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7084A - 응애류 방제를 위한 천적유지식물 - Google Patents

응애류 방제를 위한 천적유지식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7084A
KR20180037084A KR1020160127199A KR20160127199A KR20180037084A KR 20180037084 A KR20180037084 A KR 20180037084A KR 1020160127199 A KR1020160127199 A KR 1020160127199A KR 20160127199 A KR20160127199 A KR 20160127199A KR 20180037084 A KR20180037084 A KR 20180037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tes
amblyseius
mite
nematod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7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창학
함은혜
전혜정
이준석
안태현
진혜영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오상킨섹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오상킨섹트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오상킨섹트
Priority to KR1020160127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7084A/ko
Publication of KR20180037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0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10Device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animals, birds or other pes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애류 방제를 위한 천적유지식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천적의 먹이응애가 서식할 수 있는 서식처; 및 상기 서식처에 접종된 먹이응애와 천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응애류 방제를 위한 천적유지식물은 천적의 대체먹이인 괭이밥응애가 접종되어 있어, 응애류 해충발생 전에는 먹이가 없어 포장 정착이 어려웠던 포식성천적을 효과적으로 정착시켜 응애류 해충방제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응애류 방제를 위한 천적유지식물{New Banker plants for spider mites control}
본 발명은 응애류 해충 방제를 위한 천적유지식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응애류 해충 방제를 위한 천적유지식물은 천적의 먹이응애가 서식할 수 있는 식물 및 상기 식물에 부착된 잎응애류와 천적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응애류 방제를 위한 천적유지식물은 원예작물에 해충이 발생하기 이전에 천적을 원예작물 재배지에 정착시킴으로써 잎응애류 해충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적유지식물은 난방제 해충인 응애류를 친환경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작물 재배를 위한 보조재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 포장 식재를 통한 초생재배를 위한 선별 식물로도 널리 활용될 수 있다. 천적유지식물의 천적은 괭이밥응애(Tetranychina harti)를 먹이로 생존 및 증식 할 수 있으므로 본 포장에 해충이 발생하기 전에 천적의 정착이 가능하다. 또한 괭이밥응애는 괭이밥(Oxalis corniculata)에서만 증식하는 기주특이성(host specific)이 있으므로 응애류와 같은 생물만을 먹이 공급원으로 증식하는 천적곤충의 대체먹이로 공급하여 해충발생 유무, 장소 및 면적 등에 구애 받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천적곤충은 해충 발생 초기에 적용해야 경제적인 해충방제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작물 정식 이후 주기적으로 해충발생을 확인 하게 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해충이 매우 활발하게 움직이며, 일반적으로 크기가 아주 작기 때문에 육안으로 관찰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특히 잎응애류는 0.2~0.5의 미소해충으로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발육기간이 짧아져 25이상의 시설하우스 내에서는 월 6세대 이상 경과하는 등 밀도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기 때문에 방제적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천적업체에서 영업사원을 파견하여 직접 예찰을 하거나 작물 정식과 더불어 응애류 천적을 연속해서 접종하는 방법이 시행 된 바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영업사원이 직접 현장에 투입되어야 하므로 인력의 낭비와 이에 대한 영업비용 증가, 천적의 연속 방사에 의한 해충방제비용 증가로 천적을 활용한 해충방제방법이 비용이 비싸면서 까다로운 기술로 인식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기주특이성이 있어 원예작물 등의 재배하고자 하는 작물에는 해를 가하지 않으면서 천적의 먹이원이 되는 잎응애류와 그 서식처를 이용해 난방제 해충인 잎응애류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제하는 천적유지식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사전예찰에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을 절약하고 방제적기를 놓침으로 인해서 생기는 손실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면서 해충 방사 이전에 누구나 쉽게 사용이 가능한 천적을 활용한 해충 방제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먹이응애의 서식처; 및 상기 서식처가 식재된 화분; 상기 서식처에 접종된 천적의 먹이응애; 및 상기 먹이응애를 먹이 공급원으로 증식생존할 수 있는 응애류 천적이 포함된 천적유지식물을 제공한다.
상기 천적유지식물은 괭이밥(Oxalis corniculata L.)이며, 기주특이성이 있어 괭이밥에서만 증식할 수 있는 괭이밥응애(Tetranychina harti (Ewing))를 천적의 먹이로 접종한다.
상기 응애류 천적은 칠레이리응애(Phytoseiulus persimilis Athias-Henriot), 사막이리응애(Amblyseius californicus (McGregor)), 지중해이리응애(Amblyseius swirskii Athias-Henriot), 담배장님노린재(Nesidiocoris tenuis (Reuter))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서식처가 식재된 화분은 방제대상 응애류가 선호하는 색으로 도색되어 있으며 해당 작물로의 연결성을 고려하여 화분자체를 작물 주변에 설치하거나 상단에 화분걸이를 사용하여 대상작물로의 이동성을 확보하여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상기 천적유지식물을 포장에 손쉽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주기적인 예찰을 위한 인력 투입 또는 천적 연속방사에 의한 과도한 천적 투입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상기 천적유지식물은 햇볕이 잘 들어오는 곳이면 어디에서나 잘 자라는 식물로 특별한 관리가 없어도 유지 보수가 용이해 작물 및 장소 등에 구애 받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셋째, 상기 천적유지식물을 대상 해충 발생이전에 포장에 먼저 적용하면 천적의 정착효과가 뛰어나 해충방제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응애류 방제를 위한 천적유지식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응애류 방제를 위한 천적유지식물이 온실내부에 전체적으로 식재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애류 해충 방제를 위한 천적유지식물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애류 해충 방제를 위한 천적유지식물은, 먹이응애의 서식처(100); 상기 서식처가 식재된 화분(200); 상기 서식처에 접종된 먹이응애(300); 및 상기 먹이응애(300)를 먹이 공급원으로 활용해 증식할 수 있는 천적(400);을 포함한다.
상기 먹이응애의 서식처(100)는 먹이응애(300)가 유일하게 서식할 수 있는 식물인 괭이밥이 사용된다.
상기 먹이응애(300)는 기주특이성이 있어 괭이밥이외의 식물은 가해하지 아니하는 괭이밥응애가 사용된다.
상기 응애류 해충의 천적(400)은 예를 들면 칠레이리응애, 사막이리응애, 지중해이리응애, 미끌애꽃노린재 및 담배장님노린재 등의 광포식성 천적이 사용될 수 있으며 괭이밥응애를 먹이로 증식이 용이하여 천적(400)의 모든 세대가 일시에 포장에 정착이 가능하여 응애류 해충을 효과적으로 방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먹이응애(300)의 서식처(100)가 식재되어 있는 화분(200)은 가루이류, 총채벌레류 등의 해충이 유인이 되는 노란색으로 도포되어 있어, 응애류 이외의 해충을 유인하는 트랩식물로 사용될 수 있다. 유인된 해충은 천적유지식물에 서식하고 있는 천적(400)에 의해 즉시 방제가 이루어 질수 있다.
또한 화분(200)의 상단에 화분걸이(210)가 다수 일체로 장착될 수 있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천적유지식물은 시설하우스나 야외 등의 작물 재배 공간에 식재되어 친환경적으로 응애류 해충을 방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해 업계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 및 응용 또한 가능함은 물론이다.
실시예1.
아래 자료는 괭이밥이 천적의 서식처로 적용가능한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실험결과이다.
여기서, 그림 1과 2는 감귤하우스에서 잡초관리방법에 따른 감귤나무의 잎응애와 천적류의 밀도를 조사한 자료이다. 그림 3은 괭이밥이 조성되어 있는 감귤하우스에서 괭이밥 내의 해충과 천적의 밀도를 조사한 자료이다.
실험 결과 괭이밥이 조성되어 있는 감귤하우스에서 해충의 밀도가 낮게 유지되며, 천적류가 정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하우스 내부에 조성된 괭이밥내에서도 다양한 천적이 서식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Figure pat00001
그림 1. 잡초관리방법에 따른 감귤나무의 잎응애 해충 밀도
Figure pat00002
그림 2. 잡초관리방법에 따른 감귤나무의 포식성응애류 밀도
Figure pat00003
그림 3. 괭이밥이 조성되어 있는 감귤하우스내의 괭이밥에서 해충과 천적의 밀도
100: 서식처
200: 화분
210: 화분걸이
300: 먹이응애
400: 천적

Claims (3)

  1. 천적이 서식할 수 있는 서식처인 괭이밥; 및
    상기 괭이밥에 접종된 괭이밥응애와 천적;을 포함하며
    상기 서식처는 화분에 식재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애류 해충 방제를 위한 천적유지식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적은 칠레이리응애(Phytoseiulus persimilis), 사막이리응애(Amblyseius californicus), 지중해이리응애(Amblyseius swirskii), 오이이리응애(Amblyseius cucumeris), 팔라시스이리응애(Amblyseius fallacies), 총채가시응애(Hypoaspis aculeifer), 마일즈응애(Hypoaspis milies), 나팔이리응애(Amblyseius barkeri), 긴털이리응애(Amblyseius womersleyi), 응애혹파리(Feltiella acarisuga) 미끌애꽃노린재(Orius laevigatus), 으뜸애꽃노린재(Orius strigicollis) 및 담배장님노린재(Nesidiocoris tenuis)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애류 해충 방제를 위한 천적유지식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적유지식물의 괭이밥응애와 천적은 10~15:1로 접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애류 해충 방제를 위한 천적유지식물.
KR1020160127199A 2016-10-02 2016-10-02 응애류 방제를 위한 천적유지식물 KR201800370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199A KR20180037084A (ko) 2016-10-02 2016-10-02 응애류 방제를 위한 천적유지식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199A KR20180037084A (ko) 2016-10-02 2016-10-02 응애류 방제를 위한 천적유지식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084A true KR20180037084A (ko) 2018-04-11

Family

ID=61976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7199A KR20180037084A (ko) 2016-10-02 2016-10-02 응애류 방제를 위한 천적유지식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70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27951A (zh) * 2020-05-21 2020-08-14 浙江省农业科学院 一种防治红蜘蛛的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27951A (zh) * 2020-05-21 2020-08-14 浙江省农业科学院 一种防治红蜘蛛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ang et al. The banker plant method in biological control
CN101677576B (zh) 螨类组合物
AMAN01 et al. What are stingless bees, and why and how to use them as crop pollinators?-a review
CN105284747A (zh) 一种朱红毛斑蛾的室内饲养方法及装置
JP2007325541A (ja) 天敵昆虫の増殖装置及び使用方法
CN102125002A (zh) 一种盲椿象寄生蜂的人工饲养方法
JP2007297293A (ja) 生物農薬及びそれを用いた害虫防除方法
KR100426462B1 (ko) 애꽃노린재류의 먹이 사육방법 및 장치
JP4533988B2 (ja) 天敵昆虫を飼育するための給餌方法および給餌装置
KR101460099B1 (ko) 풀잠자리류 곤충 생장 관찰 장치
Potter et al. Immobile and tough versus mobile and weak: effects of ultraviolet B radiation on eggs and larvae of Manduca sexta
KR20180037084A (ko) 응애류 방제를 위한 천적유지식물
WO2018178870A1 (es) Metodo para criar y seleccionar pupas de encarsia formosa y amitus fuscipennis y metodo para controlar la mosca blanca en cultivos de tomate de invernadero
JP2008072945A (ja) ハウス栽培における天敵昆虫による害虫防除方法
CN104041460A (zh) 斑蝥养殖方法
JP2006158348A (ja) 生物防除法
Igarashi et al. Application of a powdered artificial diet to promote the establishment of the predatory bug Geocoris varius (Hemiptera: Geocoridae) on strawberry plants
Rice Reversing the roles of predator and prey: A review of carnivory in the botanical world
Stocks et al. European pepper moth or Southern European marsh pyralid Duponchelia fovealis (Zeller)
Mishra Nesting and parental care in Cinnyris jugularis
JP2006109726A (ja) 生物防除法
UA16849U (en) Method of mass rearing of lepidopterous pests parasite dibrachus cavus walk. (hymenoptera, pteromalidae)
Mushtaq et al. Study on the efficacy of ladybird beetle as a biological control agent against aphids (Chaitophorus spp.)
Ives Biological controls in botanic gardens
KR102632311B1 (ko) 양식 미꾸리류 스트레스 저감을 위한 인공저질 장치 및 이 인공 저질장치를 이용한 미꾸리류 양식수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