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8656A - 천장 콘크리트벽에 매립 설치되는 장착구조물 유니트 - Google Patents

천장 콘크리트벽에 매립 설치되는 장착구조물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8656A
KR20180028656A KR1020160116243A KR20160116243A KR20180028656A KR 20180028656 A KR20180028656 A KR 20180028656A KR 1020160116243 A KR1020160116243 A KR 1020160116243A KR 20160116243 A KR20160116243 A KR 20160116243A KR 20180028656 A KR20180028656 A KR 20180028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structure
concrete wall
ring
hook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6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재현
배근우
Original Assignee
한독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독건설(주) filed Critical 한독건설(주)
Priority to KR1020160116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8656A/ko
Publication of KR20180028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6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 E04B9/241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 콘크리트벽에 설치되는 장착구조물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상기 콘크리트벽의 벽면으로부터 함몰된 장착수용홈 내에 수용되며 하방으로 개방된 접근개구를 갖는 용기형상의 수용부와, 상기 접근개구 둘레에 벽면방향을 따라 형성된 고정플랜지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수용부 내에 U자형상으로 노출되며 외부고리가 안착될 위치설정용 절곡홈을 갖는 걸이부와, 상기 걸이부의 양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콘크리트벽의 내부에서 상기 콘크리트벽 내의 철근과 체결되는 파형상부를 갖는 앵커부를 갖는 걸이바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천장 콘크리트벽에 매립 설치되는 장착구조물 유니트{MOUNTING STRUCTURE BUILT IN CEILING CONCRETE-WALL}
본 발명은 천장 콘트리트벽에 매립 설치되는 장착구조물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건물 천장의 콘크리트벽을 이용하여 운동기구, 어린이용 그네, 놀이기구 등 다양한 구조물이 사용자의 필요성에 따라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구조물은 천장의 콘크리트벽에 별도의 앵커볼트를 고정설치하고 설치된 앵커볼트에 체결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콘크리트벽에 별도의 앵커볼트를 설치하는 경우, 콘크리트벽을 타공하여야 하는 작업의 불편함, 작업에 따른 콘크리트 분진의 낙하 및 비산에 따른 건강 및 환경상의 문제, 콘크리트벽의 타공에 따른 천장 벽의 미관 악화, 및 설치된 앵커볼트의 견고함 문제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천장 콘크리트벽에 매립 설치되어 견고하게 지지되며 다양한 종류의 장착물을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장착구조물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은 상기 콘크리트벽의 벽면으로부터 함몰된 장착수용홈 내에 수용되며 하방으로 개방된 접근개구를 갖는 용기형상의 수용부와, 상기 접근개구 둘레에 벽면방향을 따라 형성된 고정플랜지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수용부 내에 U자형상으로 노출되며 외부고리가 안착될 위치설정용 절곡홈을 갖는 걸이부와, 상기 걸이부의 양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콘크리트벽의 내부에서 상기 콘크리트벽 내의 철근과 체결되는 파형상부를 갖는 앵커부를 갖는 걸이바아를 포함하는 것을 통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이부의 양측 기둥부에 힌지결합되어 수평방향의 사용위치와 수직방향의 절첩위치간을 회동가능한 철봉손잡이를 더 포함하면, 사용자에게 추가적인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결합설치되며,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관 형상의 연장지지관과, 상기 걸이부에 결합되어 상기 연장지지관의 내부를 따라 하방 연장된 연장고리유니트와, 상기 연장지지관 내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연장고리유니트의 요동을 방지하는 요동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면, 별도의 천장 마감용 구조물을 사용하는 건물에도 효율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연장고리유니트는 일단의 고리부와 타단의 숫나사부를 갖는 한 쌍의 고리부재와 상기 양 고리부재의 숫나사부들에 각각 나사체결되는 암나사부들을 갖는 연결관을 가지며, 상기 숫나사부들은 상호 상이한 나사방향을 가지는 경우 연장고리유니트의 길이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연장지지관의 하부 개방면을 개폐하는 탈착식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경우, 장착구조물 유니트의 미사용시 미관이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콘크리트벽에 매립 설치되는 장착구조물 유니트는 다양한 종류의 장착물을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장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착구조물 유니트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장착구조물 유니트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장착구조물 유니트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착구조물 유니트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착구조물 유니트(100)는 천장의 콘크리트벽(10)에 매립 설치되는 하우징(110) 및 일부는 천장의 콘크리트벽(10)에 매립고정되고 나머지 일부는 하우징(110)의 수용부(111) 내로 돌출설치되는 걸이바아(120)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착구조물 유니트(100)는 천장 콘트리트벽(10)이 거주공간에 바로 노출되는 경우 천장 콘크리트벽(10)에 다앙한 구조의 장착물을 장착하는데 사용된다.
하우징(110)은 콘크리트벽(10)의 벽면(11)으로부터 함몰된 장착수용홈(12) 내에 수용되어 하방으로 개방된 접근개구(111)를 갖는 수용부(112)와, 접근개구(111)의 둘레에 벽면방향을 따라 형성된 고정플랜지부(114)를 갖는다. 하우징(110)은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이다. 하우징(110)의 하단부의 내면에는 나사산(116)이 형성된다. 하우징(110)의 형상은 원통형상 뿐만 아니라 직육면체, 정육면체 등 하부가 개방되고, 콘크리트벽의 벽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일정한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의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걸이바아(120)는 U자 형상의 걸이부(121), 걸이부(121)의 양단부로부터 절곡형성되어 콘크리트벽의 내부에 고정설치되는 앵커부(125), 및 걸이부(12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철봉손잡이(127)를 갖는다.
걸이부(121)는 수용부(112) 내에 U자 형상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걸이부(121)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기둥부(122)와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연결부(123)를 갖는다. 연결부(123)에는 하방으로 절곡형성되어 외부고리(미도시)가 안착될 위치설정용 절곡홈(124)이 형성된다. 외부고리(미도시)는 절곡홈(124)에 안착되어 연결부(123) 상에서 좌우로 움직이지 않고 정확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걸이부(121)의 표면은 추가로 코팅처리되어 외부고리(미도시)를 장착하여 사용함에 따른 소음을 방지할 수 있으며, 외부고리(미도시)와의 마찰에 의한 표면 훼손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녹을 방지할 수 있다.
앵커부(125)는 콘크리트벽(10) 내의 철근(20)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앵커부(122)는 철근(20)과 체결되기 위해 굴곡형성된 파형상부(126)를 갖는다. 파형상부(126)와 철근(20)과의 체결결합에 의해 걸이바이(120)는 콘크리트벽(10) 내에 매우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철봉손잡이(127)는 걸이부(121)의 한 쌍의 기둥부(122)에 각각 고정설치되는 회동지지부(128)와 회동지지부(128)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부(129)를 갖는다. 손잡이부(129)는 사용의 편의를 위해 환봉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철봉손잡이(127)는 수평방향의 사용위치(P1)과 수직방향의 절첩위치(P2) 간을 회동한다. 철봉손잡이(127)는 회동가능하게 도시되었지만, 기둥부(122)에 수평방향으로 직접 고정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착구조물 유니트(100)는 연결부(123)의 양단에 설치되는 제1체결부(131) 및 제2체결부(132)를 갖는다.
제1체결부(131)는 내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중공을 갖는 원통 형상이다. 제1체결부(131)는 일종의 너트와 같은 암나사 역할을 수행하며, 볼트와 같은 숫나사부를 갖는 다양한 형상의 외부체결부재(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제2체결부(132)는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형상이다. 제2체결부(132)는 일종의 볼트와 같은 숫나사 역할을 수행하며, 너트와 같은 암나사부를 갖는 다양한 형상의 외부체결부재(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제1체결부(131) 및 제2체결부(132)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착구조물 유니트(100)는 다양한 구조 및 형상의 체결부재들이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그 사용 편의성 및 기능성이 보다 확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착구조물 유니트(100)는 천장 콘크리트벽(10)을 생성하기 위한 콘크리트 타설 전 단계에서 거푸집 내에 설치된다. 즉, 하우징(110)과 걸이바아(120)는 거푸집 내에서 미리 고정설치되며,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콘트리트에 매립되어 견고하게 지지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착구조물 유니트(100)는 콘크리트벽을 사후적으로 훼손하지 않고도 다양한 장착물들을 견고하게 장착 및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운동을 위해 외부고리(미도시)를 장착하지 않고도 한 쌍의 절첩식 철봉손잡이(127)를 통해 간단한 맨손 운동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장착구조물 유니트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장착구조물 유니트(200)는 천장 콘크리트벽(10)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천장 마감용 구조물(30)을 설치하는 건물의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장착구조물 유니트(200)는 도 1의 장착구조물 유니트(100)에 비해 연장지지관(210) 및 연장고리유니트(220)를 더 포함한다. 설명을 명확하고 간결하게 하기 위해 도 1과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였으며, 설명에 불필요한 구성에 대한 도면부호 및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연장지지관(21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관 형상으로, 상단부의 외면과 하단부의 내면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된다. 연장지지관(210)은 상단부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211)과 하우징(110)의 나사산(116)과 나사체결에 의해 하우징(110)에 고정설치된다. 연장지지관(210)과 하우징(110)과의 체결은 나사산을 통한 체결방식에 한정되지 않으며, 탈착홈을 통한 끼움방식 등 연장지지관(210)을 하우징(110)에 고정설치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연장지지관(210)은 하우징(110)의 하단부에서부터 천장 마감용 구조물(30)까지 연장형성된다.
연장고리유니트(220)는 걸이부(121)에 결합되어 연장지지관(210)의 내부를 따라 하방연장 설치된다. 연장고리유니트(220)는 한 쌍의 고리부재(221)와 한 쌍의 고리부재(221)를 연결하는 연결관(225)을 갖는다.
한 쌍의 고리부재(221) 각각은 일단에 고리부(222)가 형성되고, 타단에 숫나사부(223)가 형성된다. 한 쌍의 고리부재(221)에 각각 형성된 숫나사부(223)의 나사산들은 상호 상이한 나사방향을 갖는다.
연결관(225)은 내면에 나사산(226)이 형성된 중공이 있는 원통형상이다. 연결관(225)의 일단은 한 쌍의 고리부재(221) 중 어느 한 고리부재의 숫나사부와 나사결합되고, 타단은 나머지 한 고리부재의 숫나사부와 나사결합된다. 연결관(225)은 일종의 너트, 한 쌍의 고리부재(221)는 일종의 볼트의 기능을 수행하여 볼트-너트 결합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결합된다.
연결관(225)을 회전시키는 경우 상호 상이한 나사방향으로 형성된 숫나사부(223)의 나사산으로 인해 한 쌍의 고리부재(221) 사이의 거리는 동시에 멀어지거나 가까워진다. 즉, 연결관(225)의 회전에 의해 연장고리유니트(220)의 길이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연결지지관(210)의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요동방지부재(230)가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요동방지부재(230)에 형성된 중공은 슬릿 형상으로 고리부재(221)의 고리부(222)가 슬릿 형상의 중공을 통해 삽입 관통될 수 있다. 요동방지부재(230)의 외면과 연장지지관(210)의 내면 사이에는 접촉부재(231)가 개재되어 요동방지부재(230)가 연장지지관(210)의 내면에 고정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접촉부재(231)의 수는 요동방지부재(230)의 원주방향 둘레를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부재(231)는 요동방지부재(230)의 외면의 소정 구간에 설치되는 스프링(232)에 의해 연장지지관(210)의 내면을 향해 가압된다. 접촉부재(231)가 스프링(232)의 탄성력에 의해 연장지지관(210)의 내면을 접촉 가압함으로 인해, 요동방지부재(230)는 연장지지관(210) 내에 고정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장착구조물 유니트(200)는 연결지지관(210)의 하단부와 천장 마감용 구조물(30) 사이의 이격공간을 폐쇄하기 위한 림부(240)와 림부(240)에 탈착식으로 결합되는 개폐부(250) 더 포함한다. 림부(24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외면으로 연장형성된 플랜지(241)를 갖는다. 림부(240)의 플랜지(241)는 연결지지관(210)의 하단부와 천장 마감용 구조물(30) 사이의 이격공간을 폐쇄한다. 이러한 림부(240)와 탈착식 개폐부(250)를 통해 장착구조물 유니트(200)의 사용 및 미사용시 미관이 개선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장착구조물 유니트(200)는 천장 콘트리트벽(10)과 천장 마감용 구조물(30) 사이가 소정 거리 이격된 경우 사용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장착구조물 유니트(20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연장고리유니트(220)를 통해 필요에 따라 외부 고리(미도시)가 장착되는 고리부(22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연장고리유니트(220)가 연장지지관(210) 내에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외부 고리(미도시) 장착시 장착 안정성 및 견고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림부(240)와 탈착식 개폐부(250)를 통해 장착구조물 유니트(200)의 사용 및 미사용시 모두 미관이 개선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장착구조물 유니트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장착구조물 유니트(300)는 도 2에 도시된 장착구조물 유니트(200)에 비해 고리 이탈방지부(330)를 더 포함한다. 설명을 명확하고 간결하게 하기 위해 도 1 및 도 2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였으며, 설명에 불필요한 구성에 대한 도면부호 및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장착구조물 유니트(300)는 연장고리유니트(220)의 하단의 고리부(222)에 장착되는 외부고리(미도시)가 고리부(22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부(330)를 갖는다.
이탈방지부(330)는 8자 형상의 이탈방지걸이(331)와 이탈방지걸이(331)의 상방 이탈을 방지하는 체결너트(332)를 포함한다.
이탈방지걸이(331)는 고리부(222)에 장착되어 고리부(222)의 이격틈(224)을 폐쇄한다.
체결너트(332)는 고리부(222)의 몸체에 형성된 나사산(225)과 나사결합하여 이탈방지걸이(331)가 상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장착구조물 유니트(300)는 외부고리(미도시)가 연장고리유니트(220)의 고리부(222)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외부고리(미도시)의 장착 안정성이 개선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한정된 예시적인 실시 예와 도면들을 통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10: 천장 콘크리트벽 20: 철근
30: 천장 마감용 구조물
100, 200, 300: 장착구조물 유니트
110: 하우징 111: 접근개구
112: 수용부 114: 고정플랜지부
120: 걸이바아 121: 걸이부
122: 기둥부 123: 연결부
124: 절곡홈 125: 앵커부
126: 파형상부 127: 철봉손잡이
128: 회동지지부 129: 손잡이부
131: 제1체결부 132: 제2체결부
210: 연장지지관 220: 연장고리유니트
221: 고리부재 222: 고리부
224: 몸체 225: 연결관
230: 요동방지부재 231: 접촉부재
232: 스프링 240: 림부
250: 개폐부 330: 이탈방지부
331: 이탈방지걸이 332: 체결너트
P1: 사용위치 P2: 절첩위치

Claims (5)

  1. 천장 콘크리트벽에 설치되는 장착구조물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벽의 벽면으로부터 함몰된 장착수용홈 내에 수용되며 하방으로 개방된 접근개구를 갖는 용기형상의 수용부와, 상기 접근개구 둘레에 벽면방향을 따라 형성된 고정플랜지부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수용부 내에 U자형상으로 노출되며 외부고리가 안착될 위치설정용 절곡홈을 갖는 걸이부와, 상기 걸이부의 양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콘크리트벽의 내부에서 상기 콘크리트벽 내의 철근과 체결되는 파형상부를 갖는 앵커부를 갖는 걸이바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구조물 유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의 양측 기둥부에 힌지결합되어 수평방향의 사용위치와 수직방향의 절첩위치간을 회동가능한 철봉손잡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구조물 유니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결합설치되며,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관 형상의 연장지지관과;
    상기 걸이부에 결합되어 상기 연장지지관의 내부를 따라 하방 연장된 연장고리유니트와;
    상기 연장지지관 내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연장고리유니트의 요동을 방지하는 요동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구조물 유니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고리유니트는 일단의 고리부와 타단의 숫나사부를 갖는 한 쌍의 고리부재와 상기 양 고리부재의 숫나사부들에 각각 나사체결되는 암나사부들을 갖는 연결관을 가지며, 상기 숫나사부들은 상호 상이한 나사방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구조물 유니트.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지지관의 하부 개방면을 개폐하는 탈착식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구조물 유니트.
KR1020160116243A 2016-09-09 2016-09-09 천장 콘크리트벽에 매립 설치되는 장착구조물 유니트 KR201800286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243A KR20180028656A (ko) 2016-09-09 2016-09-09 천장 콘크리트벽에 매립 설치되는 장착구조물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6243A KR20180028656A (ko) 2016-09-09 2016-09-09 천장 콘크리트벽에 매립 설치되는 장착구조물 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656A true KR20180028656A (ko) 2018-03-19

Family

ID=61911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6243A KR20180028656A (ko) 2016-09-09 2016-09-09 천장 콘크리트벽에 매립 설치되는 장착구조물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8656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991Y1 (ko) * 2006-06-12 2006-08-28 권경해 용이한 개폐 및 교체 가능한 주택의 골조에 매립 설치되는박스형 앵커
KR20100080992A (ko) * 2009-01-05 2010-07-14 주식회사 엔하이이엔지 건축용 배설 파이프 지지장치
KR20150000433U (ko) * 2013-07-18 2015-01-28 이성무 와이어 앵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991Y1 (ko) * 2006-06-12 2006-08-28 권경해 용이한 개폐 및 교체 가능한 주택의 골조에 매립 설치되는박스형 앵커
KR20100080992A (ko) * 2009-01-05 2010-07-14 주식회사 엔하이이엔지 건축용 배설 파이프 지지장치
KR20150000433U (ko) * 2013-07-18 2015-01-28 이성무 와이어 앵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8539Y1 (ko) 다양한 물품의 장착이 가능한 주택의 골조에 매립 설치되는박스형 앵커
KR200483799Y1 (ko) 배관 거치대
KR200445213Y1 (ko) 거푸집 지지장치
KR200439136Y1 (ko) 거푸집용 체결 버팀대
JP6410114B2 (ja) 天井用照明装置の設置構造
JP6207317B2 (ja) 天井構造
KR20180028656A (ko) 천장 콘크리트벽에 매립 설치되는 장착구조물 유니트
KR101571487B1 (ko) 샤워장치
JP4875890B2 (ja) 手摺支柱及び手摺装置
JP6557031B2 (ja) 仕切り装置
JP2017110388A (ja) 取付部材の取付構造
KR101622472B1 (ko) 이동식 건물용 수평조절장치
KR200358782Y1 (ko) 교량 상부 슬라브의 거푸집 받침대
JP4397253B2 (ja) シャワー装置
KR200450428Y1 (ko) 설치각이 가변되는 배관지지용 행거
KR200345838Y1 (ko) 전동 스크린
JP3113206U (ja) ポール設立装置
JP2017086206A (ja) 折畳みテーブル
JP2007167454A (ja) 伸縮ポール
KR20150003850U (ko) 생명줄 고정장치
JP6225529B2 (ja) 耐震性間仕切装置における支柱スライド装置
JP2010088508A (ja) 洗濯機用置き台
JP3128580U (ja) 衣料掛け
KR200396802Y1 (ko) 행거용 수평봉의 고정구
JP2006094977A (ja) 浴室用部材の設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