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4288B1 - 농가 시설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농가 시설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4288B1
KR102134288B1 KR1020180089959A KR20180089959A KR102134288B1 KR 102134288 B1 KR102134288 B1 KR 102134288B1 KR 1020180089959 A KR1020180089959 A KR 1020180089959A KR 20180089959 A KR20180089959 A KR 20180089959A KR 102134288 B1 KR102134288 B1 KR 102134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acility
farm
storage
farmho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9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4595A (ko
Inventor
한상빈
Original Assignee
한상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빈 filed Critical 한상빈
Priority to KR1020180089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4288B1/ko
Publication of KR20200014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4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4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4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5Supply or demand aggreg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농가 시설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실시예에 따른 농가 시설정보 관리 시스템은 마을 농가를 군집화 하고 농가의 재고, 생산량, 보관시설, 저온창고를 포함하는 농가 시설정보를 수집하고, 소비자와 농가 매칭을 수행하는 농가정보 관리서버; 농가정보 관리서버에서 분산방식으로 배포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마을 농가의 시설정보를 파악하고, 구매를 희망하는 상품정보 및 소비자가 이용하려는 농가시설정보를 포함하는 소비자조건정보를 입력하는 소비자 단말; 및 저온창고와 보관시설의 온도, 시설관리정보를 포함하는 농가시설 세부정보를 파악하여, 세부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정보감지장치; 를 포함하고, 농가에서 일정 반경 내에 존재하는 소비자 단말을 인식하는 경우, 보관시설 세부 정보 및 각 농가에서 수확하는 과일 정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농가 시설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FARMHOUSE FACILITY INFORMATION}
농가 시설정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농가 저온창고 및 보관공간 정보를 수집하여 농가시설이용을 희망하는 소비자와 농가시설을 매칭하고, 농가의 다양한 시설물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농가는 농업을 생계의 기본으로 하는 세대로서, 보관시설, 저온창고 등 다양한 농사와 생산품 보관에 필요한 시설들을 갖추고 있다. 농촌은 도시와 비교해 볼 때 인구 밀도나 시설 집약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다양한 시설들이 비어있거나 관리가 제대로 되어 있지 않은 경우도 빈번하다. 또한 농가에서 과일 등 다양한 농산품을 생산하더라도 농촌 거주자 대부분이 IT 기기에 친숙하지 않아 소비자에게 농산품을 알릴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농가 생산품 및 다양한 시설들의 홍보나 활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낭비되는 시설물이 많고, 농가 수익향상에 어려움이 있다.
1. 한국 특허등록 제10-1823019호(2008.01.23) 2. 한국 특허등록 제10-1682066호(2016.11.28)
저온창고, 보관공간, 말림공간 등 농가에 존재하는 다양한 시설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이를 필요로 하는 소비자와 농가를 매칭하는 농가 시설정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농가 시설에 설치된 감지장치와 관리자 단말의 통신으로 농가 시설의 온도, 통풍, 창문과 문의 여닫음 등을 자동 제어하여 농가 시설을 편리하게 관리 할 수 있도록 한다.
농가 시설의 점유율 및 농작물 별 최적 보관 위치를 기반으로 농작물 보관 위치를 변경하거나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른 농가 시설정보 관리 시스템은 마을 농가를 군집화 하고 농가의 재고, 생산량, 보관시설, 저온창고를 포함하는 농가 시설정보를 수집하고, 소비자와 농가 매칭을 수행하는 농가정보 관리서버; 농가정보 관리서버에서 분산방식으로 배포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마을 농가의 시설정보를 파악하고, 구매를 희망하는 상품정보 및 소비자가 이용하려는 농가시설정보를 포함하는 소비자조건정보를 입력하는 소비자 단말; 및 저온창고와 보관시설의 온도, 시설관리정보를 포함하는 농가시설 세부정보를 파악하여, 세부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정보감지장치; 를 포함하고, 농가에서 일정 반경 내에 존재하는 소비자 단말을 인식하는 경우, 보관시설 세부 정보 및 각 농가에서 수확하는 과일 정보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농가 시설정보 관리 방법은 (A) 농가정보 관리서버에서 마을의 농가를 군집화 하고 농가의 재고, 생산량, 보관시설, 저온창고를 포함하는 농가 시설정보를 수집하고, 소비자와 농가 매칭을 수행하는 단계; (B) 소비자 단말에서 농가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마을 농가의 시설정보를 파악하고, 구매를 희망하는 농작물 정보 및 이용을 희망하는 농가정보를 포함하는 소비자조건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및 (C) 정보감지장치에서 저온창고와 보관시설의 온도, 농작물 점유율을 포함하는 보관시설 세부정보를 파악하여, 보관시설 세부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농가 시설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농가에서 이용하고 있지 않은 여러 시설과 이를 필요로 하는 소비자를 매칭하여 농가 시설 이용 효율을 높이고, 새로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한다.
농가 시설의 온도, 통풍 등을 적정수준으로 자동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시설의 수명과 내구성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농가 시설정보 관리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농가시설관리 서버의 데이터 처리 블록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관리자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저온창고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정보감지장치(400)의 데이터 처리 블록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농가 시설정보 관리 시스템의 신호흐름도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농가 시설정보 관리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농가 시설정보 관리 시스템은 농가정보 관리서버(100), 소비자 단말(200), 관리자 단말(300) 및 농가시설감지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관리자 단말(300)은 농가의 대표가 소유하는 스마트 기기로서, 실시예에서 농가의 대표는 이장 등 농가에서 스마트 기기를 사용할 수 있는 사람이다. 관리자는 단말(300)에 농가 별 시설정보를 입력한다.
농가정보 관리서버(100)는 마을의 농가를 군집화 하고 농가의 재고, 생산량, 보관시설, 저온창고를 포함하는 농가 시설정보를 수집하고, 소비자와 농가 매칭을 수행한다.
소비자 단말(200)은 농가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마을 농가의 시설정보를 파악하고, 이용을 희망하는 농가정보를 포함하는 소비자조건정보를 입력한다. 실시예에서는 소비자가 농가 근방(예컨대, 농가진입 위치에서 일정 거리 이내)를 지나가거나 농가에 근접한 경우, 푸쉬알람 또는 비콘 등으로 농가 시설 안내를 자동으로 수신할 수 있다. 만약 소비자가 이용을 희망하는 농가 시설 정보를 미리 입력해 놓은 경우, 이에 대응하는 농가 시설근방에 소비자가 접근하면 농가 시설 정보 및 농가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정보감지장치(400)는 농가 저온창고와 보관시설의 온도, 농작물 점유율을 포함하는 보관시설 세부정보를 파악하여, 보관시설 세부정보를 관리서버(100)로 전송한다. 또한, 정보감지장치(400)는 농가정보 관리서버 및 관리자 단말로부터 농가 시설 제어 명령을 전달받아, 상기 시설제어 명령에 따라 저온창고의 온도, 통풍, 환기 및 적체물량 이동요청을 포함하는 시설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관리서버(100)는 기 저장된 농가 시설물의 최적온도와 관리정보에 따라 농가 시설물의 온도 및 환기 제어 명령을 농가 시설물에 설치된 정보감지장치(400)로 전송한다. 정보감지장치(400)는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한 제어명령에 따라 농가 시설의 온도 및 통풍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농가 시설에 설치된 냉난방 기기 및 창문, 문의 열고 닫힘을 정보감지장치(400)을 통해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100)는 소비자 단말(200)의 위치가 농가에서 일정 반경 이내인 경우, 보관시설 세부 정보 및 각 농가에서 수확하는 과일 정보를 소비자 단말(200)로 제공한다. 소비자 단말로부터 소비자의 개인정보를 수신하면, 관리서버(100)는 소비자 개개인에게 맞춤형 과일 및 맞춤형 과일을 판매하는 농가정보를 제공하여, 소비자와 농가를 매칭할 수 있다. 이로써, 소비자는 자신이 원하는 과일을 저렴한 가격에 구입할 수 있고 농가는 수익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농가시설관리 서버의 데이터 처리 블록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농가시설관리서버(100)는 데이터베이스(110), 매칭모듈(130), 연산모듈(150) 및 통신모듈(17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이라는 용어는 용어가 사용된 문맥에 따라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는 기계어, 펌웨어(firmware), 임베디드코드(embedded code), 및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하드웨어는 회로, 프로세서, 컴퓨터, 집적 회로, 집적 회로 코어, 센서, 멤스(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수동 디바이스,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10)는 관리자단말, 소비자단말 및 정보감지장치로부터 전달받은 농가 시설정보, 소비자 정보, 소비자조건정보 및 농가시설 세부 상태 정보를 저장 및 업데이트 한다.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110)는 농작물 별 최적 보관 특성 정보 및 보관정보를 저장하고, 농가정보 관리서버(100)는 농작물 보관 및 시설 이용 요청 정보를 수신한 경우, 농작물에 대한 최적 보관 특성 정보와 조건정보를 기반으로 이용 가능한 보관시설을 서칭 한다. 이후, 서칭 된 보관시설과 시설이용요청정보를 전송한 소비자를 매칭할 수 있다.
매칭모듈(130)은 농가 시설정보와 소비자 조건정보를 비교하여 농가와 소비자를 매칭한다. 예컨대, 소비자 조건정보에 보관기간, 보관작물, 온도, 그늘 여부 등을 입력 받는 경우, 입력된 소비자 조건정보와 일치율이 가장 높은 농가 시설을 추출하여 추출된 농가시설을 제공하는 농가와 소비자를 매칭한다.
연산모듈(150)은 정보감지장치(400)로부터 수신한 보관시설 세부정보를 기반으로 저온창고 및 보관시설의 온도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보관시설 각각의 점유율과 보관 농작물에 따라 농작물 최적 보관위치를 파악한다. 예컨대, 연산모듈(150)은 작물 별 보관장소 조건을 파악하고 그 조건을 만족 시키는 농가 시설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특정 작물을 그늘진 곳, 섭씨15도~20도 사이에서 보관해야 하는 경우, 보관조건을 만족하는 농가 시설리스트를 생성한다.
통신모듈(170)은 연산모듈(150)에서 생성된 농가시설리스트를 소비자 단말 및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고, 소비자와 농가가 매칭된 경우, 매칭 정보를 소비자 단말 및 농가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고, 농작물 최적 보관위치, 온도 제어명령 및 보관시설 세부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마을 농가에서 작물을 재배하거나 보관 공간이 필요한 경우, 보관조건을 관리자 단말로 입력하면 이를 만족시키는 농가 시설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아울러, 재배된 작물 특성과 보관 시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최적 보관장소를 추천 받을 수 있다.
도 3은 관리자 단말에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저온창고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농가의 저온창고에 보관되고 있는 보관물품을 관리하기 위해 농가 시설물에서 관리중인 농산품의 출고 및 재고 정보를 관리자 단말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은 정보감지장치로부터 저온창고, 보관 창고 등 농가시설물 각각의 온도, 전원, 문상태 등 세부정보를 알림 받을 수 있고, 관리자 단말에 디스플레이 되는 아이콘을 통해 농가 세부정보를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정보감지장치는 라즈베리파이 또는 관리자 PC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라즈베리파이는 초소형 컴퓨팅 장치로서, 메모리, 중앙제어 유닛, 통신 유닛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정보감지장치에 포함된 라즈베리파이는 농가 시설물 제어를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농가시설에 구비된 통신장치와 통신하며 시설물 세부정보를 제어한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정보감지장치(400)의 데이터 처리 블록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정보감지장치(400)는 감지모듈(410), 제어모듈(430) 및 통신기능을 수행하는 라즈베리파이(4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감지모듈(410)은 온도센서 및 습도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실시예에 따라 엑스레이감지기(X-Ray Detector), MEMS복합센서, 오존 센서(Ozone Sensor), 지문인식센서, 먼지센서, 홀 센서(Hall Sensor), 온 습도 센서, IR센서, 미세전류센서, 근접조도센서, 전자라벨(PCB Tag) 중 어느 하나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모듈(410)은 각종 센서를 이용해 농장 시설의 온도, 습도, 통풍정보, 재고량, 문 여닫힘 정도 등 보관시설의 세부 정보를 감지하여 제어모듈(130) 및 관리자 단말(300)로 전송한다. 또한 실시예에서 감지모듈(410)은 아두이노(Arduino) 센서 및 비콘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두이노는 다양한 스위치나 센서로부터 입력 값을 받아들여 LED나 모터와 같은 전자 장치들로 출력을 제어함으로써 환경과 상호작용이 가능한 물건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순한 로봇, 온습도계, 동작 감지기, 음악 및 사운드 장치, 스마트 홈 구현, 유아 장난감 및 로봇 교육 프로그램 등의 다양한 제품들이 아두이노를 기반으로 개발 가능하다. 또한 비콘센서는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며 농가시설물의 온도, 습도 등 상태세부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모듈(430)은 보정회로 및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관리자 단말(300)로부터 수신한 제어 명령에 따라, 통풍, 환기, 냉난방장치를 통한 온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농가시설정보 관리 방법에 대해서 차례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농가 시설정보 관리 방법의 작용(기능)은 농가 시설정보 관리 시스템상의 기능과 본질적으로 같은 것이므로 도 1 내지 도 5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농가 시설정보 관리 시스템의 신호흐름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S10 단계에서는 관리자단말(300)에서 농장정보 및 시설정보를 농가 시설정보 관리서버(100)로 전송한다. S20 단계에서는 농장시설에 설치된 정보감지장치에서 서버(100)로 농가 시설의 온도, 환기여부, 점유율 등 세부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한다.
S30 단계에서는 서버에서 정보감지장치와 관리자 단말로부터 농장에서 재배하는 과일 등의 농장 정보와 농가 시설정보를 수집한다.
S50 단계에서는 서버(100)에서 농작물 별 최적 보관위치를 생성한다. 예컨대, 서버(100)는 기 저장된 농작물별 보관조건에 따라 과일이나 작물 등 보관해야 하는 상품의 최적 위치를 파악한다.
S40 단계에서는 소비자 단말(200)에서 소비자가 원하는 농가 보관시설의 세부정보인 소비자 조건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된 조건 정보를 서버(100)로 전송한다. S50 단계는 서버(100)에서 농작물별 최적 보관 위치를 생성한다. 예컨대, 특정 과일이나 작물의 보관 온도, 그늘 여부, 통풍가능여부 등 보관조건을 만족시키는 보관시설 리스트를 생성하고 그 중 최적 위치를 추출한다.
S60 단계에서는 소비자 단말(200)의 위치정보를 추출하고, S70 단계에서 서버(100)으로 위치정보를 전송한다.
S80 단계에서는 서버(100)에서 농가로부터 일정영역 안에서 소비자 단말이 감지되면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기반으로 농장과 소비자를 매칭한다. S90 단계에서는 소비자 단말(200) 및 관리자 단말(300)로 매칭 정보를 전송한다. 실시예에서 매칭정보는 소비자와 맞춤형과일을 매칭한 정보 이거나, 소비자가 이용하려는 농가 시설물과 소비자를 매칭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농가 시설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은 농가에서 이용하고 있지 않은 여러 시설과 이를 필요로 하는 소비자를 매칭하여 농가 시설 이용 효율을 높이고, 새로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농가 시설의 온도, 통풍 등을 적정수준으로 자동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시설의 수명과 내구성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다. 고객 맞춤형 과일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생산하는 농가를 매칭함으로써 농가 수익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한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10: 데이터베이스, 130: 매칭모듈
150: 연산모듈, 170: 통신모듈

Claims (9)

  1. 농가 시설정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마을 농가를 군집화 하고 상기 농가의 재고, 생산량, 보관시설, 저온창고를 포함하는 농가 시설정보를 수집하고, 소비자와 농가 매칭을 수행하는 농가정보 관리서버;
    상기 농가정보 관리서버에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마을 농가의 시설정보를 파악하고, 구매를 희망하는 상품정보 및 소비자가 이용하려는 농가시설정보를 포함하는 소비자조건정보를 입력하는 소비자 단말; 및
    상기 저온창고와 보관시설의 온도, 시설관리정보를 포함하는 농가시설 세부정보를 파악하여, 상기 세부정보를 농가정보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정보감지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농가에서 일정 반경 내에 존재하는 소비자 단말을 인식하는 경우, 보관시설 세부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농가정보 관리서버는
    농작물 별 최적 보관 특성 정보 및 보관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농가 시설정보, 소비자 정보, 소비자조건정보를 저장 및 업데이트 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농가 시설정보와 소비자 조건정보를 비교하여 농가와 소비자를 매칭하는 매칭모듈;
    상기 정보감지장치로부터 수신한 보관시설 세부정보를 기반으로 저온창고 및 보관시설의 온도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보관시설 각각의 보관중인 농작물이 보관시설에서 차지하는 비율인 농작물 점유율과 보관 농작물에 따라 농작물 최적 보관위치를 파악하고, 보관조건을 만족하는 농가 시설리스트를 생성하는 연산모듈;
    상기 소비자와 농가가 매칭된 경우, 매칭 정보를 소비자 단말 및 농가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고, 농작물 최적 보관위치, 온도 제어명령 및 보관시설 세부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통신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농가정보 관리서버는
    농작물 보관 및 시설 이용 요청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농작물에 대한 최적 보관 특성 정보를 기반으로 이용 가능한 보관시설을 서칭하고, 서칭된 보관시설과 상기 시설이용요청정보를 전송한 소비자를 매칭하고
    마을 농가에서 작물을 재배하거나 보관 공간이 필요한 경우, 보관조건을 관리자 단말로부터 입력 받아, 입력된 보관조건을 만족시키는 농가 시설 정보를 추출하고, 재배된 작물 특성과 보관 시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최적 보관장소를 추천 하고
    관리자 단말은
    정보감지장치로부터 저온창고, 보관 창고를 포함하는 농가시설물 각각의 온도, 전원, 문상태를 포함하는 세부정보를 알림 받고, 상기 관리자 단말에 디스플레이 되는 아이콘을 통해 농가 세부정보를 제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가 시설정보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감지장치는
    상기 농가정보 관리서버 및 관리자 단말로부터 농가시설제어 명령을 전달받아, 상기 시설제어 명령에 따라 저온창고의 온도, 통풍, 환기 및 적체물량 이동요청을 포함하는 시설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가 시설정보 관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감지장치는
    엑스레이감지기(X-Ray Detector), MEMS복합센서, 오존 센서(Ozone Sensor), 지문인식센서, 먼지센서, 홀 센서(Hall Sensor), 온도센서, 습도 센서, IR센서, 미세전류센서, 근접조도센서, 전자라벨(PCB Tag) 중 어느 하나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가 시설정보 관리 시스템.
  6. 농가 시설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A) 농가정보 관리서버에서 마을의 농가를 군집화 하고 상기 농가의 재고, 생산량, 보관시설, 저온창고를 포함하는 농가 시설정보를 수집하고, 소비자와 농가 매칭을 수행하는 단계;
    (B) 소비자 단말에서 상기 농가 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마을 농가의 시설정보를 파악하고, 구매를 희망하는 농작물 정보 및 이용을 희망하는 농가정보를 포함하는 소비자조건정보를 입력하는 단계; 및
    (C) 정보감지장치에서 상기 저온창고와 보관시설의 온도, 보관중인 농작물이 보관시설에서 차지하는 비율인 농작물 점유율을 포함하는 보관시설 세부정보를 파악하여, 보관시설 세부정보를 농가정보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A)의 단계; 는
    농작물 별 최적 보관 특성 정보 및 보관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농가 시설정보, 소비자 정보, 소비자조건정보를 저장 및 업데이트 하는 단계;
    상기 농가 시설정보와 소비자 조건정보를 비교하여 농가와 소비자를 매칭하는 단계;
    상기 정보감지장치로부터 수신한 보관시설 세부정보를 기반으로 저온창고 및 보관시설의 온도제어명령 및 통풍제어명령을 생성하고, 보관시설 각각의 점유율과 보관 농작물에 따라 농작물 최적 보관위치를 파악하고 보관조건을 만족하는 농가 시설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소비자와 농가가 매칭된 경우, 매칭 정보를 소비자 단말 및 농가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고, 농작물 최적 보관위치, 온도 제어명령 및 보관시설 세부정보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농가 시설정보, 소비자 정보, 소비자조건정보를 저장 및 업데이트 하는 단계; 는
    농작물 보관 및 시설 이용 요청 정보를 수신한 경우, 상기 농작물에 대한 최적 보관 특성 정보를 기반으로 이용 가능한 보관시설을 서칭하고, 서칭된 보관시설과 상기 시설이용요청정보를 전송한 소비자를 매칭하고
    상기 (C) 의 단계; 는
    상기 농가정보 관리서버 및 관리자 단말로부터 농가 시설 제어 명령을 전달받아, 상기 시설제어 명령에 따라 저온창고의 온도, 통풍, 환기 및 적체물량 이동요청을 포함하는 시설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가 시설정보 관리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80089959A 2018-08-01 2018-08-01 농가 시설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134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959A KR102134288B1 (ko) 2018-08-01 2018-08-01 농가 시설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9959A KR102134288B1 (ko) 2018-08-01 2018-08-01 농가 시설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595A KR20200014595A (ko) 2020-02-11
KR102134288B1 true KR102134288B1 (ko) 2020-07-15

Family

ID=69568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9959A KR102134288B1 (ko) 2018-08-01 2018-08-01 농가 시설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4288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193B1 (ko) * 2001-09-22 2005-03-08 권영미 사이버 농장 운영방법
KR20170007929A (ko) * 2015-07-13 2017-01-23 남궁규철 무인 자동 운전 및 원격 운전 농산물 저장 창고
KR101682066B1 (ko) 2016-08-08 2016-12-20 (주)다온정보 IoT 기술을 활용한 하우스 운영 관리 시스템
KR101823019B1 (ko) 2016-09-19 2018-01-31 (주)다울 사물인터넷(IoT)과 빅데이터기반의 버섯농장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38221A (ko) * 2016-10-06 2018-04-16 주식회사 엔틱스 맞춤형 영농알림서비스를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영농지식정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595A (ko) 2020-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0577B2 (en) Automatically learning and controlling connected devices
US11832413B2 (en) Method of building automation heat load and user preference inferring occupancy via network systems activity
US10102507B2 (en) Systems and methods to faciliate replacement of depleted batteries
US20200167834A1 (en) Intelligent identification and provisioning of devices and services for a smart home environment
US10264652B2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intelligent lighting
US10453098B2 (en) Privacy-aware personalized content for the smart home
CN110119420A (zh) 数据编配平台管理
KR20220065723A (ko) 데이터 학습 서버 및 이의 학습 모델 생성 및 이용 방법
US7953678B2 (en) Automatic configuration and control of devices using metadata
US8581701B2 (en) RFID-based data collection, correlation and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for collecting data and correlating same to system participant identities and actions thereof
US10741087B1 (en) Drone digital locker builder
US20070295560A1 (en) Retail Environment
US11599928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managing products in refrigerator
WO2016064562A2 (en) Adaptive threshold manipulation for movement detecting sensors
KR101349540B1 (ko) 홈 네트워크 서비스 제어를 위한 상황인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ones et al. Distributed situational awareness in robot swarms
EP3752999B1 (en) Systems and methods of power-management on smart devices
KR20190057220A (ko) 스마트 팜 관리를 위한 서버 플랫폼
KR101684423B1 (ko) 계층적 업무 네트워크 계획에 기반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134288B1 (ko) 농가 시설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7555269A (zh) 设备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7817047B1 (en) Configuring sensor network behavior using tag identifiers
US20240169058A9 (en) Deterrence devices and techniques
KR20220039690A (ko) 스마트 팜 관리를 위한 서버 플랫폼
JP6302766B2 (ja) 環境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