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1845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1845B1
KR102411845B1 KR1020170084663A KR20170084663A KR102411845B1 KR 102411845 B1 KR102411845 B1 KR 102411845B1 KR 1020170084663 A KR1020170084663 A KR 1020170084663A KR 20170084663 A KR20170084663 A KR 20170084663A KR 102411845 B1 KR102411845 B1 KR 102411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sub
laundry
information
t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4436A (ko
Inventor
김근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4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1845B1/ko
Priority to BR112019027720-0A priority patent/BR112019027720B1/pt
Priority to AU2018296984A priority patent/AU2018296984B2/en
Priority to US16/611,106 priority patent/US11220772B2/en
Priority to PCT/KR2018/007571 priority patent/WO2019009613A1/ko
Priority to CN201880038451.0A priority patent/CN110730838B/zh
Publication of KR20190004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1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1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wash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52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6Part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H02K11/215Magnetic effect devices, e.g. Hall-effect or magneto-resistive el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2Changing sequence of operational steps; Carrying out additional operational steps; Modifying operational steps, e.g. by extending duration of ste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드럼의 내부에 서브드럼을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여 서브드럼 내부에서의 세탁이 메인드럼에서의 세탁과 분리되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회전축이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드럼, 드럼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세탁물의 세탁이 드럼과 분리되어 수행되는 서브드럼, 서브드럼에 구비되며 세탁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태그, 정보태그로부터 세탁물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는 판독부 및 판독부가 취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세탁코스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메인드럼의 내부에 서브드럼을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여 서브드럼 내부에서의 세탁이 메인드럼에서의 세탁과 분리되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을 수행하는 세탁기, 건조를 수행하는 건조기 및 건조와 세탁을 함께 할 수 있는 건조겸용 세탁기를 포함한다.
의류처리장치가 세탁장치로 사용되는 경우,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을 수용하는 드럼, 캐비닛에 구비되어 세탁물의 인입과 인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도어를 포함한다.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탑 로딩 타입(Top Loading Type)과,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프론트 로딩 타입(Front Loading Type)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프론트 로딩 타입은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형성되며, 세제, 세탁수 및 세탁물이 드럼 내에 투입된 상태에서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드럼과 세탁물의 마찰력 및 세탁물의 낙하 충격을 이용하여 세탁을 행하는 드럼 세탁 방식에 의해 세탁을 수행한다. 드럼 세탁 방식은 세탁물의 손상이 거의 없고, 세탁물이 서로 엉키지 않으며, 두드리고 비벼 빠는 세탁효과를 낼 수 있다.
탑 로딩 타입은 드럼의 회전축이 지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형성되며, 세탁수가 저수되는 터브 내부에 드럼이 구비되고, 드럼 내부에 공급된 세탁수에 세탁물이 잠긴 상태에서 세탁이 이루어지는 펄세이터 방식에 의해 세탁을 수행한다. 펄세이터 방식은 드럼의 회전이나 드럼의 하부에 구비되어 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의 회전에 의하여 세탁수와 세탁물 간의 마찰과 세제의 작용으로 하여 세탁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세탁물이 세탁수에 잠길 정도로 세탁수가 공급되어야만 세탁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세탁수가 많이 사용된다.
종래의 의류처리장치는 하나의 드럼에서 세탁물의 세탁과정 즉, 세탁행정, 헹굼행정 및 탈수행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세탁물의 색상이나 재질에 따라 분리하여 세탁하여야 하는 경우 적어도 두 번의 세탁과정을 거처야 하기 때문에 의류처리장치를 작동하는 횟수가 많아져 세탁수, 세제 및 에너지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하나의 바디에 두 개의 드럼이 구비되는 세탁기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세탁기는 큰 용량의 드럼과 작은 용량의 드럼이 하나의 세탁기에 구비될 뿐만 아니라 큰 용량의 드럼과 작은 용량의 드럼을 통한 세탁 과정 전체가 완전히 분리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각각의 드럼이 동시 또는 이시에 사용될 수 있으므로 편리하며, 나아가 소량 세탁이 필요한 경우 작은 용량의 드럼만 사용될 수 있으므로 매우 경제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세탁장치의 경우 제품 가격이 상승할 수 밖에 없으며, 두 개의 드럼이 서로 분리되어 구비되므로 제품 자체의 사이즈가 커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종래의 세탁장치가 설치되는 공간보다 더 넓은 설치 공간이 필요한 문제가 있다.
또한, 소형 드럼이 대형 드럼의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 소형 드럼 사용 시 사용자가 과도하게 허리를 굽혀야 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소형 드럼이 대형 드럼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 신장이 작은 사용자가 소형 드럼에 접근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편, 하나의 세탁기에서 개별 세탁을 수행하기 위한 선행기술에 따르면, 드럼 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드럼을 갖는 의류처리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선행발명의 서브드럼은 용량이 작고 와류를 발생시키는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기가 곤란하며, 서브드럼의 회전에 의한 와류 발생 빈도가 메인드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서브드럼에 의한 세탁력이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서브드럼과 메인드럼 간에 결합하는 부분이 비교적 좁은 부분에 위치하므로, 사용자가 그 정확한 위치에 서브드럼을 장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서브드럼은 탈수행정 등을 수행하기 위하여 고속 회전 시 수평 방향으로 진동할 뿐만 아니라 상하 방향으로도 진동하므로 메인드럼으로부터 이탈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메인드럼과 서브드럼에 각각 급수하는 경우, 메인드럼에 급수하는 급수장치와 서브드럼에 급수하는 급수장치가 별도로 요구되어 의류처리장치의 부피가 증가하고 제작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서브드럼에 의한 세탁과정 즉, 세탁행정, 헹굼행정 및 탈수행정에서 간이 탈수를 포함한 탈수 과정 중 세탁수가 메인드럼의 내부로 배출된다. 즉, 선행발명에서는 메인드럼과 서브드럼에서의 세탁 과정이 실질적으로 분리되지 않게 된다. 구체적으로, 선행발명에서는 서브드럼의 급수와 메인드럼의 급수가 모두 서브드럼을 통해 수행된다.
따라서, 서브드럼에 공급된 세제가 메인드럼으로 공급되어 서브드럼에서의 세탁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메인드럼으로 과도한 세제가 공급되므로, 서브드럼과 메인드럼에서 적정 세제량을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메인드럼에 수용된 세탁물에 대한 세탁코스와 서브드럼에 수용된 세탁물에 대한 세탁코스를 각각 별개로 입력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오염 정도가 심한 소 용량의 걸레를 서브드럼에서 세탁을 수행하고 대용량의 아기 옷을 메인드럼에서 세탁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세탁수가 오염이 심한 걸레를 적신 후 메인드럼으로 유입된다. 마찬가지로 서브드럼에서 배출되는 세탁수는 먼저 메인드럼으로 유입된 후 배출된다. 따라서, 이러한 사용 형태는 메인드럼에서 높은 정도의 청결도가 요구되는 세탁물을 세탁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으며, 나아가 사용자의 감성상 허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서브드럼과 메인드럼 사이의 급수, 세탁 그리고 배수가 실질적으로 분리되지 않음에 기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선행발명에서는 메인드럼에 양말과 같은 세탁물을 추가로 투입하는 것이 여의치 않다. 왜냐하면 메인드럼의 투입구를 서브드럼이 막고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메인드럼 내부에 용이하게 설치 가능하며, 메인드럼의 세탁과 서브드럼의 세탁을 분리시킬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세탁수의 급수와 배수가 실질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서브드럼을 통해서도 충분한 세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서브드럼뿐만 아니라 메인드럼에도 용이하게 세탁물을 추가로 투입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하여, 서브드럼에서 배출되는 세탁수가 메인드럼으로 유입되지 않고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서, 세탁 과정에서는 서브드럼 내부의 세탁수가 배출되지 않고 탈수 과정에서만 서브드럼 내부의 세탁수가 배출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배수 펌프와 같이 별도의 구동 수단이 서브드럼과 연결되지 않고도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서, 사용자가 서브드럼을 장착하는 동작만으로 서브드럼에 수용된 세탁물에 대한 세탁코스가 자동으로 결정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회전축이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드럼;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세탁물의 세탁이 상기 드럼과 분리되어 수행되는 서브드럼; 상기 서브드럼에 구비되며, 세탁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태그; 상기 정보태그로부터 세탁물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는 판독부; 및 상기 판독부가 취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세탁코스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는 미리 입력된 세탁물에 대한 정보에 따른 세탁코스 중 상기 정보태그로부터 취득한 세탁물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세탁코스를 수행될 세탁코스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정보태그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독부는 상기 RFID 태그와 신호 교환하면서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정보태그는 하나 이상의 자석으로 이루어진 자석 태그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독부는 상기 자석 태그의 자석을 감지하는 홀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자석 태그는 상기 자석이 상기 서브드럼의 원주면을 따라 배치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홀센서는 상기 터브의 상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판독부는 상기 터브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이 회전하는 각도를 감지하는 회전각도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럼이 미리 설정된 각도를 회전하는 동안 상기 홀센서가 감지한 횟수를 취득하여 세탁코스를 결정할 수 있다.
자석 태그는 복수의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홀센서의 감지시점 사이에 측정된 상기 드럼의 회전각도를 상기 회전각도감지부로부터 취득하여 세탁코스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회전축이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드럼;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각각 결합하며, 세탁물의 세탁이 상기 드럼과 분리되어 수행되는 복수의 서브드럼; 상기 복수의 서브드럼에 각각 구비되며, 세탁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태그; 상기 정보태그로부터 세탁물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는 판독부; 및 미리 입력된 세탁물에 대한 정보에 따른 세탁코스 중 상기 판독부가 상기 정보태그로부터 취득한 세탁물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세탁코스가 결정되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다.
상기 정보태그는 상기 서브드럼마다 다른 세탁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보태그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독부는 상기 RFID 태그와 신호 교환하면서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정보태그는 상기 서브드럼의 원주면을 따라 소정의 각도로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자석으로 이루어진 자석 태그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독부는 상기 자석 태그의 자석을 감지하도록 상기 터브 상단부에 구비되는 홀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판독부는 상기 터브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이 회전하는 각도를 감지하는 회전각도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럼이 미리 설정된 각도를 회전하는 동안 상기 홀센서가 감지한 횟수를 취득하여 세탁코스를 결정할 수 있다.
자석 태그는 복수의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홀센서의 감지시점 사이에 측정된 드럼의 회전각도를 취득하여 세탁코스를 결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별도의 와류발생장치를 구비하지 않고도 서브드럼의 회전에 의해 서브드럼의 내부에서 와류를 충분히 발생시켜 세탁력이 상승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다수의 돌기와 돌기를 수용하는 홈으로 이루어진 요철부가 상당히 넓게 분포하는 구성을 채택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쉽게 서브드럼을 메인드럼의 정확한 위치에 장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셋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서브드럼의 고속 회전 시 서브드럼이 메인드럼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하나의 급수장치에 의해 메인드럼과 서브드럼으로 급수할 수 있도록 하여 의류처리장치의 부피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제작 비용을 줄이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섯째, 사용자가 서브드럼을 장착하는 동작만으로 서브드럼에 수용된 세탁물에 대한 세탁코스가 자동으로 결정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여섯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서브드럼의 고속 회전에 의한 탈수 시 세탁수를 메인드럼의 외부로 배출하여 메인드럼 내부의 세탁물의 추가 오염을 방지함으로써 메인드럼의 세탁과 서브드럼의 세탁을 분리하여 진행하는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서브드럼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서브드럼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드럼에 장착된 서브드럼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서브드럼 장착 시 세탁코스를 결정하여 수행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서브드럼에 구비된 정보태그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용소를 다른 구성용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권리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의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상부에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형성된 캐비닛(10), 캐비닛(10)의 개구부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미도시), 캐비닛(10) 내부에 세탁수를 저장하도록 설치되는 터브(20), 터브(20)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키며 후술하는 드럼(30)과 펄세이터(35)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14), 구동부(14)에 연결되어 구동부(14)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탁물을 세탁하는 드럼(30), 드럼(3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구동부(14)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세탁물을 세탁하는 펼세이터(35), 드럼(30)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며, 세탁물의 세탁이 드럼(30)과 분리되어 수행되는 서브드럼(50)을 포함한다.
도 1에는 모터가 직접 회전축(17)과 연결되어 드럼(30)을 구동하는 직결식 구동 구조가 도시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의 드럼(30)은 드럼(3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한 서브드럼(50)과 대응되도록 메인드럼(30)으로도 지칭될 수 있다.
캐비닛(10)은 의류처리장치(1)의 외관을 형성하며, 세탁물의 투입을 위해 캐비닛(1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된 캐비닛 커버(11)를 포함한다.
캐비닛 커버(11)는 캐비닛(10)의 상단부에 구비되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도어(미도시)가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도어를 개폐함으로써 드럼(30) 및 서브드럼(50) 내부로 세탁물을 넣거나, 드럼(30) 및 서브드럼(50)의 내부로부터 세탁물을 빼낼 수 있다.
한편, 드럼(30) 및 서브드럼(50)으로 세제가 포함된 물 또는 세제가 포함되지 않는 깨끗한 물을 급수하도록 급수부(18)가 캐비닛 커버(11)에 구비된다. 급수부(18)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세탁수를 후술하게 될 서브드럼(50)의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터브(20)의 내부를 통해 드럼(30)으로 급수하거나 서브드럼(50)으로 급수한다.
여기서의 세탁수는 세탁행정을 수행하기 위한 세탁수뿐만 아니라 헹굼행정을 위한 헹굼수를 포함한다.
터브(2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된 채 세탁수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터브(20)는 상단부에 설치되는 터브커버(21)를 포함한다.
터브커버(21)는 드럼(30) 및 서브드럼(50)이 외부와 연통하도록 캐비닛(10)의 개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세탁물 투입구가 형성된다. 세탁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드럼(30)이 회전하면, 터브커버(21)는 드럼(3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으로 인해 터브(20)의 내주면을 따라 순환하면서 상승한 세탁수를 드럼(30)의 중심부 측으로 이동시켜 드럼(30)의 내부로 낙하시키도록 가이드한다.
터브(20)는 하부면이 캐비닛(10)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24)과 댐퍼(23)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또한, 터브(20)는 하부면이 스프링(24)과 댐퍼(23)에 의해 직접 지지되므로 자체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터브(20)는 드럼(30)과 달리 구동부(14)로부터 별도의 회전력을 전달받지 않는다. 도 1에서는 스프링(24)과 댐퍼(23)가 터브(20)의 하부면에 직렬로 연결되는 구성이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스프링(24)과 댐퍼(23)는 필요에 따라 병렬로 연결될 수도 있으며, 댐퍼(23)는 터브(20)의 하부면에 연결되고 스프링(24)은 터브(20)의 상부면에 연결되며 그 역의 경우도 가능하다.
또한, 터브(20)의 하부면에는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장치가 연결된다. 배수장치는 터브(20)에 수용된 세탁수를 배출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배수펌프(11), 일단이 터부의 하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배수펌프(11)에 연결되어 터브(20)에 수용된 세탁수를 배수펌프(11)로 안내하는 제1 배수관(12) 및 일단이 배수펌프(11)에 연결되고 타단이 캐비닛(10) 일측에 연결되어 세탁수를 배수펌프(11)로부터 캐비닛(10) 외부로 배출하는 제2 배수관(13)을 포함한다. 제1 배수관(12)은 터브(20)의 진동이 배수펌프(11)에 전달되지 않도록 밸로우즈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부(14)는 로터(15)와 스테이터(16)로 이루어진 모터와 로터(15)에 연결되는 회전축(17)을 포함하며, 내부에 클러치(미도시)가 구비됨에 따라 구동력을 드럼(30)과 펄세이터(35)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전축(17)이 펄세이터(35)에 고정된 채 드럼(30)에 선택적으로 결합함에 따라 구동부(14)는 펄세이터(35)에 구동력을 전달하거나 펄세이터(35)과 드럼(30)에 구동력을 함께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회전축(17)이 드럼(30)에 고정된 채 펄세이터(35)에 선택적으로 결합함에 따라 구동부(14)는 드럼(30)(30에 구동력을 전달하거나 펄세이터(35)과 드럼(30)에 구동력을 함께 전달할 수 있다.
위에서 회전축(17)이 펄세이터(35)와 드럼(30)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된 채 나머지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설명에 의해 회전축(17)이 펄세이터(35)와 드럼(30)중 어느 하나에만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구조가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터브(20)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채 세탁물이 투입되도록 형성된 드럼(30) 및 드럼(30)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서브드럼(50)이 구비된다.
드럼(30)은 상부가 개방되며 횡단면이 대략 원형인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하부면이 회전축(17)에 직결되어 구동부(14)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드럼(30)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복수개의 통공(33)이 측벽 즉, 윈주면에 형성된다. 복수개의 통공(33)을 통하여 드럼(30)은 터브(20)와 연통된다. 이에 따라 세탁수가 터브(20)에 일정 수위 이상으로 공급되면 드럼(30)은 세탁수에 잠기면서 일부 세탁수가 통공(33)을 통하여 드럼(30)의 내부로 인입된다.
드럼(30)은 상단부에 구비되는 드럼커버(31)를 포함한다. 드럼커버(31)는 중공이 형성된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터브커버(21)의 하측에 배치된다.
한편, 드럼커버(31)와 터브커버(21)에 의해 배출유로(47)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배출유로(47)는 드럼커버(31)와 터브커버(2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배출유로(47)는 서브드럼(50)의 상단부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 세탁수를 터브(20)의 내부로 안내한다.
드럼커버(31)는 세탁물이 투입되거나 서브드럼(50)이 장착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또한, 드럼커버(31)는 제1드럼(30)의 내부에서 세탁물이 쏠림으로 인해 발생하는 언밸런스를 해소하는 밸런서(311)가 내측에 구비된다. 이 경우 배출유로(47)는 밸런서(311)와 터브커버(2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서브드럼(50)의 위치제어를 수행하는 구성으로 제1 센서부(54), 제2 센서부(25), 제어부(100) 및 드럼(30)의 회전을 제동시키는 제동부(110)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제1 센서부(54)는 서브드럼(50)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제1 홀센서(Hall sensor, 55) 및 제1 자석부(56)로 이루어진다. 제1 홀센서(55)는 터브(20)커버의 상면에 구비되거나 터브(20)커버의 내측 테두리면에 구비되며, 제1 자석부(56)는 제1 홀센서(55)에 의해 감지되도록 서브드럼(50)의 상부면 일측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서브드럼(50)이 회전하면 제1 홀센서(54)가 제1 자석부(56)를 감지한 후 제어부(100)로 신호를 보낸다.
제2 센서부(25)는 드럼(30)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도록 단일한 제2 홀센서(26) 및 제2 자석부(27)로 이루어진다, 제2 홀센서(26)는 터브(20)의 하부면 하측에 구비되며, 제2 자석부(27)는 제2 홀센서(26)에 의해 감지되도록 로터(15)의 상부면 외주를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된다. 따라서 드럼(30)이 회전하면 제2 홀센서(26)는 드럼(30)의 회전각도를 감지한 후 제어부(100)로 신호를 보낸다. 제2 센서부(25)는 드럼(30)의 정확한 회전각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제2 자석부(27)의 자석들이 등 간격으로 로터(15)에 구비되며, 구비되는 자석의 갯수가 증가할 수록 드럼(30)의 회전각도를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다. 즉, 제2 센서부(25)에 의해 로터(15)의 회전각도를 감지하여 드럼(30)의 회전각도를 판단한다.
로터(15)의 회전각도는 별도의 센서 없이 감지될 수 있다. 즉, 센서가 없는 센서리스(sensorless) 방식으로 로터(15)의 회전각도를 감지하여 드럼(30)의 회전각도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리스 방식은 일정한 주파수의 상전류가 모터에 흐르도록 한 후 일정 주파수의 전류가 모터에 흐르는 동안 검출되는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모터의 회전자 위치를 추정함으로써 로터(15)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리스 방식은 공지의 기술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서브드럼(50)의 위치제어는 우선 제1 센서부(54)에 의해 서브드럼(50)의 장착여부가 판단되고, 서브드럼(50)이 장착되었다고 판단 이후에 개시된 된다. 이후, 장착여부 판단 시의 서브드럼(50)의 위치로부터 미리 설정된 회전각도 만큼 서브드럼(50)가 회전하여 서브드럼(50)의 임의의 지점이 서브드럼(50) 외부의 미리 설정한 지점에 위치하도록 회전한다. 서브드럼(50)의 임의의 지점은 예를 들면 후술하는 내측 급수가이드(560)와 외측 급수가이드가 구비되는 서브드럼(50)의 특정한 위치이며, 서브드럼(50) 외부의 미리 설정한 지점은 급수부(18) 하측일 수 있다. 이때 제2 센서부(25) 또는 센서가 없는 센서리스(sensorless) 방식으로 서브드럼(50)의 회전각도가 측정된다.
즉, 이러한 서브드럼(50)의 위치제어는 내측 급수가이드(560)를 단일한 급수부(18)의 하측에 위치시켜 세탁수가 내측 급수가이드(560)를 통해 서브드럼(50)으로 공급되도록 한 후 서브드럼을 회전시켜 외측 급수가이드(570)를 단일한 급수부(18)의 하측에 위치시켜 세탁수가 외측 급수가이드(570)를 통해 서브드럼(50)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하, 서브드럼(50)에 대하여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서브드럼(50)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서브드럼(50)의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드럼(30)에 장착된 서브드럼(50)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서브드럼(50)은 드럼(3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서브드럼(50)은 드럼(30)과 분리되어 세탁을 수행하도록 세탁물과 세탁수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색상이나 재질에 따라 분리하여 세탁이 필요한 세탁물들 드럼(30)과 서브드럼(50)에 나누어 수용시킨 후 서로 다른 시간에 세탁을 수행하는 것을 물론이고 동시에도 세탁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의류처리장치(1)의 작동 횟수가 감소함과 동시에 세탁수, 세제 및 에너지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서브드럼(50)은 드럼(30)의 내부에 결합한 채 드럼(3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세탁을 수행하므로 별도의 구동장치가 필요 없다.
서브드럼(50)은 세탁수의 와류를 형성하도록 횡단면이 원형이 아닌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일방향을 가로지르는 타방향으로 짧게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서브드럼(50)의 외주면 일부는 드럼(30)의 내주면에 결합할 수 있으며 나머지 일부는 드럼(30)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브드럼(50)의 횡단면은 대략 타원형을 형성되거나, 서브드럼(50)의 횡단면의 둘레 중 일부는 드럼(30)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곡선으로 형성되고 나머지 일부는 드럼(30)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된 채 직선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서브드럼(50)은 횡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보다 보다 효과적으로 회전에 의해 와류를 발생시킨다. 와류에 의해 세탁수와 세탁물 간의 마찰 또는 세탁물 간의 마찰이 증가하므로, 서브드럼(50)은 횡단면이 원형인 경우보다 세탁력이 증가한다.
또한, 서브드럼(50)은 세탁수의 와류를 형성하도록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마찰리브(534)가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서브드럼(50)의 내주면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1 곡률부(C1) 및 제1 곡률보다 더 작은 제2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 제2 곡률부(C2)로 구분할 수 있다.
제1 곡률부(C1)는 서브드럼바디(53)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제1 곡률은 드럼커버(31)에 형성된 개구부의 내주면 곡률과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제2 곡률부(C2)는 서브드럼바디(53)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며, 한 쌍의 제1 곡률부(C1)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되 한 쌍을 이룬다. 제2 곡률은 제1 곡률보다 작도록 형성된다. 즉, 제1 곡률부(C1)와 제2 곡률부(C2)는 서브드럼바디(53)의 횡단면의 원주를 따라 교대로 반복하여 구비된다.
또한, 서브드럼(50)의 내주면은 서브드럼(5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제1 거리만큼 이격된 근거리부(C2)와 서브드럼(5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제1 거리보다 더 큰 제2 거리만큼 이격된 원거리부(C1)로 구분할 수 있다. 이 경우 근거리부(C2)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거리부(C1)는 드럼(30)의 내주면에 접할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원거리부(C1)와 근거리부(C2) 모두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원거리부(C1)는 제1 곡률부(C1)에 대응하며, 근거리부(C2)는 제2 곡률부(C2)에 대응한다.
한편, 근거리부(C2)와 드럼커버(31)의 내주면이 서로 충분한 거리를 두고 이격됨에 따라 후술하게 될 제1 급수유로(573)가 형성된다.
본 명세서의 제1 곡률부(C1), 제2 곡률부(C2), 원거리부(C1), 근거리부(C2), 결합부(C1) 및 이격부(C2)는 서브드럼(50)의 특정 영역을 가리킨다. 위 서브드럼(50)의 특정 영역에 포함되면 모두 위의 용어로 명칭한다.
서브드럼(50)은 드럼(30)이 원주면에 통공(33)이 구비되는 것과 달리 서브드럼(50)은 원주면에 통공(33)이 구비되지 않는다. 따라서, 서브드럼바디(53)는 세탁수와 세탁물을 수용할 수 있으며, 세탁수가 원주면이나 하부면을 통해 드럼(30)의 내부로 배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터브(20)에 수용된 세탁수는 통공(33)을 통하여 드럼(30)의 내부로 인입될 뿐이다. 설사 서브드럼(50)이 터브(20)에 수용된 세탁수에 잠기더라고 세탁수가 내부로 인입되지 않는다.
마찰리브(534)는 서브드럼(5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상하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마찰리브(534)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채 복수 개로 구비되며, 서브드럼(5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마찰리브(534)는 서브드럼(50)의 회전 시 세탁수와의 마찰력에 의해 세탁수를 서브드럼(50)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이러한 마찰리브(534)는 후술하게 될 가이드 리브(531)와 형상 및 기능이 다르다.
한편, 서브드럼(50)은 세탁물 투입을 위해 상부면에 형성된 세탁물 투입구(515), 세탁물 투입구(515)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결합가이드(581), 사용자가 파지할 공간을 제공하는 손잡이부(510),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세탁수를 서브드럼(50)의 내부로 안내하는 내측 급수가이드(560),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세탁수를 서브드럼(50)의 외측을 통해 드럼(30)의 내부로 안내하는 외측 급수가이드(570) 및 서브드럼(50)의 내주면을 순환하는 세탁수가 충돌에 의해 흐르는 방향이 바뀌어 상부로 끌어올려진 후 서브드럼(50)의 중심부로 낙하하도록 형성된 가이드 리브(531)를 포함한다.
손잡이부(510)는 서브드럼(50)의 상부면에 한 쌍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손잡이부(510)는 바(bar)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단이 서브드럼(50)의 상부면에 결합한다. 손잡이부(510)는 서브드럼(5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손잡이부(510)는 서브드럼(50)의 제1 곡률부(C1) 즉, 원거리부(C1)에 인접하여 구비된다. 사용자가 드럼(30)으로부터 서브드럼(50)을 분리할 때의 충격에 의해 세탁수가 한 쌍의 원거리부(C1) 중 하나에 쏠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서브드럼(50)은 한 쌍의 근거리부(C2)를 통과하는 가상의 축을 중심으로 쉽게 회전하여 내부의 세탁수가 쏟아질 수 있다. 이 경우 손잡이부(510)가 제2 곡률부(C2) 즉, 근거리부(C2)에 인접하여 구비되면, 서브드럼(50)의 회전을 막기 위해 사용자가 많은 힘을 가하여야 하므로 손잡이부(510)는 원거리부(C1)에 인접하여 구비되는 것이 보다 유리하다.
내측 급수가이드(560)는 서브드럼(50)의 상부면에 구비되되, 원거리부(C1) 즉, 결합부(C1)에 인접하여 구비된다. 내측 급수가이드(560)는 오목부(561) 및 급수홀(562)을 포함한다.
오목부(561)는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세탁수가 서브드럼(50)의 상부면에 부딪힌 후 주위로 흩어지지 않도록 서브드럼(50)의 상부면의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된다.
급수홀(562)은 오목부(561)의 내측면 중 세탁물 투입구(515)를 향하는 측에 형성되어 세탁물 투입구(515)와 오목부(561)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세탁수가 오목부(561)로부터 급수홀(562)을 통해 세탁물 투입구(515)로 가이드 됨에 따라, 오목부(561)와 급수홀(562)은 세탁수를 서브드럼(50)으로 가이드 하는 제2 급수유로(560)를 형성한다.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세탁수는 오목부(561)에 일시적으로 저장됨에 따라 서브드럼(50) 주위로 흩어지지 않으며, 이후 급수홀(562) 즉 제2 급수유로(560)를 통해 세탁물 투입구(515)로 배출되어 서브드럼(50) 내부로 안내된다.
한편, 오목부(561) 및 급수홀(562)은 손잡이부(510)의 하측에 형성됨에 따라 서브드럼(50)의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외측 급수가이드(570)는 서브드럼(50)의 상부면 가장자리에 구비되되, 근거리부(C2) 즉, 이격부(C2)에 인접하여 구비된다. 외측 급수가이드(570)는 내측 급수가이드(560)로부터 이격된다. 내측 급수가이드(560) 및 외측 급수가이드(570)가 하나의 급수부(18)의 하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서브드럼(50)은 드럼(30)과 함께 소정 각도만큼 회전한다. 따라서 외측 급수가이드(570)가 내측 급수가이드(560)로부터 분리되어 구비되더라도 단일한 급수부(18)로부터 배출된 세탁수는 드럼(30) 및 서브드럼(50)에 각각 공급될 수 있다.
외측 급수가이드(570)는 서브드럼(50)의 상부면 가장자리 즉, 이격부(C2)의 모서리 부분이 서브드럼(50)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서브드럼(50)에는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는 일면으로 이루어진 외측 급수가이드(570)가 구비된다. 급수부(18)로부터 세탁수가 배출되면, 세탁수는 이격부(C2)와 드럼(30)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이루어진 제1 급수유로(573)를 통해 드럼(30)의 내부로 안내된다.
가이드 리브(53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서브드럼(50)의 상부면 하측에 구비되되,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 리브(531)는 일측면이 서브드럼(50)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구비된다. 다시 말하면, 플레이트 형상의 가이드 리브(531)는 상측이 서브드럼(50)커버에 결합하고 일측면이 서브드럼(50)의 내주면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서브드럼(50) 내부의 세탁수는 서브드럼(50)의 회전력에 의해 서브드럼(50)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다가 가이드 리브(531)와의 충돌에 의해 흐름의 방향이 바뀌어 상승할 수 있을 뿐만 충돌 후 흐름의 방향이 바뀌어 서브드럼(50)의 중심부를 향해 포물선을 그리면서 낙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 리브(531)는 서브드럼(50)의 중심부를 향하는 일측면에 형성되며 서브드럼(50)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리브 수직부(532) 및 서브드럼(50)의 바닥을 향하는 하측면에 형성되며 리브 수직부(532)로부터 서브드럼(50)의 중심부로부터 내주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리브 경사부(533)를 포함할 수 있다.
리브 경사부(533)는 서브드럼(50)의 내주면과 예각을 이루며 서브드럼(50)의 하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리브 경사부(533)가 가이드 리브(531)의 하측면에 형성됨에 따라, 서브드럼(50) 내부를 세탁수와 함께 회전하여 유동하는 세탁물이 덜 간섭된다. 따라서, 세탁물의 유동이 좀 더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이로 인하여 세탁물간의 마찰이 증가하여 세탁력이 증가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리브(531)에 리브 경사부(533)가 형성되어도 충분한 양의 세탁수를 상승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브드럼(50)이고속으로 회전하는 경우, 서브드럼(50)의 중심부의 세탁수의 수면보다 서브드럼(50)의 내주면의 세탁수의 수면이 더 높다. 따라서, 가이드 리브(531)에 리브 경사부(533)가 형성되어도 충분한 양의 세탁수가 가이드 리브(531)에 충돌하여 상승할 수 있다.
한편, 서브드럼(50)이비교적 저속으로 회전하는 경우, 가이드 리브(531)를 서브드럼(50)의 근거리부(C2)에 배치함으로써 충분한 양의 세탁수를 상승시킬 수 있다. 서브드럼(50)의 중심으로부터 근거리부(C2)까지의 가상의 단면을 통과하는 세탁수의 양과 서브드럼(50)의 중심으로부터 원거리부(C1)까지의 가상의 단면을 통과하는 세탁수의 양은 동일하다.
따라서, 세탁수의 높이가 서브드럼(50)의 중심으로부터 근거리부(C2)까지의 가상의 단면를 통과할 때 서브드럼(50)의 중심으로부터 원거리부(C1)까지의 가상의 단면을 통과할 때보다 더 높이 형성되므로, 서브드럼(50)이비교적 저속으로 회전하더라도 가이드 리브(531)는 충분한 양의 세탁수를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리브(531)는 세탁수와 충돌하는 일면 및 일면에 반대편에 위치한 타면이 세탁수가 흐르는 방향을 향하여 각각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리브(531)를 서브드럼(50)의 중심부에서 반경 방향을 따라 볼 때, 하부 단면의 폭이 상부 단면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세탁수가 가이드 리브(531)를 일면 및 타면을 따라 보다 용이하게 상승할 수 있다.
가이드 리브(531)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근거리부(C2)에 각각 구비되어 한 쌍을 이루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거리부(C1)에 추가로 각각 구비되어 총 두 쌍을 이룰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 가이드 리브(531)의 지나친 간섭에 의해 세탁물이 서브드럼(50) 내부에서 쉽게 이동하지 못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서브드럼(50)과 드럼(30)간의 결합을 위한 구조로서 요철간에 결합하는 구조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는 드럼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 요철부(312)와 서브드럼의 외주면에 형성되며 제1 요철부(312)에 맞물리도록 형성된 제2 요철부(535)를 포함한다. 드럼(30)의 상단부에 드럼커버(31)가 장착되는 구조이면 제1 요철부(312)는 드럼커버(31)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드럼(30)의 상단부에 드럼커버(31)가 장착되는 구조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1 요철부(312)는 드럼커버(31)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1 요철부(312)의 상단부에는 상방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는 돌기들이 연속해서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요철부(312)는 드럼커버(31)의 내주면의 둘레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제2 요철부(535)는 서브드럼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다만 서브드럼의 외주면은 근거리부(C2)와 원거리부(C1)로 구획되며 원거리부가 드럼커버의 내주면에 결합할 수 있으므로, 제2 요철부(535)는 원거리부에 형성된다. 제2 요철부(535)의 하단부에는 하방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는 돌기들이 연속해서 형성된다. 제2 요철부(535)의 돌기들은 제1 요철부(312)의 돌기들에 맞물린다.
이에 따라 드럼(30)의 회전력이 서브드럼(50)에 전달되어 드럼(30)의 회전할 때 서브드럼(50) 역시 드럼(3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한편, 서브드럼(50)은 고속회전 시 내부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70)를 포함한다. 배출부(70)는 제1 곡률부(C1) 즉, 원거리부(C1)에 각각 인접하여 구비되며, 서브드럼(5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의 크기에 의해 서브드럼(50)에 수용된 세탁수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브드럼(50)에 의한 세탁과정과 드럼(30)에 의한 세탁과정은 서로 분리된다. 이를 위해 드럼(30)에 대한 급수와 서브드럼(50)에 대한 급수가 분리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세탁 시에는 서브드럼(50)에 공급된 세탁수가 드럼(30)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서브드럼(50)의 내부에 수용되어야 하고, 배수 및 탈수 시에는 서브드럼(50)으로부터 배출되어야 한다.
다시 말하면 서브드럼(50)은 세탁을 수행하기 위하여 세탁 rpm으로 회전 시 세탁수가 서브드럼(50) 내부에 보전되어야 하며 탈수를 수행하기 위하여 세탁 rpm보다 더 큰 탈수 rpm으로 회전 시 세탁수가 서브드럼(50)으로부터 배출되어야 한다.
이때 배출부(70)는 서브드럼(50)이 세탁 rpm보다 큰 탈수 rpm으로 회전 시 발생하는 원심력이 세탁수에 작용하는 경우에만 세탁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배출부(70)는 내부에 세탁수가 수용되는 챔버(미도시)가 형성되며, 챔버로 세탁수가 유입되도록 구비되는 유입홀(미도시), 챔버에서 세탁수가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배출홀(79)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부(70)는 유입홀이 챔버의 하부면에 구비되되 서브드럼(50)의 측벽으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으로 소정거리만큼 이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유입홀 전체 면적이 세탁수가 부딪히는 챔버의 하부면의 면적보다 작기 때문에 유입홀로 세탁수가 유입될 때 1차 저항이 발생하며, 서브드럼(5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여 상승하는 세탁수가 원심력을 이기고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해야 하는 2차 저항이 추가로 발생하게 된다.
나아가, 배출부(70)는 배출홀(791)이 유입홀의 상부에 구비되되 서브드럼(50)의 측벽을 관통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세탁수가 유입홀을 통해 챔버로 유입되면, 서브드럼(5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한 후 다시 중력을 이기고 상승하여야 하는 3차 저항이 추가로 발생한다.
따라서, 서브드럼(50)이 탈수 rpm보다 낮은 세탁 rpm으로 회전하면, 세탁수는 서브드럼(50) 내부에서 배출되지 않게 된다. 즉, 서브드럼(50)이 미리 설정된 탈수 rpm 대역에서만 회전하는 경우에 한해서 세탁수가 선택적으로 배출된다. 물론, 배수밸브나 배수펌프와 같은 제어 대상이 되는 구성이 없이도 이러한 선택적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서브드럼(50)은 세탁수와 세탁물을 수용하는 바디(53)와 바디(53)의 상부에 결합하며 세탁물이 투입되는 투입구(515)가 형성되는 서브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요철부(535)가 바디(53)의 외주면에 구비된다. 바디(53)에 수용된 세탁수 및 세탁물의 무게에 의해 서브커버가 바디(53)로부터 이탈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배출부(70), 가이드리브(531), 손잡이부(510), 내측 급수가이드(560) 및 외측 급수가이드(570) 역시 서브커버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서브커버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지만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53)의 상단부에 결합하는 하부커버(52), 하부커버(52)의 상부에 결합하는 상부커버(51)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출부(70)의 챔버(미도시)는 하부커버(52)와 상부커버(51)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된다. 여기서 유입홀은 하부커버(52)에 구비된다. 배출홀(79)은 하부커버(52)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1배출홀(791)과 상부커버(51)의 상단에 구비되는 제2배출홀(792)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세탁수가 유입홀을 통해 챔버로 유입된 후 제2배출홀(792) 및 제1배출홀(791)로 이루어진 배출홀(79)을 거쳐 배출된다.
내측 급수가이드(560)를 이루는 오목부(561)는 하부커버(52)와 상부커버(51)의 결합에 의해 형성된다. 하부커버(52)의 상부면은 오목부(561)의 하부면을 형성하고, 상부커버(51)의 함입되는 부분 중 일부는 오목부(561)의 경사면을 형성한다. 내측 급수가이드(560)를 이루는 급수홀(562)은 손잡이부(510)와 하부커버(52)의 상부면과의 이격된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의류처리장치(1)는 하나 이상의 세탁코스를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세탁코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별도의 컨트롤패널이 구비된다. 컨트롤패널은 각종 세탁코스를 입력 받는 입력부와 입력 받은 세탁코스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패널에는 드럼에 수용된 세탁물에 대한 세탁코스가 마련되고 서브드럼(50)에 수용된 세탁물에 대한 세탁코스는 마련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의류처리장치(1)는 서브드럼(50)이 장착되면, 미리 입력된 복수의 세탁코스 중 장착된 서브드럼(50)에 대응하는 세탁코스를 결정하여 수행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브드럼(50)이 구비되지 않는 기존의 의류처리장치(1)에 서브드럼(50)을 장착하여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기존의 의류처리장치(1)의 컨트롤패널을 별도로 수정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이러한 의류처리장치(1)는 서브드럼(50)에 구비되며 세탁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태그(57) 및 정보태그(57)로부터 세탁물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는 판독부(140)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 제어부(100)는 판독부(140)가 취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세탁코스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세탁물에 대한 정보에 따른 세탁코스는 미리 입력되며, 제어부(100)는 판독부(140)로부터 세탁물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면 상술한 미리 입력된 세탁코스 중 취득한 세탁물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세탁코스를 수행될 세탁코스로 결정한다.
정보태그(57)는 복수의 서브드럼(50) 각각에 구비된다. 구비되는 각각의 정보태그(57)는 서로 다른 세탁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세탁물에 대한 정보는 세탁물 종류(또는 옷감종류), 세탁물 색상 등을 의미한다. 세탁물 종류는 속옷, 아기 옷, 양말, 스포츠웨어, 수건, 청바지, 티셔츠 등을 포함한다. 세탁물 색상은 흰색상과 흰색상 이외의 색상으로 구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세탁물을 세탁하고자 할 때 복수의 서브드럼(50) 중 세탁물에 대응하는 정보태그(57)가 구비된 서브드럼(50)에 세탁물을 투입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태그(57)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RFID 태그는 각종 정보의 기억이 가능하도록 소정의 기억 영역을 가지며, 기억 영역에는 각종 정보가 기록되어 있거나 추가적인 정보의 기록이 가능한 메모리 칩의 일종이다.
정보태그(57)가 RFID 태그로 이루어지는 경우, 판독부(140)는 RFID 태그와 신호 교환하면서 RFID 태그로부터 신호를 수신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정보태그(57)는 하나 이상의 자석으로 이루어진 자석 태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판독부(140)는 터브(20)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자석 태그의 자석을 감지하는 홀센서(55)와 드럼이 회전하는 각도를 감지하는 회전각도감지부(2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제1 센서부(54)의 제1 자석부(56)는 자석 태그의 기능을 수행하며, 상술한 제1 센서부(54)의 제1 홀센서(55)와 상술한 제2 센서부(25)는 판독부(140)의 홀센서(55)와 회전각도감지부(25)(25)이다. 다만 기존의 단일한 자석으로 이루어진 제1 센서부(54)의 제1 자석부(56)와 달리 정보태그(57)는 하나 이상의 자석으로 구비되게 된다.
제1 센서부(54)의 제1 자석부(56)와 마찬가지로 정보태그(57)는 서브드럼(50)의 상부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홀센서(55)는 자석을 정확하게 감지하기 위해 터브커버(21)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정보태그(57)는 예를 들면, 자석이 서브드럼(50)의 원주면을 따라 소정의 개수만큼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자석이 단일하게 구비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판독부(140)는 서브드럼(50)이 미리 설정한 회전각도만큼 회전하는 동안 자석의 개수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보태그(57)의 자석이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드럼(50)의 상부에 구비되되 서브드럼(50)의 원주면을 따라 소정의 개수로 구비된다. 판독부(140)는 홀센서(55)가 서브드럼(50)이 미리 설정한 각도만큼 회전 하는 동안 자석의 개수를 감지하며 회전각도감지부(25)가 서브드럼(50)이 회전하는 각도를 감지한다.
세탁물의 정보는 서브드럼(50)이 미리 설정한 각도만큼 회전 하는 동안 감지된 자석의 개수로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0)는 이러한 세탁물의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될 세탁코스를 결정한다.
한편, 정보태그(57)는 다른 예를 들면, 자석이 서브드럼(50)의 원주면을 따라 소정의 개수만큼 배치되되, 일정한 각도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자석은 복수 개로 구비된다.
판독부(140)는 자석이 감지되는 각각의 시점과 시점 사이에 서브드럼(50)이 회전한 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서 도시된 정보태그(57)의 자석이 서로 다른 각도만큼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판독부(140)는 홀센서(55)가 자석을 두 번 감지하는 동안 회전각도감지부(25)가 서브드럼(50)의 회전각도를 감지한다.
이 경우 자석태그의 자석은 예를 들면 소정의 각도만큼 이격된 두 개의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판독부(140)는 홀센서(55)가 두 개의 자석을 순차적으로 감지하며, 회전각도감지부(25)가 홀센서(55)가 두 번 감지하는 동안 서브드럼(50)의 회전각도를 감지한다. 따라서 두 개의 자석간의 이격된 각도를 알 수 있다.
세탁물의 정보는 두 개의 자석간의 이격된 각도로 저장될 수 있다. 복수의 서브드럼(50) 각각에 두 개의 자석이 구비되되 두 개의 자석간의 이격된 각도가 다르게 설정되면, 복수의 서브드럼(50) 각각이 가지는 세탁물에 대한 정보는 서로 구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0)는 이러한 세탁물의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될 세탁코스를 결정한다.
자석태그의 자석은 다른 예를 들면, 제1자석 내지 제4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자석(56a)과 제2자석(56b)간의 이격된 각도, 제2자석(56b)과 제3자석(56c)간의 이격된 각도, 제3자석(56c)과 제4자석(56d)간의 이격된 각도 및 제4자석(56d)과 제1자석(56a)간의 이격된 각도가 각각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나아가 설정된 각각의 각도는 크기가 순차적으로 커지거나 작아지는 등의 다양한 조합을 가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
세탁물의 정보는 이러한 각도들의 조합으로 저장될 수 있으며, 제어부(100)는 이러한 세탁물의 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될 세탁코스를 결정한다.
서브드럼(50)의 회전각도가 센서가 없는 센서리스(sensorless) 방식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판독부(140)는 서브드럼(50)의 회전각도를 제2 센서부(25)를 이용하지 않고 일정한 주파수의 상전류가 모터에 흐르도록 한 후 일정 주파수의 전류가 모터에 흐르는 동안 검출되는 출력 전류에 기초하여 모터의 로터(15)의 위치를 추정한다.
한편, 복수의 서브드럼(50)은 각각 해당 정보태그(57)에 포함된 정보를 표시하는 스티커가 외측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세탁하고자 하는 세탁물과 일치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스티커를 찾아 해당 스티커가 부착된 서브드럼(50)에 세탁물을 수용시켜 세탁을 진행할 수 있다.
제어부(100)에는 세탁물에 대한 정보에 따른 세탁코스가 미리 입력된다. 이러한 세탁코스는 표준코스, 강력코스, 급속코스, 란제리/울 코스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세탁코스는 세탁물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도록 설정된다. 예를 들어, 표준코스는 일반적인 세탁을 할 때 사용될 수 있으며, 란제리/울 코스는 변형이나 손상되기 쉬운 속옷 등을 세탁할 때 사용될 수 있다.
판독부(140)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로 이루어진 정보태그(57)와 하나 이상의 자석으로 이루어진 자석 태그로 이루어진 정보태그(57) 모두를 판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판독부(140)는 터브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자석 태그의 자석을 감지하는 홀센서(55)와 드럼이 회전하는 각도를 감지하는 회전각도감지부(25)로 이루어지되, RFID 태그와 신호 교환하면서 RFID 태그로부터 신호를 수신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세탁 대상물의 오염도를 감지하는 오염도 감지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정보태그(57)로부터 취득한 정보뿐만이 아니라 세탁물의 오염도에 따라 적정 세탁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작동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복수의 서브드럼(50)은 세탁물에 대한 정보가 나타나는 스티커가 각각 부착된다.
사용자는 세탁하고자 하는 세탁물의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를 나타내는 스티커를 찾아 해당 스티커가 부착된 서브드럼(50)에 세탁물을 담는다.
이후 사용자는 세탁물이 수용된 서브드럼(50)을 드럼에 장착한다.
서브드럼(50)이 드럼에 장착되면 판독부(140)는 서브드럼(50)에 구비된 RFID 태그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취득하게 된다.
신호를 취득한 판독부(140)가 제어부(100)로 취득한 신호를 보내면, 제어부(100)는 취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세탁코스를 결정한다.
한편, 서브드럼(50)에 RFID 태그가 아닌 자석 태그가 구비된 경우 판독부(140)는 서브드럼(50)이 회전하지 않는 이상 자석 태그로부터 세탁물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지 못한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기준시간 동안 판독부(140)로부터 세탁물에 대한 정보가 전달되지 않으면 서브드럼(50)이 회전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한다.
서브드럼(50)이 회전하면 판독부(140)의 홀센서(55)와 회전각도감지부(25)에 의해 세탁물에 대한 정보가 취득된다.
이후 신호를 취득한 판독부(140)가 제어부(100)로 취득한 신호를 보내면, 제어부(100)는 취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세탁코스를 결정한다.
세탁코스가 결정되면, 급수를 위한 서브드럼(50)의 위치제어가 수행된다.
이후 서브드럼(50)으로 급수 및 결정된 세탁코스가 수행된다.
만약, 오염도 감지센서가 추가로 구비되는 경우, 제어부(100)는 급수가 수행된 이후에 세탁코스를 결정한다. 오염도 감지센서가 세탁수의 탁도를 측정하여 오염도를 감지하기 때문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 의류처리장치 10: 캐비닛
20: 터브 30: 드럼
50: 서브드럼 51: 상부커버
52: 하부커버 560: 내측 급수가이드
570: 외측 급수가이드 53: 바디
531: 가이드 리브

Claims (15)

  1.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회전축이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드럼;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세탁물의 세탁이 상기 드럼과 분리되어 수행되는 서브드럼;
    상기 세탁물의 정보 및 세탁코스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서브드럼에 적어도 하나 이상 착탈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정보태그;
    상기 정보태그로부터 상기 세탁물 또는 상기 세탁코스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는 판독부; 및
    상기 판독부가 취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세탁코스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보태그로부터 상기 세탁물 또는 상기 세탁코스에 대한 정보를 취측한 경우 상기 서브드럼이 상기 드럼에 장착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입력된 세탁물에 대한 정보에 따른 세탁코스 중 상기 정보태그로부터 취득한 세탁물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세탁코스를 수행될 세탁코스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태그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독부는 상기 RFID 태그와 신호 교환하면서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태그는 하나 이상의 자석으로 이루어진 자석 태그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독부는 상기 자석 태그의 자석을 감지하는 홀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 태그는 상기 자석이 상기 서브드럼의 원주면을 따라 배치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홀센서는 상기 터브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부는 상기 터브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이 회전하는 각도를 감지하는 회전각도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럼이 미리 설정된 각도를 회전하는 동안 상기 홀센서가 감지한 횟수를 취득하여 세탁코스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자석 태그는 복수의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홀센서의 감지시점 사이에 측정된 상기 드럼의 회전각도를 상기 회전각도센서부로부터 취득하여 세탁코스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세탁수를 수용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회전축이 지면과 수직을 이루는 드럼;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각각 결합하며, 세탁물의 세탁이 상기 드럼과 분리되어 수행되는 복수의 서브드럼;
    사용자가 상기 드럼에 의 해 수행될 세탁코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컨트롤패널;
    상기 복수의 서브드럼에 각각 구비되며, 세탁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태그;
    상기 정보태그로부터 세탁물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는 판독부; 및
    미리 입력된 세탁물에 대한 정보에 따른 세탁코스 중 상기 판독부가 상기 정보태그로부터 취득한 세탁물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세탁코스가 결정되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트롤패널을 통하여 상기 드럼의 세탁코스가 설정되고, 상기 판독부에서 상기 정보태그를 통하여 상기 세탁물의 정보가 취득되지 않을 경우 상기 드럼의 세탁코스를 수행하며,
    상기 판독부에서 상기 정보태그를 통하여 상기 세탁물의 정보가 취득되고, 상기 컨트롤패널을 통하여 상기 드럼의 세탁코스가 설정되지 않을 경우 상기 판독부에서 취득된 세탁물에 따른 서브드럼의 세탁코스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태그는 상기 서브드럼마다 다른 세탁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태그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독부는 상기 RFID 태그와 신호 교환하면서 상기 RFID 태그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태그는 상기 서브드럼의 원주면을 따라 소정의 각도로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자석으로 이루어진 자석 태그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독부는 상기 자석 태그의 자석을 감지하도록 상기 터브 상단부에 구비되는 홀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판독부는 상기 터브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이 회전하는 각도를 감지하는 회전각도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럼이 미리 설정된 각도를 회전하는 동안 상기 홀센서가 감지한 횟수를 취득하여 세탁코스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자석 태그는 복수의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홀센서의 감지시점 사이에 측정된 드럼의 회전각도를 취득하여 세탁코스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70084663A 2017-07-04 2017-07-04 의류처리장치 KR102411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663A KR102411845B1 (ko) 2017-07-04 2017-07-04 의류처리장치
BR112019027720-0A BR112019027720B1 (pt) 2017-07-04 2018-07-04 Aparelho de tratamento de roupas para lavar
AU2018296984A AU2018296984B2 (en) 2017-07-04 2018-07-04 Clothing treatmen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16/611,106 US11220772B2 (en) 2017-07-04 2018-07-04 Clothing treatmen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PCT/KR2018/007571 WO2019009613A1 (ko) 2017-07-04 2018-07-04 의류처리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N201880038451.0A CN110730838B (zh) 2017-07-04 2018-07-04 衣物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663A KR102411845B1 (ko) 2017-07-04 2017-07-04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436A KR20190004436A (ko) 2019-01-14
KR102411845B1 true KR102411845B1 (ko) 2022-06-22

Family

ID=64951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663A KR102411845B1 (ko) 2017-07-04 2017-07-04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20772B2 (ko)
KR (1) KR102411845B1 (ko)
CN (1) CN110730838B (ko)
AU (1) AU2018296984B2 (ko)
BR (1) BR112019027720B1 (ko)
WO (1) WO20190096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85058B2 (en) * 2019-04-18 2024-01-30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and method of operation
CN112064283A (zh) * 2020-09-07 2020-12-11 禚治胜 一种洗袜子机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3879U (ko) * 1997-04-22 1998-11-25 구자홍 세탁기의 포량 감지장치
ES2343034T3 (es) * 2007-02-15 2010-07-21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Sistema de lavanderia con medios de comunicacion por marbete.
KR101435795B1 (ko) 2007-06-13 2014-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보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의류처리 시스템 및 그의류처리방법
BR102013025343B1 (pt) * 2013-10-01 2021-08-17 Whirlpool S.A. Sistema de detecção de cesto removível de lavadora e método para detecção de cesto removível de lavadora
KR20150106680A (ko) * 2014-03-12 2015-09-2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및 이의 제어방법
US9818007B1 (en) * 2016-12-12 2017-11-14 Filip Bajovic Electronic care and content clothing lab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436A (ko) 2019-01-14
WO2019009613A1 (ko) 2019-01-10
AU2018296984A1 (en) 2019-12-05
US11220772B2 (en) 2022-01-11
US20200157724A1 (en) 2020-05-21
AU2018296984B2 (en) 2021-01-07
CN110730838A (zh) 2020-01-24
BR112019027720A2 (pt) 2020-07-28
CN110730838B (zh) 2021-10-22
BR112019027720B1 (pt) 202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0242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206464B1 (ko) 세탁기 및 세탁기의 제어방법
EP2252734B1 (en) Laundry treating device
KR10241184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2552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411846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411847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413329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964652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81145B1 (ko) 의류처리장치
CN110741118B (zh) 衣物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KR102487210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54117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06542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060071B1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CN110637119B (zh) 衣物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KR102446190B1 (ko) 세탁물 처리기기의 제어방법
US11162208B2 (en)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190143437A (ko)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