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3356B1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3356B1
KR102423356B1 KR1020170124031A KR20170124031A KR102423356B1 KR 102423356 B1 KR102423356 B1 KR 102423356B1 KR 1020170124031 A KR1020170124031 A KR 1020170124031A KR 20170124031 A KR20170124031 A KR 20170124031A KR 102423356 B1 KR102423356 B1 KR 102423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signal
information
source device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5145A (ko
Inventor
허재명
윤현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4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356B1/ko
Priority to CN201880062420.9A priority patent/CN111164985B/zh
Priority to PCT/KR2018/009590 priority patent/WO2019066255A1/en
Priority to US16/110,512 priority patent/US10854131B2/en
Priority to EP18193289.8A priority patent/EP3461137B1/en
Publication of KR20190035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3/209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specific for a flat pa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4Monitoring of the internal components or processes of the client device, e.g. CPU or memory load, processing speed, timer, counter or percentage of the hard disk space us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04N21/43635HDM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or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IEEE 1394 or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31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 or external card, e.g. to detect processing problems in a handheld device or the failure of an external record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2Powering on the client, e.g. bootstrap loading using setup parameters being stored locally or received from the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8Details of timing specific for flat panels, other than clock recove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 G09G2370/045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using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s, e.g. parallel and serial
    • G09G2370/047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using multiple communication channels, e.g. parallel and serial using display data channel standard [DDC] communi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2Use of DVI or HDMI protocol in interfaces along the display data pipeline

Abstract

디스플레이장치는, 복수의 영상기기 중 어느 하나가 연결되며, 연결된 영상기기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 가능한 신호수신부와; 신호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부와; 복수의 영상기기 중 어느 한 영상기기가 신호수신부에 연결되면, 영상기기의 연결 시점으로부터 영상이 표시되는 시점까지 소요되는 시간에 관한 시간 정보를 취득하고,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기기의 연결 이후 현재 시점에 대응하는 연결 상태를 안내하는 UI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한 영상을 표시하기 이전까지의 시간 동안에, 영상기기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함으로써, 사용자가 영상기기의 상태를 오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기록매체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A}
본 발명은 소스 디바이스(source device)로부터 컨텐츠 신호를 제공받아 처리함으로써 컨텐츠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싱크 디바이스(sink device)로서의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특정한 소스 디바이스에 대한 입력전환을 지시했을 때에 해당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컨텐츠 신호가 정상적으로 출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구조의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소정의 정보를 특정 프로세스에 따라서 연산 및 처리하기 위해 CPU, 칩셋, 메모리 등의 전자부품들을 기본적으로 포함하는 전자장치 중에서,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특화된 장치이다.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의 영상공급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이를 액정 등 다양한 형식으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영상으로 표시한다. 일반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디스플레이장치는 TV 또는 모니터 등으로 구현된다. 예를 들면 TV로 구현된 디스플레이장치는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방송신호를 튜닝, 디멀티플렉싱, 디코딩 등과 같은 다양한 프로세스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채널의 영상을 표시하거나, 또는 컨텐츠 제공장치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영상데이터를 처리하여 컨텐츠 영상을 표시한다.
통상적으로, 컨텐츠 제공장치는 컨텐츠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소스 디바이스로 지칭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츠 제공장치에 동기화되어 컨텐츠를 재생한다는 측면에서 싱크 디바이스로 지칭할 수 있다. 싱크 디바이스에서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싱크 디바이스에서 컨텐츠 입력 소스의 지정 상태를 해당 소스 디바이스로 조정하고, 소스 디바이스의 전원을 턴온시킨다. 통상적으로, 사용자는 소스 디바이스가 부팅된 이후에 컨텐츠 신호를 싱크 디바이스로 출력할 때까지 기다려서, 그 다음의 동작을 수행한다.
그런데, 다양한 종류 및 모델인 소스 디바이스들은 각각의 장치 특성에 따라서, 시스템 전원이 켜진 이후에 부팅에 소요되는 시간과 컨텐츠 신호의 출력 시점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동일하지 않고 제각각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싱크 디바이스에서 입력 소스의 지정을 일 소스 디바이스로 전환하고 해당 소스 디바이스의 전원을 턴온시킨 이후, 사용자는 원하는 컨텐츠 영상의 화면이 표시되는 것을 기다린다. 그런데, 해당 소스 디바이스가 컨텐츠 신호를 상대적으로 늦게 출력하는 장치라면, 사용자는 소스 디바이스의 전원이 켜지지 않았다고 판단하고, 오히려 정상적으로 부팅중인 소스 디바이스의 전원을 꺼버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소스 디바이스 별로 부팅 소요 시간이 다르고, 전원이 켜진 이후에 컨텐츠 신호의 출력 시점까지의 소요 시간이 다르고, 컨텐츠 신호가 출력된 이후에도 장치 특성에 따라서 소정 시간동안 검은 화면이 유지되는 경우가 있는 등, 소스 디바이스에 있어서 다양한 동작의 차이에 의해 발생한다.
따라서, 싱크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조작 이후에 소스 디바이스의 상태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면, 사용자의 오판에 의한 불편함이 해소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한 동작이 가능한 싱크 디바이스가 요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복수의 영상기기 중 어느 하나가 연결되며, 상기 연결된 영상기기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 가능한 신호수신부와; 상기 신호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복수의 영상기기 중 어느 한 영상기기가 상기 신호수신부에 연결되면, 상기 영상기기의 연결 시점으로부터 영상이 표시되는 시점까지 소요되는 시간에 관한 시간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기기의 연결 이후 현재 시점에 대응하는 연결 상태를 안내하는 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로써, 디스플레이장치는 영상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한 영상을 표시하기 이전까지의 시간 동안에, 영상기기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함으로써, 사용자가 영상기기의 상태를 오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신호의 수신 시점까지의 시간 구간 동안에 상기 시간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UI를 표시하며, 상기 시간 정보가 지정하는 수신 시점에 상기 기 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에 대응하여 상기 UI가 안내하는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신호는 클럭 신호 및 컨텐츠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 시점에 상기 기 설정된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영상기기가 정상적으로 연결됨을 알리도록 상기 UI의 정보를 변경하며, 상기 수신 시점에 상기 기 설정된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영상기기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지 않음을 알리도록 상기 UI의 정보를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결 시점으로부터 상기 영상기기로부터 클럭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까지의 시간 구간 동안 상기 영상기기의 종류 또는 모델명을 안내하는 상기 UI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클럭 신호가 출력되는 시점부터 컨텐츠신호가 출력되는 시점까지의 소요 시간이 문턱값보다 크면 상기 UI가 안내하는 정보를 변경하고, 상기 소요 시간이 상기 문턱값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UI가 안내하는 정보를 변경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기기의 연결 시점부터 상기 기 설정된 신호의 상기 수신 시점까지의 소요 시간을 상기 시간 정보로부터 도출하며, 상기 도출된 소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시간 정보가 지정하는 수신 시점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기기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신호가 출력되는 시점까지의 소요 시간을 소정 회수 계측하고, 상기 소정 회수만큼 계측된 소요 시간의 계측값들의 평균을 상기 영상기기에 대응하는 상기 시간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기기의 턴온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영상기기에 전송하는 시점을 상기 영상기기의 연결 시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복수의 영상기기 중 어느 한 영상기기에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기기가 연결 시점으로부터 영상이 표시되는 시점까지 소요되는 시간에 관한 시간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기기의 연결 이후 현재 시점에 대응하는 연결 상태를 안내하는 UI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기기로부터 영상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UI를 표시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신호의 수신 시점까지의 시간 구간 동안에 상기 시간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UI를 표시하며, 상기 시간 정보가 지정하는 수신 시점에 상기 기 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에 대응하여 상기 UI가 안내하는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된 신호는 클럭 신호 및 컨텐츠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I가 안내하는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시점에 상기 기 설정된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영상기기가 정상적으로 연결됨을 알리도록 상기 UI의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 시점에 상기 기 설정된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영상기기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지 않음을 알리도록 상기 UI의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 시점으로부터 상기 영상기기로부터 클럭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까지의 시간 구간 동안 상기 영상기기의 종류 또는 모델명을 안내하는 상기 UI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I를 표시하는 단계는, 클럭 신호가 출력되는 시점부터 컨텐츠신호가 출력되는 시점까지의 소요 시간이 문턱값보다 크면 상기 UI가 안내하는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소요 시간이 상기 문턱값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UI가 안내하는 정보를 변경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기기의 연결 시점부터 상기 기 설정된 신호의 상기 수신 시점까지의 소요 시간을 상기 시간 정보로부터 도출하며, 상기 도출된 소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시간 정보가 지정하는 수신 시점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기기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신호가 출력되는 시점까지의 소요 시간을 소정 회수 계측하고, 상기 소정 회수만큼 계측된 소요 시간의 계측값들의 평균을 상기 영상기기에 대응하는 상기 시간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기기의 턴온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영상기기에 전송하는 시점을 상기 영상기기의 연결 시점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의 컴퓨터 독취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복수의 영상기기 중 어느 한 영상기기에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기기가 연결 시점으로부터 영상이 표시되는 시점까지 소요되는 시간에 관한 시간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기기의 연결 이후 현재 시점에 대응하는 연결 상태를 안내하는 UI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기기로부터 영상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 및 소스 디바이스의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 및 소스 디바이스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에서 컨텐츠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싱크 디바이스 및 소스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각 동작의 시퀀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로 입력 소스가 전환되었을 때에 표시하는 UI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의 정상적인 동작 상태를 판단한 경우에 표시하는 UI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의 비정상 상태를 판단한 경우에 표시하는 UI의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가 클럭 신호를 싱크 디바이스에 출력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계측하여 시간 정보를 도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가 시간 정보에 지정된 클럭 신호의 소요시간에 따라서 UI의 표시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에서 컨텐츠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싱크 디바이스 및 소스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각 동작의 시퀀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에서 컨텐츠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싱크 디바이스 및 소스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각 동작의 시퀀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상호 배타적인 구성이 아니며, 하나의 장치 내에서 복수 개의 실시예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실시예의 조합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함에 있어서 임의로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만일, 실시예에서 제1구성요소, 제2구성요소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있다면, 이러한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바, 이들 구성요소는 용어에 의해 그 의미가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해당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 및 소스 디바이스의 모습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접속된 싱크 디바이스(110) 및 소스 디바이스(120)를 포함한다. 싱크 디바이스(110)는 소스 디바이스(120)로부터 출력되는 컨텐츠 신호를 처리하여 컨텐츠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한다. 싱크 디바이스(110)는 일반 가정에서 사용될 수 있는 TV, 모니터,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 전자액자이거나, 또는 옥외 광고에 사용되는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 비디오 월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120)는 싱크 디바이스(110)에 컨텐츠 신호를 출력한다. 소스 디바이스(120)는 컨텐츠 신호를 자체적으로 생성하는 장치이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컨텐츠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일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셋탑박스가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블루레이나 DVD와 같은 광학디스크 재생장치, 게임 콘솔 기기 등이 있다. 소스 디바이스(120)가 출력하는 컨텐츠 신호는, 예를 들면 일 컨텐츠의 영상데이터, 오디오데이터, 부가데이터 등이 멀티플렉싱된 신호이다.
소스 디바이스(120) 및 싱크 디바이스(110) 사이의 접속 방식은 다양한 유선 또는 무선 프로토콜 중 어느 한 가지에 따른다. 본 실시예에서는 HDMI(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규격에 따라서 컨텐츠 신호가 소스 디바이스(120)로부터 싱크 디바이스(110)로 전송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지만, 이것이 컨텐츠 신호의 전송 방식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소스 디바이스(120)는 TMDS(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 형식의 컨텐츠 신호를 출력한다. 소스 디바이스(120) 및 싱크 디바이스(110) 사이에는, 소스 디바이스(120)로부터 TMDS를 전송하기 위한 TMDS 데이터 채널과, 소스 디바이스(120)의 클럭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TMDS 클럭 채널과, 소스 디바이스(120) 및 싱크 디바이스(110) 사이에 환경 및 상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DDC(Display Data Channel)와, 제어신호의 교환을 위한 CEC(Consumer Electronic Control) 등의 통신경로가 형성된다. 이상은 HDMI 규격에 관한 사항이므로, 소스 디바이스(120) 및 싱크 디바이스(110) 사이의 접속 방식이 HDMI가 아니라면, 별도의 신호전송 방식이 적용된다.
상기한 구조 하에서, 싱크 디바이스(110)가 소스 디바이스(120)로부터 출력되는 컨텐츠 신호를 처리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일련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싱크 디바이스(110)의 입력 소스의 설정이 사용자에 의해 소스 디바이스(120)로 지정되고, 소스 디바이스(120)의 전원이 사용자에 의해 켜진다. 소스 디바이스(120)의 전원이 켜지는 방식은, 사용자가 직접 소스 디바이스(120)의 전원버튼을 누르는 방법이 있고, 사용자가 싱크 디바이스(110)의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한 조작에 의해 소스 디바이스(120)의 턴온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싱크 디바이스(110)로부터 소스 디바이스(120)로 전송하는 방법이 있다.
소스 디바이스(120)의 전원이 켜지면, 소스 디바이스(120)는 소정의 부팅 시퀀스에 따라서 부팅을 수행한다. 부팅이 완료된 소스 디바이스(120)는 싱크 디바이스(110)가 소스 디바이스(120)와 클럭 동기화를 수행하도록 클럭신호를 전송한다. 소스 디바이스(120)는 컨텐츠 신호를 생성하여 싱크 디바이스(110)에 전송한다.
한편, 싱크 디바이스(110)는 소스 디바이스(120)로부터 신호의 출력을 대기한다. 소스 디바이스(120)로부터 클럭신호가 수신되면, 싱크 디바이스(110)는 수신되는 클럭신호에 맞춰서 소스 디바이스(120)와 클럭 동기화를 수행한다. 이어서 소스 디바이스(120)로부터 컨텐츠 신호가 출력되면, 싱크 디바이스(110)는 컨텐츠 신호를 처리하여 컨텐츠 영상을 표시한다.
여기서, 싱크 디바이스(110)가 소스 디바이스(120)로부터 컨텐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소정 동작이 소스 디바이스(120) 또는 싱크 디바이스(110)에서 개시되는 시점을 편의상 소스전환 개시 시점이라고 지칭한다.
소스전환 개시 시점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경우 중에서 어느 하나로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스전환 개시 시점은, 소스 디바이스가 통신 가능하게 싱크 디바이스에 접속되는 시점이거나, 전원이 꺼진 상태에 있던 소스 디바이스(120)의 전원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켜지는 시점이거나, 전원이 꺼진 상태에 있던 소스 디바이스(120)의 전원이 켜지도록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싱크 디바이스(110)가 소스 디바이스(120)에 전송하는 시점이거나, 싱크 디바이스(110)의 입력 소스의 설정이 소스 디바이스(120)로 전환되는 시점이거나, 절전모드 또는 대기상태에 있던 소스 디바이스(120)가 정상적으로 동작 가능한 정상모드로 이행되는 시점 등이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스전환 개시 시점이, 전원이 꺼진 상태에 있던 소스 디바이스(120)의 전원이 켜지도록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싱크 디바이스(110)가 소스 디바이스(120)에 전송하는 시점인 경우에 기초하여 설명하지만,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여러 가지 시점이 소스전환 개시 시점으로 간주될 수 있다.
소스 디바이스(120)는 기기 종류, 기기 모델, 제조사, 하드웨어 구조, 소프트웨어 구조, 생성하는 컨텐츠 신호의 특성 등과 같은, 다양한 인자의 장치 특성을 가진다. 소스전환 개시 시점으로부터 컨텐츠 영상이 표시되는 시점까지를 편의상 준비 구간이라고 지칭할 때, 소스 디바이스(120)의 장치 특성에 따라서는 준비 구간이 상대적으로 짧을 수도 있고, 상대적으로 길 수도 있다. 준비 구간이 길면, 사용자는 소스 디바이스(120)의 전원이 꺼져 있거나 또는 싱크 디바이스(110)에서 입력 소스의 지정이 잘못된 것으로 오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110)는 소스전환 개시 시점으로부터 컨텐츠 영상이 표시되는 시점까지 소요되는 시간에 관한 시간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소스 디바이스(120)의 접속 이후 현재 시점에 대응하는 소스 디바이스(120)의 연결 상태를 안내하는 UI를 표시한다. 싱크 디바이스(110)는 준비 구간 동안에 시간 정보를 취득하고, 소스 디바이스(120)가 출력하게 마련된 기 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에 대응하여 소스 디바이스(120)에 관한 UI가 안내하는 정보를 변경한다.
이로써, 싱크 디바이스(110)는 준비 구간 동안에 소스 디바이스(120)의 연결 상태 또는 동작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소스 디바이스(120)의 동작 상태를 오판하여 불필요한 조작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특징에 관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하, 싱크 디바이스(110) 및 소스 디바이스(120)의 내부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 및 소스 디바이스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 디바이스(210)는 소스 디바이스(220)와 통신하는 싱크 통신회로(211)와,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212)와, 오디오를 출력하는 스피커(213)와, 사용자에 의한 입력 조작이 수행되는 사용자입력부(214)와,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215)와, 컨텐츠 신호의 처리 및 싱크 디바이스(210)의 동작을 위한 처리를 수행하는 싱크 프로세서(216)를 포함한다.
소스 디바이스(220)는 싱크 디바이스(210)와 통신하는 소스 통신회로(221)와, 소스 통신회로(221)를 통해 싱크 디바이스(210)에 출력하기 위한 컨텐츠 신호를 처리하는 소스 프로세서(222)를 포함한다. 소스 통신회로(221)는 싱크 통신회로(211)에 대응하게 마련되며, 소스 프로세서(222)는 기본적인 동작이 싱크 프로세서(216)에 준한다. 따라서, 소스 디바이스(220)의 구성들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싱크 통신회로(211)는 다양한 종류의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통신모듈 또는 포트 등이 조합된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이다. 싱크 통신회로(211)는 기본적으로는 소스 디바이스(220)로부터 컨텐츠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수신부이지만, 양방향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게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싱크 통신회로(211)는 HDMI 케이블을 통해 소스 디바이스(220)와 접속되지만, 싱크 통신회로(211)가 지원하는 프로토콜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싱크 통신회로(211)는 예를 들면 인터넷으로부터 패킷 데이터를 유선으로 수신하는 이더넷(Ethernet) 모듈, 패킷 데이터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무선통신모듈, USB 메모리와 같은 외부 메모리가 접속되는 접속포트 등의 구성요소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12)는 화면 상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액정 방식과 같은 수광 구조 또는 OLED 방식과 같은 자발광 구조로 마련된다. 디스플레이부(212)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이 액정 방식이라면,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의 액정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 등이 추가된다.
스피커(213)는 오디오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한다. 스피커(213)는 어느 한 오디오채널의 오디오데이터에 대응하게 마련된 단위 스피커를 포함하며, 복수 오디오채널의 오디오데이터에 각기 대응하도록 복수의 단위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214)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입력에 따라서 기 설정된 제어 커맨드 또는 정보를 싱크 프로세서(216)에 전달한다. 사용자입력부(214)는 정보의 입력 방식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싱크 디바이스(210)의 외측에 설치된 키, 디스플레이부(212)에 설치된 터치스크린, 사용자의 발화가 입력되는 마이크로폰, 사용자의 제스쳐 등을 촬영 또는 감지하는 카메라, 센서 등, 싱크 디바이스(210)에 설치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포함한다. 또는, 사용자입력부(214)는 싱크 디바이스(210)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리모트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저장부(215)는 싱크 프로세서(216)에 의해 억세스되며, 싱크 프로세서(216)의 제어에 따라서 데이터의 독취, 기록, 수정, 삭제, 갱신 등의 동작이 수행된다. 저장부(215)는 싱크 디바이스(210)의 전원의 제공 유무와 무관하게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 SSD(solid-state drive)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와, 처리를 위한 데이터가 로딩되는 버퍼, 램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싱크 프로세서(216)는 싱크 통신회로(211)에 수신되는 컨텐츠 신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컨텐츠가 재생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싱크 프로세서(216)는 컨텐츠 신호로부터 영상데이터 및 오디오데이터를 추출하고, 각 데이터를 처리함으로써 영상이 디스플레이부(212)에 표시되고 오디오가 스피커(213)를 통해 출력되게 한다. 싱크 프로세서(216)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되는 CPU, 칩셋, 버퍼, 회로 등으로 구현되는 하드웨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SOC(system on chip)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싱크 프로세서(216)는 디멀티플렉서, 디코더, 스케일러, 오디오 DSP, 앰프 등의 다양한 프로세스에 대응하는 모듈들을 포함하며, 이들 중 일부가 SOC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멀티플렉서, 디코더, 스케일러 등 영상처리와 관련된 모듈이 영상처리 SOC로 구현되고, 오디오 DSP는 SOC와 별도의 칩셋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210)의 제어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10 단계에서 싱크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현재 입력 소스의 설정을 소스 디바이스로 전환하는 지시를 수신한다. 싱크 디바이스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서 소정의 UI를 제공함으로써, 본 UI를 통해 사용자가 복수의 소스 디바이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320 단계에서 싱크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의 전원을 턴온시키는 제어신호를 소스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본 제어신호는 싱크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서 생성할 수도 있고, 싱크 디바이스가 입력 소스의 설정 변경에 따라서 소스 디바이스의 전원 상태를 판단하여 자동으로 생성할 수도 있다.
330 단계에서 싱크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의 턴온 시점으로부터 시간 계측을 개시한다. 예를 들면, 싱크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의 턴온 신호를 소스 디바이스에 전송한 시점부터 시간의 경과를 계측한다.
340 단계에서 싱크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하여 저장된, 소스 디바이스가 출력 가능한 기 설정된 신호에 관한 시간 정보를 취득한다. 여기서, 시간 정보를 취득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가능한데, 한 가지 예로는 싱크 디바이스는 사전 트레이닝 과정을 통해, 선택된 소스 디바이스가 기 설정된 신호를 싱크 디바이스에 출력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계측하고, 계측된 시간을 상기한 시간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신호는 소스 디바이스가 출력할 수 있는 다양한 신호가 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클럭 신호 또는 컨텐츠 신호가 가능하다.
350 단계에서 싱크 디바이스는 취득한 시간 정보가 지시하는 시점에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해당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시간 정보에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클럭 신호가 출력되는 시점이 기록되어 있다면, 싱크 디바이스는 해당 시점에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클럭 신호가 출력되는지 확인한다.
상기한 시점에 해당 신호가 수신되면, 360 단계에서 싱크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가 정상 동작한다는 내용의 UI를 표시한다.
반면, 상기한 시점에 해당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370 단계에서 싱크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가 정상 동작하지 않는다는 내용의 UI를 표시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는 컨텐츠 영상이 표시되기 이전에, 소스 디바이스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위의 340 단계에서 설명한 시간 정보와 관련하여, 물론 기 설정된 신호는 소스 디바이스가 출력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신호가 가능하기는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클럭 신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 클럭 신호가 사용되는 이유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에서 컨텐츠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싱크 디바이스 및 소스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각 동작의 시퀀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어느 한 소스 디바이스(420)를 선택하고, 싱크 디바이스(410)가 해당 소스 디바이스(420)로부터의 컨텐츠 신호에 의한 영상을 표시하도록 하고 싶다면, 사용자는 시점 T1에 싱크 디바이스(410)의 입력 소스를 소스 디바이스(420)로 전환한다. 예를 들면, 싱크 디바이스(410)는 복수의 소스 디바이스(420)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데, 사용자는 이 중에서 컨텐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어느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420)를 선택한다.
싱크 디바이스(410)는 시점 T2에 소스 디바이스(420)에 턴온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소스 디바이스(420)의 전원을 켠다. 이에 따라서, 싱크 디바이스(410)는 소스 디바이스(420)가 시점 T2부터 부팅을 개시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부팅이 완료된 소스 디바이스(420)는 컨텐츠 신호의 출력에 앞서서 먼저 클럭 신호를 출력하고, 시점 T3에 싱크 디바이스(410)에 수신된다. 그리고, 소스 디바이스(420)는 컨텐츠 신호를 생성한다.
싱크 디바이스(410)는 시점 T3에 수신되는 클럭 신호에 따라서 소스 디바이스(420)와 클럭 동기화를 수행한다.
소스 디바이스(420)가 컨텐츠 신호를 출력하면, 싱크 디바이스(410)는 시점 T4에 소스 디바이스(420)로부터 컨텐츠 신호를 수신한다. 싱크 디바이스(410)는 컨텐츠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시점 T5에 컨텐츠 신호에 따른 영상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소스 디바이스(420)는 컨텐츠 신호를 생성하여 싱크 디바이스(410)에 전송하기에 앞서서, 먼저 클럭 신호를 싱크 디바이스(410)에 전송한다. 소스 디바이스(420) 및 싱크 디바이스(410) 사이에 클럭 동기화가 수행되지 않으면, 소스 디바이스(420)로부터의 컨텐츠 신호가 싱크 디바이스(410)에서 정상적으로 재생되지 못한다. 따라서 클럭 신호가 컨텐츠 신호보다 먼저 출력될 필요가 있다.
소스 디바이스(420)의 부팅이 개시되는 시점 T2부터 싱크 디바이스(410)가 클럭 신호를 수신하는 시점 T3까지의 제1시간 구간과, 시점 T3부터 싱크 디바이스(410)가 컨텐츠 신호를 수신하는 시점 T4까지의 제2시간 구간은, 소스 디바이스(420)의 고유한 장치 특성에 따라서 달라진다. 또한, 시점 T4부터 컨텐츠 영상이 표시되는 시점 T5까지의 제3시간 구간은, 싱크 디바이스(410) 내부에서의 디멀티플렉싱, 디코딩 등과 같은 신호처리로 인해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2시간 구간의 경우에, 소스 디바이스(420)에 따라서는 상대적으로 짧은 1초 정도가 소요되는 경우도 있고, 이보다 긴 3초 정도가 소요되는 경우도 있고, 상대적으로 매우 긴 6초 정도가 소요되는 경우도 있다. 사람에 따라서 느끼는 정도는 다르지만, 통상적으로 3초 이상 화면이 나오지 않고 사용자를 기다리게 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게 된다.
따라서, 싱크 디바이스(410)는 클럭 신호의 수신 여부를 모니터링함으로써, 보다 이른 타이밍에 소스 디바이스(420)의 동작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싱크 디바이스(410)는, 소스 디바이스(420)의 부팅이 개시되는 시점 T2 및 싱크 디바이스(410)가 클럭 신호를 수신하는 시점 T3 사이의 일 시점 T2a에, 소스 디바이스(420)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를 취득한다. 통상적으로 싱크 디바이스(410)는 접속 가능한 각 소스 디바이스(420)에 관한 장치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싱크 디바이스(410)는 어느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420)가 입력 소스로 지정되면, 기 저장된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소스 디바이스(420)를 특정할 수 있다. 싱크 디바이스(410)는 기 저장된 여러 소스 디바이스(420) 별 시간 정보 중에서, 지정된 소스 디바이스(420)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를 취득한다.
싱크 디바이스(410)는 취득한 시간 정보로부터 제1시간 구간에 해당하는 소요 시간을 알 수 있으며, 본 소요 시간에 따라서 소스 디바이스(420)로부터 클럭 신호를 수신하는 기준시점을 시점 T3보다 앞선 타이밍에 판단할 수 있다. 싱크 디바이스(410)는 클럭 신호가 수신되면, 클럭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 T3가 상기한 기준시점에 대응하는지, 즉 제1시간 구간이 시간 정보에 지정된 소요 시간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싱크 디바이스(410)는 판단 결과 양자가 상호 대응하면 소스 디바이스(420)가 정상적으로 동작중임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UI를 제2시간 구간 동안의 일 시점 T3a에 표시하고, 양자가 상호 대응하지 않으면 소스 디바이스(420)가 정상적으로 동작중이지 않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UI를 표시한다.
UI는 포함되는 내용에 따라서 여러 가지 형태로 마련될 수 있는 것이므로, 특정한 예시로 UI의 구현 방식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각 상황 별로 표시되는 UI의 예시에 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로 입력 소스가 전환되었을 때에 표시하는 UI의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 디바이스(500)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본 UI(510)를 표시한다. 싱크 디바이스(500)에 접속 가능한 다양한 외부장치 중에서 사용자가 어느 하나의 소스 디바이스를 컨텐츠 입력 소스로 지정함으로써, 싱크 디바이스(500)의 현재 접속되는 소스 디바이스가 특정된다. 싱크 디바이스(500)는 특정된 소스 디바이스에 관한 장치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UI(510)를 표시한다.
UI(510)는 전반적으로 간단한 블랙 화면의 배경에, 소스 디바이스에 관한 간단한 정보를 포함한다. 본 도면에서 "Icon"은 소스 디바이스의 종류를 나타내는 아이콘이고, "Source Name"은 소스 디바이스의 종류 또는 모델명을 나타내는 텍스트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입력 소스로 지정된 소스 디바이스가 블루레이 디스크 플레이어라면, UI(510)는 블랙 화면의 배경 중앙에, 블루레이 디스크 플레이어를 나타내는 아이콘과, "블루레이 디스크 플레이어"라는 소스 디바이스의 종류를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소스 디바이스의 모델명을 나타내는 텍스트를 포함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현재 접속되어 있는 소스 디바이스가 무엇인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본 UI(510)가 표시되고 있는 동안, 싱크 디바이스(500)는 클럭 신호의 수신 타이밍을 지정한 시간 정보를 취득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의 정상적인 동작 상태를 판단한 경우에 표시하는 UI의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 디바이스(600)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본 UI(610)를 표시한다. 싱크 디바이스(600)는 시간 정보에 지정된 타이밍에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클럭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지정된 타이밍에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클럭 신호가 수신되면, 싱크 디바이스(600)는 소스 디바이스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러한 내용을 알리는 UI(610)를 표시한다.
본 UI(610)는 앞선 도 5에서의 UI에 시각적인 효과가 부가됨으로써, 사용자가 상태 변화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예를 들면, UI(610)는 소스 디바이스의 종류를 나타내는 아이콘, 소스 디바이스의 종류 또는 모델명을 나타내는 텍스트 이외에, 현재 소스 디바이스가 정상적으로 동작한다는 의미로서 "Device Activated" 등의 텍스트를 포함한다. 또한, UI(610)는 검은 단일색의 배경에 물방울 등의 애니메이션을 포함함으로써, 앞선 도 5에서의 UI로부터 상태 변화가 발생하였음을 명확히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의 비정상 상태를 판단한 경우에 표시하는 UI의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 디바이스(700)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본 UI(710)를 표시한다. 싱크 디바이스(700)는 시간 정보에 지정된 타이밍에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클럭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런데, 지정된 타이밍에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클럭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으면, 싱크 디바이스(700)는 소스 디바이스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러한 내용을 알리는 UI(710)를 표시한다.
본 도면에서 "%Source Name%"은 소스 디바이스의 종류 또는 모델명을 나타낸다. 즉, UI(710)는 소스 디바이스가 현재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고 있다는 내용을 텍스트를 포함함으로써, 본 UI(710)를 본 사용자가 후속 조치를 수행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이와 같이, 싱크 디바이스(700)는 소스 디바이스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서 적절한 내용의 UI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는, 싱크 디바이스는 사전 트레이닝 과정을 통해 시간 정보를 도출하고 이를 저장할 수 있다고 설명한 바 있다. 이하, 싱크 디바이스가 시간 정보를 도출하는 트레이닝 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가 클럭 신호를 싱크 디바이스에 출력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계측하여 시간 정보를 도출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 디바이스는 다음과 같은 일련의 프로세스에 따라서 시간 정보를 도출하고 이를 저장한다. 싱크 디바이스는 현재 입력 소스로 전환된 소스 디바이스를 특정하고, 특정된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를 호출함으로써 앞선 실시예와 같이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다음 설명하는 프로세스는 앞선 실시예의 동작보다 선행하는 어느 시점에도 수행될 수 있다.
810 단계에서 싱크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입력 소스의 전환 지시를 수신한다. 컨텐츠 입력 소스의 전환 지시는, 싱크 디바이스가 제공하는 소정의 UI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수행된다.
820 단계에서 싱크 디바이스는 현재 입력 소스로 전환된 소스 디바이스를 특정한다. 소스 디바이스의 특정은 싱크 디바이스에 기 저장된 소스 디바이스 별 장치 정보에 기초하여 수행된다.
830 단계에서 싱크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를 턴온시키고 시간 계측을 개시한다. 소스 디바이스의 턴온은, 싱크 디바이스로부터 소스 디바이스에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서 수행된다.
840 단계에서 싱크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클럭 신호가 수신되는 소요 시간을 계측 및 저장한다.
850 단계에서 싱크 디바이스는 저장된 소요 시간의 계측 회수의 누적값이 문턱값을 넘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문턱값은 일 소스 디바이스의 시간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요구되는 최소 계측 회수를 나타낸다.
계측 회수가 문턱값을 넘지 않았다면, 싱크 디바이스는 시간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누적 데이터가 부족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동작은 실행하지 않는다. 차후, 싱크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에 대한 다음 번의 계측 과정에서 상기한 810 단계 내지 850 단계를 다시 수행하게 된다.
만일 계측 개수가 문턱값을 넘었다면, 860 단계에서 싱크 디바이스는 누적된 소요 기간의 값들로부터 평균값을 도출한다. 평균값은 산술평균을 비롯한 다양한 수학적 의미의 평균에 관한 수식이 적용됨으로써 도출될 수 있다.
870 단계에서 싱크 디바이스는 도출된 평균값을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로 저장한다.
이로써, 싱크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로부터 클럭 신호가 수신되는 타이밍을 판단하기 위한 시간 정보를 도출할 수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도 설명하였지만, 클럭 신호의 출력 타이밍과 컨텐츠 신호의 출력 타이밍은 소스 디바이스 별로 제각각이다. 클럭 신호의 출력 타이밍 및 컨텐츠 신호의 출력 타이밍 사이의 시간이 상대적으로 너무 짧으면, 이 시간 동안에 UI를 표시하더라도 사용자가 느끼기에 순식간에 화면이 컨텐츠 영상으로 전환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UI를 표시하는 것이 오히려 화면의 급격한 전환 때문에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 이하, 이를 고려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가 시간 정보에 지정된 클럭 신호의 소요시간에 따라서 UI의 표시 동작을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 디바이스는 다음과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910 단계에서 싱크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현재 입력 소스의 설정을 전환하는 지시를 수신한다.
920 단계에서 싱크 디바이스는 지시에 따른 소스 디바이스를 턴온시키고 시간 계측을 개시한다.
930 단계에서 싱크 디바이스는 전환된 소스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를 취득한다. 본 시간 정보는, 소스 디바이스의 턴온 시점으로부터 클럭 신호의 출력 시점까지, 또한 클럭 신호의 출력 시점으로부터 컨텐츠 신호의 출력 시점까지의 각 소요시간이 지정된다.
940 단계에서 싱크 디바이스는 시간 정보가 지시하는 시점에 클럭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지정된 시점에 클럭 신호가 수신되면, 950 단계에서 싱크 디바이스는 시간 정보로부터 클럭 신호의 출력시점 및 컨텐츠 신호의 출력시점 사이의 시간을 도출한다.
960 단계에서 싱크 디바이스는 도출된 시간이 문턱값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싱크 디바이스는 클럭 신호가 출력된 이후에 컨텐츠 신호가 출력될 때까지의 소요 시간이 상대적으로 긴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소요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다면, 싱크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가 정상 작동한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릴 필요가 있는 것이다. 반면, 이 소요 시간이 상대적으로 짧다는 것은 클럭 신호가 출력된 이후에 바로 컨텐츠 영상이 표시될 것이라는 점을 의미하므로, 소스 디바이스가 정상 작동한다는 것을 싱크 디바이스가 사용자에게 알리는 효용성이 크지 않을 것이다.
도출된 시간이 문턱값보다 크다면, 970 단계에서 싱크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의 정상 작동을 알리는 UI를 표시한다.
반면, 도출된 시간이 문턱값보다 크지 않다면, 980 단계에서 싱크 디바이스는 UI를 표시하지 않는다. 싱크 디바이스는 UI를 표시하지 않고, 이후 수신되는 컨텐츠 신호를 처리하여 컨텐츠 영상을 표시한다.
앞선 940 단계에서 지정된 시점에 클럭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다면, 990 단계에서 싱크 디바이스는 소스 디바이스의 비정상 상태를 알리는 UI를 표시한다.
이로써, 싱크 디바이스는 클럭 신호의 출력 타이밍 및 컨텐츠 신호의 출력 타이밍 사이의 시간이 상대적으로 너무 짧으면, 소스 디바이스의 정상 동작을 나타내는 UI를 표시하지 않음으로써, UI에서 컨텐츠 영상으로 급격한 화면 전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들에서는 싱크 디바이스가 클럭 신호의 출력 타이밍만을 고려하여 UI를 표시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시간 정보가 지시하는 소스 디바이스가 출력 가능한 기 설정된 신호는 클럭 신호만으로 한정할 수는 없다. 예를 들면, UI의 표시를 위한 판단 조건에는 컨텐츠 신호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에서 컨텐츠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싱크 디바이스 및 소스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각 동작의 시퀀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시점 T11에 싱크 디바이스(1010)의 입력 소스를 소스 디바이스(1020)로 전환하면, 싱크 디바이스(1010)는 시점 T12에 소스 디바이스(1020)에 턴온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소스 디바이스(1020)의 전원을 켠다.
부팅이 완료된 소스 디바이스(1020)는 컨텐츠 신호의 출력에 앞서서 먼저 클럭 신호를 출력하고, 시점 T13에 싱크 디바이스(1010)에 수신된다. 그리고, 소스 디바이스(1020)는 컨텐츠 신호를 생성한다. 싱크 디바이스(1010)는 시점 T13에 수신되는 클럭 신호에 따라서 소스 디바이스(1020)와 클럭 동기화를 수행한다.
소스 디바이스(1020)가 컨텐츠 신호를 출력하면, 싱크 디바이스(1010)는 시점 T14에 소스 디바이스(1020)로부터 컨텐츠 신호를 수신한다. 싱크 디바이스(1010)는 컨텐츠 신호를 처리함으로써 시점 T15에 컨텐츠 신호에 따른 영상을 표시한다.
시점 T13 및 시점 T14 사이의 소요 시간이 상대적으로 매우 짧다는 것은, 소스 디바이스(1020)로부터 클럭 신호가 출력된 이후에 곧바로 컨텐츠 신호가 출력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에는 싱크 디바이스(1010)가 소스 디바이스(102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UI를 표시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나, 추가적으로 시점 T14 및 시점 T15 사이의 소요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다면, 컨텐츠 영상이 표시되기 이전에 소스 디바이스(1020)의 동작 상태를 알 수 없는 사용자의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서, 상기한 UI가 표시되는 것이 좋다. 이에, 싱크 디바이스(1010)는 앞선 실시예들과 상이한 방식으로,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싱크 디바이스(1010)는 시점 T11 및 시점 T14 사이의 일 시점인 시점 T12a에, 소스 디바이스(1020)로부터의 컨텐츠 신호의 출력 타이밍이 지정된 시간 정보를 취득한다. 컨텐츠 신호의 출력 타이밍은, 예를 들면 소스 디바이스(1020)의 부팅이 개시되는 시점 T12부터 소스 디바이스(1020)로부터 컨텐츠 신호가 최초 출력되는 시점 T14까지의 소요 시간으로 나타날 수 있다.
싱크 디바이스(1010)는 시간 정보를 취득하면, 시간 정보에 지정된 타이밍에 컨텐츠 신호가 출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싱크 디바이스(1010)는 컨텐츠 신호가 출력되는 시점 T14가 시간 정보에 지정된 타이밍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면, 시점 T14 및 시점 T15 사이의 일 시점 T14a에, 소스 디바이스(1020)가 정상적으로 동작함을 알리는 UI를 표시한다. 이로써, 싱크 디바이스(1010)는 컨텐츠 영상이 표시되기 이전에, 소스 디바이스(1020)가 정상적으로 동작한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반면, 시간 정보에 지정된 타이밍에 컨텐츠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다면, 싱크 디바이스(1010)는 소스 디바이스(102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음을 알리는 UI를 표시한다. 이로써, 싱크 디바이스(1010)는 사용자에게 소스 디바이스(102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음을 알리고, 사용자가 소스 디바이스(1020)에 대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한편,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싱크 디바이스에서 사용자가 최초 입력 소스의 설정을 소스 디바이스로 전환시켰을 때에 해당 소스 디바이스의 전원이 꺼진 상태이고, 사용자가 싱크 디바이스의 리모트 컨트롤러를 조작함으로써 소스 디바이스의 전원을 턴온시키는 제어신호를 싱크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였다. 이러한 경우에는 싱크 디바이스가 소스 디바이스의 전원이 턴온되는 시점, 즉 소스 디바이스의 부팅 개시 시점을 알 수 있으므로,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라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싱크 디바이스에서 입력 소스의 설정이 소스 디바이스로 전환되었을 때에, 이미 소스 디바이스가 턴온되어 있는 상태일 수도 있다. 이하, 이러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에서 컨텐츠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싱크 디바이스 및 소스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각 동작의 시퀀스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점 T21에 사용자에 의해 싱크 디바이스(1110)에서 입력 소스가 소스 디바이스(1120)로 전환된다. 앞선 실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의 소스 디바이스(1120)는 현 시점에 턴온된 상태이다.
싱크 디바이스(1110)는 소스 디바이스(1120)와의 인터랙션을 통해 시점 T22에 소스 디바이스(1120)가 턴온되어 있음을 판단한다. 상기한 인터랙션은 여러 가지 방법이 가능한데, 예를 들면 싱크 디바이스(1110)는 소스 디바이스(1120)와의 채널을 통해 소정 신호를 전송하고, 해당 신호의 답신이 수신되면 소스 디바이스(1120)가 턴온된 것으로 판단하며, 해당 신호의 답신이 수신되지 않으면 소스 디바이스(1120)가 턴오프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러한 방법은 앞선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싱크 디바이스(1110)는 시점 T23에 소스 디바이스(1120)로부터 클럭 신호를 수신하면, 클럭 동기화를 수행한다.
싱크 디바이스(1110)는 시점 T24에 소스 디바이스(1120)로부터 컨텐츠 신호를 수신하면, 컨텐츠 신호를 영상처리 프로세스에 따라서 처리한다. 싱크 디바이스(1110)는 시점 T25에 컨텐츠 영상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싱크 디바이스(111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싱크 디바이스(1110)는 시점 T21에 입력 소스가 소스 디바이스(1120)로 전환되면, 시점 T21 및 시점 T23 사이의 일 시점 T22a에, 소스 디바이스(1120)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를 취득한다. 본 시간 정보에 관한 설명은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사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싱크 디바이스(1110)는 시간 정보에 지정된 시점 T23에 클럭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면, 소스 디바이스(1120)가 정상적으로 동작한다고 판단한다. 반면, 싱크 디바이스(1110)는 시간 정보에 지정된 시점 T23에 클럭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으면, 소스 디바이스(112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고 판단한다.
한편, 싱크 디바이스(1110)는 시점 T21에 입력 소스가 소스 디바이스(1120)로 전환되면, 시점 T21 및 시점 T23 사이의 일 시점에, 소스 디바이스(1120)로 입력 소스로 연결됨을 알리는 UI를 표시한다. 상기한 인터랙션 결과에 따라서 추가적인 동작이 가능한 바, 예를 들면 싱크 디바이스(1110)는 소스 디바이스(1120)의 전원이 턴온된 상태임을 판단하면, 시점 T22 및 시점 T23 사이의 일 시점에, 소스 디바이스(1120)의 전원이 턴온되어 있음을 알리는 UI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한, 싱크 디바이스(1110)는 소스 디바이스(1120)가 정상적으로 동작한다고 판단하면, 시점 T23 및 시점 T25 사이의 일 시점 T23a에, 소스 디바이스(1120)가 정상적으로 동작함을 알리는 UI를 표시한다. 반면, 싱크 디바이스(1110)는 소스 디바이스(112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시점 T23a에, 소스 디바이스(1120)가 비정상적인 상태임을 알리는 UI를 표시한다.
이와 같이, 싱크 디바이스(1110)는 시점 T25 이전에 소스 디바이스(1120)의 동작 상태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 단말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저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210 : 싱크 디바이스
211 : 싱크 통신회로
212 : 디스플레이부
213 : 스피커
214 : 사용자입력부
215 : 저장부
216 : 싱크 프로세서
220 : 소스 디바이스
221 : 소스 통신회로
222 : 소스 프로세서

Claims (19)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영상기기 중 어느 하나가 연결되며, 상기 연결된 영상기기로부터 영상신호를 수신 가능한 신호수신부와;
    상기 신호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 가능한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복수의 영상기기 중 어느 한 영상기기가 상기 신호수신부에 연결되면, 상기 영상기기의 연결 시점으로부터 영상이 표시되는 시점까지 소요되는 시간에 관한 시간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시간 정보는 상기 복수의 영상기기 각각에 대응하게 마련되고,
    상기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기기의 연결 이후 현재 시점에 대응하는 연결 상태를 안내하는 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기 설정된 신호의 수신 시점까지의 시간 구간 동안에 상기 연결된 영상기기에 대응하는 상기 시간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UI를 표시하며, 상기 취득한 시간 정보가 지정하는 수신 시점에 상기 기 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에 대응하여 상기 UI가 안내하는 정보를 변경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신호는 클럭 신호 및 컨텐츠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 시점에 상기 기 설정된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영상기기가 정상적으로 연결됨을 알리도록 상기 UI의 정보를 변경하며, 상기 수신 시점에 상기 기 설정된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영상기기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지 않음을 알리도록 상기 UI의 정보를 변경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연결 시점으로부터 상기 영상기기로부터 클럭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까지의 시간 구간 동안 상기 영상기기의 종류 또는 모델명을 안내하는 상기 UI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신호는 클럭 신호 및 컨텐츠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클럭 신호가 출력되는 시점부터 상기 컨텐츠신호가 출력되는 시점까지의 소요 시간이 문턱값보다 크면 상기 UI가 안내하는 정보를 변경하고, 상기 소요 시간이 상기 문턱값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UI가 안내하는 정보를 변경하지 않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기기의 연결 시점부터 상기 기 설정된 신호의 상기 수신 시점까지의 소요 시간을 상기 시간 정보로부터 도출하며, 상기 도출된 소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시간 정보가 지정하는 수신 시점을 판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기기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신호가 출력되는 시점까지의 소요 시간을 소정 회수 계측하고, 상기 소정 회수만큼 계측된 소요 시간의 계측값들의 평균을 상기 영상기기에 대응하는 상기 시간 정보로 저장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기기의 턴온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영상기기에 전송하는 시점을 상기 영상기기의 연결 시점으로 판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영상기기 중 어느 한 영상기기에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기기가 연결 시점으로부터 영상이 표시되는 시점까지 소요되는 시간에 관한 시간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기기의 연결 이후 현재 시점에 대응하는 연결 상태를 안내하는 UI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기기로부터 영상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시간 정보는 상기 복수의 영상기기 각각에 대응하게 마련되고,
    상기 UI를 표시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신호의 수신 시점까지의 시간 구간 동안에 상기 연결된 영상기기에 대응하는 상기 시간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UI를 표시하며, 상기 취득한 시간 정보가 지정하는 수신 시점에 상기 기 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에 대응하여 상기 UI가 안내하는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신호는 클럭 신호 및 컨텐츠신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UI가 안내하는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수신 시점에 상기 기 설정된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면 상기 영상기기가 정상적으로 연결됨을 알리도록 상기 UI의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 시점에 상기 기 설정된 신호가 정상적으로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영상기기가 정상적으로 연결되지 않음을 알리도록 상기 UI의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연결 시점으로부터 상기 영상기기로부터 클럭 신호가 수신되는 시점까지의 시간 구간 동안 상기 영상기기의 종류 또는 모델명을 안내하는 상기 UI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신호는 클럭 신호 및 컨텐츠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클럭 신호가 출력되는 시점부터 상기 컨텐츠신호가 출력되는 시점까지의 소요 시간이 문턱값보다 크면 상기 UI가 안내하는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소요 시간이 상기 문턱값보다 크지 않으면 상기 UI가 안내하는 정보를 변경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UI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영상기기의 연결 시점부터 상기 기 설정된 신호의 상기 수신 시점까지의 소요 시간을 상기 시간 정보로부터 도출하며, 상기 도출된 소요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시간 정보가 지정하는 수신 시점을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기기로부터 상기 기 설정된 신호가 출력되는 시점까지의 소요 시간을 소정 회수 계측하고, 상기 소정 회수만큼 계측된 소요 시간의 계측값들의 평균을 상기 영상기기에 대응하는 상기 시간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기기의 턴온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영상기기에 전송하는 시점을 상기 영상기기의 연결 시점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19.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의 프로그램이 기록된 비휘발성의 컴퓨터 독취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복수의 영상기기 중 어느 한 영상기기에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기기가 연결 시점으로부터 영상이 표시되는 시점까지 소요되는 시간에 관한 시간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와;
    상기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영상기기의 연결 이후 현재 시점에 대응하는 연결 상태를 안내하는 UI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기기로부터 영상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시간 정보는 상기 복수의 영상기기 각각에 대응하게 마련되고,
    상기 UI를 표시하는 단계는,
    기 설정된 신호의 수신 시점까지의 시간 구간 동안에 상기 연결된 영상기기에 대응하는 상기 시간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UI를 표시하며, 상기 취득한 시간 정보가 지정하는 수신 시점에 상기 기 설정된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에 대응하여 상기 UI가 안내하는 정보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매체.
KR1020170124031A 2017-09-26 2017-09-26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기록매체 KR102423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031A KR102423356B1 (ko) 2017-09-26 2017-09-26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기록매체
CN201880062420.9A CN111164985B (zh) 2017-09-26 2018-08-21 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和记录介质
PCT/KR2018/009590 WO2019066255A1 (en) 2017-09-26 2018-08-21 DISPLAY DEVICE, CONTROL METHOD THEREFOR, AND RECORDING MEDIA
US16/110,512 US10854131B2 (en) 2017-09-26 2018-08-23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a
EP18193289.8A EP3461137B1 (en) 2017-09-26 2018-09-07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recording medi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031A KR102423356B1 (ko) 2017-09-26 2017-09-26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145A KR20190035145A (ko) 2019-04-03
KR102423356B1 true KR102423356B1 (ko) 2022-07-22

Family

ID=63528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031A KR102423356B1 (ko) 2017-09-26 2017-09-26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기록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54131B2 (ko)
EP (1) EP3461137B1 (ko)
KR (1) KR102423356B1 (ko)
CN (1) CN111164985B (ko)
WO (1) WO20190662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4509577A (ja) * 2021-03-16 2024-03-04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上で映像データを配信するための機器、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製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76440A1 (en) * 2009-09-29 2013-07-11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configuration of an entertainment system controll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983177A (zh) * 2005-12-16 2007-06-2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计算机启动设备选择系统及方法
KR20080058904A (ko) 2006-12-22 2008-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기능을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80066379A (ko) * 2007-01-12 2008-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와 그 외부기기 제어방법
KR101379762B1 (ko) * 2007-09-12 2014-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이미지 표시방법
JP5212477B2 (ja) * 2008-10-15 2013-06-19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起動完了通知プログラム
IL198607A (en) 2009-05-06 2016-07-31 Golobrodsky Oleg A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s to a user on a television
US8468285B2 (en) * 2009-05-18 2013-06-18 Stmicroelectronics, Inc. Operation of video source and sink with toggled hot plug detection
JP2010278579A (ja) * 2009-05-26 2010-12-09 Yamaha Corp ソース機器選択装置
KR20110011975A (ko) * 2009-07-29 2011-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수신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KR20120122183A (ko) * 2011-04-28 2012-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기기 및 디스플레이기기의 부팅 방법
KR20130115729A (ko) 2012-04-13 2013-10-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리모컨 및 그 제어방법
CN103297847A (zh) * 2013-04-28 2013-09-11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信号源智能导航、切换的方法
KR20150042066A (ko) * 2013-10-10 2015-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팅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4936030B (zh) 2014-03-20 2019-06-14 海信集团有限公司 一种开机画面显示方法、设备以及组合终端系统
CN104202645B (zh) * 2014-08-27 2017-07-25 海信集团有限公司 一种控制开机画面播放的方法及用户设备
EP3579551B1 (en) * 2014-11-18 2022-10-26 Caavo Inc Automatic identification and mapping of consumer electronic devices to ports on an hdmi switch
KR102330250B1 (ko) * 2015-01-22 2021-11-2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0223217B2 (en) * 2015-11-24 2019-03-05 Ricoh Company, Lt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ethod for booting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CN105472439A (zh) * 2015-12-15 2016-04-06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显示图像数据的方法和装置
KR102411611B1 (ko) * 2016-01-05 2022-06-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507161B1 (ko) * 2016-09-27 2023-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주변 기기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76440A1 (en) * 2009-09-29 2013-07-11 Universal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for reconfiguration of an entertainment system controll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61137B1 (en) 2021-10-27
US10854131B2 (en) 2020-12-01
CN111164985B (zh) 2022-05-06
KR20190035145A (ko) 2019-04-03
WO2019066255A1 (en) 2019-04-04
CN111164985A (zh) 2020-05-15
US20190096315A1 (en) 2019-03-28
EP3461137A1 (en) 2019-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35309B2 (ja) 通信装置
JP5147572B2 (ja) 通信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159489B2 (ja) 通信装置
JP5183326B2 (ja) 通信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661492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JP5553571B2 (ja) 通信装置及び方法
US9058847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11130322A (ja) 通信装置
KR102423356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기록매체
JP5921575B2 (ja) 電子機器、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9307189B2 (en) Relay apparatus controlling signal channel selection
KR102523672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과 기록매체
JP5693676B2 (ja) 通信装置及び制御方法
JP5587089B2 (ja) 通信装置及び制御方法
JP5546610B2 (ja) 通信装置及び制御方法
JP5451867B2 (ja) 通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9113123B2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5769838B2 (ja) 通信装置
JP2009081757A (ja) 電子機器
JP2013081134A (ja) 通信装置
JP2013046095A (ja) 通信装置
JP2009118251A (ja) 記録再生装置および記録再生装置のシステム制御方法
JP2011041203A (ja) 通信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