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5760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760B1
KR101605760B1 KR1020110070395A KR20110070395A KR101605760B1 KR 101605760 B1 KR101605760 B1 KR 101605760B1 KR 1020110070395 A KR1020110070395 A KR 1020110070395A KR 20110070395 A KR20110070395 A KR 20110070395A KR 101605760 B1 KR101605760 B1 KR 101605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tub
base
cabinet
rotary t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0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9351A (ko
Inventor
김현묵
전갑진
민제홍
이상혁
최지훈
김승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0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760B1/ko
Priority to US13/544,440 priority patent/US20130014547A1/en
Priority to EP12175818.9A priority patent/EP2559799B1/en
Priority to CN2012102434627A priority patent/CN102877258A/zh
Publication of KR20130009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9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D06F37/268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for suspension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6Imbalance; Noise lev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회전조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회전조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장치를 가진 세탁기 및 세탁기의 외관의 크기를 키우지 않으면서 세탁 용량을 확대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를 가진 세탁기를 제공한다.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부와, 상기 외측부의 내면에 연결되는 원통 형상의 내측부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상기 내측부 내부에서 수직한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직경이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되는 측벽을 포함하는 회전조; 상기 회전조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조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 상기 회전조의 하부에서 상기 구동축에 의해 상기 회전조와 연결되며 하부에 상기 구동장치가 마련되는 브라켓 플레이트;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의 하부에 마련되는 베이스; 하부는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고, 상부는 상기 회전조 무게중심의 측면에서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조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서스펜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세탁기 및 세탁기의 하부지지장치를 개시한다.
세탁기는 전력을 이용하여 의류를 세탁하는 기계로서, 일반적으로 세탁수를 저수하는 터브와,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조와, 회전조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펄세이터와, 회전조 및 펄세이터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모터 및 클러치를 구비한다.
회전조의 내부에 세탁물 및 세제수가 투입된 상태에서 회전조 및 펄세이터가 회전하면 펄세이터는 회전조의 내부로 투입된 세탁물을 세탁수와 함께 교반시켜 세탁물에 묻은 때를 제거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세탁기의 세탁용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세탁물이 투입되는 회전조의 크기, 즉 회전조의 직경 또는 높이가 커져야 하며, 회전조의 크기가 커지는 경우, 회전조를 수용하는 터브 및 터브를 수용하는 캐비닛의 크기가 같이 커져야 한다.
캐비닛, 즉 세탁기의 외관이 커질수록 세탁기를 설치하는 공간에 제약이 따르고, 또한 수직축 세탁기의 경우 세탁기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세탁물을 투입하기 불편하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구조가 요구된다.
또한, 세탁기의 캐비닛 상부에 서스펜션을 연결하여 회전체를 지지하는 경우 캐비닛으로 진동이 전달되고, 캐비닛이 회전체를 지지할 수 있는 강도가 필요하여 높은 강성의 캐비닛이 요구된다.
따라서, 회전체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면서 캐비닛의 강성이 요구되지 않도록 개선하기 위한 구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회전조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회전조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장치를 가진 세탁기를 제공한다.
또한, 세탁기의 외관의 크기를 키우지 않으면서 세탁 용량을 확대할 수 있는 개선된 구조를 가진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부와, 상기 외측부의 내면에 연결되는 원통 형상의 내측부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상기 내측부 내부에서 수직한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직경이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되는 측벽을 포함하는 회전조; 상기 회전조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조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 상기 회전조의 하부에서 상기 구동축에 의해 상기 회전조와 연결되며 하부에 상기 구동장치가 마련되는 브라켓 플레이트;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의 하부에 마련되는 베이스; 하부는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고, 상부는 상기 회전조 무게중심의 측면에서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조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서스펜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측부와 상기 내측부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부는 상기 외측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면과 접할 수 있다.
상기 측벽은 상기 회전조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세탁수가 상기 회전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그 상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부는 상기 내측부의 하단으로부터 그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통공을 통해 낙하하는 세탁수를 저수하는 배수홈과, 상기 배수홈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홈에 저수된 세탁수를 상기 배수홈의 외부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조는 상기 측벽의 하부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통공을 통해 배출된 세탁수가 상기 배수홈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홈은 상기 내측부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내측부의 중심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와, 상기 제1절곡부의 일단으로부터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제2절곡부와 상기 내측부의 내주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회전조와 상기 회전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펄세이터를 회전시키는 클러치와, 상기 클러치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러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는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조의 하부에는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이 상기 회전조에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축과 상기 회전조를 연결하는 플랜지부재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재는 상기 구동축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플랜지부재의 중심을 관통하는 제1관통홀과, 상기 제1관통홀의 주위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조의 내부에 저수된 세탁수를 상기 회전조의 외부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부는 상기 배수홈의 단부로부터 상기 내측부의 중심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면의 상부에는 상기 회전조가 배치되고, 하부에는 상기 구동장치를 고정하는 베이스플레이트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닥면은 상기 회전조의 측벽 또는 상기 회전조의 바닥부에서 낙하한 세탁수가 중력에 의해 상기 배수홈으로 흐를 수 있도록 중심부가 외곽부에 비해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상기 회전조 무게중심의 높이까지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서스펜션 부재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의 상기 베이스부 하부에는 상기 구동장치가 마련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상기 회전조 무게중심의 높이에서 상하로 + / - 100㎜ 범위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연결부와 상기 서스펜션 부재가 상기 회전조 무게중심의 측면에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캐비닛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부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에서 상기 캐비닛 쪽을 향해 경사지도록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연장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연장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캐비닛 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는 상기 서스펜션 부재는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상기 연결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회전조 쪽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상기 연결부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서 수직한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조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상기 회전조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세탁기의 하부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의 하부에서 상기 구동축에 의해 상기 회전조와 연결되고,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상기 회전조 무게중심의 높이까지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 상부에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브라켓 플레이트;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의 하부에 마련되는 베이스; 일측은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조 무게중심의 측면에서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의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조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서스펜션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의 상기 베이스부 하부에는 상기 구동장치가 마련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상기 회전조 무게중심의 높이에서 상하로 + / - 100㎜ 범위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캐비닛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부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에서 상기 캐비닛 쪽을 향해 경사지도록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연장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연장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캐비닛 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는 상기 서스펜션 부재는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상기 연결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회전조 쪽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상기 연결부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회전조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면서도 캐비닛의 강성이 요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의 크기를 키우지 않으면서도 세탁 용량을 확대할 수 있으므로 한 번의 세탁으로 더 많은 양의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다.
또한, 같은 용량일 경우 일반적인 세탁기에 비해 외관의 크기가 작으므로, 설치공간의 제약에 따른 부담이 적고, 세탁물을 편리하게 투입할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브가 구비된 세탁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캐비닛(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조(20)와, 회전조(20)를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조(20)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동장치(30)를 포함한다.
캐비닛(10)의 상부에는 회전조(20)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세탁물 투입구(13)가 형성된 상부커버(14)가 마련되며, 상부커버(14)에는 세탁물 투입구(13)를 개폐하는 도어(15)가 마련된다.
캐비닛(10)의 하부에는 세탁기(1)를 바닥면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안착부(16)가 결합된 하부커버(17)가 마련된다.
회전조(20)는 캐비닛(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그 상부에는 회전조(2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통공(24)을 구비한다.
회전조(20)의 바닥에는 펄세이터(2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펄세이터(23)는 회전조(20)의 내부로 유입된 세탁물을 세탁수와 함께 교반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회전조(20)의 상부에는 회전조(20)의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110)가 설치된다.
급수장치(110)는 급수를 제어하는 급수밸브(113)와, 이 급수밸브(113)와 하기할 세제공급장치(120)를 연결하는 급수관(111)을 포함한다.
급수관(111)의 일측은 외부 급수원(미도시)과 연결되고, 급수관(111)의 타측은 세제 공급장치(120)와 연결된다.
세제공급장치(120)는 상부커버(14)의 내부에 마련되는 케이스(121)와, 케이스(12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각 세제가 수납되는 세제용기(123)를 포함한다.
케이스(121)의 저면에는 세제가 용해된 세탁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125)가 형성된다.
급수관(111)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 공급장치(120)를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회전조(20)의 내부로 공급된다.
회전조(20)의 하부에는 세탁 또는 탈수 과정이 완료된 후, 세탁수를 캐비닛(10)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1배수호스(H1) 및 제2배수호스(H2)가 마련된다.
구동장치(30)는 회전조(20)와 펄세이터(23)를 회전시키는 클러치(31)와, 클러치(31)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33)를 포함한다.
클러치(31)는 구동모터(33)와 풀리(35) 및 벨트(37)로 연결되어 구동모터(33)의 구동력을 회전조(20) 또는 펄세이터(23)에 선택적으로 전달한다.
이하에서는 세탁기의 외관의 크기를 키우지 않으면서도 세탁 용량을 확대할 수 있고, 회전조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구조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캐비닛(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조(20)와, 회전조(20)를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조(20)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동장치(30)와, 회전조(20)의 하부에서 구동축(31B)에 의해 회전조(20)와 연결되는 브라켓 플레이트(40)와, 브라켓 플레이트(40)의 하부에 마련되는 베이스(50)와, 베이스(50)에 지지된 채로 브라켓 플레이트(40)에 연결되어 회전조(20)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서스펜션 부재(60)를 포함한다.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캐비닛(10)과 일정 간격을 두고 회전조(20)가 직접 배치된다.
즉, 캐비닛(10)과 회전조(20)의 사이에는 별도의 세탁수를 저수하는 구성이 생략된다.
캐비닛(10)은 세탁기(1)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부(11)와, 외측부(11)의 내면과 연결되는 내측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내측부(12)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외주면은 외측부(11)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면과 리브(미도시) 등을 통해 연결되거나, 외측부(11)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면과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생산성 향상을 위해 외측부(11)와 내측부(12)는 사출 제작 방식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외측부(11)와 내측부(12)로 구성되는 캐비닛은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P(Poly Propylene)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내측부(12)의 하단에는 내측부(12)의 둘레를 따라 절곡 형성되는 배수홈(12A)이 마련된다.
배수홈(12A)은 내측부(12)의 하단으로부터 그 중심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12a)와, 제1절곡부(12a)의 단부에서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절곡부(12b)로 구성된다.
제1절곡부(12a)는 탈수과정에서 회전조(20)의 상부에 형성되는 통공(24)을 통해 회전조(20)의 외부로 배출되어 직접 낙하하거나, 회전조(20)의 외주면 또는 내측부(12)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는 물을 받는 바닥면의 역할을 하며, 제2절곡부(12b)는 내측부(12)의 하단 내주면과 함께 바닥면으로 낙하한 물을 저수한 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유로를 형성한다.
제1절곡부(12a)의 일측에는 배수홈(12A)과 연통되어 배수홈(12A)에 저수된 물을 배수홈(12A)의 외부로 안내하기 위한 배수홀(12B)이 형성된다.
배수홀(12B)의 일단에는 앞서 설명한 제2배수호스(H2)가 연결되며, 배수홀(12B)을 지난 물은 제2배수호스(H2) 및 제2배수호스(H2)와 연결되는 제1배수호스(H1)를 통해 최종적으로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수된다.
내측부(12)의 내측에는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조(20)가 마련된다.
회전조(20)는 바닥부(21)와, 바닥부(21)와 연결되어 세탁수를 저수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측벽(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측벽(22)은 바닥부(21)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직경이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된다.
세탁물을 탈수하는 탈수 과정에 회전조(20)가 대략 280rpm 이상의 고속으로 회전하면 세탁물에서 탈수된 물은 원심력에 의해 측벽(22)에 도달한 후, 경사지게 마련된 측벽(22)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조(20)의 상부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측벽(22)과 바닥부(21)에 수직한 직선(l)이 이루는 경사각(α)은 대략 2˚ 내지 10˚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각(α)이 2˚ 미만으로 지나치게 작을 경우, 물이 측벽(22)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조(20)의 상부로 원활하게 이동하지 못하게 되어 탈수 성능이 떨어질 수 있으며, 경사각(α)이 10˚ 를 초과하여 지나치게 클 경우, 회전조(20)의 상부가 넓어져 캐비닛(10)의 전체적인 폭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측벽(22)의 상부에는 세탁물에서 탈수된 물이 회전조(2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통공(24)이 형성된다.
통공(24)은 측벽(22)의 둘레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통공(24)이 형성되는 높이는 대략 회전조(20) 높이의 2/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통공(24)을 통해 회전조(20)의 외부로 배출된 물은 회전조(20)의 외주면 또는 내측부(12)의 내주면을 따라 흘러내리거나, 측벽(22)과 내측부(12)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배출유로(27)를 통해 직접 낙하하여 배수홈(12A)으로 유입된다.
또한, 회전조(20)는 통공(24)을 통해 회전조(20)의 외부로 배출된 물을 배수홈(12A)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리브(26)가 더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리브(26)는 배수홈(12A)을 형성하는 제2절곡부(12b)와 내측부(12)의 내주면 사이에 위치하며, 측벽(22)의 하단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되어, 특히 회전조(20)의 외주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이 회전조(20)의 바닥부(21)를 따라 클러치(31), 구동모터(33) 등이 배치된 회전조(20)의 중심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자연스럽게 배수홈(12A)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바닥부(21)의 측면과 가이드리브(26)의 사이에는 간섭방지홈(28)이 소정 깊이로 형성되어 세탁기(1)가 동작하는 과정에서 회전조(20)의 상,하 방향 진동에 의한 회전조(20)와 제2절곡부(12b)의 간섭을 방지한다.
간섭방지홈(28)의 깊이 또는 가이드리브(26)가 측벽(22)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길이는 세탁 또는 탈수 과정에서 회전조(20)가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는 폭과 관계된다.
회전조(20)가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는 폭이 클수록 간섭방지홈(28)의 깊이는 깊어져야 하는 반면에 가이드리브(26)가 연장되는 길이는 짧아져야 한다.
이와 같이 가이드리브(26)를 제2절곡부(12b)와 내측부(12)의 내주면 사이에 위치시키고, 제2절곡부(12b)가 간섭방지홈(28)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캐비닛(10)의 전체적인 높이를 낮출 수 있다.
즉, 회전조(20)가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는 폭을 고려하여 회전조(20)가 진동하는 과정에서 가이드리브(26)는 배수홈(12A)에 수용되도록 하고, 제2절곡부(12b)는 간섭방지홈(26)에 수용되도록 하여, 가이드리브(26)와 제2절곡부(12b)가 중첩되는 길이 만큼 캐비닛(10)의 높이를 낮출 수 있다.
회전조(20)의 하부에는 회전조(20) 또는 회전조(20) 내부에 배치되는 펄세이터(23)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30)가 결합된다.
구동부는 회전조(20) 및 펄세이터(23)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클러치(31)와, 클러치(31)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33)와, 클러치(31)의 구동축(31B)과 회전조(20)의 바닥부(21)를 연결하여 구동축(31B)의 회전력을 회전조(20)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플랜지부재(130)와, 클러치(31) 및 구동모터(33)를 고정하는 베이스플레이트(140)로 구성된다.
회전조(20)의 바닥부(21)의 중심에는 플랜지부재(130)와 결합하여 플랜지부재(130)를 고정, 지지하는 축결합부(25)가 형성된다.
축결합부(25)는 바닥부(21)로부터 회전조(20)의 외측으로 하향 돌출되는 축결합벽(25A)과, 플랜지부재(130)의 일단이 회전조(2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축결합벽(25A)의 내측에 형성되는 축삽입홀(25B)을 포함한다.
축삽입홀(25B)에는 구동축(31B)과 회전조(20)를 결합시키는 플랜지부재(130)가 삽입, 고정된다.
플랜지부재(130)는 구동축(31B)과 결합될 수 있도록 그 중심을 관통하는 제1관통홀(131)과, 제1관통홀(131)의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배치, 형성되는 제2관통홀(133)을 포함한다.
제2관통홀(133)은 세탁 과정이 완료된 후 회전조(20)의 내부에 저수된 세탁수가 회전조(20)의 외부로 이동하는 이동통로의 역할을 한다.
클러치(31)는 하우징(31A)과, 하우징(31A)의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축(31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31A)의 내부 공간에는 구동축(31B)을 회전 지지하는 각종 베어링들 및 구동축(31B)을 감속하는 감속장치들이 마련된다.
구동축(31B)은 플랜지부재(130)에 형성된 제1관통홀(131)을 관통하여 회전조(20) 및 펄세이터(23)와 연결된다.
구동축(31B)은 제1관통홀(131)과 결합되는 제1연결부(31a)와, 제1연결부(31a)에서 연장되어 펄세이터(23)와 결합되는 제2연결부(31b)로 구성된다.
제1연결부(31a)와 제2연결부(31b)는 세탁 또는 탈수과정에 따라서 동시에 회전하거나 별개로 회전하게 되는데, 세탁과정에서는 제2연결부(31b)가 회전하여 제2연결부(31b)와 결합된 펄세이터(23)를 회전시키게 되며, 탈수과정에서는 제1연결부(31a) 및 제2연결부(31b)가 동시에 회전하여 회전조(20) 및 펄세이터(23)를 동시에 회전시키게 된다.
구동축(31B)의 타단에는 풀리(35)가 결합되어 구동모터(33)의 회전력이 클러치(31)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플랜지부재(130)와 베이스플레이트(140) 사이에는 베이스플레이트커버(141)가 결합되며, 베이스플레이트커버(141)는 제2관통홀(133)과 연통되어 베이스플레이트(140)와 함께 제2관통홀(133)을 통해 유입된 세탁수가 배수케이스(150)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플랜지부재(130)와 베이스플레이트커버(141), 베이스플레이트커버(141)와 베이스플레이트(140) 사이에는 실링부재(143)가 삽입되어 세탁수의 누수를 방지한다.
베이스플레이트(140)의 하부에는 배수케이스(150)가 결합된다.
배수케이스(150)는 베이스플레이트커버(141) 및 베이스플레이트(14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지나 유입된 세탁수를 수용한다.
배수케이스(150)의 일단에는 배수케이스(150)로 유입된 세탁수를 배수하는 배수관(151)이 마련되며, 배수관(151)에는 제1배수호스(H1)가 연결되어 세탁수를 캐비닛(10)의 외부로 안내한다.
배수관(151)에는 배수밸브(153)가 마련되어 세탁 과정에서 회전조(20) 내부의 세탁수가 선택적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세탁 또는 헹굼 과정에 사용된 세탁수는 플랜지부재(130)에 형성된 제2관통홀(133)을 통해 베이스플레이트커버(141) 및 베이스플레이트(140)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후, 배수케이스(150) 및 제1배수호스(H1)를 통해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수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탈수과정에서 세탁물로부터 탈수된 세탁수는 통공(24)을 통해 회전조(20)의 외부로 배출되어 회전조(20)의 외주면 또는 내측부(12)의 내주면을 따라 흘러 배수홈(12A)으로 유입된 후, 배수홀(12B) 및 배수홀(12B)과 연결된 제2배수호스(H2)를 통해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수된다.
회전조(20)의 하부에서 회전조(20)를 지지하는 세탁기(1)의 하부지지장치는 회전조(20)의 하부에서 구동축(31B)에 의해 회전조(20)와 연결되는 브라켓 플레이트(40)와, 브라켓 플레이트(40)의 하부에 마련되는 베이스(50)와, 일측은 베이스(50)에 지지되고 타측은 브라켓 플레이트(40)에 연결되어 회전조(20)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서스펜션 부재(60)를 포함한다.
브라켓 플레이트(40)는 하부에 구동장치(30)가 마련되는 베이스부(41)와, 베이스부(41)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회전조 무게중심(C)의 높이까지 연장되는 연장부(43)와, 연장부(43) 상부에 형성되어 서스펜션 부재(60)와 연결되는 연결부(45)를 포함한다.
브라켓 플레이트(40)의 연장부(43)는 베이스부(41)에서 캐비닛(10) 방향으로 베이스부(41)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연장부(43A)와, 제1연장부(43A)에서 캐비닛(10) 쪽을 향해 경사지도록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43B)를 포함한다.
제1연장부(43A)에서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43B)는 회전조(20) 무게중심(C)의 높이에서 상하로 + / - 100㎜ 범위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45)가 형성되는 제2연장부(43B) 상부가 회전조(20) 무게중심(C)의 높이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서스펜션 부재(60)가 회전조(20) 무게중심(C)의 측면 부근에서 연결부(45)와 연결되어 회전조(20)의 진동을 서스펜션 부재(60)가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베이스(50)에 지지되는 서스펜션 부재(60)는 제2연장부(43B)에서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연결부(45)에 수직하게 연결되도록 베이스(50)에서 회전조(20) 쪽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연결부(45)에 연결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의 하부지지장치는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70)가 회전조(20)의 외측에 구비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세탁기(1')에 터브(70)가 있는 경우에는 하부지지장치가 터브(70)의 하부에서 터브(70)를 직접 지지하게 된다.
회전조(20)의 외측에 터브(70)가 구비되는 경우 하부지지장치는 회전조(20)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터브(70)의 진동을 흡수하는 서스펜션 부재(60')와, 서스펜션 부재(60')가 지지되는 베이스(50')를 포함한다.
회전조(20)의 외측에 터브(70)가 구비되어 하부지지장치가 터브(70)를 직접 지지하는 경우는 하부지지장치가 회전조(20)를 지지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서스펜션 부재(60')의 하부는 베이스(50')에 지지된다.
그러나, 하부지지장치의 브라켓 플레이트의 구성은 생략되어 서스펜션 부재(60')의 상부가 터브(70)에 직접 연결된다.
서스펜션 부재(60')가 연결되도록 터브(70)의 하부에는 연결부재(71)가 포함된다.
연결부재(71)는 터브(70) 내부에 배치되는 회전조(20)의 무게중심 측면 부근에 위치되도록 터브(70)의 하부에 배치되고, 연결부재(71)에 서스펜션 부재(60')가 직접 연결되어 서스펜션 부재(60')가 회전조(20)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터브(70)의 진동을 흡수하게 된다.
서스펜션 부재(60')는 하부가 베이스(50')에 지지되고, 상부가 회전조(20)의 무게중심 측면 부근에서 터브(70)의 연결부재(71)에 연결되어 터브(70)의 하부에서 터브(70)를 지지함으로써 회전조(20)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터브(70)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경우 바닥면(22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기호를 사용하며,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0)은 배수홈(12A)의 제2절곡부(12b)의 단부에서 내측부(12)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바닥면(210)을 포함한다.
바닥면(210)은 그 중심부가 외곽부에 비해 더 높게 형성되어, 측벽(22)의 외주면 또는 회전조(20)의 바닥부(21)에서 떨어진 세탁수가 배수홈(12A)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또한, 바닥면(210)은 바닥면(210)을 기준으로 회전조(20)와 베이스플레이트(140)를 각각 상부와 하부로 구획함으로써, 회전조(20)의 바닥부(21)에서 떨어진 세탁수가 클러치(31), 구동모터(33) 등이 배치된 회전조(20)의 중심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한편 바닥면(210)의 중심부에는 제3관통홀(211)이 형성되어 구동축(31B)이 제3관통홀(211)을 통해 회전조(20) 및 펄세이터(23)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스펜션 부재(60)가 회전조(20) 무게중심(C)의 측면에서 회전조(20)를 지지하도록 하여 회전조(20)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캐비닛(10)과 회전조(20)의 사이에 별도의 세탁수를 저수하는 구성이 생략되므로, 캐비닛(10) 내부의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즉, 캐비닛(10)의 크기를 키우지 않으면서도 회전조(20)의 크기를 키워 세탁용량을 늘릴 수 있다. 또한, 세탁용량을 늘리지 않는 경우 회전조(20)의 크기를 작게 하지 않으면서도 캐비닛(10)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세탁기 및 세탁기의 하부지지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세탁기
10 : 캐비닛 11 : 외측부
12 : 내측부 12A : 배수홈
12a : 제1절곡부 12b : 제2절곡부
12B : 배수홀 13 : 세탁물 투입구
14 : 상부커버 15 : 도어
16 : 안착부 17 : 하부커버
20 : 회전조 21 : 바닥부
22 : 측벽 23 : 펄세이터
24 : 통공 25 : 축결합부
25A : 축결합벽 25B : 축삽입홀
26 : 가이드리브 27 : 배출유로
28 : 간섭방지홈
30 : 구동장치 31 : 클러치
31A : 하우징 31B : 구동축
31a : 제1연결부 31b : 제2연결부
33 : 구동모터 35 : 풀리
37 : 벨트
40 : 브라켓 플레이트 41 : 베이스부
43 : 연장부 43A : 제1연장부
43B : 제2연장부 45 : 연결부
50, 50' : 베이스
60, 60' : 서스펜션 부재
70 : 터브 71 : 연결부재
110 : 급수장치 111 : 급수밸브
113 : 급수관
120 : 세제공급장치 121 : 케이스
123 : 세제용기 125 : 배출구
130 : 플랜지부재 131 : 제1관통홀
133 : 제2관통홀
140 : 베이스플레이트 141 : 베이스플레이트커버
143 : 실링부재
150 : 배수케이스 151 : 배수관
153 : 배수밸브
H1 : 제1배수호스 H2 : 제2배수호스
C : 무게중심
210 : 바닥면 211 : 제3관통홀

Claims (21)

  1.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부와, 상기 외측부의 내면에 연결되는 원통 형상의 내측부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상기 내측부 내부에서 수직한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직경이 증가하도록 경사지게 연장되는 측벽을 포함하는 회전조;
    상기 회전조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조를 회전시키는 구동장치;
    상기 회전조의 하부에서 상기 구동축에 의해 상기 회전조와 연결되며 하부에 상기 구동장치가 마련되는 브라켓 플레이트;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의 하부에 마련되는 베이스;
    하부는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고, 상부는 상기 회전조 무게중심의 측면에서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조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서스펜션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부와 상기 내측부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부는 상기 외측부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내면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회전조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세탁수가 상기 회전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그 상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는 상기 내측부의 하단으로부터 그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통공을 통해 낙하하는 세탁수를 저수하는 배수홈과, 상기 배수홈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홈에 저수된 세탁수를 상기 배수홈의 외부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는 상기 측벽의 하부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통공을 통해 배출된 세탁수가 상기 배수홈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홈은 상기 내측부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내측부의 중심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와, 상기 제1절곡부의 일단으로부터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제2절곡부와 상기 내측부의 내주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회전조와 상기 회전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펄세이터를 회전시키는 클러치와, 상기 클러치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는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조의 하부에는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이 상기 회전조에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축과 상기 회전조를 연결하는 플랜지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재는 상기 구동축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플랜지부재의 중심을 관통하는 제1관통홀과, 상기 제1관통홀의 주위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조의 내부에 저수된 세탁수를 상기 회전조의 외부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는 상기 배수홈의 단부로부터 상기 내측부의 중심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면의 상부에는 상기 회전조가 배치되고, 하부에는 상기 구동장치를 고정하는 베이스플레이트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은 상기 회전조의 측벽 또는 상기 회전조의 바닥부에서 낙하한 세탁수가 중력에 의해 상기 배수홈으로 흐를 수 있도록 중심부가 외곽부에 비해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상기 회전조 무게중심의 높이까지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서스펜션 부재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의 상기 베이스부 하부에는 상기 구동장치가 마련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상기 회전조 무게중심의 높이에서 상하로 + / - 100㎜ 범위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연결부와 상기 서스펜션 부재가 상기 회전조 무게중심의 측면에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캐비닛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부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에서 상기 캐비닛 쪽을 향해 경사지도록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장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연장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캐비닛 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는 상기 서스펜션 부재는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상기 연결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회전조 쪽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17.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 내부에서 수직한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조를 포함하는 세탁기의 상기 회전조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세탁기의 하부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의 하부에서 상기 구동축에 의해 상기 회전조와 연결되고,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상기 회전조 무게중심의 높이까지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 상부에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브라켓 플레이트;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의 하부에 마련되는 베이스;
    일측은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조 무게중심의 측면에서 상기 브라켓 플레이트의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조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서스펜션 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하부지지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상기 회전조 무게중심의 높이에서 상하로 + / - 100㎜ 범위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하부지지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베이스부에서 상기 캐비닛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부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에서 상기 캐비닛 쪽을 향해 경사지도록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하부지지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장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연장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상기 캐비닛 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하부지지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지지되는 상기 서스펜션 부재는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상기 연결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회전조 쪽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하부지지장치.
KR1020110070395A 2011-07-15 2011-07-15 세탁기 KR101605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395A KR101605760B1 (ko) 2011-07-15 2011-07-15 세탁기
US13/544,440 US20130014547A1 (en) 2011-07-15 2012-07-09 Washing machine
EP12175818.9A EP2559799B1 (en) 2011-07-15 2012-07-11 Washing machine
CN2012102434627A CN102877258A (zh) 2011-07-15 2012-07-13 洗衣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0395A KR101605760B1 (ko) 2011-07-15 2011-07-15 세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351A KR20130009351A (ko) 2013-01-23
KR101605760B1 true KR101605760B1 (ko) 2016-03-25

Family

ID=46516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0395A KR101605760B1 (ko) 2011-07-15 2011-07-15 세탁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014547A1 (ko)
EP (1) EP2559799B1 (ko)
KR (1) KR101605760B1 (ko)
CN (1) CN10287725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215787A (zh) * 2013-04-18 2013-07-24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衣机内筒支架及其制造方法和具有该内筒支架的洗衣机
CN103590218B (zh) * 2013-10-17 2015-09-16 江苏海狮机械集团有限公司 敞开式洗脱机上的减震及保护机构
US9284672B2 (en) 2013-10-17 2016-03-15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tub and basket having matched characteristics
CN104088118B (zh) * 2014-06-24 2017-02-15 上海百强洗涤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隧道式洗涤龙的内滚筒浮动支撑托结构
JP6908351B2 (ja) * 2016-02-29 2021-07-28 青島海爾洗衣机有限公司QingDao Haier Washing Machine Co.,Ltd. 洗濯機
US10240272B2 (en) 2016-05-13 2019-03-26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with drive attachment mechanism
CN105887408B (zh) * 2016-05-19 2019-05-21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08457037A (zh) * 2017-02-17 2018-08-28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波轮洗衣机
CN108729125B (zh) * 2017-04-24 2020-09-25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
CN108797003B (zh) * 2017-04-28 2021-04-20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洗衣机
CN108796998A (zh) * 2017-04-28 2018-11-13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洗衣机和洗衣机的旋转桶
CN109385797A (zh) * 2017-08-04 2019-02-26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
CN109537231B (zh) * 2017-09-21 2024-03-05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洗衣机
CN111850973B (zh) * 2019-04-24 2022-05-03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内桶组件及洗衣机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34858A (en) * 1941-03-01 1943-11-23 Electric Household Utilities Centrifugal extractor
US2589796A (en) * 1946-05-23 1952-03-18 Whirlpool Co Vibration reducing support for washing machines and the like
US2585107A (en) * 1946-11-20 1952-02-12 Whirlpool Co Vibration dampener mounting for washing machines and the like
US2957331A (en) * 1954-06-14 1960-10-25 Easy Washing Machine Company L Tub support
US2969172A (en) * 1956-05-16 1961-01-24 Easy Washing Machine Company L Clothes washing machine
US2987189A (en) * 1959-09-21 1961-06-06 Gen Electric Vibration isolating system
BE594847A (ko) * 1959-09-21
US3021956A (en) * 1960-01-28 1962-02-20 Gen Electric Vibration isolating system
US3321940A (en) * 1965-01-21 1967-05-30 Gen Motors Corp Rod suspension for clothes washing apparatus
US3373962A (en) * 1965-12-29 1968-03-19 Gen Steel Wares Ltd Washing machine support structure
US3535897A (en) * 1968-05-02 1970-10-27 Blackstone Corp Clothes washing machines
US3557579A (en) * 1968-12-16 1971-01-26 Donald Marshall Washing machine
US3669389A (en) * 1970-07-28 1972-06-13 Gsw Ltd Tub washing machine support structure
US3854308A (en) * 1973-01-23 1974-12-17 Whirlpool Co Suspension mounting assembly for automatic washer
US3863467A (en) * 1973-06-04 1975-02-04 Whirlpool Co Automatic washing machine and overflow tub ring therefor
JPS58118794A (ja) * 1981-12-30 1983-07-14 株式会社東芝 洗濯機
US5606879A (en) * 1995-05-26 1997-03-04 General Electric Company Automatic washing machine suspension system
US5809808A (en) * 1997-02-07 1998-09-22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Clutch bearing for clothes washer transmission
JP2000070591A (ja) * 1998-08-28 2000-03-07 Kyoko Ouchi 全自動電気洗濯機
AU760902B2 (en) * 2000-10-12 2003-05-22 Lg Electronics Inc. Drawer-type washing machine
KR101584546B1 (ko) * 2009-01-06 2016-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CN101914844A (zh) * 2010-08-19 2010-12-15 刘富春 一种波轮洗衣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9351A (ko) 2013-01-23
EP2559799A1 (en) 2013-02-20
US20130014547A1 (en) 2013-01-17
EP2559799B1 (en) 2016-09-14
CN102877258A (zh)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5760B1 (ko) 세탁기
EP2530198B1 (en) Washing machine
KR20130016932A (ko) 세탁기
EP2554734B1 (en) Washing machine
KR20060081745A (ko) 드럼세탁기
KR20140018681A (ko) 세탁기
KR101354216B1 (ko) 세탁기
KR20130062182A (ko) 세탁기
JP7112497B2 (ja) 洗浄機器及び洗浄水の吐出方法
KR20140115157A (ko) 전자동 세탁기
KR20100083208A (ko) 터브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KR20130116633A (ko) 뎀핑장치를 구비하는 세탁기
KR100826206B1 (ko) 드럼세탁기
KR102557404B1 (ko) 세탁기
KR10232552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674527B1 (ko) 세탁기
KR10241184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6006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434445B1 (ko) 세탁기용 펄세이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세탁기
KR20120133988A (ko) 세탁기
US20220049394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586309B1 (ko) 드럼세탁기
KR20150051052A (ko) 세탁기
KR20000059338A (ko) 세탁기
KR20010010614A (ko) 밸런서가 중간에 설치된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