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6696A - 박리성이 우수한 이형 필름 - Google Patents

박리성이 우수한 이형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6696A
KR20180026696A KR1020180025108A KR20180025108A KR20180026696A KR 20180026696 A KR20180026696 A KR 20180026696A KR 1020180025108 A KR1020180025108 A KR 1020180025108A KR 20180025108 A KR20180025108 A KR 20180025108A KR 20180026696 A KR20180026696 A KR 201800266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fine particles
layer
release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7643B1 (ko
Inventor
히로유키 미야사카
마스시 하야시
Original Assignee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266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66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01/00Adhesives based on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9J101/08Cellulose derivatives
    • C09J101/26Cellulose ethers
    • C09J101/28Alkyl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01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release coating composition on the carrier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00/00Presence of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 C09J2400/20Presence of organic materials
    • C09J2400/22Presence of unspecified polymer
    • C09J2400/225Presence of unspecified polymer in the release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6Presence of polyester in the subst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박리력이 작고, 점착제층에 첩합한 상태로 시간이 경과해도 박리력이 커지기 어려우며, 또한, 점착제층에 대한 실리콘 성분의 이행이 적기 때문에 첩합한 점착제층의 점착력을 저하시키지 않는, 박리성이 우수한 이형 필름을 제공한다. 기재 필름(1)의 일방의 면에, 실리콘계 이형제를 포함하는 이형제층(4)이 두께 0.4∼2㎛로 형성되고, 타방의 면에, 미립자(3)로서 무기 미립자 및/또는 폴리머 미립자를 함유하는 바인더 수지층(2)이 형성된 이형 필름(5)으로서, 미립자(3), 바인더 수지층(2) 및 이형제층(4)이 하기 (1) 및 (2)의 조건을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성이 우수한 이형 필름. (1) 미립자(3)의 체적 기준 평균 입자 직경이 이형제층(4)의 두께의 2배 이상인 것. (2) 바인더 수지층(2)의 두께가 미립자(3)의 체적 기준 평균 입자 직경의 25∼60%의 범위에 있는 것.

Description

박리성이 우수한 이형 필름{RELEASE FILM HAVING EXCELLENT PEELABILITY}
본 발명은 각종 점착 제품이나 점착성이 있는 물체의 표면 보호에 사용되는 이형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박리력이 작고, 점착제층에 첩합한 상태로 시간이 경과해도 박리력이 커지기 어려우며, 또한, 점착제층에 대한 실리콘 성분의 이행이 적기 때문에 첩합한 점착제층의 점착력을 저하시키지 않는, 박리성이 우수한 이형 필름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각종 용도에 대해서 이형 필름(박리 필름으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세라믹 적층 콘덴서, 세라믹 기판 등의 각종 세라믹제 전자 부품의 제조시에 사용되는 그린 시트의 성형용 이형 필름, 편광판, 광학 필터,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등의 제조시에 사용되는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 부재용의 이형 필름, 터치 패널 부재나 광학 부재끼리를 첩합하기 위한 광학 부재 첩합용 점착제층용의 이형 필름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세라믹 적층 콘덴서, 세라믹 기판 등의 각종 세라믹제 전자 부품의 제조시에 사용되는 그린 시트는 세라믹 적층 콘덴서의 소형화 및 대용량화에 수반하여, 박막화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그린 시트를 이형 필름으로부터 박리할 때, 이형 필름의 박리력이 큰 경우에는 그린 시트가 파손된다는 점에서, 종래에 비해 박리력이 작은 이형 필름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액정 디스플레이를 구성하는 부재인 편광판, 위상차판 등의 광학 부재에 있어서는, 광학 부재를 광학 부재끼리 또는 다른 부재와 첩합시키는 점착제층, 및 그 점착제층을 보호하기 위한 이형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당해 용도에 사용되는 이형 필름은 디스플레이의 대형화에 수반하여, 편광판 등의 광학 부재 및 이형 필름의 치수가 커져, 박리 면적이 커도 가볍게 박리할 수 있는 것이 필요로 되고 있다. 이 때문에, 종래에 비해 박리력이 작은 이형 필름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터치 패널의 구성 부재나 광학 부재끼리를 첩합하기 위한 광학 부재용의 점착제층에 대해서는, 태블릿 PC, 태블릿 단말, 터치 패널 등의 박형화에 수반하여, 박막의 점착제층이어도 광학 부재의 단차(예를 들면, 휴대 단말의 커버 유리 등에 사용되는 프레임 인쇄의 단차 등)에 추종할 수 있도록, 응집력이 약한 점착제층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응집력의 약한 점착제층을 사용했을 경우, 이형 필름의 박리력이 지나치게 크면 광학 부재용의 점착제층이 변형된다는 점에서, 종래에 비해 박리력이 작은 이형 필름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이, 세라믹 그린 시트의 성형용 이형 필름, 및 각종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 부재용의 이형 필름에서는, 종래에 비해 박리력이 작은 이형 필름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점을 배경으로 하여, 특허문헌 1에는 분자 중에 비닐기를 1개만 갖는 실리콘을 함유하는 경화 실리콘을 사용한 이형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한쪽 면에 올리고머의 석출 방지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무용제계의 부가 반응 경화형 실리콘을 함유하는 이형층을 가지며, 테이프 박리력이 15mN/㎝ 이하이고, 또한, 실리콘계 성분의 이행성 평가 접착률이 90% 이상인 이형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관능기를 갖지 않는 폴리디메틸실록산 등의 경박리 성분을 첨가하지 않은 부가 반응형 실리콘을 사용하고, 50∼65℃의 환경하에서 20시간 이상 열처리를 실시한 이형 필름으로, 아크릴계 점착제의 박리력이 0.15N/50㎜ 이하이며 잔류 접착률이 90% 이상인 이형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3에 있어서는, 모두 박리력이 작고, 또한 첩합한 점착제층의 점착력을 저하시키지 않는 이형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이형 필름은 분자 중에 비닐기를 1개만 갖는 실리콘을 함유하는 경화 실리콘을 사용하기 때문에, 비닐기를 완전하게 반응시키지 않으면 비닐기를 1개만 갖는 실리콘이 점착제층에 이행되어, 점착제층의 점착력이 저하된다는 것이 우려된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이형 필름에 대해서는, 올리고머의 석출 방지층을 형성하고 있다는 것이 종래의 이형 필름과 상이하다. 그러나, 무용제계의 부가 반응 경화형 실리콘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박리 성능에 관해서는 종래의 이형 필름의 범주가 된다.
또한,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이형 필름은 경박리 성분을 첨가하지 않은 부가 반응형 실리콘을 에이징함으로써 경박리화한 것이다. 이 경우, 경박리에 비해서는 첩합한 점착제층의 점착력을 저하시키지 않는 이형 필름이 얻어지나, 박리력을 더욱 저감시키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특허문헌 4에 기재된 이형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소정의 입자 직경의 불활성 입자를 포함하는 실리콘 박리층을, 소정의 두께로 형성한 것이다. 실리콘 박리층을 두껍게 했을 때 발생하는 블로킹(이형 필름을 롤 형상으로 감았을 때, 이형 필름의 배면과 박리층이 유사 접착을 하여 잘 권취되지 않는 현상)을, 소정 입자 직경의 불활성 입자를 실리콘 박리층에 첨가함으로써 해결한 것이다. 그러나, 불활성 입자에 의해 실리콘 박리층이 불연속해지기 때문에, 용제가 접촉하면 불활성 입자와 실리콘의 계면에 용제가 침투하여, 실리콘이 탈락될 우려가 있다. 또한, 실리콘 박리층의 두께에 비해 입자 직경이 큰 불활성 입자를 첨가하기 때문에, 이형 필름을 점착제층의 표면 보호에 사용했을 경우에, 불활성 입자가 점착제층측에 부착되어, 점착제층의 점착력을 저하시키는 경우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6522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13661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00768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208897호
본 발명은 박리력이 작고, 점착제층에 첩합한 상태로 시간이 경과해도 박리력이 커지기 어려우며, 또한, 점착제층에 대한 실리콘 성분의 이행이 적기 때문에 첩합한 점착제층의 점착력을 저하시키지 않는, 박리성이 우수한 이형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점착제층의 점착력을 저하시키지 않기 위해서는, 실리콘계 이형제(박리제로 불리는 경우도 있다)를 사용한 이형 필름을 점착제층에 대한 실리콘 이행이 적은 것으로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점착제층에 대한 실리콘 이행이 적은 실리콘계 이형제를 사용한 경우에도, 박리력을 작게 하는 것을 검토한 결과, 이형제층의 두께를 특정 두께 이상으로 함으로써, 박리력을 작게 할 수 있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그러나, 이형제층의 두께를 두껍게 했을 경우에는, 이형 필름을 롤 형상으로 권취하여 이형제층이 이형 필름의 배면과 겹쳐졌을 때 블로킹을 일으켜, 이형 필름을 롤 형상으로 매끄럽게 되감을 수 없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형 필름에 사용되는 기재 필름은 그 제조 공정에 있어서, 기재 필름을 롤 형상으로 권취해도 블로킹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 기재 필름에는 활제 입자를 함유시켜 성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형 필름의 배면에 있어서, 기재 필름의 표면은 요철 구조를 갖고 있지만, 이형제층의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기재 필름 표면의 요철 구조를 이형제층이 메우는 것이 블로킹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생각된다.
또한, 박리성과 내블로킹성을 양립시키는 방법을 예의 검토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킬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점착제층에 대한 실리콘 성분의 이행이 적은 이형제를 사용한 경우에도 박리력을 작게 하기 위해, 이형제층의 두께를 0.4㎛ 이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형제층과 이형 필름 배면의 블로킹을 방지하기 위해, 기재 필름의 이형제층과는 반대의 면에, 이형제층의 두께에 걸맞는 표면 조도의 요철 형상을 형성함으로써, 박리성과 내블로킹성을 양립시키는 것을 기술 사상으로 하고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재 필름의 일방의 면에, 실리콘계 이형제를 포함하는 이형제층이 두께 0.4∼2㎛로 형성되고, 타방의 면에, 미립자로서 무기 미립자 및/또는 폴리머 미립자를 함유하는 바인더 수지층이 형성된 이형 필름으로서, 상기 미립자, 상기 바인더 수지층 및 상기 이형제층이 (1) 상기 미립자의 체적 기준 평균 입자 직경이 상기 이형제층의 두께의 2배 이상이며, 한편, (2) 상기 바인더 수지층의 두께가 상기 미립자의 상기 체적 기준 평균 입자 직경의 25∼60%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무기 미립자가 실리카, 탄산칼슘, 인산칼슘, 황산바륨, 카올린, 유리 분말, 탤크로 이루어지는 무기 입자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머 미립자가 실리콘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고분자 수지 입자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 필름이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지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점착제층이 적층된 적층체 또는 점착제층의 단체와, 상기 이형 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점착제층의 표면에, 상기 이형제층을 개재하여 상기 이형 필름을 첩합시켜 이루어지는 적층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세라믹 그린 시트의 성형용 이형 필름, 각종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 부재용의 박리성이 우수한 이형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은 박리력이 작고, 점착제층에 첩합한 상태로 시간이 경과해도 박리력이 커지기 어려우며, 또한, 점착제층에 대한 실리콘 성분의 이행이 적기 때문에 첩합한 점착제층의 점착력을 저하시키지 않는, 박리성이 우수한 이형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은 첩합한 점착제층의 점착력을 저하시키지 않으며, 또한, 롤 형상으로 권취해도 블로킹을 일으키지 않고 매끄럽게 되감을 수 있다는 점에서, 우수한 박리성과 내블로킹성을 양립시킨 것으로 산업상의 이용 가치가 크며, 그 공업적인 가치는 매우 크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제1 형태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제2 형태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형 필름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기재 필름(1)의 한쪽 면에 바인더 수지층(2)이 형성되고, 기재 필름(1)의 반대 면에 실리콘계의 이형제층(4)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바인더 수지층(2)에는 블로킹 방지용의 미립자(3)로서 무기 미립자 및/또는 폴리머 미립자가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형 필름(5)에 있어서, 기재 필름(1)으로서 사용되는 수지 필름은 용도에 맞추어 선정하면 되지만,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 폴리아미드 수지 필름, 폴리이미드 수지 필름, 폴리올레핀 수지 필름, 폴리염화비닐 수지 필름, 폴리스티렌 수지 필름, 아크릴 수지 필름, 아세테이트 수지 필름, 폴리페닐렌술파이드 수지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 광학 특성이나 내열 특성 등의 특성면이나 가격 면, 외관의 품위 등의 면에서,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수지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공중합체,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비용이나 광학 특성의 관점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광학 특성이라는 점에서 보면, 1축 연신 또는 2축 연신품의 광학용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기재 필름(1)의 표면에 플라스마 방전이나 코로나 방전에 의한 표면 개질, 앵커 코트제의 도포 등의 이(易)접착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기재 필름(1)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이형 필름(5)으로서의 취급의 용이성이나, 이형 필름(5)을 롤 형상으로 권취하는 것을 상정하면, 기재 필름(1)의 두께는 10∼200㎛ 정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실리콘계 이형제를 포함하는 이형제층의 두께를 두껍게 해도, 이형제층이 이형 필름의 배면과 겹쳐졌을 때 블로킹을 일으키지 않도록, 기재 필름(1)의 이형제층의 반대 표면에, 이형제층의 두께에 걸맞는 표면 조도의 요철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기재 필름(1)의 표면에 요철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블로킹 방지용의 미립자(3)로서 무기 미립자 및/또는 폴리머 미립자를 함유하는 바인더 수지층(2)을 도포함으로써 형성하고 있다.
블로킹 방지용의 미립자(3)인 무기 미립자 및/또는 폴리머 미립자로는, 무기 화합물의 미립자인 무기 미립자나 고분자 수지의 미립자인 폴리머 미립자를 들 수 있다. 무기 미립자와 폴리머 미립자는 어느 일방을 사용해도 되고, 또한 양자를 병용해도 된다. 무기 미립자가 실리카, 탄산칼슘, 인산칼슘, 황산바륨, 카올린, 유리 분말, 탤크로 이루어지는 무기 입자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머 미립자가 실리콘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고분자 수지 입자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미립자(3)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구 형상, 봉 형상, 비늘 형상, 반구 형상, 볼록 렌즈 형상, 버섯 형상, 부정형 등 어느 것이어도 되나, 구형이나 구형에 근접한 형상 쪽이 블로킹 방지 성능이 나오기 쉽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다.
미립자(3)의 입자 직경은 체적 기준 평균 입자 직경으로서, 이형제층(4)의 두께의 2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미립자(3)의 체적 기준 평균 입자 직경이 이형제층(4)의 두께의 2배 미만이면, 블로킹 방지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미립자(3)의 체적 기준 평균 입자 직경이 이형제층(4)의 두께의 2배 이상이면, 블로킹 방지 성능이 얻어진다. 미립자(3)의 체적 기준 평균 입자 직경의 상한은 특별히 문제가 되지 않지만, 미립자(3)의 체적 기준 평균 입자 직경을 크게 한 경우에는, 바인더 수지층(2)의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가 있어 비용이 높아진다. 이 때문에, 미립자(3)의 체적 기준 평균 입자 직경은 이형제층(4)의 두께의 10배 정도까지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체적 기준 평균 입자 직경에 의하면, 체적이 큰 입자의 기여가 크고, 체적이 작은 입자가 혼재해도 영향이 작기 때문에, 적어도 일부의 입자가 이형제층(4)의 두께의 2배 이상의 입자 직경을 갖고 있으면 블로킹 방지 성능이 얻어진다.
바인더 수지층(2)에 사용되는 수지는 미립자(3)가 분산되고, 또한, 기재 필름(1)에 밀착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알키드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실란계 코팅제, 실리케이트계 코팅제 등을 들 수 있다.
바인더 수지층(2)에 사용되는 수지는 수계, 비수계(용제계)여도 되고 무용제 타입이어도 된다. 바인더 수지층(2)의 두께는 미립자(3)의 체적 기준 평균 입자 직경의 25∼60%의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인더 수지층(2)의 두께가 미립자(3)의 체적 기준 평균 입자 직경의 25% 미만이면, 미립자(3)의 투묘력이 떨어져 미립자(3)가 탈락되기 쉬워진다. 또한, 바인더 수지층(2)의 두께가 미립자의 체적 기준 평균 입자 직경의 60%를 초과하면, 블로킹 방지 성능이 저하되거나 비용이 비교적 높아지는 등의 문제가 생기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미립자(3)는 바인더 수지층(2)을 형성하는 수지 중에 혼합되어, 기재 필름(1) 위에 도포된다. 미립자(3)의 일부(상부)는 바인더 수지층(2)의 두께(미립자(3)가 없는 부분의 평균적인 두께)보다 돌출된다. 미립자(3)의 상부 표면에 바인더 수지층(2)의 수지가 얇게 부착되어도 되고, 혹은 부착되지 않아도 상관없다.
미립자(3), 바인더 수지층(2) 및 이형제층(4)은 하기의 2개의 조건을 충족하는 것이 이형 필름의 블로킹을 방지하는데 있어서 중요하다.
(1) 미립자(3)의 체적 기준 평균 입자 직경이 이형제층(4)의 두께의 2배 이상인 것.
(2) 바인더 수지층(2)의 두께가 미립자(3)의 체적 기준 평균 입자 직경의 25∼60%의 범위에 있는 것.
미립자(3)의 바인더 수지에 대한 혼합·분산 방법에 대해서는 바인더 수지 및 미립자의 종류에 맞추어 공지의 방법으로 행하면 된다. 바인더 수지에 미립자가 분산되기 쉬운 계이면, 스패출러 등의 수동의 기구로 교반 혼합하면 된다. 바인더 수지에 미립자가 분산되기 어려운 조합이나, 분산되기 쉬운 계여도 바인더 수지 및 미립자가 다량인 경우에는, 호모지나이저나 호모 믹서 등의 분산기를 사용하여 분산 혼합시켜도 된다. 또한, 미립자 및 바인더 수지 외에,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나 착색제, 대전 방지제, 왁스 등의 윤활제, 실리콘이나 불소 등의 방오제, 레벨링제, 경화제, 방부제 등을 첨가해도 된다.
미립자(3)를 함유한 바인더 수지층(2)의 형성은 미립자(3)를 함유한 바인더 수지를 기재 필름(1)에 코팅하여 형성하면 된다. 도공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미립자(3)를 함유한 바인더 수지의 점도, 도포량에 맞추어 공지의 도공 방법에서 선정하면 된다. 일례로는, 메이어 바 공법, 그라비아 공법, 리버스 롤 공법, 에어 나이프 공법, 다단 롤 공법 등을 들 수 있다.
미립자(3)를 함유한 바인더 수지층(2)의 경화 또는 고체화는 바인더 수지의 종류에 맞추어 행하면 된다. 예를 들면, 가열 건조에 의한 용제 또는 물 등의 제거나, 자외선 조사나 전자선 조사 등에 의한 바인더 수지의 경화 등을 행하면 된다.
이형제층(4)에 사용되는 이형제로는, 실리콘계 이형제를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이형제에는, 부가 반응형, 축합 반응형, 양이온 중합형, 라디칼 중합형 등의 공지의 실리콘계 이형제를 들 수 있다. 부가 반응형 실리콘계 이형제로서 시판되고 있는 제품에는, 예를 들면, KS-776A, KS-776L, KS-847, KS-847T, KS-779H, KS-837, KS-778, KS-830, KS-774, KS-3565, X-62-2829, KS-3650, KNS-3051, KNS-320A, KNS-316, KNS-3002, X-62-1387(신에츠 화학 공업(주) 제조), SRX-211, SRX-345, SRX-357, SD7333, SD7220, SD7223, LTC-300B, LTC-350G, LTC-310, LTC-750A, SP-7025, SP-7248S, SP-7015, SP-7259, LTC-1006L, LTC-1056L(도레이 다우코닝(주) 제조), TPR-6722, TPR-6721, TPR-6702, TPR-6700, TPR-6600, SL6625(모멘티브·퍼포먼스·머티리얼즈사 제조)등을 들 수 있다. 축합 반응형으로서 시판되고 있는 제품에는, 예를 들면, SRX-290, SYLOFF-23(도레이 다우코닝(주) 제), YSR-3022(모멘티브·퍼포먼스·머티리얼즈사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 중합형으로서 시판되고 있는 제품에는, 예를 들면, TPR-6501, TPR-6502, TPR-6500, UV9300, VU9315, UV9430(모멘티브·퍼포먼스·머티리얼즈사 제조), X62-7622, X-62-7660, X-62-7655(신에츠 화학 공업(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라디칼 중합형으로서 시판되고 있는 제품에는, 예를 들면, KF-2005, X62-7205(신에츠 화학 공업(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점착제층에 대한 실리콘 성분의 이행이 적은 이형제로는, 경박리 첨가 성분(부가 반응에 관여하는 유기 관능기를 갖지 않는 실리콘, 예를 들면, 폴리디메틸실록산 등)을 함유하지 않는 실리콘계 이형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이형 필름에 사용되는 실리콘계 이형제는 1 종류를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복수의 품종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한, 실란 커플링제나 대전 방지제, 젖음성 개량제 등 실리콘계 이형제 이외의 성분을 첨가해도 되고, 박리성, 도공성, 경화성 등을 고려해 결정하면 된다. 이형제의 도포는 공지의 방법으로 행하면 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메이어 바 공법, 그라비아 공법, 리버스 롤 공법, 에어 나이프 공법, 다단 롤 공법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이형제의 경화 방법은 가열 경화, 자외선 경화, 전자선 경화, 가열과 자외선 조사의 병용 등의 방법을 들 수 있지만, 실리콘계 이형제의 종류에 맞추어 적합한 방법을 선택해 채용하면 된다. 실리콘계 이형제를 포함하는 이형제층(4)의 두께는, 예를 들면 0.4∼2㎛이다. 이형제층(4)의 두께가 0.4㎛보다 작으면 박리력이 커지기 쉽다. 또한, 이형제층(4)의 두께의 상한은 특별히 문제가 되지 않지만, 이형제층(4)의 두께를 크게 했을 경우에는, 미립자(3)의 체적 기준 평균 입자 직경을 크게 만들 뿐 아니라, 바인더 수지층(2)의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가 있어 비용이 높아진다. 이 때문에, 이형제층(4)의 두께는 2㎛ 정도까지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형 필름(5)을 각종 세라믹제 전자 부품의 제조시에 사용되는 그린 시트의 성형용 이형 시트에 사용하는 경우, 그린 시트는 세라믹 입자를 유기 용제에 분산시킨 슬러리의 도포, 건조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그린 시트를 보호하는 용도에 사용되는 이형 필름(5)은 이형제층(4)에 대해 내용제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형제층(4)에 미립자(3)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실리콘계 이형제가 불연속적이 되지 않고, 내용제성도 양호한 이형제층(4)이며, 그린 시트를 보호하는 용도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그린 시트에 한정되지 않고, 도체 페이스트, 절연체 페이스트 등, 각종 분체를 분산시킨 도막이나, 용제를 포함하는 도막의 표면을 보호하는 용도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제1 형태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의 점착제가 형성된 광학 필름(10)은 본 발명의 이형 필름(5)을, 광학 필름(7)에 적층한 점착제층(6)을 보호하는 용도에 사용한 것이다. 도 1의 본 발명의 이형 필름(5)에 점착제층(6)을 개재하여 광학 필름(7)이 첩합되어 있다. 이러한 점착제가 형성된 광학 필름(10)의 제조 방법은 이형 필름(5)에 용제형 점착제를 도포, 건조시킨 후, 광학 필름(7)을 첩합해도 된다. 이러한 점착제층(6)을 보호하는 용도에 사용되는 이형 필름(5)은 이형제층(4)에 대해 내용제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형제층(4)에 미립자(3)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실리콘계 이형제가 불연속적이 되지 않고, 내용제성도 양호한 이형제층(4)이며, 점착제층(6)을 보호하는 용도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6)을 포함하는 적층체는 1 또는 2 이상의 수지 필름과 1 또는 2 이상의 점착제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광학 필름(7)의 양면에 점착제층(6)을 형성하고, 각각의 점착제층(6)에 이형 필름(5)을 첩합해도 된다. 다른 제조 방법으로는, 광학 필름(7)의 한쪽 면에 점착제층(6)을 형성한 적층체(8)에 이형 필름(5)을 첩합해도 된다. 혹은, 무용제형 점착제를 도포한 후, 이형 필름(5)과 광학 필름(7) 사이에서, 광이나 열 등에 의해 점착제층(6)을 경화시킬 수도 있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의 제2 형태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의 광학 점착 시트(9)는 터치 패널 부재나 광학 부재의 첩합에 사용되는 점착제층(6)에, 본 발명의 이형 필름(5)을 당해 점착제층(6)을 보호하기 위해 첩합시킨 것이다. 광학 점착 시트(9)는 2장의 이형 필름(5)으로 점착제층(6)을 사이에 끼운 형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광학 점착 시트(9)의 제조 방법에서는 일방의 이형 필름(5)에 용제형 점착제를 도포, 건조시킨 후, 다른 일방의 이형 필름(5)을 첩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점착제층(6)을 보호하는 용도에 사용되는 이형 필름(5)은 이형제층(4)에 대해 내용제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형제층(4)에 미립자(3)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실리콘계 이형제가 불연속적이 되지 않고, 내용제성도 양호한 이형제층(4)이며, 점착제층(6)을 보호하는 용도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6)에 사용되는 점착제는 수계, 비수계(용제계)여도 되고 무용제 타입이어도 된다. 점착제로는,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등 어느 것이어도 된다. 아크릴계 점착제는 투명성, 내후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적층 필름에 사용되는 수지 필름은 광학 필름(7)에 한정되지 않으며, 불투명한 수지 필름이어도 된다. 광학 필름으로는, 편광 필름, 위상차 필름, 반사 방지 필름, 방현(안티 글레어) 필름, 자외선 흡수 필름, 적외선 흡수 필름, 광학 보상 필름, 휘도 향상 필름, 고투명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의 이형 필름)
비커에 에틸셀룰로오스(다우 케미컬사 제조, 품명: 에토셀(등록상표) 100FP) 7.5중량부, 평균 입자 직경(체적 기준 평균 입자 직경)이 2㎛인 실리콘계 수지 폴리머 미립자(모멘티브·퍼포먼스·머티리얼즈사 제조, 품명: 토스펄(등록상표) 120) 0.0375중량부, 톨루엔/초산에틸의 50/50 혼합 용제 92.5중량부를 투입하고 혼합해 에틸셀룰로오스가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여 도료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두께 50㎛의 편면 코로나 처리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코로나 미처리면에, 건조 후의 바인더 수지의 두께가 1.0㎛가 되도록 메이어 바 공법으로 도포한 후, 120℃의 열풍 순환식 건조기로 1분간 가열하여, 한쪽 면에 표면 요철 형상을 형성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이어서,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요철 형상을 형성한 면의 반대 면(코로나 처리면)에, 부가 반응형 실리콘 이형제(도레이·다우코닝사 제조, 품명: LTC-1056L)의 30중량부에 대해, 백금 촉매(도레이·다우코닝사 제조, 품명: SRX212 캐탈리스트) 1중량부, 톨루엔/초산에틸의 50/50 혼합 용제 70중량부를 섞어 혼합한 도료를 건조 후의 두께가 1.0㎛가 되도록 메이어 바 공법으로 도공한 후, 설정 온도를 120℃로 한 열풍 순환식 건조기로 1분간 가열하여, 실시예 1의 이형 필름을 얻었다.
(블로킹성의 확인)
실시예 1에 있어서, 바인더 수지층(에틸셀룰로오스)과 이형제층의 두께 및 실리콘계 수지 폴리머 미립자의 품종을 변경하여, 제조예 1∼12의 이형 필름을 얻었다. 여기서, 상기의 실시예 1은 표 1의 제조예 5이다.
얻어진 제조예 1∼12의 이형 필름에 대해, 이형제층과 바인더 수지층의 블로킹 유무 및 미립자의 탈락 유무에 대해, 확인 시험을 행하였다.
(블로킹 유무의 확인)
이형 필름을 3장 중첩한 샘플을 제조하고, 스테인레스판(SUS304) 2장 사이에 끼운다. 이 샘플에 20g/㎠{0.196N/㎠}의 하중을 가한 상태로, 23℃, 50%RH의 환경에서 24시간 방치한다. 그 후, 3장 중첩한 이형 필름을 꺼내어, 이형 필름을 1장씩 손으로 박리함으로써 블로킹 상태를 확인하였다. 블로킹이 없고, 이형 필름이 쉽게 박리된 것을 블로킹성 양호(○)로, 이형 필름 박리시에 조금 저항이 있었던 것을 블로킹성 경미 불량(△)으로, 이형 필름 박리시에 현저하게 저항이 있었던 것을 블로킹성 불량(×)으로 하였다.
(미립자의 탈락 유무의 확인)
이형 필름의 미립자 함유 바인더 수지 도공면을 부직포(아사히 가세이 섬유사 제조 벤코트(등록상표) M-1)로 200g의 분동으로 하중을 가한 상태로 1왕복 마찰시킨다. 그 후, 샘플의 마찰된 부분을 레이저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10개 지점에서 미립자의 잔류 지점 및 탈락 지점의 개수를 측정하고, 미립자의 탈락이 30% 미만인 것을 양호(○)로, 미립자의 탈락이 30% 이상인 것을 불량(×)으로 하였다.
(확인 시험의 결과)
확인 시험의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표 1에 나타낸 확인 시험의 결과로부터, 이형제층과 바인더 수지층이 블로킹을 일으키지 않는 조건으로서, 이형제층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바인더 수지층의 표면 조도(요철)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1에 나타낸 확인 시험의 결과로부터, 이형제층과 바인더 수지층이 블로킹을 일으키지 않는 조건으로서, 미립자(무기 미립자 또는 폴리머 미립자)의 체적 기준 평균 입자 직경과 이형제층의 두께와의 관계, 및 미립자(무기 미립자 또는 폴리머 미립자)의 평균 입자 직경에 대한 바인더 수지층의 두께와의 관계가 하기와 같이 얻어졌다.
(i) 미립자의 평균 입자 직경이 이형제층의 두께의 2배 이상인 것.
(ii) 미립자의 평균 입자 직경에 대한 바인더 수지층의 두께가 75%보다 낮은 것.
한편, 미립자를 함유하는 바인더 수지층으로부터 미립자를 탈락시키지 않는 조건으로서, 미립자의 평균 입자 직경에 대한 바인더 수지층의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표 1에 나타낸 확인 시험의 결과로부터, 미립자를 함유하는 바인더 수지층으로부터 미립자를 탈락시키지 않는 바인더 수지층의 두께를 하기와 같이 도출해냈다.
(iii) 미립자의 평균 입자 직경에 대한 바인더 수지층의 두께가 25% 이상인 것.
또한, 표 1에 나타낸 확인 시험의 결과에 있어서, 제조예 6과 제조예 7의 비교로부터, (ii)의 조건은 미립자의 체적 기준 평균 입자 직경에 대한 바인더 수지층의 두께가 60% 이하이면, 이형제층과 바인더 수지층이 블로킹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표 1에 나타낸 확인 시험의 결과로부터, 이형제층과 바인더 수지층이 블로킹을 일으키지 않는 조건, 및 미립자를 함유하는 바인더 수지층으로부터 미립자가 탈락되지 않는 조건으로서 하기와 같은 조건이 얻어졌다.
(1) 미립자의 평균 입자 직경이 이형제층의 두께의 2배 이상인 것.
(2) 바인더 수지층의 두께가 미립자의 평균 입자 직경의 25∼60%의 범위에 있는 것.
(실시예 2)
이형제층의 두께를 0.4㎛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의 이형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바인더 수지층의 두께를 0.5㎛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3의 이형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폴리비닐알코올(쿠라레사 제조, 품명: 포발 203)을 7.5중량부, 이온 교환수를 92.5중량부가 되도록 칭량하였다. 비커에 이온 교환수를 투입하여 80℃ 정도로 가온한 후, 교반하면서 폴리비닐알코올을 첨가해, 폴리비닐알코올이 완전하게 용해될 때까지 교반을 계속하였다. 상온까지 냉각시킨 후, 체적 기준 평균 입자 직경 2.7㎛의 무정형 실리카(후지 신시아사 제조, 품명: 사일리시아(등록상표) 310P) 0.0375중량부를 첨가하고, 호모지나이저로 실리카가 균일하게 분산될 때까지 교반 혼합을 행하여, 미립자가 첨가된 바인더 수지 도료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두께 50㎛인 양면 코로나 처리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코로나 처리면에, 제조한 바인더 수지 도료를 건조 후의 바인더 수지의 두께가 1㎛가 되도록 메이어 바 공법으로 도포하고, 설정 온도를 120℃로 한 열풍 순환식 건조기로 3분간 가열하여, 한쪽 면에 표면 요철 형상을 형성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이어서,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요철 형상 반대 면(코로나 처리면)에, 부가 반응형 실리콘 이형제(도레이·다우코닝사 제조의 품명: LTC-1056L을 18중량부, 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의 품명: KS-847T를 40중량부), 백금 촉매(도레이·다우코닝사 제조, 품명: SRX212 캐탈리스트) 1중량부, 톨루엔/초산에틸의 50/50 혼합 용제 42중량부를 섞어 혼합한 도료를 건조 후의 두께가 1.0㎛가 되도록 메이어 바 공법으로 도공한 후, 설정 온도를 120℃로 한 열풍 순환식 건조기로 1분간 가열하여, 실시예 4의 이형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1)
이형제층의 두께를 0.2㎛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1의 이형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바인더 수지층(에틸셀룰로오스)의 건조 후의 두께를 1.5㎛로 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2의 이형 필름을 얻었다. 또한, 비교예 2는 표 1의 제조예 7이다.
(비교예 3)
두께 50㎛인 편면 코로나 처리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코로나 처리면에, 경박리 타입의 부가 반응형 실리콘 이형제(도레이·다우코닝사 제조, 품명: SRX-357)의 5중량부에 대해, 백금 촉매(도레이·다우코닝사 제조, 품명: SRX212 캐탈리스트) 0.05중량부, 톨루엔/초산에틸의 50/50 혼합 용제 95중량부를 섞어 혼합한 도료를 건조 후의 두께가 0.2㎛가 되도록 메이어 바 공법으로 도공한 후, 설정 온도를 120℃로 한 열풍 순환식 건조기로 1분간 가열하여, 비교예 3의 이형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4)
부가 반응형 실리콘 이형제(도레이·다우코닝사 제조, 품명: LTC-1056L)의 30중량부에 대해, 백금 촉매(도레이·다우코닝사 제조, 품명: SRX212) 1중량부, 톨루엔/초산에틸의 50/50 혼합 용제 70중량부를 섞어 혼합한 도료에, 체적 기준 평균 입자 직경 2㎛의 실리콘계 수지 폴리머 미립자(모멘티브·퍼포먼스·머티리얼즈사 제조, 품명: 토스펄(등록상표) 120) 0.0375중량부를 첨가하고 교반 혼합하여, 미립자를 함유한 실리콘 이형제 도료를 제조하였다. 두께 50㎛의 편면 코로나 처리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코로나 처리면에, 제조한 도료를 건조 후의 두께가 1.0㎛가 되도록 메이어 바 공법으로 도공하고, 설정 온도를 120℃로 한 열풍 순환식 건조기로 1분간 가열하여, 비교예 4의 이형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4 및 비교예 1∼4에서 얻어진 이형 필름에 대해, 각종 측정, 확인 시험을 행하였다. 블로킹 유무의 확인 방법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다. 그 이외의 시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박리력의 측정)
이형 필름의 이형제층의 표면에, 폴리에스테르 점착 테이프(닛토 덴코 주식회사 제조, 품명: 폴리에스테르 테이프 No.31B)를 첩합시켜 20g/㎠{0.196N/㎠}의 하중하, 70℃에서 20시간 에이징한 후, 탁상형 정밀 만능 시험기(시마즈 제작소사 제조, 오토그래프(등록상표))에서 박리 속도 300㎜/분, 박리 각도 180°로 박리했을 때의 박리 강도로서 박리력(mN/50㎜)을 측정하였다.
(잔류 접착률의 측정)
상기(박리력의 측정)에 의한 시험 후의 이형 필름으로부터 박리한 점착 테이프를 피착체(스테인레스판)에 대해 롤러로 압착하고, 23℃, 55%RH의 환경하에서 1시간 방치한 후, 탁상형 정밀 만능 시험기(시마즈 제작소사 제조, 오토그래프(등록상표))에서 박리 속도 300㎜/분, 박리 각도 180°로 당해 피착체로부터 박리할 때의 박리력을 측정하여 잔류 접착력으로 하였다.
이와는 별도로, 미사용의 점착 테이프를 동일 재질의 피착체에 압착하여 박리할 때의 박리력을 동일하게 측정하여 기준 점착력으로 하였다.
잔류 접착률은 (잔류 점착력)/(기준 점착력)×100(%)라고 하는 식에 의해 산출하였다.
(이형제층의 밀착성 확인)
상기(박리력의 측정)에 의한 시험 후의 이형 필름의 이형제층의 표면을, 손끝으로 강하게 3회 마찰시킨 후, 마찰된 부분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기재 필름으로부터 이형제층이 탈락되어 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이형제층의 탈락이 거의 없는 것을 (○)로, 이형제층의 탈락이 조금 있는 것을 (△)로, 이형제층의 탈락이 현저한 것을 (×)로 판정하였다.
(이형제층의 내용제성 확인)
이형 필름의 이형제층을, 초산에틸을 스며들게 한 부직포(아사히 가세이 섬유사 제조 벤코트(등록상표) M-1)를 사용하고, 200g의 분동으로 하중을 가한 상태로 1왕복 마찰시킨다. 그 후, 이형 필름의 이형제층을 육안으로 관찰함으로써, 이형 필름의 이형제층의 내용제성을 확인하였다. 이형제층의 표면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외관에 변화가 없는 것을 (○)로, 이형제가 탈락된 것을 (×)로 판정하였다.
(측정, 확인 시험의 결과)
실시예 1∼4 및 비교예 1∼4에서 얻어진 이형 필름의 각종 측정, 확인 시험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정리)
실시예 1∼4의 이형 필름은 박리력이 매우 작고, 또한 잔류 접착률이 매우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또한, 실시예 1∼4의 이형 필름은 이형제층과 바인더 수지층이 블로킹을 일으키지 않고, 실리콘계 이형제의 밀착성, 내용제성도 양호하였다. 이에 반해, 이형제층의 두께가 얇은 비교예 1의 이형 필름은 박리가 무겁다는(박리력이 크다는) 결과가 되었다. 또한, 이형제 배면측의 미립자 함유 바인더 수지층의 요철이 작은(미립자의 평균 입자 직경에 대한 바인더 수지층의 두께의 비가 큰) 비교예 2의 이형 필름은 블로킹을 일으켜, 박리력도 커졌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경박리 타입의 실리콘을 일반적인 도포량으로 도공한 비교예 3의 이형 필름은 박리가 실시예 1∼4보다 무겁고, 또한 잔류 접착률이 현저하게 나쁜 결과가 되었다. 실리콘계 이형제에 미립자를 함유시킨 비교예 4의 이형 필름은 박리력, 잔류 접착률 모두 양호한 결과가 되었지만, 이형제층의 밀착성 및 내용제성이 불량한 결과였다.
1…기재 필름, 2…바인더 수지층, 3…무기 미립자 또는 폴리머 미립자, 4…이형제층, 5…이형 필름, 6…점착제층, 7…광학 필름, 8…광학 필름과 점착제층의 적층체, 9…광학 점착 시트, 10…점착제가 형성된 광학 필름.

Claims (3)

  1. 수지 필름의 한쪽 면에 점착제층이 적층되고, 상기 점착제층의 표면에 이형제층이 형성된 이형 필름이 상기 이형제층을 개재하여 첩합시켜 이루어지는 적층 필름으로서,
    상기 이형 필름은 기재 필름의 일방의 면에, 실리콘계 이형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두께 0.4∼2㎛의 상기 이형제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기재 필름이 폴리에스테르 수지 필름이며,
    상기 실리콘계 이형제가 상기 점착제층에 대한 실리콘 성분의 이행을 줄이기 위해, 경박리 첨가 성분(부가 반응에 관여하는 유기 관능기를 갖지 않는 실리콘인 폴리디메틸실록산)을 함유하지 않는 실리콘계 이형제이고,
    상기 기재 필름의 타방의 면에, 미립자로서 무기 미립자 및/또는 폴리머 미립자를 함유하는 바인더 수지층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미립자가 실리카, 탄산칼슘, 인산칼슘, 황산바륨, 카올린, 유리 분말, 탤크로 이루어지는 무기 입자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상기 폴리머 미립자가 실리콘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고분자 수지 입자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 상기 바인더 수지층 및 상기 이형제층이 하기 (1) 및 (2)의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필름:
    (1) 상기 미립자의 체적 기준 평균 입자 직경이 상기 이형제층의 두께의 2배 이상인 것,
    (2) 상기 바인더 수지층의 두께가 상기 미립자의 상기 체적 기준 평균 입자 직경의 25∼60%의 범위(즉, 상기 미립자의 상기 체적 기준 평균 입자 직경이 상기 바인더 수지층의 두께의 5/3배∼4배의 범위)에 있는 것.
KR1020180025108A 2015-03-09 2018-03-02 박리성이 우수한 이형 필름 KR1019876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46244A JP6147284B2 (ja) 2015-03-09 2015-03-09 剥離性に優れた離型フィルム
JPJP-P-2015-046244 2015-03-0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249A Division KR101836212B1 (ko) 2015-03-09 2016-01-26 박리성이 우수한 이형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696A true KR20180026696A (ko) 2018-03-13
KR101987643B1 KR101987643B1 (ko) 2019-06-11

Family

ID=5689803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249A KR101836212B1 (ko) 2015-03-09 2016-01-26 박리성이 우수한 이형 필름
KR1020180025108A KR101987643B1 (ko) 2015-03-09 2018-03-02 박리성이 우수한 이형 필름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9249A KR101836212B1 (ko) 2015-03-09 2016-01-26 박리성이 우수한 이형 필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147284B2 (ko)
KR (2) KR101836212B1 (ko)
CN (1) CN105950041B (ko)
TW (2) TWI68187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8916A (ko) * 2021-03-14 2022-09-22 샨동 솅통 옵틱스 매트리얼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세라믹 커패시터 이형 필름용 베이스 필름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98800A (zh) * 2016-11-04 2017-03-15 张日龙 一种格拉辛原纸及其制备方法
JP6477989B1 (ja) * 2017-08-24 2019-03-06 東洋紡株式会社 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製造用離型フィルム
TWI698338B (zh) * 2018-12-04 2020-07-11 南亞塑膠工業股份有限公司 具備超低離型力的離型膜及其製造方法
CN109627876A (zh) * 2018-12-05 2019-04-16 香洋新材料(江苏)有限公司 一种用于数码印刷的热转印离型剂及其制备方法
CN111748278A (zh) * 2020-07-07 2020-10-09 浙江洁美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用于oca光学胶快速剥离的离型剂及含有该离型剂的离型膜
KR20240046519A (ko) 2022-08-05 2024-04-09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이형 필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7689A (ja) 2004-06-29 2006-01-12 Toray Advanced Film Co Ltd 離型フィルム
JP2008265227A (ja) 2007-04-24 2008-11-06 Mitsubishi Plastics Ind Ltd 離型フィルム
JP2012027260A (ja) * 2010-07-23 2012-02-09 Dainippon Printing Co Ltd 偏光シート積層体
JP2012136612A (ja) 2010-12-27 2012-07-19 Mitsubishi Plastics Inc 基材レス両面粘着シート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3208897A (ja) 2012-02-09 2013-10-10 Skc Haas Display Films Co Ltd 向上した剥離および抗ブロッキング特性を有するシリコーン剥離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41349B2 (en) * 2002-06-10 2006-05-09 Oji Paper Co., Ltd. Thermal transfer image recording composite sheet
JP4488916B2 (ja) * 2005-01-26 2010-06-23 王子特殊紙株式会社 修正テープ用両面離型フィルム
CN101946196B (zh) * 2008-02-25 2012-09-19 三菱树脂株式会社 离型膜
WO2012077571A1 (ja) * 2010-12-07 2012-06-14 東洋紡績株式会社 モールド工程用離型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2224011A (ja) * 2011-04-21 2012-11-15 Lintec Corp 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製造工程用の剥離フィルム
CN104129128A (zh) * 2014-08-01 2014-11-05 苏州袭麟光电科技产业有限公司 一种抗静电离型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7689A (ja) 2004-06-29 2006-01-12 Toray Advanced Film Co Ltd 離型フィルム
JP2008265227A (ja) 2007-04-24 2008-11-06 Mitsubishi Plastics Ind Ltd 離型フィルム
JP2012027260A (ja) * 2010-07-23 2012-02-09 Dainippon Printing Co Ltd 偏光シート積層体
JP2012136612A (ja) 2010-12-27 2012-07-19 Mitsubishi Plastics Inc 基材レス両面粘着シート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3208897A (ja) 2012-02-09 2013-10-10 Skc Haas Display Films Co Ltd 向上した剥離および抗ブロッキング特性を有するシリコーン剥離フィル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8916A (ko) * 2021-03-14 2022-09-22 샨동 솅통 옵틱스 매트리얼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세라믹 커패시터 이형 필름용 베이스 필름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78311B (zh) 2022-09-21
JP6147284B2 (ja) 2017-06-14
JP2016165825A (ja) 2016-09-15
KR20160110082A (ko) 2016-09-21
KR101836212B1 (ko) 2018-03-08
CN105950041A (zh) 2016-09-21
TWI681875B (zh) 2020-01-11
TW201639703A (zh) 2016-11-16
CN105950041B (zh) 2020-07-14
TW202010812A (zh) 2020-03-16
KR101987643B1 (ko) 201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7643B1 (ko) 박리성이 우수한 이형 필름
KR101968935B1 (ko) 박리성이 우수한 이형 필름
TWI716540B (zh) 具有優良剝離性之脫模膜
JP6251111B2 (ja) 両面粘着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情報表示画面用の保護部材
WO2003008134A2 (en) Surface protection film
WO2012144352A1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6694981B2 (ja) 剥離性に優れた離型フィルム
JP6427777B2 (ja) 両面粘着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情報表示画面用の保護部材
JP2004082371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TW201805157A (zh) 表面保護膜及貼有該膜之光學元件
JP2005066919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6160322A (ja) 両面粘着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情報表示画面用の保護部材
JP2016222791A (ja) 両面粘着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情報表示画面用の保護部材
JP6407351B2 (ja) 積層フィルム
JP6383968B2 (ja) 両面粘着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情報表示画面用の保護部材
JP2016102136A5 (ko)
TW202307158A (zh) 具有抗靜電性能之透明抗熱黏著劑膠帶及其使用方法
JP2020116888A (ja) 剥離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