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0750A - 광학 적층체 및 이를 구비한 터치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적층체 및 이를 구비한 터치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0750A
KR20180030750A KR1020170076834A KR20170076834A KR20180030750A KR 20180030750 A KR20180030750 A KR 20180030750A KR 1020170076834 A KR1020170076834 A KR 1020170076834A KR 20170076834 A KR20170076834 A KR 20170076834A KR 20180030750 A KR20180030750 A KR 201800307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dhesive layer
optical laminate
adhered surface
retard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6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2795B1 (ko
Inventor
마사토 시미즈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30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0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2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2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 layer of regularly- arranged cells, e.g. a honeycomb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polycyclo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6Flexural strength; Flexion stiff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08Isotr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8Touch scree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layer being constituted by at least two or more adjacent or superposed adhesive layers, e.g. multilayer adhesiv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내 아웃가스성 및 단차 추종성을 가지며, 또한, 편광판을 개재하여 양호한 시인성을 얻을 수 있는 광학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L1)는, 아웃가스를 발생 가능한 제1층(100a)과, 제2층(100b)과, 단차(S)와, 위상차층(200)과, 제1점착층(300a)과, 제2점착층(300b)을 구비하고 있다. 단차(S)는, 제1층(100a) 및 제2층(100b)의 피착면 위의 적어도 한쪽에 있다. 제1점착층(300a)은, 제1층(100a)과 위상차층(200)의 제1피착면(201)을 접합하고 있으며, 또한, 제1층(100a)과 제1점착층(300a)과의 계면에 아웃가스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경도를 가진다. 제2점착층(300b)은, 제2층(100b)의 피착면(101b)과 위상차층(200)의 제2피착면(202)을 접합하고 있으며, 제1점착층(300a)보다 유연하고, 또한, 제2점착층(300b)이 제2층(100b)의 단차(S)에 의해 변형되며, 당해 단차(S)를 흡수하는 경도를 가진다.

Description

광학 적층체 및 이를 구비한 터치 입력 장치{OPTICAL LAMINATE AND TOUCH INPUT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광학 적층체 및 이를 구비한 터치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커버 패널 피착면과, 편광필름 또는 터치 패널 등을 접합하기 위한 종래의 점착 시트가 기재되어 있다. 커버 패널은 아웃가스가 발생 가능한 수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커버 패널의 피착면에는, 가식(加飾) 인쇄부 등의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점착 시트는, 내 아웃가스성(OUTGAS RESISTANCE) 및 단차 추종성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점착 시트는 제1점착층 및 제2점착층을 가지고 있다. 제1점착층 및 제2점착층은, 서로 적층되고 또한 서로 다른 점탄성 거동을 가지고 있다. 제1점착층 및 제2점착층의 동적 전단 저장탄성률 G'(20℃ 및 150℃)을 주파수 1Hz, 온도 분산으로 측정했을 때, 제1점착층의 동적 전단 저장탄성률 G'(20℃)은, 커버 패널의 피착면의 단차에 추종하여 변형되는 유연성을 가지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한편, 제2점착층의 동적 전단 저장탄성률 G'(20℃ 및 150℃)은, 커버 패널 피착면과 점착 시트와의 계면에 아웃가스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값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점착 시트는, 제1점착층 및 제2점착층을 접합하고 있기 때문에, 양자의 계면에서 박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커버 패널 피착면과 화상표시장치를 접합하기 위한 종래의 양면 테이프가 기재되어 있다. 커버 패널은 상기와 같은 구성이다. 양면 테이프는, 기재와, 제1점착층과 제2점착층을 가지고 있다. 제1점착층이 기재의 제1면과 커버 패널의 피착면에 부착되고, 또한 제2점착층이 기재의 제2면과 화상표시장치에 부착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제1, 제2점착층이 그 계면에서 박리하지 않는다. 또한, 양면 테이프는 내 아웃가스성 및 단차 추종성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제1점착층은, 고온 영역(80℃)에 있어서, 커버 패널에서 발생하는 아웃가스에 의해서 제1점착층의 점성 변형이 발생하기 어려운 점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커버 패널의 피착면과 제1접착층과의 계면에 아웃가스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점착층은 내 아웃가스성을 가지고 있지만, 제1점착층의 점성 변형이 발생되기 어려운 점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커버 패널의 피착면의 단차에 추종하는 것이 곤란하다. 그러나, 제2점착층은 고온 영역하에서 점성 변형이 발생하기 쉬운 점탄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양면 테이프 전체의 유연성이 향상되어 있다. 이 양면 테이프 전체의 유연성 향상에 의해서, 제1점착층이 커버 패널의 피착면의 단차에 추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WO2010/044229 [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12-17386호 공보
그런데, 커버 패널은 위상차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편광 선글라스를 착용한 상태에서, 커버 패널을 개재하여 화상표시장치의 표시를 육안으로 식별할 때, 그 시인성(視認性)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이 문제는, 특허문헌 1 및 2에서는 하등 고려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내 아웃가스성 및 단차 추종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편광 선글라스 등의 편광판을 개재하여 양호한 시인성을 얻을 수 있는 광학 적층체 및 이를 구비한 터치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한 형태의 광학 적층체는, 광학 적층체를 통해서 화상표시장치의 표시를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정도의 투명성을 가지고 있다. 광학 적층체는, 제1층, 제2층, 단차와, 위상차층, 제1점착층 및 제2점착층을 구비하고 있다. 제1층은 아웃가스를 발생 가능한 소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피착면을 가지고 있다. 제2층은 피착면을 가지고 있다. 단차는, 제1층의 피착면 위 및 제2층의 피착면 위의 적어도 한쪽에 있다. 위상차층은 제1층과 제2층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위상차층은 제1층 쪽에 위치하는 제1피착면과 제2층 쪽에 위치하는 제2피착면을 가지고 있다. 제1점착층은 제1층의 피착면과 위상차층의 제1피착면을 접합하고 있다. 제1점착층은, 제1층과 제1점착층과의 계면에 아웃가스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경도(硬度)를 가지고 있다. 제2점착층은, 제2층의 피착면과 위상차층의 제2피착면을 접합하고 있다. 제2점착층은, 제1점착층보다 유연하고, 또한, 제2점착층이 단차에 의해 변형되어, 당해 단차를 흡수하는 경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광학 적층체에 의한 경우, 이하의 기술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제1점착층이 상기 경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1층과 제1점착층과의 계면에 제1층으로부터 아웃가스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둘째, 광학 적층체는 양호한 단차 추종성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점착층이 상기 경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2점착층이 단차에 의해 변형되어(움푹 들어감), 당해 단차를 흡수한다. 셋째, 광학 적층체는, 제1점착층과 제2점착층과의 사이에 위상차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편광판을 통해 양호한 시인성을 얻을 수 있다.
제1층의 리타데이션 값은 0~3000nm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상차층의 리타데이션 값은 3000~30000nm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상차층의 제1피착면 및 제2피착면의 적어도 한쪽은, 플라즈마 표면처리 또는 엑시머 조사 처리가 이루어진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광학 적층체에 의한 경우, 제1점착층과 위상차층의 제1피착면의 점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및/또는 제2점착층과 위상차층의 제2피착면의 점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단차는 다음의 1)~3) 중의 적어도 하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1) 단차는, 피착면에 형성된 볼록부와 오목부의 적어도 한쪽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2) 단차는, 피착면 위에 형성된 인쇄부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3) 단차는, 제2층의 피착면 위에 형성된 전극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층은, 광학적으로 등방, 또는, 제2층의 지상축(遲相軸:lagging axis) 방향 또는 진상축(進相軸:advanced axis) 방향이 위상차층의 지상축 방향 또는 진상축 방향과 대략 동일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광학 적층체에 의한 경우, 화상표시장치에서 조사된 직선편광의 광이 제2층으로 입사함으로써 흐트러지고, 흐트러진 직선편광의 광이 위상차층으로 입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터치 입력 장치는, 상기 한 어느 한 형태의 광학 적층체를 구비하고 있으면 된다.
단차가 제2층의 피착면 위에 형성된 터치 입력 장치의 ITO 전극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제2점착층은, 아크릴산을 함유하지 않은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형태의 광학 적층체에 의한 경우, 제2점착층에 아크릴산이 함유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아크릴산에 의해서 ITO 전극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점착층의 두께는, 제1점착층의 두께보다 크고, 또한, 제2점착층이 단차에 의해 변형되는 것에 적합한 두께를 가지고 있으면 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터치 입력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또한, 상기 터치 입력 장치, 화상표시장치 및 편광판과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b는 상기 광학 적층체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터치 입력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또한, 상기 터치 입력 장치, 화상표시장치 및 편광판과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b는 상기 다른 형태의 광학 적층체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터치 입력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또한, 상기 터치 입력 장치, 화상표시장치 및 편광판과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3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포함한 여러 실시예에 관한 터치 입력 장치(T1)에 대하여,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b에는, 실시예 1에 관한 터치 입력 장치(T1)를 나타내고 있다. 터치 입력 장치(T1)는 광학 적층체(L1)를 구비하고 있다. 광학 적층체(L1)는, 화상표시장치(D)의 앞쪽(광 조사 쪽)에 배치 가능하다. 또, 광학 적층체(L1)는, 선글라스 등의 편광판(P)과 화상표시장치(D)와의 사이에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는, 편광판(P) 및 광학 적층체(L1)를 통해 화상표시장치(D)의 표시를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며, 편광판(P)을 개재하지 않고 광학 적층체(L1)를 통하여 화상표시장치(D)의 표시를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다. 이 때문에, 광학 적층체(L1)는, 광학 적층체(L1)를 통해 화상표시장치(D)의 표시를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정도의 투명성을 가지고 있다. 광학 적층체(L1)는, 부분적으로 투명하여도 되고, 전체적으로 투명하여도 된다. 또한, 화상표시장치(D)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유기 EL 디스플레이(OLED), 또는, DLP 프로젝터(DLP) 등이며, 직선편광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화상표시장치(D)의 광원은, 예를 들면, LED 등이다.
도 1a에 표시된 Z-Z'방향은 광학 적층체(L1)의 두께 방향에 해당한다. Z방향은, 화상표시장치(D)의 광 사출 방향에 해당하고, Z'방향은 사출 방향의 반대 방향에 해당한다. 도 1a 및 도 1b에 표시된 Y-Y'방향은 광학 적층체(L1)의 길이 방향에 해당한다. Y-Y'방향은 Z-Z'방향과 직교하고 있다. 도 1b에 표시된 X-X'방향은, 광학 적층체(L1)의 짧은 길이 방향에 해당한다. X-X'방향은, Z-Z'방향 및 Y-Y'방향과 직교하고 있다.
광학 적층체(L1)는, 제1층(100a)과, 제2층(100b)과, 적어도 하나의 단차(S)와, 위상차층(200)과, 제1점착층(300a)과, 제2점착층(300b)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 광학 적층체(L1)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제1층(100a)은, 광학 적층체(L1)의 가장 표면층(광학 적층체(L1)에 있어서 Z방향 쪽의 가장 바깥쪽 층)이어도 되고, 광학 적층체(L1)의 중간층이어도 된다. 전자의 경우, 제1층(100a)은,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터치 입력 장치(T1)의 커버 패널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층(100a)은, 하드코트층, 안티글레어층, 반사방지층, 저반사층, 전극기재층, 보호층, 안티뉴턴층, 강도유지층 및/또는 오염방지층 이어도 된다. 물론, 제1층(100a)이, 커버 패널이고 또한 앞서 말한 층 중의 적어도 하나의 층이어도 된다. 제1층(100a)은, 아웃가스가 발생 가능하고, 또한, 제1층(100a)을 통해 화상표시장치(D)의 표시를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정도의 투명성을 가지는 수지 등의 소재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층(100a)은, 폴리 카보네이트(PC)나 폴리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PMMA)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1층(100a)은, 부분적으로 투명하여도 되고, 전체적으로 투명하여도 된다. 제1층(100a)의 외형은, 제2층(100b)의 외형과 같아도 되고, 제2층(100b)의 외형보다 크게 하여도 된다. 또한, 제1층(100a)은, 압출성형, 공압출(共押出)성형 또는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 가능하다.
제1층(100a)의 리타데이션 값은 0~3000nm로 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층(100a)은 광학적으로 등방이어도 된다. 제1층(100a)의 지상축 방향 또는 진상축 방향은, 소정의 일정 방향으로 향하고 있어도 되고(예를 들어, 제1층(100a)의 지상축 방향 또는 진상축 방향이 위상차층(200)의 지상축 방향 또는 진상축 방향과 동일하여도 된다), 임의 방향으로 향하고 있어도 된다(즉, 면 내에서 랜덤이어도 된다). 제1층(100a)은, 제2층(100b) 쪽(Z'방향 쪽)의 피착면(101a)을 가지고 있다.
제2층(100b)은, 제1층(100a)보다도 Z'방향 쪽에 배치되어 있다. 제2층(100b)은, 제2층(100b)을 통해 화상표시장치(D)의 표시를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정도의 투명성을 가지는 수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2층(100b)은, 폴리 카보네이트(PC), 시클로 올레핀 폴리머(COP), 폴리에틸렌 텔레프탈레이트(PET) 또는 유리 기판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2층(100b)은, 부분적으로 투명하여도 되고, 전체적으로 투명하여도 된다.
제2층(100b)은, 광학적으로 등방이어도 되고, 제2층(100b)의 지상축 방향 또는 진상축 방향이 위상차층(200)의 지상축 방향 또는 진상축 방향과 동일하여도 된다. 제2층(100b)은, 제1층(100a) 쪽(Z방향 쪽)의 피착면(101b)을 가지고 있다.
적어도 하나의 단차(S)는, 제1층(100a)의 피착면(101a) 및 제2층(100b)의 피착면(101b)의 적어도 한쪽 위에 있으며, 또한, Z'방향 쪽(제2점착층(300b) 쪽)에 볼록한 부분이다. 단차(S)는, 다음의 1)~3) 중의 적어도 하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1) 적어도 하나의 단차(S)는, 피착면(101a) 및/또는 피착면(101b)에 형성된 볼록부 및 오목부의 적어도 한쪽이다. 예를 들어, 단차(S)는, 피착면(101a) 및/또는 피착면(101b)의 면 정밀도 상의 가장 높은 곳(Peak)과 가장 낮은 곳(Valley)의 차이(볼록부 및/또는 오목부)에 의해 발생되어 있어도 된다. 또는, 단차(S)는, 터치 입력 장치(T1)의 디자인 상 또는 기능 상의 관점에서, 피착면(101a) 및/또는 피착면(101b) 위에 의도적으로 형성된 볼록부와 오목부의 적어도 한쪽이어도 된다.
2) 적어도 하나의 단차(S)는, 피착면(101a) 및/또는 피착면(101b) 위에 형성된 인쇄부이다. 예를 들어, 인쇄부는, 피착면(101a) 및/또는 피착면(101b)에 형성된 가식 인쇄 등이다.
3) 적어도 하나의 단차(S)는, 제2층(100b)의 피착면(101b) 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전극이다. 이 경우, 제2층(100b)은 전극기재층이 된다. 이하, 이 전극에는, 설명의 편의상, 단차(S)와 다른 부호 (110b)를 부여한다.
전극(110b)은, A) 표면형 정전용량(Surface Capacitive) 방식 및 B) 투영형 정전용량(Projected Capacitive) 방식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검출대상(예를 들어, 손가락 또는 터치 펜의 도체)의 광학 적층체(L1)의 가장 표면층에 대한 접근을 검출 가능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A의 경우, 전극(110b)은 투명 도전막이다. 상기 투명 도전막은, 예를 들어, ITO(산화인듐주석) 또는 ATO(안티몬 도핑 산화주석)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검출 대상의 가장 표면층에 대한 접근에 따라, 당해 전극(110b)의 4개의 모서리부의 전계 값이 변화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B의 경우, 전극(110b)은, B1) 자기용량방식(Self capacitance type) 또는 상호용량방식(Mutual capacitance type)에 대응하고 있다. B1 및 B2의 어느 경우에도, 전극(110b)은, 투명 도전막 또는 도체이다. 상기 투명 도전막은, 예를 들어, ITO(산화인듐주석), CNT(탄소 나노 튜브), IZO(산화인듐아연), ATO(안티몬 도핑 산화주석) 또는 도전성 고분자(PEDOT 또는 PSS)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도체는, 예를 들면, 감광성 은, 실버 나노 잉크, 실버 나노 와이어, 증착 구리, 압연 구리 또는 구리 나노 잉크 등이다.
B1의 경우, 전극(110b)은 하나 또는 복수이다. 전극(110b)은, 검출 대상이 적어도 하나의 전극(110b)에 접근하면, 해당 전극(110)과 검출 대상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이 변화하고, 정전 용량의 변화에 따라 전극(110b)의 전기 신호(전압 또는 전류)가 변화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전극(110b)이 복수일 경우, 제2층(100b)의 피착면(101b) 위에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도 1b 참조)
B2의 경우, 전극(110b)은 복수이며, 제2층(100b)의 피착면(101b) 위에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전극(110b) 중, 서로 인접한 전극(110b) 중의 한쪽이 구동 전극(드라이브 전극)이고, 다른 한쪽이 검출 전극(센서 전극)이 된다. 예를 들어, 도 1b에서는, 도시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제1열의 전극(110b), 제2열의 전극(110b), 제3열의 전극(110b) 및 제4열의 전극(110b)을 가지고 있으며, 제1열의 전극(110b) 및 제3열의 전극(110b)을 구동 전극, 제2열의 전극(110b) 및 제4열의 전극(110b)을 검출 전극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반대로 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서로 인접한 구동 전극과 검출 전극이 각각 정전 결합되어 있다. 적어도 1조의 서로 인접한 구동 전극과 검출 전극에 검출 대상이 접근하면, 해당 조의 서로 인접한 구동 전극과 검출 전극의 사이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이 변화하고, 정전 용량의 변화에 따라, 검출 전극의 전기 신호(전압 또는 전류)가 변화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위상차층(200)은, 제1층(100a)과 제2층(100b)과의 사이에 배치된 필름 또는 플레이트이다. 위상차층(200)은, 위상차층(200)을 통해 화상표시장치(D)의 표시를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정도의 투명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되어 있다. 위상차층(200)은, 부분적으로 투명하여도 되고, 전체적으로 투명하여도 된다. 위상차층(20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은 가요성을 가지고 있어도 되고, 단단하여도 된다. 위상차층(200)의 두께(Z-Z'방향의 치수)는 80~300μm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상차층(200)의 리타데이션 값은 제1층(100a)의 리타데이션 값보다 크다. 예를 들어, 위상차층(200)의 리타데이션 값은, 3000~30000nm로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30000nm 이상이어도 된다. 위상차층(200)의 지상축은, 화상표시장치(D)의 편광 축 또는 흡수축에 대해 30~60도이면 된다. 위상차층(200)은, 화상표시장치(D)에서 조사된 직선편광을 원편광(타원편광을 포함함)으로 변환한다. 직선편광은, 편광판(P)을 통해 보면, 양자의 축 관계에 따라 투과 광량이 변화하지만, 원편광의 경우는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편광판(P)을 개재한 화상표시장치(D)의 표시의 시인성이 향상된다. 위상차층(200)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40℃~95℃(차량 적재용의 환경온도) 또는 -10℃~60℃(일반 사용의 환경온도) 이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상차층(200)은, 제1층(100a) 쪽(Z방향 쪽)에 위치하는 제1피착면(201)과, 제2층(100b) 쪽(Z'방향 쪽)에 위치하는 제2피착면(202)을 가지고 있다. 제1피착면(201) 및 제2피착면(202)의 적어도 한쪽은, 플라즈마 표면처리 또는 엑시머 조사 처리가 이루어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이러한 처리가 되어 있지 않아도 상관없다.
제1점착층(300a)은, 제1층(100a)의 피착면(101a)과 위상차층(200)의 제1피착면(201)을 접합하고 있다. 제1점착층(300a)은, 점착제이어도 되고, 접착 테이프(예를 들어, OCA(Optical Clear Adhesive; 등록 상표) 등이어도 된다. 제1점착층(300a)은, 제1점착층(300a)을 통해 화상표시장치(D)의 표시를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정도의 투명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되어 있다. 제1점착층(300a)은, 투명하여도 된다. 제1점착층(300a)은, 제1층(100a)의 피착면(101a)과 제1점착층(300a)과의 계면에 제1층(100a)으로부터 아웃가스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는 경도(내 아웃가스성)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제1층(100a)의 피착면(101a)과 제1점착층(300a)과의 계면에 제1층(100a)으로부터 아웃가스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제1점착층(300a)의 저장탄성률은, 다음의 1) 또는 2) 중의 어느 하나이면 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저장탄성률=1~10×105Pa(25℃)
2) 저장탄성률=0.5~5×105Pa(80℃)
적어도 하나의 단차(S)가 제1층(100a)의 피착면(101a) 위에 있는 경우, 제1점착층(300a)은, 적어도 하나의 단차(S)에 접촉하는 부분이 제2점착층(300b) 쪽으로 볼록해 지도록 부분적으로 가소성을 가진다. 이 제1점착층(300a)의 유연한 부분이 볼록부(310a)이다. 볼록부(310a)의 Z-Z'방향의 치수는 1) 단차(S)의 Z-Z'방향의 치수보다 작거나 또는 2) 대략 동일하다. 1)의 경우, 제1점착층(300a)은, 단차(S)에 따라 변형되어(움푹 들어감), 당해 단차(S)를 부분적으로 흡수한다. 2)의 경우, 볼록부(310a)는, 단차(S)의 Z-Z'방향의 치수만큼, Z'방향 쪽(제2점착층(300b) 쪽)으로 볼록하게 되어 있으며, 제1점착층(300a)은, 단차(S)에 따라 변형되지 않는다(움푹 들어가지 않는다). 위상차층(200)은, 볼록부(310a)에 접촉하는 부분이 제2점착층(300b) 쪽으로 볼록해지도록 부분적으로 가소성을 가진다. 위상차층(200)의 유연한 부분이 볼록부(210)이다. 볼록부(210)의 Z-Z'방향의 치수는 3) 볼록부(310a)의 Z-Z'방향의 치수보다 작거나 또는 4) 대략 동일하다. 3)의 경우, 위상차층(200)은, 볼록부(310a)에 따라 변형되어(움푹 들어감), 당해 볼록부(310a)를 부분적으로 흡수한다. 4)의 경우, 볼록부(210)는, 볼록부(310a)의 Z-Z'방향의 치수만큼, Z'방향 쪽(제2점착층(300b) 쪽)으로 볼록하게 되어 있으며, 위상차층(200)은, 볼록부(310a)에 따라 변형되지 않는다(움푹 들어가지 않는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단차(S)가 제2층(100b)의 피착면(101b) 위에만 있을 경우, 제1점착층(300a)은, 볼록부(310a)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또한 위상차층(200)은, 볼록부(210)를 가지고 있지 않다.
또한, 제1점착층(300a)의 두께(Z-Z'방향의 치수)는 25~175μm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점착층(300a)의 리타데이션 값은 매우 작게(즉, 광학적으로 등방, 또는, 그것에 가깝게 함)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점착층(300a)의 리타데이션 값은 0~50nm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1점착층(300a)의 리타데이션 값은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제1점착층(300a)의 지상축 방향 또는 진상축 방향이 위상차층(200)의 지상축 방향 또는 진상축 방향과 동일하게 하면 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점착층(300b)은, 제2층(100b)의 피착면(101b)과 위상차층(200)의 제2피착면(202)을 접합하고 있다. 제2점착층(300b)은, 점착제이어도 되고, 접착 테이프(예를 들어, OCA(Optical Clear Adhesive; 등록 상표) 등이어도 된다. 제2점착층(300b)은, 제2점착층(300b)을 통해 화상표시장치(D)의 표시를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정도의 투명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되어 있다. 제2점착층(300b)은 투명하여도 된다. 제2점착층(300b)은, 제1점착층(300a)보다 유연하고, 또한, 제2점착층(300b)이 위상차층(200)의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210) 및/또는 제2층(100b)의 적어도 하나의 단차(S)의 형상에 따라 변형되어(움푹 들어감), 위상차층(200) 볼록부(210) 및/또는 제2층(100b)의 단차(S)를 흡수하는 경도(단차 추종성)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제2점착층(300b)이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210)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단차(S)의 형상에 따라 변형되도록, 제2점착층(300b)의 저장탄성률은, 다음의 1) 또는 2) 중의 어느 하나이면 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제2점착층: 저장탄성률=1~20×104Pa(25℃)
2) 제2점착층: 저장탄성률=1~10×104Pa(80℃)
또한, 제2점착층(300b)의 두께(Z-Z'방향의 치수)는, 제1점착층(300a)의 두께보다 크고, 또한, 제2점착층(300b)이 위상차층(200)의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210) 및/또는 제2층(100b)의 적어도 하나의 단차(S)의 형상에 따라 변형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를 가지고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제2점착층(300b)의 두께는 50~500μm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점착층(300b)의 리타데이션 값은 매우 작게(즉, 광학적으로 등방 또는 그것에 가깝게 함)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2점착층(300b)의 리타데이션 값은 0~50nm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점착층(300b)의 리타데이션 값은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제2점착층(300b)의 지상축 방향 또는 진상축 방향이 위상차층(200)의 지상축 방향 또는 진상축 방향과 동일하도록 하면 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제2층(100b)의 단차(S)(전극(110b))가 ITO 전극인 경우, 제2점착층(300b)은 아크릴산을 함유하지 않은 구성으로 하면 된다. 즉, 제2층(100b)의 단차(S)(전극(110b))가 ITO 전극 이외의 전극인 경우, 또는, 제2층(100b)의 단차(S)가 상기 1) 및 2) 중의 적어도 하나인 경우, 제2점착층(300b)은 아크릴산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상과 같은 터치 입력 장치(T1) 및 광학 적층체(L1)에 의한 경우, 첫째, 터치 입력 장치(T1) 및 광학 적층체(L1)의 시인성이 저하하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제1점착층(300a)이 상기 경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1층(100a)과 제1점착층(300a)과의 계면에 제1층(100a)으로부터 아웃가스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계면에 아웃가스가 발생하고, 당해 아웃가스가 팽창하여 상기 계면에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당해 기포가 상기 계면에 존재함으로써, 터치 입력 장치(T1) 및 광학 적층체(L1)의 시인성이 저하하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2점착층(300b)이 상기 경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2점착층(300b)이 제2층(100b)의 위상차층(200)의 적어도 하나의 볼록부(210)(즉, 제1층(100a)의 적어도 하나의 단차(S)) 및/또는 제2층(100b)의 적어도 하나의 단차(S)의 형상에 추종하여 변형되어(움푹 들어감), 이를 흡수한다. 따라서, 제1층(100a)의 적어도 하나의 단차(S)와 제1점착층(300a)과 경계부 및/또는 제2층(100b)의 적어도 하나의 단차(S)와 제2점착층(300b)과 경계부에 기포가 들어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기포가 상기 경계부에 존재함으로써, 터치 입력 장치(T1) 및 광학 적층체(L1)의 시인성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입력 장치(T1) 및 광학 적층체(L1)는, 제1점착층(300a)과 제2점착층(300b)과의 사이에 위상차층(200)이 개재되어 있기 때문에, 편광판(P)을 통해 양호한 시인성을 얻을 수 있다. 제2층(100b) 및/또는 제2점착층(300b)이 위상차를 가지고 있는 경우, 화상표시장치(D)로부터 조사된 직선편광의 광이, 제2층(100b) 및/또는 제2점착층(300b)으로 입사함으로써 흐트러질 수 있다. 그러나, 제2층(100b) 및/또는 제2점착층(300b)이 광학적으로 등방인 경우, 또는, 제2층(100b) 및/또는 제2점착층(300b)의 지상축 방향 또는 진상축 방향이 위상차층(200)의 지상축 방향 또는 진상축 방향과 동일한 경우, 화상표시장치(D)로부터 조사된 직선편광의 광이, 제2층(100b) 및/또는 제2점착층(300b)에 입사하여 흐트러지고, 흐트러진 직선편광의 광이 위상차층(200)으로 입사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편광판(P)에 의해 직선편광의 광이 적합하게 원편광의 광으로 변환되기 때문에, 편광판(P)을 통해 양호한 시인성을 얻을 수 있다.
둘째, 일반적으로, 내 아웃가스성을 가지는 점착층, 단차 추종성을 가지는 점착층을 적층한 적층 점착층에서 제1층(100a)의 피착면(101a)과 제2층(100b)의 피착면(101b)을 접합시킨 경우, 적층 점착층의 앞에서 설명한 2개의 점착층의 상성(相性)에 의해서, 2개의 점착층이 박리되기 쉬워진다. 그러나, 터치 입력 장치(T1) 및 광학 적층체(L1)는, 제1점착층(300a)이 제1층(100a)과 위상차층(200)을 접합하고 있으며, 제2점착층(300b)이 제2층(100b)과 위상차층(200)을 접합하고 있기 때문에, 각 층 간의 계면에서 박리가 발생하기 어렵다. 특히, 위상차층(200)의 제1피착면(201) 및 제2피착면(202) 중 어느 한쪽이, 플라즈마 표면처리 또는 엑시머 조사 처리되어 있는 경우, 위상차층(200)과 제1점착층(300a)과의 점착성 및 위상차층(200)과 제2점착층(300b)과의 점착성 중 적어도 하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광학 적층체(L1)에 휘어짐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광학 적층체(L1)는, 제1점착층(300a) 및 제2점착층(300b)의 2개의 점착층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당해 점착층의 두께가 커진다. 또한, 제2점착층(300b)은 유연성이 높다. 따라서, 예를 들어, 제1층(100a)의 열팽창률과 제2층(100b)의 열팽창률이 상이함으로써, 양자가 서로 다른 열팽창을 했다고 하여도, 그 열팽창의 차이가 제1점착층(300a) 및 제2점착층(300b)에 의해서 흡수된다. 이 경우, 위상차층(200)은 가요성을 가지는 필름을 이용하면 된다. 또한, 광학 적층체(L1)의 휘어짐 발생이 억제되는 결과, 광학 적층체(L1)에 발생되는 휨 응력의 발생도 억제할 수 있다. 광학 적층체(L1)에 발생되는 휨 응력에 의해서, 광학 적층체(L1)의 제1층(100a), 제1점착층(300a), 위상차층(200), 제2점착층(300b) 및 제2층(100b)의 각 계면에서 박리가 발생될 가능성이 감소된다
넷째, 제2점착층(300b)이 아크릴산을 함유하지 않은 경우, 예를 들어, 제2층(100b)의 단차(S)가 ITO 전극이었다고 하여도, 아크릴산에 의해 ITO 전극이 부식 되지 않는다.
다섯째, 터치 입력 장치(T1) 및 광학 적층체(L1)의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점착층(300a)과 제2점착층(300b)과의 사이에 위상차층(200)이 개재되어 있는, 편광판(P)을 통한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위상차층을 별도로 추가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포함한 여러 실시예에 관한 터치 입력 장치(T2)에 대하여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에는, 실시예 2에 관한 터치 입력 장치(T2)를 나타내고 있다. 터치 입력 장치(T2)는 광학 적층체(L2)를 구비하고 있다. 터치 입력 장치(T2)는, 광학 적층체(L2)가 이하의 차이점 1~3에서 광학 적층체(L1)와 상이한 것 이외는, 터치 입력 장치(T1)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차이점 1) 광학 적층체(L2)의 제2층(100b')의 구성은, 광학 적층체(L1)의 제2층(100b)의 구성과 상이하다. 차이점 2) 광학 적층체(L2)는, 제1층(100a), 제2층(100b'), 적어도 하나의 단차(S), 위상차층(200), 제1점착층(300a) 및 제2점착층(300b)에 더하여, 제3층(100c) 및 제3점착층(300c)을 구비하고 있다. 차이점 3) 제2층(100b')의 적어도 하나의 단차(S)의 구성이, 광학 적층체(L1)의 제2층(100b)의 적어도 하나의 단차(S)의 구성과 상이하다. 이하, 이러한 차이점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고, 터치 입력 장치(T2)의 설명 중, 터치 입력 장치(T1)와 중복되는 것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또한, 도 2a에는 도 1a와 마찬가지로, Z-Z'방향 및 Y-Y'방향이 표시되어 있다. 도 2b에는 도 1b와 마찬가지로, Y-Y'방향 및 X-X'방향이 표시되어 있다. Z-Z'방향, Y-Y'방향 및 X-X'방향은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3층(100c)은, 제2층(100b)보다도 Z'방향 쪽에 배치된 전극기재층이다.
제3층(100c)은, 제3층(100c)을 통해 화상표시장치(D)의 표시를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정도의 투명성을 가지는 수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3층(100c)은, 폴리 카보네이트(PC), 시클로 올레핀 폴리머(COP), 폴리에틸렌 테레 프탈레이트(PET) 또는 유리 기판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3층(100c)은, 부분적으로 투명하여도 되고, 전체적으로 투명하여도 된다. 제3층(100c)은, 광학적으로 등방이어도 되고, 지상축 또는 진상축이 위상차층(200)의 지상축 또는 진상축과 같은 방향을 향하고 있어도 된다.
제3층(100c)은, 제2층(100b) 쪽(Z방향 쪽)의 피착면(101c)을 가지고 있다. 제3층(100c)의 피착면(101c) 위에는, 복수의 전극(110c)이 Y-Y'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전극(110c)은 X-X'방향으로 뻗어 있다. 또한, 제3층(100c)의 피착면(101c) 위에는, 제2층(100b')의 적어도 하나의 단차(S)와 동일한 구성의 단차(전극(110c)을 포함함)가 있어도 된다.
제2층(100b')은, 피착면(102b')을 더 가지고 있는 것 이외는, 제2층(100b)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2층(100b')의 피착면(102b')은, 제2층(100b')의 제3층(100c) 쪽(Z'방향 쪽)의 면이다.
광학 적층체(L2)의 적어도 하나의 단차(S)는, 제1층(100a)의 피착면(101a) 및 제2층(100b')의 피착면(101b')의 적어도 한쪽의 면 위에 있다. 이 단차(S)는, 다음의 1)~3) 중의 적어도 하나로 할 수 있다. 1) 광학 적층체(L2)의 적어도 하나의 단차(S)는, 광학 적층체(L1)의 1)의 적어도 하나의 단차(S)와 동일하다. 2) 광학 적층체(L2)의 적어도 하나의 단차(S)는, 광학 적층체(L1)의 2)의 적어도 하나의 단차(S)와 동일하다.
3) 광학 적층체(L2)의 제2층(100b')의 적어도 하나의 단차(S)는, 제2층(100b')의 피착면(101b') 위에 X-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복수의 전극이다. 이하, 이 전극에는, 설명의 편의상, 제2층(100b')의 단차(S)와 다른 부호 (110b')를 부여한다. 전극(110b')은 Y-Y'방향으로 뻗어 있다. 이 경우, 제2층(100b') 은 전극기재층이 된다.
전극(110b') 및 전극(110c)은, 상호용량방식(Mutual capacitance type)에 대응하고 있다. 전극(110b') 및 전극(110c)은, Z-Z'방향의 다른 높이 위치에서 서로 교차 또는 직교하고 있다. 전극(110b') 및 전극(110c) 중, 어느 한쪽이 구동 전극(드라이브 전극)이고, 다른 하나는 검출 전극(센서 전극)이다. 전극(110b') 및 전극(110c)은 투명 도전막 또는 도체이다. 투명도전막은, ITO(산화인듐주석), CNT(탄소 나노 튜브), IZO(산화인듐아연), AZO(알루미늄 도핑 산화아연) 또는 전도성 고분자(PEDOT 또는 PSS)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체는, 감광성 은이나 그래프 오프셋 등으로 제작된 선폭 15μm 이하의 금속(예를 들면, Ag, Cu), 은 나노 잉크, 실버 나노 와이어, 금속 와이어, 증착 구리, 압연 구리 또는 구리 나노 잉크 등으로 구성된 도체이다. 교차 또는 직교하는 구동 전극과 검출 전극이 각각 정전 결합되어 있다. 교차 또는 직교하는 적어도 1조의 구동 전극 및 검출 전극에 검출 대상이 접근하면 해당 조의 구동 전극 및 검출 전극 사이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이 변화하고, 정전 용량의 변화에 따라 검출 전극의 전기 신호(전압 또는 전류)가 변화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전극(110b') 및 전극(110c)은, 마름모꼴 전극으로하고, 자기용량방식에 대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제3점착층(300c)은, 제2층(100b)의 피착면(102b')과 제3층(100c)의 피착면(101c)을 접합시킬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제3점착층(300c)은, 제2점착층(300b)과 동일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제3점착층(300c)은, 제3층(100c)의 전극(110c) 등의 적어도 하나의 단차의 형상에 따라 변형되는(움푹 들어감) 경도(단차 추종성)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제3층(100c) 및 제3점착층(300c)은 생략 가능하다. 이 경우, 전극(110c)은, 제3층(100c)의 피착면(101c)이 아닌, 제2층(100b')의 피착면(102b')에 Y-Y'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그 밖의 내용에 대해서는, 전극(110c)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은 터치 입력 장치(T2) 및 광학 적층체(L2)에 의한 경우, 터치 입력 장치(T1) 및 광학 적층체(L1)의 제1~제5의 기술적 특징과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포함한 여러 실시예에 관한 터치 입력 장치(T3)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은 실시예 3에 관한 터치 입력 장치(T3)를 나타내고 있다. 터치 입력 장치(T3)는 광학 적층체(L3)를 구비하고 있다. 터치 입력 장치(T3)는, 광학 적층체(L3)가 이하의 차이점 1에서 광학 적층체(L1)와 상이한 점 이외는, 터치 입력 장치(T1)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차이점 1) 광학 적층체(L3)의 제2층(100b)의 적어도 하나의 단차(S)의 구성이, 광학 적층체(L1)의 제2층(100b)의 적어도 하나의 단차(S)의 구성과 상이하다. 이하, 차이점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하고, 터치 입력 장치(T3)의 설명 중, 터치 입력 장치(T1)와 중복되는 것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또한, 도 3에는, 도 1a와 마찬가지로 Z-Z'방향 및 Y-Y'방향이 표시되어 있다. X-X'방향은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Z-Z'방향, Y-Y'방향 및 X-X'방향은,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광학 적층체(L3)의 적어도 하나의 단차(S)는, 제1층(100a)의 피착면(101a) 및 제2층(100b)의 피착면(101b)의 적어도 한쪽의 면 위에 있다. 이 단차(S)는, 다음의 1)~3) 중 적어도 하나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1) 광학 적층체(L3)의 적어도 하나의 단차(S)는, 광학 적층체(L1)의 2)의 적어도 하나의 단차(S)와 동일하다. 2) 광학 적층체(L3)의 단차(S)는, 광학 적층체(L1)의 2)의 적어도 하나의 단차(S)와 동일하다.
3) 광학 적층체(L3)의 제2층(100b)의 적어도 하나의 단차(S)는, 제1전극(111b)과, 제2전극(112b)과, 절연층(113b)을 가지고 있다. 제1전극(111b)은, X-X'방향으로 뻗어있으며, 또한, 제2층(100b)의 피착면(101b) 위에 Y-Y'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절연층(113b)은, 제1전극(111b)을 덮도록 제2층(100b)의 피착면(101b) 위에 설치되어 있다. 제2전극(112b)은 Y-Y'방향으로 뻗어있으며, 또한, 절연층(113b) 위에 X-X'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그 밖의 내용에 대해서는, 제1전극(111b) 및 제2전극(112b)은, 광학 적층체(L2)의 전극(110c) 및 전극(110b')과 동일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광학 적층체(L3)의 제2층(100b)의 적어도 하나의 단차(S)가 상기 3)을 포함할 경우, 제2점착층(300b)의 두께(Z-Z'방향)는, 광학 적층체(L1) 및 광학 적층체(L2)의 제2점착층(300b)의 두께보다 크게 해도 된다. 예를 들어, 광학 적층체(L3)의 제2점착층(300b)의 두께는 50~500μm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광학 적층체(L3)의 제2점착층(300b)의 두께는 광학 적층체(L1) 및 광학 적층체(L2)의 제2점착층(300b)의 두께와 같도록 하여도 된다. 광학 적층체(L3)의 제2점착층(300b)은, 적어도 하나의 단차(S)의 제1전극(111b) 및 제2전극(112b)의 적어도 한쪽이 ITO 전극일 경우에는, 아크릴산을 함유하지 않은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터치 입력 장치(T3) 및 광학 적층체(L3)에 의한 경우, 터치 입력 장치(T1) 및 광학 적층체(L1)의 제1~제5의 기술적 특징과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한 터치 입력 장치 및 광학 적층체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 청구범위의 기재 범위에 있어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터치 입력 장치에 구비되어 있다고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는, 화상표시장치의 표시가 당해 광학 적층체를 통해 사용자에게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면 된다. 본 발명의 광학 적층체가, 터치 입력 장치에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2층의 피착면의 단차는, 상기 1) 및 2) 중의 어느 하나로 하는 것이 가능하며, 제2층의 피착면의 단차는, 터치 입력 장치의 전극 이외의 전극(예를 들어, 센서 전극) 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각 형태 및 설계변형예에 있어서의 터치 입력 장치 및 광학 적층체의 각 구성 요소를 구성하는 소재, 형상, 치수, 숫자 및 배치 등은 그 일례를 설명한 것으로서, 동일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실시예의 각 형태 및 설계변경예는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상호 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Z-Z'방향은, 광학 적층체의 두께 방향이고, 또한, 광학 적층체의 각 층의 적층 방향인 한,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본 발명의 Y-Y'방향은 Z-Z'방향으로 교차하는 한,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 본 발명의 X-X'방향은, Z-Z'방향 및 Y-Y'방향으로 교차하고 있고, 또한, Z-Z'방향 및 Y-Y'방향이 위치하는 평면 위에 위치하지 않는 한,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T1 : 터치 입력 장치
L1 : 광학 적층체
100a : 제1층
101a : 피착면
100b : 제2층
101b : 피착면
110b : 전극
단차 : S
200 : 위상차층
201 : 제1피착면
202 : 제2피착면
210 : 볼록부
300a : 제1점착층
310a : 볼록부
300b : 제2점착층
T2 : 터치 입력 장치
L2 : 광학 적층체
100a : 제1층
101a : 피착면
100b': 제2층
101b': 피착면
110b': 전극
102b': 피착면
100c : 제3층
101c : 피착면
110c : 전극
단차 : S
200 : 위상차층
201 : 제1피착면
202 : 제2피착면
210 : 볼록부
300a : 제1점착층
310a : 볼록부
300b : 제2점착층
300c : 제3점착층
T3 : 터치 입력 장치
L3 : 광학 적층체
100a : 제1층
101a : 피착면
100b : 제2층
101b : 피착면
S : 단차
111b : 제1전극
112b : 제2전극
113b : 절연층
200 : 위상차층
201 : 제1피착면
202 : 제2피착면
210 : 볼록부
300a : 제1점착층
310a : 볼록부
300b : 제2점착층
D : 화상표시장치
P : 편광판

Claims (7)

  1. 광학 적층체를 통해서 화상표시장치의 표시를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정도의 투명성을 가지는 상기 광학 적층체에 있어서,
    아웃가스를 발생 가능한 소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피착면을 가지는 제1층과,
    피착면을 가지는 제2층과,
    상기 제1층의 상기 피착면 위 및 상기 제2층의 상기 피착면 위의 적어도 한쪽에 있는 단차와,
    상기 제1층과 상기 제2층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1층 쪽에 위치하는 제1피착면 및 상기 제2층 쪽에 위치하는 제2피착면을 가지는 위상차층과,
    상기 제1층과 상기 위상차층의 상기 제1피착면을 접합한 제1점착층으로서, 상기 제1층과 상기 제1점착층과의 계면에 상기 아웃가스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경도(硬度)를 가지고 있는 제1점착층과,
    상기 제2층의 상기 피착면과 상기 위상차층의 상기 제2피착면을 접합한 제2점착층으로서, 상기 제1점착층보다 유연하고, 또한, 상기 제2점착층이 상기 제2층의 상기 단차에 의해 변형되어, 당해 단차를 흡수하는 경도를 가지고 있는 제2점착층을 구비하고 있는 광학 적층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의 리타데이션 값은 0~3000nm이며,
    상기 위상차층의 리타데이션 값은 3000~30000nm인 광학 적층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층의 상기 제1피착면 및 상기 제2피착면의 적어도 한쪽은, 플라즈마 표면처리 또는 엑시머 조사 처리가 이루어진 구성인 광학 적층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는, 다음의 1)~3) 중의 적어도 하나이며,
    1) 상기 단차는, 상기 피착면에 형성된 볼록부 및 오목부의 적어도 한쪽이고
    2) 상기 단차는, 상기 피착면 위에 형성된 인쇄부이며,
    3) 상기 단차는, 상기 제2층의 상기 피착면 위에 형성된 전극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층은, 광학적으로 등방, 또는, 상기 제2층의 지상축(遲相軸:lagging axis) 방향 또는 진상축(進相軸:advanced axis) 방향이 상기 위상차층의 지상축 방향 또는 진상축 방향과 대략 동일한 광학 적층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광학 적층체를 구비하고 있는 터치 입력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는, 상기 제2층의 상기 피착면 위에 형성된 ITO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2점착층은 아크릴산을 함유하지 않은 터치 입력 장치.
KR1020170076834A 2016-09-16 2017-06-16 광학 적층체 및 이를 구비한 터치 입력 장치 KR1024127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81521 2016-09-16
JP2016181521A JP6732614B2 (ja) 2016-09-16 2016-09-16 光学積層体及びこれを備えたタッチ入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0750A true KR20180030750A (ko) 2018-03-26
KR102412795B1 KR102412795B1 (ko) 2022-06-24

Family

ID=59699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6834A KR102412795B1 (ko) 2016-09-16 2017-06-16 광학 적층체 및 이를 구비한 터치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23101B2 (ko)
EP (1) EP3296776B1 (ko)
JP (1) JP6732614B2 (ko)
KR (1) KR102412795B1 (ko)
CN (1) CN107831934B (ko)
TW (1) TWI7291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79254B1 (ja) 2018-12-03 2019-09-25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積層体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CN113486801B (zh) * 2020-08-17 2023-05-23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感测装置
CN114327120A (zh) * 2020-09-30 2022-04-12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曲面结构及其制造方法和显示设备
KR20230018856A (ko) * 2021-07-30 2023-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타이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1896A (ja) * 1998-08-04 2000-04-21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タッチパネル付き液晶表示装置及びタッチパネル
WO2010044229A1 (ja) 2008-10-15 2010-04-22 三菱樹脂株式会社 透明粘着シート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2017386A (ja) 2010-07-07 2012-01-26 Dic Corp パネル固定用両面粘着テープ
JP2013069072A (ja) * 2011-09-21 2013-04-18 Nissha Printing Co Ltd 静電容量式タッチセンサ及びこれを備えた表示装置
JP2015030765A (ja) * 2013-07-31 2015-02-1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粘着層付き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5068956A (ja) * 2013-09-27 2015-04-13 ホシデン株式会社 光学部材、タッチパネル及び表示装置
JP2016130747A (ja) * 2014-12-25 2016-07-21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43585B2 (en) * 2002-04-23 2008-10-28 Nitto Denko Corporation Polarizer, polarization light source and image display unit using them
US20090022967A1 (en) * 2005-04-13 2009-01-22 Mitsubishi Plastics, Inc. Double sided adhesive sheet and panel laminate
WO2007029788A1 (ja) * 2005-09-09 2007-03-15 Nitto Denko Corporation 光学補償層付偏光板、光学補償層付偏光板を用いた液晶パネル、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7248837A (ja) * 2006-03-16 2007-09-27 Fujifilm Corp 光学異方性膜、光学補償シート、それを用いた偏光板、転写材料、ならびに液晶表示装置
WO2010140393A1 (ja) * 2009-06-01 2010-12-09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5529720B2 (ja) * 2010-12-15 2014-06-2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層付き透明導電性フィルム、その製造方法及びタッチパネル
JP2012237928A (ja) * 2011-05-13 2012-12-06 Fujifilm Corp 光学フィルム、偏光板、画像表示装置及び3d画像表示システム
US9441141B2 (en) * 2012-01-18 2016-09-13 Mitsubishi Plastics, Inc. Transparent double-sided adhesive sheet for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140042517A (ko) * 2012-09-28 2014-04-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 접착 부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6136526B2 (ja) * 2012-10-29 2017-05-3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インセルタッチパネル液晶素子の前面用の光学積層体及びこれを用いたインセルタッチパネル型液晶表示装置
JP6275945B2 (ja) * 2012-12-10 2018-02-07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5615987B2 (ja) * 2013-02-07 2014-10-29 日東電工株式会社 偏光膜を有する光学積層体
KR20150015314A (ko) * 2013-07-31 2015-02-10 제일모직주식회사 투명 도전체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US10073569B2 (en) * 2014-01-28 2018-09-11 Apple Inc. Integrated polarizer and conductive material
JP6580315B2 (ja) * 2014-10-15 2019-09-25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ならびに両面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のカール抑制方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1896A (ja) * 1998-08-04 2000-04-21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タッチパネル付き液晶表示装置及びタッチパネル
WO2010044229A1 (ja) 2008-10-15 2010-04-22 三菱樹脂株式会社 透明粘着シート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2017386A (ja) 2010-07-07 2012-01-26 Dic Corp パネル固定用両面粘着テープ
JP2013069072A (ja) * 2011-09-21 2013-04-18 Nissha Printing Co Ltd 静電容量式タッチセンサ及びこれを備えた表示装置
JP2015030765A (ja) * 2013-07-31 2015-02-16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粘着層付き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5068956A (ja) * 2013-09-27 2015-04-13 ホシデン株式会社 光学部材、タッチパネル及び表示装置
JP2016130747A (ja) * 2014-12-25 2016-07-21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層付偏光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079933A1 (en) 2018-03-22
CN107831934B (zh) 2022-04-29
JP2018045567A (ja) 2018-03-22
CN107831934A (zh) 2018-03-23
TW201823948A (zh) 2018-07-01
EP3296776B1 (en) 2020-07-29
EP3296776A1 (en) 2018-03-21
KR102412795B1 (ko) 2022-06-24
US10723101B2 (en) 2020-07-28
JP6732614B2 (ja) 2020-07-29
TWI729147B (zh) 202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4132B1 (ko) 복합 편광판 일체형 터치 감지 전극 및 이를 구비한 터치 스크린 패널
CN108509096B (zh) 高性能触摸传感器及其制造方法
KR101521681B1 (ko) 터치패널
US9423912B2 (en) Touch panel
KR20180030750A (ko) 광학 적층체 및 이를 구비한 터치 입력 장치
JP5362397B2 (ja) 透明面状体及び透明タッチスイッチ
US9535517B2 (en) Transparent adhesive unit and touch screen having the same
TW201510805A (zh) 觸控裝置
KR102047504B1 (ko)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TWI545594B (zh) 透明導電性膜
KR20140107113A (ko) 터치 패널
US10331254B2 (en) Touch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touch device
KR102077548B1 (ko) 투명 전극 패턴 적층체 및 이를 구비한 터치 스크린 패널
EP2808731A2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protective films
US10953638B2 (en) Plastic laminate structure
JP2017026945A (ja) 低反射型静電容量方式のタッチパネル機能付き表示装置
WO2019044155A1 (ja) 入力装置
KR102497657B1 (ko) 표시 장치
JP2019040407A (ja) 樹脂積層体およびこれを備えたタッチ入力装置
JP6626191B2 (ja) 静電容量式センサ
TWM581722U (zh) 觸控面板
JP2017026913A (ja) 低反射型静電容量方式のタッチパネル機能付き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