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3191A - 압축 공기 충전부를 구비한 오일/물 분리기 - Google Patents
압축 공기 충전부를 구비한 오일/물 분리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33191A KR20180033191A KR1020187002076A KR20187002076A KR20180033191A KR 20180033191 A KR20180033191 A KR 20180033191A KR 1020187002076 A KR1020187002076 A KR 1020187002076A KR 20187002076 A KR20187002076 A KR 20187002076A KR 20180033191 A KR20180033191 A KR 2018003319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il
- chamber
- control air
- separation device
- wat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ab- or adsorp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8—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8—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17/0214—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with removal of one of the pha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8—Thickening liquid suspensions by filt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12—Auxiliary equipment particularly adapted for use with liquid-separating apparatus, e.g. control circui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30—Organic compounds
- C02F2101/32—Hydrocarbons, e.g. oil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Compressor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물 혼합물로부터 오일-함유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오일/물 혼합물로부터 오일-함유 성분을 분리하도록 설계된 메인 필터(30)를 포함한다. 처리되지 않은 오일/물 혼합물은 메인 필터(30)에 공급되며, 또한 상기 메인 필터(30)를 통과한 후 상기 오일/물 분리기(10)로부터 제거되며, 상기 오일/물 분리기(10)는 유체 정역학적 원리에 따라 이들 액체의 공급 및 제거를 위해 설계된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오일/물 분리기(10)는 오일/물 분리기(10)를 제어 공기(14)로 일시적으로 충전하도록 설계된 제어 유닛(60)을 가지며, 이에 의해 메인 필터(30)를 통해 오일/물 혼합물을 가압하도록 과압이 사용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일/물 혼합물로부터 오일-함유 성분을 분리하도록 설계된 메인 필터를 포함하는, 오일/물 혼합물로부터 오일-함유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타입의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는 공기 압축기와 관련하여 빈번하게 사용된다. 공기 압축기는 주변 공기를 빨아들이고 압축함으로써 압축 공기를 생성한다. 이 프로세스에서 주변 공기에 포함된 공기 습도는 물리적인 이유로 인해 또한 건조된 압축 공기로 인해 응축수(condensate)로 축적된다. 오일/물 혼합물인 이 응축수는, 이것이 탄화수소 농도 한계를 초과하기 때문에, 윤활유의 함량으로 인해 공공 하수도(public sewer) 내로 배출되는 것이 가장 흔히 허용되지 않는 폐수이다.
60 m3/h 흡입 공기의 체적 유량이 주어지면, 전형적으로 240 mg/h 오일로 충전(充塡)되는 1.23 l/h 의 일반적으로 불연속적인 응축수 유동이 생산될 수 있다. 이는 응축수 리터당 195 mg 오일에 대응한다. 이들 값은 다양한 파라미터에 따라 변동되며, 이들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기후 조건(주변 온도 및 습도), 압축기에 사용되는 오일의 타입, 및 상기 압축기의 구성 및 작동 모드를 포함한다. 또한, 물과 윤활유 사이의 결합은 다양하며, 또한 오일과 물의 혼합물로부터 분산액 및 유화액까지 다양하다. 그러나 위생 하수도 내로의 배출을 위한 허용치는 10-20 mg/l, 부분적으로 심지어 5 mg/l(오일/응축수)의 범위에 있다. 따라서 그 99.5 %가 주변 공기 습도로부터의 물이더라도, 폐기물 처리 회사에 의해 폐기되어야만 하는 특수 폐기물이 생산된다.
따라서 이러한 응축수를 처리하기 위해, 오일/물 분리기(oil/water separator)의 사용이 알려져 있다. 이 경우,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오일/물 분리기의 목적은 이것이 배출될 수 있도록 현장에서 응축수를 처리하는 것이며, 즉 비용-효율적인 방식으로 물로부터 유분(oil fraction)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러한 디자인의 알려진 장치는 물의 원하는 순도를 달성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여러 분리 단계를 사용한다. 프로세스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는 전형적으로 압력 방출 요소를 통해 예비-분리기 내로 서서히 배출되며, 따라서 난류가 거의 없다. 상기 예비-분리기는 중력 분리의 원칙에 따라 동작하며, 또한 무거운 퇴적 오염물(1 kg/dm3 보다 큰 밀도)의 침적 및 유리 유분(free oil fraction)(1 kg/dm3 보다 낮은 밀도)의 부유를 제공한다. 이들 유분은 그후 수집 용기를 향해 유동한다. 제2 단계에 있어서, 미세한 오일 방울이 흡착 필터에 의해 상기 응축수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흡착 필터는 흔히 친유성 재료 및 매우 큰 내면을 갖는 활성탄에 기초한다.
상기 오일/물 분리기에 따른 다른 디자인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는 유리 유분과 함께 흡착 필터를 통해 공급되고, 이는 다시 응축수 표면 상에서 부유하며, 또한 여기에 침적되는 유분(1 kg/dm3 보다 큰 밀도)을 흡수한다. 이러한 오일/물 분리기는, 예를 들어 DE 10 2006 009 542 A1호에 알려져 있다. 이 오일/물 분리기의 디자인은 대응하는 수주(water column)의 원리에 따라 동작하며, 처리된 응축수는 새로운 응축수가 유입할 때와 동일한 양으로 하수도를 향해 순수(pure-water) 출구에서 장치를 떠난다.
이러한 오일/물 분리기에서, 수집된 유리 오일(free oil) 및 오일-포화형 필터(oil-saturated filter)는 일반적으로 열적으로 이용되지만, 그러나 처리될 수도 있다. 강하게 분산되거나 또는 심지어 유화된 응축수는 이들 장치에서 처리될 수 없으며, 더욱 복잡한 방법에 의해, 예를 들어 다이아프램, 증발, 또는 분해 프로세스에 의해 처리된다.
이러한 오일/물 분리기의 작동 시, 상부층의 포화로 인해 또는 생물학적 점액층의 형성으로 인해, 필터의 유동 저항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종종 있다. 범람이나 배수를 방지하기 위해, 따라서 상기 필터는 그 용량이 아직 소진되지 않았더라도, 초기에 교체되어야만 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WO 2011/104368A1호는 점액형 기질을 분리하기 위한 기계적 분리 디바이스, 및 상기 필터를 통해 응축수를 흡입하고 따라서 유동 저항을 극복하는 전기 펌프를 제공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 작동은 응축수가 있는 경우에 발생하며, 그리고 전자식 레벨 검출 수단을 통해 제어된다. 원칙적으로, 상기 필터를 통한 유동은 오직 펌프에 의해서만 발생하며, 이는 전술한 이점을 수반하지만, 그러나 증가된 에너지 비용이 동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게 그리고 적은 에너지 소비로 작동될 수 있는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이 목적은 독립 청구항 1에 따른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디바이스의 유리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 2-16으로부터 자명하다.
청구범위에서 개별적으로 언급된 특징은 기술적으로 의미 있는 임의의 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낼 수 있음을 인식해야만 한다. 특히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추가로 특징화하며 또한 구체화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는 오일/물 혼합물로부터 오일-함유 성분을 제거하는 데 적합하며, 상기 오일/물 혼합물은 특히 공기 압축기의 응축수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디바이스는 유사한 오일/물 혼합물을 처리하는데도 적합하며, "오일/물 혼합물" 및 "응축수"라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동의어로만 사용된다.
상기 디바이스는 오일/물 혼합물로부터 오일-함유 성분을 분리하도록 설계된 메인 필터를 포함하며, 정화될 오일/물 혼합물은 상기 메인 필터에 공급되고 또한 상기 메인 필터를 통과한 후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로부터 제거된다. 이 경우, 상기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는 유체 정역학적(hydrostatic) 원리에 따라 이들 액체를 공급하고 그리고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처리된 응축수는 대응하는 수주의 원리에 따라, 새로운 응축수가 디바이스 내로 유입할 때와 동일한 양으로 디바이스를 떠난다. 이 원리는 다양한 알려진 방식으로, 특히 대응하여 구성된 용기 및 라이저 파이프(riser pipe)로 실현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상기 디바이스는 따라서 추가적인 에너지 공급 없이 작동될 수 있으며, 또한 오일/물 혼합물로부터 오일-함유 성분을 연속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이는 디바이스의 정상적인 작동으로 간주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그러나 상기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는 제어 공기로 상기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를 일시적으로 충전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가지며, 이에 의해 오일/물 혼합물은 과압(overpressure)에 의해 상기 필터를 통해 가압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이러한 압력 충전은 필터를 통해 응축수를 가압하도록 발생할 수 있다. 이는 특히 필터의 유동 저항이 증가된 경우에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통상의 작동 시 유체 정역학 원리에 따라 알려진 방식으로 간단하게 작동될 수 있지만, 그러나 필터의 유동 저항이 증가된 경우, 압력으로 충전함으로써 이를 극복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장치를 범람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디바이스는 교대로 사용될 수 있는 2개의 작동 모드를 갖는다. 따라서 유동 저항이 증가하더라도, 상기 필터를 통한 오일/물 혼합물의 통과가 유지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분리 디바이스에 대해 더 높은 작동 수명으로 나타난다. 이는 정기 유지보수 간격이 예정되어 있지만 그러나 예정된 유지보수 날짜 사이에 필터 요소의 교체가 회피되어야만 하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에 의해, 상기 디바이스의 작동은 다음 유지보수 간격까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필터의 증가된 유동 저항을 검출하기 위해, 오일/물 혼합물 충전 레벨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 수단이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제어 유닛에 연결되어 있다. 필터의 유동 저항이 증가하면, 디바이스에서의 응축수 충전 레벨도 상승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소정의 오일/물 혼합물 충전 레벨(A)이 상기 센서 수단에 의해 검출된 경우, 제어 공기로 상기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를 일시적으로 충전하도록 구성된다. 이 충전 레벨(A)은 가능하다면 초과되지 않아야 하는 최대 응축수 충전 레벨을 구성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 유닛은 다양한 평가 및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위해 구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및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 유닛은 제어 유닛에 대한 제어 명령 때문에, 상기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를 제어 공기로 충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는 필요하다면 비어 있는 필터를 압착하기 위해, 특히 디바이스의 유지보수 중 사용될 수 있다. 이 기능은, 예를 들어 교체 가능한 필터 카트리지가 사용되는 경우에 유리한데, 그 이유는 상기 필터 카트리지가 나사결합되기 전에, 응축수가 주로 상기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로부터 제거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을 경우, 필터 카트리지가 교체될 때, 다량의 액체가 디바이스 밖으로 배출되며, 또는 이는 대응 조치로 예방되어야만 한다.
상기 제어 유닛은, 소정의 오일/물 혼합물 충전 레벨(B)이 센서 수단에 의해 검출되었다면, 상기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를 제어 공기로 충전하는 것을 중지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충전 레벨(B)은 최대 충전 레벨(A)의 아래에 있으며, 또한 도달되었다면 압력에 의한 충전이 종료되는 레벨을 구성한다. 제어 공기가 오프(off)로 절환되면, 응축수가 다시 유동하며, 그리고 압력에 의한 충전이 다시 실행될 때까지 충전 레벨을 다시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2개의 작동 모드가 교대로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의 작동 범위는 레벨(A, B) 사이에 있다.
상기 충전 레벨(B)의 아래에 있는 다른 충전 레벨(C)은 선택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 레벨(C)은 더 낮은 경보 지점을 구성하는데, 그 이유는 상기 충전 레벨이 이 레벨 아래로 떨어지지 않아야 하기 때문이다. 응축수 레벨이 이 레벨(C) 아래로 떨어진다면, 다양한 조치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보가 출력될 수 있으며 및/또는 디바이스가 오프로 절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일/물 혼합물의 상기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 내로의 공급은 제어 공기에 의한 충전 중에는 정지된다. 이런 방식으로, 제어 공기가 달리 탈출할 수 있는 대응의 공급부가 타이트하게 밀폐될 수 있다. 상기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의 구성에 따라, 이는 제어 공기에 의해 과압을 발생시키는 데 필요하거나 또는 적어도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는 하우징, 상기 오일/물 혼합물을 상기 하우징 내의 챔버 내로 공급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오일/물 혼합물을 이 챔버로부터 메인 필터 내로 전달하기 위한 연결 개구를 갖는다. 상기 제어 유닛은 제어 공기로 챔버를 일시적으로 충전하도록 구성되며, 그 동안 제어 공기는 상기 오일/물 혼합물이 과압에 의해 상기 챔버로부터 상기 연결 개구를 통해 메인 필터 내로 가압되는 방식으로, 상기 하우징 내의 챔버 내로 안내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일/물 혼합물의 이 챔버 내로의 공급은 프로세스 중에는 정지된다.
챔버에서 과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 공기의 공급은, 상이한 방식으로 또한 상이한 밸브로 실행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이 경우에는, 제어 공기를 위한 공급 파이프 및 응축수 위의 챔버에 과압을 축적할 수 있도록 상기 챔버의 다른 개구가 밀봉될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공기 및 오일/물 혼합물은, 상이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고 또한 특히 상기 제어 공기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공통 다이아프램 밸브를 통해, 상기 하우징의 챔버 내로 안내된다. 예를 들어, 상기 다이아프램 밸브는 이를 위해 제어 공기 챔버 및 혼합물 챔버를 가지며, 이들은 다이아프램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다. 상기 다이아프램 밸브는 상기 혼합물 챔버 내로 오일/물 혼합물을 공급하기 위한 혼합물 입구, 및 상기 제어 공기 챔버 내로 제어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어 공기 입구를 추가로 가지며, 상기 혼합물 챔버로부터 하우징 내의 챔버 내로 오일/물 혼합물을 제거하기 위한 혼합물 출구, 및 상기 제어 공기 챔버로부터 하우징의 챔버 내로 제어 공기를 제거하기 위한 제어 공기 출구도 제공된다. 이 밸브의 혼합물 입구는, 제어 공기로 상기 제어 공기 챔버를 충전함으로써, 다이아프램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이 밸브에 의해, 따라서 제어 공기는 제어 공기 챔버를 통해 하우징의 챔버 내로 유동함으로써 이 하우징의 챔버 내로 도입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상기 하우징의 챔버 내로의 응축수의 추가적인 유동은, 다이아프램 밸브로의 혼합물 입구를 폐쇄하는 방식으로 상기 다이아프램을 이동시키는 제어 공기에 의해, 정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아프램은 공기가 이를 통해 탈출할 수 없도록 상기 혼합물 입구도 밀봉한다.
제어 공기가 제어 공기 챔버에 다이아프램을 활성화시키기에 충분한 압력을 축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다이아프램 밸브의 제어 공기 출구는 상기 제어 공기 입구보다 더 작은 개구 횡단면을 바람직하게 갖는다. 따라서 제어 공기는, 상기 하우징의 챔버 내에 압력을 계속 축적하기 전에, 먼저 제어 공기 챔버에 압력을 신속히 축적하여, 상기 다이아프램을 이동시킨다.
제어 공기로 충전할 동안 상기 다이아프램 밸브에 오일/물 혼합물의 공급이 상기 다이아프램에 의해 차단될 수 있지만, 이는 정화될 혼합물의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 또는 다이아프램 밸브로의 공급의 일반적인 차단으로 보완될 수도 있다. 그렇지 않다면, 상기 다이아프램 상에서 혼합물의 압력이 너무 높아져서 이는 다시 개방될 수 있다.
적절하게도, 과압을 갖는 제어 공기가 사용되며, 상기 과압은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과압은 0.3-1 바아의 크기이지만, 그러나 특히 약 0.5 바아이다.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가 더 높은 압력을 갖는 압축 공기 파이프에 연결되었다면, 상기 제어 공기를 디바이스에 공급하기 전에 또는 후에, 대응의 감압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은 7 바아로부터 0.5 바아로 또는 다른 압력으로 감압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발생하는 유동 저항을 극복하고 또한 필터를 통해 응축수를 가압하기 위해서는 0.5 바아의 과압이 충분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 경우, 상기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가 유럽 연합의 압력 설비 지침(Pressure Equipment Directive)(PED)의 관점에서 압력 용기로서 간주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 크기의 과압이 유리하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는 이 지침의 특별한 요구사항에 부합해야만 한다.
메인 필터에서 오일-함유 성분을 분리하는 기본 기능과 함께, 상기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는 다른 기능적 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의 하우징은 입구 개구를 가지며, 이를 통해 오일/물 혼합물이 하우징 내의 압력 방출 챔버 내로 먼저 안내될 수 있고, 그후 이로부터 오일/물 혼합물이 하우징의 챔버 내로 안내될 수 있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응축수와 함께 이송되는 압축 공기는 이 압력 방출 챔버로부터 탈출할 수 있으며, 이는 탈출하는 공기를 정화하거나 또는 오일-함유 성분의 탈출을 회피하기 위해, 다른 필터를 통해 유동할 때 바람직하게 발생한다. 상기 디바이스가 압력으로 충전될 때 공기가 이 압력 방출 출구를 통해 탈출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출구는 폐쇄 가능한 밸브에 의해 밀봉 가능할 수 있으며, 이는 제어 유닛에 의해서도 활성화될 수 있다. 전술한 다이아프램 밸브가 사용되면, 상기 압력 방출 챔버는 혼합물 입구를 통해 다이아프램 밸브의 혼합물 챔버에 연결된다.
이미 메인 필터 전에 응축수로부터 유리 유분을 제거하기 위해, 하우징의 챔버에서 오일/물 혼합물 상에 부유된 이들 유리 유분은, 수집 드레인을 통해 상기 챔버로부터 배출되는 것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수집 드레인은 수집 용기에 연결될 수 있다. 이 수집 드레인은 제어 공기로 챔버를 충전할 동안 제어 유닛에 의해 폐쇄될 수도 있다. 따라서 공기는 이 파이프를 통해 탈출할 수도 없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특별한 특징, 적절한 추가적인 발전사항은 종속항 및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자명하다.
도 1은 정상 작동 시 본 발명에 따른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의 제1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압축 공기로 충전되었을 때, 도 1의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정상 작동 시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의 다이아프램 밸브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압축 공기로 충전되었을 때,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의 다이아프램 밸브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정상 작동 시 본 발명에 따른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의 제2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압축 공기로 충전되었을 때, 도 1의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정상 작동 시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의 다이아프램 밸브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압축 공기로 충전되었을 때,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의 다이아프램 밸브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정상 작동 시 본 발명에 따른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의 제2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10)의 제1 실시예는 다양한 부품을 포함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디바이스는 적어도 도시되지 않은 공기 압축기로부터의 오일/물 혼합물 또는 응축수(11)를, 이 응축수로부터 분리되는 오일-함유 성분에 의해 처리하도록 구성된 메인 필터(30)를 포함한다. 이는 필터 재료로의 흡착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필터(30)는 공급될 준비가 되도록 미세하게 분산된, 심지어 유화된 오일로 액체를 분리할 수 있는 재료를 바람직하게 포함한다. 이를 위해, 분산-배향된 표면 압밀(compaction) 및 형상을 갖는 친유성 용융 방사된 폴리머, 가장 미세한 오일 방울을 흡수하도록 적응된 일관성 및 크기를 갖는 활성탄, 및 친유성 발포 폴리머가 적절하다. 상기 메인 필터(30)는 대응의 흡착 필터 재료(31)가 그 내부에 삽입되는 하우징을 갖는다.
상기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10)는 디바이스의 기능이 제어될 수 있는 제어 유닛(60)을 추가로 포함한다. 특히, 이는 다양한 검출기의 센서 신호의 평가, 밸브의 개폐, 및 주기의 검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60)은 제어 명령을 수동으로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을 추가로 바람직하게 갖는다. 예를 들어, 장치 상에서의 유지보수 작업은 이들 제어 명령을 통해 실행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유닛(60)은 디바이스의 상태 및/또는 경고 및 서비스 통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10)는 통신하는 수주의 유체 정역학적 원리에 따라 기능한다. 이를 위해, 그 배치로 인해 헤드 하우징(head housing)으로서 지칭될 수도 있는 하우징(20)이 전형적으로 상기 메인 필터(30)에 연결된다. 상기 하우징(20)은 연결 개구(23)를 통해 메인 필터(30) 위에 연결된다. 이 연결은 견고할 수 있지만, 그러나 상기 메인 필터는 입구 포트(32)를 통해 하우징(20)에 일시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교체 가능한 카트리지 필터일 수도 있다. 특히, 이는 타이트한 나사 연결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
응축수는 입구 개구(22)를 통해 상기 하우징(20) 내로 도입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응축수(11)는 공기 압축기로부터 유래하며, 또한 상기 응축수(11)로부터 제거되는 오일-함유 성분에 의해 상기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10)에 의해 처리되어야 한다. 이 경우, 응축수(11)는 헤드 하우징(20) 내로, 그후 중력으로 인해 그 아래에 위치된 메인 필터(30) 내로 유동한다. 상기 메인 필터(30)는 출구 포트(33)를 통해 라이저 파이프(40)에 연결되며, 이를 통해 상기 처리된 응축수(11")가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10)를 빠져나간다. 이 출구 포트(33)는 타이트한 나사 연결을 통해 상기 라이저 파이프(40)에 연결될 수도 있으므로, 상기 메인 필터(30)는 전체적으로 교체 가능하다. 처리된 응축수(11")는 새로운 응축수(11)가 하우징(20) 내로 유입할 때와 동일한 양으로 순수 출구(42)에서 하수도를 향해 디바이스를 떠난다.
따라서 하우징(20) 내에서 발생된 응축수 레벨의 높이에서, 밸브(72)를 통해 수집 용기(70)에 연결된 수집 드레인(71)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밸브(72)는, 예를 들어 제어 유닛(60)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이다. 하우징(20) 내에서 응축수(11') 상에서 부유하는 유리 유분(13)은 이 수집 드레인(71)을 통해 제거 및 수집될 수 있다. 이들 유리 유분은 < 1 kg/dm3 의 밀도를 갖는다. 따라서 응축수(11)가 메인 필터(30)에 공급되기 전에, 유리 유분의 분리가 실행되므로, 예비-정화된 응축수(11')가 메인 필터(30)에 도달한다. 그러나 유리 유분의 분리는 메인 필터(30)의 카트리지 내로 통합될 수도 있다.
밀도가 > 1 kg/dm3 인 무거운 퇴적형 성분을 분리하기 위한 디바이스(도시되지 않음)가 입구 개구(22)로부터 상류에 또는 하류에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중력 분리의 원리에 따라 동작하므로, 이들 성분은 디바이스의 바닥에 침적되지 않으며, 또한 메인 필터(30)에 들어가지 않는다.
도 1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헤드 하우징(20)은 적어도 하나의 챔버(24)를 가지며, 상기 챔버(24) 내에서는 응축수(11)가 유동하며, 그후 메인 필터(30)에 공급된다. 이 챔버(24)는 헤드 하우징(20)의 메인 챔버를 구성하지만, 그러나 압력 방출 챔버(21)의 형태인 제2 챔버가 보완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11)는 먼저 압력 방출을 위해 압력 방출 챔버 내로 도입된다. 압축기로부터 동반된 압축 공기는 이 압력 방출 챔버(21)에서 배출될 수 있으며, 이 공기는 출구를 통해 탈출할 수 있다. 이 방출 공기 출구(12)는 필터 매트(mat)(25)를 통해 라우팅될 수 있으며, 또한 폐쇄 가능한 밸브(도시되지 않음)에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응축수(11)는 이 압력 방출 챔버(21)로부터 헤드 하우징(20)의 챔버(24)에 도착하며, 유리 유분(13)은 상기 수집 드레인(71)을 통해 배출되고, 이런 방식으로 예비-정화된 응축수(11')가 메인 필터(30) 내로 유동한다. 이는 어떤 응축수 레벨이 챔버(24) 내에 발생되고, 유리 유분(13)이 계속 제거되며, 또한 정화된 응축수(11")가 라이저 파이프(40)를 통해 하수도 내로 방출되는, 디바이스(10)의 정상 작동을 구성한다.
그러나 필터(30)의 상부층의 포화 또는 생물학적 점액층의 형성으로 인해, 상기 필터(30)의 유동 저항이 증가할 수 있다. 이것이 발생하면, 챔버(24) 내에서 응축수 레벨이 증가하며, 이는 디바이스 범람으로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상승한 응축수 레벨의 경우, 유리 유분이 수집 용기(70) 내로 유출될 뿐만 아니라 비정화된 응축수도 유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수(11')가 과압에 의해 메인 필터(30) 내로 가압될 수 있는 압력 작동에 의해 디바이스(10)의 정상적인 작동이 보완될 수 있음을 제공한다. 이는 제어 공기 파이프(63)를 통해 제어 공기(14)로 챔버(24)를 충전함으로써 바람직하게 이루어진다. 챔버(24) 내의 상승한 응축수 레벨을 검출하기 위해, 응축수(11')의 충전 레벨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수단(64)이 제공된다. 이 센서 수단은, 센서 수단(64)의 신호를 평가하고 또한 상승한 충전 레벨의 경우에 제어 공기로 충전을 트리거하는 제어 유닛(60)에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 유닛(60)은 제어 공기 파이프(63)의 밸브(62)를 활성화시키며, 이에 의해 제어 공기(14)의 챔버(24)로의 공급이 제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공기(14)는 0.5 바아까지의 과압으로 상기 챔버(14) 내에 도입되므로, 챔버(24)와 메인 필터(30)의 출구 포트(33) 사이에 압력 차이가 발생되며, 이에 의해 응축수(11')가 필터(30)를 통해 가압된다. 이를 위해 상기 디바이스(10)가 더 높은 압력으로 압축 공기 파이프에 연결된다면, 밸브(62)의 상류에서 및/또는 밸브(62)에서 대응의 감압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은 7 바아로부터 0.5 바아로 감압될 수 있으며, 이는 트로틀링(throttling)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감압은 밸브(62)의 하류에서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이는 예를 들어 밸브(50)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
압력에 의한 충전은, 챔버(24) 및 상기 챔버(24)와 메인 필터(30) 사이의 연결이 공기 또는 적어도 인식 가능한 양의 공기가 이 위치에서 탈출할 수 없도록 타이트하게 구성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또한, 제어 유닛(60)은 압력에 의한 충전 중에는 유리 유분(13)에 대해 타이트하도록 수집 용기(70)의 밸브(72)를 밀봉할 것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압력에 의한 충전 중 새로운 응축수(11)의 공급은 이 공급도 밀봉하도록 적절히 정지된다.
도 1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응축수 공급부 및 제어 공기 공급 공급부(63)에 연결된 다이아프램 밸브(50)는 이를 위해 헤드 하우징(20)의 챔버(24) 내에 제공된다. 상기 다이아프램 밸브(50)는 2개의 챔버, 즉 제어 공기 챔버(52) 및 혼합물 챔버(53)를 포함한다. 이들 두 챔버는 탄성 다이아프램(54)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응축수(11)는 압력 방출 챔버(21)로부터 혼합물 입구(55)를 통해 다이아프램 밸브(50)의 혼합물 챔버(53) 내로 유동한다. 도 1은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의 정상 작동 시, 응축수가 상기 혼합물 챔버(53)로부터 헤드 하우징의 챔버(24) 내로 어떻게 유동하는지를 도시하고 있다. 이는 혼합물 출구(56)를 통해 발생한다. 처리된 응축수(11")는 응축수(11)가 혼합물 출구(56)로부터 챔버(24) 내로 유동할 때와 동일한 양으로 순수 출구에서 하수도를 향해 디바이스를 떠난다. 이 프로세스에 있어서, 어떤 응축수 레벨이 챔버(24)에 발생된다.
메인 필터(30)의 유동 저항이 증가하면, 이 응축수 레벨이 상승하고, 충전 레벨(A)은 예를 들어 초과되서는 안 되는 임계 최대 응축수 충전 레벨을 구성한다. 이런 상승한 응축수 레벨(A)이 센서 수단(64)에 의해 검출되었다면, 상기 제어 유닛(60)이 밸브(62)를 개방하며, 따라서 제어 공기(14)를 다이아프램 밸브(50)의 제어 공기 챔버(52) 내로 안내한다. 이 경우에, 상기 센서 수단(64)은 오직 응축수 레벨만 검출되고 유리 유분 및 상기 응축수 위의 공기는 무시되는 방식으로 바람직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이는 응축수와 오일 또는 공기 사이를 구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 수단(64)은 응축수(11')의 충전 레벨을 검출하며, 그리고 응축수(11') 위의 유리 유분(13)의 충전 레벨을 검출하지 않는다.
상기 제어 공기는 상기 제어 공기 챔버(52)로부터 제어 공기 출구(57)를 통해 탈출하며, 따라서 헤드 하우징의 챔버(24)에 도달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어 공기 출구(57)는 제어 공기 입구(58)보다 더 작은 횡단면을 바람직하게 가지므로, 상기 제어 공기(14)가 도입되었다면, 압력이 제어 공기 챔버(52)에 신속히 축적될 수 있다. 이 압력으로 인해, 밸브(50) 내의 다이아프램(54)은 혼합물 입구(55)의 방향으로 좌측으로 이동하여, 혼합물 입구를 밀봉한다. 따라서 응축수(11)는 더 이상 챔버(24) 내로 유동할 수 없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유닛(60)은 동시에 응축수(11)의 압력 방출 챔버(21) 내로의 공급도 차단한다. 이는 특히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10)의 상류에서 응축수의 중간 수집과 조합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응축수는 병렬로 연결된 다른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에 공급된다.
다이아프램(54)에 의해 혼합물 입구(55)를 폐쇄함으로써, 공기는 이 방법을 통해서는 챔버(24)로부터 압력 방출 챔버(21) 내로 탈출할 수 없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유닛(60)은 수집 용기(70)로의 밸브(72)도 폐쇄한다. 제어 공기(14)를 챔버(24) 내로 추가로 공급함으로써, 그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며, 그에 따라 상기 응축수(11)는 출구(42)를 향해 메인 필터(30) 및 라이저 파이프(40)를 통해 가압되어, 이 프로세스에서 정화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의 상승한 유동 저항이 극복될 수 있으며, 또한 디바이스는 범람 없이 작동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에 있어서, 제어 공기(14)는 먼저 다이아프램(55)에 의해 혼합물 입구(55)를 폐쇄하고 그후 챔버(24) 내에 압력을 축적하도록 작용한다. 이 상황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응축수 레벨이 최대 충전 레벨(A)에 도달하였으며, 다이아프램(54)은 혼합물 입구(55)를 폐쇄한다.
도 3 및 도 4는 다이아프램 밸브(50)의 작동 모드를 개략도로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탄성 다이아프램(54)에 의해 서로 분리된 2개의 챔버(52, 53)는 명백히 밸브 하우징(51) 내에 있다. 정상 작동 시(도 3), 상기 다이아프램(54)은 혼합물 입구(55)가 개방되고 또한 응축수가 상기 혼합물 입구(55)로부터 혼합물 챔버(53)를 통해 그리고 혼합물 출구(56)로부터 유동할 수 있도록 위치된다. 제어 공기(14)가 제어 공기 입구(58) 내로 도입되었다면, 압력이 제어 공기 챔버(52) 내에 축적되고, 이로 인해 다이아프램(54)이 먼저 혼합물 입구(55)에 대해 가압되고, 그에 따라 혼합물 입구를 밀봉한다. 상기 제어 공기는 제어 공기 출구(57)를 빠져나오며, 따라서 헤드 하우징의 챔버에 압력을 축적한다.
상기 제어 공기(14)는 다양한 조건 하에서 상기 제어 유닛(60)에 의해 다시 오프로 절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축수 레벨이 더 낮은 충전 레벨(B)에 도달되었다면, 제어 공기는 오프로 절환될 수 있다. 제어 공기(14)가 오프로 절환되었다면, 상기 다이아프램(54)은 그 본래의 위치(도 1)로 복귀하여, 혼합물 입구(55)를 차단하지 않으므로, 새로운 응축수(11)가 챔버(24) 내로 유동할 수 있다. 응축수 레벨이 다시 충전 레벨(A)까지 상승하였다면, 압력에 의한 충전이 다시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상 작동 및 압력에 의한 충전이 계속적으로 교대된다. 따라서 응축수의 레벨이 지점(A, B) 사이에서 이동한다.
또한, 심지어 압력에 의한 충전 중에도, 챔버(24)에서의 응축수 레벨이 더 낮은 충전 레벨(B)에 도달하지 않는다면, 즉 이 레벨 위로 유지된다면, 제어 유닛(60) 상에 에러 통지가 발행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필터(30)가 차단되고 및/또는 다이아프램 밸브(50)가 결함이 있음을 제시한다.
경험 값이 챔버(24)에서의 충전 레벨이 이 주기 후에 레벨(B)에 대응하는 소정의 레벨로 떨어졌음을 나타낸다면, 제어 공기(14)는 예를 들어 소정의 주기 후에 오프로 절환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레벨이 다시 증가하는 경우에는 압력에 의한 다른 충전이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 있어서, 오직 레벨(A)만 정의되어야만 하며, 또한 타이머 제어가 실현되어야만 한다.
또한, 최소 충전 레벨(C)이 정의될 수 있으며, 그 아래로는 응축수 레벨이 떨어지지 않아야 한다. 이는 레벨(B)의 아래에, 따라서 A 와 B 사이의 동작 범위 아래에 놓인다. 제어 공기가 오프로 절환됨에도 불구하고, 응축수 레벨이 이 최소 충전 레벨(C) 아래로 떨어진다면, 이는 제어 공기(14)의 솔레노이드 밸브(62)가 예를 들어 결함이 있고, 또한 제어 공기가 여전히 다이아프램 밸브(50) 내로 유동하고 있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도 제어 유닛(60) 상에 에러 통지가 출력될 수도 있는데, 왜냐하면 그렇지 않으면 용기가 다 소모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선택적인 지점(C)이 경보 지점을 구성한다.
상기 제어 유닛(60)이 서비스 통지를 출력하는 것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소정 횟수의 사이클에 도달되었거나 또는 사이클의 주기가 너무 길어지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이클은 압력 충전에 의한 작동, 즉 예를 들어 레벨(A, B) 사이의 작동을 구성한다. 서비스 간격이 경과하였다면(예를 들어, 6개월), 서비스 통지가 출력될 수도 있다.
압력 충전에 의한 작동은 유지보수 목적을 위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대응의 서비스 명령이 유지보수 요원에 의해 제어 유닛(60)에 입력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전술한 제어 공기(14)의 공급을 유발하는 제어 명령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카트리지인 경우, 메인 필터(30)가 압착되어 비워지고, 그후 교체된다. 이를 위해, 입구 포트(32) 및 출구 포트(33) 상의 나사 연결이 풀리고, 상기 메인 필터(30)는 나사결합이 풀려, 새로운 필터가 나사결합된다. 이와는 달리, 이를 위해 상기 챔버(24)가 펌프에 의해 빈 상태로 펌핑되었다면, 역류로 인해 응축수가 필터로부터 흡입될 수 있다. 이는 연결 개구(23)의 영역에 다른 밸브를 요구할 것이다.
유체 정역학적 원리에 따라 작동하는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 내의 유압 레벨은, 센서 레벨(A, B, C)과는 구별되어야만 한다. 유압 레벨은 수집 드레인(71)의 오일 배출부 상에서 상기 필터 위의 응축수 레벨로 인해, 출구 개구(42)의 응축수 배출부 상에 생산된다.
본 발명의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사용된 밸브는 단지 예를 구성할 뿐이며, 이들 및 다른 밸브는 각각의 용도에 적합한 임의의 다른 종류의 밸브에 의해서도 형성된다.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밸브(72)는 다이아프램 밸브(50)처럼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볼 밸브(ball valve),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slide gate valve), 핀치 밸브(pinch valve), 등과 같은 다른 타입의 밸브가 두 밸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는 정상 작동 시 본 발명에 따른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10')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10')의 필수적인 부품 및 기능은, 도 1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부품 및 기능에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밸브(50)는 전술한 기능을 갖는 다이아프램 밸브로서 구성되지 않는다. 오히려, 응축수의 제2 챔버(24) 내로의 공급이 제어될 수 있는 다른 타입의 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응축수(11)는 여전히 압력 방출 챔버(21)로부터 밸브(50)를 통해 제2 챔버(24) 내로 유동하며, 상기 밸브(50)는 응축수(11')가 레벨(A)에 도달하였다면, 특히 제어 공기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 공기 입구(58)는 이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제어 공기의 일부가 밸브(50)에 안내되도록 분기된다. 추가적인 제어 공기는 제2 챔버(24)에 도달하기 전에 먼저 트로틀링 수단(65)에 공급되어, 그곳의 압력을 증가시킨다. 이런 방식으로, 제어 공기에 대한 감압이 챔버 내에서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디바이스의 제어 공기가 이미 원하는 압력으로 공급될 수 있거나 또는 트로틀링이 다른 위치에서 발생하였다면, 이 감압이 분배될 수도 있다.
상기 밸브(50)는 제어 공기가 오프로 절환되었을 때 다시 개방되도록 바람직하게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밸브는, 예를 들어 밸브가 개방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 유닛(60)에 의해 활성화될 수도 있다. 제어 유닛(60)에 의해 밸브(50)의 폐쇄를 트리거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10, 10':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
11: 처리될 오일/물 혼합물, 응축수
11': 유리 오일 함량의 분리에 이은, 오일/물 혼합물, 응축수
11": 메인 필터 통과 후의 응축수
12: 방출 공기 출구
13: 유리 유분
14: 공기 공급부, 제어 공기
20: 하우징, 헤드 하우징
21: 제1 챔버, 압력 방출 챔버
22: 입구 개구
23: 연결 개구
24: 제2 챔버
25: 필터 매트
30: 메인 필터
31: 흡착 필터 재료
32: 입구 포트
33: 출구 포트
40: 라이저 파이프
41: 통기구
42: 출구 개구
50: 밸브, 다이아프램 밸브
51: 밸브 하우징
52: 제어 공기 챔버
53: 혼합물 챔버
54: 다이아프램
55: 혼합물 입구
56: 혼합물 출구
57: 제어 공기 출구
58: 제어 공기 입구
60: 제어 유닛
62: 밸브, 솔레노이드 밸브
63: 압축 공기 공급부
64: 센서 수단, 충전 레벨 센서
65: 트로틀
70: 수집 용기, 캐니스터(canister)
71: 수집 드레인
72: 밸브, 솔레노이드 밸브
A: 최대 충전 레벨
B: 충전 레벨
C: 최소 충전 레벨
11: 처리될 오일/물 혼합물, 응축수
11': 유리 오일 함량의 분리에 이은, 오일/물 혼합물, 응축수
11": 메인 필터 통과 후의 응축수
12: 방출 공기 출구
13: 유리 유분
14: 공기 공급부, 제어 공기
20: 하우징, 헤드 하우징
21: 제1 챔버, 압력 방출 챔버
22: 입구 개구
23: 연결 개구
24: 제2 챔버
25: 필터 매트
30: 메인 필터
31: 흡착 필터 재료
32: 입구 포트
33: 출구 포트
40: 라이저 파이프
41: 통기구
42: 출구 개구
50: 밸브, 다이아프램 밸브
51: 밸브 하우징
52: 제어 공기 챔버
53: 혼합물 챔버
54: 다이아프램
55: 혼합물 입구
56: 혼합물 출구
57: 제어 공기 출구
58: 제어 공기 입구
60: 제어 유닛
62: 밸브, 솔레노이드 밸브
63: 압축 공기 공급부
64: 센서 수단, 충전 레벨 센서
65: 트로틀
70: 수집 용기, 캐니스터(canister)
71: 수집 드레인
72: 밸브, 솔레노이드 밸브
A: 최대 충전 레벨
B: 충전 레벨
C: 최소 충전 레벨
Claims (16)
- 오일/물 혼합물로부터 오일-함유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10; 10')로, 오일/물 혼합물로부터 오일-함유 성분을 분리하도록 설계된 메인 필터(30)를 포함하며, 정화될 오일/물 혼합물은 상기 메인 필터(30)에 공급되고, 또한 상기 메인 필터(30)를 통과한 후 상기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10; 10')로부터 제거되며, 상기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10; 10')는 유체 정역학적 원리에 따라 이들 액체의 공급 및 제거를 위해 구성되고,
상기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10; 10')는 제어 공기(14)로 상기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10; 10')를 일시적으로 충전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60)을 가지며, 오일/물 혼합물은 과압에 의해 상기 메인 필터(30)를 통해 가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 - 청구항 1에 있어서,
오일/물 혼합물 충전 레벨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제어 유닛(60)에 연결되는 센서 수단(64)은, 상기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10; 10')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60)은, 미리 결정된 오일/물 혼합물 충전 레벨(A)이 상기 센서 수단(64)에 의해 검출되면, 제어 공기(14)로 상기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10; 10')를 일시적으로 충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 -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60)은, 미리 결정된 오일/물 혼합물 충전 레벨(B)이 상기 센서 수단에 의해 검출되면, 제어 공기(14)로 상기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10; 10')를 충전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60)은 상기 제어 유닛(60)에 대한 제어 명령에 따라, 제어 공기(14)로 상기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10; 10')를 충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오일/물 혼합물의 상기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10; 10') 내로의 공급은, 제어 공기(14)로 충전할 동안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10; 10')는 하우징(20), 상기 하우징(20) 내의 챔버(24) 내에 상기 오일/물 혼합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오일/물 혼합물을 상기 챔버(24)로부터 상기 메인 필터(30) 내로 전달하기 위한 연결 개구(23)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60)은 제어 공기(14)로 상기 챔버(24)를 일시적으로 충전하도록 구성되고, 그 동안 제어 공기(14)는 상기 오일/물 혼합물이 과압에 의해 상기 챔버(24)로부터 상기 연결 개구(23)를 통해 상기 메인 필터(30) 내로 가압되는 방식으로, 상기 하우징(20) 내의 상기 챔버(24) 내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공기(14) 및 상기 오일/물 혼합물은 다이아프램 밸브(50)를 통해 상기 하우징(20)의 상기 챔버(24) 내로 안내되고, 상기 다이아프램 밸브(50)는 다이아프램(54)에 의해 분리되는 제어 공기 챔버(52)와 혼합물 챔버(53)를 가지며, 상기 다이아프램 밸브(50)는 상기 혼합물 챔버(53) 내로 오일/물 혼합물을 공급하기 위한 혼합물 입구(55), 상기 제어 공기 챔버(52) 내로 제어 공기(14)를 공급하기 위한 제어 공기 입구(58), 오일/물 혼합물(11)을 상기 혼합물 챔버(53)로부터 상기 하우징(20)의 상기 챔버(24) 내로 제거하기 위한 혼합물 출구(56), 및 상기 제어 공기(14)를 상기 제어 공기 챔버(52)로부터 상기 하우징(20)의 상기 챔버(24) 내로 제거하기 위한 제어 공기 출구(57)를 가지며, 상기 혼합물 입구(55)는 제어 공기(14)로 상기 제어 공기 챔버(52)를 충전함으로써 상기 다이아프램(54)에 의해 폐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 밸브(50)의 상기 제어 공기 출구(57)는 상기 제어 공기 입구(58)보다 더 작은 개구 횡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 - 청구항 8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다이아프램 밸브(50)에 대한 오일/물 혼합물의 공급은, 제어 공기로 상기 하우징(20)의 상기 챔버(24)를 충전할 동안, 상기 제어 유닛(60)에 의해 차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3-1 바아, 특히 약 0.5 바아 크기의 과압을 갖는 제어 공기(14)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 -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은 입구 개구(22)를 가지며, 오일/물 혼합물이 입구 개구(22)를 통해 하우징(20) 내의 압력 방출 챔버(21) 내로 안내될 수 있고, 상기 오일/물 혼합물이 입구 개구(22)로부터 상기 하우징(20)의 상기 챔버(24) 내로 안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 - 청구항 12 및 청구항 8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방출 챔버(21)는 상기 혼합물 입구(55)를 통해 상기 다이아프램 밸브(50)의 상기 혼합물 챔버(53)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 -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0)의 상기 챔버(24)에서 상기 오일/물 혼합물 상에 부유하는 유리 유분(13)은, 수집 드레인(71)을 통해 상기 챔버(24)로부터 배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수집 드레인(71)은, 제어 공기(14)로 상기 챔버(24)를 충전할 동안, 상기 제어 유닛(6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 - 청구항 7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필터(30)는 상기 하우징(20)에 일시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 카트리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물 분리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02015112092.5A DE102015112092B4 (de) | 2015-07-24 | 2015-07-24 | Öl/Wasser-Trennvorrichtung mit Druckluftbeaufschlagung |
DE102015112092.5 | 2015-07-24 | ||
PCT/EP2016/067516 WO2017017008A1 (de) | 2015-07-24 | 2016-07-22 | Öl/wasser-trennvorrichtung mit druckluftbeaufschlagu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33191A true KR20180033191A (ko) | 2018-04-02 |
KR102113930B1 KR102113930B1 (ko) | 2020-06-03 |
Family
ID=56940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02076A KR102113930B1 (ko) | 2015-07-24 | 2016-07-22 | 압축 공기 충전부를 구비한 오일/물 분리기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10722817B2 (ko) |
EP (1) | EP3325124A1 (ko) |
JP (1) | JP6860549B2 (ko) |
KR (1) | KR102113930B1 (ko) |
CN (1) | CN107921329A (ko) |
DE (1) | DE102015112092B4 (ko) |
WO (1) | WO201701700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881704B2 (en) * | 2015-01-28 | 2018-01-30 | Nuscale Power, Llc | Containment vessel drain system |
DE102017106848A1 (de) * | 2017-01-20 | 2018-07-26 | Beko Technologies Gmbh | Öl/Wassertrennvorrichtung mit statischer Druckbeaufschlagung |
CN108421281B (zh) * | 2018-03-30 | 2020-11-24 | 湖南凯美特气体股份有限公司 | 一种排出在线操作的容器内的两相分层液体的装置 |
DE102020133106A1 (de) | 2020-12-11 | 2022-06-15 | Beko Technologies Gmbh | Filtereinheit und Bodeneinheit einer Öl/Wasser-Trennvorrichtung zum Entfernen ölhaltiger Bestandteile aus einem Öl/Wasser-Gemisch |
CN112933664A (zh) * | 2021-01-29 | 2021-06-11 | 云南电网有限责任公司电力科学研究院 | 一种变压器油中水分过滤设备及使用方法 |
CN113244663B (zh) * | 2021-06-24 | 2021-09-17 | 山东尚能实业有限公司 | 一种石油化工炼油用油水分离装置 |
CN115382364B (zh) * | 2022-11-01 | 2023-03-10 | 杭州嘉隆气体设备有限公司 | 一种智能化冷冻式压缩空气干燥器及使用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11407A (ja) * | 1996-12-03 | 1998-08-11 | Atlas Copco Airpower Nv | 凝縮物よりの油分離式コンプレッサ設備及び同設備に用いる凝縮物よりの油分離装置 |
JP2004500228A (ja) * | 1998-05-12 | 2004-01-08 | アトラス コプコ エアーパワー,ナームローゼ 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 比重の異なる、混合しない二つの液体を分離する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L92238A (en) | 1989-11-07 | 1995-07-31 | Yissum Res Dev Co | ADMN blocking product containing tetrahydrocannabinol history, several new tetrahydrocannabinol historie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
US5039425A (en) * | 1990-01-11 | 1991-08-13 | Deltech Engineering, L.P. | Purification of compressed air discharge condensate |
DE4216961A1 (de) * | 1992-05-22 | 1993-11-25 | Berthold Koch | Vorrichtung zum Trennen von Öl und Wasser |
JP3945553B2 (ja) | 1998-07-27 | 2007-07-18 | 三菱電機株式会社 | 断熱箱体 |
JP4262568B2 (ja) * | 2003-10-22 | 2009-05-13 |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 油水分離装置 |
DE102006009542A1 (de) | 2005-03-19 | 2006-09-21 | Beko Technologies Gmbh | Abscheidevorrichtung |
JP5229764B2 (ja) * | 2005-12-15 | 2013-07-03 | 独立行政法人海上技術安全研究所 | 油水分離装置 |
CN102770518B (zh) * | 2010-02-26 | 2014-12-03 | 贝科技术有限公司 | 油/水过滤装置 |
CN204411776U (zh) * | 2015-01-22 | 2015-06-24 | 内蒙古包钢钢联股份有限公司 | 一种含除油装置的水压试验机低压水罐 |
-
2015
- 2015-07-24 DE DE102015112092.5A patent/DE102015112092B4/de active Active
-
2016
- 2016-07-22 US US15/578,036 patent/US10722817B2/en active Active
- 2016-07-22 JP JP2018503600A patent/JP6860549B2/ja active Active
- 2016-07-22 WO PCT/EP2016/067516 patent/WO2017017008A1/de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07-22 EP EP16766488.7A patent/EP3325124A1/de active Pending
- 2016-07-22 KR KR1020187002076A patent/KR10211393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7-22 CN CN201680043544.3A patent/CN107921329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0211407A (ja) * | 1996-12-03 | 1998-08-11 | Atlas Copco Airpower Nv | 凝縮物よりの油分離式コンプレッサ設備及び同設備に用いる凝縮物よりの油分離装置 |
JP2004500228A (ja) * | 1998-05-12 | 2004-01-08 | アトラス コプコ エアーパワー,ナームローゼ フェンノートシャップ | 比重の異なる、混合しない二つの液体を分離する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7017008A1 (de) | 2017-02-02 |
KR102113930B1 (ko) | 2020-06-03 |
DE102015112092B4 (de) | 2022-03-10 |
CN107921329A (zh) | 2018-04-17 |
JP6860549B2 (ja) | 2021-04-14 |
EP3325124A1 (de) | 2018-05-30 |
JP2018525215A (ja) | 2018-09-06 |
US10722817B2 (en) | 2020-07-28 |
DE102015112092A1 (de) | 2017-01-26 |
US20180161698A1 (en) | 2018-06-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033191A (ko) | 압축 공기 충전부를 구비한 오일/물 분리기 | |
US7329347B2 (en) | Separating device | |
CA2023782C (en) | Purification of compressed air discharge condensate | |
KR20190104162A (ko) | 압축 공기 충전에 의한 오일/물 분리 장치 | |
JP5784046B2 (ja) | 油水ヘドロ分離装置 | |
JP2006263725A5 (ko) | ||
CA2582585A1 (en) | Cartridge separator for immiscible liquids | |
JPH0817887B2 (ja) | 凝結分離器 | |
CN114746160A (zh) | 用于从流体流中分离较低密度液体的分离器 | |
GB2435226A (en) | Separation apparatus and method | |
JP2004098044A (ja) | 油水分離装置 | |
JP3046519B2 (ja) | 空気圧縮装置 | |
JP4262568B2 (ja) | 油水分離装置 | |
WO2009011660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eparation of grease and like contaminants | |
WO2005105258A1 (en) | Method of filtering and apparatus therefor | |
DE19743397A1 (de) | Vorrichtung zur Kondensatrückführung in Gasströmen | |
JPH06304405A (ja) | 油水分離装置の構造 | |
DE281595C (ko) | ||
JPH10159739A (ja) | ドレン蓄溜送出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