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2627B1 - 농산물 전자상거래 시스템과 그 이용방법 - Google Patents

농산물 전자상거래 시스템과 그 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2627B1
KR100692627B1 KR1020030074935A KR20030074935A KR100692627B1 KR 100692627 B1 KR100692627 B1 KR 100692627B1 KR 1020030074935 A KR1020030074935 A KR 1020030074935A KR 20030074935 A KR20030074935 A KR 20030074935A KR 100692627 B1 KR100692627 B1 KR 100692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ricultural
producer
data
agricultural product
qua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4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9466A (ko
Inventor
여찬기
윤재학
Original Assignee
여찬기
윤재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찬기, 윤재학 filed Critical 여찬기
Priority to KR1020030074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2627B1/ko
Publication of KR20050039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9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2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262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산자와 소비자사이의 농산물 거래를 체결시키는 농산물 전자상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생산자의 농산물의 생산현장에 설치된 실시간 측정 장치를 통하여 기상 및 재배상의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소비자에게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 입출력 모듈; 상기 데이터 입출력 모듈을 통하여 받은 상기 기상 및 재배상의 데이터를 가공하여 상기 소비자가 알 수 있는 품질평가기준의 수치로 계수화하는 데이터 변환 모듈; 상기 데이터 변환모듈에 의하여 변환된 품질평가기준의 수치와 농산물 DB로부터 농산물 정보를 인터넷의 웹상에서 보고 상기 소비자가 주문을 요청하면, 상기 생산자에게 생산출하 계획을 통보하는 주문 및 배송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품질확인을 통한 농산물 전자상거래 시스템과 이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생산현장에서부터 매장이나 가정까지 품질을 그대로 유지하고 생산과정과 품질을 실시간 공개하므로써 농산물의 안정성과 품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를 얻고, 더 나아가 매장에 적정재고량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생산자에게는 생산량 예측에 의한 수급조절이 가능한 농산물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전자상거래, 농산물, 품질, 생중계, 재고량, 출하조정, 실시간 품질 확인

Description

농산물 전자상거래 시스템과 그 이용방법 {Electronic business deal systems with verifying qualities of agriculture products at the real time and methods thereof }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스템의 중앙서버와 네트워크의 연결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앙서버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실행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전자상거래 실행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전자상거래 실행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전자상거래 실행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0: 네트워크 210, 220, 230: 생산자
310, 320:소비자 350, 360: 매장
400: 중앙서버 410: 인터페이스
460: 회원DB 470: 농산물DB
본 발명은 농산물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생산자의 농산물의 생산현장에 설치된 실시간 측정 장치를 통하여 기상 및 재배상의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기상 및 재배상의 데이터를 가공하여 상기 소비자가 알 수 있는 품질평가기준의 수치로 계수화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이러한 품질평가기준의 수치와 농산물 DB로부터 농산물정보를 인터넷의 웹상에서 보고 상기 소비자가 주문을 요청하면, 상기 생산자에게 생산출하 계획을 통보하여 주문 및 배송이 이루어지는 실시간 품질확인을 통한 농산물 전자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정보 기술의 발달 및 컴퓨터 보급률의 증가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컴퓨터를 통한 통신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정보의 검색이나, 증권, 상품의 주문 등 생활의 여러 부분에서 편리하게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시대에 맞추어 전자상거래 관련 발명도 2000년 출원붐이 조성된 이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주로 인터넷 쇼핑몰 등을 통한 전자상거래가 크게 활성화되면서, 이 분야의 발명이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농산물의 경우, 재배준비로부터 재배 및 수확과정이 약 반년이상이 소요되므로, 장기간 보관이 가능한 품목을 제외하고는 일반 공산품과는 달리 인터넷상으로 상거래가 이루어지는데 한계가 있다. 특히, 농산물의 재배나 수확과정을 확인할 수 없는 현실적인 제약 때문에 농산물에 대한 품질의 신뢰도는 단지 판매자의 인지도나 신뢰도에 따라, 최근에는 농산물에 부착된 상표에 따라 소비자는 선택하여 주문할 수밖에 없는 제약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초기의 농산물 전자상거래의 발명은 품목과 가격만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 거래를 성사시키는 시스템 및 방법에 한정되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318633호(2001. 12.28 공고)에는 상기의 발명이 농수산물과 같이 품질이 여러 가지이거나 매매일자가 미래인 경우에는 손쉽게 적용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다양한 품질이나 매매일자, 가격과 신용상태 등을 거래의 조건으로 하고, 사자주문 또는 팔자주문을 하는 경우, 기 누적된 주문을 검색하여 가장 유사한 주문자와 연결하는 시스템과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2001-96357호에는 농촌과 어촌의 생산자들의 정보를 관리하는 농협, 축협, 수협에서 각 생산물들의 종류, 원산지 및 무게에 대한 정보와 함께, 희망 판매가와 생산량 및 출하일자 등의 정보를 입력시켜, 이들 입력 정보를 DB화하여 저장하고, 도시의 대형시장, 도소매장 등 에서는 필요로 하는 농, 축, 수산물의 정보와 필요한 일자 등의 정보를 입력시키도록 하여 산지의 생산량에 따라 적절한 주문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필요한 시간과 가격에 직접 거래할 수 있도록 한 인터넷 망을 이용한 농, 축, 수산물 직거래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공개특허공보 제2000-64036호에서는 사전계약에 의하여 생산자와 소비자가 선택한 농산물의 재배가 이루어지고 수확 후에 소비자에게 농산물을 직접 전달할 수 있도록 인터넷상에서 농산물의 거래 관리가 이루어지는 농산물의 전자 상거래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2002-12796호에는 농산물 전자상거래를 위한 전자문서변환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는 서버에서 출하단체로부터 생산자의 농산물 출하예고 정보를 입력받아 유통업체에게 제공하고, 유통업체가 출하 요청한 정보를 생산자에게 전달하여 생산자가 출하 요청된 농산물을 출하하도록 함으로써 적정물량이 신속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농산물 전자상거래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선행 발명의 전자상거래 시스템 또는 방법에서는 일부 주문조건으로 품질요소를 고려하도록 하고 있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은 사후 관리형태인 품질인증제도에 근거를 두고 있을 뿐이다. 또한 다른 전자상거래 시스템 또는 방법에서는 품질요소보다는 적정가격과 출하시기 등을 주문조건으로 하고 있을 뿐이다.
현재의 농산물 품질인증제도는 농산물 품질관리원과 같은 공공기관에서 정해진 일정규격의 방법으로 친환경, 무농약, 저농약, 유기농 등의 인증을 받게되는데 현행의 워크아웃(Workout)제도는 문제발생시 사후 관리방법이 명확하지 않아 소비자에게 품질에 대한 신뢰를 주지 못하고 있다. 왜냐하면, 이러한 워크아웃 제도는 무작위로 선발된 시료에 대해 조사하여 부적격 판정이 나면 사후적으로 인증을 취소하고 농산물의 품질 유지에 관련한 책임 및 사고 발생 책임을 농민 당사자에게 두며 법적인 농약 기준치에 대해서만 강제 규제하는 제도이기 때문이다.
또한 이에 대한 보완책으로 트레이서빌리티 등을 도입하여 농산물 생산 이력을 표시하거나, 농민이나 지방자치단체등(경기도의 G마크)을 품질인증의 보조적으로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사후적인 인증 보조 수단에 머무르는 형편이다.
좀더 본질적인 문제에서 보면, 우리 농산물의 경우 농약 등 한정된 부분에 법 규제가 국한되어 있으나 현재 맹독성 농약은 이미 사용되지 않고 있으며, 저독성 농약과 목초액 등 자연 물질에 의한 병충해 방제를 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저독성 농약의 경우 출하 2주전까지만 뿌리지 않으면 잔류 농약이 발생치 않을 뿐더러 사고로 남아있다 하더라도 침투가 되는 것이 아니고 외부 잔류이므로 세척과 데치기 과정을 거치는 동안 대부분 희석되어 제거되므로 법에 의한 농약 규제의 실익이 적다 할 것이다.
또한, 우리 나라를 비롯한 세계 여러 나라들에서는 음용수(飮用水)의 경우, 질산이온 농도를 50 ppm 이하로 규제하고 있으나, 농산물, 특히 엽채류에 대해서는 이러한 규제를 실시하고 있지 않다. 그러나 채소는 그 재배방법 여하에 따라 채소 중의 질산이온 함량은 수 천 ppm인 경우가 허다하기 때문에, OECD 회원국 중 상당수는 이미 국민의 채소 섭식량(攝食量)을 고려하여 계절별로 채소 중의 질산이온 함량을 규제하고 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유럽 사람들에 비해 채소를 더 먹는 경향이기 때문에 채소 중의 질산이온 함량의 규제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상황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품질인증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생 산자의 농산물의 생산현장에 설치된 실시간 측정 장치를 통하여 기상 및 재배상의 데이터를 입력받고 이를 가공하여 상기 소비자가 알 수 있는 품질평가기준의 수치로 계수화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하여 주문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 실시간 품질확인을 통한 농산물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생산현장에서부터 매장이나 가정까지 품질을 그대로 유지하고 생산과정을 실시간 공개하여 매장에 적정재고량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생산자에게는 품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 획득과 생산량 예측에 의한 수급조절이 가능한 농산물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생산자와 소비자사이의 농산물 거래를 체결시키는 농산물 전자상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생산자의 농산물의 생산현장에 설치된 실시간 측정 장치를 통하여 기상 및 재배상의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소비자에게 데이터를 제공하는 데이터 입출력 모듈; 상기 데이터 입출력 모듈을 통하여 받은 상기 기상 및 재배상의 데이터를 가공하여 상기 소비자가 알 수 있는 품질평가기준의 수치로 계수화하는 데이터 변환 모듈; 상기 데이터 변환모듈에 의하여 변환된 품질평가기준의 수치와 농산물 DB로부터 농산물 정보를 인터넷의 웹상에서 보고 상기 소비자가 주문을 요청하면, 상기 생산자에게 생산출하 계획을 통보하는 주문 및 배송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품질확인을 통한 농산물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전자상거래 시스템은 상기 출하 계획을 통보받은 생산자 가 거래를 승인하는 경우, 상기 생산자에게 농산물의 배송을 지시하면서, 상기 소비자에게 결재를 요청하는 결재모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상거래 시스템은 상기 생산자가 거래를 승인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가격 정보를 상기 회원 정보DB에 추가시키는 가격 정보 누적모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상요건은 광합성에 영향을 주는 이산화탄소량, 광량, 습도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고, 상기 재배상의 데이터는 최적의 작물생산을 위한 환경조건을 유지하기 위한 이온 성분량, EC(전기전도도)와 pH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계수화된 품질평가기준의 수치는 영양적요소로서 유용탄수화물, 비타민C에서 선택되고 부정적요소로서 질산이온과 중금속에서 선택되며, 미감요소로서는 당과 산도에서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다.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의 전자상거래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상기 재배상 및 기상 데이터가 누적된 농산물DB와 회원DB의 데이터를 통하여 생산자별로 재배환경에 따른 품질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재배환경과 품질의 상관관계 분석모듈; 및 상기 분석모듈에 의하여 얻어진 데이터에 의하여 상기 농산물의 생산량을 예측하여 상기 생산자에게 알려주는 생산량 예측모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의 전자상거래 시스템은 농산물 매장에 설치된 출력장치를 통하여 상기 소비자에게 농산물 생산 현장을 실시간으로 생중계하는 생장 현장 생중계 모듈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양태의 전자상거 래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 변환단계이후에, 상기 농산물의 이력, 품질, 가격 등을 인식시키기 위하여 농산물에 바코드를 부여하는 단계를 추가한 후 상기 생산자가 농산물 출하시에 바코드가 생성된 농산물을 상기 매장에 배송하면, 상기 매장에서 농산물의 바코드를 스캔할 경우 바코드의 정보를 통하여 해당 농산물의 생산 이력정보, 농가정보, 품질관리 수준정보, 가격 등이 중앙서버에 저장되었다가 스캐너의 접속에 의한 콜에 의해 매장내 모니터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의 전자상거래 시스템은 상기 생산자로부터 입력된 생산 현황정보와 상기 매장으로부터 입력된 판매시간에 따른 적정재고량을 상기 농산물 DB에 축적하고, 상기 축적 데이터로부터 매출속도에 따른 재고량 추이를 분석하는 적정재고량 분석모듈과, 상기 재고량에 따라 상기 생산자에게 농산물의 배송을 요청하는 수확출하조정모듈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생산자와 소비자사이의 농산물 거래를 체결시키는 농산물 전자상거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생산자의 농산물의 생산현장에 설치된 실시간 측정 장치를 통하여 기상 및 재배상의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받은 기상 및 재배상의 데이터를 가공하여 상기 소비자가 알 수 있는 품질평가기준의 수치로 계수화하는 데이터 변환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데이터를 상기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변환된 품질평가기준의 수치와 농산물 DB로부터 농산물정보를 인터넷의 웹상에서 보고 상기 소비자가 주문을 요청하면, 상기 생산자에게 생산출하 계획을 통보하는 주문 및 배송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품질확인을 통한 농산물 전자상거래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전자상거래 방법은 상기 출하 계획을 통보받은 생산자가 거래를 승인하는 경우, 상기 생산자에게 농산물의 배송을 지시하면서, 상기 소비자에게 결재를 요청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상거래 방법은 상기 생산자가 거래를 승인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가격 정보를 상기 회원 정보DB에 추가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상거래 방법의 상기 재배상 및 기상 데이터, 그리고 상기 계수화된 품질평가기준의 수치는 상술한 전자상거래시스템과 같이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의 전자상거래 방법은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상기 재배상 및 기상 데이터가 누적된 농산물DB와 회원DB의 데이터를 통하여 생산자별로 재배환경에 따른 재배환경과 품질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단계를, 상기 데이터 변환단계 이후에, 추가로 포함하여, 얻어진 분석 데이터로부터 생산량을 예측하여 생산자에게 알려주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의 전자상거래 방법은 상기 데이터 변환단계이후에, 농산물 매장에 설치된 출력장치를 통하여 상기 소비자에게 농산물 생산 현장을 실시간으로 생중계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 변환단계이후에, 상기 농산물의 이력, 품질, 가격 등을 인식시키기 위하여 농산물에 바코드를 부여하는 단계를 추가한 후 상기 생산자가 농산물 출하시에 바코드가 생성된 농산물을 상기 매장에 배송하면, 상기 매장에서 농산물의 바코드를 스캔할 경우 바코드의 정보를 통하여 해당 농산물의 생산 이력정보, 농가정보, 품질관리 수준정보, 가격 등이 중앙서버에 저장되었다가 스캐너의 접속에 의한 콜에 의해 매장내 모니터에 표시되는 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이 때 생산 이력 정보 중에서, 생육기간 중 모니터링하던 농작물의 실제 품질에 대한 파괴 및 비파괴검사의 내용은 검사 후 완벽한 데이타가 나올때까지는 어느 정도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검사도 포장 직전에 실시해야 그 이후 밀폐 포장을 통해 이차오염을 막을 수 있어 검사결과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포장시에 부착되어야할 농산물의 이력 정보는 인쇄될 바코드에 다 인쇄하지 못하고 생육기간 중 얻어진 품질일부만이 표시가능하고, 품질데이타의 정확한 계수는 시간이 경과하여 얻어진다. 따라서 포장시의 검사결과를 서버에 저장하고 인터넷으로 확인 가능한 시스템으로 준비하였다가 매장에서 상기제품에 대한 스캔이 이루어질 경우 바코드내장 데이타는 즉시 표시하고 나머지는 매장에서 인터넷에 접속하여 서버상의 상세한 데이타를 읽어들여 표시하여 소비자에게 완전한 데이타를 제공하므로써 품질확인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 할 것이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의 전자상거래 방법은 상기 데이터 변환단계이후에, 상기 농산물에 부여된 바코드를 농산물 DB에 축적하는 단계를 추가한 후, 상기 생산자로부터 입력된 생산 현황정보와 상기 매장으로부터 입력된 판매시간에 따른 적정재고량을 상기 농산물 DB에 축적하고, 상기 축적 데이터로부터 매출속도에 따른 재고량 추이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재고량에 따라 상기 생산자에게 농산물의 배송을 요청하는 수확출하조정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전자상거래 시스템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 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전자상거래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1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스템은 인터넷, 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는 네트워크(100)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중앙서버(400), 다수의 생산자(200) 및 다수의 소비자 또는 다수의 매장(300)를 포함한다. 생산자(200)는 네트워크(100)를 통하여 중앙서버(400) 또는 소비자 또는 매장(300)에 접속하여 전자상거래와 관련된 정보를 주고 받을 할 수 있는 장치이며,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단말기, 컴퓨터, 인터넷 접속 가능한 TV 등의 다양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상기 중앙서버를 좀 더 자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중앙서버(400)은, 네트워크(100)를 통하여 여러 가지 기능을 제공하는 모듈(410), 네트워크(100)를 통하여 중앙서버(400)로 또는 중앙서버(400)로 부터 데이터의 입출력을 용이하게 하는 인터페이스 서버(440), 사용자 별로 로그인을 위한 아이디 및 패스워드, 전자 메일 주소, 연락처 등의 생산자, 소비자 및 매장의 회원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460) 및 농산물 데이터베이스(470)가 포함된다.
상기 회원 데이터베이스(460)와 농산물 데이터베이스(470)에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전자상거래 등을 수행하는 모듈(410)은, 데이터입출력모듈(411), 데이터변환모듈(412), 회원 등록/인증 모듈(413), 주문 및 배송 모듈(414), 결재모듈(415), 가격정보누적모듈(416), 재배환경과 품질 상관분석모듈(417), 생산량 예측모듈(418), 생산현장 생중계모듈(419), 농산물 바코드 관리모듈(421), 적정 재고량 분석모듈(422), 수확 출하조정모듈(423)을 포함한다.
데이터입출력모듈(411)은 기상 및 재배상의 데이터를 농산물의 생산현장에 설치된 원격계측 장치(미도시됨)를 통하여 생산자들(210, 220, 230)의 단말기로부터 수집한 후, 이들 데이터를 후술하는 데이터변환모듈(412)에 의해 변환한 후 소비자들(310, 320)이나 매장들(350, 360)의 단말기로 출력시키는 모듈이다.
상술한 재배상의 데이터는 농산물의 토양재배와 수경재배를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표현으로서 사용된 것이며, 수경재배 시설에서는 작물 생육에 필요한 환경요소로서 시설내외 온도, 근권 온도, 습도, 일사량 등이 있으므로 이들 수치를 측정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작물에 영양소를 공급하는 양액 성분으로는 급액량, 배액량, 급액EC, 배액EC, 급액pH, 배액pH이 있다. 이들 데이터는 각 항목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각각 설치하여 1분 단위로 계측하고 계측치를 바로 중앙서버(400)로 전송되거나 자체 메모리에 저장한 다음 전송하고 영양 성분들은 주기적 양액을 분석하여 위의 계측된 실시간 성분의 보조적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반면에 토양재배 시설에서는 작물 생육에 필요한 환경요소로 수경재배와 동일하게 시설내외 온도, 근권 온도, 습도, 일사량을 측정하고 수경재배의 양액 대신 토양의 성분을 측정한다. 측정하는 성분은 토양EC, 토양pH이며, 이 경우도 수경재배와 같이 각 항목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각각 설치하여 계측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영양성분은 주기적으로 IC(Ion Chromatograph)로 분석하여 분석된 그 수치를 실시간 계측치로 이용한다.
수경재배의 경우에는 기상 및 수경재배지의 조건들이 급속하게 변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미도시된 센서를 통해 1분 단위로 계측할 수 있으나, 토양재배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조건이 몇시간 단위로는 큰 변화가 없기 때문에, 하루단위로 또는 특정 기간단위로 계측하여 중앙서버(400)의 농산물 DB(470)에 데이터베이스화하면 충분할 것이다.
위와 같은 계측이 필요한 작물 재배에 생산자가 많은 경우는 각 생산자마다 계측 장비의 고유번호를 두고 각각의 시설내의 계측 장비 내의 메모리에 저장된 측정치를 계측장비의 고유번호와 함께 중앙서버(400)에 인터넷으로 실시간으로 전송되어, 계측 시간별로 작물 생육환경과 양액 및 재배상의 성분을 농산물DB(470)내에 데이터베이스화한다.
생산자(210, 220, 230)와 시스템의 중앙서버(400)간에 실시간적으로 데이터 전송이 안 될 경우(네트워크 연결 끊김 등)는 생산현장에 있는 계측 장비의 메모리에 계측 시간별 측정치를 저장하고 있다가 네트워크가 재연결 되었을 때 중앙서버(400)의 전송 누락 데이터 요구에 따라 네트워크 차단시에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모든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중앙서버(400)에 전송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미도시된 원격계측장비는 센서와 메인보드가 있는 본체로 구성되는데, 메인보드는 디스플레이보드, A-D변환기, 전화통보보드, 랜카드, 램(RAM), EEPROM 등으로 구성된다. 센서를 통하여 측정된 재배환경치와 이온측정치는 인터넷을 통해 실시간으로 중앙서버로 송부하여 농산물 DB(470)에 누적될 것이다.
데이터변환모듈(412)은 본 발명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데이터입출력모듈(411), 재배환경과 품질상관 분석모듈(417), 생산현장 중계모듈(419), 농산물 바코드 관리모듈(421), 적정재고량 관리모듈(422) 등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변환모듈(412)은 상기 데이터입출력 모듈(411)에 의하여 농산물의 재배시부터 수확하기까지 계속적으로 측정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된 재배환경치와 이온측정치를, 영양소와 이온성분간의 상관관계식을 이용하여 소비자들이 알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시킨다.
영양소와 이온성분간의 상관관계식과 관련하여, 농경지 토양중 유효인산, 치환성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의 성분함량은 대체로 한 작물재배기간 동안에 그 함량이 크게 변동하지 않는다. 그러나 토양중의 질산이온(식물체내의 질산이온과 구별하기 위하여 토양중의 질산이온을 질산태질소라도 하지만, 여기서는 구별 없이 사용하기로 한다)의 함량은 작물이나 잡초에 의한 흡수와 토층을 통한 물의 이동에 따라 민감하게 변한다.
밭에서 자라는 농산물은 뿌리 주변에 있는 질산이온을 우선 흡수하여 체내에 저장하였다가 작물이 성장함에 따라 저장된 질산이온을 이용하기 때문에 농산물 중의 질산이온은 토양의 질산이온과 정비례관계가 있으며(2003년 5월 한국토양비료학회 포스터발표자료 참조), 나머지 기상조건과 재배상의 조건에도 특정관계가 있게 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 토양재배를 하는 농산물 중의 질산이온은 다음과 같 은 상관관계식으로 표현한 다음, 특정 생산 조건에 맞는 관계식으로 구체화한 후 생산지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이러한 상관관계식을 이용하여 변환된다.
[관계식]
A = f(x, y, z, p)
(여기서, A는 농산물의 질산이온 농도이고, x는 토양중의 질산이온이며, y는 토양의 pH이고, z는 토양의 전기전도도이며, p는 기상중의 일사량이다)
일반적으로, 엽채류의 식용부위에 대한 질산이온의 함량은 토양의 질산이온함량과 비례하며, 토양의 pH가 낮을수록 질산이온은 높아지므로 반비례관계가 있고, 토양의 전기전도도가 높을수록 질산이온 함량이 높아지기 때문에 비례관계를 갖게 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질산이온의 함량은 고광도일 경우 감소하기 때문에 일사량과는 반비례관계가 있게 될 것이다. 만일, 생산농가에 따라 일조시간, 근권온도 등도 엽채류의 식용부위에 대한 질산이온의 함량에 영향을 미치면 이들 변수도 고려하여 각 생산 조건별 상관관계식을 결정한다.
또한, 실제 수확된 농산물은 분석기를 통해 농산물 출하 직전에 NIR등을 이용하여 분석하며, 파괴(Sample조사), 비파괴(전수조사)를 통해 질산이온, 유용탄수화물, 비타민C, 당도, 산도, 중금속 등을 실제 분석하여 DB화한다.
상기와 같은 특정된 상관관계식을 이용하여 생산지에서 측정된 계측치 데이터를 변환한다. 즉 생산지에서 측정된 토양 중의 질산이온량, 토양의 pH, 토양의 전기전도도, 기상의 일사량을 상기의 상관관계식을 이용하여 농산물의 질산이온 농도로 변환한다.
초기의 각 생산자별 상관관계식이 없으면, 알려진 상관관계식을 이용하여 변환시키지만, 실제 수확된 농산물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차이가 있으면, 새로운 상관관계식을 설정하면 될 것이다.
또한 데이터 변환 모듈은 상기 상관관계식과 실제 분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농산물, 특히 엽채류에 함유된 성분중 질산이온, 유용탄수화물, 비타민C 등의 데이터로 얻을 수 있으며, 이를 기본 파악요소로 하여 각종 농산물의 영양소에 대한 계수화표시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기능성 기준치를 제시하게 된다. 즉 소비자가 해석 가능한 의미 있는 수치로 데이터를 변환시키며 이를 농산물DB(470)에 데이터베이스화한다.
회원 등록/인증 모듈(413)은 다수의 생산자와 소비자 또는 매장들의 회원 등록 및 인증을 처리하는 모듈이며, 본 발명의 전자상거래 시스템을 위해서 회원정보 DB에는 생산자들(210, 220, 230)의 코드, 성명, 주소,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저장하거나 미리 저장하고, 소비자들 또는 매장들의 정보도 동일한 형태로 저장한다.
주문 및 배송 모듈(414)은 소비자들(310, 320) 또는 매장들(350, 360)이 데이터 변환 모듈(412)에 의하여 계수화된 품질 데이터 등을 데이터입출력모듈(411)에 의한 단말기를 통해 보고 농산물을 주문할 경우, 생산자들에게 이를 통보하고 생산자들이 주문가격이 적정한가여부를 판단하여 적정하다고 판단하면 소비자들에게 배송을 지시하고, 적정하지 않으면 가격 정보누적모듈(416)에 해당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결재모듈(415)은 상기 주문 및 배송 모듈(414)에 연결되어, 소비자들에게 농산물을 배송을 할 경우, 소비자별로 결제한 금액, 결제일, 결제여부, 결제 수단 등의 정보를 처리하는 모듈이다.
가격정보 누적모듈(416)은 상기 주문 및 배송 모듈(414)에 연결되어, 생산자들이 주문가격이 적정하지 않다고 판단할 경우, 소비자들의 가격정보를 나중에 확인하여 생산자에게 정보제공을 위하여 가격정보를 누적시키는 모듈이다.
재배환경과 품질 상관분석모듈(417)은 생산현장에 원격 계측장비를 설치하여 재배환경을 원격계측하고, 데이터조사를 통해 주기적으로 재배품질 및 농산물의 수확량을 조사하여 농산물의 재배환경과 품질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이들 분석자료를 중앙서버(400)의 농산물DB(470)에 DB화하는 모듈이다.
재배환경과 품질 상관관계는 농업전문가와 통계전문가에 의해서 재배환경이 농산물의 품질이나 수확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여 얻은 자료를 이용하면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 가능한 이들의 상관관계는 통계적 기법을 활용한 시계열 분석방법을 통해 농가별 재배환경 데이터와 농산물의 품질 및 수확량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회귀분석을 통한 최종적인 농산물 생산량 예측모델이면 될 것이다.
통계적기법을 활용한 농산물의 생산량 예측모듈(418)은 후술하는 수확출하 조정모듈(423)에 활용할 수 있으며, 생산농가에 수확 또는 출하시기를 알려주는 컨설팅 서비스에 이용될 수 있다.
생산량 예측모듈(418)은 상술한 재배환경과 품질 상관분석모듈(417)에서 설 명한 바와 같이, 농가별 재배환경 데이터와 농산물의 품질 및 수확량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회귀분석을 통한 최종적인 농산물 생산량 예측모델을 구축하는 기능을 한다.
생산현장 생중계모듈(419)은 농산물의 생산현장의 계측장비로부터 측정되어 시시각각 전달되는 영상을 매장(350, 360)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소비자(310, 320)에게 바로바로 보여주는 외에도, 수확시기가 지난 농산물의 재배부터 수확시기의 전 과정의 영상을 저장하여 두었다가, 필요시에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시키는 기능을 할 수도 있다. 생산현장의 영상 등은 매장이나 소비자가 이미 입력되어 있는 농산물 종류의 선택에 따라 출력될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농산물 바코드 관리모듈(421)과 연관되어 소비자들 또는 매장 주인이 바코드 스캔할 경우 출력될 수도 있다.
농산물 바코드 관리모듈(421)은 주로 후술하는 적정재고량 분석모듈(422)와 관련되어 이용되지만, 상술한 생산현장 생중계모듈(419)과 연관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관리모듈(421)은 시중에서 사용하는 물품의 바코드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으로, 해당농산물의 바코드를 스캔할 경우, 일반적인 내용인 가격뿐만 아니라 그 농산물의 이력(履歷)까지 출력되도록 하여, 해당 농산물의 재배환경, 재배로부터 수확까지의 과정, 및 품질데이터를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출력되게 하는 모듈이다. 일반적으로 생산자(210, 220, 230)는 농산물 출하 시 농산물에 바코드를 부여하게 된다. 소비자(310, 320)가 매장(350, 360)에서 원하는 농산물을 바코드 스캔을 하면, 스캔된 바코드의 정보는 중앙서버의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TCP/IP)을 통 하여 접속하고, 해당 농산물의 생산현황정보(이력정보)를 매장에 설치된 출력장치인 모니터 등을 통하여 고객에게 디스플레이되어 제공된다. 소비자는 생산현황정보(이력정보)를 접하고, 농산물에 대하여 주문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적정 재고량 분석모듈(422)은 후술하는 수확 출하 조정모듈(423)과 연관되어 매장의 재고관리 비용을 줄이는 동시에, 농산물을 적시에 수확, 출하하여 생산자로 하여금 고가의 판매가격을 받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모듈이다.
매장에 대한 초기 재고량 추이데이터가 없으면, 시장초기 적정재고설정을 통한 적정재고를 매장에 설정하며, 재고 추이데이터가 있을 때에는 출하 농산물을 설정한다. 매장에서 재고 4-5일정도 지난 농산물에 대해서는 전량 수거하고 새로운 농산물을 채워 넣는다.
수확 출하조정모듈(423)은 적정 재고량 분석모듈(422)과 연관되면서, 매장의 적정재고를 유지하기 위해 생산자에게 농산물의 출하시기를 지시하는 모듈이다. 이러한 모듈(423)을 통하여 생산자는 농산물 출하시 사용자측 도구를 이용하여 중앙서버에 TCP/IP를 통하여 접속하고 사용자 확인을 거친 후 생산자에게 물량 신청이 있는지 확인하고, 해당 물량 신청이 있으면, 생산량 예측모듈(418)을 통한 생산량을 결정하여 출하하고, 출하시 생산현황정보(이력정보)가 수동 입력을 통하여 등록되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처리 모듈의 각 구성 요소들이 중앙서버(400) 내에서 동작되도록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 독립적인 서버로서 구현되어 해당 기능을 처리할 수도 있으며, 데이터베이스도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분류 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실행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상거래 시스템에서 상거래과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과정은 소비자와 생산자가 농산물중에서 엽채류의 상거래를 독립적으로 실행하는 경우의 일 실시예로서, 이들은 전자상거래 시스템에 접속하여 미도시된 회원 인증 과정을 거치거나, 안 거치고 바로 실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생산자의 생산현장에 설치된 미도시된 원격 계측장비를 통하여 엽채류 생육에 필요한 환경요소로서 수경재배지의 질산이온 함량을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미도시된 센서를 통해 1분 단위로 계측하고 계측치를 중앙서버(400)의 데이터 입출력모듈(411)과 농산물 DB(470)에 저장한다(A10).
본 발명의 데이터변환모듈(412)은 수경재배지의 질산이온데이터 등으로부터 특정한 상관관계식에 의하여 엽채류에 함유된 질산이온의 데이터로 변환한 다음(A20), 변환데이터를 네트워크(100)를 통하여 중앙서버(400)에 접속한 다수의 소비자(310, 320)의 출력장치에 제공한다(A30).
소비자(310)는 미도시된 출력장치를 통하여 제공한 농산물의 품질정보와 가격정보 등을 보고 엽채류를 주문 신청한다(A40).
이어서, 생산자(210)는 네트워크(100)를 통하여 본 발명의 중앙서버(400)에 접속되는 미도시된 출력장치를 통하여 소비자의 주문신청을 확인한 다음, 적당하다고 생각되면 소비자(310)에게 엽채류를 배송하면서 결재수단을 확인하여 거래를 성사시키고, 적당하지 않다고 생각되면 소비자의 가격정보를 중앙서버(400)내의 농산물DB에 누적되도록 한다(A50, A60, A70, A80).
[실시예 2]
도4에 도시된 본 실시예는 실시예 1의 데이터 수집 과정과 수집된 데이터 변환과정은 유사하나(B10, B20), 이들 데이터를 근거로 재배환경과 품질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엽채류의 수확여부를 판단하고, 생산자에게 엽채류의 예측 생산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점에서 상이하다.
우선, 실시예 1에서 같이 생산현장에서 재배환경을 원격계측할 수 있는 장비를 설치하여 재배환경을 원격계측하여 측정된 재배상의 질산이온량을 수집(B10)하고, 이들 데이터로부터 엽채류의 질산이온로 변환한다(B20).
한편, 여기서는 중앙서버(400)의 농산물 DB에 축적된 데이터를 이용하는데, 재배환경이 농산물의 품질이나 수확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는 농업전문가와 통계전문가에 의해서 분석한 상관관계식을 이용하여 재배환경과 품질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B30).
이어서, 상기에서 분석된 엽채류의 질산이온의 수치가 미국과 일본, 유럽기준인 3000ppm이하이어서 소비자들에게 허용될 수 있는 수치이면 농산물의 수확을 위해, 농산물의 예측생산량의 정보를 생산자에게 제공하고, 수치를 벗어나면 농산물의 수확을 보류한다(B40, B50).
이후의 과정은 실시예 1의 과정과 동일하므로 상기에서 기술된 과정을 반복한다.
[실시예 3]
도5에 도시된 본 실시예는 실시예 1의 데이터 수집 과정과 수집된 데이터 변환과정은 유사하나(C10, C20), 이들 데이터를 근거로 농산물에 식별표시로서 바코드를 부여하고, 매장에 생산현장을 실시간으로 중계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단계를 추가하는 점에서 상이하다.
우선, 실시예 1에서 같이 생산현장에서 재배환경을 원격계측할 수 있는 장비를 설치하여 재배환경을 원격계측하여 측정된 재배상의 질산이온량을 수집(C10)하고, 이들 데이터로부터 엽채류의 질산이온로 변환한다(C20).
이어서, 생산자는 농산물 출하시 농산물에 따라 부여되는 바코드를 포장지에 부여하고 네트워크(100)를 통하여 중앙서버내의 농산물DB에 축적시킨다(C30).
네트워크(100)를 통하여 중앙서버(400)와 연결된 매장(350)에 설치된 출력장치를 통하여 엽채류의 생산 현장을 실시간으로 중계하고(C40), 매장의 주인이나 소비자가 원하는 농산물을 바코드 스캔을 하면, 스캔된 바코드의 정보는 중앙서버내의 TCP/IP을 통하여 접속하고, 해당 농산물의 생산현황정보(이력정보)를 매장에 설치된 17"인치 모니터를 통하여 고객에게 디스플레이된다(C50).
소비자는 엽채류의 생산현황정보(이력정보)를 접하고, 상기에서 분석된 엽채류의 질산이온의 수치를 보고, 이력정보와 미국, 유럽과 일본등지의 기준인 3000ppm이하이면 엽채류의 주문을 행한다(C60).
이후의 과정은 실시예 1의 과정과 동일하므로 상기에서 기술된 과정을 반복한다.
[실시예 4]
도6에 도시된 본 실시예는 실시예 3의 데이터 수집 과정과 수집된 데이터 변환과정은 유사하나(D10, D20), 이들 데이터를 근거로 매출속도에 따른 재고량 추이를 분석하여 농산물 주문에 이어서 적정재고량으로 판단되면 생산자의 판단에 따라 거래가 이루어지고, 적정재고량으로 판단되지 않으면 생산자에게 수확출하조정을 요청하는 단계를 추가하는 점에서 상이하다.
우선, 실시예 3에서 같이 생산현장에서 재배환경을 원격계측할 수 있는 장비를 설치하여 재배환경을 원격계측하여 측정된 재배상의 질산이온량을 수집(D10)하고, 이들 데이터로부터 엽채류의 질산이온로 변환시킨다(D20). 생산자는 농산물 출하시 농산물에 따라 부여되는 바코드를 포장지에 부여하고 이들 정보를 네트워크(100)를 통하여 중앙서버내의 농산물DB에 축적시킨다(D25).
매장에서 농산물을 판매할 경우, 매장재고를 실시간으로 중앙서버(400)로 TCP/IP를 통하여 등록되어 매출속도에 따른 적정 재고량인지 분석되는데, 초기에는 기존 매장관리용 POS 시스템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분석된다(D30). 적정 재고량으로 판단되지 않으면(D35), 분석된 데이터(수확량 및 배송시기 분석데이터)를 생산자에게 TCP/IP를 통하여 전송하면서 수확 출하조정요청을 하면(D40), 생산자는 농산물의 출하시기를 늦춘다. 만일 적정 재고량으로 판단되면(D35), 소비자에게 엽채류의 변환데이터를 제공하고(D45), 소비자가 엽채류를 주문하면(D50) 생산자는 분 석데이터에 따라 생산에 따른 작업을 진행한다.
이후의 과정은 실시예 3의 과정과 동일하므로 상기에서 기술된 과정을 반복한다.
비록, 본 발명이 가장 실제적이며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 및 등가물들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시스템이 구축되면 생산농가는 인터넷을 통해 농산물의 재배환경에 대해 실시간으로 계측되어지는 데이터를 조회하고, 그래프출력을 통해 일일 변화량이 조회되어 최적의 재배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생산농가는 농업전문가에 의해 작물별 컨설팅정보 DB 정보가 구축됨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실시간 컨설팅 정보 조회 및 종합적인 컨설팅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게 된다. 소비자는 매장과 인터넷을 통한 실시간 품질 확인을 통해 생산지 감시 및 생산 현장의 정보를 제공받고 자신의 필요한 농산물의 구입에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하여, 눈으로만 확인하고 맛으로 구별하는 농산물의 품질을 계수화시켜 확인할 수있는 시스템을 통해 소비자에게 정확한 품질 판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전자 상거래를 통한 직거래 활성화를 할 수 있다.
또한, 브랜드 보탈(Brand Vortal; 이는 특정 사용자 집단에 전문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포털 사이트를 말하는 것으로 Vortal은 vertical portal의 약어임)을 통해 소비자로 하여금 작물 안정성과 기능적 효용에 대한 의식을 고조시켜 소비자 중 심의 농산물 생산 시장을 형성하여 수입 농산물에 대한 차별화와 고부가가치 생산 체계로 전환을 촉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의 시스템으로 재배된 작물이 소비가정에서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가 형성되면, 상기의 시스템으로 재배된 농산물들은 아울렛과 동일한 가격으로 2-3일에 한번씩 공급되어 신선한 농산물이 저렴한 가격에 가정에서 사용될 수 있게 되어 소비만족을 극대화 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실시간 품질 확인을 통한 전자상거래시스템을 개발한 후, 이를 오프라인인 무균밀폐 포장 시스템(Modified Almosphere Packing)과 신속한 배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현재의 개봉된 포장지를 사용하는 농산물이 받을 수 있는 2차 오염 가능성을 없애고, 청정 농산물로써의 이미지를 높일 수도 있을 것이다.
이 뿐 아니라 이 기술이 활용되면 농장에서 질소비료(유기질 또는 무기질 비료 포함)의 과다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농가의 생산비 절감에 따른 농가 경영 개선 효과와 농장으로부터 인근 수계에 질소가 방출되어 수질을 악화시키는 문제를 근원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는 부수적인 효과도 있을 것 이다.

Claims (18)

  1. 생산자와 소비자사이의 농산물 거래를 체결시키는 농산물 전자상거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생산자의 농산물의 생산현장에 설치된 측정 장치를 통하여 온도, 일사량 및 습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기상 데이터 및 상기 생산자의 농산물에 공급되는 영양액의 EC, pH, 토양의 EC, pH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재배상 데이터를 입력받고 소비자 단말기에게 자료를 제공하는 데이터 입출력 모듈;
    상기 데이터 입출력 모듈을 통하여 받은 상기 기상 데이터와 상기 재배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생산자의 농산물의 영양소를 표시하는 품질평가기준의 수치를 산출하는 데이터 변환 모듈; 및
    상기 데이터 변환모듈에 의하여 산출된 품질평가기준의 수치와 제품 DB에 저장된 제품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생산자의 농산물에 대한 주문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생산자 단말기에게 생산출하 계획을 전송하는 주문 및 배송 모듈을 포함하는 실시간 품질확인을 통한 농산물 전자상거래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하 계획을 통보받은 생산자가 거래를 승인하는 경우, 상기 생산자에게 농산물의 배송을 지시하면서, 상기 소비자에게 결재를 요청하는 결재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품질확인을 통한 농산물 전자상거래 시 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자가 거래를 승인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가격 정보를 상기 회원 정보DB에 추가시키는 가격 정보 누적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품질확인을 통한 농산물 전자상거래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농산물 매장에 설치된 출력장치를 통하여 상기 소비자에게 농산물 생산 현장을 실시간으로 생중계하는 생장 현장 생중계 모듈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품질확인을 통한 농산물 전자상거래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농산물의 이력, 품질, 가격을 인식시키기 위한 농산물 바코드 관리모듈을 추가로 포함시켜 상기 생산자는 농산물 출하시에 바코드가 생성된 농산물을 상기 매장에 배송하면, 상기 매장에서 농산물의 바코드를 스캔할 경우 바코드의 정보를 통하여 해당농산물의 생산 이력정보, 농가정보, 품질관리 수준정보, 가격이 중앙서버에 저장되었다가 스캐너의 접속에 의한 콜에 의해 매장내 모니터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품질확인을 통한 농산물 전자상거래 시스템.
  9. 삭제
  10. 농산물 전자상거래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생산자와 소비자사이의 농산물 거래를 체결시키는 농산물 전자상거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생산자의 농산물의 생산현장에 설치된 실시간 측정 장치를 통하여 온도, 일사량 및 습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기상 데이터 및 상기 생산자의 농산물에 공급되는 영양액의 EC, pH, 토양의 EC, pH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재배상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데이터 입출력 모듈을 통하여 받은 상기 기상 데이터와 상기 재배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생산자의 농산물의 영양소를 표시하는 품질평가기준의 수치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변환모듈에 의하여 산출된 품질평가기준의 수치와 제품 DB에 저장된 제품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소비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생산자의 농산물에 대한 주문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생산자 단말기에게 생산출하 계획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실시간 품질확인을 통한 농산물 전자상거래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출하 계획을 통보받은 생산자가 거래를 승인하는 경우, 상기 생산자에게 농산물의 배송을 지시하면서, 상기 소비자에게 결재를 요청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품질확인을 통한 농산물 전자상거래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생산자가 거래를 승인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가격 정보를 상기 회원 정보DB에 추가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품질확인을 통한 농산물 전자상거래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환단계이후에, 농산물 매장에 설치된 출력장치를 통하여 상기 소비자에게 농산물 생산 현장을 실시간으로 생중계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품질확인을 통한 농산물 전자상거래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환단계이후에, 상기 농산물의 이력, 품질, 가격을 인식시키기 위하여 농산물에 바코드를 부여하는 단계를 추가한 후 상기 생산자가 농산물 출하시에 바코드가 생성된 농산물을 상기 매장에 배송하면, 상기 매장에서 농산물의 바코드를 스캔할 경우 바코드의 정보를 통하여 해당 농산물의 생산 이력정보, 농가정보, 품질관리 수준정보, 가격이 중앙서버에 저장되었다가 스캐너의 접속에 의한 콜에 의해 매장내 모니터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품질확인을 통한 농산물 전자상거래 방법.
  18. 삭제
KR1020030074935A 2003-10-25 2003-10-25 농산물 전자상거래 시스템과 그 이용방법 KR100692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4935A KR100692627B1 (ko) 2003-10-25 2003-10-25 농산물 전자상거래 시스템과 그 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4935A KR100692627B1 (ko) 2003-10-25 2003-10-25 농산물 전자상거래 시스템과 그 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9466A KR20050039466A (ko) 2005-04-29
KR100692627B1 true KR100692627B1 (ko) 2007-03-13

Family

ID=37241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4935A KR100692627B1 (ko) 2003-10-25 2003-10-25 농산물 전자상거래 시스템과 그 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26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452B1 (ko) 2019-09-06 2020-06-08 임주환 농작물 수급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046B1 (ko) * 2005-11-25 2007-05-02 김지만 인터넷을 이용한 지리 기반의 농산물이력 관리시스템 및 그방법
KR101358898B1 (ko) * 2012-10-15 2014-02-11 곽나경 환경 적합도에 따라 플레이 결과가 차별되는 사이버 농장 게임 방법 및 시스템
KR101357730B1 (ko) * 2013-05-23 2014-02-05 윤성진 영농일기기반 실시간 농작물재배정보 공유시스템
KR101692039B1 (ko) * 2016-07-06 2017-01-17 진정식 맞춤농산물 매매 관리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시스템
KR102188774B1 (ko) * 2019-11-22 2020-12-09 (주)아페스 재배 이력을 추적할 수 있는 스마트팜 운영 시스템
CN113592597A (zh) * 2021-08-02 2021-11-02 上海寻梦信息技术有限公司 信息显示方法、装置、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15099826A (zh) * 2021-11-15 2022-09-23 阿坝师范学院 一种基于大数据的农产品溯源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050A (ko) * 2000-04-06 2000-07-05 주진호 인터넷을 이용한 농축산물 매매방법
KR20030027463A (ko) * 2001-09-28 2003-04-07 오성민 인터넷을 통하여 실시간 화상정보 및 품질보증이 제공되는농수산물의 매매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050A (ko) * 2000-04-06 2000-07-05 주진호 인터넷을 이용한 농축산물 매매방법
KR20030027463A (ko) * 2001-09-28 2003-04-07 오성민 인터넷을 통하여 실시간 화상정보 및 품질보증이 제공되는농수산물의 매매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00037050 *
1020030027463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0452B1 (ko) 2019-09-06 2020-06-08 임주환 농작물 수급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9466A (ko) 2005-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18607A1 (en) System and method of confirming standard compliance for at least one agricultural product
US202102097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d Operating an Agricultural-Origin-Product Manufacturing Supply Chain
US8938218B2 (en) Mobile based advisory system and a method thereof
CN109146130A (zh) 农产品定制化种植与全程溯源平台及方法
JP2006252105A (ja) 農産物生産情報管理システム
Ahn et al. Predicting future forestland area: a comparison of econometric approaches
CN107665449A (zh) 一种基于互联网的联动农产品供需双方的方法和系统
CN113379396A (zh) 一种智慧农业园区管理平台
KR100692627B1 (ko) 농산물 전자상거래 시스템과 그 이용방법
KR20180003791A (ko) 식물공장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60063487A (ko) 농산물 및 그 가공식품의 안전성을 보증하는 안전농산물생산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13665B1 (ko) 블록체인 기반 농산물 이력추적 관리 시스템
KR101985302B1 (ko) 농산물 선주문 생산 플랫폼 시스템
US202203095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d Operating an Agricultural-Origin-Product Manufacturing Supply Chain
Hughes Estimating irrigation farm production functions using ABARES irrigation survey data
Hopper et al. Alfalfa hay quality and alternative pricing systems
Oger et al. Geotraceability: an innovative concept to enhance conventional traceability in the agri-food chain.
Whelan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of PA in Australia
Young et al. Representing weather‐year variation in whole‐farm optimisation models: Four‐stage single‐sequence vs eight‐stage multi‐sequence
Exposito et al. Efficient traceability solutions in the wine production by RFID and WSN
Vashist Agricultural market information through technology
EP4102429A1 (en) Integrated agro-industrial digital process
Sebők et al. Inventory of long and short term future needs of food chain users for future func-tions of internet
Anshuman et al. An exploratory field study of select AgTech start-ups
Ishag Risk analysis of investments in-milk collection cen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