 1+B 등), 축산품 보관정보(일반 - 냉장 1℃ 일, 냉동,상온, 숙성고 - 습식 7℃15일 ,건식(드라이에이징)), 구매희망일자, 축산품 구매부위(중량, 손질상태, 예: 등심/10kg/두께2㎠/1개당진공포장/작업기름포함등), 축산품 포장방법, 배송희망일, 배송장소/방법(체인점 매장구매, 택배, 직송) 등을 입력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매예정 상품등록 플랫폼은 축산품 종류, 축산품 성별, 축산품 생산지, 축산품 도축장, 축산품 도축일자, 축산품 품질등급, 축산품 보관정보, 구매희망일자, 축산품 구매부위 등을 선택적으로 예약등록한 후, 선택한 축산품 정보에 상응하는 축산품이 판매가능하게될 경우, 구매자 단말로 알람(푸쉬 메시지)을 제공하는 알람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축산품 구매 서비스 플랫폼은 도 5 및 도 6을 참조, 구매예정정보와 대응되는 축산품의 판매예정자(개인 및 체인점), 판매예정수량, 판매예정금액 등을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판매예정금액은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어, 구매자는 손쉽게 판매자들이 판매할 가격을 파악할 수 있다.
판매자 단말(300)은 구매대행서버(400)에서 제공하는 축산품 판매 플랫폼을 이용하여 공급자가 판매하고자 하는 축산품의 종류, 수량, 가격 등이 기록된 물품판매 이벤트 정보를 구매대행서버(400)로 제공한다.
상기 판매정보는 축산품 종류(한우, 육우, 돼지, 닭, 기타 축산물), 축산품 성별(암, 수, 거세 등), 축산품 생산지, 축산품 도축장(HACCP지정여부, 기타내용 표시), 축산품 도축일자, 축산품 품질등급(각 축산물별 고시기준 및 추가내용, 일 예로, 한우 - 1++A, 1++B, 1++C, 1+A, 1+B 등), 축산품 보관정보(일반 - 냉장 1℃ 일, 냉동,상온, 숙성고 - 습식 7℃15일 ,건식(드라이에이징)), 구매희망일자, 축산품 구매부위(중량, 손질상태, 예: 등심/10kg/두께2㎠/1개당진공포장/작업기름포함등), 축산품 포장방법, 배송희망일, 배송장소/방법(체인점 매장구매, 택배, 직송) 및 판매예정수량, 결제조건, 판매가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구매대행서버(400)는 판매자 단말(300)에서 입력한 축산품 판매정보를 등록한 후, 구매자 단말(200)에서 입력하는 구매정보와 매칭되는 축산품의 판매정보를 추출한 후, 구매자 단말(200)로 해당 판매정보를 푸쉬 메시지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구매대행서버(400)는 구매자 단말(200)에서 입력하는 구매정보와 매칭되는 축산품의 판매정보가 없을 경우, 해당 구매정보와 대응되는 판매정보를 제공하는 판매자 단말(300)로부터 판매예정정보를 제공받아, 상기 구매자 단말로 판매예정정보를 푸쉬 메시지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판매예정정보는 판매예정일, 판매예정수량, 판매예정가격 등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매대행서버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구매대행서버(400)는 이벤트 정보 관리부(410), 회원관리부(420), 정보검색부(430), 유사상품추출부(440), 판매예정통보부(450), 플랫폼 제공부(460) 및 결제처리부(4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 정보 관리부(410)는 구매이벤트 정보 및 판매이벤트 정보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한 후, 데이터베이스 내에 저장한다.
상기 구매 이벤트 정보의 세부 카테고리로는 수량, 원산지, 브랜드, 등급, 유통기한, 결제조건, 축산품 인도 방법, 구매가격 등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판매 이벤트 정보의 세부 카테고리로는 수량, 원산지, 브랜드, 등급, 유통기한, 결제조건, 축산품 인도 방법, 상품 등록일, 판매가격 등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오라클(Oracle), MYSQL, MSSQL, 인포믹스(Info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 및 엑셀론(Excelon), 타미노(Tamino), 세카이주(Sekaiju) 등의 XML 전용 데이터베이스(XML Native Database)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도록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필드(field) 또는 엘리먼트들은 상위 개념 또는 하위 개념의 필드 또는 엘리먼트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원관리부(420)는 축산품 구매 서비스에 가입한 구매자 및 축산품 판매자의 인적정보 또는 사업자 정보를 관리한다. 여기서, 판매자는 개인 판매자 또는 체인점일 수 있다.
상기 회원관리부(420)는 개인회원을 식별하는 개인회원식별자에 기초하여 구매자 및 판매자의 회원정보를 관리한다. 예컨대, 구매자의 회원식별자로는 단말의 IP 또는 단말인증번호가 될 수 있다. 판매자가 개인 판매자일 경우, 개인회원식별자로는 축산품 공급자의 POS 단말 또는 사업자인증번호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원관리부(420)는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회원식별자의 정보를 난수로 변환하여 난수코드 정보로 대체할 수 있다.
상기 회원관리부(420)는 각 회원들에게 난수코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판매 대행서버(400)는 구매자 또는 판매자로부터 제공된 난수코드를 통해 회원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정보검색부(430)는 상기 구매자 단말(200)에서 입력 및 검색된 구매정보와 상응하는 제1 판매정보가 상기 이벤트 정보 관리부(410) 내에 등록되었는 지 여부를 검색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유사상품추출부(440)는 상기 제1 판매정보가 상기 이벤트 정보 관리부 내에 없을 경우, 상기 제1 판매정보와 유사한 제2 판매정보를 상기 이벤트 정보 관리부 내에 추출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판매예정통보부(450)는 상기 제1 판매정보가 상기 이벤트 정보 관리부 내에 없을 경우, 제1 판매정보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매자 단말들로부터 판매예정정보를 요청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매자 단말에서 응답한 판매예정정보 및 제2 판매정보를 상기 구매자 단말로 알람통보(푸쉬 메시지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상기 판매예정통보부(450)는 상기 구매예정정보의 구매예정시점에 판매가능한 판매예정정보의 세부카테고리를 추출한 후, 추출된 세부카테고리들을 판매자별로 분류한 후, 매칭가능한 세부카테고리의 수가 가장 많은 판매예정자를 우선순위 별로 선별하는 선별부(45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매예정통보부(450)는 상품비교부(4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품비교부(452)는 선별부(451)에서 선별된 판매예정자들이 판매할 축산품의 판매예정가격을 비교한 후, 판매가격을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으로 분류하여 비교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판매예정정보는 판매자가 일자별로 판매할 예정인 축산품의 판매예정수량, 판매예정가격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상기 플랫폼 제공부(460)는 검색 및 입력 플랫롬, 결제 플랫폼을 포함하는 축산품 구매 플랫폼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상기 결제처리부(470)는 축산품의 구매 및 판매와 관련된 일련의 결제과정을 수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품 구매 서비스 방법을 설명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품 구매 서비스 방법(S700)은 먼저, 구매자 단말(200)에서 축산품 구매 플랫폼(10)을 이용하여 축산품의 구매 이벤트 정보를 입력(S710)한다.
이후, 구매대행서버(400)는 상기 구매자 단말(200)에서 입력 및 검색된 구매이벤트정보와 상응하는 제1 판매정보가 이벤트 정보 관리부 내에 등록되었는 지 여부를 검색(S720)한다.
상기 구매이벤트정보는 축산품 종류(한우, 육우, 돼지, 닭, 기타 축산물), 축산품 성별(암, 수, 거세 등), 축산품 생산지, 축산품 도축장(HACCP지정여부, 기타내용 표시), 축산품 도축일자, 축산품 품질등급(각 축산물별 고시기준 및 추가내용, 일 예로, 한우 - 1++A, 1++B, 1++C, 1+A, 1+B......등), 축산품 보관정보(일반 - 냉장 1℃ 일, 냉동, 상온, 숙성고 - 습식 7℃15일, 건식(드라이에이징)), 구매희망일자, 축산품 구매부위(중량, 손질상태, 예: 등심/10kg/두께2㎠/1개당진공포장/작업기름포함등), 축산품 포장방법, 배송희망일, 배송장소/방법(체인점 매장구매, 택배, 직송) 등의 축산품 구매희망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720 과정 이후, 상기 제1 판매정보가 상기 이벤트 정보 관리부 내에 없을 경우, 구매대행서버에서 상기 제1 판매정보와 유사한 제2 판매정보를 상기 이벤트 정보 관리부 내에 추출(S730)하고, 또한, 상기 제1 판매정보가 상기 이벤트 정보 관리부 내에 없을 경우, 상기 구매대행서버(400)에서 제1 판매정보를 제공하는 판매자 단말(300)로 판매예정정보를 요청한 후, 상기 판매자 단말에서 응답한 판매예정정보 및 상기 이벤트 정보 관리부에서 추출한 상기 제2 판매정보를 상기 구매자 단말로 푸시 메시지등으로 통보(S740)한다.
여기서, 상기 S740 과정은 상기 구매예정정보의 구매예정시점에 판매가능한 판매예정정보의 세부카테고리를 추출한 후, 추출된 세부카테고리들을 판매자별로 분류한 후, 매칭가능한 세부카테고리의 수가 가장 많은 판매예정자를 우선순위 별로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구매자 단말(200)은 구매대행서버(400)에서 통보된 판매예정정보 및 제2 판매정보 중 어느 하나를 구매하기 위한 일련의 결제정보를 축산품 구매 플랫폼에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축산품 구매 플랫폼은 결제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를 포함할 수 있고, 무통장 입금서비스, 카드 결제 서비스, 적립금 포인트 결제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결제방식은 상술한 내용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판매예정정보는 판매자 단말에서 판매예정인 축산품의 일자별 판매예정수량, 판매예정가격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축산품 구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면, 구매자가 원하고자 하는 축산품을 공급자로부터 신선하게 공급받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축산품의 일자별 변동가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고, 변동가격이 심할 경우, 대체 상품을 선택하여 소비할 수 있으므로, 구매자로서 구매의 선택의 폭이 넓어질 수 있고, 판매자는 중량 미달로 인한 축산품을 다른 구매자 또는 가맹고객을 찾아서 연계하여 판매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고객의 구매희망상품이 조회되지 않을 경우 대체상품 안내 및 그에 따른 계속적인 고객의 구매희망상품 내용의 변경에 맞는 해결내용 또는 차선구매정보가 자동으로 제공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상술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포함하는 시스템(1000)의 예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개인 컴퓨터, 서버 컴퓨터, 핸드헬드 또는 랩탑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폰, PDA, 미디어 플레이어 등),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소비자 전자기기, 미니 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임의의 전술된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분산 컴퓨팅 환경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1110) 및 메모리(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1110)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1120)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추가적인 스토리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1130)는 자기 스토리지, 광학 스토리지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스토리지(1130)에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이 저장될 수 있고, 운영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도 저장될 수 있다. 스토리지(1130)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은 프로세싱 유닛(1110)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메모리(1120)에 로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입력 디바이스(들)(1140) 및 출력 디바이스(들)(11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디바이스(들)(1140)은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디바이스, 터치 입력 디바이스, 적외선 카메라, 비디오 입력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입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디바이스(들)(1150)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또는 임의의 다른 출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디바이스 또는 출력 디바이스를 입력 디바이스(들)(1140) 또는 출력 디바이스(들)(1150)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가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300))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접속(들)(11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접속(들)(1160)은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접속시키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접속(들)(1160)은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의 각 구성요소는 버스 등의 다양한 상호접속(예를 들어, 주변 구성요소 상호접속(PCI), USB, 펌웨어(IEEE 1394), 광학적 버스 구조 등)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1200)에 의해 상호접속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시스템" 등과 같은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인 컴퓨터 관련 엔티티를 지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 가능물(executable),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상에서 구동중인 애플리케이션 및 컨트롤러 모두가 구성요소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의 스레드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구성요소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로컬화될 수 있고, 둘 이상의 컴퓨터 사이에서 분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00: 축산품 구매 서비스 시스템
200: 구매자 단말
300: 판매자 단말
400; 구매대행서버
410: 이벤트 정보 관리부
420: 회원관리부
430: 정보검색부
440: 유사상품추출부
450: 판매예정통보부
460: 플랫폼 제공부
470: 결제처리부

Claims (7)

  1. 축산품을 구매하기 위한 구매정보 또는 구매예정정보를 포함하는 구매 이벤트 정보를 축산품 구매 플랫폼을 통해 제공하는 구매자 단말;
    상기 축산품을 판매하기 위한 판매정보 또는 판매예정정보를 포함하는 판매이벤트 정보를 제공하는 판매자 단말; 및
    상기 구매정보와 대응되는 판매정보 또는 판매예정정보를 상기 구매자 단말로 제공하는 구매대행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구매대행서버는
    상기 구매이벤트 정보 및 상기 판매이벤트 정보를 카테고리별로 분류 및 관리하는 이벤트 정보 관리부;
    상기 구매자 단말 및 상기 판매자 단말의 회원정보를 관리하는 회원관리부;
    상기 구매자 단말에서 입력 및 검색된 구매정보와 상응하는 제1 판매정보가 상기 이벤트 정보 관리부 내에 등록되었는 지 여부를 검색하는 정보검색부;
    상기 제1 판매정보가 상기 이벤트 정보 관리부 내에 없을 경우, 상기 제1 판매정보와 유사한 제2 판매정보를 상기 이벤트 정보 관리부 내에 추출하는 유사상품추출부;
    상기 제1 판매정보가 상기 이벤트 정보 관리부 내에 없을 경우, 제1 판매정보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매자 단말들로부터 판매예정정보를 요청한 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매자 단말에서 응답한 판매예정정보 및 제2 판매정보를 상기 구매자 단말로 통보하는 판매예정통보부; 및
    상기 축산품 구매 플랫폼을 제공하는 플랫폼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매예정통보부는
    상기 구매예정정보의 구매예정시점에 판매가능한 판매예정정보의 세부카테고리를 추출한 후, 추출된 세부카테고리들을 판매자별로 분류한 후, 매칭가능한 세부카테고리의 수가 가장 많은 판매예정자를 우선순위 별로 선별하는 선별부;
    상기 선별부에서 선별된 판매예정자들이 상기 구매예정시점에 판매할 축산품의 판매예정가격을 비교한 후, 판매예정가격을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으로 분류하여 비교하는 상품비교부를 포함하고,
    상기 축산품 구매 플랫폼은
    구매예정일, 구매예정수량, 구매예정금액, 구매인도방식 및 유사상품을 입력 및 검색할 수 있는 제1 인터페이스; 및
    축산품 종류(한우, 육우, 돼지, 닭, 기타 축산물), 축산품 성별(암, 수, 거세 등), 축산품 생산지, 축산품 도축장(HACCP지정여부, 기타내용 표시), 축산품 도축일자, 축산품 품질등급(각 축산물별 고시기준 및 추가내용), 축산품 보관정보(일반 - 냉장 1℃일, 냉동, 상온, 숙성고 - 습식 7℃일, 건식(드라이에이징)), 구매희망일자, 축산품 구매부위(중량, 손질상태, 두께, 1개당 진공포장, 작업기름), 축산품 포장방법, 배송희망일, 배송장소/방법(체인점 매장구매, 택배, 직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입력할 수 있는 제2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축산품 구매 서비스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예정정보는
    상기 축산품의 일자별 판매예정수량, 판매예정가격을 포함하는 축산품 구매 서비스 시스템.
  5. 구매자 단말에서 축산품 구매 플랫폼을 이용하여 축산품의 구매 이벤트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구매대행서버에서 상기 구매자 단말에서 입력 및 검색된 구매정보와 상응하는 제1 판매정보가 이벤트 정보 관리부 내에 등록되었는 지 여부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제1 판매정보가 상기 이벤트 정보 관리부 내에 없을 경우, 구매대행서버에서 상기 제1 판매정보와 유사한 제2 판매정보를 상기 이벤트 정보 관리부 내에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판매정보가 상기 이벤트 정보 관리부 내에 없을 경우, 상기 구매대행서버에서 제1 판매정보를 제공하는 판매자 단말로 판매예정정보를 요청한 후, 상기 판매자 단말에서 응답한 판매예정정보 및 상기 이벤트 정보 관리부에서 추출한 상기 제2 판매정보를 상기 구매자 단말로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통보하는 단계는
    구매자의 구매예정시점에 판매자가 판매가능한 판매예정정보의 세부카테고리를 추출한 후, 추출된 세부카테고리들을 판매자 별로 분류한 후, 매칭 가능한 세부카테고리의 수가 가장 많은 판매예정자를 우선순위 별로 선별하는 단계; 및
    상기 우선순위로 선별된 판매예정자들이 상기 구매예정시점에 판매할 축산품의 판매예정가격을 비교한 후, 판매예정가격을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으로 분류하여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축산품 구매 플랫폼은
    구매예정일, 구매예정수량, 구매예정금액, 구매인도방식 및 유사상품을 입력 및 검색하기 위한 제1 인터페이스; 및
    축산품 종류(한우, 육우, 돼지, 닭, 기타 축산물), 축산품 성별(암, 수, 거세 등), 축산품 생산지, 축산품 도축장(HACCP지정여부, 기타내용 표시), 축산품 도축일자, 축산품 품질등급(각 축산물별 고시기준 및 추가내용), 축산품 보관정보(일반 - 냉장 1℃일, 냉동, 상온, 숙성고 - 습식 7℃일, 건식(드라이에이징)), 구매희망일자, 축산품 구매부위(중량, 손질상태, 두께, 1개당진공포장, 작업기름), 축산품 포장방법, 배송희망일, 배송장소/방법(체인점 매장구매, 택배, 직송)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입력하기 위한 제2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축산품 구매 서비스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매예정정보는
    상기 축산품의 일자별 판매예정수량, 판매예정가격을 포함하는 축산품 구매 서비스 방법.
  7. 삭제
KR1020170142229A 2017-10-30 2017-10-30 축산품 구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954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229A KR101954398B1 (ko) 2017-10-30 2017-10-30 축산품 구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2229A KR101954398B1 (ko) 2017-10-30 2017-10-30 축산품 구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4398B1 true KR101954398B1 (ko) 2019-03-05

Family

ID=65760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2229A KR101954398B1 (ko) 2017-10-30 2017-10-30 축산품 구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439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188B1 (ko) * 2020-03-31 2020-06-22 곽양윤 식당에게 추천 축산물 및 축산물 견적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52630B1 (ko) * 2020-07-02 2021-05-27 주식회사 미팅 상품 매매를 중개하는 방법 및 그 서버
WO2022050584A1 (ko) * 2020-09-04 2022-03-10 주식회사 어니스트초이스 이미지 기반 포장 육류 품질 분류 및 판매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28731B1 (ko) * 2022-03-22 2022-08-02 이한형 맞춤형 소고기 상품 추천 및 손질 방법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495248B1 (ko) * 2022-04-25 2023-02-06 주식회사 홍안 사용자 맞춤형 축산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050A (ko) * 2000-04-06 2000-07-05 주진호 인터넷을 이용한 농축산물 매매방법
KR20010109733A (ko) 2000-06-02 2001-12-12 조형희 축산물의 인터넷 거래 방법
KR20160073170A (ko) * 2014-12-16 2016-06-24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60131335A (ko) * 2015-05-06 2016-11-16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050A (ko) * 2000-04-06 2000-07-05 주진호 인터넷을 이용한 농축산물 매매방법
KR20010109733A (ko) 2000-06-02 2001-12-12 조형희 축산물의 인터넷 거래 방법
KR20160073170A (ko) * 2014-12-16 2016-06-24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쇼핑 서비스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60131335A (ko) * 2015-05-06 2016-11-16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5188B1 (ko) * 2020-03-31 2020-06-22 곽양윤 식당에게 추천 축산물 및 축산물 견적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252630B1 (ko) * 2020-07-02 2021-05-27 주식회사 미팅 상품 매매를 중개하는 방법 및 그 서버
WO2022050584A1 (ko) * 2020-09-04 2022-03-10 주식회사 어니스트초이스 이미지 기반 포장 육류 품질 분류 및 판매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428731B1 (ko) * 2022-03-22 2022-08-02 이한형 맞춤형 소고기 상품 추천 및 손질 방법 안내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495248B1 (ko) * 2022-04-25 2023-02-06 주식회사 홍안 사용자 맞춤형 축산물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4398B1 (ko) 축산품 구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10176508B2 (en) System,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for evaluating search results for online grocery personalization
US20180137457A1 (en) Monitoring inventory based on iot device data
US10430854B2 (en) System,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for evaluating search results for personalized product substitutions
Scholten et al. Defining and analyzing traceability systems in food supply chains
KR101785054B1 (ko) 애완동물 입양 관리 시스템 및 방법
Mohammed et al. A study in integrity of an RFID-monitoring HMSC
JP2021099869A (ja) 推奨情報特定装置、推奨情報特定システム、推奨情報特定方法、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441418B1 (ko) 생필품 자동 재고 관리 장치
Chen et al. Batch-based traceability for pork: A mobile solution with 2D barcode technology
US20160027068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identifying products and corresponding projects for potential marketing
US2016016292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urchasing price simulation and optimization
US10417688B2 (en) System,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 for evaluating search results for matching ingredients to products
US20170193433A1 (en) System for estimating geographical demand and method therefor
Sukhia et al. Introducing Economic Order Quantity Model for inventory control in web based point of sale applications and comparative analysis of techniques for demand forecasting in inventory management
Ojugo et al. Improved distribution and food safety for beef processing and management using a blockchain-tracer support framework
JP2016212792A (ja) 商品推薦装置、商品推薦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50134616A (ko) 축사 경영 관리 시스템
Brandão et al. Conceptual model to identify factors with influence in Brazilian beef consumption
Molana et al. An (r, nQ) inventory model for packaged deteriorating products with compound Poisson demand
KR20220073653A (ko) 빅데이터 기반 식자재 주문 데이터 자연어 처리 인공지능 시스템
CN110084541B (zh) 用于预测供应商送货时长的方法和装置
KR102347210B1 (ko) It 분류 서버를 이용한 물류 관리 방법
US2023016223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JP2020154806A (ja) 配信システム、配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