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4093A - 주변 기기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주변 기기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4093A
KR20180034093A KR1020160124192A KR20160124192A KR20180034093A KR 20180034093 A KR20180034093 A KR 20180034093A KR 1020160124192 A KR1020160124192 A KR 1020160124192A KR 20160124192 A KR20160124192 A KR 20160124192A KR 20180034093 A KR20180034093 A KR 20180034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pheral device
signal
received
content
tu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4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7161B1 (ko
Inventor
이해광
김형준
석동륜
함철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4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161B1/ko
Priority to EP17188817.5A priority patent/EP3300353B1/en
Priority to US15/697,813 priority patent/US10623799B2/en
Priority to MX2019003453A priority patent/MX2019003453A/es
Priority to PCT/KR2017/009805 priority patent/WO2018062715A1/en
Priority to CN201710887972.0A priority patent/CN107872702B/zh
Publication of KR20180034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093A/ko
Priority to US16/370,298 priority patent/US1086907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08Display devic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74Address processing for rou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04N21/43635HDM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2Powering on the client, e.g. bootstrap loading using setup parameters being stored locally or received from the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20Binding and programming of remote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20Binding and programming of remote control devices
    • G08C2201/21Programming remote control devices via third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주변 기기 제어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주변 기기로부터 제공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와 주변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로 주변 기기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턴 온 신호를 전송한 후 주변 기기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기까지 소요된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시간을 주변 기기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설정된 학습 시간을 바탕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올바르게 파악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변 기기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 of peripheral device}
본 발명은 주변 기기 제어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주변 기기의 부팅 시간을 고려하여 주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셋탑 박스, DVD 플레이어, 홈 씨어터와 같은 다양한 주변 기기들과 연결되어 각각의 주변 기기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를 수신받아 출력한다.
이 같은 다양한 주변 기기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기 위해서, 사용자는 각각의 주변 기기별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을 이용하여 각각의 주변 기기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최근에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주변 기기를 통합으로 제어할 수 있는 통합 리모컨이 개발되었다.  따라서, 사용자는 통합 리모컨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주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통합 리모컨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주변 기기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는 통합 리모컨으로부터 수신된 턴 온 명령에 따라 시스템 부팅을 수행하고, 시스템 부팅이 완료되면, 주변 기기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통합 리모컨으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통합 리모컨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대한 IR 신호를 주변 기기로 전송하며, 주변 기기는 통합 리모컨으로부터 수신된 IR 신호에 따라 시스템 부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 같은 통합 리모컨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주변 기기를 제어할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는 주변 기기가 통합 리모컨으로부터 수신된 IR 신호에 따라 시스템 부팅이 수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해당 주변 기기의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하여 주변 기기의 전원 관련 UI를 제공한다.
즉, 모든 주변 기기의 시스템 부팅 시간을 동일하지 않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는 시스템 부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주변 기기의 경우, 주변 기기가 시스템 부팅 중임에도 불구하고, 해당 주변 기기의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하여 주변 기기의 전원 관련 UI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통합 리모컨은 사용자 요청에 따라, 시스템 부팅 중인 주변 기기로 턴 온 관련 IR 신호를 재전송할 수 있으며, 시스템 부팅 중인 주변 기기은 통합 리모컨으로부터 재전송된 IR 신호에 따라 시스템 부팅을 재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해당 주변 기기에서 제공되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는 주변 기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변 기기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잘못 인지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기설정된 학습 시간을 바탕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올바르게 파악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여 주변 기기에서 제공되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변 기기로부터 제공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주변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로 상기 주변 기기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턴 온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기까지 소요된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시간을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상기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임계 시간이 설정된 후,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주변 기기의 전원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주변 기기의 전원 상태가 오프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주변 기기를 턴 온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변 기기를 턴 온 하는 단계는, 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HDMI CEC(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Consumer Electronics Control)를 통해 상기 주변 기기의 제어가 가능하며, 상기 주변 기기의 전원 상태가 오프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HDMI CEC를 통해 상기 주변 기기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상기 주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임계 시간 동안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임계 시간 동안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면, 상기 임계 시간을 상기 주변 기기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시점부터 상기 컨텐츠가 수신된 시점까지의 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변 기기를 턴 온 하는 단계는, 상기 임계 시간 동안 상기 주변기기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주변 기기를 턴 온 하기 위한 턴-온 신호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상기 턴 온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임계 시간 동안 상기 주변기기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임계 시간 내에 상기 주변기기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면, 상기 임계 시간을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시점부터 상기 컨텐츠가 수신된 시점까지의 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임계 시간 내에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주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UI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변 기기를 턴 온 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주변 기기에 대한 제어가 불가능하며, 상기 주변 기기의 전원 상태가 오프라고 판단되면, 상기 주변 기기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턴-온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임계 시간 동안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임계 시간 내에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면, 상기 임계 시간을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시점부터 상기 컨텐츠가 수신된 시점까지의 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된 턴 온 신호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서 IR 신호로 상기 주변 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값으로 변환된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설정된 신호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턴 온 하기 위한 신호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할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기기를 전환하기 위한 신호 중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임계 시간 내에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주변 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에 대한 전압값이 기설정된 임계 전압값 미만이면, 상기 주변 기기의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주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주변 기기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부,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상기 주변 기기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기까지 소요된 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시간을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상기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 시간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계 시간이 설정된 후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주변 기기이 전원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주변 기기의 전원 상태가 오프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주변 기기를 턴 온하기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HDMI CEC(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Consumer Electronics Control)를 통해 상기 주변 기기를 제어 가능하며, 상기 주변 기기의 전원 상태가 오프라고 판단되면, 상기 HDMI CEC를 통해 상기 주변 기기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주변 기기로 전송하며, 상기 임계 시간 동안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임계 시간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계 시간 동안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면, 상기 임계 시간을 상기 주변 기기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시점부터 상기 컨텐츠가 수신된 시점까지의 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계 시간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계 시간 동안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주변 기기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상기 턴 온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임계 시간 동안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임계 시간 내에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면, 상기 임계 시간을 상기 턴 온 신호를 전송한 시점부터 상기 컨텐츠가 수신된 시점까지의 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계 시간 내에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주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계 시간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 기기에 대한 제어가 불가능하며, 상기 주변 기기의 전원 상태가 오프이면, 상기 주변 기기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상기 턴 온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임계 시간 동안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주변기기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임계 시간 내에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면, 상기 임계 시간을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상기 턴 온 신호를 전송한 시점부터 상기 컨텐츠가 수신된 시점까지의 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된 턴 온 신호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서 IR 신호로 상기 주변 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값으로 변환된 신호이며, 상기 기설정된 신호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턴 온 하기 위한 신호 또는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기기로 전환하기 위한 신호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임계 시간 내에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주변 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에 대한 전압값이 기설정된 임계 전압값 미만이면, 상기 주변 기기의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주변 기기로부터 제공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주변 기기와 통신 연결되면,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상기 주변 기기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주변 기기에서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 시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임계 시간을 수신한 후,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주변 기기의 전원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주변 기기의 전원 상태가 오프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상기 주변 기기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턴 온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기까지 소요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임계 시간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설정된 학습 시간을 바탕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올바르게 파악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여 주변 기기에서 제공되는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주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도,
도 2는 볼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블록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주변 기기의 임계 시간을 설정하는 제1 예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주변 기기의 임계 시간을 설정하는 제2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주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주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소스 전환된 주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예시도,
도 9는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소스 전환된 주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UI를 디스플레이하는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주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주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절차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 연결된 주변 기기에서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 시간을 설정하는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주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도면의 기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즉,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를 모두 도시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도면들이 하나의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모듈", "유닛", "부(part)" 등과 같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이며,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유닛", "부(part)" 등은 각각이 개별적인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나 칩으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주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원격 제어 장치(200) 및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30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300)로부터 제공하는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이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예를 들어, 스마트 TV, 스마트 폰 등이 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300)를 제어하는 통합 리모컨이 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원격 제어 장치(200) 중 적어도 하나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며, 컨텐츠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혹은 기저장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출력한다.  이 같은 주변 기기(300)는 예를 들어, 셋탑 박스, 컨텐츠 재생 장치(미도시), 홈 씨어터 등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격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기설정된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기설정된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턴 온(Turn On) 시키기 위한 신호이거나,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기기를 변경하기 위한 신호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설정된 신호는 방송 채널을 변경하기 위한 신호이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에 대한 볼륨, 영상에 대한 화질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 신호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이 오프된 경우, 원격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턴 온(Turn On)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같은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턴 온 동작을 수행하여 시스템 부팅을 수행할 수 있다.
또다른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및 제2 주변 기기(300-1,300-2)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주변 기기(300-1)는 컨텐츠 서버(미도시)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출력하는 셋탑 박스가 될 수 있으며, 제2 주변 기기(300-2)는 DVD와 같은 저장 매체에 기록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미도시)가 될 있다.  이 같은 제1 및 제2 주변 기기(300-1,300-2)와 통신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제공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같이,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제공된 컨텐츠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원격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제1 주변 기기(300-1)에서 제2 주변 기기(300-2)로 소스 전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같은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주변 기기(300-1)의 컨텐츠에 대한 출력을 중단하고, 제2 주변 기기(300-2)로 소스 전환하여 제2 주변 기기(300-2)로부터 제공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같은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기설정된 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유선 혹은 무선으로 통신 연결된 제1 및 제2 주변 기기(300-1,300-2) 각각으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 시간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주변 기기(300-1)와 통신 연결될 수 있으며, 통신 연결된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 시간이 미설정 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를 통해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주변 기기(300-1)와 최초 통신 연결되면,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제1 주변 기기(300-1)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제1 주변 기기(300-1)에 대한 식별 정보를 외부 서버(미도시)로 전송하고,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제1 주변 기기(300-1)에 대한 임계 시간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 수신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 시간이 미설정된 상태에서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턴 온 동작을 수행하여 시스템 부팅을 수행한다. 시스템 부팅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제1 주변 기기(300-1)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한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제1 주변 기기(300-1)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후 원격 제어 장치(200)의 제어 명령에 따라 턴 온 되어 시스템 부팅된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기까지 소요된 시간을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시스템 부팅되면,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제1 주변 기기(300-1)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턴 온 신호를 IR 신호로 변환하고, IR 신호로 변환된 턴 온 신호를 제1 주변 기기(300-1)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1 주변 기기(300-1)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IR 신호에 따라 턴 온 되어 시스템 부팅을 수행하고, 시스템 부팅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컨텐츠를 전송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제1 주변 기기(300-1)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시점부터 원격 제어 장치(200)의 제어 명령에 따라 턴 온 되어 시스템 부팅된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된 시점까지의 시간을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주변 기기(300-2)와 통신 연결될 수 있으며, 통신 연결된 제2 주변 기기(300-2)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 시간이 미설정 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술한 일련의 동작을 통해 제2 주변 기기(300-2)의 임계 시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 연결된 제1 및 제2 주변 기기(300-1,300-2) 각각에 대응되는 임계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를 통해 임계 시간이 설정 및 저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를 통해 제1 및 제2 주변 기기(300-1,300-2) 중 하나로부터 컨텐츠가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수신되는지 여부에 따라 해당 임계 시간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임계 시간이 설정된 후,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연결된 제1 및 제2 주변 기기(300-1,300-2) 중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컨텐츠를 제공받을 소스 기기로 설정된 주변 기기의 전원 상태를 판단한다.예를 들어, 제1 및 제2 주변 기기(300-1,300-2) 중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컨텐츠를 제공받을 소스 기기로 설정된 주변 기기는 제1 주변 기기(300-1)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면, 제1 주변 기기(300-1)의 전원 상태를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된 후, 제1 주변 기기(300-1)와 관련하여 기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 연결된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컨텐츠가 수신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 연결된 제1 주변 기기(300-1)의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 연결된 제1 주변 기기(300-1)에 공급되는 전원에 대한 전압값과 기설정된 임계 전압값을 비교한다.  비교 결과, 제1 주변 기기(300-1)에 공급되는 전원에 대한 전압값이 기설정된 임계 전압값 미만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 연결된 제1 주변 기기(300-1)의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같은 실시예를 통해 제1 주변 기기(300-1)의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를 통해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된 제1 주변 기기(300)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1 주변 기기(300-1)의 제어가 불가능하며, 제1 주변 기기(300-1)의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주변 기기(300-1)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턴 온 신호를 IR 신호로 변환하고, IR 신호로 변환된 턴 온 신호를 제1 주변 기기(300-1)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1 주변 기기(300-1)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IR 신호에 따라 턴 온 동작을 수행하여 시스템 부팅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시스템 부팅이 완료되면, 제1 주변 기기(300-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컨텐츠를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제공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된 제1 주변 기기(300-1)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이후, 기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장치(200)와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된 제1 주변 기기(300-1) 간의 거리가 기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거나 혹은 원격 제어 장치(200)와 제1 주변 기기(300-1) 사이에 장애물이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원이 오프된 제1 주변 기기(300-1)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출력된 IR 신호를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같은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제1 주변 기기(300-1)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이후,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같이, 기설정된 시간 내에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주변 기기(300-1) 제어를 위한 UI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UI를 참조하여, 원격 제어 장치(200)에서 출력된 IR 신호가 제1 주변 기기(300-1)에서 수신될 수 있는 환경에 적합한 위치에서 위치 원격 제어 장치(200)에 구비된 제1 주변 기기(300-1)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입력 버튼을 누르거나, 혹은 제1 주변 기기(300-1)에 구비된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입력 버튼을 눌러 제1 주변 기기(300-1)의 전원을 턴 온 시킬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된 주변 기기(300)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이후,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후,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기까지 소요된 시간으로 제1 주변 기기(300-1)와 관련하여 기설정된 임계 시간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된 제1 주변 기기(300-1)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이후,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후에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후에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 시간은,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어, 제1 주변 기기(300-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UI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기 전까지의 시간이 될 수 있다.
이 같이,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후에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된 제1 주변 기기(300-1)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 후, 원격 제어 장치(200)의 IR 신호에 의해 턴 온 된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기까지의 시간을 기설정된 임계 시간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주변 기기(300-1)의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제1 주변 기기(300-1)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하기에 앞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 연결된 제1 주변 기기(300-1)의 동작 제어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원이 오프된 제1 주변 기기(300-1)와 HDMI CEC(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Consumer Electronics Control)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HDMI CEC 프로토콜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 연결된 제1 주변 기기(300-1)의 동작 제어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HDMI CEC 프로토콜을 통해 전원이 오프된 제1 주변 기기(300-1)로 턴 온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주변 기기(300-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HDMI CEC 프로토콜을 통해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턴 온 동작을 수행하여 시스템 부팅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시스템 부팅이 완료되면, 제1 주변 기기(300-1)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컨텐츠를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제공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HDMI CEC 프로토콜을 통해 전원이 오프된 제1 주변 기기(300-1)로 턴 온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한 이후, 기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수신된 컨텐츠의 영상 및 오디오를 출력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주변 기기(300-1)로 턴 온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한 후,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기까지 소요된 시간으로 제1 주변 기기(300-1)와 관련하여 기설정된 임계 시간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기설정된 임계 시간은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제1 주변 기기(300-1)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이후, 제1 주변 기기(300-1)에서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시간과 동일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의해 턴 온 된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 시간과 원격 제어 장치(200)에 의해 턴 온 된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된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 시간은 상이할 수 있다.
한편, HDMI CEC 프로토콜을 통해 전원이 오프된 제1 주변 기기(300-1)를 턴 온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한 이후,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이 오프된 제1 주변 기기(300-1)의 전원을 턴 온 시키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3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턴 온 신호를 IR 신호로 변환하여 제1 주변 기기(300-1)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1 주변 기기(300-1)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IR 신호에 따라 턴 온 동작을 수행하여 시스템 부팅을 수행하고, 시스템 부팅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컨텐츠를 전송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제1 주변 기기(300-1)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후, 기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수신된 컨텐츠의 영상 및 오디오를 출력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주변 기기(300-1)로 턴 온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한 후,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기까지 소요된 시간으로 제1 주변 기기(300-1)와 관련하여 기설정된 임계 시간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기설정된 시간 내에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주변 기기(300-1) 제어를 위한 UI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UI를 참조하여, 원격 제어 장치(200)에서 출력된 IR 신호가 제1 주변 기기(300-1)에서 수신될 수 있는 환경에 적합한 위치에서 위치 원격 제어 장치(200)에 구비된 제1 주변 기기(300-1)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입력 버튼을 누르거나, 혹은 제1 주변 기기(300-1)에 구비된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입력 버튼을 눌러 제1 주변 기기(300-1)의 전원을 턴 온 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HDMI CEC 프로토콜 및 원격 제어 장치(200)를 통해 제1 주변 기기(300-1)에 대한 제어가 가능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설정된 우선 순위에 해당하는 제어 방식으로 제1 주변 기기(300-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DMI CEC 프로토콜을 통해 제1 주변 기기(300-1)를 우선 제어하는 방식으로 설정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HDMI CEC 프로토콜을 통해 제1 주변 기기(300-1)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지 않으면, 원격 제어 장치(200)를 통해 제1 주변 기기(300-1)를 제어하도록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제1 주변 기기(300-1)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다른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장치(200)를 통해 주변 기기(300)를 우선 제어하는 방식으로 설정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 주변 기기(300)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HDMI CEC 프로토콜을 통해 주변 기기(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HDMI 통신 모듈의 동작을 수행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HDMI CEC 프로토콜 및 원격 제어 장치(200)를 통해 제1 주변 기기(300-1)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중복으로 전송하여 제1 주변 기기(300-1)에서 턴 온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300) 및 전자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볼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세 블록도이다.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및 제2 통신부(110-1,110-2), 출력부(12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제1 통신부(110-1)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300)와 통신을 수행하며, 제2 통신부(110-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200) 와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주변 기기(300)는 예를 들어, 셋탑 박스, 컨텐츠 재생 장치(미도시), 홈 씨어터 등이 될 수 있으며, 원격 제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300)를 제어하는 통합 리모컨이 될 수 있다.
이 같은 제1 통신부(110-1)는 커넥터가 될 수 있으며, 제2 통신부(110-1,110-2)는 무선 통신부가 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인 제1 통신부(110-1)는 유선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한다.  여기서, 주변 기기(300)는 컨텐츠 서버(미도시)로부터 전송된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출력하는 셋탑 박스이거나, 혹은 내장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혹은 DVD와 같은 저장 매체에 기록된 컨텐츠를 읽어 들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출력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미도시)가 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인 제2 통신부(110-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주변 기기(300)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2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기설정된 신호를 수신하거나 혹은 원격 제어 장치(200)로 주변 기기(300)를 제어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한다.
이 같은 제2 통신부(110-2)는 근거리 통신 모듈인 블루투스(bluetooth)모듈,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모듈, 와이파이(WIFI)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같은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원격 제어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통신부(110-2)는 IEEE 등과 같은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하거나,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o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 통신 규격에 따라 이동 통신 망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출력부(120)는 주변 기기(300)로부터 출력된 컨텐츠를 출력한다.  여기서, 컨텐츠는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출력부(120)는 출력 가능한 형태로 신호 처리된 오디오 및 영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출력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21) 및 오디오 출력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1)는 주변 기기(300)로부터 출력된 컨텐츠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오디오 출력부(122)는 해당 컨텐츠의 오디오를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가청음 형태로 출력한다. 
컨텐츠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121)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전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또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31)는 후술할 입력부(140)에 포함된 터치 입력부(133)와 함께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들에 대한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30)는 제1 통신부(110-2)를 통해 주변 기기(300)와 최초 통신이 개시되면, 다음과 같은 실시예를 통해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주변 기기(300)의 임계 시간은 전원이 오프 된 주변 기기(300)가 턴 온 되어 시스템 부팅을 수행하여 된 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컨텐츠를 전송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3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 주변 기기(300)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후 제1 통신부(110-1)를 통해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기까지 소요된 시간을 측정한다. 이후, 제어부(130)는 측정된 시간을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부(130)는 제1 통신부(110-1)를 통해 주변 기기(300)와 최초 통신이 개시되면, 주변 기기(30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식별 정보를 외부 서버(미도시)로 전송한다. 여기서, 외부 서버(미도시)는 복수의 주변 기기(300) 각각에 대응되는 기기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가 될 수 있다. 여기서, 기기 정보는, 주변 기기(300)의 식별 정보, 부팅 관련 임계 시간 정보 및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서버(미도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 연결된 주변 기기(300)의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식별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주변 기기(300)의 임계 시간 및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된 임계 시간 및 제어 정보를 후술할 저장부(180)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같은 실시예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 연결된 주변 기기(300)에 대한 임계 시간이 설정되면, 제어부(130)는 기설정된 주변 기기(300)의 임계 시간에 기초하여 기초하여 해당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주변 기기(300)의 전원 상태가 오프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주변 기기(300)를 턴 온 하기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먼저, 제어부(130)는 주변 기기(300)의 임계 시간이 설정된 후 제2 통신부(110-2)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기설정된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신호이거나 혹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출력할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기기를 변경하기 위한 신호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이 오프된 경우, 원격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턴 온(Turn On)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같은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3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턴 온 동작을 수행하여 시스템 부팅을 수행할 수 있다.
또다른 예를 들어,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및 제2 주변 기기(300-1,300-2)와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주변 기기(300-1)는 컨텐츠 서버(미도시)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출력하는 셋탑 박스가 될 수 있으며, 제2 주변 기기(300-2)는 DVD와 같은 저장 매체에 기록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미도시)가 될 있다.  이 같은, 제1 및 제2 주변 기기(300-1,300-2)와 통신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제공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같이,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제공된 컨텐츠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원격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제1 주변 기기(300-1)에서 제2 주변 기기(300-2)로 소스 전환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같은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3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주변 기기(300-1)의 컨텐츠에 대한 출력을 중단하고, 제2 주변 기기(300-2)로 소스 전환하여 제2 주변 기기(300-2)로부터 제공된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제1 통신부(110-1)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텐츠를 수신할 주변 기기(300)의 임계 시간이 설정된 후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3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한 후, 컨텐츠를 수신할 주변 기기(300)의 전원 상태를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30)는 컨텐츠를 제공받을 주변 기기(300)의 임계 시간이 설정된 후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면,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해당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통해 주변 기기(300)의 전원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30)는 주변 기기(300)에 대한 임계 시간이 설정된 후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주변 기기(300)로 공급되는 전원에 대한 전압값이 기설정된 임계 전압값 미만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주변 기기(300)의 전원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같은 실시예를 통해 주변 기기(300)의 전원이 오프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를 통해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된 주변 기기(300)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이 같은 실시예를 통해 주변 기기(300)의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30)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를 통해 주변 기기(300)의 전원을 턴 온 시키며, 턴 온 된 주변 기기(300)로부터 주변 기기(300)와 관련하여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30)는 주변 기기(300)의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원이 오프된 주변 기기(300)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컨텐츠를 제공할 주변 기기(300)의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원이 오프된 주변 기기(300)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후술할 저장부(180)에 기저장된 복수의 주변 기기(300)별 제어 정보 중 전원이 오프된 주변 기기(300)의 제어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제어부(130)는 획득한 제어 정보에 포함된 해당 주변 기기(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중 전원을 턴 온 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을 원격 제어 장치(200)에서 출력 가능한 값으로 로 변환한다.  즉, 제어부(130)는 전원을 턴 온 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을 원격 제어 장치(200)에서 IR 신호로 출력할 수 있는 값으로 변환한다.
이후, 제어부(130)는 IR 신호로 출력 가능한 값으로 변환된 턴 온 신호를 통신부(110)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턴 온 신호를 IR 신호로 변환하고, IR 신호로 변환된 턴 온 신호를 주변 기기(3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주변 기기(3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IR 신호에 따라 턴 온 동작을 수행하여 시스템 부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원이 오프된 주변 기기(300)의 제어 정보와 함께 해당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기설정된 임계 시간 정보가 저장부(180)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전원이 오프된 주변 기기(300)의 제어 정보를 획득 시, 해당 주변 기기(300)와 관련하여 기설정된 임계 시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원이 오프된 주변 기기(300)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후, 해당 주변 기기(300)와 관련하여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해당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130)는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된 주변 기기(300)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1)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1)는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된 주변 기기(300)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UI를 참조하여, 원격 제어 장치(200)에서 출력된 IR 신호가 주변 기기(300)에서 수신될 수 있는 환경에 적합한 위치에서 위치 원격 제어 장치(200)에 구비된 주변 기기(300)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입력 버튼을 누르거나, 혹은 주변 기기(300)에 구비된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입력 버튼을 눌러 주변 기기(300)의 전원을 턴 온 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된 주변 기기(300)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이후, 기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에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 주변 기기(300)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시점부터 해당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된 시점까지의 시간으로 해당 주변 기기(300)의 임계 시간을 업데이트하여 저장부(180)에 저장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후에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면, 제어부(130)는 주변 기기(300)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 후 원격 제어 장치(200)의 IR 신호에 의해 턴 온 된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기까지 소요된 시간을 기설정된 임계 시간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후에 해당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기까지 소요된 시간은,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어, 주변 기기(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UI가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기 전까지의 시간이 될 수 있다.
이 같이,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후에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면, 제어부(130)는 주변 기기(300)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 후 원격 제어 장치(200)의 IR 신호에 의해 턴 온 된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기까지 소요된 시간을 기설정된 임계 시간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이 같이, 주변 기기(300)의 임계 시간이 업데이트되면, 제어부(130)는 업데이트된 임계 시간을 기준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해당 주변 기기(300)의 전원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를 제공받을 주변 기기(300)는 HDMI CEC(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Consumer Electronics Control)를 통해 제어 가능하며, 해당 주변 기기(300)의 전원 상태는 오프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HDMI CEC를 통해 주변 기기(300)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제1 통신부(110-1)를 통해 주변 기기(300)로 전송한다. 이후, 제어부(130)는 기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제1 통신부(110-1)를 통해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기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면, 제어부(130)는 주변 기기(300)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시점부터 제1 통신부(110-1)를 통해 해당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된 시점까지의 시간으로 기설정된 임계 시간을 업데이트하여 저장부(180)에 저장한다.
한편, 기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턴 온 신호를 전송한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130)는 제2 통신부(110-2)를 통해 해당 주변 기기(300)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된 주변 기기(300)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저장부(180)에 기저장된 복수의 주변 기기(300)별 제어 정보 중 전원이 오프된 주변 기기(300)의 제어 정보를 획득한다.  이후, 제어부(130)는 획득한 제어 정보에 포함된 해당 주변 기기(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 중 전원을 턴 온 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을 원격 제어 장치(200)에서 출력 가능한 값으로 변환한다.  즉, 제어부(130)는 주변 기기(300)의 전원을 턴 온 시키기 위한 제어 명령을 원격 제어 장치(200)에서 IR 신호로 출력할 수 있는 값으로 변환한다.
이후, 제어부(130)는 해당 제어 명령과 관련하여 IR 신호로 출력 가능한 값으로 변환된 턴 온 신호를 제2 통신부(110-2)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턴 온 신호를 IR 신호로 변환하고, IR 신호로 변환된 턴 온 신호를 주변 기기(3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주변 기기(3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IR 신호에 따라 턴 온 동작을 수행하여 시스템 부팅을 수행할 수 있다. 시스템 부팅이 완료된 주변 기기(300)는 주변 기기(300)와 통신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컨텐츠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3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제어 명령에 따라 시스템 부팅된 주변 기기(300)로부터 해당 주변 기기(300)와 관련하여 기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13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 컨텐츠를 제공할 주변 기기(300)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후 제1 통신부(110-1)를 통해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해당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130)는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된 주변 기기(300)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1)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1)는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된 주변 기기(300)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UI를 참조하여, 원격 제어 장치(200)에서 출력된 IR 신호가 주변 기기(300)에서 수신될 수 있는 환경에 적합한 위치에서 위치 원격 제어 장치(200)에 구비된 주변 기기(300)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입력 버튼을 누르거나, 혹은 주변 기기(300)에 구비된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입력 버튼을 눌러 주변 기기(300)의 전원을 턴 온 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기설정된 임계 시간은 주변 기기(300)의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원격 제어 장치(200)로 해당 주변 기기(300)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후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 여부를 판단하거나, 혹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원이 오프된 주변 기기(300)로 전원을 턴 원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한 후 해당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파단하기 위한 기준 시간이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설정된 임계 시간은 컨텐츠를 제공할 주변 기기(300)의 전원 상태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시간이 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된 주변 기기(300)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이후, 기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에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 주변 기기(300)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시점부터 해당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된 시점까지의 시간으로 해당 주변 기기(300)의 임계 시간을 업데이트하여 저장부(180)에 저장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후에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면, 제어부(130)는 주변 기기(300)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 후 원격 제어 장치(200)의 IR 신호에 의해 턴 온 된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기까지 소요된 시간을 기설정된 임계 시간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이 같이, 임계 시간이 업데이트되면, 제어부(130)는 업데이트된 임계 시간을 기준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주변 기기(300)의 전원 상태를 판단하거나 혹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혹은 원격 제어 장치(200)에 의해 제어된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주변 기기(300)가 HDMI CEC 프로토콜 및 원격 제어 장치(200)를 통해 제어가 가능한 경우, 제어부(130)는 기설정된 우선 순위에 해당하는 제어 방식으로 주변 기기(3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DMI CEC 프로토콜을 통해 주변 기기(300)를 우선 제어하는 방식으로 설정된 경우, 제어부(130)는 HDMI CEC 프로토콜을 통해 주변 기기(300)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지 않으면, 원격 제어 장치(200)를 통해 주변 기기(300)를 제어하도록 원격 제어 장치(200)로 주변 기기(300)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HDMI CEC 프로토콜 및 원격 제어 장치(200)를 통해 주변 기기(300)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중복으로 전송하여 주변 기기(300)에서 턴 온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세부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술한 제1 및 제2 통신부(110-1,110-2), 출력부(120) 및 제어부(130) 구성 외에, 입력부(140), 신호 처리부(150), 촬영부(160), 감지부(170) 및 저장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40)는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이 같은 입력부(140)는 마이크(141), 조작부(142) 및 터치 입력부(143)를 포함한다.
마이크(141)는 사용자의 발화 음성을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조작부(142)는 각종 기능키, 숫자키, 특수키, 문자키 등을 구비한 키패드(Key Pad)로 구현될 수 있으며, 터치 입력부(143)는 전술한 디스플레이부(121)가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경우, 디스플레이부(121)와 상호 레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패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입력부(143)는 디스플레이부(121)를 통해 디스플레이된 아이콘에 대한 터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신호 처리부(150)는 제어부(130)의 제어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유선 혹은 무선으로 통신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3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혹은 저장부(180)에 저장된 컨텐츠의 영상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구성 요소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 처리부(150)는 수신된 컨텐츠에 포함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변환 및 해상도 변환 등과 같은 다양한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170)는 컨텐츠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해서, 디코딩,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오디오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디스플레이부(121)는 신호 처리부(150)에 의해 신호 처리된 컨텐츠의 영상을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며, 오디오 출력부(122)는 신호 처리부(150)에 의해 신호 처리된 컨텐츠의 오디오 데이터를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가청음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스마트 폰, 스마트 TV, 테블릿 PC와 같은 전자 장치로 구현될 경우, 촬영부(160) 및 감지부(17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촬영부(16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촬영한다. 
감지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다양한 동작 상태 및 사용자 인터렉션을 감지한다.  특히, 감지부(17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파지하고 있는 파지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기울어질 수 있다.  이때, 감지부(170)는 지자기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회전 움직임 또는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파지하고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울기 등을 감지한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감지부(170)에 의해 감지된 감지 결과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18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1 통신부(110-1)를 통해 통신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3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 및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기설정된 임계 시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제1 통신부(110-1)를 통해 주변 기기(300)와 최초 통신 연결되면, 통신 연결된 주변 기기(30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서버(미도시)로부터 해당 주변 기기(300)에 대한 제어 정보 및 해당 주변 기기(300)에서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180)에 저장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제1 통신부(110-1)를 통해 주변 기기(300)와 최초 통신 연결되면, 통신 연결된 주변 기기(300)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주변 기기(300) 혹은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후, 제어부(130)는 주변 기기(300)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시점부터 해당 턴 온 신호에 의해 시스템 부팅된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된 시점까지의 시간을 측정한다. 이후, 제어부(130)는 측정된 시간을 해당 주변 기기(300)에서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 시간으로 설정한다. 주변 기기(300)의 임계 시간이 설정되면, 제어부(130)는 기설정된 임계 시간, 해당 주변 기기(300)의 식별 정보 및 외부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해당 주변 기기(300)의 제어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부(180)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8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1 통신부(110-1)와 통신 연결된 복수의 주변 기기(300)별 식별 정보, 제어 정보 및 임계 시간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할 뿐만 아니라, 운영체제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더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운용체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턴 온(Turn On)되는 경우, 저장부(180)에서 읽혀지고, 컴파일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각 구성을 동작시키는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실행 명령에 의해 운영체제에 의해 저장부(180)에서 독출되어, 실행 가능한 형태로 전이되어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뿐만 아니라, 저장부(180)는 제어부(130)에 의해 처리된 각종 멀티미디어 데이터, 컨텐츠 데이터, 외부 소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같은, 저장부(180)는 롬(ROM), 램(RAM)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탈착/장착 가능한 메모리 카드(예, SD 카드, 메모리 스틱),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어부(130)는 CPU, ROM, RAM 및 GPU를 포함할 수 있으며, CPU, ROM, RAM 및 GPU는 버스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CPU는 저장부(180)를 액세스하여, 저장부(180)에 저장된 운영체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또한 CPU는 저장부(18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ROM은 시스템 부팅을 위한 명령어 세트 등이 저장된다. 턴 온 명령이 입력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CPU는 ROM에 저장된 명령어에 따라 저장부(180)에 저장된 OS를 RAM에 복사하고, OS를 실행시켜 시스템을 부팅시킨다. 부팅이 완료되면, CPU는 저장부(18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을 RAM에 복사하고, RAM에 복사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각종 동작을 수행한다.
GPU는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화면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GPU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하고, 연상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생성한다.
이 같은 프로세서(130)는 전술한 다양한 구성들과 결합되어 단일칩 시스템(System-on-a-chip 또는 System on chip, SOC, SoC)으로 구현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각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200)의 각 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제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 연결되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통합 리모컨이 될 수 있다.  이 같은 원격 제어 장치(200)는 입력부(210), 통신부(220), 저장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입력부(2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 연결되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입력부(210)는 마이크(미도시) 혹은 조작부(미도시)와 같은 입력 수단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유선 혹은 무선으로 통신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통신부(220)는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 연결되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300)로 전송한다.
이 같은 통신부(220)는 무선 통신부(221) 및 IR 송신부(222)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부(221)는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 
실시예에 따라, 무선 통신부(221)는 블루투스(bluetooth)모듈, NFC(Near Field Communication)모듈, 와이파이(WIFI)모듈, 지그비(Zigbee) 모듈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IR 송신부(22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유선 혹은 무선으로 통신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IR 신호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어 명령은 무선 통신부(221)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되거나, 저장부(230)에 기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2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저장한다.  뿐만 아니라, 저장부(2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300)의 제어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주변 기기(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기기가 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원격 제어 장치(200)를 구성하는 각 구성들에 대한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240)는 입력부(21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저장부(230)로부터 획득하고, 획득한 제어 명령을 제어 신호로 변환한다.  이후, 제어부(240)는 제어 신호로 변환된 제어 명령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221)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무선 통신부(220)는 제어 신호로 변환된 제어 명령을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하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40)는 입력부(21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 연결되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주변 기기(300)에 대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명령을 저장부(230)로부터 획득하고, 획득한 제어 명령을 IR 신호로 변환한다.  이후, 제어부(240)는 IR 신호로 변환된 제어 명령을 해당 주변 기기(300)로 전송하도록 IR 송신부(222)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IR 송신부(222)는 IR 신호로 변환된 제어 명령을 사용자가 제어를 요청한 주변 기기(300)로 전송하며, 주변 기기(3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IR 신호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40)는 무선 통신부(221)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주변 기기(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제어 신호를 IR 신호로 변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 연결되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주변 기기(300)의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원이 오프된 주변 기기(300)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한다.  이 같은 턴 온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240)는 수신된 턴 온 신호를 IR 신호로 변환하고, IR 송신부(222)를 통해 IR 신호로 변환된 턴 온 신호를 전원이 오프된 주변 기기(3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주변 기기(3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IR 신호에 따라 턴 온 동작을 수행하여 시스템 부팅을 수행한 후, 시스템 부팅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주변 기기(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주변 기기의 임계 시간을 설정하는 제1 예시도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주변 기기(300-1)와 최초 통신 연결되면,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제1 주변 기기(300-1)의 식별 정보 및 제1 주변 기기(300-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를 수신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최초 통신 연결된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제1 주변 기기(300-1)의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요청 정보를 외부 서버(미도시)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주변 기기(300) 각각에 대응되는 기기 정보를 저장하는 외부 서버(미도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기기 요청 정보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 연결된 제1 주변 기기(300-1)의 제어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 같은 제1 주변 기기(300-1)의 제어 정보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주변 기기(300-1)의 식별 정보 및 제어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한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턴 온 동작을 수행하여 시스템 부팅을 수행한다. 시스템 부팅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저장된 제1 주변 기기(300-1)의 제어 정보로부터 제1 주변 기기(300-1)를 턴 온 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획득하고, 획득한 제어 명령을 원격 제어 장치(200)에서 출력 가능한 값으로 변환한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해당 제어 명령과 관련하여 원격 제어 장치(200)에서 출력 가능한 값으로 변환된 턴 온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턴 온 신호를 IR 신호로 변환하고, IR 신호로 변환된 턴 온 신호를 제1 주변 기기(300-1)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1 주변 기기(300-1)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IR 신호에 따라 턴 온 되어 시스템 부팅을 수행하고, 시스템 부팅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컨텐츠를 전송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제1 주변 기기(300-1)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시점부터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된 시점까지의 시간을 측정한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측정된 시간을 제1 주변 기기(300-1)에서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 시간으로 설정한다.
이 같은 임계 시간이 설정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주변 기기(300-1)와 관련하여 기저장된 식별 정보, 제어 정보 및 기설정된 임계 시간을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도 5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주변 기기의 임계 시간을 설정하는 제2 예시도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주변 기기(300-1)와 최초 통신 연결되면,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제1 주변 기기(300-1)의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제1 주변 기기(300-1)의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최초 통신 연결된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수신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요청 정보를 외부 서버(4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복수의 주변 기기(300) 각각에 대응되는 기기 정보를 저장하는 외부 서버(4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기기 요청 정보에 포함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 연결된 제1 주변 기기(300-1)의 제어 정보 및 제1 주변 기기(300-1)에서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설정된 임계 시간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주변 기기(300-1)의 식별 정보와, 외부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제1 주변 기기(300-1)의 제어 정보 및 임계 시간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주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원격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턴 온 관련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턴 온 하여 시스템 부팅을 수행한다.  시스템 부팅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주변 기기(300-1)와 컨텐츠 송수신을 위한 통신 연결을 수행하여 제1 주변 기기(300-1)의 전원 상태를 판단한다.  여기서, 제1 주변 기기(300-1)는 컨텐츠 서버(미도시)로부터 제공된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출력하는 셋탑 박스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턴 온 하여 시스템 부팅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제1 주변 기기(300-1)의 전원 상태를 판단한다.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컨텐츠가 수신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주변 기기(300-1)의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시스템 부팅이 완료되면, 제1 주변 기기(300-1)로 공급되는 전원의 전압값과 기설정된 임계 전압값을 비교한다.  비교 결과, 기설정된 임계 전압값 미만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주변 기기(300-1)의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 같이, 제1 주변 기기(300-1)의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주변 기기(300-1)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원격 제어 장치(200)에서 IR 신호로 출력 가능한 값으로 변환한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해당 제어 명령과 관련하여 원격 제어 장치(200)에서 출력 가능한 값으로 변환된 턴 온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다. 
따라서, 원격 제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제1 주변 기기(300-1)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턴 온 신호를 IR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IR 신호를 제1 주변 기기(300-1)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1 주변 기기(300-1)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IR 신호에 따라 턴 온 동작을 수행하고, 턴 온 동작에 따라 시스템 부팅이 완료되면, 제1 주변 기기(300-1)와 유선 혹은 무선으로 통신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컨텐츠를 전송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제1 주변 기기(300-1)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후,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시점부터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된 시점까지의 시간으로 기설정된 임계 시간을 업데이트한다.
한편,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컨텐츠가 수신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주변 기기(300-1) 제어를 위한 UI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UI를 참조하여, 원격 제어 장치(200)에서 출력된 IR 신호가 제1 주변 기기(300-1)에서 수신될 수 있는 환경에 적합한 위치에서 위치 원격 제어 장치(200)에 구비된 제1 주변 기기(300-1)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입력 버튼을 누르거나, 혹은 제1 주변 기기(300-1)에 구비된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입력 버튼을 눌러 제1 주변 기기(300-1)의 전원을 턴 온 시킬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제1 주변 기기(300-1)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후,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후에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후에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 시간은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어, 제1 주변 기기(300-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UI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기 전까지의 시간이 될 수 있다.
이 같이,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후에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제1 주변 기기(300-1)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후, 원격 제어 장치(200)의 IR 신호에 의해 턴 온 된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기까지의 시간을 기설정된 임계 시간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컨텐츠를 제공하는 주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예시도이다.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원격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턴 온 관련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턴 온 하여 시스템 부팅을 수행한다.  시스템 부팅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주변 기기(300-1)와 컨텐츠 송수신을 위한 통신 연결을 수행하여 제1 주변 기기(300-1)의 전원 상태를 판단한다.  여기서, 제1 주변 기기(300-1)는 컨텐츠 서버(미도시)로부터 제공된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출력하는 셋탑 박스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턴 온 하여 시스템 부팅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제1 주변 기기(300-1)의 전원 상태를 판단한다.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컨텐츠가 수신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주변 기기(300-1)의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 같이, 제1 주변 기기(300-1)의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주변 기기(300-1)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1 주변 기기(300-1)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주변 기기(300-1)와 HDMI CEC를 통해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HDMI CEC를 통해 제1 주변 기기(300-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주변 기기(300-1)의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주변 기기(300-1)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생성하여 HDMI CEC를 통해 제1 주변 기기(300-1)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1 주변 기기(300-1)는 HDMI CEC를 통해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턴 온 동작을 수행하고, 턴 온 동작에 따라 시스템 부팅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컨텐츠를 전송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기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HDMI CEC를 통해 제1 주변 기기(300-1)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시점부터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된 시점까지의 시간으로 기설정된 임계 시간을 업데이트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HDMI CEC를 통해 제1 주변 기기(300-1)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한 후,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1 주변 기기(300-1)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턴 온 신호를 IR 신호로 변환하여 제1 주변 기기(300-1)로 전송한다.  따라서, 제1 주변 기기(300-1)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IR 신호에 따라 턴 온 동작을 수행하고, 턴 온 동작에 따라 시스템 부팅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컨텐츠를 전송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제1 주변 기기(300-1)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후,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시점부터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된 시점까지의 시간으로 기설정된 임계 시간을 업데이트한다.
한편,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1 주변 기기(300-1) 제어를 위한 UI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후에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면,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제1 주변 기기(300-1)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후, 원격 제어 장치(200)의 IR 신호에 의해 턴 온 된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기까지의 시간을 기설정된 임계 시간으로 업데이트한다.
이 같은 제1 주변 기기(300-1) 제어를 위한 UI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임계 시간을 업데이트하는 동작은 도 6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소스 전환된 주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및 제2 주변 기기(300-1,300-2)와 유선 혹은 무선으로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주변 기기(300-1)는 컨텐츠 서버(미도시)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출력하는 셋탑 박스가 될 수 있으며, 제2 주변 기기(300-2)는 DVD와 같은 저장 매체에 기록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재생 플레이어가 될 있다. 
이 같은 제1 및 제2 주변 기기(300-1,300-2)와 통신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제공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같이,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원격 제어 장치(200)는 제1 주변 기기(300-1)에서 제2 주변 기기(300-2)로 소스 전환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 같은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원격 제어 장치(200)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소스 전환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이 같은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주변 기기(300-1)의 컨텐츠에 대한 출력을 중단하고, 제2 주변 기기(300-2)로부터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제2 주변 기기(300-2)의 전원 상태를 판단한다.
제2 주변 기기(300-2)와 관련하여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컨텐츠가 수신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주변 기기(300-2)의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 같이, 제2 주변 기기(300-2)의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주변 기기(300-2)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되는 제어 명령은 원격 제어 장치(200)에서 제2 주변 기기(300-2)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IR 신호로 출력하기 위한 값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원격 제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제2 주변 기기(300-2)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제어 명령이 수신되면, 수신된 턴 온 신호를 IR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IR 신호를 제2 주변 기기(300-2)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2 주변 기기(300-2)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IR 신호에 따라 턴 온 동작을 수행하고, 턴 온 동작에 따라 시스템 부팅이 완료되면, 제2 주변 기기(300-2)와 유선 혹은 무선으로 통신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컨텐츠를 전송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제2 주변 기기(300-2)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후,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소스 전환된 제2 주변 기기(300-2)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제2 주변 기기(300-2)와 관련하여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제2 주변 기기(300-2)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시점부터 제2 주변 기기(300-2)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된 시점까지의 시간으로 기설정된 임계 시간을 업데이트한다.
한편, 제2 주변 기기(300-1)로부터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컨텐츠가 수신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주변 기기(300-2) 제어를 위한 UI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UI를 참조하여, 원격 제어 장치(200)에서 출력된 IR 신호가 제2 주변 기기(300-2)에서 수신될 수 있는 환경에 적합한 위치에서 위치 원격 제어 장치(200)에 구비된 제2 주변 기기(300-2)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입력 버튼을 누르거나, 혹은 제2 주변 기기(300-2)에 구비된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입력 버튼을 눌러 제2 주변 기기(300-2)의 전원을 턴 온 시킬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제2 주변 기기(300-1)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후,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후에 제2 주변 기기(300-2)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후에 제2 주변 기기(300-2)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 시간은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제2 주변 기기(300-2)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어, 제2 주변 기기(300-2)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UI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기 전까지의 시간이 될 수 있다.
이 같이,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후에 소스 전환된 제2 주변 기기(300-2)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제2 주변 기기(300-2)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후, 원격 제어 장치(200)의 IR 신호에 의해 턴 온 된 제2 주변 기기(300-2)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기까지의 시간을 기설정된 임계 시간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소스 전환된 주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예시도이다.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주변 기기(300-1,300-2)와 유선 혹은 무선으로 통신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제공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같이, 제1 주변 기기(300-1)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원격 제어 장치(200)는 제1 주변 기기(300-1)에서 제2 주변 기기(300-2)로 소스 전환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 같은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원격 제어 장치(200)는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소스 전환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이 같은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주변 기기(300-1)의 컨텐츠에 대한 출력을 중단하고, 제2 주변 기기(300-2)로부터 제2 주변 기기(300-2)와 관련하여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제2 주변 기기(300-2)의 전원 상태를 판단한다.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소스 전환된 제2 주변 기기(300-2)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주변 기기(300-2)의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 같이, 제2 주변 기기(300-2)의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주변 기기(300-2)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생성하여 제2 주변 기기(300-2)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소스 전환된 제2 주변 기기(300-2)와 HDMI CEC를 통해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HDMI CEC를 통해 제2 주변 기기(300-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주변 기기(300-2)의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2 주변 기기(300-2)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HDMI CEC를 통해 제2 주변 기기(300-2)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2 주변 기기(300-2)는 HDMI CEC를 통해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턴 온 동작을 수행하고, 턴 온 동작에 따라 시스템 부팅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컨텐츠를 전송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HDMI CEC를 통해 제2 주변 기기(300-2)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후, 제2 주변 기기(300-2)와 관련하여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제2 주변 기기(300-2)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제2 주변 기기(300-2)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HDMI CEC를 통해 제2 주변 기기(300-2)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시점부터 제2 주변 기기(300-2)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된 시점까지의 시간으로 기설정된 임계 시간을 업데이트한다.
한편,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제2 주변 기기(300-2)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주변 기기(300-2)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턴 온 신호를 IR 신호로 변환하여 제2 주변 기기(300-2)로 전송한다.  따라서, 제2 주변 기기(300-2)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IR 신호에 따라 턴 온 동작을 수행하고, 턴 온 동작에 따라 시스템 부팅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컨텐츠를 전송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제2 주변 기기(300-1)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후,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제2 주변 기기(300-2)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제2 주변 기기(300-2)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시점부터 제2 주변 기기(300-2)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된 시점까지의 시간으로 기설정된 임계 시간을 업데이트한다.
한편,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제2 주변 기기(300-2)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2 주변 기기(300-2)의 동작을 제어를 위한 UI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후에 제2 주변 기기(300-2)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면,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제2 주변 기기(300-1)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후, 원격 제어 장치(200)의 IR 신호에 의해 턴 온 된 제2 주변 기기(300-2)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기까지의 시간으로 기설정된 임계 시간을 업데이트한다.
이 같은 제2 주변 기기(300-2)의 동작을 제어를 위한 UI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임계 시간을 업데이트하는 동작은 도 8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주변 기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UI를 디스플레이하는 예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를 제공할 주변 기기(300)의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주변 기기(300)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제어 신호에 따라 턴 온 된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기 전까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 기기 부팅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요."라는 UI(710)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기기(300)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 후, "주변 기기 부팅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요."라는 UI(710)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IR 신호에 의해 턴 온 된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면,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주변 기기 부팅 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요."라는 UI(710)를 제거하고, 주변 기기(3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의 영상 및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주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예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컨텐츠를 제공할 주변 기기(300)의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주변 기기(300)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턴 온 신호를 IR 신호로 변환하여 주변 기기(300)로 전송하며, 주변 기기(3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IR 신호에 따라 턴 온 동작을 수행하여, 시스템 부팅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시스템 부팅이 완료되면, 주변 기기(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컨텐츠를 전송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기기(300)로부터 제공된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된 주변 기기(300)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이후, 기설정된 임계 시간 동안 해당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장치(200)와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된 주변 기기(300) 간의 거리가 기설정된 범위 내에 존재하지 않거나 혹은 원격 제어 장치(200)와 해당 주변 기기(300) 사이에 장애물이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원이 오프된 주변 기기(3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출력된 주변 기기(300)를 턴 온 하기 위한 IR 신호를 수신하지 못할 수 있다.
이 같은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 주변 기기(300)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이후,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해당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같이, 기설정된 시간 내에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변 기기 전원을 켜 주시기 바랍니다."라는 UI(810)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UI(810)를 참조하여, 원격 제어 장치(200)에서 출력된 IR 신호가 주변 기기(300)에서 수신될 수 있는 환경에 적합한 위치에서 위치 원격 제어 장치(200)에 구비된 주변 기기(300)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입력 버튼을 누르거나, 혹은 주변 기기(300)에 구비된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입력 버튼을 눌러 주변 기기(300)의 전원을 턴 온 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주변 기기(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주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절차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한다(S10,S1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기설정된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 연결되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주변 기기(300)의 전원 상태를 판단한다(S20).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 후, 해당 주변 기기(300)와 관련하여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기기(300)의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 후, 주변 기기(300)로 공급되는 전원에 대한 전압값과 기설정된 임계 전압값을 비교한다.  비교 결과, 주변 기기(300)로 공급되는 전원에 대한 전압값이 기설정된 임계 전압값 미만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기기(300)의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같은 실시예를 통해 주변 기기(300)의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주변 기기(300)의 제어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S21).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 연결된 주변 기기(300)가 HDMI CEC를 통해 통신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주변 기기(300)와 HDMI CEC를 통해 통신 연결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기기(300)의 제어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전원이 오프된 주변 기기(300)로 턴 온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S22,S23).
턴 온을 위한 제어 신호를 주변 기기(300)로 전송한 후,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 주변 기기(300)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한다(S24).
한편, 단계 S22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주변 기기(300)의 제어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 주변 기기(300)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주변 기기(300)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수신한 원격 제어 장치(200)는 수신한 턴 온 신호를 IR 신호로 변환하고, IR 신호로 변환된 제어 신호를 주변 기기(3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주변 기기(3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IR 신호에 따라 턴 온 동작을 수행한 후 시스템 부팅을 수행한다.  시스템 부팅이 완료되면, 주변 기기(300)는 주변 기기(300)와 통신 연결된 디스플레이 자치(100)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 주변 기기(300)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후,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원격 제어 장치(200)의 IR 신호에 의해 턴 온 된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5). 
판단 결과,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후에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 주변 기기(300)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후,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기까지 소요된 시간으로 기설정된 임계 시간을 업데이트한다(S26).
한편,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후에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기기(300) 제어를 위한 UI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S27).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UI를 참조하여, 원격 제어 장치(200)에서 출력된 IR 신호가 주변 기기(300)에서 수신될 수 있는 환경에 적합한 위치에서 위치 원격 제어 장치(200)에 구비된 주변 기기(300)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입력 버튼을 누르거나, 혹은 주변 기기(300)에 구비된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입력 버튼을 눌러 주변 기기(300)의 전원을 턴 온 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 연결된 주변 기기에서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 시간을 설정하는 예시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기기(300)와 최초 통신이 개시되면, 주변 기기(300)로부터 식별 정보 및 주변 기기(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S910).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기기(3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주변 기기(300)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생성하여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다(S920).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 주변 기기(300)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후 해당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기까지 소요된 시간을 측정한다(S930).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측정된 시간을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 시간을 설정한다(S940)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주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 연결되어 컨텐츠를 제공하는 주변 기기(300)의 전원 상태를 판단한다(S1010,S102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 연결된 주변 기기(300)의 전원 상태를 판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된 후, 주변 기기(300)와 관련하여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해당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지 않으면, 주변 기기(300)의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된 후, 주변 기기(300)로 공급되는 전원에 대한 전압값이 기설정된 임계 전압값 미만이면, 주변 기기의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같은 실시예를 통해 주변 기기(300)의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전원이 오프된 주변 기기(300)의 동작 제어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1030,S1040).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주변 기기(300)가 HDMI CEC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기기(300)의 동작 제어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주변 기기(300)가 HDMI CEC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기기(300)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주변 기기(300)로 전송한다(S1050).  이에 따라, 주변 기기(3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턴 온 동작을 수행한 후, 시스템 부팅을 수행한다.  이후, 주변 기기(300)는 시스템 부팅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기기(30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한 후, 주변 기기(300)로부터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60).  판단 결과,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컨텐츠의 영상 및 오디오를 출력한다(S1070).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기기(300)로 턴 온 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한 후 해당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기까지 소요된 시간으로 기설정된 임계 시간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단계 S104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주변 기기(300)의 동작 제어가 불가능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기기(300)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다(S1080).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술한 단계 S1060에서 주변 기기(30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한 후 주변 기기(30)로부터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컨텐츠가 수신되지 않으면, 주변 기기(300)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턴 온 신호를 IR 신호로 변환하여 주변 기기(3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주변 기기(3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부터 전송된 IR 신호에 따라 턴 온 동작을 수행한 후, 시스템 부팅을 수행한다.  이후, 주변 기기(300)는 시스템 부팅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 주변 기기(300)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후,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원격 제어 장치(200)의 IR 신호에 의해 턴 온 된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90). 
판단 결과,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컨텐츠의 영상 및 오디오를 출력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200)로 주변 기기(300)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시점부터 해당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된 시점까지의 시간을 기설정된 임계 시간으로 업데이트한다.
한편,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기기(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UI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한다(S1100).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UI를 참조하여, 원격 제어 장치(200)에서 출력된 IR 신호가 주변 기기(300)에서 수신될 수 있는 환경에 적합한 위치에서 위치 원격 제어 장치(200)에 구비된 주변 기기(300)의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입력 버튼을 누르거나, 혹은 주변 기기(300)에 구비된 전원을 턴 온 하기 위한 입력 버튼을 눌러 주변 기기(300)의 전원을 턴 온 시킬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200)의 IR 신호에 의해 턴 온 된 주변 기기(300)로부터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후에 컨텐츠가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후에 해당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 시간은, 기설정된 임계 시간 내에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어, 주변 기기(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UI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기 전까지의 시간이 될 수 있다.
이 같이,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후에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술한 단계 S1070과 같이, 주변 기기(3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의 영상 및 오디오를 출력한다.  이와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주변 기기(300)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 후, 원격 제어 장치(200)의 IR 신호에 의해 턴 온 된 주변 기기(300)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기까지 소요된 시간을 기설정된 임계 시간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주변 기기(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실행가능한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디스플레이 장치 110,22 : 통신부
120 : 출력부 130,240 : 제어부
140,210 : 입력부 150 : 신호 처리부
160 : 촬영부 170 : 감지부
180,230 : 저장부 200 : 원격 제어 장치
200 : 주변 기기

Claims (20)

  1. 주변 기기로부터 제공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상기 주변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원격 제어 장치로 상기 주변 기기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턴 온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기까지 소요된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측정된 시간을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상기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시간이 설정된 후,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주변 기기의 전원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주변 기기의 전원 상태가 오프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주변 기기를 턴 온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기기를 턴 온 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HDMI CEC(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Consumer Electronics Control)를 통해 상기 주변 기기의 제어가 가능하며, 상기 주변 기기의 전원 상태가 오프라고 판단된 경우, 상기 HDMI CEC를 통해 상기 주변 기기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상기 주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임계 시간 동안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시간 동안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면, 상기 임계 시간을 상기 주변 기기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시점부터 상기 컨텐츠가 수신된 시점까지의 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기기를 턴 온 하는 단계는,
    상기 임계 시간 동안 상기 주변기기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주변 기기를 턴 온 하기 위한 턴-온 신호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상기 턴 온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임계 시간 동안 상기 주변기기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임계 시간 내에 상기 주변기기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면, 상기 임계 시간을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시점부터 상기 컨텐츠가 수신된 시점까지의 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시간 내에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주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UI를 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기기를 턴 온 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주변 기기에 대한 제어가 불가능하며, 상기 주변 기기의 전원 상태가 오프라고 판단되면, 상기 주변 기기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턴-온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임계 시간 동안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임계 시간 내에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면, 상기 임계 시간을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시점부터 상기 컨텐츠가 수신된 시점까지의 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8. 제 5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된 턴 온 신호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서 IR 신호로 상기 주변 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값으로 변환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신호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턴 온 하기 위한 신호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할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기기를 전환하기 위한 신호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임계 시간 내에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주변 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에 대한 전압값이 기설정된 임계 전압값 미만이면, 상기 주변 기기의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컨텐츠를 제공하는 주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1 통신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주변 기기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2 통신부;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상기 주변 기기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기까지 소요된 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시간을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상기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 시간을 설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계 시간이 설정된 후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주변 기기이 전원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주변 기기의 전원 상태가 오프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주변 기기를 턴 온하기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HDMI CEC(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Consumer Electronics Control)를 통해 상기 주변 기기를 제어 가능하며, 상기 주변 기기의 전원 상태가 오프라고 판단되면, 상기 HDMI CEC를 통해 상기 주변 기기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주변 기기로 전송하며,
    상기 임계 시간 동안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시간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계 시간 동안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면, 상기 임계 시간을 상기 주변 기기로 턴 온 신호를 전송한 시점부터 상기 컨텐츠가 수신된 시점까지의 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시간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계 시간 동안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주변 기기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상기 턴 온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임계 시간 동안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임계 시간 내에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면, 상기 임계 시간을 상기 턴 온 신호를 전송한 시점부터 상기 컨텐츠가 수신된 시점까지의 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계 시간 내에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주변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시간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 기기에 대한 제어가 불가능하며, 상기 주변 기기의 전원 상태가 오프이면, 상기 주변 기기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상기 제2 통신부를 통해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상기 턴 온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임계 시간 동안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주변기기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임계 시간 내에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면, 상기 임계 시간을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상기 턴 온 신호를 전송한 시점부터 상기 컨텐츠가 수신된 시점까지의 시간으로 업데이트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된 턴 온 신호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에서 IR 신호로 상기 주변 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값으로 변환된 신호이며,
    상기 기설정된 신호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턴 온 하기 위한 신호 또는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기기로 전환하기 위한 신호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임계 시간 내에 상기 제1 통신부를 통해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지 않거나 또는 상기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된 후 상기 주변 기기로 공급되는 전원에 대한 전압값이 기설정된 임계 전압값 미만이면, 상기 주변 기기의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주변 기기로부터 제공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변 기기와 통신 연결되면,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상기 주변 기기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식별 정보를 외부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주변 기기에서 컨텐츠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임계 시간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임계 시간을 수신한 후,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주변 기기의 전원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주변 기기의 전원 상태가 오프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상기 주변 기기를 턴 온 하기 위한 턴 온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턴 온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주변 기기로부터 컨텐츠가 수신되 기까지 소요된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임계 시간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KR1020160124192A 2016-09-27 2016-09-27 주변 기기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2507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192A KR102507161B1 (ko) 2016-09-27 2016-09-27 주변 기기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EP17188817.5A EP3300353B1 (en) 2016-09-27 2017-08-31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 of peripheral device
US15/697,813 US10623799B2 (en) 2016-09-27 2017-09-07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 of peripheral device
MX2019003453A MX2019003453A (es) 2016-09-27 2017-09-07 Aparato y metodo de control para desplegar contenido de dispositivo periferico.
PCT/KR2017/009805 WO2018062715A1 (en) 2016-09-27 2017-09-07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 of peripheral device
CN201710887972.0A CN107872702B (zh) 2016-09-27 2017-09-27 用于显示外围设备内容的装置和控制方法
US16/370,298 US10869079B2 (en) 2016-09-27 2019-03-29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displaying content of periphera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4192A KR102507161B1 (ko) 2016-09-27 2016-09-27 주변 기기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093A true KR20180034093A (ko) 2018-04-04
KR102507161B1 KR102507161B1 (ko) 2023-03-07

Family

ID=59772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4192A KR102507161B1 (ko) 2016-09-27 2016-09-27 주변 기기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623799B2 (ko)
EP (1) EP3300353B1 (ko)
KR (1) KR102507161B1 (ko)
CN (1) CN107872702B (ko)
MX (1) MX2019003453A (ko)
WO (1) WO20180627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8169A1 (ko) * 2021-09-09 2023-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A/v 전송 장치 및 a/v 수신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9545B1 (ko) * 2016-08-16 2023-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워 제어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2507161B1 (ko) 2016-09-27 2023-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주변 기기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2495235B1 (ko) * 2016-11-22 2023-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전원 제어 방법
KR102423356B1 (ko) * 2017-09-26 2022-07-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기록매체
KR20190058897A (ko) * 2017-11-22 2019-05-30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0571991B2 (en) * 2018-04-30 2020-02-25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auto-switching or auto-playing video content
KR102593313B1 (ko) * 2018-12-20 2023-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US11503372B2 (en) * 2020-06-17 2022-11-15 Google Llc Automation and recommendation based on device control protocols
EP4210343A4 (en) * 2020-12-04 2024-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ROL DEVICE AND ITS OPERATING METHOD
KR20220099791A (ko) * 2021-01-07 2022-07-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CN113760618A (zh) * 2021-08-18 2021-12-0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状态确定方法、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KR20230132079A (ko) * 2022-03-08 2023-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8904A (ko) * 2006-12-22 2008-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US20140118618A1 (en) * 2012-11-01 2014-05-01 Sony Corporation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apparatus, recep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64336B1 (en) * 1998-06-01 2003-01-15 Seiko Epson Corporation Method of monitoring the power supply status in a peripheral device connected to a host computer
US7814516B2 (en) * 2001-05-03 2010-10-12 Mitsubishi Digital Electronics America, Inc. Control system and user interface for network of input devices
KR100513281B1 (ko) 2002-12-31 2005-09-09 삼성전자주식회사 확장형 통합 리모컨 및 작동 방법
KR101049251B1 (ko) 2004-02-24 2011-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합 리모컨 컨트롤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7782407B2 (en) * 2006-02-21 2010-08-24 Mitsubishi Digital Electronics America, Inc. Smart remote control
US20140337879A1 (en) * 2006-09-05 2014-11-13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the remote control functionality of a portable device
US20080098433A1 (en) * 2006-10-23 2008-04-24 Hardacker Robert L User managed internet links from TV
KR101300949B1 (ko) 2006-10-24 2013-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를 이용한 외부기기의 제어방법
JP4885051B2 (ja) * 2007-04-27 2012-02-29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送信装置、コンテンツ受信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送受信システム
KR101488994B1 (ko) 2008-06-30 2015-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이어리스 텔레비전의 송신장치 및 그의 원격 명령 처리방법
US8286210B2 (en) * 2008-11-13 2012-10-09 Sony Corporation HDMI switching technology for the coupling of consumer electronic control and/or non-consumer electronic control devices in an audio/visual environment
US9210356B2 (en) * 2008-12-08 2015-12-08 Echostar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entertainment system reconfiguration
JP2010263536A (ja) 2009-05-11 2010-11-18 Panasonic Corp 家電操作システム
EP2280542A1 (en) * 2009-07-21 2011-02-02 Nxp B.V. Fast HDMI switching with conditional reset mechanism
US20110156944A1 (en) * 2009-12-30 2011-06-30 Eldon Technology Limited Device control bus command translation for noncompliant and incompatible devices
JP5458894B2 (ja) 2010-01-04 2014-04-02 ソニー株式会社 機器制御装置、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772653B1 (ko) * 2010-12-31 2017-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어 디바이스 및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
KR101713788B1 (ko) * 2010-12-31 201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어 디바이스, 방송수신장치, 방송수신장치 제어 방법 및 서비스 제공 방법
JP2012213131A (ja) * 2011-03-24 2012-11-01 Panasonic Corp 入力切替装置
US8745024B2 (en) * 2011-04-29 2014-06-03 Logitech Europe S.A. Techniques for enhancing content
US9226020B2 (en) 2011-05-03 2015-12-29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120311654A1 (en) * 2011-05-31 2012-12-06 Broadcom Corporation Bridged control of multiple media devices via a selected user interface in a wireless media network
JP2012248257A (ja) * 2011-05-31 2012-12-13 Funai Electric Co Ltd 映像音声機器、及びそれを備える映像音声システム
KR20130011434A (ko) 2011-07-21 2013-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호스트 장치,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799442B1 (ko) * 2011-09-15 2017-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30037777A (ko) * 2011-10-07 2013-04-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9215394B2 (en) * 2011-10-28 2015-12-15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ed appliance control
JP5821576B2 (ja) 2011-11-30 2015-11-24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中継装置および電子機器の起動方法
WO2013090116A1 (en) * 2011-12-14 2013-06-20 Echostar Technologies L.L.C.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modifying operating states based on monitored hdmi cec communications
KR20130115729A (ko) 2012-04-13 2013-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리모컨 및 그 제어방법
US9098163B2 (en) * 2012-07-20 2015-08-04 Sony Corporation Internet TV module for enabling presentation and navigation of non-native user interface on TV having native user interface using either TV remote control or module remote control
US9640067B1 (en) * 2012-09-04 2017-05-02 Amazon Technologies, Inc. Determining commands on a media device interface
US9086720B1 (en) * 2012-09-10 2015-07-21 Amazon Technologies, Inc. Device remote control
US8749716B2 (en) * 2012-11-14 2014-06-10 Echostar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dynamic volume punch-through
TWI482485B (zh) 2012-11-14 2015-04-21 Amtran Technology Co Ltd 影音播放系統、影音播放系統之控制方法及顯示裝置
US9686496B2 (en) * 2012-12-20 2017-06-20 Echostar Technologies L.L.C.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notification of remote control device modes
JP5951536B2 (ja) 2013-03-19 2016-07-13 西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電源遠隔制御システム
US9407950B2 (en) * 2013-07-23 2016-08-0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ontrolling devices in entertainment environment
KR20150071944A (ko) 2013-12-19 2015-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이의 통합 리모컨 설정 방법, 통합 리모컨 및 이의 설정 방법
US9971971B2 (en) 2014-09-10 2018-05-15 Amazon Technologies, Inc. Computing instance placement using estimated launch times
US9601006B2 (en) * 2015-07-30 2017-03-21 Roku, Inc. Universal remote control with automatic state synchronization
TWI619387B (zh) * 2015-08-14 2018-03-21 凱銳光電股份有限公司 符合hdmi-cec規格的遙控方法與系統
US9886233B2 (en) * 2015-10-23 2018-02-06 Echostar Technologies L.L.C.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audio content diagnostics
KR102609545B1 (ko) 2016-08-16 2023-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파워 제어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33681A (ko) * 2016-09-26 2018-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파워 제어 방법
KR102507161B1 (ko) * 2016-09-27 2023-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주변 기기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2495235B1 (ko) * 2016-11-22 2023-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전원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8904A (ko) * 2006-12-22 2008-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US20140118618A1 (en) * 2012-11-01 2014-05-01 Sony Corporation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apparatus, recep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38169A1 (ko) * 2021-09-09 2023-03-16 엘지전자 주식회사 A/v 전송 장치 및 a/v 수신 장치
US11854382B2 (en) 2021-09-09 2023-12-26 Lg Electronics Inc. Audio/video transmitting device and audio/video receiv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872702B (zh) 2020-10-30
US10869079B2 (en) 2020-12-15
MX2019003453A (es) 2019-08-16
WO2018062715A1 (en) 2018-04-05
CN107872702A (zh) 2018-04-03
EP3300353A1 (en) 2018-03-28
EP3300353B1 (en) 2020-11-18
KR102507161B1 (ko) 2023-03-07
US10623799B2 (en) 2020-04-14
US20180091845A1 (en) 2018-03-29
US20190230403A1 (en) 2019-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34093A (ko) 주변 기기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US10455073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0939065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of display apparatus
US11044510B2 (en) Adapting user interface of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remote control device
KR102415036B1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678563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US20170180918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EP3016377B1 (en) Display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and display system
US9997064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US10284909B2 (en) Display apparatus, user terminal apparatus,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80019277A (ko) 파워 제어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21489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347120B2 (en) Display device, and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setting method and system for same
KR20170053269A (ko) 전자 장치, 원격 제어 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전자 시스템
KR102315334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58512A (ko) 원격 제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들의 제어 방법
KR2018002870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 설정 방법
KR20180067108A (ko) 외부 전자 장치의 상태를 ui에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EP3496095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08612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254575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567694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ound of electronic apparatus
KR20240040590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