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1335A -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1335A
KR20160131335A KR1020150063401A KR20150063401A KR20160131335A KR 20160131335 A KR20160131335 A KR 20160131335A KR 1020150063401 A KR1020150063401 A KR 1020150063401A KR 20150063401 A KR20150063401 A KR 20150063401A KR 20160131335 A KR20160131335 A KR 20160131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chase
seller
score
buy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3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1730B1 (ko
Inventor
서동근
박송용
박천일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63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730B1/ko
Publication of KR20160131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9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profile or attribu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5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구매 품목이 결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구매자 단말을 통해 구매 조건을 포함하는 구매 요청을 입력 받는 단계, 판매자 단말을 통해 구매 조건에 대응하는 판매 조건을 입력 받고, 판매 조건을 포함하는 판매 제의를 입력 받는 단계, 물품에 대한 합산된 평가 점수 및 판매자에 대한 조정된 기본 점수를 이용하여 구매 제의를 하는 단계, 판매 제의와 구매 제의가 일치하는 경우, 구매자 단말과 판매자 단말을 매칭하는 단계, 구매자 단말 및 판매자 단말이 상호간에 세부 구매 정보 및 세부 판매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구매자 단말과 판매자 단말이 각각 상대방에 대한 평가 점수와 가중치를 입력 받는 단계, 상기 물품에 대한 합산된 평가 점수, 상기 판매자에 대한 조정된 기본 점수 및 판매자에 대한 조정된 평가 점수를 이용하여 구매물품리스트와 판매자리스트의 우선순위를 조정하여 거래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매물품이 미리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구매물품과 판매자를 추천할 수 있는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방법이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CONSUMER ORIENTED E-COMMERCE CONSIDERING BUYERS SITUATION AND SELLERS SITUATION}
본 발명은,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하여 구매자가 구매할 품목을 확정하지 못한 상태에서도 구매자에게 판매정보를 제공하는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최근에는 전자 상거래가 주요한 거래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상거래를 위한 사이트로는 e-bay, G마켓, 11st, 인터파크, 다나와, GS이숍, CJ몰을 그 예로 들 수 있다. 일반 적으로 이러한 사이트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에서는 상품 카테고리별로 상품 판매자가 올린 상품을 그 사이트에 방문한 구매자가 구매하도록 함으로써, 판매자에게는 온라인상에서 구매자를 연결함으로써 별도의 오프라인 매장이 없이도 판매가 가능하도록 하고, 구매자에게는 시간과 공간적인 제약없이 온라인상에서 원하는 물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전자 상거래 사이트는 모두 판매자를 위한 것으로서 구매자는 수많은 판매자용 사이트에 접속하여 수많은 제품들 중에서 자기가 원하는 물품을 선택하여야 하였으며, 따라서 많은 시간을 물품을 찾는데 허비하였고 나아가 물품의 가격과 품질, 물품의 종류 및 세부 기능 차이 등까지 파악하려면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이유로, 구매자들은 구매를 함에 있어서 전자 상거래 사이트를 완전히 신뢰하지 못한 채, 오프라인(off line) 매장들을 돌아다니며, 발 품을 팔아야 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몇몇 유명 전자상거래 사이트는 구매자를 위한 온라인 상품 구매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나, 이들은 구매자가 진정으로 필요로 하는 상품의 목록을 구매자에게 제공하기 보다는, 구매자가 이미 구매하기로 결정한 상품에 대한 가격과 서비스의 정보만을 구매자에게 제공하여, '어떤 상품을 살 것인가'에 대한 결정은 구매자에게 여전히 일임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구매자는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결정하기 위하여, 구매자의 경제력, 구매자의 다양한 욕구, 구매자의 취향, 시대의 흐름, 상품의 용도, 가지고 있는 물품과의 어울림 등을 고려해야 할 뿐 아니라, 배송 시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판매자의 상주 지역, 판매자의 서비스, 판매자의 친절도 등도 고려하여야 한다.
한편, 종래의 전자 상거래 사이트는 판매자의 입장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예컨대, 판매자가 전국적인 인지도가 있지 않다면 상대적으로 상품의 판매 기회가 제약되는 문제가 있으며, 판매자의 입장에서 구매자를 평가하여 구매자의 구매 신용도를 판단하여 판매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구매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결정하는 단계부터 상품을 구매하는 단계에 이르기까지 통합하여 구매자의 상품 구매를 도우며, 영세한 판매자 들에게도 판매의 기회를 제공하고, 구매자의 구매 신용도를 판매자에게 제공하여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함께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방법 및 시스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2000-0054577호(2000.09.05.)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매품목이 결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출발하여 판매자의 지역, 구매상황, 디자인 등 주관적인 구매 조건을 이용하여, 구매자가 구매 품목을 결정하고 판매자를 선택한 뒤 구매 결정에 이르기까지의 일련의 구매 과정을 돕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구매 조건 각각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수치화 하고, 이를 이용하여 판매자가 적절한 판매 조건을 입력할 수 있고 구매자가 진정으로 원하는 상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구매자의 입장에서 판매자를 평가하고, 판매자의 입장에서 구매자를 평가하여 이를 거래의 확정 조건으로 이용하여 판매자와 구매자 상호간에 가장 만족도가 높은 거래를 성사시키기 위함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방법은, 구매 품목이 결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구매자 단말을 통해 구매 조건을 포함하는 구매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판매자 단말을 통해 구매 조건에 대응하는 판매 조건을 입력받고, 판매 조건을 포함하는 판매 제의를 입력받는 단계, 물품에 대한 합산된 평가 점수 및 판매자에 대한 조정된 기본 점수를 이용하여 구매 제의를 하는 단계, 판매 제의와 구매 제의가 일치하는 경우, 구매자 단말과 판매자 단말을 매칭하는 단계, 구매자 단말 및 판매자 단말이 상호간에 세부 구매 정보 및 세부 판매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구매자 단말과 판매자 단말이 각각 상대방에 대한 평가 점수와 가중치를 입력받는 단계 및 물품에 대한 합산된 평가 점수, 상기 판매자에 대한 조정된 기본 점수 및 판매자에 대한 조정된 평가 점수를 이용하여 구매물품리스트와 판매자리스트의 우선순위를 조정하여 거래를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구매 조건은, 상품의 객관적인 특성에 대한 구매 조건, 주관적인 선호에 대한 구매 조건, 객관적인 특성에 대한 구매 조건과 주관적인 선호에 대한 구매 조건 각각에 대해 요구되는 자체 가치의 최소값 및 객관적인 특성에 대한 구매 조건과 주관적인 선호에 대한 구매 조건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포함한다.
또한, 판매 조건은, 객관적인 특성에 대한 구매 조건 및 주관적인 선호에 대한 구매 조건 각각에 대응하는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매 제의를 하는 단계는 판매 조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물품에 대한 합산된 평가 점수를 산출하고, 판매자의 기본 점수에 판매자의 기본 점수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조정된 기본 점수를 산출한 뒤, 합산된 평가 점수와 조정된 기본 점수를 이용하여 구매 제의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판매자의 기본 점수는 미리 입력된 판매자의 객관적인 속성에 대한 점수이고 조정된 기본 점수는 기본 점수에 판매자의 기본 점수에 대한 가중치를 곱 연산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한다.
물품에 대한 합산된 평가 점수는 수식 1을 이용하여 산출된다.
(수식 1)
Figure pat00001
여기서
Figure pat00002
는 판매자 단말을 통해 입력받은 특정 물품에 대한 합산된 평가 점수,
Figure pat00003
는 판매자 단말을 통해 입력받은
Figure pat00004
번째 구매조건에 대한 자체가치,
Figure pat00005
는 구매자 단말을 통해 입력받은
Figure pat00006
번째 구매조건에 대한 자체가치의 최소값,
Figure pat00007
는 구매자 단말을 통해 입력받은
Figure pat00008
번째 구매조건에 대한 가중치,
Figure pat00009
는 구매자 단말을 통해 입력받은
Figure pat00010
번째 구매조건에 대한 특별 가중치를 의미한다.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비동기식 대화창을 통해 텍스트, 그림, 동영상을 전송하여 상품에 대한 상담 및 거래 조건을 협의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대방에 대한 평가 점수와 가중치를 입력받는 단계에서 상대방에 대한 평가 점수는 구매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판매자에 대한 점수와 판매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구매자에 대한 점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거래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대방에 대한 평가 점수 및 가중치를 이용하여 구매자 및 판매자 각각에 대한 조정된 평가 점수를 산출한 뒤 세부 구매 정보, 세부 판매 정보 및 조정된 평가 점수를 이용하여 구매물품리스트 및 판매자리스트의 우선순위를 조정하고 우선순위, 물품에 대한 합산된 평가 점수 및 판매자에 대한 조정된 기본점수를 이용하여 구매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시스템은 구매 조건, 구매 요청, 구매 제의를 비롯한 구매 정보를 입력받는 복수 개의 구매자 단말, 판매 조건, 판매 제의를 비롯한 판매 정보를 입력받는 복수 개의 판매자 단말 및 구매자 단말과 판매자 단말간 정보 교환을 매개하며, 구매자 단말과 판매자 단말 간에 세부 구매 정보 및 세부 판매 정보를 상호간에 제공할 수 있는 비동기식 대화창을 생성하며 물품에 대한 합산된 평가점수를 산출하고 구매물품리스트와 판매자리스트를 이용한 매트릭스(matrix)를 생성하는 시스템 서버를 포함한다.
구매 조건은 제 2구매자 화면을 통해 입력되며, 상품의 객관적인 특성에 대한 구매 조건, 주관적인 선호에 대한 구매 조건, 상기 객관적인 특성에 대한 구매 조건과 주관적인 선호에 대한 구매 조건 각각에 대해 요구되는 자체 가치의 최소값 및 상기 객관적인 특성에 대한 구매 조건과 주관적인 선호에 대한 구매 조건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판매 조건은 제 3판매자 화면을 통해 입력되며 객관적인 특성에 대한 구매 조건 및 주관적인 선호에 대한 구매 조건 각각에 대응하는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스템 서버는 판매 조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물품에 대한 합산된 평가 점수를 산출하고, 판매자의 기본 점수에 판매자의 기본 점수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조정된 기본 점수를 산출한 뒤, 상기 합산된 평가 점수와 상기 조정된 기본 점수를 구매자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시스템.
판매자의 기본 점수는 미리 입력된 판매자의 객관적인 속성에 대한 점수이고 조정된 기본 점수는 기본 점수에 판매자의 기본 점수에 대한 가중치를 곱 연산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합산된 평가 점수는 수식 1을 이용하여 산출된다.
(수식 1)
Figure pat00011
여기서
Figure pat00012
는 판매자 단말을 통해 입력받은 특정 물품에 대한 합산된 평가 점수,
Figure pat00013
는 판매자 단말을 통해 입력받은
Figure pat00014
번째 구매조건에 대한 자체가치,
Figure pat00015
는 구매자 단말을 통해 입력받은
Figure pat00016
번째 구매조건에 대한 자체가치의 최소값,
Figure pat00017
는 구매자 단말을 통해 입력받은
Figure pat00018
번째 구매조건에 대한 가중치,
Figure pat00019
는 구매자 단말을 통해 입력받은
Figure pat00020
번째 구매조건에 대한 특별 가중치를 의미한다.
구매자 단말 및 판매자 단말은 비동기식 대화창을 통해 텍스트, 그림, 동영상 등을 전송하여 상품에 대한 상담 및 거래 조건을 협의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매자 단말 및 판매자 단말은 각각 상대방에 대한 평가 점수를 입력받고 상대방에 대한 평가 점수는 구매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판매자에 대한 점수와 판매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구매자에 대한 점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스템 서버는 상대방에 대한 평가 점수 및 가중치를 이용하여 구매자 및 판매자 각각에 대한 조정된 평가 점수를 산출한 뒤 세부 구매 정보, 세부 판매 정보 및 조정된 평가 점수를 이용하여 구매물품리스트 및 판매자리스트의 우선순위를 조정하고, 조정된 우선순위, 물품에 대한 합산된 평가 점수 및 판매자에 대한 조정된 기본점수를 구매자 단말 및 판매자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매자는 원하는 구매 품목을 결정하지 못한 상태에서도 구매 조건을 이용하여 구매 요청 및 구매 제의를 하여 판매자로 하여금 가장 적절한 품목에 대한 판매 제의를 할 수 있도록 하여 구매자의 구매 결정을 돕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구매자 및 판매자는 상대방에 대한 평가를 할 수 있으므로, 단순한 구매 품목에 대한 평가뿐만 아니라 거래 전반에 걸쳐 구매자 및 판매자의 거래 태도를 거래의 조건으로 활용하여, 판매자는 더욱 친절히 구매 협상에 응하게 되고 구매자 또한 판매자에게 지나친 요구를 하지 않게 되어 건전한 거래 질서 확립의 도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시스템에서 판매자와 구매자 단말에 모두 표시되는 공통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시스템에서 구매자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시스템에서 판매자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시스템에서 구매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시스템에서 판매자 평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시스템에서 구매자 평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정보흐름도이다.
도 10은 후보구매물품리스트와 후보판매자리스트로 구성된 매트릭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구매물품리스트와 판매자리스트로 구성된 매트릭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방법에서 구매자 측 구매 확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방법에서 판매자 측 판매 확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측적 군집화 기반 협업 필터링 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은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4d는 판매자와 구매자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을 각각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시스템에서 구매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시스템에서 판매자 및 구매자 평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정보흐름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각각 구매물품리스트와 판매자리스트에 대한 매트릭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방법에서 구매자 및 판매자 각각의 입장에서 구매 및 판매 확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시스템은 인터넷을 통해 서로 정보를 교환하는 복수 개의 구매자 단말(100), 복수 개의 판매자 단말(200) 및 시스템 서버(300)를 포함한다.
복수 개의 구매자 단말(100)은 구매자들로부터 구매 조건, 구매 요청, 구매 제의 및 판매자 평가 점수를 비롯한 구매 정보를 입력받고, 상황에 맞는 구매자 화면을 출력하여 현재 거래 단계에 부합하는 정보를 구매자에게 제공한다.
복수 개의 판매자 단말(200)은 판매자들로부터 판매 조건, 판매 제의 및 구매자 평가 점수를 비롯한 판매 정보를 입력받고, 상황에 맞는 판매자 화면을 출력하여 현재 거래 단계에 부합하는 정보를 판매자에게 제공한다.
시스템 서버(300)는 구매자 단말(100)과 판매자 단말(200) 간 정보 교환을 매개하며, 구매자의 구매 조건과 가중치를 이용하여 판매자의 판매 물품에 대한 평가 점수를 산출하고, 구매자 및 판매자의 상대방에 대한 조정된 평가 점수를 산출하며, 거래 확정에 앞서 구매자와 판매자가 세부 구매 정보 및 세부 판매 정보를 상호간에 제공할 수 있는 비동기식 대화창을 생성하여, 구매자 단말(100)과 판매자 단말(200) 각각에 제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매자 단말(100)과 판매자 단말(200)은 공통 화면(110)을 출력할 수 있다. 공통 화면(110)에서 구매자 및 판매자는 회원 가입을 할 수 있다. 그리고 공통 화면(110)에서 구매자 및 판매자는 로그인(log-in)을 할 수 있으며, 구매자가 로그인한 경우 구매자 단말(100)은 구매자 전용 화면을 출력하고 판매자가 로그인한 경우 판매자 단말(200)은 판매자 전용 화면을 출력한다.
이때, 판매자 전용 화면에는 판매자의 홈페이지(home page)의 특정 화면에 연동되는 링크(link)가 표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판매자 홈페이지의 정보에 대한 검색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매자 화면(120)에는 구매자의 회원 정보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회원 정보 갱신 탭, 구매하고자 하는 구매 물품을 분류한 구매 물품 분류표, 특정 물품을 구매하고자 할 때 구매 요청 전에 알아야 할 사항 및 이에 대한 인터넷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구매가이드 탭, 새로운 구매 요청에 대한 입력을 받는 구매 요청 탭 및 기존의 구매 요청 리스트 확인할 수 있는 구매 요청 리스트 탭이 출력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구매자 화면(130)에는 구매 조건을 입력받고 수정할 수 있는 구매 조건 입력 및 수정 탭, 구매 조건 입력 후 구매 요청을 할 수 있는 구매 요청 탭 및 구매 요청에 대한 편집, 저장, 열기, 업로드 기능을 포함하는 구매 요청 수정 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더욱 세부적인 조건들이나 제안을 입력받는 자유 문장 쓰기 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구매 조건은 구매 물품명, 구매 용도, 구매에 있어서 제약조건, 구매 물품의 특징을 포함하는 구매 상품에 대한 정보와 구매 가격 범위, 구매 수량, 구매 시기, 구매 지역을 비롯한 거래의 제반 조건 그리고 각 구매 조건에 대해 구매자가 입력한 구매 조건 별 가중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구매 조건은 구매 조건표를 이용하여 입력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매 조건표에는 제품 종류, 제품명, 구매 조건 별 가중치, 구매자 특수 요구사항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구매 조건표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구매자 화면(140)에는 판매자를 검색하고 선택할 수 있는 탭, 검색된 판매자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탭, 각 판매자들을 비교할 수 있는 탭, 구매 요청에 대한 판매 제의 리스트를 출력하는 탭, 판매 제의 리스트 중 특정 판매 제의를 선택할 수 있는 탭 등이 출력될 수 있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구매자 화면(150)에는 판매자 단말과 비동기식 대화를 통해 텍스트, 그림, 동영상 등을 전송하여 상품에 대한 상담 및 조건을 협의 할 수 있는 대화창, 판매자에 대한 정보 및 판매자 홈페이지의 상품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탭 그리고 판매 정보 및 대화를 통한 구매 상담에서의 판매자의 친절도 등을 수치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판매자 평가표가 출력될 수 있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판매자 화면(220)에는 판매자의 회원 정보를 갱신할 수 있는 탭, 회사 홍보물을 게시할 수 있는 탭, 판매 물품 정보를 등록하고 판매 물품 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는 탭이 출력된다. 나아가, 제 1판매자 화면(220)에는 판매 품목 별로 구매 요청 리스트를 검색할 수 있는 탭과 구매자 각각의 구매 신용도를 검색할 수 있는 탭 등이 더 출력될 수 있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판매자 화면(230)에는 구매 요청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는 탭, 구매 요청을 검색하고 선택할 수 있는 탭, 구매 요청에 대해 판매 제의를 할 수 있는 탭 및 특정 구매 제의에 대해 세부적인 판매를 진행할 수 있는 탭이 출력될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판매자 화면(240)에는 구매 요청에 대응하여 판매 조건을 입력받고 수정할 수 있는 판매 조건 입력 및 수정 탭, 판매 조건 입력 후 판매 제의를 할 수 있는 판매 제의 탭 및 판매 제의에 대한 편집, 저장, 열기, 업로드 기능을 포함하는 판매 제의 수정 탭을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구매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자유 문장에 대한 답변을 비롯하여 세부적인 판매 조건을 기술하기 위한 자유 문장 쓰기 탭을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판매 조건은 구매자가 입력한 구매 조건 각각에 상응하는 수치로 입력될 수 있으며, 판매자는 구매 조건에 상응하는 판매 조건을 입력함으로써 자신의 상품이 구매 조건에 대하여 얼마만큼 부합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나아가, 판매 조건은 판매 조건표를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판매자 화면(250)에는 구매자 단말(100)과 비동기식 대화를 통해 텍스트, 그림, 동영상 등을 전송하여 상품에 대한 상담 및 조건을 협의 할 수 있는 대화창, 판매 제의가 된 상품에 대한 설명, 홍보 및 서비스에 대한 설명을 할 수 있는 탭, 판매 제의를 갱신할 수 있는 탭 및 대화를 통한 판매 상담에서 구매자의 태도, 구매자의 거래 성사율 등을 수치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구매자 평가표가 출력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매 조건표는 제 2 구매자 화면에서 출력되어, 구매하고자 하는 품목을 확정하지 못한 상태에서도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성능을 비롯한 객관적인 구매 조건과 디자인 친환경도 등을 비롯한 주관적인 구매 조건을 고려하여 가중치를 이용하여 물품에 대한 평가점수를 산출한 뒤, 구매할 품목을 확정하고 판매자를 선택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한다.
더욱 상세하게, 구매 조건표는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이 지역에서 생산되지 않는 대량 생산 공산품인지, 지역에서도 생산이 될 수 있는 소량 생산 가능 물품인지에 대한 정보,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이 속하는 카테고리,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의 성능,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의 편의성,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의 브랜드,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의 모델을 비롯한 상품의 객관적인 구매 조건과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의 디자인,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이 친환경적 인지 여부,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의 용도를 비롯한 상품의 주관적인 구매 조건을 입력받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구매 조건표는 각 구매 조건에 대한 자체 가치의 최소값을 입력받을 수 있고, 구매자가 각 상품을 구매함에 있어서 자신이 더욱 중요하다고 판단하는 구매 조건에 대하여 주관적인 선호도를 나타내기 위한 각 구매 조건에 대한 가중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나아가, 구매 조건표는 구매자가 선호하는 제품의 특징을 입력받을 수 있는 구매자 자유 선호도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매자가 냉장고를 구매하고자 한다고 가정한다. 구매자 단말(100)은 구매 조건표를 이용하여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의 자체 가치를 특정 등급 이상으로 지정한 구매 요청을 받을 수 있다. 또한 각 구매 조건에 대하여 상대 가치로 표현되는 가중치를 설정 받을 수 있다.
여기에서, 자체 가치는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이 가지고 있는 절대적인 속성을 의미하며 상대 가치는 구매자가 개인적으로 원하는 물품의 속성에 대한 가중치를 의미할 수 있다.
만약, 구매자 단말(100)이 구매 조건표를 통해 자체 가치로서 4등급 이상의 성능, 4등급 이상의 편의성, 5등급 이상의 에너지 효율, 4등급 이상의 디자인을 가지되 디자인은 꽃무늬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구매하기를 원한다는 입력을 받으며, 동시에 성능에 대한 상대 가치는 5등급, 편의성에 대한 상대 가치는 3등급, 에너지 효율에 대한 상대 가치는 4등급, 디자인에 대한 상대가치는 5등급에 해당하는 가중치를 각각의 항목에 대해 입력받으며, 나아가 냉장고가 꽃무늬를 포함한다면 디자인 항목에 특별 가중치를 부여하여 디자인 가중치를 2배로 한다는 입력을 받은 경우, 구매자 단말(100)은 시스템 서버(300)에 입력받은 자체 가치, 상대 가치 및 특별 가중치가 포함된 구매 조건표를 전송함과 동시에 이를 이용하여 구매요청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상대 가치는 가중치일 수 있다.
이 경우 판매자 단말(200)은 제 3 판매자 화면을 통하여 구매자의 구매 조건표에 대응하는 판매 조건표를 입력받을 수 있다. 만약 판매자 단말(200)이 상술한 구매 조건표에 대응하여 자신이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은 5등급의 성능을 가지고, 4등급의 편의성을 가지며, 디자인은 4등급이며 꽃무늬를 포함하고 있으며, 에너지 효율은 4등급이라는 정보를 입력받았다면 수식 1을 통하여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평가 점수가 산출된다.
(수식 1)
Figure pat00021
여기서
Figure pat00022
는 판매자 단말을 통해 입력받은 특정 물품에 대한 평가 점수의 총합,
Figure pat00023
는 판매자 단말을 통해 입력받은
Figure pat00024
번째 구매조건에 대한 자체가치,
Figure pat00025
는 구매자 단말을 통해 입력받은
Figure pat00026
번째 구매조건에 대한 자체가치의 최소값,
Figure pat00027
는 구매자 단말을 통해 입력받은
Figure pat00028
번째 구매조건에 대한 가중치,
Figure pat00029
는 구매자 단말을 통해 입력받은
Figure pat00030
번째 구매조건에 대한 특별 가중치를 의미한다. 나아가 구매자 단말이 특별 가중치를 입력받지 못한 경우
Figure pat00031
는 1로 결정된다.
더욱 상세하게, 상술한 예시의 경우 성능과 관련된 평가 점수는 (1+0.5*(5-4))*5*1의 계산 결과인 7.5로 나타나며, 편의성과 관련된 평가 점수는 (1+0.5*(4-4))*3*1의 계산 결과인 3으로 나타나며, 에너지 효율과 관련된 평가 점수는 (1+0.5*(4-5))*4*1의 계산 결과인 2로 나타나며, 디자인과 관련된 평가 점수는 꽃무늬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1+0.5*(4-4))*5*2의 계산 결과인 10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구매자의 입장에서 냉장고를 평가한 평가 점수의 총합은 22.5로 나타나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매자 단말(100)의 제 4 구매자 화면에는 판매자를 평가할 수 있는 판매자 평가표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판매자 평가표에는 각 판매자의 신용도 등을 비롯한 판매자 자체의 속성으로부터 산출된 판매자 기본 점수(자체 가치)가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구매자 단말(100)과 판매자 단말(200)이 비동기식 대화를 진행하면서 구매자 단말(100)이 입력받은 판매자에 대한 평가 점수(자체 가치)와 가중치(상대 가치)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판매자 기본 점수는 물품에 대한 평가 점수의 총합과 함께, 구매자 단말(100)이 복수개의 판매 제의 리스트 중 판매 후보를 선택하는 기준이 될 수 있으며, 판매자 기본 점수와 가중치를 이용하여 조정된 판매자에 대한 기본 점수는 특정 물품에 대한 평가 점수의 총합 및 조정된 판매자에 대한 평가 점수와 함께 최종 거래확정을 위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판매자 평가표에 미리 설정된 판매자 기본 점수는 판매자의 관련 품목에 대한 판매고, 판매자와 구매자간의 거리, 판매자의 평판 등과 같이 구매자의 평가를 기다리지 않고도 산정될 수 있는 판매자의 성질에 대한 객관적인 지표를 이용한 점수일 수 있다. 또한 판매자에 대한 평가 점수는 판매자가 제공하는 정보의 유익함, 판매자의 친절도, 애프터서비스(AS)와 같이 구매자의 평가를 기다려서 산정될 수 있는 판매자의 성질에 대한 주관적인 지표를 이용한 점수일 수 있다. 구매자 단말(100)은 이들 판매자 자체의 속성에 대하여 자체 가치의 최소치를 입력받을 수 있고 판매자 속성 각각에 대하여 가중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경우, 판매자 평가표를 통하여 판매자 자체의 점수가 산출되며, 판매자 자체의 점수를 산출하는 과정은 상술한 물품에 대한 평가점수를 구하는 과정과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조정된 판매자의 기본 점수 및 평가 점수를 산출하는 방법은 판매자 기본 점수(자체 가치)에 가중치(상대 가치)를 곱 연산하거나 판매자의 평가 점수(자체 가치)에 가중치(상대 가치)를 곱 연산하는 방식으로 구해질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판매자 화면에서는 판매자 단말(200)은 구매자를 평가할 수 있는 구매자 평가표를 출력할 수 있다. 구매자 단말(100)과 판매자 단말(200)이 비동기식 대화를 진행하면서 판매자 단말(100)은 구매자에 대한 평가 점수와 가중치를 입력받는다. 이러한, 구매자에 대한 평가는 점수화되어 상술한 특정 물품에 대한 평가 점수의 총합과 함께 최종 거래확정을 위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구매자 평가표에는 구매자와 판매자 간의 거리, 구매자의 평판, 구매자의 거래 성사율 등 구매자 자체의 속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판매자 단말(200)은 구매자 자체의 속성에 대해 자체 가치와 가중치를 입력받아 구매자를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할 수 있다.
이상 구매자 단말과 판매자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과 판매 물품, 판매자 및 구매자에 대한 평가 점수와 가중치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이들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불과하며, 구매자 단말과 판매자 단말에 표시되는 화면과 평가 점수 산정 방식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변형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방법은 구매자 단말(100)이 구매 품목이 결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품의 객관적인 특징과 구매자의 주관적인 선호도 각각에 대하여 가중치를 부여한 구매조건을 포함하는 구매요청을 입력받는 단계(S100), 판매자 단말(200)이 구매 조건에 대응하는 판매 품목에 대한 판매 조건을 포함하는 판매 제의를 입력받는 단계(S110), 판매 품목에 대한 판매 조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판매 물품에 대한 합산된 평가 점수를 산출하고, 판매자 자체의 속성과 가중치를 이용하여 조정된 기본 점수를 산출한 뒤, 합산된 평가 점수 및 조정된 기본 점수를 이용하여 구매 제의를 하고, 판매 제의와 구매 제의가 일치하는 경우 구매자 단말(100)과 판매자 단말(200)을 매칭하는 단계(S120), 비동기식 대화창을 이용하여 구매자 단말(100)과 판매자 단말(200)이 상호간에 세부 구매 정보 및 세부 판매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130), 구매자 단말(100)과 판매자 단말(200)이 각각 상대방에 대한 평가 점수와 가중치를 입력받는 단계(S140), 입력된 상대방에 대한 평가 점수 및 가중치를 이용하여 구매자 및 판매자에 대한 조정된 평가 점수가 산출되고 물품에 대한 합산된 평가 점수, 구매자에 대한 조정된 평가 점수 및 판매자에 대한 조정된 기본 점수와 조정된 평가 점수를 이용하여 구매물품리스트와 판매자리스트의 우선순위를 조정하여 거래를 확정하는 단계(S150)를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매자는 판매자 단말(200)을 통하여 로그인 한 뒤, 판매자 단말(200)은 판매 물품에 대한 정보를 입력(S230)받는다. 그 뒤, 판매자 단말(200)은 입력된 판매 물품 정보를 시스템 서버(300)에 전송(S231)한다. 한편, 구매자는 구매자 단말(100)을 통하여 로그인 한 뒤, 구매자 단말(100)은 구매 품목이 결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품의 객관적인 특징과 구매자의 주관적인 선호도 각각에 대하여 가중치를 부여한 구매조건을 입력(S210)받는다. 그 뒤, 구매자 단말(100)은 구매조건을 이용하여 시스템 서버(300)에 구매요청(S211)을 한다. 그 뒤, 시스템 서버(300)는 해당 구매조건에 해당하는 여러 물품들을 후보구매물품리스트로 구성하고, 해당 물품을 판매한다고 사전에 시스템에 등록한 판매자들을 후보판매자리스트로 구성한다. 이때, 후보구매물품리스트에는 물품 각각에 대한 우선 순위가 표시되지 않는다. 그 뒤, 시스템 서버(300)는 구매자의 구매조건과 구매요청을 후보판매자리스트의 각 판매자 단말(200)에 전송(S220)한다. 그 뒤, 판매자 단말(200)은 구매 요청 리스트와 구매 조건표에 대응하는 판매 조건을 입력받는다(S232). 판매자 단말(200)은 입력받은 판매 조건과 함께 판매 제의를 시스템 서버(300)에 전송한다. 시스템 서버(300)는 입력받은 구매 조건, 가중치 및 판매 조건을 이용하여 판매 물품에 대한 평가 점수를 산출(S221)하고 산출된 물품에 대한 합산된 평가 점수, 판매 제의 정보 및 판매자에 대한 조정된 기본 점수를 구매자 단말(100)에 전송(S222)한다. 구매자 단말(100)은 시스템 서버(300)를 통해 입력받은 복수개의 판매 제의 리스트를 출력하고 판매 제의 리스트 중 판매 후보의 선택을 입력(S212)받는다. 구매자 단말(100)은 시스템 서버(300)를 통하여 입력받은 판매 후보 선택에 대응하는 판매자 단말(200)에 구매 제의를 전송(S213, S223)한다. 시스템 서버(300)는 판매 제의를 전송한 판매자 단말에 대하여 구매 제의가 이루어지면 대화창을 생성(S224)하고, 대화창이 생성되었다는 정보를 구매자 단말(100)과 판매자 단말(200)각각에 전송(S225, S226)한다. 대화창이 생성되면 구매자 단말(100)과 판매자 단말(200)은 상호간에 거래와 관련된 세부적인 정보를 교환하며 세부 구매 및 세부 판매를 진행(S214, S234)한다. 여기서, 후보구매물품리스트는 구매자 단말(100)로부터 입력받은 구매조건에 대응하여 우선순위가 부여된 구매물품리스트로 재조정된다. 또한 후보판매자리스트도 과거의 판매활동에 의한 선호도 누적점수가 있으면, 우선순위가 부여된 판매자리스트로 재조정된다. 나아가, 구매협상의 대상으로 선택된 물품들과 판매자들은 선택되지 않은 물품들 또는 선택되지 않은 판매자들과 구별이 될 수 있도록 표시된다. 대화창을 통해 구매자 단말(100)과 판매자 단말(200)이 정보를 교환하면서, 구매자 단말(100)은 구매물품들과 판매자들에 대한 중간점수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입력된 중간점수를 이용하여 구매물품리스트와 판매자리스트의 구매물품과 판매자에 대한 우선순위는 즉각적으로 재조정된다. 이 때, 입력된 판매자에 대한 중간점수는 판매자에 대한 평가 점수와 가중치일 수 있다. 나아가, 마찬가지로 판매자 단말(200)은 구매자에 대한 평가 점수와 가중치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시스템 서버(300)는 구매자 단말(100)로부터 입력된 판매자에 대한 평가 점수와 가중치를 조합하여 판매자에 대한 조정된 평가 점수를 산출(S227)하고 이를 판매자 단말에 전송(S229)한다. 마찬가지로, 시스템 서버(300)는 판매자 단말(200)로부터 입력된 구매자에 대한 평가 점수와 가중치를 조합하여 구매자에 대한 조정된 평가 점수를 산출(S227)하고 이를 구매자 단말(100)에 전송(S228)한다. 그 뒤, 구매자 단말(100)은 물품에 대한 합산된 평가점수와 판매자에 대한 조정된 기본 점수 및 판매자에 대한 조정된 평가 점수를 이용하여 최종 구매 확정에 대한 입력을 받는다(S215). 또한 판매자 단말(200)은 구매자에 대한 조정된 평가 점수를 이용하여 최종 판매 확정에 대한 입력을 받는다(S235). 최종 구매 확정 및 최종 판매 확정에 앞서 구매자 단말(100)과 판매자 단말(200)이 대화창을 통해 정보교환을 진행하면서, 시스템 서버(300)는 구매물품리스트와 판매자리스트의 우선순위를 지속적으로 재조정하며 구매물품과 판매자에 대한 우선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구매물품과 판매자를 구매자 단말(100) 및 판매자 단말(200)에 제공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 서버(300)는 구매조건에 해당하는 후보구매물품리스트와 해당 물품을 판매하는 후보판매자리스트를 이용하여 매트릭스(matrix)를 구성하며, 이러한 매트릭스에는 각 판매자들이 판매하고 있는 물품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며, 우선순위가 표시되지 않는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매자 단말(100)과 판매자 단말(200)이 대화창을 이용하여 세부 정보를 교환하면, 시스템 서버(300)는 후보구매물품리스트와 후보판매자리스트로 구성된 매트릭스의 우선순위를 조정하여, 구매물품리스트와 판매자리스트로 구성된 매트릭스를 생성한다. 이때, 짙은 선으로 표시된 영역은 구매확률이 높은 물품과 구매확률이 높은 판매자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매트릭스의 좌측 상단(s1 판매자가 판매하고 있는 물품 1)에 있는 물품은 가장 구매확률이 높은 물품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구매자는 반드시 가장 구매확률이 높은 물품을 선택할 필요는 없으며, 구매자 단말(100)은 실제로 구매자가 구매하기를 원하는 물품인, 짙은 동그라미로 표시된 s3 판매자가 판매하고 있는 물품 1을 구매하는 것 대한 입력을 받을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매자 단말(100)은 구매자가 로그인 하면, 제 1 구매자 화면을 출력(S310)한다. 구매자 단말(100)은 새로운 구매 요청에 대한 입력(S320)을 받으며, 만약 구매자 단말(100)이 새로운 구매 요청이 있다는 입력을 받으면 구매자 단말(100)은 제 2 구매자 화면을 출력(S321)한 뒤, 구매 조건과 가중치를 입력받고 해당되는 정보를 시스템 서버(300)에 전송(S322)한다.
이때, 새로운 구매 요청이 없다면, 구매자 단말(100)은 기존 구매 요청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할 것인지에 대한 입력을 받는다(S330). 만약, 구매자 단말(100)이 기존의 구매 요청 리스트 중 하나를 선택하여 거래를 진행하겠다는 입력을 받으면 제 3 구매자 화면을 출력(S331)한다. 이때, 제 3 구매자 화면에는 기존의 구매 요청 리스트들이 출력될 수 있으며 이들에 대한 판매 제의 리스트가 출력될 수 있다. 이때, 판매 제의 리스트에는 구매 조건 및 가중치에 대응하는 판매 물품 각각에 대한 합산된 평가 점수가 포함될 수 있으며 판매자에 대한 조정된 기본 점수가 포함될 수 있다. 구매자 단말(100)은 구매 요청에 대한 판매 제의 리스트 중 복수의 판매 후보에 대한 구매 제의를 입력받는다(S332). 구매자 단말(100)에 구매 제의가 입력된 경우 구매자 단말(100)은 제 4 구매자 화면을 출력(S333)한다. 제 4 구매자 화면에서 구매자 단말(100)과 판매자 단말(200)은 거래에 대한 세부적인 거래 정보를 교환하며, 이 과정에서 구매자 단말(100)은 판매자 평가표를 통해 판매자 자체에 대한 평가 점수와 가중치를 입력받는다. 이 때, 세부적인 거래 정보와 판매자 자체에 대한 평가 점수는 구매물품리스트와 판매자리스트의 구매물품과 판매자에 대한 우선순위를 조정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그 뒤, 산출된 물품에 대한 합산된 평가 점수와 판매자 자체에 대한 조정된 기본 점수 및 조정된 평가 점수를 이용하여 조정된 우선순위를 이용하여 구매가 확정(S334)된다. 이 과정에서 구매자 단말(100)은 구매 조건을 확인하고 수정 및 보완하는 정보를 더 입력받을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매자 단말(200)은 판매자가 로그인하면, 제 1 판매자 화면을 출력(S410)한다. 그 뒤, 판매자 단말(200)은 판매 중인 물품에 대한 구매 요청 정보를 출력하여 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S420). 판매자 단말(200)이 특정 구매요청에 대한 판매제의를 하기 위한 입력을 받으면 판매자 단말(200)은 제2 판매자 화면을 출력(S430)한다. 이때, 판매자 단말(200)은 제 2 판매자 화면을 통해 구매 요청 리스트에 대해 판매 제의를 하는지 여부에 대한 입력(S440)을 받는다. 만약, 구매 요청 리스트에 대해 판매 제의를 하는 경우 판매자 단말(200)은 제 3 판매자 화면을 출력(S441)한다. 판매자 단말(200)은 제 3 판매자 화면을 통해 판매 조건을 입력받은 뒤 판매 제의를 시스템 서버(300)에 전송한다(S442).
이때, 판매 조건은 구매 요청에 포함되어 있는 구매 조건에 대응하는 판매물품의 자체 가치에 대한 수치적 평가일 수 있으며, 이 외에도 판매자 단말(200)은 특별세일, 할인정책, 추가선물 등에 대한 부가적인 판매 조건을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구매 요청 리스트에 대해 판매 제의를 하지 않는 경우 구매 제의에 대해 세부적인 판매 단계를 진행하는지 여부에 대해 판단(S450)한다. 만약 구매 제의에 대해 세부 판매를 진행하게 된다면, 판매자 단말(200)은 제 4 판매자 화면을 출력(S451)한다. 제 4 판매자 화면에서 판매자 단말(100)과 구매자 단말(200)은 거래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를 교환하며, 이 과정에서 판매자 단말(100)은 구매자 평가표를 이용하여 판매자의 구매자 자체에 대한 평가 점수와 가중치를 입력받는다. 그 뒤, 구매자 자체에 대한 평가 점수를 가중치를 이용하여 조정한 평가 점수를 이용하여 판매가 확정(S334)된다. 이 과정에서 판매자 단말(100)은 판매 조건을 확인하고 수정 및 보완하는 정보를 더 입력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구매자 단말 110: 공통화면
120, 130, 140, 150: 구매자 화면 200: 판매자 단말
220, 230, 240, 250: 판매자 화면 300: 시스템 서버

Claims (18)

  1. 구매 품목이 결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구매자 단말을 통해 구매 조건을 포함하는 구매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판매자 단말을 통해 구매 조건에 대응하는 판매 조건을 입력받고, 상기 판매 조건을 포함하는 판매 제의를 입력받는 단계;
    물품에 대한 합산된 평가 점수 및 판매자에 대한 조정된 기본 점수를 이용하여 구매 제의를 하는 단계;
    상기 판매 제의와 상기 구매 제의가 일치하는 경우, 구매자 단말과 판매자 단말을 매칭하는 단계;
    구매자 단말 및 판매자 단말이 상호 간에 세부 구매 정보 및 세부 판매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
    구매자 단말과 판매자 단말이 각각 상대방에 대한 평가 점수와 가중치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물품에 대한 합산된 평가 점수, 상기 판매자에 대한 조정된 기본 점수 및 판매자에 대한 조정된 평가 점수를 이용하여 구매물품리스트와 판매자리스트의 우선순위를 조정하여 거래를 확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매 조건은,
    상품의 객관적인 특성에 대한 구매 조건, 주관적인 선호에 대한 구매 조건, 상기 객관적인 특성에 대한 구매 조건과 주관적인 선호에 대한 구매 조건 각각에 대해 요구되는 자체 가치의 최소값 및 상기 객관적인 특성에 대한 구매 조건과 주관적인 선호에 대한 구매 조건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판매 조건은,
    상기 객관적인 특성에 대한 구매 조건 및 주관적인 선호에 대한 구매 조건 각각에 대응하는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구매 제의를 하는 단계는,
    상기 판매 조건에 상기 가중치를 부여하여 물품에 대한 합산된 평가 점수를 산출하고, 판매자의 기본 점수에 판매자의 기본 점수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조정된 기본 점수를 산출한 뒤, 상기 합산된 평가 점수와 상기 조정된 기본 점수를 이용하여 구매 제의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의 기본 점수는 미리 입력된 판매자의 객관적인 속성에 대한 점수이고,
    상기 조정된 기본 점수는 상기 기본 점수에 상기 판매자의 기본 점수에 대한 가중치를 곱 연산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물품에 대한 합산된 평가 점수는 수식 1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방법.
    (수식 1)
    Figure pat00032

    (
    Figure pat00033
    는 판매자 단말을 통해 입력받은 특정 물품에 대한 합산된 평가 점수,
    Figure pat00034
    는 판매자 단말을 통해 입력받은
    Figure pat00035
    번째 구매조건에 대한 자체가치,
    Figure pat00036
    는 구매자 단말을 통해 입력받은
    Figure pat00037
    번째 구매조건에 대한 자체가치의 최소값,
    Figure pat00038
    는 구매자 단말을 통해 입력받은
    Figure pat00039
    번째 구매조건에 대한 가중치,
    Figure pat00040
    는 구매자 단말을 통해 입력받은
    Figure pat00041
    번째 구매조건에 대한 특별 가중치를 의미함.)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는,
    비동기식 대화창을 통해 텍스트, 그림, 동영상을 전송하여 상품에 대한 상담 및 거래 조건을 협의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대방에 대한 평가 점수와 가중치를 입력받는 단계에서,
    상기 상대방에 대한 평가 점수는,
    구매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판매자에 대한 점수와 판매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구매자에 대한 점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래를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상대방에 대한 평가 점수 및 가중치를 이용하여 구매자 및 판매자 각각에 대한 조정된 평가 점수를 산출한 뒤,
    상기 세부 구매 정보, 세부 판매 정보 및 상기 조정된 평가 점수를 이용하여 구매물품리스트 및 판매자리스트의 우선순위를 조정하고,
    상기 우선순위, 물품에 대한 합산된 평가 점수 및 판매자에 대한 조정된 기본점수를 이용하여 구매를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방법.
  10. 구매 조건, 구매 요청, 구매 제의를 포함하는 구매 정보를 입력받는 복수 개의 구매자 단말;
    판매 조건, 판매 제의를 포함하는 판매 정보를 입력받는 복수 개의 판매자 단말; 및
    상기 구매자 단말과 상기 판매자 단말 간 정보 교환을 매개하며, 상기 구매자 단말과 상기 판매자 단말 간에 세부 구매 정보 및 세부 판매 정보를 상호간에 제공할 수 있는 비동기식 대화창을 생성하며 물품에 대한 합산된 평가점수를 산출하고 구매물품리스트와 판매자리스트를 이용한 매트릭스(matrix)를 생성하는 시스템 서버를 포함하는,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시스템.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구매 조건은 제 2구매자 화면을 통해 입력되며,
    상품의 객관적인 특성에 대한 구매 조건, 주관적인 선호에 대한 구매 조건, 상기 객관적인 특성에 대한 구매 조건과 주관적인 선호에 대한 구매 조건 각각에 대해 요구되는 자체 가치의 최소값 및 상기 객관적인 특성에 대한 구매 조건과 주관적인 선호에 대한 구매 조건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시스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판매 조건은 제 3판매자 화면을 통해 입력되며,
    객관적인 특성에 대한 구매 조건 및 주관적인 선호에 대한 구매 조건 각각에 대응하는 조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시스템.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서버는,
    상기 판매 조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물품에 대한 합산된 평가 점수를 산출하고, 판매자의 기본 점수에 판매자의 기본 점수에 대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조정된 기본 점수를 산출한 뒤, 상기 합산된 평가 점수와 상기 조정된 기본 점수를 구매자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시스템.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판매자의 기본 점수는 미리 입력된 판매자의 객관적인 속성에 대한 점수이고,
    상기 조정된 기본 점수는 상기 기본 점수에 상기 판매자의 기본 점수에 대한 가중치를 곱 연산하여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시스템.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합산된 평가 점수는 수식 1을 이용하여 산출되는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시스템.
    (수식 1)
    Figure pat00042

    (
    Figure pat00043
    는 판매자 단말을 통해 입력받은 특정 물품에 대한 합산된 평가 점수,
    Figure pat00044
    는 판매자 단말을 통해 입력받은
    Figure pat00045
    번째 구매조건에 대한 자체가치,
    Figure pat00046
    는 구매자 단말을 통해 입력받은
    Figure pat00047
    번째 구매조건에 대한 자체가치의 최소값,
    Figure pat00048
    는 구매자 단말을 통해 입력받은
    Figure pat00049
    번째 구매조건에 대한 가중치,
    Figure pat00050
    는 구매자 단말을 통해 입력받은
    Figure pat00051
    번째 구매조건에 대한 특별 가중치를 의미함.)
  16.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 단말 및 판매자 단말은 상기 비동기식 대화창을 통해 텍스트, 그림, 동영상 등을 전송하여 상품에 대한 상담 및 거래 조건을 협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시스템.
  17.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구매자 단말 및 상기 판매자 단말은 각각 상대방에 대한 평가 점수를 입력받고,
    상기 상대방에 대한 평가 점수는 구매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판매자에 대한 점수와 판매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구매자에 대한 점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시스템.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서버는,
    상기 상대방에 대한 평가 점수 및 가중치를 이용하여 구매자 및 판매자 각각에 대한 조정된 평가 점수를 산출한 뒤,
    상기 세부 구매 정보, 세부 판매 정보 및 상기 조정된 평가 점수를 이용하여 구매물품리스트 및 판매자리스트의 우선순위를 조정하고,
    조정된 우선순위, 물품에 대한 합산된 평가 점수 및 판매자에 대한 조정된 기본점수를 구매자 단말 및 판매자 단말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시스템.

KR1020150063401A 2015-05-06 2015-05-06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101691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401A KR101691730B1 (ko) 2015-05-06 2015-05-06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401A KR101691730B1 (ko) 2015-05-06 2015-05-06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335A true KR20160131335A (ko) 2016-11-16
KR101691730B1 KR101691730B1 (ko) 2016-12-30

Family

ID=57540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3401A KR101691730B1 (ko) 2015-05-06 2015-05-06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730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398B1 (ko) * 2017-10-30 2019-03-05 김진 축산품 구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63594A (ko) * 2017-11-30 2019-06-10 신권근 머신러닝 딥러닝 방식의 판매자 구매자 요구사항 분석, 협상 결과보고 시스템
KR101992560B1 (ko) * 2018-01-04 2019-09-3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자동차의 이동식 충전 중계 방법
KR102095042B1 (ko) * 2019-06-20 2020-03-30 주식회사 세모견 상품 거래 중개 서버
KR20200132763A (ko) * 2019-05-16 2020-11-25 (주)제이코스 복지몰 상품 구성 학습 서버
KR102284440B1 (ko) * 2020-10-29 2021-08-02 주식회사 디에스랩글로벌 딥러닝 모델 거래중개서버에 의해서 수행되는 딥러닝 모델 거래를 중개하는 방법
KR102311108B1 (ko) * 2020-10-29 2021-10-12 주식회사 디에스랩글로벌 딥러닝 모델 거래중개서버에 의해서 수행되는 딥러닝 모델 거래를 중개하는 방법
KR102311107B1 (ko) * 2020-10-29 2021-10-12 주식회사 디에스랩글로벌 딥러닝 모델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딥러닝 솔루션 플랫폼과 연동 가능한 고객 이탈 방지 시스템에 의해서 수행되는, 고객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고객 이탈 방지 방법
KR102389477B1 (ko) * 2021-06-02 2022-04-25 주식회사 해피넷 사무기기 거래 중개 방법
KR102505887B1 (ko) * 2021-10-06 2023-03-03 김광남 골프 관련 매칭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564364B1 (ko) * 2023-03-20 2023-08-07 주식회사 동아인터내셔널 고객 단말의 정보를 이용하여 온라인 마켓 및 판매 상품을 추천하고 판매 상품의 가격을 결정하는 방법
KR102573336B1 (ko) * 2023-03-20 2023-08-31 주식회사 동아인터내셔널 고객 단말의 구독 정보 및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온라인 마켓을 추천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8935B1 (ko) * 2021-08-09 2023-07-24 (주)에스유지 블록체인을 이용한 수산물 이력관리 및 통계분석 시스템
KR20230063599A (ko) 2021-11-02 2023-05-09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구매자 중심 상품구매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577A (ko) 2000-06-12 2000-09-05 김윤식 동화상을 이용한 실시간 대화형 전자상거래 방법
KR20020004244A (ko) * 2000-07-04 2002-01-16 윤종용 구매가중치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 중개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90000700A (ko) * 2007-03-22 2009-01-08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비교 쇼핑을 위한 판매자 추천정보 제공서비스 방법 및 그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577A (ko) 2000-06-12 2000-09-05 김윤식 동화상을 이용한 실시간 대화형 전자상거래 방법
KR20020004244A (ko) * 2000-07-04 2002-01-16 윤종용 구매가중치를 이용한 전자 상거래 중개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90000700A (ko) * 2007-03-22 2009-01-08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비교 쇼핑을 위한 판매자 추천정보 제공서비스 방법 및 그장치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398B1 (ko) * 2017-10-30 2019-03-05 김진 축산품 구매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90063594A (ko) * 2017-11-30 2019-06-10 신권근 머신러닝 딥러닝 방식의 판매자 구매자 요구사항 분석, 협상 결과보고 시스템
KR101992560B1 (ko) * 2018-01-04 2019-09-3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자동차의 이동식 충전 중계 방법
KR20200132763A (ko) * 2019-05-16 2020-11-25 (주)제이코스 복지몰 상품 구성 학습 서버
KR102095042B1 (ko) * 2019-06-20 2020-03-30 주식회사 세모견 상품 거래 중개 서버
KR102311108B1 (ko) * 2020-10-29 2021-10-12 주식회사 디에스랩글로벌 딥러닝 모델 거래중개서버에 의해서 수행되는 딥러닝 모델 거래를 중개하는 방법
KR102284440B1 (ko) * 2020-10-29 2021-08-02 주식회사 디에스랩글로벌 딥러닝 모델 거래중개서버에 의해서 수행되는 딥러닝 모델 거래를 중개하는 방법
KR102311107B1 (ko) * 2020-10-29 2021-10-12 주식회사 디에스랩글로벌 딥러닝 모델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딥러닝 솔루션 플랫폼과 연동 가능한 고객 이탈 방지 시스템에 의해서 수행되는, 고객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고객 이탈 방지 방법
WO2022092447A1 (ko) * 2020-10-29 2022-05-05 주식회사 디에스랩글로벌 딥러닝 모델 거래중개서버에 의해서 수행되는 딥러닝 모델 거래를 중개하는 방법
KR102389477B1 (ko) * 2021-06-02 2022-04-25 주식회사 해피넷 사무기기 거래 중개 방법
KR102505887B1 (ko) * 2021-10-06 2023-03-03 김광남 골프 관련 매칭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564364B1 (ko) * 2023-03-20 2023-08-07 주식회사 동아인터내셔널 고객 단말의 정보를 이용하여 온라인 마켓 및 판매 상품을 추천하고 판매 상품의 가격을 결정하는 방법
KR102573336B1 (ko) * 2023-03-20 2023-08-31 주식회사 동아인터내셔널 고객 단말의 구독 정보 및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온라인 마켓을 추천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1730B1 (ko) 2016-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730B1 (ko) 구매상황과 판매상황을 고려한 구매자 중심 전자상거래 방법 및 시스템
Oppenheim et al. Evaluation of web sites for B2C e‐commerce
Venkatesh et al. Products with branded components: An approach for premium pricing and partner selection
US20020138399A1 (en) Method and system for creating and using a peer-to-peer trading network
JP2003504751A (ja) インターネットを使用したバイヤーズオークションの方法
JP5140467B2 (ja) 商取引処理装置、商取引処理方法、商取引処理プログラム及び商取引システム
US11687988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ding of used bicycle
Smith et al. Supply supplier integration, procurement, and outsourcing: case study of SCM social capital benefits
Mulyani et al. The effect of perceived usefulness, trust and visual information towar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Ingaldi Assessment of the service provision process as a business process management tool
US200301449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list shopping over a computer network
JP2009086820A (ja) ネットオークションのマッチングシステム
Xu et al. Arshopping: In-store shopping decision support through augmented reality and immersive visualization
WO2001016818A1 (fr) Systeme de collecte de specifications relatives a des produits et de donnees connexes liees a la clientele
JP5358038B2 (ja) 商品管理サーバ及び商品管理方法
Heinemann B2B ECommerce: Basics, Business Models and Best Practices in Business-to-Business Online Trade
Akbaruddin Brand image, customer engagement, and web design quality: Their influence toward online repurchase intentions
US2015015468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utomated emotional motivator based service
US20130282508A1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nd purchasing retail products
Tyrała et al. Trends and sales models in e-commerce: Examples of best practices
Durai et al. Cloud Computing based Multipurpose E-Service Application using Flutter
TWI804270B (zh) 商品與服務自動販賣系統與方法
De Figueiredo Finding sustainable profitability in the e-commerce continuum
KR20010112004A (ko) 구매자 중심의 상품주문을 가능케 하는 전자상거래 방법
KR101948305B1 (ko) 무형 가치를 거래하기 위한 타임 옥션 플랫폼을 이용한 전문가 시간 옥션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