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4652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4652B1
KR101964652B1 KR1020170127752A KR20170127752A KR101964652B1 KR 101964652 B1 KR101964652 B1 KR 101964652B1 KR 1020170127752 A KR1020170127752 A KR 1020170127752A KR 20170127752 A KR20170127752 A KR 20170127752A KR 101964652 B1 KR101964652 B1 KR 101964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sub
main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7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신
김근주
정재용
문병현
이동수
채애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7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4652B1/ko
Priority to CN201880038753.8A priority patent/CN110770384B/zh
Priority to US16/612,836 priority patent/US11306424B2/en
Priority to PCT/KR2018/011625 priority patent/WO2019066608A1/en
Priority to BR112020001315-3A priority patent/BR112020001315B1/pt
Priority to AU2018341361A priority patent/AU201834136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4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4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shing
    • D06F33/02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06F29/005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the other separate apparatus being a drying appli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6Parti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20Operation modes, e.g. delicate laundry washing programs, service modes or refreshment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4Spin speed; Drum mov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4Current or voltage
    • D06F2103/46Current or voltage of the motor driving the dru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4Changing between normal operation mode and special operation modes, e.g. service mode, component cleaning mode or stand-by mod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06F2105/60Audible sign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4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ter fill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메인 드럼에 서브 드럼이 탈착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드럼과 상기 메인 드럼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서브 드럼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브 드럼 내부로 세탁수를 급수하는 서브 급수 단계; 그리고 서브 급수 단계 전에, 상기 메인 드럼을 회전시켜 상기 서브 드럼 내부에 수용된 물을 원심력에 의해 상기 서브 드럼 외부로 배출하는 간이 탈수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메인 드럼에 서브 드럼이 탈착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 건조 또는 리프레시 하기 위한 장치를 말하며, 세탁기, 건조기, 세탁 겸 건조기 그리고 리프레셔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옷장 형태로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이 움직이지 않는 리프레셔와는 달리, 세탁이나 건조를 수행하는 의류처리장치에서는 의류를 수용하는 드럼이 회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드럼은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드럼 내부에 수용된 의류가 드럼이 회전함에 따라 이동되면서 세탁이나 건조가 수행될 수 있다. 세탁을 수행하기 위해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를 포함한다. 상기 드럼은 터브의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세탁이 수행된다.
세탁물이 드럼 내부로 투입되는 방향 또는 드럼의 회전축에 따라 의류처리장치는 프론트 로더(front loader)와 탑 로더(top loader)로 나뉠 수 있다. 프론트 로더는 의류처리장치 전방에서 세탁물이 드럼 내부로 투입되고 드럼은 실질적으로 지면과 수평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탑 로더는 의류처리장치 상방에서 세탁물이 드럼 내부로 투입되고 드럼은 실질적으로 지면과 수직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세탁기나 건조기에는 하나의 드럼만 구비된다. 따라서, 세탁물 종류에 따른 분리 세탁이나 건조를 동시에 수행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개별적으로 2 개의 드럼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하나의 의류처리장치 케이스 내부에 서로 분리된 2 개의 드럼이 장착되어 세탁이나 건조가 2 개의 드럼에서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를 트윈 의류처리장치라 할 수 있다.
트윈 의류처리장치는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에 별도의 의류처리장치를 복합하여 구현한 것으로, 따라서 하나의 의류처리장치라고 할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두 개의 의류처리장치가 복합적으로 구현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왜냐하면, 기존 드럼의 상부 또는 하부에 별도의 서브 드럼이 구비되고, 이들 드럼들을 구동하는 구동부도 별도로 구비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사이즈가 커질 수밖에 없고, 복잡한 구조 및 제조 비용이 증가될 수밖에 없다.
한편, 세탁기에서의 드럼을 내조 또는 이너 터브(inner tub)라 할 수 있고 외조 또는 터브 아우터 터브(outer tub)라 할 수 있다. 즉, 의류를 수용하는 의류수용부인 드럼을 이너 터브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는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는 구성이다. 따라서, 드럼을 단순히 터브라고 할 수도 있다.
따라서, 트윈 의류처리장치는 터브와 터브가 병렬적으로 구비된 형태로 터브 바이 터브(tub-by-tub) 의류처리장치라 할 수 있다.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10-2016-0051336에 개시된 발명(이하 "선행발명"이라 한다)을 통해, 트윈 의류처리장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메인 드럼 내부에 서브 드럼이 탈착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 바 있다.
상기 선행발명을 통해서, 서로 분리된 두 개의 드럼에서 분리 세탁이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서브 드럼이 메인 드럼 내부에 삽입되어 의류처리장치의 사이즈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또한, 서브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은 메인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이동함으로써 별도의 구동부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단순한 구조 및 제조 비용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
선행발명과 같은 형태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용되는 메인 드럼(제1터브)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서브 드럼(제2터브)가 삽입되는 의류처리장치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의 의류처리장치를 터브 바이 터브 의류처리장치와 구분하기 위하여 터브 인 터브(tub-in-tub) 의류처리장치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발명은 터브 인 터브 의류처리장치의 구조적인 특징을 주로 개시하고 있으며, 효과적인 세탁 수행을 위한 제어 방법에 대한 특징을 개시하고 있지 않다.
일례로, 터브 인 터브 의류처리장치에서는 서브 드럼이 메인 드럼에 장착된 후 서브 드럼에 수용된 의류만 세탁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이를 "보조 세탁"이라 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이를 "동시 세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서브 드럼과 메인 드럼에 수용된 의류를 함께 세탁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이를 "동시 세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세탁과 동시 세탁은 서브 드럼이 분리된 후 메인 드럼에 수용된 의류만 세탁하는 "일반 세탁"과는 매우 상이하다.
상기 일반 세탁은 세탁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다양한 알고리즘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보조 세탁과 동시 세탁의 경우에는 최적의 세탁을 수행하기 위한 연구 및 개발이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상기 선행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3 개의 서로 다른 형태의 세탁(보조 세탁, 동시 세탁, 일반세탁)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의류처리장치에서 각각의 세탁에서 최적의 세탁을 수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필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세탁이나 헹굼을 수행하기 위해서 포량에 따른 적정한 세탁수가 공급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먼저 정확한 포량이 감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하나의 드럼만 구비된 경우에는 포량 감지 방안이 많이 제시되어 있지만, 두 개의 드럼이 연동되는 경우 각각의 포량을 정확히 감지하는 방안이 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메인 포량과 서브 포량을 각각 정확히 감지하여 최적의 의류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초기 서브 드럼 내부에 수용된 물에 의해 감지되는 서브 포량의 왜곡을 배제하여, 서브 드럼을 통해 최적의 세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메인 드럼 내부에 수용된 메인 포량을 메인 드럼의 회전시켜 감지할 때, 서브 드럼 내부에 수용된 물에 의해 감지되는 메인 포량의 왜곡을 배제하여, 메인 드럼을 통해 최적의 세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보조 세탁 또는 동시 세탁에서 포량을 보다 정확히 감지하여, 포량에 근거한 최적의 세탁을 수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일반세탁 모드, 보조세탁 모드 그리고 동시세탁 모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서브 드럼의 장착 여부를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의 도어를 닫고 시작 입력을 한 후, 메인 드럼의 회전을 통해 자동적으로 판단하도록 하여, 안전하고 오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의 보조세탁 입력 선택 여부와 서브 드럼의 장착 여부를 자동적으로 판단하는 것을 통해서, 사용자의 행동을 최소화하는 한편 자동적으로 일반세탁 모드, 보조세탁 모드 그리고 동시세탁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특히 서브 드럼에 수용된 포량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서브 드럼을 통한 최적의 세탁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서브 드럼에 수용된 포량에 따른 급수량을 달리 적용하여 최적의 세탁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동시 세탁의 경우 메인 드럼에 수용된 포량 감지와 서브 드럼에 수용된 포량 감지를 이원화하여 각각의 포량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메인 드럼과 서브 드럼을 통한 최적의 세탁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드럼과 상기 메인 드럼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서브 드럼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브 드럼 내부로 세탁수를 급수하는 서브 급수 단계; 그리고 서브 급수 단계 전에, 상기 메인 드럼을 회전시켜 상기 서브 드럼 내부에 수용된 물을 원심력에 의해 상기 서브 드럼 외부로 배출하는 간이 탈수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간이 탈수 단계 후, 상기 메인 드럼을 구동하여 상기 서브 드럼 내부의 포량을 감지하는 서브 포량 감지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서브 급수 단계는, 상기 서브 포량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포량에 기초하여 세탁수를 급수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브 급수 단계에서 세탁수의 양은 세탁수가 급수되는 시간으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기 메인 드럼에 상기 서브 드럼이 분리되어 세탁되는 일반세탁 모드; 기 메인 드럼에 상기 서브 드럼이 장착되어 상기 서브 드럼 내부의 세탁물만 세탁되는 보조세탁 모드; 그리고 기 메인 드럼에 상기 서브 드럼이 장착되어 상기 서브 드럼과 메인 드럼 내부의 세탁물이 세탁되는 동시세탁 모드를 수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세탁 모드에서, 상기 서브 포량 감지 단계 후 그리고 상기 서브 급수 단계 전, 상기 메인 드럼을 회전시켜 상기 서브 드럼의 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동시세탁 모드에서, 상기 메인 드럼 내부로 세탁수를 급수하는 메인 급수 단계; 그리고 상기 메인 드럼 내부의 포량을 감지하는 메인 포량 감지 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메인 급수 단계 후, 상기 서브 급수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메인 급수 단계 전에, 상기 간이 탈수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간이 탈수 단계 후, 상기 메인 드럼에 구비된 펄세이터를 구동하여 상기 메인 드럼 내부의 포량을 감지하는 메인 포량 감지 단계가 수행되고, 상기 메인 포량 감지 단계 수행 후 상기 서브 포량 감지 단계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브 포량 감지 단계는, 상기 메인 포량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메인 포량에 기초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메인 드럼과 펄세이터를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하고, 서브 포량 감지 단계에서, 상기 서브 포량은 상기 메인 드럼의 회전 시 상기 모터에서 측정되는 전류값에서 상기 감지된 메인 포량에 대응되는 전류값을 차감하여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서브 포량 감지 단계에서, 상기 서브 포량은 상기 메인 드럼의 회전 후 제동 시 슬립 각도에서 상기 감지된 메인 포량에 대응되는 슬립 각도를 차감하여 산출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드럼에 상기 서브 드럼의 장착 여부를 판단하는 장착 판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 판단 단계는 상기 메인 드럼을 회전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장착 판단 단계는 상기 간이 탈수 단계 전에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의류 처리를 시작하도록 사용자가 입력하는 시작/일시정지 입력부가 구비된 컨트롤패널과 상기 메인 드럼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시작/일시정지 입력부가 선택된 후, 상기 장착 판단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에는 사용자가 상기 보조세탁 모드를 입력하는 보조세탁 입력부가 구비되며, 상기 동시세탁 모드는, 상기 보조세탁 모드의 입력이 배제되고, 상기 장착 판단 단계에서 상기 서브 드럼이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일반세탁 모드는, 상기 보조세탁 모드의 입력이 배제되고, 상기 장착 판단 단계에서 상기 서브 드럼이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자동적으로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세탁 모드는, 상기 보조세탁 모드가 입력되고, 상기 장착 판단 단계에서 상기 서브 드럼이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며, 자동적으로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일반세탁 모드, 보조세탁 모드 그리고 동시세탁 모드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서브 드럼의 장착 여부를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의 도어를 닫고 시작 입력을 한 후, 메인 드럼의 회전을 통해 자동적으로 판단하도록 하여, 안전하고 오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의 보조세탁 입력 선택 여부와 서브 드럼의 장착 여부를 자동적으로 판단하는 것을 통해서, 사용자의 행동을 최소화하는 한편 자동적으로 일반세탁 모드, 보조세탁 모드 그리고 동시세탁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초기 서브 드럼 내부에 수용된 물에 의해 감지되는 서브 포량의 왜곡을 배제하여, 서브 드럼을 통해 최적의 세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메인 드럼 내부에 수용된 메인 포량을 메인 드럼의 회전시켜 감지할 때, 서브 드럼 내부에 수용된 물에 의해 감지되는 메인 포량의 왜곡을 배제하여, 메인 드럼을 통해 최적의 세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보조 세탁 또는 동시 세탁에서 포량을 보다 정확히 감지하여, 포량에 근거한 최적의 세탁을 수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특히 서브 드럼에 수용된 포량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서브 드럼을 통한 최적의 세탁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서브 드럼에 수용된 포량에 따른 급수량을 달리 적용하여 최적의 세탁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동시 세탁의 경우 메인 드럼에 수용된 포량 감지와 서브 드럼에 수용된 포량 감지를 이원화하여 각각의 포량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메인 드럼과 서브 드럼을 통한 최적의 세탁이 가능한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서브드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표시된 A-A선을 따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드럼에 장착된 서브드럼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상부에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캐비닛(10), 캐비닛(10) 내부에 세탁수를 저장하도록 설치되는 터브(20), 터브(20)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메인 드럼(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드럼(30)에는 의류가 수용되어 세탁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의류의 세탁을 위해서 세탁수의 수류를 발생시키기 위한 펄세이터(35)가 드럼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펄세이터(35)는 상기 메인 드럼(30)과 일체로 회전하거나 개별적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드럼의 회전과 펄세이터의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구동부(14)가 구비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구성은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와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메인 드럼(30)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서브 드럼(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드럼(50)은 상기 메인 메인 드럼(30)과 개별적인 세탁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도 1에는 모터가 직접 회전축(17)과 연결되어 메인 드럼(30)을 구동하는 직결식 구동 구조가 도시되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캐비닛(10)은 의류처리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며, 세탁물의 투입을 위해 캐비닛(1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된 캐비닛 커버(11)를 포함한다.
캐비닛 커버(11)는 캐비닛(10)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미도시된 도어에 의해서 캐비닛 커버(11)가 선택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도어를 열어 캐비닛 커버(11)를 외부로 노출시켜, 상기 캐비닛 커버(11)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메인 드럼(30) 및 서브 드럼(50) 내부로 세탁물을 넣거나, 메인 드럼(30) 및 서브 드럼(50)의 내부로부터 세탁물을 빼낼 수 있다.
한편, 메인 드럼(30) 및 서브 드럼(50)으로 세제가 포함된 물 또는 세제가 포함되지 않는 깨끗한 물을 급수하도록 급수부(18)가 캐비닛 커버(11)에 구비된다. 급수부(18)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세탁수를 후술하게 될 서브 드럼(50)의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터브(20)의 내부를 통해 메인 드럼(30)으로 급수하거나 서브 드럼(50)으로 급수한다.
여기서의 세탁수는 세탁행정을 수행하기 위한 세탁수뿐만 아니라 헹굼행정을 위한 헹굼수를 포함한다.
터브(2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된 채 세탁수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터브(20)는 상단부에 설치되는 터브 커버(21)를 포함한다.
터브 커버(21)는 메인 드럼(30) 및 서브 드럼(50)이 외부와 연통하도록 캐비닛(10)의 개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된다. 세탁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메인 드럼(30)이 회전하면, 터브 커버(21)는 메인 드럼(3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인해 터브(20)의 내주면을 따라 순환하면서 상승한 세탁수를 메인 드럼(30)의 중심부 측으로 이동시켜 메인 드럼(30)의 내부로 낙하시키도록 가이드한다.
터브(20)는 하부면이 캐비닛(10)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24)과 댐퍼(23)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또한, 터브(20)는 하부면이 스프링(24)과 댐퍼(23)에 의해 직접 지지되므로 자체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터브(20)는 메인 드럼(30)과 달리 구동부(14)로부터 별도의 회전력을 전달받지 않는다.
도 1에서는 스프링(24)과 댐퍼(23)가 터브(20)의 하부면에 직렬로 연결되는 구성이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프링(24)과 댐퍼(23)는 필요에 따라 병렬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댐퍼(23)는 터브(20)의 하부면에 연결되고 스프링(24)은 터브(20)의 상부면에 연결되며 그 역의 경우도 가능하다.
또한, 터브(20)의 하부면에는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장치가 연결된다. 배수장치는 터브(20)에 수용된 세탁수를 배출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배수펌프(11), 일단이 터부의 하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배수펌프(11)에 연결되어 터브(20)에 수용된 세탁수를 배수펌프(11)로 안내하는 제1 배수관(12) 및 일단이 배수펌프(11)에 연결되고 타단이 캐비닛(10) 일측에 연결되어 세탁수를 배수펌프(11)로부터 캐비닛(10) 외부로 배출하는 제2 배수관(13)을 포함한다. 제1 배수관(12)은 터브(20)의 진동이 배수펌프(11)에 전달되지 않도록 밸로우즈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부(14)는 로터(15)와 스테이터(16)로 이루어진 모터와 로터(15)에 연결되는 회전축(17)을 포함하며, 내부에 클러치(미도시)가 구비됨에 따라 구동력을 메인 드럼(30)과 펄세이터(35)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축(17)이 펄세이터(35)에 고정된 채 메인 드럼(30)에 선택적으로 결합함에 따라 구동부(14)는 펄세이터(35)에 구동력을 전달하거나 펄세이터(35)와 메인 드럼(30)에 구동력을 함께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회전축(17)이 메인 드럼(30)에 고정된 채 펄세이터(35)에 선택적으로 결합함에 따라 구동부(14)는 메인 드럼(30)(30에 구동력을 전달하거나 펄세이터(35)과 메인 드럼(30)에 구동력을 함께 전달할 수 있다.
위에서 회전축(17)이 펄세이터(35)와 메인 드럼(30)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 채 나머지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설명에 의해 회전축(17)이 펄세이터(35)와 메인 드럼(30)중 어느 하나에만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구조가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터브(2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채 세탁물이 투입되도록 형성된 메인 드럼(30) 및 메인 드럼(30)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서브 드럼(50)이 구비된다.
메인 드럼(30)은 상부가 개방되며 횡단면이 대략 원형인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하부면이 회전축(17)에 직결되어 구동부(14)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메인 드럼(30)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의 통공(33)이 측벽 즉, 원주면에 형성된다. 복수 개의 통공(33)을 통하여 메인 드럼(30)은 터브(20)와 연통된다. 이에 따라 세탁수가 터브(20)에 일정 수위 이상으로 공급되면 메인 드럼(30)은 세탁수에 잠기면서 일부 세탁수가 통공(33)을 통하여 메인 드럼(30)의 내부로 인입된다.
메인 드럼(30)은 상단부에 구비되는 드럼 커버(31)를 포함한다. 드럼 커버(31)는 중공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터브 커버(21)의 하측에 배치된다.
한편, 드럼 커버(31)와 터브 커버(21)에 의해 배출유로(47)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배출유로(47)는 드럼 커버(31)와 터브 커버(2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배출유로(47)는 서브 드럼(50)의 상단부를 통하여 서브 드럼(50) 내부에서 외부로 배출된 세탁수를 터브(20)의 내부로 안내한다.
상기 배출유로(47)를 통해서 서브 드럼(50)에서 배출되는 세탁수가 메인 드럼(3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배제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드럼(30)에서의 세탁수 배수 경로와 서브 드럼(50)에서의 세탁수 배수 경로는 서로 독립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드럼 커버(31)에는 세탁물이 투입되거나 서브 드럼(50)이 장착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또한, 드럼 커버(31)는 메인 드럼(30)의 내부에서 세탁물이 쏠림으로 인해 발생하는 언밸런스를 해소하는 밸런서(311)가 내측에 구비된다. 이 경우 배출유로(47)는 밸런서(311)와 터브 커버(2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제1 센서부(54), 제2 센서부(25), 제어부(100) 및 메인 드럼(30)의 회전을 제동시키는 제동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부(54)는 서브 드럼(50)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서브 드럼(50)이 회전 기준점에 위치하는지 아니면 회전 기준점에서 벗어나 위치하는지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센서부(54)는 상기 서브 드럼(50)의 장착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서브 드럼(50)이 메인 드럼(30)에 장착되었는지, 제대로 장착되었는지 또는 분리되었는지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부(54)는 서브 드럼(50)의 위치 제어를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브 드럼(5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은 특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세탁수를 급수하는 급수 시점과 상기 서브 드럼(50)의 위치 관계가 특정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에 의해서 서브 드럼(50)의 위치를 감지하고 위치 제어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일례로, 제1 센서부(54)는 제1 홀센서(Hall sensor, 55) 및 제1 자석부(5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센서(55)는 터브(20)에 구비되고 제1 자석부(56)는 서브 드럼(50)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홀센서(55)와 제1 자석부(56)는 상기 서브 드럼(50)의 회전 기준점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홀센서(55)는 터브(20)에 고정되어 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제1 자석부(56)는 서브 드럼(50)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홀센서(55)는 터브(20)커버의 상면에 구비되거나 터브(20)커버의 내측 테두리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자석부(56)는 제1 홀센서(55)에 의해 감지되도록 서브 드럼(50)의 상부면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브 드럼(50)이 회전하면 제1 홀센서(54)가 제1 자석부(56)를 감지한 후 제어부(100)로 신호를 보낸다.
상기 제1 센서부(54)에서 상기 서브 드럼(50)이 기준점보다 반시계방향으로 90도 벗어난 지점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제어부(100)는 구동부(14)를 제어하여 서브 드럼(50)을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멈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드럼(50)은 메인 드럼(30)과 일체로 회전하므로 구동부(14)를 통해 메인 드럼(30)을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킴으로써 이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정확한 위치 제어를 통해 제어부(100)는 구동부(14)와 함께 제동부(110)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센서부(25)는 메인 드럼(30)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메인 드럼(30)이 회전 기준점에 위치하는지 아니면 회전 기준점에서 벗어나 위치하는지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드럼(30)은 로터(15)와 동기화되어 회전할 수 있다. 즉, 메인 드럼(30)의 회전 각도와 로터(15)의 회전 각도는 동일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센서부(25)는 제2 홀센서(Hall sensor, 26) 및 제2 자석부(27)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홀센서(26)는 터브(20)에 구비되고 제2 자석부(27)는 로터(15)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홀센서(26)와 제2 자석부(27)는 상기 메인 드럼(30)의 회전 기준점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홀센서(26)는 터브(20)에 고정되어 위치가 고정되며, 상기 제2 자석부(27)는 로터(15)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홀센서(26)는 터브(20)의 하부면 하측에 구비되며, 제2 자석부(27)는 제2 홀센서(26)에 의해 감지되도록 로터(15)의 상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홀센서(26)는 단일 홀 센서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자석부(27)는 상기 로터의 외주를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드럼(30)이 회전하면 제2 홀센서(26)는 메인 드럼(30)의 회전각도를 감지한 후 제어부(100)로 신호를 보낸다. 제2 센서부(25)는 메인 드럼(30)의 정확한 회전각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제2 자석부(27)의 자석들이 등 간격으로 로터(15)에 구비되며, 구비되는 자석의 갯수가 증가할수록 메인 드럼(30)의 회전각도를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다. 즉, 제2 센서부(25)에 의해 로터(15)의 회전각도를 감지하여 메인 드럼(30)의 회전 각도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로터(15)의 회전각도는 별도의 센서 없이 감지될 수도 있다. 즉, 센서가 없는 센서리스(sensorless) 방식으로 로터(15)의 회전각도를 감지하여 메인 드럼(30)의 회전각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리스 방식은, 일정한 주파수의 상전류가 모터에 흐르도록 한 후, 일정 주파수의 전류가 모터에 흐르는 동안 검출되는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모터의 회전자 위치를 추정함으로써 로터(15)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리스 방식은 공지의 기술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서브 드럼(50)의 위치제어는, 우선 제1 센서부(54)에 의해 서브 드럼(50)의 장착 여부가 판단되고, 서브 드럼(50)이 장착되었다고 판단 이후에 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 드럼(50)을 360도 이상 회전시킴으로써 제1 센서부(54)를 통해 서브 드럼(50)의 장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센서부(54)에서 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서브 드럼(50)이 장착되지 않은 것이며, 제1 센서부(54)에서 신호가 발생되면 서브 드럼(50)이 장착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후, 장착여부 판단 시의 서브 드럼(50)의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회전각도만큼 서브 드럼(5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브 드럼(50)의 임의의 지점이 서브 드럼(50) 외부의 미리 설정한 지점에 위치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서브 드럼(50)의 임의의 지점은 후술하는 내측 급수가이드(560)와 외측 급수가이드(570)가 구비되는 서브 드럼(50)의 특정한 위치일 수 있으며, 서브 드럼(50) 외부의 미리 설정한 지점은 급수부(18) 하측일 수 있다. 이때 제2 센서부(25) 또는 센서가 없는 센서리스(sensorless) 방식으로 서브 드럼(50)의 회전각도가 측정된다. 이는 서브 드럼(50)과 메인 드럼(30)이 일체로 회전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서브 드럼(50)의 위치 제어는 급수 시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내측 급수가이드(560)를 단일한 급수부(18)의 하측에 위치시켜 세탁수가 내측 급수가이드(560)를 통해 서브 드럼(50)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때에는 급수부(18)를 통해서 서브 드럼(50)만으로 세탁수가 공급될 수 있다.
이후, 서브 드럼을 회전시켜 외측 급수가이드(570)를 단일한 급수부(18)의 하측에 위치시켜 세탁수가 외측 급수가이드(570)를 통해 메인 드럼(30)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때에는 급수부(18)를 통해서 메인 드럼(50)만으로 세탁수가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서브 드럼의 위치 제어와 급수부를 통해서 메인 드럼(30)과 서브 드럼(30)의 세탁수 급수를 서로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메인 드럼(30)으로 공급된 세탁수와 서브 드럼(50)으로 공급된 세탁수는 공간적으로 서로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급수 과정에서 서브 드럼(50)으로 공급된 세탁수가 메인 드럼(30)으로 유입되거나 그 반대인 상황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하, 서브 드럼(50)에 대하여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서브 드럼(50)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서브 드럼(50)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메인 드럼(30)에 장착된 서브 드럼(50)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서브 드럼(50)은 메인 드럼(3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서브 드럼(50)은 메인 드럼(30)과 분리되어 세탁을 수행하도록 세탁물과 세탁수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색상이나 재질에 따라 분리하여 세탁이 필요한 세탁물들을 메인 드럼(30)과 서브 드럼(50)에 나누어 수용시킨 후, 서로 다른 시간에 세탁을 수행하는 것을 물론이고 동시에도 세탁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의류처리장치(1)의 작동 횟수가 감소함과 동시에 세탁수, 세제 및 에너지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서브 드럼(50)은 메인 드럼(30)의 내부에 결합한 채 메인 드럼(3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세탁을 수행하므로 별도의 구동장치가 필요 없다.
서브 드럼(50)은 세탁수의 와류를 형성하도록 횡단면이 원형이 아닌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일방향을 가로지르는 타방향으로 짧게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드럼(50)의 외주면 일부는 메인 드럼(30)의 내주면에 결합할 수 있으며 나머지 일부는 메인 드럼(30)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브 드럼(50)의 횡단면은 대략 타원형을 형성되거나, 서브 드럼(50)의 횡단면의 둘레 중 일부는 메인 드럼(30)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곡선으로 형성되고 나머지 일부는 메인 드럼(30)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된 채 직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서브 드럼(50)의 횡단면은 대략 트랙 형상으로 형성될수도 있다.
이에 따라 서브 드럼(50)은 횡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보다 보다 효과적으로 회전에 의해 와류를 발생시킨다. 와류에 의해 세탁수와 세탁물 간의 마찰 또는 세탁물 간의 마찰이 증가하므로, 서브 드럼(50)은 횡단면이 원형인 경우보다 세탁력이 증가한다.
또한, 서브 드럼(50)은 세탁수의 와류를 형성하도록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마찰 리브(534)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서브 드럼(50)의 내주면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1 곡률부(C1) 및 제1 곡률보다 더 작은 제2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2 곡률부(C2)로 구분할 수 있다.
제1 곡률부(C1)는 서브 드럼바디(53)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제1 곡률은 드럼 커버(31)에 형성된 개구부의 내주면 곡률과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드럼의 제1 곡률부(C1)는 메인 드럼에 삽형합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제2 곡률부(C2)는 서브 드럼바디(53)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며, 한 쌍의 제1 곡률부(C1)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되 한 쌍을 이룬다. 제2 곡률은 제1 곡률보다 작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서브 드럼의 제2 곡률부(C2)는 메인 드럼과 이격 간격을 갖도록 삽입될 수 있다.
즉, 제1 곡률부(C1)와 제2 곡률부(C2)는 서브 드럼바디(53)의 횡단면의 원주를 따라 교대로 반복하여 구비된다.
이러한 곡률부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도 있다.
서브 드럼(50)의 내주면은 서브 드럼(5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제1 거리만큼 이격된 근거리부(C2)와 서브 드럼(5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제1 거리보다 더 큰 제2 거리만큼 이격된 원거리부(C1)로 구분할 수 있다. 이 경우 근거리부(C2)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거리부(C1)는 메인 드럼(30)의 내주면에 접할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원거리부(C1)와 근거리부(C2) 모두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원거리부(C1)는 제1 곡률부(C1)에 대응하며, 근거리부(C2)는 제2 곡률부(C2)에 대응한다.
한편, 근거리부(C2)와 드럼 커버(31)의 내주면이 서로 충분한 거리를 두고 이격됨에 따라 후술하게 될 제1 급수유로(573)가 형성된다.
본 명세서의 제1 곡률부(C1), 제2 곡률부(C2), 원거리부(C1), 근거리부(C2), 결합부(C1) 및 이격부(C2)는 서브 드럼(50)의 특정 영역을 가리킨다. 위 서브 드럼(50)의 특정 영역에 포함되면 모두 위의 용어로 명칭한다.
서브 드럼(50)은 메인 드럼(30)이 원주면에 통공(33)이 구비되는 것과 달리 서브 드럼(50)은 원주면에 통공(33)이 구비되지 않는다. 따라서, 서브 드럼바디(53)는 세탁수와 세탁물을 수용할 수 있으며, 세탁수가 원주면이나 하부면을 통해 메인 드럼(30)의 내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터브(20)에 수용된 세탁수는 통공(33)을 통하여 메인 드럼(30)의 내부로 인입될 뿐이다. 설령, 서브 드럼(50)이 터브(20)에 수용된 세탁수에 잠기더라고 세탁수가 서브 드럼 내부로 인입되지 않는다.
마찰리브(534)는 서브 드럼(5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하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마찰리브(534)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채 복수 개로 구비되며, 서브 드럼(5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찰리브(534)는 서브 드럼(50)의 회전 시 세탁수와의 마찰력에 의해 세탁수를 서브 드럼(50)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이러한 마찰리브(534)는 후술하게 될 가이드 리브(531)와 형상 및 기능이 다르다.
한편, 서브 드럼(50)은 세탁물 투입을 위해 상부면에 형성된 세탁물 투입구(515), 세탁물 투입구(515)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가이드(581), 사용자가 파지할 공간을 제공하는 손잡이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부(510)를 통해서 서브 드럼(50)을 착탈시킬 수 있다.
상기 서브 드럼(50)은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세탁수를 서브 드럼(50)의 내부로 안내하는 내측 급수가이드(5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드럼(50)은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세탁수를 서브 드럼(50)의 외측을 통해 메인 드럼(30)의 내부로 안내하는 외측 급수가이드(5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측 급수 가이드(570)는 하향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낙하하는 세탁수가 하부로 원활히 흘러 메인 드럼(30)으로 유입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드럼(50)은 세탁수의 강한 수류를 형성하기 위한 가이드 리브(5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리브(531)는 서브 드럼(50)의 내주면을 순환하는 세탁수가 충돌에 의해 흐르는 방향이 바뀌어 상부로 끌어올려진 후 서브 드럼(50)의 중심부로 낙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에서 하부로 낙하하는 폭포수와 같은 수류를 형성하여 세탁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손잡이부(510)는 서브 드럼(50)의 상부면에 한 쌍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손잡이부(510)는 바(bar)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이 서브 드럼(50)의 상부면에 결합한다. 손잡이부(510)는 서브 드럼(5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손잡이부(510)는 서브 드럼(50)의 제1 곡률부(C1) 즉, 원거리부(C1)에 인접하여 구비된다. 사용자가 메인 드럼(30)으로부터 서브 드럼(50)을 분리할 때의 충격에 의해 세탁수가 한 쌍의 원거리부(C1) 중 하나에 쏠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브 드럼(50)은 한 쌍의 근거리부(C2)를 통과하는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쉽게 회전하여 내부의 세탁수가 쏟아질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손잡이부(510)의 위치가 중요하다.
일례로, 손잡이부(510)가 제2 곡률부(C2) 즉, 근거리부(C2)에 인접하여 구비되면, 서브 드럼(50)의 회전을 막기 위해 사용자가 많은 힘을 가하여야 하므로 손잡이부(510)는 원거리부(C1)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것이 보다 유리하다.
내측 급수가이드(560)는 서브 드럼(50)의 상부면에 구비되되, 원거리부(C1) 즉, 결합부(C1)에 인접하여 구비된다. 내측 급수가이드(560)는 오목부(561) 및 급수홀(562)을 포함한다.
오목부(561)는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세탁수가 서브 드럼(50)의 상부면에 부딪힌 후 주위로 흩어지지 않도록 서브 드럼(50)의 상부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된다.
급수홀(562)은 오목부(561)의 내측면 중 세탁물 투입구(515)를 향하는 측에 형성되어 세탁물 투입구(515)와 오목부(561)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세탁수가 오목부(561)로부터 급수홀(562)을 통해 세탁물 투입구(515)로 가이드 됨에 따라, 오목부(561)와 급수홀(562)은 세탁수를 서브 드럼(50)으로 가이드 하는 제2 급수유로(560)를 형성한다.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세탁수는 오목부(561)에 일시적으로 저장됨에 따라 서브 드럼(50) 주위로 흩어지지 않으며, 이후 급수홀(562) 즉 제2 급수유로(560)를 통해 세탁물 투입구(515)로 배출되어 서브 드럼(50) 내부로 안내된다.
한편, 오목부(561) 및 급수홀(562)은 손잡이부(510)의 하측에 형성됨에 따라 서브 드럼(50)의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외측 급수가이드(570)는 서브 드럼(50)의 상부면 가장자리에 구비되되, 근거리부(C2) 즉, 이격부(C2)에 인접하여 구비된다. 외측 급수가이드(570)는 내측 급수가이드(560)로부터 이격된다. 내측 급수가이드(560) 및 외측 급수가이드(570)가 하나의 급수부(18)의 하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서브 드럼(50)은 메인 드럼(30)과 함께 소정 각도만큼 회전한다. 따라서 외측 급수가이드(570)가 내측 급수가이드(560)로부터 분리되어 구비되더라도 단일한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세탁수는 메인 드럼(30) 및 서브 드럼(50)에 각각 공급될 수 있다.
외측 급수가이드(570)는 서브 드럼(50)의 상부면 가장자리 즉, 이격부(C2)의 모서리 부분이 서브 드럼(50)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서브 드럼(50)에는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일면으로 이루어진 외측 급수가이드(570)가 구비된다. 급수부(18)로부터 세탁수가 배출되면, 세탁수는 이격부(C2)와 메인 드럼(30)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이루어진 제1 급수유로(573)를 통해 메인 드럼(30)의 내부로 안내된다.
가이드 리브(53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브 드럼(50)의 상부면 하측에 구비되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 리브(531)는 일측면이 서브 드럼(50)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구비된다. 다시 말하면, 플레이트 형상의 가이드 리브(531)는 상측이 서브 드럼(50)커버에 결합하고 일측면이 서브 드럼(50)의 내주면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서브 드럼(50) 내부의 세탁수는 서브 드럼(50)의 회전력에 의해 서브 드럼(50)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다가 가이드 리브(531)와의 충돌에 의해 흐름의 방향이 바뀌어 상승할 수 있을 뿐만 충돌 후 흐름의 방향이 바뀌어 서브 드럼(50)의 중심부를 향해 포물선을 그리면서 낙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리브(531)는 서브 드럼(50)의 중심부를 향하는 일측면에 형성되며 서브 드럼(50)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리브 수직부(532) 및 서브 드럼(50)의 바닥을 향하는 하측면에 형성되며 리브 수직부(532)로부터 서브 드럼(50)의 중심부로부터 내주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리브 경사부(533)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 경사부(533)는 서브 드럼(50)의 내주면과 예각을 이루며 서브 드럼(50)의 하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리브 경사부(533)가 가이드 리브(531)의 하측면에 형성됨에 따라, 서브 드럼(50) 내부를 세탁수와 함께 회전하여 유동하는 세탁물이 덜 간섭된다. 따라서, 세탁물의 유동이 좀 더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이로 인하여 세탁물간의 마찰이 증가하여 세탁력이 증가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리브(531)에 리브 경사부(533)가 형성되어도 충분한 양의 세탁수를 상승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브 드럼(50)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경우, 서브 드럼(50)의 중심부의 세탁수의 수면보다 서브 드럼(50)의 내주면의 세탁수의 수면이 더 높다. 따라서, 가이드 리브(531)에 리브 경사부(533)가 형성되어도 충분한 양의 세탁수가 가이드 리브(531)에 충돌하여 상승할 수 있다.
한편, 서브 드럼(50)이 비교적 저속으로 회전하는 경우, 가이드 리브(531)를 서브 드럼(50)의 근거리부(C2)에 배치함으로써 충분한 양의 세탁수를 상승시킬 수 있다. 서브 드럼(50)의 중심으로부터 근거리부(C2)까지의 가상의 단면을 통과하는 세탁수의 양과 서브 드럼(50)의 중심으로부터 원거리부(C1)까지의 가상의 단면을 통과하는 세탁수의 양은 동일하다.
따라서, 세탁수의 높이가 서브 드럼(50)의 중심으로부터 근거리부(C2)까지의 가상의 단면을 통과할 때 서브 드럼(50)의 중심으로부터 원거리부(C1)까지의 가상의 단면을 통과할 때보다 더 높이 형성되므로, 서브 드럼(50)이비교적 저속으로 회전하더라도 가이드 리브(531)는 충분한 양의 세탁수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리브(531)는 세탁수와 충돌하는 일면 및 일면에 반대편에 위치한 타면이 세탁수가 흐르는 방향을 향하여 각각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리브(531)를 서브 드럼(50)의 중심부에서 반경 방향을 따라 볼 때, 하부 단면의 폭이 상부 단면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탁수가 가이드 리브(531)를 일면 및 타면을 따라 보다 용이하게 상승할 수 있다.
가이드 리브(531)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근거리부(C2)에 각각 구비되어 한 쌍을 이루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거리부(C1)에 추가로 각각 구비되어 총 두 쌍을 이룰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 가이드 리브(531)의 지나친 간섭에 의해 세탁물이 서브 드럼(50) 내부에서 쉽게 이동하지 못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서브 드럼(50)과 메인 드럼(30)간의 결합을 위한 구조로서 요철간에 결합하는 구조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는 드럼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 요철부(312)와 서브 드럼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제1 요철부(312)에 맞물리도록 형성된 제2 요철부(535)를 포함한다. 메인 드럼(30)의 상단부에 드럼 커버(31)가 장착되는 구조이면 제1 요철부(312)는 드럼 커버(31)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메인 드럼(30)의 상단부에 드럼 커버(31)가 장착되는 구조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 요철부(312)는 드럼 커버(31)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1 요철부(312)의 상단부에는 상방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는 돌기들이 연속해서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요철부(312)는 드럼 커버(31)의 내주면의 둘레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제2 요철부(535)는 서브 드럼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다만 서브 드럼의 외주면은 근거리부(C2)와 원거리부(C1)로 구획되며 원거리부가 드럼 커버의 내주면에 결합할 수 있으므로, 제2 요철부(535)는 원거리부에 형성된다. 제2 요철부(535)의 하단부에는 하방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는 돌기들이 연속해서 형성된다. 제2 요철부(535)의 돌기들은 제1 요철부(312)의 돌기들에 맞물린다.
이에 따라 메인 드럼(30)의 회전력이 서브 드럼(50)에 전달되어 메인 드럼(30)의 회전할 때 서브 드럼(50) 역시 메인 드럼(3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한편, 서브 드럼(50)은 고속회전 시 내부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70)를 포함한다. 배출부(70)는 제1 곡률부(C1) 즉, 원거리부(C1)에 각각 인접하여 구비되며, 서브 드럼(5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의 크기에 의해 서브 드럼(50)에 수용된 세탁수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브 드럼(50)에 의한 세탁과정과 메인 드럼(30)에 의한 세탁과정은 서로 분리된다. 이를 위해 메인 드럼(30)에 대한 급수와 서브 드럼(50)에 대한 급수가 분리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세탁 시에는 서브 드럼(50)에 공급된 세탁수가 메인 드럼(30)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서브 드럼(50)의 내부에 수용되어야 하고, 배수 및 탈수 시에는 서브 드럼(50)으로부터 배출되어야 한다.
다시 말하면 서브 드럼(50)은 세탁을 수행하기 위하여 세탁 rpm으로 회전 시 세탁수가 서브 드럼(50) 내부에 보전되어야 하며 탈수를 수행하기 위하여 세탁 rpm보다 더 큰 탈수 rpm으로 회전 시 세탁수가 서브 드럼(50)으로부터 배출되어야 한다.
이때 배출부(70)는 서브 드럼(50)이 세탁 rpm보다 큰 탈수 rpm으로 회전 시 발생하는 원심력이 세탁수에 작용하는 경우에만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배출부(70)는 내부에 세탁수가 수용되는 챔버(미도시)가 형성되며, 챔버로 세탁수가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유입홀(미도시), 챔버에서 세탁수가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배출홀(79)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부(70)는 유입홀이 챔버의 하부면에 구비되되 서브 드럼(50)의 측벽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소정거리만큼 이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유입홀 전체 면적이 세탁수가 부딪히는 챔버의 하부면의 면적보다 작기 때문에 유입홀로 세탁수가 유입될 때 1차 저항이 발생하며, 서브 드럼(5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여 상승하는 세탁수가 원심력을 이기고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해야 하는 2차 저항이 추가로 발생하게 된다.
나아가, 배출부(70)는 배출홀(791)이 유입홀의 상부에 구비되되 서브 드럼(50)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세탁수가 유입홀을 통해 챔버로 유입되면, 서브 드럼(5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한 후 다시 중력을 이기고 상승하여야 하는 3차 저항이 추가로 발생한다.
따라서, 서브 드럼(50)이 탈수 rpm보다 낮은 세탁 rpm으로 회전하면, 세탁수는 서브 드럼(50) 내부에서 배출되지 않게 된다. 즉, 서브 드럼(50)이 미리 설정된 탈수 rpm 대역에서만 회전하는 경우에 한해서 세탁수가 선택적으로 배출된다. 물론, 배수밸브나 배수펌프와 같은 제어 대상이 되는 구성이 없이도 이러한 선택적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서브 드럼(50)은 세탁수와 세탁물을 수용하는 바디(53)와 바디(53)의 상부에 결합하며 세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515)가 형성되는 서브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요철부(535)가 바디(53)의 외주면에 구비된다. 바디(53)에 수용된 세탁수 및 세탁물의 무게에 의해 서브커버가 바디(53)로부터 이탈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배출부(70), 가이드리브(531), 손잡이부(510), 내측 급수가이드(560) 및 외측 급수가이드(570) 역시 서브커버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서브커버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53)의 상단부에 결합하는 하부커버(52), 하부커버(52)의 상부에 결합하는 상부커버(5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출부(70)의 챔버(미도시)는 하부커버(52)와 상부커버(51)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된다. 여기서 유입홀은 하부커버(52)에 구비된다. 배출홀(79)은 하부커버(52)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1배출홀(791)과 상부커버(51)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2배출홀(792)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세탁수가 유입홀을 통해 챔버로 유입된 후 제2배출홀(792) 및 제1배출홀(791)로 이루어진 배출홀(79)을 거쳐 배출된다.
내측 급수가이드(560)를 이루는 오목부(561)는 하부커버(52)와 상부커버(51)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다. 하부커버(52)의 상부면은 오목부(561)의 하부면을 형성하고, 상부커버(51)의 함입되는 부분 중 일부는 오목부(561)의 경사면을 형성한다. 내측 급수가이드(560)를 이루는 급수홀(562)은 손잡이부(510)와 하부커버(52)의 상부면과의 이격된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하나 이상의 세탁코스를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세탁코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별도의 컨트롤패널이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은 각종 세탁코스를 입력받는 입력부와 입력받은 세탁코스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패널에는 드럼에 수용된 세탁물에 대한 세탁코스가 마련되고 서브 드럼(50)에 수용된 세탁물에 대한 세탁코스는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의류처리장치(1)는 서브 드럼(50)이 장착되면, 미리 입력된 복수의 세탁코스 중 장착된 서브 드럼(50)에 대응하는 세탁코스를 결정하여 수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브 드럼(50)이 구비되지 않는 기존의 의류처리장치(1)에 서브 드럼(50)을 장착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기존의 의류처리장치(1)의 컨트롤패널을 별도로 수정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 구성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적인 의류처리장치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처리장치의 전체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00),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부(18), 드럼과 펄세이터를 구동하는 구동부(14)를 포함한다. 그리고, 구동부의 작동을 정지하기 위한 제동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드럼(50)이 메인 드럼(30)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제1 센서부(54)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메인 드럼(50)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는 제2 센서부(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센서부는 구동부(14)와 별도의 센서일 수도 있으며 상기 구동부(14)에 구비된 홀 센서일 수도 있다. 즉, 상기 제2 센서부(25)는 구동부(14) 특히 모터(15, 16)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센서일 수 있다.
먼저, 상기 제1 센서부(54)를 통해서 서브 드럼(50)과 메인 드럼(30)이 원하는 위치에서 이격된 각도에 위치하는지 감지하고, 이격된 각도만큼 서브 드럼(50)과 메인 드럼(30)을 회전시키기 위해 제2 센서부(25)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센서부(54)를 통한 감지와 모터의 제어를 통해 파악되는 메인 드럼(30)의 회전 각도를 서로 연관시켜 서브 드럼(50)의 정확한 위치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컨트롤패널(20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200)에는 다양한 형태의 입력부와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전원 입력부(201)을 선택함으로써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즉, 의류처리장치를 이용하기 위하여 가장 먼저 사용자는 전원 입력부(201)를 선택함으로써 의류처리장치를 켜게 될 것이다.
전원이 켜지면 사용자는 의류처리장치가 어떠한 처리를 수행할지 선택하게 된다. 일례로 의류처리장치가 수행할 코스를 선택하게 된다. 즉, 코스 선택부(203)을 통해서 원하는 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세탁기의 경우에는 의류의 재질, 오염도, 의류의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한 코스가 선택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세탁 코스들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성 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코스 선택부는 버튼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로터리 놉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하나의 버튼을 누름에 따라 원하는 코스가 순차적으로 변경되어 선택될 수 있으며, 각각의 코스에 따라 각각의 버튼이 구비될 수도 있다.
코스가 선택되면 다양한 옵션들이 옵션 선택부(204)를 통해 선택될 수 있다. 세탁수의 온도, 탈수 정도, 세탁 정도(오염도 정도) 그리고 헹굼 횟수 등 다양한 옵션들이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선택된 옵션들이 적용된 코스가 수행될 수 있다.
모든 선택이 종료되면, 사용자는 시작/일시정지 선택부(202)를 선택하게 된다. 이러한 선택을 통해서 의류처리장치는 선택된 코스와 옵션대로 의류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의류처리장치가 동작 도중 사용자는 시작/일시정지 선택부(202)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을 통해서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은 일시정지될 수 있다. 재차 상기 시작/일시정지 선택부(202)를 선택하면 의류처리장치는 재작동하게 된다.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 옵션 그리고 코스 진행 상태 등은 다양한 형태로 표시부(205)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는 코스 별 그리고 옵션 별로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코스 진행 상태를 표시하는 별도의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각종 선택부들을 통한 선택을 수행하고 이를 표시부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표시부를 통해 현재의 의류처리장치의 작동 상태나 예상 종료 시간 등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 및/또는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컨트롤패널(200)에 대한 사항은 일반적인 의류처리장치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드럼을 통해서만 세탁이 수행되는 일반 세탁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선택 및 코스 수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시작/일시정지 선택부(202)를 통해 의류처리가 시작되면, 자동적으로 선택된 의류 처리가 수행되어 종료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일반세탁뿐만 아니라 동시세탁과 보조세탁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일반세탁 모드, 동시세탁 모드 그리고 보조세탁 모드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드들 중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서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의류처리장치가 하나의 모드 즉 일반세탁 모드만 수행됨에 반해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동시세탁 모드와 보조세탁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어느 하나의 모드를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과도한 행동을 요구하거나 사용자의 혼동을 유발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지 않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최소의 행동 그리고 혼동 없이 세가지 모드 중 원하는 모드를 선택하여 의류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일반세탁 모드를 수행하기 위해서 서브 드럼을 메인 드럼에서 분리하는 사용자의 행동은 필수적일 수 있다. 그리고 보조세탁 모드와 동시세탁 모드를 수행하기 위하여 서브 드럼을 메인 드럼에 장착하는 사용자의 행동도 필수적일 수 있다. 이러한 필수적인 행동을 제외하고 가능한 모드 선택을 위해 사용자가 수행하는 행동은 최소화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일반세탁 모드를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서브 드럼을 메인 드럼에서 분리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 입력부(201) 선택, 코스 입력부(203) 선택, 선택적으로 옵션 입력부(204) 선택 그리고 시작/일시정지 입력부 선택을 할 수 있다. 그러면, 일반세탁 모드가 자동적으로 수행되어 종료될 수 있다.
동시세탁 모드를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서브 드럼을 메인 드럼에 장착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부들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러면, 동시세탁 모드가 자동적으로 수행되어 종료될 수 있다.
동시세탁 모드를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수행하는 행동은 서브 드럼의 장착 외에는 일반세탁 모드와 동일할 수 있다. 서브 드럼의 장착 여부는 전술한 제1 센서부(54)를 통해 파악될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센서부(54)를 통해 서브 드럼이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가 선택한 코스와 옵션에 따라 동시세탁 모드를 자동적으로 수행하여 종료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세탁코스는 세탁 행정, 헹굼 행정 그리고 탈수 행정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일반세탁 모드에서 특정한 A 코스를 선택하면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세탁 행정, 헹굼 행정 그리고 탈수 행정이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메인 드럼을 통해서 일반세탁 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가 동시세탁 모드에서 동일한 A 코스를 선택하면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메인 드럼을 통해서 세탁 행정, 헹굼 행정 그리고 탈수 행정이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동시세탁 모드는 서브 드럼을 통해서도 세탁이 수행되는 모드이다. 따라서, 이 때의 세탁 행정, 헹굼 행정 그리고 탈수 행정은 동일한 A 코스에서도 일반세탁 모드와 동시세탁 모드에서 다를 수 있다.
일례로, 동시세탁 모드에서의 세탁 행정은, 주로 메인 드럼을 통한 세탁 행정과 주로 서브 드럼을 통한 세탁 행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전자와 후자가 교대로 수행되거나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동시세탁 모드에서의 세탁 행정은 일반세탁 모드에서의 세탁 행정에 부가적으로 서브 드럼을 통한 세탁 행정이 구행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행굼 행정과 탈수 행정에서도 동일할 수 있다.
일반세탁 모드에서 메인 세탁 행정은 많은 부분 펄세이터의 구동에 의해서 수행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펄세이터의 구동은 서브 드럼을 회전시키거나 서브 드럼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지 않는다. 따라서, 펄세이터의 구동에 의해서 서브 드럼을 통한 세탁은 거의 수행되지 않는다.
따라서, 동시세탁 모드에서는 펄세이터의 구동에 의한 메인 세탁 행정과 메인 드럼을 회전시켜 서브 드럼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는 보조 세탁 행정이 교대로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보조세탁 모드는 메인 드럼에 서브 드럼이 장착되지만 메인 드럼에는 세탁물이 투입되지 않고 서브 드럼에만 세탁물이 투입되어 세탁되는 모드라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펄세이터의 구동에 의한 메인 세탁 행정 등은 수행되지 않게 된다. 즉, 메인 드럼의 회전을 통해 서브 드럼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는 보조 세탁 행정만 수행된다고 할 수 있다.
보조세탁 모드를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서브 드럼을 메인 드럼에 장착해야 한다. 전술한 일반세탁 모드에서와 동일한 선택을 하면, 동시세탁 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즉, 메인 드럼에 세탁물이 투입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메인 드럼 내부에 급수가 수행되어 메인 세탁 행정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세탁 모드는 서브 드럼만을 이용하는 것으로 상대적으로 소량의 세탁을 수행하는 경우라 할 수 있다. 종래 의류처리장치를 사용하던 사용자의 경험에 비추어 보면 메인 드럼을 이용하지 않고 서브 드럼만을 이용하여 세탁하는 경우는 매우 이례적이고 특별한 상황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세탁 모드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특별한 인식이 의류처리장치에 반영되어야 한다. 즉, 일반세탁 모드와 동시세탁 모드의 사용과는 별도의 선택이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보조세탁 모드를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별도로 선택할 수 있는 보조세탁 선택부(206)가 컨트롤패널(20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보조세탁 선택부(206)가 선택되었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한 보조세탁 표시부(207)가 컨트롤패널(200)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보조세탁 선택부(206)는 코스 선택부(203)와 별도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서브 드럼을 메인 드럼에 장착한 후 전원 입력부(201)를 선택하거나, 전원 입력부(201)를 선택한 후 서브 드럼을 메인 드럼에 장착할 수 있다. 이후, 제1 센서부(54)를 통해서 상기 제어부(100)는 서브 드럼(50)이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먼저, 서브 드럼(50)이 장착된 경우, 사용자가 코스 선택부(203)이나 옵션 선택부(204)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시작/일시정지 선택부(202)를 선택하면, 의류처리장치는 동시세탁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서브 드럼(50)이 장착되지 않은 경우, 사용자의 동일한 선택에 의해서, 의류처리장치는 일반세탁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드럼(50)의 장착 여부는 의류처리장치에서 자동적으로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일반세탁 모드와 동시세탁 모드 수행을 위해서 사용자가 특별하게 달리 선택하지 않아도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매우 용이하게 일반세탁 모드와 동시세탁 모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혼동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서브 드럼(50)이 장착된 경우, 사용자는 보조세탁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보조세탁 선택부(206)를 선택함으로써 보조세탁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보조세탁 선택부(206)를 선택하는 것은 사용자의 보조세탁 모드 사용 의지를 입력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메인 드럼을 통한 세탁과 관련된 코스 선택부(203)은 비활성화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코스 선택과 연관된 옵션 선택부(204)도 비활성화됨이 바람직하다.
선택부의 비활성화는 사용자가 선택할 수 없는 상태일 수 있으며, 선택하더라도 제어부(100)에서 이를 반영하지 않는 상태라 할 수 있다. 비활성화된 선택부의 선택이 수행되면 경고음이 울릴 수 있고, LED와 같은 표시부들이 꺼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조세탁 선택부(206)를 선택하면 메인 드럼을 이용하는 세탁과 연관된 선택들을 할 수 없음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의 오인 혼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일반적인 의류처리장치는 도어 스위치를 포함한다. 즉,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닫혀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도어 스위치가 구비됨이 일반적이다.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의류처리장치의 구동이 정지되며, 도어가 열리면 의류처리장치의 구동이 급정지될 수 있다.
일반적인 의류처리장치에서는 사용자가 의류를 투입하고 도어를 닫은 상태에서 코스 등을 선택한 후 시작/일시정지 입력부(202)를 선택하게 된다. 도어 스위치에서 도어가 닫힌 상태임을 감지함을 전제로 시작/일시정지 입력 시 의류처리장치가 세탁을 위한 동작을 시작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도 이러한 도어 스위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스위치(300)에서 도어의 닫힘을 감지하고 시작/일시정지 입력이 수행되면 비로소 세탁을 위한 동작이 시작된다. 이때, 도어의 잠금이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3가지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3가지 모드는 서브 드럼의 착탈과 연관되어진다. 따라서, 서브 드럼의 착탈 여부를 판단하는 시점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시작/일시정지 입력을 수행한 후 서브 드럼의 착탈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0)에서 도어 스위치(300)를 통해 도어가 닫힌 것으로 판단된 후, 서브 드럼의 착탈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코스 선택부(202)에서 코스를 선택하고 시작/일시정지 입력을 하면,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을 수행하기 전 먼저 서브 드럼의 착탈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제1 센서부(54)를 이용하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A 코스를 선택한 경우, 서브 드럼이 미장착되면 제어부(100)는 일반세탁 모드를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서브 드럼이 장착되면 제어부(100)는 동시세탁 모드를 수행하게 된다.
사용자가 보조 세탁 선택부(206)을 통해 보조 세탁을 선택하고 시작/일시정지 입력을 하면, 의류처리장치는 보조세탁을 수행하기 전 먼저 서브 드럼의 착탈 여부를 판단한다.
만약, 서브 드럼이 미장착되면 제어부(100)은 에러 표시를 발생시킨다. 에러 표시는 표시부(205) 또는 알람 사운드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서브 드럼이 장착되면 제어부는 보조세탁 모드를 수행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종래 의류처리장치의 사용 패턴과 동일하거나 매우 유사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쉽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복잡해지지 않게 된다. 이를 통해사용자의 오인 혼동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세탁 선택부와 같은 컨트롤패널(100) 구성의 추가 내지는 변경이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제조비 절감 및 생산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서브 드럼(50)이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급수를 수행하게 된다. 급수 패턴은 3 가지 모드에서 각각 상이하다. 따라서, 서브 드럼(50)의 장착 여부를 정확히 판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서브 드럼(50)의 위치를 정확히 제어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서브 드럼(50)의 위치에 따라 동일 급수부(18)를 통해 급수되는 물이 저장되는 위치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브 드럼이 장착되었는지 판단한 후, 급수를 위해서 서브 드럼의 위치를 제어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서브 드럼의 위치가 원하는 위치로 위치시킨 후 급수가 수행된다. 이러한 과정은 제1 센서부(54), 제2 센서부(25), 제어부(100), 급수부(18), 구동부(14) 및 제동부(11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제1 센서부(54) 및 제2 센서부(25)가 발신하는 감지신호를 기초로 하거나, 제1 센서부(54)가 발신하는 감지신호 및 일정 주파수의 전류가 모터에 흐르는 동안 검출되는 출력 전류를 기초로 하여, 소정의 판단과정을 거쳐 급수부(18), 모터(14) 및 제동부(110)를 제어한다. 제2 센서부(25)가 발신하는 감지신호 또는 일정 주파수의 전류가 모터에 흐르는 동안 검출되는 출력 전류는 모두 제어부(100)가 드럼(30)의 회전각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서브 드럼의 장착 여부 판단, 서브 드럼의 위치 제어 그리고 급수에 대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인 드럼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구성으로서 제2 센서부(25)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센서부(25)가 생략된 센서리스 형태로 제2 센서부가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서브 드럼(50)이 메인 드럼(30)에 장착되었는지 여부의 판단(S130)은 메인 드럼(30)에만 세탁수를 공급하여야 하는지 또는 메인 드럼(30)과 서브드럼(50)에 순차적으로 세탁수를 공급하여야 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S130 단계는 메인 드럼(30)에만 세탁수를 공급하는지 서브 드럼(50)에만 세탁수를 공급하는지 판단하기 위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130단계는 일반세탁 모드 단계(S200), 보조세탁 모드 단계(S300) 그리고 동시세탁 모드 단계(S400)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기 위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0)는 우선 메인 드럼(30)이 회전하도록 구동부(14)를 제어한다(S120). 즉, 메인 드럼(30)을 회전시켜 서브 드럼(50)의 장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메인 드럼(30)이 회전하면 제2 센서부(25)는 메인 드럼(30)의 회전각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00)로 신호를 보낸다.
한편, 제2 센서부(25)에 의해 드럼(30)의 회전각도가 360도인 것으로 감지되는 동안, 제1 센서부(54)로부터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제어부(100)는 서브 드럼(50)이 메인 드럼(30)에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S130-N).
물론, 이러한 드럼의 회전은 1회전보다 많을 수 있다. 그러나, 서브 드럼(50) 장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 드럼의 회전수를 늘리는 것은 과도한 시간 사용일 수 있다. 왜냐하면, 전술한 제1 센서부(54)의 구성에 의하면 메인 드럼(30)의 1회전만을 통해서도 서브 드럼의 장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드럼의 회전속도는 저속이며 대략 20rpm 전후인 것이 바람직하다.
서브 드럼(50)이 메인 드럼(30)에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일반세탁 모드(S200)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즉, 메인 드럼(30)만을 통한 세탁이 수행되도록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급수부(18)로부터 세탁수가 메인 드럼(30)으로 배출되는 급수를 수행한다(S210). 즉, 일반적인 급수를 수행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측 급수가이드(570) 혹은 내측 급수가이드(560)가 급수부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구동부(18)와 제동부(110)를 제어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서브 드럼(50)이 장착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일반세탁 모드(S200) 수행 전에 보조세탁 선택 여부를 판단(S140)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서브 드럼(50)을 장착하지 않고 보조세탁 입력부(206)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제어부(100)는 표시부(205)를 통해 에러 표시(S150)를 수행하게 된다. 물론, 상기 서브 드럼 장착 판단(S130)은 서브 드럼이 제대로 장착되었는지 여부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보조세탁 선택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에 비로소 일반세탁 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제2 센서부(25)에 의해 메인 드럼(30)의 회전각도가 360도인 것으로 감지되는 동안, 제1 센서부(54)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00)는 서브 드럼(50)이 메인 드럼(30)에 장착된 것으로 판단한다(S130-Y).
서브 드럼(50)이 메인 드럼(30)에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00)는 보조세탁 모드(S300) 또는 동시세탁 모드(S400)을 수행하게 된다. 사용자가 서브 드럼(50)을 메인 드럼(30)에 장착한 것은 보조세탁 모드와 동시세탁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고자 하는 의지의 표현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보조세탁 모드 또는 동시세탁 모드 중 사용자가 입력한 모드를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보조세탁 선택 여부를 판단(S160)이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보조 세탁 입력부(206)을 통해서 보조세탁을 선택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보조세탁을 선택한 경우 제어부(100)는 보조세탁 모드(S300)를 수행하게 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제어부(100)는 동시세탁 모드(S400)을 수행하게 된다.
전술한 일반세탁 모드에서 일반 급수(S210)은 급수부(18)에서 공급되는 세탁수는 직접 메인 드럼(30)으로 공급된다. 왜냐하면, 메인 드럼(30)과 급수부(18) 사이에 서브 드럼(50)이 개재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보조세탁 모드와 동시세탁 모드에서는 메인 드럼(30)과 급수부(18) 사이에 서브 드럼(50)이 개재되어 있다. 따라서, 서브 드럼(50)을 피해 메인 드럼(30)으로 급수하거나 서브 드럼(50)으로 직접 급수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서브 드럼 위치 제어 단계(S330, S420, S470)가 수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서브 드럼(50)이 장착된 경우 서브 드럼(50)을 소정의 위치로 위치시키도록 구동부(18)와 제동부(110)를 제어하게 된다. 서브 드럼(50)의 소정의 위치는 서브 드럼(50)으로만 급수부(18)를 통해 물을 받는 위치와 메인 드럼(50)으로만 급수부(18)를 통해 물을 받는 위치라 할 수 있다.
보조세탁 모드에서는 서브 드럼(50)으로만 급수되고, 동시세탁 모드에서는 서브 드럼(50)과 메인 드럼(30)에 급수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0)는 외측 급수가이드(570)를 급수부(18)의 하측에 위치시켜 메인 드럼(30)으로 급수하는 메인 급수(S430)를 수행한다. 그리고, 메인 급수 이후 서브 드럼(50)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켜 내측 급수가이드(560)를 급수부(18)의 하측에 위치시킨 후 서브 드럼(50)으로 급수하는 서브 급수(S480)를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메인 급수와 서브 급수는 동시세탁 모드에서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메인 드럼의 포량과 서브 드럼의 포량 감지를 위해서, 메인 급수 후 서브 급수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조세탁 모드에서는 메인 급수는 생략되고 서브 급수(S340)만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급수 이후 서브 급수가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서브 급수 이후에 메인 급수가 수행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보조세탁 모드와 동시세탁 모드에서, 서브 드럼의 위치 제어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급수를 위해 서브 드럼(50)이 매우 낮은 rpm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부(14)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rpm은 일 예로 10 rpm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3 rpm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1 센서부(54)가 감지신호를 제어부(100)로 보내면, 제어부(100)는 제1 센서부(54)가 감지신호를 제어부(100)로 보낸 시점으로부터, 서브 드럼(50)을 미리 설정한 회전각도만큼 회전시켜, 외측 급수가이드(570)를 급수부(18)의 하측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회전각도는 제1 센서부(54), 외측 급수가이드(570) 및 급수부(18)의 배치관계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서브 드럼(50)이 매우 낮은 rpm으로 회전하는 동안 제2 센서부(25)에 의해 서브 드럼(50)의 회전각도가 측정되어 제어부(100)로 전달된다. 제어부(100)는 측정된 회전각도가 미리 설정한 회전각도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하면, 서브 드럼(50)이 정지하도록 제동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서브 드럼(50)의 rpm이 매우 낮으므로 제동부(110)가 작동하는 시점으로부터 상기 서브 드럼(50)이 슬라이딩하는 거리 내지는 각도가 무시할 정도로 매우 작다. 서브 드럼(50)이 제동부(110)에 의해 제동되면, 외측 급수가이드(570)는 거의 급수부(18)의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서브 드럼(50)의 위치 수정 없이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세탁수가 외측 급수가이드(570)를 통해 메인 드럼(30)으로 공급될 수 있다.
내측 급수가이드(560)를 통해 급수하기 위해 서브 드럼(50)을 회전시켜 제동하는 것은 상술한 외측 급수가이드(570)를 통해 급수하기 위해 서브 드럼(50)의 회전시켜 제동하는 원리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보조세탁 모드와 동시세탁 모드에서, 서브 드럼의 위치 제어는 다음과 같은 다른 실시예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서브 드럼(50)의 rpm을 상승시켜 서브 드럼(50)이 제동이 시작되는 지점으로부터 슬라이딩하도록 구동부(14)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rpm은 일 예로 15 내지 25 rpm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예에서 제1 센서부(54)가 감지신호를 제어부(100)로 보낼 때 외측 급수가이드(570)가 급수부(18)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회전하는 회전각도 역시 제1 센서부(54), 외측 급수가이드(570) 및 급수부(18)의 배치관계에 따라 미리 설정된다.
다만, 본 예의 미리 설정한 회전각도는 일 예의 미리 설정한 회전각도와 동일한 값을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으나, 서브 드럼의 슬라이딩하는 거리를 고려하여 위의 일 예의 미리 설정한 회전각도보다 더 작은 값을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위의 일 예와 마찬가지로 서브 드럼(50)이 회전하는 동안 제2 센서부(25)에 의해 서브 드럼(50)의 회전각도가 측정되어 제어부(100)로 전달된다. 제어부(100)는 측정된 회전각도가 미리 설정한 회전각도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하면, 서브 드럼(50)이 정지하도록 제동부(110)를 제어한다.
서브 드럼(50)은 자체 무게뿐만 아니라 수용된 세탁수 및 세탁물의 무게로 인하여 제동이 개시되는 지점으로부터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 각도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즉, 관성이 큰 경우 슬라이딩 각도 내지는 슬립 각도가 증가하게 된다. 제2 센서부(25)가 서브 드럼(50)의 슬라이딩 각도를 측정하여 제어부(100)에 전달하면, 제어부(100)는 위의 미리 설정한 회전각도를 수정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00)는 외측 급수가이드(570)가 급수부(18)의 하측을 지나칠 정도로 서브 드럼(50)의 슬라이딩 각도가 크면 미리 설정한 회전각도 값이 작아지도록 수정하고, 그 역의 경우 미리 설정한 회전각도 값이 커지도록 수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브 드럼(50)은 급수는 예를 들면 3rpm과 같이 매우 낮은 회전속도로 회전하거나 그보다 높더라도 예를 들면 15 내지 25 rpm으로 회전하는 것에 그치므로 구동부(14)에 매우 적은 하중을 가한다.
한편, 3 rmp 정도의 매우 낮은 회전 속도로 서브 드럼의 위치 제어를 하는 경우는 서브 드럼의 위치 제어에 소요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많이 걸릴 수 있다. 즉, 관성에 의한 슬립 각도가 무시할 정도이고 서브 드럼의 위치 제어가 매우 단순하지만 소요 시간이 많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슬립 각도를 측정하고 이를 반영하여 서브 드럼의 위치 제어를 하는 경우는 관성에 의한 슬립 각도를 이용하는 것이다. 즉, 슬립이 발생할 정도의 관성력을 야기하는 드럼 회전 속도로 드럼을 구동하는 것이다. 따라서, 서브 드럼의 위치 제어가 복잡해지지만 서브 드럼의 위치 제어에 소요되는 시간이 작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서브 드럼의 위치 제어는 급수를 위한 사전 동작이다. 따라서, 서브 드럼의 위치 제어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질 수록 전체 의류 처리 시간이 늘어나게 된다. 그러므로, 새로운 구성의 추가가 아닌 알고리즘을 추가함으로써 슬립 각도를 이용하여 서브 드럼의 위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세탁을 수행할 때 정확한 포량을 측정하고 세탁을 수행하는 것이 세탁 효과 증진을 위해서는 매우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포량에 근거하여 세탁수의 양, 세탁 세기, 세탁 시간 등을 적절히 제어하여 최적의 세탁 효과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자동으로 세제를 투입하는 의류처리장치도 제공되고 있으며, 자동 투입되는 세제의 양도 포량에 근거하여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메인 드럼을 통해 세탁을 수행하는 일반세탁의 경우, 포량을 감지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일례로, 메인 드럼을 회전하여 부하에 따라 달라지는 모터의 전류값으로 포량을 구분할 수 있다. 즉, 포량이 많아짐에 따라 모터의 부하는 증가된다. 따라서, 모터에 흐르는 전류값이 증가된다. 따라서, 전류값에 의해서 메인 드럼의 포량을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메인 드럼에 서브 드럼이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의 부하는 일반세탁의 경우와는 다르다. 즉, 서브 드럼에 의한 부하와 서브 드럼 내부의 포량에 따른 부하가 더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서브 드럼에 수용된 의류의 상태에 따라서 부하의 크기가 더욱 달라질 수 있다.
일례로, 동일한 양의 의류인 경우에도 건포인지 습포인지에 따라 부하가 달라지고, 또한 물이 담겨 있는 경우에도 부하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동시세탁의 경우 메인 드럼 내부의 정확한 포량을 추정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또한, 동시세탁이나 보조세탁인 경우 서브 드럼 내부의 정확한 포량을 추정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왜냐하면, 서브 드럼의 구동이 메인 드럼의 구동과 개별적 그리고 독자적으로 수행되지 않기 때문이다. 즉, 서브 드럼만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모터와 같은 구성이 구비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하나의 의류처리장치에서 동시세탁의 경우 메인 드럼과 서브 드럼의 포량을 정확히 추정할 수 있고, 보조세탁인 경우 서브 드럼의 포량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먼저, 일반세탁 모드인 경우, 메인 드럼의 구동 시 모터에 흐르는 전류값을 통해서 메인 포량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동시세탁 모드에서의 메인 포량 감지 방법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보조세탁 모드인 경우, 메인 드럼에는 의류가 투입되지 않고, 빈 메인 드럼에 서브 드럼이 장착된 상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드럼의 포량을 감지할 필요가 없다. 메인 드럼에 서브 드럼이 장착되었으므로, 서브 드럼은 메인 드럼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드럼은 메인 드럼을 회전시키는 모터에 추가되는 부하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드럼에 세탁수를 공급하면 공급된 세탁수는 메인 드럼의 부하가 증가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세탁수가 공급되기 전에 서브 드럼의 서브 포량을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메인 드럼(30)을 회전시키면 구동부의 모터에 부하가 걸려 모터에 흐르는 전류값이 변하게 된다. 즉, 부하가 큰 경우 전류값이 크고 부하가 작은 경우 전류값이 작게 된다. 그리고, 빈 메인 드럼에 빈 서브 드럼을 장착한 후 메인 드럼(30)을 회전시킬 때 전류값은 실험적으로 구해질 수 있다. 즉, 기본 전류값이라 할 수 있으며, 이때의 기본 전류값은 메인 드럼과 서브 드럼을 회전시킬 때 흐를 수 있는 가장 작은 전류값이라 할 수 있다.
서브 드럼에 포량이 증가될 수록 측정된 전류값은 점차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측정된 전류값에 기본 전류값을 차감하면 서브 포량에 대응되는 전류값을 알 수 있다. 상기 전류값을 통해서 서브 포량을 추정할 수 있다. 이때, 측정되는 전류값들과 이들 각각에 대응하는 서브 포량을 매칭하여 테이블화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테이블을 이용하여 서브 포량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인 드럼(30)을 회전시킨 후 정지시키면 관성력에 의해서 메인 드럼(30)의 슬립 각도가 발생된다. 빈 메인 드럼(30)과 빈 보조 드럼(50)에서의 슬립 각도를 기준으로 하여, 서브 포량이 증가될 수록 슬립 각도는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슬립 각도들과 이에 대응하는 서브 포량들 사이에 테이블을 이용하여 서브 포량을 감지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서브 포량은 메인 드럼에 의류가 투입되지 않았기 때문에 비교적 용이하게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동시세탁의 경우 메인 포량 및 서브 포량을 감지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상기 서브 포량과 마찬가지로 메인 드럼을 회전시켜 모터에 흐르는 전류값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전류값의 크기는 대부분 메인 포량이나 서브 포량 중 어느 하나의 영향일 수 있으며, 양자가 유사하게 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
따라서, 동시세탁의 경우 메인 포량 및 서브 포량을 각각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펄세이터(35)가 메인 드럼(30)에만 구비되며 펄세이터의 구동이 메인 포량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에 주목하여, 펄세이터(35)의 구동을 통해 메인 포량을 감지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전술한 메인 드럼의 구동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메인 드럼과 펄세이터가 일체로 회전하는 구동을 의미한다. 펄세이터의 구동은 메인 드럼은 그대로 있고 펄세이터만 회전하는 구동을 의미한다. 메인 드럼의 회전에 의해서 서브 드럼이 회전한다. 즉, 펄세이터의 구동과 서브 드럼의 회전은 연관성이 없다.
메인 포량이 많은 경우, 펄세이터의 구동의 저항이 커지게 된다. 즉, 펄세이터를 구동하는 모터에 흐르는 전류값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펄세이터의 구동 시 모터에 흐르는 전류값을 통해서 메인 포량을 감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측정되는 전류값들과 이들 각각에 대응되는 메인 포량값을 테이블화하여 메인 포량이 감지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메인 드럼에 마른 의류를 투입한다. 이러한 마른 의류는 구겨져 있는 상태로 메인 드럼에 투입되어 펄세이터(35)에 밀착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펄세이터(35)가 회전하더라도 마른 의류와 펄세이터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펄세이터(35)가 의류에 의한 저항을 작게 받고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포량이 많은 경우라도 측정되는 모터의 전류값이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메인 포량을 감지하기 위해서 먼저 메인 드럼 내부로 세탁수를 급수하는 메인 급수(S430)가 먼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세탁수가 급수되면 의류는 수분을 흡수하여 중력에 의해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젖은 의류가 펄세이터에 밀착되어 펄세이터가 의류에 의한 저항을 충분히 받을 수 있다. 즉, 포량이 많을수록 펄세이터에 가해지는 저항이 비례적으로 커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인 급수(S430)에 투입되는 세탁수의 양은 기설정될 수 있다. 즉, 기설정된만큼의 세탁수가 공급될 수 있다. 이를 기본 세탁수의 양이라 할 수 있다. 기본 세탁수의 양은 최소 포량의 경우 사용되는 세탁수의 양일 수 있다. 이때의 세탁수 양의 조절은 급수 시간을 조절하여 수행될 수 있다. 물론, 터브에 구비되는 수위센서를 통해서도 조절할 수 있다. 터브에 구비되는 수위 센서는 일반적인 특징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세탁수의 양과 포량에 증감에 따른 모터의 전류값을 측정할 수 있다. 기본 세탁수의 양과 포량에 증감에 따라 측정되는 전류값은 테이블화될 수 있다. 즉, 전류값이 측정되면 이에 따른 메인 포량이 감지될 수 있다. 여기서, 측정된 전류값이 클수록 메인 포량이 많다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메인 포량 감지 시 전류값은 모터가 펄세이터를 구동할 때 측정된 값이라 할 수 있다. 메인 포량을 감지하였기 때문에, 메인 포량을 감안하여 메인 드럼을 구동하여 서브 포량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감지된 메인 포량을 기준으로 서브 포량이 증가됨에 따라 메인 드럼 구동 시 모터에 흐르는 전류값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이때 측정된 전류값은 메인 포량에 의한 부하와 서브 포량에 의한 부하를 합한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동일한 메인 포량 시 서브 포량이 없는 경우에서 전류값이 미리 구해질 수 있다. 이들 전류값들의 차이를 구함으로써 서브 포량을 추정할 수 있다. 전류값의 차이가 커짐에 따라 서브 포량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따라서, 서브 포량은 메인 포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메인 포량을 기초로 하여 감지될 수 있다. 이때, 서브 포량 감지를 위해서는 메인 드럼을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한편, 전류값을 이용하지 않고 슬립 각도를 이용하여 서브 포량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메인 포량이 많은 경우 슬립 각도가 커진다. 그러나, 메인 포량은 먼저 감지되었기 때문에, 감지된 메인 포량에 따른 슬립 각도는 미리 구해질 수 있다.
그리고, 메인 포량에 더하여 서브 포량이 가해지는 경우, 슬립 각도는 더욱 커질 수 있다. 즉, 서브 포량이 많아짐에 따라 메인 드럼이 회전 후 멈출 때까지의 슬립 각도는 더욱 커진다. 따라서, 각각의 메인 포량에서 서브 포량에 따라 슬립 각도를 테이블화할 수 있다. 제어부는 기감지된 메인 포량과 슬립 각도를 통해서 서브 포량을 추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동시세탁인 경우에도 메인 포량과 서브 포량을 정확히 추정하여 이를 기반으로 하여 최적의 세탁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서브 포량에 의해서 메인 포량 감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배제하고, 양자의 감지 방법을 이원화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메인 포량과 서브 포량을 감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브 드럼(50)은 세탁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에 불과하다. 즉, 메인 드럼(30)에 착탈 가능한 구성이므로 별도의 전장 부품이 마련되지 않은 용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보조 드럼(50)에는 센서와 같이 전류를 인가받아 출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이 배제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로, 보조 드럼(50)에는 수위센서가 구비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보조 드럼(50)에 적정한 양의 세탁수를 급수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본 실시예에서는 시간 급수를 통해 적정한 양의 세탁수가 급수되도록 할 수 있다. 서브 포량이 많은 경우 급수 시간을 증가시킴으로써 보다 많은 양의 세탁수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문제는 이러한 서브 드럼(50)의 특성상 초기 물의 양을 감지하거나 이를 서브 포량과 구분할 수 없다는 데 있다. 즉, 사용자가 마른 의류를 서브 드럼(50)에 투입하지 않고 젖은 의류를 서브 드럼(50)에 투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서브 드럼(50)에서 애벌 빨래를 수행하고 물을 버리지 않고 물이 담겨진 채로 서브 드럼(50)을 메인 드럼(30)에 장착하는 경우도 발생될 수 있다.
서브 드럼 내부의 물의 양이 많고 적음에 관계에서, 서브 드럼에서는 물의 양을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그리고 물의 양이 많을수록 전술한 서브 포량 감지 측면에서 보면 실제 서브 포량과 무관하게 감지되는 서브 포량이 많아짐을 의미하게 된다. 따라서, 정확한 서브 포량을 감지할 수 없게 된다.
일례로, 사용자가 서브 드럼에 애벌 빨래 후 의류와 물이 가득 담고 메인 드럼에 장착할 수 있다. 물을 절약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흔히 예상될 수 있는 상황이다. 전술한 메인 드럼의 경우에는 수위센서에서 물의 양을 감지할 수 있다. 왜냐하면 메인 급수 전에 수위센서를 통해서 물의 양을 감지하고 필요시 메인 급수량을 줄이거나 생략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펄세이터의 구동을 통해 메인 포량을 감지하는데 있어서 초기 물의 양이 메인 포량 감지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서브 드럼에서의 초기 물의 양이 서브 포량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방안 마련이 용이하지 않다.
이러한 문제로, 초기 물이 가득 찬 상태에서 서브 포량이 최대로 감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최대 서브 포량에 대응하여 최대로 많은 양의 세탁수가 서브 드럼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급수되는 세탁수는 서브 드럼에서 넘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황은 매우 바람직하지 않다. 왜냐하면, 세탁수가 낭비되고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의 고장으로 오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세탁 모드(S300)와 동시세탁 모드(S400)을 시작할 때 간이 탈수를 수행(S310, S410)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간이 탈수는 메인 드럼을 회전시켜 서브 드럼 내부의 물을 원심력에 의해서 서브 드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초기에 물이 있는 경우, 간이 탈수를 통해 오염물들은 물과 함께 배출된다. 이는 물의 낭비라기보다는 후속하는 서브 드럼을 통한 세탁 효과를 더욱 증진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간이 탈수를 통해서 많은 수분이 오염물과 함께 배출되므로, 후속하는 세탁 시 세제의 오염물 분해 효과가 더욱 촉진될 수 있기 때문이다.
메인 드럼의 회전을 통해 서브 드럼 내부의 세탁물을 세탁하는 경우, 대략 메인 드럼은 90 내지 100 rpm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rpm에서 서브 드럼 내부에 충분한 수류를 형성할 수 있다. 메인 드럼의 회전 rpm이 증가할 수록 서브 드럼 내부의 물은 원심력에 의해 반경 방향 외측 및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대략 메인 드럼의 회전 rpm이 대략 120 내지 130 rpm으로 회전하면 서브 드럼 내부의 물은 원심력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러나, 간이 탈수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지면 전체 세탁 시간이 증가된다. 따라서, 메인 드럼의 회전 rpm을 높여 물이 신속히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메인 드럼의 회전 rpm이 지나치게 높아지면 배출되는 물이 비산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대략 270 rpm을 전후하여 물이 비산될 수 있다. 따라서, 물의 비산되기 직전의 rpm 일례로 270 rpm으로 간이 탈수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메인 드럼의 탈수 rpm은 400 rmp 이상이다. 따라서, 메인 드럼의 탈수 시 서브 드럼 내부의 물이 비산될 수 있다. 따라서, 동시 세탁에서의 탈수는 서브 드럼 탈수 후 메인 드럼 탈수로 진행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탈수 시작 시 배수펌프를 구동하여 터브의 물이 배출된다. 따라서, 메인 드럼 내부의 많은 물이 배출된다. 이후, 대략 270 rpm 으로 간이 탈수가 시작된다. 간이 탈수 시 메인 드럼 내부의 수분도 원심력에 의해서 어느 정도 배출된다.
간이 탈수 후 본격으로 메인 드럼은 400 rmp 이상으로 회전하여 탈수를 수행한다. 간이 탈수 시 많은 양의 세탁수가 서브 드럼에서 배출되었으므로, 탈수 시 비산되는 물의 양은 매우 적다. 따라서, 간이 탈수 후 메인 드럼 탈수를 수행함으로써, 서브 드럼과 메인 드럼에 각각 구비되는 세탁물에서 수분들이 충분히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일반세탁 모드, 보조세탁 모드 그리고 동시세탁 모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일반세탁 모드(S200)는 일반 급수(S210)를 시작하면서 수행될 수 있다. 일반 급수에서는 소량 세탁수가 공급되며 이후 포량감지단계(S220)가 수행될 수 있다. 감지된 포량에 기초하여 필요 시 추가 급수(S230)가 수행될 수 있다.
급수가 완료하면 일반 세탁이 자동적으로 수행(S240)되어 종료(S500)될 수 있다. 일반세탁은 세탁, 헹굼 그리고 탈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세탁행정, 헹굼행정 그리고 탈수행정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때의 메인 드럼과 펄세이터 구동 방식은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에서와 동일 또는 유사할 것이다. 이러한 구동을 일반 구동이라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서브 드럼을 장착하지 않고 코스 선택을 하면 자동적으로 일반세탁 모드가 수행되어 종료될 수 있다.
보조세탁 모드(S300)는 서브 포량 감지(S320)를 시작하면서 수행될 수 있다. 서브 포량 감지(S320)는 메인 드럼을 구동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정확한 서브 포량을 감지하기 위하여, 서브 포량 감지(S320) 전에 간이 탈수(S310)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서브 포량이 감지되면 감지된 서브 포량에 기초하여 세탁수가 서브 드럼에 공급(S340)되어야 한다. 서브 급수(S340)을 수행하기 위하여, 서브 드럼 위치 제어(S330)이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서브 드럼 위치 제어가 수행된 후 급수가 수행됨으로써, 서브 드럼으로만 세탁수가 공급될 수 있다.
세탁수의 공급이 완료되면 보조세탁이 자동적으로 수행(S350)되어 종료(S500)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보조세탁은 세탁, 헹굼 그리고 탈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세탁행정, 헹굼행정 그리고 탈수행정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때의 메인 드럼과 펄세이터 구동 방식은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에서와 다를 것이다. 펄세이터 구동은 생략될 것이며, 메인 드럼의 구동은 서브 드럼 내부에 수류를 형성하기 위한 구동과 탈수를 위한 구동만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을 보조 구동이라 할 수 있다.
동시세탁 모드(S400)는 메인 드럼 포량 감지(S440)을 시작하면서 수행될 수 있다. 메인 드럼 포량 감지는 펄세이터를 구동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정확한 메인 포량을 감지하기 위해서 그리고 서브 포량에 의한 영향을 배제하기 위하여, 메인 급수(S430) 후 메인 드럼 포량 감지(S440)가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급수(S430)을 수행하기 위하여 서브 드럼 위치 제어(S42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서브 드럼이 아닌 메인 드럼으로만 세탁수가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메인 드럼 포량 감지(S440) 후 추가 급수(S450)가 수행될 수 있다. 즉, 감지된 메인 포량에 기초하여 필요 시 추가적으로 세탁수를 급수할 수 있다. 추가 급수가 완료되면 메인 드럼 내부의 의류를 세탁할 준비는 완료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서브 드럼 내부의 의류를 세탁하기 위하여, 서브 드럼 포량 감지(S46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브 드럼 포량 감지(S460)는 메인 드럼을 구동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서브 포량을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하여, 초기 물을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서브 드럼 포량 감지(S460)를 수행하기 전에 간이 탈수(S410)이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간이 탈수(S410)은 추가 급수(S440) 후 서브 드럼 포량 감지(S460) 전에 수행될 수 있으며, 간이 탈수(S410)를 시작함으로써 동시세탁 모드(S400)가 수행될 수도 있다.
서브 포량이 감지되면 감지된 서브 포량에 기초하여 서브 급수(S480)가 수행될 수 있다. 서브 급수(S480)를 위해서 먼저 서브 드럼 위치 제어(S470)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서브 급수(S480)가 완료되면 서브 드럼 내부의 의류를 세탁할 준비는 완료된 것이 할 수 있다.
세탁수의 공급이 완료되면 동시세탁이 자동적으로 수행(S490)되어 종료(S500)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동시세탁은 세탁, 헹굼 그리고 탈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세탁행정, 헹굼행정 그리고 탈수행정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때의 메인 드럼과 펄세이터 구동 방식은 일반 구동과 보조 구동을 혼합한 형태일 것이다. 이러한 일반 구동과 보조 구동이 순차적 또는 교대로 수행되어 메인 세탁과 보조 세탁이 동시에 수행되어 동시에 세탁이 완료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동시세탁 모드(S400)에서 급수는 최소 3 구간 수행되며 이를 위해서 최소 2회의 서브 드럼 위치 제어가 수행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서브 드럼 위치 제어는 세탁과 무관한 단계이며 이러한 단계에 소요되는 시간은 전체 세탁 시간을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메인 급수(S430)와 추가 급수(S450)이 모두 종료한 후 서브 급수(S480)이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서브 급수(S480) 후 메인 급수(S430)와 추가 급수(S450)가 수행되는 것도 2회의 서브 드럼 위치 제어 측면에서는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메인 포량을 먼저 감지한 후 서브 포량이 감지되어야 하므로, 포량 감지 측면에서 메인 급수와 추가 급수 후 서브 급수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의류처리장치 10: 캐비닛
20: 터브 30: 드럼
50: 서브드럼 560: 내측 급수가이드
570: 외측 급수가이드 51: 서브드럼커버
53: 서브드럼바디 531: 가이드 리브
70: 배출부

Claims (20)

  1. 메인 드럼과 상기 메인 드럼에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서브 드럼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브 드럼의 장착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세탁을 위하여 상기 서브 드럼 내부로 세탁수를 급수하는 서브 급수 단계; 그리고
    상기 서브 드럼이 장착된 경우, 상기 서브 급수 단계 전에, 상기 메인 드럼을 회전시켜 상기 서브 드럼 내부에 수용된 물을 원심력에 의해 상기 서브 드럼 외부로 배출하는 간이 탈수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이 탈수 단계 후, 상기 메인 드럼을 구동하여 상기 서브 드럼 내부의 포량을 감지하는 서브 포량 감지 단계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급수 단계는, 상기 서브 포량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포량에 기초하여 세탁수를 급수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급수 단계에서 세탁수의 양은 세탁수가 급수되는 시간으로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메인 드럼에 상기 서브 드럼이 분리되어 세탁되는 일반세탁 모드;
    상기 메인 드럼에 상기 서브 드럼이 장착되어 상기 서브 드럼 내부의 세탁물만 세탁되는 보조세탁 모드; 그리고
    상기 메인 드럼에 상기 서브 드럼이 장착되어 상기 서브 드럼과 메인 드럼 내부의 세탁물이 세탁되는 동시세탁 모드를 수행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세탁 모드에서,
    상기 서브 포량 감지 단계 후 그리고 상기 서브 급수 단계 전, 상기 메인 드럼을 회전시켜 상기 서브 드럼의 위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세탁 모드에서,
    상기 메인 드럼 내부로 세탁수를 급수하는 메인 급수 단계; 그리고
    상기 메인 드럼 내부의 포량을 감지하는 메인 포량 감지 단계가 더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급수 단계 후, 상기 서브 급수 단계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급수 단계 전에, 상기 간이 탈수 단계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간이 탈수 단계 후,
    상기 메인 드럼에 구비된 펄세이터를 구동하여 상기 메인 드럼 내부의 포량을 감지하는 메인 포량 감지 단계가 수행되고,
    상기 메인 포량 감지 단계 수행 후 상기 서브 포량 감지 단계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포량 감지 단계는, 상기 메인 포량 감지 단계에서 감지된 메인 포량에 기초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메인 드럼과 펄세이터를 구동하는 모터를 포함하고,
    서브 포량 감지 단계에서, 상기 서브 포량은 상기 메인 드럼의 회전 시 상기 모터에서 측정되는 전류값에서 상기 감지된 메인 포량에 대응되는 전류값을 차감하여 산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포량 감지 단계에서, 상기 서브 포량은 상기 메인 드럼의 회전 후 제동 시 슬립 각도에서 상기 감지된 메인 포량에 대응되는 슬립 각도를 차감하여 산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4.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드럼에 상기 서브 드럼의 장착 여부를 판단하는 장착 판단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판단 단계는 상기 메인 드럼을 회전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판단 단계는 상기 간이 탈수 단계 전에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의류 처리를 시작하도록 사용자가 입력하는 시작/일시정지 입력부가 구비된 컨트롤패널과 상기 메인 드럼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시작/일시정지 입력부가 선택된 후, 상기 장착 판단 단계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널에는 사용자가 상기 보조세탁 모드를 입력하는 보조세탁 입력부가 구비되며,
    상기 동시세탁 모드는, 상기 보조세탁 모드의 입력이 배제되고, 상기 장착 판단 단계에서 상기 서브 드럼이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자동적으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세탁 모드는, 상기 보조세탁 모드의 입력이 배제되고, 상기 장착 판단 단계에서 상기 서브 드럼이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자동적으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세탁 모드는, 상기 보조세탁 모드가 입력되고, 상기 장착 판단 단계에서 상기 서브 드럼이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며, 자동적으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70127752A 2017-09-29 2017-09-29 의류처리장치 KR101964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752A KR101964652B1 (ko) 2017-09-29 2017-09-29 의류처리장치
CN201880038753.8A CN110770384B (zh) 2017-09-29 2018-10-01 衣物处理设备和控制该设备的方法
US16/612,836 US11306424B2 (en) 2017-09-29 2018-10-01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
PCT/KR2018/011625 WO2019066608A1 (en) 2017-09-29 2018-10-01 LAUNDRY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BR112020001315-3A BR112020001315B1 (pt) 2017-09-29 2018-10-01 Método para controlar um aparelho de tratamento de roupa
AU2018341361A AU2018341361B2 (en) 2017-09-29 2018-10-01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752A KR101964652B1 (ko) 2017-09-29 2017-09-29 의류처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4683A Division KR102065428B1 (ko) 2019-03-26 2019-03-26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4652B1 true KR101964652B1 (ko) 2019-04-02

Family

ID=65903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7752A KR101964652B1 (ko) 2017-09-29 2017-09-29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306424B2 (ko)
KR (1) KR101964652B1 (ko)
CN (1) CN110770384B (ko)
AU (1) AU2018341361B2 (ko)
WO (1) WO20190666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27950B2 (en) * 2019-08-22 2022-08-30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of determining volume of water to add to first and second washing compartments of a washing machine as a function of determined moment of inerti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5447A (ko) * 2001-12-04 2003-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분리세탁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454B1 (ko) * 2007-03-19 2009-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1250244B1 (ko) * 2011-10-24 2013-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US9080279B2 (en) * 2011-10-24 2015-07-14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to produce three-dimensional motion
KR101849139B1 (ko) * 2012-02-08 2018-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및 이의 포량 감지 방법
KR20150025734A (ko) * 2013-08-30 2015-03-11 양지선 세탁물의 종류 및 양에 따라 적응적으로 사용 가능한 분리형 세탁조를 갖는 세탁기
KR102147819B1 (ko) * 2013-09-12 2020-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이의 제어방법
BR102013025343B1 (pt) * 2013-10-01 2021-08-17 Whirlpool S.A. Sistema de detecção de cesto removível de lavadora e método para detecção de cesto removível de lavadora
KR102207787B1 (ko) 2013-12-27 2021-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20150089344A (ko) * 2014-01-27 2015-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102439141B1 (ko) * 2015-04-01 2022-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101846171B1 (ko) * 2015-04-27 2018-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6868794B (zh) * 2017-02-27 2019-03-26 无锡小天鹅股份有限公司 波轮洗衣机的负载重量识别方法、装置和波轮洗衣机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5447A (ko) * 2001-12-04 2003-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분리세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770384B (zh) 2022-03-18
US20200063314A1 (en) 2020-02-27
AU2018341361B2 (en) 2020-10-15
US11306424B2 (en) 2022-04-19
BR112020001315A2 (pt) 2020-08-11
WO2019066608A1 (en) 2019-04-04
CN110770384A (zh) 2020-02-07
AU2018341361A1 (en) 2019-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9371B2 (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80025633A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KR102206464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1964652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90037923A (ko) 의류처리장치
KR102411847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411845B1 (ko) 의류처리장치
CN110832134B (zh) 衣物处理设备
KR102325526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90038501A (ko) 의류처리장치
KR10241184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413329B1 (ko) 의류처리장치
JP5169965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2537194B1 (ko) 드럼 세탁기 및 드럼 세탁기의 터브 세척 방법
JP6792505B2 (ja) 洗濯機
KR102462775B1 (ko) 세탁기의 제어방법
KR102541175B1 (ko) 의류처리장치
BR112020001315B1 (pt) Método para controlar um aparelho de tratamento de roupa
BR112019026397B1 (pt) Método para controlar um aparelho de tratamento de roupas para lavar
KR20190004435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