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7730B1 - 영농일기기반 실시간 농작물재배정보 공유시스템 - Google Patents

영농일기기반 실시간 농작물재배정보 공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7730B1
KR101357730B1 KR1020130058601A KR20130058601A KR101357730B1 KR 101357730 B1 KR101357730 B1 KR 101357730B1 KR 1020130058601 A KR1020130058601 A KR 1020130058601A KR 20130058601 A KR20130058601 A KR 20130058601A KR 101357730 B1 KR101357730 B1 KR 101357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armer
production
farming
crop culti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8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진
Original Assignee
윤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성진 filed Critical 윤성진
Priority to KR1020130058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77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7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7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농일기기반 실시간 농작물 재배정보 공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생산농부가 농작물 재배현장에서 스마트폰 단말기에 설치된 실시간 농작물 재배정보 공유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농작물 재배정보를 등록하면 자동으로 생성되는 애플리케이션과 웹플랫폼에 등록되는 것은 물론, 생산농부 SNS채널(네이버블로그,다음블로그,카카오스토리,카카오톡,페이스북,트위터,미투데이)에 동시등록 및 공유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생산농부가 운영하거나 입점중인 외부플랫폼(쇼핑몰,홈페이지 등)과 연동시 상품상세보기 페이지내에서 생산농부의 농작물 재배정보가 실시간으로 자동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영농일기기반 실시간 농작물 재배정보 공유시스템을 통해서 생산농부는 농작물 재배현장에서 효율적으로 농작물 재배정보를 등록관리할 수 있고, 소비자는 농작물의 재배 전 과정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농일기기반 실시간 농작물재배정보 공유시스템{real-time information sharing system for growing farm products based farming diary}
본 발명은 생산농부가 농작물 재배현장에서 스마트폰 단말기에 설치된 실시간 농작물 재배정보 공유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 농작물 재배정보를 등록하면 자동으로 생성되는 애플리케이션과 웹플랫폼에 등록되는 것은 물론, SNS채널(네이버블로그,다음블로그,카카오스토리,카카오톡,페이스북,트위터,미투데이)에 동시등록 및 공유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외부플랫폼(쇼핑몰,홈페이지 등)과 연동시 상품상세보기 페이지내에서 농작물 재배정보가 실시간으로 자동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하는 영농일기기반 실시간 농작물 재배정보 공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과 스마트폰 단말기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농업환경에도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많은 생산농부들이 쇼핑몰, 홈페이지, 블로그, 카페, SNS 등을 통해서 농작물 재배정보를 소비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생산농부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농작물 재배현장에서 보내고 있기 때문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여러 곳의 인터넷매체에 농작물 재배정보를 등록 관리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쇼핑몰, 홈페이지 등에서 제공하고 있는 농작물 재배정보는 상품상세보기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대부분이 자동업데이트가 불가능한 고정된 디자인페이지인 경우가 많다.
따라서 농작물 재배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디자인 편집과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작업인력, 소요시간 등의 번거로움이 수반된다. 이렇다 보니 대부분의 농작물 재배정보가 형식적이기 쉽고, 소비자로 하여금 상품구매의지와 관심을 이끌어내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생산농부가 농작물 재배현장에서 스마트폰 단말기에 설치된 실시간 농작물 재배정보 공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영농일기기반 농작물 재배정보를 등록하면 자동으로 애플리케이션과 웹플랫폼에 등록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생산농부가 등록한 영농일기기반 농작물 재배정보를 SNS채널(네이버블로그,다음블로그,카카오스토리,카카오톡,페이스북,트위터,미투데이)에 동시등록 및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생산농부가 등록한 영농일기기반 농작물 재배정보가 생산농부가 운영하거나 입점한 외부플랫폼(쇼핑몰,홈페이지 등)과도 연동되어 자동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농일기기반 실시간 농작물 재배정보 공유시스템은, 영농일기기반 실시간 농작물 재배정보 공유시스템은 생산농부의 스마트폰 단말기(300) 또는 소비자의 스마트폰 단말기(300')에 설치되는 영농일기기반 실시간 농작물 재배정보 공유 애플리케이션(100)과, 웹서버(200)로 이루어지며,
영농일기기반 실시간 농작물 재배정보 공유 애플리케이션(100)은, 농작물을 재배하는 생산농부에 대한 정보와 영농일기를 포함하는 농작물에 대한 재배정보를 등록받아 저장하고, 등록된 생산농부에 대한 정보를 웹서버(200)에 제공하는 생산농부 등록모듈(102)과; 생산농부로부터 농작물에 대한 영농일기를 등록할 수 있도록 관리하며, 등록된 영농일기는 웹서버(200)로 제공하는 영농일기 관리모듈(104)과; 생산농부로부터 재배하는 농작물의 예상 출하일정에 대한 정보를 등록할 수 있도록 관리하며, 등록된 출하일정을 웹서버(200)로 제공하는 출하일정 관리모듈(106)과; 웹서버(200)와 통신하면서 생산농부들이 등록한 농작물 재배정보를 디스플레이시키는 재배정보 표시모듈(108)과; 생산농부가 등록하는 영농일기 등의 각종 농작물 재배정보를 제공하는 SNS채널 연동정보를 등록받는 SNS채널 관리모듈(110)과; 생산농부가 농작물 재배정보를 등록하면 애플리케이션(100)이 설치된 생산농부 스마트폰 단말기(300) 또는 소비자 스마트폰 단말기(300')와 생산농부 등록시 입력했던 농작물 재배현장의 주소지를 웹서버(200)로부터 호출하고 스마트폰 단말기의 GPS 신호와 통신하여 농작물 재배현장과 스마트폰 단말기까지의 거리를 자동으로 산정하고 생산농부에 대한 농작물 재배정보와 함께 표시하는 푸드마일 표시모듈(112)과; 외부에 등록된 블로그 포스팅을 파싱하여 생산농부의 애플리케이션 및 웹플랫폼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외부블로그 관리모듈(114)과; '로컬푸드 꾸러미' 메뉴를 제공하며, 클릭시 웹서버(200)에 등록된 로컬푸드 꾸러미에 대한 정보를 호출하면 생산농부 스마트폰 단말기(300) 또는 소비자 스마트폰 단말기(300')에 표시되도록 관리하는 로컬푸드 꾸러미 표시모듈(120);을 포함하고,
웹서버(200)는, 영농일기기반 실시간 농작물 재배정보 공유 애플리케이션(100)를 통해 등록되는 생산농부에 대한 정보 및 생산농부가 등록한 농작물의 재배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고 관리하는 생산농부 재배정보 관리모듈(202)과; 생산농부의 스마트폰 단말기(300) 또는 소비자의 스마트폰 단말기(300')와 통신하면서 생산농부로부터 제공받은 농작물의 재배정보를 애플리케이션(100)에서 표시되도록 제공하는 농작물 재배정보 제공모듈(204)과; 생산농부 스마트폰 단말기(300)를 통해 등록된 각종 정보를 등록된 생산농부의 ID로 구분되는 웹플랫폼으로 자동생성하여 제공하는 웹플랫폼 생성모듈(206)과; 생산농부에 의해 작성된 영농일기기반 농작물 재배정보를 생산농부가 운영하거나 입점한 외부플랫폼(쇼핑몰,홈페이지 등)의 상품상세보기 페이지내에서 연동되어 보여질 수 있도록 관리하는 외부플랫폼 연동모듈(208)과; 일정 지역의 생산농부들로부터 제공받은 다양한 판매 농작물에 대한 종류와 발송일자에 대한 정보 및 생산농부에 대한 정보를 꾸러미로 생성하여 저장하고, 애플리케이션(100)에서 표시하는 로컬푸드 꾸러미 관리모듈(214);을 포함하며,
외부플랫폼 연동모듈(208)은 생산농부가 농작물 재배현장에서 생산농부 스마트폰 단말기(300)를 통해 영농일기기반 농작물 재배정보를 애플리케이션(100)에 등록하면 이를 웹서버(200)에 저장하고, 웹서버(200)가 별도로 제공하는 설정페이지를 통해 생산농부가 운영하거나 입점한 외부플랫폼 (쇼핑몰,홈페이지 등) 상품상세보기 페이지내에서 최적화되도록 가공되는 프레임의 크기, 재배작물의 종류, 표시되는 영농일기의 개수, 함께 표시되는 이미지의 크기 등에 대한 정보를 생산농부가 설정할 수 있도록 제공하며, 생산농부가 설정을 완료하면 영농일기기반 농작물 재배정보가 담긴 스크립트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하게 되고, 스크립트 코드를 복사하여 외부플랫폼(쇼핑몰, 홈페이지 등)의 상품상세보기 페이지내의 스크립트 코드와 연동하면 영농일기기반 농작물 재배정보가 실시간으로 자동업데이트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바람직하게, 실시간 농작물 재배정보 공유 애플리케이션(100)은 실시간 농작물 재배정보 공유 애플리케이션(100)에서 제공하는 '관심농부' 메뉴를 통해, 소비자 스마트폰 단말기(300')에 디스플레이되는 생산농부 중에서 관심있는 생산농부를 선택하여 관심농부로 저장하는 관심농부 등록모듈(116)과; 실시간 농작물 재배정보 애플리케이션(100)에서 제공하는 '추천농부' 메뉴를 통해 웹서버(200)에 등록된 추천농부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관리하는 추천농부 표시모듈(118)과; 사용자가 카테고리별로 농작물 재배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등록된 농작물 재배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농작물 카테고리 관리모듈(122)과; 생산농부가 재배하는 농작물을 구매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재배작물 구매모듈(1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등록되는 생산농부의 정보는 생산농부의 성명, 이메일, 연락처와 함께 농장이름, 농장주소, 재배작물, 농장소개 및 농장사진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영농일기 관리모듈(104)은 영농일기를 등록받는 영농일기 등록페이지와, 등록된 영농일기를 표시하는 영농일기 관리페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영농일기 등록페이지에는 재배작물을 선택할 수 있는 재배작물 카테고리, 영농일기를 작성하고 사진 등을 첨부하여 등록받는 영농일기 작성폼, 등록일의 온도/습도/날씨/비고 정보 등을 작성할 수 있는 부가정보폼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영농일기 관리모듈(104)은 등록된 영농일기를 웹서버(200)에 저장하고 생산농부가 웹서버(200)에 영농일기정보 호출시 엑셀파일로 자동저장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바람직하게, 웹서버(200)는, 소비자 스마트폰 단말기(300')에서 생산농부 또는 꾸러미에서 판매되는 농작물을 구매하면 구매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고 구매정보를 생산농부에게 제공하는 구매정보 관리모듈(210)과; 등록받은 생산농부에 대한 정보중에서 친환경인증 및 생산농부에 대한 평가를 종합하여 추천농부를 생성하며, 애플리케이션(100)에 추천농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추천농부 관리모듈(212)과; 일정 지역의 생산농부들로부터 제공받은 다양한 판매농작물에 대한 정보를 꾸러미로 생성하여 저장하고, 애플리케이션(100)에서 제공하는 로컬푸드 꾸러미 관리모듈(21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웹플랫폼에 사용되는 주소URL은 등록된 생산농부의 ID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영농일기기반 실시간 농작물 재배정보 공유시스템은 생산농부 입장에서 스마트폰 단말기를 통해 농작물 재배현장에서 해당 농작물의 재배정보를 애플리케이션 및 웹플랫폼에 등록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최대 7개의 SNS채널에 동시등록 및 공유할 수 있고 등록된 SNS채널에서 생산농부 전용 웹플랫폼으로 방문할 수 있는 링크URL을 제공하기 때문에 농작물 재배정보의 공유와 확산에 효과적이다 할 수 있다.
또한 쇼핑몰과 홈페이지같은 외부플랫폼에도 농작물 재배정보 스크립트 코드를 연동할 수 있어 실시간으로 농작물 재배정보를 자동업데이트 할 수 있다. 다시말해서 기존의 정형화되어있는 농작물 상품상세보기 페이지가 농작물 재배현장에서 생산농부 스마트폰 단말기를 통해 영농일기기반 농작물 재배정보를 등록하면 쇼핑몰이나 홈페이지와 같은 외부플랫폼에서 실시간으로 자동업데이트되는 혁신적인 상품상세보기 서비스가 가능하다.
또한 친환경 농작물 인증시 필요한 농작물재배 영농일기가 생산농부 스마트폰 단말기를 통해 웹서버에 자동으로 저장분류 되어 생산농부가 웹서버에 저장된 농작물 재배정보 호출시 엑셀파일로 다운 받을 수 있다. 이때 엑셀파일에 첨부되는 영농일기기반 농작물 재배정보는 텍스트, 이미지, 온도,습도, 날씨, 비고정보 등을 포함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 소비자의 입장에서는 생산농부가 제공하는 영농일기기반 농작물 재배정보를 스마트폰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어 편리하고, 농작물이 어디서, 어떻게 재배되고 출하됐는지 알 수 있기 때문에 해당 농작물에 대한 구매결정을 내리는데 있어서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농일기기반 실시간 농작물 재배정보 공유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영농일기기반 실시간 농작물 재배정보 공유 애플리케이션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웹서버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생산농부 등록 예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영농일기기반 농작물 재배정보 등록폼과 등록된 영농일기기반 농작물 재배정보가 표시되는 관리자페이지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출하일정 관리페이지의 예시도.
도 7a 및 도 7b 본 발명에 따른 SNS채널 연동을 위한 등록페이지와 SNS채널로 동시등록 및 공유시 표시되는 결과페이지의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농작물 재배현장과 스마트폰 단말기까지의 거리가 표시되는 푸드마일의 예시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블로그의 포스팅 URL을 등록하는 포스팅 등록페이지와 등록된 외부블로그 포스팅이 표시되는 블로그 관리페이지의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생산농부가 등록한 농작물 영농일기기반 재배정보를 애플리케이션 및 웹플랫폼으로 표시하는 예시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외부플랫폼(쇼핑몰 및 홈페이지)에 연동될 농작물 재배정보 스크립트 코드 생성 예시도 및 외부플랫폼 상품상세보기 페이지내에서 영농일기기반 실시간 농작물 재배정보가 자동업데이트 표시되는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농일기기반 실시간 농작물 재배정보 공유시스템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영농일기기반 실시간 농작물 재배정보 공유시스템은 생산농부가 사용하는 생산농부 스마트폰 단말기(300), 소비자가 사용하는 소비자 스마트폰 단말기(300')에 실시간 농작물 재배정보 공유 애플리케이션(100)이 설치된 후에 생산농부가 애플리케이션(100)을 통해 영농일지, 출하일정 등의 각종 농작물 재배정보를 등록하면 자동으로 생성된 애플리케이션과 웹플랫폼에 등록되는 것은 물론이고, SNS채널(네이버블로그, 다음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미투데이)에 동시등록 및 공유하는 것을 기본 개념으로 한다. 여기서, 생산농부 스마트폰 단말기(300), 소비자 스마트폰 단말기(300')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 가능한 스마트폰, 테블릿PC,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농일기기반 실시간 농작물 재배정보 공유 애플리케이션(100)은 생산농부가 사용하는 스마트폰 단말기(300) 또는 소비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 단말기(300')에 설치되며, 생산농부 등록모듈(102), 영농일기 관리모듈(104), 출하일정 관리모듈(106), 재배정보 표시모듈(108), SNS채널 관리모듈(110), 푸드마일 표시모듈(112), 외부블로그 관리모듈(114), 관심농부 등록모듈(116), 추천농부 표시모듈(118), 로컬푸드 꾸러미 표시모듈(120), 농작물 카테고리 관리모듈(122), 농작물 구매모듈(124)을 포함한다.
생산농부 등록모듈(102)은 농작물을 재배하는 생산농부에 대한 정보와 영농일기기반 농작물 재배정보를 등록받아 저장하고, 등록된 생산농부에 대한 정보와 농작물 재배정보를 웹서버(200)에 제공한다. 도 4와 같이 생산농부 등록모듈(102)은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후 생산농부에 대한 정보를 등록받는 생산농부 등록페이지를 제공하며, 등록되는 생산농부의 정보는 생산농부의 성명, 이메일, 연락처와 함께 농장이름, 농장주소, 재배작물, 농장소개 및 농장사진 등을 포함한다. 이때, 등록받는 재배작물은 생산농부가 농작물 카테고리별로 선택하여 등록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농일기 관리모듈(104)은 생산농부로부터 재배작물에 대한 영농일기를 등록할 수 있도록 관리하며, 등록된 영농일기는 웹서버(200)로 제공된다. 영농일기 관리모듈(104)은 도 5a와 같이 영농일기를 등록받는 영농일기 등록페이지를 제공하고, 도 5b와 같이 등록된 영농일기를 표시하는 관리페이지를 제공한다. 영농일기 등록페이지에는 재배작물을 선택할 수 있는 카테고리, 영농일기를 작성하고 사진 등을 첨부하여 등록받는 영농일기 등록폼, 온도/습도/날씨/비고정보 등을 등록하는 부가정보 등록폼이 제공된다. 또한, 영농일기 관리페이지에는 등록된 영농일기가 재배 농작물에 따라서 시계열적 배열방식으로 표시된다. 이러한 영농일기 관리모듈(104)에 의해서 생산농부는 농작물 재배현장에서 농작물,온도,습도,날씨,비고 등에 대한 정보를 사진과 함께 등록하여 소비자가 실시간으로 농작물 재배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출하일정 관리모듈(106)은 생산농부가 재배하는 농작물의 예상 출하일정에 대한 정보를 등록할 수 있도록 관리하며, 등록된 출하일정을 웹서버(200)로 제공한다. 이러한 출하일정 관리모듈(106)은 도 6과 같이 출하되는 농작물에 대한 정보를 등록받는 출하일정 관리페이지를 제공한다. 출하일정 관리페이지는 재배 농작물의 출하날짜, 포장 단위, 판매비용 등의 출하형태에 대한 정보를 등록받는다.
재배정보 표시모듈(108)은 웹서버(200)와 통신하면서 생산농부들이 등록한 재배정보를 디스플레이시킨다. 생산농부에 대한 정보로는 기 설명한 생산농부 기본정보, 영농일기, 출하일정 등의 농작물 재배정보를 모두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생산농부들로 부터 등록받은 영농일기기반 농작물 재배정보를 재배작물에 따라 확인할 수 있다.
SNS채널 관리모듈(110)은 생산농부가 등록하는 영농일기기반 농작물 재배정보를 공유하여 제공하는 SNS채널의 연동정보를 등록받는다. SNS채널 관리모듈(110)은 도 7a와 같이 SNS채널 정보를 연동하여 등록할 수 있는 등록페이지를 제공하며, 생산농부가 등록한 농작물 재배정보와 함께 공유할 SNS채널 선택메뉴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도 7a, 7b와 같이, 생산농부가 영농일기기반 농작물 재배정보를 등록하면 기 설정된 네이버블로그, 다음블로그, 카카오스토리, 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워터, 미투데이 등의 SNS채널로 등록된 영농일기기반 농작물 재배정보가 웹플랫폼 URL과 함께 링크되어 제공된다. 또한, 다른 이용자들은 SNS채널로 공유된 영농일기기반 농작물 재배정보와 함께 웹서버(200)에서 제공하는 웹플랫폼의 URL이 링크로 제공되어 클릭시 웹플랫폼을 통해 해당 농작물 재배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푸드마일 표시모듈(112)은 영농일기기반 실시간 농작물 재배정보 공유 애플리케이션(100)을 통해 생산농부의 농작물 재배정보가 등록되면 생산농부 스마트폰 단말기(300)와 소비자 스마트폰 단말기(300')에 농작물 재배현장과 스마트폰 단말기까지의 거리를 스마트폰 단말기의 GPS신호를 통해 산정하고 자동표시한다. 이때, 농작물 재배현장의 위치정보는 애플리케이션(100)에 생산농부 등록시 입력했던 농작물 재배현장주소를 웹서버(200)로부터 호출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푸드마일 표시모듈(112)에 의해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산농부 스마트폰 단말기(300) 또는 소비자 스마트폰 단말기(300')를 통해 영농일기기반 농작물 재배정보와 함께 해당 농작물 재배현장과의 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외부블로그 관리모듈(114)은 외부에 등록된 블로그 포스팅을 파싱하여 생산농부의 애플리케이션 및 웹플랫폼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외부블로그 관리모듈(114)은 도 9a와 같이 파싱되는 외부블로그 포스팅 URL을 등록받는 포스팅 등록페이지와, 도 9b와 같이 등록된 외부블로그 포스팅를 표시하는 외부블로그 표시페이지를 제공한다. 포스팅 등록페이지에는 해당 재배작물 별로 외부블로그 포스팅을정렬할 수 있는 카테고리, 외부블로그 포스팅 URL을 등록받는 포스팅 URL 등록폼이 제공되며, 외부블로그 표시페이지에는 카테고리별로 외부블로그 포스팅이 순차적으로 표시된다. 또한, 외부블로그 표시페이지에는 클릭시 해당 외부블로그 포스팅의 원출처로 이동할 수 있는 링크가 함께 제공된다. 이러한 외부블로그 등록부에 의해서 각각의 외부블로그에 흩어져 있는 생산농부와 관련된 외부블로그 포스팅을 찾아 선택적으로 등록하여 애플리케이션 및 웹플랫폼에서 재정렬시켜 확인할 수 있다.
관심농부 등록모듈(116)은 '관심농부' 메뉴를 제공하며, 생산농부 스마트폰 단말기(300)와 소비자 스마트폰 단말기(300')에 디스플레이되는 생산농부 중에서 관심있는 생산농부를 선택하면 선택된 생산농부를 관심농부로 저장한다. 이에 따라 '관심농부' 메뉴를 통해 생산농부 중에서 관심농부만을 별도로 확인할 수 있다.
추천농부 표시모듈(118)은 '추천농부' 메뉴를 제공하며, 클릭시 웹서버(200)에 등록된 추천농부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관리한다. 이러한 '추천농부' 메뉴는 애플리케이션(100)에 표시되어 소비자가 확인할 수 있다.
로컬푸드 꾸러미 표시모듈(120)은 '로컬푸드 꾸러미' 메뉴를 제공하며, 클릭시 웹서버(200)에 등록된 로컬푸드 꾸러미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도록 관리한다. 이러한 '로컬푸드 꾸러미' 메뉴는 애플리케이션(100)에 표시되어 소비자가 확인할 수 있다.
농작물 카테고리 관리모듈(122)은 사용자가 등록된 농작물 재배정보를 카테고리별로 확인할 수 있도록 등록된 재배작물을 분류하여 애플리케이션(100)에 표시한다.
생산농부 스마트폰 단말기(300) 및 소비자 스마트폰 단말기(300')에서 농작물 카테고리를 선택하면 해당 농작물의 재배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농작물 카테고리 관리모듈(122)은 웹서버(200)와 통신하면서 업데이트된 내용을 제공받을 수 있다.
농작물 구매모듈(124)은 생산농부가 재배하는 농작물을 구매할 수 있도록 관리한다. 소비자가 생산농부의 농작물을 구매하면 구매정보는 웹서버(200)를 거쳐 생산농부 스마트폰 단말기(300)에 제공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웹서버(200)는 생산농부 재배정보 관리모듈(202), 농작물 재배정보 제공모듈(204), 웹플랫폼 생성모듈(206), 외부플랫폼 연동모듈(208), 구매정보 관리모듈(210), 추천농부 관리모듈(212), 로컬푸드 꾸러미 관리모듈(214), 관심농부 관리모듈(216)을 포함한다.
생산농부 재배정보 관리모듈(202)은 실시간 농작물 재배정보 공유 애플리케이션(100)를 통해 등록되는 생산농부에 대한 정보 및 생산농부가 등록한 농작물의 재배정보를 제공받아 생산농부정보DB(221)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등록되는 생산농부의 정보는 생산농부의 성명, 이메일, 연락처와 함께 농장이름, 농장주소, 재배작물, 농장소개 및 농장사진 등을 포함하고, 농작물의 재배정보는 영농일기, 출하일정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농작물 재배정보 제공모듈(204)은 생산농부 스마트폰 단말기(300)를 통해 등록된 영농일기기반 농작물 재배정보를 웹서버(200)에 저장하고 생산농부 스마트폰 단말기(300) 또는 소비자 스마트폰 단말기(300')애플리케이션에서 표시되도록 제공한다.
웹플랫폼 생성모듈(206)은 생산농부 스마트폰 단말기(300)를 통해 등록된 영농일기기반 농작물 재배정보를 웹플랫폼으로 자동생성하여 제공한다. 웹플랫폼에 사용되는 주소URL은 등록된 생산농부의 ID로 분류된다. 이에 따라 생산농부를 통해 등록된 모든 농작물 재배정보는 도 10과 같이 생산농부 스마트폰 단말기(300) 또는 소비자 스마트폰 단말기(3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100)으로 확인하거나 웹플랫폼으로 확인할 수 있다.
외부플랫폼 연동모듈(208)은 생산농부에 의해 등록된 영농일기기반 농작물 재배정보를 생산농부가 운영하거나 입점한 외부플랫폼(쇼핑몰, 홈페이지 등)의 상품 상세보기 페이지내에서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자동업데이트될 수 있도록 관리한다. 외부플랫폼 연동모듈(208)은 생산농부가 농작물 재배현장에서 생산농부 스마트폰 단말기(300)를 통해 영농일기기반 농작물 재배정보를 애플리케이션(100)에 등록하면 이를 웹서버(200)에 저장하고 도 11a에 도시된 바 와같이 웹서버(200)가 별도로 제공하는 설정페이지를 통해 생산농부가 농작물 재배정보를 외부플랫폼(쇼핑몰,홈페이지 등) 상품상세보기 페이지내에서 최적화되도록 가공되는 프레임의 크기, 재배작물의 종류, 표시되는 영농일기의 개수, 함께 표시되는 이미지의 크기 등에 대한 정보를 생산농부가 설정할 수 있도록 제공하며, 생산농부가 설정을 완료하면 영농일기기반 농작물 재배정보가 담긴 스크립트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생산농부가 농작물 재배정보가 담긴 스크립트 코드를 복사하여 외부플랫폼(쇼핑몰, 홈페이지 등)의 상품상세보기 페이지의 스크립트 코드와 연동하면 영농일기기반 농작물 재배정보를 실시간으로 자동업데이트할 수 있다.
구매정보 관리모듈(210)은 소비자 스마트폰 단말기(300')에서 생산농부 또는 꾸러미에서 판매되는 농작물을 구매하면 구매정보를 제공받아 구매DB정보(222)에 저장하고 구매정보를 생산농부 스마트폰 단말기(300)로 제공한다.
추천농부 관리모듈(212)은 등록받은 생산농부에 대한 정보중에서 친환경인증여부 및 생산농부에 대한 평가를 종합하여 재배작물별로 추천농부를 생성하여 추천농부DB(223)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이에 따라 소비자 스마트폰 단말기(300')에서 추천농부메뉴를 선택하면 등록된 추천농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로컬푸드 꾸러미 관리모듈(214)은 일정 지역의 농장들로부터 제공받은 다양한 판매농작물에 대한 정보를 꾸러미로 생성하여 꾸러미DB(224)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꾸러미 관리모듈은 판매되는 농작물에 대한 재배정보, 발송일자에 대한 정보, 농작물을 재배하는 생산농부에 대한 정보, 꾸러미 농작물의 재배현장과 소비자 스마트폰 단말기(300')까지의 거리정보를 자동으로 표시한다. 이러한 로컬푸드 꾸러미 관리모듈(214)에 의해서 소비자는 꾸러미로 판매되는 농작물에 대한 종류와 발송날짜 및 생산농부에 대한 정보를 소비자 스마트폰 단말기(300')를 통해 확인하여 구매할 수 있다.
관심농부 관리모듈(216)은 소비자 스마트폰 단말기(300')에 디스플레이되는 생산농부들 중에서 관심있는 생산농부를 선택하면, 선택된 생산농부의 정보를 관심농부DB(225)에 저장하고 관리한다. 이때 제공받은 생산농부의 정보중에서 생산농부가 재배하는 농작물의 출하일정 정보는 생산농부를 관심농부로 지정한 소비자 스마트폰 단말기(300')에 출하일정 도래시 GCM(Google Cloud Messaging) 또는 SMS의 형태로 농작물 출하일정 정보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영농일기기반 실시간 농작물 재배정보 공유 애플리케이션
102 : 생산농부 등록모듈
104 : 영농일기 관리모듈 106 : 출하일정 관리모듈
108 : 재배정보 표시모듈 110 : SNS채널 관리모듈
112 : 푸드마일 표시모듈 114 : 외부블로그 관리모듈
116 : 관심농부 등록모듈 118 : 추천농부 표시모듈
120 : 로컬푸드 꾸러미 표시모듈 122 : 농작물 카테고리 관리모듈
124 : 농작물 구매모듈 200 : 웹서버
202 : 생산농부 재배정보 관리모듈 204 : 농작물 재배정보 제공모듈
206 : 웹플랫폼 생성모듈 208 : 외부플랫폼 연동모듈
210 : 구매정보 관리모듈 212 : 추천농부 관리모듈
214 : 로컬푸드 꾸러미 관리모듈 216 : 관심농부 관리모듈
221 : 생산농부정보 DB 222 : 구매정보DB
223 : 추천농부DB 224 : 꾸러미DB
225 : 관심농부DB
300 : 생산농부 스마트폰 단말기
300' : 소비자 스마트폰 단말기

Claims (10)

  1. 영농일기기반 실시간 농작물 재배정보 공유시스템은 생산농부의 스마트폰 단말기(300) 또는 소비자의 스마트폰 단말기(300')에 설치되는 영농일기기반 실시간 농작물 재배정보 공유 애플리케이션(100)과, 웹서버(200)로 이루어지며,
    영농일기기반 실시간 농작물 재배정보 공유 애플리케이션(100)은, 농작물을 재배하는 생산농부에 대한 정보와 영농일기를 포함하는 농작물에 대한 재배정보를 등록받아 저장하고, 등록된 생산농부에 대한 정보를 웹서버(200)에 제공하는 생산농부 등록모듈(102)과; 생산농부로부터 농작물에 대한 영농일기를 등록할 수 있도록 관리하며, 등록된 영농일기는 웹서버(200)로 제공하는 영농일기 관리모듈(104)과; 생산농부로부터 재배하는 농작물의 예상 출하일정에 대한 정보를 등록할 수 있도록 관리하며, 등록된 출하일정을 웹서버(200)로 제공하는 출하일정 관리모듈(106)과; 웹서버(200)와 통신하면서 생산농부들이 등록한 농작물 재배정보를 디스플레이시키는 재배정보 표시모듈(108)과; 생산농부가 등록하는 영농일기 등의 각종 농작물 재배정보를 제공하는 SNS채널 연동정보를 등록받는 SNS채널 관리모듈(110)과; 생산농부가 농작물 재배정보를 등록하면 애플리케이션(100)이 설치된 생산농부 스마트폰 단말기(300) 또는 소비자 스마트폰 단말기(300')와 생산농부 등록시 입력했던 농작물 재배현장의 주소지를 웹서버(200)로부터 호출하고 스마트폰 단말기의 GPS 신호와 통신하여 농작물 재배현장과 스마트폰 단말기까지의 거리를 자동으로 산정하고 생산농부에 대한 농작물 재배정보와 함께 표시하는 푸드마일 표시모듈(112)과; 외부에 등록된 블로그 포스팅을 파싱하여 생산농부의 애플리케이션 및 웹플랫폼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외부블로그 관리모듈(114)과; '로컬푸드 꾸러미' 메뉴를 제공하며, 클릭시 웹서버(200)에 등록된 로컬푸드 꾸러미에 대한 정보를 호출하면 생산농부 스마트폰 단말기(300) 또는 소비자 스마트폰 단말기(300')에 표시되도록 관리하는 로컬푸드 꾸러미 표시모듈(120);을 포함하고,
    웹서버(200)는, 영농일기기반 실시간 농작물 재배정보 공유 애플리케이션(100)를 통해 등록되는 생산농부에 대한 정보 및 생산농부가 등록한 농작물의 재배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고 관리하는 생산농부 재배정보 관리모듈(202)과; 생산농부의 스마트폰 단말기(300) 또는 소비자의 스마트폰 단말기(300')와 통신하면서 생산농부로부터 제공받은 농작물의 재배정보를 애플리케이션(100)에서 표시되도록 제공하는 농작물 재배정보 제공모듈(204)과; 생산농부 스마트폰 단말기(300)를 통해 등록된 각종 정보를 등록된 생산농부의 ID로 구분되는 웹플랫폼으로 자동생성하여 제공하는 웹플랫폼 생성모듈(206)과; 생산농부에 의해 작성된 영농일기기반 농작물 재배정보를 생산농부가 운영하거나 입점한 외부플랫폼(쇼핑몰,홈페이지 등)의 상품상세보기 페이지내에서 연동되어 보여질 수 있도록 관리하는 외부플랫폼 연동모듈(208)과; 일정 지역의 생산농부들로부터 제공받은 다양한 판매 농작물에 대한 종류와 발송일자에 대한 정보 및 생산농부에 대한 정보를 꾸러미로 생성하여 저장하고, 애플리케이션(100)에서 표시하는 로컬푸드 꾸러미 관리모듈(214);을 포함하며,
    외부플랫폼 연동모듈(208)은 생산농부가 농작물 재배현장에서 생산농부 스마트폰 단말기(300)를 통해 영농일기기반 농작물 재배정보를 애플리케이션(100)에 등록하면 이를 웹서버(200)에 저장하고, 웹서버(200)가 별도로 제공하는 설정페이지를 통해 생산농부가 운영하거나 입점한 외부플랫폼 (쇼핑몰,홈페이지 등) 상품상세보기 페이지내에서 최적화되도록 가공되는 프레임의 크기, 재배작물의 종류, 표시되는 영농일기의 개수, 함께 표시되는 이미지의 크기 등에 대한 정보를 생산농부가 설정할 수 있도록 제공하며, 생산농부가 설정을 완료하면 영농일기기반 농작물 재배정보가 담긴 스크립트 코드를 자동으로 생성하게 되고, 스크립트 코드를 복사하여 외부플랫폼(쇼핑몰, 홈페이지 등)의 상품상세보기 페이지내의 스크립트 코드와 연동하면 영농일기기반 농작물 재배정보가 실시간으로 자동업데이트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농일기기반 실시간 농작물 재배정보 공유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영농일기기반 실시간 농작물 재배정보 공유 애플리케이션(100)은 '관심농부' 메뉴를 제공하며, 생산농부 스마트폰 단말기(300) 또는 소비자 스마트폰 단말기(300')에 표시되는 생산농부 중에서 관심있는 생산농부를 선택하면 선택된 생산농부를 관심농부로 저장하는 관심농부 등록모듈(116)과; '추천농부' 메뉴를 제공하며, 클릭시 웹서버(200)에 등록된 추천농부에 대한 정보를 호출하면 생산농부 스마트폰 단말기(300) 또는 소비자 스마트폰 단말기(300')에 표시되도록 관리하는 추천농부 표시모듈(118)과; 사용자가 등록된 농작물의 재배정보를 카테고리별로 확인할 수 있도록 등록된 재배작물을 분류하여 생산농부 스마트폰 단말기(300) 또는 소비자 스마트폰 단말기(300')에 표시하는 농작물 카테고리 관리모듈(122)과; 생산농부가 재배하는 농작물을 구매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농작물 구매모듈(124)를 더 포함하고,
    웹서버(200)는, 소비자 스마트폰 단말기(300')에서 생산농부 또는 꾸러미에서 판매되는 농작물을 구매하면 구매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고 구매정보를 생산농부 스마트폰 단말기(300)에 제공하는 구매정보 관리모듈(210)과; 등록받은 생산농부에 대한 정보중에서 친환경 인증여부 및 생산농부에 대한 평가를 종합하여 추천농부를 생성하며, 애플리케이션(100)에 추천농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추천농부 관리모듈(21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농일기기반 실시간 농작물 재배정보 공유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등록되는 생산농부의 정보는 생산농부의 성명, 이메일, 연락처와 함께 농장이름, 농장주소, 재배작물, 농장소개 및 농장사진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농일기기반 실시간 농작물 재배정보 공유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영농일기 관리모듈(104)은 영농일기를 등록받는 영농일기 등록페이지와, 등록된 영농일기를 표시하는 영농일기 관리페이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농일기기반 실시간 농작물 재배정보 공유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영농일기 등록페이지에는 재배작물을 선택할 수 있는 재배작물 선택카테고리, 영농일기를 작성하고 사진 등을 첨부하여 등록받는 영농일기 작성폼, 등록일의 온도/습도/날씨/비고 정보 등을 작성할 수 있는 부가정보폼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농일기기반 실시간 농작물 재배정보 공유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영농일기 관리모듈(104)은 등록된 영농일기를 생산농부가 웹서버(200)와 통신하여 호출시 농작물재배정보, 이미지, 온도,습도, 날씨, 비고정보 등을 엑셀파일로 자동저장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농일기기반 실시간 농작물 재배정보 공유시스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소비자 스마트폰 단말기(300')에 디스플레이되는 생산농부들 중에서 관심있는 생산농부를 선택하면, 선택된 생산농부의 정보를 제공받아 관심농부DB(225)에 저장하고, 생산농부의 정보중에서 생산농부가 재배하는 농작물의 출하일정 정보는 생산농부를 관심농부로 지정한 소비자 스마트폰 단말기(300')에 출하일정 도래시 GCM 또는 SMS의 형태로 농작물 출하일정 정보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농일기기반 실시간 농작물 재배정보 공유시스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웹플랫폼에 사용되는 전용 URL주소는 등록된 생산농부의 ID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농일기기반 실시간 농작물 재배정보 공유시스템.
KR1020130058601A 2013-05-23 2013-05-23 영농일기기반 실시간 농작물재배정보 공유시스템 KR101357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601A KR101357730B1 (ko) 2013-05-23 2013-05-23 영농일기기반 실시간 농작물재배정보 공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601A KR101357730B1 (ko) 2013-05-23 2013-05-23 영농일기기반 실시간 농작물재배정보 공유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7730B1 true KR101357730B1 (ko) 2014-02-05

Family

ID=50269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8601A KR101357730B1 (ko) 2013-05-23 2013-05-23 영농일기기반 실시간 농작물재배정보 공유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77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84695A (zh) * 2018-12-29 2019-05-21 山东丰信农业服务连锁有限公司 一种基于互联网及智能的农业种植信息交互系统
CN112613715A (zh) * 2020-12-16 2021-04-06 重庆电子工程职业学院 中药病害智慧化管理系统
KR102376336B1 (ko) * 2021-08-06 2022-03-18 주식회사 아이원 주말 농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9466A (ko) * 2003-10-25 2005-04-29 여찬기 농산물 전자상거래 시스템과 그 이용방법
KR20090001527A (ko) * 2007-04-23 2009-01-09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농산물 및 그 가공품의 종합관리 시스템
KR20090074884A (ko) * 2008-01-03 2009-07-08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비쿼터스 영농일지 시스템
KR20120073890A (ko) * 2010-12-27 2012-07-05 양용석 개인 웹페이지 또는 소셜 네트워크사이트와 연동하는 쇼핑몰 판매시스템과 판매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9466A (ko) * 2003-10-25 2005-04-29 여찬기 농산물 전자상거래 시스템과 그 이용방법
KR20090001527A (ko) * 2007-04-23 2009-01-09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친환경 농산물 및 그 가공품의 종합관리 시스템
KR20090074884A (ko) * 2008-01-03 2009-07-08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비쿼터스 영농일지 시스템
KR20120073890A (ko) * 2010-12-27 2012-07-05 양용석 개인 웹페이지 또는 소셜 네트워크사이트와 연동하는 쇼핑몰 판매시스템과 판매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84695A (zh) * 2018-12-29 2019-05-21 山东丰信农业服务连锁有限公司 一种基于互联网及智能的农业种植信息交互系统
CN112613715A (zh) * 2020-12-16 2021-04-06 重庆电子工程职业学院 中药病害智慧化管理系统
CN112613715B (zh) * 2020-12-16 2023-09-05 重庆电子工程职业学院 中药病害智慧化管理系统
KR102376336B1 (ko) * 2021-08-06 2022-03-18 주식회사 아이원 주말 농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meswari et al. ICTs for agricultural extension: a study in the Indian Himalayan region
US9495693B2 (en) Targeted marketing based on social media interaction
Kante et al.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ICTs on agricultural input information by farmers in developing countries
JP2009181223A (ja) 情報提供システム
KR20180038221A (ko) 맞춤형 영농알림서비스를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영농지식정보 시스템
US201402367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t identification and cataloging
KR101357730B1 (ko) 영농일기기반 실시간 농작물재배정보 공유시스템
KR102079830B1 (ko) 농업 스토리 기반의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ummer et al. The diversity of organic box schemes in Europe—an exploratory study in four countries
Nicholase-Ere Dissemination of agricultural information to farmers using ICT
Taylor Over the top, connected, programmatic and addressable television! What does it all mean? Definitions and a call for research
KR101674799B1 (ko) 이벤트 스케줄링 스마트 캘린더 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그 기록매체
Kuberappa et al. Comparative assessment of digital and traditional marketing approaches
Deshmukh et al. Transformation of Indian agriculture with digital marketing
US20240119402A1 (en) Distributed Computing System That Practically Applies Networked Computing Technology and Machine-Readable Indicia to Support Traceability of Products from Providers to Clients
Sansa-Otim et al. An assessment of the effectiveness of weather information dissemination among farmers and policy makers
Peter et al. Reliability of the agricultural extension and technological services among rice farmers in the rural areas of Tanzania
Ndwandwe et al. Competitive analyses of the pig industry in Swaziland
Linna et al. Open data based value networks: Finnish examples of public events and agriculture
KR101201777B1 (ko)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통합 육성 시스템 및 방법
AU2016100314A4 (en) Farming notification system
KR20070047005A (ko) 농가코드에 의한 농가 이력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JPWO2007088643A1 (ja) 情報提供システム
Byamukama et al. Mobile telephony as an ICT tool for agricultural information dissemin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A review
KR102066985B1 (ko) 웹매거진을 이용한 보험관리프로그램 연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