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8944A - 보냉 상자 - Google Patents
보냉 상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028944A KR20180028944A KR1020170113783A KR20170113783A KR20180028944A KR 20180028944 A KR20180028944 A KR 20180028944A KR 1020170113783 A KR1020170113783 A KR 1020170113783A KR 20170113783 A KR20170113783 A KR 20170113783A KR 20180028944 A KR20180028944 A KR 2018002894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rating
- lid member
- width
- operating portion
- paw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5/00—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 B65D45/02—Clamping or other pressure-applying devices for securing or retaining closure members for applying axial pressure to engage closure with sealing surface
- B65D45/16—Clips, hooks, or clamps which are removable, or which remain connected either with the closure or with the container when the container is open, e.g. C-shap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B65D43/163—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the container and the lid being made separate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26—Mechanisms for opening or closing, e.g. pedal-operat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02A40/963—Off-grid food refrig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작부의 변형ㆍ파손을 억제할 수 있는 보냉 상자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보냉 상자(100)는 상면이 개구된 상부 개구(10)를 갖는 상자 본체(1)와, 상부 개구(10)를 폐색하는 덮개 부재(2)와, 상자 본체(1)와 덮개 부재(2)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는 로크 기구(4)와, 로크 기구(4)에 의한 로크를 해제하는 조작부(5)를 구비하고, 덮개 부재(2)의 상면(2a)에는 조작부(5)를 수용하는 조작부용 오목부(20)가 형성되고, 조작부(5)는 조작부용 오목부(20)의 저면(25)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 관한 보냉 상자(100)는 상면이 개구된 상부 개구(10)를 갖는 상자 본체(1)와, 상부 개구(10)를 폐색하는 덮개 부재(2)와, 상자 본체(1)와 덮개 부재(2)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는 로크 기구(4)와, 로크 기구(4)에 의한 로크를 해제하는 조작부(5)를 구비하고, 덮개 부재(2)의 상면(2a)에는 조작부(5)를 수용하는 조작부용 오목부(20)가 형성되고, 조작부(5)는 조작부용 오목부(20)의 저면(25)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보냉 상자에 관한 것이다.
보냉 상자에는 보냉제와 함께 낚은 물고기, 마실 것 또는 먹을 것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 공간은 외기와 차단되어 있고, 외기에 의해 물고기 등의 수용물이 따뜻해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보냉 상자는 일반적으로, 상방을 향해 개구되는 상부 개구가 형성된 상자 본체와, 상자 본체의 상부 개구를 폐색하는 덮개 부재와, 폐쇄 상태의 덮개 부재가 회동하지 않도록(개방 동작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개폐 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개폐 장치는 폐쇄 상태의 덮개 부재가 개방 방향으로 회동하지 않도록 보유 지지(로크)하는 로크 기구와, 그 로크 기구의 로크를 해제하기 위한 조작부를 구비한다.
그런데, 하기 특허문헌의 조작부는 덮개 부재의 상면의 단부측에 배치되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조작부의 하면에 손가락을 걸고 조작부를 상방으로 끌어올리면, 조작부가 회동(기립)하고, 로크 기구의 로크가 해제된다.
또한, 덮개 부재의 상면측에 배치되는 조작부는 로크 기구의 로크 상태에 있어서, 덮개 부재에 상면보다도 상방으로 돌출되면, 걸려서 의도하지 않은 로크 해제가 행해진다. 따라서, 이것을 회피하기 위해, 조작 부재는 덮개 부재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오목한 조작부용 오목부 내에 수용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에 의하면, 조작부의 하면에 손가락을 삽입하기 위한 간극을 형성할 필요가 있었다. 이로 인해, 조작부용 오목부가 하방으로 크게 오목한 형상이 되어, 조작부용 오목부의 하방에 위치하는 덮개 부재의 두께가 얇아질 수밖에 없고, 이 결과, 조작부용 오목부의 하방에 있어서, 덮개 부재의 내부에 단열재를 충전할 수 없어, 단열성의 저하를 초래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이고, 단열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보냉 상자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면이 개구된 상자 본체와, 상기 개구를 폐색하기 위한 덮개 부재와, 상기 상자 본체와 상기 덮개 부재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는 로크 기구와, 상기 로크 기구에 의한 로크를 해제하는 조작부를 구비한 보냉 상자이며, 상기 덮개 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조작부를 수용하는 조작부용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용 오목부의 저면은 상기 덮개 부재의 상면과 평행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조작부용 오목부의 상기 저면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저면을 따라 가압됨으로써 상기 로크 기구에 의한 로크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에 의하면, 조작부의 이동 방향이 덮개 부재의 상면과 평행하기 때문, 조작부의 하면에 손가락을 삽입할 필요가 없고, 조작부용 오목부를 얕게 설계할 수 있다.
즉, 조작부용 오목부의 하방을 구성하는 덮개 부재의 두께를 크게 확보할 수 있음으로써, 조작부용 오목부의 하방을 구성하는 덮개 부재의 내부에 단열층을 배치하거나, 혹은 내부를 공동으로 하지 않고 덮개 부재를 구성하는 재료로 충전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단열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어 낚시에 있어서, 장치 등이 조작 부재의 하면에 들어가 조작 부재 또는 장치가 파손될 우려가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장치 등이 조작 부재의 하면에 들어갈 우려가 없기 때문에, 조작 부재 또는 장치의 파손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의 내부에는 단열층이 설치되고, 상기 단열층은 상기 조작부용 오목부의 하방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조작부용 오목부의 하방에, 바꾸어 말하면, 덮개 부재에 있어서 가장 박육이 되어 있는 부위에 단열층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 부재의 단열성이 각별히 향상된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의 외주단은 덮개 부재의 평면에서 볼 때, 상기 개구보다도 외측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덮개 부재의 덮개용 단열층이 개구의 전부를 덮기 때문에, 덮개 부재를 통해 수용물의 냉기가 빠져나가기 어려워져, 덮개 부재의 단열성이 비약적으로 향상된다.
또한, 상기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조작면을 갖고, 상기 조작부용 오목부는 상기 조작부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대향면을 갖고, 상기 한 쌍의 대향면의 폭은 상기 조작부의 폭보다도 크고, 또한 상기 조작부가 배치되는 폭이 넓은 영역과, 상기 조작면보다도 상기 슬라이드 방향의 한쪽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조작부의 폭보다도 작게 형성된 폭이 좁은 영역을 갖고, 상기 폭이 좁은 영역은 상기 조작면의 폭 방향 중앙부를 향해 폭이 좁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조작부용 오목부 내의 한 쌍의 대향면 사이, 바꿔 말하면 폭이 좁은 영역에 손가락을 삽입하고, 조작면에 손가락을 대고 조작면을 가압한다.
여기서, 폭이 좁은 영역은 조작면의 폭 방향 중앙부를 향해 좁게 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조작면의 폭 방향 중앙부에 손가락을 대고 조작부의 중앙부를 압박하도록 유도된다. 이로 인해, 조작부의 단부가 가압되어 조작부가 기울어지는 것, 즉 편측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열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보냉 상자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의 보냉 상자의 분해 사시도다.
도 2는 보냉 상자를 도 5의 II-II선으로 자른 경우의 단면도.
도 3은 보냉 상자를 도 5의 III-III선으로 자른 경우의 단면도.
도 4는 일부 분해한 덮개 부재를 상방에서 본 평면도.
도 5의 (a)는 커버 부재를 후방측(내측)에서 본 배면도이고, (b)는 가이드부와 조작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의 (a)는 손가락을 조작면 등에 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b)는 파지부를 파지한 상태도이고, (c)는 파지부(덮개 부재의 전방측)를 들어올린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의 (a)는 조작부를 좌측 전방측의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우측 후방측의 하방에서 조작부를 본 사시도이고, (c)는 조작부를 하방에서 본 저면도.
도 8은 변형예에 관한 로크 기구를 사시한 사시도.
도 2는 보냉 상자를 도 5의 II-II선으로 자른 경우의 단면도.
도 3은 보냉 상자를 도 5의 III-III선으로 자른 경우의 단면도.
도 4는 일부 분해한 덮개 부재를 상방에서 본 평면도.
도 5의 (a)는 커버 부재를 후방측(내측)에서 본 배면도이고, (b)는 가이드부와 조작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의 (a)는 손가락을 조작면 등에 댄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b)는 파지부를 파지한 상태도이고, (c)는 파지부(덮개 부재의 전방측)를 들어올린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의 (a)는 조작부를 좌측 전방측의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고, (b)는 우측 후방측의 하방에서 조작부를 본 사시도이고, (c)는 조작부를 하방에서 본 저면도.
도 8은 변형예에 관한 로크 기구를 사시한 사시도.
이어서, 실시 형태의 보냉 상자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보냉 상자)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 형태의 보냉 상자(100)는 전후 방향보다도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직육면체형의 상자이다.
보냉 상자(100)는 상부 개구(10)가 형성된 상자 본체(1)와, 상자 본체(1)의 상부 개구(10)를 폐색하는 덮개 부재(2)와, 개폐 장치(3)를 구비하고 있다.
개폐 장치(3)는 폐쇄 상태의 덮개 부재(2)가 의도하지 않고 개방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개폐 장치(3)는 덮개 부재(2)의 폐쇄 상태를 로크하는 로크 기구(4)(도 2 참조)와, 로크 기구(4)에 의한 로크를 해제하는 조작 플레이트(조작부)(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보냉 상자(100)는 전후 대칭의 구조가 되어 있다. 즉, 상자 본체(1)와 덮개 부재(2)가 전후 대칭으로 형성되고, 개폐 장치(3)가 전방측과 후방측의 양쪽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방측의 구성을 설명하고, 후방측의 구성 설명을 생략한다.
(상자 본체)
상자 본체(1)는 상부 개구(10)와 그 상부 개구(10)로부터 투입된 것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11)이 형성된 바닥이 있는 직사각형 통상의 수지제 용기이고, 저벽부, 전방 벽부, 후방 벽부, 우측 벽부 및 좌측 벽부를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벽부는 수지제의 외벽(12) 및 내벽(13)과, 그 외벽(12)과 내벽(13) 사이에 개재하는 단열재(예를 들어, 발포 우레탄, 발포스티롤 등)(14)를 구비하는 3층 구조이고, 단열성이 우수하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자 본체(1)의 전방 벽부의 상단부면에는 하방에 오목한 덮개 부재(2)의 일부가 상방으로부터 들어가는 하방 오목부(15)(도 2 참조)와, 그 하방 오목부(15) 내에 설치되어 서로 좌우로 이격되는 2개의 피결합부(16)가 설치되어 있다.
피결합부(16)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의 막대부(16a)를 구비하는 금속제 부품이고, 로크 기구(4)를 구성하고 있다.
(덮개 부재)
덮개 부재(2)는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덮개 부재(2)의 상면(2a)의 전단측에는 하방으로 오목한 내부에 조작 플레이트(5)를 수용하는 조작부용 오목부(20)와, 덮개 부재(2)의 전단부를 개방 방향(상방)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손가락에 의해 파지 가능한 파지부(2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덮개 부재(2)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 형상의 덮개 본체(30)와, 덮개 본체(30)의 전단측 및 후단측에 설치되는 커버 부재(4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처음에 덮개 본체(30)와 커버 부재(40)를 설명하고, 그 후에 조작부용 오목부(20)와 파지부(21)를 설명한다.
(덮개 본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 본체(30)는 수지제의 외벽(31) 및 내벽(32)과, 그 외벽(31)과 내벽(32) 사이에 개재하는 단열재(33)를 구비하는 3층 구조이고, 단열성이 우수하다. 또한, 특별히 도시하지 않지만, 단열재(33)는 상방에서 볼 때 직사각 형상을 나타내고, 상자 본체(1)의 상부 개구(10)와 상사형이 되어 있다.
또한, 단열재(33)의 외주단(33a)은 상부 개구(10)보다도 외측에 위치하고(도 2, 도 3의 보조선 N 참조), 단열재(33)가 상부 개구(10)의 전부를 덮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 본체(30)의 전방 단부면(34a)은 중앙부가 양단부보다도 후방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덮개 본체(30)의 전단부(34)와 커버 부재(40) 사이에, 후술하는 로크 플레이트(6)를 배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도 3 참조).
또한, 덮개 본체(30)의 전방 단부면(34a)의 좌우 양측에는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돌기(35)가 설치되어 있다.
그 외에, 덮개 본체(30)의 상면(36)은 좌우의 단부 에지 및 전후의 단부 에지보다도 중앙부가 상방으로 팽출되어 있다. 이로 인해, 덮개 본체(30)의 상면은 상방으로부터의 하중을 받아도 변형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커버 부재)
커버 부재(40)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덮개 부재(2)의 전단부를 구성하는 부품이다.
도 2,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부재(40)는 덮개 부재(2)의 상면(2a)의 일부를 구성하는 커버 상방 벽부(41)와, 커버 상방 벽부(41)의 전방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고 덮개 부재(2)의 전방측면을 구성하는 커버 전방 벽부(42)와, 커버 전방 벽부(42)의 좌우의 단부 에지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단이 커버 상방 벽부(41)에 연속하는 커버 측벽(43)(도 5 참조)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5의 (a)에서는 구성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 커버 부재(40)에 있어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에 도트를 칠하고 있다.
또한,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전방 벽부(42)의 후방면에는 커버 전방 벽부(42)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리브로서, 좌우의 커버 측벽(43)으로부터 좌우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수평 리브(46)와, 수평 리브(46)의 좌우 방향 내측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고 커버 상방 벽부(41)에 연속하는 상하 리브(47)와, 상하 리브(47)로부터 좌우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측 리브(48)가 형성되어 있다.
그 외에, 커버 전방 벽부(42)의 후방면에는 피결합부(16)의 막대부(16a)(이점 쇄선 참조)에 걸림 결합하여 막대부(16a)를 지지하는 복수의 막대 지지부(44)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부재(45)와, 축 부재(45)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로크 플레이트(6)와, 압박 부재(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로크 플레이트(6)와 압박 부재(7)는 로크 기구(4)의 구성이기 때문에 후술한다.
수평 리브(46)와 상하 리브(47)는 커버 부재(40)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수평 리브(46)와 상하 리브(47)와 커버 상방 벽부(41)에 의해, 직사각 형상의 직사각형 프레임부(47c)가 구성된다.
이 직사각형 프레임부(47c) 내에는 덮개 본체(30)의 돌기(35)가 감합되어 있고, 덮개 본체(30)와 커버 부재(40)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도 2 참조).
또한, 특별히 도시하지 않지만, 수평 리브(46)를 하방으로부터 관통하는 나사가 돌기(35)에 나사 결합하여, 직사각형 프레임부(47c) 내로부터 돌기(35)가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내측 리브(48)는 상하 리브(47)의 상하 방향의 중간부에 연속되어 있다. 이로 인해,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리브(48)와 상하 리브(47)와 커버 상방 벽부(41)에 의해 대략 C자상의 벽부를 구성하고 있다. 이하, 대략 C자상의 벽부를 가이드부(49)라고 칭한다. 또한, 가이드부(49)의 설명은 후술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막대 지지부(44)의 하단에는 절결부(44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절결부(44a)에 대하여 하방으로부터 피결합부(16)의 막대부(16a)가 들어가고, 막대부(16a)와 막대 지지부(44)가 걸림 결합하고 있다.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 부재(45)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 막대 지지부(44)를 관통하고, 양단부가 좌우의 커버 측벽(43)에 고정되어 있다.
(조작부용 오목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용 오목부(20)는 덮개 부재(2)의 상면(2a)보다도 하방에 조작 플레이트(5)를 배치하기 위한 것이다. 이것에 의하면, 덮개 부재(2)의 상면(2a) 상에, 다른 보냉 상자(100)를 적재해도 안정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용 오목부(20)는 덮개 본체(30)의 전단부(34)의 상면을 하방으로 오목하게 하여 형성되고, 저면(25)과, 후방측면(26)과, 좌측면(27)과, 우측면(28)을 구비하고 있다.
좌측면(27)과 우측면(28) 사이의 폭 L1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좁게 되어 있다.
이 폭 L1은 전후 방향의 중간을 경계로 하여, 전방측이 조작 플레이트(5)의 폭보다도 크고, 후방측이 조작 플레이트(5)의 폭보다도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폭 L1은 조작 플레이트(5)의 폭보다도 크게 형성된 폭이 넓은 영역과, 조작 플레이트(5)의 폭보다도 작게 형성된 폭이 좁은 영역을 갖고 있다.
이로 인해, 조작부용 오목부(20)의 전방측에 조작 플레이트(5)를 배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조작부용 오목부(20)의 전방측에 배치된 조작 플레이트(5)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없고, 조작 플레이트(5)의 후단부가 조작부용 오목부(20)의 후방측면(26)에 맞닿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결과, 후방측면(26)과 조작 플레이트(5) 사이에는, 상시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간극 S2가 형성된다.
또한, 좌측면(27)과 우측면(28)은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되는 「한 쌍의 대향면」에 상당하는 구성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면(25)은 커버 부재(40)의 커버 상방 벽부(41)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있고, 조작부용 오목부(20)의 저면(25)과 커버 부재(40)의 커버 상방 벽부(41) 사이에는 개구부 S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덮개 부재(2)에 있어서, 조작부용 오목부(20)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단열재(33)가 충전되어 있다.
(파지부)
파지부(21)는 조작부용 오목부(20)의 저면(25)보다도 상방으로 돌출되고, 단면에서 볼 때 볼록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로 인해, 손가락으로 전후 방향으로부터 끼움 지지함으로써 파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파지부(21)는 전방을 향하는 전방 파지면(22)과, 조작부용 오목부(20) 내에 있어서 전방 파지면(22)과 상반되는 방향(후방)을 향하는 후방 파지면(23)과, 상방을 향하는 상방 파지면(24)을 구비하고 있다.
후방 파지면(23)은 조작부용 오목부(20) 내에 수용된 조작 플레이트(5)의 후방 단부면[조작면(53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전방 파지면(22)은 커버 전방 벽부(42)의 중앙면(42a)[덮개 부재(2)의 전방 단부면의 중앙]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1,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전방 벽부(42)의 중앙면(42a)은 커버 전방 벽부(42)의 좌측 단부면(42b)이나 우측 단부면(42c)보다도 내측으로 오목하게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보냉 상자(100)의 전방측에 다른 보냉 상자(100)가 간극 없이 배열되고, 보냉 상자(100)의 전방측면과 다른 보냉 상자(100) 사이에 손가락을 삽입하는 간극이 없는 경우라도, 중앙면(42a)과 다른 보냉 상자(100)의 측면 사이에 스페이스가 형성된다.
따라서, 그 스페이스에 손가락을 상방으로부터 삽입하고, 전방 파지면(22)[커버 전방 벽부(42)의 중앙면(42a)]에 손가락을 대고, 파지부(21)를 파지할 수 있다.
상방 파지면(24)은 상방으로부터 손바닥을 대기 위한 면이다(도 6 참조). 상방 파지면(24)은 커버 부재(40)의 커버 상방 벽부(4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상방 파지면(24)에 의하면, 손과 파지부(21)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다.
이어서, 개폐 장치(3)를 구성하는 로크 기구(4)와 조작 플레이트(5)를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기구(4)는 상기한 피결합부(16)(도 1, 도 2 참조)와, 로크 플레이트(6)와, 압박 부재(7)를 구비하고 있다.
(로크 플레이트)
로크 플레이트(6)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지제의 판상 부재이다.
로크 플레이트(6)는 상하 방향 중앙부가 축 부재(45)에 의해 관통되고, 축 부재(45) 주위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로크 플레이트(6)는 좌우 방향 중앙부에 위치하고 축 부재(45)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피가압부(60)와, 좌우 방향 양측에 위치하고 축 부재(45)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갈고리부(70)와, 피가압부(60)와 갈고리부(70)를 연결하는 연결부(8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로크 플레이트(6)는 피가압부(60)와 갈고리부(70)와 연결부(80)가 수지 성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2개의 갈고리부(70)에 있어서, 축 부재(45)의 우측 단측에 배치되어 있는 갈고리부(70)를 제1 갈고리부(75), 축 부재(45)의 좌측 단측에 배치되는 갈고리부(70)를 제2 갈고리부(76)라고 칭한다.
또한, 압박 부재(7)는 일단이 수평 리브(46)에 걸림 지지하고, 타단이 갈고리부(70)의 후방면에 걸림 지지하고, 커버 전방 벽부(42)의 후방면을 향해[보냉 상자(100)의 전방을 향해] 갈고리부(70)를 상시 압박하고 있다(도 2의 화살표 참조). 따라서, 갈고리부(70)와 일체적인 피가압부(60)는 보냉 상자(100)의 후방으로 이동(회동)하도록 압박되어 있다(도 3의 화살표 참조).
피가압부(60)는 좌우의 상하 리브(47) 사이에 위치하고, 조작부(5)의 후술하는 가압면(52a)에 가압되는 부위이다.
피가압부(60)는 우측 부분을 구성하는 제1 피가압부(61)와, 좌측 부분을 구성하는 제2 피가압부(62)와, 피가압부(60) 중 중앙 부분을 구성하는 중간 피가압부(6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5에 있어서, 제1 피가압부(61)와 제2 피가압부(62)와 중간 피가압부(63)의 영역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2점 쇄선 M을 긋고 있다.
피가압부(60)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1 피가압부(61)와 제1 갈고리부(75)의 좌우 방향의 거리(도 5의 L4 참조)가 비교적 가깝게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피가압부(62)와 제2 갈고리부(76)의 좌우 방향의 거리가 비교적 가깝게 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가압부(60)의 상단(60a)은 커버 부재(40)의 커버 상방 벽부(41)의 근방까지 연장되고, 조작부용 오목부의 저면(25)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상단(60a)은 단면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갈고리부(70)는 축 부재(45)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판부(72)와, 판부(72)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기(73)를 구비하고 있다.
판부(72)는 압박 부재(7)에 의해 전방으로 압박되어 있으므로, 전방면이 피결합부(16)의 막대부(16a)에 맞닿아, 로크 플레이트(6)가 회전 방지되고 있다.
돌기(73)는 막대부(16a)의 하면에 맞닿아 있다. 이로 인해, 덮개 부재(2)의 전단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힘을 가해도, 돌기(73)가 막대부(16a)에 걸림 지되고, 덮개 부재(2)의 전단측이 상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규제(로크)된다. 이에 의해, 덮개 부재(2)의 폐쇄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막대부(16a)의 주위를 막대 지지부(44)와 갈고리부(70)로 둘러싸고 있으므로, 덮개 부재(2)는 막대부(16a)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갈고리부(70)의 판부(72)가 막대부(16a)에 맞닿음으로써 로크 플레이트(6)가 회전 방지하도록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돌기(73)의 선단이 커버 전방 벽부(42)의 후방면에 맞닿음으로써, 로크 플레이트(6)가 회전 방지하도록 해도 된다.
(조작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플레이트(5)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 형상을 나타내고,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부품이다. 또한, 조작 플레이트(5)에는 전방 단부면인 가압면(52a)과, 후방 단부면인 조작면(53a)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플레이트(5)는 조작부용 오목부(20)의 전방측에 수용되고, 조작부용 오목부(20)의 저면(25) 상에 적재되어 있다.
조작 플레이트(5)의 후방측의 코너부(55, 55)는 조작부용 오목부(20)의 좌측면(27), 우측면(28)에 맞닿아[도 4에 있어서 후방측에 배치된 조작 플레이트(5)를 참조],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조작 플레이트(5)의 조작면(53a)(후방 단부면)은 조작부용 오목부(20) 내에 있어서, 후방을 향하고 있고, 파지부(21)의 후방 파지면(23)을 구성하고 있다.
조작 플레이트(5)의 전단부는 조작부용 오목부(20)와 커버 부재(40) 사이에 형성된 개구부 S1에 삽입되어 있다.
조작 플레이트(5)의 전단부는 좌우의 상하 리브(47)(도 5 참조) 사이에 배치되고, 조작 플레이트(5)의 가압면(52a)이 로크 플레이트(6)의 피가압부(60)에 맞닿아 있다.
따라서, 조작 플레이트(5)에 대하여, 전방을 향하는 하중이고, 또한 압박 부재(7)의 압박력보다도 큰 하중이 작용하면, 피가압부(60)를 가압하면서 조작 플레이트(5)가 전방으로 슬라이드(수평 이동)한다. 또한, 조작 플레이트(5)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어서, 덮개 부재(2)의 개방 조작 방법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덮개 부재(2)를 개방하는 방법은 파지부(21)를 파지하는 공정과, 파지부(21)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지부(21)를 파지하는 공정은 먼저, 파지부(21)의 상방에 손을 배치하고, 손바닥을 하방을 향하게 한다.
이어서, 전방 파지면(22)[커버 부재(40)의 중앙면(42a)]에 엄지 손가락을 대고, 상방 파지면(24)[커버 부재(40)의 커버 상방 벽부(41)]에 손바닥을 댄다.
또한, 엄지 손가락 이외의 손가락을, 조작부용 오목부(20)의 후방측면(26)과 조작 플레이트(5)의 조작면(53a)의 간극 S2에 삽입하고, 후방 파지면(23)[조작면(53a)]에 댄다.
또한, 후방측면(26)과 조작면(53a)의 간극 S2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폭 L1은 조작 플레이트(5)보다도 폭이 좁게 형성되어(도 4 참조), 조작면(53a)의 좌우의 단부에 손가락을 대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조작면(53a)의 중앙부에 손가락을 대도록 유도된다.
이어서, 엄지 손가락과 그 이외의 4개의 손가락이 근접하도록, 각 손가락을 구부려, 파지부(21)를 파지한다.
이에 의하면,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면(53a)이 가압되어, 조작 플레이트(5)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피가압부(60)가 회동한다. 그렇게 하면, 좌우의 갈고리부(70)와 피결합부(16)의 막대부(16a)(도 2 참조)의 걸림 결합이 해제되어, 덮개 부재(2)의 전방측이 상방으로 이동(회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피가압부(60)는 커버 전방 벽부(42)의 후방면에 맞닿으면, 로크 플레이트(6)가 회전 방지된다. 따라서, 조작 플레이트(5)는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되어, 파지부(21)를 전후 방향으로부터 끼움 지지(파지)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가압면(52a)이 기울어져 피가압부(60)의 좌측 단부만이 가압되면(이하, 「편측 접촉」이라고 함), 좌측의 갈고리부(70)는 충분히 회동하지만, 우측의 갈고리부(70)는 회동량이 적어 피결합부(16)와의 걸림 결합이 해제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여기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조작면(53a)의 중앙부에 손가락을 대도록, 바꾸어 말하면, 조작면(53a)의 중앙부를 압박하도록 유도되어 있으므로, 편측 접촉할 가능성이 적다. 따라서, 좌우 양측의 갈고리부(70)와 피결합부(16)의 걸림 결합은 확실하게 해제된다.
이어서, 파지부(21)를 파지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손을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하면, 도 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 부재(2)의 전단측이 상방으로 들어 올려진다. 그리고, 계속해서 손을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덮개 부재(2)는 후방측의 개폐 장치(3)에 있어서의 피결합부(16)의 막대부(16a)를 중심으로 회동하고, 상자 본체(1)의 상부 개구(10)가 개방된다.
이상이 덮개 부재(2)의 개방 조작 방법이다. 또한, 전방측의 파지부(21)와 후방측의 파지부(21)에 대하여, 상기 조작을 동시에 행하면, 전후 양측에 설치된 로크 기구(4)의 로크가 해제되어, 상자 본체(1)로부터 덮개 부재(2)를 떼어낼 수 있다.
이어서, 조작 플레이트(5)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플레이트(5)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 형상의 본체부(50)와, 본체부(50)의 하면의 중앙 근방에서 전후로 연장되는 조작부용 리브(51)와, 본체부(50)의 전단부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고, 전방면이 가압면(52a)을 구성하는 전방벽(52)과, 본체부(50)의 후단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고, 후방면이 조작면(53a)을 구성하는 후방벽(53)과, 후방벽(53)의 상단부면으로부터 비스듬히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54)와, 본체부(50)의 후방측의 코너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코너부(55)와, 본체부(50)에 좌우의 단부 에지를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측벽(56)을 구비하고 있다.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50)의 상면의 전방 에지측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상방 미끄럼 이동부(50a)가 형성되어 있다.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용 리브(51)의 하면에는 조작부용 리브(51)보다도 폭이 좁게 형성된 하방 미끄럼 이동부(51a)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 미끄럼 이동부(50a)는 커버 상방 벽부(41)의 하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맞닿아 있다. 또한, 하방 미끄럼 이동부(51a)는 조작부용 오목부(20)의 저면(25)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맞닿아 있다. 그리고, 이 상방 미끄럼 이동부(50a)와 하방 미끄럼 이동부(51a)에 의하면, 조작 플레이트(5)의 상하 이동이 억제된다. 또한, 본체부(50)의 상면 및 조작부용 리브(51)의 하면이 맞닿는 경우보다도 접촉 면적을 줄일 수 있고, 조작 플레이트(5)의 슬라이드를 매끄럽게 할 수 있다.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벽(52)은 좌우 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고, 가압면(52a)이 평탄한 면이 되어 있다.
후방벽(53)은 만곡되어 있고 중앙부가 전방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또한, 연장부(54)도 후방벽(53)에 대응하도록 만곡되어 있고 중앙부가 전방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부용 오목부(20)의 후방측면(26)과 조작 플레이트(5)의 간극 S2는 좌우측보다도 중앙부가 가장 커지고, 중앙부 근처에 손가락을 삽입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 결과, 조작면(53a)의 중앙부에 손가락을 대는 확률이 증가하여, 조작 플레이트(5)에 의한 피가압부(60)로의 편측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부(54)는 조작면(53a)의 상단 에지로부터 상측 후방으로 비스듬히 연장되어 있다.
이 연장부에 의하면, 도 6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지부(21)를 파지하여 덮개 부재(2)의 개방 조작을 행하고 있는 경우, 손가락으로부터 조작면(53a)이 미끄러 떨어졌다고 해도, 손가락에 연장부(54)가 걸린다. 따라서, 덮개 부재(2)의 개방 조작을 행할 때의 조작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덮개 부재(2)가 폐쇄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가 잘못하여 연장부(54)에 손가락을 걸어 들어올린다는 조작을 행해도, 연장부(54)가 경사져 있으므로, 손가락이 빠지기 쉽게 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 플레이트(5)에 필요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여 파손된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측벽(56)은 전방벽(52) 및 후방벽(53)보다도 상하 방향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측벽(56)의 상면에는 상방 미끄럼 이동부(50a)가 형성되고, 측벽(56)의 하면에는 하방 미끄럼 이동부(51a)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의 측벽(56)은 커버 부재(40)에 형성된 가이드부(49) 내에 삽입되어 있다.
측벽(56)의 상방 미끄럼 이동부(50a)는 가이드부(49)의 상벽[커버 상방 벽부(41)]의 하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맞닿아 있다. 측벽(56)의 하방 미끄럼 이동부(51a)는 가이드부(49)의 하벽[내측 리브(48)]의 상면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맞닿아 있다.
또한, 측벽(56)의 외면(56a)에는 상하 리브(47)로부터 가이드부(49)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가로 미끄럼 이동부(49a)가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맞닿아 있다.
또한, 가로 미끄럼 이동부(49a)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시 측벽(56)의 외면(56a)에 맞닿아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조작 플레이트(5)의 측벽(56)과 가이드부(49)의 접촉 면적을 줄일 수 있고, 조작 플레이트(5)의 슬라이드를 매끄럽게 할 수 있다.
또한, 가로 미끄럼 이동부(49a)에 의하면, 조작 플레이트(5)의 가압면(52a)을 피가압부(60)와 평행하게 보유 지지할 수 있고, 조작 플레이트(5)의 편측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좌우 양측의 갈고리부(70)와 피결합부(16)의 걸림 결합이 확실하게 해제된다.
이상, 실시 형태에 따르면, 덮개 부재(2)의 측면[커버 부재(40)의 중앙면(42a)]에 손가락을 대고 덮개 부재(2)의 측면을 파지하고 있기 때문에, 덮개 부재(2)를 들어올릴 때에 조작 플레이트(5)에 작용하는 하중이 저감하여, 조작 플레이트(5)의 변형ㆍ파손이 억제된다.
또한, 조작면(53a)이 후방 파지면(23)을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파지부(21)를 파지함으로써, 로크 기구(4)의 로크가 해제된다. 따라서, 파지부(21)를 파지하는 동작에 로크 기구(4)의 로크를 해제하는 동작이 포함되기 때문에, 조작성이 양호하고 편리성이 높다.
또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손바닥을 댈 수 있는 상방 파지면(24)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확실하게 파지할 수 있어, 덮개 부재(2)의 개방 조작이 안정된다.
또한, 상방 파지면(24)은 덮개 부재(2)의 상면(2a)의 일부인 커버 부재(40)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덮개 부재(2)의 제조의 복잡화를 초래할 우려가 없다.
또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조작 플레이트(5)가 조작부용 오목부(20)의 저면을 따라 이동한다. 바꾸어 말하면, 종래 기술과 같이, 조작부의 하면에 손가락을 걸어 들어 올리도록 되어 있지 않다.
이로 인해, 조작 플레이트(5)의 하방에 손가락을 삽입하기 위한 스페이스를 형성할 필요가 없고, 조작부용 오목부(20)를 얕게 설계할 수 있는 한편, 조작부용 오목부(20)의 하방에 위치하는 덮개 부재(2)의 두께(도 3의 L2 참조)를 크게 설계할 수 있다.
이 결과,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조작부용 오목부(20)의 저벽을 구성하는 덮개 부재(2)의 내부에 단열재(33)를 설치하거나, 혹은 외벽(31)과 내벽(32) 사이를 공동으로 하지 않고 외벽(31), 내벽(32)을 형성하는, 예를 들어 수지 재료로 충전하여 중실로 형성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해져, 단열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덮개 부재(2)에 있어서 조작부용 오목부(20)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은 덮개 부재(2)에 있어서 가장 박육이 되어 있는 부분이다.
이로 인해,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조작부용 오목부(20)의 저벽을 구성하는 덮개 부재(2)의 내부에 단열재(33)를 설치하면, 덮개 부재(2)의 단열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조작부용 오목부(20)의 저벽을 구성하는 덮개 부재(2)의 내부에 단열재(33)를 설치함으로써, 단열재(33)가 상부 개구(10)의 전체를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수용 공간(11) 내의 냉기가 덮개 부재(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기 어렵게 되어 있고, 덮개 부재(2)의 단열성이 비약적으로 높다.
이상,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피가압부(60)와 갈고리부(70)가 일체로 형성된 로크 플레이트(6)를 사용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가압부(60A)가 형성된 제1 회동 부재(110)와, 갈고리부(70A)가 형성된 제2 회동 부재(120)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제1 회동 부재(110)는 제1 축(13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하로 연장되는 한 쌍의 연결부(111, 111)와, 연결부(111, 111)의 상방에 고정된 피가압부(60A)와, 연결부(111, 111)의 하방에 고정된 제1 막대(112)를 구비한 부품이다.
또한, 제2 회동 부재(120)는 제2 축(13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판부(122)와, 제2 축(13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상판부(122)와 연결하는 갈고리부(70A, 70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판부(122)는 제1 막대(112)의 후방에 위치하고, 제1 막대(112)에 맞닿아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도시하지 않은 조작부가 전방으로 이동하면(화살표 A 참조), 피가압부(60A)가 가압되어 제1 회동 부재(110)가 회동한다(화살표 B 참조). 또한, 제1 막대(112)가 상판부(122)를 가압하기 위해, 제2 회동 부재(120)가 회동하고(화살표 C 참조), 갈고리부(70A)는 도시하지 않은 피결합부와의 걸림 결합이 해제된다.
또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조작 플레이트(5)가 연장부(54)를 구비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연장부(54)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또한, 실시 형태의 조작면(53a)은 중앙부가 가압 방향으로 오목하게 만곡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평면이어도 된다.
또한, 파지면(조작면 및 덮개 부재의 측면)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홈이나, 복수의 돌기를 형성해도 된다.
이것에 의하면, 손가락이 조작면 등으로부터 미끄러지기 어려워진다. 또한, 밤 등 시계가 나쁜 경우라도, 손가락을 대고 홈부 등의 유무를 인식함으로써, 파지면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100 : 보냉 상자
1 : 상자 본체
2 : 덮개 부재
3 : 개폐 장치
4 : 로크 기구
5 : 조작 플레이트(조작부)
6, 6B : 로크 플레이트
10 : 상부 개구
11 : 수용 공간
16 : 피결합부
20 : 조작부용 오목부
21 : 파지부
22 : 전방 파지면
23 : 후방 파지면
30 : 덮개 본체
40 : 커버 부재
41 : 커버 상방 벽부
42 : 커버 전방 벽부
42a : 중앙면(일단측 측면)
50 : 본체부
52a : 가압면
53a, 153a : 조작면
54 : 연장부
56 : 측벽
60, 60A, 160 : 피가압부
70, 70A : 갈고리부
105 : 조작부
L1 : 폭
S1 : 개구부
S2 : 간극
1 : 상자 본체
2 : 덮개 부재
3 : 개폐 장치
4 : 로크 기구
5 : 조작 플레이트(조작부)
6, 6B : 로크 플레이트
10 : 상부 개구
11 : 수용 공간
16 : 피결합부
20 : 조작부용 오목부
21 : 파지부
22 : 전방 파지면
23 : 후방 파지면
30 : 덮개 본체
40 : 커버 부재
41 : 커버 상방 벽부
42 : 커버 전방 벽부
42a : 중앙면(일단측 측면)
50 : 본체부
52a : 가압면
53a, 153a : 조작면
54 : 연장부
56 : 측벽
60, 60A, 160 : 피가압부
70, 70A : 갈고리부
105 : 조작부
L1 : 폭
S1 : 개구부
S2 : 간극
Claims (7)
- 상면이 개구된 상자 본체와,
상기 개구를 폐색하기 위한 덮개 부재와,
상기 상자 본체와 상기 덮개 부재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는 로크 기구와,
상기 로크 기구에 의한 로크를 해제하는 조작부를 구비한 보냉 상자이며,
상기 덮개 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조작부를 수용하는 조작부용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용 오목부의 저면은 상기 덮개 부재의 상면과 평행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조작부용 오목부의 상기 저면을 따라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저면을 따라 가압됨으로써 상기 로크 기구에 의한 로크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상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부재의 내부에는 단열층이 설치되고,
상기 단열층은 상기 조작부용 오목부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상자.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의 외주단은 상기 덮개 부재의 평면에서 볼 때, 상기 개구의 외측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상자.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조작면을 갖고,
상기 조작부용 오목부는 상기 조작부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대향면을 갖고,
상기 한 쌍의 대향면의 폭은 상기 조작부의 폭보다도 크고, 또한 상기 조작부가 배치되는 폭이 넓은 영역과, 상기 조작면보다도 상기 슬라이드 방향의 한쪽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조작부의 폭보다도 작게 형성된 폭이 좁은 영역을 갖고,
상기 폭이 좁은 영역은 상기 조작면의 폭 방향 중앙부를 향해 폭이 좁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상자.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상자 본체에 설치된 피결합부와 상기 덮개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갈고리부로 구성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갈고리부를 회동시키기 위한 가압면을 갖고,
상기 덮개 부재에는 상기 조작부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를 갖고,
상기 가압면은 상기 갈고리부의 회동축 방향으로 폭 넓게 형성되고,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가압면에 가압되는 피가압부를 구비하고,
상기 갈고리부는 상기 회동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적어도 제1 갈고리부 및 제2 갈고리부를 갖고,
상기 피가압부는,
상기 제1 갈고리부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가압면의 일단측에 가압되는 제1 피가압부와,
상기 제2 갈고리부에 연결되고, 또한 상기 가압면의 타단측에 가압되는 제2 피가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상자.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회동축 방향의 양측을 향하는 양측면을 갖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양측면을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맞닿게 하여 가이드하는 미끄럼 이동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상자.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가압부는 상기 제1 피가압부와 상기 제2 피가압부 사이에 연장되고, 상기 가압면의 중앙부에 가압되는 중간 피가압부를 갖고,
상기 중간 피가압부의 각 단부는 상기 제1 피가압부와 상기 제2 피가압부에 연속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냉 상자의 개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6177096A JP6668204B2 (ja) | 2016-09-09 | 2016-09-09 | 保冷箱 |
JP2016177098A JP6654989B2 (ja) | 2016-09-09 | 2016-09-09 | 保冷箱の開閉装置 |
JPJP-P-2016-177098 | 2016-09-09 | ||
JPJP-P-2016-177096 | 2016-09-0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8944A true KR20180028944A (ko) | 2018-03-19 |
KR102408669B1 KR102408669B1 (ko) | 2022-06-15 |
Family
ID=61576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13783A KR102408669B1 (ko) | 2016-09-09 | 2017-09-06 | 보냉 상자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2408669B1 (ko) |
CN (1) | CN107804582B (ko) |
TW (1) | TWI659909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266493B2 (ja) * | 2019-08-13 | 2023-04-28 | 株式会社シマノ | クーラーボックス |
JP7266494B2 (ja) * | 2019-08-13 | 2023-04-28 | 株式会社シマノ | クーラーボックス |
JP7330062B2 (ja) * | 2019-10-24 | 2023-08-21 | 株式会社シマノ | クーラーボックス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06024A (ja) * | 1994-01-21 | 1995-08-08 | Gifu Plast Ind Co Ltd | 整理ボックスにおける蓋止め構造 |
JP2007331839A (ja) * | 2006-05-15 | 2007-12-27 | Shimano Inc | 保冷箱の開閉装置 |
JP2013193773A (ja) * | 2012-03-21 | 2013-09-30 | Tiger Vacuum Bottle Co Ltd | 栓体および飲料容器 |
CN104828375A (zh) * | 2014-02-10 | 2015-08-12 | 上海宏晨家庭用品有限公司 | 安全防误开容器盖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2434765A1 (de) * | 1974-07-19 | 1976-02-05 | Schaefer Gmbh Fritz | Verschlussvorrichtung fuer die befestigung eines deckels an kastenfoermigen behaeltern |
US5193706B1 (en) * | 1990-01-26 | 1995-03-28 | Rubbermaid Inc | Tool box |
JPH09278050A (ja) * | 1996-04-10 | 1997-10-28 | Shimano Inc | 開閉用ヒンジ構造 |
JPH10273158A (ja) * | 1997-03-28 | 1998-10-13 | Ryobi Ltd | 容 器 |
JP3581004B2 (ja) * | 1998-02-16 | 2004-10-27 | 株式会社アイホー | 物品搬送コンテナ |
JP2006056581A (ja) * | 2004-08-23 | 2006-03-02 | Avanti:Kk | 両開き容器 |
CN200988216Y (zh) * | 2006-12-30 | 2007-12-12 | 金春斌 | 开关工具盒 |
JP2010173662A (ja) * | 2009-01-27 | 2010-08-12 | Globeride Inc | 保冷箱 |
CA2977791C (en) * | 2015-02-27 | 2018-02-20 | Sonoco Development, Inc. | Container with pivoting latch |
-
2017
- 2017-06-28 CN CN201710506305.3A patent/CN107804582B/zh active Active
- 2017-06-29 TW TW106121726A patent/TWI659909B/zh active
- 2017-09-06 KR KR1020170113783A patent/KR10240866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206024A (ja) * | 1994-01-21 | 1995-08-08 | Gifu Plast Ind Co Ltd | 整理ボックスにおける蓋止め構造 |
JP2007331839A (ja) * | 2006-05-15 | 2007-12-27 | Shimano Inc | 保冷箱の開閉装置 |
JP4963258B2 (ja) | 2006-05-15 | 2012-06-27 | 株式会社シマノ | 保冷箱の開閉装置 |
JP2013193773A (ja) * | 2012-03-21 | 2013-09-30 | Tiger Vacuum Bottle Co Ltd | 栓体および飲料容器 |
CN104828375A (zh) * | 2014-02-10 | 2015-08-12 | 上海宏晨家庭用品有限公司 | 安全防误开容器盖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7804582B (zh) | 2020-03-31 |
TWI659909B (zh) | 2019-05-21 |
KR102408669B1 (ko) | 2022-06-15 |
TW201811630A (zh) | 2018-04-01 |
CN107804582A (zh) | 2018-03-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804580B (zh) | 保冷箱 | |
KR20180028944A (ko) | 보냉 상자 | |
JP5433653B2 (ja) | コネクタ | |
JP3164912U (ja) | 容器 | |
TW201628937A (zh) | 收納容器 | |
US20230059576A1 (en) | Dripping container cover | |
KR102072724B1 (ko) | 냉장고 | |
JP6654989B2 (ja) | 保冷箱の開閉装置 | |
JP6697988B2 (ja) | 保冷箱 | |
JP6668204B2 (ja) | 保冷箱 | |
JP4707429B2 (ja) | スライド式コンパクト容器 | |
CN112389854B (zh) | 冷藏箱 | |
CN212636928U (zh) | 一种带有开盖结构的便携式打印机 | |
CN213677743U (zh) | 收纳箱 | |
CN217049652U (zh) | 一种靶片盒 | |
CN112389855A (zh) | 冷藏箱 | |
JP4613195B2 (ja) | 収納ケース | |
KR20210051913A (ko) | 차량용 컵홀더 | |
JP4037396B2 (ja) | 液体貯留ポット | |
JP4789537B2 (ja) | 蓋体を具えた電気機器 | |
CN111845109A (zh) | 一种带有开盖结构的便携式打印机 | |
JP4767564B2 (ja) | スライド式コンパクト容器 | |
JP3878127B2 (ja) | 電気湯沸かし器等の蓋 | |
JP2008067957A (ja) | スライド蓋付きケース | |
JP2017113459A (ja) | 蓋付き容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