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86129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86129A
KR20160086129A KR1020150003474A KR20150003474A KR20160086129A KR 20160086129 A KR20160086129 A KR 20160086129A KR 1020150003474 A KR1020150003474 A KR 1020150003474A KR 20150003474 A KR20150003474 A KR 20150003474A KR 20160086129 A KR20160086129 A KR 20160086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nformation
display device
application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3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0435B1 (ko
Inventor
조홍진
박성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3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435B1/ko
Priority to US14/990,930 priority patent/US10142579B2/en
Publication of KR20160086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6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4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4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2Powering on the client, e.g. bootstrap loading using setup parameters being stored locally or received from the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5/440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6Arrangements or methods related to booting a displa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2Networking asp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6Use of wireless transmission of display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장치로부터 전원 대기 신호(pre-power on command)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전원 대기 신호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통신 기능을 활성화하는 제 1 부팅 작업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통신부는 외부 장치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부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A DISPLAY APPARATUS AND A DISPLAY METHOD}
일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외부 장치에서 선택된 콘텐츠를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화면에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방송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스마트 티브이가 제공되고 있다. 스마트 티브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방송 또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어 장치와 블루투스나 와이파이와 같이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자는 제어 장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온시킨 후 원하는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온시키는 제어 신호를 수신한 후 얼마간의 시간이 지난 후에야, 사용자가 이전에 시청하던 콘텐츠를 출력한 후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어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하기까지의 시간을 단축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일부 부팅 작업을 수행하고, 이후 수신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재생함으로써, 사용자의 부팅 체감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제어 장치가 제어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부팅 작업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온시키기 위한 별도의 사용자 입력을 요구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부 장치로부터 전원 대기 신호(pre power-on command)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전원 대기 신호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통신 기능을 활성화하는 제 1 부팅 작업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통신부는, 외부 장치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제어부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출력 기능을 활성화하는 제 2 부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획득하고, 획득된 콘텐츠의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에 대한 정보는, 콘텐츠가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 콘텐츠를 획득하기 위한 URL 정보 및 콘텐츠가 제공되는 채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콘텐츠에 대한 정보는, 콘텐츠가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이며, 제어부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프로그램(installation program)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전원 대기 신호가 수신된 후 임계 시간 동안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전원을 종료(power off)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원 대기 신호는, 외부 장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외부 장치에서 생성되는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는, 네트워크 통신 기능을 활성화하는 제 1 부팅 작업을 지시하는 전원 대기 신호(pre-power on command)를 디스플레이 장치에게 전송하는 통신부;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의 콘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에게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가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은, 외부 장치로부터 전원 대기 신호(pre-power on command)를 수신하는 단계; 전원 대기 신호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통신 기능을 활성화하는 제1 부팅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외부 장치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콘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출력 기능을 활성화하는 제 2 부팅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부팅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및 획득된 콘텐츠의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에 대한 정보는, 콘텐츠가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 콘텐츠를 획득하기 위한 URL 정보 및 콘텐츠가 실행되는 채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콘텐츠에 대한 정보는, 콘텐츠가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이며, 콘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는, 콘텐츠가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프로그램(installation program)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원 대기 신호가 수신된 후 임계 시간 동안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전원을 종료(power off)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원 대기 신호는, 외부 장치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외부 장치에서 생성되는 신호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네트워크 통신 기능을 활성화하는 제 1 부팅 작업을 지시하는 전원 대기 신호(pre power-on command)를 디스플레이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의 콘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200)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어 장치(200)로부터 전원 대기 신호(pre-power on command)를 수신하는 일례이다.
도 7a 및 도 7b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계된 원격 제어 장치(200-1, 200-2)가 전원 대기 신호를 전송하는 일례이다.
도 8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어 장치(200)로부터 전원 대기 신호(pre-power on command)를 수신하는 또 다른 일례이다.
도 9은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200-3)에서 전원 대기 신호를 전송하는 일례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 1 부팅 작업 및 제 2 부팅 작업을 수행하는 흐름도이다.
도 11a는 원격 제어 장치(200-1)가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일례이며, 도 11b는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200-3)가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일례이다.
도 1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어 장치(200)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콘텐츠를 재생하는 일례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콘텐츠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부팅 작업 후 임계 시간 동안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원을 오프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어 장치(200)의 세부적인 블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오프 상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플러그와 전원 소스(예를 들어, 콘센트)가 연결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전원 플러그와 전원 소스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전원 오프 상태인 경우,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원이 공급(예를 들어, 전원 온)될 수 있다. 또한, 전원 플러그와 전원 소스가 연결되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어 장치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일부 통신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콘텐츠”는 방송 네트워크나 인터넷 등을 통하여 제공될 수 있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콘텐츠는, 예를 들어, 동영상 콘텐츠(예컨대, TV 프로그램 영상, VOD(Video On Demand), 개인 영상(UCC: User-Created Contents), 뮤직 비디오, 유투브 영상 등), 정지 영상 콘텐츠(예컨대, 사진, 그림 등), 텍스트 콘텐츠(예컨대, 전자책(시, 소설), 편지, 업무 파일), 음악 콘텐츠(예컨대, 음악, 연주곡, 라디오 방송 등), 웹 페이지, 애플리케이션 실행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자”는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제어하는 사람을 의미하며, 시청자, 관리자 또는 설치 기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자 입력”은, 터치 입력, 음성 입력, 버튼 입력, 장치에 대한 사용자 모션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입력은 터치, 홀드, 탭, 드래그, 플릭, 핀칭, 터치&드래그, 터치&홀드 중 적어도 하나의 제스처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제어 장치(200) 및 제어 장치(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0)는 적외선(infrared) 또는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제어 장치(200)에 구비된 키(버튼을 포함), 터치 패드(touchpad), 사용자의 음성의 수신이 가능한 마이크 및 사용자의 모션을 인식하는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전원을 온(on)시키거나 오프(off)시킬 수 있으며, 콘텐츠 선택, 채널 변경, 음량 조절, 또는 환경 설정(setting) 등을 할 수 있다.
한편, 제어 장치(2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원격 제어 장치(200-1)는 터치 스크린(201, 203)을 포함하며,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계된 원격 제어 장치(200-1, 200-2)일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계되었다는 것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어 장치(200) 간의 페어링(pairing)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어 장치(200)는 서로의 주소 정보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또는,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200-3)일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모바일 장치(200-3)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200-3)는 사용자 입력을 통하거나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평면(flat) 디스플레이 장치뿐만 아니라, 곡률을 가지는 화면인 곡면(curved)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곡률을 조정 가능한 가변형(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출력 해상도는 예를 들어, HD(High Definition), Full HD, Ultra HD, 또는 Ultra HD 보다 더 선명한 해상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 화면의 가로/세로 비율은 예를 들어, 4:3, 16:9, 16:10, 21:9 또는 2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 제어 장치(200)로부터 전원 대기 신호(pre-power on command)를 수신할 수 있다. 전원 대기 신호는, 제어 장치(200)에서 생성되어,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게 전송될 수 있다. 전원 대기 신호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어 장치(200)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모션 입력 또는 제어 장치(200)의 전원을 온시키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장치(200)를 파지한다는 것은, 사용자가 제어 장치(200)의 하우징을 움켜쥐는 모션을 의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원 대기 신호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네트워크 통신 기능을 활성화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장치(예컨대, 콘텐츠 사업자, 방송 사업자 등 포함)와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작업(예컨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을 온시키는 작업)은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은 여전히 오프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여전히 전원이 오프된 상태라고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제어 장치(200)의 화면을 통해 콘텐츠 리스트, 방송 채널 리스트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콘텐츠 리스트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재생될 수 있는 콘텐츠들의 리스트일 수 있다. 또한, 방송 채널 리스트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신될 수 있는 방송 채널들의 리스트일 수 있다. 제어 장치(200)는 콘텐츠 리스트 중에서 하나의 콘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제어 장치(200)는 방송 채널 리스트 중에서 하나의 방송 채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콘텐츠 또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콘텐츠 또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획득된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어 장치(200)에서 콘텐츠를 선택함에 따라, 선택된 콘텐츠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즉시 출력되는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100) 부팅 작업에 따른 사용자의 체감 부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시키는 별도의 사용자 입력을 요구하지 않으면서, 제어 장치(200)를 통해 선택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바로 출력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통신부(110), 제어부(120), 및 출력부(1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장치(예컨대, 제어 장치(200), 콘텐츠 사업자, 방송 사업자 등 포함) 간의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무선 랜,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IrDA), 이더넷(Ethernet) 등을 통하여 제어 장치(200) 및/또는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제어 장치(2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광 수신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10)는 제어 장치(200)로부터 전원 대기 신호(pre-power on command)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대기 신호는 블루투스 타입, RF 신호 타입, 광 신호 타입 또는 와이파이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수신된 전원 대기 신호를 제어부(12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부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팅 작업은 제 1 부팅 작업과 제 2 부팅 작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부팅 작업은 운영 체제(OS: operating system)를 구동하는 단계,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이 메모리에 탑재되는 단계, 네트워크 통신 기능이 활성화되는 단계, 디스플레이될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콘텐츠를 복호화하는 단계, 및 복호화된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로 구성된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부팅 작업이 상기의 여섯 단계로 구성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 예에 따라서 상술한 단계 중 일부가 생략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단계가 추가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부팅 작업은 디스플레이될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대신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시청한 채널로 튜닝하는 단계 및 튜닝된 채널을 통해 수신된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 부팅 작업은 네트워크 통신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작업일 수 있다. 또한, 제 2 부팅 작업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출력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작업일 수 있다. 따라서, 제 1 부팅 작업은 운영체제를 구동하는 단계,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이 메모리에 탑재되는 단계 및 네트워크 통신 기능이 활성화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 2 부팅 작업은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콘텐츠를 복호화하는 단계 및 복호화된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를 제외한 모든 단계가 제 1 부팅 작업에 포함될 수도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통신부(110)로부터 제공된 전원 대기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통신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 1 부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모듈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는 하나, 처리된 데이터가 출력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후, 통신부(110)는 제어 장치(200)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콘텐츠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콘텐츠가 제공되는 채널 정보, 콘텐츠를 획득하기 위한 URL 정보 및 콘텐츠가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통신부(110)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면,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출력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 2 부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수신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콘텐츠가 제공되는 특정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채널로 튜닝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튜닝된 채널을 통하여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20)는 콘텐츠가 제공되는 URL 정보에 기초하여, 외부 서버 또는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20)는 콘텐츠가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만약, 애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부(120)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애플리케이션 설치 프로그램(application install program)을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20)는 사용자에게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지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획득된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출력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획득된 콘텐츠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콘텐츠를 출력부(13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출력부(130)는 제어부(120)에 의해 제 2 부팅 작업이 수행됨에 따라 활성화될 수 있다. 출력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131) 및 오디오 출력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30)는 제어부(120)로부터 제공된 콘텐츠의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전원 대기 신호가 수신된 후 임계 시간 동안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오프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임계 시간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200)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부(210), 제어부(220), 디스플레이부(230) 및 통신부(2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계되어 있을 수 있으며, 별개의 독립적인 장치일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210)는 사용자가 제어 장치(200) 또는 제어 장치(20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부(210)는 제어 장치(200)의 전원을 온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입력부(210)는 제어 장치(200)에 구비된 다양한 센서(예컨대, 근접 센서, 적외선 센서, 위치 센서, 온/습도 센서 등)를 통해 제어 장치(200)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210)는 제어 장치(200)를 파지하는 사용자 모션 또는 제어 장치(200)를 기울이는 사용자 모션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입력부(210)는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계되지 않은 독립적인 장치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리모트 컨트롤러 애플리케이션, 동영상 애플리케이션, 음악 애플리케이션, 사진 애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제어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20)는 사용자 입력부(210), 디스플레이부(230) 및 통신부(24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20)는 사용자 입력부(210)로부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통신부(240)를 통해 전원 대기 신호(pre-power on command)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240)는 제어 장치(2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또는 제어 장치(200)와 외부 장치 간의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40)는 블루투스(Bluetooth), BLE(Bluetooth Low Energy),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bee), 적외선(IrDA),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와이파이(WLAN), 이더넷(Ethernet), 또는 무선 랜 등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또는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어부(220)는 사용자 입력부(21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사용자 입력부(210)를 통해 사용자의 모션이 감지됨에 따라, 제어 장치(200)의 전원을 온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230)는 제어 장치(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30)는 제어 장치(200)의 제어에 의해 사용자가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콘텐츠 리스트 또는 방송 채널 리스트 일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10)는 콘텐츠 리스트 또는 방송 채널 리스트 중에서 하나의 콘텐츠 또는 하나의 방송 채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220)는 통신부(240)를 통해, 선택된 콘텐츠 또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계되지 않은 독립적인 장치인 경우, 제어 장치(200)의 제어부(2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의 페어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사용자 입력부(210)를 통해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애플리케이션 실행화면을 통해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24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장치로부터 전원 대기 신호(pre-power on command)를 수신할 수 있다 (S110). 여기서, 외부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계된 제어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일 수 있다. 전원 대기 신호는 제어 장치(200)의 전원이 온(on) 됨에 따라 제어 장치(200)에서 생성될 수 있다. 또는, 전원 대기 제어 장치(2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신호는 제어 장치(200)에서 생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원 대기 신호에 기초하여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통신 기능을 활성화하는 제 1 부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S120).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부팅 작업은 제 1 부팅 작업과 제 2 부팅 작업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부팅 작업은 네트워크 통신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작업일 수 있으며, 제 2 부팅 작업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출력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작업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원 대기 신호가 수신되면, 운영체제를 구동하는 작업,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메모리에 탑재하는 작업 및 네트워크 통신 기능을 활성화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대기 상태에 놓여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대기 상태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오디오 및 비디오 출력이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구성요소는 오프 상태이지만 나머지 구성요소는 온 상태로 남아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상태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네트워크 통신 기능을 위한 구성요소만 온 상태로 남아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대기 상태에서 외부 장치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130). 콘텐츠에 대한 정보는 콘텐츠가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 상기 콘텐츠를 획득하기 위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정보 및 상기 콘텐츠가 제공되는 채널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가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는 콘텐츠가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예컨대, 애플리케이션의 명칭, 고유인식번호 등), 애플리케이션 내의 콘텐츠 제공 경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S140).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비디오 및 오디오 콘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제 2 부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콘텐츠를 획득하는 작업, 획득된 콘텐츠를 출력하는 작업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 또는 내부의 저장 장치로부터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URL 정보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특정 URL로 접근하여 콘텐츠를 획득하고, 획득된 콘텐츠의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방송 채널 정보인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수신된 특정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채널로 튜닝하고, 튜닝된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2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200)는 네트워크 통신 기능을 활성화하는 제 1 부팅 작업을 지시하는 전원 대기 신호(pre-power on command)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S210).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 장치(200)는 제어 장치(2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전원 대기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예를 들어, 제어 장치(200)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모션 입력, 제어 장치(200)를 기울이는 사용자의 모션 입력, 제어 장치(200)의 화면을 터치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 또는 제어 장치(200)의 물리적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버튼 입력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은 제어 장치(200)의 전원을 온시키기 위한 다양한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은 제어 장치(2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입력일 수도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 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예를 들어, 리모콘 컨트롤러 애플리케이션, 동영상 애플리케이션, 음악 애플리케이션, 사진 애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 장치(200)는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S220). 제어 장치(200)는 제어 장치(200)의 전원이 켜짐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콘텐츠들이 나열된 콘텐츠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제어 장치(200)는 제어 장치(200)의 전원이 켜짐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수신할 수 있는 방송 채널들에 대한 식별 정보 및 방송 채널들에서 수신되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나열된 방송 채널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하나의 콘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S230). 콘텐츠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콘텐츠가 제공되는 채널 정보, 콘텐츠를 획득하기 위한 URL 정보 및 콘텐츠가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200)는 콘텐츠 리스트 또는 방송 채널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된 화면에서 하나의 콘텐츠 또는 하나의 방송 채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200)는 선택된 콘텐츠의 URL 정보, 선택된 콘텐츠가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 또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어 장치(200)로부터 전원 대기 신호(pre-power on command)를 수신하는 일례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 장치(200)는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 장치(200)는 제어 장치(200)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파지 모션을 감지하거나 제어 장치(200)의 전원을 온시키는 사용자의 전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S305). 또는, 제어 장치(200)는 제어 장치(200)를 기울이는 사용자의 기울임 모션을 감지할 수도 있다. 제어 장치(2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은 제어 장치(200)와 연계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사용하기 위한 입력일 수 있다. 따라서,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전원 대기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S310).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원 대기 신호가 수신되면, 제 1 부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S315).
도 7a 및 도 7b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계된 원격 제어 장치(200-1, 200-2)가 전원 대기 신호를 전송하는 일례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원격 제어 장치(200-1)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측면부 베젤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된 근접 센서(710-1, 710-2)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200-1)에 대한 사용자의 파지 모션 입력(715)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원격 제어 장치(200-1)는 원격 제어 장치(200-1)의 화면(720)을 통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725)이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200-1)는 사용자의 파지 모션 입력(715) 및 사용자의 터치 입력(725)이 수신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게 전원 대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위 설명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200-1)가 사용자의 파지 모션 입력(715)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게 전원 대기 신호를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장치(20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된 근접 센서(710-1, 710-2), 자이로 센서, 위치 센서 및 지자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원격 제어 장치(200-1)에 대한 다양한 사용자의 모션(예컨대, 원격 제어 장치(200-1)를 기울이는 모션 등)을 감지할 수도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1)는 사용자의 모션이 감지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게 전원 대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200-2)는 물리적 버튼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원격 제어 장치(200-2)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측면부 베젤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된 근접 센서(730-1, 730-2)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200-2)에 대한 사용자의 파지 모션(735)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원격 제어 장치(200-2)는 원격 제어 장치(200-2)에 구비된 다양한 센서들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 장치(200-2)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예컨대, 원격 제어 장치(200-2)를 기울이는 모션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2)는 사용자의 파지 모션(735) 등의 사용자 모션이 감지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게 전원 대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 7a 및 7b의 원격 제어 장치(200-1, 200-2)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기 전 전원 오프 상태(또는 절전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전원 오프 상태는 원격 제어 장치(200-1, 200-2)와 전원 소스가 연결되어 있으나, 원격 제어 장치(200-1, 200-2)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장치(200-1, 200-2)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통신하기 위한 최소한의 구성요소는 전원 온 상태일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1, 200-2)는 전원 오프 상태에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200-1, 200-2) 내의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예컨대, 전원 온)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1, 200-2)는 모든 구성요소들의 전원이 온 됨에 따라,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8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어 장치(200)로부터 전원 대기 신호를 수신하는 또 다른 일례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S405).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는 위한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리모트 컨트롤러 애플리케이션, 동영상 애플리케이션, 음악 애플리케이션, 사진 애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0)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되는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0)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게 전원 대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S410). 제어 장치(200)는 제어 장치(200)에 기 등록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게 전원 대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제어 장치(200)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제어 장치(200) 간의 페어링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원 대기 신호가 수신되면, 제 1 부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S415).
도 9는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200-3)에서 전원 대기 신호를 전송하는 일례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200-3)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가 표시된 화면(920)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는 리모트 컨트롤러 애플리케이션(922)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930)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모바일 장치(200-3)는 애플리케이션 리스트가 표시된 화면(920)에서 VOD 애플리케이션(924)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모바일 장치(200-3)는 리모트 컨트롤러 애플리케이션(922) 또는 VOD 애플리케이션(924)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게 전원 대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만약, 모바일 장치(200-3)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페어링되어 있지 않은 경우, 모바일 장치(200-3)는 모바일 장치(200-3)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 간 페어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 1 부팅 작업 및 제 2 부팅 작업을 수행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 장치(200)는 제어 장치(2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게 전원 대기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S505).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원 대기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제 1 부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 부팅 작업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운영 체제를 구동하고,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메모리에 탑재함으로써 네트워크 통신 기능을 활성화하는 작업일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 1 부팅 작업 후, 제어 장치(200)를 포함하는 외부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또는, 제 1 부팅 작업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출력 기능을 활성화 하기 위한 작업을 제외한 부팅 작업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비디오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구성요소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제 1 부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 장치(200)는 제어 장치(2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제어 장치(200)의 전원을 온시키고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S515).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콘텐츠 리스트 또는 방송 채널 리스트일 수 있다. 콘텐츠 리스트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재생될 수 있는 콘텐츠들의 리스트일 수 있다. 또한, 방송 채널 리스트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신될 수 있는 방송 채널들의 리스트일 수 있다. 제어 장치(200)는 콘텐츠 리스트 중에서 하나의 콘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S520). 또는, 제어 장치(200)는 방송 채널 리스트 중에서 하나의 방송 채널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0)는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 또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S525). 예를 들어, 제어 장치(200)는 콘텐츠가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 콘텐츠가 제공되는 URL 정보 및 콘텐츠가 제공되는 방송 채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 또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제 2 부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S530). 제 2 부팅 작업은 콘텐츠를 획득하고, 획득된 콘텐츠의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출력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작업일 수 있다. 또는 제 2 부팅 작업은 소정 채널로 튜닝하고, 튜닝된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콘텐츠의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출력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작업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비디오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 또는 방송 채널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URL에 접근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방송 채널로 튜닝함으로써 튜닝된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콘텐츠를 획득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콘텐츠를 획득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13에서 후술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획득된 콘텐츠의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S535).
도 11a는 원격 제어 장치(200-1)가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일례이며, 도 11b는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200-3)가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일례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원격 제어 장치(200-1)는 원격 제어 장치(200-1)의 전원이 온 됨에 따라, 콘텐츠 리스트(11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200-1)는 콘텐츠 리스트(1110) 중에서 하나의 콘텐츠(1115)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1120)을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200-1)는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URL 정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 또는 방송 채널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200-3)는 콘텐츠 리스트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130)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200-3)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1130)을 통해, 콘텐츠 리스트 중에서 하나의 콘텐츠(1132)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1140)을 수신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200-3)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페어링되어 있는 경우, 모바일 장치(200-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정보를 이용하여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만약, 모바일 장치(200-3)와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페어링되어 있지 않은 경우, 모바일 장치(200-3)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페어링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2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제어 장치(200)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콘텐츠를 재생하는 일례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1a에서 선택된 콘텐츠(1115)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도 11a에서 선택된 콘텐츠(1115)를 재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온시키기 위한 별도의 동작을 하지 않고 제어 장치(200)를 통해 선택한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함으로써 콘텐츠를 획득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 장치(200)로부터 콘텐츠가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S610). 콘텐츠가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예컨대, 애플리케이션의 명칭, 고유 인식번호 등), 애플리케이션 내의 콘텐츠 제공 경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애플리케이션이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에 설치(install)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620).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애플리케이션 내의 콘텐츠 제공 경로에 따라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S630).
만약,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애플리케이션 설치 프로그램을 획득할 수 있다 (S640).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애플리케이션 사업자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설치 프로그램을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획득된 애플리케이션 설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후,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애플리케이션 내의 콘텐츠 제공 경로에 따라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S650).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부팅 작업 후 임계 시간 동안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전원을 오프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의 모션 입력(예컨대, 제어 장치(200)에 대한 사용자의 파지 모션, 제어 장치(200)를 기울이는 모션 등) 또는 제어 장치(200)의 화면을 터치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S705). 또는 제어 장치(200)는 제어 장치(200)의 전원을 온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게 전원 대기 신호(pre-power on command)를 전송할 수 있다 (S710).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원 대기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네트워크 통신 기능을 활성화하는 제 1 부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S715).
또한, 제어 장치(200)는 사용자의 모션 입력 또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S720).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전원 대기 신호를 수신한 후 임계 시간 동안, 제어 장치(200)로부터 데이터 또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S725).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을 오프하기 위한 종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S730).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환경 설정을 저장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구성요소들에 공급되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어 장치(200)의 세부적인 블록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2의 통신부(110), 제어부(120), 출력부(130) 뿐만 아니라, 튜너부(140), 마이크(150), 카메라부(160), 입/출력부(180), 저장부(170) 및 전원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control unit, 120)은 프로세서(Processor, 121),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122)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에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1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내부 구성요소들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전원부(190)에서부터 내부 구성요소들에게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입력이 있거나 기 설정되어 저장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저장부(170)에 저장된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는 화상 또는 영상에 대응되는 그래픽 처리를 위한 그래픽 프로세서(GPU: Graphic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1)는 코어(core)와 GPU를 통합한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1)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1)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1)는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및 슬립 모드(sleep mode)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1), 롬(122) 및 램(123)은 내부 버스(bus)(124)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20) 라는 용어는 프로세서(121), 롬(122) 및 램(123)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20)는 제어 장치(200)로부터 전원 대기 신호를 수신하면, 통신부(110)를 통해 외부 장치(예컨대, 제어 장치(200), 콘텐츠 사업자, 방송 사업자 등)와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해 네트워크 통신 기능을 활성화하는 제 1 부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전원 대기 신호를 수신하면, 전원부(190)에 지시를 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통신부(110)를 포함한 일부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제 1 부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제 1 부팅 작업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대기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대기 상태는 오디오 및 비디오 출력을 위한 출력부(130)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입/출력부(180)는 오프 상태이지만 나머지 구성요소는 온 상태로 남아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상태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통신부(110)만 온 상태로 남아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대기 상태에서 제어 장치(200)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제 2 부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전원부(190)에 지시를 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출력부(130)를 포함한 나머지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제 2 부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콘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통신부(110)를 통해 콘텐츠를 획득하고, 획득된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만약,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방송 채널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20)는 방송 콘텐츠를 획득하기 위하여 튜너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튜너부(14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증폭(amplification), 혼합(mixing), 공진(resonance)등을 통하여 많은 전파 성분 중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주파수만을 튜닝(tuning)시켜 선택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오디오(audio), 비디오(video)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포함한다.
튜너부(140)는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채널 정보에 따라 채널 번호(예컨대, 케이블 방송 506번)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튜너부(140)는 지상파 방송 사업자, 케이블 방송 사업자, 위성 방송 사업자, 인터넷 방송 사업자 등과 같이 다양한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튜너부(140)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 또는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튜너부(14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는 디코딩(decoding, 예컨대, 오디오 디코딩, 비디오 디코딩 또는 부가 정보 디코딩)되어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로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튜너부(140)는 하나이거나 복수일 수 있다.
튜너부(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일체형(all-in-one)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튜너부를 가지는 별개의 장치(예를 들어, 셋탑박스(set-top box), 입/출력부(160)에 연결되는 튜너부(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외부 장치(예컨대, 제어 장치(200), 콘텐츠 사업자, 방송 사업자 등)와 연결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통신부(110)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장치와 데이터, 콘텐츠 등을 송/수신할 수 있으며, 외부 장치로부터 애플리케이션 설치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하거나 또는 웹 브라우징을 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성능 및 구조에 대응하여 무선 랜(111), 블루투스(112), 이더넷(Ethernet, 113), 적외선(IrDA, 114) 및 광 수신부(115)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제어 장치(200)로부터 전원 대기 신호(pre-power on command)를 수신할 수 있다. 전원 대기 신호는 블루투스 타입, RF 신호 타입 또는 와이파이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10)은 블루투스(112) 외에 다른 근거리 통신(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BLE(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Zigbee), WFD(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광 수신부(115)는 제어 장치(200)에서부터 수신되는 광 신호(제어 신호를 포함)를 디스플레이부(131)의 베젤의 광창(도시되지 아니함) 등을 통해 수신한다. 광 수신부(115)는 제어 장치(200)로부터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광 신호로부터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신호가 추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통신부(110)는 제어 장치(200)로부터 전원 대기 신호 및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전원 대기 신호 및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2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제어 장치(200)로부터 다양한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신호를 제어부(12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콘텐츠 사업자, 방송 사업자 등으로부터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마이크(150)는 사용자의 발화(utterance)된 음성을 수신한다. 마이크(150)는 수신된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20)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음성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메뉴 또는 기능에 대응되는 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150)의 인식 범위는 마이크(150)에서부터 사용자 위치까지 4 m 이내를 권장하며, 마이크(150)의 인식 범위는 사용자 목소리의 크기와 주변 환경(예를 들어, 스피커 소리, 주변 소음)에 대응하여 달라질 수 있다.
마이크(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마이크(150)는 통신부(110) 또는 입/출력부(18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성능 및 구조에 따라 마이크(150)가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카메라부(160)는 카메라 인식 범위에서 제스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모션에 대응되는 영상(예를 들어, 연속되는 프레임)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부(160)의 인식 범위는 카메라부(160)에서부터 사용자까지 0.1 ~ 5 m 이내 거리가 될 수 있다. 사용자 모션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얼굴, 표정, 손, 주먹, 손가락과 같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 또는 사용자 일부분의 모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6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수신된 영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2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수신된 모션의 인식 결과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되는 메뉴를 선택하거나 모션 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제어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조정, 볼륨 조정, 지시자 이동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160)는 렌즈(도시되지 아니함) 및 이미지 센서(도시되지 아니함)로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부(160)는 복수의 렌즈와 이미지 프로세싱을 이용하여 광학 줌(optical zoom) 또는 디지털 줌(digital zoom)을 지원할 수 있다. 카메라부(160)의 인식 범위는 카메라의 각도 및 주변 환경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카메라부(160)가 복수개의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3차원 정지 이미지 또는 3차원 모션을 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부(16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카메라부(160)를 포함하는 별도의 장치(도시되지 아니함)는 통신부(110) 또는 입/출력부(18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저장부(17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0)는 통신부(110), 출력부(130), 튜너부(140), 전원부(190), 입/출력부(180)의 구동에 대응되는 입력/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제어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제조사에서 최초 제공되거나 외부에서부터 다운로드 받은 애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기 위한 오브젝트(예를 들어, 이미지 텍스트, 아이콘, 버튼 등), 사용자 정보, 문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 라는 용어는 저장부(170), 제어부의 롬(122), 램(123)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USB 메모리, 도시되지 아니함)를 포함한다. 또한, 저장부(17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70)는 도시되지 아니한 방송 수신 모듈, 채널 제어 모듈, 볼륨 제어 모듈, 통신 제어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광 수신 모듈,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오디오 제어 모듈, 외부 입력 제어 모듈, 전원 제어 모듈, 무선(예를 들어, 블루투스)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제어 모듈, 음성 데이터베이스(DB), 또는 모션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70)의 도시되지 아니한 모듈들 및 데이터 베이스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방송 수신의 제어 기능, 채널 제어 기능, 볼륨 제어 기능, 통신 제어 기능, 음성 인식 기능, 모션 인식 기능, 광 수신 제어 기능, 디스플레이 제어 기능, 오디오 제어 기능, 외부 입력 제어 기능, 전원 제어 기능 또는 무선(예를 들어, 블루투스)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의 전원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저장부(170)에 저장된 이들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각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 온/오프에 대응되는 프로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0)는 제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31)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튜너부를 가지는 별도의 외부 장치(예를 들어, 셋탑 박스, 도시되지 아니함)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아날로그 TV, 디지털 TV, 3D-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플라즈마 TV, 모니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입/출력부(18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외부에서부터 비디오(예를 들어, 동영상 등),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음악 등)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 등) 등을 수신한다. 입/출력부(180)는 HDMI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181), 컴포넌트 잭(component jack, 182), PC 포트(PC port, 183), 및 USB 포트(USB port, 184)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180)는 HDMI 포트(181), 컴포넌트 잭(182), PC 포트(183), 및 USB 포트(184)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9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의 구성 요소들(110 내지 180)에게 외부의 전원 소스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부(19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에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내부의 구성 요소들(110 내지 180)에게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20)가 통신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원 대기 신호를 수신하면, 전원부(190)는 제어부(120)의 지시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신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일부 구성요소에게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제 1 부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전원부(190)는 제어부(120)의 지시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비디오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구성요소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제 1 부팅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는 제 1 부팅 작업에 네트워크 통신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작업을 포함할 것인지, 기타 작업들도 포함할 것인지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 의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어부(120)가 통신부(110)를 통해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전원부(190)는 제어부(120)의 지시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모든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제 2 부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 및 도 15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110 내지 190)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성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110 내지 190)의 위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어 장치(200)는 통신부(24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예를 들어, 블루투스(232))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어 장치(200)는 무선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에게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장치(200)는 도 3의 사용자 입력부(210), 제어부(220), 디스플레이부(230) 및 통신부(240) 외에도 전원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10)는 제어 장치(200) 및 제어 장치(20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210)에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10)는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센서들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210)는 근접 센서, 적외선 센서, 온/습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부(210)는 제어 장치(200)의 전원을 온시키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입력부(210)는 제어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23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입력부(210)는 사용자 모션을 감지할 수도 있다. 또는, 사용자 입력부(2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10)는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된 화면에서 하나의 콘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제어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제어 장치(200)의 내부 구성요소들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220)는 전원부(250)에서부터 내부 구성요소들에게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220)는 사용자 입력부(210)를 통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됨에 따라, 전원부(250)를 통해 내부 구성요소들에게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230)를 제어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내부 저장부(미도시) 또는 외부 장치(예컨대, 콘텐츠 사업자, 방송 사업자 등)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획득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통신부(24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30)는 제어부(22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230)와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30)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통신부(240)는 제어부(22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통신부(240)는 블루투스(241), 적외선(242)을 포함하며, 다른 근거리 통신(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도시되지 아니함), BLE(bluetooth low energy, 도시되지 아니함)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40)는 외부 장치(예컨대, 콘텐츠 사업자, 방송 사업자 등)와 통신하기 위한 무선 랜(243)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40)는 전원 대기 신호 등의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40)는 제어부(220)의 제어에 의해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전원부(250)는 제어부(22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장치(200) 내부의 구성 요소들에게 외부의 전원 소스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부(250)는 제어부(22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장치(200)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터리(도시되지 아니함)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내부의 구성 요소들에게 공급할 수 있다.
도 3 및 도 15의 제어 장치(200)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제어 장치(200)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제외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위치는 제어 장치(200)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를 저장하여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판독될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는,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로부터 프로세서에 의하여 독출되어 실행될 때,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을 구현하는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는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들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9)

  1. 외부 장치로부터 전원 대기 신호(pre-power on command)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전원 대기 신호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통신 기능을 활성화하는 제 1 부팅 작업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출력 기능을 활성화하는 제 2 부팅 작업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콘텐츠의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는, 상기 콘텐츠가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 상기 콘텐츠를 획득하기 위한 URL 정보 및 상기 콘텐츠가 제공되는 채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는, 상기 콘텐츠가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이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콘텐츠를 획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프로그램(installation program)을 획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 대기 신호가 수신된 후 임계 시간 동안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전원을 종료(power off)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대기 신호는, 상기 외부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 입력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에서 생성되는 신호인,
    디스플레이 장치.
  9. 네트워크 통신 기능을 활성화하는 제 1 부팅 작업을 지시하는 전원 대기 신호(pre-power on command)를 디스플레이 장치에게 전송하는 통신부;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의 콘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게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 장치.
  10. 디스플레이 장치가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외부 장치로부터 전원 대기 신호(pre-power on command)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전원 대기 신호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통신 기능을 활성화하는 제1 부팅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출력 기능을 활성화하는 제 2 부팅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팅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콘텐츠의 비디오 및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는, 상기 콘텐츠가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 상기 콘텐츠를 획득하기 위한 URL 정보 및 상기 콘텐츠가 실행되는 채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는, 상기 콘텐츠가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이며,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가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콘텐츠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프로그램(installation program)을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대기 신호가 수신된 후 임계 시간 동안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지 않으면, 전원을 종료(power off)하기 위한 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대기 신호는, 상기 외부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모션 입력에 따라, 상기 외부 장치에서 생성되는 신호인, 방법.
  18. 제어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통신 기능을 활성화하는 제 1 부팅 작업을 지시하는 전원 대기 신호(pre-power on command)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및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나의 콘텐츠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선택된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 10 항 내지 제 17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150003474A 2015-01-09 2015-01-09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23004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3474A KR102300435B1 (ko) 2015-01-09 2015-01-09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US14/990,930 US10142579B2 (en) 2015-01-09 2016-01-08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3474A KR102300435B1 (ko) 2015-01-09 2015-01-09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6129A true KR20160086129A (ko) 2016-07-19
KR102300435B1 KR102300435B1 (ko) 2021-09-09

Family

ID=56368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3474A KR102300435B1 (ko) 2015-01-09 2015-01-09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142579B2 (ko)
KR (1) KR1023004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29301B2 (en) 2016-12-22 2020-0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for adjusting color temperature of image and display method for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05719B (zh) * 2016-01-12 2017-11-11 晨星半導體股份有限公司 配合遙控器之電視管理裝置及電視管理方法
KR102377002B1 (ko) * 2016-01-27 2022-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41180A (ja) * 2012-01-06 2013-07-18 Toshiba Corp 携帯端末とテレビジョン装置による通信システム、携帯端末、テレビジョン装置、携帯端末の通信方法、携帯端末の動作プログラム
KR20140089822A (ko) * 2013-01-07 2014-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 및 전력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30584B2 (en) 2003-03-07 2006-10-31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and pairing Bluetooth devices
JP2006245957A (ja) 2005-03-02 2006-09-14 Nec Corp 携帯端末のアプリケーション起動方法及び携帯端末
US20080111698A1 (en) 2006-11-09 2008-05-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bile device power management
JP2009094799A (ja) 2007-10-09 2009-04-30 Funai Electric Co Ltd コンテンツ転送システム
JP2009118181A (ja) 2007-11-06 2009-05-28 Sharp Corp 連動システム、電気装置及び外部装置
KR20090120891A (ko) 2008-05-21 2009-11-25 (주)앞선교육 휴대용 원격 실물화상 전송 및 판서 장치, 이를 포함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프레젠테이션 방법
KR100968610B1 (ko) 2009-04-23 2010-07-08 (주)앞선교육 휴대용 전자장치를 이용한 수신장치의 전원제어방법
US8789130B2 (en) * 2009-07-08 2014-07-22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Set top box browser control via a wireless handset
KR20120012115A (ko) 2010-07-30 2012-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저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JP2012048297A (ja) 2010-08-24 2012-03-08 Nec Personal Computers Ltd ディスプレイ・入力インタフェース共有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871738B1 (ko) 2010-10-14 2018-06-27 포스월 미디어, 인코포레이티드 Ip-기반 인프라스트럭쳐를 이용하여 고객 구내 장치에 컴패니언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KR101764733B1 (ko) 2011-02-14 2017-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3d 안경 및 이의 전원 및 페어링 제어 방법
JP2012205251A (ja) 2011-03-28 2012-10-22 Panasonic Corp 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通信端末の制御方法
KR20120122183A (ko) * 2011-04-28 2012-1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기기 및 디스플레이기기의 부팅 방법
US8745024B2 (en) * 2011-04-29 2014-06-03 Logitech Europe S.A. Techniques for enhancing content
JP2012244315A (ja) 2011-05-18 2012-12-10 Sony Corp 携帯端末、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3012104A1 (ko) 2011-07-18 2013-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동작 방법
US8469816B2 (en) 2011-10-11 2013-06-25 Microsoft Corporation Device linking
US9554185B2 (en) 2011-12-15 2017-01-24 Arris Enterprises, Inc. Supporting multiple attention-based, user-interaction modes
KR101803305B1 (ko) 2011-12-15 2018-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1411739B1 (ko) 2012-02-29 2014-06-27 한국과학기술원 세컨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tv 스크린 상에 제공되는 콘텐츠를 캡쳐하고 이를 소셜 서비스와 연결할 수 있는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30114405A (ko) 2012-04-09 2013-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US8781828B2 (en) 2012-04-26 2014-07-15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917070B1 (ko) 2012-06-20 2018-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서버, 시스템, 이동 단말기 및 서버의 제어 방법
KR101951473B1 (ko) 2012-10-15 2019-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JP5548791B2 (ja) 2013-02-18 2014-07-16 日立コンシューマ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モニタ装置及び映像処理装置
TWI557551B (zh) * 2014-11-12 2016-11-11 宏碁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及其喚醒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41180A (ja) * 2012-01-06 2013-07-18 Toshiba Corp 携帯端末とテレビジョン装置による通信システム、携帯端末、テレビジョン装置、携帯端末の通信方法、携帯端末の動作プログラム
KR20140089822A (ko) * 2013-01-07 2014-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 및 전력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29301B2 (en) 2016-12-22 2020-0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for adjusting color temperature of image and display method for the same
US10930246B2 (en) 2016-12-22 2021-02-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for adjusting color temperature of image and display method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0435B1 (ko) 2021-09-09
US20160205337A1 (en) 2016-07-14
US10142579B2 (en) 2018-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9600B1 (ko) 휴대 기기에서의 동작 방법, 컨텐츠 재생 장치에서의 동작 방법, 휴대 기기 및 컨텐츠 재생 장치
KR10234986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EP3190787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0678563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KR102347069B1 (ko)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RU2658647C2 (ru) Портат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система отображения и способ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питанием устройства отображения
US10708670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KR102549536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91436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EP3016377B1 (en) Display apparatus, controlling method and display system
US10284909B2 (en) Display apparatus, user terminal apparatus,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60099388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150126121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KR20170081953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60050879A (ko) 디스플레이 장치, 원격 제어 장치,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98056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11870A (ko) 콘텐트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EP3038374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KR20200027249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0043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KR102395701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방법
US10534519B2 (en)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429433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CN108141697B (zh) 电子设备、配套设备和操作电子设备的方法
CN114501158B (zh) 显示设备、外接音响设备及外接音响设备音频输出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