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2512A -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당화혈색소의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당화혈색소의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2512A
KR20180032512A KR1020170122083A KR20170122083A KR20180032512A KR 20180032512 A KR20180032512 A KR 20180032512A KR 1020170122083 A KR1020170122083 A KR 1020170122083A KR 20170122083 A KR20170122083 A KR 20170122083A KR 20180032512 A KR20180032512 A KR 20180032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ycated hemoglobin
dye
hemoglobin
measuring
reage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2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9797B1 (ko
Inventor
이진우
전선아
박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딕스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딕스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딕스젠
Priority to EP17853475.6A priority Critical patent/EP3517966B1/en
Priority to US16/335,396 priority patent/US11268953B2/en
Priority to ES17853475T priority patent/ES2902649T3/es
Priority to PCT/KR2017/010497 priority patent/WO2018056761A1/ko
Publication of KR20180032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2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7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1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the carrier being characterised by its particulate form
    • G01N33/54346Nanop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17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with a modulation of one or mor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ample dur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e.g. electro-reflec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55Specular reflectiv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2Use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for colorimetric, spectrophotometric or fluorometric investigation, e.g. use of reagent paper and including single- and multilayer analytical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72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blood pigments, e.g. haemoglobin, bilirubin or other porphyrins; involving occult blood
    • G01N33/721Haemoglobin
    • G01N33/723Glycosylated haemoglobi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021/1738Optionally different kinds of measurements; Method being valid for different kinds of measurement
    • G01N2021/1742Optionally different kinds of measurements; Method being valid for different kinds of measurement either absorption or refl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04Endocrine or metabolic disorders
    • G01N2800/042Disorders of carbohydrate metabolism, e.g. diabetes, glucose metabolism

Abstract

본 발명은 당뇨병 유무를 진단할 수 있는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당화혈색소의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을 포함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당화혈색소의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당화혈색소의 측정방법은 (a) (ⅰ) 용혈액 및 (ⅱ) 당화혈색소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을 포함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에 혈액 샘플을 넣고 용혈 및 반응시키는 단계; (b) 반응물을 카트리지의 흡수 패드에 투여한 후 세척액으로 세척하는 단계; (c) 광학기기로 흡수 패드의 광학 반사도 측정하여 전체 혈색소 및 당화혈색소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 및 (d) 측정된 전체 혈색소 및 당화혈색소의 양을 기반으로 당화혈색소의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은 실리카 나노입자 내부에 염료를 캡슐화시켰기 때문에 염료 고유의 흡수파장이 pH에 영향을 받지 않고, 한달 이상 보관시에도 안정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당화혈색소의 측정방법{Reagent Composition for Detecting Glycated hemoglobin and Detection Method of Glycated hemoglobin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당뇨병 유무를 진단할 수 있는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당화혈색소의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을 포함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당화혈색소의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혈당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인슐린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대사질환으로, 인슐린을 생성하는 세포가 면역시스템의 이상으로 인해 파괴되어 부족할 때 발생되는 1형 당뇨와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효과적으로 사용되지 못함에 따라 발생되는 2형 당뇨 등 발병 원인에 따라 분류된다.
당뇨병은 혈중 포도당의 농도가 높아지는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며, 혈당관리 조절을 실패할 경우 당뇨망막증, 신장질환, 족부병변 등의 합병증이 유발될 수 있기 때문에 당뇨병 환자들의 혈당 관리에 대한 중요성은 증가되고 있다.
종래의 당뇨병 측정 마커는 포도당을 사용하였으나, 식전 식후의 혈당 값 변동이 심하기 때문에 측정하는 시간에 따른 오차 및 환자의 컨디션에 따른 변동이 직접적으로 나타날 수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포도당 측정에 사용하는 포도당산화효소는 pH나 혈액 내에 포함된 다른 방해물질 등과 같은 측정하는 환경영향에 취약하며, 과산화수소를 발생시킴에 따라 효소의 활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포도당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혈당수치를 판단 할 수 있는 바이오 마커로써 당화혈색소(glycated hemoglobin, HbA1c)를 이용하고 있다. 당화혈색소는 생성되면 적혈구가 소멸되기까지는 안정하므로 2~3개월의 평균혈당치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어, 실제 당뇨병의 진단 및 치료 경과 추이를 조사하는데 활용된다. 하지만 당화혈색소 측정법은 말기 만성신부전 등과 같이 혈당이 꾸준히 유지되지 못하는 일부의 질환자나 적혈구에 이상이 있는 환자에게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당화혈색소를 이용하여 당뇨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당화혈색소의 절대값이 아닌 전체 혈색소의 양 대비 당화혈색소의 양으로 판단해야 하는데, 이는 성별, 나이, 혈액관련 질환 등 개개인마다 전체 혈색소의 양이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당화혈색소를 당뇨병 진단 지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체 혈색소 및 당화혈색소의 양을 구분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혈색소는 중심에 철 이온이 배위되어있는 헴과 글로빈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혈색소의 산소와의 결합 여부, 메틸화 여부 등 화학적 변형에 따라 각각의 혈색소는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400~600nm대의 흡수 파장을 갖는다. 이중 430nm의 흡수 파장은 당화혈색소와 일반 혈색소를 포함하는 공통적 특성이기 때문에 전체혈색소의 양을 대표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당화혈색소 만을 선택적으로 표지하여 구별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보론산 친화법이 이용되고 있는데, 이는 당화혈색소의 글루코스 부위의 시스-다이올(cis-diol)을 인지하는 보론산에 발색 염료 또는 형광체를 결합시켜 표지체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는 효소를 이용한 반응이나 항원-항체 반응과 같이 민감도 및 안정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미국등록특허 제5631364호, 미국등록특허 제7374943호 및 국제특허 제2014-033258호는 염료가 결합된 보로닌산 유도체를 혈액의 당화혈색소와 반응시키고, 다공성 여과지로 구성된 카트리지에 로딩 및 세척시킨 후, 전체 혈색소와 염료 결합 당화혈색소의 반사도(% Reflectance)를 측정하여 두 물질의 비율을 결정하는 방법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염료가 컨주게이션된 보론산 유도체는 외부환경에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빛과 열에 취약하고, 그 합성과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대부분의 유기물 기반의 염료분자들은 반응하는 계의 pH나 극성도, 다른 불순물 등의 주변 환경에 따라 발색량 및 발색파장이 변화되거나 때때로 빛이 소멸되는 문제점이 있어 이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편, 유럽공개특허 제2444803호 및 한국등록특허 제1128037호는 비드에 보론산 유도체를 결합시키는 방법 및 반응된 시료를 다공성 여과지로 구성된 카트리지에 직접 로딩하여 당화혈색소를 측정하는 방법을 개시하였다. 비드와 보론산 유도체의 합성은 비교적 간단하지만, 혈색소와 당화혈색소의 동일한 파장영역을 측정하기 때문에 먼저 전체 혈색소를 측정하고, 비드-보론산 유도체와 반응시킨 수 측정하고, 정상 혈색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세척한 후, 남아있는 당화혈색소를 측정해야 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하고, 동일 파장 영역을 측정하기 때문에 정상 혈색소의 세척에 주의가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노력한 결과, 혈색소 또는 변형된 혈색소의 흡수 스펙트럼과 차이가 나는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와 컨쥬게이션된 보론산을 이용할 경우 광학기기로 혈색소 및 당화혈색소의 양을 간단하고 안정된 방법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당뇨병의 유무를 간단하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당화혈색소의 측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ⅰ) 용혈액 및 (ⅱ) 당화혈색소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을 포함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a) (ⅰ) 용혈액 및 (ⅱ) 당화혈색소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을 포함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에 혈액 샘플을 넣고 용혈 및 반응시키는 단계; (b) 반응물을 카트리지의 흡수 패드에 투여한 후 세척액으로 세척하는 단계; (c) 광학기기로 흡수 패드의 광학 반사도 측정하여 전체 혈색소 및 당화혈색소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 및 (d) 측정된 전체 혈색소 및 당화혈색소의 양을 기반으로 당화혈색소의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당화혈색소의 측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용혈액은 트리스(TRIS), 헤페스(HEPES), 테스(TES), 몹스(MOPS) 및 피페스(PIPE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실리카 나노입자에 캡슐화된 염료는 청색 계열 염료로서, 자일렌 사이아놀 FF(Xylene cyanol FF, acid blue 147), 메틸렌블루(Methylene blue), 브로모페놀블루(Bromophenol blue), 말라카이트그린(Malachite Green), 브로모크레졸그린(Bromocresol Green), 애져A(Azure A) 및 인디고블루(Indigo blu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는 물과 계면활성제 혼합액 또는 물과 유기용매 혼합액에 염료 및 실리카를 첨가하고 교반시킨 후, 염기성 촉매제를 첨가하여 제조시킨 것으로서 당화혈색소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의 직경은 10~5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은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를 아민화시킨 후 4-카르복실릭페닐 보론산(4-carboxylicphenyl boronic acid, CPBA)과 컨쥬게이션시키거나,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를 카르복실화 또는 알데하이드화 시킨 후 3-아미노페닐 보론산(3-Aminophenylboronic acid, APBA)과 컨쥬게이션시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학기기는 전체 혈색소를 측정할 수 있는 파장 및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과 결합된 당화혈색소를 측정할 수 있는 파장을 낼 수 있는 광원으로 조사하여 광학 반사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당화혈색소의 측정방법은 당화혈색소의 비율에 따라 당뇨병을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은 실리카 나노입자 내부에 염료를 캡슐화하였기 때문에 염료 고유의 흡수파장이 pH에 영향을 받지 않고, 한달 이상 보관시에도 안정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며, 여러 개의 염료 분자를 하나의 실리카 나노입자 안에 캡슐화 함으로써, 입자 하나가 가지는 빛의 흡수량이 염료분자 1개의 흡수량보다 크기 때문에 낮은 검출한계를 갖는 혈중 당화혈색소 양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은 용혈액을 포함하고 있어, 용혈과 동시에 당화혈색소와 반응하여 이를 표지할 수 있으며, 별도의 분리과정 없이 측정 카트리지에 세척액 투여만을 통해 광학분석기로 간단하게 당화혈색소를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과 당화혈색소의 결합반응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 및 광학기기를 이용한 당화혈색소의 측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의 조사방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의 흡수파장과 사용한 염료 각각의 흡수파장에 따른 흡광도의 유사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의 (A)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한 형상 이미지 및 (B)동적광산란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크기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농도를 알고있는 혈액 시료의 당화혈색소 농도에 따라 나타나는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의 반사도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서는 혈색소 또는 변형된 혈색소의 흡수 스펙트럼과 차이가 있는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와 컨쥬게이션된 보론산을 이용할 경우 광학기기로 혈색소 및 당화혈색소의 양을 간단하고 안정된 방법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당화혈색소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을 제조하고, 용혈액을 추가하여 당화혈색소 측정을 위한 시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제조된 시약 조성물에 혈액샘플을 넣어 용혈 및 반응시키고, 흡수 패드에 투여한 후, 세척한 다음, 광학기기로 흡수 패드의 광학 반사도 측정하여 전체 혈색소 및 당화혈색소의 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당화혈색소의 비율을 통하여 당뇨를 간단하고, 신속하게 진단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청색 계열의 메틸렌블루(Methylene blue) 염료를 실리카 나노입자에 캡슐화시키고, 표면에 있는 수산화 그룹(-OH)을 1차 아민기로 치환시킨 후, 당화혈색소 결합물질인 4-카르복실릭페닐보론산(4-carboxylicphenyl-boronic acid, CPBA)을 표면에 고정시켜 "메틸렌블루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을 제조하고, 혈액 샘플을 용혈시키는 용혈액과 혼합하여 당화혈색소 측정을 위한 시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제조된 시약 조성물에 혈액 샘플을 넣어 용혈 및 반응시키고, 흡수 패드에 투여한 후, 세척한 다음, 광학기기로 흡수 패드를 적색(430nm) 및 청색(650~700nm) 광원으로 조사하여 염료에 표지된 전체 혈색소 및 당화혈색소의 광학 반사도를 측정함으로써, 당화혈색소의 비율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ⅰ) 용혈액 및 (ⅱ) 당화혈색소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을 포함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혈액 샘플 내의 당화혈색소 농도는 혈액 내 총 혈색소의 양에 상대적으로 측정되므로, 당화혈색소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혈액 샘플을 용혈시켜서 혈액에 포함된 정상 혈색소 및 당화혈색소를 노출시켜야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혈액은 용혈이 가능한 삼투압의 버퍼농도를 갖는 것이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pH가 7~8.5인 트리스(TRIS), 헤페스(HEPES), 몹스(MOPS), 테스(TES), 피페스(PIPES)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용혈된 혈액 샘플에는 혈색소(Hemoglobin) 및 당화혈색소(glycated Hemoglobin)가 함께 존재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는 물과 계면활성제 혼합액 또는 물과 유기용매 혼합액에 염료 및 실리카를 첨가하고 교반시킨 후, 염기성 촉매제를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실리카 나노입자에 캡슐화된 염료는 일반적으로 혈색소 및 당화혈색소를 포함한 적색의 모든 혈색소의 스펙트럼이 나타나는 400~600nm 보다 큰 값을 갖는 청색 계열 염료(Blue Dye, BD)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자일렌 사이아놀 FF(Xylene cyanol FF, acid blue 147), 메틸렌블루(Methylene blue), 브로모페놀블루(Bromophenol blue), 말라카이트그린(Malachite Green), 브로모크레졸그린 (Bromocresol Green), 애져 A(Azure A) 및 인디고블루(Indigo blue)인 것이 바람직하고, 소수의 620~630nm에서 나타나는 메틸화 혈색소도 배재시킬 수 있으며, 실리카 나노입자 합성이 이루어지는 pH 9 이상의 염기조건에서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는 660nm대의 메틸렌블루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본 발명에서는 트리톤 x-100 또는 n-헥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실리카는 테트라에틸오르소실리케이트(tetraethyl orthosilicate) 또는 테트라메틸오르소실리케이트(tetramethyl orthosilicate)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염기성 촉매제는 실리카 전구체가 염료를 캡슐화시키는 것을 촉진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과 실리카 전구체의 가수분해를 촉진시킬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이온화 상태의 실리카 전구체는 서로 반응하여 물 또는 알코올(ROH)을 배출하며 서로 연결되어 실리카 네트워크를 이루면서 커져가게 된다.
상기 염기성 촉매제는 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테트라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 테트라프로필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테트라부틸암모늄 브로마이드, 테트라부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또는 테트라부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는 염료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기 때문에, 안정성 및 민감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생체독성이 적고 손쉽게 표면의 작용기를 바꿀 수 있다.
상기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의 직경은 10~500nm일 수 있는데, 염료 고유의 특성이 유지되는 30~1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10nm 미만인 경우에는 조작이 어렵고, 500nm를 초과할 경우에는 두께가 두꺼워져 염료가 흐리게 보일 수 있다.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에 당화혈색소에 대한 선택성을 부여하기 위한 보론산 유도체는 4-카르복실릭페닐 보론산(4-carboxylicphenyl boronic acid, CPBA)과 3-아미노페닐 보론산(3-Aminophenyl boronic acid, APBA)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CPBA를 사용할 경우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를 아민화시키고, APBA를 사용할 경우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를 카르복실화시킨 다음 카르보디이미드(Carbodiimide) 교차 커플링을 통하여 컨쥬게이션시킬 수 있다. 4-카르복실릭페닐 보론산(4-carboxylicphenyl boronic acid, CPBA)는 상대적으로 3-아미노페닐 보론산(3-Aminophenyl boronic acid, APB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열적 안정성이 높기 때문에 CPBA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은 당화혈색소의 시스-다이올과 반응할 수 있으며, 여러 개의 염료분자가 실리카 나노입자내에 캡슐화되어 있어, 1개의 염료분자보다 빛의 흡수량이 높으므로, 당화혈색소의 검출한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a) (ⅰ) 용혈액 및 (ⅱ) 당화혈색소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을 포함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에 혈액 샘플을 넣고 용혈 및 반응시키는 단계; (b) 반응물을 카트리지의 흡수 패드에 투여한 후 세척액으로 세척하는 단계; (c) 광학기기로 흡수 패드의 광학 반사도 측정하여 전체 혈색소 및 당화혈색소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 및 (d) 측정된 전체 혈색소 및 당화혈색소의 양을 기반으로 당화혈색소의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당화혈색소의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학기기는 광학 특성을 이용하여 광학 반사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전체 혈색소를 측정할 수 있는 파장 및 "염료(청색)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의 특이 파장을 동시에 광원(예: 적색(430nm), 청색(650~700nm))으로 조사하고, 반사된 광신호를 포토 다이오드 검출기(photodiode detector, PD)로 측정하여 광신호 변환기를 통해 혈색소 및 당화혈색소의 양을 각각 측정할 수 있다.
당화혈색소의 비율은 전체 혈색소 양에 따른 당화혈색소의 상대적인 양을 다음 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당화혈색소 비율( % )= 당화혈색소 /전체 혈색소
일반적으로 상기 당화혈색소의 비율이 6.5% 이상인 경우 당뇨병으로 진단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청색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BD@SNP-CPBA) 제조
1-1: 청색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BD@SNP) 합성
사이클로헥세인(cyclohexane) 135.0㎖, 트리톤 X-100 31.8㎖, n-헥산올 (n-hexanol) 32.4㎖, 0.1M 메틸렌블루 6.12㎖, TEOS(tetraethyl orthosilicate) 2.7㎖을 1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넣고 교반기를 이용하여 1시간 동안 균일하게 혼합시켰다. 25~30% 암모니아수(NH4OH) 1.08㎖를 넣고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킨후 에탄올 200㎖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고,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3800rpm, 15분의 조건으로 4회 에탄올 세척과 3회 DI 세척한 후 60℃ 오븐에 넣고 건조시켰다.
1-2: 청색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BD@SNP)의 아민화
BD@SNP와 CPBA의 카르복실기의 교차 결합을 위하여, BD@SNP의 표면에 있는 수산화 그룹(-OH)을 1차 아민기로 치환하였다. 즉, BD@SNP 100㎎을 100㎖의 에탄올에 넣고, 초음파 분산기를 이용하여 30분간 분산시킨 후, APTES (3-Aminopropyltriethoxysilane) 1㎖을 교반기에 넣고 2시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3800rpm, 15분의 조건으로 4회 에탄올 세척과 3회 DI 세척한 후 60℃ 오븐에 넣고 건조시켜 아민화된 BD@SNP (BD@SNP-NH2)를 제조하였다.
1-3: 아민화된 청색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BD@SNP-NH 2 ) 및 CPBA의 접합
당화혈색소와의 결합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카르복실기와 1차 아민기를 연결하는 교차결합제인 1-에틸-3[3-디메틸 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EDC)를 이용한 카르보디이미드 교차 커플링 방법으로 당화혈색소 결합물질인 4-카르복실릭페닐보론산(4-carboxylicphenyl-boronic acid, CPBA)을 아민화된 청색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BD@SNP-NH2) 표면에 고정화시켰다.
즉, 빛이 차단된 환경에서, CPBA의 카르복실 작용기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3.48mM CPBA를 0.1M의 MES(2-(N-Morpholino)ethanesulfonic acid) 완충용액 (pH 6.0)에 녹이고 최종농도 1mM의 EDC를 넣고 30분간 교반하며 반응시킨 후, BD@SNP-NH2를 첨가한 후 10~20시간 동안 교반기에서 상온 반응시켰다.
반응이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3800rpm, 15분의 조건으로 4회 에탄올 세척과 3회 DI 세척한 후 상온 또는 동결건조하여 청색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BD@SNP-CPBA)를 제조하였다.
합성에 사용한 "메틸렌 블루" 염료와 "염료가 캡슐화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 각각을 탈이온수(DI water)로 희석한 뒤 UV/Vis spectroscopy를 측정해 본 결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염료가 캡슐화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은 합성 이후에도 청색 염료 고유의 흡수파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를 주사전자현미경과 동적광산란법을 이용해 입자를 분석해 본 결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자의 형태가 균일하고, 크기가 약 30~40nm인 나노입자가 합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BD@SNP-CPBA 및 용혈액을 포함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을 이용한 당화혈색소 측정
용혈액(ZnCl2, NaCl, MgCl2, Triton X-100, NaN3, glycine, HEPES, pH 8.1) 및 실시예 1에서 제조된 BD@SNP-CPBA를 포함하는 시약 조성물 200㎕를 갈색 튜브에 넣고, 기준장비(Tosoh G11 분석기)를 이용하여 당화혈색소 %값을 측정한 혈액샘플 5㎕을 첨가한 후, 2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액 25㎕을 광학기기(에피소드® 616, 딕스젠)의 카트리지 흡수 패드에 올려 15초 동안 흡수시키고, 세척 용액(Morpholine, NaCl, Triton X-100, Glycerol, 및 NaN3 혼합액) 25㎕을 넣고 15초 동안 세척시켰다. 다음으로, 카트리지를 광학기기(에피소드® 616, 딕스젠)에서 적색의 전체 혈색소와 청색의 BD@SNP-CPBA-당화혈색소의 광학 반사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각각의 파장으로부터 측정된 %반사도(%R)는 얼마만큼의 색을 띠는 물질이 해당 표면 있는지에 대한 정량지표인 K/S 값으로 변환하여 사용하였으며, %반사도를 K/S 값으로 변환하는 공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at00001
(K=흡수계수, S= 산란계수)
따라서, 당화혈색소의 양을 대변하는 적색광원을 조사하여 얻은 % 반사도값과 전체 혈색소를 대변하는 청색광원으로부터 얻은 % 반사도값을 각각 K/S값으로 치환한 뒤 이들의 비율을 계산함으로써 혈중 당화혈색소의 양을 측정할 수 있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액 내에 포함된 당화혈색소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결합한 "염료가 캡슐화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의 양(K/S값)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당화혈색소의 측정방법은 당뇨병 진단에 널리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ⅰ) 용혈액 및 (ⅱ) 당화혈색소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을 포함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혈액은 트리스(TRIS), 헤페스(HEPES), 테스(TES), 몹스(MOPS) 및 피페스(PIPE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실리카 나노입자에 캡슐화된 염료는 청색 계열 염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 계열 염료는 자일렌 사이아놀 FF(Xylene cyanol FF, acid blue 147), 메틸렌블루(Methylene blue), 브로모페놀블루(Bromophenol blue), 말라카이트그린(Malachite Green), 브로모크레졸그린(Bromocresol Green), 애져A(Azure A) 및 인디고블루(Indigo blu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는 물과 계면활성제 혼합액 또는 물과 유기용매 혼합액에 염료 및 실리카를 첨가하고 교반시킨 후, 염기성 촉매제를 첨가하여 제조시킨 것으로서 당화혈색소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의 직경은 10~5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은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를 아민화시킨 후 4-카르복실릭페닐 보론산(4-carboxylicphenyl boronic acid, CPBA)과 컨쥬게이션시키거나,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를 카르복실화시킨 후 3-아미노페닐 보론산(3-Aminophenylboronic acid, APBA)과 컨쥬게이션시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
  8. (a) (ⅰ) 용혈액 및 (ⅱ) 당화혈색소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을 포함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에 혈액 샘플을 넣고 용혈 및 반응시키는 단계;
    (b) 반응물을 카트리지의 흡수 패드에 투여한 후 세척액으로 세척하는 단계;
    (c) 광학기기로 흡수 패드의 광학 반사도 측정하여 전체 혈색소 및 당화혈색소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 및
    (d) 측정된 전체 혈색소 및 당화혈색소의 양을 기반으로 당화혈색소의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당화혈색소의 측정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기기는 전체 혈색소를 측정할 수 있는 파장 및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과 결합된 당화혈색소를 측정할 수 있는 파장을 동시에 광원으로 조사하여 광학 반사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의 측정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당화혈색소의 비율에 따라 당뇨병을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의 측정방법.
KR1020170122083A 2016-09-22 2017-09-21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당화혈색소의 측정방법 KR1020297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853475.6A EP3517966B1 (en) 2016-09-22 2017-09-22 Reagent composition for measuring glycated hemoglobin and method for measuring glycated hemoglobin using same
US16/335,396 US11268953B2 (en) 2016-09-22 2017-09-22 Reagent composition for measuring glycated hemoglobin and method for measuring glycated hemoglobin using same
ES17853475T ES2902649T3 (es) 2016-09-22 2017-09-22 Composición de reactivo para medir hemoglobina glucosilada y procedimiento para medir hemoglobina glucosilada utilizando la misma
PCT/KR2017/010497 WO2018056761A1 (ko) 2016-09-22 2017-09-22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당화혈색소의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21689 2016-09-22
KR1020160121689 2016-09-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2512A true KR20180032512A (ko) 2018-03-30
KR102029797B1 KR102029797B1 (ko) 2019-10-08

Family

ID=61900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2083A KR102029797B1 (ko) 2016-09-22 2017-09-21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당화혈색소의 측정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3517966B1 (ko)
KR (1) KR10202979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7472A1 (ko) * 2020-01-03 2021-07-08 주식회사 딕스젠 당화 알부민 측정용 시약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당화 알부민 비율 측정법
WO2021137473A1 (ko) * 2020-01-03 2021-07-08 주식회사 딕스젠 헤모글로빈 측정 시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헤모글로빈 측정방법
WO2021177560A1 (ko) * 2020-03-05 2021-09-10 주식회사 딕스젠 당화 알부민 비율 측정용 시약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당화 알부민 비율의 측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98320B (zh) * 2020-10-12 2023-12-22 青岛汉唐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糖化血红蛋白检测试剂盒及其检测方法
CN112198123B (zh) * 2020-10-12 2022-07-01 青岛汉唐生物科技有限公司 修正贫血对糖化血红蛋白测值影响的检测系统及检测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3280A (ko) * 2006-09-09 2008-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리에틸렌글라이콜이 결합된 기능성 실리카 나노파티클 및그 제조방법
KR101128037B1 (ko) * 2009-06-19 2012-03-29 주식회사 인포피아 당화혈색소 측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024771D0 (en) * 1990-11-14 1991-01-02 Axis Research Assay
GB0110053D0 (en) * 2001-04-24 2001-06-13 Axis Shield Asa Assa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3280A (ko) * 2006-09-09 2008-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리에틸렌글라이콜이 결합된 기능성 실리카 나노파티클 및그 제조방법
KR101128037B1 (ko) * 2009-06-19 2012-03-29 주식회사 인포피아 당화혈색소 측정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7472A1 (ko) * 2020-01-03 2021-07-08 주식회사 딕스젠 당화 알부민 측정용 시약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당화 알부민 비율 측정법
WO2021137473A1 (ko) * 2020-01-03 2021-07-08 주식회사 딕스젠 헤모글로빈 측정 시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헤모글로빈 측정방법
KR20210087679A (ko) * 2020-01-03 2021-07-13 주식회사 딕스젠 헤모글로빈 측정 시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헤모글로빈 측정방법
WO2021177560A1 (ko) * 2020-03-05 2021-09-10 주식회사 딕스젠 당화 알부민 비율 측정용 시약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당화 알부민 비율의 측정방법
KR20210112619A (ko) * 2020-03-05 2021-09-15 주식회사 딕스젠 당화 알부민 비율 측정용 시약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당화 알부민 비율의 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17966A4 (en) 2020-05-20
EP3517966A1 (en) 2019-07-31
KR102029797B1 (ko) 2019-10-08
EP3517966B1 (en) 202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9797B1 (ko)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당화혈색소의 측정방법
Gabriel et al. Highly sensitive colorimetric detection of glucose and uric acid in biological fluids using chitosan-modified paper microfluidic devices
AU2004200506B2 (en) Method for Reducing Effect of Hematocrit on Measurement of an Analyte in Whole Blood, and Test Kit and Test Article Useful in the Method
JP3088789B2 (ja) イオンのアッセイ法とその装置
Morosanova Silica and silica–titania sol–gel materials: Synthesis and analytical application
JP5829766B2 (ja) 酵素法を利用したヘモグロビンA1c定量分析のための溶血試薬組成物
WO2018120854A1 (zh) 检测ck-mb的时间分辨荧光免疫层析试纸条、试剂盒及其制备方法
Díaz et al. Sol-gel cholinesterase biosensor for organophosphorus pesticide fluorimetric analysis
JPS60249037A (ja) 化学分析装置及びその検量方法
US3814586A (en) Composition,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bilirubin and urobilinogen
US20210208152A1 (en) Reagent composition for measuring glycated albumin and method for measuring glycated albumin using same
Ceresa et al. Mechanistic insights into the development of optical chloride sensors based on the [9] mercuracarborand-3 ionophore
CN103472041B (zh) 一种肌酸酐含量检测试剂盒的使用方法
Carrero-Ferrer et al. Plasmonic sensor for hydrogen sulphide in saliva: Multisensor platform and bag format
KR102312321B1 (ko) 당화 알부민 측정용 시약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당화 알부민 비율 측정법
WO2018056762A1 (ko) 당화 알부민 측정용 시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당화 알부민의 측정방법
KR101042043B1 (ko) 아조 보론산 염료를 이용한 당화단백질의 광학적 측정방법
CN107573536B (zh) 一种气凝胶的制备方法及其应用
Chattopadhyay et al. Smartphone-based automated estimation of plasma creatinine from finger-pricked blood on a paper strip via single-user step sample-to-result integration
US11268953B2 (en) Reagent composition for measuring glycated hemoglobin and method for measuring glycated hemoglobin using same
Hamer et al. Development of an electrophoretic method based on nanostructured materials for HbA1c determination
Liu et al. Naked-eye readout distance quantitative lateral flow assay based on the permeability changes of enzyme-catalyzed hydrogelation
EP3726215A1 (en) Silica nanoparticles for biomarker diagnosi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105301261A (zh) 一种检测糖化血红蛋白的试剂盒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CN107271500A (zh) 一种尿酸生化分析干片及其制备方法和试剂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