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5526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5526B1
KR102325526B1 KR1020170084664A KR20170084664A KR102325526B1 KR 102325526 B1 KR102325526 B1 KR 102325526B1 KR 1020170084664 A KR1020170084664 A KR 1020170084664A KR 20170084664 A KR20170084664 A KR 20170084664A KR 102325526 B1 KR102325526 B1 KR 102325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detergent
sub
chamber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4437A (ko
Inventor
채애경
권오신
김근주
정재용
이동수
전호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4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5526B1/ko
Priority to AU2018296988A priority patent/AU2018296988B2/en
Priority to BR112020000170-8A priority patent/BR112020000170B1/pt
Priority to PCT/KR2018/007575 priority patent/WO2019009617A1/ko
Priority to CN201880045015.6A priority patent/CN110832134B/zh
Priority to US16/611,788 priority patent/US11162208B2/en
Publication of KR20190004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4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mounted on the agitator or the rotating drum; Free body dispens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드럼의 내부에 서브드럼을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여 서브드럼 내부에서의 세탁이 메인드럼에서의 세탁과 분리되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회전축이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드럼, 드럼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세탁물의 세탁이 드럼과 분리되어 수행되는 서브드럼,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부 및 서브드럼에 구비되어 세제를 수용하며 급수부로부터 공급된 세탁수와 함께 수용된 세제를 상기 서브드럼으로 배출하는 세제박스;를 포함하며, 세제박스는 격벽으로 구획되며, 세제가 수용되는 복수의 챔버 및 수용된 세제가 서브드럼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챔버를 순차적으로 거쳐 배출되도록 격벽에 소정의 높이로 구비되어 챔버를 상호 연통시키는 연통홀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드럼의 내부에 서브드럼을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여 서브드럼 내부에서의 세탁이 메인드럼에서의 세탁과 분리되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을 수행하는 세탁기,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기 및 건조와 세탁을 함께 할 수 있는 건조겸용 세탁기를 포함한다.
의류처리장치가 세탁장치로 사용되는 경우,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캐비닛에 구비되어 세탁물의 인입과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도어를 포함한다.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탑 로딩 타입(Top Loading Type)과,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프론트 로딩 타입(Front Loading Type)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프론트 로딩 타입은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형성되며, 세제, 세탁수 및 세탁물이 드럼 내에 투입된 상태에서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드럼과 세탁물의 마찰력 및 세탁물의 낙하 충격을 이용하여 세탁을 행하는 드럼 세탁 방식에 의해 세탁을 수행한다. 드럼 세탁 방식은 세탁물의 손상이 거의 없고, 세탁물이 서로 엉키지 않으며, 두드리고 비벼 빠는 세탁효과를 낼 수 있다.
탑 로딩 타입은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형성되며,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 내부에 드럼이 구비되고, 드럼 내부에 공급된 세탁수에 세탁물이 잠긴 상태에서 세탁이 이루어지는 펄세이터 방식에 의해 세탁을 수행한다. 펄세이터 방식은 드럼의 회전이나 드럼의 하부에 구비되어 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의 회전에 의하여 세탁수와 세탁물 간의 마찰과 세제의 작용으로 하여 세탁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세탁물이 세탁수에 잠길 정도로 세탁수가 공급되어야만 세탁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세탁수가 많이 사용된다.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는 하나의 드럼에서 세탁물의 세탁과정 즉, 세탁행정, 헹굼행정 및 탈수행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세탁물의 색상이나 재질에 따라 분리하여 세탁하여야 하는 경우 적어도 두 번의 세탁과정을 거처야 하기 때문에 의류처리장치를 작동하는 횟수가 많아져 세탁수, 세제 및 에너지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하나의 바디에 두 개의 드럼이 구비되는 세탁기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세탁기는 큰 용량의 드럼과 작은 용량의 드럼이 하나의 세탁기에 구비될 뿐만 아니라 큰 용량의 드럼과 작은 용량의 드럼을 통한 세탁 과정 전체가 완전히 분리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각각의 드럼이 동시 또는 이시에 사용될 수 있으므로 편리하며, 나아가 소량 세탁이 필요한 경우 작은 용량의 드럼만 사용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세탁장치의 경우 제품 가격이 상승할 수 밖에 없으며, 두 개의 드럼이 서로 분리되어 구비되므로 제품 자체의 사이즈가 커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종래의 세탁장치가 설치되는 공간보다 더 넓은 설치 공간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또한, 소형 드럼이 대형 드럼의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 소형 드럼 사용 시 사용자가 과도하게 허리를 굽혀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소형 드럼이 대형 드럼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신장이 작은 사용자가 소형 드럼에 접근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하나의 세탁기에서 개별 세탁을 수행하기 위한 선행기술에 따르면, 드럼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드럼을 갖는 의류처리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선행발명의 서브드럼은 용량이 작고 와류를 발생시키는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기가 곤란하며, 서브드럼의 회전에 의한 와류 발생 빈도가 메인드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서브드럼에 의한 세탁력이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서브드럼과 메인드럼 간에 결합하는 부분이 비교적 좁은 부분에 위치하므로, 사용자가 그 정확한 위치에 서브드럼을 장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서브드럼은 탈수행정 등을 수행하기 위하여 고속 회전 시 수평 방향으로 진동할 뿐만 아니라 상하 방향으로도 진동하므로 메인드럼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메인드럼과 서브드럼에 각각 급수하는 경우, 메인드럼에 급수하는 급수장치와 서브드럼에 급수하는 급수장치가 별도로 요구되어 의류처리장치의 부피가 증가하고 제작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서브드럼에 의한 세탁과정 즉, 세탁행정, 헹굼행정 및 탈수행정에서 간이 탈수를 포함한 탈수 과정 중 세탁수가 메인드럼의 내부로 배출된다. 즉, 선행발명에서는 메인드럼과 서브드럼에서의 세탁 과정이 실질적으로 분리되지 않게 된다. 구체적으로, 선행발명에서는 서브드럼의 급수와 메인드럼의 급수가 모두 서브드럼을 통해 수행된다.
따라서, 서브드럼에 공급된 세제가 메인드럼으로 공급되어 서브드럼에서의 세탁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메인드럼으로 과도한 세제가 공급되므로, 서브드럼과 메인드럼에서 적정 세제량을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세탁 대상에 따라 세제 종류가 달라지는 경우 즉, 메인드럼에 투입되는 세제와 서브드럼에 투입되는 세제가 달라질 필요가 있음에도 선행발명에서는 이러한 사용 형태가 허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서브드럼에 투입되는 세제를 저장하는 별도의 세제박스가 구비되어도 외부로부터 세탁수가 유입되어 서브드럼으로 공급하는 별도의 급수관이 요구되어 구성이 복잡하고 제조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오염 정도가 심한 소 용량의 걸레를 서브드럼에서 세탁을 수행하고 대용량의 아기 옷을 메인드럼에서 세탁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세탁수가 오염이 심한 걸레를 적신 후 메인드럼으로 유입된다. 마찬가지로 서브드럼에서 배출되는 세탁수는 먼저 메인드럼으로 유입된 후 배출된다. 따라서, 이러한 사용 형태는 메인드럼에서 높은 정도의 청결도가 요구되는 세탁물을 세탁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으며, 나아가 사용자의 감성상 허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서브드럼과 메인드럼 사이의 급수, 세탁 그리고 배수가 실질적으로 분리되지 않음에 기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선행발명에서는 메인드럼에 양말과 같은 세탁물을 추가로 투입하는 것이 여의치 않다. 왜냐하면 메인드럼의 투입구를 서브드럼이 막고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메인드럼 내부에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며, 메인드럼의 세탁과 서브드럼의 세탁을 분리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세탁수의 급수와 배수가 실질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서브드럼을 통해서도 충분한 세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서브드럼뿐만 아니라 메인드럼에도 용이하게 세탁물을 추가로 투입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서브드럼에서 배출되는 세탁수가 메인드럼으로 유입되지 않고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서, 세탁 과정에서는 서브드럼 내부의 세탁수가 배출되지 않고 탈수 과정에서만 서브드럼 내부의 세탁수가 배출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배수 펌프와 같이 별도의 구동 수단이 서브드럼과 연결되지 않고도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서, 메인드럼에 공급되는 세제박스와 분리되어 서버드럼에 세제를 공급하는 별도의 세제박스가 구비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서, 별도의 급수관 없이 세탁수를 공급받아 서브드럼으로 세탁수와 함께 세제를 공급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회전축이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드럼;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세탁물의 세탁이 상기 드럼과 분리되어 수행되는 서브드럼;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부; 및 상기 서브드럼에 구비되어 세제를 수용하며, 상기 급수부로부터 공급된 세탁수와 함께 수용된 세제를 상기 서브드럼으로 배출하는 세제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세제박스는 격벽으로 구획되며, 세제가 수용되는 복수의 챔버; 및 상기 수용된 세제가 상기 서브드럼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의 크기에 따라 상기 복수의 챔버를 순차적으로 거쳐 배출되도록 상기 격벽에 소정의 높이로 구비되어 상기 챔버를 상호 연통시키는 연통홀;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세제박스는 상기 격벽이 복수 개로 구비되며, 각각의 격벽에 구비되는 연통홀의 높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연통홀이 높이는 상기 원심력에 의해 세탁수가 통과하는 격벽의 순서에 따라 점차 낮아질 수 있다.
상기 세제박스는 상기 연통홀을 거쳐 유입된 세제의 이동을 상기 원심력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내측면에 차단리브가 돌출되어 구비되는 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박스는 외부로부터 세제가 공급되는 제1챔버; 상기 서브드럼이 제1rpm으로 회전 시, 상기 제1챔버로부터 상기 연통홀을 통해 유입된 세제를 수용하는 제2챔버; 및 상기 서브드럼이 상기 제1rpm보다 작은 제2rpm으로 회전 시, 상기 제2챔버로부터 상기 연통홀을 통해 유입된 세제를 수용하는 제3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2챔버는 상기 제1챔버로부터 유입된 세제가 상기 원심력에 의해 상기 제3챔버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상기 원심력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세탁수의 내측면에 차단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리브는 상기 서브드럼이 상기 제2rpm보다 낮은 rpm으로 회전 시 세탁수가 통과하도록 상기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가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3챔버는 상기 급수부로부터 공급된 세탁수와 함께 세제를 사이펀 원리에 의해 상기 서브드럼으로 배출하도록 세제배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세제배출부는 상기 상기 제3챔버 내부를 상기 서브드럼의 내부와 연통시키는 사이펀관과 상기 사이펀관을 덮어 사이펀 유로를 형성하는 사이펀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배출부는 세제가 상기 원심력으로 인하여 상기 제3챔버의 일측으로 쏠리는 방향과 반대방향인 타측으로 치우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제박스는 상기 제1 내지 제3 챔버가 구비되는 수용부바디; 및 상기 수용부바디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수용부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에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며, 상면이 개방되어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제용기의 높이는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를 구획하는 격벽에 형성된 연통홀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수용부커버는 상기 급수부로부터 배출된 세탁수가 관통하여 상기 제3챔버로 유입되는 세탁수유입구; 및 세탁수를 하방으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세탁수유입구에 하나 이상 구비되는 유입가이드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럼의 횡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서브드럼은 상기 드럼의 내주면과 결합하는 결합부; 및 상기 드럼의 내주면과 이격되는 이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드럼은 상기 결합부 및 이격부가 상기 서브드럼 상단부의 둘레를 따라 교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제박스는 상기 결합부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브드럼은 세탁물 및 세탁수를 수용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상부에 결합하며 세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는 서브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브커버는 일측이 함입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결합부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제박스는 상기 손잡이부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회전축이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드럼;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세탁물의 세탁이 상기 드럼과 분리되어 수행되는 서브드럼;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부; 및 상기 서브드럼에 구비되어 세제를 수용하며, 상기 급수부로부터 공급된 세탁수와 함께 세제를 상기 서브드럼으로 배출하는 세제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세제박스는 격벽으로 구획되어 세제가 수용되는 복수의 챔버; 및 상기 수용된 세제가 상기 서브드럼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의 크기에 따라 상기 복수의 챔버를 순차적으로 거친 후 배출되도록 상기 격벽에 소정의 높이로 구비되어 상기 챔버를 상호 연통시키는 유로;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상기 세제박스는 외부로부터 세제가 공급되는 제1챔버; 상기 서브드럼이 제1rpm으로 회전 시, 상기 제1챔버로부터 상기 유로를 통해 유입된 세제를 수용하는 제2챔버; 및 상기 서브드럼이 상기 제1rpm보다 작은 제2rpm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챔버로부터 상기 유로를 통해 유입된 세제를 상기 급수부로부터 공급된 세탁수와 함께 사이펀 원리에 의해 상기 서브드럼으로 배출하는 세제배출부가 구비되는 제3챔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는 상기 제1챔버와 연통되는 유로의 높이가 상기 제3챔버와 연통되는 유로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기 제1챔버로부터 유입된 세제가 상기 서브드럼이 상기 제2rpm 보다 큰 rpm으로 회전 시에 상기 제3챔버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내측면에 차단리브가 돌출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세제배출부는 상기 원심력으로 인하여 세제가 상기 제3챔버의 일측으로 쏠리는 방향과 반대방향인 타측으로 치우쳐 구비되되, 상기 제3챔버 내부를 상기 서브드럼의 내부와 연통시키는 사이펀관; 및 상기 사이펀관을 덮어 사이펀 유로를 형성하는 사이펀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챔버에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며, 상면이 개방되고 상단의 높이가 상기 제1 및 제2 챔버 사이에 구비되는 격벽에 형성된 유로의 높이보다 낮도록 형성된 세제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별도의 와류발생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서브드럼의 회전에 의해 서브드럼의 내부에서 와류를 충분히 발생시켜 세탁력이 상승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다수의 돌기와 돌기를 수용하는 홈으로 이루어진 요철부가 상당히 넓게 분포하는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쉽게 서브드럼을 메인드럼의 정확한 위치에 장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셋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서브드럼의 고속 회전시 서브드럼이 메인드럼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급수장치에 의해 메인드럼과 서브드럼으로 급수할 수 있도록 하여 의류처리장치의 부피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제작 비용을 줄이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메인드럼에 공급되는 세제박스와 분리되어 서버드럼에 세제를 공급하는 별도의 세제박스로 인해 메인드럼에 사용되는 세제와 다른 세제를 서브드럼에 투입할 수 있다.
여섯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별도의 급수관 없이 하나의 급수장치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아 서브드럼으로 세탁수와 함께 세제를 공급하므로 구성이 간단하고 제작비용이 줄어든다.
일곱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서브드럼의 고속 회전에 의한 탈수 시 세탁수를 메인드럼의 외부로 배출하여 메인드럼 내부의 세탁물의 추가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메인드럼의 세탁과 서브드럼의 세탁을 분리하여 진행하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서브드럼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서브드럼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드럼에 장착된 서브드럼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한 서브드럼에 장착되는 세제박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세제박스를 설명하기 위한 측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서 도시한 서브드럼에 장착되는 세제박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서 도시한 서브드럼에 장착되는 세제박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용소를 다른 구성용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용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상부에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캐비닛(10), 캐비닛(10)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미도시), 캐비닛(10) 내부에 세탁수를 저장하도록 설치되는 터브(20), 터브(20)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후술하는 드럼(30)과 펄세이터(35)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14), 구동부(14)에 연결되어 구동부(14)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탁물을 세탁하는 드럼(30), 드럼(3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구동부(14)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탁물을 세탁하는 펼세이터(35), 드럼(30)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탁물의 세탁이 드럼(30)과 분리되어 수행되는 서브드럼(50)을 포함한다.
도 1에는 모터가 직접 회전축(17)과 연결되어 드럼(30)을 구동하는 직결식 구동 구조가 도시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의 드럼(30)은 드럼(3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한 서브드럼(50)과 대응되도록 메인드럼(30)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캐비닛(10)은 의류처리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며, 세탁물의 투입을 위해 캐비닛(1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된 캐비닛 커버(11)를 포함한다.
캐비닛 커버(11)는 캐비닛(10)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도어(미도시)가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도어를 개폐함으로써 드럼(30) 및 서브드럼(50) 내부로 세탁물을 넣거나, 드럼(30) 및 서브드럼(50)의 내부로부터 세탁물을 빼낼 수 있다.
한편, 드럼(30) 및 서브드럼(50)으로 세제가 포함된 물 또는 세제가 포함되지 않는 깨끗한 물을 급수하도록 급수부(18)가 캐비닛 커버(11)에 구비된다. 급수부(18)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세탁수를 후술하게 될 서브드럼(50)의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터브(20)의 내부를 통해 드럼(30)으로 급수하거나 서브드럼(50)으로 급수한다.
여기서의 세탁수는 세탁행정을 수행하기 위한 세탁수 뿐만 아니라 헹굼행정을 위한 헹굼수를 포함한다.
터브(2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된 채 세탁수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터브(20)는 상단부에 설치되는 터브커버(21)를 포함한다.
터브커버(21)는 드럼(30) 및 서브드럼(50)이 외부와 연통하도록 캐비닛(10)의 개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된다. 세탁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드럼(30)이 회전하면, 터브커버(21)는 드럼(3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인해 터브(20)의 내주면을 따라 순환하면서 상승한 세탁수를 드럼(30)의 중심부 측으로 이동시켜 드럼(30)의 내부로 낙하시키도록 가이드한다.
터브(20)는 하부면이 캐비닛(10)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24)과 댐퍼(23)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또한, 터브(20)는 하부면이 스프링(24)과 댐퍼(23)에 의해 직접 지지되므로 자체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터브(20)는 드럼(30)과 달리 구동부(14)로부터 별도의 회전력을 전달받지 않는다. 도 1에서는 스프링(24)과 댐퍼(23)가 터브(20)의 하부면에 직렬로 연결되는 구성이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프링(24)과 댐퍼(23)는 필요에 따라 병렬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댐퍼(23)는 터브(20)의 하부면에 연결되고 스프링(24)은 터브(20)의 상부면에 연결되며 그 역의 경우도 가능하다.
또한, 터브(20)의 하부면에는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장치가 연결된다. 배수장치는 터브(20)에 수용된 세탁수를 배출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배수펌프(11), 일단이 터부의 하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배수펌프(11)에 연결되어 터브(20)에 수용된 세탁수를 배수펌프(11)로 안내하는 제1 배수관(12) 및 일단이 배수펌프(11)에 연결되고 타단이 캐비닛(10) 일측에 연결되어 세탁수를 배수펌프(11)로부터 캐비닛(10) 외부로 배출하는 제2 배수관(13)을 포함한다. 제1 배수관(12)은 터브(20)의 진동이 배수펌프(11)에 전달되지 않도록 밸로우즈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부(14)는 로터(15)와 스테이터(16)로 이루어진 모터와 로터(15)에 연결되는 회전축(17)을 포함하며, 내부에 클러치(미도시)가 구비됨에 따라 구동력을 드럼(30)과 펄세이터(35)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축(17)이 펄세이터(35)에 고정된 채 드럼(30)에 선택적으로 결합함에 따라 구동부(14)는 펄세이터(35)에 구동력을 전달하거나 펄세이터(35)과 드럼(30)에 구동력을 함께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회전축(17)이 드럼(30)에 고정된 채 펄세이터(35)에 선택적으로 결합함에 따라 구동부(14)는 드럼(30)(30에 구동력을 전달하거나 펄세이터(35)과 드럼(30)에 구동력을 함께 전달할 수 있다.
위에서 회전축(17)이 펄세이터(35)와 드럼(30)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 채 나머지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설명에 의해 회전축(17)이 펄세이터(35)와 드럼(30)중 어느 하나에만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구조가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터브(2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채 세탁물이 투입되도록 형성된 드럼(30) 및 드럼(30)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서브드럼(50)이 구비된다.
드럼(30)은 상부가 개방되며 횡단면이 대략 원형인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하부면이 회전축(17)에 직결되어 구동부(14)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드럼(30)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통공(33)이 측벽 즉, 윈주면에 형성된다. 복수개의 통공(33)을 통하여 드럼(30)은 터브(20)와 연통된다. 이에 따라 세탁수가 터브(20)에 일정 수위 이상으로 공급되면 드럼(30)은 세탁수에 잠기면서 일부 세탁수가 통공(33)을 통하여 드럼(30)의 내부로 인입된다.
드럼(30)은 상단부에 구비되는 드럼커버(31)를 포함한다. 드럼커버(31)는 중공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터브커버(21)의 하측에 배치된다.
한편, 드럼커버(31)와 터브커버(21)에 의해 배출유로(47)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배출유로(47)는 드럼커버(31)와 터브커버(2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배출유로(47)는 서브드럼(50)의 상단부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 세탁수를 터브(20)의 내부로 안내한다.
드럼커버(31)는 세탁물이 투입되거나 서브드럼(50)이 장착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또한, 드럼커버(31)는 제1드럼(30)의 내부에서 세탁물이 쏠림으로 인해 발생하는 언밸런스를 해소하는 밸런서(311)가 내측에 구비된다. 이 경우 배출유로(47)는 밸런서(311)와 터브커버(2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서브드럼(50)의 위치제어를 수행하는 구성으로 제1 센서부(54), 제2 센서부(25), 제어부(미도시) 및 드럼(30)의 회전을 제동시키는 제동부(미도시)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제1 센서부(54)는 서브드럼(50)의 회전수를 감지하도록 제1 홀센서(Hall sensor, 55) 및 제1 자석부(56)로 이루어진다. 제1 홀센서(55)는 터브(20)커버의 상면에 구비되거나 터브(20)커버의 내측 테두리면에 구비되며, 제1 자석부(56)는 제1 홀센서(55)에 의해 감지되도록 서브드럼(50)의 상부면 일측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서브드럼(50)이 회전하면 제1 홀센서(54)가 제1 자석부(56)를 감지한 후 제어부(100)로 신호를 보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일한 홀 센서 및 단일한 자석으로 이루어진 제1 센서부(54)에 대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센서부(54)는 복수의 홀 센서 및 복수의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센서부(25)는 드럼(30)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도록 단일한 제2 홀센서(26) 및 제2 자석부(27)로 이루어진다, 제2 홀센서(26)는 터브(20)의 하부면 하측에 구비되며, 제2 자석부(27)는 제2 홀센서(26)에 의해 감지되도록 로터(15)의 상부면 외주를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된다. 따라서 드럼(30)이 회전하면 제2 홀센서(26)는 드럼(30)의 회전각도를 감지한 후 제어부(100)로 신호를 보낸다. 제2 센서부(25)는 드럼(30)의 정확한 회전각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제2 자석부(27)의 자석들이 등 간격으로 로터(15)에 구비되며, 구비되는 자석의 갯수가 증가할 수록 드럼(30)의 회전각도를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다. 즉, 제2 센서부(25)에 의해 로터(15)의 회전각도를 감지하여 드럼(30)의 회전각도를 판단한다.
로터(15)의 회전각도는 별도의 센서 없이 감지될 수 있다. 즉, 센서가 없는 센서리스(sensorless) 방식으로 로터(15)의 회전각도를 감지하여 드럼(30)의 회전각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리스 방식은 일정한 주파수의 상전류가 모터에 흐르도록 한 후 일정 주파수의 전류가 모터에 흐르는 동안 검출되는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모터의 회전자 위치를 추정함으로써 로터(15)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리스 방식은 공지의 기술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서브드럼(50)의 위치제어는 우선 제1 센서부(54)에 의해 서브드럼(50)의 장착여부가 판단된다. 이후, 장착여부 판단 시의 서브드럼(50)의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회전각도 만큼 서브드럼(50)가 회전하여 서브드럼(50)의 임의의 지점이 서브드럼(50) 외부의 미리 설정한 지점에 위치하도록 회전한다. 서브드럼(50)의 임의의 지점은 예를 들면 후술하는 내측 급수가이드(560)와 외측 급수가이드가 구비되는 서브드럼(50)의 특정한 위치이며, 서브드럼(50) 외부의 미리 설정한 지점은 급수부(18) 하측일 수 있다. 이때 제2 센서부(25) 또는 센서가 없는 센서리스(sensorless) 방식으로 서브드럼(50)의 회전각도가 측정된다.
서브드럼(50)에는 세제를 수용하며 서브드럼으로 수용된 세제를 배출하는 세제박스(60)가 구비된다. 여기서 세제는 세탁행정에 사용되며 세탁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탁세제와 세탁행정 후 헹굼행정에서 세탁물을 부드럽게 만들기 위해 사용하는 섬유유연제를 모두 포함한다. 세제박스(6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하, 서브드럼(50)에 대하여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서브드럼(50)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서브드럼(50)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드럼(30)에 장착된 서브드럼(50)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서브드럼(50)은 드럼(3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서브드럼(50)은 드럼(30)과 분리되어 세탁을 수행하도록 세탁물과 세탁수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색상이나 재질에 따라 분리하여 세탁이 필요한 세탁물들 드럼(30)과 서브드럼(50)에 나누어 수용시킨 후 서로 다른 시간에 세탁을 수행하는 것을 물론이고 동시에도 세탁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의류처리장치(1)의 작동 횟수가 감소함과 동시에 세탁수, 세제 및 에너지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서브드럼(50)은 드럼(30)의 내부에 결합한 채 드럼(3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세탁을 수행하므로 별도의 구동장치가 필요 없다.
서브드럼(50)은 세탁수의 와류를 형성하도록 횡단면이 원형이 아닌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일방향을 가로지르는 타방향으로 짧게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서브드럼(50)의 외주면 일부는 드럼(30)의 내주면에 결합할 수 있으며 나머지 일부는 드럼(30)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브드럼(50)의 횡단면은 대략 타원형을 형성되거나, 서브드럼(50)의 횡단면의 둘레 중 일부는 드럼(30)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곡선으로 형성되고 나머지 일부는 드럼(30)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된 채 직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서브드럼(50)은 횡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보다 보다 효과적으로 회전에 의해 와류를 발생시킨다. 와류에 의해 세탁수와 세탁물 간의 마찰 또는 세탁물 간의 마찰이 증가하므로, 서브드럼(50)은 횡단면이 원형인 경우보다 세탁력이 증가한다.
또한, 서브드럼(50)은 세탁수의 와류를 형성하도록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마찰리브(534)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서브드럼(50)의 내주면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1 곡률부(C1) 및 제1 곡률보다 더 작은 제2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2 곡률부(C2)로 구분할 수 있다.
제1 곡률부(C1)는 서브드럼바디(53)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제1 곡률은 드럼커버(31)에 형성된 개구부의 내주면 곡률과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제2 곡률부(C2)는 서브드럼바디(53)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며, 한 쌍의 제1 곡률부(C1)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되 한 쌍을 이룬다. 제2 곡률은 제1 곡률보다 작도록 형성된다. 즉, 제1 곡률부(C1)와 제2 곡률부(C2)는 서브드럼바디(53)의 횡단면의 원주를 따라 교대로 반복하여 구비된다.
또한, 서브드럼(50)의 내주면은 서브드럼(5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제1 거리만큼 이격된 근거리부(C2)와 서브드럼(5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제1 거리보다 더 큰 제2 거리만큼 이격된 원거리부(C1)로 구분할 수 있다. 이 경우 근거리부(C2)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거리부(C1)는 드럼(30)의 내주면에 접할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원거리부(C1)와 근거리부(C2) 모두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원거리부(C1)는 제1 곡률부(C1)에 대응하며, 근거리부(C2)는 제2 곡률부(C2)에 대응한다.
한편, 근거리부(C2)와 드럼커버(31)의 내주면이 서로 충분한 거리를 두고 이격됨에 따라 후술하게 될 제1 급수유로(573)가 형성된다.
본 명세서의 제1 곡률부(C1), 제2 곡률부(C2), 원거리부(C1), 근거리부(C2), 결합부(C1) 및 이격부(C2)는 서브드럼(50)의 특정 영역을 가리킨다. 위 서브드럼(50)의 특정 영역에 포함되면 모두 위의 용어로 명칭한다.
서브드럼(50)은 드럼(30)이 원주면에 통공(33)이 구비되는 것과 달리 서브드럼(50)은 원주면에 통공(33)이 구비되지 않는다. 따라서, 서브드럼바디(53)는 세탁수와 세탁물을 수용할 수 있으며, 세탁수가 원주면이나 하부면을 통해 드럼(30)의 내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터브(20)에 수용된 세탁수는 통공(33)을 통하여 드럼(30)의 내부로 인입될 뿐이다. 설사 서브드럼(50)이 터브(20)에 수용된 세탁수에 잠기더라고 세탁수가 내부로 인입되지 않는다.
마찰리브(534)는 서브드럼(5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하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마찰리브(534)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채 복수 개로 구비되며, 서브드럼(5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찰리브(534)는 서브드럼(50)의 회전 시 세탁수와의 마찰력에 의해 세탁수를 서브드럼(50)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이러한 마찰리브(534)는 후술하게 될 가이드 리브(531)와 형상 및 기능이 다르다.
한편, 서브드럼(50)은 세탁물 투입을 위해 상부면에 형성된 세탁물 투입구(515), 세탁물 투입구(515)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가이드(581), 사용자가 파지할 공간을 제공하는 손잡이부(510),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세탁수를 서브드럼(50)의 내부로 안내하는 내측 급수가이드(560),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세탁수를 서브드럼(50)의 외측을 통해 드럼(30)의 내부로 안내하는 외측 급수가이드(570) 및 서브드럼(50)의 내주면을 순환하는 세탁수가 충돌에 의해 흐르는 방향이 바뀌어 상부로 끌어올려진 후 서브드럼(50)의 중심부로 낙하하도록 형성된 가이드 리브(531)를 포함한다.
손잡이부(510)는 서브드럼(50)의 상부면에 한 쌍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손잡이부(510)는 바(bar)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이 서브드럼(50)의 상부면에 결합한다. 손잡이부(510)는 서브드럼(5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손잡이부(510)는 서브드럼(50)의 제1 곡률부(C1) 즉, 원거리부(C1)에 인접하여 구비된다. 사용자가 드럼(30)으로부터 서브드럼(50)을 분리할 때의 충격에 의해 세탁수가 한 쌍의 원거리부(C1) 중 하나에 쏠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서브드럼(50)은 한 쌍의 근거리부(C2)를 통과하는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쉽게 회전하여 내부의 세탁수가 쏟아질 수 있다. 이 경우 손잡이부(510)가 제2 곡률부(C2) 즉, 근거리부(C2)에 인접하여 구비되면, 서브드럼(50)의 회전을 막기 위해 사용자가 많은 힘을 가하여야 하므로 손잡이부(510)는 원거리부(C1)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것이 보다 유리하다.
내측 급수가이드(560)는 서브드럼(50)의 상부면에 구비되되, 원거리부(C1) 즉, 결합부(C1)에 인접하여 구비된다. 내측 급수가이드(560)는 오목부(561) 및 급수홀(562)을 포함한다.
오목부(561)는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세탁수가 서브드럼(50)의 상부면에 부딪힌 후 주위로 흩어지지 않도록 서브드럼(50)의 상부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된다.
급수홀(562)은 오목부(561)의 내측면 중 세탁물 투입구(515)를 향하는 측에 형성되어 세탁물 투입구(515)와 오목부(561)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세탁수가 오목부(561)로부터 급수홀(562)을 통해 세탁물 투입구(515)로 가이드 됨에 따라, 오목부(561)와 급수홀(562)은 세탁수를 서브드럼(50)으로 가이드 하는 제2 급수유로(560)를 형성한다.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세탁수는 오목부(561)에 일시적으로 저장됨에 따라 서브드럼(50) 주위로 흩어지지 않으며, 이후 급수홀(562) 즉 제2 급수유로(560)를 통해 세탁물 투입구(515)로 배출되어 서브드럼(50) 내부로 안내된다.
한편, 오목부(561) 및 급수홀(562)은 손잡이부(510)의 하측에 형성됨에 따라 서브드럼(50)의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외측 급수가이드(570)는 서브드럼(50)의 상부면 가장자리에 구비되되, 근거리부(C2) 즉, 이격부(C2)에 인접하여 구비된다. 외측 급수가이드(570)는 내측 급수가이드(560)로부터 이격된다. 내측 급수가이드(560) 및 외측 급수가이드(570)가 하나의 급수부(18)의 하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서브드럼(50)은 드럼(30)과 함께 소정 각도만큼 회전한다. 따라서 외측 급수가이드(570)가 내측 급수가이드(560)로부터 분리되어 구비되더라도 단일한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세탁수는 드럼(30) 및 서브드럼(50)에 각각 공급될 수 있다.
외측 급수가이드(570)는 서브드럼(50)의 상부면 가장자리 즉, 이격부(C2)의 모서리 부분이 서브드럼(50)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서브드럼(50)에는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일면으로 이루어진 외측 급수가이드(570)가 구비된다. 급수부(18)로부터 세탁수가 배출되면, 세탁수는 이격부(C2)와 드럼(30)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이루어진 제1 급수유로(573)를 통해 드럼(30)의 내부로 안내된다.
가이드 리브(53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브드럼(50)의 상부면 하측에 구비되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 리브(531)는 일측면이 서브드럼(50)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구비된다. 다시 말하면, 플레이트 형상의 가이드 리브(531)는 상측이 서브드럼(50)커버에 결합하고 일측면이 서브드럼(50)의 내주면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서브드럼(50) 내부의 세탁수는 서브드럼(50)의 회전력에 의해 서브드럼(50)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다가 가이드 리브(531)와의 충돌에 의해 흐름의 방향이 바뀌어 상승할 수 있을 뿐만 충돌 후 흐름의 방향이 바뀌어 서브드럼(50)의 중심부를 향해 포물선을 그리면서 낙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리브(531)는 서브드럼(50)의 중심부를 향하는 일측면에 형성되며 서브드럼(50)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리브 수직부(532) 및 서브드럼(50)의 바닥을 향하는 하측면에 형성되며 리브 수직부(532)로부터 서브드럼(50)의 중심부로부터 내주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리브 경사부(533)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 경사부(533)는 서브드럼(50)의 내주면과 예각을 이루며 서브드럼(50)의 하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리브 경사부(533)가 가이드 리브(531)의 하측면에 형성됨에 따라, 서브드럼(50) 내부를 세탁수와 함께 회전하여 유동하는 세탁물이 덜 간섭된다. 따라서, 세탁물의 유동이 좀 더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이로 인하여 세탁물간의 마찰이 증가하여 세탁력이 증가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리브(531)에 리브 경사부(533)가 형성되어도 충분한 양의 세탁수를 상승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브드럼(50)이고속으로 회전하는 경우, 서브드럼(50)의 중심부의 세탁수의 수면보다 서브드럼(50)의 내주면의 세탁수의 수면이 더 높다. 따라서, 가이드 리브(531)에 리브 경사부(533)가 형성되어도 충분한 양의 세탁수가 가이드 리브(531)에 충돌하여 상승할 수 있다.
한편, 서브드럼(50)이비교적 저속으로 회전하는 경우, 가이드 리브(531)를 서브드럼(50)의 근거리부(C2)에 배치함으로써 충분한 양의 세탁수를 상승시킬 수 있다. 서브드럼(50)의 중심으로부터 근거리부(C2)까지의 가상의 단면을 통과하는 세탁수의 양과 서브드럼(50)의 중심으로부터 원거리부(C1)까지의 가상의 단면을 통과하는 세탁수의 양은 동일하다.
따라서, 세탁수의 높이가 서브드럼(50)의 중심으로부터 근거리부(C2)까지의 가상의 단면를 통과할 때 서브드럼(50)의 중심으로부터 원거리부(C1)까지의 가상의 단면을 통과할 때보다 더 높이 형성되므로, 서브드럼(50)이비교적 저속으로 회전하더라도 가이드 리브(531)는 충분한 양의 세탁수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리브(531)는 세탁수와 충돌하는 일면 및 일면에 반대편에 위치한 타면이 세탁수가 흐르는 방향을 향하여 각각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리브(531)를 서브드럼(50)의 중심부에서 반경 방향을 따라 볼 때, 하부 단면의 폭이 상부 단면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탁수가 가이드 리브(531)를 일면 및 타면을 따라 보다 용이하게 상승할 수 있다.
가이드 리브(531)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근거리부(C2)에 각각 구비되어 한 쌍을 이루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거리부(C1)에 추가로 각각 구비되어 총 두 쌍을 이룰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 가이드 리브(531)의 지나친 간섭에 의해 세탁물이 서브드럼(50) 내부에서 쉽게 이동하지 못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서브드럼(50)과 드럼(30)간의 결합을 위한 구조로서 요철간에 결합하는 구조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는 드럼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 요철부(312)와 서브드럼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제1 요철부(312)에 맞물리도록 형성된 제2 요철부(535)를 포함한다. 드럼(30)의 상단부에 드럼커버(31)가 장착되는 구조이면 제1 요철부(312)는 드럼커버(31)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드럼(30)의 상단부에 드럼커버(31)가 장착되는 구조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 요철부(312)는 드럼커버(31)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1 요철부(312)의 상단부에는 상방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는 돌기들이 연속해서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요철부(312)는 드럼커버(31)의 내주면의 둘레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제2 요철부(535)는 서브드럼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다만 서브드럼의 외주면은 근거리부(C2)와 원거리부(C1)로 구획되며 원거리부가 드럼커버의 내주면에 결합할 수 있으므로, 제2 요철부(535)는 원거리부에 형성된다. 제2 요철부(535)의 하단부에는 하방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는 돌기들이 연속해서 형성된다. 제2 요철부(535)의 돌기들은 제1 요철부(312)의 돌기들에 맞물린다.
이에 따라 드럼(30)의 회전력이 서브드럼(50)에 전달되어 드럼(30)의 회전할 때 서브드럼(50) 역시 드럼(3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서브드럼(50)은 고속회전 시 내부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70)를 포함한다. 배출부(70)는 제1 곡률부(C1) 즉, 원거리부(C1)에 각각 인접하여 구비되며, 서브드럼(5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의 크기에 의해 서브드럼(50)에 수용된 세탁수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브드럼(50)에 의한 세탁과정과 드럼(30)에 의한 세탁과정은 서로 분리된다. 이를 위해 드럼(30)에 대한 급수와 서브드럼(50)에 대한 급수가 분리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세탁 시에는 서브드럼(50)에 공급된 세탁수가 드럼(30)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서브드럼(50)의 내부에 수용되어야 하고, 배수 및 탈수 시에는 서브드럼(50)으로부터 배출되어야 한다.
다시 말하면 서브드럼(50)은 세탁을 수행하기 위하여 세탁 rpm으로 회전 시 세탁수가 서브드럼(50) 내부에 보전되어야 하며 탈수를 수행하기 위하여 세탁 rpm보다 더 큰 탈수 rpm으로 회전 시 세탁수가 서브드럼(50)으로부터 배출되어야 한다.
이때 배출부(70)는 서브드럼(50)이 세탁 rpm보다 큰 탈수 rpm으로 회전 시 발생하는 원심력이 세탁수에 작용하는 경우에만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배출부(70)는 내부에 세탁수가 수용되는 챔버(미도시)가 형성되며, 챔버로 세탁수가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유입홀(미도시), 챔버에서 세탁수가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배출홀(79)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부(70)는 유입홀이 챔버의 하부면에 구비되되 서브드럼(50)의 측벽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소정거리만큼 이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유입홀 전체 면적이 세탁수가 부딪히는 챔버의 하부면의 면적보다 작기 때문에 유입홀로 세탁수가 유입될 때 1차 저항이 발생하며, 서브드럼(5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여 상승하는 세탁수가 원심력을 이기고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해야 하는 2차 저항이 추가로 발생하게 된다.
나아가, 배출부(70)는 배출홀(791)이 유입홀의 상부에 구비되되 서브드럼(50)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세탁수가 유입홀을 통해 챔버로 유입되면, 서브드럼(5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한 후 다시 중력을 이기고 상승하여야 하는 3차 저항이 추가로 발생한다.
따라서, 서브드럼(50)이 탈수 rpm보다 낮은 세탁 rpm으로 회전하면, 세탁수는 서브드럼(50) 내부에서 배출되지 않게 된다. 즉, 서브드럼(50)이 미리 설정된 탈수 rpm 대역에서만 회전하는 경우에 한해서 세탁수가 선택적으로 배출된다. 물론, 배수밸브나 배수펌프와 같은 제어 대상이 되는 구성이 없이도 이러한 선택적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서브드럼(50)은 세탁수와 세탁물을 수용하는 바디(53)와 바디(53)의 상부에 결합하며 세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515)가 형성되는 서브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요철부(535)가 바디(53)의 외주면에 구비된다. 바디(53)에 수용된 세탁수 및 세탁물의 무게에 의해 서브커버가 바디(53)로부터 이탈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배출부(70), 가이드리브(531), 손잡이부(510), 내측 급수가이드(560) 및 외측 급수가이드(570) 역시 서브커버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서브커버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53)의 상단부에 결합하는 하부커버(52), 하부커버(52)의 상부에 결합하는 상부커버(5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출부(70)의 챔버(미도시)는 하부커버(52)와 상부커버(51)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된다. 여기서 유입홀은 하부커버(52)에 구비된다. 배출홀(79)은 하부커버(52)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1배출홀(791)과 상부커버(51)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2배출홀(792)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세탁수가 유입홀을 통해 챔버로 유입된 후 제2배출홀(792) 및 제1배출홀(791)로 이루어진 배출홀(79)을 거쳐 배출된다.
내측 급수가이드(560)를 이루는 오목부(561)는 하부커버(52)와 상부커버(51)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다. 하부커버(52)의 상부면은 오목부(561)의 하부면을 형성하고, 상부커버(51)의 함입되는 부분 중 일부는 오목부(561)의 경사면을 형성한다. 내측 급수가이드(560)를 이루는 급수홀(562)은 손잡이부(510)와 하부커버(52)의 상부면과의 이격된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도 5 및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박스(6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한 서브드럼(50)에 장착되는 세제박스(6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서 세제박스(60)를 설명하기 위한 측 단면도이다.
세제박스(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서브드럼(50)에 구비되어 세제를 수용하며 수용된 세제를 서브드럼(50)으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세제박스(60)는 수용된 세제를 배출하기 위하여 급수부(18)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으며 공급된 세탁수와 함께 세제를 사이펀 원리를 이용하여 서브드럼(50)으로 배출한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세제박스(60)는 급수부(18)로부터 세탁수를 공급받기 위해 내측 급수가이드(560)의 하부면 즉, 오목부(561)의 하부면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오목부(561)의 하부면에는 하방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수납부(563)가 구비되며, 세제박스(60)는 수납부(563)에 상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수납된다. 급수부(18)로부터 세탁수가 배출되면, 세탁수의 일부는 오목부(561)를 따라 급수홀(562)을 거처 서브드럼(50)으로 공급되며 세탁수의 나머지 일부는 오목부(561)의 하부면에 구비되는 세제박스(60)로 유입될 수 있다.
세탁수의 유입을 위해 세제박스(60)는 상부면에 세탁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된다. 이러한 유입구를 통해 세제도 세제박스(60)로 투입될 수 있으므로 이하 세제유입구(64)로 지칭한다. 세제유입구(64)는 세제박스(60)는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세탁수와 세제의 원활한 유입을 위해 세제유입구(64)의 주위가 세제유입구(64)를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유입경사부(65)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세탁수와 세제의 원활한 유입을 위해 세제유입구(64)는 세제박스(60)의 상부면에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세제박스(60)는 공급된 세제를 수용하기 위해 내벽(62a)과, 내벽(62a)으로부터 서브드럼(50)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되는 외벽과 내벽(62a)과 외벽(62b) 사이에 형성되어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수용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내벽(62a)과 외벽(62b) 사이에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벽이 구비될 수도 있으나 내벽(62a)과 외벽(62b)의 양 단이 서로 접함에 따라 이러한 측벽이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세제박스(60)는 급수부(18)로부터 공급된 세탁수와 함께 세제를 사이펀 원리에 의해 서브드럼(50)으로 배출하는 세제배출부(66)가 구비된다. 이러한 세제배출부(66)는 사이펀관(66a), 사이펀캡(66b) 및 간격유지용 리브(66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사이펀관(66a)은 세제박스(60)의 하부면에 구비되며 세제박스(60) 내부를 서브드럼(50)의 내부와 연통시키도록 내부에 유로가 형성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사이펀캡(66b)은 사이펀관(66a)의 외주면 및 상단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사이펀유로를 형성하도록 사이펀관(66a)을 씌어지도록 형성된다.
간격유지용 리브(66c)는 사이펀관(66a)의 외주면과 사이펀캡(66b)의 내주면이 일정간격 이격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간격유지용 리브(66c)는 사이펀캡(66b)이 안착하도록 사이펀관(66a)의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되 복수개로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세제박스(60)에 세탁수가 공급되면 세제가 용해되면서 세제박스(60) 내부의 수위가 높아지게 된다. 수위가 기준치 이상이 되면, 세탁수는 사이펀관(66a)과 사이펀캡(66b) 사이에 형성된 사이펀유로를 통해 용해된 세제와 함께 사이펀관(66a)을 통해 배출되기 시작한다. 세탁수는 수위가 사이펀캡(66b)의 하단부보다 낮아질 때까지 계속하여 사이펀관(66a)을 통해 배출된다. 한편, 사이펀캡(66b)의 외주면 상부에는 사용자에게 세제가 투입될 적정한 양을 표시하는 세제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세제가 수용된 세제박스(60)가 서브드럼(50)과 함께 회전하면, 회전에 의한 원심력이 작용하여 내부에 수용된 세제가 서브드럼(5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일측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세제가 쏠리는 측의 세제 높이를 상승시켜 원래 의도하였던 세탁수 공급 시가 아닌 시점에 사이펀 원리가 작용하여 세제가 세제배출부(66)를 통해 배출되는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특히 세탁과정 중에 세제박스(60)에 투입될 수 있는 섬유유연제는 마지막으로 세탁수가 공급되기 전에 서브드럼(50)의 회전에 의해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이를 위해 세제배출부(66)는 세제박스(60)에 수용된 세제가 서브드럼(5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인하여 쏠리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치우쳐 구비된다. 이에 따라 세제수용공간은 세제배출부(66)와 외벽 사이에 형성된 제1공간부(S1) 및 제1공간보다 더 작으며 세제배출부(66)와 내벽 사이에 형성된 제2공간부(S2)로 구획될 수 있다.
서브드럼(50)이 회전하여 세제박스(60) 내부에 수용된 세제가 외벽 측으로 쏠려도 제1공간부(S1)가 수용된 세제 중 상당한 부피의 세제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완충작용을 한다. 즉, 세제에 원심력이 작용하여 세제가 제1공간부(S1)를 채우게 되어도 제1공간부(S1)의 큰 부피로 인하여 제1공간부(S1) 상의 세제의 높이는 외벽 측으로부터 세제배출부(66) 측으로 갈수록 충분히 낮아지게 되므로 원심력에 의한 세제의 쏠림이 일으킬 수 있는 사이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세제가 수용된 세제박스(60)가 서브드럼(50)과 함께 회전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원심력에 의한 세제의 쏠림으로 인하여 사이펀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지만 서브드럼(50)의 회전에 의해 세탁수가 서브드럼(50)의 내주면을 따라 상승하여 사이펀관(66a)으로 유입됨으로 인하여 사이펀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상승하는 세탁수가 사이펀관(66a)에 유입되어 발생하는 사이펀현상을 방지하고자 사이펀관(66a) 하부에 하부캡부(67)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캡부(67)는 사이펀관(66a)의 하부에 구비되되 사이펀관(66a)이 서브드럼(50)의 내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사이펀관(66a)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하부캡부(67)는 수납부(563)의 하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 세탁수가 흐를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는 캡바디(67b) 및 서브드럼(50)의 중심을 향하는 캡바디(67b)의 일면에 구비되며 캡바디(67b)의 유로와 서브드럼(50)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세제배출구(67a)를 포함한다.
캡바디(67b)의 유로는 수납부(563)의 하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하부관통홀(564)을 통해 수납부(563)의 내부와 연통되며, 하부관통홀(564)로부터 서브드럼(50)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어 세제배출구(67a)와 연결된다. 여기서 세제배출구(67a)는 서브드럼(50)의 중심을 향하되 서브드럼(50)의 측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된다.
한편, 하부관통홀(564)에 세제배출부(66)의 하단부가 삽입되면, 캡바디(67b)의 유로는 사이펀관(66a)의 내부와 연통되며 이에 따라 사이펀관(66a)의 내부와 서브드럼(50)의 내부가 연통된다.
따라서, 하부캡부(67)는 사이펀관(66a)의 내부가 서브드럼(50)의 내부에 노출되지 않게 함에 따라 서브드럼(50)이 회전하는 동안 서브드럼(50)의 내주면을 타고 상승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세탁수가 사이펀관(66a)으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1차로 방지한다.
나아가 하부캡부(67)는 세제배출구(67a)가 서브드럼(50)의 측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되 서브드럼(50)의 중심으로 향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상승하는 세탁수가 설사 원심력을 이기고 서브드럼(50)의 중심을 향하여 이동하여도 세제배출구(67a)를 통해 사이펀관(66a)으로 유입되는 것을 2차로 방지한다.
수납부(563)에는 세제박스(60)의 수납을 가이드하도록 일측이 함입되는 가이드홈부(564)가 구비되며, 세제박스(60)에는 가이드홈에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수납가이드(68)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세제박스(60)를 수납부(563)에 착탈시키고자 할 때 수납가이드(68)를 가이드홈부(564)에 삽입시킨 채로 세제박스(60)를 수납부(563)에 착탈시킬 수 있다. 이러한 수납부(563)는 서브커버가 하부커버(52)와 상부커버(51)로 이루어지는 경우 하부커버(52)에 구비된다.
세제박스(60)의 수납가이드(68)는 세제배출부(66)와의 사이에 제1공간부(S1)를 위치시키는 외벽으로부터 원심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수납가이드(68)는 내부에 세제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납가이드(68)는 제1공간부(S1)를 확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1공간부(S1)와 같이 세탁수가 일시적으로 수용되는 완충공간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세제박스(60)는 세제를 수용하는 수용바디(62)와 수용바디(62)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바디커버(63)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커버(63)는 수용바디(62)의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세제유입구(64)와 유입경사부(65)가 구비된다. 또한 바디커버(63)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사이펀캡(66b)이 구비될 수 있다.
수용바디(62)는 세제박스(60)의 외부와 내부를 연통시키며 상방으로 연장되는 사이펀관(66a)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사이펀관(66a)이 수용바디(62)의 하부면보다 하방으로 연장되어 구비됨에 따라, 수용바디(62)는 하부관통홀(564)에 삽입 가능하다.
이러한 세제박스(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오목부(561)의 하부면에 구비됨에 따라 결합부에 인접하며, 손잡이부의 하부에 구비된다. 또한 세제박스(60)는 급수부(18)로부터 공급되는 세탁수의 원활한 유입을 위하여 배출부(70)보다 서브드럼(50)의 중심부 측에 더 가깝도록 구비된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제박스(8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도 1에서 도시한 서브드럼(50)에 장착되는 세제박스(8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제박스(80)와 세제박스(80)를 수납하는 수납부(566)의 구조 중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조에 대해 동일한 도면 번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제박스(80)는 상술한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급수부(18)로부터 공급된 세탁수와 함께 세제를 사이펀 원리에 의해 서브드럼(50)으로 배출하는 세제배출부(86)가 구비되며, 세제배출부(86)는 사이펀관(86a), 사이펀캡(86b) 및 간격유지용 리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세제배출부(86)는 상술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제박스(80)에 구비되는 세제배출부(86)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세제박스(80)는 상술한 일실시예와 달리 서브드럼(50)의 중심 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된다. 따라서 수납부(566)는 오목부(561)의 하부면 아래에 구비되되, 세제박스(80)의 인출 및 인입을 위한 개구가 서브드럼(50)의 중심을 향하여 형성된다.
수납부(566)의 하부면에는 수납부(566)의 하부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하부관통홀(567)이 구비된다. 하부관통홀(567)에는 세제배출부(86)의 하단부가 삽입된다.
하부캡부(87)는 사이펀관(86a)이 서브드럼(50)의 내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사이펀관(86a)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하부관통홀(567)의 하측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하부관통홀(567) 역시 서브드럼(50)의 내부에 노출되지 않는다.
이러한 하부캡부(87)는 수납부(566)의 하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 세탁수가 흐를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는 캡바디(87b) 및 서브드럼(50)의 중심을 향하는 캡바디(87b)의 일면에 구비되며 캡바디(87b)의 유로와 서브드럼(50)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세제배출구(87a)를 포함한다.
캡바디(87b)의 유로는 하부관통홀(567)을 통해 수납부(566)의 내부와 연통된다. 사이펀관(86a)이 하부관통홀(567)에 삽입되면 캡바디(87b)의 유로는 사이펀관(86a)의 내부와 연통된다.
사용자가 세제박스(80)를 서브드럼(50)의 중심 방향으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세제박스(80)의 외측면 중 서브드럼(50)의 중심 방향을 향하는 외측면에 수용부손잡이(89)가 구비된다. 수용부손잡이(89)는 세제박스(80)의 상단부에 결합하며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수용부손잡이(89)는 세제배출구(87a)가 서브드럼(50)의 내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부캡부(87)의 하부면까지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따라서, 손잡이부는 서브드럼(50)이 회전하는 동안 서브드럼(5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난류로 인하여 수면 위로 튀어 오르는 세탁수가 세제배출구(87a)를 통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서브드럼(50)이 회전하는 동안 서브드럼(50)의 내주면을 타고 상승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세탁수가 하부캡부(87)의 하부면에 막힘에 따라 사이펀관(86a)으로 직접 유입되는 것이 1차로 방지되고, 상승하다가 하부캡부(87)의 하부면에 막힌 세탁수가 설사 원심력을 이기고 서브드럼(50)의 중심을 향하여 이동하여도 서브드럼(50)의 측면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되 서브드럼(50)의 중심으로 향하도록 구비되는 세제배출구(87a)로 인하여 사이펀관(86a)으로 유입되는 것이 2차로 방지되고, 추가로 손잡이부에 의해 세탁수가 세제배출구(87a)를 통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수납부(566)의 개구가 서브드럼(50)의 증심을 향하여 형성됨에 따라 세제박스(80)로 세탁수와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상부관통홀(565)이 수납부(566)의 상부면에 구비된다. 여기서 수납부(566)의 상부면은 오목부(561)의 하부면을 이룰 수 있다.
상부관통홀(565)은 세제박스(80)의 상부면에 형성된 세제유입구(84)의 상부에 위치하되 세제유입구(84)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세제박스(80)의 내부는 세제유입구(84) 및 상부관통홀(565)을 통해 서브드럼(50)의 외부와 연통한다.
한편, 세제박스(80)는 상술한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세제박스(80)는 세제를 수용하며 사이펀관(86a)이 구비되는 수용바디(82)와 수용바디(82)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사이펀캡(86b)이 구비되는 바디커버(8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디커버(83)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바디커버(83)를 통해 세제가 투입되는 투입량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세제박스(80)가 세제를 배출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세제박스(80)에 세탁세제를 투입하려고 하는 경우, 세탁행정의 개시 전에 세제박스(80)의 세제유입구(84)를 통해 세제를 투입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세제박스(80)를 수납부(566)로부터 인출하여 세탁세제를 투입할 수 있다.
이 경우 급수는 서브드럼(50)이 비교적 큰 원심력을 발생시키는 세탁 rpm으로 회전하기 전에 급수부(18)를 통해 이루어진다. 급수가 이루어지면 세제박스(80)에 수용된 세제는 공급된 세탁수와 함께 세제배출부(86)를 통해 서브드럼(50)으로 배출된다.
한편, 세제박스(80)에 섬유유연제를 투입하려고 하는 경우, 세탁행정이 완료된 후 헹굼행정을 위한 마지막 급수 이전에 섬유유연제를 세제박스(80)에 투입하여야 한다. 다만 이 경우 마지막 급수 이전에 수행되는 단계 중 헹굼 rpm으로 서브드럼(50)이 회전하는 단계 이전에 섬유유연제가 세제박스(80)로 투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브드럼(50)이 헹굼 rpm으로 회전하면 원심력에 의해 세제박스(80)에 수용된 세제는 원심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따라 세제박스(80)의 일측으로 쏠린다. 사이펀 현상에 의해 액체를 배출할 수 있는 세제배출부(86)는 원심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치우쳐 세제박스(80)의 내부에 구비되므로 세제가 세제박스(80)의 일측으로 쏠려도 사이펀 현상이 발생할 만큼 사이펀관(86a) 주위의 세제높이가 올라가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제1공간부와 수압가이드 내부의 공간이 원심력에 의해 쏠리는 세제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완충공간의 기능을 수행하므로, 세제는 급수부(18)로부터 급수되기 전까지 사이펀 현상에 의해 세제배출부(86)를 통해 배출되지 않는다.
이후 급수가 이루어지면 세제박스(80)에 수용된 세제는 공급된 세탁수와 함께 세제배출부(86)를 통해 서브드럼(50)으로 배출된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세제박스(90)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도 1에서 도시한 서브드럼(50)에 장착되는 세제박스(9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제박스(90)는 상술한 세제박스(90)가 구비되는 서브드럼(50)과 동일한 서브드럼(50)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세제박스(90)는 격벽으로 구획되며 세제가 수용되는 복수의 챔버 및 격벽에 소정의 높이로 구비되어 챔버를 상호 연통시키는 연통홀을 포함한다.
챔버는 격벽과 세제박스(90)의 측벽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며, 세제박스(90)의 내부에 다수개가 구비된다. 각각의 챔버에는 세제가 수용될 수 있다.
격벽은 세제박스(90)의 하부면으로부터 상부면까지 연장 형성된다. 격벽은 서브드럼(5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이 작용하면 세제가 격벽을 따라 상승하여 격벽을 통과하도록 격벽의 상단부를 관통하는 연통홀이 각각 구비된다.
한편, 챔버는 서브드럼(50)이 회전하면 세제가 연통홀을 통과하여 챔버를 순차적으로 거치도록 원심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원심력의 작용에 의해 세제가 연통홀을 통과하여 챔버를 순차적으로 거칠 수 있으면, 이러한 챔버의 배열은 예를 들면 각각의 챔버의 횡단면 중심이 원심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각각의 챔버의 측벽 중 서브드럼(50)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외측벽이 원심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세제박스(9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각의 챔버의 측벽 중 서브드럼(50)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외측벽이 원심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여기서의 외측벽은 격벽으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격벽와 세제박스(90)의 측벽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격벽와 세제박스(90)의 측벽은 서로 맞닿아 있으며 서브드럼(50)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된다.
상술한 배열에 따라 배치된 챔버가 구비되는 세제박스(90)는 서브드럼(50)이 회전하면 세제가 챔버의 외측벽으로 쏠린 후 원심력의 크기에 따라 외측벽을 따라 상승한다. 이후 격벽에만 구비되는 연통홀을 통과하여 다음 챔버로 이동할 수 있다.
서브드럼(5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의 크기가 큰 경우 세제가 외측벽을 따라 상승하는 높이가 높으며, 서브드럼(5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의 크기가 작은 경우 세제가 외측벽을 따라 상승하는 높이가 상대적으로 낮다. 즉, 원심력의 크기에 따라 세제가 격벽을 따라 상승하는 높이가 다르다. 따라서 연통홀의 높이를 각각 다르게 설정하면 그에 대응하는 원심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만 세제가 연통홀을 통과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세제박스(90)는 챔버가 적어도 두 개가 구비될 수 있다. 두 개의 챔버가 구비되는 경우, 이들 중 하나의 챔버는 외부로부터 세제가 공급되어 수용되며 나머지 하나의 챔버는 전자의 챔버로부터 연통홀을 통해 유입된 세제가 수용된다.
나머지 하나의 챔버는 급수단계에서 급수부(18)로부터 세탁수가 공급되도록 상부면에 세탁수유입구(94)가 형성되며, 하부면에는 사이펀 현상에 의해 액체를 서브드럼(50)으로 배출할 수 있는 세제배출부(96)가 구비된다. 세제배출부(96)가 사이펀관와 사이펀관 상부에 결합하는 사이펀캡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는 상술한 이전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서브드럼(50)에 수용된 세탁수가 상승하여 세제배출부(96)의 사이펀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부캡부(미도시)가 나머지 하나의 챔버의 하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캡부는 상술한 이전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역시 설명을 생략한다.
세제박스(90)에 두 개의 챔버가 구비되는 경우 하나의 격벽에 하나의 연통홀이 구비된다. 연통홀의 높이가 설정되면 그에 대응하는 특정한 rpm으로 서브드럼(50)이 회전하는 경우에만 세제가 연통홀을 통과한다. 그 이후에 수행되는 급수단계에서 세제는 세탁수와 함께 세제배출부(96)를 통해 배출된다.
하지만 이 경우, 서브드럼(50)은 소정의 rpm으로 회전을 한 후 세탁수를 공급받고 다시 소정의 다른 rpm으로 회전한 후 세탁수를 공급받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특정한 rpm 이후에 수행되는 급수단계에서 세제가 서브드럼(50)으로 배출되지 않고 그 이전에 배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세제배출을 위하여 목표한 rpm으로 서브드럼(50)이 회전한 직후에 목표한 급수단계가 수행되는 일련의 과정 이전에 서브드럼(50)이 그 목표한 rpm 이상의 rpm으로 회전한 후 급수단계가 수행되는 또 다른 일련의 과정이 수행되면, 다른 일련의 과정에서의 해당 급수단계에서 세제가 배출되며 이후에 수행되는 목표한 급수단계에서 세제가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서브드럼(50)이 목표한 rpm 이상의 rpm으로 회전할 때 세제가 세제배출부(96)가 구비되는 챔버로 유입되기 때문이다. 세제배출부(96)가 구비되는 챔버로 일단 유입되면, 목표한 급수단계 이전에 급수단계가 수행될 때 세제가 배출된다.
따라서 목표한 rpm으로 서브드럼(50)이 회전한 직후에 목표한 급수단계가 수행되는 일련의 과정에서 세제가 세제배출부(96)를 통해 서브드럼(50)으로 배출되는 구조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세제박스(90)는 외부로부터 세제가 공급되는 챔버와 유입된 세제를 사이펀 현상에 의해 외부로 배출하는 챔버 사이에 하나 이상의 중간 챔버가 구비된다. 중간 챔버는 후술하게 될 제2챔버(922)에 해당한다.
중간 챔버 역시 격벽에 의해 구획되며 연통홀을 통해 나머지 챔버와 연통된다. 세제를 유입시키는 연통홀은 서브드럼(50)이 제1rpm으로 회전할 때 통과할 있도록 높이가 설정되며, 세제를 배출시키는 연통홀은 세제를 유입시키는 연통홀의 높이보다 낮으며 서브드럼(50)이 제1rpm 보다 낮은 제2rpm으로 회전할 때 통과할 있도록 높이가 설정된다. 즉 중간 챔버를 구획하는 각각의 격벽에 구비되는 연통홀이 높이는 원심력에 의해 세탁수가 통과하는 순서에 따라 점차 낮아진다.
또한, 중간 챔버는 세제를 유입시키는 연통홀을 통과한 세제가 서브드럼(50)이 제2rpm미만으로 회전할 때까지 세제가 챔버 내부에서 세제를 배출시키는 연통홀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리브(928)가 구비된다. 차단리브(928)는 중간 챔버의 외측벽의 내면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구비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 경우 차단리브(928)와 외측벽에 의해 소정의 공간으로 이루어진 유입챔버(922a)와 배출챔버(922b)가 구비된다. 세제를 유입시키는 연통홀은 유입챔버(922a)에 위치하며, 세제를 배출시키는 연통홀은 배출챔버(922b)에 위치한다.
도 8에서는 외벽(92b)이 만곡되어 차단리브(928)와 함께 유입챔버(922a)와 배출챔버(922b)를 이루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단리브(928) 없이 외벽(92b)이 원심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함입되어 유입챔버(922a)와 배출챔버(922b)가 구비될 수도 있다.
서브드럼(50)이 예를 들면 제1rpm으로 회전할 때 중간 챔버로 유입된 세제는 서브드럼(50)이 제2rpm미만으로 회전할 때까지 원심력에 의해 중간 챔버의 외측벽 측으로 쏠린 채 차단리브(928)에 막혀 더 이상 세제를 배출시키는 연통홀 측으로 이동하지 못한다. 즉, 서브드럼(50)이 제1rpm으로 회전하는 동안 유입챔버(922a)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한다. 외측벽으로부터 돌출되는 차단리브(928)의 높이는 세제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설정된다.
서브드럼(50)이 제2rpm 미만으로 회전하거나 정지하면, 원심력이 약해지면서 외측벽 측으로 쏠린 세제가 점차 중간 챔버의 하부면 측으로 이동하면서 차단리브(928)를 넘는다. 즉, 세제가 유입챔버(922a)로부터 흘러내려와 중간 챔버의 하부면 측으로 이동하여 하부면에 넓게 펼쳐진다.
서브드럼(50)이 다시 제2rpm으로 회전속도를 올리면, 세제는 다시 외측벽으로 쏠리면서 일부는 배출챔버(922b)로 이동하고 나머지 일부는 유입챔버(922a)로 이동한다. 배출챔버(922b)로 이동한 세제는 연통홀까지 상승하여 연통홀을 통과하여 다음 챔버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중간 챔버의 세제를 유입시키는 연통홀의 높이가 중간 챔버의 세제를 배출시키는 연통홀의 높이보다 낮음에도 불구하고, 서브드럼(50)이 제1rpm으로 회전하는 동안 세제는 원심력에 의해 위 두 연통홀을 연속해서 통과하지 못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세제박스(90)에는 이러한 중간 챔버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챔버를 구획하는 격벽에 구비되는 연통홀의 높이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도 8에서는 하나의 중간 챔버가 구비되는 세제박스(90)가 일 예로 도시된다. 도 8에서 도시된 세제박스(90)는 내부에 세제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수용바디(92) 및 수용바디(92)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바디커버(93)로 이루어진 세제수용부(91)를 포함한다. 세제수용부(91)는 수용바디(92)와 바디커버(93)로 구분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수용바디(92)는 외측면이 서브드럼(50)의 중심을 향하는 바디내벽(92a), 바디내벽(92a)과 반대편에 위치하는 바디외벽(92b), 바디내벽(92a)과 바디외벽(92b) 사이에 위치하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바디측벽(92c)을 포함한다. 상술한 세제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은 바디내벽(92a), 바디외벽(92b), 한 쌍의 바디측벽(92c) 및 바디커버(93)에 의해 형성된다.
바디외벽(92b)의 외측면에는 외부로 돌출되며, 가이드홈부(564)에 삽입되는 수납가이드(98)가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납가이드(98)는 세제박스(90)의 수납을 가이드한다. 이러한 수납가이드(98)의 내부에는 세제가 수용되는 완충공간(98a)이 구비된다. 이러한 완충공간(98a)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수용바디(92)는 제1챔버(921), 제2챔버(922), 제3챔버(923), 제1챔버(921)와 제2챔버(922)를 구획하는 제1격벽(924), 제2챔버(922)와 제3챔버(923)를 구획하는 제2격벽(926)을 포함한다.
제1챔버(921)는 외부부터 세제가 공급되되 세제가 최초로 수용되는 챔버이며, 제2챔버(922)는 상술한 중간 챔버에 해당하는 챔버이며, 제3챔버(923)는 상술한 세제배출부(96)가 구비되는 챔버이다. 제1챔버(921), 제2챔버(922) 및 제3챔버(923)는 서브드럼(50)이 회전 시에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세제가 제1챔버(921)로부터 제2챔버(922)를 거쳐 제3챔버(923)까지 흘러가도록 순차적으로 배열된다. 따라서 서브드럼(50) 회전 시 제1챔버(921)에 수용된 세제는 제1격벽(924) 측으로 쏠리게 되며 제2챔버(922)에 수용된 세제는 제2격벽(926) 측으로 쏠리게 된다.
제1격벽(924)과 제2격벽(926)이 수용바디(92)의 하부면으로부터 바디커버(93)까지 연장됨에 따라, 제1챔버(921)와 제2챔버(922)는 후술하는 제1격벽(924)에 구비되는 제1연통홀(925)을 통해서만 상호 연통되며, 제2챔버(922)와 제3챔버(923)는 후술하는 제1격벽(924)에 구비되는 제2연통홀(927)을 통해서만 상호 연통된다.
제1연통홀(925)은 제1격벽(924)의 상단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제2연통홀(927)은 제2격벽(926)의 상단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제1연통홀(925)의 높이는 제2연통홀(927)의 높이보다 더 높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면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통홀(925)은 제1챔버(921)의 하부면으로부터 제1연통홀(925)의 하부면(925a)(925a)까지의 높이가 25mm로 설정되고 제2연통홀(927)의 제2챔버(922)의 하부면으로부터 제2연통홀(927)의 하부면(927a)(927a)까지의 높이가 20mm로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챔버(921)에 수용된 세제는 서브드럼(50)이 제1rpm으로 회전하여 세제에 원심력이 작용할 때 제1격벽(924)을 따라 제1연통홀(925)의 하부면(925a)까지 상승한 후 제1연통홀(925)을 통과하여 제2챔버(922)에 수용될 수 있다. 제2챔버(922)에 수용된 세제는 서브드럼(50)이 제1rpm보다 작은 제2rpm으로 회전하여 세제에 원심력이 작용할 때 제2격벽(926)을 따라 제2연통홀(927)의 하부면(927a)까지 상승한 후 제2연통홀(927)을 통과하여 제3챔버(923)에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rpm은 대략 400rpm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제2rpm은 대략 350rpm으로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연통홀(925)은 중간 챔버의 세제를 유입시키는 연통홀에 해당하며 제2연통홀(927)은 중간 챔버의 세제를 배출시키는 연통홀에 해당한다.
한편, 제2챔버(922)는 제1챔버(921)로부터 유입된 세제가 서브드럼(50)이 제1rpm으로 회전하는 동안 제2챔버(922) 내부에서 제2격벽(926)에 구비된 제2연통홀(927)에 도달하지 못하도록 차단리브(928)가 구비된다.
차단리브(928)는 제1연통홀(925)과 제2연통홀(927) 사이에 구비되며, 서브드럼(50)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외측벽에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또한 차단리브(928)는 수용바디(92)의 하부면으로부터 바디커버(93)까지 연장된다. 여기서 외측벽은 제2격벽(926)으로 이루어지거나 세제박스(90)의 바디외벽(92b)으로 이루어지거나 제2격벽(926) 및 바디외벽(92b)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차단리브(928)는 제1연통홀(925)과 제2연통홀(927) 사이에 위치하는 외측벽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면 제2격벽(926) 및 바디외벽(92b) 중 어디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차단리브(928)는 제2챔버(922)의 내부공간을 유입챔버(922a)와 배출챔버(922b)로 구획한다. 차단리브(928)가 외측벽을 마주하는 반대편 측벽으로부터 이격되며, 유입챔버(922a)와 배출챔버(922b)는 차단리브(928)와 외측벽을 마주하는 반대편 측벽 사이에 형성된 이동홀을 통해 챔버상호 연통된다.
제3챔버(923)는 제3챔버(923) 내부를 서브드럼(50)의 내부와 연통시키는 사이펀관 및 사이펀관을 덮어 사이펀 유로를 형성하는 사이펀캡을 포함하는 세제배출부(96)가 구비된다.
세제배출부(96)는 상술한 이전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서브드럼(5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치우쳐 구비된다. 이에 따라 세제배출부(96)로터 원심력이 작용하는 방향에 형성된 공간이 세제배출부(96)로터 원심력이 작용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에 형성된 공간보다 크므로 원심력 작용 시 세제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완충작용을 수행한다. 나아가 수납가이드(98) 내부에 형성된 완충공간(98a)은 제3챔버(923)와 연통된다. 이에 따라 완충작용이 강화될 수 있다.
제3챔버(923)에는 서브드럼(50)의 세탁수가 상승하여 사이펀관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하는 하부캡부(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하부캡부와 중복되므로 생략한다.
바디커버(93)는 세탁수가 유입되도록 바디커버(93)를 관통하는 세탁수유입구(94)와 세탁수유입구(94)를 가로지르며 세탁수를 하방으로 가이드하는 유입가이드리브(95)가 하나 이상 구비된다. 세탁수유입구(94)는 바디커버(93)를 수용부바디에 결합할 때 제3챔버(923)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세제박스(90)는 제1챔버(921)에 착탈 가능한 세제용기(9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세제용기(99)는 제1챔버(921)에 인입 및 인출되도록 구비되며, 상부면이 개방된다. 이 경우 세제용기(99)는 서브드럼(50)이 제1rpm으로 회전하는 동안 수용된 세제가 개방된 상부면을 통해 제1연통홀(925)을 통과하도록 상부면의 높이가 제1연통홀(925)의 높이 이하로 형성된다.
이하 상술한 본 실시예의 세제박스(90)가 세제를 배출하는 과정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세탁과정은 하기의 단계를 각각 포함하는 세탁행정, 헹굼행정 및 탈수행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즉, 세탁행정은 세탁급수단계, 세탁 rpm으로 서브드럼(50)이 회전하는 세탁단계, 세탁탈수단계를 포함하고, 헹굼행정은 1차헹굼급수단계, 헹굼 rpm으로 서브드럼(50)이 회전하는 제1헹굼단계, 헹굼간이탈수단계, 2차헹굼급수단계, 헹굼 rpm으로 서브드럼(50)이 회전하는 제2헹굼단계를 포함하고, 탈수행정은 간이탈수단계와 본탈수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설명의 중복을 피하고자 섬유유연제가 배출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세제박스(90)를 세탁세제를 투입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 위의 세탁급수단계 수행 전 두 번의 탈수가 전제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섬유유연제가 배출되는 과정과 중복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세제는 섬유유연제이다.
우선 사용자가 세탁과정이 수행되는 중간에 세제를 투입할 필요가 없다. 사용자는 세제를 세탁과정이 개시되기 전에 세제박스(90)의 제1챔버(921)에 직접 투입하거나 세제가 수용된 세제용기(99)를 제1챔버(921)에 수납하면 된다.
이후 세탁급수단계가 수행되면 세탁수 중 일부는 서버드럼으로 배출되며 나머지 일부는 세제박스(90)의 세탁수유입구(94)를 통해 제3챔버(923)로 유입된다.
이 경우 제3챔버(923)에는 세제가 없기 때문에 유입된 세탁수만 세제배출부(96)를 통해 배출된다.
세탁급수가 완료되면 서브드럼(50)이 세탁 rpm으로 회전함에 따라 세탁단계가 수행된다. 세탁 rpm은 제1rpm보다 낮으므로 제1챔버(921)에 수용된 세제는 제1연통홀(925)을 통과하지 못한다.
세탁단계가 완료되면 서브드럼(50)이 제1rpm으로 회전하는 세탁탈수단계가 수행된다. 세탁탈수단계에서는 제1챔버(921)에 수용된 세제가 화살표를 따라 제1연통홀(925)을 통과여 제2챔버(922)로 유입된다. 여기서 제1연통홀(925)은 유로의 기능을 한다.
제2챔버(922)로 유입된 세제는 서브드럼(50)이 제2rpm보다 낮은 rpm으로 회전할 때까지 유입챔버(922a)에 일시적으로 수용된다. 즉, 차단리브(928)에 막혀 이동하지 못한다.
서브드럼(50)의 회전속도가 제1rpm에서 제2rpm보다 낮은 rpm으로 낮아지면, 유입챔버(922a)에 수용된 세제는 유입챔버(922a)로부터 하방으로 흘러나와 제2챔버(922)의 하부면에 펼쳐지기 시작한다.
이후 1차헹굼급수단계가 수행되지만 제3챔버(923)에는 세제가 유입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세탁수만 제3챔버(923)로 유입되어 다시 배출된다.
1차헹굼급수단계가가 완료되면, 제1헹굼단계가 수행된다. 헹굼 rpm은 제2rpm보다 낮은 rpm이므로 제2연통홀(927)을 통과하지 못한다.
제1헹굼단계가 완료되면, 서브드럼(50)이 제2rpm으로 회전하는 헹굼간이탈수단계가 수행된다. 헹굼간이탈수단계가 수행되면, 제2챔버(922)의 하부면에 일정한 높이로 수용된 세재는 다시 외측벽 측으로 이동한다. 일부는 차단리브(928)로 구획되는 배출챔버(922b)로 이동하며 나머지 일부는 유입챔버(922a)로 이동한다. 배출챔버(922b)로 이동한 세제는 서브드럼(50)이 제2 rpm으로 회전하는 동안 화살표를 따라 제2연통홀(927)을 통과하여 제3챔버(923)로 유입된다. 여기서 제2연통홀(927)은 제1연통홀(925)과 마찬가지로 유로를 형성한다.
헹굼간이탈수단계가 완료되면, 2차헹굼급수단계가 수행된다. 2차헹굼급수단계가 수행되면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세탁수가 세탁수유입구(94)를 통해 제3챔버(923)로 유입된다. 제3챔버(923)에 세탁수가 유입되면 세탁수는 세제와 함께 사이펀 현상을 이용하는 세제배출부(96)에 의해 서브드럼(50)으로 배출된다.
이후 헹굼 rpm으로 서브드럼(50)이 회전하는 제2헹굼단계가 수행되면서 서브드럼(50)에 수용된 세탁물은 세제와 함께 헹궈지게 되며, 제2헹굼단계가 완료되면, 간이탈수단계와 본탈수단계를 포함하는 탈수행정이 수행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의류처리장치 10: 캐비닛
20: 터브 30: 드럼
50: 제2 드럼 51: 상부커버
52: 하부커버 560: 내측 급수가이드
570: 외측 급수가이드 53: 바디
531: 가이드 리브 60, 80, 90: 세제박스
66, 86, 96: 세제배출부 67, 87: 하부캡부

Claims (15)

  1.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회전축이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드럼;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세탁물의 세탁이 상기 드럼과 분리되어 수행되는 서브드럼;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부; 및
    상기 서브드럼에 구비되어 세제를 수용하며, 상기 급수부로부터 공급된 세탁수와 함께 수용된 세제를 상기 서브드럼으로 배출하는 세제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세제박스는
    격벽으로 구획되며, 세제가 수용되는 복수의 챔버; 및 상기 수용된 세제가 상기 서브드럼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의 크기에 따라 상기 복수의 챔버를 순차적으로 거쳐 배출되도록 상기 격벽에 소정의 높이로 구비되어 상기 챔버를 상호 연통시키는 연통홀;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박스는
    상기 연통홀이 높이가 상기 원심력에 의해 세탁수가 통과하는 격벽의 순서에 따라 점차 낮아지며, 상기 연통홀을 거쳐 유입된 세제의 이동을 상기 원심력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내측면에 차단리브가 돌출되어 구비되는 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박스는
    외부로부터 세제가 공급되는 제1챔버;
    상기 서브드럼이 제1rpm으로 회전 시, 상기 제1챔버로부터 상기 연통홀을 통해 유입된 세제를 수용하는 제2챔버; 및
    상기 서브드럼이 상기 제1rpm보다 작은 제2rpm으로 회전 시, 상기 제2챔버로부터 상기 연통홀을 통해 유입된 세제를 수용하는 제3챔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2챔버는
    상기 제1챔버로부터 유입된 세제가 상기 원심력에 의해 상기 제3챔버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상기 원심력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세탁수의 내측면에 차단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챔버는 상기 급수부로부터 공급된 세탁수와 함께 세제를 사이펀 원리에 의해 상기 서브드럼으로 배출하도록 세제배출부가 구비되며,
    상기 세제배출부는 상기 상기 제3챔버 내부를 상기 서브드럼의 내부와 연통시키는 사이펀관과 상기 사이펀관을 덮어 사이펀 유로를 형성하는 사이펀캡을 포함하되, 세제가 상기 원심력으로 인하여 상기 제3챔버의 일측으로 쏠리는 방향과 반대방향인 타측으로 치우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박스는
    상기 제1 내지 제3 챔버가 구비되는 수용부바디; 및
    상기 수용부바디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수용부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챔버에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며, 상면이 개방되어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용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세제용기의 높이는 상기 제1챔버와 상기 제2챔버를 구획하는 격벽에 형성된 연통홀의 높이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커버는
    상기 급수부로부터 배출된 세탁수가 관통하여 상기 제3챔버로 유입되는 세탁수유입구; 및
    세탁수를 하방으로 가이드하도록 상기 세탁수유입구에 하나 이상 구비되는 유입가이드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의 횡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서브드럼은 상기 드럼의 내주면과 결합하는 결합부; 및 상기 드럼의 내주면과 이격되는 이격부;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부 및 이격부가 상기 서브드럼 상단부의 둘레를 따라 교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박스는 상기 결합부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드럼은 세탁물 및 세탁수를 수용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상부에 결합하며 세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는 서브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브커버는 일측이 함입되어 형성되는 손잡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결합부에 인접하여 구비되며,
    상기 세제박스는 상기 손잡이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회전축이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드럼; 및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세탁물의 세탁이 상기 드럼과 분리되어 수행되는 서브드럼;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부; 및
    상기 서브드럼에 구비되어 세제를 수용하며, 상기 급수부로부터 공급된 세탁수와 함께 세제를 상기 서브드럼으로 배출하는 세제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세제박스는
    격벽으로 구획되어 세제가 수용되는 복수의 챔버; 및
    상기 수용된 세제가 상기 서브드럼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의 크기에 따라 상기 복수의 챔버를 순차적으로 거친 후 배출되도록 상기 격벽에 소정의 높이로 구비되어 상기 챔버를 상호 연통시키는 유로;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박스는
    외부로부터 세제가 공급되는 제1챔버;
    상기 서브드럼이 제1rpm으로 회전 시, 상기 제1챔버로부터 상기 유로를 통해 유입된 세제를 수용하는 제2챔버; 및
    상기 서브드럼이 상기 제1rpm보다 작은 제2rpm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2챔버로부터 상기 유로를 통해 유입된 세제를 상기 급수부로부터 공급된 세탁수와 함께 사이펀 원리에 의해 상기 서브드럼으로 배출하는 세제배출부가 구비되는 제3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챔버는
    상기 제1챔버와 연통되는 유로의 높이가 상기 제3챔버와 연통되는 유로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기 제1챔버로부터 유입된 세제가 상기 서브드럼이 상기 제2rpm 보다 큰 rpm으로 회전 시에 상기 제3챔버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내측면에 차단리브가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배출부는
    상기 원심력으로 인하여 세제가 상기 제3챔버의 일측으로 쏠리는 방향과 반대방향인 타측으로 치우쳐 구비되되, 상기 제3챔버 내부를 상기 서브드럼의 내부와 연통시키는 사이펀관; 및
    상기 사이펀관을 덮어 사이펀 유로를 형성하는 사이펀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70084664A 2017-07-04 2017-07-04 의류처리장치 KR102325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664A KR102325526B1 (ko) 2017-07-04 2017-07-04 의류처리장치
AU2018296988A AU2018296988B2 (en) 2017-07-04 2018-07-04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BR112020000170-8A BR112020000170B1 (pt) 2017-07-04 2018-07-04 Aparelho de tratamento de roupa a ser lavada
PCT/KR2018/007575 WO2019009617A1 (ko) 2017-07-04 2018-07-04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201880045015.6A CN110832134B (zh) 2017-07-04 2018-07-04 衣物处理设备
US16/611,788 US11162208B2 (en) 2017-07-04 2018-07-04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664A KR102325526B1 (ko) 2017-07-04 2017-07-04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437A KR20190004437A (ko) 2019-01-14
KR102325526B1 true KR102325526B1 (ko) 2021-11-12

Family

ID=65027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664A KR102325526B1 (ko) 2017-07-04 2017-07-04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55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42751B (zh) * 2019-08-06 2024-05-28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外桶盖及洗衣机
CN113699753B (zh) * 2021-08-30 2023-12-05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一种洗剂投放装置、搅拌机构、筒部装及洗涤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8895A (ko) * 2004-06-15 2005-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세제공급장치를 갖는 세탁기
KR102207787B1 (ko) * 2013-12-27 2021-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102314315B1 (ko) * 2015-04-27 2021-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437A (ko) 201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6118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20130009351A (ko) 세탁기
JP2011240078A (ja) 洗濯機
KR20150010185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2552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41332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411845B1 (ko) 의류처리장치
JP2012029710A (ja) 洗濯機
KR10241184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411847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456381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2454767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238114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964652B1 (ko) 의류처리장치
CN110832134B (zh) 衣物处理设备
KR102537194B1 (ko) 드럼 세탁기 및 드럼 세탁기의 터브 세척 방법
KR10206542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175293B1 (ko) 세탁기
JP6223274B2 (ja) 洗濯機
KR10254117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487210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461472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20100070860A (ko) 드럼세탁기의 거품제거방법
KR102320897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JP2023012691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