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1080A - 광고립 장치 - Google Patents

광고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1080A
KR20180041080A KR1020170133075A KR20170133075A KR20180041080A KR 20180041080 A KR20180041080 A KR 20180041080A KR 1020170133075 A KR1020170133075 A KR 1020170133075A KR 20170133075 A KR20170133075 A KR 20170133075A KR 20180041080 A KR20180041080 A KR 20180041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ing
retarder
light
polarized light
polar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0628B1 (ko
Inventor
한상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80041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1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02B27/281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used for attenuating light intensity, e.g. comprising rotatable 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02B27/28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used for beam splitting or combin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02B27/288Filters employing polarising elements, e.g. Lyot or Solc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02F1/133536Reflective polariz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02F1/133543Cholesteric 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02F1/13355Polarising beam splitters [PBS]
    • G02F2001/133543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광고립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출원에서는 간단하고 저비용으로 형성할 수 있는 광고립도가 우수한 광고립 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광고립 장치는, 예를 들면, 광통신이나 레이저 광학 분야, 보안, 사생활 보호 분야, 디스플레이의 휘도 향상 또는 은폐 엄폐용 등의 다양한 용도에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광고립 장치{Optical isolating device}
본 출원은 2016년 10월 13일자 제출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6-0132840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대한민국 특허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본 출원은 광고립 장치에 대한 것이다.
광고립 장치는, 정방향에서의 광 투과율이 역방향에서의 광 투과율에 비하여 높은 장치이고, 광 다이오드(optical diode)라고도 불린다. 광고립 장치는, 광통신이나 레이저 광학 분야에서 불필요한 반사광을 막는 것에 사용될 수 있고, 그 외에도 건물이나 자동차 유리에 적용되어 보안이나 사생활 보호 등에 사용될 수도 있다. 광고립 장치는 또한 다양한 디스플레이에서의 휘도 향상 또는 은폐 엄폐용 군용 제품 등 용도에도 적용될 수 있다.
광고립 장치로는, 패러데이 효과를 이용한 패러데이 광 고립 장치가 있다. 패러데이 광고립 장치의 원리가 도 1에 나타나 있다. 도 1과 같이 패러데이 광고립 장치는, 제 1 편광자(101), 패러데이 회전자(102) 및 제 2 편광자(103)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편광자(101, 103)의 흡수축은 서로 45도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1 편광자를 통과하여 선편광된 입사광을 패러데이 회전자는 45도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제 2 편광자를 투과하게 된다(Forward direction). 반대로 제 2 편광자를 투과한 선편광된 광은 패러데이 회전자에 의해 동일하게 45도 회전하게 되면, 제 1 편광자의 흡수축과 평행한 선편광이 되기 때문에 제 1 편광자를 투과할 수 없다(Backward direction).
패러데이 광고립 장치는, 구동을 위해 매우 큰 외부 자기장이 필요하고, 고가의 재료가 적용되어야 하기 때문에 대면적화 등이 곤란하다.
본 출원은 광 고립 장치에 대한 것이다.
용어 광고립 장치는, 어느 한 방향으로 입사된 광의 투과율이 그 반대 방향으로 입사된 광의 투과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되도록 구성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광고립 장치에서 입사된 광의 투과율이 큰 방향은 정 방향(Forward direction)으로 호칭될 수 있고, 그 반대 방향은 역 방향(Backward direction)으로 호칭될 수 있다. 상기에서 정방향과 역방향은 서로 대략 160도 내지 200도 정도의 각도를 이룰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투과율, 위상차값, 반사율 및 굴절률 등의 광학적 물성의 기준 파장은 광고립 장치를 사용하여 고립하고자 하는 광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준 파장은 상기 장치를 사용하여 고립하고자 하는 광의 파장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광고립 장치를 가시광 영역의 광을 고립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투과율 등의 기준 파장은, 예를 들면, 400 nm 내지 700 nm의 범위 내의 어느 한 파장 또는 약 550 nm 파장의 광을 기준으로 한 수치이며, 적외선 영역의 광을 고립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투과율 등은 1,000 nm의 파장의 광을 기준으로 정해질 수 있고, 자외선 영역의 광을 고립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투과율 등은 250 nm의 파장의 광을 기준으로 정해질 수 있다.
광고립 장치에서 정방향으로 입사된 광의 투과율과 역방향으로 입사된 광의 투과율의 비율은, 하기 수식 1에 따른 고립도(IR, isolation ratio)에 의할 때, 약 3 dB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고립도는, 그 수치가 높을수록 우수한 광고립 효과를 나타내는 점을 보여주기 때문에 그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시에서 상기 고립도는 약 10 dB 이하, 약 9.5 dB 이하, 약 9 dB 이하, 약 8.5 dB 이하, 약 8 dB 이하, 약 7.5 dB 이하, 약 7 dB 이하, 약 6.5 dB 이하, 약 6 dB 이하, 약 5.5 dB 이하, 약 5 dB 이하, 약 4.5 dB 이하 또는 약 4 dB 이하 정도일 수 있다.
[수식 1]
IR = 10 × n × log(F/B)
수식 1에서 IR은 고립도이고, n은 광고립 장치 내에 포함되는 후술하는 광고립 소자의 개수이며, F(Forward direction)는 정방향으로 광고립 장치로 입사된 광의 투과율이고, B(Backward direction)는 역방향으로 광고립 장치로 입사된 광의 투과율이다.
광고립 장치의 정방향으로 입사된 광의 투과율은 약 50% 이상, 약 55% 이상, 약 60% 이상, 약 65% 이상, 약 70% 이상, 약 75% 이상, 약 80% 이상, 약 85% 이상, 약 90% 이상 또는 약 95%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정방향 투과율의 상한은 약 100%일 수 있다. 또한, 광고립 장치의 역방향으로 입사된 광의 투과율은, 약 50% 미만, 약 45% 이하, 약 40% 이하, 약 35% 이하, 약 30% 이하, 약 25% 이하, 약 20% 이하, 약 15% 이하, 약 10% 이하 또는 약 5%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역방향 투과율의 하한은 약 0% 정도일 수 있다.
광고립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광고립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용어 광고립 소자는, 광고립 장치를 형성하는 단위 소자이고, 단독으로 광고립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광고립 소자도 정방향으로 입사된 광의 투과율이 역방향으로 입사된 광의 투과율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 때 고립도, 정방향 투과율 및 역방향 투과율의 범위는 상기 광고립 장치에서 언급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광고립 소자는, 편광 변환 소자(PCS: Polarization Conversion System) 및 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처럼 상기 편광 변환 소자(201) 및 편광자(202)는, 상기 편광 변환 소자(201)측으로 입사된 광이 상기 소자(201)를 투과한 후에 상기 편광자(202)에 향할 수 있도록 위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편광 변환 소자(201)에서 편광자(202)로 향하는 방향이 정 방향(Forward direction)으로 호칭되고, 상기 편광자(202) 및 편광 변환 소자(201)를 향하는 방향이 역 방향(Backward direction)으로 호칭될 수 있다.
편광 변환 소자는, 제 1 방향으로 입사된 비편광을 선형 편광으로 변환시켜 제 2 방향으로 출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제 2 방향으로 출사되는 선편광은, 한 종류의 선편광일 수 있다. 즉, 제 2 방향으로 출사되는 선편광은, 서로 편광 방향이 다른 2종류 이상의 선편광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은 정방향과 대략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편광 변환 소자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입사된 광의 제 2 방향으로의 투과율은 약 50% 이상, 약 55% 이상, 약 60% 이상, 약 65% 이상, 약 70% 이상, 약 75% 이상, 약 80% 이상, 약 85% 이상, 약 90% 이상 또는 약 95%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투과율의 상한은 약 100%일 수 있다. 즉, 상기 편광 변환 소자는, 제 1 방향으로 입사된 비편광 광의 약 50% 이상, 약 55% 이상, 약 60% 이상, 약 65% 이상, 약 70% 이상, 약 75% 이상, 약 80% 이상, 약 85% 이상, 약 90% 이상 또는 약 95% 이상을 선편광으로 변환시켜 제 2 방향으로 출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을 수 있고, 적절하게는 약 100%의 비편광 입사광을 선편광으로 변환시켜 제 2 방향으로 출사시킬 수 있다.
제 1 방향으로 입사된 비편광된 광을 선편광으로 변환시켜서 제 2 방향으로 출사시킬 수 있는 편광 변환 소자의 구성은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편광 변환 소자는, 미국 등록 특허 제4913529호, 미국 등록 특허 제5884991호, 미국 등록 특허 제6139157호, 미국 공개 특허 제2013-0027656호 등에 공지되어 있고, 상기 특허의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 편입된다.
일 예시에서 편광 변환 소자는, 편광 분할기 및 리타더(retarder)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편광 분할기는, 입사광을 직교 모드쌍(orthogonal mode pair)의 편광으로 분할시키는 소자일 수 있다. 상기에서 직교 모드쌍은, 서로 편광 방향이 수직인 2개의 선편광 또는 서로 회전 방향이 역방향인 2개의 원편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수직, 수평, 평행 또는 직교는 오차를 감안한 실질적인 수직, 수평, 평행 또는 직교를 의미하고, 예를 들면, ±10도 이내, ±8도 이내, ±6도 이내, ±4도 이내, ±2도 이내, ±1도 이내 또는 ±0.5도 이내의 오차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용어 원편광은, 소위 타원편광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는 편광 분할기는,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고, 그 예로는 소위 반사형 편광기가 예시될 수 있다. 반사형 편광기는, 직교 모드쌍의 편광 중 어느 하나의 편광은 투과시키고, 다른 편광은 반사시키는 편광자이다. 이러한 반사형 편광기로는, 소위 이방성 물질 편광 분리자 또는 박막 코팅형 편광자 등을 적용하여 상기 효과를 나타내는 편광 광선 분리기(polarizing beam splitter), 금속 선격자 편광자 등의 선격자 편광자(WGP, Wire Grid Polarizer), 이중 휘도 향상 필름(DBEF, 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 또는 콜레스테릭 액정(CLC, Cholesteric Liquid Crystal) 필름 등이 있다. 예를 들면, 금속 선격자 편광자의 격자의 사이즈 내지는 피치, 이중 휘도 향상 필름의 적층 구조, 콜레스테릭 액정 필름 내의 액정의 피치 내지는 회전 방향 등의 제어를 통해 목적하는 파장 범위의 광을 직교 모드쌍으로 분할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적용할 수 있는 반사형 편광기의 종류는 상기에 제한되지 않고, 입사광을 직교 모드쌍의 편광으로 분할할 수 있는 것으로 공지된 모든 반사형 편광기가 적용될 수 있다.
편광 변환 소자에는 리타더가 포함된다. 리타더로는 λ/2판 또는 λ/4판이 적용될 수 있다. 용어 λ/2판은, 소위 HWP(Half Wave Plate)로 호칭되는 리타더로서 선형 편광이 입사되면, 그 선형 편광의 편광 방향을 대략 90도 회전시킬 수 있는 소자이고, 용어 λ/4판은, 소위 QWP(Quarter Wave Plate)로 호칭되는 리타더로서 선형 편광과 원편광을 상호 변환시킬 수 있는 소자이다.
상기와 같이 λ/2판 또는 λ/4판으로 작용할 수 있는 리타더는 이 분야에서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리타더는, 고분자 연신 필름 또는 액정 고분자 필름일 수 있다. 고분자 연신 필름으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의 폴리올레핀 필름, 폴리노르보넨 필름 등의 고리형 올레핀 폴리머(COP: Cycloolefin polymer)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필름, 폴리설폰 필름,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또는 TAC(Triacetyl cellulose) 필름 등의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폴리머 필름이나 상기 폴리머를 형성하는 단량체 중에서 2종 이상의 단량체의 공중합체 필름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필름을 이 분야에서 공지된 방식에 의해 적절하게 연신함으로써 상기 리타더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액정 고분자 필름으로는, 네마틱 액정 또는 디스코틱 액정 등과 같은 공지의 액정 필름을 배향 및 중합시킨 필름이 예시될 수 있다.
이 분야에서 λ/2판 또는 λ/4판으로 작용할 수 있는 리타더는 공지이며, 본 출원에서는 이러한 필름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편광 분할기와 리타더에 의해 편광이 변환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3은, 편광 분할기(301)로서, 입사광을 서로 편광 방향이 수직이 2개의 선편광, 즉 P 편광과 S 편광으로 분할하는 분할기(301), 예를 들면, 전술한 편광 광선 분리기, 금속 선격자 편광자나 이중 휘도 향상 필름이 사용된 경우의 편광 변환 소자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이 편광 변환 소자는, 상기 편광 분할기(301) 및 리타더(3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리타더(302)로는 λ/2판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과 같이 입사광(LI)은 우선 상기 분할기(301)로 입사하여, S 편광(LS)과 P 편광(LP)으로 분할된다. 상기와 같이 분할된 S 및 P 편광 중 어느 하나의 편광이 지나는 경로에 전술한 리타더(302)가 존재하고, 상기 리타더(302)의 광축의 방향이 적절하게 제어된 경우에 상기 리타더(302)를 통과한 편광은 리타더(302)를 통과하지 않은 편광과 같은 종류의 편광으로 변환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S 편광(LS)이 리타더(302)를 거치면서, P 편광(LP)으로 변환되는 경우를 나타내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편광 변환 소자는 광의 경로를 제어하기 위한 광경로 제어기(303)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광경로 제어기(303)로는 프리즘 또는 반사판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이러한 광경로 제어기는,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리타더를 경유하는 편광과 리타더를 경유하지 않는 편광의 진행 방향을 일치시키기 위한 용도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편광 분할기(301)로서, 입사광을 서로 회전 방향이 역방향이 2개의 타원 편광으로 분할하는 분할기(301), 예를 들면, 전술한 콜레스테릭 액정 필름이 사용된 경우의 편광 변환 소자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경우에 편광 변환 소자는, 리타더로서 제 1 리타더(3021), 제 2 리타더(3022) 및 제 3 리타더(30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제 1 및 제 2 리타더(3021, 3022)는 λ/4판이 사용되고, 제 3 리타더(3023)로는 λ/2판이 사용될 수 있다.
도 4와 같이 입사광(LI)은 우선 상기 분할기(301)로 입사하여, 좌원 편광(LL)과 우원 편광(LR)으로 분할된다. 상기와 같이 분할된 좌원 및 우원 편광 중에서 어느 한 편광(LR)은 제 1 리타더(3021)를 거쳐 S 및 P 편광 중 어느 한 편광, 예를 들면, S 편광(LS)으로 변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좌원 및 우원 편광 중 다른 편광(LL)은, 광경로 제어기(302)에 의해 경로가 제어된 후에 제 2 리타더(3022)를 경유할 수 있고, 그 편광은 상기 제 1 리타더(3021)를 거친 편광의 수직 모드쌍, 예를 들면, P 편광(LP)으로 변환될 수 있고, 이어서 제 3 리타더(3022)를 거쳐서 상기 제 1 리타더(3021)를 거친 편광과 동일한 편광으로 변환될 수 있다.
도 5는, 편광 분할기(301)로서, 입사광을 서로 회전 방향이 역방향이 2개의 타원 편광으로 분할하는 분할기(301)를 사용한 경우의 다른 모식도이다. 도 5의 경우는, 광경로 제어기(303)가 원편광의 경로를 제어하면서 그 회전 방향을 변경시킬 수 있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상기 광경로 제어기가 반사판인 경우에 원편광은 상기 반사판에 의해 반사되면서 그 회전 방향이 역방향으로 변경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제 3 리타더(3023)가 없이도 편광 변환 소자는 동일한 선편광을 생성할 수 있다.
도 3 내지 5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편광 변환 소자는, 편광 분할기와 리타더를 포함하고, 상기 편광 분할기에 의해 분할된 수직 모드쌍의 편광 중에서 어느 한 편광은 상기 리타더를 투과하고, 다른 편광은 상기 리타더를 투과하지 않도록 상기 편광 분할기와 리타더가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는, 편광 분할기에 의해 서로 편광 방향이 수직이 2개의 선편광, 즉 P 편광과 S 편광이 생성되는 경우에 적합하고, 이러한 경우에 상기 리타더로는 λ/2판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편광 변환 소자는, 편광 분할기와 리타더를 포함하고, 상기 편광 분할기에 의해 분할된 수직 모드쌍의 편광이 모두 상기 리타더를 투과할 수 있도록 편광 분할기와 리타더가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수직 모드쌍의 편광 중에서 어느 한 편광이 리타더를 투과하는 과정에서의 위상 지연값과 다른 한 편광이 리타더를 투과하는 과정에서의 위상 지연값의 차이의 절대값은 λ/2일 수 있다. 상기에서 λ는 입사광의 파장일 수 있다. 이는 도 4의 경우와 같이 편광 분할기에 의해 서로 회전 방향이 역방향인 2개의 원편광이 생성되는 경우에 적합하고, 이러한 경우에 상기 리타더는, 적어도 1개의 λ/2판 및 적어도 1개의 λ/4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λ/4판이 2개인 경우를 나타내지만, 광의 경로를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1개의 λ/4판으로도 도 4와 같은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편광 변환 소자는, 편광 분할기와 리타더를 포함하고, 상기 편광 분할기에 의해 분할된 수직 모드쌍의 편광이 모두 상기 리타더를 투과할 수 있도록 편광 분할기와 리타더가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수직 모드쌍의 편광 중에서 어느 한 편광이 리타더를 투과하는 과정에서의 위상 지연값과 다른 한 편광이 리타더를 투과하는 과정에서의 위상 지연값은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도 5의 경우와 같이 편광 분할기에 의해 서로 회전 방향이 역방향인 2개의 원편광이 생성되는 경우에 적합하고, 이러한 경우에 상기 리타더는, λ/4판일 수 있다.
도 3 내지 5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편광 변환 소자는, 필요한 경우에 프리즘 또는 반사판과 같은 광경로 제어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광고립 소자는, 상기한 편광 변환 소자와 함께 편광자를 포함하고, 편광자는 정방향으로 진행하여 상기 광고립 소자를 투과한 선편광이 입사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편광자로는, 예를 들면, 흡수형 선형 편광자가 사용될 수 있다. 흡수형 선형 편광자는 업계에 다양하게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소위 PVA(polyvinyl alcohol) 편광자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흡수형 편광자는 일 방향으로 형성된 투과축과 상기 투과축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흡수축을 가지는데, 상기 투과축이 상기 편광 변환 소자를 투과하여 생성된 선형 편광의 편광 방향과 평행하도록 상기 편광자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정방향으로 입사하여 편광 변환 소자를 투과하는 광은 이론적으로 100% 투과될 수 있고, 역방향으로 투과되는 광의 적어도 50%는 상기 흡수형 선형 편광자에 흡수되어 차단된다.
광고립 소자는, 추가적으로 위상지연판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위상지연판은, 전술한 리타더와 동일 개념의 광학 소자이나, 본 출원에서는 편광 변환 소자에 포함되는 리타더와의 구분을 위해 위상지연판으로 호칭한다. 상기 위상지연판은, 정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이 상기 편광자를 투과한 후에 입사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상지연판은, 정방향으로 일단 광고립 소자를 투과한 광이 반사 등에 의해 다시 광고립 소자를 향해서 진행하여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즉, 상기 위상지연판의 존재로 인하여 반사된 광은 흡수형 편광자의 흡수축과 평행한 선편광으로 변환될 것이고, 그에 따라 상기 편광자에 다시 흡수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위상지연판으로는, 전술한 λ/4판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λ/4판의 구체적인 종류는 전술한 바와 같다.
이 경우 상기 위상지연판은, 그 광축(ex. 지상축)이 상기 흡수형 편광자의 투과축과 약 40도 내지 50도의 범위 내, 예를 들면 약 45도 또는 130도 내지 140도의 범위 내, 예를 들면, 약 135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고립 소자는, 전술한 편광 변환 소자에 포함될 수 있는 것 외에 필요한 경우 추가적으로 광의 경로를 제어할 수 있는 프리즘 또는 반사판과 같은 광경로 제어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광고립 소자는, 필요한 경우에 상기 이외에 추가적인 광학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고립 소자는, 텔레스코프와 같은 광학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텔레스코프는, 광의 정방향 진행 경로의 입사측, 예를 들면, 편광 변환 소자에 입사하기 전의 광이 경유할 수 있는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텔레스코프는, 광의 입사 면적을 제어하여 상기 편광 변환 소자에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텔레스코프는, 광의 입사 면적을 대략 1/2배로 하여 편광 변환 소자에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광학 요소는, 광고립 장치의 정방향과 역방향의 입광 면적을 같게 하기 위해 요구될 수 있다.
광고립 장치는, 상기와 같은 광고립 소자를 1개 또는 2개 이상 포함될 수 있다. 광고립 소자가 2개 이상 포함되는 경우에 각 광고립 소자는, 정방향을 따라서 어느 하나의 광고립 소자를 투과한 광이 다른 광고립 소자의 편광 변환 소자측으로 입사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광고립 소자를 적용함으로써 광고립도를 보다 향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이론적으로 정방향으로 복수의 광고립 소자들을 투과하는 광은 손실 없이 계속 투과되지만, 역방향으로 투과하는 광의 경우, 1/2의 지수배로 계속적으로 감소한다. 따라서, 광고립 소자의 수를 제어함으로써, 광고립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는 간단하고 저비용으로 형성할 수 있는 광고립도가 우수한 광고립 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광고립 장치는, 예를 들면, 광통신이나 레이저 광학 분야, 보안, 사생활 보호 분야, 디스플레이의 휘도 향상 또는 은폐 엄폐용 등의 다양한 용도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패러데이 광고립 장치를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광고립 소자의 기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5는 편광 변환 소자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복수의 광고립 소자가 포함되는 경우를 모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출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출원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5와 같은 형태의 소자를 제작하고, 그 성능을 테스트하였다. 이 과정에서 광경로 제어기로는 반사판(mirror)를 사용하였고, 리타더(3021, 3022)로는, Thorlabs社의 제품(WPQ05M-532)를 사용하였으며, 편광 분할기로는 역시 Thorlabs社의 PBS(polarizing beam splitter) 제품(PBS251)을 적용하였다. 상기와 같은 소자에 대해서 Coherent社의 Genesis MX SLM 레이저를 입사(10mW 출력)시켜서 소자를 테스트하였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얻어진 정방향 투과율은 약 76% 정도였으며, 역방향 투과율은 약 36% 정도였고, 고립도(IR)는 약 3.2 dB 정도였다.

Claims (16)

  1. 적어도 하나의 광고립 소자를 포함하는 광고립 장치이고,
    상기 광고립 소자는, 순차 배치되어 있는 편광 변환 소자 및 편광자를 포함하며,
    상기 편광 변환 소자는, 제 1 방향으로 입사된 비편광을 선형 편광으로 변환시켜 제 2 방향으로 출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편광자는, 일 방향으로 형성된 투과축과 상기 투과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흡수축을 가지는 흡수형 선형 편광자로서, 상기 투과축이 상기 선형 편광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광고립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방향으로 입사된 광의 투과율이 50%를 초과하고, 하기 수식 1로 규정되는 고립도(IR)가 3 dB 이상인 광고립 장치:
    [수식 1]
    IR = 10 × n × log(F/B)
    수식 1에서 IR은 고립도이고, n은 광고립 장치 내에 포함되는 광고립 소자의 개수이며, F는 제 1 방향으로 광고립 장치로 입사된 광의 투과율이고, B는 상기 제 2 방향으로 광고립 장치로 입사된 광의 투과율이다.
  3. 제 1 항에 있어서, 편광 변환 소자는, 입사광을 수직 모드쌍의 편광으로 분할시키는 편광 분할기 및 리타더를 포함하는 광고립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편광 분할기는, 편광 광선 분리기(polarizing beam splitter), 선격자 편광기, 이중 휘도 향상 필름 또는 콜레스테릭 액정 필름인 광고립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편광 변환 소자 내에서 리타더는, 편광 분할기에 의해 분할된 수직 모드쌍의 편광 중 어느 한 편광은 상기 리타더를 경유하고, 다른 하나의 편광은 상기 리타더를 경유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광고립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리타더는, λ/2판인 광고립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편광 변환 소자 내에서 리타더는, 편광 분할기에 의해 분할된 수직 모드쌍의 편광 모두가 상기 리타더를 경유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수직 모드쌍의 편광 중 어느 하나의 편광이 상기 리타더를 경유하는 과정에서의 위상 지연값과 다른 한 편광이 상기 리타더를 경유하는 과정에서의 위상 지연값의 차이의 절대값은 λ/2인 광고립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리타더는, λ/2판 및 λ/4판을 포함하는 광고립 장치.
  9. 제 3 항에 있어서, 편광 변환 소자 내에서 리타더는, 편광 분할기에 의해 분할된 수직 모드쌍의 편광 모두가 상기 리타더를 경유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수직 모드쌍의 편광 중 어느 하나의 편광이 상기 리타더를 경유하는 과정에서의 위상 지연값과 다른 한 편광이 상기 리타더를 경유하는 과정에서의 위상 지연값이 동일한 광고립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리타더는, λ/4판을 포함하는 광고립 장치
  11. 제 3 항에 있어서, 편광 변환 소자는, 광의 경로를 제어하기 위한 프리즘 또는 반사판을 추가로 포함하는 광고립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방향을 따라서 편광자를 투과한 광이 입사할 수 있는 위치에 위상지연판을 추가로 포함하는 광고립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위상지연판은, 그 지상축이 편광자의 투과축과 40도 내지 50도의 범위 내의 어느 한 각도 또는 130도 내지 140도의 범위 내의 어느 한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는 광고립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위상지연판은, λ/2판 및 λ/4판을 포함하는 광고립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방향으로 진행하는 광이 편광 변환 소자에 입사되기 전에 입사될 수 있는 위치에 존재하는 텔레스코프를 추가로 포함하는 광고립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방향을 따라서 편광자를 출사한 광의 진행 방향을 제어하는 광경로 제어 소자를 추가로 포함하는 광고립 장치.
KR1020170133075A 2016-10-13 2017-10-13 광고립 장치 KR1020706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840 2016-10-13
KR20160132840 2016-10-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1080A true KR20180041080A (ko) 2018-04-23
KR102070628B1 KR102070628B1 (ko) 2020-01-29

Family

ID=61905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075A KR102070628B1 (ko) 2016-10-13 2017-10-13 광고립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47070B2 (ko)
EP (1) EP3505995A4 (ko)
JP (1) JP6940056B2 (ko)
KR (1) KR102070628B1 (ko)
CN (1) CN109844617B (ko)
WO (1) WO201807082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20086B2 (en) 2017-12-15 2022-12-06 Lg Chem, Ltd. Optical isolation elem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67203A (ja) * 1991-02-22 1992-09-22 Seiko Epson Corp 偏光変換素子
JPH10123321A (ja) * 1996-10-18 1998-05-15 Sharp Corp 偏光ビームスプリッタ及びそれを備える液晶プロジェクタ
KR20000050976A (ko) * 1999-01-16 2000-08-05 윤덕용 유도 브릴루앙 산란 위상공액 거울을 이용한 광 차단기 및 이를 적용한 광 증폭계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3529A (en) * 1988-12-27 1990-04-03 North American Philips Corp. Illumination system for an LCD display system
JPH02189504A (ja) 1989-01-19 1990-07-25 Nec Corp 偏光変換素子
SG50550A1 (en) * 1989-07-10 2002-04-16 Rolic Ag Polarisator
JP3273955B2 (ja) * 1991-04-09 2002-04-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投影装置
US5818626A (en) 1994-08-29 1998-10-06 Agfa Division, Bayer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cal isolation
JP3437035B2 (ja) * 1996-07-29 2003-08-18 シャープ株式会社 単一偏光変換素子及び投射型表示装置
US5884991A (en) 1997-02-18 1999-03-23 Torch Technologies Llc LCD projection system with polarization doubler
JP3697013B2 (ja) * 1997-02-19 2005-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投影装置
JPH10282337A (ja) 1997-04-11 1998-10-23 Sumitomo Bakelite Co Ltd シート状偏光分離・変換型偏光素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US6188520B1 (en) * 1999-10-29 2001-02-13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Light polarization converter
JP2002023107A (ja) 2000-07-05 2002-01-23 Sony Corp 画像表示素子及び画像表示装置
US6557999B1 (en) 2000-11-16 2003-05-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and method for contrast enhancement in projection imaging system
JP2003167124A (ja) 2001-11-30 2003-06-13 Hayashi Telempu Co Ltd 複屈折ホログラフィ光学素子の製造方法および複屈折ホログラフィ光学素子
JP2005134492A (ja) 2003-10-28 2005-05-26 Kyocera Corp 光アイソレ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6163343A (ja) 2004-11-15 2006-06-22 Nitto Denko Corp 楕円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US7905602B2 (en) * 2006-09-29 2011-03-15 Reald Inc. Polarization conversion systems for stereoscopic projection
WO2010065565A2 (en) * 2008-12-01 2010-06-10 Reald Inc. Stereoscopic projection systems and methods for employing spatial multiplexing at an intermediate image plane
WO2011106567A2 (en) 2010-02-24 2011-09-01 Mothew, Neil Waveplate compensation in projection polarization conversion system
JP5170221B2 (ja) * 2010-12-03 2013-03-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照明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5152366B2 (ja) * 2011-06-09 2013-02-27 旭硝子株式会社 アイソレータおよび電圧可変アッテネータ
KR101919646B1 (ko) 2011-10-07 2018-11-16 노쓰 캐롤라이나 스테이트 유니버시티 광대역 편광 변환을 위한 멀티 트위스트 지연기 및 관련 제조 방법
JP2015068847A (ja) * 2013-09-26 2015-04-1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偏光板、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における明所コントラストの改善方法
KR101944167B1 (ko) * 2014-02-06 2019-01-30 노키아 테크놀로지스 오와이 광의 수신 및 생성
US10230928B2 (en) * 2014-10-27 2019-03-12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olor recapture using polarization recovery in a color-field sequential display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67203A (ja) * 1991-02-22 1992-09-22 Seiko Epson Corp 偏光変換素子
JPH10123321A (ja) * 1996-10-18 1998-05-15 Sharp Corp 偏光ビームスプリッタ及びそれを備える液晶プロジェクタ
KR20000050976A (ko) * 1999-01-16 2000-08-05 윤덕용 유도 브릴루앙 산란 위상공액 거울을 이용한 광 차단기 및 이를 적용한 광 증폭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20086B2 (en) 2017-12-15 2022-12-06 Lg Chem, Ltd. Optical isolation 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844617A (zh) 2019-06-04
CN109844617B (zh) 2022-07-12
US20190361254A1 (en) 2019-11-28
JP2019530896A (ja) 2019-10-24
EP3505995A1 (en) 2019-07-03
EP3505995A4 (en) 2019-11-06
WO2018070826A1 (ko) 2018-04-19
JP6940056B2 (ja) 2021-09-22
US11347070B2 (en) 2022-05-31
KR102070628B1 (ko) 2020-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41021B2 (ja) 短距離光拡大モジュール、拡大方法及び拡大システム
JP2019506636A5 (ko)
EP3874303A1 (en) Compact polarization-based multi-pass optical architectures
JP7111703B2 (ja) 赤外域及び可視域の光制御装置
KR102070628B1 (ko) 광고립 장치
KR101995722B1 (ko) 광고립 장치
KR102063047B1 (ko) 광학 필름
KR102070634B1 (ko) 편광 변환 소자 및 광고립 장치
KR102070627B1 (ko) 편광 변환 소자 및 광고립 장치
JP2012084387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