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04162A - 압축 공기 충전에 의한 오일/물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압축 공기 충전에 의한 오일/물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04162A
KR20190104162A KR1020197021055A KR20197021055A KR20190104162A KR 20190104162 A KR20190104162 A KR 20190104162A KR 1020197021055 A KR1020197021055 A KR 1020197021055A KR 20197021055 A KR20197021055 A KR 20197021055A KR 20190104162 A KR20190104162 A KR 20190104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hamber
water
separation device
control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1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스테든 요하네스
Original Assignee
베코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코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베코 테크놀로지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104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41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4Breaking emulsions
    • B01D17/045Breaking emulsions with coalesc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4Breaking emulsions
    • B01D17/044Breaking emulsions by changing the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8Thickening liquid suspensions by filtration
    • B01D17/10Thickening liquid suspensions by filtration with stationary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12Auxiliary equipment particularly adapted for use with liquid-separating apparatus, e.g. control circu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6Filtration; Moisture s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30Organic compounds
    • C02F2101/32Hydrocarbons, e.g. oi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물 혼합물로부터 오일-함유 성분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오일/물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오일/물 분리 장치는 오일/물 혼합물로부터 오일-함유 성분을 분리하도록 구성된 메인 필터(30)를 포함하며, 정화될 오일/물 혼합물은 상부 하우징(20)으로부터 응축수 라인(82)을 통해 상기 메인 필터(30)에 공급되어, 상기 메인 필터(30)를 통과한 후 상기 오일/물 혼합물 장치(10; 10')로부터 제거되며, 상기 오일/물 분리 장치(10; 10')는 정수 원리에 따라 이들 액체를 공급 및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 하우징(20)은 상기 메인 필터(30) 위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20)과 상기 메인 필터(30) 사이의 거리는 상기 메인 필터(30) 상에 적어도 0.05 바아의 정수압으로 나타나도록 선택된다.

Description

압축 공기 충전에 의한 오일/물 분리 장치
본 발명은, 오일/물 혼합물로부터 오일-함유 성분을 분리하도록 구성된 메인 필터를 포함하는, 오일/물 혼합물로부터 오일-함유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오일/물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타입의 오일/물 분리 장치는 공기 압축기와 관련하여 자주 사용된다. 공기 압축기는 주위 공기를 흡입하고 압축함으로써 압축 공기를 생성한다. 이런 공정에 있어서, 주위 공기에 포함된 공기 습기는 물리적인 이유로 인해, 또한 건조한 압축 공기로 인해, 응축수(condensate)로서 축적된다. 오일/물 혼합물인 이런 응축수는, 공기 압축기로부터의 추가된 윤활유 함량으로 인해 공공 하수도로 배출되는 것이 가장 빈번하게 허용되지 않는 폐수가 되는데, 그 이유는 이런 응축수가 탄화수소 농도 한계를 초과하기 때문이다.
흡입 공기의 60 m3/h 의 체적 유량이 주어지면, 전형적으로 240 mg/h 오일로 충전된 1.23 l/h의 대부분 불연속적인 응축수 흐름이 생성될 수 있다. 이는 응축수의 리터당 195 mg의 오일에 해당한다. 이들 값은, 예를 들어 기후 조건(주위 온도 및 습도), 압축기에서 사용되는 오일의 타입, 및 압축기의 구성과 작동 모드를 포함하는 다양한 파라미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물과 윤활제 사이의 결합은 변할 수도 있으며, 또한 오일과 물의 혼합물로부터 분산액(dispersion)과 에멀젼(emulsion)까지의 범위에 속한다. 그러나 위생 하수도 내로 배출되는 허용값은 10-20 mg/l 정도이며, 일부는 5 mg/l(오일/응축수)이다. 따라서 폐수의 99.5%가 주위 공기 습기로부터의 물이더라도, 폐기물 처리 회사에 의해 폐기되어야만 하는 특수 폐기물이 생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응축수를 처리하기 위한 오일/물 분리기(separator)의 사용이 알려져 있다. 이런 경우에,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오일/물 분리기의 목적은, 응축수가 배출될 수 있도록 현장에서 응축수를 처리하는 것이며, 즉 비용 효율적인 방식으로 물로부터 유분(oil fraction)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런 설계의 알려진 장치는, 일반적으로 물의 원하는 순도를 달성하기 위해 여러 개의 분리 단계를 이용한다. 상기 공정에 있어서, 응축수는 압력 릴리프 요소(pressure relief element)를 통해 예비-분리기 내로 전형적으로 천천히 배출되며, 따라서 난류가 거의 없다. 전자는 중력 분리의 원리에 따라 동작되며, 또한 무거운 퇴적 오염물(1 kg/dm3 보다 큰 밀도) 및 유리 유분(free oil fraction)의 부유물(1 kg/dm3 보다 작은 밀도)의 침전을 제공한다. 이들 유분은 그 후 수집 용기를 향해 흐른다. 제2 단계에서, 미세한 오일 액 적(液滴)(droplet)이 흡착 필터에 의해 응축수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흡착 필터는 자주 친유성(oleophilic) 재료 및 매우 큰 내면을 구비한 활성탄(active carbon)에 기초한다.
오일/물 분리기에 따른 또 다른 설계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는 유리 유분과 함께 흡착 필터를 통해 공급되며, 상기 흡착 필터는 다시 응축수 표면 상을 부유하여, 여기에 침전되는 유분(1 kg/dm3 보다 큰 밀도)을 흡수한다. 이러한 오일/물 분리기는, 예를 들어 DE 10 2006 009 542 A1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런 오일/물 분리기의 설계는, 대응하는 수주(water column)의 원리에 따라 동작되며, 처리된 응축수는 새로운 응축수가 유입되는 양과 동일한 양으로 하수도를 향해 순수(純水)(pure-water) 출구에서 장치를 떠난다.
이러한 오일/물 분리기에 있어서, 수집된 유리 오일 및 오일-포화 필터는 일반적으로 열적으로 이용되지만, 그러나 처리될 수도 있다. 강하게 분산되었거나 또는 심지어 에멀젼화된 응축수는 이들 장치에서는 처리될 수 없으며, 일반적으로는 보다 정교한 방법, 예를 들어 다이어프램, 증발, 또는 분해 공정에 의해 처리된다.
이러한 오일/물 분리기의 작동 시, 상층의 포화로 인해, 또는 생물학적 점액층(slimy layer)의 형성으로 인해, 필터의 흐름 저항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종종 있다. 따라서 범람(overflowing) 또는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필터의 용량이 아직 완전히 소모되지 않았더라도, 필터가 조기에 바뀌어야만 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WO 2011/104368 A1호에서는, 점액질과 같은 기질을 분리하기 위한 기계적 분리 장치, 및 상기 필터를 통해 응축수를 흡입하고 이에 따라 흐름 저항을 극복하는 전기 펌프를 제공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런 작동은 응축수가 있으면 발생하게 되며, 또한 전자식 레벨 검출 수단을 통해 제어된다. 원칙적으로, 필터를 통과하는 흐름은 오직 펌프를 통해서만 실시되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은 장점을 수반하지만 그러나 에너지 비용의 증가가 수반된다. 펌프의 유지 보수뿐만 아니라 구매에 대한 추가 비용이 초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면서도 적은 에너지 소비로 작동될 수 있는 오일/물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오일/물 분리 장치는 제조 비용이 저렴하고 유지 보수 및 서비스 비용이 저렴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이런 목적은 독립 청구항 1에 따른 오일/물 분리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장치의 유리한 실시예는 종속항으로부터 명백해진다.
청구범위에서 개별적으로 언급된 특징들은 기술적으로 의미 있는 임의의 방식으로 서로 조합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낼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특히 도면과 관련하여, 본 발명을 추가로 특징화하고 구체화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일/물 분리 장치는 오일/물 혼합물로부터 오일-함유 성분을 제거하는 데 적합하며, 상기 오일/물 혼합물은 특히 공기 압축기의 응축수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장치는 유사한 오일/물 혼합물의 처리에도 적합하며, "오일/물 혼합물" 및 "응축수"라는 용어는 본 발명의 기재 시에만 동의어로 사용된다.
상기 장치는 오일/물 혼합물로부터 오일-함유 성분을 분리하도록 구성된 메인 필터를 포함하며, 정화될 오일/물 혼합물은 상기 메인 필터로 공급되고, 상기 메인 필터를 통과한 후 오일/물 분리 장치로부터 제거된다. 이런 경우에, 오일/물 분리 장치는 정수 원리(hydrostatic principle)에 따라 이들 액체를 공급 및 제거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처리된 응축수는, 대응하는 수주의 원리에 따라, 새로운 응축수가 장치 내로 유입되는 양과 동일한 양으로 장치를 떠난다. 이런 원리는 알려진 다양한 방식, 특히 대응하도록 구성된 용기 및 라이저 파이프(riser pipe)로 실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정상 작동 시, 정수 원리에 따라 알려진 방식으로 배타적으로 작동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지만; 그러나 증가된 정수압(hydrostatic pressure)으로 인해, 흐름 저항이 증가되는 조건에 특히 적합하다. 그 결과, 상기 분리 장치가 범람으로부터 효과적으로 그리고 간단하게 방지되며; 흐름 저항이 증가되었더라도, 필터를 통한 오일/물 혼합물의 통과가 유지될 수 있다. 이는 분리 장치의 높은 작동 수명으로 나타난다. 이는 정기 유지 보수 기간이 예약되었지만 그러나 정기 유지 보수 날짜 사이에 필터 요소의 교체를 피해야 하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본 발명에 의해, 상기 장치의 작동은 차후 유지 보수 기간까지 유지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상기 장치는 추가적인 에너지 공급 없이 작동될 수 있으며, 또한 오일/물 혼합물로부터 오일-함유 성분을 연속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정교한 밸브 시스템이 요구되지 않는다는 사실이 중요한 이점이다. 정수압 충전이 영구적으로 실시되기 때문에, 전체 작동 시간에 대해 흐름이 보장된다.
상기 정수압 충전이 저압 범위에서 실시되었다면, 즉 상기 메인 필터 상에 작동하는 정수압이 1 바아(bar) 미만, 바람직하게는 0.5 바아 미만이었다면, 특히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특히, 0.05 내지 0.5 바아,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3 바아,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3 바아의 정수압이 합리적이고 충분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상이한 양의 응축수가 생성됨으로 인해, 충전도 및 이에 따른 장치 내의 충전 레벨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되거나 감소되기 때문에, 작동 중에는 어쨌든 정수압이 변동된다.
전형적으로 발생하는 흐름 저항을 극복하고 또한 필터를 통해 상기 응축수를 가압하기 위해서는, 최대 0.5 바아의 과압이 충분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또한, 유럽 연합의 압력 설비 지침(Pressure Equipment Directive)(PED)의 관점에서는 상기 오일/물 분리 장치가 압력 용기로서 간주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런 수치의 과압이 유리하다. 그렇지 않다면, 상기 오일/물 분리 장치는 이런 지침의 특별한 요구 사항을 준수해야만 한다.
메인 필터 상에 작동하는 응축수의 정수압은, 실질적으로 상기 장치의 기하학적 치수에 영향을 받는다. 상기 메인 필터는 상부 하우징의 아래에 배치된 메인 필터 하우징에 위치된다. 상부 하우징과 메인 필터 하우징은, 응축수 라인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상부 하우징과 메인 필터 하우징 사이의 거리, 및 이에 따른 응축수 라인의 길이는, 메인 필터 상에 작동하는 정수압과 관련하여 매우 중요하다. 응축수 라인 1 m의 높이 또는 1 m의 길이는 상기 메인 필터 상에 약 0.1 바아의 정수압을 유발시킨다. 궁극적으로, 상기 거리의 선택 및 조정에 의해, 상기 장치에 동작하는 소망의 정수 과압(hydrostatic overpressure)이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의 특히 바람직한 변형예에 있어서, 상기 응축수 라인은 길이가 가변적이도록 구성되므로, 길이의 조정 및 이에 따른 정수압의 조정이 현장에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응축수 라인은 서로의 내부로 가압될 수 있는 라인 섹션을 구비한 신축성 라인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길이 조정이 가능한 나선형 호스를 구비한 구성이 고려될 수도 있다.
정상 작동 시, 상기 분리 장치는 따라서 오직 정수압만을 사용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오일/물 분리 장치는, 상기 오일/물 분리 장치를 제어 공기로 일시적으로 충전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오일/물 혼합물은 심지어 더 높은 과압에 의해 상기 메인 필터를 통해 가압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상기 필터를 통해 응축수를 가압하기 위해, 이러한 압력 충전이 발생할 수도 있다. 필터의 흐름 저항이 더욱 증가하였다면, 이것이 특히 필요하다.
필터의 증가된 흐름 저항을 검출하기 위해, 상기 제어 유닛에 연결된 오일/물 혼합물 충전 레벨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 수단이 오일/물 분리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필터의 흐름 저항이 높아졌다면, 장치의 응축수 충전 레벨도 높아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소정의 오일/물 혼합물 충전 레벨(A)이 상기 센서 수단에 의해 검출되었다면, 상기 오일/물 분리 장치를 제어 공기로 일시적으로 충전하도록 구성된다. 이런 충전 레벨(A)은 가능한 한 초과되어서는 안 되는, 최대 응축수 충전 레벨을 구성한다.
이런 경우에, 상기 제어 유닛은 다양한 평가 및 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사용자와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제어 유닛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및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 유닛은, 제어 유닛으로의 제어 명령 때문에, 상기 오일/물 분리 장치를 제어 공기로 충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는, 필요하다면, 특히 장치의 유지 보수 중 비어 있는 필터를 압착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런 기능은 교체 가능한 필터 카트리지가 사용되는 경우에 유리한 데, 그 이유는 예를 들어 필터 카트리지가 나사분리되기 전에 응축수가 오일/물 분리 장치로부터 대부분 제거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 않다면, 필터 카트리지가 교체될 때, 많은 액체가 장치 밖으로 배출되거나, 또는 이런 상태가 대응의 조치로 방지되어야만 한다.
상기 제어 유닛은, 소정의 오일/물 혼합물 충전 레벨(B)이 상기 센서 수단에 의해 검출되었다면, 오일/물 분리 장치를 제어 공기로 다시 충전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런 충전 레벨(B)은 최대 충전 레벨(A)보다 낮으며, 도달되었다면 압력 충전이 종료되는 레벨을 구성한다. 제어 공기가 오프로 절환되었다면, 응축수가 다시 흐를 수 있고, 그리고 압력 충전 공정이 다시 실시될 때까지 충전 레벨을 다시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2가지 작동 모드가 교대로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상기 장치의 동작 범위는 레벨(A)과 레벨(B) 사이이다.
충전 레벨(B)의 아래에 있는 또 다른 충전 레벨(C)은, 선택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런 레벨(C)은 낮은 경보 지점을 구성하는데, 그 이유는 충전 레벨이 이런 레벨 아래로는 떨어지지 않아야 하기 때문이다. 응축수 레벨이 상기 레벨(C) 아래로 떨어졌다면, 다양한 조치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보가 출력될 수 있으며 및/또는 상기 장치가 자동으로 오프로 절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일/물 분리 장치 내로 오일/물 혼합물의 공급은, 제어 공기로 충전할 동안에는 정지된다. 이런 방식으로, 제어 공기가 달리 탈출할 수 있는 대응의 공급부는 타이트하게 밀봉될 수 있다. 오일/물 분리 장치의 구성에 따라, 이는 상기 제어 공기에 의한 과압을 발생시키는 데 필수적이거나 또는 적어도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일/물 분리 장치는 상부 하우징, 상기 오일/물 혼합물을 상부 하우징 내의 챔버 내로 공급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오일/물 혼합물을 상기 챔버로부터 메인 필터 내로 전달하기 위한 연결 개구를 포함한다. 제어 유닛은 상기 챔버를 제어 공기로 일시적으로 충전하도록 구성되며, 그 동안에는 상기 제어 공기는, 상기 오일/물 혼합물이 과압에 의해 상기 챔버로부터 상기 연결 개구를 통해 메인 필터 내로 가압되는 방식으로, 상기 상부 하우징 내의 챔버 내로 이동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일/물 혼합물의 챔버 내로의 공급은 공정에서는 정지된다.
챔버에 과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 공기의 공급은, 상이한 방식 및 상이한 밸브로 실시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이런 경우에는 제어 공기를 위한 공급 파이프, 및 응축수 위의 챔버에 과압을 축적할 수 있도록 상기 챔버의 다른 개구가 밀봉될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공기 및 오일/물 혼합물은, 예를 들어 상이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고, 특히 제어 공기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공통 다이어프램 밸브를 통해, 상부 하우징의 챔버 내로 이동된다. 예를 들어, 상기 다이어프램 밸브는 이런 목적을 위해 제어 공기 챔버 및 혼합물 공기 챔버를 가지며, 이들은 다이어프램에 의해 서로 분리되어 있다. 상기 다이어프램 밸브는 혼합물 챔버 내로 오일/물 혼합물을 공급하기 위한 혼합물 입구, 및 상기 제어 공기 챔버 내로 제어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어 공기 입구를 추가로 가지며, 상기 오일/물 혼합물을 혼합물 챔버로부터 상부 하우징 내의 챔버 내로 제거하기 위한 혼합물 출구, 및 제어 공기를 제어 공기 챔버로부터 상부 하우징의 챔버 내로 제거하기 위한 제어 공기 출구도 제공된다. 이런 밸브의 혼합물 입구는, 다이어프램에 의해 상기 제어 공기 챔버를 제어 공기로 충전함으로써 폐쇄될 수 있다. 이런 밸브에 의해, 제어 공기는 제어 공기 챔버를 통해 상부 하우징의 챔버 내로 흐름으로써 상부 하우징의 챔버 내로 이동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다이어프램 밸브로의 혼합물 입구를 폐쇄하는 방식으로 다이어프램을 이동시키는 제어 공기에 의해, 상부 하우징의 챔버 내로의 응축수의 추가적인 흐름이 정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어프램은 공기가 이를 통해 탈출할 수 없도록, 상기 혼합물 입구도 밀봉한다.
다이어프램을 활성화하기 위해 제어 공기가 제어 공기 챔버에 충분한 압력을 축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이어프램 밸브의 제어 공기 출구는 제어 공기 입구보다 작은 개구 횡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어 공기는 먼저 제어 공기 챔버에 압력을 신속히 축적하고, 상기 상부 하우징의 챔버 내에 과압을 계속 축적하기 전에, 다이어프램을 이동시킨다.
제어 공기로 충전할 동안, 오일/물 혼합물의 다이어프램 밸브로의 공급이 상기 다이어프램에 의해 차단될 수 있더라도, 이는 정화될 혼합물의 오일/물 분리 장치 또는 다이어프램 밸브로의 공급의 일반적인 차단으로 보완될 수도 있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다이어프램 상의 혼합물의 압력이 너무 높아져 다시 개방될 수 있다.
과압의 제어 공기가 적절히 사용되며, 상기 과압은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과압은 0.3-1 바아, 특히 약 0.5 바아 정도이다. 상기 오일/물 분리 장치가 높은 압력으로 압축 공기 파이프에 연결되었다면, 제어 공기를 장치에 공급하기 전이나 후에 대응의 감압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은 7 바아 내지 0.5 바아 또는 다른 압력으로 감압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상기 오일/물 분리 장치가 유럽 연합의 압력 설비 지침(PED)의 관점에서 압력 용기로서 간주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런 크기의 과압이 유리하다.
메인 필터에서 오일-함유 성분을 분리하는 기본 기능 외에도, 상기 오일/물 분리 장치는 다른 기능적 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의 상부 하우징은 오일/물 혼합물이 상부 하우징 내의 압력 릴리프 챔버 내로 먼저 이동될 수 있는 입구 개구를 가지며, 상기 개구로부터 오일/물 혼합물이 다시 상부 하우징의 챔버 내로 이동될 수 있는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 응축수와 함께 운반되는 압축 공기는 상기 압력 릴리프 챔버로부터 탈출할 수 있으며, 이는 탈출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해 또는 오일-함유 성분의 탈출을 피하기 위해, 다른 필터를 통해 흐를 때 바람직하게 발생된다. 장치가 압력 충전될 때 공기가 상기 압력 릴리프 출구를 통해 탈출하는 것이 불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출구는 제어 유닛에 의해 활성화될 수도 있는, 폐쇄 가능한 밸브로 밀봉될 수 있다. 전술한 다이어프램 밸브가 사용되었다면, 상기 압력 릴리프 챔버는 혼합물 입구를 통해 상기 다이어프램 밸브의 혼합물 챔버에 연결될 수 있다.
메인 필터 전에 이미 응축수로부터 유리 유분을 제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부 하우징의 챔버에서 오일/물 혼합물 상에 부유하고 있는 이들 유리 유분이 수집 드레인을 통해 상기 챔버로부터 배출될 수 있는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수집 드레인은 수집 용기에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런 수집 드레인은 제어 유닛에 의해 상기 챔버를 제어 공기로 충전할 동안 폐쇄될 수도 있다. 따라서 공기 또한 상기 파이프를 통해 탈출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들, 특별한 특징들, 및 적절한 추가적인 개발은 종속 청구항, 및 도면을 참조한 하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다.
도 1은 정상 작동 시 본 발명에 따른 오일/물 분리 장치의 제1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정상 작동 시 본 발명에 따른 압축 공기 충전에 의한 오일/물 분리 장치의 제2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압축 공기로 충전되었을 때, 도 2의 오일/물 분리 장치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정상 작동 시의 오일/물 분리 장치의 다이어프램 밸브를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압축 공기로 충전되었을 때, 오일/물 분리 장치의 다이어프램 밸브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정상 작동 시 본 발명에 따른 오일/물 분리 장치의 제 3 실시예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오일/물 분리 장치(10)의 제1 실시예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이런 경우에, 상기 장치는 적어도 상기 응축수로부터 분리되는 오일-함유 성분에 의해, 도시되지 않은 공기 압축기로부터의 오일/물 혼합물 또는 응축수(11)를 처리하도록 구성된 메인 필터(30)를 포함한다. 이는 필터 재료로의 흡착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필터(30)는 미세하게 분산된, 심지어 에멀젼화된 오일로 액체를 분리할 수 있는 재료를 바람직하게 포함하므로, 공급 준비가 완료된다. 이런 목적을 위해서는, 분산-배향된 표면 압밀 및 형상, 그리고 극도로 미세한 오일 액적 및 친유성 발포 폴리머를 흡수하도록 적응된 일관성 및 크기를 갖는 활성탄이 적절하다. 상기 메인 필터(30)는 대응하는 흡착 필터 재료(31)가 삽입되는 메인 필터 하우징(80)을 갖는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일/물 분리 장치(10)는 장치의 기능이 제어될 수 있는 제어 유닛(60)을 추가로 포함한다. 특히, 이는 다양한 검출기의 센서 신호의 평가, 밸브의 개폐, 및 주기의 검출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유닛(60)은 제어 명령을 수동으로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을 추가로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장치의 유지 보수 작업은 이들 제어 명령을 통해 실시될 수 있다. 제어 유닛(60)은 장치의 상태 및/또는 경고 및 서비스 통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오일/물 분리 장치(10)는 연통하는 수주의 정수 원리에 따라 작동한다. 이를 위해, 전형적으로 메인 필터(30) 위에는 상부 하우징(20)이 부착된다. 상기 상부 하우징(20)은 연결 개구(23) 및 후속의 응축수 라인(82)을 통해 메인 필터(30)에 연결된다. 응축수 라인(82)의 길이, 또는 상기 메인 필터 하우징(80)과 메인 필터(30) 사이의 거리는, 응축수가 메인 필터(30)를 통해 가압되는 정수압을 결정한다. 특히, 상기 메인 필터(30)는 입구 포트(32)를 통해 상부 하우징(20)에 일시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교체 가능한 카트리지 필터일 수 있다.다. 특히, 이는 타이트한 나사 연결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응축수는 입구 개구(22)를 통해 상부 하우징(20) 내로 이동될 수 있다. 특히, 응축수(11)는 공기 압축기로부터 유래되어, 응축수(11)로부터 재이동되는 오일-함유 성분에 의해 상기 오일/물 분리 장치(10)에 의해 처리된다. 이런 경우에, 상기 응축수(11)는 상부 하우징(20) 내로 흐른 후, 중력에 의해, 그 아래에 위치된 메인 필터(30) 내로 유입된다. 상기 메인 필터(30)는 출구 포트(33)를 통해 라이저 파이프(40)에 연결되며, 이를 통해 처리된 응축수(11")가 오일/물 분리 장치(10)를 빠져 나간다. 이런 출구 포트(33)는 타이트한 나사 연결을 통해 라이저 파이프(40)에도 연결될 수 있으므로, 상기 메인 필터(30)는 전체적으로 교체 가능하다. 처리된 응축수(11")는 새로운 응축수(11)가 상부 하우징(20) 내로 흐를 때와 동일한 양으로 하수구를 향해 순수 출구(42)에서 장치를 떠난다.
하우징(20) 내에서 이렇게 발생된 응축 레벨의 높이에서, 수집 용기(70)에 연결된 수집 드레인(71)이 제공될 수 있다. 밸브(72)는, 예를 들어 제어 유닛(60)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이다. 응축수(11') 상에서 상부 하우징(20) 내에 부유하는 유리 유분(13)은, 제거되어 이런 수집 드레인(71)을 통해 수집될 수 있다. 이들 유리 유분은 < 1 kg/dm3의 밀도를 갖는다. 따라서 응축수(11)가 메인 필터(30)에 공급되기 전에 유리 유분의 분리가 실시되므로, 사전-정화된 응축수(11')가 상기 메인 필터(30)에 도달한다. 그러나 유리 유분의 분리는 메인 필터(30)의 카트리지와 통합될 수도 있다.
밀도가 > 1 kg/dm3보다 큰 무거운 침전물과 같은 성분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도시되지 않음)가, 입구 개구(22)로부터 상류 또는 하류에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중력 분리(gravity separation)의 원리에 따라 작동하므로, 이들 성분은 장치의 바닥에 침전되고, 상기 메인 필터(30)에는 들어가지 않는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20)은 응축수(11)가 흘러서 메인 필터(30) 내로 공급되는 적어도 하나의 챔버(24)를 갖는다. 이런 챔버(24)는 상부 하우징(20)의 메인 챔버를 구성하지만, 그러나 압력 릴리프 챔버(pressure relief chamber)(21)의 형태인 제2 챔버로 보완될 수 있다. 응축수(11)는 먼저 압력 릴리프를 위해 상기 압력 릴리프 밸브 내로 도입된다. 압축기로부터의 혼입된 압축 공기는 상기 압력 릴리프 챔버(21)에서 배출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상기 공기가 출구를 통해 탈출할 수 있다. 상기 릴리프 공기 출구(12)는 필터 매트(mat)(25)를 통해 라우팅될 수 있으며, 또한 폐쇄 가능한 밸브(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압력 릴리프 챔버(21)로부터, 응축수(11)는 상부 하우징(20)의 챔버(24)에 도달하고, 수집 드레인(71)을 통해 유분(13)이 배출되고, 유리 유분(13)은 수집 드레인(71)을 통해 배출되며, 이런 방식으로 정화된 응축수(11')가 메인 필터(30) 내로 유출된다. 이는 장치(10)의 정상 작동을 구성하는데, 여기에서는 챔버(24) 내에 소정의 응축수 레벨이 발생되고, 유리 유분(13)이 연속적으로 제거되며, 정화된 응축수(11")가 라이저 파이프(40)를 통해 하수도 내로 배출된다.
생성된 정수압으로 인해, 정화될 응축수는 이미 충분한 과압으로 메인 필터(30) 내로 가압된다.
그러나 필터(30)의 상층의 포화로 인해 또는 생물학적 점액층의 형성으로 인해, 필터(30)의 흐름 저항이 심지어 더욱 증가될 수 있다. 이런 경우가 발생하였다면, 응축수 레벨이 챔버(24) 내에서 증가되고, 이는 장치의 범람으로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상승한 응축수 레벨의 경우에는, 유리 유분이 수집 용기(70) 내로 유출될 뿐만 아니라, 정화되지 않은 응축수도 유출된다.
정상 작동 시에는 장치(10)가 이미 과압으로 작동될 수 있지만, 장치(10)의 정상 작동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수(11')가 메인 필터(30)를 통해 심지어 높은 과압에 의해 가압될 수 있는 압력 작동으로 보완될 수 있다. 이는 제어 공기 파이프(63)를 통해 챔버(24)를 제어 공기(14)로 충전함으로써 바람직하게 실시된다. 챔버(24) 내의 상승한 응축수 레벨을 검출하기 위해, 응축수(11')의 충전 레벨을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 수단(64)이 제공된다. 이런 센서 수단은, 센서 수단(64)의 신호를 평가하고 또한 상승한 충전 레벨의 경우에 제어 공기로 충전을 트리거하는 제어 수단(60)에 연결된다. 이런 목적을 위해, 제어 유닛(60)은 제어 공기 파이프(63)의 밸브(62)를 활성화시키며, 이에 의해 제어 공기(14)의 챔버(24)로의 공급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수집 드레인(71)은 밸브(72)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72)는, 예를 들어 제어 유닛(60)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이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공기(14)는 최대 0.5 바아 의 압력으로 챔버(14) 내로 도입되므로, 챔버(24)와 메인 필터(30)의 출구 포트(33) 사이에 압력 차이가 발생되며, 이에 의해 응축수(11')는 필터(30)를 통해 가압된다. 이런 목적을 위해 장치가 보다 높은 압력을 갖는 압축 공기 파이프에 연결되었다면, 밸브(62)의 상류에 및/또는 밸브(62)에 대응의 감압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은 7 바아 로부터 0.5 바아 로 감소될 수 있으며, 이는 스로틀링(throttling)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감압은 밸브(62)의 하류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는 예를 들어 밸브(50)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
압력 충전은, 챔버(24) 및 상기 챔버(24)와 메인 필터(30) 사이의 연결부가 너무 단단히 구성되어, 공기 또는 인지할 수 있는 양의 공기가 상기 지점에서 탈출할 수 없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또한, 압력 충전 시 유리 유분(13)에 대해 타이트해지도록, 제어 유닛(60)이 수집 용기(70)의 밸브(72)를 밀봉하는 구성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압력 충전 중 새로운 응축수(11)의 공급은 이런 공급부를 밀봉하도록 적절히 정지된다.
도 2 및 3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응축수 공급부 및 제어 공기 공급부(63)에 연결되는 다이어프램 밸브(diaphragm valve)(50)는, 이런 목적을 위해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챔버(24) 내에 제공된다. 다이어프램 밸브(50)는 2개의 챔버, 즉 제어 공기 챔버(52) 및 혼합물 챔버(53)를 포함한다. 이들 2개의 챔버는 탄성 다이어프램(54)에 의해 서로 분리된다. 응축수(11)는 압력 릴리프 챔버(21)로부터 상기 혼합물 입구(55)를 통해 다이어프램 밸브(50)의 혼합물 챔버(53) 내로 흐른다. 도 2는 오일/물 분리 장치의 정상 작동 시 응축수가 혼합물 챔버(53)로부터 상부 하우징의 챔버(24) 내로 어떻게 흐르는지를 도시하고 있다. 이는 혼합물 출구(56)를 통해 발생된다. 처리된 응축수(11")는, 응축수(11)가 혼합물 출구(56)로부터 챔버(24) 내로 흐르는 양과 동일한 양으로 하수도를 향해 순수 출구에서 장치를 떠난다. 공정에 있어서, 소정의 응축수 레벨이 챔버(24)에 발생된다.
메인 필터(30)의 흐름 저항이 증가되었다면, 상기 응축수 레벨이 상승하고, 충전 레벨(A)은 예를 들어 초과되어서는 안 되는 임계 최대 응축수 충전 레벨을 구성한다. 이런 상승한 응축수 레벨(A)이 센서 수단(64)에 의해 검출되었다면, 제어 유닛(60)은 밸브(62)를 개방하고, 이에 따라 제어 공기(14)를 다이어프램 밸브(50)의 제어 공기 챔버(52) 내로 이동시킨다. 이런 경우에, 센서 수단(64)은 응축수 레벨만 검출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반면에, 유리 유분 및 응축수 위의 공기는 무시된다. 따라서 응축수와 오일 또는 공기 사이를 구별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 수단(64)은 응축수(11') 위의 유리 유분(free oil fractins)(13)의 충전 레벨이 아니라, 응축수(11')의 충전 레벨을 검출한다.
제어 공기는 제어 공기 출구(57)를 통해 제어 공기 챔버(52)로부터 탈출하며, 따라서 상부 하우징(20)의 챔버(24)에 도달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상기 제어 공기 출구(57)는 제어 공기 입구(58) 보다 더 작은 횡단면을 바람직하게 가지므로, 제어 공기(14)가 도입되었다면, 압력이 상기 제어 공기 챔버(52)에 신속히 축적될 수 있다. 이런 압력으로 인해, 밸브(50) 내의 다이어프램(54)은 혼합물 입구(55)의 방향으로 좌측으로 이동하여, 입구를 밀봉한다. 따라서 응축수(11)가 챔버(24)로 더 이상 흐를 수가 없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유닛(60)은 응축수(11)의 압력 릴리프 챔버(21) 내로의 공급도 동시에 차단한다. 이는 특히 오일/물 분리 장치(10)의 상류에서 응축수의 중간 수집과 조합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응축수는 병렬로 연결된 또 다른 오일/물 분리 장치에 공급된다.
다이어프램(54)에 의해 혼합물 입구(55)를 폐쇄함으로써, 공기는 이러한 방식을 통해서는 챔버(24)로부터 압력 릴리프 챔버(21) 내로 탈출할 수 없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 유닛(60)은 또한 수집 용기(70)로의 밸브(72)를 폐쇄한다. 챔버(24) 내로 제어 공기(14)를 추가로 공급함으로써,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고, 이에 따라 응축수(11)는 메인 필터(30) 및 라이저 파이프(40)를 통해 출구(42)를 향해 가압되어, 공정에서 정화된다. 따라서 필터의 상승한 흐름 저항이 극복될 수 있으며, 장치는 범람 없이 작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공기(14)는 먼저 다이어프램(55)에 의해 혼합물 입구(55)를 폐쇄하고, 그 후 챔버(24) 내에 압력을 축적하도록 작동한다. 이러한 상황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응축수 레벨은 최대 충전 레벨(A)에 도달하며, 다이어프램(54)은 혼합물 입구(55)를 폐쇄한다.
도 4 및 5는 다이어프램 밸브(50)의 작동 모드를 개략적인 모습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2개의 챔버(52, 53)는 탄성 다이어프램(54)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밸브 하우징(51) 내에 있는 것이 분명하다. 정상 작동 시(도 4), 상기 다이어프램(54)은, 혼합물 입구(55)가 개방되고, 또한 응축수가 혼합물 입구(55)로부터 혼합물 챔버(53)를 통해 그리고 혼합물 출구(56)로부터 흐를 수 있도록 위치된다. 제어 공기(14)가 제어 공기 입구(58) 내로 도입되었다면, 제어 공기 챔버(52) 내에 압력이 축적되고, 이로 인해 상기 다이어프램(54)이 먼저 혼합물 입구(55)에 대해 가압되며, 이에 따라 혼합물 입구를 밀봉한다. 제어 공기는 상기 제어 공기 출구(57)를 빠져 나오며, 이에 따라 상부 하우징(20)의 챔버에 압력을 축적한다.
제어 공기(14)는 다양한 조건 하에서 상기 제어 유닛(60)에 의해 다시 오프로 절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축수 레벨이 낮은 충전 레벨(B)에 도달하였다면, 이는 오프로 절환될 수 있다. 제어 공기(14)가 오프로 절환되었다면, 다이어프램(54)은 그 본래의 위치(도 2)로 복귀하여, 혼합물 입구(55)를 차단 해제하므로, 새로운 응축수(11)가 챔버(24)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응축수 레벨이 다시 충전 레벨(A)까지 상승되었다면, 압력 충전이 다시 발생하므로, 정상 작동 및 압력 충전이 연속적으로 교대된다. 따라서 응축수의 레벨은 A 지점과 B 지점 사이를 이동한다.
또한, 챔버(24)의 응축수 레벨이 낮은 충전 레벨(B)에 도달하지 않았다면, 즉 심지어 압력 충전 중이라도 이런 레벨 이상으로 유지되었다면, 제어 유닛(60) 상에 에러 통지가 발행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필터(30)가 차단되고 및/또는 다이어프램 밸브(50)가 결함이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예를 들어 경험값(empirical value)이 챔버(24)의 충전 레벨이 이런 기간 후에 레벨(B)에 대응하는 미리 정의된 레벨로 떨어졌음을 나타내었다면, 제어 공기(14)는 미리 정의된 기간 후에 오프로 절환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에도, 레벨이 새롭게 증가한 경우라면, 또 다른 압력 충전이 뒤따를 수 있다. 따라서 이런 실시예에서는, 오직 레벨(A)만 정의되어야 하고, 타이머 제어가 실현되어야만 한다.
또한, 최소 충전 레벨(C)이 정의될 수 있으며, 이 아래로 응축수 레벨이 떨어지지 않아야만 한다. 상기 레벨은 레벨(B)의 아래에 있으며, 따라서 A 와 B 사이의 동작 범위 아래에 놓인다. 제어 공기가 오프로 절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응축수 레벨이 상기 최소 충전 레벨(C) 아래로 떨어졌다면, 이는 제어 공기(14)의 솔레노이드 밸브(62)가 결함이라는 것을 암시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제어 공기가 여전히 다이어프램 밸브(50) 내로 흐르고 있음을 암시하는 것이다. 또한, 이런 경우에는 제어 유닛(60) 상에 에러 통지가 출력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그렇지 않을 경우 용기가 모두 소모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선택적 지점(C)이 경보 지점을 구성한다.
제어 유닛(60)이 서비스 통지를 출력하는 구성이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정의된 횟수의 사이클에 도달되었거나 또는 사이클의 지속 시간이 너무 길어졌다면, 이러한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상기 사이클은 압력 충전 작동, 즉 예를 들어 레벨(A, B) 사이의 작동을 구성한다. 서비스 간격이 경과되었다면(예를 들어, 6개월), 서비스 통지가 출력될 수도 있다.
유지 보수 목적으로 압력 충전 작동이 실시될 수도 있다. 이런 목적을 위해, 유지 보수 요원에 의해 대응의 서비스 명령이 제어 유닛(60) 내로 입력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전술한 제어 공기(14)의 공급을 유발시키는 제어 명령이 발생된다. 따라서 메인 필터(30)는 압착되어 비워지며, 그 후 이것이 카트리지인 경우라면 교체된다. 이런 목적을 위해, 입구 포트(32) 및 출구 포트(33) 상의 나사 연결이 풀려지며, 상기 메인 필터(30)는 나사 결합이 해제되고, 새로운 필터가 나사 결합된다. 대조적으로, 챔버(24)가 이런 목적을 위해 펌프에 의해 펌핑되어 비워졌다면, 응축수는 역류로 인해 필터로부터 흡입될 수 있다. 이는 연결 개구(23)의 영역에 또 다른 밸브를 필요로 할 것이다.
정수 원리에 따라 작동하는 오일/물 분리 장치 내의 유압 레벨은 센서 레벨(A, B, C)과는 구별되어야만 한다. 유압 레벨은 출구, 필터 위의 응축수의 레벨로 인해, 응축수 드레인(71)의 오일 배출부에서 출구 개구(42)의 응축수 배출부 상에 생성된다.
본 발명의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사용된 밸브는 단지 예를 구성하며, 여기서 이들 밸브 및 다른 밸브는 또한 각각의 용도에 적합한 임의의 다른 종류의 밸브에 의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72)는 다이어프램 밸브(50)처럼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볼 밸브, 슬라이드 게이트 밸브, 핀치 밸브 등과 같은 다른 타입의 밸브가 두 밸브 모두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은 정상 작동 시 본 발명에 따른 오일/물 분리 장치(10')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런 오일/물 분리 장치(10')의 기본적인 구성요소 및 기능은 도 2에 따른 제1 실시예와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밸브(50)는 전술한 기능을 갖는 다이어프램 밸브로는 구성되지 않는다. 오히려, 또 다른 타입의 밸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2 챔버(24) 내로 응축수의 공급이 제어될 수 있다. 응축수(11)는 여전히 압력 릴리프 챔버(21)로부터 밸브(50)를 통해 제2 챔버(24) 내로 흐르며, 여기서 특히 응축수(11')이 레벨(A)에 도달되었다면, 상기 밸브(50)는 제어 공기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이런 목적을 위해, 제어 공기의 일부가 밸브(50)에 이동되어 밸브를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제어 공기 입구(58)가 분기된다. 그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제2 챔버(24)에 도달하기 전에, 추가적인 제어 공기가 먼저 스로틀링 수단(Throttling means)(65)에 공급된다. 이런 방식으로, 제어 공기에 대한 감압이 장치 내에서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장치의 제어 공기가 이미 원하는 압력으로 공급되었거나 또는 다른 위치에서 스로틀링이 발생하였다면, 이런 감압은 필요하지 않다.
상기 밸브(50)는, 제어 공기가 오프로 절환되었을 때, 다시 개방되도록 바람직하게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밸브는, 예를 들어 밸브를 개방하기 위해, 제어 유닛(60)에 의해 활성화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 유닛(60)에 의해 밸브(50)의 폐쇄를 트리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10, 10: '오일/물 분리 장치
11: 처리될 오일/물 혼합물, 응축수
11': 유리 유분의 분리 후 오일/물 혼합물, 응축수
11": 메인 필터를 통과한 후의 응축수
12: 릴리프 공기 출구
13: 유리 유분
14: 공기 공급부, 제어 공기
20: 상부 하우징
21: 제1 챔버, 압력 릴리프 챔버
22: 입구 개구
23: 연결 개구
24: 제2 챔버
25: 필터 매트
30: 메인 필터
31: 흡착 필터 재료
32: 입구 포트
33: 출구 포트
40: 라이저 파이프
41: 통기구
42: 출구 개구
50: 밸브, 다이어프램 밸브
51: 밸브 하우징
52: 제어 공기 챔버
53: 혼합물 챔버
54: 다이어프램
55: 혼합물 입구
56: 혼합물 출구
57: 제어 공기 출구
58: 제어 공기 입구
60: 제어 유닛
62: 밸브, 솔레노이드 밸브
63: 압축 공기 공급부
64: 센서 수단, 충전 레벨 센서
65: 스로틀
70: 수집 용기, 캐니스터
71: 수집 드레인
72: 밸브, 솔레노이드 밸브
80: 메인 필터 하우징
82: 응축수 라인
A: 최대 충전 레벨
B: 충전 레벨
C: 최소 충전 레벨

Claims (18)

  1. 오일/물 혼합물로부터 오일-함유 성분을 제거하도록 구성된 오일/물 분리 장치에서, 오일/물 혼합물로부터 오일-함유 성분을 분리하도록 구성된 메인 필터(30)를 포함하며, 정화될 오일/물 혼합물은 상부 하우징(20)으로부터 응축수 라인(82)을 통해 상기 메인 필터(30)에 공급되어, 상기 메인 필터(30)를 통과한 후 상기 오일/물 혼합물 장치(10; 10')로부터 제거되며, 상기 오일/물 분리 장치(10; 10')는 정수 원리에 따라 이들 액체를 공급 및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오일/물 분리 장치(10; 10')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20)은 상기 메인 필터(30) 위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하우징(20)과 상기 메인 필터(30) 사이의 거리는 상기 메인 필터(30) 상에 적어도 0.05 바아의 정수압으로 나타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물 분리 장치(10; 10').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20)과 상기 메인 필터(3) 사이의 거리는 상기 메인 필터(30) 상에 적어도 0.1 바아 내지 0.3 바아의 정수압으로 나타나도록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물 분리 장치(10; 10').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오일/물 분리 장치(10; 10')는, 상기 오일/물 분리 장치(10; 10')를 제어 공기(14)로 일시적으로 충전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물 분리 장치(10; 10').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오일/물 혼합물 충전 레벨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 수단(64)은, 상기 오일/물 분리 장치(10; 10')에 제공되어, 상기 제어 유닛(6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물 분리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60)은, 소정의 오일/물 혼합물 충전 레벨(A)이 상기 센서 수단(64)에 의해 검출되었다면, 상기 오일/물 분리 장치(10; 10')를 제어 공기(14)로 일시적으로 충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물 분리 장치.
  6.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60)은, 소정의 오일/물 혼합물 충전 레벨(B)이 상기 센서 수단(64)에 의해 검출되었다면, 상기 오일/물 분리 장치(10; 10')를 제어 공기(14)로 일시적으로 충전하는 것을 중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물 분리 장치.
  7.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60)은 제어 유닛(60)으로의 제어 명령 때문에, 상기 오일/물 분리 장치(10; 10')를 제어 공기(14)로 충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물 분리 장치.
  8.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물 분리 장치(10; 10') 내로 상기 오일/물 혼합물의 공급은 상기 제어 공기(14)에 의한 충전 중에는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물 분리 장치.
  9.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물 분리 장치(10; 10')는 상기 상부 하우징(20) 내의 챔버(24) 내에 상기 오일/물 혼합물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챔버(24)로부터 상기 메인 필터(30) 내로 상기 오일/물 혼합물을 전달하기 위한 연결 개구(23)를 더 가지며, 상기 제어 유닛(60)은 상기 챔버(24)를 제어 공기(14)로 일시적으로 충전하도록 구성되고, 그 동안 제어 공기(14)는 상기 오일/물 혼합물이 과압에 의해 상기 챔버(24)로부터 상기 연결 개구(23)를 통해 상기 메인 필터(30) 내로 가압되는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상부 하우징(20) 내의 상기 챔버(24) 내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물 분리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 공기(14) 및 상기 오일/물 혼합물은 다이어프램 밸브(50)를 통해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상기 챔버(24) 내로 이동되고, 상기 다이어프램 밸브(50)는 다이어프램(54)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제어 공기 챔버(52) 및 혼합물 챔버(53)를 가지며, 상기 다이어프램 밸브(50)는 상기 혼합물 챔버(53) 내로 상기 오일/물 혼합물을 공급하기 위한 혼합물 입구(55), 및 상기 제어 공기 챔버(52) 내로 제어 공기(14)를 공급하기 위한 제어 공기 입구(58)를 가지며, 상기 혼합물 챔버(53)로부터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상기 챔버(24) 내로 상기 오일/물 혼합물(11)을 제거하기 위한 혼합물 출구(56), 및 상기 제어 공기 챔버(52)로부터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상기 챔버(24) 내로 상기 제어 공기(14)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공기 출구(57)가 제공되며, 상기 혼합물 입구(55)는 상기 제어 공기 챔버(52)를 제어 공기(14)로 충전함으로써, 상기 다이어프램(54)에 의해 폐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물 분리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다이어프램 밸브(50)의 상기 제어 공기 출구(57)는, 상기 제어 공기 입구(58)보다 더 작은 개구 횡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물 분리 장치.
  12.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물 혼합물의 상기 다이어프램 밸브(50)로의 공급은,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챔버(24)의 제어 공기에 의한 충전 중에는 상기 제어 유닛(60)에 의해 차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물 분리 장치.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0.3 내지 1 바아, 특히 약 0.5 바아 의 과압을 갖는 제어 공기(14)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물 분리 장치.
  14.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부 하우징(20)은 상기 오일/물 혼합물이 상기 상부 하우징(20) 내의 압력 릴리프 챔버(22) 내로 이동될 수 있는 입구 개구(22)를 가지며, 이러한 입구 개구로부터 상기 오일/물 혼합물이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상기 챔버(24) 내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물 분리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압력 릴리프 챔버(21)는 상기 혼합물 입구(55)를 통해 상기 다이어프램 밸브(50)의 상기 혼합물 챔버(53)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물 분리 장치.
  16.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하우징(20)의 챔버(24)에서 상기 오일/물 혼합물 상에 부유하는 유리 유분(13)은, 수집 드레인(71)을 통해 상기 챔버(24)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물 분리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수집 드레인(71)은 제어 공기(14)에 의한 챔버(24)의 충전 중에는 상기 제어 유닛(6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물 분리 장치.
  1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필터(30)는 상기 상부 하우징(20)에 일시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 카트리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물 분리 장치.
KR1020197021055A 2017-01-20 2018-01-19 압축 공기 충전에 의한 오일/물 분리 장치 KR201901041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101095 2017-01-20
DE102017101095.5 2017-01-20
DE102017106848.1A DE102017106848A1 (de) 2017-01-20 2017-03-30 Öl/Wassertrennvorrichtung mit statischer Druckbeaufschlagung
DE102017106848.1 2017-03-30
PCT/EP2018/051277 WO2018134339A1 (de) 2017-01-20 2018-01-19 Öl/wasser-trennvorrichtung mit druckluftbeaufschlag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4162A true KR20190104162A (ko) 2019-09-06

Family

ID=62812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1055A KR20190104162A (ko) 2017-01-20 2018-01-19 압축 공기 충전에 의한 오일/물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10355002A1 (ko)
EP (1) EP3570951B1 (ko)
JP (1) JP2020506040A (ko)
KR (1) KR20190104162A (ko)
CN (1) CN110198772A (ko)
CA (1) CA3050175A1 (ko)
DE (1) DE102017106848A1 (ko)
ES (1) ES2873961T3 (ko)
WO (1) WO20181343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50107A1 (en) * 2018-11-08 2020-05-13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Purge gas contaminate elimination system for a vehicle
TW202039049A (zh) 2019-04-29 2020-11-01 鉦富機械有限公司 自動調節排油口的油水分離機
CN110508070A (zh) * 2019-08-16 2019-11-29 杨达 一种油雾废气的净化系统
DE102020133106A1 (de) 2020-12-11 2022-06-15 Beko Technologies Gmbh Filtereinheit und Bodeneinheit einer Öl/Wasser-Trennvorrichtung zum Entfernen ölhaltiger Bestandteile aus einem Öl/Wasser-Gemisch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71674B (de) 1960-11-26 1968-07-04 Arthur Goehlert Filter zum Eindicken von Schlaemmen
BE1010782A3 (nl) 1996-12-03 1999-01-05 Atlas Copco Airpower Nv Compressorinstallatie met olie-afscheiding uit condensaat en daarbij gebruikte inrichting voor het afscheiden van olie uit condensaat.
BE1011906A3 (nl) * 1998-05-12 2000-02-01 Atlas Copco Airpower Nv Inrichting voor het scheiden van twee onmengbare vloeistoffen met verschillend soortelijk gewicht.
DE10005114B4 (de) 2000-02-07 2004-03-18 Märkl, Herbert, Prof. Dr.-Ing. Verfahren zur Biomasse-Rückhaltung bei Biogasreaktoren sowie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3840885B2 (ja) * 2000-09-05 2006-11-01 株式会社日立プラントテクノロジー 加圧水生成装置
DE102006009542A1 (de) * 2005-03-19 2006-09-21 Beko Technologies Gmbh Abscheidevorrichtung
GB2425069A (en) * 2005-04-13 2006-10-18 Psi Global Ltd Emulsion separating
WO2011104368A1 (de) 2010-02-26 2011-09-01 Beko Technologies Gmbh Öl- /wasser-filtrationsvorrichtung
CN202529948U (zh) * 2012-03-22 2012-11-14 北京能泰高科环保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焦化酚氰废水处理回用系统
CN204411776U (zh) * 2015-01-22 2015-06-24 内蒙古包钢钢联股份有限公司 一种含除油装置的水压试验机低压水罐
DE102015112092B4 (de) 2015-07-24 2022-03-10 Beko Technologies Gmbh Öl/Wasser-Trennvorrichtung mit Druckluftbeaufschlagung
CN105840465A (zh) * 2015-12-31 2016-08-10 宁波百瑞天然气高压压缩机有限公司 一种气体压缩机的油水分离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70951A1 (de) 2019-11-27
US20210355002A1 (en) 2021-11-18
CN110198772A (zh) 2019-09-03
WO2018134339A1 (de) 2018-07-26
EP3570951B1 (de) 2021-03-03
JP2020506040A (ja) 2020-02-27
ES2873961T3 (es) 2021-11-04
DE102017106848A1 (de) 2018-07-26
CA3050175A1 (en) 2018-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3930B1 (ko) 압축 공기 충전부를 구비한 오일/물 분리기
CA2023782C (en) Purification of compressed air discharge condensate
KR20190104162A (ko) 압축 공기 충전에 의한 오일/물 분리 장치
US3996136A (en) Pump-filter for bilge water
US7329347B2 (en) Separating device
KR101353045B1 (ko) 제어기능을 갖는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JPH0817887B2 (ja) 凝結分離器
JP2006263725A5 (ko)
JP2013520306A (ja) 油水分離装置
US613262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oil and water
US200300008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waste water
JP2008155104A (ja) 油水分離装置
JP2004098044A (ja) 油水分離装置
JP3743437B2 (ja) 異物分離装置
JPH0353682Y2 (ko)
JPH11210630A (ja) 圧縮空気発生装置のドレン排出装置
WO20090116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separation of grease and like contaminants
WO2005105258A1 (en) Method of filtering and apparatus therefor
JPH06304405A (ja) 油水分離装置の構造
JP3128731B2 (ja) ドレン蓄溜送出装置
JPH06304404A (ja) 油水分離装置への廃液圧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