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3285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3285A
KR20180033285A KR1020187005743A KR20187005743A KR20180033285A KR 20180033285 A KR20180033285 A KR 20180033285A KR 1020187005743 A KR1020187005743 A KR 1020187005743A KR 20187005743 A KR20187005743 A KR 20187005743A KR 20180033285 A KR20180033285 A KR 201800332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opening
lid
opening
tub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5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5385B1 (ko
Inventor
타카아키 요네자와
토모나리 카와구치
히로키 사토
요시카즈 밤바
타카시 오니시
와타루 나카가와
Original Assignee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아쿠아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아쿠아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33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3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5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5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을 넣고 꺼내는 경로에 협소한 부분이 존재하지 않도록 구성하여, 세탁물을 원활하게 넣고 꺼낼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세탁기(1)는, 세탁물을 수용하기 위한 내조(4); 상기 내조(4)를 수용하는 외조(3); 상기 외조(3)를 수용하기 위해 배치되며 상단을 개방한 케이스 본체(20)와, 해당 케이스 본체(20)의 상단에 고정된 고정 덮개(24) 및 해당 고정 덮개(24)에 활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케이스 본체(20)의 상단을 외부로 선택적으로 개방되며 내조(4) 상단부에 형성된 내조 측 개구(43)를 상방으로 개방하는 덮개 측 개구(28)를 형성할 수 있는 가동 덮개(25)를 구비한 케이스(2); 및 고정 덮개(24)에 배치되며 내조(4)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27)를 구비하며, 덮개 측 개구(28)의 내부 둘레가 내조 측 개구(43)의 대략 전체를 상방으로 개방하는 형태 및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탁기
본 발명은 주로 가정용으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종형(vertical type)의 세탁기는 위에서 관찰할 때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케이스의 내부에 원통 형상의 외조 및 내조를 배치하여 구성된다. 케이스에는 케이스의 상면에 고정된 상면 패널인 고정 덮개 및 이 고정 덮개에 대해 활동 가능하게 배치된 상부 덮개인 가동 덮개가 배치되며, 고정 덮개에는 급수부가 배치되며, 상부 덮개인 가동 덮개를 개폐하여 내조의 개구를 개방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외조에 대하여 위에서 관찰할 때 케이스가 직사각형 형상을 이룰 경우, 케이스를 배치위치인 주거지 벽면에 근접하게 배치하기 위해, 케이스의 상부 패널인 고정 덮개의 상면에 급수부를 배치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부 패널로 취급되는 부분이 커지고, 상부 덮개인 가동 덮개를 열어도 직사각형 형상의 개구에 대하여 원형 내조의 개구 전체가 개방되지 않으므로 세탁물을 넣고 꺼내는 경로의 일부가 협소해지므로 세탁물을 넣고 꺼내기가 불편하다. 또한, 세탁기의 상방에서 들여다볼 때, 원통형의 내조의 내부 전체를 볼 수 없으므로, 세탁 상황이 보이지 않는 사각 부분이 존재한다.
특허문헌1: 일본 특개2005-253626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세탁물을 넣고 꺼내는 경로에 협소한 부분이 존재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세탁물을 원활하게 넣고 꺼낼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아래와 같은 수단을 선택한다.
즉, 본 발명의 세탁기는, 세탁물을 수용하며 내조 측 개구가 형성된 내조; 상기 내조를 수용하는 외조; 및 상기 내조와 상기 외조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케이스는, 상단이 개방된 통상 몸체; 상기 통상 몸체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외조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바닥벽; 상기 통상 몸체의 상단에 고정되며 덮개 측 개구가 형성된 고정 덮개; 및 상기 고정 덮개에 배치되며 상기 덮개 측 개구를 막는 가동 덮개; 를 포함하며, 상기 세탁기는 상기 케이스의 측벽 또는 상기 고정 덮개에 배치되며 상기 내조에 물을 급수하기 위한 급수부를 구비하며, 상기 덮개 측 개구의 내부 둘레가 상기 내조 측 개구의 대략 전체를 상방으로 개방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덮개 측 개구의 개구 가장자리는 상기 내조 측 개구의 개구 가장자리의 임의의 위치의 외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의 외형, 외조 및 내조를 동심원 형상으로 구성하고, 상기 가동 덮개를 원판 형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스는 상기 고정 덮개에 대하여 상기 가동 덮개를 활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힌지부를 구비하며, 급수부는 상기 힌지부에서 원주방향으로 변위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덮개 측 개구 및 내조 측 개구 사이에 배치되며 덮개 측 개구에서 내조 측 개구로 세탁물을 넣고 꺼내는 것을 안내하기 위한 물받이 가이드를 더 구비하며, 물받이 가이드는 내조 측 개구보다 크게 개구되는 상단부와, 내조 측 개구의 크기에 대략 대응되는 하단부를 구비하는 대략 원뿔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덮개 측 개구의 내부 둘레를 내조 측 개구의 대략 전체가 상방으로 개방한 형상으로 설치함으로써, 상부 패널인 고정 덮개를 작게 하고 상부 덮개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는 가동 덮개를 크게 하여, 세탁물을 넣고 꺼내는 경로에 협소한 부분이 존재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세탁물을 원활하게 넣고 꺼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방해되지 않는 위치에 급수부를 배치하여, 상부 패널인 상부 덮개의 상면으로부터 물을 공급하는 구조를 피할 수 있다. 그 결과, 상방에서 들여다볼 때 원통형의 내조 전체가 가시 상태로 되므로 세탁 상황을 쉽게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덮개 측 개구의 개구 가장자리는 상기 내조 측 개구의 개구 가장자리의 임의의 위치의 외측에 위치되므로 내조 전체를 상방으로 확실하게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케이스의 외형, 상기 외조 및 상기 내조를 동심원 형상으로 구성하고, 상기 가동 덮개를 원판 형상으로 함으로써, 원환 형상의 상부 패널인 고정 덮개 또는 원통 케이스의 측벽이라면 원주 방향의 어느 위치에 급수부를 배치하여도 내조까지의 거리가 변하지 않으므로, 급수부 배치의 자유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급수부를 힌지부에서 원주 방향으로 변위한 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통해, 힌지를 벽에 따라 배치하고, 종래의 직사각형 형태의 케이스의 코너부에 상응한 위치에 급수부를 배치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배치를 사용하여도 방해가 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덮개 측 개구 및 상기 내조 측 개구의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덮개 측 개구에서 상기 내조 측 개구로 세탁물을 넣고 꺼내는 것을 안내하는 물받이 가이드부재를 내조 측 개구보다 크게 개구하는 상단부와, 내조 측 개구의 크기에 대략 대응되는 하단부를 구비하는 대략 원뿔 형상으로 설치함으로써, 급수부를 상기 위치에 배치하여도 물을 주입할 수 있으며, 세탁물을 넣고 꺼내는 것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방에서 들여다볼 때 내조의 가시성도 저하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세탁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동일 실시형태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3은 동일 실시형태의 측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는 동일 실시형태의 작용 설명도이다.
도 6은 도 3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세탁기(1)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세탁기(1)에서 바라본 상태를 나타낸 외관도이다. 또한, 도 3은 동일 세탁기(1)의 주요한 내부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동일한 도면에서는 세탁기(1)의 구동부분, 제어에 관한 부분 및 제어에 관한 부분의 도시를 적당하게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세탁기(1)는 예컨대 가정에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세탁기이며, 세탁물을 수용하기 위한 내조(4); 상기 내조를 수용하는 외조(4); 및 이러한 내조(4)와 외조(3)를 외측에서 잘 바라볼 수 있도록 수용하는 케이스(2)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외조(3), 내조(4) 및 케이스(2) 이외에, 외조(3)의 상부에 설치된 호퍼(hopper)(7); 외조(3)의 하측에 설치된 댐퍼(damper)(6); 및 내조(3)의 상단과 호퍼(7)의 베이스단 사이에 배치된 미로식 밀봉부(8)를 더 구비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세탁기(1)는, 세탁물을 수용하기 위한 내조(4); 해당 내조(4)를 수용하는 외조(3); 해당 외조(3)를 수용하기 위해 배치되며 상단을 개방한 통상 몸체(22)를 본체로 하는 케이스 본체(20)와, 해당 케이스 본체(20) 즉 통상 몸체(22)의 상단에 고정된 고정 덮개(24) 및 해당 고정 덮개(24)에 활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케이스 본체(20)의 상단을 외부로 선택적으로 개방하며 내조(4)의 상단부에 형성된 내조 측 개구(43)를 상방으로 개방하는 덮개 측 개구(28)를 형성할 수 있는 가동 덮개(25)를 구비한 케이스(2); 및 고정 덮개(24)에 배치되며 내조(4)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27)를 구비하며, 덮개 측 개구(28)의 내부 둘레는 내조 측 개구(43)의 대략 전체를 상방으로 개방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세탁기(1)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구조에 관하여 설명한다.
케이스(2)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원통 형상을 나타내며, 위에서 관찰할 때 내부에 수용된 외조(3)와 대략 균일한 사이즈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있다. 케이스(2)는, 외조(3)를 수용하기 위해 배치되며 외조(3)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바닥벽(21)을 구비하며, 상단을 개방한 통상 몸체(22)를 본체로 하는 케이스 본체(20); 이 통상 몸체(22)의 상단에 고정되고 위에서 관찰할 때 원환 형상을 이루는 고정 덮개(24); 및 해당 고정 덮개(24)에 활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통상 몸체(22)의 상단을 외부에서 선택 가능하게 개방하며 내조(4) 상단부에 형성된 내조 측 개구(43)를 상방으로 개방하는 덮개 측 개구(28)를 형성할 수 있는, 위에서 관찰할 때 대략 원 형상을 이루는 가동 덮개(25)를 구비한다. 케이스 본체(20)는, 예컨대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아크릴 등 수지로 구성되는 통상을 이루는 통상 몸체(22); 해당 통상 몸체(22)의 상하 전반에 걸쳐 배치된 각종 배선을 수용하기 위한 배선 커버(23); 및 케이스 본체(20)의 저면 측에서 외조(3)를 하방으로부터 간접적으로 지지하는 바닥벽(21)을 구비한다. 고정 덮개(24)는, 내주 측에 대략 원 형상으로 개구된 덮개 측 개구(28)를 구비하며, 가동 덮개(25)를 개폐동작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26)를 구비한다. 또한, 해당 힌지부(26)에서 원주방향으로 변위된 위치에 배치되며 내조(4)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부(27)가 배치된다.
외조(3)는 케이스(2)의 내부에 배치된 바닥부를 구비한 통 형상의 부재이며 내부에 세탁수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외조(3)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외조 통체(31); 해당 외조 통체(31)의 상단에 배치된 외조 커버(32); 및 외조 통체(31)와 외조 커버(32) 사이에 개재되어 외부로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하는 밀봉부재 수봉부(水封部)(34)를 구비한다. 밀봉부재 수봉부(34)는 외조 커버(32)의 하측에 배치된 수봉부재(36)와 누수를 방지하는 밀봉부재(35)를 구비한다. 이외에 해당 밀봉부재 수봉부(34) 부근의 구체적인 구조에 관하여서는 뒤에서 설명한다.
내조는, 외조(3) 내부에서 외조(3)와 동축으로 배치되며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바닥부를 구비하는 통상의 부재이다. 내조(4)는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할 수 있으며 그 벽면에 다수의 통수홀을 구비하는 통상적인 부재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조(4)의 내주면의 상단측에는 내측을 향해 원환 형상으로 돌출된 밸런서(41)와 이 밸런서(41)의 하측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세 개의 리프팅 리브(lifting rib)(42)가 배치된다.
세탁기(1)에서, 내조(4)의 바닥부 중앙에는 가상선으로 도시한 구동장치(50)에 의해 구동되는 펄세이터(교반날개)(5)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펄세이터(5)는, 대략 원판 형상의 펄세이터 본체와 펄세이터 본체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날개부를 구비하는 통상적인 부재이다. 이러한 펄세이터(5)는 외조(3) 내에 저장된 세탁수를 교반하여 수류를 발생시킨다. 구동장치(50)는 동일 도면에서 가상선으로만 위치를 도시하였지만, 도시하지 않은 모터를 본체로 하여 내조(4)의 바닥부로 연장되는 구동축을 회전시켜 내조(4) 및 펄세이터(5)를 회전시킨다. 세탁기(1)는 세탁 과정에서는 주요하게 펄세이트(5)만 회전시키고, 탈수 과정에서는 내조(4)와 펄세이트(5)를 일체적으로 고속회전시킨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케이스(2) 내에서 외조(3) 및 내조(4)는 하방에서 댐퍼(6)에 의해 케이스(2)의 바닥벽(21)에 지지된다. 또한, 외조(3)는 측면 또는 상방에서 현수봉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다. 즉 본 실시형태의 세탁기(1)는 현수봉의 배치를 피함으로써 상방에서 관찰할 때 세탁물의 가시성을 보다 향상시키며 이 점에 관하여서는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댐퍼(6)는 작업 중의 외조(3)를 하방에서 지지하면서 작업 중에 외조(3)에 발생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하기 위한 부재이다. 해당 댐퍼(6)는, 케이스(2)의 바닥벽(21)에 고정된 내축(61); 해당 내축(61)의 외측을 피복하며 외조(3) 측에 고정된 외축(62); 및 해당 외축(62)의 하단 및 케이스(2)의 바닥벽(21) 측에 개재되어 외조(3)의 상하운동 또는 진동에 의해 적당하게 신축함으로써 케이스(2)에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압축코일스프링인 스프링(63)을 구비한다. 또한, 외축(62)과 내조(3) 사이 및 내축(61)과 바닥벽(21) 사이에는 완충 러버(64)가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해당 댐퍼(6)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에서 관찰할 때 돌출되어 나오지 않는 범위에서 외조(3)의 바닥부로부터, 최대 직경의 위치 또는 그 부근에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해당 스프링(63)은 탈수 시 스프링이 밀착되지 않는 정도로 또한 작업 중에 외조(3)가 기울지 않는 정도로 탄성 상수를 낮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외조(3)의 상측, 구체적으로 고정 덮개(24)의 덮개 측 개구(28)으로부터 내조 측 개구(43)에 이르기까지 호퍼(7)를 개재시키도록 배치한다.
호퍼(7)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 측 개구(28) 및 내조 측 개구(43) 사이에 배치되며, 덮개 측 개구(28)로부터 내조 측 개구(43)에 세탁물을 넣고 꺼내는 것을 안내하기 위한 물받이 가이드로서의 기능을 발휘하며, 덮개 측 개구(28)로부터 내조 측 개구(43)에 세탁물을 넣고 꺼내는 것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호퍼(7)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하게 구성된 수지성의 일체성형품으로 구성되며, 대략 테이퍼 형상(taper shape) 즉 원뿔 형상을 이루는 호퍼 본체(71)와 호퍼 본체(71)의 하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돌출부(72)를 구비한다. 돌출부(72)의 안쪽 가장자리인 개구부분의 직경은 내조 측 개구(43)에 대략 대응되는 직경으로 된다. 또한, 호퍼 본체(71)는, 상단의 개구가 내조 측 개구(43)보다 큰 대경상단부(73); 해당 대경상단부(73)에 배치된 반환단(folded-back end)(74); 및 호퍼 본체(71)의 상하방향의 중간위치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된 홀이며, 세탁 작업 및 헹굼 작업의 상한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오버플로우 홀(overflow hole)(75)을 구비한다. 해당 호퍼(7)의 소재는 수지소재이며, 수지소재 중에서 외조(3)에 사용되는 소재보다 비중(specific gravity)이 작은 소재를 사용할 때도 있으며, 외조(3)에 비해 경량구조이다.
또한, 오버플로우 홀(75)의 외측에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버플로우 홀(75)의 상측에 물이 저장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오버플로우 홀(75)에서 세탁기 외부에 물을 배출하기 위한 오버플로우 파이프(76)가 연결된다. 해당 오버플로우 파이프(76)는 원통 형상을 이룬 케이스(2)와 외조(3) 사이의 원주형으로 절곡된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평단면에서 관찰할 때 타원 형상을 이루는 부분을 본체로 한다. 또한, 오버플로우 파이프(76)에서 세탁기의 외부로 물을 배출하기 위한 기구 및 구조는 기존의 기구 및 구조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외에 본 실시형태에서 특히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덮개(24)의 덮개 측 개구(28)의 내부 둘레를 내조 측 개구(43)의 대략 전체가 상방으로 개방한 형태로 하고, 내조(4)의 상단 부분에 배치된 내조 측 개구(43)의 대략 전체는 상방으로 개방한 형태로 한다. 다시 말하면, 덮개 측 개구(28)의 개구 가장자리는 내조 측 개구(43)의 가장자리의 어느 위치보다도 외측에 위치된다.
호퍼(7)는 내조(4)의 상단보다 높은 수위의 물을 저장하기 위한 인상 탱크(raising tank)로서의 기능을 발휘한다. 즉 호퍼(7)는 세탁조의 기능을 한다. 이외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20)의 통상 몸체(22), 가동 덮개(25) 및 호퍼(7)를 투명하거나 반투명하게 함으로써, 세탁과정에서 고정 덮개(24)를 통해 호퍼(7)까지 상승한 수면 부근의 세탁물을 쉽게 시인할 수 있으며, 측면으로는 통상 몸체(22) 및 호퍼(7)를 통해 수면부근의 세탁물을 측면에서 쉽게 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세탁물의 가시화를 최적화한다. 또한, 통상 몸체(22)를 투명하거나 반투명하게 함으로써 내부의 기구부품의 가시화도 함께 향상시킨다. 이로써, 사용자의 작동상태에 대한 파악 및 유지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세탁 시 호퍼(7)는 인상 탱크로서의 기능을 발휘하지만, 대략 테이퍼 형상 즉 원뿔 형상으로 설계함으로써, 탈수 시 세탁물을 탈수조인 내조(4)로 안내하여 세탁물을 확실하게 내조(4) 내부에 담을 수 있도록 한다.
이외에, 본 실시형태에서 특히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조(3)의 하부에 댐퍼(6)를 배치하고 인상 탱크인 호퍼(7)를 경량형으로 구성함으로써, 댐퍼(6)에 지지되는 부분의 고유진동수를 높일 수 있고 탈수 시의 진동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실시형태에서 호퍼(7)는 외조(3)에 고정되므로 회전할 수 없지만, 한편, 내조(4)는 물론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조(4)와 호퍼(7)의 사이에 누수는 없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 특히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로식 밀봉부(8)는, 호퍼(7), 외조(3) 및 내조(4)의 상단에 걸친 구역에 형성된 부재이며, 호퍼(7)의 돌출부(72)에 배치되며 수직방향 하방으로 연장된 상측 리브(81); 내조(4)의 상단에 배치되며 수직방향 상방으로 연장된 하측 리브(82); 및 공기집합부(83)를 구비한다. 밀봉부재(35)는 외조(3)의 상단이며, 또한 상측 리브(81)의 선단부를 포함하는 가상평면의 연직방향 상방의 위치에 배치되며, 외조(3)의 상단과 돌출부(73)를 밀봉한다. 이로써 공기집합부(83)의 공기가 밀봉부재(35)를 넘어 외조(3) 밖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내조(4)의 밸런서(41)의 상방까지 물을 저장하면 미로식 밀봉부(8) 내의 액면은 상측 리브(81)의 선단부와 대략 동일 평면에 형성되어, 해당 액면과 해당 액면 상방의 돌출부(72)의 내주면 사이에 공기집합부(83)가 형성된다. 공기집합부(83)가 형성됨에 따라 호퍼(7) 내의 물은 상하 리브(81, 82) 사이에서 외측으로 이동하려고 해도 밀봉부재(35) 부근에 이미 공기집합부가 형성되었기에 물의 외측으로의 이동이 해당 공기집합부(83)에 의해 강력하게 억제된다. 또한, 밀봉부재(35)가 배치됨으로 하여 물이 공기집합부(83)를 넘어 침입한다고 해도 외조(3) 밖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외조(3)와 호퍼(7)의 연결에 필요한 고정부재의 개수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세탁기(1)는, 덮개 측 개구(28)의 내부 둘레가 내조 측 개구(43)의 대략 전체를 상방으로 개방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상부 패널인 고정 덮개(24)를 작게 하고 상부 덮개로서 기능을 발휘하는 가동 덮개(25)를 크게 하여, 세탁물을 넣고 꺼내는 경로에 협소한 부분이 존재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넣고 꺼내기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방해되지 않는 위치에 급수부(27)를 배치하여, 상부 패널인 상부 덮개의 상면으로부터 물을 공급하는 구조를 방지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방에서 들여다볼 때 원통형의 내조(4) 전체가 가시상태로 되므로 세탁 상황을 쉽게 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덮개 측 개구(28)의 개구 가장자리는 내조 측 개구(43)의 개구 가장자리의 임의의 위치의 외측에 위치되므로 내조(4) 전체를 상방으로 확실하게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2)의 외형, 외조(3) 및 내조(4)를 동심원 형상으로 구성하고, 가동 덮개(25)를 원판 형상으로 함으로써, 원환 형상의 상부 패널인 고정 덮개(24) 또는 원통 케이스(2)의 측벽이라면 원주방향의 어느 위치에 급수부(27)를 배치하여도 내조(4)까지의 거리가 변하지 않으며, 이외에, 세탁물을 넣고 꺼내는 방향도 힌지부(26)에 마주하는 특정된 방향에 제한되지 않고 힌지부(26)에서 경사진 방향에서 세탁물을 쉽게 넣고 꺼낼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급수부(27)를 힌지부(26)에서 원주 방향으로 변위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힌지부(26)를 벽에 따라 배치하고, 종래의 직사각형 형태의 케이스의 코너부에 상응한 위치에 급수부(27)를 배치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배치를 사용하여도 방해가 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덮개 측 개구(28) 및 내조 측 개구(43) 사이에 배치되며, 덮개 측 개구(28)에서 내조 측 개구(43)로 세탁물을 넣고 꺼내는 것을 안내하는 물받이 가이드부재인 호퍼(7)를 내조 측 개구(43)보다 크게 개구하는 상단부와, 내조 측 개구(43)의 크기에 대략 대응되는 하단부를 구비하는 대략 원뿔 형상으로 설치함으로써, 급수부(27)를 상기 위치에 배치하여도 물을 주입할 수 있으며, 세탁물을 넣고 꺼내는 것도 더욱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방에서 들여다볼 때 내조(4)의 가시성도 저하되지 않는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형태는 상기 방식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 내조 측 개구, 덮개 측 개구가 모두 원 형상인 구성을 개시하였지만, 내조 측 개구가 상방으로 개방된 것이라면, 다각형을 어느 하나 또는 양자의 형상으로 적용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 물받이 가이드를 내조 측에 장착하는 구성을 개시하였지만, 케이스 측, 즉 고정 덮개 또는 케이스 본체 측에 장착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다른 구성도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1: 세탁기
2: 케이스
4: 내조
8: 미로식 밀봉부
20: 케이스 본체
24: 고정 덮개
25: 가동 덮개
27: 급수부
28: 덮개 측 개구
43: 내조 측 개구
81: 리브(상측 리브)
82: 리브(하측 리브)

Claims (5)

  1. 세탁물을 수용하며 내조 측 개구가 형성된 내조; 상기 내조를 수용하는 외조; 및 상기 내조와 상기 외조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비하는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단이 개방된 통상 몸체;
    상기 통상 몸체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외조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바닥벽;
    상기 통상 몸체의 상단에 고정되며 덮개 측 개구가 형성된 고정 덮개; 및
    상기 고정 덮개에 배치되며 상기 덮개 측 개구를 막는 가동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세탁기는 상기 케이스의 측벽 또는 상기 고정 덮개에 배치되며 상기 내조에 물을 급수하기 위한 급수부를 구비하며,
    상기 덮개 측 개구의 내부 둘레는 상기 내조 측 개구의 대략 전체를 상방으로 개방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측 개구의 개구 가장자리는 상기 내조 측 개구의 개구 가장자리의 임의의 위치의 외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형, 상기 외조 및 상기 내조를 동심원 형상으로 구성하고, 상기 가동 덮개를 원판 형상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고정 덮개에 대하여 상기 가동 덮개를 활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힌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급수부는 상기 힌지부에서 원주방향으로 변위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측 개구 및 상기 내조 측 개구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덮개 측 개구에서 상기 내조 측 개구로 세탁물을 넣고 꺼내는 것을 안내하기 위한 물받이 가이드를 더 구비하며,
    상기 물받이 가이드는 상기 내조 측 개구보다 크게 개구되는 상단부와, 상기 내조 측 개구의 크기에 대략 대응되는 하단부를 구비하는 대략 원뿔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187005743A 2016-02-29 2017-02-28 세탁기 KR1020153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38469A JP6908351B2 (ja) 2016-02-29 2016-02-29 洗濯機
JPJP-P-2016-038469 2016-02-29
PCT/CN2017/075184 WO2017148367A1 (zh) 2016-02-29 2017-02-28 洗衣机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285A true KR20180033285A (ko) 2018-04-02
KR102015385B1 KR102015385B1 (ko) 2019-08-28

Family

ID=59743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5743A KR102015385B1 (ko) 2016-02-29 2017-02-28 세탁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83598B2 (ko)
EP (1) EP3425100A4 (ko)
JP (1) JP6908351B2 (ko)
KR (1) KR102015385B1 (ko)
CN (1) CN107849774B (ko)
WO (1) WO2017148367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8794A (ja) * 1991-12-26 1993-07-02 Toshiba Corp 脱水兼用洗濯機
JP3125784B2 (ja) * 1999-11-29 2001-01-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洗濯機
JP2005253626A (ja) 2004-03-10 2005-09-22 Sanyo Electric Co Ltd 脱水洗濯機
CN102304837A (zh) * 2011-08-29 2012-01-04 江南大学 节能环保型洗涤脱水机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85419A (en) * 1963-06-04 1966-11-15 Maytag Co Extractor apparatus drive control
US3269544A (en) * 1963-08-30 1966-08-30 Gen Motors Corp Domestic appliance
US3488982A (en) * 1967-11-21 1970-01-13 Blackstone Corp Clothes washing machines
US3604225A (en) * 1969-06-20 1971-09-14 Blackstone Corp Washing machine tub covers
US4054412A (en) * 1976-12-09 1977-10-18 General Electric Company Clothes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washing clothes
JPS54112569A (en) * 1978-02-22 1979-09-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Single tank dehydrating washing machine
US5622350A (en) * 1994-06-06 1997-04-22 Maytag Corporation Appliance with load sharing legs
TW392018B (en) * 1997-06-02 2000-06-01 Hitachi Ltd Washing machine
JP3543813B2 (ja) 2002-07-31 2004-07-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滴吐出方法及び液滴吐出装置、液晶装置の製造方法及び液晶装置、並びに電子機器
CN2612690Y (zh) 2002-08-07 2004-04-21 海尔集团公司 便携式洗衣机
US7866191B2 (en) * 2004-06-25 2011-01-11 Whirlpool Corporation Clothes washer with clothing trap
US20060230543A1 (en) 2005-04-18 2006-10-19 Maytag Corporation Washing machine with pumping damper for automatic balancing
JP2008161352A (ja) * 2006-12-27 2008-07-17 Mitsubishi Electric Corp 洗濯機
CN101384763A (zh) * 2006-08-04 2009-03-11 三菱电机株式会社 洗衣机
KR101780184B1 (ko) * 2011-02-24 2017-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101605760B1 (ko) * 2011-07-15 2016-03-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US9121124B2 (en) * 2012-01-19 2015-09-01 General Electric Company Vertical axis washing machine appliance with features for applying steam to articles and related methods
CN103710943B (zh) 2012-09-29 2017-07-18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洗衣机的上盖及洗衣机
CN104250909B (zh) * 2013-06-28 2018-07-06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设置多功能洗衣装置的洗衣机
JP2015023898A (ja) * 2013-07-24 2015-02-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洗濯機
KR20150053608A (ko) * 2013-11-08 2015-05-18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JP2015165860A (ja) * 2014-03-04 2015-09-2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洗濯乾燥機
US10435835B2 (en) * 2014-05-30 2019-10-08 Lg Electronics Inc. Auxiliary washing machine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202721B1 (ko) * 2015-02-25 2021-01-13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CN105040348B (zh) * 2015-05-25 2018-04-20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衣机
CN105274766B (zh) 2015-11-17 2017-05-10 河海大学常州校区 一种同心圆波轮洗衣机
JP6908352B2 (ja) * 2016-02-29 2021-07-28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QingDao Haier Washing Machine Co.,Ltd. 洗濯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8794A (ja) * 1991-12-26 1993-07-02 Toshiba Corp 脱水兼用洗濯機
JP3125784B2 (ja) * 1999-11-29 2001-01-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洗濯機
JP2005253626A (ja) 2004-03-10 2005-09-22 Sanyo Electric Co Ltd 脱水洗濯機
CN102304837A (zh) * 2011-08-29 2012-01-04 江南大学 节能环保型洗涤脱水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908351B2 (ja) 2021-07-28
JP2017153630A (ja) 2017-09-07
WO2017148367A1 (zh) 2017-09-08
US10683598B2 (en) 2020-06-16
CN107849774A (zh) 2018-03-27
KR102015385B1 (ko) 2019-08-28
EP3425100A1 (en) 2019-01-09
CN107849774B (zh) 2021-03-02
US20180363207A1 (en) 2018-12-20
EP3425100A4 (en) 2019-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4200B2 (en) Washing machine
KR102270522B1 (ko) 세탁기
EP3425101A1 (en) Washing machine
US10774455B2 (en) Washing machine
CN107849784B (zh) 洗衣机
US20150041270A1 (en) Lower shock-absorbing apparatus for washing machine packing
US7350380B2 (en) Washing machine
KR20180033285A (ko) 세탁기
KR20100083208A (ko) 터브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US20190203397A1 (en) Washing machine
CN108699749B (zh) 清洗机
CN107614780A (zh) 洗衣机
WO2021005832A1 (ja) 洗濯器具、およびそれを備える洗濯機
KR102429657B1 (ko) 탑로드 타입 세탁기
JP2013240408A (ja) 洗濯機
KR20070064007A (ko) 세탁기의 아지테이터
JP2017195940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