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6540A - 제어 스위치 기구, 트리거 스위치 및 전동 공구 - Google Patents

제어 스위치 기구, 트리거 스위치 및 전동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6540A
KR20180026540A KR1020187005050A KR20187005050A KR20180026540A KR 20180026540 A KR20180026540 A KR 20180026540A KR 1020187005050 A KR1020187005050 A KR 1020187005050A KR 20187005050 A KR20187005050 A KR 20187005050A KR 20180026540 A KR20180026540 A KR 20180026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optical sensor
amount
light receiving
receiv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5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2455B1 (ko
Inventor
미노루 코바야시
유사쿠 야마사키
코지 오모리
백정호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26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6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FCOMBINATION OR MULTI-PURPOSE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Details or components of portable power-driven tools not particularly related to the operations performed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F5/006Vibration damp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5/00Switches operated by change of a physic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78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using opto-electronic devices, i.e. light-emitting and photoelectric devices electrically- or optically-couple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5Switches controlled by moving an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
    • H03K17/968Switches controlled by moving an element forming part of the switch using opto-electronic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22Miscellaneous with opto-electronic swi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 Portable Power Tool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진성 및 내구성을 가지며,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제어 스위치 기구, 트리거 스위치 및 전동 공구를 제공한다. 제어 스위치 기구(20)는, 발광 소자(21a)와 수광 소자(21b)를 갖는 광학 센서(21)와, 수광 소자(21b)의 수광량을 증감시키는 반사판(22)을 구비한다. 광학 센서(21)와 반사판(22)이 서로 상대 이동함에 의한 수광 소자(21b)의 수광량의 증감에 수반하여 동작 기기의 출력을 증감 제어한다.

Description

제어 스위치 기구, 트리거 스위치 및 전동 공구
본 발명은, 동작 기기의 출력을 증감 제어하는 제어 스위치 기구, 트리거 스위치 및 전동 공구에 관한 것이다.
트리거 스위치는, 예를 들면 전동 톱 등의 전동 공구용으로 설계된 스위치로서, 조작부 형상이 방아쇠(Trigger)와 비슷하기 때문에 트리거 스위치라고 불리고 있다. 트리거 스위치에는, 모터 회전수를 무단 변속 제어할 수 있는 속도 제어부 트리거 스위치도 개발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전동 톱 날의 회전 속도를 증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속도 제어부 트리거 스위치(100)로서, 제어 회로 기판(101)에 마련된 가변 저항부(102)에 활주 접점(103)을 활주시킴에 의해 저항 변화에 의해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활주 접점(103)을 채용한 속도 제어부 트리거 스위치(100)에서는 활주 접점(103) 및 가변 저항부(102)에 기계적 마모, 기계적 소모 및 진동에 의한 도통 불량이 발생하여 활주 접점(103) 및 가변 저항부(102)의 기계적 수명이 단명하게 되고 출력이 불안정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전동 공구용 트리거 스위치가 제안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전동 공구용 트리거 스위치(200)는, 케이스(201)의 내부에 조립되고, 또한 트리거 레버(202)의 인입 조작에 연동하여 이동하는 활주 조작부(210)를 구비하고 있다. 활주 조작부(210)는, 속도 제어부(211)의 측면에 장착된 영구자석(212)을 구비하고 있음과 함께, 영구자석(212)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자계 센서(221)를 구비한 회로 기판(220)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전동 공구용 트리거 스위치(200)에서는 트리거 레버(202)의 인입 조작에 연동하여 속도 제어부(211)가 인입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에, 자계 센서(221)가 받는 자계가 변화함에 의한 신호를 발생시키고, 그 발생한 신호에 의거하여 모터의 속도 제어를 하도록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 공보 2012-245605호 (2012년 12월 13일 공개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전동 공구용 트리거 스위치(200)에서는 이하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즉, 종래의 자석과 자계 센서를 이용한 속도 제어 부착 트리거 스위치에서는 모터 속도 제어부에 활주 접점을 이용할 필요가 없는 것이지만, 자력을 발생시키는 자석이 반드시 필요해진다. 그러나, 자석은 고온·고진동 영역 등 외부 환경하에서의 사용에서는 자력 열화 등의 경시 열화가 우려되고, 그 결과 오동작한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내진성 및 내구성을 가지며,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제어 스위치 기구, 트리거 스위치 및 전동 공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관한 제어 스위치 기구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를 갖는 광학 센서와, 상기 수광 소자의 수광량을 증감시키는 기계적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광학 센서와 상기 기계적 구조가 서로 상대 이동함에 의한 상기 수광 소자의 수광량의 증감에 수반하여 동작 기기의 출력을 증감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관한 트리거 스위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제어 스위치 기구를 구비한 트리거 스위치로서, 상기 수광 소자의 수광량의 증감 변화로서, 트리거 레버의 인입 조작에 연동하는 상기 수광량의 증감 변화에 수반하여 동작 기기의 출력을 증감시키는 출력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관한 전동 공구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트리거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의하면 내진성 및 내구성을 가지며,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제어 스위치 기구, 트리거 스위치 및 전동 공구를 제공한다는 효과를 이룬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제어 스위치 기구를 구비한 트리거 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2의 (a)는 상기 트리거 스위치에서의 반사판의 경사의 한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b)는 상기 트리거 스위치에서의 반사판의 경사의 한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의 (a)는 상기 트리거 스위치에서의 반사판의 다른 경사의 한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b)는 상기 트리거 스위치에서의 반사판의 다른 경사의 한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4는 상기 트리거 스위치에서의 반사판의 변형례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트리거 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의 (a)는 상기 트리거 스위치에서의 트리거 레버의 인입 전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b)는 상기 트리거 스위치에서의 트리거 레버의 인입 후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활주 접점을 구비한 종래의 트리거 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자력 센서를 구비한 종래의 다른 트리거 스위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실시의 형태 1]
본 발명의 한 실시의 형태에 관해 도 1 내지 도 4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한 양태에 관한 제어 스위치 기구를 전동 공구의 트리거 스위치에 적용한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또한, 전동 공구로서는, 예를 들면 전동 톱 또는 전동 드릴 등에의 적용이 가능하다.
본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제어 스위치 기구를 구비한 트리거 스위치(1)의 구성에 관해 도 1∼도 3의 (a) (b)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제어 스위치 기구(20)를 구비한 트리거 스위치(1)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1에서는 내부 구조를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하우징(10)의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2의 (a)는 트리거 스위치(1)에서의 반사판의 경사의 한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의 (b)는 트리거 스위치(1)에서의 반사판(22)의 경사의 한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의 (a)는 트리거 스위치(1)에서의 반사판(22)의 다른 경사의 한 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의 (b)는 트리거 스위치(1)에서의 반사판(22)의 다른 경사의 한 예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트리거 시켜서 스위치(1)는, 제1 커버(11a)와 제2 커버(11b)와 제3 커버(11c)를 조합형성된 하우징(10) 내에, 프린트 기판(13), 플런저(14), 복귀 스프링(15) 및 제어 스위치 기구(2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외부에는, 트리거 레버(16) 및 주름상자형상 통체(17)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 커버(11a) 및 제2 커버(11b)의 트리거 레버(16)측에는, 원형상의 개구부(10a)가 형성되어 있고, 원형상의 개구부(10a)에는, 상기 주름상자형상 통체(17)가 삽입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 커버(11a)의 단부에는, 폴부(10b·10b)가 마련되어 있고, 제3 커버(11c)에 마련된 폴 계합부(12·12)가 제1 커버(11a)의 폴부(10b·10b)에 계합함에 의해 하우징(10)이 일체로 조합하여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하우징(10)의 내부는 밀봉되어 있고, 광을 투과하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있다.
하우징(10)의 내부에는, 프린트 기판(13)과 플런저(14)와, 복귀 스프링(15)과, 제어 스위치 기구(20)가 마련되어 있다.
프린트 기판(13)은, 제3 커버(11c) 및 제1 커버(11a)에 고정되어 있고, 본 발명의 한 양태에 관한 출력 제어부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또한, 프린트 기판(13)의 하측에는, 발광 소자(21a) 및 수광 소자(21b)로 이루어지는 광학 센서(21)가 마련되어 있다. 이 광학 센서(21)는 밀봉된 하우징(10)에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미광(迷光)이 들어가지 않도록 되어 있다.
플런저(14)는, 트리거 레버(16)의 인입 동작에 수반하여 주름상자형상 통체(17)를 통하여 주름상자형상 통체(17)의 선단이 플런저(14)에 당접하여 제3 커버(11c)측으로 이동되는 이동체이다. 플런저(14)와 제3 커버(11c)와의 사이에는, 예를 들면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복귀 스프링(15)이 마련되어 있고, 복귀 스프링(15)은, 플런저(14)가 제3 커버(11c)측으로 이동한 때에, 이 이동력에 반하여 플런저(14)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기 위한 복귀력을 가세하도록 되어 있다.
플런저(14)의 이동 방향의 측면에는, 도 2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경사면(22a)을 갖는 반사판(22)이 형성되어 있고, 이 반사판(22)은, 플런저(14)의 진퇴 이동에 수반하여 진퇴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반사판(22)은, 발광 소자(21a)로부터 출사된 광을 반사하고, 수광 소자(21b)에 그 반사광을 수광시키는 것이고, 본 발명의 한 양태에 관한 기계적 구조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트리거 스위치(1)에서는 발광 소자(21a) 및 수광 소자(21b)를 구비한 광학 센서(21)와 반사판(22)에 의해 제어 스위치 기구(20)가 구성되어 있다. 이 제어 스위치 기구(20)는, 광학 센서(21)와 반사판(22)이 서로 상대 이동함에 의한 수광 소자(21b)의 수광량의 증감에 수반하여 예를 들면 전동 톱 등의 전동 공구의 동작 기기인 도시하지 않은 모터의 출력을 증감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트리거 레버(16)를 인입 조작함에 의해 주름상자형상 통체(17)를 통하여 플런저(14)를 제3 커버(11c)측으로 진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발광 소자(21a)로부터 반사판(22)의 경사면(22a)까지의 거리가 변한다. 이것은, 예를 들면 발광 소자(21a)로부터 반사판(22)의 경사면(22a)까지의 거리가 크면 수광 소자(21b)의 수광량이 작지만, 발광 소자(21a)로부터 반사판(22)의 경사면(22a)까지의 거리가 작으면 수광 소자(21b)의 수광량이 커지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경사면(22a)은, 제3 커버(11c)측에서는 발광 소자(21a)로부터의 거리가 멀고, 제3 커버(11c)와는 반대의 방향측에서는 발광 소자(21a)로부터의 거리가 가까워지도록 경사되어 있다.
이 결과 트리거 레버(16)를 인입 조작함에 의해 주름상자형상 통체(17)를 통하여 플런저(14)를 제3 커버(11c)측으로 진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발광 소자(21a)로부터 경사면(22a)까지의 거리가 작아지도록 천이한다. 따라서 트리거 레버(16)를 인입하면 인입할 수록 수광 소자(21b)의 수광량이 커진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의 트리거 스위치(1)에서는 수광 소자(21b)의 수광량의 변화를 프린트 기판(13)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출력 제어부에 의해 예를 들면 전동 톱 등의 전동 공구의 동작 기기인 도시하지 않은 모터의 출력을 증가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그 결과 트리거 레버(16)의 인입을 크게 하면 할수록 모터의 출력이 커지고, 전동 톱 날의 예를 들면 회전 속도가 커지도록 되어 있다.
단, 본 발명의 한 양태에서는 반드시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경사면(22a)의 경사 방향을 역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트리거 레버(16)를 인입 조작함에 의해 수광 소자(21b)의 수광량을 작게 하여 모터의 출력을 작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반사판(22)의 경사면(22a)의 경사각도는, 광학 센서(21)의 이동량에 대응하여 조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사판(22)의 경사면(22a)의 경사각도를 크게 하면 광학 센서(21)와 반사판(22)과의 서로의 상대 이동량이 작아도 모터의 출력을 즉석에서 증감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사판(22)의 경사면(22a)의 경사각도를 작게 하면 광학 센서(21)와 반사판(22)과의 서로의 상대 이동량이 커도 모터의 출력을 차분하게 증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도 2의 (a) (b) 및 도 3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사판(22)의 경사면(22a)의 경사각도가 조정된 것을 설명하고 있지만, 반드시 경사각도만이 아니고, 깊이 방향의 거리 즉 광학 센서(21)로부터 반사판(22)까지의 거리도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플런저(14)의 짧은 이동으로 수광 소자(21b)의 수광량의 변화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반사판(22)의 경사면(22a)은, 반드시 평면이 아니라, 본 발명의 한 양태에서는 예를 들면 곡면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해 광학 센서(21)의 감도 특성이 비선형인 경우에, 반사판(22)의 이동량에 응한 수광 소자(21b)의 수광량의 출력 특성을 소망하는 상태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본 실시의 형태의 트리거 스위치(1)에서는 발광 소자(21a) 및 수광 소자(21b)를 구비한 광학 센서(21)를 프린트 기판(13)에 고정하여 두는 한편, 플런저(14)에 반사판(22)을 고정하여 두고, 트리거 레버(16)의 인입 조작에 수반하여 플런저(14)를 진출 이동시켜, 반사판(22)을 진출 이동시키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한 양태에서는 반드시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반사판(22)을 프린트 기판(13)에 고정하여 두고, 광학 센서(21)를 플런저(14)에 고정하여 그 플런저(14)와 함께 광학 센서(21)를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광학 센서(21)를 반사판(2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면 모터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수광 소자(21b)의 수광량의 크기에 응하여 모터의 출력을 증대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한 양태에서는 반드시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수광 소자(21b)의 수광량의 크기에 응하여 모터의 출력을 감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의 제어 스위치 기구(20)에서는 반사판(22)의 반사율은, 반사판(22)의 재질, 표면 처리 또는 색을 바꿈에 따라 다르다. 반사판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프로플렌 수지,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표면 처리를 행함에 의해 예를 들면 광학 센서(21)의 감도가 가장 좋은 광량이 되도록 즉 반사판(22)의 진출 이동에 수반하여 광량 변화가 적절하게 행하여지고, 또한, 광학 센서(21)의 출력도 적확하게 변화하는 광량의 범위가 되도록 반사율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경사면(22a)의 색으로서는 백색계를 사용함에 의해 반사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반사판(22)의 영역에 응하여 표면 처리 및 색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해 반사판(22)의 진출 이동에 의해 반사광량을 소망하는 값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구성의 트리거 스위치(1)의 조작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트리거 레버(16)의 인입 조작을 행한다. 이에 의해 주름상자형상 통체(17)를 통하여 플런저(14)가 제3 커버(11c)측으로 진출 이동한다. 이때, 프린트 기판(13)에 고정된 광학 센서(21)에 대향하는 반사판(22)의 경사면(22a)도 진출 이동하기 때문에, 발광 소자(21a)와 경사면(22a)과의 거리가 점차로 작아진다. 그 결과 수광 소자(21b)의 수광량이 커지기 때문에, 모터의 출력이 커진다.
이 모터의 출력은, 트리거 레버(16)의 압입 조작을 도중에 멈추어서 압입(押入) 위치를 유지하면 그 위치에서의 모터 출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트리거 레버(16)를 최대한으로 압입한 상태에서는 모터 출력이 가장 커진다. 또한, 트리거 레버(16)의 가압력을 약하게 하면 복귀 스프링(15)에 의해 트리거 레버(16)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제어 스위치 기구(20)는, 발광 소자(21a) 및 수광 소자(21b)를 갖는 광학 센서(21)와, 수광 소자(21b)의 수광량을 증감시키는 기계적 구조를 구비하고, 광학 센서(21)와 기계적 구조가 서로 상대 이동함에 의한 수광 소자(21b)의 수광량의 증감에 수반하여 동작 기기의 출력을 증감 제어한다.
이 결과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발광 소자(21a) 및 수광 소자(21b)를 갖는 광학 센서(21)를 이용하여 비접점 방식에 의해 수광 소자(21b)의 수광량을 검출한다. 이 때문에, 접점 방식의 스위치가 아니기 때문에, 접점의 마모에 의해 내진성, 내구성 및 검출 정밀도가 뒤떨어진다는 일은 없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의 제어 스위치 기구(20)에서는 종래의 제어 스위치에서의 활주 접점부의 기계적 수명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활주 접점부에 의한 진동의 영향에 의한 단속적인 접촉 불량도 없기 때문에, 안정된 출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발광 소자(21a) 및 수광 소자(21b)를 갖는 광학 센서(21)에서는 고온·고진동 영역 등 외부 환경하에서의 사용에 있어서 경시 열화가 생긴다는 일도 없고, 나아가서는 자력 저하에 의해 출력 전압이 저하 또는 변동하고, 오동작 또는 특성이 변화, 편차가 크게 된다는 일도 없다. 이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서 제어 스위치 기구(20)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내진성 및 내구성을 가지며,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제어 스위치 기구(20)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스위치 기구로서 자계 센서를 이용한 경우에는, 내장되어 있는 영구자석의 두께가 두꺼운 쪽이 자력이 커지고, 또한 경시 변화도 발생하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그 결과 검출을 위해 넓은 공간이 필요해진다. 이에 대해 광학 센서(21)를 이용한 경우에는, 발광 소자(21a) 및 수광 소자(21b)와 광이 통과한 영역이 있으면 족하고, 발광 소자(21a) 및 수광 소자(21b)와 반사판(22)과의 거리도 작은 것으로 족하다. 이 결과 자계 센서 방식에 비하여 스페이스 절약화의 실현이 가능해진다. 또한, 자계 센서와 영구자석과의 간격에 관해서도 단순하지 않다는 것을 고려하면 광학 센서(21)를 이용한 쪽이 구조가 간단하고, 검출 정밀도도 높고, 취급하기 쉽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의 제어 스위치 기구(20)에서는 광학 센서(21)와 기계적 구조가 서로 상대 이동함에 의해 수광 소자(21b)의 수광량을 단조롭게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광학 센서(21)와 경사면(22a)을 갖는 반사판(22)이 서로 상대 이동함에 의해 발광 소자(21a)로부터 반사판(22)까지의 거리가 단조롭게 변화하고, 수광 소자(21b)의 수광량이 단조롭게 증가 또는 감소한다.
이 결과 수광 소자(21b)의 수광량의 단조로운 증가 또는 감소의 변화에 의거하여 모터의 출력을 증가 또는 감소한 등의 동작 기기의 출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의 제어 스위치 기구(20)는, 광학 센서(21)는, 반사형 광학 센서로 되어 있음과 함께, 기계적 구조는, 발광 소자(21a)의 대향 위치에 설치된 반사판(22)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반사형의 광학 센서(21)에 의한 제어 스위치 기구(20)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의 제어 스위치 기구(20)에서는 반사판(22)은, 발광 소자(21a)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광축에 수직한 평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반사판(22)의 경사각도가 소정의 각도로 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적 단순한 구성의 반사판(22)에 의해 동작 기기의 출력의 증감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의 제어 스위치 기구(20)에서는 반사판(22)은, 발광 소자(21a)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광축에 수직한 평면에 대해 경사하여 있고, 반사판(22)의 경사각도는, 광학 센서(21)와 반사판(22)과의 서로의 상대 이동량에 대응하여 반사판(22)의 영역에 응하여 다르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반사판(22)의 경사각도가 반사판(22)의 영역에 응하고 다르다는 것은, 반사판(22)의 상대 이동량의 전체적 영역에서 반사판(22)의 경사각도가 변화하고 있는 것을 포함하는 외에, 반사판(22)의 상대 이동량의 부분적 영역에서 반사판(22)의 경사각도가 변화하고 있는 것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반사판의 경사각도를 전체적 영역에서 또는 부분적 영역에서 변경함에 의해 상대 이동량에 대한 발광 소자로부터 반사판까지의 거리의 변화율을 수시로 변경하여 동작 기기의 출력의 증감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사판의 경사각도를 크게 하면 광학 센서와 기계적 구조와의 서로의 상대 이동량이 작아도 동작 기기의 출력을 즉석에서 증감시킬 수 있다. 한편, 반사판의 경사각도를 작게 하면 광학 센서와 기계적 구조와의 서로의 상대 이동량이 커도 동작 기기의 출력을 차분하게 증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의 제어 스위치 기구(20)에서는 반사판(22)의 재질, 표면 처리 또는 색을 바꿈에 의해 반사판(22)의 반사율이 다르다. 또한, 반사판(22)의 반사율이 반사판(22)의 영역에 응하여 다르다는 것은, 반사판(22)의 상대 이동량의 전체적 영역에서 반사판(22)의 재질, 표면 처리 또는 색을 바꾸는 것을 포함하는 외에, 반사판(22)의 상대 이동량의 부분적 영역에서 반사판(22)의 재질, 표면 처리 또는 색을 바꾸는 것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반사판(22)의 재질, 표면 처리 또는 색을 바꿈에 의해 반사판(22)의 반사율을 변경하여 광학 센서(21)의 검출 능력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광학 센서(21)의 특성에 응한 적절한 반사광량이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반사판(22)의 재질에는, 재료의 밀도, 경도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의 형태의 제어 스위치 기구(20)는, 반사판(22)이 경사면(22a)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한 양태에서는 반드시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사판(22)을 계단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광학 센서(21)와 계단형상의 반사판(22)이 서로 상대 이동함에 의해 발광 소자(21a)로부터 반사판(22)까지의 거리가 계단형상으로 변화하고, 수광 소자(21b)의 수광량이 계단형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한다.
이 결과 수광 소자(21b)의 수광량의 계단형상의 증가 또는 감소의 변화에 의거하여 모터의 출력을 단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는 등의 동작 기기의 출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의 형태 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의 형태에 관해 도 5 및 도 6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하는 것 이외의 구성은, 상기 실시의 형태 1과 같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상기한 실시의 형태 1의 도면에 도시한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실시의 형태 1의 트리거 스위치(1)에서는 광학 센서(21)는 투과형 광학 센서로 되어 있음과 함께, 발광 소자(21a)의 대향 위치에 마련된 반사판(22)으로 이루어지는 기계적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이에 대해 본 실시의 형태의 트리거 스위치(2)에서는 광학 센서(31)는 투과형 광학 센서로 되어 있음과 함께, 발광 소자(31a) 및 수광 소자(31b)와의 사이에 마련된 차폐판으로 이루어지는 기계적 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점이 다르다.
본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제어 스위치 기구(30)를 구비한 트리거 스위치(2)의 구성에 관해 도 5 및 도 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제어 스위치 기구(30)를 구비한 트리거 스위치(2)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5에서는 내부 구조를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하우징(10)의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6의 (a)는 트리거 스위치(2)에서의 트리거 레버(16)의 인입 전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의 (b)는 트리거 스위치(2)에서의 트리거 레버(16)의 인입 후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트리거 스위치(2)는 밀봉된 상태의 하우징(10) 내에, 제어 스위치 기구(30)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제어 스위치 기구(30)는, 플런저(14)의 이동 방향의 측면에 마련된, 슬릿(33)을 갖는 기계적 구조로서의 차폐판(32)과, 이 차폐판(32)을 끼우고 양측에 마련된 발광 소자(31a) 및 수광 소자(31b)를 갖는 광학 센서(31)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의 형태의 제어 스위치 기구(30)에서는 광학 센서(31)가 투과형 광학 센서를 채용하고 있다.
상기 슬릿(33)은, 트리거 레버(16)측이 제3 커버(11c)측과 비교하여 개구면적이 커지는 단면 삼각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트리거 레버(16)를 인입 조작함에 의해 주름상자형상 통체(17)를 통하여 플런저(14)를 제3 커버(11c)측으로 진출 이동시킨 때에, 슬릿(33)을 갖는 차폐판(32)도 제3 커버(11c)측으로 진출 이동한다.
한편, 차폐판(32)을 끼우고 양측에 마련된 발광 소자(31a) 및 수광 소자(31b)를 갖는 광학 센서(31)는, 도시하지 않은 프린트 기판(13)에 고정되어 있다.
이 결과 도 6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폐판(32)의 제3 커버(11c)측으로의 진출 이동에 수반하여 슬릿(33)의 개구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슬릿(33)을 통과하는 발광 소자(31a)로부터 수광 소자(31b)로의 투과 광량이 증대한다. 따라서 차폐판(32)의 제3 커버(11c)측으로의 진출 이동에 수반하여 수광 소자(21b)의 수광량이 커진다. 즉, 트리거 레버(16)를 인입하면 인입할 수록 수광 소자(21b)의 수광량이 커진다.
그리고, 본 실시의 형태의 트리거 스위치(2)에서는 수광 소자(21b)의 수광량의 변화를 도시하지 않은 프린트 기판(13)에 마련된 도시하지 않은 출력 제어부에 의해 예를 들면 전동 톱 등의 전동 공구의 동작 기기인 도시하지 않은 모터의 출력을 증가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그 결과 트리거 레버(16)의 인입을 크게 하면 할수록 모터의 출력이 커지고, 전동 톱 날의 예를 들면 회전 속도가 커지도록 되어 있다.
단, 본 발명의 한 양태에서는 반드시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슬릿(33)의 삼각형 개구의 방향을 진퇴 방향에 관해 역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의해 트리거 레버(16)를 인입 조작함에 의해 수광 소자(21b)의 수광량을 작게 하고, 모터의 출력을 작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제어 스위치 기구(30)는, 차폐판(32)에는, 발광 소자(31a)로부터의 출사광이 통과하는 슬릿(33)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차폐판(32)의 슬릿(33)의 개구면적은, 광학 센서(31)와 차폐판(32)과의 서로의 상대 이동량에 대응하여 차폐판(32)의 영역에 응하여 다르다. 또한, 차폐판(32)의 슬릿(33)의 개구면적이 차폐판(32)의 영역에 응하여 다르다는 것은, 차폐판(32)의 상대 이동량의 전체적 영역에서 차폐판(32)의 슬릿의 개구면적이 변화하고 있는 것을 포함하는 외에, 차폐판(32)의 상대 이동량의 부분적 영역에서 차폐판(32)의 슬릿(33)의 개구면적이 변화하고 있는 것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광학 센서(31)와 차폐판(32)과의 서로의 상대 이동량에 대한, 차폐판(32)의 슬릿(33)의 개구면적의 크기가 변하기 때문에, 수광 소자(21b)의 수광량의 증감 제어를 행하여 모터의 출력의 증감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의 트리거 스위치(2)에서는 발광 소자(31a) 및 수광 소자(31b)를 구비한 광학 센서(31)를 프린트 기판(13)에 고정하여 두는 한편, 플런저(14)에 차폐판(32)을 고정하여 두고, 트리거 레버(16)의 인입 조작에 수반하여 플런저(14)를 진출 이동시켜, 차폐판(32)을 진출 이동시키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한 양태에서는 반드시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차폐판(32)을 프린트 기판(13)에 고정하여 두고, 광학 센서(31)를 플런저(14)에 고정하여 그 플런저(14)와 함께 광학 센서(31)를 진퇴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광학 센서(31)를 차폐판(32)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면 모터의 출력을 증가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수광 소자(31b)의 수광량의 크기에 응하여 모터의 출력을 증대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한 양태에서는 반드시 이것으로 한하지 않고, 수광 소자(31b)의 수광량의 크기에 응하여 모터의 출력을 감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설명에서는 차폐판(32)은, 슬릿(33)을 갖고 있지만, 슬릿(33)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슬릿(33)이 없는 차폐판(32)에 발광 소자(31a)와 수광 소자(31b)와의 사이를 차폐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의해서도, 수광 소자(21b)의 수광량을 증감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차폐판(32)에 슬릿(33)이 없는 경우에는, 차폐판(32)의 재질, 표면 처리 또는 색을 바꿈에 의해 차폐판(32)의 투과율을 변경하여 수광 소자(31b)의 수광량의 증감 제어를 할 수가 있다. 이 경우, 차폐판(32)의 투과율을 변경한다는 것은, 차폐판(32)의 상대 이동량의 전체적 영역에서 차폐판(32)의 재질, 표면 처리 또는 색을 바꾸는 것을 포함하는 외에, 차폐판(32)의 상대 이동량의 부분적 영역에서 차폐판(32)의 재질, 표면 처리 또는 색을 바꾸는 것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제어 스위치 기구(30)에서는 광학 센서(31)는, 투과형 광학 센서로 되어 있다. 그리고, 기계적 구조는, 발광 소자(31a)와 수광 소자(31b)와의 사이에 마련되고, 광학 센서(31)와 기계적 구조가 서로 상대 이동함에 의해 수광 소자(21b)의 수광량을 증감시키는 차폐판(32)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투과형 광학 센서를 이용하여 투과형의 광학 센서(31)에 의한 제어 스위치 기구(30)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트리거 스위치(1·2) 및 전동 공구는, 제어 스위치 기구(20·30)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내진성 및 내구성을 가지며,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제어 스위치 기구(20·30)를 구비한 트리거 스위치(1·2) 및 전동 공구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한 양태에 관한 제어 스위치 기구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를 갖는 광학 센서와, 상기 수광 소자의 수광량을 증감시키는 기계적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광학 센서와 상기 기계적 구조가 서로 상대 이동함에 의한 상기 수광 소자의 수광량의 증감에 수반하여 동작 기기의 출력을 증감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종래, 제어 스위치 기구로서, 예를 들면 활주 접점 방식이 존재하고 있지만, 활주 접점의 기계적 수명이 단명으로 되고 출력이 불안정하게 된 문제가 있다. 또한, 비접촉 방식을 채용하는 것으로서고, 자석을 이용하는 것이 있지만, 자력 열화 등의 경시 열화의 문제가 있고, 어느 것으로 하여도 내구성능이 뒤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한 양태에서는 제어 스위치 기구는,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를 갖는 광학 센서와, 수광 소자의 수광량을 증감시키는 기계적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광학 센서와 기계적 구조가 서로 상대 이동함에 의한 수광 소자의 수광량의 증감에 수반하여 동작 기기의 출력을 증감 제어한다.
이 결과 본 발명의 한 양태에서는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를 갖는 광학 센서를 이용하여 비접점 방식에 의해 수광 소자의 수광량을 검출한다. 이 때문에, 접점 방식의 스위치가 아니기 때문에, 접점의 마모에 의해 내구성이 악화한다는 일은 없다.
또한,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를 갖는 광학 센서에서는 고온·고진동 영역 등 외부 환경하에서의 사용에 있어서 경시 열화가 생긴다는 일도 없고, 나아가서는 오동작한다는 일 없다.
따라서 내진성 및 내구성을 가지며,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제어 스위치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양태에 관한 제어 스위치 기구는, 상기 제어 스위치 기구에서, 상기 기계적 구조는, 상기 광학 센서와 상기 기계적 구조가 서로 상대 이동함에 의해 상기 수광 소자의 수광량을 단조롭게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기계적 구조로서, 예를 들면 발광 소자의 대향면에 경사면을 갖는 반사판을 설치하여 둘 수 있다. 이에 의해 광학 센서와 경사면을 갖는 반사판이 서로 상대 이동함에 의해 발광 소자로부터 반사판까지의 거리가 단조롭게 변화하고, 수광 소자의 수광량이 단조롭게 증가 또는 감소한다.
이 결과 수광 소자의 수광량이 단조로운 증가 또는 감소의 변화에 의거하여 모터의 출력을 증가 또는 감소한 등의 동작 기기의 출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양태에 관한 제어 스위치 기구는, 상기 제어 스위치 기구에서, 상기 기계적 구조는, 상기 광학 센서와 상기 기계적 구조가 서로 상대 이동함에 의해 상기 수광 소자의 수광량을 계단형상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기계적 구조로서, 예를 들면 발광 소자의 대향면에, 계단형상으로 거리가 변화하는 반사판을 설치하여 둘 수 있다. 이에 의해 광학 센서와 계단형상으로 거리가 변화하는 반사판이 서로 대 이동함에 의해 발광 소자로부터 반사판까지의 거리가 계단형상으로 변화하고, 수광 소자의 수광량이 계단형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한다.
이 결과 수광 소자의 수광량의 계단형상의 증가 또는 감소의 변화에 의거하여 모터의 출력을 단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한 등의 동작 기기의 출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양태에 관한 제어 스위치 기구는, 상기 제어 스위치 기구에서, 상기 광학 센서는, 반사형 광학 센서로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기계적 구조는, 상기 발광 소자의 대향 위치에 마련된 반사판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반사형 광학 센서를 이용하여 반사형의 광학 센서에 의한 제어 스위치 기구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양태에 관한 제어 스위치 기구는, 상기 제어 스위치 기구에서, 상기 반사판은,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광축에 수직한 평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반사판의 경사각도가 소정의 각도로 되어 있기 때문에, 비교적 단순한 구성의 반사판에 의해 동작 기기의 출력의 증감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양태에 관한 제어 스위치 기구는, 상기 제어 스위치 기구에서, 상기 반사판은,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광축에 수직한 평면에 대해 경사하고 있고, 상기 반사판의 경사각도는, 상기 광학 센서와 상기 기계적 구조와의 서로의 상대 이동량에 대응하여 상기 반사판의 영역에 응하여 다르다. 또한, 반사판의 경사각도가 반사판의 영역에 응하여 다르다는 것은, 반사판의 상대 이동량의 전체적 영역에서 반사판의 경사각도가 변화하고 있는 것을 포함하는 외에, 반사판의 상대 이동량의 부분적 영역에서 반사판의 경사각도가 변화하고 있는 것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반사판의 경사각도를 전체적 영역에서 또는 부분적 영역에서 변경함에 의해 상대 이동량에 대한 발광 소자로부터 반사판까지의 거리의 변화율을 수시로 변경하여 동작 기기의 출력의 증감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사판의 경사각도를 크게 하면 광학 센서와 기계적 구조와의 서로의 상대 이동량이 작아도 동작 기기의 출력을 즉석에서 증감시킬 수 있다. 한편, 반사판의 경사각도를 작게 하면 광학 센서와 기계적 구조와의 서로의 상대 이동량이 커도 동작 기기의 출력을 차분하게 증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양태에 관한 제어 스위치 기구는, 상기 제어 스위치 기구에서, 상기 반사판의 재질, 표면 처리 또는 색을 바꿈에 의해 상기 반사판의 반사율이 상기 반사판의 영역에 응하여 다르다. 또한, 반사판의 반사율이 반사판의 영역에 응하여 다르다는 것은, 반사판의 상대 이동량의 전체적 영역에서 반사판의 재질, 표면 처리 또는 색을 바꾸는 것을 포함하는 외에, 반사판의 상대 이동량의 부분적 영역에서 반사판의 재질, 표면 처리 또는 색을 바꾸는 것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반사판의 재질, 표면 처리 또는 색을 바꿈에 의해 반사판의 반사율을 변경하여 광학 센서의 검출 능력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광학 센서의 특성에 응한 적절한 반사광량이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양태에 관한 제어 스위치 기구는, 상기 제어 스위치 기구에서, 상기 광학 센서는, 투과형 광학 센서로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기계적 구조는, 상기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와의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광학 센서와 상기 기계적 구조가 서로 상대 이동함에 의해 상기 수광 소자의 수광량을 증감시키는 차폐판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투과형 광학 센서를 이용하여 투과형의 광학 센서에 의한 제어 스위치 기구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종래, 투과형 광학 센서를 이용하여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된 광을 차폐판으로 차폐함에 의한 온·오프 타입의 스위치는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발광 소자와 차폐판을 서로 상대 이동시킴에 의해 수광 소자의 수광량을 증감시키는 제어 스위치 기구는 존재하지 않았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양태에 관한 제어 스위치 기구는, 상기 제어 스위치 기구에서, 상기 차폐판에는,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의 출사광이 통과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차폐판의 슬릿의 개구면적은, 상기 광학 센서와 상기 기계적 구조와의 서로의 상대 이동량에 대응하여 상기 차폐판의 영역에 응하여 다르다. 또한, 차폐판의 슬릿의 개구면적이 차폐판의 영역에 응하여 다르다는 것은, 차폐판의 상대 이동량의 전체적 영역에서 차폐판의 슬릿의 개구면적이 변화하고 있는 것을 포함하는 외에, 차폐판의 상대 이동량의 부분적 영역에서 차폐판의 슬릿의 개구면적이 변화하고 있는 것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광학 센서와 상기 기계적 구조와의 서로의 상대 이동량에 대한, 차폐판의 슬릿의 개구면적의 크기가 변하기 때문에, 수광 소자의 수광량의 증감 제어를 행하여 동작 기기의 출력의 증감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양태에 관한 제어 스위치 기구는, 상기 제어 스위치 기구에서, 상기 차폐판의 재질, 표면 처리 또는 색을 바꿈에 의해 상기 차폐판의 투과율이 상기 차폐판의 영역에 응하여 다르다. 또한, 차폐판의 투과율이 차폐판의 영역에 응하여 다르다는 것은, 차폐판의 상대 이동량의 전체적 영역에서 차폐판의 재질, 표면 처리 또는 색을 바꾸는 것을 포함하는 외에, 차폐판의 상대 이동량의 부분적 영역에서 차폐판의 재질, 표면 처리 또는 색을 바꾸는 것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차폐판에 개구부가 없는 경우에는, 차폐판의 재질, 표면 처리 또는 색을 바꿈에 의해 차폐판의 투과율을 변경하여 수광 소자의 수광량의 증감 제어를 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양태에 관한 트리거 스위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제어 스위치 기구를 구비한 트리거 스위치로서, 상기 수광 소자의 수광량의 증감 변화로서, 트리거 레버의 인입 조작에 연동하는 상기 수광량의 증감 변화에 수반하여 동작 기기의 출력을 증감시키는 출력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발명의 한 양태에 의하면 트리거 스위치는, 본 발명의 한 양태에 관한 제어 스위치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트리거 레버의 인입 조작을 행하면 트리거 레버의 인입 조작에 연동하여 기계적 구조에 의해 수광량이 증감한다. 그래서, 출력 제어부는, 이 수광 소자의 수광량의 증감 변화에 의해 동작 기기의 출력을 증감시킨다.
이 결과 내진성 및 내구성을 갖는 제어 스위치 기구를 구비한 트리거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양태에 관한 전동 공구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트리거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발명의 한 양태에 의하면 내진성 및 내구성을 갖는 제어 스위치 기구를 구비한 트리거 스위치를 구비한 전동 톱이나 전동 드릴 등의 전동 공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고, 다른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시켜서 얻어지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2 : 트리거 스위치 10 : 하우징
11a : 제1 커버 11b : 제2 커버
11c : 제3 커버 13 : 프린트 기판
14 : 플런저 15 : 복귀 스프링
16 : 트리거 레버 17 : 주름상자형상 통체
20·30 : 제어 스위치 기구 21·31 : 광학 센서
21a·31a : 발광 소자 21b·31b : 수광 소자
22 : 반사판(기계적 구조) 22a : 경사면
32 : 차폐판(기계적 구조) 33 : 슬릿

Claims (12)

  1.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를 갖는 광학 센서와,
    상기 수광 소자의 수광량을 증감시키는 기계적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광학 센서와 상기 기계적 구조가 서로 상대 이동함에 의한 상기 수광 소자의 수광량의 증감에 수반하여 동작 기기의 출력을 증감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스위치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구조는, 상기 광학 센서와 상기 기계적 구조가 서로 상대 이동함에 의해 상기 수광 소자의 수광량을 단조롭게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스위치 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구조는, 상기 광학 센서와 상기 기계적 구조가 서로 상대 이동함에 의해 상기 수광 소자의 수광량을 계단형상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스위치 기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센서는, 반사형 광학 센서로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기계적 구조는, 상기 발광 소자의 대향 위치에 마련된 반사판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스위치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광축에 수직한 평면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경사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스위치 기구.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광축에 수직한 평면에 대해 경사하고 있고,
    상기 반사판의 경사각도는, 상기 광학 센서와 상기 기계적 구조와의 서로의 상대 이동량에 대응하여 상기 반사판의 영역에 응하여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스위치 기구.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의 재질, 표면 처리 또는 색을 바꿈에 의해 상기 반사판의 반사율이 상기 반사판의 영역에 응하여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스위치 기구.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센서는, 투과형 광학 센서로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기계적 구조는, 상기 발광 소자와 수광 소자와의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광학 센서와 상기 기계적 구조가 서로 상대 이동함에 의해 상기 수광 소자의 수광량을 증감시키는 차폐판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스위치 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에는, 상기 발광 소자로부터의 출사광이 통과하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차폐판의 슬릿의 개구면적은, 상기 광학 센서와 상기 기계적 구조와의 서로의 상대 이동량에 대응하여 상기 차폐판의 영역에 응하여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스위치 기구.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의 재질, 표면 처리 또는 색을 바꿈에 의해 상기 차폐판의 투과율이 상기 차폐판의 영역에 응하여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 스위치 기구.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제어 스위치 기구를 구비한 트리거 스위치로서,
    상기 수광 소자의 수광량의 증감 변화로서, 트리거 레버의 인입 조작에 연동하는 상기 수광량의 증감 변화에 수반하여 동작 기기의 출력을 증감시키는 출력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 스위치.
  12. 제11항에 기재된 트리거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공구.
KR1020187005050A 2016-02-12 2016-11-21 제어 스위치 기구, 트리거 스위치 및 전동 공구 KR1019824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25351A JP6460001B2 (ja) 2016-02-12 2016-02-12 制御スイッチ機構、トリガースイッチ、及び電動工具
JPJP-P-2016-025351 2016-02-12
PCT/JP2016/084467 WO2017138213A1 (ja) 2016-02-12 2016-11-21 制御スイッチ機構、トリガースイッチ、及び電動工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540A true KR20180026540A (ko) 2018-03-12
KR101982455B1 KR101982455B1 (ko) 2019-05-27

Family

ID=59563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5050A KR101982455B1 (ko) 2016-02-12 2016-11-21 제어 스위치 기구, 트리거 스위치 및 전동 공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673433B2 (ko)
EP (1) EP3416177B1 (ko)
JP (1) JP6460001B2 (ko)
KR (1) KR101982455B1 (ko)
CN (1) CN108140503B (ko)
WO (1) WO20171382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42279C2 (en) * 2018-06-15 2020-03-31 Atlas Copco Ind Technique Ab Actuator arrangement for a power tool
CN109040373B (zh) * 2018-09-07 2021-04-2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
JP2022046337A (ja) * 2020-09-10 2022-03-23 オムロン株式会社 トリガスイッチ
CN112290491B (zh) * 2020-10-10 2022-01-18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清远供电局 一种电能计量联合接线盒防误碰绝缘装置
CN115798845A (zh) * 2022-11-15 2023-03-14 广东瑞讯电子科技有限公司 短距光学电位器模块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52871U (ko) * 1971-10-19 1973-07-09
JPH07176237A (ja) * 1993-12-20 1995-07-14 Sega Enterp Ltd 光学式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2007000982A (ja) * 2005-06-24 2007-01-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動工具のボリュームスイッチおよびそれを備える電動工具
CN101247120A (zh) * 2008-03-07 2008-08-20 李玉平 一种煤矿信息装置用按键
JP2012245605A (ja) 2011-05-31 2012-12-13 Satori S-Tech Co Ltd 電動工具用トリガー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45056Y2 (ko) * 1985-02-27 1989-12-26
JPH0650927Y2 (ja) * 1987-05-08 1994-12-21 オムロン株式会社 検出装置
JPH02165524A (ja) * 1988-12-16 1990-06-26 Omron Tateisi Electron Co 無接点スイッチ
US5008534A (en) 1988-08-30 1991-04-16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Contactless switch having translating focusing/defocusing lens
JPH0718108Y2 (ja) * 1989-07-20 1995-04-26 富士ゴム株式会社 光感圧スイッチ
JPH0410938U (ko) * 1990-05-17 1992-01-29
DE29817668U1 (de) * 1997-10-31 1999-01-07 Leopold Kostal GmbH & Co. KG, 58507 Lüdenscheid Vorrichtung zum Erfassen von Schaltstellungen eines mechanisch betätigbaren Schaltmittels
GB2382226A (en) 2001-11-20 2003-05-21 Black & Decker Inc Switch mechanism for a power tool
EP2139499A4 (en) * 2007-04-26 2010-05-05 Inspiration Biopharmaceuticals RECOMBINANT VITAMIN K-DEPENDENT PROTEINS WITH HIGH SIALIC ACID CONTEN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BRPI0921700B8 (pt) * 2008-11-06 2021-06-22 Novo Nordisk As dispositivo de administração de fármaco
CN104779109B (zh) 2014-01-13 2018-08-28 博世电动工具(中国)有限公司 电动工具的开关机构以及电动工具
US9502192B2 (en) * 2014-02-14 2016-11-22 Covidien Lp Surgical instruments with non-contact switch assemblies
DE102014004504B4 (de) * 2014-03-25 2016-06-23 Auma Riester Gmbh & Co. Kg Stellsignal-Übermittlungsvorrichtung, Stellantrieb und Verfahren zur Übermittlung eines Stellsignal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52871U (ko) * 1971-10-19 1973-07-09
JPH07176237A (ja) * 1993-12-20 1995-07-14 Sega Enterp Ltd 光学式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2007000982A (ja) * 2005-06-24 2007-01-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動工具のボリュームスイッチおよびそれを備える電動工具
CN101247120A (zh) * 2008-03-07 2008-08-20 李玉平 一种煤矿信息装置用按键
JP2012245605A (ja) 2011-05-31 2012-12-13 Satori S-Tech Co Ltd 電動工具用トリガー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140503A (zh) 2018-06-08
JP2017143052A (ja) 2017-08-17
CN108140503B (zh) 2019-04-19
EP3416177A4 (en) 2019-10-16
EP3416177B1 (en) 2020-03-25
KR101982455B1 (ko) 2019-05-27
JP6460001B2 (ja) 2019-01-30
US10673433B2 (en) 2020-06-02
US20190028100A1 (en) 2019-01-24
EP3416177A1 (en) 2018-12-19
WO2017138213A1 (ja) 2017-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2455B1 (ko) 제어 스위치 기구, 트리거 스위치 및 전동 공구
US8801206B2 (en) Light-emitting knob mechanism and an audio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US9837228B2 (en) Illuminated keyboard with optical switch
JP6392800B2 (ja) ドアハンドル
JP5764388B2 (ja) 電動工具用トリガースイッチ
JP2007000982A (ja) 電動工具のボリュームスイッチおよびそれを備える電動工具
KR101749295B1 (ko) 오토 헤드램프 레벨링 시스템용 액추에이터
US7429708B1 (en) Safety switch
JP2006277957A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US10699860B2 (en) Optical rocker switch
JP2018090065A (ja) スロットルグリップ装置
JP6126704B2 (ja) 可動部付電子部品
JP2008071643A (ja) スイッチ装置
KR101492573B1 (ko) 브레이크 페달센서 및 이를 이용한 신호생성방법
JP6478216B2 (ja) 照明装置及び車両用照明装置
JP7413603B2 (ja) プッシュ式入力装置およびプッシュ式シフタ装置
JP2005067228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JP2004318061A (ja) 光学装置及びレーザセンサ
KR20180117457A (ko) 비접촉 스위치 유닛
JP2005164649A (ja) 光学装置及び光電センサ
JP6812110B2 (ja) 発光装置、及び撮像装置
JP4544954B2 (ja) カメラ
JP6435908B2 (ja) 車両用灯具
JPS6210829Y2 (ko)
KR20230012290A (ko) 스위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