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991Y1 - 용이한 개폐 및 교체 가능한 주택의 골조에 매립 설치되는박스형 앵커 - Google Patents

용이한 개폐 및 교체 가능한 주택의 골조에 매립 설치되는박스형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991Y1
KR200424991Y1 KR2020060015663U KR20060015663U KR200424991Y1 KR 200424991 Y1 KR200424991 Y1 KR 200424991Y1 KR 2020060015663 U KR2020060015663 U KR 2020060015663U KR 20060015663 U KR20060015663 U KR 20060015663U KR 200424991 Y1 KR200424991 Y1 KR 2004249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haft
box
main body
door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56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경해
Original Assignee
권경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경해 filed Critical 권경해
Priority to KR20200600156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9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9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9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14Elements with sockets
    • E04B1/4135Elements with sockets receiving removal bolt 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14Elements with sockets
    • E04B1/4142Elements with sockets with transverse hook- or loop-receiv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파트나 단독주택, 연립 등의 주거 공간 내 골조에 매립 설치되는 박스형 앵커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박스형 본체의 내측 상부에 원형의 지지축 회전부를 형성하고, 그 지지축 회전부에는 지지축의 양단이 각각 계지되는 지지축 걸림 홈을 형성하며, 본체 하부의 도어는 별도로 마련된 체결식 레일 내에서 슬라이딩 개폐되게 함으로써,
상기 지지축 회전부에 의해 고정고리 및 지지축을 본체의 하부로부터 삽입 및 계지 안치시켜 고정되게 하면서도 회전을 통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고정고리를 갖는 지지축의 편리한 분리 및 교체가 가능한 것이며,
박스형 본체로부터 슬라이딩 개폐되는 도어는 골조 면과 밀착되어 개폐되므로 외관상 미려하면서도 그 본체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구조를 갖고 있어 분실의 위험이 없을 뿐만 아니라 도어를 개폐함에 있어서도 매우 신속하고 편리한 특징을 갖는 용이한 개폐 및 교체가 가능한 주택의 골조에 매립 설치되는 박스형 박스앵커이다.
박스앵커, 지지축, 지지축 회전부, 레일, 회전축, 계지구

Description

용이한 개폐 및 교체 가능한 주택의 골조에 매립 설치되는 박스형 앵커 {Anchor encased in frame embedded in structure of house for convenience replacement}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천정 매립형 박스앵커의 평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천정 매립형 박스앵커의 저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천정 매립형 박스앵커의 평면 절개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천정 매립형 박스앵커의 장방향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천정 매립형 박스앵커의 단방향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천정 매립형 박스앵커의 평면 작동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11 : 고정플랜지
12 : 고정고리 13 : 지지축
14 : 도어 15,15' : 나사공
20 : 지지축 회전부 21 : 지지축 걸림홈
22 : 계지구 23 : 베어링
24 : 회전관체
30 : 체결식 레일 31,31' : 조립공
32 : 절곡부 33 : 걸림턱
34 : 계지턱
본 고안은 아파트나 단독주택, 연립 등의 주거 공간 내 골조에 매립 설치되는 박스형 앵커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박스형 본체의 내부에 회전 가능케 설치되는 고정고리 및 그 지지축을 상기 박스형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삽입 및 분리할 수 있게 하면서도, 박스형 앵커의 도어를 편리하게 개폐할 수 있게 한 용이한 개폐 및 교체가 가능한 주택의 골조에 매립 설치되는 박스형 앵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단독주택, 연립주택 등의 주거공간 내에서는 주거에 필요한 각종 편의시설물을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대표적으로는 어린아이들이 사용하는 그네 및 각종 운동기구 등이 있다.
이러한 그네 및 각종 운동기구들은 일반적으로 문틀의 사이나 좌,우측의 좁은 벽 공간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것이 보편적이고, 소형샌드백이나 각종 운동기구 등은 천정에 별도의 앵커 볼트를 고정한 후 이를 이용하여 상기한 기구 등을 매달아 사 용하거나, 그네나 해먹 및 의자, 탁자 등은 일정한 점유공간을 갖고 설치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어린이들의 그네 및 운동 기기들은 사람이 출입하는 문틀 내에 설치되므로 통행을 불편하게 할 뿐만 아니라, 상기한 그네를 설치하기 위한 고정봉이 문틀 상측에 위치하므로 출입 시 고개를 숙이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며,
천정에 앵커를 고정하여 설치하는 샌드백이나 운동기구들은 이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앵커 고정 작업을 수행하여야 함은 물론 그 앵커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전문가로부터 기계적인 공구를 사용하여 앵커 고정 작업을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이러한 작업은 소음의 유발은 물론 천정을 파손시켜야 하는 불합리한 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통상적으로 주거공간 내 베란다 또는 거실 등에 설치되는 해먹이나 테이블 및 의자 등은 불필요하게 많은 점유공간을 차지하고 있게 되므로 공간활용도가 크게 떨어지는 것이며, 움직임이 없으므로 흥미로움이 반감되어 쉽게 식상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고안 출원인에 의해 안출된 실용신안등록 제388539호와 같이, 골조콘크리트 타설시 박스형 앵커 조립체를 매립 설치하여, 이에 의해 앵커 조립체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앵커 조립체에 의해 유아용 그네나 소형 샌드백, 각종 운동기구, 다리 없는 테이블 및 소파, 해먹, 외줄, 철봉 등을 간편하게 설치 및 고정할 수 있어 주거공간 내 편의시설의 설치 및 사용을 더욱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공간 활용도가 매우 뛰어나면서도 천정으로부터 로프에 의해 매달린 각종 기구 및 기기들에 의해 그 흥미로움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천정을 손상시키거나 별도의 공사 등을 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각종 물품 및 기기의 장착이 가능한 것이며, 이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별도의 덮개를 결합하여 외부로부터 노출되지 않게 함으로서 더욱 합리적인 효율성을 갖는 다양한 물품의 장착이 가능한 주택의 골조에 매립 설치되는 박스형 앵커를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된 박스형 앵커는 그 박스형 본체의 내부에서 회전되는 고정고리 및 그 지지축이 본체로부터 교체될 수 없는 구조를 갖고 있어 해당 부품의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교체 또는 수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골조 매립형 박스앵커는 고정고리 및 그 고정고리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축이 박스형 본체에 직접 고정되어 있는 형태이고, 그 박스형 본체는 고정고리의 고정부가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매립되는 형태를 갖고 있어 상기 고정고리가 파손되거나 지지축이 파손될 경우에는 이를 교체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천정 매립형 박스앵커에 적용된 하부 도어는 일 측이 힌지 고정되거나 그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구조를 갖고 있어, 도어의 개방 시 상기한 도어가 그 천정으로부터 수직으로 늘어져 있는 상태가 되어 미관상 좋지 못하거나, 그 본체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구조이므로 분실의 위험이 매우 높으면서도 재장착이 번거로운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박스형 본체의 내측 상부에 반원 또는 원형의 지지축 회전부를 형성하고, 그 지지축 회전부에는 지지축의 양단이 각각 계지되는 지지축 걸림 홈을 형성하며, 본체 하부의 도어는 별도의 체결식 레일에 의해 슬라이딩 개폐되게 함으로써,
상기 지지축 회전부에 의해 고정고리 및 지지축을 본체의 하부로부터 삽입 및 계지 안치시켜 고정되게 하면서도 회전을 통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고정고리를 갖는 지지축의 편리한 분리 및 교체가 가능한 것이며,
박스형 본체로부터 슬라이딩 개폐되는 도어는 골조 면과 밀착되어 개폐되므로 외관상으로도 미려하면서도 그 본체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구조를 갖고 있어 분실의 위험이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도어를 개폐함에 있어서도 매우 신속하고 편리한 특징을 갖는 용이한 개폐 및 교체가 가능한 주택의 골조에 매립 설치되는 박스형 앵커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천정 매립형 박스앵커의 평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천정 매립형 박스앵커의 저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천정 매립형 박스앵커의 평면 절개사시도이다.
저면이 개방된 박스형 본체(10)의 외측 면에는 복수개의 고정플랜지(11)가 돌출되고, 본체(10)의 내측에는 고정고리(12)가 횡상의 지지축(13)에 관체 삽입되어 고정되며, 본체(10)의 저면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14)가 형성된 공지의 골조 매립형 박스앵커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내측 선단에는 곡선상의 지지축 회전부(20)를 외향으로 돌출 형성하고, 그 지지축 회전부(20)에는 요홈상의 지지축 걸림홈(21)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축(13)의 양단에는 다각형의 계지구(22)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축(13)이 본체(10) 내부에서 지지축 회전부(20)를 통한 유도 삽입과 그 지지축 걸림홈(21)에 의한 계지 고정이 되게 구성한 것이다.
특히, 상기한 본체(10)의 내측 하부 모서리에는 나사공(15)(15')을 형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본체(10)의 저면에 절곡판체로 된 별도의 체결식 레일(30)이 결합되게 하되,
상기 체결식 레일(30)은, 상기 나사공(15)(15')과 대응되는 위치에 조립공(31)(31')이 각각 천공되고, 양측 절곡부(32)에 의해 체결식 레일(30) 내측의 도어(14)가 슬라이딩되게 하며, 상기 도어(14)의 양단에는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33)과 계지턱(34)을 각각 형성하여, 체결식 레일(30)과의 분리 방지 및 용이한 파지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지지축(13)에는, 하향의 고정고리(12)를 갖는 회전관체(24)를 삽입하 되, 그 회전관체(24)와 지지축(13)은 베어링(23)에 의해 계지 고정되어 보다 부드러운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 용이한 개폐 및 교체가 가능한 골조 매립형 박스앵커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및 도 5의 도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천정 매립형 박스앵커는 주택을 시공하는 경우 그 콘크리트 슬래브의 타설 과정에서 함께 시공되는 것으로서, 천정슬래브에 미리 박스형의 본체(10)를 매설한 상태에서 그 콘크리트 슬래브를 양생시키면 상기 박스형의 본체(10)가 견고하게 그 천정슬래브 상에 매립 설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한 박스형 본체(10)의 외주 면에는 여러 개의 고정플랜지(11)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천정슬래브의 양생시 그 결합력을 가일층 향상시키는 용도로 활용되므로 무거운 운동기구나 테이블 등을 매달거나 묶어 고정하는 경우에도 상기한 본체(10)가 천정으로부터 낙하하거나 분리되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체(10)의 내측 선단에는 외측으로 확장된 지지축 회전부(20)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한 지지축 회전부(20)는 고정고리(12)가 관체 삽입된 형태를 갖는 지지축(13)을 본체(10)의 하부로부터 밀어 올린 상태에서 이를 상기 지지축 회전부(20)를 따라 회전시키면 상기 지지축(13) 양단의 계지구(22)가 그 지지축 회전부(20)에 형성된 지지축 걸림홈(21)으로 계지 안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안착된 지지축(13)은 하향으로의 하중이 작용하므로 상기 지지축 걸림홈(21)으로부터 임의로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며, 상기 지지축(13)을 교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축(13)을 들어올려 지지축 걸림홈(21)으로부터 이탈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축(13)을 지지축 회전부(20)를 따라 회전시키면 직사각형상의 본체(10) 내부에서 폭이 넓은 측으로 분리되므로 보다 용이하고 신속한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한 본체(10)의 하부에 위치하는 도어(14)는 종래의 힌지구조 또는 분리구조가 아니라 체결식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형태를 갖고 있는 것으로서, 상기한 본체(10)의 내측 하부 각 모서리부에는 나사공(15)(15')을 각각 형성하여, 그 나사공(15)(15')에 별도의 체결식 레일(30)을 조립하여 완성하면 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체결식 레일(30)의 내측에는 도어(14)가 내장되어 있어 상기한 도어(14)는 그 레일(30)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본체(10)의 하부를 개폐하게 된다.
즉, 상기한 체결식 레일(30)은 관통체로 되고 양측에는 절곡부(32)에 의해 레일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그 체결식 레일(30)에는 상기한 나사공(15)(15')과 일치하는 위치의 조립공(31)(31')이 천공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조립공(31)(31')과 나사공(15)(15')을 별도의 체결볼트에 의해 나사 결합하면 그 본체(10)와 체결식 레일(30)이 견고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체결식 레일(30)의 내측에 삽입되는 도어(14)는 각각의 양단부에 서로 다른 방향을 갖는 걸림턱(33)과 계지턱(34)이 각각 돌출 형성되는 것인데, 상기 걸림턱(33)은 그 도어(14)를 슬라이딩 개폐시키는 경우 상기 걸림턱(33)에 의해 체결식 레일(30)의 양단부와 간섭을 받게 되므로 그 도어(14)가 체결식 레일(30)로부 터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되므로 분실의 위험이 전혀 없는 것이며,
상기한 계지턱(34)은 도어(14)를 개폐하고자 하는 경우 실내를 향하여 돌출된 계지턱(34)을 이용하여 그 도어(14)를 보다 용이하게 밀어 개폐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러므로, 종래와는 달리 그 도어(14)가 본체(10)로부터 분리되지 않음은 물론 천정으로부터 실내를 향하여 늘어진 상태가 아니라 천정 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구조를 갖고 있어 외관상으로도 뛰어난 심미감은 물론 분실의 위험이 없는 것이며, 신속하게 도어의 개폐가 가능한 특징을 동시에 갖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 골조 매립형 박스앵커는, 그 지지축 회전부(20)를 원형으로 제작하되, 그 원형의 지지축 회전부(20) 중심은 본체(10)의 중심부와 일치되게 하여 상기 본체(10)의 하부로부터 삽입되는 지지축(13)은 도 6의 도시와 같이 상기 원형의 지지축 회전부(20) 내에서 좌,우 어떠한 방향으로 회전되더라도 그 지지축 걸림홈(21)으로 지지축(13)의 단부 계지구(22)를 안치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더욱 편리한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서,
상기 본체(10)의 하부로부터 삽입되는 지지축(13)은 평면상 직사각형의 본체(10)에 있어, 장방향으로 삽입되었다가 그 회전에 의해 본체(10)의 단반향으로 계지 안착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 천정 매립형 박스앵커는, 고정고리(12)를 이용하여 유아용 그네와 같은 각종 설치물을 매달아 사용하거나, 샌드백이나 줄을 당기거나 매달릴 수 있는 운동기기 등의 설치물을 매달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유아용 그네나 해먹, 다리 없는 의자 및 테이블, 소파 등을 공중에 매달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소형 샌드백, 외줄, 철봉 등의 운동시설물이나 기구 등을 매달아 사용할 수 있고, 벽체에 매립된 박스형 앵커를 이용해서는 해먹, 줄 당기기 등의 운동기구 등을 탈 부착해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한 지지축(13)에 결합되는 고정고리(12)는 별도의 회전관체(24)에 연결되어 그 회전관체(24)가 지지축(13)에 삽입되어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지지축(13)과 회전관체(24)를 별도의 베어링(23)에 의해 계지 고정함으로서 그 베어링(23)에 의해 상기 고정고리(12) 및 회전관체(24)의 보다 부드럽고 정숙한 회전을 가능케 하면서도, 마찰 소음의 감소는 물론 마모율을 크게 감소시켜 그 사용수명을 크게 증대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골조 매립형 박스앵커는 각종 주택의 베란다 상측이나 거실, 안방, 화장실 등의 요소요소에 미리 설치해 두므로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 이를 활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그 활용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며 다양한 크기 및 갯수를 갖는 앵커를 임의대로 천정슬래브 시공 시 매립 형성함으로써, 이를 활용하여 주거공간의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사용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용이한 개폐 및 교체가 가능한 골조 매립형 박스앵커는, 지지축 회전부에 의해 고정고리를 갖는 지지축을 본체의 하부로부터 삽입 및 계지 안치시켜 고정되게 하면서도 회전을 통해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어 고정고리를 갖는 지지축의 편리한 분리 및 교체가 가능한 것이며,
박스형 본체로부터 슬라이딩 개폐되는 도어는 골조 면과 밀착되어 개폐되므로 외관 상으로도 미려하면서도 그 본체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구조를 갖고 있어 분실의 위험이 없을 뿐만 아니라 도어를 개폐함에 있어서도 매우 신속하고 편리한 것이다.

Claims (2)

  1. 저면이 개방된 골조 매립형 박스앵커 본체(10)의 외측 면에 복수개의 고정플랜지(11)가 돌출되고, 본체(10)의 내측에는 고정고리(12)가 횡상의 지지축(13)에 관체 삽입되어 고정되며, 본체(10)의 저면에는 개폐 가능한 도어(14)가 형성된 공지의 골조에 매립 설치되는 박스형 앵커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내측 상단에 원형의 지지축 회전부(20)를 외향으로 돌출 형성하고, 그 지지축 회전부(20)와 연결되는 요홈상의 지지축 걸림홈(21)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축(13)의 양단에는 다각형의 계지구(22)를 형성하고, 소음 방지와 부드러운 회전을 위해 지지축을 감싸고 있는 회전관체(24) 내부에 베어링(23)을 설치하여 지지축 조립체(13+22+23+24+12)를 이루며,
    상기 지지축(13) 및 고정고리(12)가 연결된 회전관체가 본체(10) 내부에서 지지축 회전부(20)를 통해 유도 삽입되고, 지지축 걸림홈(21)에 의한 계지 고정이 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한 개폐 및 지지축의 분리 및 교체 가능한 주택의 골조에 매립 설치되는 박스형 앵커.
  2. 제 1항에 있어서,
    본체(10)의 내측 하부 모서리에 나사공(15)(15')을 형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본체(10)의 저면에 절곡판체로 된 별도의 체결식 레일(30)이 결합되게 하되,
    상기 체결식 레일(30)은, 상기 나사공(15)(15')과 대응되는 위치에 조립공(31)(31')이 각각 천공되고, 양측 절곡부(32)에 의해 체결식 레일(30) 내측의 도어(14)가 슬라이딩되어 열거나 닫히게 되며, 상기 도어(14)의 양단에는 반대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33)과 계지턱(34)을 각각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한 개폐 및 지지축의 분리 및 교체 가능한 주택의 골조에 매립 설치되는 박스형 앵커.
KR2020060015663U 2006-06-12 2006-06-12 용이한 개폐 및 교체 가능한 주택의 골조에 매립 설치되는박스형 앵커 KR2004249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663U KR200424991Y1 (ko) 2006-06-12 2006-06-12 용이한 개폐 및 교체 가능한 주택의 골조에 매립 설치되는박스형 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663U KR200424991Y1 (ko) 2006-06-12 2006-06-12 용이한 개폐 및 교체 가능한 주택의 골조에 매립 설치되는박스형 앵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2381A Division KR100686620B1 (ko) 2006-06-12 2006-06-12 용이한 개폐 및 교체 가능한 주택의 골조에 매립 설치되는박스형 앵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991Y1 true KR200424991Y1 (ko) 2006-08-28

Family

ID=41773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5663U KR200424991Y1 (ko) 2006-06-12 2006-06-12 용이한 개폐 및 교체 가능한 주택의 골조에 매립 설치되는박스형 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499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8656A (ko) * 2016-09-09 2018-03-19 한독건설(주) 천장 콘크리트벽에 매립 설치되는 장착구조물 유니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8656A (ko) * 2016-09-09 2018-03-19 한독건설(주) 천장 콘크리트벽에 매립 설치되는 장착구조물 유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8539Y1 (ko) 다양한 물품의 장착이 가능한 주택의 골조에 매립 설치되는박스형 앵커
CN106955049B (zh) 一种淋浴门框架及淋浴门
KR100706168B1 (ko) 다양한 물품의 장착이 가능한 주택의 골조에 매립 설치되는박스형 앵커
KR200424991Y1 (ko) 용이한 개폐 및 교체 가능한 주택의 골조에 매립 설치되는박스형 앵커
KR101044837B1 (ko) 섀시 연동형 방충장치
KR100686620B1 (ko) 용이한 개폐 및 교체 가능한 주택의 골조에 매립 설치되는박스형 앵커
JP2013113088A (ja) ダブルスキンカーテンウォール(doubleskincurtainwall)
KR200432303Y1 (ko) 물품 유입용 보조문이 있는 방화문
KR100656854B1 (ko) 공동주택의 개폐가능한 방범창
KR200464775Y1 (ko) 조립식화장실 구축용 다기능 칸막이 설치프레임
KR200448975Y1 (ko) 창문 안전장치
CN206608045U (zh) 一种暗藏式移门的安装结构
KR100634876B1 (ko) 건축물 출입문 구조
KR101884249B1 (ko) 부분개방을 가능하게 하는 미닫이 창문용 잠금장치
KR200433112Y1 (ko) 상자형 완강기 걸이장치
JP2008008035A (ja) 引戸サッシ
KR101366508B1 (ko) 연동 미닫이문을 문틀프레임에 결합하는 장치
JP5990856B1 (ja) 後付けドアストッパー
KR100610568B1 (ko) 건축물 출입구 구조
KR20110002779U (ko) 방화문의 상하부 틈새막이 장치
KR100626151B1 (ko) 건축물 출입문 부속시설
KR200444828Y1 (ko) 함체용 개폐문의 고정수단 덮개구조
CN206016500U (zh) 一种门窗自动锁紧装置
JP2002097861A (ja) ペット用ドアパネル
CN201155257Y (zh) 上悬窗开启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