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7996A - 농산물 직거래 통신판매 방법 - Google Patents

농산물 직거래 통신판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7996A
KR20010057996A KR1019990061450A KR19990061450A KR20010057996A KR 20010057996 A KR20010057996 A KR 20010057996A KR 1019990061450 A KR1019990061450 A KR 1019990061450A KR 19990061450 A KR19990061450 A KR 19990061450A KR 20010057996 A KR20010057996 A KR 200100579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ricultural products
customer
farmers
products
pr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1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석화
Original Assignee
정석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석화 filed Critical 정석화
Priority to KR1019990061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57996A/ko
Publication of KR20010057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7996A/ko

Links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민이 생산한 농산물을 인터넷 사이트에 올려 주고, 소비자에게 직접 해당 농산물을 배달하는 농산물 직거래유통에 관한 발명으로 지소에서 본소와 해당지역의 농민들이 형성한 작목반의 농민들로부터 인터넷 사이트에 올릴 생산물의 정보를 입수 및 등록 하는 단계와 고객으로부터 클릭된 농산물을 배달키 위한 해당 농민 생산물을 지소의 집하장에 집하 하는 단계와 집하된 농산물을 각 분소에 주어진 조건에 맞게 배분하는 단계와 분소는 데이터 베이스로 고객의 동별/번지별 순으로 소트(Sort)된 자료를 기준으로 고객에게 배달하는 단계와 해당 농산물 대금을 농민에게 정산하는 단계로 구성된 농산물 직거래 통신판매 방식에 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농산물 직거래 통신판매 방식{Method Of Direct Transaction Mail-Order For Agricultural Products}
본발명은 농민이 인터넷 상에서 직접 소비자에게 생산물을 판매할 수 있도록지원하는 농산물 직거래 통신판매 방법에 관한 발명 이다.
본 발명은 농민이 인터넷 상에서 직접 자신의 생산물을 판매할 수 있도록 통신 판매를 원하는 농민에 한하여 다음날 예상 생산물을 지소에서 파악하여 인터넷 사이트에 농민의 성명, 지역등의 인적사항과 생산물의 종류, 수량 및 조율된 가격을 매일 등록 시키고, 소비자가 선택한 생산물을 관련 분소에서 각 가정에 배달하는 유통 서비스 관련 발명 이다. 종래의 농산물은, 첫째 생산자인 농민이 생산물을 박스포장 하여 직접 또는 간접 경로로 지역 농산물 도매시장에 위탁, 경매를 통해 중계상인에게 판매되고 매입자인 중계상인은 대·중 상인을 통해 판매되며, 대·중 상인은 해당지역의 소상인 또는 직접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방법과 농산물 딜러(나까마)에 의해 생산자에서 소상인으로 판매 경로를 가지나, 중간 마진이 높아 생산물이 싱싱한 것 외에는 어떠한 판매 단가의 하락을 기대할 수없어, 둘 다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가격차가 무려 3배 이상이나 큰 차이를 나타냄에 따라 농민과 생산자 모두가 불만이고, 연중으로 계산하면 대다수 농민의 년간 소득이 일반 도시 근로자의 소득 수준을 도저히 따라 갈수 없어 어려움에 처해 있고, 소비자는 농산물 가격이 결코 싼편이 아니라는 것이다. 정부에서도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농민직거래 장터를 개설하여 극복하려고 노력하지만, 대부분의 농민이 농사 일에 메달려 있고 바쁜 관계로 극히 일부 소농이나 잡상인에 의해 채워지게 됨에 따라 소비자는 시중에 비해 전혀 싸지 않아 불신을 갖는 문제점이 있고 농협직거래 역시 편하고 안정적으로 농산물을 납품 받기 위해 극히 일부 농민에 한하여 직거래를 행하며, 우체국에서도 직거래니 전자상거래니 하며 실시하고 있으나 장기 보관 할수 있는 품목에 한정되어 있어, 대다수 농민은 정부의 농산물 정책이 비현실적이라고 불만이다. 이러한 문제는 비단 우리나라 만의 문제가 아닌 지구촌 전체 농민의 문제일 것 이다. 본인은 농민의 한사람으로서 근본적으로 유통체계의 재구성이 필요하다는 오랜 고민 끝에 최근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인터넷을 통한 통신판매를 통해 생산자와 소비자를 직접 연결시켜 주는 매개 역할을 하는 유통단계를 만들므로서 생산자의 소득수준을 높이고 소비자는 값싸고 싱싱한 농산물을 구입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유통 체계는 우유 배달이나 신문 배달과 유사한 점이 있으나, 우유/신문 배달은 특정한 고객과 고정된 상품을 대상으로 하는 규칙성 있고, 본 유통 체계는 불특정한 고객과 다양한 상품을 대상으로 하는 불규칙성에 차이가 있다.
상기 직거래 방식을 성공으로 이끌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인은 많은 고객을 확보하고 농민과의 절충된 가격 협정을 통한 싱싱하고 싼 농산물을 대량으로 유통시켜 유통 마진을 낮추어야 하고, 배달자의 배달 시간을 줄이기 위해, 분소 배달목록의 데이터 베이스화와 인접 지역 농산물의 맵(Map)을 통한 체계적인 호환 수송과 지방 특산물의 최단거리 유통을 위한 유통체계 및 대금결재를 과제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농산물 유통 체계도.
도 2는 본 발명 도 1의 농산물 유통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 도 1의 부족 농산물의 인접한 지소와의 생산물 호환을 위한 맵(Map)도.
도 4는 분소에서 고액에게 효율적으로 농산물을 배달키 위해 데이터 베이스로 동별/번지별로 소트한 배달 목록 예시도.
도 5는 전국 도로망 건설 계획에 따른 농산물 유통 예시도.
도 6은 고객용 인터넷 사이트에 올려진 농산물 화면 예시도.
도 7은 도 6의 화면에서 상치를 클릭 했을 때의 화면 예시도.
도 8은 고객이 인터넷 사이트에 올려진 농산물을 클릭 했을 때의 프로그램 흐름 예시도.
도 1은 본 발명의 농산물 유통 체계도로 전국의 각 지소를 지원하는 본소와 관할 작목반 농민으로부터 얻은 생산물의 정보를 인터넷 사이트에 올리는 지소와 고객에 의해 클릭된 농산물(일반 전화 주문 포함)을 해당 고객에게 배달하는 분소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 도 1의 농수산물 유통 흐름도로 각 지소에서는 본소와 해당지역의 농민들이 형성한 각 작목반의 농민들로부터 인터넷 사이트에 올릴 생산물의 종류와 수량 및 가격정보(지소와 절충된 가격)를 입수하고, 지소에서는 인터넷 사이트에 관련사항 즉 농민의 인적사항과 생산물의 종류와 수량 및 유통비가 포함된 조정가격(도매시장 보다 높고 소매 가격의 절반 수준)을 등록 시키는 단계와 고객으로부터 클릭된 농산물을 익일 배달키 위한 해당 농민 생산물을 지소의 집하장에 집하 하는 단계(클릭되지 않은 농산물은 도매시장에 위탁함)와 집하된 농산물을 각 분소에 주어진 조건(생산자, 생산물 수량)에 맞게 배분하는 단계와 분소에서는 데이터 베이스로 고객의 동별/번지별 순으로 소트(Sort)된 자료를 기준으로 고객에게 배달하는 단계와 해당 농산물 대금을 농민에게 정산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 도 1의 부족 농산물의 인접한 지소와의 생산물 호환을 위한 맵(Map)도로 인접한 지역의 지소를 맵(Map)으로 연계 시키므로서 각 지역에서 일어날 수 있는 고객의 과소 클릭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예로서 E 지역의 인터넷 사이트에 올린 상치가 100% 클릭될 때(물량 부족 현상이 예측될 때), 인접한 A,B,C,D,F,G,H,I 지역에서 관련 생산물을 유통 받을 수 있도록 하여 유통비 축소 및 높은 신선도 유지를 달성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엽채류는 지역 농산물을 해당 지역에 소비케 하는 것이 유통비 축소와 신선도 유지에 우선함. 도 4는 분소에서 고객에게 효율적으로 농산물을 배달키 위해 데이터 베이스로 동별/번지별로 소트한 배달 목록 예시도로, 배달자는 고객에게 해당 물건과 내역서를 동봉하고, 현금 결재한 고객은 수금도 함께하도록 하도록 관련 내용과 금액이 목록에 기재되도록 한것이다. 도 5는 전국 도로망 건설 계획에 따른 농산물 유통 예시도로, 인구 밀도가 높은 주요 대도시에 집하장과 관련 지소를 두고 각 지소에서 클릭된 수요를 각 지소에 배달하고 전날 수요량 과 주간 수요량(월, 금요일의 수요가 대체로 많음)등 을 토대로 한 물량 조절을 행하므로서 원거리 지방 농산물을 고객에게 제공 하므로서, 고객 만족도를 높여 많은 고객 확보와 대량 거래를 유발케 하므로서 궁극적으로 유통비 절감과 광고료 수입을 통한 안정적 구조로 자리를 잡고 성장해 나가므로서 본 사업을 성공 시킬 수 있다.
도 6은 고객용 인터넷 사이트에 올려진 농산물 화면 예시도로 물량 확보가 가능한 농산물을 고객의 선택이 용이 하도록 엽채류, 과채류, 과일류등의 순으로 배열하고 농산물의 품목을 고객이 클릭 하면, 도 7의 화면에서와 같이 해당 품목의 창이 열리도록 하고, 즉 해당 품목의 종류와 생산자와, 생산지, 등급, 현재 남은 보유 수량과 가격이 디스플레이 되게 하고, 고객이 해당 품목의 가격을 클릭하면 매입하는 것이되도록 하고, 보유 수량과 단위별 제시가격에 셀(Sell)을 구성하여, 예로서 고객이 홍길동의 4㎏ 가격인 청상치를 클릭 하면, 보유 수량 15㎏에서 고객이 구입한 4㎏을 뺀 11㎏을 보유 수량에 표시되게 프로그램 되도록 한다. 도 8은 고객이 인터넷 사이트에 올려진 농산물을 클릭 했을 때의 프로그램 흐름 예시도로, 고객이 직거래 사이트를 클릭시, 각 농산물 품목을 디스플레이하고, 프로그램 내부적으로는 고객이 품목을 선택할 때까지 순차적으로 각 품목의 클릭 여부를 체크 하는 단계와, 고객이 임의 품목을 클릭시 해당 품목의 입력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단계와 고객이 구입할때까지 순차적으로 각 가격대의 클릭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와 보유 수량에서 클릭된 가격대의 수량을 빼는 단계와 고객에게 구입을 확인 시키는 단계와 대금 결재 방법을 제시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농민(어민)이 생산한 농산물(수산물)을 인터넷 사이트에 올려 소비자의 선택에의해 직거래 하므로서, 농산물의 품질 향상과 소비자의 신뢰를 높이고 나아가 농민의 소득 향상과 소비자의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지소에서 해당지역의 농민들이 형성한 작목반의 농민들로부터 인터넷 사이트에 올릴 생산물의 정보를 입수 및 등록 하는 단계와 고객으로부터 클릭된 농산물을 배달키 위한 해당 농민 생산물을 지소의 집하장에 집하 하는 단계와 집하된 농산물을 각 분소에 주어진 조건에 맞게 배분하는 단계와 분소는 데이터 베이스로 고객의 동별/번지별 순으로 소트(Sort)된 자료를 기준으로 고객에게 배달하는 단계와 해당 농산물 대금을 농민에게 정산하는 단계로 구성된 농산물 직거래 통신판매 방식.
  2. 고객이 직거래 사이트를 클릭시, 각 농산물 품목을 디스플레이하고, 프로그램 내부적으로는 고객이 품목을 선택할 때까지 순차적으로 각 품목의 클릭 여부를 체크 하는 단계와, 고객이 임의 품목을 클릭시 해당 품목의 입력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와 고객이 구입할때까지 순차적으로 각 가격대의 클릭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와 보유 수량에서 클릭된 가격대의 수량을 빼는 단계와 고객에게 구입을 확인 시키는 단계와 대금 결재 방법을 제시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직통신판매 방식.
KR1019990061450A 1999-12-23 1999-12-23 농산물 직거래 통신판매 방법 KR200100579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1450A KR20010057996A (ko) 1999-12-23 1999-12-23 농산물 직거래 통신판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1450A KR20010057996A (ko) 1999-12-23 1999-12-23 농산물 직거래 통신판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7996A true KR20010057996A (ko) 2001-07-05

Family

ID=19629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1450A KR20010057996A (ko) 1999-12-23 1999-12-23 농산물 직거래 통신판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5799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921B1 (ko) * 2000-04-06 2003-02-19 주진호 인터넷을 이용한 농축산물의 현물/선물 매매방법
KR20030043530A (ko) * 2001-11-28 2003-06-02 이영희 인터넷 경매시스템
KR102171778B1 (ko) 2020-03-05 2020-10-29 유병만 수산물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2921B1 (ko) * 2000-04-06 2003-02-19 주진호 인터넷을 이용한 농축산물의 현물/선물 매매방법
KR20030043530A (ko) * 2001-11-28 2003-06-02 이영희 인터넷 경매시스템
KR102171778B1 (ko) 2020-03-05 2020-10-29 유병만 수산물 직거래 중개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rdesty et al. Determining marketing costs and returns in alternative marketing channels
Ferris et al. Evaluating marketing opportunities for haricot beans in Ethiopia
Acharya Agricultural marketing in India: Some facts and emerging issues
Gebremedhin et al. A guide to market-oriented extension services with special reference to Ethiopia
Tschirley et al. Improving Kenya's Domestic Horticultural Production and Marketing System: Current Competitiveness, Forces of Change, and Challenges for the Future Volume II: Horticultural Marketing
Sultana Rice marketing in Bangladesh: from the perspective of village study at cox’s bazar district
Ameru et al. Towards improving agricultural marketing information systems for smallholder farmers: a Tharaka Nithi case
Meena et al. Electronic-National Agricultural Market (e-NAM): initiative towards doubling the farmers’ income in India
JP2001243556A (ja) 農業関連商品管理システム
Menkhaus et al. Food retailing and supply chain linkages in the Russian Federation
KR20010057996A (ko) 농산물 직거래 통신판매 방법
Nkonya et al. Agricultural input marketing in Uganda
Saty et al. Distribution analysis of the supply chain of catfish (Pangasius) agribusiness in Kota Gajah District, Central Lampung, Indonesia
Smale et al. Trading millet and sorghum genetic resources: Women vendors in the village fairs of San and Douentza, Mali
Heri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horticultural sector in Zimbabwe
Shepherd MARKET INFORMATION SERVICES
Ochieng et al. Structure, conduct and performance of maize markets in Malawi: Synopsis
Bayata et al. Market Chain Analysis of Peanut in Bambasi District; Benishangul Gumuz Region, Western Ethiopia
Mahaur Commercial Aspect of Agricultural Enterprising Process for Rural Economic Development
Banti et al. Value Chain Analysis of Head Cabbage: The Case of Kofele and Kore Districts in West Arsi Zone, Oromia National Regional State, Ethiopia
Anderson et al. Assessing Marketing Alternatives for Small Farmers in Selected Alabama Black Belt Counties
Bukul et al. Analysis of head cabbage market performance in Kofele and kore districts, Oromia region, Ethiopia
Alvarez Upgrading Options for Small Cocoa Producers in Guatemala
Louw et al. Global trends in fresh produce markets
SAKURAI Evaluation of Tanzanian Rice Marketing in the Late 1990's Market Structure and Performance after Market Liberal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