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9433B1 -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29433B1 KR102429433B1 KR1020180006535A KR20180006535A KR102429433B1 KR 102429433 B1 KR102429433 B1 KR 102429433B1 KR 1020180006535 A KR1020180006535 A KR 1020180006535A KR 20180006535 A KR20180006535 A KR 20180006535A KR 102429433 B1 KR102429433 B1 KR 1024294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rror
- display device
- specific application
- image display
- process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4—Monitoring of the internal components or processes of the client device, e.g. CPU or memory load, processing speed, timer, counter or percentage of the hard disk space used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93—Remedial or corrective ac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06—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 G06F11/073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in a data processing system embedded in an image processing device, e.g. printer, facsimile, scann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51—Error or fault detection not based on redundancy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63—Graphics controller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9—Control of the bit-mapped memory
- G09G5/393—Arrangements for updating the contents of the bit-mapped memor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environmental sensors, e.g. for detecting temperature, luminosity, pressure, earthquak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Remote control device emulator integrated into a non-television apparatus, e.g. a PDA, media center or smart to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5—Monitoring of client processing errors or hardware failur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09G2330/022—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in absence of operation, e.g. no data being entered during a predetermined time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6—Arrangements or methods related to booting a display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12—Test circuits or failure detection circuits included in a display system, as permanent part thereof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35—Change or adaptation of the frame rate of the video stream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이 제공 된다. 상기 영상 표시 장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메모리; 및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여,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에러 종류를 체크하고, 상기 체크된 에러 종류에 따라,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에러를 회복하거나,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에러를 회복한 후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영상 표시 장치에 발생된 에러(error)를 회복하는 것과 관련된 구동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영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 표시 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영상 표시 장치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이 때, 영상 표시 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이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되고 있다. 상기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또한, 최근에는 디지털 방송 기능에 더하여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스마트 텔레비전이 제공되고 있다. 스마트 텔레비전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동적으로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사용자가 원하는 것을 분석하여 제공하기도 한다.
사용자는 파워 키(power key)를 이용하여 영상 표시 장치를 재부트(reboot)시킴으로써 영상 표시 장치의 시스템 에러 등을 회복할 수 있다. 그런데, 파워 키가 입력될 때 파워 오프되지 않고 모드 전환되는(예를 들어, 일반 모드에서 정보 모드로 전환되는) 영상 표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정보 모드를 구비한 영상 표시 장치의 경우, 사용자의 불편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시스템 에러를 회복하는 방법이 제공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시스템 에러 회복 방법이 정의된, 정보 모드를 구비한 영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시스템 에러 회복 방법이 정의된, 정보 모드를 구비한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aspect)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메모리; 및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에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에러 종류를 체크하고, 상기 체크된 에러 종류에 따라,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에러를 회복할지,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에러를 회복한 후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지를 결정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은 파워 키(power key) 입력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은, 날짜 정보, 시간 정보, 온도 정보, 날씨 정보 및 일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메모리의 여유 공간을 체크하거나, 상기 프로세서의 사용률을 체크하거나,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작동 오류 여부를 체크함으로써,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에러 종류를 체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체크된 에러 종류에 따라,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에러를 회복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 조건에 따라 상기 회복 동작의 수행 시점을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영상 표시 장치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위치 신호를 제공받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보다 이격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회복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는 외부 조건을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의 센싱값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을 때 상기 회복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크된 에러 종류에 따라,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에러를 회복한 후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 조건과 무관하게 상기 회복 동작이 바로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를 콜드 부팅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종료시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상기 에러를 회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aspect)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여, 제1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에 제2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에 에러를 회복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에러는 상기 제2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전에 이미 발생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은 파워 키(power key) 입력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은, 날짜 정보, 시간 정보, 온도 정보, 날씨 정보 및 일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를 콜드 부팅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종료시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상기 에러를 회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에러를 회복한 후에, 상기 영상 표시 장치가 서스펜드(suspend)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와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의 작업 내용을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영상 표시 장치를 콜드 부팅함으로써 상기 에러를 회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서스펜드 동작을 수행할 때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작업 내용을 상기 휘발성 메모리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 조건에 따라 상기 에러 회복 동작의 수행 시점을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영상 표시 장치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위치 신호를 제공받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보다 이격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회복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는 외부 조건을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의 센싱값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을 때 상기 회복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하기 전에,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메모리의 여유 공간을 체크하거나, 상기 프로세서의 사용률을 체크하거나,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작동 오류 여부를 체크함으로써,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에러 종류를 체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에러 종류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체크된 에러 종류에 따라,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에러를 회복하거나,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에러를 회복한 후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에러 종류를 체크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메모리의 여유 공간을 체크하거나, 상기 프로세서의 사용률을 체크하거나,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작동 오류 여부를 체크함으로써,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에러 종류를 체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크된 에러 종류에 따라,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에러를 회복하는 경우, 외부 조건에 따라 상기 회복 동작의 수행 시점이 변경되되, 상기 외부 조건은,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의 위치 또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 주변의 조도 또는 움직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은 파워 키(power key) 입력이고,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은, 날짜 정보, 시간 정보, 온도 정보, 날씨 정보 및 일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의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8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의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8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서술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일부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의도가 아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하는 특징, 예를 들어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전기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electrical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다른 언급이 없는 이상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제3의 구성요소를 통해서 연결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은, 정보 모드를 구현할 수 있는 영상 표시 장치라면 종류 및 형태와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표시 장치는, 휴대폰,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 PC, 데스크탑,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착용형 기기(wearable device) (예: 스마트 안경,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스마트 미러, 스마트 액자, 스마트 와치(smart watch)) 등의 전자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영상 표시 장치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일 수 있으며, 디지털 방송 수신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 또는 셋탑 박스(set-top box)일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장치는 평면(flat) 디스플레이 장치뿐만 아니라, 곡률을 가지는 화면인 곡면(curved)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곡률을 조정 가능한 가변형(flexible)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영상 표시 장치의 출력 해상도는 예를 들어, HD(High Definition), Full HD, Ultra HD, 또는 Ultra HD 보다 더 선명한 해상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즉, 정보 모드(information mode 또는 ambient mode)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도면이다.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이 입력된다(S310).
구체적으로, 영상 표시 장치(100)는 일반 모드(normal mode)로 동작하고 있는 동안(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이 입력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일반 모드에서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사용자가 선택한 영상(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을 디스플레이하거나,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을 구동시키거나, 인터넷에 접속하는 등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특정 어플리케이션은, 자세히 후술하겠으나, 날짜 정보, 시간 정보, 온도 정보, 날씨 정보 및 일정 정보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를 "정보 모드"로 지칭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것과 달리, 영상 표시 장치(100)는 일반 모드 이외의 다른 모드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또는, 정보 모드로의 전환 요청)을 감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스펜드 모드, 프리 파워 모드 등 다양한 모드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수 있다.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50)를 통해서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또는, 정보 모드로의 전환 요청)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입력될 수 있다. 제어 장치(50)는 근거리 통신, 예를 들어, 적외선 또는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에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장치(50)는 리모컨, 휴대 단말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50)는 정보 모드 전환 요청을 입력 받기 위한 키(또는 버튼) 또는 터치 패드(touchpad), 정보 모드 전환 음성 요청을 입력 받기 위한 마이크 및 제스처 형태의 정보 모드 전환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입력 수단을 통해 정보 모드 전환 요청이 수신되면, 영상 표시 장치(100)에 정보 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는, 영상 표시 장치(100)가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또는, 정보 모드로의 전환 요청)을 직접 입력 받기 위한 입력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입력 수단은, 영상 표시 장치의 하우징 등에 장착된 키(또는 버튼), 사용자의 제스처(gesture)를 감지하기 위한 카메라부 등의 센서,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상기 입력 수단을 이용하여 정보 모드로의 전환 요청을 입력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사용자는 파워 키(power key)를 통해서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또는, 정보 모드로의 전환 요청)할 수 있다. 파워 키는 제어 장치(50) 또는 영상 표시 장치(100)에 설치될 수 있다. 일반 모드에서 파워 키가 입력되면 정보 모드로 전환되고, 반대로 정보 모드에서 상기 파워 키가 입력되면 일반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서스펜드 모드(suspend mode)(즉, 서스펜드 동작을 수행 중인 상태)에서 상기 파워 키가 입력되는 경우에도 일반 모드로 전환 될 수 있다. 상기 서스펜드 모드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파워를 완전히 오프(off)시키는 것이 아니라,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는 일종의 대기 모드이다. 상기 서스펜드 모드와 관련하여는 보다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사용자는 정보 모드 전환 요청을 위한 파워 키 이외의 별도의 정보 모드 키를 이용하여 정보 모드 전환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또는, 다른 용도의 키를 2개 이상 동시에 눌러서 상기 정보 모드 전환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파워 키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정보 모드 전환 요청) 및 서스펜드 모드 전환 요청의 기능을 모두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파워 키를 기설정된 시간 이하로 누르면 일반 모드에서 정보 모드로 전환되지만, 파워 키를 기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누르면 일반 모드에서 상기 서스펜드 모드로 전환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또는, 정보 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다양한 사용자 입력과 관련된 실시예들을 소개하였다. 다음으로,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이 있는 경우, 영상 표시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이 있기 전에 이미 영상 표시 장치(100)에 에러가 발생된 상황에서도, 영상 표시 장치(10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상황(즉, 정보 모드로 진입할 수 있는 상황)이기만 하면,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즉, 정보 모드 전환 요청)에 응답하여 바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320).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모드에서 소프트웨어적인 에러가 발생되어 에러 회복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상기 정보 모드 전환 요청이 있을 때, 먼저 정보 모드로 진입하여 사전 정의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그 후에 에러 회복 프로세스가 수행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에러 회복 프로세스는 상기 정보 모드가 실행 중인 동안에 백그라운드(background)에서 수행되거나, 상기 정보 모드에서 다른 모드로 전환 되기 전에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 모드에서 서스펜드 모드로 전환되기 위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상기 서스펜드 모드로 전환되기 전 상기 에러 회복 프로세스가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즉, 정보 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정보 모드에서 날짜 정보(100b), 시간 정보(100c), 온도 정보(100d), 날씨 정보(100e) 및 일정 정보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영상 표시 장치(100)는 정보 모드에서 사용자와 관련되거나 사용자가 지정한 이미지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정보는 사용자의 사진,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사진 등일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특정 어플리케이션은 정보 모드를 표시하기 위한 특수 목적 응용 프로그램일 수 있다. 특정 어플리케이션은 영상 표시 장치(100)의 운영 프로그램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실행됨으로써, 영상 표시 장치(100)가 정보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상기 운영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에 설치된 임베디드 운영 체제(embedded Operating System)이다. 상기 특수 목적 응용 프로그램은 사용자에 의하여 임의로 실행되지는 못하는 점에서, 일반 모드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과 구별되는 특수 목적 응용 프로그램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반 모드에서 정보 모드로 전환될 때, 추후 일반 모드로의 신속한 리쥼(resume)을 위해, 일반 모드에서의 작업 내용(또는 서스펜드 이미지(suspend image))을 영상 표시 장치(100)의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DRAM) 상에 프리징(freezing) 해 둘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표시 장치(100)는 추후 서스펜드 투 램(Suspend to RAM) 기술을 이용하여 일반 모드로 신속하게 리쥼할 수 있다. 서스펜드 투 램 기술을 이용한 리쥼과 관련하여 추후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또한,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인 상태에서는, 즉, 정보 모드에서, 일반 모드 대비 제한된 수준의 컴퓨팅 자원(computing resource) 만을 사용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정보 모드에서, 사용자는 제한된 동작, 예를 들어, 모드 전환 지시만을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정보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한된 동작은 제조사 또는 사용자에 의해서 지정/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 3에서 섹션(100a)을 변경시킬 수도 있다. 도 3에서, 오늘(TODAY)의 정보를 보여주는 섹션에서 내일(TOMMOROW)의 정보를 보여주는 섹션으로 변경하는 것은, 사용자가 기설정된 키를 입력함으로써 수행되도록 지정될 수 있다. 또는, 정보 모드에서, 사용자가 별도의 입력을 하지 않더라도, 기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오늘(TODAY)의 정보를 보여주는 섹션에서 내일(TOMMOROW)의 정보를 보여주는 섹션으로 변경되도록 지정될 수 있다.
다시 도 1으로 돌아와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의 구동 방법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에 시스템 에러가 있더라도, 영상 표시 장치(100)가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이 입력되는 경우, 영상 표시 장치(10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정보 모드로 진입한다.
여기서, 상기 시스템 에러는 예를 들어, 실행중인 응용 프로그램이 작동 오류로 인해 강제 종료가 되는 경우(즉, 크래쉬(crash)가 발생하는 경우), 실행 중인 프로그램이 응답하지 않는 경우, 시스템 드라이버의 오동작, 메모리의 부족(예를 들어, 메모리 누수) 등을 가리킬 수 있다.
이어서, 영상 표시 장치(100)의 에러를 회복한다(S330).
구체적으로, 영상 표시 장치(100)의 에러 회복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를 콜드 부팅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종료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콜드 부팅은 영상 표시 장치(100)의 파워가 완전히 오프(off)된 상황에서 파워를 다시 온(on)시키고 다시 부팅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콜드 부팅은 영상 표시 장치를 리셋시키는 부팅을 의미한다. 콜드 부팅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는 오프 상태가 된다(즉, 블랙 화면이 된다).
한편, 에러 회복 방법은 시스템 에러의 원인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행중인 프로그램이 응답하지 않는 경우에는, 콜드 부팅을 하지 않고 응답하지 않는 프로그램을 종료함으로써 에러를 회복할 수 있다. 또한, 콜드 부팅과 프로그램 종료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즉, 콜드 부팅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메모리에 로딩되어 있는 프로그램(즉, 디폴트로 로딩되는 프로그램)의 개수가 많아서 프리 메모리가 부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디폴트로 로딩되는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를 강제 종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디폴트로 로딩되는 프로그램을 중요도 별로 다수의 타입으로 분류해 두고, 프리 메모리의 양에 따라서 특정 타입에 속하는 프로그램을 강제 종료시킬 수 있다.
또한, 에러 회복을 수행하는 시점(즉, 시작하는 시점)은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정보 모드에 진입한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에러 회복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시간은 사용자 또는 제조사에 의해서 조정될 수 있다.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후 사용자가 영상 표시 장치(100)에서 멀어짐(또는, 사용자의 부재)을 감지한 후에, 에러 회복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에러 회복을 수행하기 전에,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일반 모드에서의 작업 내용(또는 서스펜드 이미지(suspend image))을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한 후 영상 표시 장치(100)를 콜드 부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행하던 각종 프로그램의 현재 작업 상태, 프로세서를 포함한 제어부 및 주변기기의 현재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겠으나, 콜드 부팅을 하여 영상 표시 장치를 리셋한 후,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작업 내용을 휘발성 메모리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된 작업 내용은, 이후에 서스펜드 투 램(suspend to RAM) 동작에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일반 모드에서 제1 어플리케이션이 실행 중에,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이 입력되면, 제1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의 작업 내용을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한 후 콜드 부팅할 수 있다. 서스펜드 동작을 수행할 때,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작업 내용을 휘발성 메모리에 이동시킬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의 구동 방법에서, 영상 표시 장치(100)에 시스템 에러가 있더라도, 영상 표시 장치(100)가 정보 모드 전환 요청을 감지하는 경우 영상 표시 장치(100)는 정보 모드로 진입한다. 만약, 영상 표시 장치(100)가 정보 모드에 진입하기 전에 영상 표시 장치(100)가 시스템 에러를 먼저 회복시키면(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가 콜드 부팅하면), 사용자는 예상치 못한 디스플레이부의 오프 상태(블랙 화면)를 경험하게 된다. 즉, 시스템 에러를 회복하기 위한 정상적인 콜드 부팅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고장을 의심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시스템 에러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정보 모드로 먼저 진입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영상 표시 장치(100)의 예상치 못한 동작을 접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영상 표시 장치(100)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정보 모드 전환 요청)이 입력된다(S310).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이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50) 또는 영상 표시 장치(100)에 설치된 키(또는 버튼) 등을 통해서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다. 파워 키가 이용될 수도 있고,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을 위한 별도의 정보 모드 키가 이용될 수 있다.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정보 모드로 진입한다(S320). 영상 표시 장치(100)에 시스템 에러가 있더라도, 영상 표시 장치(100)가 정보 모드 전환 요청을 감지하는 경우 영상 표시 장치(100)는 정보 모드로 진입한다.
이어서, 외부 조건을 체크한다(S321).
구체적으로, 외부 조건을 체크함으로써 에러를 회복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충분한 시간이 확보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회복 동작을 수행(즉, 시작)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조건에 따라 회복 동작의 수행 시점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영상 표시 장치(100)에서 멀어지면(또는, 사용자의 부재), 회복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이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와 연동되는 경우, 영상 표시 장치(100)는 IoT서버를 통해서 이동 단말기로부터 위치 신호(예를 들어, GPS 신호)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동 단말기가 영상 표시 장치(100)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보다 이격되어 있는 경우에 회복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영상 표시 장치(100)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회복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시간이 충분히 확보되기 때문이다.
또는, 영상 표시 장치(100)는 외부 조건을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서는 조도 센서, 모션 센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센서의 센싱값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을 때 회복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의 주변의 조도가 낮아짐(즉, 어두어짐)을 센싱하면, 영상 표시 장치(100)가 설치된 공간의 조명이 꺼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의 주변에 움직임이 없음을 센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영상 표시 장치(100)가 설치된 공간에는 사용자가 부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회복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이동 단말기 위치 체크, 조도 센서/모션 센서 이용하는 것 이외의 다른 방식으로 외부 조건을 체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회복 동작의 수행 시점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동안, 정보 모드를 구비한 영상 표시 장치(100)의 시스템 에러를 회복할 수 있다.
외부 조건의 체크 결과, 회복 동작을 수행할 충분한 시간이 확보되는 경우, 영상 표시 장치(100)의 에러를 회복한다(S330).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를 콜드 부팅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종료하여 에러를 회복할 수 있다.
외부 조건의 체크 결과, 회복 동작을 수행할 충분한 시간이 확보되지 않는 경우, 정보 모드를 계속 유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정보 모드 전환 요청)이 입력된다(S310).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은 예를 들어, 파워 키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별도의 정보 모드 키가 이용될 수 있다.
이어서, 영상 표시 장치(10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정보 모드로 진입한다(S320).
이어서, 외부 조건을 체크한다(S321). 외부 조건의 체크 결과, 회복 동작을 수행할 충분한 시간이 확보되는 경우, 영상 표시 장치(100)의 에러 회복 동작이 수행된다. 충분한 시간이 확보되지 않으면, 정보 모드를 유지한다.
이어서, 영상 표시 장치(100)의 에러를 회복한다(S330).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를 콜드 부팅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종료하여 에러를 회복할 수 있다. 특히, 에러 회복 동작을 수행하기 전에,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일반 모드에서의 작업 내용(또는 서스펜드 이미지(suspend image))을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한 후 영상 표시 장치(100)를 콜드 부팅할 수 있다. 상기 서스펜드 이미지는 예를 들어, 일반 모드에서 실행하던 각종 프로그램의 현재 작업 상태(일반 모드에서 실행 중이던 제1 어플리케이션의 작업 내용), 프로세서를 포함한 제어부 및 주변기기의 현재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스펜드 이미지는 일반 모드로 복귀할 때 메인 프로세서가 처음으로 수행해야 할 메모리 주소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주소는 OS 운영체제의 커널 웨이크업 벡터값(kernel wakeup vector value, KWV)일 수 있다.
이어서, 영상 표시 장치(100)의 에러를 회복한 후에, 서스펜드 동작을 수행한다(S340).
구체적으로, 서스펜드 동작은 다양한 방식, 예를 들어, 서스펜드 투 램(suspend to RAM) 또는 서스펜드 투 디스크(suspend to disk)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서스펜드 투 램 방식의 경우를 설명한다.
서스펜드 동작은 영상 표시 장치(100)의 파워를 완전히 오프(off)시키는 것이 아니라, 영상 표시 장치(100)의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는 동작이다. 예를 들어, 서스펜드 동작 중에, 디스플레이부, 오디오 출력부(스피커, 헤드폰), SoC(System on Chip) 등은 완전히 오프되고, 셀프 리프레쉬(self-refresh) 동작을 수행하는 휘발성 메모리, 리쥼(resume)동작과 관련된 모듈(예를 들어, 파워 제어부)는 구동될 수 있도록 파워가 공급된다. 서스펜드 동작 중에, 메인 프로세서는 오프되지만, 마이컴(MICOM)으로 불리기도 하는 서브 프로세서는 오프되지 않는다. 서브 프로세서는 제어 장치(예를 들어, 리모컨)의 입력 신호를 수신대기한다. 디스플레이부는 꺼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영상 표시 장치(100)가 오프된 상태로 인식한다.
영상 표시 장치(100)는, 에러를 회복하기 전에(즉, 콜드 부팅하기 전에) 비휘발성 메모리에 작업 내용을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작업 내용을 서스펜드 동작을 수행할 때 휘발성 메모리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어서, 외부 조건을 체크하여(S341),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로 리쥼한다. 즉, 정보 모드로 리쥼한다(S343).
예를 들어, 센서(조도 센서, 모션 센서)의 센싱값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클 경우, 정보 모드로 리쥼할 수 있다. 즉, 영상 표시 장치(100)가 설치된 공간의 조명이 켜지거나, 영상 표시 장치(100) 주변의 움직임이 센싱되면, 서스펜드 모드에서 정보 모드로 리쥼한다. 또는, 영상 표시 장치(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이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와 연동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가 기설정된 거리 이하로 들어오면, 서스펜드 모드에서 정보 모드로 리쥼한다.
이후, 사용자가 파워 키 또는 정보 모드 전환 요청을 위한 별도의 정보 모드 키를 다시 입력함으로써 모드 전환을 요청하면, 정보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이 때,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작업 내용(서스펜드 이미지)를 이용함으로써, 콜드 부팅보다 빠르게 일반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패스트 부팅(fast booting)).
도 6에는 일반 모드에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상태(정보 모드)로 전환되고, 정보 모드에서 외부 조건 체크 결과 에러 회복할 수 있는 상황으로 판정된 경우, 에러 회복 후 서스펜드 동작을 수행하며, 서스펜드 동작 중에 외부 조건 체크의 결과 정보 모드로 리쥼해야 하는 상황으로 판정되면 정보 모드로 진입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서스펜드 모드에서 파워 키를 누르는 등의 입력을 가하는 경우에는 일반 모드로 전환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정보 모드 전환 요청)이 입력된다(S310).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이 입력될 수 있다.
이어서, 영상 표시 장치(100)의 에러 종류를 체크한다(S315). 에러의 종류를 체크하는 방법 등에 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거나 에러가 매우 미비한 경우(CASE1)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정보 모드로 진입한 후(S318), 에러 회복을 수행하지 않는다.
반면, 에러가 미비하지 않는 경우(CASE2)에는, 시스템 에러가 있더라도 먼저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정보 모드로 진입한다(S320). 이어서, 외부 조건을 체크한다(S321). 외부 조건의 체크 결과, 회복 동작을 수행할 충분한 시간이 확보되는 경우, 영상 표시 장치(100)의 에러를 회복한다(S330).
도 8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8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우선, 도 8을 참조하면,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정보 모드 전환 요청)이 입력된다(S310).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이 입력될 수 있다.
이어서, 영상 표시 장치(100)의 에러 종류를 체크한다(S315).
체크된 에러 종류에 따라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정보 모드에 진입하고 영상 표시 장치(100)의 에러는 회복하지 않거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정보 모드에 진입한 후 영상 표시 장치(100)의 에러를 회복하거나, 영상 표시 장치(100)의 에러를 회복한 후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정보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여기서, 에러 종류를 체크하는 것은, 예를 들어,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메모리의 여유 공간을 체크하거나, 프로세서의 사용률을 체크하거나,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작동 오류 여부를 체크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특정 어플리케이션에 오류가 있는 경우에는, 정보 모드로 진입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기 위해서 메모리의 여유 공간이 필요한데, 이러한 여유 공간이 부족한 경우 정보 모드로 진입하는 것이 어렵다.
구체적으로,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거나 에러가 매우 미비한 경우(CASE1)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정보 모드로 진입한 후(S318), 에러 회복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에러 회복을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작업 내용(또는 서스펜드 이미지)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에러가 매우 미비한 경우(CASE1)는, 예를 들어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초기 크래쉬가 발생하지 않고, 메모리 여유 공간이 제1 기준치 이상이며, 프로세서의 사용률이 제2 기준치 이하인 경우를 가리킬 수 있다.
또는, 에러가 간단한 경우(CASE2)에는, 먼저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정보 모드에 진입(S320)한 후, 외부 조건에 따라서(S321), 영상 표시 장치(100)의 에러를 회복한다(S330). 에러가 간단한 경우(CASE2)는, 예를 들어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초기 크래쉬가 발생하지 않고, 메모리 여유 공간이 상기 제1 기준치 이하이지만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바이너리(binary)가 로드되기 위한 최소 필요 크기보다는 큰 경우를 가리킬 수 있다. 또한, 에러가 간단한 경우(CASE2)는, 예를 들어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른 초기 크래쉬가 발생하지 않고, 프로세서의 사용률이 상기 제2 기준치 이상이지만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바이너리(binary)가 실행되기 위한 최대 프로세서 사용률보다는 낮은 경우를 가리킬 수도 있다.
에러가 간단한 경우(CASE2), 외부 조건에 따라 회복 동작(S330)의 수행 시점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위치 신호를 제공받고, 이동 단말기가 영상 표시 장치(100)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보다 이격되어 있는 경우에 회복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 표시 장치(100)는 외부 조건을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예를 들어, 조도 센서 또는 모션 센서)를 포함하고, 센서의 센싱값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을 때 회복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에러 회복 동작을 수행하기 전에,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일반 모드에서의 작업 내용(또는 서스펜드 이미지)을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한 후,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를 콜드 부팅할 수 있다.
또는, 에러가 중대한 경우(CASE3)에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먼저 영상 표시 장치(100)의 에러를 회복(S339)한 후, 정보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S329). 또한, 에러 회복 동작을 수행하기 전에, 작업 내용(서스펜드 이미지)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한다. 에러가 중대한 경우(CASE3)에는 외부 조건과 무관하게 회복 동작(S339)이 바로 수행된다.
에러가 중대한 경우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 바로 크래쉬가 발생되는 경우, 또는 메모리 여유 공간이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바이너리(binary)가 로드되기 위한 최소 필요 크기에 못미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즉, 정보 모드로 진입(S329)하는 것보다 에러 회복(S339)을 먼저 하는 경우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자체를 구동시키기 어려운 경우이다.
이와 같이 특정 어플리케이션 자체를 구동시키기 어려운 경우를 제외하고, 영상 표시 장치(100)의 에러를 회복시키기 전에 먼저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정보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인식하지 못하는 동안, 정보 모드를 구비한 영상 표시 장치(100)의 시스템 에러를 회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영상 표시 장치(100)의 예상치 못한 동작을 접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영상 표시 장치(100)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거나 에러가 매우 미비한 경우(CASE1), 영상 표시 장치(100)는 정보 모드로 진입한 후(S318), 외부 조건에 따라서 서스펜드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 모드에서 정보 모드로 전환할 때 일반 모드에서의 작업 내용이 휘발성 메모리에 프리징 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서스펜드 모드에서 사용자가 파워 키를 누르는 경우 일반 모드로 리쥼되되, 상기 프리징 되어 있는 작업 내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마지막 작업 내용이 빠르게 복원될 것이다.
또한,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에러가 간단한 경우(CASE2), 영상 표시 장치(100)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에러를 회복(S330)한 후, 외부 조건에 따라서 서스펜드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에러 회복(S330)을 수행하기 전에, 휘발성 메모리에 프리징 되어 있던 일반 모드의 작업 내용이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고, 서스펜드 모드에 진입할 때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작업 내용을 휘발성 메모리에 이동시킴으로써, 에러의 회복(S330)에도 불구하고 서스펜드 모드에서 일반 모드로의 리쥼 시 마지막 작업 내용이 신속하게 복원 될 수 있다.
한편, 제조자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동일한 응용 프로그램(예를 들어, 유튜브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구동시키는 과정에서, CASE1의 흐름(S318)을 따라 서스펜드 모드 진입 후 일반 모드로 리쥼된 경우의 화면과, CASE2의 흐름(S320, S321, S330)을 따라 서스펜드 모드 진입 후 일반 모드로 리쥼된 경우의 화면은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일반 모드에서 정보 모드로 전환될 때 프리징 되는 데이터에 써드 파티 어플리케이션의 작업 내용이 포함되지 않고, 써드 파티 어플리케이션 자체적으로 작업 내용을 복원하는 기능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동영상 스트리밍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서 동영상을 10분정도 시청하다가 서스펜드 모드에 진입한 경우를 가정해 보자. CASE1의 흐름(S318)에 따른 서스펜드/리쥼된 경우에는 동영상의 시청중단시점(즉, 10분)으로 리쥼되고, CASE2의 흐름(S320, S321, S330)에 따른 서스펜드/리쥼된 경우에는 유튜브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만 로딩되어 있는 상태로만 리쥼될 수 있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0의 영상 표시 장치는, 도 1 내지 도 3의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예시적인 장치일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100)는 감지부(110), 프로세서(120) 및 메모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1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여, 수신된 신호를 프로세서(12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10)는 도 2에 도시된 제어 장치(50)로부터 영상 표시 장치의 파워를 온(On)/오프(Off)하는 입력, 채널 선택 입력, 채널-업/다운 입력, 화면 설정 입력,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정보 모드 전환 요청) 등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동안,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10)는 영상 표시 장치(100)에 포함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정보 모드 전환 요청)을 감지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은, 제어 장치(50) 또는 영상 표시 장치(100)에 설치된 파워키 또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을 위한 별도의 키를 누르는 것일 수 있다.
또한, 감지부(110)는 외부의 파워 소스로부터 영상 표시 장치(100)로 파워가 공급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100)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파워 플러그가 외부의 파워 소스와 연결되었는지, 또는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10)는 외부의 파워 소스로부터 파워 공급이 중단되었다가 파워 공급이 재개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전이 발생되는 경우, 외부의 파워 소스로부터 파워 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영상 표시 장치(1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은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30)에 저장된 프로그램(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은 프로세서(12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비휘발성 메모리 및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는 영상 표시 장치(1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및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운영 체계, 응용 프로그램 등)를 저장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는 파워 공급이 중단되어도 저장된 데이터가 삭제되지 않는 메모리이며, 비휘발성 메모리는 NAND 플래시(flash), NOR 플래시 등의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휘발성 메모리는 파워 공급이 중단되면 저장된 데이터가 삭제되는 장치이며, 휘발성 메모리는 SRAM(Static RAM), DRAM(Dynamic RAM)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20)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딩하여, 소프트웨어를 구동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휘발성 메모리에 로딩된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운영 체제 및 응용 프로그램 등)와 관련된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영상 표시 장치(100)의 내부 구성 요소들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프로세서(120)는 영상 표시 장치(1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운영체계((Operating System, OS) 및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중앙 처리 장치(CPU)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소프트웨어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딩하여, 구동시킬 수 있으며, 감지부(110)를 통하여 수신된 사용자 명령 또는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비디오에 대응되는 그래픽 처리를 위한 그래픽 프로세서(Graphic Processing Unit, 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코어(core, 미도시)와 GPU(미도시)를 통합한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main processor, 미도시) 및 서스펜드 모드(suspend mode)에서 동작하는 서브 프로세서(sub processor, 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30)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는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여, 여러가지 동작을 제어/수행한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10)가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정보 모드 전환 요청)이 입력되면, 프로세서(12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정보 모드로 진입하고 정보 모드에 진입한 후에 영상 표시 장치(100)의 에러를 회복하도록 제어한다. 프로세서(1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에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이 입력되면, 영상 표시 장치의 에러 종류를 체크하고, 체크된 에러 종류에 따라,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에러를 회복할 지, 영상 표시 장치의 에러를 회복한 후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지를 결정한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영상 표시 장치(100)를 콜드 부팅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종료시켜서, 영상 표시 장치(100)의 에러를 회복하도록 한다. 프로세서(120)는 에러의 원인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영상 표시 장치(100)의 에러를 회복한 후에, 영상 표시 장치(100)가 서스펜드(suspend)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한다.
특히, 콜드 부팅을 통해서 에러를 회복하는 경우, 프로세서(120)는 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일반 모드에서의 작업 내용(또는 서스펜드 이미지)을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한 후 영상 표시 장치(100)를 콜드 부팅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영상 표시 장치(100)가 서스펜드 모드로 진입할 때,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작업 내용을 휘발성 메모리로 이동시킨다. 영상 표시 장치(100)가 일반 모드로 복귀할 때, 프로세서(120)는 휘발성 메모리에 이동/저장된 작업 내용을 이용하여 패스트 부팅(fast booting)하도록 제어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1의 영상 표시 장치는, 도 4 내지 도 9의 영상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예시적인 장치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100)에서, 프로세서(120)는 외부 조건에 따라 회복 동작의 수행 시점(시작 시점)이 변경되도록 더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100)는 통신부(140)를 통해서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위치 신호(예를 들어, GPS신호)를 제공받고, 이동 단말기가 영상 표시 장치(100)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보다 이격되어 있는 경우에 회복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영상 표시 장치(100)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회복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시간이 충분히 확보되기 때문이다.
또는, 감지부(110)는 외부 조건을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감지부(110)는 영상 표시 장치(100) 주변의 조도를 센싱하는 조도 센서와, 영상 표시 장치(100) 주변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모션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센서의 센싱값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을 때, 회복 동작을 수행하도록 더 제어할 수 있다.
조도 센서를 이용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의 주변의 조도가 낮아짐(즉, 어두어짐)을 센싱하면, 영상 표시 장치(100)가 설치된 공간의 조명이 꺼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모션 센서를 이용하여 영상 표시 장치(100)의 주변에 움직임이 없음을 센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영상 표시 장치(100)가 설치된 공간에는 사용자가 부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120)는 이러한 경우 회복 동작이 수행되도록 더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중에, 감지부(110)가 정보 모드 전환 요청을 감지하면, 프로세서(120)는 정보 모드로 진입하기 전에, 에러 종류를 체크하도록 더 제어한다. 여기서, 에러 종류를 체크하는 것은, 정보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메모리(130)의 여유 공간을 체크하거나, 정보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작동 오류 여부를 체크하는 것이다.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거나 에러가 매우 미비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정보 모드로 진입한 후, 에러 회복을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에러가 간단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먼저 정보 모드에 진입한 후, 외부 조건에 따라서 영상 표시 장치(100)의 에러를 회복하도록 제어한다.
에러가 중대한 경우, 프로세서(120)는 먼저 영상 표시 장치(100)의 에러를 회복한 후, 정보 모드에 진입하도록 제어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2의 영상 표시 장치는 도 10 및 도 11의 영상 표시 장치의 구체적인 구현예일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영상 표시 장치(200)는 제어부(210), 디스플레이부(220), 감지부(230), 비디오 처리부(280), 오디오 처리부(215), 오디오 출력부(225), 파워부(260), 튜너부(240), 통신부(250), 입/출력부(270), 저장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0 및 도 11에서 설명한 영상 표시 장치(100)의 구성은 도 12에 도시된 영상 표시 장치(200)의 구성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 및 도 11의 감지부(110)는 도 12의 감지부(230)에, 도 10 및 도 11의 프로세서(120)는 도 12의 프로세서(283)에, 도 10 및 도 11의 메모리(130)는 도 12의 저장부(290), RAM(281) 및 ROM(281)에 대응되므로, 동일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비디오 처리부(280)는, 영상 표시 장치(200)가 수신한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비디오 처리부(280)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스케일링, 노이즈 필터링, 프레임 레이트 전환, 해상도 전환 등과 같은 다양한 이미지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0)는 제어부(21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등을 전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22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2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2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24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비디오를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20)는 통신부(250) 또는 입/출력부(270)를 통해 입력되는 컨텐츠(예를 들어, 동영상)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2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290)에 저장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20)는 음성 인식에 대응되는 음성 인식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음성 UI(User Interface: 예를 들어, 음성 가이드를 포함하는) 또는 모션 인식에 대응되는 모션 인식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 모션 UI(예를 들어, 모션 인식을 위한 사용자 모션 가이드를 포함)를 표시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215)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215)에서는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이나 증폭, 노이즈 필터링 등과 같은 다양한 처리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처리부(215)는 복수의 컨텐츠에 대응되는 오디오를 처리하기 위해 복수의 오디오 처리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225)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튜너부(24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를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225)는 통신부(250) 또는 입/출력부(270)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사운드)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출력부(225)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290)에 저장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225)는 스피커(226), 헤드폰 출력 단자(227) 또는 S/PDIF(Sony/Philips Digital Interface: 출력 단자(22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225)는 스피커(226), 헤드폰 출력 단자(227) 및 S/PDIF 출력 단자(228)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파워부(260)는 외부의 파워 소스로부터 메인 파워를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파워부(26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영상 표시 장치(200) 내부의 구성 요소들로 외부의 파워 소스로부터 입력되는 파워를 공급한다. 또한, 파워부(26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영상 표시 장치(200) 내부에 위치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배터리(미도시)에서부터 출력되는 파워를 내부의 구성 요소들에게 공급할 수 있다.
튜너부(24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방송 신호를 증폭(amplification), 혼합(mixing), 공진(resonance)등을 통하여 많은 전파 성분 중에서 영상 표시 장치(200)에서 수신하고자 하는 채널의 주파수만을 튜닝(tuning)시켜 선택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오디오(audio), 비디오(video)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포함한다.
튜너부(240)는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제어 장치(5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 예컨대, 채널 번호 입력, 채널의 업다운(up-down) 입력 및 EPG 화면에서 채널 입력)에 따라 채널 번호(예를 들어, 케이블 방송 506번)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부(240)는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인터넷 방송 등과 같이 다양한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튜너부(240)는 아날로그 방송 또는 디지털 방송 등과 같은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튜너부(240)를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는 디코딩(decoding, 예를 들어, 오디오 디코딩, 비디오 디코딩 또는 부가 정보 디코딩)되어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로 분리된다. 분리된 오디오, 비디오 및/또는 부가 정보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저장부(290)에 저장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200)의 튜너부(240)는 하나이거나 복수일 수 있다. 튜너부(240)는 영상 표시 장치(200)와 일체형(all-in-one)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영상 표시 장치(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튜너부를 가지는 별개의 장치(예를 들어, 셋탑박스(set-top box, 미도시), 입/출력부(270)에 연결되는 튜너부(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25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영상 표시 장치(200)를 외부 장치(예를 들어, 오디오 장치 등)와 연결할 수 있다. 통신부(250)는 영상 표시 장치(200)의 성능 및 구조에 대응하여 무선 랜(251), 블루투스(252), 및 유선 이더넷(Ethernet, 253)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50)는 무선랜(251), 블루투스(252), 및 유선 이더넷(Ethernet, 253)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5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장치(50)의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블루투스 타입, RF 신호 타입 또는 와이파이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250)는 블루투스(252) 통신을 통하여, 제어 장치(50)로부터 블루투스 타입의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250)는 블루투스 외에 다른 근거리 통신(예를 들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미도시), BLE(bluetooth low energy,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230)는 사용자의 음성, 사용자의 영상 또는 사용자의 인터랙션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부(230)는 마이크(331), 카메라부(332), 광 수신부(333), 조도 센서(234), 모션 센서(235)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마이크(231)는 사용자의 발화(utterance)된 음성을 수신한다. 마이크(231)는 수신된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10)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 음성은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200)의 메뉴 또는 기능에 대응되는 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231)는 영상 표시 장치(2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마이크(231)는 통신부(250) 또는 입/출력부(270)를 통해 영상 표시 장치(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200)의 성능 및 구조에 따라 마이크(231)가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마이크(231)는 영상 표시 장치(200) 파워의 온 또는 오프 명령에 대응하는 음성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10)로 출력할 수 있다.
카메라부(232)는 카메라 인식 범위에서 제스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모션에 대응되는 영상(예를 들어, 연속되는 프레임)을 수신한다. 사용자 모션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얼굴, 표정, 손, 주먹, 손가락과 같은 사용자의 신체 일부분 또는 사용자 일부분의 모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232)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수신된 영상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10)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부(232)는 영상 표시 장치(200) 파워의 온 또는 오프 명령에 대응하는 모션(제스쳐)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21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수신된 모션의 인식 결과를 이용하여 영상 표시 장치(200)에 표시되는 메뉴를 선택하거나 모션 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제어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조정, 볼륨 조정, 지시자 이동, 커서 이동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232)는 영상 표시 장치(2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분리된 카메라부(232)를 포함하는 별도의 장치(미도시)는 통신부(250) 또는 입/출력부(270)를 통해 영상 표시 장치(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200)의 성능 및 구조에 따라 카메라부(232)가 제외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광 수신부(233)는 외부의 제어 장치(50)에서부터 수신되는 광 신호(제어 신호를 포함)를 디스플레이부(220)의 베젤의 광창(미도시) 등을 통해 수신한다. 광 수신부(233)는 제어 장치(50)로부터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터치, 눌림, 터치 제스처, 음성, 또는 모션)에 대응되는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광 신호로부터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제어 신호가 추출될 수 있다.
광 수신부(233)는 제어 장치(50)의 정보 모드 전환 요청(예를 들어, 파워 키 입력)에 대응되는 광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조도 센서(234)는 영상 표시 장치(2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200)의 주변 조도를 측정한다. 조도 센서(234)에 의해 획득된 조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프로세서(283)는 회복 동작의 수행 시점을 변경하거나, 서스펜드 모드에서 정보 모드로 전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모션 센서(235)는 영상 표시 장치(200)와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영상 표시 장치(200)의 주변 움직임을 센싱한다. 모션 센서(235)에 의해 획득된 모션 데이터를 이용하여, 프로세서(283)는 회복 동작의 수행 시점을 변경하거나, 서스펜드 모드에서 정보 모드로 전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입/출력부(27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영상 표시 장치(200)의 외부에서부터 비디오(예를 들어, 동영상 등), 오디오(예를 들어, 음성, 음악 등) 및 부가 정보(예를 들어, EPG 등) 등을 수신한다. 입/출력부(270)는 HDMI 포트(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ort, 271), 컴포넌트 잭(component jack, 272), PC 포트(PC port, 273), 및 USB 포트(USB port, 274)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270)는 HDMI 포트(271), 컴포넌트 잭(272), PC 포트(273), 및 USB 포트(274)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270)의 구성 및 동작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제어부(210)는 영상 표시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영상 표시 장치(200)의 내부 구성 요소들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210)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거나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저장부(290)에 저장된 OS(Operation System) 및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영상 표시 장치(200)의 외부에서부터 입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영상 표시 장치(2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281), 영상 표시 장치(2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282) 및 프로세서(Processor, 28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픽 처리부(284)는 연산부(미도시) 및 렌더링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아이콘, 이미지, 텍스트 등과 같은 다양한 객체를 포함하는 화면을 생성한다. 연산부는 감지부(230)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입력을 이용하여 화면의 레이아웃에 따라 각 객체들이 표시될 좌표값, 형태, 크기, 컬러 등과 같은 속성값을 연산한다. 렌더링부는 연산부에서 연산한 속성값에 기초하여 객체를 포함하는 다양한 레이아웃의 화면을 생성한다. 렌더링부에서 생성된 화면은 디스플레이부(220)의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 표시된다.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85-1 내지 285-n)는 상술한 각종 구성요소들과 연결된다. 인터페이스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램(281), 롬(282), 프로세서(283), 그래픽 처리부(284), 제1 내지 n 인터페이스(285-1 내지 285-n)는 내부 버스(bus)(286)를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영상 표시 장치의 제어부"라는 용어는 프로세서(283), 롬(282) 및 램(281)을 포함한다.
저장부(29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영상 표시 장치(200)를 구동하고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90)는 비디오 처리부(280), 디스플레이부(220), 오디오 처리부(215), 오디오 출력부(225), 파워부(230), 튜너부(240), 통신부(250), 감지부(230), 입/출력부(270)의 구동에 대응되는 입력/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90)는 영상 표시 장치(200) 및 제어부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제조사에서 최초 제공되거나 외부에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기 위한 오브젝트(예를 들어, 이미지 텍스트, 아이콘, 버튼 등), 사용자 정보, 문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 라는 용어는 저장부(290), 제어부의 롬(282), 램(281) 또는 영상 표시 장치(20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USB 메모리, 미도시)를 포함한다. 또한, 저장부(290)는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90)는 도시되지 아니한 방송 수신 모듈, 채널 제어 모듈, 볼륨 제어 모듈, 통신 제어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광 수신 모듈,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오디오 제어 모듈, 외부 입력 제어 모듈, 파워 제어 모듈, 무선(예를 들어, 블루투스)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의 파워 제어 모듈, 음성 데이터베이스(DB), 또는 모션 데이터베이스(DB)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290)의 도시되지 아니한 모듈들 및 데이터 베이스는 영상 표시 장치에서 방송 수신의 제어 기능, 채널 제어 기능, 볼륨 제어 기능, 통신 제어 기능, 음성 인식 기능, 모션 인식 기능, 광 수신 제어 기능, 디스플레이 제어 기능, 오디오 제어 기능, 외부 입력 제어 기능, 파워 제어 기능 또는 무선(예를 들어, 블루투스)으로 연결되는 외부 장치의 파워 제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10)는 저장부(290)에 저장된 이들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각각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20)를 가지는 영상 표시 장치(200)는 튜너부를 가지는 별도의 외부 장치(예를 들어, 셋탑 박스, 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표시 장치(200)는 아날로그 TV, 디지털 TV, 3D-TV, 스마트 TV, LED TV, OLED TV, 플라즈마 TV, 모니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 200)의 블록도는 일 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 2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표시 장치의 동작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그램 명령으로 구성된 컴퓨터 프로그램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1 전자 장치로부터 제2 전자 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제2 전자 장치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제2 전자 장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 장치 및 상기 제2 전자 장치는, 서버 장치,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서버 풀에 속한 물리 서버, 데스크탑 피씨와 같은 고정식 전자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영상 표시 장치
110: 감지부
120: 프로세서
130: 메모리
140: 통신부
110: 감지부
120: 프로세서
130: 메모리
140: 통신부
Claims (20)
- 영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메모리; 및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인스트럭션들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에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에러 종류를 체크하고,
상기 체크된 에러 종류에 따라,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에러를 회복할지,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에러를 회복한 후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지를 결정하고,
상기 에러를 회복한 후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로 결정한 경우, 에러 회복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에러 회복 동작을 수행 후,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상기 에러를 회복하기로 결정한 경우,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중에, 통신부를 통해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 또는 카메라를 통해 촬상된 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에러 회복 동작을 수행하는, 영상 표시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메모리의 여유 공간을 체크하거나, 상기 프로세서의 사용률을 체크하거나,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작동 오류 여부를 체크함으로써,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에러 종류를 체크하도록 구성된 영상 표시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된 에러 종류에 따라,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에러를 회복하는상기 에러 회복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 조건에 따라 상기 에러 회복 동작의 수행 시점을 변경하도록 구성된 영상 표시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위치 신호를 제공받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영상 표시 장치로부터 기설정된 거리보다 이격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에러 회복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영상 표시 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장치는 외부 조건을 센싱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의 센싱값이 기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을 때 상기 에러 회복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영상 표시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된 에러 종류에 따라,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에러를 회복한 후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외부 조건과 무관하게 상기 에러 회복 동작이 바로 수행되도록 구성된 영상 표시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를 콜드 부팅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종료시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여 상기 에러를 회복하도록 구성된 영상 표시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은, 날짜 정보, 시간 정보, 온도 정보, 날씨 정보 및 일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어플리케이션인 영상 표시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와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 중의 작업 내용을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영상 표시 장치를 콜드 부팅함으로써 상기 에러를 회복하도록 구성되고,
서스펜드 동작을 수행할 때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 작업 내용을 상기 휘발성 메모리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영상 표시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영상 표시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 중에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에러 종류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체크된 에러 종류에 따라,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에러를 회복할지,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에러를 회복한 후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에러를 회복한 후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로 결정한 경우, 에러 회복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에러 회복 동작을 수행 후,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상기 에러를 회복하기로 결정한 경우,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중에, 통신부를 통해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 또는 카메라를 통해 촬상된 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에러 회복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종류를 체크하는 단계는,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메모리의 여유 공간을 체크하거나, 프로세서의 사용률을 체크하거나,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작동 오류 여부를 체크함으로써,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에러 종류를 체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체크된 에러 종류에 따라,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상기 영상 표시 장치의 에러를 회복하는 경우,
외부 조건에 따라 상기 에러 회복 동작의 수행 시점이 변경되되,
상기 외부 조건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 또는 상기 영상 표시 장치 주변의 조도 또는 움직임을 포함하는 방법. -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어플리케이션은, 날짜 정보, 시간 정보, 온도 정보, 날씨 정보 및 일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하는 어플리케이션인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6535A KR102429433B1 (ko) | 2018-01-18 | 2018-01-18 |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CN201980006176.9A CN111434117B (zh) | 2018-01-18 | 2019-01-16 | 图像显示装置及操作图像显示装置的方法 |
EP19741556.5A EP3682646B1 (en) | 2018-01-18 | 2019-01-16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
PCT/KR2019/000626 WO2019143115A1 (en) | 2018-01-18 | 2019-01-16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
US16/250,227 US10908985B2 (en) | 2018-01-18 | 2019-01-17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06535A KR102429433B1 (ko) | 2018-01-18 | 2018-01-18 |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88242A KR20190088242A (ko) | 2019-07-26 |
KR102429433B1 true KR102429433B1 (ko) | 2022-08-04 |
Family
ID=67212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06535A KR102429433B1 (ko) | 2018-01-18 | 2018-01-18 |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0908985B2 (ko) |
EP (1) | EP3682646B1 (ko) |
KR (1) | KR102429433B1 (ko) |
CN (1) | CN111434117B (ko) |
WO (1) | WO201914311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520554B2 (en) * | 2020-05-06 | 2022-12-06 | Kyle Britton | Digital décor device |
CN115032788B (zh) * | 2021-03-05 | 2023-11-24 | 大立光电股份有限公司 | 头戴装置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206353A1 (en) * | 2010-02-24 | 2011-08-25 | Kabushiki Kaisha Toshiba | Televison apparatus |
US20170220357A1 (en) | 2016-02-01 | 2017-08-0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366462B2 (en) * | 2003-10-24 | 2008-04-29 | Qualcomm Incorporated | Method and apparatus for seamlessly switching reception between multimedia stream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US7689814B2 (en) * | 2004-12-20 | 2010-03-30 |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abling error countermeasures in a processing system |
KR100691120B1 (ko) * | 2006-01-16 | 2007-03-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메모리 에러 관리를 위한 미들웨어 및 메모리 에러 관리방법 |
US7734949B2 (en) * | 2006-03-30 | 2010-06-08 | Alcatel Lucent | Information error recovery apparatus and methods |
KR101370344B1 (ko) | 2007-05-31 | 2014-03-06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KR101696490B1 (ko) | 2011-09-06 | 2017-01-13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부분 리부팅 복구 장치 및 방법 |
EP2620865A3 (en) | 2012-01-27 | 2016-08-2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101980643B1 (ko) * | 2012-01-27 | 2019-08-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KR101437448B1 (ko) | 2012-12-05 | 2014-09-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
US9442793B2 (en) * | 2013-07-23 | 2016-09-13 | Qualcomm Incorporated | Robust hardware/software error recovery system |
US9635420B2 (en) * | 2013-11-07 | 2017-04-25 | Echostar Technologies L.L.C. | Energy saving set top box |
KR20160016405A (ko) * | 2014-08-05 | 2016-02-15 | 삼성전자주식회사 |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KR20170020090A (ko) * | 2015-08-13 | 2017-02-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
US10007586B2 (en) * | 2016-01-08 | 2018-06-26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Deferred server recovery in computing systems |
US10614772B2 (en) * | 2016-03-08 | 2020-04-07 | Huawei Technologies Co., Ltd. | Display method and terminal device |
JP6454748B2 (ja) * | 2016-05-18 | 2019-01-16 |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 ユーザの存否を認定する方法、デバイスの制御方法および電子機器 |
US10929232B2 (en) * | 2017-05-31 | 2021-02-23 | Intel Corporation | Delayed error processing |
CN107509108B (zh) * | 2017-08-23 | 2020-06-30 |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 一种智能电视在异常情况重启后网络类型恢复的方法 |
-
2018
- 2018-01-18 KR KR1020180006535A patent/KR10242943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
- 2019-01-16 WO PCT/KR2019/000626 patent/WO2019143115A1/en unknown
- 2019-01-16 CN CN201980006176.9A patent/CN111434117B/zh active Active
- 2019-01-16 EP EP19741556.5A patent/EP3682646B1/en active Active
- 2019-01-17 US US16/250,227 patent/US10908985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206353A1 (en) * | 2010-02-24 | 2011-08-25 | Kabushiki Kaisha Toshiba | Televison apparatus |
US20170220357A1 (en) | 2016-02-01 | 2017-08-0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9143115A1 (en) | 2019-07-25 |
US20190220343A1 (en) | 2019-07-18 |
US10908985B2 (en) | 2021-02-02 |
CN111434117B (zh) | 2023-01-13 |
EP3682646B1 (en) | 2023-06-07 |
EP3682646A1 (en) | 2020-07-22 |
EP3682646A4 (en) | 2020-07-22 |
KR20190088242A (ko) | 2019-07-26 |
CN111434117A (zh) | 2020-07-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53246B2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US11435974B2 (en) | Display device, mobile device, screen mirro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and screen mirroring method of mobile device | |
US10379698B2 (en) |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US20170220357A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CN109089138B (zh) | 图像显示装置及操作其的方法 | |
KR102347069B1 (ko) | 전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KR102325341B1 (ko) |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US12107693B2 (en) | Method of controlling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method | |
US20170195609A1 (en) |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 |
KR102300435B1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 |
KR20180043627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 |
KR102429433B1 (ko) |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 |
KR20160098842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 |
KR102428375B1 (ko) |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 |
US10534519B2 (en) |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KR20170072652A (ko)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 |
US20170285767A1 (en) |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 |
US20170026677A1 (en) |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 |
KR102593437B1 (ko) |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
KR20220079193A (ko) | 제어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