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2321B1 - 당화 알부민 측정용 시약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당화 알부민 비율 측정법 - Google Patents

당화 알부민 측정용 시약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당화 알부민 비율 측정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2321B1
KR102312321B1 KR1020200000697A KR20200000697A KR102312321B1 KR 102312321 B1 KR102312321 B1 KR 102312321B1 KR 1020200000697 A KR1020200000697 A KR 1020200000697A KR 20200000697 A KR20200000697 A KR 20200000697A KR 102312321 B1 KR102312321 B1 KR 102312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bumin
reagent
measuring
reaction
gly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7678A (ko
Inventor
이진우
전선아
전상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딕스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딕스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딕스젠
Priority to KR1020200000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2321B1/ko
Priority to PCT/KR2020/018293 priority patent/WO2021137472A1/ko
Publication of KR20210087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7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2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2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proteins, peptides or amino ac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66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olid-phase testing
    • G01N33/54386Analytical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05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by diffraction, scatter or reflection
    • G01N2223/052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by diffraction, scatter or reflection refl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43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animals; from humans
    • G01N2333/76Assays involving albumins other than in routine use for blocking surfaces or for anchoring haptens during immunisation
    • G01N2333/765Serum albumin, e.g. HS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440/00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s [PTMs] in 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2440/38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s [PTMs] in 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addition of carbohydrates, e.g. glycosylation, gly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04Endocrine or metabolic disorders
    • G01N2800/042Disorders of carbohydrate metabolism, e.g. diabetes, glucose metabolism

Abstract

본 발명은 당화 알부민 비율을 측정할 수 있는 알부민 전처리 및 반응 시약, 당화 알부민 반응 시약 및 단백질 침전제를 포함하는 당화 알부민 측정용 시약 키트와 이를 이용한 당화 알부민 비율 측정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당화 알부민 비율 측정법은 (a) 알부민 전처리 및 반응 시약을 혈청 또는 혈장과 반응시키는 단계; (b) 알부민 전처리 및 반응 시약의 반응물을 당화 알부민 반응 시약에 넣고 반응시키는 단계; (c) 당화 알부민 반응시약의 반응물을 단백질 침전제에 넣고 반응시키는 단계; (d) 단백질 침전제와의 반응물을 카트리지의 측정 패드에 투여한 후 세척액으로 세척하는 단계; 및 (e) 광학기기로 측정 패드의 광학 반사도를 측정하여 당화 알부민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당화 알부민 측정용 시약 키트를 이용한 당화 알부민 비율 측정법은 복수의 광원을 동시에 측정하여 당화 알부민 비율을 특정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측정과정 없이 하나의 측정 카트리지에서 광학분석기로 간단하게 당화 알부민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당화 알부민 측정용 시약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당화 알부민 비율 측정법 {Reagent kit for detecting glycated albumin and detection method of glycated albumin ratio using thereof}
본 발명은 당화 알부민 측정용 시약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당화 알부민 비율 측정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당뇨병 진단 지표 중 하나인 당화 알부민 측정용 시약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당화 알부민 비율 측정법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혈당조절 역할을 하는 인슐린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대사질환으로, 인슐린을 생성하는 세포가 면역 시스템의 이상으로 인해 파괴되어 부족할 때 발생되는 1형 당뇨와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효과적으로 사용되지 못함에 따라 발생되는 2형 당뇨 등 발병 원인에 따라 분류된다.
당뇨병은 혈중 포도당의 농도가 높아지는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며, 혈당관리 조절을 실패할 경우 당뇨망막증, 신장질환, 족부병변 등의 합병증이 유발될 수 있기 때문에 당뇨병 환자들의 혈당 관리에 대한 중요성은 증가되고 있다.
종래의 당뇨병 측정 마커는 포도당을 사용하였으나, 식전 식후의 혈당 값 변동이 심하기 때문에 측정하는 시간에 따른 오차 및 환자의 컨디션에 따른 변동이 직접적으로 나타날 수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포도당 측정에 사용하는 포도당산화효소는 pH나 혈액 내에 포함된 다른 방해물질 등과 같은 측정하는 환경영향에 취약하며, 과산화수소를 발생시킴에 따라 효소의 활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포도당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보다 안정적인 혈당 측정용 바이오 마커로써 당화혈색소(glycated hemoglobin, HbA1c)를 이용하고 있다. 당화혈색소는 생성되면 적혈구가 소멸되기까지는 안정하므로 2~3개월의 평균혈당치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므로, 실제 당뇨병의 진단 및 치료 경과 추이를 조사하는데 활용된다. 하지만 당화혈색소 측정법은 말기 만성신부전 등과 같이 혈당이 꾸준히 유지되지 못하는 일부의 질환자나 적혈구에 이상이 있는 환자에게는 적합하지 않다고 알려져 있다.
알부민은 혈액뿐만 아니라 주요 장기와 체액에 존재하는 단백질로, 혈액의 포도당 농도에 따라 포도당이 결합된 당화 알부민이 형성되기도 한다. 알부민은 혈색소에 비해 포도당의 결합률이 10배 정도 높아서 당화 알부민은 당화혈색소보다 혈당 변화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고, 적혈구 수명이 90일 정도인 것에 비하여 알부민은 15~20일 정도로 짧아서, 최근 2주 동안 혈중 포도당 수준의 평균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따라서, 혈당이 꾸준히 유지되지 않는 말기 만성신부전 환자, 철 결핍성 빈혈 환자, 변종 헤모글로빈을 가진 당뇨환자에서 중요한 혈당 컨트롤 지표로 유용하다.
미국등록특허 제7871789호, 미국등록특허 제6008006호, 미국등록특허 제8507223호, 중국공개특허 제104673878호 및 중국공개특허 제104614459호는 종래의 당화 알부민을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시료에 존재하는 당화 단백질을 단백질분해효소를 사용하여 당화 아미노산 또는 당화 펩타이드로 분해한 후 이와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당화 아미노산 산화 효소 (EC 1.5.3) 계열의 효소 반응으로 생성된 과산화수소(H2O2)를 다시 페록시다아제(peroxidase) 효소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당화 알부민 효소법을 개시하였다.
당화 알부민 효소법은 알부민에 대한 높은 선택성 및 정확성뿐만 아니라, 면역법 보다 빠른 시간 내(10~30분) 검사가 가능하지만, 효소 단백질 특성상 그 활성이 당화 알부민 분석법 효율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효소의 활성 유지 및 보관에 엄격한 주의가 요구된다.
당화 알부민 효소법은 시료 내에 이미 존재하는 당화 아미노산과 당화 펩타이드를 제거하기 위한 단계가 선행되어야 하며, 당화 아미노산 산화효소(EC 1.5.3)는 온전한 당화 단백질을 기질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반드시 단백질 분해효소를 사용하여 당화 단백질을 당화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로 분해하는 단계가 선행되어야 하는 등 다단계로 구성된 복잡한 측정법이다. 따라서 이보다 간단하며 신속하게 당화 알부민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미국등록특허 제5223392호, 미국등록특허 제5908925호, 유럽공개특허 제0657470호, 유럽등록특허 제0257421호 및 중국공개특허 제103554256호는 당화 알부민을 검출하기 위하여 알부민 항체 및 페록시다아제 효소와 컨주게이션된 당화 알부민 항체를 이용한 효소 면역측정법(ELISA)을 개시하였고, Ikeda 등은 알부민 항체 및 페록시다아제 효소와 컨주게이션된 보론산을 이용한 효소-보론산 면역측정법(ELIBA)을 개시하였다(Ikeda et al, Clin Chem. 44(2):256-263, 1998). 이들 방법은 높은 선택성 및 정확성을 보였으나, 항체 및 효소의 보관 및 유지가 필요하고, 많은 시간(30~90분)이 소요되어 래피드 키트로의 개발에는 제한이 있다. 게다가 고가의 당화알부민 항체는 제품화하는데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POC(Point of care)나 래피드 키트로써 미국등록특허 제9128085호, 미국공개특허 제2006-0270060호, 미국공개특허 제2008-0227210호, 미국공개특허 제2010-0167306호, 미국등록특허 제5470759호 및 미국등록특허 제7659107호는 혈액, 침 등의 시료에서 알부민 및 당화 알부민을 측정을 위해 항체 기반의 측면유동면역발색법(lateral flow immunochromatography)을 이용한 일회용 스트립 및 카세트 이용한 방법을 개시하였고, 미국공개특허 제2014-0170766호는 항체와 유사한 작용을 하는 핵산 유래의 알부민 앱타머와 당화 알부민 앱타머를 이용한 측면유동면역발색법(lateral flow immunochromatography)을 적용시킨 래피드 키트의 제조방법을 개시하였으며, 미국공개특허 제2014-0335630호는 당화 알부민 앱타머와 SPR (surface plasmon resonance)을 이용한 측정법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항체 또는 핵산으로 구성된 앱타머 역시 항체와 같이 유지 및 보관에 주의가 필요하다.
국내등록특허 제10-2029798에서 전체 알부민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브로모크레졸그린 또는 브로모크레졸퍼플과 당화알부민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을 이용한 당화알부민 측정법을 개시하였다. 이 방법은 전체 알부민과 당화알부민을 각각 측정하여 당화알부민 비율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산성의 알부민 측정시약과 알칼리성의 당화알부민 시약은 서로 양립할 수 없기 때문에 측정 시료를 각각의 시약에서 측정해야만 하여 측정 시약 및 카트리지 등이 모두 독립적으로 구성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이보다 간소화하여 신속하게 당화알부민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노력한 결과, (a) 알부민 전처리 및 반응 시약; (b) 당화 알부민 반응 시약; 및 (c) 단백질 침전제를 이용할 경우, 광학기기로 당화 알부민 비율을 간단하고, 정확하게 측정 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당뇨병 진단의 지표로써 활용될 수 있는 당화 알부민 비율을 간단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당화 알부민 측정용 시약 키트와 이를 이용한 당화 알부민 비율 측정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알부민 전처리 및 반응 시약, (b) 당화 알부민 반응 시약 및 (c) 단백질 침전제를 포함하는 당화 알부민 비율을 측정할 수 있는 당화 알부민 측정용 시약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알부민 전처리 및 반응 시약은 (ⅰ) 디티오트레이톨(dithiothreitol, DTT), 구아니딘(guanidine), 하이드록실아민(Hydroxylamine), 2-머캅토에탄올(2-mercaptoethanol), 나트륨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sodium cyanoborohydride), 트리스(2-카르복시에틸)포스핀(tris(2-carboxyethyl)phosphine, TCEP) 및 트리스(하이드록시프로필)포스핀(tris(hydroxypropyl)phosphine), 우레아(urea)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단백질 구조를 변형시키기 위한 알부민 전처리 시약 및 (ⅱ) 타르트라진 (Tartrazine), 에타크리딘 락테이트(Ethacridine lactate), 메틸 오렌지(Methyl orange) 및 메틸 레드(Methyl red)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알부민 반응 시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침전제는 황산암모늄(ammonium sulfate), 카프릴산(caprylic acid), 디메틸옥타데실염화암모늄(dimethyldioctadecylammonium chloride, DODMAC), 트리옥틸메틸염화 암모늄(trioctylmethylammonium chloride, TOMAC),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및 황산아연(Zinc sulfate)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당화 알부민 반응 시약은 염료-컨쥬게이션 보론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염료는 알부민 측정 시약과 구별되는 보색계열 염료나 형광염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자일렌 사이아놀 FF(Xylene cyanol FF), 메틸렌 블루(Methylene blue), 패스트 그린 FCF(Fast Green FCF), FITC, 로다민 레드(Rodamine Red), 텍사스 레드(Texas Red), 사이아닌 5(Cyanine 5), 보디피(Bodipy) 및 양자점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a) 알부민 전처리 및 반응 시약을 혈청 또는 혈장과 반응시키는 단계; (b) 알부민 전처리 및 반응 시약의 반응물을 당화 알부민 반응 시약에 넣고 반응시키는 단계; (c) 당화 알부민 반응시약의 반응물을 단백질 침전제에 넣고 반응시키는 단계; (d) 단백질 침전제와의 반응물을 카트리지의 측정 패드에 투여한 후 세척액으로 세척하는 단계; 및 (e) 광학기기로 측정 패드의 광학 반사도를 측정하여 당화 알부민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당화 알부민 비율 측정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측정 패드는 유리 섬유(glass fiber), 셀룰로즈(cellulose), 폴리에스테르 술폰(polyesther sulfone) 소재의 멤브레인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흡수패드는 셀룰로즈 섬유(cellulose fiber), 유리 섬유(glass fiber) 및 폴리우레탄(polyurethan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측정 패드의 멤브레인 포어 크기는 0.1 μm~1 μ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학기기는 전체 알부민의 양을 나타내는 염료 시약의 파장과 당화 알부민의 양을 대변하는 당화 알부민 반응 시약의 파장을 측정할 수 있는 복수의 광원을 동시에 조사하여 광학 반사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당화 알부민 측정용 시약 키트를 이용한 당화 알부민 비율 측정법은 복수의 광원을 동시에 측정하여 당화 알부민 비율을 특정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측정과정 없이 하나의 측정 카트리지에서 광학분석기로 간단하게 당화 알부민을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당화 알부민 측정용 시약 키트 및 광학기기를 이용하여 당화 알부민 비율 측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부민 전처리 및 측정 시약 및 광학기기를 이용하여 알부민 양에 따른 측정 반사도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부민 전처리 및 반응 시약에서 단백질 변성제의 유무에 따른 당화 알부민 측정용 시약 키트 및 광학기기를 이용하여 측정 시료의 당화 알부민 비율에 따른 반사도 값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서는 (a) 알부민 전처리 및 반응 시약; (b) 당화 알부민 반응 시약; 및 (c) 단백질 침전제를 이용할 경우 광학기기로 당화 알부민 비율을 간단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알부민 전처리 및 반응 시약에 알부민 및 당화 알부민을 포함하는 혈장 또는 혈청 샘플을 넣어 반응시키고, 이를 당화 알부민 반응 시약과 반응시킨 다음, 단백질 침전제와 반응시켰다. 다음으로 반응액을 측정 패드에 투여한 후, 반응하지 않은 시약 및 불순물과 결합된 시약을 세척한 다음, 광학기기로 측정 패드의 광학 반사도를 측정하여 당화 알부민의 비율을 계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알부민 전처리 시약인 구아니딘에 혈장샘플에 넣어 반응시키고, 당화 알부민 반응 시약인 xylene cyanol-DAPOL-CPBA와 반응시킨 뒤에, 단백질 침전제인 트리옥틸메틸염화 암모늄(Trioctylmethylammonium chloride, TOMAC)과 반응시키고, 측정 패드에 투여한 후, 세척한 다음, 광학기기로 측정 패드를 적색 및 청색 광원으로 조사하여 각각의 광학 반사도를 측정함으로써, 그 비율을 토대로 당화 알부민의 비율을 간단하게 특정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a) 알부민 전처리 및 반응 시약, (b) 당화 알부민 반응 시약 및 (c) 단백질 침전제를 포함하는 당화 알부민 비율을 측정할 수 있는 당화 알부민 측정용 시약 키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알부민 전처리 및 반응 시약은 당화 알부민과 당화 알부민 반응 시약의 반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알부민 전처리 시약 및 알부민 반응 시약을 포함한다.
상기 알부민 전처리 시약은 단백질 구조를 변형시킬 수 역할을 할 수 있다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디티오트레이톨(dithiothreitol, DTT), 구아니딘(guanidine), 하이드록실아민(Hydroxylamine), 2-머캅토에탄올(2-mercaptoethanol), 나트륨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sodium cyanoborohydride), 트리스(2-카르복시에틸)포스핀(tris(2-carboxyethyl)phosphine, TCEP), 트리스(하이드록시프로필)포스핀(tris(hydroxypropyl)phosphine), 우레아(urea)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알부민 반응 시약은 알부민과 결합되며, 광학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타르트라진 (Tartrazine), 에타크리딘 락테이트(Ethacridine lactate), 메틸 오렌지(Methyl orange), 메틸 레드(Methyl red)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알부민 전처리 시약은 그 종류에 따라 달라지지만 1 mM~50 mM 농도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알부민 반응 시약은 0.1 mM~10 mM 농도를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당화 알부민 반응 시약은 당화 알부민의 선택적 검출을 위한 것으로서, 염료-컨쥬게이션 보론산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염료는 알부민 측정 시약과 구별되는 보색계열 염료나 형광염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자일렌 사이아놀 FF(Xylene cyanol FF), 메틸렌 블루(Methylene blue), 패스트 그린 FCF(Fast Green FCF), FITC, 로다민 레드(Rodamine Red), 텍사스 레드(Texas Red), 사이아닌 5(Cyanine 5), 보디피(Bodipy), 양자점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자일렌 사이아놀 FF(Xylene cyanol FF)은 CPBA와의 결합을 위한 링커로 DAPOL을 포함하고 있다.
당화 알부민에 대한 선택성을 부여하기 위한 보론산은 4-카르복실릭페닐 보론산(4-carboxylicphenyl boronic acid, CPBA)과 3-아미노페닐 보론산(3-Aminophenyl boronic acid, APBA)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4-카르복실릭페닐 보론산(4-carboxylicphenyl boronic acid, CPBA)는 상대적으로 3-아미노페닐 보론산(3-Aminophenyl boronic acid, APB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열적 안정성이 높기 때문에 CPBA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염료는 보론산과 직접 결합될 수도 있으나, 염료의 안정성 및 감도 향상을 위하여, 여러 개의 염료 분자를 하나의 실리카 나노입자 안에 캡슐화시킨 후 이를 보론산 유도체와 결합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염료-컨쥬게이션 보론산으로는 xylene cyanol-DAPOL-CPBA, tartrazine-APBA, Methylene blue-silica nanopatilce-CPBA, FGS (Fast green FCF doped silica nanoparticle)-CPBA, FGS-APBA, FITC-doped silica nanoparticle-CPBA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침전제는 카트리지의 흡수패드에서 당화 알부민의 측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황산암모늄(ammonium sulfate), 카프릴산(caprylic acid), 디메틸옥타데실염화암모늄(dimethyldioctadecylammonium chloride, DODMAC), 트리옥틸메틸염화 암모늄(trioctylmethylammonium chloride, TOMAC), 황산아연(Zinc sulfate),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백질 침전제는 그 종류에 따라 달라지지만 1 mM ~50 mM 농도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당화 알부민 측정용 시약 키트 및 광학기기를 이용하여 당화 알부민 비율 측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부민 전처리 및 반응 시약에 혈청 용액을 넣고 반응시키는 단계(R1), R1 반응액에 당화 알부민 반응 시약을 반응시키는 단계(R2), R2 반응액에 단백질 침전제를 처리하는 단계(R3)를 수행한 다음, 측정패드 및 흡수패드를 포함하는 카트리지에 R3 반응액을 투여하고, 광학기기로 측정패드의 광학 반사도를 측정하면 당화 알부민 비율을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a) 알부민 전처리 및 반응 시약, (b) 당화 알부민 반응 시약 및 (c) 단백질 침전제를 포함하는 당화 알부민 비율을 측정할 수 있는 당화 알부민 측정용 시약 키트를 이용한 당화 알부민 비율 측정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a) 알부민 전처리 및 반응 시약에 혈장 또는 혈청 용액을 넣고 반응시키는 단계; (b) 알부민 전처리 및 반응 시약과의 반응액을 당화 알부민 반응 시약에 넣고 반응시키는 단계; (c) 당화 알부민 반응시약과의 반응액을 단백질 침전제에 넣고 반응시키는 단계; (d) 최종 반응물을 카트리지의 측정 패드에 투여한 후 세척액으로 세척하는 단계; 및 (e) 광학기기로 측정 패드의 광학 반사도를 측정하여 당화 알부민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당화 알부민 비율 측정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당화 알부민 비율 측정법에 있어서, 상기 알부민 전처리 및 반응 시약, 당화 알부민 반응 시약 및 단백질 침전제는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혈청 또는 혈장에 알부민 전처리 및 반응 시약, 당화 알부민 반응 시약 및 단백질 침전제를 처리하여 획득한 반응물로부터 당화 알부민의 비율을 광학기기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카트리지는 반응액을 흡수하는 측정패드, 상기 측정패드 하부에 위치하며, 측정패드에 투입된 반응액중 액체성분이 이동되는 흡수패드 및 이들을 둘러싼 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측정 패드는 최종 반응액의 침전물의 반사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포어 크기 0.1 μm~1 μm 포어 크기의 유리 섬유(glass fiber), 셀룰로즈(cellulose), 폴리에스테르 술폰(polyesther sulfone) 소재의 멤브레인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흡수패드는 셀룰로즈 섬유(cellulose fiber), 유리 섬유(glass fiber),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학기기는 광학 특성을 이용하여 광학 반사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알부민 반응 시약의 파장 및 당화 알부민 반응 시약의 파장을 동시에 발생시킬 수 있는 광원(적색 및 청색)으로 조사하고, 반사된 광신호를 광학검출기(photodetector)로 측정하여 광신호 변환기를 통해 당화 알부민 비율을 계산할 수 있다. 적색 광원은 600~670 nm 범위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청색계열 염료나 형광을 측정하며, 청색 광원은 430~490 nm 범위를 나타내며 바람직하게는 황적색계열의 염료를 측정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알부민 반응 시약과 단백질 침전제 시약을 이용한 알부민 광학 반사도 측정
타르트라진(tartrazine)을 포함하는 알부민 반응 시약과 4종의 농도별 인체 혈청 알부민 측정시료(human serum albumin, HSA; 씨그마알드리치 A1653)와 연속 희석한 4종의 농도별 혈청시료를 반응시키고, 트리옥틸메틸염화 암모늄(TOMAC)을 포함하는 단백질 침전제 시약을 처리한 반응 침전물의 광학반사도를 측정하여 알부민 양을 측정하였다.
즉, 측정 시료를 타르트라진(tartrazine)을 포함하는 알부민 반응 시약과 1:1 비율로 혼합하여 1분간 반응시킨 후, 10 μL 반응액을 200 μL TOMAC을 포함하는 단백질 침전제 시약과 5분간 반응시켰다. 25 μL 최종 반응액을 광학기기(에피소드® 616, 딕스젠)의 카트리지 측정 패드에 올려 15초 동안 흡수시키고, 25 μL 세척 용액(Morpholine, NaCl, Triton X-100, Glycerol 및 NaN3 혼합액)을 넣고 15초 동안 흡수시켰다. 다음으로, 카트리지를 광학기기(에피소드® 616, 딕스젠)에 넣어 청색광(630nm)의 반사도를 측정하였다. 알부민 양을 광학 반사도(Reflectance)를 계산하는 쿠벨라-뭉크 방정식(Kubelka-Munk theory)에 따라 K/S 값으로 변환하여 나타내었고, 그 공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20000554088-pat00001
(K= 흡수계수, S= 산란계수)
참고로, 카트리지는 딕스젠에서 제조한 유리 섬유 소재의 측정패드 및 셀룰로즈 섬유 소재의 흡수패드를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사용하였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르트라진(tartrazine)을 포함하는 알부민 반응 시약과 단백질 침전제를 이용하여 알부민이나 혈청시료에서 알부민 양이 증가할수록 청색광 K/S 값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 예 2 : 당화 알부민 측정용 시약을 이용한 광학 반사도 측정
2.1 당화 알부민 측정용 시약을 이용한 광학 반사도 측정 1
당화 알부민 측정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타르트라진(tartrazine)을 포함하는 알부민 반응시약 1 ml에 단백질 구조를 변형시키는 구아니딘(guanidine) 1 ml을 추가한 알부민 전처리 및 반응 시약을 제조하여, 타르트라진(tartrazine)을 포함하는 알부민 반응시약과 함께 당화알부민 반응 효율 측면에서 비교하였다. 측정 시료는 기준시약(아사히 가세이 루시카 GA-L)의 표준 용액의 저농도(15.3% GA)와 고농도(36.2% GA)와 이 두 용액을 1:1로 혼합한 중농도(26.6% GA) 용액을 준비하였고, 상위 기준시약(아사히 가세이 루시카 GA-L)과 기준장비 자동생화학분석기(AU400, Beckman Coulter)으로 GA% 값을 확인한 후 사용하였다.
자세하게는 (1) 타르트라진(tartrazine)만을 포함하는 알부민 반응시약과 (2)구아니딘(guanidine)을 포함하는 전처리 시약을 1:1 비율로 혼합하여 알부민 전처리 및 반응 시약을 제조하고, 이 알부민 전처리 및 반응 시약을 측정 시료와 1:1 비율로 혼합하여 각각 1분간 반응시킨 후, 25 μL 반응액을 200 μL xylene cyanol-DAPOL-CPBA를 포함하는 당화단백질 반응시약과 5분간 반응시켰다. 다시 이 반응액의 25 μL를 TOMAC을 포함하는 단백질 침전제 시약 200 μL과 5분간 반응시켰다. 최종 반응액, 25 μL를 광학기기(에피소드® 616, 딕스젠)의 카트리지 측정 패드에 올려 15초 동안 흡수시키고, 25 μL 세척 용액(Morpholine, NaCl, Triton X-100, Glycerol 및 NaN3 혼합액)을 넣고 15초 동안 흡수시켰다. 다음으로, 카트리지를 광학기기(에피소드® 616, 딕스젠)에 넣어 청색 광원(630nm) 및 적색 광원(470nm)의 광학 반사도(reflectance)를 측정하였다.
전체 알부민 양을 나타내는 알부민 시약의 얻은 파장에서 얻은 청색광 반사도 값과 당화알부민 양을 나타내는 당화알부민 시약의 파장에서 얻은 적색광 반사도값을 각각 쿠벨라-뭉크 방정식(Kubelka-Munk theory)에 따라 K/S값으로 계산한 후, 전체 알부민 대비 당화알부민의 비율을 계산하여 당화알부민% 비율을 측정할 수 있었다.
도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타르트라진(tartrazine)만을 포함하는 알부민 반응시약(DI/Tz, △)이나 구아니딘과 타르트라진(tartrazine)을 포함하는 알부민 전처리 및 반응 시약(Gn/Tz, ●)을, xylene cyanol-DAPOL-CPBA를 포함하는 당화단백질 반응시약 및 TOMAC을 포함하는 단백질 침전제 시약과 반응시켰을 때, 당화 알부민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K/S값의 비율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타르트라진(tartrazine)만을 포함하는 알부민 반응시약(R2=0.8496)보다 구아니딘(guanidine)과 타르트라진(tartrazine)을 포함하는 알부민 전처리 및 반응 시약(R2=0.977)이 당화 알부민% 값에 대한 상관도(R2)가 높게 나타나 단백질 구조의 변형이 당화 알부민 반응 효율에 영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2: 당화 알부민 측정용 시약을 이용한 광학 반사도 측정 2
알부민 전처리 및 반응 시약에서 구아니딘이 다른 종류의 단백질 변성제로 대체가 가능한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단백질을 완전히 변성시키는 구아니딘(guanidine)을 단백질의 이황화 결합(disulfide bond)을 환원시키는 2-mercaptoethanol로 대체한 알부민 전처리 및 반응 시약을 실시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고, 단백질 침전제 시약에서 TOMAC를 30 중량% PEG와 50 mM ammonium sulfate로 대체한 버퍼를 제조하여 당화알부민 비율을 측정하였다. 측정 시료는 기준시약(아사히 가세이 GA-L)의 표준 용액의 저농도와 고농도 용액을 혼합하여, 상위 기준시약(아사히 가세이 루시카 GA-L)과 기준장비 자동생화학분석기(AU400, Beckman Coulter)로 측정한 23.9%, 29.1%, 34.9% GA 용액을 사용하였다.
자세하게는 측정 시료를 2-mercaptoethanol을 포함하는 알부민 전처리 및 반응 시약과 1:1 비율로 혼합하여 1분간 반응시킨 후, 25 μL 반응액을 200 μL xylene cyanol-DAPOL-CPBA를 포함하는 당화단백질 반응시약과 3분간 반응시켰다. 다시 이 반응액의 25 μL를 200 μL PEG와 ammonium sulfate를 포함하는 단백질 침전제 시약과 3분간 반응시켰다. 최종 반응액, 25 μL를 광학기기(에피소드® 616, 딕스젠)의 카트리지 측정 패드에 올려 15초 동안 흡수시키고, 25 μL 세척 용액(Morpholine, NaCl, Triton X-100, Glycerol 및 NaN3 혼합액)을 넣고 15초 동안 흡수시켰다. 다음으로, 카트리지를 광학기기(에피소드® 616, 딕스젠)에 넣어 청색 광원(630nm) 및 적색 광원(470nm)의 광학 반사도(reflectance)를 측정하였고,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K/S 값을 계산하여 전체 알부민 대비 당화알부민의 비율을 계산하여 당화알부민 비율을 측정하였다.
도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2-mercaptoethanol을 포함하는 알부민 전처리 및 반응 시약, xylene cyanol-DAPOL-CPBA를 포함하는 당화단백질 반응시약, 및 PEG와 ammonium sulfate를 포함하는 단백질 침전제 시약을 사용한 경우에도, 당화 알부민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K/S값의 비율이 높아지는 것(R2=0.9845)을 확인할 수 있었다.
2-3: 당화 알부민 측정용 시약을 이용한 광학 반사도 측정 3
또 다른 예로, 알부민 전처리 및 반응 시약에서 2-mercaptoethanol과 같이 이황화 결합을 환원시키나 안정성이 더 좋은 TCEP를 사용한 알부민 전처리 및 반응 시약을 이용하여 당화알부민 비율을 측정하였다. 측정 시료는 기준시약(아사히 가세이 GA-L)의 표준 용액의 저농도 (15.7% GA)와 고농도(36.9% GA)와 이 두 용액을 1:1로 혼합한 중농도(26.1% GA) 용액과 11.8%, 15.9%, 18.6%, 23.5% GA 농도를 갖는 혈청 샘플을 상위 기준시약(아사히 가세이 루시카 GA-L)과 기준장비 자동생화학분석기(AU400, Beckman Coulter)로 GA% 측정하여 사용하였다.
자세하게는 시료를 트리스(2-카르복시에틸)포스핀(TCEP)를 포함하는 알부민 전처리 및 반응 시약과 1:1 비율로 혼합하여 1분간 반응시킨 후, 25 μL 반응액을 200 μL xylene cyanol-DAPOL-CPBA를 포함하는 당화단백질 반응시약과 3분간 반응하였다. 다시 이 반응액의 25 μL를 200 μL TOMAC이 포함된 단백질 침전제 시약과 3분간 반응시켰다. 최종 반응액, 25 μL를 광학기기(에피소드® 616, 딕스젠)의 카트리지 측정 패드에 올려 15초 동안 흡수시키고, 25 μL 세척 용액(Morpholine, NaCl, Triton X-100, Glycerol 및 NaN3 혼합액)을 넣고 15초 동안 흡수시켰다. 다음으로, 카트리지를 광학기기(에피소드® 616, 딕스젠)에 넣어 청색 광원(630nm) 및 적색 광원(470nm)의 광학 반사도(reflectance)를 측정하였고,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K/S 값을 계산하여 전체 알부민 대비 당화알부민의 비율을 계산하여 당화알부민 비율을 측정하였다.
도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TCEP를 포함하는 알부민 전처리 및 반응 시약, xylene cyanol-DAPOL-CPBA를 포함하는 당화단백질 반응시약, 및 TOMAC을 포함하는 단백질 침전제 시약을 이용한 경우에도, 당화 알부민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K/S값의 비율이 높아지는 것(R2=0.9899)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당화 알부민 비율의 측정법은 당뇨병 진단의 지표로써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7)

  1. 삭제
  2. (a) 알부민 전처리 및 반응 시약, (b) 당화 알부민 반응 시약 및 (c) 단백질 침전제를 포함하는 당화 알부민 측정용 시약 키트에 있어서,
    상기 알부민 전처리 및 반응 시약은 (ⅰ) 디티오트레이톨(dithiothreitol, DTT), 하이드록실아민(Hydroxylamine), 2-머캅토에탄올(2-mercaptoethanol), 나트륨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sodium cyanoborohydride), 트리스(2-카르복시에틸)포스핀(tris(2-carboxyethyl)phosphine, TCEP) 및 트리스(하이드록시프로필)포스핀(tris(hydroxypropyl)phosphine), 우레아(urea)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단백질 구조를 변형시키기 위한 알부민 전처리 시약 및 (ⅱ) 타르트라진 (Tartrazine), 에타크리딘 락테이트(Ethacridine lactate), 메틸 오렌지(Methyl orange) 및 메틸 레드(Methyl red)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알부민 반응 시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 알부민 측정용 시약 키트.
  3. (a) 알부민 전처리 및 반응 시약, (b) 당화 알부민 반응 시약 및 (c) 단백질 침전제를 포함하는 당화 알부민 측정용 시약 키트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침전제는 디메틸옥타데실염화암모늄(dimethyldioctadecylammonium chloride, DODMAC), 트리옥틸메틸염화 암모늄(trioctylmethylammonium chloride, TOMAC) 및 폴리에틸렌글리콜(PEG)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 알부민 측정용 시약 키트.
  4. (a) 알부민 전처리 및 반응 시약, (b) 당화 알부민 반응 시약 및 (c) 단백질 침전제를 포함하는 당화 알부민 측정용 시약 키트에 있어서,
    상기 알부민 전처리 및 반응 시약은 (ⅰ) 디티오트레이톨(dithiothreitol, DTT), 하이드록실아민(Hydroxylamine), 2-머캅토에탄올(2-mercaptoethanol), 나트륨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sodium cyanoborohydride), 트리스(2-카르복시에틸)포스핀(tris(2-carboxyethyl)phosphine, TCEP) 및 트리스(하이드록시프로필)포스핀(tris(hydroxypropyl)phosphine), 우레아(urea)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단백질 구조를 변형시키기 위한 알부민 전처리 시약 및 (ⅱ) 타르트라진 (Tartrazine), 에타크리딘 락테이트(Ethacridine lactate), 메틸 오렌지(Methyl orange), 및 메틸 레드(Methyl red)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알부민 반응 시약을 포함하고, 상기 단백질 침전제는 디메틸옥타데실염화암모늄(dimethyldioctadecylammonium chloride, DODMAC), 트리옥틸메틸염화 암모늄(trioctylmethylammonium chloride, TOMAC) 및 폴리에틸렌글리콜(PEG)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 알부민 측정용 시약 키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당화 알부민 반응 시약은 염료-컨쥬게이션 보론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 알부민 측정용 시약 키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는 알부민 측정 시약과 구별되는 보색계열 염료나 형광염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 알부민 측정용 시약 키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는 자일렌 사이아놀 FF(Xylene cyanol FF), 메틸렌 블루(Methylene blue), 패스트 그린 FCF(Fast Green FCF), FITC, 로다민 레드(Rodamine Red), 텍사스 레드(Texas Red), 사이아닌 5(Cyanine 5), 보디피(Bodipy) 및 양자점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 알부민 측정용 시약 키트.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론산은 4-카르복실릭페닐 보론산(4-carboxylicphenyl boronic acid, CPBA) 또는 3-아미노페닐 보론산(3-Aminophenyl boronic acid, APB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 알부민 측정용 시약 키트.
  9. 삭제
  10. (a) 알부민 전처리 및 반응 시약을 혈청 또는 혈장과 반응시키는 단계;
    (b) 알부민 전처리 및 반응 시약의 반응물을 당화 알부민 반응 시약에 넣고 반응시키는 단계;
    (c) 당화 알부민 반응시약의 반응물을 단백질 침전제에 넣고 반응시키는 단계;
    (d) 단백질 침전제와의 반응물을 카트리지의 측정 패드에 투여한 후 세척액으로 세척하는 단계; 및
    (e) 광학기기로 측정 패드의 광학 반사도를 측정하여 당화 알부민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당화 알부민 비율 측정법에 있어서,
    상기 알부민 전처리 및 반응 시약은 (ⅰ) 디티오트레이톨(dithiothreitol, DTT), 하이드록실아민(Hydroxylamine), 2-머캅토에탄올(2-mercaptoethanol), 나트륨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sodium cyanoborohydride), 트리스(2-카르복시에틸)포스핀(tris(2-carboxyethyl)phosphine, TCEP) 및 트리스(하이드록시프로필)포스핀(tris(hydroxypropyl)phosphine), 우레아(urea)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단백질 구조를 변형시키기 위한 전처리 시약 및 (ⅱ) 타르트라진 (Tartrazine), 에타크리딘 락테이트(Ethacridine lactate), 메틸 오렌지(Methyl orange) 및 메틸 레드(Methyl red)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알부민 반응 시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 알부민 비율 측정법.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당화 알부민 반응 시약은 염료-컨쥬게이션 보론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 알부민 비율 측정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침전제는 황산암모늄(ammonium sulfate), 카프릴산(caprylic acid), 디메틸옥타데실염화암모늄(dimethyldioctadecylammonium chloride, DODMAC), 트리옥틸메틸염화 암모늄(trioctylmethylammonium chloride, TOMAC),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및 황산아연(Zinc sulfate)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 알부민 비율 측정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반응액을 흡수하는 측정패드, 상기 측정패드 하부에 위치하며, 측정패드에 투입된 반응액중 액체성분이 이동되는 흡수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 알부민 비율 측정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패드는 유리 섬유(glass fiber), 셀룰로즈(cellulose), 폴리에스테르 술폰(polyesther sulfone) 소재의 멤브레인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흡수패드는 셀룰로즈 섬유(cellulose fiber), 유리 섬유(glass fiber) 및 폴리우레탄(polyurethane)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 알부민 비율 측정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패드의 멤브레인 포어 크기는 0.1 μm~1 μ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 알부민 비율 측정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기기는 전체 알부민의 양을 나타내는 염료 시약의 파장과 당화 알부민의 양을 대변하는 당화 알부민 반응 시약의 파장을 측정할 수 있는 복수의 광원을 동시에 조사하여 광학 반사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 알부민 비율 측정법.
KR1020200000697A 2020-01-03 2020-01-03 당화 알부민 측정용 시약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당화 알부민 비율 측정법 KR102312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697A KR102312321B1 (ko) 2020-01-03 2020-01-03 당화 알부민 측정용 시약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당화 알부민 비율 측정법
PCT/KR2020/018293 WO2021137472A1 (ko) 2020-01-03 2020-12-15 당화 알부민 측정용 시약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당화 알부민 비율 측정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697A KR102312321B1 (ko) 2020-01-03 2020-01-03 당화 알부민 측정용 시약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당화 알부민 비율 측정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678A KR20210087678A (ko) 2021-07-13
KR102312321B1 true KR102312321B1 (ko) 2021-10-13

Family

ID=76687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697A KR102312321B1 (ko) 2020-01-03 2020-01-03 당화 알부민 측정용 시약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당화 알부민 비율 측정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12321B1 (ko)
WO (1) WO20211374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54745B (zh) * 2021-07-09 2022-10-04 温州医科大学 一种组合物及规模化生产成纤维细胞生长因子的方法
CN114112587A (zh) * 2021-11-25 2022-03-01 青岛汉唐生物科技有限公司 糖化白蛋白校准品或质控品的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59643B (zh) 2011-12-26 2014-06-04 宁波美康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果糖赖氨酸酶的制备方法及其应用
CN107870170A (zh) 2017-12-25 2018-04-03 广州市进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酶化学发光法测定糖化血清白蛋白的试剂盒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024771D0 (en) * 1990-11-14 1991-01-02 Axis Research Assay
KR101042043B1 (ko) * 2009-06-23 2011-06-16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아조 보론산 염료를 이용한 당화단백질의 광학적 측정방법
KR101600825B1 (ko) * 2014-04-03 2016-03-09 케이맥㈜ 전기영동을 이용한 당화단백질의 정량적 분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키트
KR102029798B1 (ko) * 2016-09-22 2019-10-08 주식회사 딕스젠 당화 알부민 측정용 시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당화 알부민의 측정방법
KR102029797B1 (ko) * 2016-09-22 2019-10-08 주식회사 딕스젠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당화혈색소의 측정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59643B (zh) 2011-12-26 2014-06-04 宁波美康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果糖赖氨酸酶的制备方法及其应用
CN107870170A (zh) 2017-12-25 2018-04-03 广州市进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酶化学发光法测定糖化血清白蛋白的试剂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37472A1 (ko) 2021-07-08
KR20210087678A (ko) 202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07073T3 (es) Enfoque de aplicación múltiple para la determinación fotométrica de un analito en una muestra de fluido en un analizador automatizado
CN101452001B (zh) 化学发光磁酶免疫法定量检测rbp4试剂盒
JP5829766B2 (ja) 酵素法を利用したヘモグロビンA1c定量分析のための溶血試薬組成物
US8921052B2 (en) Hemoglobin derivative measurement method, and reagent composition, measurement kit, analysis device and analysis system for use in the method
US20110097740A1 (en) Real-time continuous detection device
KR102312321B1 (ko) 당화 알부민 측정용 시약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당화 알부민 비율 측정법
WO2010135574A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the percentage of glycated hemoglobin
CN103852584A (zh) 一种定量检测c肽的胶乳增强免疫比浊试剂盒
CN109725162A (zh) 一种完全均相测定胰岛素的检测试剂盒及其方法
KR20180032512A (ko)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당화혈색소의 측정방법
US20210208152A1 (en) Reagent composition for measuring glycated albumin and method for measuring glycated albumin using same
JPS5879163A (ja) 糖結合ヘモグロビンの測定法
CN106093411A (zh) 一种一步均相ck‑mb检测试剂盒及其应用
JP2004532388A (ja) グリコ化タンパク質の定量のための方法およびデバイス
JP7182724B2 (ja) 患者の液体試験サンプル中の糖化ヘモグロビンパーセントを決定するためのキャリブレーターおよびコントロール
EP0770875B1 (en) Marker and reagent for diabetes mellitus and diabetes mellitus complication
CN105301261A (zh) 一种检测糖化血红蛋白的试剂盒及其制备方法和使用方法
WO2018056762A1 (ko) 당화 알부민 측정용 시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당화 알부민의 측정방법
KR20100137851A (ko) 아조 보론산 염료를 이용한 당화단백질의 광학적 측정방법
JP5234453B2 (ja) 皮膚カテプシンの分析方法、皮膚の光ストレスの判定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キット
JPH02193071A (ja) ハプトグロビン―ヘモグロビン複合体測定用試薬キット及びそれを用いるハプトグロビン―ヘモグロビン複合体の測定法
JP3713901B2 (ja) 破骨細胞由来酸性ホスファターゼの測定方法
EP1256802B1 (en) Method for examination of feces occult blood
KR102341169B1 (ko) 당화 알부민 비율 측정용 시약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당화 알부민 비율의 측정방법
CN113009144B (zh) 一种基于微流控技术的抗体检测试剂盒及检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