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7050A - 인터넷을 이용한 농축산물 매매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이용한 농축산물 매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7050A
KR20000037050A KR1020000017921A KR20000017921A KR20000037050A KR 20000037050 A KR20000037050 A KR 20000037050A KR 1020000017921 A KR1020000017921 A KR 1020000017921A KR 20000017921 A KR20000017921 A KR 20000017921A KR 20000037050 A KR20000037050 A KR 20000037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upplier
purchase
agricultural
purcha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7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2921B1 (ko
Inventor
주진호
박경필
Original Assignee
주진호
박경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호, 박경필 filed Critical 주진호
Priority to KR1020000017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2921B1/ko
Publication of KR20000037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7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2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2921B1/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이용한 농축산물 매매방법에 관한 것으로, 공급자인 축산농가, 중간처리자인 가공(도축)업자, 운송업자 및 최종 구매자인 소비자를 직접 인터넷을 통해 연결시켜 유통시장 혁신을 도모하고, 거래표준화가 어려워 온라인상거래가 어려운 농축산물에 대해 재배/사육과정에서부터 품질관리를 통한 규격화를 유도하면서 온라인 통신상에 사양가의 경험통계치 표기 및 동화상을 통한 발육상태와 그밖에 제반 환경정보 제공 등을 통한 규격화 거래가 가능하도록, 공급정보 등록단계(S1), 구매정보 등록단계(S2), 매매계약 체결단계(S3), 농축산물 인수단계(S4), 판매대금 정산단계(S5)를 거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터넷을 이용한 농축산물 매매방법{A method for trading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한 농축산물 매매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가격탄력성이 적어 생산량의 미량변화에 따라 큰 폭의 가격변동이 유발되며, 특히 유통업자의 폭리가 심한 농축산물을 공급자인 농축산농가, 중간처리자 예를들면 가공(도축)업자, 운송업자 및 최종 구매자인 소비자를 직접 인터넷을 통해 연결시켜 유통시장 혁신을 도모하고, 거래표준화가 어려워 온라인 상거래가 어려운 농축산품에 대해 재배/사육과정에서부터 품질관리를 통한 규격화를 유도하면서 온라인 통신상에 사양가의 경험통계치 표기 및 동화상을 통한 발육상태와 그밖에 제반 환경정보 제공 등을 통한 규격화거래가 가능하도록 한 인터넷을 이용한 농축산물 매매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의 원시적인 농축산물 유통구조는 생산자와 최종 소비자가 농축산물을 직거래하지 못하고 다른 물류 분야보다 복잡한 다수의 중계자에 의한 중간단게를 거쳐 매매거래가 이루어지고 있어, 생산자의 산지 가격과는 엄청난 소비자가격으로 최종 소비자에게 거래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산지형 물류센터의 매매개념을 도입하여 생산자 → 물류센터 → 소매상 → 소비자의 매매단계를 거침으로서, 출하업자 도소매 중간인 등을 거치는 중간과정을 생략하여 산지 출하물품을 싱싱한 상태로 신속하고 저렴하게 현지로 배송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산지형 물류센터의 매매개념으로는 거래표준화가 어려운 농축산품에 대해 사육과정에서부터 품질관리를 통한 규격화를 유도하기 곤란할 뿐만 아니라, 생산자와 소비자간의 맞춤형 정보교환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농축산물은 가격변화에 따른 소비변화가 적은 특성이 있어 조금의 생산량 감소나 증가에 따라 가격 변동폭이 커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기존의 획일적인 농축산물 매매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가격파동과 유통업자의 횡포로부터 공급자인 농축산농가, 소매자 및 최소한의 중간처리자가 직접 인터넷을 통해 연결시켜 시간 및 장소의 제약에서 벗어나 유통시장 혁신을 도모하고, 거래표준화가 어려워 온라인 상거래가 어려운 농축산품에 대해 사육과정에서부터 품질관리를 통한 규격화를 유도하면서 온라인통신상에 사양가의 경험통계치 표기 및 동화상을 통한 발육상태와 그 밖에 제반 환경정보 제공 등을 통한 규격화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농축산물 매매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농축산물의 수급을 사전에 조절하여 농축산물 파동을 사전에 방지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터넷을 이용한 농축산물 매매시스템 구성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인터넷을 이용한 농축산물 매매방법 흐름 단계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공급정보 등록단계에 대한 상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구매정보 등록단계에 대한 상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매매계약 체결단계에서 통지방법이 수동일 경우의 상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매매계약 체결단계에 대한 상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인터넷을 이용한 농축산물 매매방법에서 무한한 계약의 연결을 보여주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인터넷망 12 : 공급자
14 : 구매자 16 : 가공회사
18 : 운송회사 20 : 중계회사
22 : 웹서버 24 : 데이터베이스서버
30 : 은행시스템 32 : 인증기관
34 : 결제기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터넷을 이용한 농축산물 매매방법은, 농축산물 공급자, 농축산물 구매자, 중간처리업자, 운송업자 및 이들 사이를 중계하는 중계회사 사이에서 공급정보등록단계, 구매정보등록단계, 매매계약체결단계, 농축산물인수단계 및 판매대금정산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공급정보입력단계는, 공급자가 중계회사의 웹서버에 접속하여 재배 및 사육하고 있거나 예정인 농축산물의 품목, 수량, 공급가격, 공급가능시기 등의 공급정보를 등록하는 단계이며, 구매정보입력단계에서는, 구매자가 상기 중계회사의 웹서버에 접속하여 구매할 농축산물의 품목, 수량, 구매가격, 구매희망시기 등의 구매정보를 등록하거나, 또는 공급자가 등록한 농축산물의 품목 및 가격조건 등의 공급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품목에 대한 최소단위 이상의 수량, 구매가격, 구매희망시기 등의 구매정보를 등록하게 된다.
매매계약체결단계는 상기 중계회사가 웹서버에 등록된 공급정보 및 구매정보내용을 검색하여 연결 가능한 공급자와 구매자를 파악하여 공급자에게 공급의사를 확인하고 이를 구매자에게 동의 받은 후, 구매자로 하여금 일정 금액의 보증금을 중계회사에 위탁하도록 하여 매매계약을 체결하는 단계이며, 농축산물인수단계에서는 상기 중계회사가 상기 등록된 공급 및 구매정보를 검색하여 공급기일이 되면 공급자에게 가공업체 및 운송업체를 연결시켜 구매자가 지정일자 및 장소에서 해당 농축산물을 인수하도록 한다.
최종적으로, 농축산물을 가공 또는 도축한 후 가공(도축)등급판정에 따라 최종 대금이 결정되면 중계회사는 구매자로부터 최종 대금에서 상기 보증금을 제외한 차액을 받아 공급자에게 입금하는 판매대금 정산단계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농축산물의 선물거래가 가능하다. 즉, 상기 매매계약 체결단계가 완료된 후 농축산물 인수단계 사이 즉, 계약 완료일이 도래되지 않은 계약에 관한 물품을 구매자가 판매를 위해 공급DB에 등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다음계약(특정 물품에 대한 최초의 계약의 다음계약)은 최초계약에서 공급가격을 제외한 공급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용자들은 최초 계약에서의 물품을 실제 인수받지 않은 상태에서 인수일에 구애받지 않고 상황에 따라 계약물품을 제3자에게 판매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구매정보 등록단계에서는 중계회사의 웹서버에 공급자가 등록한 농축산물의 품목 및 가격조건 등의 공급정보를 제시하는 기준으로, 공급자가 중계회사의 지정원료 및 컨설팅 지도를 받아 브랜드화된 균일한 등급의 농축산물을 생산하여 가격 결정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특정 상품의 개별 공급량과 개별 구매량이 항상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매매계약 체결단계에서 연결 가능한 구매자와 공급자의 매매유형으로 매매조건은 일치하나 공급 또는 구매수량이 일치하지 아니하는 경우 복수의 공급자를 단일의 구매자와, 단일의 공급자를 복수의 구매자와, 또는 복수의 공급자를 복수의 구매자와 연결시킬 수 있으며, 공급자와 구매자의 개개 매매조건 차이가 일정한 범위내일 때, 계약을 성립시키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범위는 공급자 및 구매자가 상호 양해할 수 있는 범위로 사전에 정해둔다. 예컨데, 공급 또는 구매일자에 대해서는 3일, 공급 또는 구매량에 대해서는 총량의 5%, 공급 또는 구매가격의 10% 등과 같이 정하여 그 범위에 드는 공급자와 구매자를 연결시켜 상호 동의를 받아 계약을 체결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농축산물 매매방법의 구현원리를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터넷을 이용한 농축산물 매매방법을 구현시키는 시스템 구성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인터넷을 이용한 농축산물 매매방법 흐름을 도시한 것다.
도 1에서 보는 바와같이, 단말장치에 해당하는 공급자(12), 구매자(14), 가공(도축)회사(16), 운송회사(18)에서 접속부는 인터넷에 연결하도록 한 모뎀 및 네트워크 어댑터 등을 의미하며, 브라우저는 하이퍼미디어 문서를 검색하고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며, 전자메일은 하이퍼미디어 문서를 주고받을 수 있는 도구이다.
공급자(12) 및 구매자(14)에서 인터페이스부와 연결된 입력부는 다양한 데이타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전화장치와 비디오장치 등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음성 및 동영상을 입력받고, 출력부는 음성 및 동영상을 전화장치와 비디오장치 등으로 출력한다.
한편 중계회사(20)는 외부의 해커로부터 서버를 보호하기 위한 방화벽을 설치하여 인터넷을 통한 모든 데이타는 방화벽을 통하여 관련서버에 접속되도록 통제한다.
전자메일서버는 공급자(12), 구매자(14), 가공(도축)회사(16), 운송회사(18)의 전자메일 계정을 관리하면서 송수신된 전자메일을 통지하여주고, 웹서버는 각 브라우저들과 데이타를 주고받으면서 동작한다.
데이타베이스(DB)서버는 각종 데이타를 데이타베이스에 저장하거나 요청한 데이타를 검색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 구성하에서 본 발명은 공급정보 등록단계(S1), 구매정보 등록단계(S2), 매매계약 체결단계(S3), 농축산물 인수단계(S4), 판매대금 정산단계(S5)를 통해 인터넷을 이용한 농축산물 매매가 이루어진다(도 2).
본 발명에서 상기 각 단계에 대한 상세한 절차진행 흐름도를 각각 도 3, 4에, 본 발명의 매매계약 체결단계에서 연결가능한 공급자와 구매자를 추출하기 위한 상세 흐름도를 도 5에 도시하였다. 또한 통지방법이 수동인 전화일 경우의 처리 흐름도를 도 6에, 관련된 각 DB 구조를 도 7에 예시하였다.
우선, 공급정보 등록단계(S1)을 통해 공급자(12)가 인터넷망(10)을 통해 중계회사(20)의 웹서버(22)에 접속하여 재배 및 사육하고 있거나 예정인 농축산물의 품목, 수량, 공급가격, 공급가능시기 등의 공급정보를 등록한다. 이때 상기 공급정보는 공급DB에 저장된다.
그리고, 구매정보 등록단계(S2)를 통해 구매자(14)는 인터넷 웹서버(22)에 필요한 농축산물의 품목, 수량, 구매가격, 구매희망시기 등의 구매정보를 등록하거나(B to B 방식), 또는 웹서버(22)에 공급자(12)가 등록한 농축산물의 품목 및 가격조건 등의 공급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품목에 대한 최소단위 이상의 수량, 구매가격, 구매희망시기 등의 구매정보를 등록한다(B to C 방식). 구매자(14)의 구매정보는 도 7에 예시된 필드구성을 갖는 구매DB에 저장된다.
이때, 중계회사(20)의 웹서버(22)에 공급자(12)가 등록한 농축산물의 품목 및 가격조건 등의 공급정보를 제시하는 기준은, 공급자(12)가 중계회사(20)의 지정사료 및 고품질의 컨설팅 지도를 받아 브랜드화된 균일한 등급의 농축산물을 생산하여 가격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중계회사(20)는 개별 공급자(12)가 과거 공급했던 품목의 품질을 통계를 바탕으로 임의로 공급자(12)가 공급하는 물품의 등급을 정하거나, 공급자(12)가 자신의 경험에 의한 자기 물품에 대한 등급을 정하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공급자(12)의 과거 공급실적을 DB에 저장하게 된다(도 7의 공급자실적DB의 필드구조 참조).
아울러, 매매계약 체결단계(S3)를 통해 중계회사(20)는 인터넷 웹서버(22)가 보유한 DB를 검색하여 연결 가능한 공급자(12)와 구매자(14)를 파악하여 공급자에게 공급의사를 확인하고, 이를 구매자(14)에게 동의 받은 후에 매매계약을 체결하게 된다. 의사를 확인하고 동의를 얻는 방법은 전자메일, 게시판, 유무선 전화 등 다양한 통로를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연결 가능한 구매자(14)와 공급자(12)의 매매유형은, 매매조건은 유사하지만 구매자(14)의 수량이 소량일 때 여러 명의 구매자(14)를 집합체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반대로 매매조건이 유사한 복수의 공급자(12)를 한 명의 구매자(14)와 연결시킬 수도 있다. 이렇게, 복수의 구매자(14)와 공급자(12)간의 연결 및 복수의 공급자(12)와 구매자(14) 간의 연결일 때 구매자(14)와 공급자(12)의 매매조건이 조정 가능한 오차범위내일 때 연결시킬 수 있다.
매매계약을 위해 공급자(12) 및 구매자(14)의 동의를 받기 전에 계약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는 공급자(12) 및 구매자(14)에 대한 성명, 거래될 수량, 거래될 가격, 거래될 시기 등에 관한 정보를 상기 공급DB 및 구매DB로부터 추출하여 계약가능번호를 부여하는 계약가능 단계를 내부적으로 두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계약가능에 관한 정보는 도 7에 예시된 필드를 갖는 계약가능정보DB에 저장한다.
이후 상기 계약가능정보에 따라 관계되는 공급자(12) 및 구매자(14)의 동의를 얻으면 상기 계약가능정보는 계약가능정보DB에서 삭제되고 확정된 계약일자, 계약품목, 계약수량 등 계약정보를 계약번호와 함께 확정하여 DB(계약DB)에 저장한다.
매매계약체결단계(S3)에서는 상기와는 별도로 각 계약구성원들의 합의하에 가공(도축)회사(16) 또는 운송회사(18)와 계약하게 할 수도 있다.
농축산물 인수단계(S4)를 통해 중계회사(20)는 인터넷 웹서버(22)의 DB를 검색하여 계약상의 공급기일에 맞추어 공급자(12)에게 가공업체(16) 및 운송업체(18)를 연결시킴으로서 구매자(14)는 지정일자 및 장소에서 해당 농축산물을 인수할 수 있다.
아울러, 판매대금 정산단계(S5)를 통해 최초 계약 체결시에 구매자(14)는 일정 금액의 보증금을 중계회사(20)에 위탁하고 공급자(12)가 해당 농축산물을 공급할 때에 나머지 차액을 입금시키면, 중계회사(20)는 도정 및 도축 등의 가공시의 등급판정에 따라 최종적으로 대금 정산하여 공급자에게 정산대금을 입금한다.
또한 계약이 체결된 농축산물의 신속한 자금회수와 가상매매시스템의 원활한 활용을 위하여 계약 완료일이 도래되지 않은 계약 즉, 물품 인수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농축산물 계약을, 구매자가 재판매를 위하여 공급DB에 등록하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면, 계약이 완료되지 않은 농축산물에 대해 이론적으로 무한한 계약이 창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공급DB에 이전 구매정보DB의 레코드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고, 구매DB에 재판매를 위해 등록할 공급DB의 레코드에 대한 정보를 다음 공급정보DB에 저장하게 하며, 계약DB에도 계속되는 계약의 연결을 위하여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무한한 연결계약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과 같은 전자상거래에서는 공급자(12) 및 구매자(14)에 대한 신뢰여부가 관계자 모두에게 예민한 문제가 된다. 따라서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인증기관(32)과 연계하여 각 공급자(12) 및 구매자(14) 별로 인증서를 제작·발급하여 사용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인증방법은 종래기술을 차용할 수 있으며, 인증관련 기술의 발전에 따라 새롭게 출현하는 기술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결재를 위한 계좌간 계좌이체 방법도, 구체적인 계좌이체 결제방법은 종래기술을 차용할 수 있으며, 결제관련 기술의 발전에 따라 개발되는 관련기술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현재 등록된 공인 인증기관으로는 금융결제원, 한국정보인증 등이 있으며, 결제기관으로는 이니시스, 한국통신커머스솔루션스 등이 있는바, 본 발명의 방법을 운영하기 위하여 상기 회사의 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인증 및 결제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호연결 가능한 구매자(14)와 공급자(12)를 파악하여 연결하고 매매계약을 체결하는 진행순서의 일예를 도 5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공급자(12) 및 구매자(14)가 각각의 단말기(PC)로 인터넷망(10)을 통하여 중계회사(20)의 웹서버(22)에 접속하여 공급 및 구매정보를 입력하면 해당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서버(24)에 보관되며, 이때 구매자(14)가 중계회사(20)의 웹서버(22)에 접속하여 품목, 물품특성별로 공급가격이 결정된 공급자 정보를 화면으로 조회하여 적합한 공급자(12)를 선택하고, 선택 결정된 내용을 제외한 수량, 구매희망시기 등의 구매정보를 등록한다.
그리고, 중계회사(20)의 웹서버(22)는 등록된 내용을 검색하여 상호연결 가능한 유형이면, 해당 구매정보를 예를들면 전자메일을 통해 공급자(12)의 단말기(PC)로 전송 통지한다.
아울러, 공급자(12)는 웹서버(20)로부터의 전자메일을 검토하여 공급 여부를 인증기관(32)에서 인증받은 전자서명으로 웹서버(22)에 등록하며, 중계회사(20)의 웹서버(22)는 해당 공급자의 공급의사를 확인한 후에 구매가능 내용 및 절차를 전자메일을 통해 구매자(14)의 단말기(PC)로 전송 통지한다.
그리고, 구매자(14)는 웹서버(20)로부터의 전자메일을 검토하여 구매승낙 및 결제계좌(비밀번호 포함) 등의 구매정보를 인증기관(32)에서 인증받은 전자서명으로 웹서버(22)에 등록하게 되며, 이때 구매자(14)가 공급조건에 동의하지 않으면 구매 불가의사를 등록하여 거래를 중단하거나 일부 조건을 양보한 정정 구매정보를 등록하면, 중계기관(20)은 변경된 구매의사 정보를 전자메일을 통하여 공급자(12)의 단말기(PC)로 전송 통지하여 거래를 반복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중계회사(20)의 웹서버(22)는 공급자(12)와 구매자(14)가 전자서명으로 본인 의사의 등록내용을 확인시켜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구매자(14)가 입력한 계좌정보를 결제기관(34)으로 전송하여 약속된 보증금을 구매자(14)의 거래은행(30) 결제계좌에서 출금하여 중계회사(20) 계좌로 입금하며, 공급자(12)의 단말기(PC)에 보관된 보증금 보관 사실을 전자메일로 통지한다. 한편, 통지방법이 수동방식인 전화로 원할 경우에는 도 6에 예시된 순서로 절차가 진행된다.
아울러, 농축산물 인수단계(S4)와 판매대금 정산단계(S5)의 흐름을 자세히 설명하면, 중계회사(20)의 웹서버(22)는 공급기일 일정기간 전에 구매자(14)의 단말기(pc)에 구매대금의 입금안내를 전자메일, 게시판, 유무선전화 등을 통해 자동으로 통지한다. 구매자(14)는 공급기일이 되면 웹서버(22)에 접속하여 인증기관(32)에서 인증받은 전자서명으로 운송장소, 일시 등을 등록하고 보증금을 제외한 차액을 결제기관(34)을 통하여 중계회사(20) 결제계좌로 계좌 이체하며, 중계회사(20)는 공급대금 입금 사실 및 공급장소, 일시 등을 전자메일로 공급자(12)의 단말기(PC)에 통지하고 공급자(12)는 해당 물품의 발송 의뢰를 웹서버(22)에 등록한다.
또한, 중계회사(20)의 웹서버(22)는 도정, 도축 등의 가공정보 및 택배정보를 가공회사(16) 및 택배회사(18)의 각 단말기(PC)에 전자메일로 통지하고, 해당 회사(16)(18)는 전자메일을 확안하여 업무처리한 후에 그 처리결과를 웹서버(22)에 등록한다.
그리고, 구매자(14)는 물품 인수후 웹서버(22)에 인수 사실을 등록하면 중계회사(20)는 가공회사(16)에서 등록한 등급판정에 따라 판매대금을 정산하여 결제기관(34)을 통해 공급자(12)의 결제계좌에 송금하고, 그 차액은 구매자(14)의 결제계좌로 입금하며, 이때 공급자(12) 발송 후의 구매자(14)가 일정기간 내에 인수 유무를 웹서버(22)에 등록하지 않을 때는 전자메일로 독촉 통지 후에 인수등록으로 간주하며, 이때 최소단위 이상의 수량 및 구매시기 등의 구매정보방식에서는 제품의 브랜드화로 등급의 균일이 가능하여 가공회사(16)의 등급 등록 및 대금 정산절차가 불필요하다.
한편, 중계회사(20)의 데이터베이스서버(24)에 등록되는 정보내용으로는, 공급정보를 보관하는 공급DB, 구매정보를 보관하는 구매DB, 공급자(12)의 공급실적관리를 보관하는 공급자실적DB, 오차범위 내의 계약가능정보를 보관하는 계약가능정보DB, 계약체결정보를 보관하는 계약정보DB 등을 둘 수 있으며 추가로 회원정보를 보관하는 회원정보DB 등을 두는 것도 바람직하다(도 7 참조).
상기 공급DB에는 공급자명, 등록일자, 공급품목, 공급가능수량, 공급희망가격, 공급가능시기, 통지방법, 전자메일주소, 전화번호, 처리유무, 연결가능 구매자명 등의 정보내용과 구매자가 구매한 농축산물을 재판매하기 위하여 공급DB 등록시 이전 구매DB와의 연관을 위한 이전구매DB 레코드번호 등이 입력되며, 구매DB에는 구매자명, 등록일자, 구매방식, 구매가능수량, 구매희망가격, 구매희망시기, 통지방법, 전자메일주소, 전화번호, 처리유무, 연결가능 공급가능 구매자명 등의 정보내용과 재판매정보를 위하여 연관되는 다음공급DB의 레코드번호 등이 입력된다.
아울러, 통지방법에는 공급자 및 구매DB 모두 전자메일과 전화가 이용되고, 처리유무에는 미처리와 처리예정과 처리필로 정보 입력함이 바람직하며, 특히 구매방식에는 웹서버(22)에 필요한 농축산물의 품목, 수량, 구매가격, 구매희망시기 등의 구매정보를 등록하는 방식(B To B)과, 공급자(12)가 등록한 농축산물의 품목 및 가격조건 등의 공급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품목에 대한 최소단위 이상의 수량, 구매가격, 구매희망시기 등의 구매정보를 등록하는 방식(B To C)이 이용된다.
그리고, 공급자실적DB에는 공급자명, 등록일자, 계약일자, 순번, 공급품목, 공급수량, 공급가격, 공급일자, 공급후 도축(가공)판정등급, 계약번호 등의 정보내용이 입력된다.
또한, 계약가능정보DB에는 계약번호, 분류(공급자 / 구매자), 공급자 또는 구매자명, 수량, 가격, 시기, 통지방법(전자메일 / 전화) 등의 정보내용이 입력되고, 계약체결정보DB스에는 계약번호, 등록일자, 계약일자, 품목, 수량, 가격, 시기, 가공(도축)회사 연결유무(자체연결 / 연결희망), 택배회사 연결유무(자체연결 / 연결희망) 등의 정보내용과 구매자가 구매한 농축산물을 재판매하기 위하여 공급DB 등록시 이전 구매DB와의 연관을 위한 이전구매DB 레코트번호 등이 입력되며(도 6 참조),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에는 회원명, 가입시기, 주소, 전화번호, 전자메일, 총공급실적, 평균가공(도축)실적, 품목, 사육방법(B To B / B To C / 혼합사용) 등의 정보내용이 입력된다.
한편, 회원으로 등록된 공급자(12) 및 구매자(14)가 선물거래소를 통한 국내 및 국제간의 정식 선물거래를 원할 때는 중계회사의 웹서버(22)를 선물거래소 시스템과 연결하여 각종 선물정보 및 주문대행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웹서버(22)를 통하여 각종 농축산물의 재배 및 사육방법, 질병안내 등의 각종 정보제공과 전자메일을 이용한 질문 및 답변 등의 컨설팅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아울러, 농축산에 필요한 비료 및 사료, 부대장비 판매매장을 운영하면서 판매대금 결제는 결제기관(34)을 통하여 처리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인터넷 비즈니스기법인 우수한 콘텐츠(Contents) 확보, 커뮤니티(Community) 구축, 단골고객 고착화(Rock-In), 전자상거래 등을 접목한 비즈니스모델을 확보할 수 있고, 오프라인(Off-Line)의 실물경제와 온라인(On-Line)의 인터넷 비즈니스를 결합한 경영 트렌드(Trend)로 사업가치를 극대화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이용한 농축산물 매매방법에 의하면, 가격파동과 유통업자의 횡포로부터 공급자인 축산농가와 소매자를 포함한 최종 구매자인 소비자를 직접 인터넷을 통해 연결함으로서, 유통시장 혁신을 도모하고 거래표준화가 어려워 온라인상거래가 어려운 농축산품에 대해 사육과정에서부터 품질관리를 통한 규격화를 유도하고, 온라인통신상에 사양가의 경험적인 통계치 표기 및 동화상을 통한 발육상태와 그밖에 제반 환경정보 제공 등을 통해 규격화를 이루어 온라인거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농축산물 거래의 온라인유통을 통해 농축산생산자는 현물 및 선물거래 정보를 통해 시장상황에 맞게 공급량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가격파동에 대비하여 재배면적 또는 사육두수 조절이 가능하고 중간 유통마진이 크게 줄어들어 보다 높은 가격으로 생산품 판매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군소 유통업자를 포함한 정육점 및 최종 소비자는 유통마진이 최소화된 표준화된 농축산품을 필요에 맞게 공급받아 판매함으로서, 수익을 증대시키며 소량 주문도 직접 생산자에게 요청할 수 있어 유통시장에서의 열위자 입장에서 탈피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농축산물의 선물거래가 가능하므로 마치 주식시장처럼 아직 현실화(현물화)되지 않은 한정된 수량의 농축산물을 반복적으로 매매할 수 있기 때문에 농축산물 시장규모가 커지고 산물의 가격이 합리적인 선에서 안정화되며, 생산자와 소비자 이외의 많은 관계인들이 시장에 참여하여 새로운 부를 창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국가 경제적 측면에서도 국내 축산농가가 숙명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시장상황 급변에 따른 주기적인 가격파동에 대한 방법론적 대안을 제시하여 새로이 농축산업을 시작하려는 예비 농축산가가 보다 자신감을 가지고 농축산업에 진입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여 신규고용 창출 및 안정에 기여되는 있는 등의 많은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5)

  1. 공급자(12)가 중계회사(20)의 웹서버(22)에 접속하여 재배 및 사육하고 있거나 예정인 농축산물의 품목, 수량, 공급가격, 공급가능시기 등의 공급정보를 등록하는 공급정보 등록단계(S1);
    구매자(14)가 상기 중계회사(20)의 웹서버(22)에 접속하여 구매할 농축산물의 품목, 수량, 구매가격, 구매희망시기 등의 구매정보를 등록하거나, 또는 공급자(12)가 등록한 농축산물의 품목 및 가격조건 등의 공급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품목에 대한 최소단위 이상의 수량, 구매가격, 구매희망시기 등의 구매정보를 등록하는 구매정보 등록단계(S2);
    상기 중계회사(20)가 등록된 공급정보 및 구매정보를 검색하여 연결 가능한 공급자(12)와 구매자(14)를 파악하여 공급자(12)에게 공급의사를 확인하고 이를 구매자(14)에게 동의 받은 후, 구매자(14)로 하여금 일정 금액의 보증금을 중계회사(20)에 위탁하도록 하여 매매계약을 체결하는 매매계약 체결단계(S3);
    상기 중계회사(20)는 등록된 공급정보 및 구매정보를 검색하여 공급기일이 되면 공급자(12)에게 가공업체(16) 및 운송업체(18)를 연결시켜 구매자(14)가 지정일자 및 장소에서 해당 농축산물을 인수하는 농축산물 인수단계(S4);
    가공(도축)등급판정에 따라 최종 대금이 결정되면 중계회사(20)는 구매자(14)로부터 최종 대금에서 상기 보증금을 제외한 차액을 입금받아 공급자(12)에게 입금하는 판매대금 정산단계(S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농축산물 매매방법.
  2. 제 1 항 에 있어서, 상기 매매계약 체결단계(S3)와 농축산물 인수단계(S4) 사이에서 상기 구매자(14)가 계약된 물품에 대하여 또 다른 계약의 공급자(12)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농축산물 매매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매정보 등록단계(S2)에서는 중계회사(20)의 웹서버(22)에 공급자(12)가 등록한 농축산물의 품목 및 가격조건 등의 공급정보를 제시하는 기준으로 공급자(12)가 중계회사(20)의 지정원료 및 컨설팅 지도를 받아 브랜드화된 균일한 등급의 농축산물을 생산하여 가격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농축산물 매매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농축산물 재배 및 사육상태에 관한 동영상 정보를 구매자(14)에게 통지하여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농축산물 매매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매매계약 체결단계(S3)에서는 연결 가능한 구매자(14)와 공급자(12)의 매매유형으로 매매조건은 일치하나 공급 또는 구매수량이 일치하지 아니하는 경우 복수의 공급자(12)를 단일의 구매자(14)와, 단일의 공급자(12)를 복수의 구매자(14)와, 또는 복수의 공급자(12)를 복수의 구매자(14)와 연결시킬 수 있으며, 공급자(12)와 구매자(14)의 개개 매매조건 차이가 사전에 정해진 범위내일 때, 공급자(12)와 구매자(14)에게 공급 및 구매정보를 통지하고 동의유무를 확인받거나, 일부조건을 정정한 공급 또는 구매정보를 재등록하면 반복하여 동의유무를 재확인하여 계약을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이용한 농축산물 매매방법.
KR1020000017921A 2000-04-06 2000-04-06 인터넷을 이용한 농축산물의 현물/선물 매매방법 KR100372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921A KR100372921B1 (ko) 2000-04-06 2000-04-06 인터넷을 이용한 농축산물의 현물/선물 매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921A KR100372921B1 (ko) 2000-04-06 2000-04-06 인터넷을 이용한 농축산물의 현물/선물 매매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7050A true KR20000037050A (ko) 2000-07-05
KR100372921B1 KR100372921B1 (ko) 2003-02-19

Family

ID=19662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7921A KR100372921B1 (ko) 2000-04-06 2000-04-06 인터넷을 이용한 농축산물의 현물/선물 매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2921B1 (ko)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9023A (ko) * 2000-07-10 2000-10-05 문병창 육류지수를 통한 온라인 경매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64193A (ko) * 2000-08-29 2000-11-06 최철윤 농산물 관련 종합 전자 상거래 시스템
KR20000064037A (ko) * 2000-08-17 2000-11-06 김지한 화훼의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67961A (ko) * 2001-04-11 2001-07-13 이동걸 인터넷 계약재배 농장
KR20010069818A (ko) * 2001-05-12 2001-07-25 박장헌 인터넷을 통한 농수축산물, 화훼, 약용작물 판매 방법
KR20010074032A (ko) * 2000-12-30 2001-08-04 변경대 인터넷을 이용한 낙농 정보와 물품 공급 커뮤니티 시스템
KR20020000601A (ko) * 2000-06-26 2002-01-05 김의수 가상재배를 통한 농산물거래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KR20020066672A (ko) * 2001-02-13 2002-08-21 최철원 인터넷을 이용한 농수산물류 도매거래에서 상장예외품목에 대한 판매 관리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방법 및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수록된기록매체
KR20020072667A (ko) * 2001-03-12 2002-09-18 김배원 인터넷을 이용한 농축산물 공동 생산 및 분배 방법
KR20020084779A (ko) * 2001-05-03 2002-11-11 서현호 인터넷을 이용한 농산물 유통시스템
KR20030012288A (ko) * 2001-07-31 2003-02-12 주식회사 코뱅크 인터넷을 이용한 농산물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16488A (ko) * 2001-08-20 2003-03-03 (주)애니인포넷 가공업을 포함한 축산물 전자중개방법
KR20030027463A (ko) * 2001-09-28 2003-04-07 오성민 인터넷을 통하여 실시간 화상정보 및 품질보증이 제공되는농수산물의 매매방법
KR20030043530A (ko) * 2001-11-28 2003-06-02 이영희 인터넷 경매시스템
KR20030097515A (ko) * 2002-06-21 2003-12-31 정연희 인터넷을 이용한 가축 위탁 관리시스템
KR100467169B1 (ko) * 2001-08-20 2005-01-24 (주)애니인포넷 네트워크상에서 품질정보를 활용한 축산물 전자중개방법
KR100472193B1 (ko) * 2001-09-22 2005-03-08 권영미 사이버 농장 운영방법
KR100499554B1 (ko) * 2000-08-17 2005-07-14 라이스브랜 주식회사 농산물의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92627B1 (ko) * 2003-10-25 2007-03-13 여찬기 농산물 전자상거래 시스템과 그 이용방법
KR100748941B1 (ko) * 2006-08-21 2007-08-17 김유정 구매약정정보처리장치
KR100817279B1 (ko) * 2006-08-21 2008-04-01 김유정 구매약정 정보처리 시스템
WO2015166437A1 (en) * 2014-04-30 2015-11-05 Le R&D Holdings Pty Ltd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transforming and sharing pre-sale, real-time and post-sale livestock market data
KR101692039B1 (ko) * 2016-07-06 2017-01-17 진정식 맞춤농산물 매매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101954398B1 (ko) * 2017-10-30 2019-03-05 김진 축산품 구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21575A (ko) * 2019-04-16 2020-10-26 김진 축산물 공동구매 중개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축산물 주문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5549A (ko) * 2001-12-03 2002-01-17 홍영인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1차산업 생산 상품의 경매와 물류운송 관리 시스템.
KR101580655B1 (ko) * 2013-01-30 2015-12-29 우송대학교 산학협력단 중소 제조업자 대상의 스마트폰 기반의 제품 브랜딩과 수익 공유 및 제조수량 예측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7996A (ko) * 1999-12-23 2001-07-05 정석화 농산물 직거래 통신판매 방법

Cited B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0601A (ko) * 2000-06-26 2002-01-05 김의수 가상재배를 통한 농산물거래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KR20000059023A (ko) * 2000-07-10 2000-10-05 문병창 육류지수를 통한 온라인 경매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64037A (ko) * 2000-08-17 2000-11-06 김지한 화훼의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99554B1 (ko) * 2000-08-17 2005-07-14 라이스브랜 주식회사 농산물의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64193A (ko) * 2000-08-29 2000-11-06 최철윤 농산물 관련 종합 전자 상거래 시스템
KR20010074032A (ko) * 2000-12-30 2001-08-04 변경대 인터넷을 이용한 낙농 정보와 물품 공급 커뮤니티 시스템
KR20020066672A (ko) * 2001-02-13 2002-08-21 최철원 인터넷을 이용한 농수산물류 도매거래에서 상장예외품목에 대한 판매 관리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방법 및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수록된기록매체
KR20020072667A (ko) * 2001-03-12 2002-09-18 김배원 인터넷을 이용한 농축산물 공동 생산 및 분배 방법
KR20010067961A (ko) * 2001-04-11 2001-07-13 이동걸 인터넷 계약재배 농장
KR20020084779A (ko) * 2001-05-03 2002-11-11 서현호 인터넷을 이용한 농산물 유통시스템
KR20010069818A (ko) * 2001-05-12 2001-07-25 박장헌 인터넷을 통한 농수축산물, 화훼, 약용작물 판매 방법
KR20030012288A (ko) * 2001-07-31 2003-02-12 주식회사 코뱅크 인터넷을 이용한 농산물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16488A (ko) * 2001-08-20 2003-03-03 (주)애니인포넷 가공업을 포함한 축산물 전자중개방법
KR100467169B1 (ko) * 2001-08-20 2005-01-24 (주)애니인포넷 네트워크상에서 품질정보를 활용한 축산물 전자중개방법
KR100472193B1 (ko) * 2001-09-22 2005-03-08 권영미 사이버 농장 운영방법
KR20030027463A (ko) * 2001-09-28 2003-04-07 오성민 인터넷을 통하여 실시간 화상정보 및 품질보증이 제공되는농수산물의 매매방법
KR20030043530A (ko) * 2001-11-28 2003-06-02 이영희 인터넷 경매시스템
KR20030097515A (ko) * 2002-06-21 2003-12-31 정연희 인터넷을 이용한 가축 위탁 관리시스템
KR100692627B1 (ko) * 2003-10-25 2007-03-13 여찬기 농산물 전자상거래 시스템과 그 이용방법
KR100748941B1 (ko) * 2006-08-21 2007-08-17 김유정 구매약정정보처리장치
KR100817279B1 (ko) * 2006-08-21 2008-04-01 김유정 구매약정 정보처리 시스템
WO2015166437A1 (en) * 2014-04-30 2015-11-05 Le R&D Holdings Pty Ltd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transforming and sharing pre-sale, real-time and post-sale livestock market data
KR101692039B1 (ko) * 2016-07-06 2017-01-17 진정식 맞춤농산물 매매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WO2018008971A1 (ko) * 2016-07-06 2018-01-11 진정식 맞춤농산물 매매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101954398B1 (ko) * 2017-10-30 2019-03-05 김진 축산품 구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21575A (ko) * 2019-04-16 2020-10-26 김진 축산물 공동구매 중개 플랫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축산물 주문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2921B1 (ko) 2003-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2921B1 (ko) 인터넷을 이용한 농축산물의 현물/선물 매매방법
US8635149B2 (en) System and method for online trading using an electronic spreadsheet
US73632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negotiating and providing quotes for freight and insurance in real time
US20030050901A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ng price discovery for cash trade in tangible commodities
US20020016762A1 (en) Method and system for foreign exchange price procurement and automated hedging
US20100299222A1 (en) Online purchasing method
US11694282B2 (en) Computer implemented blockchain-based system for agricultural products
US7272579B1 (en) Auction based procurement system
CN104584040A (zh) 交易管理系统和交易管理程序
KR20000030107A (ko) 주문자 선택형 인터넷 상거래 시스템
KR102334336B1 (ko) 온라인 공유판매 플랫폼 및 그 운영 방법
Premkumar Perspectives of the e-marketplace by multiple stakeholders
US20020128944A1 (en) Public hub employing a trusted agent to facilitate the exchange of commodities
KR20010093942A (ko) 통합 공급 경로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73934A (ko) 원자재 오픈마켓 서비스 제공방법
KR20090109361A (ko) 애완동물용 온라인 쇼핑몰 운용방법
KR20230086168A (ko) 수산물 유통 플랫폼의 거래명세서 생성시스템 및 생성방법
KR20050019594A (ko) 인터넷을 통한 도소매 시스템의 통합관리시스템 및통합관리방법
US200201436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supply and demand in a structured environment
KR20200029273A (ko) 전자 상거래방법
US7877311B1 (en)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transactions at an electronic exchange
KR20010096001A (ko) 인터넷을 이용한 재고상품의 관리 및 매매방법
KR100353279B1 (ko) 웹 서버에서 실행 가능한 전자 상거래 방법
JP3665726B2 (ja) 仲介者システム
KR20030027463A (ko) 인터넷을 통하여 실시간 화상정보 및 품질보증이 제공되는농수산물의 매매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