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6104A - 조리용기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조리용기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6104A
KR20180026104A KR1020160113072A KR20160113072A KR20180026104A KR 20180026104 A KR20180026104 A KR 20180026104A KR 1020160113072 A KR1020160113072 A KR 1020160113072A KR 20160113072 A KR20160113072 A KR 20160113072A KR 20180026104 A KR20180026104 A KR 201800261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late
cooking container
iron plate
liquid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49722B1 (ko
Inventor
이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랙큐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랙큐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랙큐브
Priority to KR1020160113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722B1/ko
Priority to JP2017084269A priority patent/JP2018033932A/ja
Publication of KR20180026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6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5Vessels with non-stick features, e.g.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1/00Making hollow objects
    • B21D51/16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 B21D51/18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vessels, e.g. tubs, vats, tanks, sinks, or the like
    • B21D51/22Making hollow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the objects vessels, e.g. tubs, vats, tanks, sinks, or the like pots, e.g. for coo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00Processes of grinding or polishing;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6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 B41M1/28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on met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ing And Chemical Polishing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컨베이어장치의 벨트를 따라 연속 이동되는 철판의 상, 하측에서 부식액이 선택적으로 고압 분사됨에 따라 조리용기의 일면 또는 양면 모두에 요철성형이 가능하고, 철판이 벨트를 따라 이동됨과 동시에 식각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고압 분사되는 부식액으로 인해 철판으로부터 식각 된 이물질이 즉시 제거됨에 따라 완성도 높은 요철부 성형이 가능한 조리용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기 제조방법은 원판형상으로 철판을 성형하여 준비하는 철판 준비단계와, 상기 철판의 가장자리를 유압 프레싱으로 가압하여 그 내부를 평탄하게 가공하는 철판가공단계와, 상기 철판의 가장자리에 부식방지액을 도포하는 부식방지액 도포단계와, 상기 부식방지액 도포단계에서 부식방지액을 도포하지 않은 상기 철판의 내부에 도안을 인쇄하는 도안 인쇄단계와, 도안이 인쇄된 상기 철판을 건조하는 건조단계와, 건조된 상기 철판에 부식액을 고압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 2 인쇄단계에서 도안이 인쇄되지 않은 부분을 식각하는 식각단계와, 식각 된 상기 철판을 세척 및 검사하는 세척 및 검사단계와, 세척과 검사가 이루어진 상기 철판을 조리용기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단계와, 상기 조리용기의 외부면을 코팅하는 코팅단계와, 코팅한 상기 조리용기를 연마하는 연마단계와, 연마한 상기 조리용기에 각종 부속품을 설치하는 조립단계가 포함된다.

Description

조리용기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COOKING VESSEL}
개시된 내용은 철판을 이용해 조리용기를 제조하는 조리용기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음식점이나 가정에서 음식물을 조리할 목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조리용기가 사용된다. 이러한 조리용기에는 프라이팬이나 냄비 등이 있는데 다양한 크기와 모양으로 제조되어 조리될 음식의 종류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조리용기는 보통 열전도와 강도를 위해 금속재질로 제조되고, 사용자가 안전하게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일측, 또는 양측에 구비되며, 조리중에 열 손실을 막아주고 음식물이 외부로 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덮개가 사용된다.
조리용기 제조에 사용되는 금속재로는 스테인리스소재, 주물소재, 또는 알루미늄합금소재 등이 사용되며, 그 내부면은 난-스틱(non-stick) 기능이 발휘될 수 있도록 세라믹 코팅제로 코팅 처리된다. 세라믹 코팅제의 경우 일정기간 사용하고 나면 음식물이 잘 눌러붙는 문제가 있어 테프론 코팅제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의 조리용기에는 전열면적 증대, 뛰어난 열 흡수, 긁힘이나 미끄러짐 방지 및 세척의 용이성과 같은 장점이 확보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의 요철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요철부는 조리용기에 부식방지액을 이용해 소정의 도안이 인쇄되게 한 뒤, 부식액을 이용해 부식방지액이 인쇄되지 않은 부분이 음각으로 식각되게 하고, 인쇄된 부분은 양각으로 남아있게 하는 방법으로 요철부가 형성되게 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부식방지액으로 소정 도안이 인쇄된 조리용기를 부식액에 함침하는 방식으로 요철부가 형성되게 하고 있다. 그런데 이렇게 조리용기를 함침 방식은 한번으로 완전한 요철부 식각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다수 회에 걸친 함침 작업이 이루어져야 해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조리용기로부터 식각 된 이물질이 제거되지 않고 요철부 내에 그대로 붙어 있어 완전한 상태의 요철부가 만들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04387호(2008.02.11) 2.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92095호(2014.04.28) 3.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451507호(2014.10.08)
요철 성형을 위해 부식방지액으로 도안이 인쇄된 철판이 컨베이어장치의 벨트를 따라 이동되고, 벨트의 상측과 하측에 부식액이 고압으로 분사되는 분사구들이 설치되는 조리용기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하나의 실시 예로서 개시된 내용은 원판형상으로 철판을 성형하여 준비하는 철판 준비단계와, 상기 철판의 가장자리를 유압 프레싱으로 가압하여 그 내부를 평탄하게 가공하는 철판가공단계와, 상기 철판의 가장자리에 부식방지액을 도포하는 부식방지액 도포단계와, 상기 부식방지액 도포단계에서 부식방지액을 도포하지 않은 상기 철판의 내부에 도안을 인쇄하는 도안 인쇄단계와, 도안이 인쇄된 상기 철판을 건조하는 건조단계와, 건조된 상기 철판에 부식액을 고압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 2 인쇄단계에서 도안이 인쇄되지 않은 부분을 식각하는 식각단계와, 식각 된 상기 철판을 세척 및 검사하는 세척 및 검사단계와, 세척과 검사가 이루어진 상기 철판을 조리용기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단계와, 상기 조리용기의 외부면을 코팅하는 코팅단계와, 코팅한 상기 조리용기를 연마하는 연마단계와, 연마한 상기 조리용기에 각종 부속품을 설치하는 조립단계가 포함되는 조리용기 제조방법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조리용기 제조방법은, 컨베이어장치의 벨트를 따라 연속 이동되는 철판의 상, 하측에서 부식액이 선택적으로 고압 분사됨에 따라 조리용기의 일면 또는 양면 모두에 요철성형이 가능하고, 철판이 벨트를 따라 이동됨과 동시에 식각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시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고압 분사되는 부식액으로 인해 철판으로부터 식각 된 이물질이 즉시 제거됨에 따라 완성도 높은 요철부 성형이 가능한 탁월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기 제조방법의 순서도.
개시된 내용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개시된 내용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개시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된 내용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개시된 내용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개시된 내용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개시된 내용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에는 개시된 내용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은 순서도이다.
이하에는 도 1을 참조하여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용기 제조방법에 대한 각각의 제조단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철판 준비단계(S101)는 조리용기 제조에 사용될 원판형상의 철판을 성형하여 준비하는 단계이다. 이때 철판의 크기는 제조될 조리용기의 종류에 따라 결정되며 그 재질 또한 스테인리스소재, 주물소재, 또는 알루미늄합금소재 중 하나로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다음으로, 철판가공단계(S103)는 철판의 가장자리를 유압 프레싱으로 가압하여 그 내부를 평탄하게 가공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를 통해 철판의 수평이 맞추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부식방지액 도포단계(S105)는 철판의 가장자리에 부식방지액을 도포하는 단계이다. 이는 제조과정 중에 철판의 가장자리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추후에 설명될 식각단계(S111)에서 철판의 가장자리가 식각되는 것도 방지된다.
다음으로, 인쇄단계(S107)는 부식방지액 도포단계(S105)에서 부식방지액이 도포된 가장자리를 제외한 철판의 내부에 도안이 인쇄되는 단계이다. 이때 도안은 철판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 상, 하부면 모두에 선택적으로 인쇄될 수 있다. 그리고 도안의 인쇄는 부식방지액으로 이루어지되, 도안은 식각단계(S111)에서 부식액에 의해 식각 처리되지 않을 형상으로 인쇄된다. 예를 들면, 허니 컴 형상 형상을 양각 처리하고 그 외에 부분이 음각 처리되어야 할 경우 허니 컴 형상의 도안이 부식방지액으로 인쇄된다.
다음으로 건조단계(S109)는 도안이 인쇄된 철판을 건조하는 단계로, 실외에서 자연풍에 의해 자연건조되거나, 또는 건조실 내에서 열풍에 의해 건조 처리된다.
다음으로 식각단계(S111)는 건조된 철판에 부식액을 고압으로 분사하여 제 2 인쇄단계에서 도안이 인쇄되지 않은 부분을 식각하는 단계이다. 이 식각단계(S111)에서는 철판이 놓여 이동되는 컨베이어장치가 사용되되, 컨베이어장치에서 설치된 벨트는 부식액이 통과될 수 있는 메쉬망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 하측에는 철판의 상, 하부면을 향해 부식액이 고압 분사되는 분사구가 구비된다.
따라서 철판이 컨베이어장치의 벨트를 따라 이동되는 가운데, 그 상, 하측에 구비된 분사구에서 고압 분사되는 부식액에 의해 식각 작업이 연속적으로 진행된다. 이때 도안이 상부면에만 인쇄된 경우 상측의 분사구에서만 부식액이 분사되고 도안이 하부면에만 인쇄된 경우 하측의 분사구에서만 부식액이 분사된다. 또한, 도안이 상부면과 하부면 모두에 인쇄된 경우 상, 하측 분사구 모두에서 부식액이 분사된다. 그리고 부식액이 고압으로 분사됨에 따라 식각 과정에서 철판에서 떨어져 나온 이물질이 그 압력에 의해 철판에서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어 완성도 높은 요철부 성형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세척 및 검사단계(S113)는 식각 된 철판을 세척 및 검사하는 단계로, 부식액을 모두 세척한 뒤 식각작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를 검사한다.
다음으로, 성형단계(S115)는 세척과 검사가 이루어진 철판을 조리용기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이다. 즉, 프라이팬 또는 냄비와 같은 공지된 조리용기 중 하나의 형상으로 성형이 이루어지며 이때 사용되는 성형방법은 유압성형 등 종래기술에 따른 조리용기의 성형방법 중 한 가지가 사용되는 것으로 한다.
다음으로, 코팅단계(S117)는 조리용기의 외부면을 코팅하는 단계로, 이 단계를 통해 조리용기 외부 표면에 형성된 코팅층은 조리용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연마단계(S119)는 코팅한 조리용기를 연마하는 단계로, 각지거나 날카로운 모서리 부분을 부드럽게 연마하는 단계이다.
다음으로, 조립단계(S121)는 연마한 조리용기에 손잡이와 같은 각종 부속품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조립단계(S121) 후에는 불량조사 후 포장하여 출하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조리용기 제조방법에 의하면 컨베이어장치의 벨트를 따라 연속 이동되는 철판의 상, 하측에서 부식액이 선택적으로 고압 분사됨에 따라 조리용기의 일면 또는 양면 모두에 요철성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철판이 벨트를 따라 이동됨과 동시에 식각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어 작업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고압 분사되는 부식액으로 인해 철판으로부터 식각 된 이물질이 즉시 제거됨에 따라 완벽한 완성도 높은 요철부 성형이 가능하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자라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3)

  1. 원판형상으로 철판을 성형하여 준비하는 철판 준비단계(S101);
    상기 철판의 가장자리를 유압 프레싱으로 가압하여 그 내부를 평탄하게 가공하는 철판가공단계(S103);
    상기 철판의 가장자리에 부식방지액을 도포하는 부식방지액 도포단계(S105);
    상기 부식방지액 도포단계에서 부식방지액을 도포하지 않은 상기 철판의 내부에 도안을 인쇄하는 도안 인쇄단계(S107);
    도안이 인쇄된 상기 철판을 건조하는 건조단계(S109);
    건조된 상기 철판에 부식액을 고압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 2 인쇄단계에서 도안이 인쇄되지 않은 부분을 식각하는 식각단계(S111);
    식각 된 상기 철판을 세척 및 검사하는 세척 및 검사단계(S113);
    세척과 검사가 이루어진 상기 철판을 조리용기 형상으로 성형하는 성형단계(S115);
    상기 조리용기의 외부면을 코팅하는 코팅단계(S117);
    코팅한 상기 조리용기를 연마하는 연마단계(S119); 및
    연마한 상기 조리용기에 각종 부속품을 설치하는 조립단계(S121);가 포함되는 조리용기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안 인쇄단계(S107)에서 도안의 인쇄는 부식방지액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도안은 상기 식각단계(S111)에서 부식액에 의해 식각 처리되지 않을 형상으로 안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식각단계(S111)에서는 상기 철판이 놓여 이동되는 컨베이어장치가 사용되되, 상기 컨베이어장치에서 설치된 벨트는 메쉬망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 하측에는 상기 철판의 상, 하부면을 향해 부식액이 고압 분사되는 분사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20160113072A 2016-09-02 2016-09-02 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1849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072A KR101849722B1 (ko) 2016-09-02 2016-09-02 조리용기 제조방법
JP2017084269A JP2018033932A (ja) 2016-09-02 2017-04-21 調理器具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072A KR101849722B1 (ko) 2016-09-02 2016-09-02 조리용기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6104A true KR20180026104A (ko) 2018-03-12
KR101849722B1 KR101849722B1 (ko) 2018-04-18

Family

ID=61564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072A KR101849722B1 (ko) 2016-09-02 2016-09-02 조리용기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8033932A (ko)
KR (1) KR1018497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32364B (zh) * 2019-03-13 2021-04-02 佛山市佛沃机器人科技有限公司 一种电压力锅自动冲压生产线
CN111036512A (zh) * 2019-12-11 2020-04-21 江门市依山金属制品有限公司 一种具有凹凸花纹不粘锅的不粘涂料喷涂工艺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2961A (ja) * 1995-09-21 1997-04-0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プリント配線板のエッチング方法
KR100804387B1 (ko) * 2007-07-09 2008-02-15 박수진 조리용기 제조방법
JP5849441B2 (ja) * 2011-06-03 2016-01-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エッチング処理装置
KR101383685B1 (ko) 2013-10-04 2014-04-09 지대한 레이저 식각에 의해 노출된 온도감응표시패턴이 구비된 조리용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76146B1 (ko) 2013-12-06 2014-12-24 킴스홀딩스 주식회사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JP6450120B2 (ja) 2014-09-10 2019-01-09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エッチング装置及び製造システム
JP2016097303A (ja) * 2014-11-18 2016-05-30 株式会社 洋 光 調理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9722B1 (ko) 2018-04-18
JP2018033932A (ja)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6122B1 (ko) 요철 코팅층이 형성된 조리용기
KR101324031B1 (ko) 조리기구 내부표면의 코팅방법
KR102354638B1 (ko)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진 결이 형성된 외부 면을 구비한 취사도구의 제품
CN106820939B (zh) 复合底锅具的生产工艺
KR101849722B1 (ko) 조리용기 제조방법
WO2013020395A1 (zh) 一种具有不粘表面的不锈钢制品及其处理工艺
KR101818418B1 (ko) 드로잉가공을 이용한 코팅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CN107523823A (zh) 一种不锈钢部件的钝化方法
CN109349911B (zh) 一种外表面具有部分凹凸花纹的汤锅制作工艺
KR101894663B1 (ko) 조리용기 제조방법
CN109846371A (zh) 不粘锅具的制造方法
EP0928587A1 (en) Cookware with steel capped base an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forming the same
KR101087738B1 (ko) 조리용기 제조방법
KR101922802B1 (ko) 조리용기 제조방법
EP0928588B1 (en) Article of cookware with non-stick coating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KR101922667B1 (ko) 동 도금을 이용한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KR20100021120A (ko) 알루미늄 조리기구의 제조방법
US20100276432A1 (en) Non-stick cookware
CN108855834A (zh) 一种不粘锅的制造方法
KR101364548B1 (ko) 조리용기의 무늬 형성방법
JP3182079U (ja) ステンレスノンスティックパン
KR101293429B1 (ko) 조리용기의 색채 가공방법
KR20160032899A (ko)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가열조리판 제조방법 및 이 가열조리판이 적용된 조리기구
KR20060102231A (ko) 코팅 오염 방지구 및 이를 이용한 코팅방법
KR102397743B1 (ko) 조리용기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