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0099B1 - 풀잠자리류 곤충 생장 관찰 장치 - Google Patents

풀잠자리류 곤충 생장 관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0099B1
KR101460099B1 KR1020120085205A KR20120085205A KR101460099B1 KR 101460099 B1 KR101460099 B1 KR 101460099B1 KR 1020120085205 A KR1020120085205 A KR 1020120085205A KR 20120085205 A KR20120085205 A KR 20120085205A KR 101460099 B1 KR101460099 B1 KR 101460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ct
larva
present
delete delete
obser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5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9104A (ko
Inventor
이준석
김철학
함은혜
구본란
장미연
이영수
홍순성
김진영
김형덕
김희동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오상킨섹트
경기도농업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오상킨섹트, 경기도농업기술원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오상킨섹트
Priority to KR1020120085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0099B1/ko
Publication of KR20140019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9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0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0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3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zoolog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Algebra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곤충 생장 관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곤충 생장 관찰 장치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며, 외부에서 상기 공간을 관찰할 수 있도록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투명하게 형성된 관찰용기; 및 상기 관찰용기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곤충의 알이 부착되고 곤충 유충의 먹이가 도포 또는 부착된 유충 서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곤충 생장 관찰 장치는, 곤충의 알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게 하고 특별한 관리 없이도 곤충이 알에서부터 유충 및 번데기를 거쳐 성충이 될 때까지 효과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와 같이 곤충이 생장하는 모습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여, 곤충 생장에 대한 학습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성충이 된 천적 곤충을 화분, 화단 및 텃밭 등의 농작물 해충 방제에 활용하도록 하여, 농약의 사용으로 인한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풀잠자리류 곤충 생장 관찰 장치{System for Observating Growth of Insect}
본 발명은 곤충 생장 관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곤충이 알에서부터 성충이 되고 번식을 하는 과정을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성충이 된 곤충을 천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곤충 생장 관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동들을 위한 전통적인 곤충 교육 방법으로서 곤충채집망을 이용하여 직접 채집을 하거나 야간에 유아등을 설치하여 불빛에 유인되는 곤충을 채집하는 방법이 이용되는데, 이와 같이 채집을 통해 얻어지는 곤충은 일시적인 관찰이나 표본 제조는 용이하나 관심 대상의 곤충을 살아있는 상태로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관찰하는 데에는 많은 장애요소가 따른다.
또한, 농업 기술의 발달에 따라 농약이나 화학비료를 사용함으로써 농작물의 생산량은 크게 증가하였지만, 토양의 황폐화와 함께 자연 생태계를 크게 해치고 있다. 이에 따라, 농업 해충들의 천적 곤충들은 농약 자체의 독성 및 먹이 감소에 따라 개체수가 극도로 줄어 들어 멸종 위기에 처한 종들도 발견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천적 곤충들을 주변에서 찾아 보기란 쉽지 않으며, 아동들에게 이러한 천적 곤충에 대한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보통 완전변태를 하는 곤충의 경우 알로 태어나 애벌레 시기를 거쳐 고치상태에 이른 후 성충으로 우화하여 살아가다 일생을 마감한다. 이러한, 곤충들 각각의 발육단계별 생육 특성은 아동 및 학생들에게 교육적으로 높은 가치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곤충 생장의 전단계를 주변에서 체험하기는 어렵다.
이에 본 발명은 천적 곤충이 알에서부터 유충을 거쳐 성충이 되는 과정을 효과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곤충 생장 관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관련기술문헌]
1. 곤충 관찰용 화분(A Flowerpot for Observing an insects)(특허출원번호 제10-2000-0085476호)
2. 곤충 학습관찰용 용기(CAGE FOR INSECTS ON OBSERVATIONL LEARNING)(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8-0012659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곤충의 알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으며, 특별한 관리 없이도 천적 곤충이 알에서부터 성충이 될 때까지 효과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곤충 생장 관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천적 곤충이 생장하는 모습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는 곤충 생장 관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성충이 된 천적 곤충을 화분, 화단 및 텃밭 등의 농작물 해충 방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곤충 생장 관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며, 외부에서 상기 공간을 관찰할 수 있도록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투명하게 형성된 관찰용기; 및 상기 관찰용기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곤충의 알이 부착되고 곤충 유충의 먹이가 도포 또는 부착된 유충 서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생장 관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유충 서식부는 성충 유인제가 도포될 수 있다.
성충 유인제로는 예를 들어 꿀, 이스트 또는 화분이 각각 또는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충 유인제에는 영양 공급을 위해 화분, 루틴, 카로틴, 아미노산 또는 비타민 E 등이 첨가될 수 있다. 다만, 성충 유인제는 성충을 유인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곤충 유충의 먹이는 상기 유충 서식부 중 외부에서 육안 관찰이 가능한 위치에 도포 또는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유충 서식부로는 조화가 사용될 수 있는데, 조화 자체 뿐만 아니라 조화가 화분, 화병 등의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를 포함한다. 여기서, 조화는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꽃과 인조목, 인조식물 등을 모두 일컫는 개념이다.
상기 곤충으로는 포식성 곤충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예로 풀잠자리가 있다. 풀잠자리는 진딧물, 응애, 깍지벌레, 나방류의 천적 곤충으로서 의미가 크다.
상기 곤충 유충의 먹이는 예를 들어 꿀, 이스트, 소간, 누에번데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곤충 유충의 먹이는 나방류의 알에 꿀, 이스트, 꽃가루, 증류수 등을 일정 성분비로 혼합,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찰용기는 일면 또는 2 이상의 면이 외부로 개방될 수 있게 형성되어, 외부에서 관찰용기로 곤충 서식부 및 먹이 등을 이동시킬 수 있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관찰용기의 상면은 외부로 개방된 구조를 가지며, 커버에 의해 외부와 차단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곤충 생장 관찰 장치는 상기 커버와 상기 관찰용기를 두르면서 외력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로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로프의 끝단을 고정시키는 로프 고정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는 미닫이 또는 여닫이 형태로 상기 관찰용기를 개폐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곤충 생장 관찰 장치는 상기 곤충이 배출될 수 있는 곤충 배출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찰용기에는 관찰용기 내외로 공기가 유통되는 통풍구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곤충 생장 관찰 장치는, 곤충의 알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게 하고 특별한 관리 없이도 곤충이 알에서부터 유충 및 번데기를 거쳐 성충이 될 때까지 효과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와 같이 곤충이 생장하는 모습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여, 곤충 생장에 대한 학습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성충이 된 천적 곤충을 화분, 화단 및 텃밭 등의 농작물 해충 방제에 활용하도록 하여, 농약의 사용으로 인한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충 생장 관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곤충 생장 관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곤충 생장 관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곤충 생장 관찰 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충 생장 관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충 생장 관찰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곤충 생장 관찰 장치는 관찰용기(10)와 유충 서식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관찰용기(10)는 내부에 유충 서식부가 위치할 내부 공간이 마련되고, 외부에서 그 공간을 관찰할 수 있도록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투명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투명하게 형성됨으로써 외부에서 내부 공간을 관찰할 수 있다.
유충 서식부(20)는 상기 관찰용기(1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곤충의 알이 부착되고 곤충 유충의 먹이(107)가 도포 또는 부착된다.
상기 유충 서식부(20)로는 조화가 사용될 수 있는데, 조화 자체 뿐만 아니라 조화가 화분, 화병 등의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를 포함한다. 여기서, 조화는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꽃과 인조목, 인조식물 등을 모두 일컫는 개념이다.
유충 서식부(20)는 해당 곤충이 서식하는 기주식물과 동일 또는 유사하도록 제작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유충은 동종포식이 있으므로 숨을 수 있는 공간이 적절히 확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풀잠자리의 경우 낙엽수, 침엽수에서도 서식하지만, 줄기가 연하고 물기가 많으며 꽃이 피는 초본식물을 유충 서식부(20)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충 서식부(20)에는 곤충의 알이 부착되는데, 곤충의 알은 인위적으로 떼다 부착하기가 어려우므로, 제품 제조시에 성충을 유인하여 산란할 수 있도록 하는 성충 유인제를 이용하여 성충이 유충 서식부(20)에 산란을 하도록 하고 곤충의 알이 산란된 상태의 유충 서식부(20)를 관찰용기(10)에 넣어 제품화할 수 있다.
성충 유인제로는 예를 들어 꿀, 이스트 또는 화분이 각각 또는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충 유인제에는 영양 공급을 위해 화분, 루틴, 카로틴, 아미노산 또는 비타민 E 등이 첨가될 수 있다. 다만, 성충 유인제는 성충을 유인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유충 서식부(20)에 성충 유인제를 도포한 상태로 제품화하여, 사용자들이 관찰용기(10)를 개방시켜 곤충이 관찰용기 내의 유충 서식부(20)에 산란을 하도록 하여 사용하게 할 수도 있다.
유충 서식부(20)에는 곤충 유충의 먹이(107)가 도포되는데, 곤충 유충의 먹이(107)는 상기 유충 서식부(20) 중 외부에서 육안 관찰이 가능한 위치에 도포 또는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곤충으로는 포식성 곤충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예로 풀잠자리가 있다. 풀잠자리는 진딧물, 응애, 깍지벌레, 나방류의 천적 곤충으로서 가치가 크며, 본 발명의 곤충 생장 관찰 장치를 통해 성충이 되면 화분, 화단 및 텃밭 등에 방생하여 농작물 해충 방제에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곤충 유충의 먹이(107)는 예를 들어 꿀, 이스트, 소간, 누에번데기 등이 사용될 수 있는데,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곤충 유충의 먹이(107)는 나방류의 알에 꿀, 이스트, 꽃가루, 증류수 등을 혼합한 후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곤충 유충의 먹이(107)는 유충 성장에 필요한 다양한 영양분을 모두 공급할 수 있고, 나방류의 알에 도포가 되어 형성되는 것이어서 자체의 형상을 가지므로 관찰 및 관리가 용이하고, 유충의 거부감을 없앨 수 있다.
상기 관찰용기(10)는 일면 또는 2 이상의 면이 외부로 개방될 수 있게 형성되어, 외부에서 관찰용기(10)로 곤충 서식부(20) 및 먹이(107) 등을 이동시킬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방된 면을 통해 제품 제조시에 곤충 서식부(20)를 이동하게 할 수 있고, 제품 사용 중에 먹이(107)가 떨어지거나 그 외 관찰용기(10) 내에 응급 상황 발생시 그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의 가장 간단한 예로서, 상기 관찰용기(10)의 상면은 외부로 개방된 구조를 가지며, 커버(30)에 의해 외부와 차단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곤충 생장 관찰 장치는 상기 커버(30)와 상기 관찰용기(10)를 두르면서 외력에 의해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로프(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로프(40)의 끝단(41)을 고정시키는 로프 고정단(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곤충 생장 관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1의 실시예와 달리 상면 커버(50)가 미닫이 형태로 관찰용기(10)에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보통의 경우 커버(50)를 폐쇄시키고, 유충 서식부(20)의 운반이나 먹이 공급, 성충의 방생 등을 위하여 커버(50)를 개방할 수 있다.
본 실시예 외에도 관찰용기(10)의 걔폐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본질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라면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곤충 생장 관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곤충 생장 관찰 장치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곤충 생장 관찰 장치와 달리 곤충 배출구(60)을 더 포함한다.
유충 서식부(20)의 유충이 성장하여 성충이 되면 진딧물, 응애, 깍지벌레, 나방류 등의 방제를 위해 사용할 수 있으며, 곤충 배출구(60)를 개방하여 성충을 화단, 화분, 텃밭 등으로 방생할 수 있다. 실내 화단의 경우 곤충 배출구(60)를 개방해 두면 곤충이 화단과 관찰용기(10) 사이를 돌아다니면서 생장하는 모습도 관찰할 수 있다.
도 1 및 2의 실시예의 경우 본 실시예와 같이 곤충 배출구(60)가 없지만, 커버(30, 50)를 개방하여 성충을 방생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곤충 생장 관찰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곤충 생장 관찰 장치는 관찰용기(10) 내외로 공기가 유통되는 통풍구(70)가 마련될 수 있다. 통풍구는 그물망 형태로 구성되어 공기는 유통되게 하고 관찰용기(10) 내부의 곤충의 이동은 막을 수 있게 한다. 아울러, 통풍 조절부가(80) 마련되어 통풍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통풍 조절부(80)는 위아래로 미닫는 구조로 되어 있지만, 그와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구조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관찰용기 20: 유충 서식부
30 : 커버 40 : 고정로프
41 : 고정로프의 끝단 43: 로프 고정단
50 : 상면 커버 60 : 곤충 배출구
70 : 통풍구 80: 통풍 조절부

Claims (15)

  1.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며, 외부에서 상기 공간을 관찰할 수 있도록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투명하게 형성된 관찰용기; 및
    상기 관찰용기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며, 곤충의 알이 부착되고 곤충 유충의 먹이가 도포 또는 부착된 유충 서식부를 포함하고,
    상기 곤충 유충의 먹이는 나방류의 알에 꿀, 이스트, 꽃가루, 증류수를 도포하여 형성되며,
    상기 곤충은 풀잠자리이고,
    상기 유충 서식부는 조화이며,
    상기 관찰용기는 일면 또는 2 이상의 면이 외부로 개방될 수 있게 형성되고, 상기 관찰용기의 상면은 외부로 개방된 구조를 가지며, 커버에 의해 외부와 차단되며,
    상기 곤충이 배출될 수 있는 곤충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관찰용기에는 관찰용기 내외로 공기가 유통되는 통풍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생장 관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충 서식부는 성충을 유인하는 성충 유인제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생장 관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충 유인제는 꿀, 이스트 및 화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생장 관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곤충 유충의 먹이는 상기 유충 서식부 중 외부에서 육안 관찰이 가능한 위치에 도포 또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생장 관찰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20085205A 2012-08-03 2012-08-03 풀잠자리류 곤충 생장 관찰 장치 KR101460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205A KR101460099B1 (ko) 2012-08-03 2012-08-03 풀잠자리류 곤충 생장 관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5205A KR101460099B1 (ko) 2012-08-03 2012-08-03 풀잠자리류 곤충 생장 관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9104A KR20140019104A (ko) 2014-02-14
KR101460099B1 true KR101460099B1 (ko) 2014-11-21

Family

ID=50266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5205A KR101460099B1 (ko) 2012-08-03 2012-08-03 풀잠자리류 곤충 생장 관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00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93992A (zh) * 2015-12-28 2016-03-16 贵州大学 九香虫若虫养殖装置
KR102010041B1 (ko) 2018-11-13 2019-08-1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오상킨섹트 소리 조절이 가능한 소리곤충 관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32586A (zh) * 2016-03-04 2016-05-04 苏州洁威生物科技有限公司 蝇卵收集装置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419Y1 (ko) * 2001-06-13 2001-10-17 정상진 곤충관찰용세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419Y1 (ko) * 2001-06-13 2001-10-17 정상진 곤충관찰용세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93992A (zh) * 2015-12-28 2016-03-16 贵州大学 九香虫若虫养殖装置
KR102010041B1 (ko) 2018-11-13 2019-08-12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오상킨섹트 소리 조절이 가능한 소리곤충 관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9104A (ko) 2014-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77576B (zh) 螨类组合物
CN102125002B (zh) 一种盲椿象寄生蜂的人工饲养方法
KR101220410B1 (ko) 나방류 천적의 대량 증식 장치 및 방법
KR101053217B1 (ko) 지중해가루명나방의 알을 이용한 무궁화관총채벌레의 대량사육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궁화관총채벌레 대량사육방법
CN103461038B (zh) 一种有机茶园茶树幼苗期病虫草无害化管理方法
JP2007325541A (ja) 天敵昆虫の増殖装置及び使用方法
CN107484720B (zh) 仿野生生态蜈蚣养殖系统及养殖方法
CN104719263A (zh) 胡蜂大棚高产养殖法
KR101460099B1 (ko) 풀잠자리류 곤충 생장 관찰 장치
CN2580762Y (zh) 一种寄生昆虫的蓄放装置
KR20150062672A (ko) 깍지벌레 방제를 위한 천적 풀잠자리 사육방법
CN107372363A (zh) 一种可以提高蔬菜大棚内养殖黑水虻成虫密度的设施
KR101414052B1 (ko) 기생성곤충 생장 관찰장치
CN101617645A (zh) 凹纹胡蜂繁育方法
KR20090009683U (ko) 곤충사육통
KR20170000656A (ko) 누리관총채벌레의 사육방법 및 이를 이용한 총채벌레류의 방제방법
KR101352398B1 (ko) 화분매개용 곤충 사육장치
JP2006158348A (ja) 生物防除法
JP2008072945A (ja) ハウス栽培における天敵昆虫による害虫防除方法
CN102197797A (zh) 用蚜茧蜂移动网箱防治蚜虫的方法
CN208402954U (zh) 一种胡蜂地下越冬室
Shipp et al. Greenhouse climate: an important consideration when developing pest management programs for greenhouse crops
CN104756960A (zh) 大斑黄小蜂饲养方法
KR20200127548A (ko) 동애등에의 유화장
Darmo et al. Madagascan giant hissing roach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