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8904A - 통신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통신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8904A
KR20080058904A KR1020060133107A KR20060133107A KR20080058904A KR 20080058904 A KR20080058904 A KR 20080058904A KR 1020060133107 A KR1020060133107 A KR 1020060133107A KR 20060133107 A KR20060133107 A KR 20060133107A KR 20080058904 A KR20080058904 A KR 200800589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module
display
module
communication
displa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3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계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3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8904A/ko
Priority to US11/856,198 priority patent/US20080151127A1/en
Priority to EP07118499A priority patent/EP1936979A3/en
Priority to CNA200710152470XA priority patent/CN101206608A/zh
Publication of KR200800589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89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04N7/163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by receiver means on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4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detachable, e.g. for remote u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3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the transmission of signal or power between the different housings, e.g. details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passage of cab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2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additional display device, e.g. video proj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4Monitoring of the internal components or processes of the client device, e.g. CPU or memory load, processing speed, timer, counter or percentage of the hard disk space u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통신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외부기기 및 상기 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영상 표시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통신모듈의 현재상태에 따라 상기 통신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를 포함한다.이에 따라, 통신모듈의 이상 상태 및 대처방안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안정적이고 편리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 오류

Description

통신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network communicating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3은 도 2의 통신모듈의 오류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의 세부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통신모듈 101 : North부
102 : South부 107 : 네트워크연결부
111 : 통신모듈 전원공급부 120 : 디스플레이 모듈
123 : 외부입력부 124 : 표시정보 생성부
127 : 표시부 128 :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
130 : 디스플레이 모듈 전원공급부
본 발명은 통신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의 현재 상태에 따라 통신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통신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컴퓨터시스템을 내장한 다양한 전자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예로, 컴퓨터시스템을 내장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출시하여 컴퓨터시스템을 따로 구비하는 번거로움을 제어하여 사용자 편의를 도모하고 있다.
특히,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을 내장하여 웹 검색 및 간단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내장된 통신모듈의 이상 상태에 따른 갑작스런 시스템 정지가 발생했을 경우 사용자는 컴퓨터시스템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으며, 일정 시간 이후의 정지된 영상을 통해 이상 상태를 확인하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장치는 컴퓨터시스템의 이상 상태에 따른 재부팅을 실시할 경우 디스플레이장치의 모든 소자의 재부팅이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의 현재 상태에 따라 재부팅되도록 통신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통신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외부기기 및 상기 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영상 표시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통신모듈의 현재상태에 따라 상기 통신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를 기초로 상기 통신모듈의 현재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현재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의 현재상태가, 부팅 오류상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와 통신 오류상태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 영상 전송 오류상태 중 어느 하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통신모듈을 재부팅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통신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통신모듈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에 전원이 차단된 후 재공급되도록 상기 통신모듈 전원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통신모듈을 재부팅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에 구비된 소자들의 정상동작 여부를 나타내는 출력신호의 논리레벨 변경여부를 기초로, 상기 통신모듈이 부팅 오류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통신모듈에 구비된 소자들은, 상기 통신모듈의 통신 동작을 제어하는 south부, 상기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대한 영상처리를 수행하는 north부, 상기 통신모듈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로 상기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통신모듈제어부, 상기 외부네트워크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네트워크연결부 및 상기 소자들 간의 데이터 전달을 담당하는 처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일정 주기로 전달되는 출력신호가 제1 임계시간 동안 전달되지 않으면, 상기 통신모듈이 상기 통신시 오류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영상출력신호가 제2 임계시간 동안 전달되지 않으면, 영상 전송 오류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마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영상에 표시될 표시정보를 생성하는 표시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의 현재상태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표시정보로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정보 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통신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통신모듈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파워온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통신모듈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통신모듈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및 디스플레이가 포함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외부기기 및 상기 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통신모듈의 현재 상태에 따라 상기 통신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통신모듈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통신모듈의 현재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된 현재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통신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통신모듈의 현재상태가 부팅 오류상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와 통신 오류상태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 영상 전송 오류상태 중 어느 하나로 판단되면, 상기 통신모듈을 재부팅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통신모듈에 전원이 차단된 후 재공급하여 상기 통신모듈을 재부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통신모듈에 구비된 소자들의 정상동작 여부를 나타내는 출력신호의 논리레벨 변경여부를 기초로, 상기 통신모듈이 부팅 오류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일정 주기로 전달되는 출력신호가 제1 임계시간 동안 전달되지 않으면, 상기 통신모듈이 상기 통신시 오류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영상출력신호가 제2 임계시간 동안 전달되지 않으면, 영상 전송 오류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통신모듈의 현재상태가 오류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통신모듈의 현재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이 상기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에서,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디스플레이장치(10)는 통신모듈(100), 디스플레이 모듈(120), 통신모듈 전원공급부(111) 및 디스플레이 모듈 전원공급부(130)을 포함한다. 그리고, 통신모듈(100)은 처리부(104), 메모리(110), 저장부(105), 외부인터페이스(106), 네트워크연결부(107), 오디오처리부(108) 및 제2연결부(109)를 포함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모듈(120)은 제1연결부(121), 외부출력부(122), 외부입력부(123), 표시정보 생성부(124), 조작부(125), 스피커(126), 표시부(127) 및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128)를 포함한다.
통신모듈(100)은 네트워크연결부(107)를 통해 인터넷등의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웹서핑 및 간단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처리부(104)는 통신모듈(100)의 소자들 간의 데이터 전달을 담당하며, North부(101), South부(102), 통신모듈제어부(103)를 포함한다.
North부(101)는 통신모듈제어부(103) 및 메모리(110) 등 비교적 속도가 빠른 주변기기를 연결하며 그래픽 코어를 포함하고 있어, 신호 처리된 영상신호를 후술할 제2연결부(109)를 통해 디스플레이모듈(120)에 전달한다.
South부(102)는 저장부(105), 외부인터페이스(106), 네크워크연결부(107) 및 오디오처리부(108) 등 비교적 속도가 느린 주변기기를 연결한다. 특히, 네트워크연결부(107)를 통해 인터넷과 연결하여 전달되는 데이터를 통신모듈제어부(103)에 전달한다.
통신모듈제어부(103)는 통신모듈(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110)는 North부(101)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으로 집적회로를 이용한 반도체 기억 장치가 될 수 있다.
저장부(105)는 보조기억장치로써 South부(102)를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게 되며, 일반적으로 속도가 느린 자기 기록 방식을 이용한 자기 기억장치 및 광디스크를 이용한 광 기억 장치가 될 수 있다.
외부인터페이스(106)는 외부기기와 연결을 통해 데이터 및 제어신호를 전달받거나 출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및 USB등의 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네트워크연결부(107)는 물리적으로 랜카드 및 컨넥터(RJ45)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한다. 특히, 네트워크연결부(107)는 인터넷과 연결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오디오처리부(108)는 South부(102)에서 전달되는 제어에 따라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여 제2연결부(109)를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120)에 전달한다.
제2연결부(109)는 North부(101)에서 전달되는 영상신호, South부(102)에서 생성되는 각종 신호 및 오디오처리부(108)에서 전달되는 오디오신호를 연결된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제1연결부(109)를 통해 전달하며,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제1연결부(109)에서 전달되는 제어신호를 South부(102)로 전달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20)은 영상 표시동작을 제어하고, 통신모듈(100)의 현재상태에 따라 통신모듈(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외부출력부(122)는 통신모듈(100)에서 전달되는 영상신호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외부 연결된 장치에 전달한다.
외부입력부(123)는 연결된 외부 장치(예를 들면:PC, VCR등)로부터 아날로그 및 디지털의 영상신호를 수신한다.
표시정보 생성부(124)는 표시될 정보에 대응하는 문자, 숫자 및 그래픽 등의 조합을 통해 출력되는 영상에 충첩하거나 단독으로 출력되도록 표시정보를 생성한다.
조작부(125)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른 입력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버튼들을 구비한다. 조작부(125)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버튼이 선택되면, 선택된 버튼에 대응하는 입력신호가 생성되고 이를 후술할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128)로 전달된다.
스피커(126)는 통신모듈(100) 및 외부입력부(123)에서 전달되는 오디오신호를 출력한다.
표시부(127)는 통신모듈(100) 및 외부입력부(123)에서 전달되는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128)는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128)는 통신모듈(100) 및 외부입력부(123)에서 전달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거나, 외부출력부(122)를 통해 외부기기로 전달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128)는 통신모듈(100)에서 전달되는 신호들을 모니터링하여 통신모듈(100)의 이상상태를 판단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128)는 통신모듈(100)의 상태를 표시하고 제어신호를 통신모듈(100) 및 통신모듈 전원공급부(111)에 전달하여 통신모듈(100)의 상태를 제어한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128)는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영상 표시동작을 제어하고, 통신모듈(100)의 현재상태에 따라 통신모듈(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128)는 통신모듈(100)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를 기초로 통신모듈(100)의 현재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현재상태에 기초하여 통신모듈(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128)는 통신모듈(100)의 현재상태가 부팅 오류상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와 통신 오류상태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 영상 전송 오류상태 중 어느 하나인 것으로 판단되면, 통신모듈(100)을 재부팅 시킨다.
특히,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128)는 통신모듈(100)에 전원이 차단된 후 재공급되도록 통신모듈 전원공급부(111)를 제어하여, 통신모듈(100)을 재부팅 시킨다.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128)에서 통신모듈(100)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를 기초로 통신모듈(100)의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부팅 오류상태는 통신모듈(100)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통신모듈에 구비된 소자들의 정상동작 여부를 나타내는 출력신호의 논리레벨 변경여부를 기초로, 상기 통신모듈이 부팅 오류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128)는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부팅이 완료되고 통신모듈(100)의 부팅이 실행되면서 통신모듈(100)의 각 소자들이 정상적으로 부팅이 완료됐음을 알리는 'PCI_RESET'신호가 'High'의 논리레벨로 출력되는 지를 확인함으로써 부팅 오류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128)는 통신모듈(100)로부터 일정 주기로 전달되는 출력신호가 제1 임계시간 동안 전달되지 않으면, 통신모듈(100)이 통신시 오류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128)는 통신모듈(100)로부터 I2C통신을 통해 일정한 주기로 전달되는 출력신호가 전달되지 않을 경우, 통신모듈(100)이 통신시 오류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128)는 통신모듈(100)로부터 영상출력신호가 제2 임계시간 동안 전달되지 않으면, 영상 전송 오류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128)는 통신모듈(100)의 현재상태가 위와 같은 오류상태로 판단되면, 통신모듈(100)의 현재상태가 표시부(127)에 표시정보로 표시되도록, 표시정보 생성부(124)를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 도 2를 참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통신모듈 제어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128)는 조작부(125)를 통해 사용자의 파워-온 명령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한다(S210).
그리고, S201단계에서 사용자의 파워-온 명령입력이 있을경우(S210-Y), 먼저, 디스플레이 모듈(120)에 전원이 공급되어 부팅된다(S220).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부팅을 완료한 후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128)는 통신모듈(10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통신모듈 전원공급부(111)를 제어하여 통신모듈(100)이 부팅 되도록 한다(S230).
S230단계에서 통신모듈(100)에 전원이 공급되면, 통신모듈(100)의 현재상태를 확인함으로써 통신모듈(100)의 오류상태를 판단하게 된다(S240). 특히, 통신모듈(100)의 현재상태는 부팅 오류상태,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128)와 통신 오류 상태 및 디스플레이 모듈(120)로 영상 전송 오류상태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통신모듈(100)의 오류상태 확인은 도 3을 통해 자세히 설명한다.
S240단계에서 통신모듈의 오류상태가 확인되면(S240-Y),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128)는 표시정보 생성부(124)에서 오류상태표시 및 재부팅 여부 표시를 표시정보를 생성하여 표시부(127)를 통해 표시되도록 한다(S250).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128)는 조작부(125)를 통해 사용자의 재부팅 선택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한다(S260).
S260단계에서 사용자의 재부팅 선택입력이 있으면(S260-Y), 디스플레이모듈 제어부(128)는 통신모듈(100)에 전원이 차단된 후 재공급되도록 통신모듈 전원공급부(111)를 제어하여, 통신모듈(100)이 재부팅되도록 한다(S270).
S260단계에서 사용자의 재부팅 선택입력이 없으면(S260-N),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128)는 통신모듈(100)에 전원이 차단되도록 통신모듈 전원공급부(111)를 제어하여, 통신모듈(100)이 파워-오프 되도록 한다(S280).
도 3은 도 2의 통신모듈의 오류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의 세부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통신모듈(100)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를 기초로 통신모듈(100)의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먼저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128)는 부팅 오류상태는 통신모듈(100)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통신모듈에 구비된 소자들의 정상동작 여부를 나타내는 출력신호의 논리레벨 변경여부를 기초로, 상기 통신모듈이 부팅 오류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41).
특히,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128)는 디스플레이 모듈(120)의 부팅이 완료되고 통신모듈(100)의 부팅이 실행되면서 통신모듈(100)의 각 소자들이 정상적으로 부팅이 완료됐음을 알리는 'PCI_RESET'신호가 'High'의 논리레벨로 출력되는 지를 확인함으로써 부팅 오류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128)는 'PCI_RESET'신호가 'High'의 논리레벨로 출력되는 않으면(S241-N), 통신모듈(100)의 상태가 부팅 오류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S242).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128)는 통신모듈(100)로부터 일정 주기로 전달되는 출 력신호가 제1 임계시간 동안 전달 유무를 확인한다(S243)
그리고,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128)는 통신모듈(100)로부터 I2C통신을 통해 일정한 주기로 전달되는 출력신호가 전달되지 않을 경우(S243-N), 통신모듈(100)이 통신시 오류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S244).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128)는 통신모듈(100)로부터 영상출력신호가 제2 임계시간 동안 전달 유무를 확인한다(S245).
그리고,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128)는 통신모듈(100)로부터 영상출력신호가 임계시간 동안 전달되지 않을 경우(S245-N), 통신모듈(100)이 영상 전송 오류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S246).
이상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예를 들면 본 예로 든 실시 예에서 통신모듈 전원공급부(111) 및 디스플레이 모듈 전원공급부(130)는 각각 분리되어 통신모듈(100) 및 디스플레이 모듈(120)에 전원을 공급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전원공급부를 통해 전원을 공급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통신모듈(100)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를 기초로 통신모듈(100)의 현재상태 판단에 있어서, 부팅 오류상태,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128)와 통신 오류 상태 및 디스플레이 모듈(120)로 영상 전송 오류상태를 예로 들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신모듈(100)의 동작함에 있어서 발생되는 오류로 인한 부분적인 지연 및 정지 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 예로, 네트워크연결 부(107)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 중 연결이 갑자기 끊김으로 발생 될 수 있는 통신 장애등의 오류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통신모듈(100)이 오류상태로 판단되면, 통신모듈(100)에 전원이 차단된 후 재공급되도록 통신모듈 전원공급부(111)를 제어하여, 통신모듈(100)을 재부팅 하는 것을 예로 하였지만, 통신모듈(100)에 포함된 통신모듈제어부(103)에 오류상태에 따른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통신모듈(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의 현재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상태에 따라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대처방안의 선택에 따라 통신모듈을 제어함으로, 통신모듈의 이상 상태를 바로 인지하고 대처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편의성 및 안정성을 가져다줄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Claims (19)

  1.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외부기기 및 상기 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영상 표시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통신모듈의 현재상태에 따라 상기 통신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를 기초로 상기 통신모듈의 현재상태를 판단하고, 판단된 현재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통신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의 현재상태가, 부팅 오류상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와 통신 오류상태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 영상 전송 오류상태 중 어느 하나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통신모듈을 재부팅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 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통신모듈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에 전원이 차단된 후 재공급되도록 상기 통신모듈 전원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통신모듈을 재부팅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에 구비된 소자들의 정상동작 여부를 나타내는 출력신호의 논리레벨 변경여부를 기초로, 상기 통신모듈이 부팅 오류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에 구비된 소자들은
    상기 통신모듈의 통신 동작을 제어하는 south부, 상기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대한 영상처리를 수행하는 north부, 상기 통신모듈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모듈로 상기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통신모듈제어부, 상기 외부네트워크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하는 네트워크연결부 및 상기 소자들 간의 데이터 전달을 담당하는 처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일정 주기로 전달되는 출력신호가 제1 임계시간 동안 전달되지 않으면, 상기 통신모듈이 상기 통신시 오류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영상출력신호가 제2 임계시간 동안 전달되지 않으면, 영상 전송 오류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마련되며,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영상에 표시될 표시정보를 생성하는 표시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는,
    상기 통신모듈의 현재상태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상기 표시정보로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정보 생성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통신모듈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파워온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통신모듈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통신모듈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외부 네트워크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 및 디스플레이가 포함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외부기기 및 상기 통신모듈 중 어느 하나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통신모듈의 현재 상태에 따라 상기 통신모듈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제어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통신모듈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를 기초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통신모듈의 현재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된 현재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상기 통신모듈의 동작 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제어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통신모듈의 현재상태가 부팅 오류상태, 상기 디스플레이모듈제어부와 통신 오류상태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 영상 전송 오류상태 중 어느 하나로 판단되면, 상기 통신모듈을 재부팅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제어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통신모듈에 전원이 차단된 후 재공급하여 상기 통신모듈을 재부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제어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통신모듈에 구비된 소자들의 정상동작 여부를 나타내는 출력신호의 논리레벨 변경여부를 기초로, 상기 통신모듈이 부팅 오류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제어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일정 주기로 전달되는 출력신호가 제1 임계시간 동안 전달되지 않으면, 상기 통신모듈이 상기 통신시 오류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제어방법.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영상출력신호가 제2 임계시간 동안 전달되지 않으면, 영상 전송 오류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제어방법.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의 현재상태가 오류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통신모듈의 현재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제어방법.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이 상기 외부 네트워크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로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제어방법.
KR1020060133107A 2006-12-22 2006-12-22 통신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8005890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3107A KR20080058904A (ko) 2006-12-22 2006-12-22 통신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US11/856,198 US20080151127A1 (en) 2006-12-22 2007-09-17 Display apparatus having network communicating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07118499A EP1936979A3 (en) 2006-12-22 2007-10-15 Display apparatus having network communicating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A200710152470XA CN101206608A (zh) 2006-12-22 2007-10-15 具有网络通信功能的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3107A KR20080058904A (ko) 2006-12-22 2006-12-22 통신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8904A true KR20080058904A (ko) 2008-06-26

Family

ID=39146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3107A KR20080058904A (ko) 2006-12-22 2006-12-22 통신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151127A1 (ko)
EP (1) EP1936979A3 (ko)
KR (1) KR20080058904A (ko)
CN (1) CN10120660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850B1 (ko) * 2009-04-22 2011-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모니터 및 그의 리셋 방법
KR20180034093A (ko) * 2016-09-27 2018-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주변 기기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90035145A (ko) * 2017-09-26 2019-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39114B2 (en) * 2011-01-05 2013-09-17 Lenovo (Singapore) Pte. Ltd. State sharing between base and detachable device
JP5982948B2 (ja) * 2012-03-29 2016-08-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投射型表示装置、表示システム及び表示方法
US10289429B2 (en) * 2015-01-31 2019-05-14 Robert Charles Stadjuhar, Jr. Multiple sign controller system using multiple virtual sign controllers
US10387260B2 (en) * 2015-11-26 2019-08-20 Ricoh Company, Ltd. Reboot system and reboot method
CN106060651B (zh) * 2016-06-06 2019-08-16 深圳Tcl数字技术有限公司 智能电视的启动方法及系统
EP3514686B1 (en) 2017-12-20 2023-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5809A (en) * 1989-05-17 1992-10-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Uncoupl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from its associated hardware for interaction with data handling apparatus alien to the operating system controlling said unit and hardware
JP2761924B2 (ja) * 1989-06-08 1998-06-04 キヤノン株式会社 ユニット間通信装置
US6292717B1 (en) * 1998-03-19 2001-09-18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Energy information device and graphical display for a circuit breaker
US7028304B1 (en) * 1998-05-26 2006-04-11 Rockwell Collins Virtual line replaceable unit for a passenger entertainment system, method and article of manufacture
US6345294B1 (en) * 1999-04-19 2002-02-05 Cisco Technology,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remote configuration of an appliance on a network
WO2001016744A1 (en) * 1999-08-27 2001-03-08 Tachyon, Inc. Watchdog system that toggles power inputs
US6754855B1 (en) * 1999-12-01 2004-06-22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ed recovery of computer appliances
US7149889B2 (en) * 2002-12-12 2006-12-12 Scientific-Atlanta, Inc. Proactive reboot
US20060271685A1 (en) * 2005-05-26 2006-11-30 Mcrae Matthew B Function initiation in a network device using a limited keypad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850B1 (ko) * 2009-04-22 2011-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모니터 및 그의 리셋 방법
US8316246B2 (en) 2009-04-22 2012-11-20 Lg Electronics Inc. Network system, network monitor and method for resetting network monitor
KR20180034093A (ko) * 2016-09-27 2018-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주변 기기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90035145A (ko) * 2017-09-26 2019-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36979A3 (en) 2009-04-08
CN101206608A (zh) 2008-06-25
EP1936979A2 (en) 2008-06-25
US20080151127A1 (en) 2008-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58904A (ko) 통신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832953B1 (ko) 모바일 디바이스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의 원격 시동
CN101371240B (zh) 快速的显示器初始化和点亮
US8892935B2 (en) Dynamic bus clock rate adjusting method and device
US8296586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efficient power supply capability
US9696779B2 (en) Integrated circuit,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0796302B1 (ko) Usb장치의 전원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7822964B2 (en) Booting apparatus for booting a computer and method therefor and computer with a booting apparatus
TW201035727A (en) Port power controller for USB hubs with legacy battery charge support
JP2000056871A (ja) Usbシステム用のemsエンハンスメント回路
KR950001418B1 (ko) 세트업 기능 및 폽업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컴퓨터의 폽업 제어 시스템
US20190079558A1 (en) Docking device, electrical device, and mac address cloning method
EP4235442A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utilizing storage space thereof
US20210191492A1 (en) Method of supplying electric power to a computer system
CN104252203B (zh) 电子装置、用于控制电子装置的方法及程序
JP2000196648A (ja) 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電子機器制御装置
US20090276613A1 (en) Method of sharing basic input output system, and blade server and computer using the same
US7725626B2 (en) Multi-media KVM switch
US7003685B2 (en) Apparatus of controlling supply of device drive clocks
US20120303992A1 (en) Display and power management method thereof
US11228194B2 (en) Motherboard with a smart charging function
JP2017142686A (ja)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30030973A1 (en) Change of firmware settings
TWI612428B (zh) 積體電路、電子裝置與其運作方法
CN109739564B (zh) 一种电子设备及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