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5320A - 열가소성 복합재, 열가소성 복합재의 제조방법 및 패널 - Google Patents

열가소성 복합재, 열가소성 복합재의 제조방법 및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5320A
KR20180035320A KR1020160125218A KR20160125218A KR20180035320A KR 20180035320 A KR20180035320 A KR 20180035320A KR 1020160125218 A KR1020160125218 A KR 1020160125218A KR 20160125218 A KR20160125218 A KR 20160125218A KR 20180035320 A KR20180035320 A KR 20180035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plastic
flame retardant
thermoplastic resin
resin particles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2258B1 (ko
Inventor
강경민
강성용
김민경
박창영
임재호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60125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2258B1/ko
Priority to CN201780059818.2A priority patent/CN109790304B/zh
Priority to JP2019516597A priority patent/JP7139319B2/ja
Priority to US16/337,088 priority patent/US10808088B2/en
Priority to PCT/KR2017/006531 priority patent/WO2018062667A1/ko
Priority to EP17856553.7A priority patent/EP3521347A4/en
Publication of KR20180035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05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 C08J5/043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inorganic fibres with glass fib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03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haracterised by the matrix material, e.g. material composition or phys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29C70/10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 B29C70/16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 B29C70/22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oriented in at least two directions forming a two dimensional structure
    • B29C70/224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oriented in at least two directions forming a two dimensional structure the structure being a n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4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1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arrangement of fibres or filaments of different layers, e.g. the fibres or filaments being parallel or perpendicular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08J3/122Pulverisation by spray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01Pre-melted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03Solid polymers with solid and/or liqui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05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in the presence of a continuous liquid phase
    • C08J3/21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in the presence of a continuous liquid phase the polymer being premixed with a liquid phase
    • C08J3/21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in the presence of a continuous liquid phase the polymer being premixed with a liquid phase and soli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7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mixed fibrous material
    • C08J5/048Macromolecular compound to be reinforced also in fibrous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10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s used in the polymer mix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1/00Use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as moulding material
    • B29K2101/12Thermoplastic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29K2105/08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of continuous length, e.g. cords, rovings, mats, fabrics, strands or yarns
    • B29K2105/0809Fabrics
    • B29K2105/0845Woven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2Panels; Plate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32B2307/3065Flame resistant or retardant, fire resistant or retard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 C08J23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J23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6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66Substance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84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적어도 1층의 섬유 직조 시트를 포함하는 망구조의 섬유 구조체; 입경(particle diameter)이 1㎛ 내지 50㎛인 열가소성 수지 입자; 및 입자상 난연제를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 및 상기 입자상 난연제는 상기 섬유 구조체 내부에 함침된 구조인 열가소성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의 열-압착물을 포함하는 패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열가소성 복합재, 열가소성 복합재의 제조방법 및 패널 {THERMOPLASTIC COMPOSIT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THERMOPLASTIC COMPOSITE AND PANEL}
본 발명은 건축, 차량, 필터 등의 내외장재 및 부품에 적용될 수 있는 열가소성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과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로부터 제조된 패널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수지 등의 수지와 무기 섬유 등의 섬유를 혼합한 섬유 강화 복합 재료는 다양한 기술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섬유 강화 복합 재료는 일반적으로, 압출 방법 또는 습식 함침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예를 들어, 압출 방법을 이용하여 섬유 강화 복합 재료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수지와 섬유의 상용성이 중요하여 상용화제의 첨가가 필수적이다. 상용화제를 첨가하지 않으면 압출 시 수지와 섬유의 층 분리가 일어나게 되고, 최종 제조된 섬유 강화 복합 재료의 물성이 저하된다. 또한, 습식 함침 방법에 의해 섬유 강화 복합 재료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용매 형태의 수지를 섬유에 함침시켜 제조하는데, 대부분의 용매는 유독하여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하며, 재사용이나 폐기를 위해서 회수 공정이 필요하게 되고, 가격이 고가인 문제가 있다. 따라서, 다양한 물성을 동시에 구현하면서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하지 않고 공정 효율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 재료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난연성 및 강도가 우수하면서 이러한 물성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구현되는 열가소성 복합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시간 및 비용적인 측면에서 효율성이 증대되며,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하지 않은 열가소성 복합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로부터 제조되어, 건축, 차량, 필터 등의 내외장재 및 부품 등에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한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적어도 1층의 섬유 직조 시트를 포함하는 망구조의 섬유 구조체; 입경(particle diameter)이 1㎛ 내지 50㎛인 열가소성 수지 입자; 및 입자상 난연제를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 및 상기 입자상 난연제는 상기 섬유 구조체 내부에 함침된 구조인 열가소성 복합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적어도 1층의 섬유 직조 시트를 포함하는 망구조의 섬유 구조체를 제조하는 단계; 입경(particle diameter)이 1㎛ 내지 50㎛인 열가소성 수지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와 입자상 난연제를 건식 혼합하는 단계; 및 혼합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와 상기 입자상 난연제를 상기 섬유 구조체 내부에 함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복합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의 열-압착물을 포함하는 패널을 제공한다.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는 난연성 및 강도가 우수하면서 이러한 물성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구현되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의 제조방법은 시간 및 비용적인 측면에서 효율성이 높으며,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하지 않은 방법으로 열가소성 복합재를 제조하는 이점을 갖는다.
상기 패널은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로부터 제조되어, 건축, 차량, 필터 등의 내외장재 및 부품 등에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열가소성 복합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열가소성 복합재의 제조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후술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부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아울러,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또는 "하부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적어도 1층의 섬유 직조 시트를 포함하는 망구조의 섬유 구조체; 입경(particle diameter)이 1㎛ 내지 50㎛인 열가소성 수지 입자; 및 입자상 난연제를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 및 상기 입자상 난연제는 상기 섬유 구조체 내부에 함침된 열가소성 복합재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열가소성 복합재(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할 때,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100)는 적어도 1층의 섬유 직조 시트(11)를 포함하는 망구조의 섬유 구조체(10)를 포함하고, 상기 섬유 구조체(10) 내부에 함침된 열가소성 수지 입자(20) 및 입자상 난연제(30)를 포함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20)의 입경(particle diameter)은 약 1㎛ 내지 약 50㎛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약 20㎛ 내지 약 50㎛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약 30㎛ 내지 약 5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는 이와 같은 입경을 갖는 구 형상의 입자일 수 있다. 이때, '구 형상'이라 함은 수학적 또는 기하학적으로 완벽한 형상의 구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절단면의 형상이 실질적으로 원을 나타내는 3차원적 입체 형상을 아우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20)의 입경은 입자 단면의 평균 직경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TEM/SEM 이미지 분석에 의해 수평균 입경으로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는 종래의 열가소성 수지 입자에 비해 작은 크기를 갖는 것으로서, 상기 범위의 입경을 통하여 입자상 난연제와 건식으로 고르게 혼합될 수 있고, 이로써 용매를 사용하는 용융 혼련 방법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공정 효율 및 친환경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섬유 구조체(10)는 적어도 1층의 섬유 직조 시트(11)로 이루어진 망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망구조란 섬유의 한 가닥과 다른 가닥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는 성긴 구조를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 및 상기 입자상 난연제가 통과할 수 있는 기공을 포함하는 구조를 의미한다.
상기 섬유 직조 시트로 이루어진 망구조의 섬유 구조체는 상기 섬유 직조 시트를 적어도 1층 포함하며, 필요한 두께에 따라, 예를 들어, 2층 이상, 예를 들어, 3층 내지 5층, 예를 들어, 7층 내지 15층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섬유 구조체 중 하나의 섬유 직조 시트는 섬유 가닥이 직조된 구조를 가지며, 구체적으로, 주자직, 능직 또는 평직의 직조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섬유 직조 시트는 섬유를 직조하여 제조되며, 구체적으로 유리 섬유, 세라크울(cerakwool) 섬유, 미네랄 섬유, 카본 섬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류의 섬유를 사용하는 경우, 전술한 크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 입자와 상용성이 좋으며, 건축, 차량 및 필터 등의 내장재 또는 부품에 다양하게 적용 가능한 이점을 얻을 수 있고, 입자상 난연제와 함께 목적하는 수준의 난연성 확보에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섬유는 단면의 평균 직경이 약 5㎛ 내지 약 20㎛일 수 있고, 예를 구체적으로, 약 10㎛ 내지 약 20㎛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약 15㎛ 내지 약 20㎛일 수 있다. 상기 섬유의 단면의 평균 직경은 상기 섬유를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절단하였을 때, 단면의 수평균 직경을 의미한다. 상기 섬유의 단면의 평균 직경이 이와 같은 범위에 해당함으로써 상기 섬유가 적절한 굵기를 갖게 되고, 이를 직조한 섬유 직조 시트로 이루어진 섬유 구조체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 및 입자상 난연제를 적절히 함침시킬 수 있는 망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가 우수한 내구성, 강도 및 난연성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할 때,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 및 상기 입자상 난연제가 상기 섬유 구조체 내부에 함침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 및 상기 입자상 난연제는 상기 섬유 구조체에 건식으로 함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습식 함침 방법은 용융 혼련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수지 및 난연제를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형태로 제조한 후에 이를 섬유 구조체에 함침시키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매는 휘발성을 갖는 화합물로서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하며, 최종 제품 내에 소량이라도 존재할 경우 내구성 및 강도 저하의 원인이 된다. 또한, 수지 및 난연제를 용융 혼련할 경우 혼화성 향상을 위해 다양한 첨가제들이 필요하게 되므로 공정 효율 및 제조 비용의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하다.
반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는 입자 형상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와 난연제를 건식으로 혼합하고, 상기 망구조의 섬유 구조체에 건식으로 함침시킨 것으로서 습식 함침 방법으로 제조된 열가소성 복합재에 비하여 향상된 내구성 및 강도를 구현함과 동시에 우수한 경제성 및 친환경성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가 약 1㎛ 내지 약 50㎛의 입경을 갖는 구 형상을 가짐으로써 상기 입자상의 난연제와 건식으로 혼합될 때 별도의 첨가제 없이도 균일하게 혼합 가능하며, 단면의 평균 직경이 약 15㎛ 내지 약 20㎛인 연속 섬유로 이루어진 망구조의 섬유 구조체에 대해 높은 함침률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글리콜(PEG),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내충격 폴리스티렌(High Impact Polystyrene, HIPS), 폴리락트산(PLA),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가 이와 같은 화합물로 이루어짐으로써 약 1㎛ 내지 약 50㎛의 입경을 갖는 구 형상으로 제조되기 용이하며, 전술한 종류의 연속 섬유와 사용되어 열가소성 복합재에 향상된 내구성 및 강도를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와 함께 입자상 난연제를 포함한다. 상기 입자상 난연제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와 같이 상기 섬유 구조체 내에 입자 형상을 유지하면서 함침된 것이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의 경우, 일반적으로 열에 대한 안정성이 낮아 난연화 처리가 쉽지 않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의 섬유 구조체는 연속 섬유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연속 섬유로 열이 전달되어 더 잘 타게 되며 섬유의 연속적인 배열로 인해 가연성 물질의 전달이 가속화되어 난연화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와 함께 입자상 난연제를 포함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 및 입자상 난연제를 상기 망구조의 섬유 구조체 내부에 고르게 함침시킴으로써 우수한 난연화 처리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입자상 난연제의 입경은 약 1㎛ 내지 약 10㎛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1㎛ 내지 약 5㎛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2㎛ 내지 약 3㎛일 수 있다. 상기 입자상 난연제의 입경이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와 균일하게 혼합 가능하며, 상기 섬유 구조체 내에 높은 함침률로 함침되어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가 전면적에 걸쳐 균일한 난연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입자상 난연제의 비중(specific gravity)은 약 1 내지 약 3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1 내지 약 2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1 내지 약 1.5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비중을 갖는 입자상 난연제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섬유 구조체 내에 건식 방법으로 함침 시키기 유리하며, 고분자 입자와 비슷한 비중으로서 고분자 사이에 고루 분포할 수 있어 난연 효과 극대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입자상 난연제는 비할로겐계 난연제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인계 난연제, 질소계 난연제 또는 인질소계 난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질소계 난연제란 인계 난연제 및 질소계 난연제의 물리적 혼합물일 수도 있고, 인계 화합물 및 질소계 화합물이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형성된 난연제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종류의 입자상 난연제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는 향상된 난연성, 내착색성 및 내가솔린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와 건식 방법으로 고르게 혼합 가능하고, 상기 범위의 입경 및 비중을 갖도록 용이하게 제어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입자상 난연제를 약 20 중량부 내지 약 30 중량부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25 중량부 내지 약 3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자상 난연제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의 함량이 이와 같은 중량비를 만족함으로써 건식 방법으로 서로 고르게 혼합 가능하며,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가 건축, 차량 등에 적용되는 난연성 기준을 만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열가소성 복합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의 제조방법은 적어도 1층의 섬유 직조 시트를 포함하는 망구조의 섬유 구조체를 제조하는 단계; 입경(particle diameter)이 1㎛ 내지 50㎛인 열가소성 수지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와 입자상 난연제를 건식 혼합하는 단계; 및 혼합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와 상기 입자상 난연제를 상기 섬유 구조체 내부에 함침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의 제조방법을 통하여, 적어도 1층의 섬유 직조 시트를 포함하는 망구조의 섬유 구조체; 입경(particle diameter)이 1㎛ 내지 50㎛인 열가소성 수지 입자; 및 입자상 난연제를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 및 상기 입자상 난연제는 상기 섬유 구조체 내부에 함침된 구조인 열가소성 복합재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섬유 직조 시트는 유리 섬유, 세라크울(cerakwool) 섬유, 미네랄 섬유, 카본 섬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섬유를 직조하여 제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섬유 직조 시트는 상기 섬유를 주자직, 능직 또는 평직의 구조로 직조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가 2층 이상의 섬유 직조 시트를 포함하는 경우, 각각의 섬유 직조 시트는 동일한 직조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한 직조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망구조의 섬유 구조체는 복수의 섬유 직조 시트를, 예를 들어, 등방향 적층, 직교 적층, 비대칭 직교 적층, 비대칭 적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등방향 적층이란 복수의 섬유 직조 시트의 섬유가 동일한 배향성을 갖도록 적층하는 것이며, 직교 적층이란 복수의 섬유 직조 시트의 섬유가 서로 직교하도록 교호 적층하는 것이며, 비대칭 직교 적층이란 복수의 섬유 직조 시트의 섬유가 직교하되 랜덤하게 적층하는 것이며, 비대칭 적층이란 복수의 섬유 직조 시트의 섬유가 직교하지 않는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교호 적층하거나 랜덤하게 적층하는 것이다.
상기 섬유 직조 시트의 직조 구조 및 이의 조합에 따라 상기 섬유 구조체의 망구조가 달라지며,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 및 입자상 난연제가 함침될 수 있는 기공 구조가 달라지게 된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망구조의 섬유 구조체는 주자직 또는 능직의 섬유 직조 시트와 평직의 섬유 직조 시트를 교호 적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망구조의 섬유 구조체는 복수의 능직의 섬유 직조 시트를 직교 적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의 제조방법은 입경(particle diameter)이 1㎛ 내지 50㎛인 열가소성 수지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는 열가소성 수지 원료로부터 상기 범위의 입경을 갖는 구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입경이 1㎛ 내지 50㎛인 열가소성 수지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는, 구체적으로, 열가소성 수지를 압출기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열가소성 용융 수지 분사액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열가소성 용융 수지 분사액을 분사 노즐로 분사하면서 동시에 냉각시켜 입경(particle diameter)이 1㎛ 내지 50㎛인 열가소성 수지 입자를 얻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압출기에 투입하는 단계에서 압출기에 투입되는 열가소성 수지 원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나, 예를 들어, 펠렛(pellet) 형상의 열가소성 수지일 수 있다. 펠렛 형상의 열가소성 수지는 최대 크기가 약 1mm 내지 약 5mm인 무정형 알갱이 형태의 열가소성 수지이다. 이를 압출기에 투입한 후 후속 과정을 거쳐 입경(particle diameter)이 1㎛ 내지 50㎛인 열가소성 수지 입자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압출기에 투입된 열가소성 수지는 용융되어 열가소성 용융 수지 분사액으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열가소성 용융 수지 분사액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분사 노즐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분사 노즐에서 가열되어 열가소성 용융 수지 분사액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압출기로 투입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원료가 분사 노즐로 이동되고, 고온의 분사 노즐에서 용융되어 열가소성 용융 수지 분사액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사 노즐의 온도는 약 200℃ 내지 약 400℃일 수 있다. 상기 온도 범위를 통해 상기 분사 노즐에서 열가소성 수지 원료가 용융되어 적절한 점도를 갖는 열가소성 용융 수지 분사액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용융 수지 분사액은 약 100℃ 내지 약 300℃ 온도에서 그 점도가 약 10 Pa·s 내지 약 104 Pa·s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10Pa·s 내지 약 102 Pa·s일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용융 수지 분사액의 점도가 상기 범위로 제어됨으로써 적절한 흐름성을 확보할 수 있고, 분사 노즐을 통하여 약 1㎛ 내지 약 50㎛의 입경을 갖는 액적으로 분사되기에 용이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용융 수지 분사액의 점도는 열가소성 수지 원료의 종류, 분사 노즐의 온도 등을 통해 조절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활제, 가소제, 왁스, 산화방지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적절한 함량으로 첨가하여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열가소성 용융 수지 분사액은 상기 분사 노즐을 통해 분사되면서 동시에 냉각되어 입경이 약 1㎛ 내지 약 50㎛인 열가소성 수지 입자로 제조될 수 있다. 즉, 상기 열가소성 용융 수지 분사액이 분사 노즐을 통하여 고온 액적 형태로 분사되고, 상기 분사는 쿨링 챔버 내에서 수행되어 분사와 동시에 상기 액적이 냉각되어 약 1㎛ 내지 약 50㎛ 입경의 미세한 크기를 갖는 열가소성 수지 입자를 얻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가소성 용융 수지 분사액은 상기 분사 노즐에 공기와 함께 주입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용융 수지 분사액와 함께 주입되는 공기의 온도, 압력 및 주입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열가소성 용융 수지 분사액의 분사 후 액적의 크기 및 형상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가소성 용융 수지 분사액과 함께 주입되는 공기의 온도는 약 200℃ 내지 약 500℃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250℃ 내지 약 45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의 압력은 약 1psi 내지 약 145psi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5psi 내지 약 60psi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의 주입 속도는 약 1m/s 내지 약 100m/s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10m/s 내지 약 90m/s일 수 있다.
상기 공기의 온도, 압력 및 주입 속도가 동시에 전술한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상기 열가소성 용융 수지 분사액으로부터 최종 형성하고자 하는 미세한 크기의 열가소성 수지 입자가 제조될 수 있고, 균일한 입도 분포를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분사 노즐의 직경은 약 0.5mm 내지 약 10mm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약 1mm 내지 약 5mm일 수 있다. 상기 분사 노즐의 직경이 상기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전술한 범위의 입경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입자가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입자를 토출하는 공정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분사액은 상기 분사 노즐을 통하여 약 -30℃ 내지 약 30℃의 쿨링 챔버 내에 분사됨으로써 분사와 동시에 냉각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온도 범위의 쿨링 챔버를 이용해 분사와 동시에 냉각시킴으로써 전술한 범위의 입경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입자가 고른 입도 분포로 제조될 수 있고, 입자의 포집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약 1㎛ 내지 약 50㎛의 입경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입자가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의 제조방법은 제조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와 입자상 난연제를 건식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가 1㎛ 내지 50㎛의 입경을 갖는 미세한 크기로 제조됨으로써 상기 입자상 난연제와 건식 혼합에 의해 고르게 혼합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펠렛(pellet) 형상과 같이 입자 크기가 비교적 크고 형상이 일정치 못한 열가소성 수지와 난연제를 혼합하기 위해서는 용융 혼련의 방식을 사용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용융 혼련의 방식을 위해서는 혼화성을 높이기 위한 여러 첨가제들이 필요하게 된다. 용융 혼련 방식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용매는 재사용이나 폐기를 위해 회수 공정이 반드시 뒤따라야 하며, 가격이 고가이고, 소량 잔류할 경우 인체 및 환경에 유해한 문제가 있다.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와 입자상 난연제는 용매 또는 첨가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건식 혼합에 의하여 혼합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방법으로도 고르게 혼합될 수 있으며 친환경적이고, 비용 및 시간의 절감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와 상기 입자상 난연제는 볼-밀(ball-mill) 방식을 사용하여 혼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건식으로 혼합된 열가소성 수지 입자 및 입자상 난연제는 상기 섬유 구조체 내부에 함침된다. 이때, 상기 섬유 구조체 내부에 이들을 함침시키는 구체적인 방법은 혼합된 열가소성 수지 입자와 입자상 난연제를 상기 섬유 구조체 상에 분산시켜 상기 섬유 구조체의 망구조 사이 사이로 들어가도록 하는 것이다.
이로써, 적어도 1층의 섬유 직조 시트를 포함하는 망구조의 섬유 구조체와 그 내부에 입경(particle diameter)이 1㎛ 내지 50㎛인 열가소성 수지 입자; 및 입자상 난연제가 함침된 구조인 열가소성 복합재가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의 열-압착물을 포함하는 패널을 제공한다.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는 적어도 1층의 섬유 직조 시트를 포함하는 망구조의 섬유 구조체; 입경(particle diameter)이 1㎛ 내지 50㎛인 열가소성 수지 입자; 및 입자상 난연제를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 및 상기 입자상 난연제는 상기 섬유 구조체 내부에 함침된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상기 패널은 이를 열-압착하여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의 열-압착물은 약 1ton 내지 약 7ton의 압력 및 약 180℃ 내지 약 220℃의 온도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가 상기 범위의 압력 및 온도 조건 하에서 열-압착됨으로써 상기 섬유 구조체가 적절히 압착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가 충분히 용융되어 상기 섬유 구조체의 섬유들 사이에서 결착재 역할을 우수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의 열-압착은 상기 범위의 압력 및 온도 조건 하에서 약 20분 내지 약 3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의 결착 성능을 구현하면서, 동시에 상기 입자상 난연제의 난연 물성을 손상시키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패널은 건축, 차량 및 필터 등의 다양한 용도에 활용이 가능하며, 상기 열가소성 복합재로부터 제조됨으로써 전면적에 걸쳐 균일한 난연 물성 및 내구성을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다만, 하기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거나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서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아니된다.
< 실시예 비교예 >
실시예 1
단면의 평균 직경이 10㎛ 내지 20㎛인 유리 섬유를 이용하여 능직 직조 구조를 갖는 유리 섬유 직조 시트를 제조한 후, 이들을 각각 7층 직교 적층하여 망구조의 섬유 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입자의 최대 크기가 3mm인 펠렛(pellet) 형상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원료를 압출기에 투입하였고,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 원료를 온도가 250℃인 분사 노즐로 이동시켜 폴리프로필렌 용융 수지 분사액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용융 수지 분사액을 직경이 1mm이고, 압력이 140psi인 분사 노즐에 공기와 함께 주입하였다. 상기 공기의 온도는 400℃이고, 압력은 600psi이며, 주입 속도는 35m/s이었다. 상기 프로필렌 용융 수지 분사액은 25℃의 쿨링 챔버 내에 분사하여, 분사와 동시에 냉각시킴으로써 입경이 약 10㎛인 프로필렌 수지 입자로 제조되었다.
이어서, 제조된 상기 프로필렌 수지 입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입자상 난연제로서 입경이 2㎛ 내지 3㎛이고, 비중이 1.35인 인질소계 복합 난연제를 30 중량부 볼-밀(ball-mill) 방식으로 건식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된 프로필렌 수지 입자 및 입자상 난연제를 상기 망구조의 섬유 구조체 상에 분산시켜 상기 망구조 사이 사이에 들어가도록 함침시켜 열가소성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입자상 난연제로서 입경이 5㎛ 내지 10㎛이고, 비중이 1.8인 인계 난연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열가소성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입자의 최대 크기가 3mm인 펠렛(pellet) 형상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원료를 냉동 분쇄하여 입경이 50㎛를 초과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입자를 열가소성 수지 입자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열가소성 복합재를 제조하였다.
<평가>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의 열가소성 복합재를 각각 180℃ 내지 220℃의 온도 및 1ton 내지 7ton의 압력 하에서, 20분 내지 30분 동안 열-압착하여 패널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패널에 대해 하기와 같이 물성을 평가하였다.
실험예 1: 난연성 평가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의 열가소성 복합재로부터 제조된 상기 패널에 대하여, 125mm×13mm×20mm (길이×폭×두께)의 바(bar) 형상의 시편을 마련하였다. 이어서, 각각의 시편의 길이 방향의 일 말단을 클램프로 고정하고, 고정된 시편의 하단에 탈지면을 깔아두었다. 이어서, 하기 기재된 UL 94 V Test 규격 테스트 (Vertical Burning Test)의 방법으로 난연성을 평가하였고, 하기 표 1에 기재된 평가 기준에 따라 난연 등급을 평가한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 UL 94 V Test 규격 테스트>
1. 20mm 길이의 불꽃을 10초간 시편에 1차 접염 후, 시편의 연소 시간 t1을 측정하였고, 연소 양상을 기록하였다.
2. 1차 접염 후 연소가 종료되면, 다시 10초간 2차 접염 후 시편의 연소시간 t2 및 불똥이 맺힌 시간(glowing time) t3를 측정하였고, 연소 양상을 기록하였다.
3. t1, t2 및 t3의 연소 시간과 연소 양상(클램프까지 연소 여부, 적하에 의한 탈지면 발화 여부)을 판단하여 하기 기준에 의거해 등급을 산출하였다. 이때, '클램프까지 연소 여부'의 각각의 시편이 모두 연소되어 클램프까지 연소되는지 여부를 의미하며, '적하에 의한 탈지면의 발화 여부'는 각각의 시편이 클램프까지 모두 연소되어 불꽃이 하단에 깔아둔 탈지면에 적하되어 발화되는지 여부를 의미한다.
등급(grade) V-0 V-1 V-2
개별연소시간(t1 또는 t2) ≤10초 ≤30초 ≤30초
전체연소시간(t1 + t2) ≤50초 ≤250초 ≤250초
2차 접염 후 연소 및 불똥이 맺힌 시간(t2 + t3) ≤30초 ≤60초 ≤60초
클램프(125mm)까지 연소 여부 × × ×
적하에 의한 탈지면 발화 여부 × ×
난연성 평가
실시예 1 V-1
실시예 2 V-2
비교예 1 등급 외(out of grade)
상기 표 2의 결과를 참조할 때,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열가소성 복합재를 열-압착하여 제조된 패널은 상기 비교예 1의 열가소성 복합재를 열-압착하여 제조된 패널에 비하여 우수한 난연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100: 열가소성 복합재
10: 섬유 구조체
11: 섬유 직조 시트
20: 열가소성 수지 입자
30: 입자상 난연제

Claims (18)

  1. 적어도 1층의 섬유 직조 시트를 포함하는 망구조의 섬유 구조체; 입경(particle diameter)이 1㎛ 내지 50㎛인 열가소성 수지 입자; 및 입자상 난연제를 포함하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 및 상기 입자상 난연제는 상기 섬유 구조체 내부에 함침된 구조인 열가소성 복합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직조 시트는 주자직, 능직 또는 평직의 직조 구조를 갖는
    열가소성 복합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망구조의 섬유 구조체는 적어도 2층의 상기 섬유 직조 시트가 교호 적층, 등방향 적층, 직교 적층, 비대칭 직교 적층 또는 비대칭 적층된 구조를 갖는
    열가소성 복합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직조 시트는 유리 섬유, 세라크울(cerakwool) 섬유, 미네랄 섬유, 카본 섬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복합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직조 시트의 섬유는 단면의 평균 직경이 5㎛ 내지 20㎛인
    열가소성 복합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 및 상기 입자상 난연제는 상기 섬유 구조체 내부에 건식 함침된
    열가소성 복합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글리콜(PEG),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내충격 폴리스티렌(High Impact Polystyrene, HIPS), 폴리락트산(PLA), 폴리에틸렌옥사이드(PEO)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복합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상 난연제는 입경이 1㎛ 내지 10㎛인
    열가소성 복합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상 난연제는 비중이 1 내지 3인
    열가소성 복합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상 난연제는 인계 난연제, 질소계 난연제 또는 인질소계 난연제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복합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입자상 난연제 2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복합재.
  12. 적어도 1층의 섬유 직조 시트를 포함하는 망구조의 섬유 구조체를 제조하는 단계;
    입경(particle diameter)이 1㎛ 내지 50㎛인 열가소성 수지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와 입자상 난연제를 건식 혼합하는 단계; 및
    혼합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와 상기 입자상 난연제를 상기 섬유 구조체 내부에 함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복합재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입경(particle diameter)이 1㎛ 내지 50㎛인 열가소성 수지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는,
    열가소성 수지를 압출기에 투입하는 단계;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열가소성 용융 수지 분사액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열가소성 용융 수지 분사액을 분사 노즐로 분사하면서 동시에 냉각시켜 입경(particle diameter)이 1㎛ 내지 50㎛인 열가소성 수지 입자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복합재의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부터 열가소성 용융 수지 분사액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분사 노즐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분사 노즐에서 가열되어 열가소성 용융 수지 분사액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복합재의 제조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용융 수지 분사액은 상기 분사 노즐에 공기와 함께 주입되는
    열가소성 복합재의 제조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와 상기 입자상 난연제를 건식 혼합하는 단계는 볼-밀(ball-mill) 방식으로 혼합하는 단계인
    열가소성 복합재의 제조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 구조체 내부에 혼합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와 상기 입자상 난연제를 함침시키는 단계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입자와 상기 입자상 난연제를 상기 섬유 구조체 상에 분산시켜 상기 섬유 구조체의 망구조 사이 사이로 들어가도록 하는 단계인
    열가소성 복합재의 제조방법.
  18.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열가소성 복합재의 열-압착물을 포함하는 패널.
KR1020160125218A 2016-09-29 2016-09-29 열가소성 복합재, 열가소성 복합재의 제조방법 및 패널 KR101942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218A KR101942258B1 (ko) 2016-09-29 2016-09-29 열가소성 복합재, 열가소성 복합재의 제조방법 및 패널
CN201780059818.2A CN109790304B (zh) 2016-09-29 2017-06-21 热塑性复合材料、热塑性复合材料的制备方法及面板
JP2019516597A JP7139319B2 (ja) 2016-09-29 2017-06-21 熱可塑性複合材、熱可塑性複合材の製造方法及びパネル
US16/337,088 US10808088B2 (en) 2016-09-29 2017-06-21 Thermoplastic composite, method for preparing thermoplastic composite, and panel
PCT/KR2017/006531 WO2018062667A1 (ko) 2016-09-29 2017-06-21 열가소성 복합재, 열가소성 복합재의 제조방법 및 패널
EP17856553.7A EP3521347A4 (en) 2016-09-29 2017-06-21 THERMOPLASTIC COMPOSITE MATERIAL, METHOD FOR PRODUCING A THERMOPLASTIC COMPOSITE AND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218A KR101942258B1 (ko) 2016-09-29 2016-09-29 열가소성 복합재, 열가소성 복합재의 제조방법 및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320A true KR20180035320A (ko) 2018-04-06
KR101942258B1 KR101942258B1 (ko) 2019-01-25

Family

ID=61760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218A KR101942258B1 (ko) 2016-09-29 2016-09-29 열가소성 복합재, 열가소성 복합재의 제조방법 및 패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08088B2 (ko)
EP (1) EP3521347A4 (ko)
JP (1) JP7139319B2 (ko)
KR (1) KR101942258B1 (ko)
CN (1) CN109790304B (ko)
WO (1) WO20180626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61347A1 (fr) * 2016-12-23 2018-06-29 Airbus Operations Procede d'obtention d'une couche acoustique poreuse et couche acoustique poreuse ainsi obtenue
US11259443B1 (en) * 2019-03-11 2022-02-22 Smartrac Investment B.V. Heat resistant RFID tags
CN110789204A (zh) * 2019-10-31 2020-02-14 国家电网有限公司 电缆柔性防火防爆毯
CN111688292A (zh) * 2020-05-29 2020-09-22 山东宽原新材料科技有限公司 具有导流熔渗层的碳纤维热塑性预浸织物及碳纤维复合热塑树脂材料的制备方法与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4270A (ja) * 2003-02-26 2006-10-26 エクセル レンフォルスマン 耐火剤として有用な繊維状強化材、その製法及び使用方法
KR20140054184A (ko) * 2011-09-30 2014-05-08 후지 주코교 카부시키카이샤 섬유 강화 수지 복합재 및 그 제조 방법
WO2014109021A1 (ja) * 2013-01-09 2014-07-17 三菱電機株式会社 繊維強化複合材料、その製造方法、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用構成部材及びエレベータかご
KR20150126517A (ko) * 2014-05-02 2015-11-12 (주)엘지하우시스 고속 건식 함침용 미세 입자,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0590A (en) * 1974-01-21 1975-03-11 Rohm & Haas Non-flammable polyester textile articles and methods for making them
US3981957A (en) * 1975-08-06 1976-09-21 Exxon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finely divided polymers
US4990368A (en) * 1989-06-13 1991-02-05 Burlington Industries, Inc. Process for flame retarding textiles
JP3247844B2 (ja) 1996-11-12 2002-01-21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ロールブラインドのスクリーン昇降装置
JP3781250B2 (ja) 1998-06-11 2006-05-31 キョーワ株式会社 メッシュシート用難燃剤とこれを用いた防炎メッシュシート
US6488773B1 (en) * 1999-02-19 2002-12-03 Plastic Stuff,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spraying polymer
JP4695279B2 (ja) * 2001-03-21 2011-06-08 日華化学株式会社 難燃加工剤、難燃加工方法、及び難燃加工繊維
JP3920691B2 (ja) * 2002-04-12 2007-05-30 日華化学株式会社 難燃加工剤、難燃加工方法、及び難燃加工物
JP2005194639A (ja) 2003-12-26 2005-07-21 Nippon Muki Co Ltd 耐火スクリーン用クロス
ES2308398T3 (es) * 2004-05-07 2008-12-01 Rohm And Haas Company Composiciones de polvo de mezcla en bruto y procedimientos de fabricacion de las mismas.
WO2007013204A1 (ja) * 2005-07-29 2007-02-01 Toray Industries, Inc. 強化繊維織物とその製造方法
EP2106384B1 (en) 2006-11-20 2013-04-03 Fuel Transfer Technologies Inc. Vapor-recovery-activated auto-shutoff nozzle, mechanism and system
US8048519B2 (en) 2007-12-17 2011-11-01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Highly flame retardant panels
JP5904521B2 (ja) 2010-08-06 2016-04-13 富士重工業株式会社 繊維強化樹脂複合材及びその製造方法
EP2799470B1 (en) 2011-12-26 2018-11-28 Toray Industries, Inc. Carbon fiber base, prepreg, and carbon-fiber-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JP6291221B2 (ja) 2013-11-19 2018-03-14 Jxtgエネルギー株式会社 プリプレグ、繊維強化複合材料及び粒子含有樹脂組成物
JP6528782B2 (ja) * 2015-01-29 2019-06-12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成形体用シート
FR3061069B1 (fr) 2016-12-22 2020-05-01 Arkema France Procede de fabrication d'un materiau fibreux pre-impregne de polymere thermoplastique sous forme de poudre sech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24270A (ja) * 2003-02-26 2006-10-26 エクセル レンフォルスマン 耐火剤として有用な繊維状強化材、その製法及び使用方法
KR20140054184A (ko) * 2011-09-30 2014-05-08 후지 주코교 카부시키카이샤 섬유 강화 수지 복합재 및 그 제조 방법
WO2014109021A1 (ja) * 2013-01-09 2014-07-17 三菱電機株式会社 繊維強化複合材料、その製造方法、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用構成部材及びエレベータかご
KR20150126517A (ko) * 2014-05-02 2015-11-12 (주)엘지하우시스 고속 건식 함침용 미세 입자,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21347A1 (en) 2019-08-07
WO2018062667A1 (ko) 2018-04-05
JP7139319B2 (ja) 2022-09-20
US10808088B2 (en) 2020-10-20
CN109790304A (zh) 2019-05-21
CN109790304B (zh) 2022-05-10
JP2019529188A (ja) 2019-10-17
US20200032012A1 (en) 2020-01-30
KR101942258B1 (ko) 2019-01-25
EP3521347A4 (en) 2019-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2258B1 (ko) 열가소성 복합재, 열가소성 복합재의 제조방법 및 패널
EP2018346B1 (de) Vliesstoff, getufteter vliesstoff und die stoffe enthaltende erzeugnisse
ES2966950T3 (es) Artículos de material compuesto que incluyen capas de superficie que proporcionan una formabilidad potenciada
EP3562979B1 (en) Dimensionally-stable, fire-resistant melt-blown fibers and nonwoven structures including a flame retarding polymer
US11370195B2 (en) Multilayer composit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2019501264A (ja) 相乗的な配合された難燃性材料を含むプリプレグ、コア及び複合体物品
EP3732251A2 (en) Ceramic-coated fibers including a flame-retarding polymer, and methods of making nonwoven structures
KR101968793B1 (ko) 멜트 블로잉 공정, 저수축 멜트 블로운 중합체 섬유 및 섬유질 구조, 및 멜트 블로잉할 수 있는 중합체 조성물
TW201522023A (zh) 模塑非織造碳纖維網墊的方法及其相關模製產品
JPWO2019073707A1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成形体用基材、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成形体の製造方法、ならびに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成形体
EP3086384B1 (de) Röhrenförmige taschen vom patronengurt-typ für blei-säure batterien aus einem textilen flächengebilde textiles flächengebilde
DE102007012651A1 (de) Direkt-dekorierbare Verbundwerkstoff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JPWO2019107343A1 (ja) 耐火部材
KR101298662B1 (ko) 높은 내열성 및 높은 벌키성을 갖는 복합 부직포 및 그의 제조방법
JP6511824B2 (ja) 不織布、不織布の製造方法および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成形体
DE102007008424A1 (de) Neue Verbundwerkstoff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DE102011121136A1 (de) Mehrlagiges Filtermedium
DE102007028531A1 (de) Neue Verbundwerkstoff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DE202007018000U1 (de) Direkt-dekorierbare Verbundwerkstoffe und deren Verwendung
EP3867436A1 (en) Flame-retardant non-woven fibrous webs
US20210276302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ound absorbing material for vehicle
JP2015161041A (ja) 混繊不織布
DE202007018001U1 (de) Neue Verbundwerkstoffe
DE202007018002U1 (de) Neue Verbundwerkstoffe
WO2016170143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hermoplastischen faserverbund-werkstoffen auf basis von styrol-copolymer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