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8567A - 카메라 모듈용 자동 테스트 소켓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용 자동 테스트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8567A
KR20180028567A KR1020160115374A KR20160115374A KR20180028567A KR 20180028567 A KR20180028567 A KR 20180028567A KR 1020160115374 A KR1020160115374 A KR 1020160115374A KR 20160115374 A KR20160115374 A KR 20160115374A KR 20180028567 A KR20180028567 A KR 20180028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block
top plate
camera module
cylinde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5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50937B1 (ko
Inventor
김광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카텍시스템즈
김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카텍시스템즈, 김광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카텍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160115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937B1/ko
Publication of KR20180028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01Testing of printed circuits, backplanes, motherboards, hybrid circuits or carriers for multichip packages [MCP]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6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cameras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용 자동 테스트 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가이드홈(131)을 갖는 가이드브라켓(130)이 윗면에 설치되는 베이스(100)와; 피스톤로드(210)가 베이스(100)에 고정되고, 승강유도 브라켓(240)이 상기 가이드홈(131)의 양 측으로 설치되어 연결축으로 연결되는 실린더블럭(200)과; 상기 베이스(100)에서 레일에 의해 슬라이딩되는 승강가이드블럭(300)과; 상기 승강가이드블럭(300)의 상측으로 탄발 설치되고, 롤러축(250)에 의해 상기 가이드홈(131)에 안내되어 전ㆍ후 및 상ㆍ하 이동하게 되는 탑플레이트(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용 자동 테스트 소켓{Camera module automatic test socke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용 테스트 소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이나 디지털카메라에 내장되는 CCD 카메라 모듈에 포함된 동작 회로기판의 작동유무를 검사하도록 된 것이며, 명확한 동작에 의해 보다 안정적인 테스트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카메라 모듈용 자동 테스트 소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이나 디지털카메라에 장착되어 동영상 및 이미지를 촬영 및 저장하도록 설치되는 카메라와 이에 연결 설치되는 PCB로 이루어진 카메라 모듈은 휴대폰의 비교적 좁은 제한된 공간 내부에 장착되는 관계로 렌즈 및 PCB의 크기가 극히 작게 형성되며, 상기 PCB에 인쇄되는 콘넥터 역시 비교적 세밀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렌즈와 연결된 PCB는 이를 제작 및 조립후, 전기적 접속 상태를 측정하기가 매우 어렵다.
상기 소형렌즈 및 콘넥터의 접속 상태 불량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측정핀이 구비된 소켓을 이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종래의 소켓은 베이스 프레임과 이 베이스 프레임에 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토록 커버 프레임이 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즉, 카메라 모듈이 안착되는 베이스와 측정핀이 구비된 커버 플레이트가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소켓을 형성하고, 이 소켓에는 테스트 핀블럭과 접속 핀블럭 등이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에 카메라 모듈을 끼운 다음 커버 플레이트를 닫은 후 메인 기판에 접속하여 테스트를 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소켓은 다수의 측정핀이 설치된 커버 플레이트가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베이스와 결합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커버 플레이트의 측정핀들이 회로패턴에 동시에 접촉되지 못하고 회전 중심에 가까운 측정핀부터 순차적으로 접속되어 전기적인 충격이 발생될 수 있었으며, 측정핀이 경사진 상태로 접촉이 이루어지면서 각 측정핀에 가해지는 압력이 서로 다르게 작용하여 측정핀의 단부가 편마모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와 접촉하는 카메라 모듈의 회로패턴이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에 접속되는 측정핀을 갖는 핀블럭이 수직으로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술이 연구되기에 이르렀으며, 선행기술문헌의 등록특허는 그러한 선행기술의 한 예를 보여준다.
특허문헌 1은 공압실린더와 피스톤 및 캠이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공압실린더의 작용으로 슬라이딩 블럭과 커버 플레이트를 자동으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고, 이동과 함께 캠 작용에 의해 승강이 이루어지면서 핀블럭이 카메라 모듈과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2는 베이스의 상측으로 슬라이딩 블럭과 커버가 설치되어 이 슬라이딩 블럭과 커버가 핀블럭 및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면서 수평 및 수직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베이스의 일단에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홈의 카메라 모듈과 접속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수평 및 수직 이동이 수동으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에서는 자동화에 의한 작업의 효율성은 높일 수 있었지만 캠과 공압실린더 및 그에 따른 부속 설비 등의 구성이 서로 효율적인 배치와 동작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고, 특허문헌 2에서는 수동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지는 관계로 작업의 능률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서는 공통적으로 모듈홈에 카메라 모듈을 안착시킨 후 상측의 커버를 수평 및 수직으로 이동시켜서 핀블럭이 카메라 모듈과 접속되도록 하고 있으나, 모듈홈에 위치하는 카메라 모듈은 별도의 고정수단이 없는 상태로 안착되어 있어서, 기기의 작동에 따른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미세하게 유동될 수 있으며, 상측으로부터 접근하는 핀블럭과의 순간적인 접촉으로 인해 정확한 접속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불규칙적인 접촉으로 인한 불안정한 접속이 이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당 업계에서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면서 효과적인 연계동작에 의한 자동적인 동작이 가능하고, 더불어 카메라 모듈의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제공할 수 있어서, 보다 정확한 카메라 모듈의 접속 및 테스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카메라 모듈 테스트 소켓이 요구되었고, 본 출원인은 이를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서 특허출원 제10-2015-0129359호를 선 출원한 바 있었다.
상기의 선 출원특허는 양 측으로 두 개의 가이드브라켓을 설치하고, 이 가이드브라켓에는 레일홈이 형성되어 롤러축이 안내되도록 되며, 한 개의 실린더가 중앙에 설치되어 공압에 의해 상기 롤러축을 진행시켜서 상기 레일홈의 궤도에 따라 탑 플레이트 등이 수평 및 수직 이동을 하여 카메라 모듈과 결합 및 테스트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선 출원특허는 구성을 보다 간소화하였고, 자동적인 동작이 가능하면서 카메라 모듈의 안정적인 설치와 테스트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하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 선 출원특허는 양 외측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브라켓의 레일홈에 이물질이 쉽게 끼어서 기기의 작동에 영향을 주게 되고, 양 쪽의 두 곳에서 레일홈에 안내되어 이동되므로 제품의 검사에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으며, 카메라 모듈을 흔들림 없이 고정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이 지나치게 복잡하여 원가를 절감하려는 취지에 반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 제 10-1308741 호. 2. 대한민국 특허 제 10-1387418 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카메라 모듈과 접속되는 측정핀이 수직으로 균일하게 접속됨으로써 카메라 모듈과 측정핀의 편마모 및 파손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테스트가 이루어질 수 있는 카메라 모듈용 자동 테스트 소켓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메라 모듈의 테스트를 위한 기기의 수평 및 수직 이동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카메라 모듈과 접속되는 측정핀이 수직으로 균일하게 접속되도록 된 카메라 모듈용 자동 테스트 소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모듈홈에 안착되는 카메라 모듈이 기기의 동작과 더불어 자동적으로 견고하게 고정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기기의 진동이나 충격 및 접속핀과의 접촉에도 일체의 움직임이 없이 안정적인 접속 및 테스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카메라 모듈용 자동 테스트 소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 모듈의 테스트를 위한 기기의 수평 및 수직 이동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카메라 모듈이 모듈홈에 견고하게 안착 지지될 수 있으며, 카메라 모듈과 접속되는 측정핀이 수직으로 균일하게 접속되어 정확한 테스트가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 전체적인 기기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기기의 동작에 오류가 없이 더욱 명확한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된 카메라 모듈용 자동 테스트 소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린더의 힘을 강화하고, 기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브라켓을 단일화하여 정밀도를 향상시키도록 된 카메라 모듈용 자동 테스트 소켓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카메라 모듈이 안착되는 모듈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과 접속되는 핀블럭을 갖는 탑플레이트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탑플레이트가 이동하면서 상기 카메라 모듈과의 접속 및 테스트가 이루어지도록 된 카메라 모듈용 자동 테스트 소켓에 있어서, 상기 모듈가이드부가 전방 일단에 설치되어 공압라인이 연결됨으로써 카메라 모듈이 흡착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윗면 중간에 고정 설치되고, 수평구간과 수직구간이 연속으로 형성되면서 양 측면이 개구되어 있는 가이드홈이 구비되어 있는 가이드브라켓; 한 쌍의 피스톤로드의 단부가 상기 가이드브라켓의 양 외측에서 베이스상에 연결 고정됨으로써, 공압의 공급에 따라 자체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블럭; 상기 실린더블럭의 상측으로 결합되며, 양 측 하단부에 레일이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의 윗면에서 상기 실린더블럭과 함께 이동되도록 설치되고, 윗면에는 수직으로 승강홈 및 스프링홈이 형성되어 있는 승강가이드블럭; 상기 가이드브라켓의 양측에 위치하면서 연결축에 의해 상기 실린더블럭에 연결되어 실린더블럭과 함께 이동되도록 조립되며, 중간에는 양 측으로 관통된 경사홈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승강유도 브라켓; 상기 승강유도 브라켓의 사이에 위치되면서 중간에는 상기 가이드브라켓을 사이에 두는 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는 상기 탑플레이트의 밑면에 조립 고정되는 롤러축 홀더; 상기 승강유도 브라켓의 경사홈과 롤러축 홀더의 측면 및 가이드브라켓의 가이드홈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홈과 경사홈의 구간에는 롤러가 끼워져 있는 롤러축; 상기 승강가이드블럭의 상측에 배치되며, 밑면에는 다수의 승강축이 설치되어 상기 승강가이드블럭의 승강홈에 수직으로 안내되고, 상기 승강가이드블럭의 스프링홈에 설치되는 스프링에 의해 상향 탄발되며, 상기 승강유도 브라켓 및 롤러축 홀더에 안내되어 이동 및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상기 탑플레이트;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가이드브라켓의 가이드홈은 전방의 수직구간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수평구간이 형성되며, 이 수평구간의 후방에는 경사구간이 하향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기기 작동 후의 최종 높이를 줄일 수 있어서 다른 기기와의 저촉을 피하고 공간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가이드박스의 하단 중앙에는 상기 가이드브라켓이 통과하기 위한 요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박스의 후방에는 상기 가이드박스의 후단부와 밀착되는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승강유도 브라켓의 연결축은 승강가이드블럭을 관통하여 그 후단부가 상기 실린더블럭에 연결 조립됨으로써 함께 작동되는 기기들의 일체화함으로써 보다 정밀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베이스의 후단부에는 스토퍼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블럭의 내측 하단부에는 상기 스토퍼와 접촉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테스트용 핀블럭을 수용하는 탑플레이트의 수평 방향과 수직 방향의 이동이 정확하게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이송과 연계되어 공압에 의해 카메라 모듈을 견고하게 고정시켜줌으로써, 측정핀의 안정된 접속 및 고품질의 테스트가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기의 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고, 카메라 모듈의 견고한 고정 및 테스트가 이루어지면서 기기의 구성이 보다 단순화되어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탑플레이트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에도 하향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기기의 전체적인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실린더를 양분화하여 컨텍력을 더욱 향상시키게 되고, 가이드브라켓을 중앙에 하나로 단일화함으로써 정밀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가이드브라켓이 중앙으로 배치됨으로 인해 가이드홈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아서 이물질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효과를 아울러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 소켓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 소켓의 전체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베이스와 가이드브라켓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블럭의 저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린더블럭과 승강유도 브라켓의 조립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가이드블럭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가이드블럭의 저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탑플레이트의 저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탑플레이트가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의 평면도.
도 11 및 도 12는 탑플레이트가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각각 가이드브라켓부분과 승강유도 브라켓 부분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3은 상기 도 12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이미지.
도 14는 본 발명에서 탑플레이트가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의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서 탑플레이트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에서 탑플레이트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의 배면 사시도.
도 17 및 도 18은 탑플레이트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의 가이드브라켓부분과 승강유도 브라켓 부분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실시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 명칭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적용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 소켓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 소켓의 전체 분리 사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용 테스트 소켓(이하, '소켓'이라 함; 1)은 베이스(100)와, 실린더블럭(200)과, 승강가이드블럭(300) 및 탑플레이트(400)로 대별된다.
실린더블럭(200)과 승강가이드블럭(300)은 베이스(100)의 윗면에서 전ㆍ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탑플레이트(400)는 승강가이드블럭(300)의 상측에서 수직으로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설치된다.
우선 베이스(100)는 별도의 메인 PCB가 연결되는 것으로서, 윗면의 전방 중앙에는 모듈가이드부(110)가 설치되어 그 윗면에 카메라 모듈이 안착되는 모듈홈(111)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모듈홈(111)을 갖는 모듈가이드부는 별도로 제작되어 베이스(100)에 착탈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으나, 베이스(100)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으며, 나아가 모듈가이드부(110)가 필요에 따라 더 세부적으로 분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모듈홈(111)의 하측으로는 모듈가이드(110)의 전방으로 연결되는 공압라인(112)이 형성되어 카메라 모듈이 모듈홈(111)에 안착되었을 때 공압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시켜줄 수 있게 된다.
베이스(100)의 윗면 후방에는 실린더블럭(200)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120)가 설치되는데, 이 스토퍼(120)는 핀이나 볼트 등으로 되어 스토퍼홀더(121)에서 간격의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실린더블럭(200)의 후방 한계선을 조절할 수 있게 되고, 핀으로 이루어지는 스토퍼인 경우에는 별도의 고정수단이 추가될 수 있다.
베이스(100)의 윗면 중앙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브라켓(130)이 설치되는데, 이 가이드브라켓(130)은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고, 내부에는 양 측이 개구된 가이드홈(13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홈(131)은 수평구간(132)과 수직구간(133)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수평구간(132)은 베이스(100)의 전ㆍ후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수직구간(133)은 수평구간(132)의 전방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속되어 있다.
따라서 가이드홈(131)은 "¬"형상으로 되어 탑플레이트(400)가 이동하는 궤적을 그대로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131)의 후방으로는 다시 경사구간(134)이 하향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탑플레이트(400)가 후방에서도 하측으로 하강한 상태로 됨을 의미한다.
실린더블럭(200)은 공압실린더로서 베이스(100)의 중앙 후방에 설치되어 공압 연결되며, 자체적으로 전ㆍ후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실린더블럭(200)의 실린더는 양 측으로 한 쌍이 구성되며, 여기에 결합하는 한 쌍의 피스톤로드(210)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가이드브라켓(130)의 양 측에 위치되어 그 선단은 피스톤로드 고정구(211)에 의해 베이스(100)의 윗면에 고정 설치되어 있고, 실린더블럭(200)은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피스톤로드(210)에 설치됨으로써 실린더블럭(200)에 공압이 작용하게 되면 실린더블럭(200) 자체가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실린더블럭(200)의 하측 일단에는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120)와 접촉되는 돌출부(201)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실린더블럭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임의적인 변경이 가능한 부분이다.
상기 가이드브라켓(130)의 양측으로는 한 쌍의 승강유도 브라켓(240)이 설치되는데, 승강유도 브라켓(240)은 각각 후방으로 연결축(242)이 연결되어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실린더블럭(200)의 후단부와 연결 조립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축(242)은 실린더블럭(200)과 조립되기 전에 상기 승강가이드블럭(300)을 관통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승강가이드블럭(300)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축(242)이 관통되는 한 쌍의 연결구멍(3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연결축(242)은 연결구멍(302)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짐으로써 승강가이드블럭(300)과는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연결되어 승강가이드블럭(300)이 연결축(242)의 수평이동을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승강유도 브라켓(240)은 실린더블럭(200)과 함께 승강가이드블럭(300)에 지지된 상태에서 동시에 이동하게 되며, 내부에는 양 측면이 개방된 경사홈(2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홈(241)은 가이드브라켓(130)의 가이드홈(131)과 함께 작용하면서 탑플레이트(400)를 승강시키는 기능을 하게 되는 것으로서 45°의 경사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유도 브라켓(240)의 사이에는 롤러축 홀더(410)가 위치되는데, 이 롤러축 홀더(410)는 양 측의 승강유도 브라켓(240)의 내측으로 위치되면서 중간에는 상기 가이드브라켓(130)을 사이에 두는 슬롯(411)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플레이트(400)의 밑면에 조립 고정된다.
상기 승강유도 브라켓(240)의 경사홈(241)과 롤러축 홀더(410)의 측면 및 가이드브라켓(130)의 가이드홈(131)에는 롤러축(250)이 동시에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홈(131)과 경사홈(241)의 구간에는 롤러(251)가 롤러축(250)상에 끼워져서 이동에 따른 원활한 구름작용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롤러(251) 및 롤러축(250)이 가이드브라켓(130)의 가이드홈(131)을 이동하게 되면서 탑플레이트(400)의 이동을 유도하게 되는데, 상기 가이드홈(131)의 수평구간(132)이 탑플레이트(400)의 수평 행정거리가 되는 것이며, 가이드홈(131)의 수직구간(133)이 탑플레이트(400)의 수직 행정거리가 되고, 가이드홈(131)의 경사구간(134)이 탑플레이트(400)의 경사 행정거리가 되는 것이다.
한편 실린더블럭(200)의 상측으로는 상기 승강가이드블럭(300)이 설치되는데, 승강가이드블럭(300)이 상기 실린더블럭(200)을 전체적으로 감싸듯이 설치되어 양 측 하단부가 레일에 의해 베이스(100)상에서 슬라이딩되도록 된다.
상기 레일은 베이스(100)의 윗면에서 실린더블럭과 탑플레이트 등의 이동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고정레일(310)과 승강가이드블럭(300)의 양 측 하단에 설치되는 가동레일(311)로 이루어지며, 고정레일(310)과 가동레일(311)이 맞물려서 정확하고 견고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승강가이드블럭(300)은 실린더블럭(200)의 상측을 감싸듯이 설치되면서 또한, 실린더블럭(200)의 후단부에는 상향 돌출된 지지부(202)가 형성되어서 이 지지부(202)가 승강가이드블럭(300)의 후단부에 대응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승강유도 브라켓(240)의 연결축(242)이 승강가이드블럭(300)의 연결구멍(302)을 관통하여 실린더블럭(200)에 조립됨으로써 실린더블럭(200)과 승강가이드블럭(300)이 함께 조립된다.
승강가이드블럭(300)은 연결축(242)이 관통되어 있고, 실린더블럭(200) 및 승강유도 브라켓(240)과 동일한 방향으로의 직선운동을 하게 되나, 일체로서 동작하지는 않는다.
승강가이드블럭(300)의 후단부와 실린더블럭(200)의 후단 지지부(202)와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202)에 조절나사(203)가 설치되어 있으며, 승강가이드블럭(300)의 밑면에는 가이드브라켓(130)과의 저촉을 피하기 위해 요부(301)가 형성되어 있다.
승강가이드블럭(300)의 윗면에는 다수의 승강홈(320)과 스프링홈(330)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승강홈(320)에는 탑플레이트(400)의 밑면으로 설치되는 승강축(420)이 수직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끼워지고, 스프링홈(330)에는 탑플레이트(400)를 상향 탄지하는 스프링(331)이 각각 설치된다.
탑플레이트(400)는 승강가이드블럭(300)의 상측에서 승강이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승강가이드블럭(300)에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상기 각 승강축(420)의 상단부가 도 9에서와 같이 탑플레이트(400)에 조립 고정되어 함께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되며, 스프링(331)에 의해 탑플레이트(400)는 승강가이드블럭(300)에 대하여 항상 상측으로 탄향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탑플레이트(400)는 상측으로 탑 PCB(430)가 설치되며, 중간에는 핀블럭(440)과 렌즈 푸시블럭(450)이 설치되는데, 상기 렌즈 푸시블럭(450)은 탑플레이트(400)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다시 하강되었을 때 상기 모듈가이드부(110)의 모듈홈(111)에 안착되는 카메라 모듈(M)을 안정적으로 눌러주게 된다.
상기 핀블럭(440)은 상기 탑 PCB(4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탑플레이트(400)의 이동에 의해 카메라 모듈(M)과 접속하여 회로적인 연결에 의해 테스트를 하게 된다.
탑플레이트(400)의 밑면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롤러축 홀더(410)가 설치되어 롤러축(250)과 연결됨으로써 롤러축(250)의 전ㆍ후 이동과 상ㆍ하 이동에 따라 함께 동작되도록 되어 있다.
이는 결국 실린더블럭(200)과 승강유도 브라켓(240)의 이동에 의한 롤러축(250)의 이동과 가이드홈(131)의 높낮이에 따른 롤러축(250)의 승강작용에 의해 탑플레이트(400)가 동작하게 됨을 의미한다.
베이스(100)의 일측에는 센서하우징(500)이 설치되는데, 이는 승강가이드블럭(300)이나 탑플레이트(400)의 이동을 감지하여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도록 된 것이다.
즉, 승강가이드블럭(300) 또는 탑플레이트(400)의 측면에 자석을 설치하여 이 자석을 센서하우징(500)에서 감지함으로써 실린더 등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50"은 공압 연결을 위한 컨넥터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탑플레이트가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의 평면도로서 이와 같이 탑플레이트(400)가 후방으로 이동한 상태에서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카메라 모듈(M)이 장착되는 모듈홈(111)이 노출된 상태이고, 이 상태에서 본원 소켓(1)의 중간을 단면하여 나타낸 것이 도 11 내지 도 13이다.
도 11은 소켓(1)의 한가운데 위치한 가이드브라켓(130) 부분의 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롤러축(250)이 가이드홈(131)의 후단부에 위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도 12는 가이드브라켓(130)의 양 측에 위치한 승강유도 브라켓(240) 부분의 단면 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경사홈(241)을 비롯한 연결축(242)과 탑플레이트(400) 등이 후방으로 위치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도 13은 상기 도 12의 단면상태를 이미지로 나타낸 것으로서 롤러축(250)과 승강유도 브라켓(240) 및 롤러축 홀더(410)의 결합관계를 알 수 있다.
여기서 승강유도 브라켓(240)의 경사홈(241)은 자체적으로 경사되어 있지만 전체적인 높이는 가이드홈(131)의 전체 높이를 커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노출된 모듈홈(111)에 카메라 모듈(M)을 삽입 안착시키면 공압라인(112)을 통한 공압 작용에 의해 카메라 모듈(M)은 모듈홈(111)에 압착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공압에 의한 실린더블럭(200)을 동작시키면, 실린더블럭(200)과 승강가이드블럭(300)과 승강유도 브라켓(240) 및 탑플레이트(400)가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실린더블럭(200)에 공압이 작용하면 피스톤로드(210)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실린더블럭(200)이 직접 이동하게 되는데, 이 때 실린더블럭(200)은 연결축(242)에 의해 승강유도 브라켓(240)과 조립되어 있으므로 함께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가이드홈(131) 및 경사홈(241)에 동시에 끼워져 있는 롤러축(250)은 승강유도 브라켓(240)의 경사홈(241)에 밀려서 함께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롤러축(250)에 연결되어 있는 롤러축 홀더(410)에 의해 탑플레이트(400)도 함께 이동하게 되고, 탑플레이트(400)의 하측으로 승강축(420)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승강가이드블럭(300)도 함께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실린더블럭(200)과 승강가이드블럭(300) 및 승강유도 브라켓(240)은 피스톤로드(210)와 레일(310,311)에 안내되어 직선운동을 하게 되지만, 탑플레이트(400)는 롤러축 홀더(410)가 롤러축(250)에 연결되어 있어서 롤러축(250)이 이동하는 가이드홈(131)의 높낮이에 따라 상ㆍ하 운동을 함께 하게 된다.
즉,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처음에는 롤러(251) 및 롤러축(250)이 가이드홈(131)의 경사구간(134)을 지나게 됨에 따라 탑플레이트(400)가 점차 상측으로 상승하면서 전진하게 되고, 롤러축(250) 등이 가이드홈(131)의 수평구간(132)을 통과할 때에는 탑플레이트(400) 또한 수평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탑플레이트(400)는 스프링(331)에 의해 승강가이드블럭(300)에 대하여 상향 탄발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롤러축(250) 또한 가이드홈(131)과 경사홈(241) 내에서 상측으로 탄발력이 작용하게 된다.
승강가이드블럭(300)의 양 측 하단에 설치된 가동레일(311)과 베이스(100)에 설치된 고정레일(310)의 맞물림에 의해 승강가이드블럭(300)은 정확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승강가이드블럭(300)은 탑플레이트(4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정확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롤러축에는 가이드홈(131) 구간과 경사홈(241) 구간에 롤러(251)가 설치되어 있어서, 이 롤러(251)가 가이드홈(131)과 경사홈(241) 내면에 접촉하여 구르면서 이동하게 된다.
실린더박스(200)와 승강가이드박스(300)와 승강유도 브라켓(240) 및 탑플레이트(400)가 전방으로 계속 이동하여 롤러축(250)이 가이드홈(131)의 수평구간(132)을 종료하면, 롤러축(250)은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게 되며, 롤러축(250)과 롤러축 홀더(410)에 의해 연결된 탑플레이트(400)와 승강가이드블럭(300)은 전진이 중단된다.
이 때 탑플레이트(400)의 핀블럭(430)과 렌즈 푸시블럭(440)은 모듈홈(111)에 삽입된 카메라 모듈(M)의 수직 상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도 실린더블럭(200)과 승강유도 브라켓(240)은 계속 전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승강유도 브라켓(240)의 경사홈(241)이 롤러축(250)을 하측으로 밀게 되어 롤러축(250)은 가이드홈(131)의 수직구간(133)을 통해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수평 이동 중에도 경사홈(241)은 지속적으로 롤러축(250)을 전방 및 하방으로 밀면서 이동하는 것이고, 수평이동이 더 이상 되지 않는 롤러축(250)이 수직구간(133)으로 하향 이동하게 되는 것이며, 이는 45°의 경사홈(241)과 수평 및 수직구간으로 연속되는 가이드홈(131)의 연계된 작용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실린더블럭(200)과 승강유도 브라켓(240)은 수평 이동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서, 롤러축(250)과 롤러축 홀더(410)는 하강하게 되며, 롤러축 홀더(410)와 연결된 탑플레이트(400) 또한 하강하게 된다.
여기서 탑플레이트(400)는 스프링(331)의 탄성에 저항하면서 승강축(420)에 의해 정확하게 안내되어 하강하게 되며, 따라서 이 때에는 승강가이드블럭(300)은 멈춘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실린더블럭(200)의 일관적인 수평 동작에 의해 전체적인 수평 이동과, 탑플레이트(400)의 수직 이동이 한 동작으로 매끄럽게 연결되어, 방향 전환을 위한 별도의 연결이나 전환에 따른 충격 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서 탑플레이트가 전방으로 이동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서 탑플레이트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에서 탑플레이트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17 및 도 18은 탑플레이트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의 가이드브라켓부분과 승강유도 브라켓 부분의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로서 롤러축(250)이 가이드홈(131)의 수직구간(133)에서 하측으로 완전히 하강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롤러축(250)의 하강에 따라 탑플레이트(400)가 수직으로 하강하게 되면 결국 탑플레이트(400)의 렌즈푸시블럭(440)이 카메라 모듈(M)을 누르면서 핀블럭(430)이 카메라 모듈(M)의 회로패턴과 접속된다.
이 상태에서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테스트를 수행하게 되며, 테스트가 완료되면, 다시 실린더블럭(200)의 작용에 의해 실린더블럭(200)이 역으로 후퇴하면서 탑플레이트(400)와 롤러축 홀더(410)가 상승하게 되고, 이어서 탑플레이트(400), 승강가이드블럭(300), 승강유도 브라켓(240) 등이 후방으로 수평 이동하여 원상 복귀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탑플레이트(400)는 항상 스프링(331)에 의해 상향 탄지되어 있으므로 실린더블럭(200)이 후퇴할 때, 경사홈(241)이 롤러축(250)를 밀어올리는 동작과 더불어 스프링(331)의 탄성에 의해 더욱 자연스럽게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롤러축(250)은 수평구간(132)을 거쳐 경사구간(134)을 통해 후방으로 갈수록 다시 하향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탑플레이트(400) 역시 하향 이동하여 복귀된다.
이와 같이 복귀된 상태에서도 탑플레이트(400)의 높이가 낮게 위치됨으로써 전체적인 기기의 높이를 줄여서 다른 기기와의 공간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실린더블럭(200)이 후방으로 계속 후진하게 되면 가이드홈(131)의 후단부에서 롤러축(250)이 걸리게 되어 후진이 제한될 수 있으며, 그 이전에 스토퍼(120)가 돌출부(201)에 접촉됨으로써 후진이 제한되어 기기들의 동작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게 되고, 스토퍼(120)의 조절에 의해 그 제한선이 조정될 수 있다.
한편 승강가이드블럭(300)이나 탑플레이트(400)의 측면에는 자석이 매입 설치되어 있어서 실린더블럭(200) 등의 이동에 의한 자석의 감지가 센서하우징(500)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고, 이 감지 신호에 따라 실린더블럭(200) 등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하고 도시한 바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이드브라켓, 실린더블럭, 승강가이드블럭 등은 다른 기기들과의 관계에 따라 임의적인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100 ; 베이스 110 ; 모듈가이드부
111 ; 모듈홈 112 ; 공압라인
120 ; 스토퍼 121 ; 스토퍼홀더
130 ; 가이드브라켓 131 ; 가이드홈
132 ; 수평구간 133 ; 수직구간
134 ; 경사구간 150 ; 컨넥터
200 ; 실린더블럭 201 ; 돌출부
202 ; 지지부 203 ; 조절나사
210 ; 피스톤로드 211 ; 피스톤로드 고정구
240 ; 승강유도 브라켓 241 ; 경사홈
242 ; 연결축 250 ; 롤러축
251 ; 롤러 300 ; 승강가이드블럭
301 ; 요부 302 ; 연결구멍
310 ; 고정레일 311 ; 가동레일
320 ; 승강홈 330 ; 스프링홈
331 ; 스프링 400 ; 탑플레이트
410 ; 롤러축 홀더 411 ; 슬롯
420 ; 승강축 430 ; 탑 PCB
440 ; 핀블럭 450 ; 렌즈 푸시블럭
500 ; 센서하우징

Claims (5)

  1. 카메라 모듈이 안착되는 모듈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카메라 모듈과 접속되는 핀블럭을 갖는 탑플레이트와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탑플레이트가 이동하면서 상기 카메라 모듈과의 접속 및 테스트가 이루어지도록 된 카메라 모듈용 자동 테스트 소켓에 있어서,
    상기 모듈가이드부가 전방 일단에 설치되어 공압라인이 연결됨으로써 카메라 모듈이 흡착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윗면 중간에 고정 설치되고, 수평구간과 수직구간이 연속으로 형성되면서 양 측면이 개구되어 있는 가이드홈이 구비되어 있는 가이드브라켓;
    한 쌍의 피스톤로드의 단부가 상기 가이드브라켓의 양 외측에서 베이스상에 연결 고정됨으로써, 공압의 공급에 따라 자체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블럭;
    상기 실린더블럭의 상측으로 결합되며, 양 측 하단부에 레일이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의 윗면에서 상기 실린더블럭과 함께 이동되도록 설치되고, 윗면에는 수직으로 승강홈 및 스프링홈이 형성되어 있는 승강가이드블럭;
    상기 가이드브라켓의 양측에 위치하면서 연결축에 의해 상기 실린더블럭에 연결되어 실린더블럭과 함께 이동되도록 조립되며, 중간에는 양 측으로 관통된 경사홈이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승강유도 브라켓;
    상기 승강유도 브라켓의 사이에 위치되면서 중간에는 상기 가이드브라켓을 사이에 두는 슬롯이 형성되어 있고, 상단부는 상기 탑플레이트의 밑면에 조립 고정되는 롤러축 홀더;
    상기 승강유도 브라켓의 경사홈과 롤러축 홀더의 측면 및 가이드브라켓의 가이드홈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홈과 경사홈의 구간에는 롤러가 끼워져 있는 롤러축;
    상기 승강가이드블럭의 상측에 배치되며, 밑면에는 다수의 승강축이 설치되어 상기 승강가이드블럭의 승강홈에 수직으로 안내되고, 상기 승강가이드블럭의 스프링홈에 설치되는 스프링에 의해 상향 탄발되며, 상기 승강유도 브라켓 및 롤러축 홀더에 안내되어 이동 및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상기 탑플레이트;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용 자동 테스트 소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브라켓의 가이드홈은 전방의 수직구간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수평구간이 형성되며, 이 수평구간의 후방에는 경사구간이 하향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용 자동 테스트 소켓.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박스의 하단 중앙에는 상기 가이드브라켓이 통과하기 위한 요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박스의 후방에는 상기 가이드박스의 후단부와 밀착되는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용 자동 테스트 소켓.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도 브라켓의 연결축은 승강가이드블럭을 관통하여 그 후단부가 상기 실린더블럭에 연결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용 자동 테스트 소켓.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후단부에는 스토퍼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블럭의 내측 하단부에는 상기 스토퍼와 접촉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용 자동 테스트 소켓.
KR1020160115374A 2016-09-08 2016-09-08 카메라 모듈용 자동 테스트 소켓 KR101850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374A KR101850937B1 (ko) 2016-09-08 2016-09-08 카메라 모듈용 자동 테스트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374A KR101850937B1 (ko) 2016-09-08 2016-09-08 카메라 모듈용 자동 테스트 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567A true KR20180028567A (ko) 2018-03-19
KR101850937B1 KR101850937B1 (ko) 2018-05-08

Family

ID=61911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5374A KR101850937B1 (ko) 2016-09-08 2016-09-08 카메라 모듈용 자동 테스트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937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61141A (zh) * 2018-03-29 2018-11-06 苏州赛腾精密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测试装置
KR101968443B1 (ko) * 2018-08-03 2019-04-11 (주)이즈미디어 카메라모듈 검사용 스윙형 소켓
KR102003210B1 (ko) * 2018-10-01 2019-07-24 주식회사 세인블루텍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
CN110411771A (zh) * 2019-08-01 2019-11-05 山东省计量科学研究院 电冰箱产品自动溢水试验装置
KR102134471B1 (ko) * 2019-01-29 2020-07-15 이승용 수평 조절이 가능한 테스트 장치
KR102145182B1 (ko) * 2019-10-10 2020-08-18 주식회사 세인블루텍 카메라 모듈 자동 테스트소켓
KR102159271B1 (ko) * 2019-10-01 2020-09-23 홍성호 커넥터 검사기용 핀블럭 소켓장치
KR200492667Y1 (ko) * 2020-07-16 2020-11-19 위드시스템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검사를 위한 커넥터 연결 장치
KR102222140B1 (ko) * 2020-05-07 2021-03-04 디플러스(주) 제품 테스트 소켓
KR102380940B1 (ko) * 2020-10-15 2022-03-31 주식회사 세인블루텍 카메라모듈 테스트용 소켓
KR20220069171A (ko) * 2020-11-19 2022-05-27 주식회사 삼승엔지니어링 공기주입식 지그장치
KR102508229B1 (ko) * 2022-06-29 2023-03-09 주식회사 프로이천 상하전후구동블록조립체 및 프로브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03121A1 (zh) * 2018-11-23 2020-05-28 福建联迪商用设备有限公司 一种功能测试夹具
KR102231536B1 (ko) * 2019-06-10 2021-03-23 정기현 핸드폰 테스트용 지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182B1 (ko) 2013-01-22 2013-03-22 프라임텍 주식회사 카메라모듈 검사용 소켓
KR101308741B1 (ko) 2013-06-04 2013-09-17 김광일 카메라 모듈용 테스트 소켓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61141B (zh) * 2018-03-29 2021-01-05 苏州赛腾精密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测试装置
CN108761141A (zh) * 2018-03-29 2018-11-06 苏州赛腾精密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测试装置
KR101968443B1 (ko) * 2018-08-03 2019-04-11 (주)이즈미디어 카메라모듈 검사용 스윙형 소켓
KR102003210B1 (ko) * 2018-10-01 2019-07-24 주식회사 세인블루텍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
KR102134471B1 (ko) * 2019-01-29 2020-07-15 이승용 수평 조절이 가능한 테스트 장치
CN110411771A (zh) * 2019-08-01 2019-11-05 山东省计量科学研究院 电冰箱产品自动溢水试验装置
CN110411771B (zh) * 2019-08-01 2024-03-26 山东省计量科学研究院 电冰箱产品自动溢水试验装置
KR102159271B1 (ko) * 2019-10-01 2020-09-23 홍성호 커넥터 검사기용 핀블럭 소켓장치
KR102145182B1 (ko) * 2019-10-10 2020-08-18 주식회사 세인블루텍 카메라 모듈 자동 테스트소켓
KR102222140B1 (ko) * 2020-05-07 2021-03-04 디플러스(주) 제품 테스트 소켓
KR200492667Y1 (ko) * 2020-07-16 2020-11-19 위드시스템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검사를 위한 커넥터 연결 장치
KR102380940B1 (ko) * 2020-10-15 2022-03-31 주식회사 세인블루텍 카메라모듈 테스트용 소켓
KR20220069171A (ko) * 2020-11-19 2022-05-27 주식회사 삼승엔지니어링 공기주입식 지그장치
KR102508229B1 (ko) * 2022-06-29 2023-03-09 주식회사 프로이천 상하전후구동블록조립체 및 프로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0937B1 (ko) 2018-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0937B1 (ko) 카메라 모듈용 자동 테스트 소켓
KR101685468B1 (ko) 카메라 모듈용 자동 테스트 소켓
KR101697165B1 (ko) 카메라 모듈용 자동 테스트 소켓
KR101308741B1 (ko) 카메라 모듈용 테스트 소켓
KR101387418B1 (ko) 카메라 모듈용 테스트 소켓
KR101820452B1 (ko) 카메라 모듈용 자동 테스트 소켓
KR101637403B1 (ko) 카메라 모듈 테스트 소켓
CN107037241B (zh) 相机模块测试插座
CN107770515B (zh) 用于检验照相机模块的装置
JP2018163152A (ja) スライド垂直型テストソケット
CN103945215A (zh) 用于相机模块的测试座
KR100915592B1 (ko) 고해상도 카메라모듈의 포커싱 장비와 이를 이용한 포커싱 방법
KR101574486B1 (ko) 테스트 소켓
KR101855249B1 (ko) 수평방향 사이드 컨택 기능을 갖는 전자부품용 테스트 소켓
US6058835A (en) Screen apparatus
KR101672936B1 (ko) 카메라 모듈 검사장치
JP4687624B2 (ja) 基板支持装置
KR101713949B1 (ko) 정밀 이송 구조의 자동 검사 소켓
KR101594563B1 (ko) 검사시스템용 소켓 이송장치
KR101776810B1 (ko) 전자부품용 테스트 소켓
KR101930734B1 (ko) 자동 테스트 소켓의 카메라 모듈 고정장치
KR101683067B1 (ko) 카메라 모듈 검사용 수직 자동 소켓
KR20160080558A (ko) 흡착식 카메라 모듈 테스트 소켓
KR101628301B1 (ko) 수직 접촉 카메라 모듈 테스트 소켓
KR101910538B1 (ko) 이미지 센서 모듈 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