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8512A - 원격 제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들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원격 제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들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8512A
KR20180058512A KR1020160157553A KR20160157553A KR20180058512A KR 20180058512 A KR20180058512 A KR 20180058512A KR 1020160157553 A KR1020160157553 A KR 1020160157553A KR 20160157553 A KR20160157553 A KR 20160157553A KR 20180058512 A KR20180058512 A KR 20180058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output
audio
test tone
audio signal
remot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7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9165B1 (ko
Inventor
이원재
박종진
김민섭
윤현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7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165B1/ko
Priority to US15/796,973 priority patent/US10721433B2/en
Priority to EP17199668.9A priority patent/EP3327692B1/en
Priority to CN201711189350.7A priority patent/CN108111891B/zh
Publication of KR20180058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8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H04N5/4403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digital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5/4458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2Disposition of sound repro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10Power supply of remote control devices
    • G08C2201/12Power saving techniques of remote control or controlled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50Receiving or transmitting feedback, e.g. replies, status updates, acknowledgements, from the controlled devices
    • G08C2201/51Remote controlling of devices based on replies, status thereof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2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waves
    • H04N2005/4423
    • H04N2005/4426
    • H04N2005/442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1Dedicated function buttons, e.g. for the control of an EPG, subtitles, aspect ratio, picture-in-picture or tele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25/00Details of deaf aids covered by H04R25/00,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25/61Aspects relating to 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e.g. func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03Aspects of the reduction of energy consumption in hea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원격 제어 장치가 개시된다. 본 원격 제어 장치는 송신부, 오디오 출력 장치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마이크가 수신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원격 제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들의 제어 방법 { REMOTE CONTROLLER,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원격 제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들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 오디오 출력 장치와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들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술의 발전으로, 가정에는 많은 전자 기기들이 설치되고 있으며, 하나의 전자 기기에 다른 전자 기기를 연결하는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보다 좋은 음질을 제공받기 위해 TV에 스피커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다.
다만, 이 경우, 사용자는 전자 기기 별로 개별적으로 전원을 조작하여야 한다는 점에서, 보다 손쉬운 방법으로 전자 기기에 연결된 다른 전자 기기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가 변경됨에 따라 오디오 출력 장치에서 테스트 톤 신호가 출력되는지에 기초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전원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원격 제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들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는 송신부, 오디오 출력 장치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마이크가 수신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마이크가 수신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뮤트 신호를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뮤트 신호를 전송한 이후 상기 마이크가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마이크가 수신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신호를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마이크가 수신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신호를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따라 상기 마이크가 수신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신호를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오디오 출력 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변경에 따라 테스트 톤을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마이크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원격 제어 장치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테스트 톤을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한 이후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오디오 신호를 다른 기기에서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상기 오디오 신호의 전송을 중단하고 상기 테스트 톤을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한 이후,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상기 테스트 톤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전원 온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온 시키고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상기 테스트 톤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오디오 출력 장치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마이크가 수신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마이크가 수신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뮤트 신호를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뮤트 신호를 전송한 이후 상기 마이크가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마이크가 수신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신호를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마이크가 수신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신호를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따라 상기 마이크가 수신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신호를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변경에 따라 테스트 톤을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원격 제어 장치가 마이크를 통해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테스트 톤을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한 이후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오디오 신호를 다른 기기에서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상기 오디오 신호의 전송을 중단하고 상기 테스트 톤을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한 이후,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상기 테스트 톤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전원 온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온 시키고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상기 테스트 톤을 전송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출력 장치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테스트 톤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지 여부에 따라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전원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원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오디오 시스템(1000)은 원격 제어 장치(100),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 오디오 출력 장치(300)를 포함한다.
원격 제어 장치(100)는 리모컨으로 구현되어, 오디오 출력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격 제어 장치(100)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는 코드 셋(code set)에 기초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을 온 시키거나, 오프시킬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장치(100)는 블루투스 방식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와 연결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오디오 출력 장치(300)는 optical 케이블, RCA 케이블 또는 AUX 케이블 등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고, 오디오 출력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방송 프로그램 등과 같은 컨텐츠에 대한 영상 신호를 출력하고, 해당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하여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를 오디오 출력 장치(30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TV로 구현되고, 오디오 출력 장치(300)는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일 뿐이고,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오디오 출력 장치(300)는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고,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태에 따라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을 자동으로 온 시키거나 오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고,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다른 기기 가령,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마련된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연결된 다른 오디오 출력 장치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원이 오프되는 경우, 원격 제어 장치(100)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원이 온 되고 출력 소스가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설정된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원격 제어 장치(100)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을 온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사용자 명령이 없이도,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태에 따라 그에 대응되도록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이 제어된다는 점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원격 제어 장치(100)는 송신부(110), 마이크(120), 통신부(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한다.
송신부(110)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예를 들어, 송신부(110)는 코드 셋에 따라 생성된 제어 신호(예를 들어, 광 신호)를 IR 방식으로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송신부(110)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제조사 또는 기기 타입에 대응되는 커스텀 코드 및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가령, 전원 온, 전원 오프 또는 뮤트(mute) 등)을 나타내는 키 코드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신호는 반송파(carrier wave)에 변조되어 출력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송신부(110)는 IR-LED(infrared-laser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220)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마이크(220)는 원격 제어 장치(200)의 주변에서 발생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특히, 마이크(220)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30)는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칩 등을 포함하여, 블루투스 통신 방식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일 뿐이고, 다양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프로세서(140)는 원격 제어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먼저,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통신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연결되도록 통신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마이크(120)를 통해 오디오 출력 장치(30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에서 출력된 오디오 신호가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되면, 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에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경우, 마이크(120)를 통해 오디오 출력 장치(30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마이크(120)가 수신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test tone)(또는, 테스트 톤 신호)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면,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하도록 송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고 있는 상태에서 오디오 신호를 다른 기기(가령,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마련된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연결된 다른 오디오 출력 장치)에서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오디오 신호의 전송을 중단하고 테스트 톤을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하고, 다른 기기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이 온인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있던 오디오 출력 장치(300)는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중단하고, 테스트 톤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기기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고 있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마련된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연결된 다른 오디오 출력 장치를 통해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 전환 명령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입력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신호의 전송을 중단하고,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마련된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연결된 다른 오디오 출력 장치를 통해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더 이상 전송하지 않고,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마련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연결된 다른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테스트 톤을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디오 출력 장치(300)는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중단하고, 테스트 톤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테스트 톤은 가청 영역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오디오 신호로, 다른 기기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오디오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다른 기기로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를 분석하여 주파수 별 신호의 세기를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에 대해 이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세기를 갖는 신호를 테스트 톤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다른 기기에서 출력되는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신호와 함께 테스트 톤을 듣게 되는데, 이들의 오디오 특성 때문에 테스트 톤을 쉽게 인지하지 못하게 된다는 점에서, 컨텐츠 시청에 대한 방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는 일 예일 뿐이고, 테스트 톤 신호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특정한 주파수에서 기설정된 시간 차를 갖는 특정한 크기의 오디오 신호를 테스트 톤으로 출력하거나, 특정한 주파수에서 특정한 크기를 갖는 오디오 신호를 테스트 톤으로 출력하거나, 특정한 주파수에서 특정한 크기를 갖는 제1 오디오 신호 및 제1 신호와 다른 주파수에서 다른 크기를 갖는 제2 오디오 신호를 테스트 톤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테스트 톤을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하고,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테스트 톤을 출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다만, 이는 일 예일 뿐이고,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테스트 톤을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하지 않아도, 오디오 출력 장치(300)는 테스트 톤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출력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받다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더 이상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테스트 톤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통신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오디오 출력 전환 명령에 따라 오디오 출력 장치(300)는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신호의 전송을 중단하고, 테스트 톤을 출력한다는 점에서,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는 테스트 톤이 포함될 수 있다. 결국, 프로세서(140)는 테스트 톤을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테스트 톤을 전송한 이후 원격 제어 장치(100)가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한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테스트 톤의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로부터 테스트 톤이 검출되는 경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테스트 톤이 존재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로부터 테스트 톤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테스트 톤이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테스트 톤은 오디오 출력 장치(300)에 의해 출력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테스트 톤을 출력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테스트 톤을 전송한 이후 원격 제어 장치(100)가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한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테스트 톤을 출력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테스트 톤을 출력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마이크(120)가 수신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뮤트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통신부(130)를 통해 테스트 톤이 존재함을 나타내는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면,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전원이 온인 상태에서 테스트 톤을 출력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송신부(110)를 통해 뮤트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30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뮤트 신호에 따라 테스트 톤의 출력을 중단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뮤트 신호를 전송한 이후 마이크(110)가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오디오 출력 장치(300)는 뮤트 신호에 따라 테스트 톤의 출력을 중단한다는 점에서, 마이크(110)가 수신한 오디오 신호에는 테스트 톤이 없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원격 제어 장치(100)가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한 오디오 신호에는 테스트 톤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마이크(120)가 수신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면,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오디오 출력 장치(300)는 뮤트 신호에 따라 테스트 톤의 출력을 중단한다는 점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 신호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정보가 수신되면,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하도록 송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예에서는 원격 제어 장치(100)가 뮤트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한 이후,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프로세서(140)는 테스트 톤이 존재함을 나타내는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면,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이 온인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뮤트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하지 않고,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테스트 톤에 대한 정보가 원격 제어 장치(100)에 기저장되어 있는 경우, 프로세서(140)는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지 않고,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이 온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을 오프 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고 있던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오디오 출력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원격 제어 장치(100)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다.
즉,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테스트 톤을 출력한다는 것은 오디오 출력 장치(300)를 이용했던 사용자가 다른 기기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제공받기를 원하는 등 더 이상 오디오 출력 장치(3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의도가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원격 제어 장치(100)는 테스트 톤이 오디오 출력 장치(300)를 통해 출력되는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을 자동으로 오프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고 있던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도, 원격 제어 장치(100)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을 자동으로 오프시킬 수 있으며,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고 있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테스트 톤을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디오 신호(가령, 특정한 효과음)와 함께 테스트 톤을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테스트 톤만을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원 오프 명령에 따라 전원이 오프되는데, 전원이 오프되기 전에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중단하고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디오 신호와 함께 테스트 톤을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이 온인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있던 오디오 출력 장치(300)는 출력하고 있던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중단하고,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디오 신호와 테스트 톤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고 있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전원 오프 명령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입력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원이 오프되기 전에,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디오 신호와 테스트 톤을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디오 출력 장치(300)는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중단하고,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디오 신호와 테스트 톤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테스트 톤은 가청 영역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오디오 신호로,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디오 신호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오디오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디오 신호를 분석하여 주파수 별 신호의 세기를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에 대해 이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세기를 갖는 신호를 테스트 톤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디오 신호와 함께 테스트 톤을 듣게 되는데, 이들의 오디오 특성 때문에 테스트 톤을 쉽게 인지하지 못하게 된다.
하지만, 이는 일 예일 뿐이고, 테스트 톤 신호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특정한 주파수에서 기설정된 시간 차를 갖는 특정한 크기의 오디오 신호를 테스트 톤으로 출력하거나, 특정한 주파수에서 특정한 크기를 갖는 오디오 신호를 테스트 톤으로 출력하거나, 특정한 주파수에서 특정한 크기를 갖는 제1 오디오 신호 및 제1 신호와 다른 주파수에서 다른 크기를 갖는 제2 오디오 신호를 테스트 톤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테스트 톤을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하고,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테스트 톤을 출력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다만, 이는 일 예일 뿐이고,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테스트 톤을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하지 않아도, 오디오 출력 장치(300)는 테스트 톤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출력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받다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더 이상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테스트 톤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통신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전원 오프 명령에 따라 오디오 출력 장치(300)는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중단하고,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디오 신호와 테스트 톤을 출력한다는 점에서,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는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디오 신호와 테스트 톤이 포함될 수 있다. 결국, 프로세서(140)는 테스트 톤을 포함하는 오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테스트 톤을 전송한 이후 원격 제어 장치(100)가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한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테스트 톤의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로부터 테스트 톤이 검출되는 경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테스트 톤이 존재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로부터 테스트 톤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테스트 톤이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테스트 톤은 오디오 출력 장치(300)에 의해 출력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테스트 톤을 출력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테스트 톤을 전송한 이후 원격 제어 장치(100)가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한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테스트 톤을 출력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테스트 톤을 출력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더라도, 상술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 요소를 기설정된 시간 동안 활성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된 경우라도, 원격 제어 장치(100)가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수신받고,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대한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마이크(120)가 수신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통신부(130)를 통해 마이크(120)가 수신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함을 나타내는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면,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이 온인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하도록 송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디오 출력 장치(30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전원이 오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테스트 톤에 대한 정보가 원격 제어 장치(100)에 기저장되어 있는 경우, 프로세서(140)는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지 않고,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이 온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을 오프 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고 있던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면, 원격 제어 장치(100)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다.
즉,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테스트 톤을 출력한다는 것은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원이 오프되는 등 더 이상 오디오 출력 장치(300)를 사용하고자 하는 의도가 없음을 의미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받아 출력하던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 역시 오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100)는 테스트 톤이 오디오 출력 장치(300)를 통해 출력되는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을 자동으로 오프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출력 소스가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전원 온 명령이 입력된 경우, 원격 제어 장치(100)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을 자동으로 온 시킬 수 있으며,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전원 온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원을 온 시킬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출력 소스가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설정된 상태라고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테스트 톤을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원 온 명령이 입력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디오 신호(가령, 특정한 효과음)와 함께 테스트 톤을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테스트 톤만을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300)는 전원이 오프인 상태라는 점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테스트 톤 신호를 전송하여도, 이를 수신 및 출력할 수 없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0) 및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이 모두 오프인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전원 온 명령이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입력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원을 온 하고, 출력 소스가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전원 온 명령이 입력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디오 신호와 테스트 톤을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하지만, 오디오 출력 장치(300)는 전원이 오프인 상태라는 점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전송한 오디오 신호 및 테스트 톤 신호를 수신 및 출력할 수 없다.
한편, 테스트 톤은 가청 영역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오디오 신호로, 전원 온 명령이 입력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디오 신호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오디오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원 온 명령이 입력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디오 신호를 분석하여 주파수 별 신호의 세기를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에 대해 이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세기를 갖는 신호를 테스트 톤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전원 온 명령이 입력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디오 신호와 함께 테스트 톤을 듣게 되는데, 이들의 오디오 특성 때문에 테스트 톤을 쉽게 인지하지 못하게 된다.
하지만, 이는 일 예일 뿐이고, 테스트 톤 신호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특정한 주파수에서 기설정된 시간 차를 갖는 특정한 크기의 오디오 신호를 테스트 톤으로 출력하거나, 특정한 주파수에서 특정한 크기를 갖는 오디오 신호를 테스트 톤으로 출력하거나, 특정한 주파수에서 특정한 크기를 갖는 제1 오디오 신호 및 제1 신호와 다른 주파수에서 다른 크기를 갖는 제2 오디오 신호를 테스트 톤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통신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오디오 출력 장치(300)는 전원이 오프인 상태이므로 오디오 신호를 수신 및 출력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는 전원 온 명령이 입력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디오 신호와 테스트 톤 신호가 포함되지 않는다. 결국, 프로세서(140)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한 오디오 신호에는 테스트 톤이 포함되지 않게 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테스트 톤을 전송한 이후 원격 제어 장치(100)가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한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테스트 톤의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로부터 테스트 톤이 검출되는 경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테스트 톤이 존재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로부터 테스트 톤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테스트 톤이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테스트 톤은 오디오 출력 장치(300)에 의해 출력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테스트 톤을 출력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테스트 톤을 전송한 이후 원격 제어 장치(100)가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한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테스트 톤을 출력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테스트 톤을 출력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마이크(120)가 수신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통신부(130)를 통해 마이크(120)가 수신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면,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을 온시키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하도록 송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디오 출력 장치(30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전원이 오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테스트 톤에 대한 정보가 원격 제어 장치(100)에 기저장되어 있는 경우, 프로세서(140)는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지 않고,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테스트 톤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이 오프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을 온 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출력 소스가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설정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전원 온 명령이 입력되면, 원격 제어 장치(100)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을 온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를 사용할 목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출력 소스를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설정한 것으로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원이 온 될 때,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 역시 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100)는 테스트 톤이 오디오 출력 장치(300)를 통해 출력되지 않는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은 오프 상태라는 것을 나타내므로,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을 자동으로 온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전원 온 명령이 입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이 오프 상태이고, 다른 기기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던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오디오 출력 장치(300)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 전환 명령이 입력된 경우라도, 원격 제어 장치(100)는 상술한 과정을 통해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을 온 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통신부(210), 인터페이스(220) 및 프로세서(230)를 포함한다.
통신부(210)는 마이크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210)는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칩 등을 포함하여, 블루투스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일 뿐이고, 다양한 방식으로 원격 제어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통신부(210)는 원격 제어 장치(100)가 마이크를 통해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220)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와 연결되어,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한다. 또한, 인터페이스(220)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 이외에 다른 오디오 출력 장치와 추가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220)는 다양한 유형의 포트를 포함하여, optical 케이블, RCA 케이블 또는 AUX 케이블 등을 통해 오디오 출력 장치(300)와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일 뿐이고, 다양한 방식으로 오디오 출력 장치(300)와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인터페이스(22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상태 변경에 따라 테스트 톤을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먼저, 프로세서(230)는 원격 제어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100)와 연결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30)는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100)로 출력하도록 인터페이스(13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오디오 신호는 방송 프로그램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신호일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30)는 사용자 명령에 입력되면 그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하고, 인터페이스(220)를 통해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230)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고 있는 상태에서, 오디오 신호를 다른 기기(가령,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마련된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연결된 다른 오디오 출력 장치)에서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오디오 신호의 전송을 중단하고 테스트 톤을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30)는 오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마련된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연결된 다른 오디오 출력 장치(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이 온인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있던 오디오 출력 장치(300)는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중단하고, 테스트 톤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기기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30)는 다른 기기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오디오 특성을 갖는 테스트 톤을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다른 기기로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를 분석하여 주파수 별 신호의 세기를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에 대해 이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세기를 갖는 신호를 테스트 톤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다른 기기에서 출력되는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신호와 함께 테스트 톤을 듣게 되는데, 이들의 오디오 특성 때문에 테스트 톤을 쉽게 인지하지 못하게 된다는 점에서, 컨텐츠 시청에 대한 방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는 일 예일 뿐이고, 테스트 톤 신호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특정한 주파수에서 기설정된 시간 차를 갖는 특정한 크기의 오디오 신호를 테스트 톤으로 출력하거나, 특정한 주파수에서 특정한 크기를 갖는 오디오 신호를 테스트 톤으로 출력하거나, 특정한 주파수에서 특정한 크기를 갖는 제1 오디오 신호 및 제1 신호와 다른 주파수에서 다른 크기를 갖는 제2 오디오 신호를 테스트 톤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230)는 테스트 톤을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한 이후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3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로부터 테스트 톤이 검출되는 경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테스트 톤이 존재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23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로부터 테스트 톤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테스트 톤이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테스트 톤은 오디오 출력 장치(300)에 의해 출력되므로, 프로세서(230)가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테스트 톤을 출력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프로세서(230)는 테스트 톤을 전송한 이후 원격 제어 장치(100)가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한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테스트 톤을 출력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테스트 톤을 출력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230)는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한 이후,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통신부(210)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3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오디오 신호가 재차 수신되면,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테스트 톤의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230)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고 있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테스트 톤을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30)는 전원 오프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원을 오프시키는데, 전원이 오프되기 전에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중단하고,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디오 신호(가령, 특정한 효과음)와 함께 테스트 톤을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230)는 테스트 톤 신호만을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전원이 온인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있던 오디오 출력 장치(300)는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중단하고,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디오 신호와 테스트 톤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30)는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디오 신호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오디오 특성을 갖는 테스트 톤을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디오 신호를 분석하여 주파수 별 신호의 세기를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에 대해 이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세기를 갖는 신호를 테스트 톤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디오 신호와 함께 테스트 톤을 듣게 되는데, 이들의 오디오 특성 때문에 테스트 톤을 쉽게 인지하지 못하게 된다.
하지만, 이는 일 예일 뿐이고, 테스트 톤 신호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특정한 주파수에서 기설정된 시간 차를 갖는 특정한 크기의 오디오 신호를 테스트 톤으로 출력하거나, 특정한 주파수에서 특정한 크기를 갖는 오디오 신호를 테스트 톤으로 출력하거나, 특정한 주파수에서 특정한 크기를 갖는 제1 오디오 신호 및 제1 신호와 다른 주파수에서 다른 크기를 갖는 제2 오디오 신호를 테스트 톤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230)는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구성요소에 인가되는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230)는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더라도, 기설정된 시간 동안 통신부(210) 및 프로세서(230)를 활성화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30)는 테스트 톤을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한 이후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3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로부터 테스트 톤이 검출되는 경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테스트 톤이 존재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23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로부터 테스트 톤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테스트 톤이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테스트 톤은 오디오 출력 장치(300)에 의해 출력되므로, 프로세서(230)가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테스트 톤을 출력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프로세서(230)는 테스트 톤을 전송한 이후 원격 제어 장치(100)가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한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테스트 톤을 출력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테스트 톤을 출력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23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전원 온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원을 온 시키고 테스트 톤을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출력 소스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설정된 상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230)는 출력 소스가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테스트 톤을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230)는 전원 온 명령이 입력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디오 신호(가령, 특정한 효과음)와 함께 테스트 톤을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230)는 테스트 톤 신호만을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300)는 전원이 오프된 상태라는 점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전송한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없다.
한편, 프로세서(230)는 전원 온 명령이 입력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디오 신호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오디오 특성을 갖는 테스트 톤을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전원 온 명령이 입력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디오 신호를 분석하여 주파수 별 신호의 세기를 판단하고,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에 대해 이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세기를 갖는 신호를 테스트 톤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전원 온 명령이 입력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디오 신호와 함께 테스트 톤을 듣게 되는데, 이들의 오디오 특성 때문에 테스트 톤을 쉽게 인지하지 못하게 된다.
하지만, 이는 일 예일 뿐이고, 테스트 톤 신호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특정한 주파수에서 기설정된 시간 차를 갖는 특정한 크기의 오디오 신호를 테스트 톤으로 출력하거나, 특정한 주파수에서 특정한 크기를 갖는 오디오 신호를 테스트 톤으로 출력하거나, 특정한 주파수에서 특정한 크기를 갖는 제1 오디오 신호 및 제1 신호와 다른 주파수에서 다른 크기를 갖는 제2 오디오 신호를 테스트 톤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230)는 테스트 톤을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한 이후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3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로부터 테스트 톤이 검출되는 경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테스트 톤이 존재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23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로부터 테스트 톤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테스트 톤이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에서, 테스트 톤은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되고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 상태에 따라 출력되거나 출력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프로세서(230)가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테스트 톤을 출력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프로세서(230)는 테스트 톤을 전송한 이후 원격 제어 장치(100)가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한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테스트 톤을 출력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테스트 톤을 출력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전원 온 명령이 입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이 오프 상태이고, 다른 기기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던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오디오 출력 장치(300)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 전환 명령이 입력된 경우라도, 프로세서(230)는 상술한 과정을 통해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을 온 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 원격 제어 장치(100)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는 코드 셋에 따라 설정되어, 오디오 출력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코드 셋은 제조 시에 원격 제어 장치(100)에 저장되거나, 이후, 외부 서버(미도시) 등으로부터 다운로드되어 원격 제어 장치(100)에 저장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원격 제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오디오 출력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는 코드 셋을 제공받을 수도 있는데,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수행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코드 셋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미도시)는 복수의 코드 셋을 저장한다. 여기에서, 코드 셋은 오디오 출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드 셋은 특정한 제조사에서 제조한 특정한 모델의 오디오 출력 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신호가 어떠한 포맷인지, 해당 포맷에서의 커스텀 코드 및 키 코드의 비트 수, 각 비트의 하이 레벨 및 로우 레벨 유지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오디오 출력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의 포맷, 커스텀 코드 및 키 코드 등은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제조사 및 모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다는 점에서, 저장부(미도시)는 각 제조사별 다양한 모델의 오디오 출력 장치에 대한 복수의 코드 셋을 기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장부(미도시)는 하드디스크,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먼저, 프로세서(230)는 테스트 톤을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하고, 방송 프로그램 등의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신호를 다른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기기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마련된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연결된 다른 오디오 출력 장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원이 온 상태에 있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테스트 톤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테스트 톤은 가청 영역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오디오 신호로, 다른 기기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오디오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다른 기기에서 출력되는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신호와 함께 테스트 톤을 듣게 되는데, 이들의 오디오 특성 때문에 테스트 톤을 쉽게 인지하지 못하게 된다는 점에서, 컨텐츠 시청에 대한 방해를 줄일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는 일 예일 뿐이고, 테스트 톤 신호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특정한 주파수에서 기설정된 시간 차를 갖는 특정한 크기의 오디오 신호를 테스트 톤으로 출력하거나, 특정한 주파수에서 특정한 크기를 갖는 오디오 신호를 테스트 톤으로 출력하거나, 특정한 주파수에서 특정한 크기를 갖는 제1 오디오 신호 및 제1 신호와 다른 주파수에서 다른 크기를 갖는 제2 오디오 신호를 테스트 톤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프로세서(230)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테스트 톤을 출력하는 동안 복수의 코드 셋 중 하나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원격 제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코드 셋이 수신되면, 수신된 코드 셋에 기초한 뮤트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 제어 장치(100)는 수신된 코드 셋에 기초하여, 커스텀 코드 및 뮤트 기능에 대응되는 키 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디오 출력 장치(300)는 제어 신호의 포맷에 따른 커스텀 코드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자신을 제어할 수 있는 신호인지를 판단하고,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가 자신을 제어할 수 있는 신호에 해당하는 경우, 뮤트 기능에 대응되는 키 코드에 따라 오디오 신호의 출력을 중단할 수 있다. 즉, 오디오 출력 장치(300)는 수신된 신호가 자신을 제어할 수 있는 뮤트 신호인 경우, 테스트 톤의 출력을 중단할 수 있다.
다만, 오디오 출력 장치(30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자신을 제어할 수 있는 신호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별도의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테스트 톤을 계속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후, 프로세서(230)는 원격 제어 장치(100)가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한 오디오 신호가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면, 수신된 신호에 테스트 톤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한 코드 셋이 오디오 출력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는 코드 셋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원격 제어 장치(100)는 코드 셋에 기초한 뮤트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한 이후, 마이크(120)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뮤트 신호에 따라 테스트 톤의 출력을 중단한 경우,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에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에서 출력되는 테스트 톤이 포함되지 않는다. 하지만,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테스트 톤의 출력을 중단하지 않은 경우,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에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에서 출력된 테스트 톤이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230)는 코드 셋을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 이후,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3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로부터 테스트 톤이 검출되는 경우,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에서 출력된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그에 따라,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테스트 톤을 출력하고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23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로부터 테스트 톤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오디오 출력 장치(300)에서 출력된 테스트 톤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그에 따라,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테스트 톤을 출력하고 있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테스트 톤을 이용하는 것은 원격 제어 장치(100)가 마이크(120)를 통해 주변에서 발생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때, 주변 소음에 의한 오디오 신호가 존재할 수도 있다는 점에서,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출력한 오디오 신호를 주변 소음에 의한 오디오 신호와 구별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프로세서(230)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한 코드 셋이 오디오 출력 기기(300)를 제어할 수 있는 코드 셋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30)는 원격 제어 장치(100)가 수신된 코드 셋에 따라 설정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30)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는 코드 셋이 검출되었다는 점에서, 더 이상 테스트 톤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하지 않는다.
다만, 프로세서(230)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복수의 코드 셋 중 다른 하나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원격 제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다른 코드 셋이 수신되면, 수신된 다른 코드 셋에 기초한 뮤트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뮤트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원격 제어 장치(100)는 다른 코드 셋에 기초한 뮤트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한 이후 마이크(120)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고, 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30)는 원격 제어 장치(100)가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한 오디오 신호가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면,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 다른 코드 셋이 오디오 출력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는 코드 셋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23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오디오 출력 장치(300)에서 출력된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테스트 톤의 존재 여부에 따라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출력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230)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한 다른 코드 셋이 오디오 출력 기기(300)를 제어할 수 있는 코드 셋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30)는 원격 제어 장치(100)가 수신된 다른 코드 셋에 따라 설정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30)는 오디오 출력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는 코드 셋이 검출되었다는 점에서, 더 이상 테스트 톤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하지 않는다.
다만, 프로세서(230)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복수의 코드 셋 중 또 다른 하나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결국, 프로세서(230)는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는 코드 셋을 검출하고, 오디오 출력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는 코드 셋으로 원격 제어 장치(200)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원격 제어 장치(100)가 수행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코드 셋이 수신되면, 코드 셋에 기초한 뮤트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하도록 송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코드 셋에 기초하여, 커스텀 코드 및 뮤트 기능에 대응되는 키 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특정한 제조사의 특정한 모델의 오디오 출력 장치에서 이용되는 포맷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송신부(110)를 통해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코드 셋에 기초한 뮤트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한 이후, 마이크(210)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40)는 코드 셋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100)를 설정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면, 코드 셋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100)를 설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원격 제어 장치(100)에 마련된 버튼이 선택되면, 코드 셋에 기초하여 커스텀 코드 및 선택된 버튼에 할당된 키 코드를 포함하는 신호를 특정한 제조사의 특정한 모델의 오디오 출력 장치에서 이용되는 포맷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제어 신호를 통신부(130)를 통해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140)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뮤트 신호를 전송한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다른 코드 셋이 수신되는 경우, 다른 코드 셋에 기초한 뮤트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하도록 송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다른 코드 셋에 기초한 뮤트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한 이후,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40)는 다른 코드 셋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100)를 설정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면, 다른 코드 셋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100)를 설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140)는 코드 셋에 따라 설정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이 수신될 때까지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원격 제어 장치(100)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복수의 코드 셋 중 하나를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한 이후,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수신받아,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오디오 출력 상태를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다만, 이는 일 예일 뿐이고, 원격 제어 장치(100)는 코드 셋을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받기 전에, 마이크(120)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오디오 신호가 수신된 이후, 복수의 코드 셋 중 하나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면,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코드 셋 중 하나를 원격 제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상태인 것을 판단한 후에, 코드 셋을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가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출력 상태를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원격 제어 장치(100)는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하지 않고,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기초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출력 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코드 셋이 수신되면, 코드 셋에 기초한 뮤트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하도록 송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40)는 코드 셋에 기초한 뮤트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한 이후, 마이크(210)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오디오 출력 장치(300)에서 출력되는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원격 제어 장치(100)는 테스트 톤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40)는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한 오디오 신호에서 테스트 톤이 검출되는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140)는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한 오디오 신호에서 테스트 톤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있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코드 셋이 오디오 출력 기기(300)를 제어할 수 있는 코드 셋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코드 셋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100)를 설정하고, 오디오 출력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는 코드 셋으로 설정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신부(13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230)는 원격 제어 장치(100)의 설정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코드 셋을 더 이상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30)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는 코드 셋이 검출되었다는 점에서, 더 이상 테스트 톤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하지 않는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다른 코드 셋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23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다른 코드 셋의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통신부(210)를 통해 복수의 코드 셋 중 다른 코드 셋을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다른 코드 셋이 수신되면, 수신된 코드 셋에 기초하여 뮤트 신호를 생성하고, 뮤트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하도록 송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40)는 다른 코드 셋에 기초한 뮤트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한 이후,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 오디오 신호에 오디오 출력 장치(300)에서 출력되는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다른 코드 셋이 오디오 출력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는 코드 셋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140)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는 코드 셋을 검출할 때까지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원격 제어 장치(100)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예들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복수의 코드 셋을 기저장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다.
즉, 원격 제어 장치(100)가 복수의 코드 셋을 저장하고,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코드 셋에 기초한 뮤트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30)는 뮤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통신부(210)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4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복수의 코드 셋 중 하나의 코드 셋에 기초하여 뮤트 신호를 생성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하고,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테스트 톤의 출력을 중단하는지 여부에 따라 오디오 출력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는 코드 셋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100)에 복수의 코드 셋을 기저장된 경우, 원격 제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제어 명령이 수신되지 않아도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는 코드 셋을 판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테스트 톤을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하고, 오디오 출력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테스트 톤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40)는 마이크(120)를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코드 셋 중 하나에 기초한 뮤트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40)는 뮤트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한 이후 마이크(120)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마이크(210)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오디오 출력 장치(300)에서 출력된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뮤트 신호 전송에 이용된 코드 셋이 오디오 출력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는 코드 셋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40)는 마이크(120)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 신호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뮤트 신호 전송에 이용된 코드 셋이 오디오 출력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는 코드 셋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테스트 톤에 대한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40)는 마이크(210)를 통해 수집된 오디오 신호에서 테스트 톤이 검출되는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만, 프로세서(240)는 마이크(210)를 통해 수집된 오디오 신호에서 테스트 톤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있지 않은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40)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뮤트 신호 전송에 이용된 코드 셋이 오디오 출력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는 코드 셋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판단된 코드 셋에 기초하여 원격 제어 장치(200)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40)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는 코드 셋으로 설정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통신부(22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200)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다만, 프로세서(240)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다른 코드 셋에 기초한 뮤트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240)는 다른 코드 셋에 기초한 뮤트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한 이후 마이크(210)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오디오 출력 장치(300)에서 출력된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다른 코드 셋이 오디오 출력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는 코드 셋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240)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는 코드 셋을 검출할 때까지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원격 제어 장치(200)를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제어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원격 제어 장치(100)는 송신부(110), 마이크(120), 통신부(130), 프로세서(140), 입력부(150) 및 저장부(160)(또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요소의 동작은 프로세서(14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구성은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구현예에 따라 새로운 구성 요소를 추가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를 삭제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송신부(110), 마이크(120), 통신부(130) 및 프로세서(140)에 대해서는 도 2에서 상세히 설명한바 있다는 점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프로세서(140)는 예를 들어,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140)에 연결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40)는 다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40)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디바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150)는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입력부(150)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예를 들어, 전원 온/오프, 채널 조절 또는 볼륨 조절 등)을 입력받는 구성으로, 버튼(미도시) 또는 터치 패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40)는 입력부(180)에서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프로세서(140)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송신부(110), 마이크(120), 통신부(130) 및 입력부(150 등)로부터 수신되거나 프로세서(140)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에 의해 생성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60)는 예를 들면, 커널, 미들웨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의 프로그래밍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프로그래밍 모듈들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60)는 원격 제어 장치(100)에 대응되는 리모컨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에서, 리모컨 정보는 모델명, 고유의 장치 ID(device ID), 메모리 잔량, 객체데이터 유무, 블루투스 버전 또는 블루투스 프로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60)는 오디오 출력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는 코드 셋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40)는 입력부(150)를 통해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코드 셋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또는, 제어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하거나, 오디오 출력 장치(300)가 테스트 톤을 출력하는지 여부에 따라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을 오프시키거나 온 시키기 위한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16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는 코드 셋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입력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40)는 입력부(150)를 통해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코드 셋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통신부(210), 인터페이스(220), 프로세서(230), 저장부(240), 수신부(250), 신호 처리부(260), 출력부(270), 입력부(280) 및 리모컨 신호 수신부(29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요소의 동작은 프로세서(2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구성은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구현예에 따라 새로운 구성 요소를 추가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를 삭제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통신부(210), 인터페이스(220) 및 프로세서(230)에 대해서는 도 3에서 상세히 설명한바 있다는 점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프로세서(230)는 예를 들어,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230)에 연결된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30)는 다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다양한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230)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디바이스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240)는 프로세서(230)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통신부(210), 인터페이스(220), 메모리(240), 수신부(250), 신호 처리부(260), 출력부(270), 입력부(280) 및 리모컨 신호 수신부(290) 등)로부터 수신되거나 프로세서(140)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에 의해 생성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240)는 예를 들면, 커널, 미들웨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의 프로그래밍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각각의 프로그래밍 모듈들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신부(250)는 방송 컨텐츠(또는,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 컨텐츠는 영상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부(250)는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인터넷 방송 등과 같이 다양한 소스로부터 방송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부(250)는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해 튜너(미도시), 복조기(미도시), 등화기(미도시) 등과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260)는 수신부(250) 또는 인터페이스(220)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신호 처리부(260)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영상 신호에 대해 디코딩, 스케일링 및 프레임 레이트 변환 등의 동작을 수행하여, 출력부(270)의 디스플레이(미도시)에서 출력 가능한 형태로 신호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처리부(260)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오디오 신호에 대해 디코딩 등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여 출력부(270)의 오디오 출력부(미도시)에서 출력 가능한 형태로 신호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출력부(270)는 신호 처리부(260)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미도시) 및 신호 처리부(26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미도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되고, 오디오 출력부(미도시)는 스피커(미도시) 또는 외부 출력단자(미도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부(280)는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입력부(280)는 채널 변경, 볼륨 조절, 오디오 출력 전환 등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프로세서(140)는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채널을 변경하거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입력부(180)는 입력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 패널은 터치패드(Touch Pad) 혹은 각종 기능키, 숫자키, 특수키, 문자키 등을 구비한 키패드(Key Pad) 또는 터치 패드(Touch Pad)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리모컨 신호 수신부(290)는 리모컨(미도시)로부터 전송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리모컨(미도시)은 원격 제어 장치(100)이거나, 별도의 리모컨일 수 있다.
이 경우, 리모컨 신호 수신부(290)는 IR 형태의 다양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모컨 신호 수신부(290)는 채널 변경, 볼륨 조절 등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230)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채널을 변경하거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오디오 출력 장치(300)는 모두 전원이 온인 상태에서, 각각 컨텐츠에 대한 영상 및 오디오를 출력한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컨텐츠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S611),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연결된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를 전송한다(S612). 이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를 출력한다(S613).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오디오 출력 전환 명령을 입력받는다(S614).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지만,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의 오디오 전송을 중단하고, 다른 기기(가령,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마련된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연결된 다른 오디오 출력 장치)로 오디오를 전송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테스트 톤을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한다(S615). 이에 따라, 오디오 출력 장치(300)는 테스트 톤을 출력한다(S616).
이후, 원격 제어 장치(100)는 마이크를 통해 주변에서 발생되는 오디오를 수신한다(S617). 그리고, 원격 제어 장치(100)는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한다(S618).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19).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한다(S621).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서 테스트 톤이 검출되는 경우, 테스트 톤이 존재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서 테스트 톤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테스트 톤이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300)는 테스트 톤을 출력하고, 다른 기기에서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를 출력한다는 점에서, 원격 제어 장치(100)가 마이크를 통해 수신한 오디오에는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및 테스트 톤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서 테스트 톤이 검출되는 경우, 테스트 톤이 존재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테스트 톤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뮤트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한다(S622).
구체적으로, 원격 제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100)가 마이크를 통해 수신한 오디오에 테스트 톤이 존재한다는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뮤트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디오 출력 장치(30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뮤트 신호에 따라 테스트 톤의 출력을 중단할 수 있다(S623).
원격 제어 장치(100)는 뮤트 신호를 전송한 이후, 마이크를 통해 주변에서 발생되는 오디오를 수신한다(S624). 그리고, 원격 제어 장치(100)는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한다(S625).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26).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한다(S627).
한편, 원격 제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테스트 톤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한다(S628).
구체적으로, 원격 제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100)가 마이크를 통해 수신한 오디오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디오 출력 장치(30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전원 오프 신호가 수신되면,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을 오프하게 된다(S629).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오디오 출력 장치(300)는 모두 전원이 온인 상태에서, 각각 컨텐츠에 대한 영상 및 오디오를 출력한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컨텐츠에 대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고(S711),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연결된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를 전송한다(S712). 이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를 출력한다(S713).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원 오프 명령을 입력받는다(S714).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테스트 톤을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하고(S715), 오디오 출력 장치(3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테스트 톤을 출력한다(S716).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디오(가령, 특정한 효과음)를 함께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고, 오디오 출력 장치(300)는 테스트 톤 및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원격 제어 장치(100)는 마이크를 통해 주변에서 발생되는 오디오를 수신한다(S717). 그리고, 원격 제어 장치(100)는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한다(S718).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19).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한다(S721).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서 테스트 톤이 검출되는 경우, 테스트 톤이 존재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서 테스트 톤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테스트 톤이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300)는 테스트 톤 및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디오를 출력한다는 점에서, 원격 제어 장치(100)가 마이크를 통해 수신한 오디오에는 컨텐츠에 대한 오디오 및 테스트 톤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서 테스트 톤이 검출되는 경우, 테스트 톤이 존재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테스트 톤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한다(S722).
구체적으로, 원격 제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100)가 마이크를 통해 수신한 오디오에 테스트 톤이 존재함을 나타내는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디오 출력 장치(30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전원 오프 신호가 수신되면,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을 오프시킬 수 있다(S723).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오디오 출력 장치(300)는 모두 전원이 오프인 상태이다.
이후,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원 온 명령을 입력받고(S811),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전원을 온 시킨다.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출력 소스가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판단되는 경우, 테스트 톤을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한다(S812).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전원 온 명령이 입력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디오(가령, 특정한 효과음)를 함께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출력 장치(300)는 전원 오프인 상태라는 점에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테스트 톤 및 전원 온 명령이 입력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디오를 출력하지 못한다.
이후, 원격 제어 장치(100)는 마이크를 통해 주변에서 발생되는 오디오를 수신한다(S813). 그리고, 원격 제어 장치(100)는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를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전송한다(S814).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815).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한다(S816).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서 테스트 톤이 검출되는 경우, 테스트 톤이 존재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서 테스트 톤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테스트 톤이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300)는 테스트 톤 및 전원 온 명령이 입력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디오를 출력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원격 제어 장치(100)가 마이크를 통해 수신한 오디오에는 테스트 톤이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서 테스트 톤이 검출되지 않는 경우, 테스트 톤이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원격 제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테스트 톤에 대한 정보가 수신되면,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한다(S817).
구체적으로, 원격 제어 장치(100)는 원격 제어 장치(100)가 마이크를 통해 수신한 오디오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디오 출력 장치(300)는 원격 제어 장치(100)로부터 전원 온 신호가 수신되면, 오디오 출력 장치(300)의 전원을 온 시킬 수 있다(S818).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마이크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오디오 출력 장치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S910).
그리고,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한다(S920).
그리고, 마이크가 수신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한다(S930).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마이크가 수신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뮤트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뮤트 신호를 전송한 이후 마이크가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S930 단계는 마이크가 수신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정보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S930 단계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마이크가 수신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S930 단계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따라 마이크가 수신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신호를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변경에 따라 테스트 톤을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한다(S1010).
그리고, 원격 제어 장치가 마이크를 통해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한다(S1020).
그리고, 테스트 톤을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한 이후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한다(S1030).
한편, S1010 단계는 오디오 출력 장치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고 있는 상태에서 오디오 신호를 다른 기기에서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오디오 출력 장치로 상기 오디오 신호의 전송을 중단하고 상기 테스트 톤을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한 이후,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S1010 단계는 오디오 출력 장치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고 있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테스트 톤을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S1010 단계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전원 온 명령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온 시키고 오디오 출력 장치로 테스트 톤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과 관련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에서 출력되는 테스트 톤 신호에 기초하여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원격 제어 장치에 대해 도시한 상술한 블록도에서는 버스(bus)를 미도시하였으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원격 제어 장치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통신은 버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원격 제어 장치에는 상술한 다양한 단계를 수행하는 CPU,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과 같은 프로세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원격 제어 장치 110 : 통신부
120 : 마이크 130 : 송신부
140 : 프로세서

Claims (20)

  1. 원격 제어 장치에 있어서,
    송신부;
    오디오 출력 장치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와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마이크가 수신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송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마이크가 수신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뮤트 신호를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뮤트 신호를 전송한 이후 상기 마이크가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마이크가 수신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신호를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마이크가 수신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신호를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따라 상기 마이크가 수신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신호를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6.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오디오 출력 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변경에 따라 테스트 톤을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마이크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원격 제어 장치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테스트 톤을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한 이후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오디오 신호를 다른 기기에서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상기 오디오 신호의 전송을 중단하고 상기 테스트 톤을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한 이후,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상기 테스트 톤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전원 온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온 시키고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상기 테스트 톤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1.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오디오 출력 장치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마이크가 수신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마이크가 수신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뮤트 신호를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뮤트 신호를 전송한 이후 상기 마이크가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마이크가 수신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신호를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마이크가 수신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신호를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따라 상기 마이크가 수신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신호를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6.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태 변경에 따라 테스트 톤을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원격 제어 장치가 마이크를 통해 수신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테스트 톤을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한 이후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오디오 신호를 다른 기기에서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출력 전환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상기 오디오 신호의 전송을 중단하고 상기 테스트 톤을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한 이후,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에 테스트 톤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오프시키기 위한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오프시키고 상기 테스트 톤이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한 전원 온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온 시키고 상기 오디오 출력 장치로 상기 테스트 톤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60157553A 2016-11-24 2016-11-24 원격 제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들의 제어 방법 KR102519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553A KR102519165B1 (ko) 2016-11-24 2016-11-24 원격 제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들의 제어 방법
US15/796,973 US10721433B2 (en) 2016-11-24 2017-10-30 Remote controller,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EP17199668.9A EP3327692B1 (en) 2016-11-24 2017-11-02 Remote controller,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201711189350.7A CN108111891B (zh) 2016-11-24 2017-11-23 遥控器、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553A KR102519165B1 (ko) 2016-11-24 2016-11-24 원격 제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들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512A true KR20180058512A (ko) 2018-06-01
KR102519165B1 KR102519165B1 (ko) 2023-04-07

Family

ID=60268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553A KR102519165B1 (ko) 2016-11-24 2016-11-24 원격 제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들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721433B2 (ko)
EP (1) EP3327692B1 (ko)
KR (1) KR102519165B1 (ko)
CN (1) CN10811189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9121B1 (ko) * 2017-10-12 2022-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그 제어 방법
KR102527842B1 (ko) * 2018-10-12 2023-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144836A (ko) * 2019-06-19 2020-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665013B1 (en) * 2019-12-13 2023-05-30 Amazon Technologies, Inc. Output device select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15537A1 (en) * 2011-02-17 2012-08-23 Yoshihiro Igarashi Sound Recognition Operation Apparatus and Sound Recognition Operation Method
US20140092004A1 (en) * 2012-09-28 2014-04-03 Ashok K. Mishra Audio information and/or control via an intermediary device
US20140191949A1 (en) * 2013-01-07 2014-07-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apparatus in a voice recognition system
US20160119573A1 (en) * 2014-10-22 2016-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6478A (en) 1993-09-07 1995-01-31 Harman International Industries, Inc. Sound system remote control with acoustic sensor
JPH0845255A (ja) 1994-08-03 1996-02-16 Sony Corp オーディオビデオ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19990027028A (ko) 1997-09-27 1999-04-15 전주범 텔레비젼에서의 외부 기기 전원 제어 장치
EP1947843A4 (en) 2005-10-31 2010-07-07 Panasonic Corp AUDIOVISUAL SYSTEM
JP2008053814A (ja) 2006-08-22 2008-03-06 Funai Electric Co Ltd 映像音声出力システム
US8320824B2 (en) * 2007-09-24 2012-11-27 Aliphcom, Inc. Methods and systems to provide automatic configuration of wireless speakers
JP5533101B2 (ja) 2010-03-23 2014-06-25 ヤマハ株式会社 オーディオアンプ装置
JP2015177458A (ja) 2014-03-17 2015-10-05 株式会社東芝 映像出力装置及び映像出力装置に接続された外部機器の電源制御方法
KR101594874B1 (ko) 2014-07-16 2016-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외부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외부 장치 전원 제어방법
KR102325338B1 (ko) 2014-12-05 2021-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오디오 장치 및 전원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215537A1 (en) * 2011-02-17 2012-08-23 Yoshihiro Igarashi Sound Recognition Operation Apparatus and Sound Recognition Operation Method
US20140092004A1 (en) * 2012-09-28 2014-04-03 Ashok K. Mishra Audio information and/or control via an intermediary device
US20140191949A1 (en) * 2013-01-07 2014-07-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apparatus in a voice recognition system
US20160119573A1 (en) * 2014-10-22 2016-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111891A (zh) 2018-06-01
US20180146156A1 (en) 2018-05-24
CN108111891B (zh) 2021-08-31
KR102519165B1 (ko) 2023-04-07
US10721433B2 (en) 2020-07-21
EP3327692B1 (en) 2019-08-21
EP3327692A1 (en) 2018-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11891B (zh) 遥控器、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US8514336B2 (en) Broadcasting signal receiving apparatus, remote controller and pairing method thereof
KR20180034093A (ko) 주변 기기의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제어 방법
KR20150071944A (ko) 디스플레이 장치, 이의 통합 리모컨 설정 방법, 통합 리모컨 및 이의 설정 방법
KR20100009292A (ko) 페어링 방법 및 제어 디바이스
US10142579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KR20180028703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원격 제어 장치 설정 방법
US20180268685A1 (en) Display device, and integrated remote controller setting method and system for same
KR101889927B1 (ko) 전자 장치, 전자 장치 및 중계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709861B1 (ko) 셋탑 박스, 그를 이용한 IoT 기기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02112064A (ja) マルチ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送信装置、映像装置及び同装置のフォーマットプリセット支援方法
KR20150122437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0681462B2 (en) Electronic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and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180070125A1 (en)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20004228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230114645A (ko) 원격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6590221B2 (ja) 映像音声出力装置
US11467985B2 (en) System, target apparatus, terminal, program, and method
KR20100025701A (ko) 영상표시기기에서 오디오 출력 장치 및 방법
KR101113275B1 (ko) 조작 명령 학습 기능을 구비한 방송지원장치 및 이의 조작 명령 학습 방법
WO2014045517A1 (ja) 音声出力装置
JP5196168B2 (ja) 音声処理システム、音声処理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13017065A (ja) リモコン登録システム、リモコン送信機および増幅装置
JP2013168747A (ja) Avシステム及び表示機器
KR20100135143A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의 시연동작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