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2193B1 - 사이버 농장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사이버 농장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2193B1
KR100472193B1 KR10-2001-0058846A KR20010058846A KR100472193B1 KR 100472193 B1 KR100472193 B1 KR 100472193B1 KR 20010058846 A KR20010058846 A KR 20010058846A KR 100472193 B1 KR100472193 B1 KR 100472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rm
lease
information
tenant
operator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8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5681A (ko
Inventor
권영미
Original Assignee
권영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미 filed Critical 권영미
Priority to KR10-2001-0058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2193B1/ko
Publication of KR200300256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56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2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21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농장 임차인 컴퓨터와 다수의 농장주 컴퓨터가 정보통신망을 통해 운영자 서버에 접속되어 있고 운영자 서버는 경작 DB, 영상물 DB, 작물수확 DB, 재배위탁 DB, 농장임차 DB, 농장임대 DB 를 포함한 사이버 농장 운영방법에 있어서, 운영자 서버가 농장주 컴퓨터로부터 적어도 농장의 소재지, 실소유자, 임대가능 평수, 평당 임대비용, 임대가능 기간, 주요 경작 작물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농장 임대 DB 에 저장하는 농장 임대신청 단계; 상기 운영자 서버가 농장 임차인 컴퓨터로부터 농장 임차 신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농장 임차인 컴퓨터로부터 수확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이버 농장 운영방법{Method for managing cyber farms on the network}
본 발명은 사이버 농장 운영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과수원, 농원 또는 농장 등을 운영하는 자(이하 "농장주"라 한다.)가 자신의 농장 등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임대신청을 하고 도심에 살면서 주말 등 여가시간을 이용하여 소정의 작물을 경작하면서 심리적 안정감을 찾고자 하는 자(이하 "농장 임차인"이라 한다.)는 자신이 원하는 농장 등에 대한 임차신청을 하면 운영자가 조건에 부합하는 농장을 제공하여 농장 임차인 스스로 소정의 작물을 경작하거나 농장주에게 경작을 위탁하고 필요한 경우 영상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사이버 농장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동식물 양육과 관련해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 2000-059170 호 '인터넷을 통한 원격 양육 방법' 이외에 다수가 특허출원된 상태이다.
상기 발명은 자동화된 농장의 카메라와, 물공급밸브와, 사료 또는 모이공급밸브 및, 약품공급밸브 등을 인터넷을 통해 직접 제어하여, 원격 지에서 자신의 계정에 해당하는 살아있는 식물, 어류, 애완동물, 가축들에게 물과 사료 약품 등을 직접 줄 수 있고, 생육상태와 건강상태를 확인하면서 기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터넷을 통한 원격 사육 방법은 인터넷에 연결된 서버상에 구현된 인터넷 농장 사이트에 접속하는 단계와, 자신의 계정과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로그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로그인 후에 회원의 계정에 대응한 생물을 원격 지의 농장에서 설치된 다수의 카메라로 촬영하여 보내주는 단계와, 회원이 상기 인터넷 농장 사이트에서 물과 사료를 클릭할 경우, 농장에 설치된 물공급밸브와 모이공급밸브가 개방되어 적정량의 물과 사료가 회원의 계정에 해당하는 생물들에게 공급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의 '인터넷을 통한 원격 양육 방법' 은 회원들이 현장에서 느낄 수 있는 정서적인 안정감을 얻을 수 없으며, 농장 운영에 있어 자동화가 될 수 없는 많은 부분을 간과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농장 임차인이 요구하는 조건에 부합하는 농장 및 농장주를 중개하고 농장 임차인이 자신이 임차한 농장에서 재배하는 작물을 직접 재배할 수 없는 기간동안 농장주가 위탁재배를 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수의 농장 임차인 컴퓨터와 다수의 농장주 컴퓨터가 정보통신망을 통해 운영자 서버에 접속되어 있고 운영자 서버는 경작 DB, 영상물 DB, 작물수확 DB, 재배위탁 DB, 농장임차 DB, 농장임대 DB 를 포함한 사이버 농장 운영방법에 있어서, 운영자 서버가 농장주 컴퓨터로부터 적어도 농장의 소재지, 실소유자, 임대가능 평수, 평당 임대비용, 임대가능 기간, 주요 경작 작물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농장 임대 DB 에 저장하는 농장 임대신청 단계; 상기 운영자 서버가 농장 임차인 컴퓨터로부터 농장 임차 신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농장 임차인 컴퓨터로부터 수확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농장 임차 신청 단계는,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농장 임차인 컴퓨터로부터 임차할 농장의 소재지, 임차 평수, 평당 임차비용, 임차 기간, 경작 기간 및 경작 작물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농장 임대 DB 에 기저장되어 있는 농장 임대에 관한 데이터 중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농장 임차인 컴퓨터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부합하는 농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상기 운영자 서버가 검색하는 단계;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농장 임차인 컴퓨터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부합하는 농장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농장 임차인 컴퓨터로부터 경작형식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농장 임차인의 경작형식이 자경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운영자 서버의 상기 경작형식이 자경인지 여부의 판단결과, 자경이 아닌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농장 임차인 컴퓨터로부터 경작을 위하여 농장에 방문하는 주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운영자 서버가 농장 임차 DB 에 임차할 농장의 소재지, 임차 평수, 평당 임차비용, 임차기간, 경작기간, 경작 작물에 관한 정보, 경작형식에 관한 정보 및 방문주기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농장 임차인 컴퓨터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부합하는 농장주 컴퓨터로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농장 임차인의 조건 중 임차기간, 경작기간, 경작작물 및 경작형식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운영자 서버의 상기 경작형식이 자경인지 여부의 판단결과, 자경인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운영자 서버가 농장 임차 DB 에 임차할 농장의 소재지, 임차 평수, 평당 임차비용, 임차기간, 경작기간, 경작 작물에 관한 정보, 경작형식에 관한 정보 및 방문주기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로 절차를 이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확정보 수신 단계는,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농장 임차인 컴퓨터로부터 적어도 수확한 작물의 매도 또는 배송 여부, 배송할 경우 수취인이 농장 임차인 본인 또는 상기 농장 임차인이 지정한 타인 여부, 타인인 경우 상기 타인이 수확한 작물을 수취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수확물 처리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농장 임차인이 배송을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운영자 서버의 상기 농장 임차인이 배송을 선택하였는지 여부의 판단결과, 상기 농장 임차인이 배송을 선택한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농장 임차인 컴퓨터로부터 상기 수확물의 수취인이 본인인 경우 본인이라는 정보, 상기 수취인이 본인이 아닌 경우 수취인의 성명, 수취인 주소 등과 같은 수취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운영자 서버가 작물수확 DB 에 상기 수확물의 수취인이 본인인 경우 본인이라는 정보, 상기 수취인이 본인이 아닌 경우 수취인의 성명, 수취인 주소 등과 같은 수취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상기 운영자 서버의 상기 농장 임차인이 배송을 선택하였는지 여부의 판단결과, 상기 농장 임차인이 매도를 선택한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농장 임차인 컴퓨터로부터 매도금액, 매도시기를 포함하는 매도조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매도조건을 상기 작물수확 DB 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다수의 농장 임차인 컴퓨터와 다수의 농장주 컴퓨터가 정보통신망을 통해 운영자 서버에 접속되어 있고 운영자 서버는 경작 DB, 영상물 DB, 작물수확 DB, 재배위탁 DB, 농장임차 DB, 농장임대 DB 를 포함한 사이버 농장 운영방법에 있어서,
운영자 서버가 농장 임차인 컴퓨터로부터 상기 재배위탁일, 급수량, 급수주기 및 기타 작물재배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재배위탁일이 운영자가 기설정한 소정 범위 이후의 기일인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재배위탁 DB 에 상기 재배위탁일, 급수량, 급수주기 및 기타 작물재배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재배위탁일, 급수량, 급수주기 및 기타 작물재배에 필요한 정보를 농장주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보통신시스템의 일예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보통신 시스템은, 본 발명과 관련된 서비스가 온라인 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보통신망(100), 농장 임차에 관한 정보, 재배위탁에 관한 정보, 작물수확에 관한 정보, 경작에 필요한 정보 및 자신이 경작하는 작물의 성장과정에 대한 영상정보 등을 상기 정보통신망을 통해 후술하는 운영자 서버와 송수신하는 농장 임차인 컴퓨터(200), 상기 농장 임차인 컴퓨터로부터 수신한 농장 임차에 관한 정보, 재배위탁에 관한 정보 및 작물수확에 관한 정보 등을 후술하는 농장주 컴퓨터로 전송하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영상정보 제공자(이하 "도우미"라 한다.)의 컴퓨터로부터 상기 정보통신망을 통해 전송된 농장 임차인의 작물의 성장과정에 대한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운영자 서버(300) 및 상기 운영자 서버로 농장임대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농장 임차인 컴퓨터로부터 운영자 서버가 수신한 재배위탁, 작물수확 등에 관한 정보를 상기 운영자 서버로부터 상기 정보통신망을 통해 수신하는 농장주 컴퓨터(400)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통신망(100)은 유선으로 접속할 수 있는 TCP/IP 프로토콜과 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는 WAP 프로토콜 등을 사용한 인터넷망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운영자 서버(300)는 중앙처리장치(310), 데이터 저장장치(320), 램과 롬을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330), 운영체제(340) 및 도면에 표시되지 않은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310)는 대용량의 업무처리, 상호 정보교환시 수많은 수학적 계산을 실행하고 데이타베이스를 조사할 수 있어야만 하는 바, 일반적으로 32비트로 설계된 인텔사의 100MHz P54C, 모토롤라 120MHz 파워PC604 또는 선 마이크로시스템의166MHz 울트라SPARC-1 계열 이상의 중앙처리장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320)에는 회원 DB, 경작 DB, 영상물 DB, 작물수확 DB, 재배위탁 DB, 농장임차 DB, 농장임대 DB 가 포함되며, 일반적으로 오라클사가 제조한 데이타소프트웨어가 상기 DB들을 생성하고 관리하게 위해 사용된다.
상기 회원 DB 는 상기 농장주 또는 농장 임차인의 성명, 주소, 이동전화 번호, 전자우편 주소 등과 같은 기초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경작 DB 는 작물의 경작에 필요한 기초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영상물 DB 는 상기 도우미가 임차농장을 순회하면서 각 농장 임차인의 작물의 상황을 사진 또는 동영상으로 주기적으로 촬영하여 이를 이미지 파일로 변환한 영상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작물수확 DB 는 작물수확 신청창, 수확한 작물의 매도 또는 배송 여부, 배송할 경우 수취인이 농장 임차인 본인 또는 상기 농장 임차인이 지정한 타인 여부, 타인인 경우 상기 타인이 수확한 작물을 수취하는데 필요한 정보 등 수확물 처리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재배위탁 DB 는 재배위탁 신청창, 재배위탁일, 급수량, 급수주기, 기타 작물재배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농장임차 DB 는 조건 입력창, 임차할 농장의 소재지, 임차 평수, 평당 임차비용, 임차기간, 경작기간, 경작 작물에 관한 정보, 경작형식에 관한 정보 및 방문주기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농장임대 DB 는 농장 임대 신청창, 농장의 소재지, 실소유자, 임대가능 평수, 평당 임대비용, 임대가능 기간, 주요 경작 작물에 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320)의 농장 임대 DB 에 상기 농장주의 기초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농장 임차인 컴퓨터(200) 및 농장주 컴퓨터(400)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운영자 서버(300)와 마찬가지로 중앙처리장치, 데이터 저장장치, 메모리 장치, 운영체제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농장 임차인 컴퓨터(200) 및 농장주 컴퓨터(400)는 통신 가능한 컴퓨터 장치로서 웹 내용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인터넷 브라우저를 가지고 있고, 데스크 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개인용 컴퓨터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 통신이 가능한 이동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및 IMT2000 등을 포함한다.
상기 농장 임차인 컴퓨터(200) 및 농장주 컴퓨터(400)는 적어도 Pentium 급 이상의 중앙처리장치, 64Mb 이상의 메모리장치 및 Windows 98 이상의 운영체제 등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농장 임차인 컴퓨터(200) 및 농장주 컴퓨터(400)는 개인용 컴퓨터인 경우로 한정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 2 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농장 운영방법에 대한 전체적인 흐름도이다.
농장주 및 농장 임차인은 자신들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운영자 서버(300)에 접속하여 자신들의 기초정보를 정보통신망(100)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310)는 이를 수신하여 데이터 저장장치(320)의 회원 DB 에 저장함으로써 본 발명과 관련된 운영자 사이트의 회원가입절차를 수행한다(S2).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S2 단계에 의하여 상기 회원 DB에 저장되는 상기 농장주 또는 농장 임차인의 기초정보에는 상기 농장주 또는 농장 임차인의 성명, 주소, 이동전화 번호, 전자우편 주소 등이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농장주는 자신의 컴퓨터(400)를 이용하여 상기 운영자 서버(300)에 상기 정보통신망(100)을 통해 접속하여 임대하고자 하는 농장의 소재지, 임대가능 평수, 임대가능 시기, 주요 경작 작물 등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고, 중앙처리장치(310)는 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320)의 농장임대 DB 에 저장함으로써 농장 임대신청 단계를 수행한다(S4).
농장 임차인은 자신의 컴퓨터(300)를 이용하여 상기 운영자 서버(300)에 상기 정보통신망(100)을 통해 접속하여 자신이 임차하고자 하는 농장의 소재지, 면적, 경작품목, 경작시기, 경작방법 등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310)는 이를 수신하여 상기 조건에 부합하는 임대농장을 상기 농장임대 DB에서 검색한 후 이에 부합되는 농장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320)의 농장임차 DB에 저장하고 농장주 컴퓨터(400)로 전송함으로써 농장 임차 신청 단계를 수행한다(S6).
상기 농장 임차인은 상기 농장주의 농장에 계약내용에 따른 작물을 파종, 재배 등을 자신이 직접 하거나 또는 상기 농장 임차 신청 단계 중 또는 그 후에 후술할 재배위탁을 상기 농장주에게 하여 경작을 하게 된다.
상기 농장 임차인은 경작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는 시기에 자신의 컴퓨터(200)를 이용하여 상기 운영자 서버(300)에 접속한 후, 수확할 작물의 처리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중앙처리장치(310)는 이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320)의 작물수확 DB 에 저장하고 상기 농장주 컴퓨터(400)로 전송함으로써 수확정보 제공 단계를 수행한다(S8).
상기 수확정보 제공 단계에 의해 상기 농장 임차인이 요구한 사항에 따라 운영자 또는 상기 농장주는 수확한 작물을 매도하거나 상기 농장 임차인 또는 상기 농장 임차인이 지정한 수령인에게 제공한다.
상기 도 2 의 제 S4 단계인 농장임대 신청 단계를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농장 운영방법에 있어 농장임대 신청 단계에 대한 상세 흐름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기화면의 일예시도이다.
농장주는 자신의 컴퓨터(400)를 이용하여 운영자 서버(300)에 접속하면, 중앙처리장치(310)는 상기 농장주 컴퓨터(400)로 상기 도 3 에 예시된 초기화면을 전송한다.
상기 초기화면은 광고표시부와 아이디,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텍스트 박스, 로그인 버튼, 회원가입 버튼을 포함하는 로그인부와 농장주가 본 발명과 관련된 농장 임대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농장 임대신청 아이콘, 농장 임차인이 본 발명과 관련된 농장 임차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농장 임차신청 아이콘, 상기 농장 임차신청시 자경을 선택한 농장 임차인이 개인적인 이유로 소정기간 자신의 작물을 직접 경작할 수 없는 경우 농장주에게 자신의 작물을 소정기간동안 대신 경작해 줄 것을 신청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재배위탁 아이콘, 경작이 완료된 작물의 수확에 관하여 농장 임차인의 요구사항을 입력하기 위한 작물수확 아이콘, 농장 임차인이 자신의 농장에서 재배되는 작물의 재배상황에 대한 영상정보를 보기 위한 영상물 보기 아이콘 및 작물의 경작에 필요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경작정보 아이콘을 포함하는 아이콘 표시부와 선택된 상기 아이콘에 관련된 화면을 표시하는 화면 표시부를 포함한다.
농장 임차인의 상기 영상물 보기 아이콘 선택에 의해 상기 운영자 서버(300)에서 제공되는 영상정보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도우미가 전국에 산재되어 있는 임차농장을 순회하면서 각 농장 임차인의 작물의 상황을 사진 또는 동영상으로 주기적으로 촬영하여 이를 이미지 파일로 변환한 후, 자신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통신망(100)을 통해 상기 운영자 서버(300)로 전송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310)는 데이터 저장장치(320)의 영상물 DB 에 이를 저장함으로써 수행된다.
상기 도우미의 영상정보 갱신 주기는 본 실시예에서 1 주일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농장주는 자신의 컴퓨터(400)로 전송된 상기 운영자 사이트의 초기화면의 로그인부에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로그인 단계를 수행한다(S12).
상기 농장주가 로그인이 완료된 초기화면에서 농장임대 신청 아이콘을 선택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310)는 상기 농장임대 신청 아이콘 선택신호를 수신한다(S14).
상기 중앙처리장치(310)는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320)의 농장임대 DB 에 저장되어 있는 농장임대 신청창을 상기 농장주 컴퓨터(400)로 전송한다(S16).
상기 농장임대 신청창에는 적어도 임대할 농장의 소재지, 실소유자, 임대가능 평수, 평당 임대비용, 임대가능 기간, 주요 경작 작물을 기재할 수 있는 텍스트 박스를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상기 농장주는 상기 농장임대 신청창에 포함되어 있는 텍스트 박스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한 후, 상기 운영자 서버(300)로 전송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310)는 수신된 정보 중 적어도 농장의 소재지, 실소유자, 임대가능 평수, 평당 임대비용, 임대가능 기간, 주요 경작 작물에 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320)의 농장 임대 DB 에 상기 농장주의 기초정보를 포함하여 저장한다(S18).
상기 도 2 의 제 S6 단계인 농장 임차신청 단계에 대하여 도 5 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농장 운영방법에 있어 농장임차 신청 단계에 대한 상세 흐름도이다.
농장 임차인은 자신의 컴퓨터(200)를 이용하여 운영자 서버(300)에 접속하면, 중앙처리장치(310)는 상기 농장 임차인 컴퓨터(200)로 상기 도 4 에 예시된 초기화면을 전송한다.
상기 농장 임차인은 자신의 컴퓨터(200)로 전송된 상기 운영자 사이트의 초기화면의 로그인부에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로그인 단계를 수행한다(S22).
상기 농장 임차인은 로그인이 완료된 초기화면에서 농장임차 신청 아이콘을 선택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310)는 상기 농장임차 신청 아이콘 선택신호를 수신한다(S24).
상기 중앙처리장치(310)는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320)의 농장임차 DB 에 저장되어 있는 농장임차 조건 입력창을 상기 농장 임차인 컴퓨터(200)로 전송한다(S26).
상기 조건 입력창에는 적어도 임차할 농장의 소재지, 임차 평수, 평당 임차비용, 임차 기간, 경작 기간, 경작 작물에 관한 정보를 기재할 수 있는 텍스트 박스를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상기 농장 임차인은 상기 조건 입력창에 포함되어 있는 텍스트 박스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한 후, 상기 운영자 서버(300)로 전송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310)는 수신된 정보 중 적어도 임차할 농장의 소재지, 임차 평수, 평당 임차비용, 임차 기간, 경작 기간, 경작 작물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S28).
상기 중앙처리장치(310)는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320)의 농장 임대 DB 에 기저장되어 있는 농장 임대에 관한 데이터 중 상기 제 S28 단계에 의하여 수신한 정보에 부합하는 농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색한다(S30).
상기 중앙처리장치(310)는 상기 제 S30 단계의 검색결과, 조건에 부합하는 농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2).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상기 제 S32 단계의 판단결과, 조건에 부합하는 농장이 있는 경우, 상기 중앙처리장치(310)는 상기 농장 임차인 컴퓨터(200)로부터 경작형식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S34).
상기 중앙처리장치(310)는 상기 농장 임차인의 경작형식이 상기 농장 임차인 스스로 경작하는 자경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6).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상기 제 S36 단계의 판단결과, 자경이 아닌 경우, 상기 중앙처리장치(310)는 상기 농장 임차인 컴퓨터로부터 경작을 위하여 농장에 방문하는 주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S38).
상기 중앙처리장치(310)는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320)의 농장 임차 DB 에 임차할 농장의 소재지, 임차 평수, 평당 임차비용, 임차기간, 경작기간, 경작 작물에 관한 정보, 경작형식에 관한 정보 및 방문주기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S40).
상기 중앙처리장치(310)는 상기 제 S32 단계에 의한 조건에 부합하는 농장주 컴퓨터(400)로 상기 농장 임차인의 조건 중 임차기간, 경작기간, 경작작물 및 경작형식에 관한 정보를 전송한다(S42).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상기 제 S36 단계의 판단결과, 자경인 경우, 상기 중앙처리장치(310)는 상기 제 S40 단계로 절차를 이행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상기 제 S32 단계의 판단결과, 조건에 부합하는 농장이 없는 경우, 상기 중앙처리장치(310)는 상기 농장 임차인이 재검색을 희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재검색을 희망하는 경우, 상기 중앙처리장치(310)는 상기 제 S26 단계로 리턴하고, 재검색을 희망하지 않는 경우, 상기 중앙처리장치(310)는 농장 임차신청 단계에 대한 시스템을 종료한다(S44).
상기 농장 임차인이 자경을 하는 경우, 상기 농장 임차인은 자신이 스스로 농장에 파종된 경작작물을 재배하여야 하는 바, 개인 사정으로 일정기간 농장에 방문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농장주에게 재배위탁을 할 수 있는 바, 이에 대하여 도 6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농장 운영방법에 있어 재배위탁에 대한 흐름도이다.
농장 임차인은 자신의 컴퓨터(200)를 이용하여 운영자 서버(300)에 접속하면, 중앙처리장치(310)는 상기 농장 임차인 컴퓨터(200)로 상기 도 4 에 예시된 초기화면을 전송한다.
상기 농장 임차인은 자신의 컴퓨터(200)로 전송된 상기 운영자 사이트의 초기화면의 로그인부에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로그인 단계를 수행한다(S52).
상기 농장 임차인은 로그인이 완료된 초기화면에서 재배위탁 아이콘을 선택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310)는 상기 재배위탁 아이콘 선택신호를 수신한다(S54).
상기 중앙처리장치(310)는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320)의 재배위탁 DB 에 저장되어 있는 재배위탁 신청창을 상기 농장 임차인 컴퓨터(200)로 전송한다(S56).
상기 재배위탁 신청창에는 적어도 재배위탁일, 급수량, 급수주기, 기타 작물재배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텍스트 박스를 포함하여야 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310)는 상기 농장 임차인 컴퓨터(200)로부터 상기 재배위탁일, 급수량, 급수주기, 기타 작물재배에 필요한 정보를 수신한다(S58).
상기 중앙처리장치(310)는 상기 제 S58 단계에 의하여 수신된 재배위탁일이 운영자가 기설정한 소정 범위 이후의 기일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60).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소정 범위내의 기일이란 상기 농장 임차인이 재배위탁을 신청한 기일을 기준으로 상기 농장주가 위탁재배를 시작하는 기일이 최소한 하루이후인 기일을 의미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상기 제 S60 단계의 판단결과, 소정범위 이후의 기일인 경우, 상기 중앙처리장치(310)는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320)의 재배위탁 DB 에 상기 재배위탁일, 급수량, 급수주기, 기타 작물재배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다(S62).
상기 중앙처리장치(310)는 상기 재배위탁일, 급수량, 급수주기, 기타 작물재배에 필요한 정보를 상기 농장주 컴퓨터(400)로 전송한다(S64).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상기 제 S60 단계의 판단결과, 소정범위 이전의 기일인 경우, 상기 중앙처리장치(310)는 상기 농장 임차인 컴퓨터(200)로 에러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제 S56 단계로 리턴 한다(S66).
상기 도 2 의 제 S8 단계인 수확정보 제공 단계에 대하여 도 7 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농장 운영방법에 있어 수확정보 제공단계에 대한 상세 흐름도이다.
농장 임차인은 자신의 컴퓨터(200)를 이용하여 운영자 서버(300)에 접속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310)는 상기 농장 임차인 컴퓨터(200)로 상기 도 4 에 예시된 초기화면을 전송한다.
상기 농장 임차인은 자신의 컴퓨터(200)로 전송된 상기 운영자 사이트의 초기화면의 로그인부에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로그인 단계를 수행한다(S72).
상기 농장 임차인은 로그인이 완료된 초기화면에서 작물수확 아이콘을 선택하면 상기 중앙처리장치(310)는 상기 작물수확 아이콘 선택신호를 수신한다(S74).
상기 중앙처리장치(310)는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320)의 작물수확 DB 에 저장되어 있는 작물수확 신청창을 상기 농장 임차인 컴퓨터(200)로 전송한다(S76).
상기 작물수확 신청창에는 적어도 수확한 작물의 매도 또는 배송 여부, 배송할 경우 수취인이 농장 임차인 본인 또는 상기 농장 임차인이 지정한 타인 여부, 타인인 경우 상기 타인이 수확한 작물을 수취하는데 필요한 정보 등 수확물 처리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텍스트 박스를 포함하여야 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310)는 상기 농장 임차인 컴퓨터(200)로부터 상기 수확물 처리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S78).
상기 중앙처리장치(310)는 상기 농장 임차인이 배송을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80).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상기 제 S80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농장 임차인이 배송을 선택한 경우, 상기 중앙처리장치(310)는 상기 농장 임차인 컴퓨터(200)로부터 상기 수확물의 수취인이 본인인 경우 본인이라는 정보, 상기 수취인이 본인이 아닌 경우 수취인의 성명, 수취인 주소 등과 같은 수취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S82).
상기 중앙처리장치(310)는 상기 S82 단계에 의하여 수신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320)의 작물수확 DB 에 저장한다.
다만 상기 수취인이 본인인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원 DB 또는 농장 임차 DB 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농장 임차인의 성명 및 주소를 함께 상기 작물수확 DB 에 저장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상기 제 S80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농장 임차인이 매도를 선택한 경우, 상기 중앙처리장치(310)는 상기 농장 임차인 컴퓨터(200)로부터 매도금액, 매도시기 등의 매도조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다(S86).
상기 중앙처리장치(310)는 상기 S86 단계에 의하여 수신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장치(320)의 작물수확 DB 에 저장한다(S88).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농장 임차인이 요구하는 조건에 부합하는 농장 및 농장주를 중개하고 농장 임차인이 자신이 임차한 농장에서 재배하는 작물을 직접 재배할 수 없는 기간동안 농장주가 위탁재배를 할 수 있도록 하여 농장 임차인의 정서적 안정을 도모할 뿐만 아니라 경작한 작물의 수확량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정보통신시스템의 일예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농장 운영방법에 대한 전체적인 흐름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농장 운영방법에 있어 농장임대 신청 단계에 대한 상세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기화면의 일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농장 운영방법에 있어 농장임차 신청 단계에 대한 상세 흐름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농장 운영방법에 있어 재배위탁에 대한 흐름도.
도 7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이버 농장 운영방법에 있어 수확정보 제공단계에 대한 상세 흐름도.

Claims (4)

  1. 다수의 농장 임차인 컴퓨터와 다수의 농장주 컴퓨터가 정보통신망을 통해 운영자 서버에 접속되어 있고 운영자 서버는 경작 DB, 영상물 DB, 작물수확 DB, 재배위탁 DB, 농장임차 DB, 농장임대 DB 를 포함한 사이버 농장 운영방법에 있어서,
    운영자 서버가 농장주 컴퓨터로부터 적어도 농장의 소재지, 실소유자, 임대가능 평수, 평당 임대비용, 임대가능 기간, 주요 경작 작물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농장 임대 DB 에 저장하는 농장 임대신청 단계(S4);
    상기 운영자 서버가 농장 임차인 컴퓨터로부터 농장 임차 신청을 수신하는 단계(S6); 및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농장 임차인 컴퓨터로부터 수확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8); 를 포함하되,
    상기 농장 임차 신청 단계(S6)는,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농장 임차인 컴퓨터로부터 임차할 농장의 소재지, 임차 평수, 평당 임차비용, 임차 기간, 경작 기간 및 경작 작물에 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S28);
    농장 임대 DB 에 기저장되어 있는 농장 임대에 관한 데이터 중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농장 임차인 컴퓨터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부합하는 농장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상기 운영자 서버가 검색하는 단계(S30);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농장 임차인 컴퓨터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부합하는 농장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농장 임차인 컴퓨터로부터 경작형식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34);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농장 임차인의 경작형식이 자경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6);
    상기 운영자 서버의 상기 경작형식이 자경인지 여부의 판단결과, 자경이 아닌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농장 임차인 컴퓨터로부터 경작을 위하여 농장에 방문하는 주기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38);
    상기 운영자 서버가 농장 임차 DB 에 임차할 농장의 소재지, 임차 평수, 평당 임차비용, 임차기간, 경작기간, 경작 작물에 관한 정보, 경작형식에 관한 정보 및 방문주기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40);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농장 임차인 컴퓨터로부터 수신한 정보에 부합하는 농장주 컴퓨터로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농장 임차인의 조건 중 임차기간, 경작기간, 경작작물 및 경작형식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42); 및
    상기 운영자 서버의 상기 경작형식이 자경인지 여부의 판단결과, 자경인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운영자 서버가 농장 임차 DB 에 임차할 농장의 소재지, 임차 평수, 평당 임차비용, 임차기간, 경작기간, 경작 작물에 관한 정보, 경작형식에 관한 정보 및 방문주기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40)로 절차를 이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농장 운영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확정보 수신 단계(S6)는,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농장 임차인 컴퓨터로부터 적어도 수확한 작물의 매도 또는 배송 여부, 배송할 경우 수취인이 농장 임차인 본인 또는 상기 농장 임차인이 지정한 타인 여부, 타인인 경우 상기 타인이 수확한 작물을 수취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수확물 처리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78);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농장 임차인이 배송을 선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80);
    상기 운영자 서버의 상기 농장 임차인이 배송을 선택하였는지 여부의 판단결과, 상기 농장 임차인이 배송을 선택한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농장 임차인 컴퓨터로부터 상기 수확물의 수취인이 본인인 경우 본인이라는 정보, 상기 수취인이 본인이 아닌 경우 수취인의 성명, 수취인 주소 등과 같은 수취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82);
    상기 운영자 서버가 작물수확 DB 에 상기 수확물의 수취인이 본인인 경우 본인이라는 정보, 상기 수취인이 본인이 아닌 경우 수취인의 성명, 수취인 주소 등과 같은 수취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S84);
    상기 운영자 서버의 상기 농장 임차인이 배송을 선택하였는지 여부의 판단결과, 상기 농장 임차인이 매도를 선택한 경우,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농장 임차인 컴퓨터로부터 매도금액, 매도시기를 포함하는 매도조건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86); 및
    상기 운영자 서버가 상기 매도조건을 상기 작물수확 DB 에 저장하는 단계(S8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버 농장 운영방법.
  4. 삭제
KR10-2001-0058846A 2001-09-22 2001-09-22 사이버 농장 운영방법 KR100472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8846A KR100472193B1 (ko) 2001-09-22 2001-09-22 사이버 농장 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8846A KR100472193B1 (ko) 2001-09-22 2001-09-22 사이버 농장 운영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5681A KR20030025681A (ko) 2003-03-29
KR100472193B1 true KR100472193B1 (ko) 2005-03-08

Family

ID=27725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8846A KR100472193B1 (ko) 2001-09-22 2001-09-22 사이버 농장 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21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898B1 (ko) * 2012-10-15 2014-02-11 곽나경 환경 적합도에 따라 플레이 결과가 차별되는 사이버 농장 게임 방법 및 시스템
KR102089531B1 (ko) * 2018-05-20 2020-03-16 (주)스마트팜센터 스마트팜을 이용한 실내 테마파크 구축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34288B1 (ko) * 2018-08-01 2020-07-15 한상빈 농가 시설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7050A (ko) * 2000-04-06 2000-07-05 주진호 인터넷을 이용한 농축산물 매매방법
KR20000049571A (ko) * 2000-04-07 2000-08-05 손석호 네트워크망을 이용한 농장 운영장치 및 그 운영방법
KR20000054531A (ko) * 2000-06-10 2000-09-05 서재복 벼 사이버 농장
KR20000058295A (ko) * 2000-03-21 2000-10-05 정진우 사이버 농장의 운영방식
KR20020072667A (ko) * 2001-03-12 2002-09-18 김배원 인터넷을 이용한 농축산물 공동 생산 및 분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8295A (ko) * 2000-03-21 2000-10-05 정진우 사이버 농장의 운영방식
KR100370998B1 (ko) * 2000-03-21 2003-02-06 정진우 사이버 농장의 운영 방법
KR20000037050A (ko) * 2000-04-06 2000-07-05 주진호 인터넷을 이용한 농축산물 매매방법
KR20000049571A (ko) * 2000-04-07 2000-08-05 손석호 네트워크망을 이용한 농장 운영장치 및 그 운영방법
KR20000054531A (ko) * 2000-06-10 2000-09-05 서재복 벼 사이버 농장
KR20020072667A (ko) * 2001-03-12 2002-09-18 김배원 인터넷을 이용한 농축산물 공동 생산 및 분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5681A (ko) 2003-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9586B1 (ko) 스마트 작물재배 시스템
Jararweh et al. Smart and sustainable agriculture: Fundamentals, enabling technologies, and future directions
JP2009181223A (ja) 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2176855A (ja) 遠隔地農業支援システム
KR20000049571A (ko) 네트워크망을 이용한 농장 운영장치 및 그 운영방법
JP2002108971A (ja) 植物栽培補助システムおよび記録媒体
KR101895800B1 (ko) 크라우드 소싱 기반의 곤충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0472193B1 (ko) 사이버 농장 운영방법
JP2002099587A (ja) 家庭菜園運営システム
JP6246243B2 (ja) サーバ装置、作業依頼システム、作業依頼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312301B1 (ko) 농업용 농경지 정보를 연계한 영농 관리시스템
KR101483962B1 (ko) 개선된 현실 연계 작물재배 게임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83960B1 (ko) 스마트기기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현실 연계 작물재배 게임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JPH11134398A (ja) 貸農園管理システム
Chauhan et al. Crop Shop–An application to maximize profit for farmers
KR20170091310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쌍방향 작물재배 정보제공 시스템
KR20190132609A (ko) 스마트팜을 이용한 실내 테마파크 구축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6178916A (ja) 会員制農業支援システム及び会員制農業支援方法
JP2003208546A (ja) ガーデニング支援システム
JP5555017B2 (ja) 農作物購入予約方法、農作物購入予約システム及び農作物購入予約装置
JP2002108970A (ja) 植物栽培育成システ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4334572A (ja) 生産物販売仲介システム及び方法、生産物販売仲介装置、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7026091B2 (ja) ガーデニングシステム
JP2018029617A (ja) サーバ装置、作業依頼システム、作業依頼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462796B1 (ko) 네트워크 기반의 숙박시설을 구비한 농장/양식장 운영과농수산물 직거래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