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3988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33988A KR20120133988A KR1020120011974A KR20120011974A KR20120133988A KR 20120133988 A KR20120133988 A KR 20120133988A KR 1020120011974 A KR1020120011974 A KR 1020120011974A KR 20120011974 A KR20120011974 A KR 20120011974A KR 20120133988 A KR20120133988 A KR 2012013398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tating tub
- base plate
- washing machine
- rotating
- tub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 D06F21/06—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about a vertical axi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245—Damping vibrations by displacing, supplying or ejecting a material, e.g. liquid, into or from counterbalancing pocke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1—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 D06F37/262—Tubs made by a specially selected manufacturing process or characterised by their assembly from elements made of plastic material, e.g. by injection moulding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7—Tub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thereto components or devic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40—Driving arrangements for driving the receptacle and an agitator or impeller, e.g. alternativel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3—Liquid discharge or recirculation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세탁기의 외관의 크기를 키우지 않으면서 세탁용량을 늘릴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진 세탁기를 개시한다.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부와, 외측부의 내면에 연결되는 원통 형상의 내측부와, 내측부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바닥부와, 바닥부로부터 그 직경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측벽을 구비하는 회전조와, 회전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펄세이터와, 회전조의 하부에 마련되는 모터와, 모터의 동력을 회전조 또는 펄세이터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와, 클러치 및 모터를 고정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와 캐비닛의 상부를 연결하여 회전조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서스펜션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세탁과정에서 상기 회전조 내부에는 세탁수가 채워지고, 상기 회전조의 외부에는 세탁수가 채워지지 않는다.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부와, 외측부의 내면에 연결되는 원통 형상의 내측부와, 내측부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바닥부와, 바닥부로부터 그 직경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측벽을 구비하는 회전조와, 회전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펄세이터와, 회전조의 하부에 마련되는 모터와, 모터의 동력을 회전조 또는 펄세이터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와, 클러치 및 모터를 고정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베이스플레이트와 캐비닛의 상부를 연결하여 회전조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서스펜션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세탁과정에서 상기 회전조 내부에는 세탁수가 채워지고, 상기 회전조의 외부에는 세탁수가 채워지지 않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전력을 이용하여 의류를 세탁하는 기계로서, 일반적으로 세탁수를 저수하는 터브와, 터브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조와, 회전조의 바닥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펄세이터와, 회전조 및 펄세이터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모터 및 클러치를 구비한다.
회전조의 내부에 세탁물 및 세제수가 투입된 상태에서 회전조 및 펄세이터가 회전하면 펄세이터는 회전조의 내부로 투입된 세탁물을 세탁수와 함께 교반시켜 세탁물에 묻은 때를 제거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세탁기의 세탁용량을 늘리기 위해서는 세탁물이 투입되는 회전조의 크기, 즉 회전조의 직경 또는 높이가 커져야 하며, 회전조의 크기가 커지는 경우, 회전조를 수용하는 터브 및 터브를 수용하는 캐비닛의 크기가 같이 커져야 한다.
캐비닛, 즉 세탁기의 외관이 커질수록 세탁기를 설치하는 공간에 제약이 따르고, 또한 수직축 세탁기의 경우 세탁기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세탁물을 투입하기 불편하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한 구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세탁기의 외관의 크기를 키우지 않으면서 세탁용량을 늘릴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진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부;와, 상기 외측부의 내면에 연결되는 원통 형상의 내측부;와, 상기 내측부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그 직경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측벽을 구비하는 회전조;와, 상기 회전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펄세이터;와, 상기 회전조의 하부에 마련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회전조 또는 상기 펄세이터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와, 상기 클러치 및 상기 모터를 고정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캐비닛의 상부를 연결하여 상기 회전조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서스펜션부재;를 포함하고, 세탁과정에서 상기 회전조 내부에는 세탁수가 저수되고, 상기 회전조의 외부에는 세탁수가 저수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측부는 상기 외측부의 적어도 일부분의 내면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측부와 상기 내측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벽은, 상기 회전조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세탁수가 상기 회전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그 상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부는, 상기 내측부의 하단으로부터 그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통공을 통해 낙하하는 세탁수를 저수하는 배수홈과, 상기 배수홈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홈에 저수된 세탁수를 상기 배수홈의 외부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조는 상기 측벽의 하부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통공을 통해 배출된 세탁수가 상기 배수홈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홈은 상기 내측부의 하단부으로부터 상기 내측부의 중심방항으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와, 상기 제1절곡부의 일단으로부터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제2절곡부와 상기 내측부의 내주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클러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는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조의 하부에는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이 상기 회전조에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축과 상기 회전조를 연결하는 플랜지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재는, 상기 구동축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플랜지부재의 중심을 관통하는 제1관통홀과, 상기 제1관통홀의 주위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조의 내부에 저수된 세탁수를 상기 회전조의 외부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부는 상기 배수홈의 단부로부터 상기 내측부의 중심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획면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조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구획면을 기준으로 상기 구획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획면은 상기 회전조의 측벽 또는 상기 회전조의 바닥부에서 낙하한 세탁수가 중력에 의해 상기 배수홈으로 흐를 수 있도록 그 중심부가 그 외곽부에 비해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서스펜션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브라켓은 세탁기가 동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배수홈과 간섭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한 회피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부와, 상기 외측부의 적어도 일부분의 내면에 접하는 원통 형상의 내측부를 포함하는 캐비닛;과,
상기 내측부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그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직경이 증가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회전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조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그 직경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벽은, 상기 회전조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세탁수가 상기 회전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그 상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측부의 내주면은 상기 측벽의 외주면과 함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공을 통해 배출된 세탁수가 흐르는 배출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내측부는, 그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배출유로를 따라 낙하하는 세탁수를 저수하는 배수홈과, 상기 배수홈과 연통되어 상기 배수홈에 저수된 세탁수를 상기 배수홈의 외부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조는 상기 측벽의 하부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통공을 통해 배출된 세탁수가 상기 배수홈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와 상기 가이드리브의 사이에는 상기 회전조와 상기 내측부가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간섭방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측부는 상기 회전조의 측벽 또는 상기 회전조의 바닥부에서 낙하한 세탁수가 상기 배수홈으로 흐를 수 있도록 그 중심이 외곽에 비해 더 높게 형성되는 바닥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부와 상기 내측부는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회전조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조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회전조에 전달하는 클러치;와, 상기 클러치 및 상기 모터를 고정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캐비닛의 상부를 연결하여 상기 회전조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서스펜션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서스펜션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며 그 높이의 1/2 이상의 위치에만 통공이 형성된 측벽을 구비하는 회전조;와, 상기 측벽의 외주면과 상기 캐비닛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배출유로;와, 상기 회전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펄세이터;와, 상기 회전조의 하부에 마련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회전조 또는 상기 펄세이터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와, 상기 클러치 및 상기 모터를 고정하며, 상기 캐비닛의 상부와 연결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캐비닛의 하단에 절곡 형성되어 상기 회전조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통공 및 상기 배출유로를 통해 유입된 물을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캐비닛의 상부를 연결하여 상기 회전조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서스펜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부의 중심부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조 내부에 저수된 물이 상기 회전조의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관통홀을 구비하는 플랜지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배수홀을 통해 유입된 물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로 안내하는 베이스플레이트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홈은 상기 내측부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캐비닛의 중심방항으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와, 상기 제1절곡부의 일단으로부터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수홈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홈에 저수된 세탁수를 상기 배수홈의 외부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은 상기 배수홈의 단부로부터 상기 회전조의 중심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바닥면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면은 상기 측벽 또는 상기 바닥부에서 낙하한 세탁수가 상기 배수홈으로 흐를 수 있도록 그 중심이 외곽에 비해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세탁기의 크기를 키우지 않으면서 용량을 늘릴 수 있으므로, 한 번의 세탁으로 더 많은 양의 세탁물을 세탁할 수 있다.
또한, 같은 용량일 경우 일반적인 세탁기에 비해 외관의 크기가 작으므로, 설치공간의 제약에 따른 부담이 적고, 세탁물을 편리하게 투입할 수 있어 사용자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III-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5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III-Ⅲ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도 5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캐비닛(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조(30)와, 회전조(30)를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조(30)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캐비닛(10)의 상부에는 회전조(30)의 내부로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세탁물 투입구(14)가 형성된 상부커버(15)가 마련되며, 상부커버(15)에는 세탁물 투입구(14)를 개폐하는 도어(16)가 마련된다.
캐비닛(10)의 하부에는 세탁기(1)를 바닥면에 안착시킬 수 있도록 안착부(19)가 결합된 하부커버(18)가 마련된다.
캐비닛(10)의 상부에는 회전조(30)를 캐비닛(10)에 매달아 지지하기 위한 서스펜션부재(21, 도 2 참조)가 연결된다.
회전조(30)는 캐비닛(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그 상부에는 회전조(30)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통공(36)을 구비한다.
회전조(30)의 바닥에는 펄세이터(35)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펄세이터(35)는 회전조(30)의 내부로 유입된 세탁물을 세탁수와 함께 교반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회전조(30)의 상부에는 회전조(30)의 내부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장치(50)가 설치된다. 급수장치(50)는 급수를 제어하는 급수밸브(53)와, 이 급수밸브(53)와 세제공급장치(60)를 연결하는 급수관(51)을 포함한다.
급수관(51)의 일측은 외부 급수원(미도시)과 연결되고, 급수관(51)의 타측은 세제 공급장치(60)와 연결된다.
세제공급장치(60)는 상부커버(15)의 내부에 마련되는 케이스(61)와, 케이스(6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각 세제가 수납되는 세제용기(63)를 포함한다. 케이스(61)의 저면에는 세제가 용해된 세탁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구(65)가 형성된다.
급수관(51)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세제 공급장치(60)를 경유하여 세제와 함께 회전조(30)의 내부로 공급된다.
회전조(30)의 하부에는 세탁 또는 탈수 과정이 완료된 후, 세탁수를 캐비닛(10)의 외부로 안내하는 제1배수호스(82) 및 제2배수호스(84)가 마련된다.
구동부는 회전조(30) 및 펄세이터(35)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클러치(120)와, 클러치(120)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50)와, 클러치(120)의 구동축(124)과 회전조(30)의 바닥부(32)를 연결하여 구동축(124)의 회전력을 회전조(30)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플랜지부재(140)와, 클러치(120) 및 구동모터(150)를 고정하는 베이스플레이트(16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세탁기의 외관의 크기를 키우지 않으면서 세탁용량을 늘일 수 있는 구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상부커버(15), 하부커버(18) 및 구동장치(100)를 제외한 구조를 도시하였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캐비닛(10)과 일정 간격을 두고 회전조(30)가 직접 배치된다. 즉, 캐비닛(10)과 회전조(30)의 사이에는 별도의 세탁수를 저수하는 구성이 생략된다.
캐비닛(10)은 세탁기(1)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부(10a)와, 외측부(10a)의 내면과 연결되는 내측부(1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내측부(10b)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외주면은 외측부(10a)의 적어도 일부분의 내면과 리브(미도시) 등을 통해 연결되거나, 외측부(10a)의 적어도 일부분의 내면과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내측부(10b)는 그 하부로부터 반경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탈수과정에서 통공(36)을 통해 회전조(30)의 외부로 배출된 물은 대부분 내측부(10b)의 내주면을 타고 아래로 흘러내려 배수홈(22)으로 유입되는데, 내측부(10b)가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회전조(30)의 외부로 배출된 물이 내측부(10b)의 경사면을 따라 서서히 흐르게 되므로, 배수홈(22)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배수홈(22)의 외부로 다시 튀어 나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내측부(10b)는 측벽(34)과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측벽(34)의 경사각(α)과 동일한 경사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조(3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회전조(30)는 상하 방향 뿐만 아니라 그 반경 방향으로도 유동하게 되는데, 회전조(30)의 반경 방향 유동에 따른 캐비닛(10) 내측부(10b)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갭(Gap)이 필요하며, 내측부(10b)와 측벽(34)이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캐비닛(10) 내부의 공간활용을 극대화 함과 동시에 일정한 갭(Gap)이 유지되도록 한다.
생산성 향상을 위해 외측부(10a)와 내측부(10b)는 사출 방식을 통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외측부(10a)와 내측부(10b)로 구성되는 캐비닛은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P(Poly Propylene)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캐비닛(10)이 사출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는 이유 중 하나는 캐비닛(10)이 외측부(10a)와 내측부(10b)로 형성되어 강도가 보강되기 때문이다. 즉, 캐비닛(10)의 사출 제작을 위해 금형 내부에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P(Poly Propylene) 등의 사출 재료를 주입, 응고시킨 후, 금형을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캐비닛(10)이 파손되지 않게 된다.
외측부(10a)와 내측부(10b)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즉 강도 보강을 위해 외측부(10a)는 금속 재질로 형성하고, 내측부(10b)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형상하여 외측부(10a)와 내측부(10b)를 결합시켜 캐비닛(10)을 형성할 수 있다.
내측부(10b)의 하단에는 내측부(10b)의 둘레를 따라 절곡 형성되는 배수홈(22)이 마련된다.
배수홈(22)은 내측부(10b)의 하단으로부터 그 중심방향으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22a)와, 제1절곡부(22a)의 단부에서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절곡부(22b)로 구성된다.
제1절곡부(22a)는 탈수과정에서 회전조(30)의 상부에 형성되는 통공(36)을 통해 회전조(30)의 외부로 배출되어 직접 낙하하거나, 회전조(30)의 외주면 또는 내측부(10b)의 내주면을 따라 흐르는 물을 받는 바닥면의 역할을 하며, 제2절곡부(22b)는 내측부(10b)의 하단 내주면과 함께 바닥면으로 낙하한 물을 저수한 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유로를 형성한다.
제1절곡부(22a)의 일측에는 배수홈(22)과 연통되어 배수홈(22)에 저수된 물을 배수홈(22)의 외부로 안내하기 위한 배수홀(24)이 형성된다. 배수홀(24)의 일단에는 앞서 설명한 제2배수호스(84)가 연결되며, 배수홀(24)을 지난 물은 제2배수호스(84) 및 제2배수호스(84)와 연결되는 제1배수호스(82)를 통해 최종적으로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수된다.
내측부(10b)의 내측에는 수직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회전조(30)가 마련된다.
회전조(30)는 바닥부(32)와, 바닥부(32)와 연결되어 세탁수를 저수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측벽(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닥부(32)에는 복수의 리브들(32a)이 형성되며, 복수의 리브들(32a)은 회전조(3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회전조(30)의 반경 방향, 즉 회전조의 중심에서 캐비닛(10)의 내측부(10b)를 향하는 방향으로 기류를 형성하여 회전조(30)의 외주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이 회전조(30)의 바닥부(32)를 따라 클러치(120), 구동모터(150) 등이 배치된 회전조(30)의 중심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측벽(34)은 바닥부(32)로부터 회전조(30)의 직경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세탁물을 탈수하는 탈수 과정에 회전조(30)가 대략 280rpm 이상의 고속으로 회전하면 세탁물에서 탈수된 물은 원심력에 의해 측벽(34)에 도달한 후, 경사지게 마련된 측벽(34)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조(30)의 상부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측벽(34)과 바닥부(32)에 수직한 직선(l)이 이루는 경사각(α)은 대략 2˚ 내지 10˚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각(α)이 2˚ 미만으로 지나치게 작을 경우, 물이 측벽(34)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조(30)의 상부로 원활하게 이동하지 못하게 되어 탈수 성능이 떨어질 수 있으며, 경사각(α)이 10˚ 를 초과하여 지나치게 클 경우, 회전조(30)의 상부가 넓어져 캐비닛(10)의 전체적인 폭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측벽(34)의 상부에는 세탁물에서 탈수된 물이 회전조(3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통공(36)이 형성된다.
통공(36)은 측벽(34)의 둘레를 따라 원주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통공(36)이 형성되는 높이는 대략 회전조(30) 높이의 1/2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통공(36)이 형성되는 높이가 회전조(30) 높이의 1/2 이상인 이유는 세탁과정에서 회전조(30) 내부의 세탁수가 통공(36)을 통해 유출되는 현상이 방지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통공(36)을 통해 회전조(30)의 외부로 배출된 물은 회전조(30)의 외주면 또는 내측부(10b)의 내주면을 따라 흘러내리거나, 측벽(34)과 내측부(10b)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배출유로(33)를 통해 직접 낙하하여 배수홈(22)으로 유입된다.
또한, 회전조(30)는 통공(36)을 통해 회전조(30)의 외부로 배출된 물을 배수홈(22)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리브(38)가 더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리브(38)는 배수홈(22)을 형성하는 제2절곡부(22b)와 내측부(10b)의 내주면 사이에 위치하며, 측벽(34)의 하단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되어, 특히 회전조(30)의 외주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이 회전조(30)의 바닥부(32)를 따라 클러치(120), 구동모터(150) 등이 배치된 회전조(30)의 중심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자연스럽게 배수홈(22)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바닥부(32)의 측면과 가이드리브(38)의 사이에는 간섭방지홈(39)이 소정 깊이로 형성되어 세탁기(1)가 동작하는 과정에서 회전조(30)의 상,하 방향 진동에 의한 회전조(30)와 제2절곡부(22b)의 간섭을 방지한다.
간섭방지홈(39)의 깊이 또는 가이드리브(38)가 측벽(34)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는 길이는 세탁 또는 탈수 과정에서 회전조(30)가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는 폭과 관계된다. 회전조(30)가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는 폭이 클수록 간섭방지홈(39)의 깊이는 깊어져야 하는 반면에 가이드리브(38)가 연장되는 길이는 짧아져야 한다.
이와 같이 가이드리브(38)를 제2절곡부(22b)와 내측부(10b)의 내주면 사이에 위치시키고, 제2절곡부(22b)가 간섭방지홈(39)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캐비닛(10)의 전체적인 높이를 낮출 수 있다. 즉, 회전조(30)가 상,하 방향으로 진동하는 폭을 고려하여 회전조(30)가 진동하는 과정에서 가이드리브(38)는 배수홈(22)에 수용되도록 하고, 제2절곡부(22b)는 간섭방지홈(39)에 수용되도록 하여, 가이드리브(38)와 제2절곡부(22b)가 중첩되는 길이 만큼 캐비닛(10)의 높이를 낮출 수 있다.
회전조(30)의 하부에는 회전조(30) 또는 회전조(30) 내부에 배치되는 펄세이터(35)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가 결합된다.
구동부는 회전조(30) 및 펄세이터(35)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클러치(120)와, 클러치(120)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150)와, 클러치(120)의 구동축(124)과 회전조(30)의 바닥부(32)를 연결하여 구동축(124)의 회전력을 회전조(30)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플랜지부재(140)와, 클러치(120) 및 구동모터(150)를 고정하는 베이스플레이트(160)로 구성된다.
회전조(30)의 바닥부(32)의 중심에는 플랜지부재(140)와 결합하여 플랜지부재(140)를 고정, 지지하는 축결합부(31)가 형성된다. 축결합부(31)는 바닥부(32)로부터 회전조(30)의 외측으로 하향 돌출되는 축결합벽(31a)과, 플랜지부재(140)의 일단이 회전조(3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축결합벽(31a)의 내측에 형성되는 축삽입홀(31b)을 포함한다.
축삽입홀(31b)에는 구동축(124)과 회전조(30)를 결합시키는 플랜지부재(140)가 삽입, 고정된다.
플랜지부재(140)는 구동축(124)과 결합될 수 있도록 그 중심을 관통하는 제1관통홀(142)과, 제1관통홀(142)의 주위에 원주 방향으로 배치, 형성되는 제2관통홀(144)을 포함한다.
제2관통홀(144)은 세탁 과정이 완료된 후 회전조(30)의 내부에 저수된 세탁수가 회전조(30)의 외부로 이동하는 이동통로의 역할을 한다.
클러치(120)는 하우징(122)과, 하우징(122)의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축(1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22)의 내부 공간에는 구동축(124)을 회전 지지하는 각종 베어링들 및 구동축(124)을 감속하는 감속장치들이 마련된다.
구동축(124)은 플랜지부재(140)에 형성된 제1관통홀(142)을 관통하여 회전조(30) 및 펄세이터(35)와 연결된다.
구동축(124)은 제1관통홀(142)과 결합되는 제1연결부(124a)와, 제1연결부(124a)에서 연장되어 펄세이터(35)와 결합되는 제2연결부(124b)로 구성된다. 제1연결부(124a)와 제2연결부(124b)는 세탁 또는 탈수과정에 따라서 동시에 회전하거나 별개로 회전하게 되는데, 세탁과정에서는 제2연결부(124b)가 회전하여 제2연결부(124b)와 결합된 펄세이터(35)를 회전시키게 되며, 탈수과정에서는 제1연결부(124a) 및 제2연결부(124b)가 동시에 회전하여 회전조(30) 및 펄세이터(35)를 동시에 회전시키게 된다. 구동축(124)의 타단에는 풀리(134)가 결합되어 구동모터(150)의 회전력이 클러치(120)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플랜지부재(140)와 베이스플레이트(160) 사이에는 베이스플레이트커버(162)가 결합되며, 베이스플레이트커버(162)는 제2관통홀(144)과 연통되어 베이스플레이트(160)와 함께 제2관통홀(144)을 통해 유입된 세탁수가 배수케이스(174)로 이동할 수 있도록 공간(161)을 형성한다. 또한 플랜지부재(140)와 베이스플레이트커버(162), 베이스플레이트커버(162)와 베이스플레이트(160) 사이에는 실링부재(164)가 삽입되어 세탁수의 누수를 방지한다.
베이스플레이트(160)의 하부에는 배수케이스(174)가 결합된다. 배수케이스(174)는 베이스플레이트커버(162) 및 베이스플레이트(160)에 의해 형성된 공간(161)을 지나 유입된 세탁수를 수용한다. 배수케이스(174)의 일단에는 배수케이스(174)로 유입된 세탁수를 배수하는 배수관(176)이 마련되며, 배수관(176)에는 제1배수호스(82)가 연결되어 세탁수를 캐비닛(10)의 외부로 안내한다. 배수관(176)에는 밸브(178)가 마련되어 세탁 과정에서 배수케이스(174) 내부의 세탁수가 선택적으로 배수될 수 있도록 한다.
세탁 또는 헹굼 과정에 사용된 세탁수는 플랜지부재(140)에 형성된 제2관통홀(144)을 통해 베이스플레이트커버(162) 및 베이스플레이트(160) 사이의 공간(161)으로 유입된 후, 배수케이스(174) 및 제1배수호스(82)를 통해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수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탈수과정에서 세탁물로부터 탈수된 세탁수는 통공(36)을 통해 회전조(30)의 외부로 배출되어 회전조(30)의 외주면 또는 내측부(10b)의 내주면을 따라 흘러 배수홈(22)으로 유입된 후, 배수홀(24) 및 배수홀(24)과 연결된 제2배수호스(84)를 통해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수된다.
베이스플레이트(160)는 서스펜션부재(21)에 의해 캐비닛(10)의 상부에 결합된다. 서스펜션부재(21)는 사각 형상의 외측부(10a)와 원통 형상의 내측부(10b)에 의해 형성된 캐비닛(10)의 모서리부에 적어도 둘 이상이 결합되어 회전조(30)를 지지하게 된다. 캐비닛(10)의 모서리부에는 서스펜션부재(21)의 일단을 지지,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리브(10c)가 마련되며, 결합리브(10a)는 외측부(10a) 및 내측부(10b)와 함께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연결브라켓(180)은 베이스플레이트(160)와 서스펜션부재(21) 사이에 결합되며, 세탁기가 동작하는 과정에서 배수홈(22)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단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회피홈(181)을 구비한다. 베이스플레이트(160)와 연결브라켓(180)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회전조(30)는 클러치(120) 및 회전조(30)의 하부에서 클러치를 고정하는 베이스플레이트(160)와 연결되고, 베이스플레이트(160)는 서스펜션부재(21)를 통해 캐비닛(10)의 상부에 결합되는 구조로, 회전조(30)에 가해지는 하중은 베이스플레이트(160)를 통해 서스펜션부재(21)에 전달되며, 서스펜션부재(21)는 회전조(30)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진동을 감쇠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캐비닛(10)은 외측부(10a)와 내측부(10b)를 포함하는 이중 구조로 형성되어, 서스펜션부재(21)에 의해 연결된 회전조(30), 클러치(120), 구동모터(150) 등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가진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III-Ⅲ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Ⅳ-Ⅳ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서는 상부커버(15), 하부커버(18) 및 구동장치(100)를 제외한 구조를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경우 바닥면(22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기호를 사용하며,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0)은 배수홈(22)의 제2절곡부(22b)의 단부에서 내측부(10b)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바닥면(220)을 포함한다.
바닥면(220)은 그 중심부가 외곽부에 비해 더 높게 형성되어, 측벽(34)의 외주면 또는 회전조(30)의 바닥부(32)에서 떨어진 세탁수가 배수홈(22)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또한, 바닥면(220)은 바닥면(220)을 기준으로 회전조(30)와 베이스플레이트(160)를 각각 상부와 하부로 구획함으로써, 회전조(30)의 바닥부(32)에서 떨어진 세탁수가 클러치(120), 구동모터(150) 등이 배치된 회전조(30)의 중심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한편 바닥면(220)의 중심부에는 제3관통홀(222)이 형성되어 구동축(124)이 제3관통홀(222)을 통해 회전조(30) 및 펄세이터(35)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8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고, 도 11은 도 10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서는 상부커버(15), 하부커버(18) 및 구동장치(100)를 제외한 구조를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경우 내측부(10b)의 하부 구조 및 내측부(10b)의 하부 구조와 관련된 베이스플레이트(160)의 구성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기호를 사용하며,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닛(10)의 내측부(10b)의 하부에는 내측부(10b)의 경사면의 따라 흘러 내려온 물을 베이스플레이트(160)로 안내하는 가이드부(302)가 마련되고, 가이드부(302)의 하부에는 내측부(10b)와 베이스플레이트(160)가 서로 충돌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부재(304)가 마련된다.
가이드부(302)는 내측부(10b)의 하단부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되고, 가이드부(302)의 적어도 일부분이 베이스플레이트(160)에 형성된 수용리브(312)의 내측에 수용되도록 배치되어, 탈수 과정에서 통공(36)을 통해 배출되어 가이드부(302) 또는 측벽(34)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이 자연스럽게 베이스플레이트(160)로 떨어질 수 있도록 안내한다.
완충부재(304)는 가이드부(302)의 하단부에 마련되며, 세탁 또는 탈수 과정에서 회전조(30)가 상,하 방향으로 진동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가이드부(302)와 베이스플레이트(160) 간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완화하여 가이드부(302)와 베이스플레이트(16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완충부재(304)는 고무, 플라스틱 등과 같이 가이드부(302)및 베이스플레이트(160)의 재질보다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하면서도 탄성이 있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완충부재(304)는 이물질이 가이드부(302)와 베이스플레이트(160) 사이의 틈을 통해 클러치(120), 구동모터(150) 등이 배치된 회전조(30)의 중심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특히, 쥐 등과 같은 작은 동물 등이 가이드부(302)와 베이스플레이트(160) 사이의 틈을 통해 회전조(30)의 중심부로 이동하여 클러치(120), 구동모터(150) 등과 간섭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세탁기(1)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60)의 외측 둘레부에는 가이드부(302)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는 수용리브(312)와, 가이드부(302) 또는 측벽(34)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을 수용하는 수용홈(314)과, 가이드부(302)의 내측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가이드부(302)와 함께 수용홈(314)을 형성하는 단차부(316)가 마련된다.
수용리브(312)는 베이스플레이트(160)의 외측 둘레부 상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되어 단차부(316)와 함께 수용홈(314)을 형성한다. 수용리브(312)는 가이드부(302)의 적어도 일부분을 그 내측으로 수용하여 가이드부(302) 또는 측벽(34)을 따라 흘러내리거나, 수용홈(314)에 수용된 물이 외측부(10a)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탈수 과정에서 통공(34)을 통해 회전조(30)의 외측으로 배출되어 가이드부(302) 또는 측벽(34)을 따라 흘러내리는 물은 가이드부(302) 및 가이드부(302)의 외측에서 가이드부(302)를 수용하는 수용리브(312)에 의해 외측부(10a)로 유출되는 것이 차단된다.
수용홈(314)은 탈수 과정에서 가이드부(302) 또는 측벽(34)을 따라 흘러내린 물을 일시적으로 수용한다. 수용홈(314)을 형성하는 베이스플레이트(160)의 상면에는 수용홈(314)과 연통되어 수용홈(314)에 수용된 물을 수용홈(314)의 외부로 안내하기 위한 배수구(318)가 형성된다. 배수홀(24)의 일단에는 앞서 설명한 제2배수호스(84)가 연결되며, 배수구(318)를 지난 물은 제2배수호스(84) 및 제2배수호스(84)와 연결되는 제1배수호스(82)를 통해 최종적으로 캐비닛(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세탁 또는 헹굼 과정에서 사용된 물은 회전조(3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관통홀(144)을 통해 베이스플레이트커버(162) 및 베이스플레이트(160) 사이의 공간(161)으로 유입되고, 탈수 과정에서 사용된 물은 회전조(30)의 상부에 위치하는 통공(34)을 통해 베이스플레이트커버(162)의 외측 둘레에 형성되는 수용홈(314)으로 유입된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베이스플레이트커버(162) 및 베이스플레이트(160)가 형성하는 공간을 제1수용부(161)라 하고, 수용홈(314)을 제2수용부(322)라 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재(304)와 인접한 베이스플레이트(160)의 상면에는 완충부재(304)와 베이스플레이트(160)의 상면 사이의 틈이 이물질 등으로 인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부(319)가 형성된다. 돌기부(319)는 완충부재(304)와의 사이에 물이 흐를 수 있는 별도의 배수유로(319a)를 형성함으로써 완충부재(304)와 베이스플레이트(160)의 상면 사이의 틈이 막히더라도 가이드부(302) 및 완충부재(304) 내측의 물이 배수유로(319a)를 통해 가이드부(302) 및 완충부재(304)와 수용리브(312) 사이의 공간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캐비닛(10)과 회전조(30)의 사이에 별도의 세탁수를 저수하는 구성이 생략되므로, 캐비닛(10) 내부의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즉, 캐비닛(10)의 크기를 키우지 않으면서도 회전조(30)의 크기를 키워 세탁용량을 늘릴 수 있다. 또한, 세탁용량을 늘리지 않는 경우 회전조(30)의 크기를 작게 하지 않으면서도 캐비닛(10)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1 : 세탁기 10 : 캐비닛
10a : 내측부 10b : 외측부
16 : 도어 21 : 서스펜션부재
22 : 배수홈 24 : 배수홀
30 : 회전조 32 : 바닥부
34 : 측벽 36 : 통공
38 : 가이드리브 39 : 간섭방지홈
120 : 클러치 140 : 플랜지부재
150 : 구동모터 160 : 베이스플레이트
162 : 베이스플레이트커버 174 : 배수케이스
180 : 연결브라켓 181 : 회피홈
220 : 바닥면 302 : 가이드부
304 : 완충부재 312 : 수용리브
314 : 수용홈 316 : 단차부
10a : 내측부 10b : 외측부
16 : 도어 21 : 서스펜션부재
22 : 배수홈 24 : 배수홀
30 : 회전조 32 : 바닥부
34 : 측벽 36 : 통공
38 : 가이드리브 39 : 간섭방지홈
120 : 클러치 140 : 플랜지부재
150 : 구동모터 160 : 베이스플레이트
162 : 베이스플레이트커버 174 : 배수케이스
180 : 연결브라켓 181 : 회피홈
220 : 바닥면 302 : 가이드부
304 : 완충부재 312 : 수용리브
314 : 수용홈 316 : 단차부
Claims (40)
-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부와, 상기 외측부의 내면에 연결되는 원통 형상의 내측부를 포함하는 캐비닛;과,
상기 내측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그 직경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측벽을 구비하는 회전조;와,
상기 회전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펄세이터;와,
상기 회전조의 하부에 마련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회전조 또는 상기 펄세이터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와,
상기 클러치 및 상기 모터를 고정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캐비닛의 상부를 연결하여 상기 회전조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서스펜션부재;를 포함하고,
세탁과정에서 상기 회전조 내부에는 세탁수가 저수되고, 상기 회전조의 외부에는 세탁수가 저수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는 상기 외측부의 적어도 일부분의 내면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부와 상기 내측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회전조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세탁수가 상기 회전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그 상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는,
상기 내측부의 하단으로부터 그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통공을 통해 낙하하는 세탁수를 저수하는 배수홈과,
상기 배수홈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홈에 저수된 세탁수를 상기 배수홈의 외부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는 상기 측벽의 하부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통공을 통해 배출된 세탁수가 상기 배수홈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홈은 상기 내측부의 하단부으로부터 상기 내측부의 중심방항으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와, 상기 제1절곡부의 일단으로부터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리브는 상기 제2절곡부와 상기 내측부의 내주면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결합되는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축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조의 하부에는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이 상기 회전조에 전달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축과 상기 회전조를 연결하는 플랜지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재는,
상기 구동축과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플랜지부재의 중심을 관통하는 제1관통홀과,
상기 제1관통홀의 주위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조의 내부에 저수된 세탁수를 상기 회전조의 외부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는 상기 배수홈의 단부로부터 상기 내측부의 중심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획면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조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구획면을 기준으로 상기 구획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면은 상기 회전조의 측벽 또는 상기 회전조의 바닥부에서 낙하한 세탁수가 중력에 의해 상기 배수홈으로 흐를 수 있도록 그 중심부가 그 외곽부에 비해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서스펜션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브라켓은 세탁기가 동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배수홈과 간섭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한 회피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부와, 상기 외측부의 적어도 일부분의 내면에 접하는 원통 형상의 내측부를 포함하는 캐비닛;과,
상기 내측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그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직경이 증가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회전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그 직경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측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상기 회전조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세탁수가 상기 회전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그 상부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의 내주면은 상기 측벽의 외주면과 함께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공을 통해 배출된 세탁수가 흐르는 배출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는,
그 단부로부터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배출유로를 따라 낙하하는 세탁수를 저수하는 배수홈과,
상기 배수홈과 연통되어 상기 배수홈에 저수된 세탁수를 상기 배수홈의 외부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는 상기 측벽의 하부로부터 소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통공을 통해 배출된 세탁수가 상기 배수홈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와 상기 가이드리브의 사이에는 상기 회전조와 상기 내측부가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간섭방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는 상기 회전조의 측벽 또는 상기 회전조의 바닥부에서 낙하한 세탁수가 상기 배수홈으로 흐를 수 있도록 그 중심이 외곽에 비해 더 높게 형성되는 바닥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부와 상기 내측부는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조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회전조에 전달하는 클러치;와,
상기 클러치 및 상기 모터를 고정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캐비닛의 상부를 연결하여 상기 회전조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서스펜션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서스펜션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며 그 높이의 1/2 이상의 위치에만 통공이 형성된 측벽을 구비하는 회전조;와,
상기 측벽의 외주면과 상기 캐비닛의 내주면에 의에 형성되는 배출유로;와,
상기 회전조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펄세이터;와,
상기 회전조의 하부에 마련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회전조 또는 상기 펄세이터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와,
상기 클러치 및 상기 모터를 고정하며, 상기 캐비닛의 상부와 연결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캐비닛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조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통공 및 상기 배출유로를 통해 유입된 물을 상기 캐비닛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캐비닛의 상부를 연결하여 상기 회전조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서스펜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의 중심부에 결합되며, 상기 회전조 내부에 저수된 물이 상기 회전조의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관통홀을 구비하는 플랜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함께 상기 관통홀을 통해 유입된 물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로 안내하는 베이스플레이트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홈은 상기 내측부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캐비닛의 중심방항으로 절곡되는 제1절곡부와, 상기 제1절곡부의 일단으로부터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2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홈에 형성되어 상기 배수홈에 저수된 세탁수를 상기 배수홈의 외부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은 상기 배수홈의 단부로부터 상기 회전조의 중심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바닥면을 포함하며,
상기 바닥면은 상기 측벽 또는 상기 바닥부에서 낙하한 세탁수가 상기 배수홈으로 흐를 수 있도록 그 중심이 외곽에 비해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통공을 통해 배출된 세탁수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는 그 하단으로부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통공을 통해 배출된 세탁수를 상기 수용홈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하단에 결합되어 세탁 또는 탈수 시 회전조의 진동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간의 충돌에 따른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상기 수용홈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수용홈에 저수된 세탁수를 상기 수용홈의 외부로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와 인접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면에는 상기 완충부재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 상면 사이의 틈이 이물질 등에 의해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외관을 형성하는 외측부와, 상기 외측부의 적어도 일부분의 내면에 접하는 원통 형상의 내측부를 포함하는 캐비닛;과,
상기 내측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며, 그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직경이 증가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회전조;와,
상기 회전조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회전조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회전조에 전달하는 클러치;와,
상기 클러치 및 상기 모터를 지지하며, 상기 회전조의 외부로 배출된 세탁수를 수용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캐비닛의 상부를 연결하여 상기 회전조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는 서스펜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부는 상기 회전조의 외부로 배출된 세탁수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로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그 전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그 내측으로 상기 가이드부를 수용하는 수용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는 세탁 과정에서 상기 회전조의 하부를 통해 유입된 물을 수용하는 제1수용부와, 상기 회전조의 상부를 통해 유입된 물을 수용하는 제2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11974A KR20120133988A (ko) | 2011-05-30 | 2012-02-06 | 세탁기 |
ES12169467T ES2718306T3 (es) | 2011-05-30 | 2012-05-25 | Máquina de lavar |
EP12169467.3A EP2530198B1 (en) | 2011-05-30 | 2012-05-25 | Washing machine |
CN201210175615.9A CN102978867B (zh) | 2011-05-30 | 2012-05-30 | 洗衣机 |
US13/483,361 US9428853B2 (en) | 2011-05-30 | 2012-05-30 | Washing mach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51412 | 2011-05-30 | ||
KR1020120011974A KR20120133988A (ko) | 2011-05-30 | 2012-02-06 | 세탁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33988A true KR20120133988A (ko) | 2012-12-11 |
Family
ID=47517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11974A KR20120133988A (ko) | 2011-05-30 | 2012-02-06 | 세탁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133988A (ko) |
-
2012
- 2012-02-06 KR KR1020120011974A patent/KR20120133988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530198B1 (en) | Washing machine | |
KR101605760B1 (ko) | 세탁기 | |
KR20130016932A (ko) | 세탁기 | |
KR102147819B1 (ko) | 세탁기 및 이의 제어방법 | |
KR20120053579A (ko) |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가지는 세탁기 | |
KR20140018681A (ko) | 세탁기 | |
KR101354216B1 (ko) | 세탁기 | |
JP2011240078A (ja) | 洗濯機 | |
EP2524992B1 (en) | Washing machine comprising a drain hose | |
KR102071704B1 (ko) |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 |
KR102557404B1 (ko) | 세탁기 | |
US8746019B2 (en) | Tub with overflow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 |
EP2468940B1 (en) | Detergent cas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 |
KR20130116633A (ko) | 뎀핑장치를 구비하는 세탁기 | |
KR102351658B1 (ko) | 세탁기 | |
KR102325526B1 (ko) | 의류처리장치 | |
JP2000140477A (ja) | 洗濯機 | |
KR20120133988A (ko) | 세탁기 | |
KR102411846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1186600B1 (ko) | 드럼세탁기의 가스켓 | |
JP6060369B2 (ja) | 洗濯機 | |
KR101674527B1 (ko) | 세탁기 | |
KR100353030B1 (ko) | 세탁기 | |
KR102350237B1 (ko) | 세탁기 | |
KR100598000B1 (ko) | 드럼 세탁기의 드럼 백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MND | Amendm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