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6419Y1 - 곤충관찰용세트 - Google Patents

곤충관찰용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6419Y1
KR200246419Y1 KR2020010017682U KR20010017682U KR200246419Y1 KR 200246419 Y1 KR200246419 Y1 KR 200246419Y1 KR 2020010017682 U KR2020010017682 U KR 2020010017682U KR 20010017682 U KR20010017682 U KR 20010017682U KR 200246419 Y1 KR200246419 Y1 KR 2002464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servation
pot
insect
observation set
fix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76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진
정순주
최문채
Original Assignee
정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상진 filed Critical 정상진
Priority to KR20200100176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64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64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6419Y1/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애벌레에서 성충에 이르기까지의 곤충의 변태과정 및 생장과정을 손쉽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한 곤충관찰용세트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폐공간을 확보하여 알, 애벌레, 번데기 및 성충이 서식할 수 있도록 한 곤충관찰용세트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을 확보하고 있는 외부구조; 상기 외부구조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관찰용세트의 내부를 관측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측용창; 및 상기 외부구조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통기창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구조의 내부 공간에는 적어도 하나의 화분이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통기창은 애벌레 및 성충이 관찰용세트 밖으로 빠져나올 수 없을 정도로 작은 다수의 통기공을 포함하는 구조이며, 상기 화분은 흡밀식물 및 먹이식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심어진 화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관찰용세트이다.

Description

곤충관찰용세트{cage for observing the growth of insects, particularly butterfly}
본 발명은 곤충관찰용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알, 애벌레, 번데기 및 성충에 이르는 변태과정을 거치는 곤충의 생장과정 전체를 손쉽게 관찰할수 있도록 한 곤충관찰용세트에 관한 것이다.
나비등의 곤충은 급속한 산업화에 따른 환경파괴로 인해 우리 주변에서 관찰할 기회가 줄어들었다. 이에 따라 나비를 관상용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어 왔으며, 주로 다음과 같은 형태가 사용되었다. 직육면체 등의 모양을 가진 수족관 형태의 유리 상자안에 흙을 채우고 나비의 생장에 필요한 식물을 심어서 나비나 애벌레의 생장에 적합한 환경을 만들어 주는 방법이 이용되었다. 그러나, 자연상태에서 살던 나비를 좁은 공간에 가두어 기르게 되면, 개체수가 작은 한정된 집단내에서 교미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세대를 거듭할 수록 나비는 퇴화를 겪게 되어, 낳는 알의 수나 평균수명에 있어서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는데, 예를 들어 자연상태에서 우화후 20일 정도를 살 수 있는 배추흰나비는 관상용상자 안에서 제 1 세대의 경우 12일 제 2 세대의 경우 약 8일 정도 밖에 살 수가 없으며 결국은 더이상 나비가 생존할 수 없게 된다. 이 경우에 고가인 유리소재의 나비관상용 상자는 무용지물이 되고 만다. 다시 말해, 한정된 공간에서 나비의 생존기간을 고려할 때 유리나 고급 플라스틱 소재는 재료의 낭비를 초래하며 제작비용의 상승을 초래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인 것이다.
또한, 이러한 유리소재로 이루어진 나비관상용 상자는 무겁고, 운반이 불편하여, 대량 상품화 및 규격 상품회가 곤란하였으며, 주로 주문제작을 통해 설치장소에서 직접 조립하는 방법으로 나비관상용상자를 제작하여야만 했다. 또한, 유리상자 내부의 식물을 관리하는 것이 곤란하였으며, 비교적 높은 가격이어서 일반인이나 어린 학생들이 부담 없이 접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나비의 애벌레를 플라스틱 통속에 담아서 판매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 경우에는 애벌레가 나비로까지 생장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많아서, 이는 학습용으로나 관상용으로나 적합하지 아니한 것이었다.
본 발명은 곤충, 특히 나비의 생장 및 변태의 전과정을 관찰할 수 있게 하면서도, 규격화하여 대량 제작이 가능하며, 유통이 편리하고, 일반인도 저렴한 비용으로 손쉽게 접할 수 있도록 비교적 저렴하고 가벼운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이 가능한 곤충관찰용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곤충관찰용세트의 제작을 위해 상기와 같이 가볍고 비교적 내구성이 떨어지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기 위해서는 관찰용상자의 구성요소 중 가장 하중을 많이 주는 식물 및 토양부분의 무게를 효과적으로 줄여야만 하며 그러면서도 식물 및 토양을 관찰용세트 내에 안정적으로 위치시켜야만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 점을 해결하는 것에 의해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정된 공간안에서의 나비의 생존기간을 고려하여 나비의 생존기간 동안에는 충분한 내구성을 가지면서도, 나비가 더이상 생존할 수 없게된 때에는 곤충관찰용세트를 용도폐기함에 있어서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환경 친화적인 곤충관찰용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정된 공간 내에서 나비가 생장하고 세대를 반복하는 동안에 알, 애벌레, 번데기 및 나비가 서식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곤충관찰용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인 곤충관찰용세트의 전체구성도,
도2는 도1의 곤충관찰용세트의 본체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곤충관찰용세트의 외부로 화분고정수단을 분리해 내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4은 본발명에 따른 화분고정수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5는 관찰용세트내에 위치하는 화분의 물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6은 나비의 생활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설명*
1: 손잡이 14: 온도계
2: 통기창 21: 먹이식물
3: 개폐부 고정수단 22: 흡밀식물
4: 개폐부 23: 화분
5: 관측용창 24: 꿀통
6: 관찰용세트의 외부구조 25: 물받이
7: 화분고정수단 31. 나비
8: 화분삽입공 32: 애벌레
11: 주사기 33: 번데기
12: 튜브 34: 알
13: 튜브삽입공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곤충관찰용세트는 내부에 폐공간을 확보하여 알, 애벌레, 번데기 및 성충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서식할 수 있도록 한 곤충관찰용세트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을 확보하고 있는 외부구조; 상기 외부구조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관찰용세트의 내부를 관측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측용창; 및 상기 외부구조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통기창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구조의 내부 공간에는 흡밀식물 및 먹이식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심어진 화분이 적어도 하나 이상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통기창은 애벌레 및 성충이 관찰용세트 밖으로 빠져나올 수 없을 정도로 작은 다수의 통기공을 포함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관찰용세트는 상기 화분을 고정시키기 위한 화분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분고정수단은 상기 화분의 개수만큼의 화분삽입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찰용세트는 상기 외부구조의 적어도 일면이 개폐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분고정수단 및 상기 화분은 상기 외부구조의 개폐가능한 일면의 개방시에 형성되는 개구를 통해 상기 관찰용세트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화분고정수단 및 상기 화분은 상기 외부구조의 개폐가능한 일면의 개방시에 형성되는 개구를 통해 상기 관찰용세트 외부로 분리되어 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에 폐공간을 확보하여 알, 애벌레, 번데기 및 성충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서식할 수 있도록 한 구조체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을 확보하고 있는 외부구조; 상기 외부구조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관찰용세트의 내부를 관측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측용창; 및 상기 외부구조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통기창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구조의 내부 공간에는 흡밀식물 또는 먹이식물이 심어진 화분이 적어도 하나 이상 위치할 수 있을 정도로 넓고, 상기 통기창은 애벌레 및 성충이 관찰용세트 밖으로 빠져나올 수 없을 정도로 작은 다수의 통기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구체화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곤충관찰용세트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의 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관찰용세트의 외부구조(6)는 대략 직육면체의 형태를 지니고 있으며, 햇빛의 투과 및 내부의 관측을 위해 전면에 얇고 투명한 아크릴 수지를 부착한 관측용창(5)을 구비하고 있으며, 통기성을 확보하여 관찰용세트 내부의 습도 및 온도조절을 위해 좌우측면과 상부면에 각각 형성된 통기창(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좌측면(4)은 개폐가 가능한 여닫이 문으로서 기능하도록 형성하였으며, 상기 여닫이 문(4)이 닫힌 상태에 있을 때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여닫이 문 고정 수단(3)이 각각 전면, 상부면 및 하부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도1에서는 문을 여닫이로 형성하였지만, 문은 미닫이의 형태로 형성되어도 좋고, 혹은 탈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관찰용세트 내부에 위치시키는 화분으로 일반화원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지름 약 100mm의 초화류용 화분을 사용하였으나,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관찰용세트 내부로 삽입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다만, 너무 크고 무거운 화분은 관찰용세트의 외부구조(6)에 대한 하중을 증가시켜, 종이나 얇은 합성수지로는 상기 관찰용세트의 제작을 어렵게 만들며, 운반 및 유통상의 불편함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관찰용세트 내부에 위치한 화분(23)은 화분고정수단(7)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고 있다. 도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화분고정수단(7)의 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3개의 화분이 화분고정수단(7)에 삽입되어 있으며, 도면 중에서는가운데 화분이 삽입된 부분의 전면이 부분 절취되어 나타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화분삽입을 위한 화분삽입공(8)이 형성된 상부면의 높이가 대략 각 화분의 턱부분의 높이와 일치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 경우에는 화분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하고, 각 화분의 하부에 설치한 물받이(25)가 보이지 않도록 해주어 관찰용세트 전체의 외관을 수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분고정수단(7)이 관찰용세트 내부로 삽입되어 있을 때의 상기 화분고정수단(7)의 상부면의 위치는 대략 관측용창(5)의 하단부와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분고정수단(7)은 관찰용세트의 일면에 형성된 개폐 가능한 문(4)의 개방시에 형성되는 개구를 통해 관찰용세트의 외부로 충분히 노출되거나 또는 완전히 분리되어 질 수 있다(도3 참조). 이 처럼 관찰용세트 내부의 화분고정수단(7)을 별도의 구조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내부관리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예를 들어, 화분에 심어진 먹이식물(21)이나 흡밀식물(22)의 고갈 시에 새로운 화분으로의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애벌레가 성장함에 따라 배설물의 양이 많아져서 관찰용세트 내부의 습도를 높이고 곰팡이 등이 발생할 수 있게 하며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아서 내부 청소를 해야만 하는데, 이 경우 한정된 공간내에서 이 작업을 하는 것은 나비나 애벌레에게 스트레스를 줄 수 있으며 작업자도 상당한 불편을 겪게 되므로, 이 경우에는 화분고정수단(7)과 함께 화분(23)을 외부로 분리한 후에 작업하는 것이 편리하다.
한편, 화분고정수단(7)을 외부로 분리해 낼 때에 나비의 탈출을 막기 위해서는 나비의 양성 주광성(phototaxis)을 이용하여 주위를 어둡게 하고, 개폐되는문(4)의 반대 쪽에서 빛을 비추어 나비를 유인한 후에 상기와 같은 화분고정수단(7)의 분리작업을 수행하면 된다.
그러나, 상기 화분고정수단(7)은 상기관찰용세트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화분고정수단(7)을 상기 화분과 함께 상기 관찰용세트의 외부로 분리해 낼 수 없기 때문에, 내부를 편리하게 관리하기 위해서는 전면이나 후면과 같이 비교적 넓은 면에 개폐 가능한 문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5에는 화분에 물을 공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가 도시되어 있다. 먹이식물이나 흡밀식물에는 매일 일정량의 수분을 공급해주어야 하는데, 이 때마다 문을 개폐하는 것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골판지 등의 종이 소재로 만들어진 관찰용세트의 경우에는 개폐부의 마모를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관찰용세트는 내부로 튜브 등을 삽입하기에 충분한 크기의 개폐 가능한 개구(13)를 구비하여 상기 개구를 통해 튜브를 삽입하고 주사기(11) 등을 이용하여 화분에 수분이나 영양분 등을 공급할 수 있으며, 흡밀식물의 고갈시에 당해 화분을 교체하는 대신에 관찰용세트 내부에 위치한 꿀통(24)에 설탕물 등을 공급할 수 있게 하며, 관찰용세트의 일면에 형성된 개폐부(4)를 개방하지 않기 때문에 그 만큼 나비의 탈출 가능성이 줄어든다.
이상에서 화분고정수단(7)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 따른 화분고정수단은 이상에서 설명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화분을 고정시킬 목적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상기 관찰용세트 내부에 위치하는 화분에 심을 수 있는 식물의 종류로는 애벌레용 먹이식물(21), 나비의 먹이용으로서의 흡밀식물(22) 및 기타 관상목적의 식물이 가능하다. 애벌레용 먹이식물은 알에서 부화한 애벌레가 번데기로 되기까지 먹이로서 이용하는 식물로서 나비 애벌레의 먹이가 될 수 있는 식물은 어떠한 것이라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배추흰나비의 경우에는 케일, 배추, 무 등의 십자화과 식물을 좋아하는데, 소형화분에서 자라기에 적합한 식물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흡밀식물은 나비에게 꿀을 제공할 수 있고 소형화분에서 기르기에 적합한 어떠한 식물이라도 가능하다. 도1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두개의 먹이식물용 화분과 한개의 흡밀식물용 화분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관측용창(5)은 관찰용세트 내부를 관측 가능하게 하는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며, 심각하게 관측을 방해할 정도로 빛의 투과율이 낮지만 않다면, 어떠한 재료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그물망 형태의 재료로써 상기 관측용창(5)을 구성하는 것도 무방하나, 보다 용이한 관측을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얇고 가벼운 투명 아크릴수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관찰용세트 전체의 내구성이 보장이 된다면 유리나 두꺼운 플라스틱 소재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관측용창(5)은 일반적으로 전면에 대형으로 하나만 설치하면 될 것이지만,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배면, 좌우측면 또는 상부면 등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통기창(2)은 공기와 습기가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크고, 나비의 애벌레가 상기 관찰용세트 외부로 탈출하는 것을 막을 수 있을 정도로 작은 다수의 통기공을 구비한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며, 바람직하게는 그물망형태의 망사조직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보통 애벌레는 번데기가 되기 직전까지는먹이식물 밖으로 떠나지 않으나, 번데기로 변태하기 직전에는 운동량이 많아지고 이 때가 탈출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배추흰나비의 경우 애벌레의 지름이 1∼2mm정도이고 대부분의 나비의 경우에는 배추흰나비의 경우보다 애벌레가 더 크기 때문에, 상기 통기공의 크기가 대략 1mm 이하이면 성장한 애벌레의 탈출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통기창(2)은 상기 관찰용세트의 바닥면과 전면 관측용창(5)을 제외한 어떠한 면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단 하나의 통기창(2)만을 형성 할 수도 있다. 그러나, 공기의 유동성 및 대류현상을 고려하면 관찰용세트의 좌우 측면, 상부면 또는 배면에 두개 이상으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전면관측용창(5)을 그물조직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관측의 용이성을 희생하는 대신 공기의 유통성을 좋게 하여 관찰용세트 내부에 보다 쾌적한 서식환경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목적을 위해 상기 전면 관측용창(5)에 다수의 통기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관찰용세트의 외부구조(6)를 이루는 재료로는 일정한 강도를 가지면서 쉽게 구겨지지 않고 약간의 탄성을 가진 물질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상기 관찰용 세트의 제조에 방해가 되지 않으며, 재활용이 가능한 합성수지나 종이 등을 이용하여 제작하면 환경보호측면이나 제작비용의 절감에 유리하다. 또한, 상기 외부 구조를 투명한 재질로 구성하여 전체적으로 관측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1 내지 도3, 도5 및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찰용세트의 외부에 손잡이(1)를 설치하여 본 세트를 구입하는 사람이 편리하게 운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상기 손잡이(1)의 형태는 얼마든지 다른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원발명에 따른 곤충관찰용세트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나비가 교미해서 알을 낳게 되면 알이 부화하여 애벌레를 거쳐 번데기가 되고, 다시 번데기가 우화하여 나비가 되기까지는 약 35일이 걸리며, 35일을 주기로 적당한 온도(나비의 생육적온은 23~28℃)와 먹이식물 및 흡밀식물을 공급하여 주면 상당 기간 동안 가정에서 쉽게 나비의 생장과정 전체를 관찰할 수가 있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서 처럼 온도의 관리를 위해 관찰용세트 내부에 온도계(14)를 설치하면 보다 용이하게 온도를 관리할 수 있다(도1 참조).
곤충관찰용세트는 최초판매시에 알, 애벌레, 번데기 및 나비 중 적어도 어느하나를 포함하고 있다.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한 네가지 모두를 포함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알을 부착하는 먹이식물과 애벌레를 부착하는 먹이식물을 각각 다르게 하여 별도의 화분으로 하는 것이 좋은데, 그 이유는 애벌레 쪽이 한 단계 빠르게 생장하고 있어서 먹이식물의 소진 정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또한, 번데기를 상기 관찰용세트 내부에 포함시키기 위해서는 먹이식물이나 흡밀식물의 줄기나 가지에 부착하게 되는데, 이 때 접착제로는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나무 접착용 수성 본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공 본드를 사용하면 번데기가 화공본드의 유독성 때문에 죽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나비는 흡밀식물의 꽃을 흡밀하고 살아가는데 흡밀식물이 충분히 꿀을 공급할 수 없는 경우에는 도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관찰용세트 내부에 설치된 꿀통에꿀을 보충하여 주면 된다. 보통 나비는 우화한후 하루정도는 활동을 거의 하지 않고 흡밀하지 않으나 하루가 지나면 물과 꿀을 섭취해야 하므로 설탕용액을 약 10%정도의 농도로 만들어 꿀통에 항상 비치하면 된다. 나비가 설탕물이나 물을 못마시면 일찍 죽게 되고 산란율도 낮아지므로 관찰용세트 내부에 꿀통의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화분고정수단(7)을 도4과 같이 구성하는 경우에 꿀통을 화분고정수단(7)의 상부의 일측에 돌출하여 형성된 벽면상에 설치하여도 좋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곤충관찰용세트에 대해 설명하면서 주로 나비의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나비가 아닌 다른 곤충에 대해서도 본 발명에 따른 곤충관찰용세트가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나비와 같은 곤충의 생장에 적합한 최적의 환경을 갖춘 곤충관찰용세트를 제공하여 곤충(나비)의 생장 전과정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관찰용세트를 규격상품화하여 대량 생산할 수 있고 유통 및 운반이 편리하게 하였으며, 곤충(나비)의 사육 및 관찰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함을 제공한다.

Claims (8)

  1. 내부에 폐공간을 확보하여 알, 애벌레, 번데기 및 성충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서식할 수 있도록 한 곤충관찰용세트에 있어서,
    내부에 공간을 확보하고 있는 외부구조;
    상기 외부구조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관찰용세트의 내부를 관측가능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측용창; 및
    상기 외부구조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통기창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구조의 내부 공간에는 흡밀식물 및 먹이식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심어진 화분이 적어도 하나 이상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통기창은 애벌레 및 성충이 관찰용세트 밖으로 빠져나올 수 없을 정도로 작은 다수의 통기공을 포함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관찰용세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용세트는 상기 화분을 고정시키기 위한 화분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관찰용세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고정수단은 상기 화분의 개수 만큼의 화분삽입공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관찰용세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찰용세트는 상기 외부구조의 적어도 일면이 개폐가능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관찰용세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고정수단 및 상기 화분은 상기 외부구조의 개폐가능한 일면의 개방시에 형성되는 개구를 통해 상기 관찰용세트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관찰용세트.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고정수단 및 상기 화분은 상기 외부구조의 개폐가능한 일면의 개방시에 형성되는 개구를 통해 상기 관찰용세트 외부로 분리되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관찰용세트.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측용창은 투명 아크릴 수지 또는 그물구조의 망사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관찰용세트.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창은 그물구조의 망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관찰용세트.
KR2020010017682U 2001-06-13 2001-06-13 곤충관찰용세트 KR2002464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682U KR200246419Y1 (ko) 2001-06-13 2001-06-13 곤충관찰용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7682U KR200246419Y1 (ko) 2001-06-13 2001-06-13 곤충관찰용세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1570A Division KR20010069613A (ko) 2001-04-20 2001-04-20 곤충관찰용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6419Y1 true KR200246419Y1 (ko) 2001-10-17

Family

ID=73103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7682U KR200246419Y1 (ko) 2001-06-13 2001-06-13 곤충관찰용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641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747B1 (ko) 2008-06-17 2010-10-12 경상북도예천군 나비 애벌레 사육통
KR101312680B1 (ko) * 2011-10-12 2013-09-27 경기도 주광성 곤충 생태체험관
KR101460099B1 (ko) * 2012-08-03 2014-11-21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오상킨섹트 풀잠자리류 곤충 생장 관찰 장치
CN107410211A (zh) * 2017-05-05 2017-12-01 金坚 一种蝴蝶观赏养殖箱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6747B1 (ko) 2008-06-17 2010-10-12 경상북도예천군 나비 애벌레 사육통
KR101312680B1 (ko) * 2011-10-12 2013-09-27 경기도 주광성 곤충 생태체험관
KR101460099B1 (ko) * 2012-08-03 2014-11-21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 오상킨섹트 풀잠자리류 곤충 생장 관찰 장치
CN107410211A (zh) * 2017-05-05 2017-12-01 金坚 一种蝴蝶观赏养殖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88843B (zh) 一种室内饲养鳞翅目昆虫幼虫的方法
CN101668416A (zh) 发芽及培育装置以及植物栽培用器具
CN100548116C (zh) 斑蝶的规模化人工养殖方法
KR200246419Y1 (ko) 곤충관찰용세트
KR100966939B1 (ko) 동식물사육기능이 구비된 케이스장치
JP3136630U (ja) ホタルを飼育する観察ケース
CN205390042U (zh) 一种东亚小花蝽饲养容器
KR101705658B1 (ko) 버섯 재배 겸용 곤충 사육 키트
KR100944662B1 (ko) 뒤영벌의 사육 및 방사용 통
CN202232599U (zh) 一种室内饲养鳞翅目昆虫幼虫的装置
KR20010069613A (ko) 곤충관찰용세트
KR200348723Y1 (ko) 땅뒤영벌의 사육 및 방사용 벌통
KR101893763B1 (ko) 나비생활사 관찰 키트
CN1151716C (zh) 用人工饲料饲养观赏及科普用蚕的方法
KR200390125Y1 (ko) 관상용 식물 배양의 장식용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관상용식물 배양용기
JPH11266741A (ja) 昆虫の幼虫羽化容器
CN112868607A (zh) 白蛾周氏啮小蜂繁育坏蛹病控制方法
KR100287990B1 (ko) 스폰지를 이용한 버섯 재배 용기
KR200497254Y1 (ko) 곤충 사육상자
KR200475009Y1 (ko) 사슴벌레 유충 사육 및 관찰 키트
CN210113968U (zh) 一种立体取食家蚕饲养盒
WO2023243843A2 (ko) 휴대형 식물재배기
CN210929211U (zh) 一种用于养育蠋蝽幼虫的载具
CN115005165B (zh) 一种番茄潜叶蛾的单独饲养及观察装置和使用方法
KR200207279Y1 (ko) 풍뎅이 사육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