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56761A1 -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당화혈색소의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당화혈색소의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56761A1
WO2018056761A1 PCT/KR2017/010497 KR2017010497W WO2018056761A1 WO 2018056761 A1 WO2018056761 A1 WO 2018056761A1 KR 2017010497 W KR2017010497 W KR 2017010497W WO 2018056761 A1 WO2018056761 A1 WO 201805676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glycated hemoglobin
hemoglobin
measuring
dye
reage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049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진우
전선아
박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딕스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12208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29797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딕스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딕스젠
Priority to EP17853475.6A priority Critical patent/EP3517966B1/en
Priority to ES17853475T priority patent/ES2902649T3/es
Priority to US16/335,396 priority patent/US11268953B2/en
Publication of WO201805676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5676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01N33/5431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the carrier being characterised by its particulate form
    • G01N33/54346Nanop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17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with a modulation of one or mor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ample during the optical investigation, e.g. electro-reflecta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55Specular reflectiv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2Use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for colorimetric, spectrophotometric or fluorometric investigation, e.g. use of reagent paper and including single- and multilayer analytical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4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with an insoluble carrier for immobilising immunochemic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72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blood pigments, e.g. haemoglobin, bilirubin or other porphyrins; involving occult blo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72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blood pigments, e.g. haemoglobin, bilirubin or other porphyrins; involving occult blood
    • G01N33/721Haemoglobin
    • G01N33/723Glycosylated haemoglobi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021/1738Optionally different kinds of measurements; Method being valid for different kinds of measurement
    • G01N2021/1742Optionally different kinds of measurements; Method being valid for different kinds of measurement either absorption or refl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04Endocrine or metabolic disorders
    • G01N2800/042Disorders of carbohydrate metabolism, e.g. diabetes, glucose metabolism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gent composition for measuring glycated hemoglobin for diagnosing diabetes and a method for measuring glycated hemoglobin us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a reagent for measuring glycated hemoglobin comprising silica nanoparticles-boronic acid encapsulating dye. It relates to a composition and a method for measuring glycated hemoglobin using the same.
  • Diabetes is a metabolic disease caused by an abnormality in insulin that plays a role in regulating blood sugar.
  • the type 1 diabetes and insulin secretion produced when insulin-producing cells are destroyed and deficient due to abnormalities of the immune system are insufficient or effectively used. It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ause of the disease, such as type 2 diabetes, which is caused by failure.
  • Diabetes is characterized by high blood glucose, which increases blood glucose levels, and failure to control blood glucose control can lead to complications such as diabetic retinopathy, kidney disease, and foot lesions. .
  • glucose oxidase which is used to measure glucose, is vulnerable to environmental effects such as pH or other interferences contained in blood, and may affect the activity of the enzyme as it generates hydrogen peroxide.
  • glycated hemoglobin (HbA1c) has been used as a biomarker that can determine blood glucose levels more accurately and stably than glucose. Since glycated hemoglobin is stable until erythrocytes disappear, it can be used as an indicator of mean blood glucose levels for 2 to 3 months, and is used to investigate the progress of diagnosis and treatment of diabetes.
  • glycated hemoglobin measurement method has a problem that is not suitable for some patients or patients with abnormal red blood cells that blood glucose is not maintained steadily, such as terminal chronic renal failure.
  • the amount of glycated hemoglobi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amount of glycated hemoglobin compared to the total hemoglobin, not the absolute value of the glycated hemoglobin, because the total hemoglobin levels are different for each individual such as sex, age, and blood-related diseases. . Therefore, in order to use glycated hemoglobin as an indicator for diagnosing diabetes, a technique for distinguishing the amount of total hemoglobin and glycated hemoglobin is required.
  • Hemoglobin is composed of heme and globin proteins with iron ions coordinated in the center, and each hemoglobin varies slightly depending on chemical modifications such as hemoglobin binding to oxygen and methylation.
  • the absorption wavelength of 430 nm is a common characteristic including glycated hemoglobin and normal hemoglobin, it can represent the amount of total hemoglobin, and thus, a process of selectively labeling and distinguishing only glycated hemoglobin is necessary.
  • boronic acid affinity is used, which is a method of binding a coloring dye or a phosphor to boronic acid that recognizes cis-diol of the glucose region of glycated hemoglobin and is used as a label. This has the advantage of excellent sensitivity and stability, such as enzyme reactions and antigen-antibody reactions.
  • U.S. Patent No. 5631364, U.S. Patent No. 7374943, and International Patent No. 2014-033258 disclose that a dye-bonded boronic acid derivative is reacted with glycated hemoglobin in blood, loaded and washed in a cartridge composed of porous filter paper, A method of determining the ratio of two substances by measuring the reflectance (% Reflectance) of total hemoglobin and dye-bound glycated hemoglobin was disclosed.
  • boronic acid derivatives conjugated with dyes are vulnerable to light and heat because they are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the synthesis process is complicated.
  • Most organic-based dye molecules have a problem in that the amount of color development and the wavelength of the color change or sometimes disappear due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such as pH, polarity, and other impurities in the reaction system. Required.
  • European Patent Publication No. 2444803 and Korean Patent No. 1128037 discloses a method for binding the boronic acid derivative to the beads and a method for measuring glycated hemoglobin by directly loading the reacted sample into a cartridge consisting of porous filter paper. Synthesis of the beads and boronic acid derivatives is relatively simple, but since the same wavelength range of hemoglobin and glycated hemoglobin is measured, the total hemoglobin is first measured, the number of reactions with the bead-boronic acid derivative is measured, and washed to remove normal hemoglobin. After that, the remaining glycated hemoglobin has to be measured, and the same wavelength range is measured.
  • the present inventors have tri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when using the silica nanoparticles encapsulated dye and enzymatic conjugated boronic acid, which differs from the absorption spectrum of hemoglobin or modified hemoglobin, optical devices of hemoglobin and glycated hemoglobin It was confirmed that the amount can be measured quickly and accurately in a simple and stable manner, an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agent composition for measuring glycated hemoglobin and a method for measuring glycated hemoglobin using the same, which can easily and accurately diagnose the presence or absence of diabete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agent composition for measuring glycated hemoglobin, including "silica encapsulated silica nanoparticles-boronic acid" specifically binding to hemolysin and 2 glycated hemoglobin.
  • the present invention also comprises (a) adding a blood sample to a reagent composition for measuring hemoglobin hemoglobin, which comprises: (a) silica nanoparticles-boronic acid encapsulating the dye specifically binding to hemolysin and 2 glycated hemoglobin. step; (b) administering the reactants to an absorption pad of the cartridge followed by washing with a wash solution; (c) measuring the amount of total hemoglobin and glycated hemoglobin by measuring optical reflectance of the absorption pad with an optical instrument; And (d) calculating the ratio of glycated hemoglobin based on the measured total hemoglobin and glycated hemoglobin levels.
  • a reagent composition for measuring hemoglobin hemoglobin which comprises: (a) silica nanoparticles-boronic acid encapsulating the dye specifically binding to hemolysin and 2 glycated hemoglobin. step; (b) administering the reactants to an absorption pad of the cartridge followed by washing with a wash solution; (
  • the hemolysi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ris (TRIS), Hepes (HEPES), Tess (TES), Mops (MOPS) and Pipes (PIPES).
  • the dye encapsulated in the silica nanoparticles is a blue dye, xylene cyanol FF (acid blue 147), methylene blue, bromophenol blue, malachite Malachite Green, Bromocresol Green, Azure A and Indigo blue a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the diameter of the "silica nanoparticles encapsulated dye” is characterized in that 10 ⁇ 500nm.
  • the "silica encapsulated silica nanoparticles-boronic acid” is a 4-carboxyphenyl boronic acid (CPBA) after amination of the "silica nanoparticles encapsulated dye” Or conjugated with, or “carboxylated silica nanoparticles” carboxylated or aldehyde and then conjugated with 3-aminophenylboronic acid (3-Aminophenylboronic acid, APBA).
  • CPBA 4-carboxyphenyl boronic acid
  • the optical device is irradiated with a light source capable of measuring a wavelength capable of measuring the total hemoglobin and a wavelength capable of measuring the glycated hemoglobin combined with "silica nanoparticle-boronic acid encapsulated with dyes" optical
  • the reflectivity is characterized by measuring.
  • the method for measuring glycated hemoglobin is characterized by diagnosing diabetes according to the ratio of glycated hemoglobin.
  • the reagent composition for glycated hemoglobin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ncapsulates the dye inside the silica nanoparticles, the absorption wavelength of the dye is not affected by pH, and has excellent stability even when stored for a month or more, and multiple dye molecules
  • the amount of light glycated hemoglobin in the blood having a low detection limit can be accurately measured because the amount of light absorbed by one particle is greater than that of one dye molecule.
  • FIG. 1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manufacturing method of "silica nanoparticles encapsulated dy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shows the structure of "silica nanoparticles-boronic acid encapsulated dye" prepa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the coupling reaction of "silica nanoparticles-boron acid encapsulated dye” and glycated hemoglob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for measuring glycated hemoglobin using the reagent composition for measuring glycated hemoglobin and the optica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 method for irradiating optical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graph show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absorption wavelength of the dye-encapsulated silica nanoparticles-boronic acid prepa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bsorption wavelength of each of the dyes used.
  • Figure 7 is analyzed using a shape image and (B) dynamic light scattering method measured using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of "dye encapsulated silica nanoparticles-boronic acid" prepar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graph about one size.
  • Figure 8 is a graph showing the reflectance value of "silica encapsulated silica nanoparticles-boronic acid" appear according to the glycated hemoglobin concentration of blood samples of known concentration.
  • the amount of hemoglobin and glycated hemoglobin can be accurately measured by an optical device when using boron acid conjugated with silica nanoparticles encapsulating a dye having a difference from the absorption spectrum of hemoglobin or modified hemoglobin. It was to confirm that there is.
  • die encapsulated silica nanoparticles-boronic acid specifically binding to glycated hemoglobin was prepared, and a hemolytic solution was added to prepare a reagent composition for measuring glycated hemoglobin.
  • blood samples were put into the prepared reagent composition, hemolyzed and reacted, administered to an absorbent pad, washed, and then measured by optical reflectance of the absorbent pad with optical instruments to determine the amount of total hemoglobin and glycated hemoglobin.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diabetes can be diagnosed simply and quickly through the ratio of glycated hemoglobi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gent composition for measuring glycated hemoglobin, including "silica encapsulated silica nanoparticles-boronic acid" specifically binding to hemolysin and 2 glycated hemoglobin.
  • the blood sample Since the glycated hemoglobin concentration in the blood sample is measured relative to the total amount of hemoglobin in the blood, the blood sample must first be hemolyzed to expose the normal hemoglobin and glycated hemoglobin contained in the blood.
  • hemolysates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hemolysis has a buffer concentration of osmotic pressure, but the pH is 7 to 8.5, Tris, Hepes, Mops, and Tess. , PIPES and the like can be exemplified. Hemoglobin and hemoglobin are present in hemolyzed blood samples.
  • sica nanoparticles encapsulating dye may be prepared by adding a dye and silica to a water and a surfactant mixture or a water and an organic solvent mixture, followed by stirring, and then adding a basic catalyst.
  • the dye encapsulated in the silica nanoparticles is generally a blue dye (Blue Dye, BD) having a value larger than 400 to 600 nm, in which a spectrum of all red hemoglobin including hemoglobin and glycated hemoglobin appears. .
  • Blue Dye blue dye
  • xylene cyanol FF (acid blue 147), methylene blue, bromophenol blue, malachite green, bromocresol green (Bromocresol Green) , Azure A and Indigo blue are preferred, and methylated hemoglobin, which appears in a small number of 620-630 nm, may be excluded, and blue color may be maintained even at basic conditions of pH 9 or higher where silica nanoparticle synthesis is performed. It is more preferable that it is the methylene blue of 660 nm band which can be.
  • the basic catalyst is to promote the silica precursor encapsulates the dye, it may promote the hydrolysis of the silica precursor with water.
  • the silica precursor in the ionized state thus reacts with each other to release water or alcohol (ROH) and is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silica network.
  • ROH water or alcohol
  • the basic catalyst may be exemplified by ammonium hydroxide, tetrapropylammonium chloride, tetrapropylammonium hydroxide, tetrabutylammonium bromide, tetrabutylammonium chloride or tetrabutylammonium hydroxide.
  • “Dye-encapsulated silica nanoparticles” can increase stability and sensitivity because dyes do not spill out, and are less biotoxic and can easily change surface functional groups.
  • the diameter of the "silica nanoparticles encapsulated dye” may be 10 ⁇ 500nm, it is preferably 30 ⁇ 100nm to maintain the unique properties of the dye. If it is less than 10 nm, the operation is difficult, and if it is more than 500 nm, the thickness becomes thick and the dye may appear cloudy.
  • Boronic acid derivatives for imparting selectivity to glycated hemoglobin to “dyed encapsulated silica nanoparticles” include 4-carboxylicphenyl boronic acid (CPBA) and 3-aminophenyl boronic acid (3- Aminophenyl boronic acid (APBA) is preferred, where CPBA is used to amine “dye encapsulated silica nanoparticles”, and APBA is used to carboxylate “dye encapsulated silica nanoparticles” Conjugation may be via carbodiimide cross coupling. It is preferable to use CPBA because 4-carboxylicphenyl boronic acid (CPBA) has relatively higher thermal stability than 3-aminophenyl boronic acid (APBA). Do.
  • CPBA 4-carboxylicphenyl boronic acid
  • APBA 3-aminophenyl boronic acid
  • die encapsulated silica nanoparticles-boronic acid can react with the glycated hemoglobin cis-diol, several dye molecules are encapsulated in silica nanoparticles, 1 Since the absorption of light is higher than that of the dye molecules, the detection limit of glycated hemoglobin can be improv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lood sample in a reagent composition for measuring glycated hemoglobin comprising (a) 1 hemolyzed blood and 2 glycosylated silica nanoparticle-boronic acid that specifically binds to glycated hemoglobin. Putting hemolysis and reaction; (b) administering the reactants to an absorption pad of the cartridge followed by washing with a wash solution; (c) measuring the amount of total hemoglobin and glycated hemoglobin by measuring optical reflectance of the absorption pad with an optical instrument; And (d) calculating a ratio of glycated hemoglobin based on the measured total hemoglobin and glycated hemoglobin levels.
  • the ratio of glycated hemoglobin can b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by the relative amount of glycated hemoglobin according to the total hemoglobin amount.
  • BD @ SNP the hydroxyl group (-OH) on the surface of BD @ SNP was substituted with a primary amine group. That is, 100 mg of BD @ SNP was added to 100 mL of ethanol, dispersed for 30 minutes using an ultrasonic disperser, and then 1 mL of APTES (3-Aminopropyltriethoxysilane) was added to a stirrer and reacted at room temperature for 2 hours.
  • APTES 3-Aminopropyltriethoxysilane
  • EDC 1-ethyl-3 [3-dimethylaminopropyl] carbodiimide hydrochloride
  • CPBA 4-carboxylicphenyl-boronic acid
  • silica nanoparticles-boronic acid (BD @ SNP-CPBA) encapsulated blue dye by centrifuge at 4800 ethanol and 3 times DI washed at 15 minutes under conditions of 3800 rpm and 15 minutes. ) was prepared.
  • Example 2 containing BD @ SNP-CPBA and hemolytic Glycated hemoglobin Measurement reagent composition Glycated hemoglobin Measurement reagent composition Glycated hemoglobin Measurement reagent composition
  • Example 1 200 ⁇ l of the reagent composition containing hemolyzate (ZnCl 2 , NaCl, MgCl 2 , Triton X-100, NaN 3 , glycine, HEPES, pH 8.1) and BD @ SNP-CPBA prepared in Example 1 was placed in a brown tube. 5 ⁇ l of blood sample was measured using a standard instrument (Tosoh G11 analyzer), and then reacted for 2 minutes.
  • hemolyzate ZnCl 2 , NaCl, MgCl 2 , Triton X-100, NaN 3 , glycine, HEPES, pH 8.1
  • the% glycosylated hemoglobin in blood is calculated by substituting K / S values for the% reflectance values obtained by irradiating the red light source representing the amount of glycated hemoglobin and the% reflectance values obtained from the blue light source representing the whole hemoglobin, respectively, and calculating their ratios. The amount of can be measur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Cell 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sma & Fusion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뇨병 유무를 진단할 수 있는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당화혈색소의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을 포함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당화혈색소의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당화혈색소의 측정방법은 (a) ① 용혈액 및 ② 당화혈색소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을 포함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에 혈액 샘플을 넣고 용혈 및 반응시키는 단계; (b) 반응물을 카트리지의 흡수 패드에 투여한 후 세척액으로 세척하는 단계; (c) 광학기기로 흡수 패드의 광학 반사도 측정하여 전체 혈색소 및 당화혈색소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 및 (d) 측정된 전체 혈색소 및 당화혈색소의 양을 기반으로 당화혈색소의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은 실리카 나노입자 내부에 염료를 캡슐화시켰기 때문에 염료 고유의 흡수파장이 pH에 영향을 받지 않고, 한달 이상 보관시에도 안정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당화혈색소의 측정방법
본 발명은 당뇨병 유무를 진단할 수 있는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당화혈색소의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을 포함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당화혈색소의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혈당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인슐린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대사질환으로, 인슐린을 생성하는 세포가 면역시스템의 이상으로 인해 파괴되어 부족할 때 발생되는 1형 당뇨와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효과적으로 사용되지 못함에 따라 발생되는 2형 당뇨 등 발병 원인에 따라 분류된다.
당뇨병은 혈중 포도당의 농도가 높아지는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며, 혈당관리 조절을 실패할 경우 당뇨망막증, 신장질환, 족부병변 등의 합병증이 유발될 수 있기 때문에 당뇨병 환자들의 혈당 관리에 대한 중요성은 증가되고 있다.
종래의 당뇨병 측정 마커는 포도당을 사용하였으나, 식전 식후의 혈당 값 변동이 심하기 때문에 측정하는 시간에 따른 오차 및 환자의 컨디션에 따른 변동이 직접적으로 나타날 수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포도당 측정에 사용하는 포도당산화효소는 pH나 혈액 내에 포함된 다른 방해물질 등과 같은 측정하는 환경영향에 취약하며, 과산화수소를 발생시킴에 따라 효소의 활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포도당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혈당수치를 판단 할 수 있는 바이오 마커로써 당화혈색소(glycated hemoglobin, HbA1c)를 이용하고 있다. 당화혈색소는 생성되면 적혈구가 소멸되기까지는 안정하므로 2~3개월의 평균혈당치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어, 실제 당뇨병의 진단 및 치료 경과 추이를 조사하는데 활용된다. 하지만 당화혈색소 측정법은 말기 만성신부전 등과 같이 혈당이 꾸준히 유지되지 못하는 일부의 질환자나 적혈구에 이상이 있는 환자에게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당화혈색소를 이용하여 당뇨를 진단하기 위해서는 당화혈색소의 절대값이 아닌 전체 혈색소의 양 대비 당화혈색소의 양으로 판단해야 하는데, 이는 성별, 나이, 혈액관련 질환 등 개개인마다 전체 혈색소의 양이 다르기 때문이다. 따라서 당화혈색소를 당뇨병 진단 지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체 혈색소 및 당화혈색소의 양을 구분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혈색소는 중심에 철 이온이 배위되어있는 헴과 글로빈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혈색소의 산소와의 결합 여부, 메틸화 여부 등 화학적 변형에 따라 각각의 혈색소는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400~600nm대의 흡수 파장을 갖는다. 이중 430nm의 흡수 파장은 당화혈색소와 일반 혈색소를 포함하는 공통적 특성이기 때문에 전체혈색소의 양을 대표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당화혈색소 만을 선택적으로 표지하여 구별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보론산 친화법이 이용되고 있는데, 이는 당화혈색소의 글루코스 부위의 시스-다이올(cis-diol)을 인지하는 보론산에 발색 염료 또는 형광체를 결합시켜 표지체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이는 효소를 이용한 반응이나 항원-항체 반응과 같이 민감도 및 안정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미국등록특허 제5631364호, 미국등록특허 제7374943호 및 국제특허 제2014-033258호는 염료가 결합된 보로닌산 유도체를 혈액의 당화혈색소와 반응시키고, 다공성 여과지로 구성된 카트리지에 로딩 및 세척시킨 후, 전체 혈색소와 염료 결합 당화혈색소의 반사도(% Reflectance)를 측정하여 두 물질의 비율을 결정하는 방법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염료가 컨주게이션된 보론산 유도체는 외부환경에 그대로 노출되기 때문에 빛과 열에 취약하고, 그 합성과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대부분의 유기물 기반의 염료분자들은 반응하는 계의 pH나 극성도, 다른 불순물 등의 주변 환경에 따라 발색량 및 발색파장이 변화되거나 때때로 빛이 소멸되는 문제점이 있어 이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한편, 유럽공개특허 제2444803호 및 한국등록특허 제1128037호는 비드에 보론산 유도체를 결합시키는 방법 및 반응된 시료를 다공성 여과지로 구성된 카트리지에 직접 로딩하여 당화혈색소를 측정하는 방법을 개시하였다. 비드와 보론산 유도체의 합성은 비교적 간단하지만, 혈색소와 당화혈색소의 동일한 파장영역을 측정하기 때문에 먼저 전체 혈색소를 측정하고, 비드-보론산 유도체와 반응시킨 수 측정하고, 정상 혈색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세척한 후, 남아있는 당화혈색소를 측정해야 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하고, 동일 파장 영역을 측정하기 때문에 정상 혈색소의 세척에 주의가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노력한 결과, 혈색소 또는 변형된 혈색소의 흡수 스펙트럼과 차이가 나는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와 컨쥬게이션된 보론산을 이용할 경우 광학기기로 혈색소 및 당화혈색소의 양을 간단하고 안정된 방법으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당뇨병의 유무를 간단하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당화혈색소의 측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① 용혈액 및 ② 당화혈색소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을 포함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a) ① 용혈액 및 ② 당화혈색소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을 포함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에 혈액 샘플을 넣고 용혈 및 반응시키는 단계; (b) 반응물을 카트리지의 흡수 패드에 투여한 후 세척액으로 세척하는 단계; (c) 광학기기로 흡수 패드의 광학 반사도 측정하여 전체 혈색소 및 당화혈색소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 및 (d) 측정된 전체 혈색소 및 당화혈색소의 양을 기반으로 당화혈색소의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당화혈색소의 측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용혈액은 트리스(TRIS), 헤페스(HEPES), 테스(TES), 몹스(MOPS) 및 피페스(PIPE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실리카 나노입자에 캡슐화된 염료는 청색 계열 염료로서, 자일렌 사이아놀 FF(Xylene cyanol FF, acid blue 147), 메틸렌블루(Methylene blue), 브로모페놀블루(Bromophenol blue), 말라카이트그린(Malachite Green), 브로모크레졸그린(Bromocresol Green), 애져A(Azure A) 및 인디고블루(Indigo blu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는 물과 계면활성제 혼합액 또는 물과 유기용매 혼합액에 염료 및 실리카를 첨가하고 교반시킨 후, 염기성 촉매제를 첨가하여 제조시킨 것으로서 당화혈색소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의 직경은 10~5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은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를 아민화시킨 후 4-카르복실릭페닐 보론산(4-carboxylicphenyl boronic acid, CPBA)과 컨쥬게이션시키거나,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를 카르복실화 또는 알데하이드화 시킨 후 3-아미노페닐 보론산(3-Aminophenylboronic acid, APBA)과 컨쥬게이션시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학기기는 전체 혈색소를 측정할 수 있는 파장 및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과 결합된 당화혈색소를 측정할 수 있는 파장을 낼 수 있는 광원으로 조사하여 광학 반사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당화혈색소의 측정방법은 당화혈색소의 비율에 따라 당뇨병을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은 실리카 나노입자 내부에 염료를 캡슐화하였기 때문에 염료 고유의 흡수파장이 pH에 영향을 받지 않고, 한달 이상 보관시에도 안정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으며, 여러 개의 염료 분자를 하나의 실리카 나노입자 안에 캡슐화함으로써, 입자 하나가 가지는 빛의 흡수량이 염료분자 1개의 흡수량보다 크기 때문에 낮은 검출한계를 갖는 혈중 당화혈색소 양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과 당화혈색소의 결합반응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 및 광학기기를 이용한 당화혈색소의 측정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의 조사방법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의 흡수파장과 사용한 염료 각각의 흡수파장에 따른 흡광도의 유사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의 (A)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한 형상 이미지 및 (B)동적광산란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크기에 대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농도를 알고있는 혈액 시료의 당화혈색소 농도에 따라 나타나는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의 반사도 값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서는 혈색소 또는 변형된 혈색소의 흡수 스펙트럼과 차이가 있는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와 컨쥬게이션된 보론산을 이용할 경우 광학기기로 혈색소 및 당화혈색소의 양을 간단하고 안정된 방법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당화혈색소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을 제조하고, 용혈액을 추가하여 당화혈색소 측정을 위한 시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제조된 시약 조성물에 혈액샘플을 넣어 용혈 및 반응시키고, 흡수 패드에 투여한 후, 세척한 다음, 광학기기로 흡수 패드의 광학 반사도 측정하여 전체 혈색소 및 당화혈색소의 양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당화혈색소의 비율을 통하여 당뇨를 간단하고, 신속하게 진단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청색 계열의 메틸렌블루(Methylene blue) 염료를 실리카 나노입자에 캡슐화시키고, 표면에 있는 수산화 그룹(-OH)을 1차 아민기로 치환시킨 후, 당화혈색소 결합물질인 4-카르복실릭페닐보론산(4-carboxylicphenyl-boronic acid, CPBA)을 표면에 고정시켜 “메틸렌블루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을 제조하고, 혈액 샘플을 용혈시키는 용혈액과 혼합하여 당화혈색소 측정을 위한 시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제조된 시약 조성물에 혈액 샘플을 넣어 용혈 및 반응시키고, 흡수 패드에 투여한 후, 세척한 다음, 광학기기로 흡수 패드를 적색(430nm) 및 청색(650~700nm) 광원으로 조사하여 염료에 표지된 전체 혈색소 및 당화혈색소의 광학 반사도를 측정함으로써, 당화혈색소의 비율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① 용혈액 및 ② 당화혈색소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을 포함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혈액 샘플 내의 당화혈색소 농도는 혈액 내 총 혈색소의 양에 상대적으로 측정되므로, 당화혈색소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혈액 샘플을 용혈시켜서 혈액에 포함된 정상 혈색소 및 당화혈색소를 노출시켜야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혈액은 용혈이 가능한 삼투압의 버퍼농도를 갖는 것이라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pH가 7~8.5인 트리스(TRIS), 헤페스(HEPES), 몹스(MOPS), 테스(TES), 피페스(PIPES)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용혈된 혈액 샘플에는 혈색소(Hemoglobin) 및 당화혈색소(glycated Hemoglobin)가 함께 존재한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는 물과 계면활성제 혼합액 또는 물과 유기용매 혼합액에 염료 및 실리카를 첨가하고 교반시킨 후, 염기성 촉매제를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실리카 나노입자에 캡슐화된 염료는 일반적으로 혈색소 및 당화혈색소를 포함한 적색의 모든 혈색소의 스펙트럼이 나타나는 400~600nm 보다 큰 값을 갖는 청색 계열 염료(Blue Dye, BD)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자일렌 사이아놀 FF(Xylene cyanol FF, acid blue 147), 메틸렌블루(Methylene blue), 브로모페놀블루(Bromophenol blue), 말라카이트그린(Malachite Green), 브로모크레졸그린 (Bromocresol Green), 애져 A(Azure A) 및 인디고블루(Indigo blue)인 것이 바람직하고, 소수의 620~630nm에서 나타나는 메틸화 혈색소도 배재시킬 수 있으며, 실리카 나노입자 합성이 이루어지는 pH 9 이상의 염기조건에서도 푸른색을 유지할 수 있는 660nm대의 메틸렌블루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본 발명에서는 트리톤 x-100 또는 n-헥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실리카는 테트라에틸오르소실리케이트(tetraethyl orthosilicate) 또는 테트라메틸오르소실리케이트(tetramethyl orthosilicate)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염기성 촉매제는 실리카 전구체가 염료를 캡슐화시키는 것을 촉진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과 실리카 전구체의 가수분해를 촉진시킬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이온화 상태의 실리카 전구체는 서로 반응하여 물 또는 알코올(ROH)을 배출하며 서로 연결되어 실리카 네트워크를 이루면서 커져가게 된다.
상기 염기성 촉매제는 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테트라프로필암모늄 클로라이드, 테트라프로필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테트라부틸암모늄 브로마이드, 테트라부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또는 테트라부틸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는 염료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기 때문에, 안정성 및 민감도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생체독성이 적고 손쉽게 표면의 작용기를 바꿀 수 있다.
상기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의 직경은 10~500nm일 수 있는데, 염료 고유의 특성이 유지되는 30~1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10nm 미만인 경우에는 조작이 어렵고, 500nm를 초과할 경우에는 두께가 두꺼워져 염료가 흐리게 보일 수 있다.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에 당화혈색소에 대한 선택성을 부여하기 위한 보론산 유도체는 4-카르복실릭페닐 보론산(4-carboxylicphenyl boronic acid, CPBA)과 3-아미노페닐 보론산(3-Aminophenyl boronic acid, APBA)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CPBA를 사용할 경우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를 아민화시키고, APBA를 사용할 경우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를 카르복실화시킨 다음 카르보디이미드(Carbodiimide) 교차 커플링을 통하여 컨쥬게이션시킬 수 있다. 4-카르복실릭페닐 보론산(4-carboxylicphenyl boronic acid, CPBA)는 상대적으로 3-아미노페닐 보론산(3-Aminophenyl boronic acid, APB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열적 안정성이 높기 때문에 CPBA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은 당화혈색소의 시스-다이올과 반응할 수 있으며, 여러 개의 염료분자가 실리카 나노입자내에 캡슐화되어 있어, 1개의 염료분자보다 빛의 흡수량이 높으므로, 당화혈색소의 검출한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a) ① 용혈액 및 ② 당화혈색소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을 포함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에 혈액 샘플을 넣고 용혈 및 반응시키는 단계; (b) 반응물을 카트리지의 흡수 패드에 투여한 후 세척액으로 세척하는 단계; (c) 광학기기로 흡수 패드의 광학 반사도 측정하여 전체 혈색소 및 당화혈색소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 및 (d) 측정된 전체 혈색소 및 당화혈색소의 양을 기반으로 당화혈색소의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당화혈색소의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학기기는 광학 특성을 이용하여 광학 반사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전체 혈색소를 측정할 수 있는 파장 및 “염료(청색)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의 특이 파장을 동시에 광원(예: 적색(430nm), 청색(650~700nm))으로 조사하고, 반사된 광신호를 포토 다이오드 검출기(photodiode detector, PD)로 측정하여 광신호 변환기를 통해 혈색소 및 당화혈색소의 양을 각각 측정할 수 있다.
당화혈색소의 비율은 전체 혈색소 양에 따른 당화혈색소의 상대적인 양을 다음 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당화혈색소 비율(%)=당화혈색소/전체 혈색소
일반적으로 상기 당화혈색소의 비율이 6.5% 이상인 경우 당뇨병으로 진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청색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BD@SNP-CPBA) 제조
1-1: 청색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BD@SNP) 합성
사이클로헥세인(cyclohexane) 135.0㎖, 트리톤 X-100 31.8㎖, n-헥산올 (n-hexanol) 32.4㎖, 0.1M 메틸렌블루 6.12㎖, TEOS(tetraethyl orthosilicate) 2.7㎖을 1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넣고 교반기를 이용하여 1시간 동안 균일하게 혼합시켰다. 25~30% 암모니아수(NH4OH) 1.08㎖를 넣고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킨후 에탄올 200㎖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하고,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3800rpm, 15분의 조건으로 4회 에탄올 세척과 3회 DI 세척한 후 60℃ 오븐에 넣고 건조시켰다.
1-2: 청색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BD@SNP)의 아민화
BD@SNP와 CPBA의 카르복실기의 교차 결합을 위하여, BD@SNP의 표면에 있는 수산화 그룹(-OH)을 1차 아민기로 치환하였다. 즉, BD@SNP 100㎎을 100㎖의 에탄올에 넣고, 초음파 분산기를 이용하여 30분간 분산시킨 후, APTES (3-Aminopropyltriethoxysilane) 1㎖을 교반기에 넣고 2시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켰다. 반응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3800rpm, 15분의 조건으로 4회 에탄올 세척과 3회 DI 세척한 후 60℃ 오븐에 넣고 건조시켜 아민화된 BD@SNP (BD@SNP-NH2)를 제조하였다.
1-3: 아민화된 청색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BD@SNP-NH2) 및 CPBA의 접합
당화혈색소와의 결합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카르복실기와 1차 아민기를 연결하는 교차결합제인 1-에틸-3[3-디메틸 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EDC)를 이용한 카르보디이미드 교차 커플링 방법으로 당화혈색소 결합물질인 4-카르복실릭페닐보론산(4-carboxylicphenyl-boronic acid, CPBA)을 아민화된 청색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BD@SNP-NH2) 표면에 고정화시켰다.
즉, 빛이 차단된 환경에서, CPBA의 카르복실 작용기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3.48mM CPBA를 0.1M의 MES(2-(N-Morpholino)ethanesulfonic acid) 완충용액 (pH 6.0)에 녹이고 최종농도 1mM의 EDC를 넣고 30분간 교반하며 반응시킨 후, BD@SNP-NH2를 첨가한 후 10~20시간 동안 교반기에서 상온 반응시켰다.
반응이 완료된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3800rpm, 15분의 조건으로 4회 에탄올 세척과 3회 DI 세척한 후 상온 또는 동결건조하여 청색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BD@SNP-CPBA)를 제조하였다.
합성에 사용한 “메틸렌 블루”염료와 “염료가 캡슐화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각각을 탈이온수(DI water)로 희석한 뒤 UV/Vis spectroscopy를 측정해 본 결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염료가 캡슐화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은 합성 이후에도 청색 염료 고유의 흡수파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를 주사전자현미경과 동적광산란법을 이용해 입자를 분석해 본 결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자의 형태가 균일하고, 크기가 약 30~40nm인 나노입자가 합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BD@SNP-CPBA 및 용혈액을 포함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을 이용한 당화혈색소 측정
용혈액(ZnCl2, NaCl, MgCl2, Triton X-100, NaN3, glycine, HEPES, pH 8.1) 및 실시예 1에서 제조된 BD@SNP-CPBA를 포함하는 시약 조성물 200㎕를 갈색 튜브에 넣고, 기준장비(Tosoh G11 분석기)를 이용하여 당화혈색소 %값을 측정한 혈액샘플 5㎕을 첨가한 후, 2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액 25㎕을 광학기기(에피소드® 616, 딕스젠)의 카트리지 흡수 패드에 올려 15초 동안 흡수시키고, 세척 용액(Morpholine, NaCl, Triton X-100, Glycerol, 및 NaN3 혼합액) 25㎕을 넣고 15초 동안 세척시켰다. 다음으로, 카트리지를 광학기기(에피소드® 616, 딕스젠)에서 적색의 전체 혈색소와 청색의 BD@SNP-CPBA-당화혈색소의 광학 반사도를 각각 측정하였다. 각각의 파장으로부터 측정된 %반사도(%R)는 얼마만큼의 색을 띠는 물질이 해당 표면 있는지에 대한 정량지표인 K/S 값으로 변환하여 사용하였으며, %반사도를 K/S 값으로 변환하는 공식은 아래와 같다.
Figure PCTKR2017010497-appb-I000001
(K=흡수계수, S= 산란계수)
따라서, 당화혈색소의 양을 대변하는 적색광원을 조사하여 얻은 % 반사도값과 전체 혈색소를 대변하는 청색광원으로부터 얻은 % 반사도값을 각각 K/S값으로 치환한 뒤 이들의 비율을 계산함으로써 혈중 당화혈색소의 양을 측정할 수 있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혈액 내에 포함된 당화혈색소의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결합한 “염료가 캡슐화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의 양(K/S값)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당화혈색소의 측정방법은 당뇨병 진단에 널리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은 용혈액을 포함하고 있어, 용혈과 동시에 당화혈색소와 반응하여 이를 표지할 수 있으며, 별도의 분리과정 없이 측정 카트리지에 세척액 투여만을 통해 광학분석기로 간단하게 당화혈색소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당뇨병 진단에 널리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① 용혈액 및 ② 당화혈색소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을 포함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혈액은 트리스(TRIS), 헤페스(HEPES), 테스(TES), 몹스(MOPS) 및 피페스(PIPE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실리카 나노입자에 캡슐화된 염료는 청색 계열 염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 계열 염료는 자일렌 사이아놀 FF(Xylene cyanol FF, acid blue 147), 메틸렌블루(Methylene blue), 브로모페놀블루(Bromophenol blue), 말라카이트그린(Malachite Green), 브로모크레졸그린(Bromocresol Green), 애져A(Azure A) 및 인디고블루(Indigo blu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는 물과 계면활성제 혼합액 또는 물과 유기용매 혼합액에 염료 및 실리카를 첨가하고 교반시킨 후, 염기성 촉매제를 첨가하여 제조시킨 것으로서 당화혈색소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의 직경은 10~500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은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를 아민화시킨 후 4-카르복실릭페닐 보론산(4-carboxylicphenyl boronic acid, CPBA)과 컨쥬게이션시키거나,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를 카르복실화시킨 후 3-아미노페닐 보론산(3-Aminophenylboronic acid, APBA)과 컨쥬게이션시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
  8. (a) ① 용혈액 및 ② 당화혈색소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을 포함하는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에 혈액 샘플을 넣고 용혈 및 반응시키는 단계;
    (b) 반응물을 카트리지의 흡수 패드에 투여한 후 세척액으로 세척하는 단계;
    (c) 광학기기로 흡수 패드의 광학 반사도 측정하여 전체 혈색소 및 당화혈색소의 양을 측정하는 단계; 및
    (d) 측정된 전체 혈색소 및 당화혈색소의 양을 기반으로 당화혈색소의 비율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당화혈색소의 측정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기기는 전체 혈색소를 측정할 수 있는 파장 및 염료를 캡슐화한 실리카 나노입자-보론산”과 결합된 당화혈색소를 측정할 수 있는 파장을 동시에 광원으로 조사하여 광학 반사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의 측정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당화혈색소의 비율에 따라 당뇨병을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혈색소의 측정방법.
PCT/KR2017/010497 2016-09-22 2017-09-22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당화혈색소의 측정방법 WO2018056761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853475.6A EP3517966B1 (en) 2016-09-22 2017-09-22 Reagent composition for measuring glycated hemoglobin and method for measuring glycated hemoglobin using same
ES17853475T ES2902649T3 (es) 2016-09-22 2017-09-22 Composición de reactivo para medir hemoglobina glucosilada y procedimiento para medir hemoglobina glucosilada utilizando la misma
US16/335,396 US11268953B2 (en) 2016-09-22 2017-09-22 Reagent composition for measuring glycated hemoglobin and method for measuring glycated hemoglobin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1689 2016-09-22
KR20160121689 2016-09-22
KR10-2017-0122083 2017-09-21
KR1020170122083A KR102029797B1 (ko) 2016-09-22 2017-09-21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당화혈색소의 측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56761A1 true WO2018056761A1 (ko) 2018-03-29

Family

ID=61689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0497 WO2018056761A1 (ko) 2016-09-22 2017-09-22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당화혈색소의 측정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68953B2 (ko)
ES (1) ES2902649T3 (ko)
WO (1) WO2018056761A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31364A (en) 1994-03-31 1997-05-20 Axis Biochemicals Asa Labelled boronic acid derivatives
US5919708A (en) * 1990-11-14 1999-07-06 Axis Biochemicals As Assay for glycated blood proteins
US20030073243A1 (en) * 2001-08-31 2003-04-17 Law Wai Tak Method for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glycated hemoglobin
KR20080023280A (ko) * 2006-09-09 2008-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리에틸렌글라이콜이 결합된 기능성 실리카 나노파티클 및그 제조방법
US7374943B2 (en) 2001-04-24 2008-05-20 Axis-Shield Usa Haemoglobin assay
KR20100137851A (ko) * 2009-06-23 2010-12-31 주식회사 올메디쿠스 아조 보론산 염료를 이용한 당화단백질의 광학적 측정방법
KR101128037B1 (ko) 2009-06-19 2012-03-29 주식회사 인포피아 당화혈색소 측정 방법
EP2444803A1 (en) 2009-06-19 2012-04-25 Infopia Co., Ltd. Method for measuring glycated hemoglobin
WO2014033258A1 (en) 2012-08-31 2014-03-06 Axis-Shield Asa Glycated haemoglobin assay method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9708A (en) * 1990-11-14 1999-07-06 Axis Biochemicals As Assay for glycated blood proteins
US5631364A (en) 1994-03-31 1997-05-20 Axis Biochemicals Asa Labelled boronic acid derivatives
US7374943B2 (en) 2001-04-24 2008-05-20 Axis-Shield Usa Haemoglobin assay
US20030073243A1 (en) * 2001-08-31 2003-04-17 Law Wai Tak Method for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glycated hemoglobin
KR20080023280A (ko) * 2006-09-09 2008-03-13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리에틸렌글라이콜이 결합된 기능성 실리카 나노파티클 및그 제조방법
KR101128037B1 (ko) 2009-06-19 2012-03-29 주식회사 인포피아 당화혈색소 측정 방법
EP2444803A1 (en) 2009-06-19 2012-04-25 Infopia Co., Ltd. Method for measuring glycated hemoglobin
KR20100137851A (ko) * 2009-06-23 2010-12-31 주식회사 올메디쿠스 아조 보론산 염료를 이용한 당화단백질의 광학적 측정방법
WO2014033258A1 (en) 2012-08-31 2014-03-06 Axis-Shield Asa Glycated haemoglobin assay method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WANG, JIASHENG ET AL.: "Silica-based Nanocomposites via Reverse Microemulsions: Classifications, Preparations, and Applications", NANOSCALE, vol. 6, no. 9, 2014, pages 4418 - 4437, XP055502107, DOI: doi:10.1039/c3nr06025j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68953B2 (en) 2022-03-08
ES2902649T3 (es) 2022-03-29
US20190285622A1 (en) 2019-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9797B1 (ko)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당화혈색소의 측정방법
JP3088789B2 (ja) イオンのアッセイ法とその装置
US6562581B2 (en) Method for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glycated hemoglobin
EP1255111A1 (en) Immunochromato device and method for measuring samples using the same
EP2510362A2 (en) Centrifugal micro-fluidic structure for measuring glycated hemoglobin, centrifugal micro-fluidic device for measuring glycated hemoglobin, and method for measuring glycated hemoglobin
CN205449989U (zh) 生物芯片
CN104897907A (zh) 一种检测糖化血红蛋白的试剂盒及其检测方法
WO2015050366A1 (ko) 사르코신 대사산물 중 포름알데히드 또는 과산화물을 이용한 전립선암 진단 시험지,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립선암 진단 방법
WO2018056762A1 (ko) 당화 알부민 측정용 시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당화 알부민의 측정방법
WO2021137472A1 (ko) 당화 알부민 측정용 시약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당화 알부민 비율 측정법
Kessler et al. A semiautomated nonincineration technique for determining serum thyroxine
WO2018056761A1 (ko) 당화혈색소 측정용 시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당화혈색소의 측정방법
US20210208152A1 (en) Reagent composition for measuring glycated albumin and method for measuring glycated albumin using same
CN109536574A (zh) 一种简易检测凝血酶的比色法
JPS6338665B2 (ko)
US5106753A (en) Method for determining manganese level in blood using a porphyrin composition
EP3726215A1 (en) Silica nanoparticles for biomarker diagnosi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WO2021177560A1 (ko) 당화 알부민 비율 측정용 시약 키트 및 이를 이용한 당화 알부민 비율의 측정방법
Welch et al. Spectrophotometry of occult blood in feces.
WO2021137473A1 (ko) 헤모글로빈 측정 시약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헤모글로빈 측정방법
CN114486870B (zh) 用于血糖快速检测的纳米酶功能化的纸基传感器及其检测方法
Rodriguez-Castellon et al. Evaluation of an automated glucose-oxidase procedure
CN108645846A (zh) 一种基于纸基测定血清α-淀粉酶活性的方法
CN117330749B (zh) 一种邻苯二胺复合材料、检测试剂和检测非洲猪瘟的方法
KR102055341B1 (ko) 생체지표 진단용 실리카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5347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853475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9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