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5884A - 어플리케이터, 특별하게는 회전 분무기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터, 특별하게는 회전 분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5884A
KR20180025884A KR1020187000001A KR20187000001A KR20180025884A KR 20180025884 A KR20180025884 A KR 20180025884A KR 1020187000001 A KR1020187000001 A KR 1020187000001A KR 20187000001 A KR20187000001 A KR 20187000001A KR 20180025884 A KR20180025884 A KR 20180025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oating
needle
line
applic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0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2208B1 (ko
Inventor
프랑크 헬레
만프레드 미첼펠더
미첼 바우만
사샤 헤르만
베른할트 세이쯔
토마스 벅
Original Assignee
듀르 시스템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듀르 시스템스 아게 filed Critical 듀르 시스템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180025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5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2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2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0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ctuated by the pressure of the fluid to be spray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33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 B05B1/30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 B05B1/304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the valve element, e.g. a needle, co-operating with a valve seat located downstream of the valve element and its actuating means, generally in the proximity of the outlet orifice
    • B05B1/30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the valve element, e.g. a needle, co-operating with a valve seat located downstream of the valve element and its actuating means, generally in the proximity of the outlet orifice the actuating means being a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085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 B05B12/087Flow or presssure regulators, i.e. non-electric unitary devices comprising a sensing element, e.g. a piston or a membrane, and a controlling element, e.g. a val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05B15/55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using cleaning fl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08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two or more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14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controlling structural damage to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e.g. for breaking at desired places; Arrangements for handling or replacing damaged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50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 B05B15/58Arrangements for cleaning; Arrangements fo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Arrangements for detecting improper discharge caused by the presence of foreign matter preventing deposits, drying-out or blockage by recirculating the fluid to be sprayed from upstream of the discharge opening back to the suppl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05B3/1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ischarging over substantially the whole periphery of the rotating member, i.e. the spraying being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 B05B3/1007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ischarging over substantially the whole periphery of the rotating member, i.e. the spraying being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characterised by the rotating member
    • B05B3/1014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discharging over substantially the whole periphery of the rotating member, i.e. the spraying being effected by centrifugal forces characterised by the rotating member with a spraying edge, e.g. like a cup or a bell

Landscapes

  • Nozzle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Spray Control Apparatus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코팅제, 특히 2 액형 페인트의 모재 페인트를 공급하기 위한 제 1 코팅제 연결부(SL), 상기 어플리케이터(RZ)에서 상기 제 1 코팅제 연결부(SL)로부터 유도되고 상기 제 1 코팅제를 안내하는 제 1 코팅제 라인(L1-L4), 및 제 1 코팅제 라인(L1-L4)에 배치되어 제 1 코팅제의 흐름을 제어하고, 제 1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 가능한 제 1 밸브(SLV1)를 포함하는 코팅제, 특히 2-성분 페인트를 도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RZ), 특히 회전 분무기에 관한 것이다. 제 1 과압 밸브(SLV1)가 제공되어 제 1 코팅제 라인(L1-L4) SLV1)에, 과압 불량을 피하기 위해, 제 1 과압 밸브의 상류측의 압력이 특정 최대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자동적으로 개방되는 자체 매체 작동형으로 수행된다.

Description

어플리케이터, 특별하게는 회전 분무기
본 발명은 코팅제를 도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applicator), 특히 회전 분무기에 관한 것이다.
2 성분, 즉, 경화제(예 : 이소시아네이트) 및 모재 페인트로 이루어진 2 성분 페인트 (2K 페인트)가 선행 기술로부터 알려져 있다. 이러한 2K 페인트가 도장 시스템에서 운반될 때, 변위가능한 밸브 니들을 갖는 니들 밸브가 통상적으로 차단 밸브로서 사용된다. 밸브 니들은 작동 중에 2K 페인트로 채워지는 밸브 챔버를 통해 연장하고, 밸브 챔버는 밀봉 링에 의해 밸브 니들에 작용하는 밸브 구동부에 대해 밀봉된다. 밀봉 링은 내부가 밸브 니들의 외측면에 대향하여 슬라이드하고 그 외주가 밸브 챔버의 내벽 상에 놓여 있다.
여기서 문제는 경화제(예 : 이소시아네이트)가 일반적으로 물과 반응하여 경화한다는 사실이다. 매우 적은 양의 물조차도 경화 과정을 시작하기에 충분하므로 예를 들어 정상적인 대기 습도에서도 경화된다. 이것은 2K 페인트 또는 사용된 경화제가 매우 우수한 크리프 성질을 갖고 점도가 낮기 때문에 2K 페인트 또는 경화제가 밸브 니들 주위의 밀봉 링 아래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 밸브 챔버는 페인트로 밸브 구동 영역에 채워진다. 특히, 비교적 긴 정지 시간 (예를 들어, 주말)의 경우, 이는 2K 페인트 또는 경화제의 바람직하지 않은 경화로 이어질 수있다. 예를 들어 경화된 2K 페인트는 밸브 니들을 밸브 시트에 고착시킬 수 있다. 또한 2K 페인트는 밸브 니들에 달라 붙을 수 있으며 경화된 상태에서 주변 밀봉 링을 손상시켜 누출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밸브 시트 내의 경화된 침전물은 밸브가 더 이상 닫히지 않게 할 수 있다. 경화된 침전물은 밸브가 더 천천히 닫히게 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
밸브가 더 이상 열리지 않으면 밸브 고장이 특히 문제가 된다. 그 이유는 극단적인 경우 급수 호스의 파열로 이어질 수 있는 밸브의 과압 상류단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2K 페인트 또는 경화제는 그때 탈출될 수 있고, 이느 청소 및 수리 작업에 상당한 파업 시간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화학 반응은 매체(2K 페인트 또는 경화제)와 니들 팁 또는 밸브 시트의 재료 사이의 니들 끝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마찬가지로 접착력을 이끌어 내어 밸브가 더 이상 열릴 수 없게끔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밸브 파손 (즉, 밸브의 부착)시 공급 라인이 파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대응하여 개선된 어플리케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원칙적으로 밸브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이는 1K 분무기에서도 유리하다.
이 목적은 주요 청구항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예를 들어, 회전식 분무기)는 종래기술과 마찬가지로 제 1 코팅제, 예를 들어, 2- 성분 페인트(2K 페인트)가 공급될 수 있는 제 1 코팅제 연결부를 가진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어플리케이터는 회전 분무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러한 회전 분무기는 분무 요소로서 회전 벨 컵 또는 회전 디스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의 다른 가능한 실시예는 단지 몇 가지 예를 들자면, 공기 분무기, 스트립 분무기(예컨대, DE 10 2013 002 412 A1에 따른), 수동 분무 건, 디스크 분무기, 공기리스 분무기, 공기 믹스 분무기 및 초음파 분무기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료 또는 페인트 성분에 적용되는 코팅제의 관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언급해야 한다. 코팅제는 실제로 단지 몇 가지 예를 들자면, 예를 들어 밀봉 조성물, 절연 물질 또는 접착제와 같은 다른 유체 일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은 일액형 코팅제 또는 이성분 코팅제에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세 가지 성분을 가질 수 있는 다성분 코팅제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는 추가로 종래 기술에 따라 어플리케이터에서 제 1 코팅제 연결부로부터 이어져 제 1 코팅제를 안내하는 제 1 코팅제 라인을 갖는다.
이 제 1 코팅제 라인에는 종래 기술에 따라 제 1 코팅제 라인을 통한 제 1 코팅제의 유동을 제어하는 제어 가능한 제 1 밸브가 배치되며,이 제 1 밸브는 제 1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 가능하다.
제어 신호는 예를 들어 전기 제어 신호 또는 공압 제어 신호 일 수 있지만, 본 발명은 밸브의 제어와 관련하여 이러한 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는 제 1 코팅재 라인 내에, 과압단을 피하기 위해 자동적으로 개방되는 자신의 매체 작동형 제 1 과압 밸브가 제 1 코팅제 라인에 배열되어 있다는 점에서 종래 기술과 구별된다. 제 1 과압 밸브는 특정 최대 압력을 초과한다. 따라서, 제 1 코팅제 라인의 밸브가 파손되어 더 이상 개방되지 않기 때문에 제 1 코팅제 라인에서 과압 장애가 발생하면, 제 1 과압 밸브가 자동으로 개방되기 때문에 공급 라인의 파열이 방지된다. 따라서, 제 1 과압 밸브는 입구 측에 존재하는 유체 압력에 따라 개폐되는 자체 매체 작동 과압 밸브이다.
과압의 위험이 있는 어플리케이터 내의 모든 유체 라인은 바람직하게는 과압 결함의 경우에 압력의 감소를 허용하기 위해 그러한 과압 밸브에 의해 고정된다. 여기에는 모재 페인트, 경화제, 혼합된 2액형 페인트, 1 액형 페인트, 용제 (플러싱 제)와 같이 어플리케이터의 모든 유체 라인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1 과압 밸브는 제어 가능한 제 1 밸브에 의해 형성된다. 이것은 제 1 밸브가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함을 의미한다. 즉, 한편으로는, 제 1 밸브는 제 1 코팅제 라인을 통해 유체의 흐름이 제어되도록 한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제 1 밸브는 또한 과압 밸브로서 작용하고 입구 측에 존재하는 압력이 특정 최대 압력을 초과할 때 자동으로(자체 매체 작동식) 개방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1 코팅제 라인은 제 1 코팅제를 도포하는 도포 요소로 이어진다. 예를 들어,이 도포 요소는 벨 컵 또는 벨 컵 내의 페인트 노즐 일 수 있지만, 본 발명은 도포 요소의 유형에 관해서이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코팅제 라인에서, 제 1 과압 밸브와 도포 요소 사이에는 제 1 코팅제 라인에서 유체의 유동을 차단하거나 가능하게 하는 제 1 메인 밸브가 배치된다. 제 1 메인 밸브는 메인 니들 밸브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고 밸브 시트를 자유롭게 하거나 막히게 하는 변위 가능한 밸브 니들을 갖는다. 이러한 니들 밸브는 종래 기술로부터 그 자체로 공지되어 있으므로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어플리케이터는 예를 들어 2K 페인트의 경화제와 같은 제 2 코팅제를 공급하기 위한 제 2 코팅제 연결부를 갖는다. 그 후, 제 2 코팅제 라인은 제 2 코팅제 라인으로부터 제 2 코팅제 라인 내에 배치되며, 제 2 과압 밸브는 마찬가지로 자체 매체 작동식이고, 제 1 과압 밸브의 상류측 압력이 특정 최대 압력을 초과할 때 열린다. 제 2 코팅제 라인은 바람직하게는 모재 페인트가 경화제와 혼합되게 하는 제 1 메인 밸브 상류의 제 1 코팅제 라인과 연결된다.
따라서, 믹서는 바람직하게는 제 2 코팅제 라인이 합류하는 지점과 제 1 메인 밸브 사이의 제 1 코팅제 라인에 배치되어, 모재 페인트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2K 페인트를 형성한다.
믹서는 바람직하게는 정적 혼합기의 형태, 예를 들어, 격자 혼합기 또는 나선형 혼합기의 형태이다. 이러한 혼합기는 예를 들어 독일특허출원 제10 2010 019 771 A1호에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공보의 내용은 혼합기의 구성 및 기능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 전체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는 바람직하게는 유체(예를 들어, 모재 페인트의 잔류물)를 제 1 귀환 시스템으로 귀환시키기 위한 제 1 귀환 연결부를 갖는다. 제 1 귀환 연결로 개방되는 제 1 귀환 라인은 제 1 과압 밸브의 제 1 코팅제 라인 상류측에서 분기한다. 제 1 귀환 라인에서, 제 3 과압 밸브의 상류측의 제 1 귀환 라인의 압력이 특정 최대 값을 초과할 때 자동적으로 개방되는 제 3 과압 밸브가 바람직하게 배열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는 바람직하게는 모재 페인트를 위해 제공되는 제 1 용매를 공급하기 위한 제 1 용매 연결부를 갖는다. 제 1 용매 라인은 바람직하게는 제 1 과압 밸브와 제 1 메인 밸브 사이의 제 1 코팅제 라인을 결합시키는 제 1 용매 라인으로부터 이 제 1 용매 라인으로 이어진다. 제어 가능하고 용매 흐름을 가능하게 하거나 차단하는 제 1 용매 밸브는 바람직하게는 제 1 용매 라인에 배열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는 세척 목적을 위해 펄스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펄스 공기 연결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종래 기술로부터 그 자체로 알려져 있다. 펄스된 공기를 제어하기 위한 라인은 바람직하게는 제 1 과압 밸브와 제 1 메인 밸브 사이에서, 펄스 공기 라인이 제 1 코팅제 라인에 합류하며, 펄스 공기 밸브가 펄스 공기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는 바람직하게는 경화제를 위해 제공되는 제 2 용매를 공급하기 위한 제 2 용매 연결부를 포함한다. 제 2 용매 라인은 바람직하게는 제 2 용매 라인으로부터 제 1 용매 라인이 제 1 과압 밸브와 제 1 메인 밸브 사이의 제 1 코팅제 라인을 연결하고, 제 2 용매 밸브가 바람직하게는 제 2 용매 라인에 배열된다. 이 제 2 용매 밸브는 바람직하게는 용매의 유동을 가능하게 하거나 차단하기 위해 제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터에서, 제 3 코팅제 라인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 1 코팅제 연결부로부터 이어지며, 제 2 메인 밸브, 특히 메인 니들 밸브의 형태가 제 3 코팅제 라인에 배열될 수 있으며, 이 라인은 종래 기술로부터 그 자체로 공지되어 있으므로 더 상세히 기술할 필요는 없다. 제 1 메인 밸브 및 제 2 메인 밸브는 바람직하게는 출구측상에서 함께 결합되어 적용 요소(예를 들어, 벨 컵)로 이어진다. 이러한 구성에서, 어플리케이터는 1 성분 페인트의 도포 또는 2 성분 페인트의 도포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는 바람직하게는 제 2 귀환 시스템으로 유체(예를 들어, 펄스 공기, 페인트 폼)를 귀환시키기 위한 제 2 귀환 연결부를 갖는다. 그런 다음 제 3 코팅제 라인, 바람직하게는 제 2 메인 밸브의 상류측에서 제 2 귀환 연결부로 개방되는 제 2 귀환 라인이 분기되며, 바람직하게는이 제 2 귀환 라인에 귀환 밸브가 배치된다. 이 귀환 밸브는 바람직하게는 자체 매체 작동식이며, 귀환 밸브는 바람직하게는 그 설계상 입구의 액체 코팅제와 압축 공기 또는 입구의 폼을 구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귀환 밸브는 압축 공기 또는 폼이 귀환 밸브의 입구에 있을 때 자동으로 열린다. 반면에, 귀환 밸브는 액체 코팅제가 귀환 밸브의 입구에 존재할 때 닫힌다. 따라서 귀환 밸브는 압축 공기 또는 폼 대신에 귀환 밸브의 입구에 액체 페인트가 있을 때 자동으로 닫히기 때문에 페인트 스톱 밸브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페인트 스톱 밸브의 구성 및 기능은 DE 10 2009 020 064 A1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으므로, 그 공보의 내용은 귀환 밸브(페인트 스톱 밸브)의 구성 및 기능과 관련하여 본 명세서 전체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는 어플리케이터의 쇼트 플러싱을 위한 플러싱 매체를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짧은 플러시 연결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짧은 플러시 연결부에서 코팅제 라인을 우회하는 동안 플러싱 매체를 도포 요소로 안내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짧은 플러시 라인을 유도한다. 바람직하게는 플러시 매체의 흐름을 가능하게 하거나 차단하는 제어가능한 단시간 플러시 밸브를 단시간 플러시 라인에 배치한다.
또한, 개방 상태의 과압 밸브는 바람직하게는 압력-서지-댐핑 기능을 가지므로, 입구 측에 진입하는 압력 서지는 단지 댐핑된 형태로 출구 측에서 전달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과압 밸브를 멤브레인 밸브로서 구성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보다 상세히 후술될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과압 밸브가 특정 니들 밸브라는 기술적인 가르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니들 밸브는 우선 종래 기술에 따라 니들 스템과 니들 헤드를 갖는 밸브 시트 및 변위가능한 밸브 니들을 구비한다. 밸브 니들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다. 폐쇄 위치에서, 밸브 니들의 니들 헤드는 밸브 시트를 폐쇄하여 유체의 유동을 차단한다. 한편, 개방 위치에서는, 밸브 니들은 니들 헤드로부터 들어 올려져서 유체의 유동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는 정성(개폐)뿐만 아니라 정량적으로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밸브 니들의 다양한 중간 위치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설정될 수 있는 데, 이는 조절 가능한 유동 저항으로 말한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서, 니들 밸브는 유체의 유동을 정성적으로만 제어하고, 유체의 유동은 작동 또는 차단된다.
본 발명은 밸브 니들을 둘러싸고 작동 중에 매체가 채워지는 밸브 챔버가 환형 및 밀봉 방식으로 니들 헤드의 밸브 니들 상류를 둘러싸는가요성 멤브레인에 의해 밀봉되는 것을 제공한다. 가요성 멤브레인은 코팅제(예 : 경화제)가 유체로 채워진 밸브 챔버에서 밸브 구동 방향으로 탈출하여 경화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밸브 니들은 밸브 챔버 내에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고, 밸브 챔버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통형이다. 그런 다음, 멤브레인은 밸브 니들의 니들 스템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밀봉 방식으로 그 중심에 놓이고, 밸브 니들의 니들 스템에 고정된다. 이는 멤브레인이 밸브 니들에 대해 미끄러지지 않고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밸브 니들의 변위 운동을 수행함을 의미한다. 이것은 밸브 니들의 변위가 멤브레인의 대응하는 축방향 편향을 유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예를 들어 멤브레인의 일측면에 작용하는 압력의 결과로서의 멤브레인의 축방향 편향은 또한 밸브 니들의 대응하는 변위를 유도한다. 한편, 그 주연부에서, 멤브레인은 밸브 챔버의 내벽에 밀봉 방식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멤브레인은 중앙에서 밸브 니들의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의 축방향 거리만큼 큰 축 스트로크를 허용하여, 멤브레인이 밸브 니들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니들 밸브는 밸브 니들을 변위시키기 위한 밸브 구동부를 가지며, 밸브 구동부는 예를 들어 피스톤을 갖는 공압 밸브 구동부의 형태일 수 있으며, 이는 종래 기술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 될 필요는 없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니들 밸브는 코팅제(예 : 2K 페인트 또는 경화제)를 공급하기 위한 코팅제 입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코팅제 입구는 바람직하게는 밸브 구동부를 사용하여, 멤브레인이 코팅제로 채워진 밸브 챔버에 대해 밸브 구동부를 밀봉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니들 밸브는 바람직하게는 코팅제를 배출하기 위한 코팅제 출구를 더 포함하고, 코팅제 출구는 바람직하게는 밸브 시트 내로 개방되어 밸브 니들이 개방 위치에 있응 때 코팅제가 밸브 시트를 통해 코팅제 출구로 흐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니들 밸브는 밸브 니들을 변위시키기 위한 밸브 구동부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이미 위에서 언급되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밸브 구동부는 밸브 니들을 변위시키기 위해 밸브 니들에 작용하는 변위 가능한 피스톤을 포함한다. 피스톤은 공압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니들 밸브는 바람직하게는 제어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어 공기 입구를 가지며, 제어 공기는 피스톤 및 그에 따라 밸브 니들을 변위시키기 위해 피스톤에 작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니들 밸브는 바람직하게는 피스톤 또는 밸브 니들에 스프링력으로 작용하는 밸브 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한편으로는 밸브 스프링과 다른 한편으로는 제어 공기가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밸브 스프링의 스프링력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N, 40 N 또는 적어도 80 N 및/또는 400 N 이하, 200 N 또는 100 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스프링의 폐쇄 위치와 밸브 개방 위치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밸브 스프링은 밸브 니들을 폐쇄 위치를 향한 방향으로 밀어넣는 반면, 제어 공기는 밸브 니들을 피스톤을 통해 개방 위치를 향한 방향으로 밀어낸다. 밸브 스프링 및 니들 헤드는 바람직하게는 피스톤의 대향 측면상에 배열된다.
여기서, 밸브 니들을 개방 위치로 이동시킬 때 가능한 한 큰 개방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피스톤이 비교적 큰 피스톤 직경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개방력은 유효 피스톤 면적 및 피스톤 직경 및 제어 공기의 공기압에 좌우되는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피스톤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mm, 10mm, 15mm, 20mm, 25mm 또는 심지어 32mm의 피스톤 직경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피스톤 직경은 충분히 커서, 6 bar 미만의 종래의 제어 공기압으로 충분히 큰 개방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6 단 압축 공기 네트워크가 대부분의 도장 시스템에서 이미 이용가능하고 본 발명에 따른 니들 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니들 밸브를 작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압축 공기 네트워크가 요구되지 않는다.
밸브 스프링은 바람직하게는 폐쇄 위치를 향한 방향, 즉 특정 폐쇄력으로 밸브 니들을 가압하는 것으로 이미 언급되었다. 다른 한편, 공압식 밸브 구동부는 공압식으로 작동될 때 특정 개방력으로 밸브 니들을 개방 위치를 향한 방향으로 민다. 따라서 공기압 밸브 구동부의 개방력은 니들 헤드가 밸브 시트에 부착되는 경우 니들 밸브가 확실하게 개방될 수 있도록 특정 개방력에 의한 폐쇄력보다 커야 한다. 따라서, 니들 밸브는 바람직하게는 20 N, 40 N, 60 N, 80 N, 100 N, 120 N, 130 N 또는 심지어 180 N보다 큰 개방력 초과가 되도록 설계된다.
선행 기술의 설명에서, 과압의 잘못된 조작 또는 잘못된 해석의 결과로서 또한 과압 장애의 경우 코팅제 호스가 니들 밸브의 상류측에서 파열될 수 있다는 위험에 대해서는 시작 부분에서 이미 언급되었으며, 결과적으로 2K 페인트 또는 경화제가 빠져 나갈 수 있으므로 2K 페인트 또는 경화제가 경화를 피하기 때문에 더 긴 정지 시간을 초래한다. 폭발 후에는 더 이상 과도한 압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작업자가 플랜트를 다시 가동하면 페인트의 일부 또는 대부분이 버스트 호스 및 흐름부(예 : 전체 핸드 축선 영역)에서 빠져 나온다. 대부분의 경우 터빈 폐 공기가 페인트로 인해 더 이상 빠져 나갈 수 없기 때문에 몇 리터가 이미 도주되고 다른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예 : 속도 오류)에만 오류가 발견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니들 밸브는 바람직하게는 코팅제 입구의 특정 개방 압력이 초과되면 밸브의 자동 개방을 유도하는 과압 기능을 갖는다. 이를 위해, 밸브 챔버 내에 존재하는 코팅제는 멤브레인을 밀어 내고, 코팅제 압력이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밸브 스프링의 힘을 극복하기에 충분히 큰 경우, 멤브레인 및 그에 따라서 밸브 니들도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밀어 낸다.. 따라서, 멤브레인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mm, 6mm 또는 9mm 이상 및/또는 40mm, 20mm 또는 11mm 이하의 막 직경을 갖는다. 코팅제 입구에서의 코팅제의 개방 압력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 bar, 10 bar, 12 bar, 14 bar 또는 적어도 38 bar 및/또는 38 bar 이하, 22 bar, 18 bar 또는 16 bar이상이다. 따라서, 스프링의 폐쇄력은 밸브 챔버 내의 코팅제 압력이 멤브레인을 밀어서 밸브 니들을 요구되는 개방 압력이 초과 될 때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빠져 나가도록 멤브레인의 유효 단면적 및 원하는 개방 압력에 맞게 조정되어야 한다.
또한, 니들 헤드가 바람직하게는 특정 헤드 각으로 유동 방향으로 좁아지는 것처럼 밸브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특정 시트 각도로 유동 방향으로 좁아지는 것을 언급해야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시트 각은 헤드 각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예를 들어, 헤드 각도가 바람직하게는 35 ° ~ 50 ° 범위인 것과 같이 시트 각도는 35 ° ~ 50 ° 범위일 수 있으므로 최적의 밀봉을 보장한다. 보다 큰 헤드 각은 추가의 멤브레인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니들 밸브에서의 매체의 흐름을 개선시킨다, 이 때 니들 스트로크가 작다(종래의 니들 밸브에서 3mm 대신에 약 1.5mm).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추가의 밀봉 요소는 폐쇄 위치에서 밸브 시트를 밀봉하기 위해 밸브 니들의 니들 헤드에 설치된다. 이러한 추가적인 밀봉 요소는 예를 들어 FFKM (perfluoro-elastomers)과 같은 탄성 재료의 사용이 선호되는 밸브 니들의 니들 헤드와는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적인 밀봉 요소는 니들 헤드 상에 성형될 수 있다. 그러나, 밀봉 요소가 니들 헤드에, 예를 들어 니들 헤드의 환형 홈에 설치될 수도 있다. 니들 헤드 자체가 예를 들어 티타늄 또는 티타늄 합금으로 만들어져 니들 헤드가 2K 페인트의 화학적으로 강력한 경화제에 내성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니들 헤드와 밸브 시트가 바람직하게는 흐름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원추형으로 테이퍼지는 것이 상기에서 간략하게 언급되었다. 니들 헤드는 상기에서 간략하게 언급한 밀봉 요소가 설치될 수 있는 환형 홈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밸브 니들에 작용하는 폐쇄력이 밀봉 요소에 의해 완전히 흡수되어, 밀봉 요소의 기계적 과부하 및 손상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니들 헤드가 단단한 스톱부를 가지고 밸브 시트의 스톱부와 닫힌 위치에 놓이면 예방할 수 있다. 밸브가 닫히면, 니들 헤드의 밀봉 요소는 밸브 니들이 밸브 시트 상에 멈춤과 함께 정지할 때까지만 압력을 받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밸브가 닫힐 때 니들 헤드에서의 밀봉 요소의 압축이 제한되어 밀봉 요소의 수명에 유리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이 스톱부는 밀봉 요소의 상류측의 니들 헤드의 원추형 외측면에 위치되는 환형의 주변 지지면에 의해 형성된다. 이는 밀봉 요소가 밀봉 요소의 하류측에서 니들 헤드의 영역을 밀봉하여 플러싱 동작에서 플러싱 매체에 의해 이 영역에 도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야 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지지면이 축방향으로 주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플러싱 홈을 가지며,이 플러싱 홈을 통해 밸브 챔버로부터의 플러싱 매체가 밀봉 요소의 축방향으로 하류측 영역에 진입할 수 있는 경우 본 발명의 범위안에서 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플러싱 홈은 1mm 내지 2mm의 홈 폭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밸브 챔버를 밀봉하는가요성 멤브레인은 종래의 니들 밸브에 존재하는 밀봉 링을 대체할 수 있다. 그러나, 밸브 니들을 환형으로 둘러싸고 밸브 니들의 외측면 상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놓이는 종래의 밀봉 링이 또한 밀본을 위한 가요성 멤브레인에 추가로 존재한다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밸브 니들의 니들 스템은 바람직하게는 2mm 내지 10mm, 3mm 내지 6mm 또는 4mm 내지 5mm 범위일 수 있는 직경을 갖는다. 한편, 밸브 니들의 최대 니들 스트로크는 바람직하게는 3mm, 2.5mm, 2mm 또는 1.6mm 미만이다.
상이한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가능하며, 이는 어플리케이터 내의 상이한 코팅제 라인의 수가 다르다는 것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2 개의 코팅제 라인이 어플리케이터 내에서 연장되는 본 발명의 제 1 변형예는 이미 상술되었다. 따라서, 하나의 코팅제 라인은 2- 성분 페인트의 경화제 용으로 확보된다. 반면에 다른 코팅제 라인은 2 액형 페인트의 관련된 모재 페인트 또는 1 액형 페인트 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서, 3 개의 코팅제 라인이 어플리케이터 내에서 연장된다. 코팅제 라인 중 2 개는 여기에서 모재 페인트 또는 2 성분 페인트의 경화제 용으로 예약된다. 한편, 제 3 코팅제 라인은 1 성분 페인트 용으로 예약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 변형예는 실질적으로 모재 페인트 또는 경화제가 흐르지 않는 일 성분 도료에 별도의 코팅제 라인이 제공된다는 점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변형예와는 실질적으로 상이하다.
본 발명의 제 3 변형예는 처음에 기술된 본 발명의 변형예와 비교하여 단순화되고 2 개의 코팅제 라인, 즉 2- 성분 페인트의 모재 페인트 용 코팅제 라인 및 2 액형 페인트의 경화제 용 코팅제 라인을 가진다. 따라서, 처음에 기술된 본 발명의 제 1 변형예와는 달리, 모재 페인트 용 코팅제 라인을 통해 일 성분 페인트를 공급하는 대안으로서 제공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는 4 개의 코팅제 라인이 어플리케이터에 제공되는데, 이는 제 1의 2- 성분 페인트의 모재 페인트 및 경화제에 대한 2 개의 코팅제 라인과 제 2의 2- 성분 페인트의 모재 페인트 및 경화제에 대한 2개의 추가적인 코팅제 라인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유리한 추가의 개선사항은 종속항에서 특징지어 지거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과 함께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터는 밸브 파손(즉, 밸브의 부착)시 공급 라인이 파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대응하여 개선된 어플리케이터를 제공한다.
도 1은 도장 로봇 상의 본 발명에 따른 회전 분무기의 유체 흐름의 개략도이고,
도 2는 폐쇄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과압 밸브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따른 과압 밸브의 밸브 구동부의 단면도,
도 4는 원추형 밸브 시트를 갖는 원추형 니들 헤드의 개략도,
도 5는 도 1의 변형예로서, 3 개의 코팅제 라인이 어플리케이터에서, 즉 모재 페인트, 경화제 및 다르게는 일액형 페인트용으로 연장되는 변형예,
도 6은 도 1의 변형예로서, 어플리케이터의 모재 페인트 라인은 모재 페인트를 위해 예약되어 있고 대안적으로 일 성분 페인트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지 않는 변형예,
도 7은 모재 페인트 및 2 가지 상이한 2 성분 페인트의 경화제용 어플리케이터의 4 가지 코팅제 라인을 갖는 도 1의 변형예이다.
도 1은 도장 로봇에 의해 안내되고 로봇 아암(RA)의 단부에서 종래의 로봇 핸드 축에 의해 장착되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 분무기(RZ)를 도시한다.
로봇 아암(RA)에는 예를 들어 DE 10 2008 037 035 A1에 공지된 선형 컬러 체인저(LCC)가 있다. 출구 측에서, 선형 컬러 체인저(LCC)는 계량 펌프(PSL)를 통해 회전 분무기(RZ)의 모재 페인트 연결부(SL)에 연결된다. 계량 펌프(PSL)는 마찬가지로 로봇 암(RA)에 배치되고 바이패스 라인(By1)에 의해 바이패스될 수 있다. 계량 펌프(PSL)의 기능은 2 액형 페인트(2K 페인트)의 모재 페인트를 계량하여 운반하는 것이다.
또한, 로봇 아암(RA)에는 모재 페인트용 용제를 공급하는 용제 밸브(VSV1)가 설치되고, 용제 밸브(VSV1)는 출구 측이 모재 페인트 용제 연결부(VS1)에 연결된다.
또한, 로봇 아암(RA) 내에는 2 성분계 페인트용 경화제를 공급하는 계량 펌프(PH)가 배치되어 있으며, 계량 펌프(PH)는 출구 측에서 회전 분무기(RZ)의 경화제 연결부(H)에 연결된다.
로봇 아암 (RA)에 경화제용 용매를 제어된 방식으로 공급하기 위한 용매 밸브 (VHV1)가 더 배치되며, 용매 밸브(VHV1)는 출구 측에서 회전 분무기(RZ)의 솔레노이드 연결부(VH)에 연결된다.
회전 분무기(RZ)는 또한 펄싱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펄스 공기 연결부(PL), 잔류물을 되돌리는 귀 연결부 (RF1), 펄싱된 공기 및 도장 폼을 반환하기 위한 귀환 연결부(RF2) 및 플러싱 매체를 공급하기 위한 회전식 분무기의 짧은 세척용 단축 플러싱 연결부(KS1, KS2)를 더 포함한다.
회전 분무기(RZ)의 모재 페인트 연결부(SL)는 혼합기(MIX)로 이어지며 최종적으로 메인 니들 밸브(HN1)에 이르는 라인 부분(L1-L4)으로 구성된 모재 페인트 라인에 연결되고 메인 니들 밸브 벨 컵으로 연결되는 출구(A2)로 연결된다.
라인 부분(L1-L4)으로 이루어진 모재 페인트 라인에는 믹서(MIX)의 상류측에 멤브레인 과압 밸브(SLV1)가 위치하며, 그 구조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멤브레인 과압 밸브(SLV1)의 상위 페인트 압력이 특정 최대 값을 초과하면 멤브레인 과압 밸브(SLV1)가 자동으로 열리고 자체 매체에 의해 작동된다. 멤브레인 과압 밸브(SLV1)가 열리면 과압은 믹서(MIX)와 메인 니들 밸브(HN1)를 통해 소산될 수 있다. 이는 멤브레인 과압 밸브(SLV1)의 라인 부분(L1, L2) 상류측에서의 과압 또는 심지어 파열을 방지한다.
모재 페인트 라인의 라인 부분(L2)으로부터, 라인 부분(L5)에 의해 형성되고 귀환 연결부(RF1)로 개방되는 귀환 라인이 분기된다. 귀환 라인의 라인 부분(L5)에는 멤브레인과 압력 밸브(SLV1)와 동일한 구조일 수 있는 멤브레인 과압 밸브(MVV1)가 유사하게 배치되어 있다. 멤브레인 과압 밸브(RFV1)의 기능은 메인 니들 밸브(HN1)가 결함이 있어 더 이상 열리지 않으면 감압을 허용하는 것이다. 이 경우, 라인 부분(L1-L4)으로 이루어진 코팅제 라인에서 압력 증가가 있게 된다. 이 압력 증가로 인해 초과 압력 오류가 발생하기 전에 멤브레인 과압 밸브(RFV1)가 자동으로 열리므로 모재 페인트 라인의 과압이 귀환 라인과 귀환 연결부(RF1)를 통해 감소될 수 있다.
경화제 연결부(H)로부터 라인 부분(L6, L7)으로 이루어진 경화제 라인이 형성된다. 경화제 라인은 믹서(MIX)의 상류측과 멤브레인 과압 밸브(SLV1)의 하류측에 있는 모재 페인트 라인에 연결된다. 따라서 모재 페인트와 경화제는 믹서(MIX)에서 혼합된다.
용매 연결부(VH)로부터는 라인 부분(L8)에 의해 형성된 용매 라인이 있다. 용매 라인의 라인 부분(L8)에는 용매 흐름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용매 밸브(VHV2)가 배치된다.
펄스 공기 연결부(PL)로부터 라인 부분(L9, L10)에 의해 형성된 펄스 공기 라인이 이어진다. 펄스 공기 라인의 라인 부분(L9)에는 펄스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 가능한 펄스 공기 밸브(PLV)가 배치되어 있다.
다른 용매 연결부(VS1)로부터는 라인 부분(L11)과 라인 부분(L10)으로 이루어진 또 다른 용매 라인이 있다. 모재 페인트용 용매 라인의 라인 부분(L11)에는 용매의 유동을 제어할 수있는 용매 밸브(VSV2)가 배치되어 있다.
경화제 라인의 경화제 밸브(HV)는 마찬가지로 멤브레인 과압 밸브의 형태이기 때문에, 경화제 밸브(HV)의 경화제 상류측의 압력이 특정 최대 값을 초과할 때 자체의 매체에 의해 마찬가지로 개방된다 . 경화제 라인의 과압은 라인 부분(L7, L4, L3), 멤브레인 과압 밸브(SLV1), 멤브레인 과압 밸브(RFV1) 및 귀환 연결부(RF1)를 통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회전 분무기(RZ)는 앞서 언급된 라인 부분(L1) 및 추가의 라인 부분 (L12)에 의해 형성되는 또 다른 모재 페인트 라인을 갖는다. 또 다른 모재 페인트 라인의 라인 부분(L12)에는 메인 니들 밸브(HN2)로 통하는 모재 페인트 밸브(SLV2)가 배치되어 있다. 2 개의 메인 니들 밸브 (HN1, HN2)는 출구 측에서 출구(A2)에 연결되어 벨 컵에 연결된다. 따라서, 1 성분 페인트가 메인 니들 밸브(HN2)를 통해 도포될 수 있다. 한편, 메인 니들 밸브(HN1)를 통해, 2- 성분 페인트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는 믹서(MIX)에서 미리 혼합된다.
제 2 메인 니들 밸브(HN2)의 상류측, 라인 부분(L12)에서, 귀환 연결부(RF2)로 개방되는 라인 부분(L13)으로 구성된 또 다른 귀환 라인이 분기된다. 제 2 귀환 라인의 라인 부분(L13)에는 페인트 스톱 밸브의 형태인 귀환 밸브(RFV2)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귀환 밸브(RFV2)는 압축 공기 또는 페인트 폼이 귀환 밸브(RFV2)의 입구에 존재할 때, 그 자신의 매체에 의해 작동하여 개방된다. 한편, 귀환 밸브(RFV2)는 자동적으로 닫히고, 액체 페인트가 귀환 밸브(RFV2)의 입구에 존재할 때, 그 자체의 매체에 의해 작동된다. 귀환 밸브(RFV2)의 구성은 종래 기술로부터 그 자체로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어, DE 10 2009 020 064 A1에 기술되어 있다.
2 개의 쇼트 플러시 연결부(KS1, KS2) 각각으로부터 라인 부분(L14 및 L15)으로 각각 구성된 쇼트 플러시(short-flush) 선이 이어진다. 2 개의 라인 부분(L14, L15)의 각각에는 제어 가능한 쇼트 플러시 밸브(KSV1, KSV2)가 배치되고, 2 개의 쇼트 플랩 밸브(KSV1, KSV2)는 출구 측에서 쇼트 플러싱을 위한 출구(A1)에 연결된다. 따라서, 두 개의 쇼트 플러시 라인은 플러싱 작업에서 2 개의 모재 페인트 라인 및 경화제 라인을 우회하여 종래 기술로부터 그 자체로 공지된 쇼트 플러싱을 허용한다. 한편, 2 개의 쇼트 플러시 밸브(KSV1, KSV2)의 출구와 2 개의 메인 니들 밸브(HN1, HN2)의 출구 사이에는 귀환 밸브(RV)가 배치된다.
전술한 구성과 관련하여, 멤브레인 과압 밸브(SFV1, RFV1) 및 경화제 밸브(HV)는 멤브레인 과압 밸브의 형태로 유사하게 사선 해칭에 의해 식별된다. 다른 한편, 페인트 스톱 밸브의 형태인 귀환 밸브(RFV2)는 흑색 음영에 의해 페인트 스톱 밸브로 식별된다. 한편, 메인 니들 밸브(HN1, HN2)는 수직 해칭에 의해 니들 밸브로 식별된다. 나머지 밸브는 흰색 음영으로 기존의 니들 밸브로 식별된다.
도 2 내지 도 4는 멤브레인 과압 밸브(SLV1, RFV1) 및 경화제 밸브(HV)의 가능한 구성의 상이한 도면을 도시하며, 이는 마찬가지로 멤브레인 과압 밸브의 형태이다.
과압 밸브는 유체(예를 들어, 경화제, 모재 페인트)를 공급하기 위한 입구(1) 및 코팅제를 배출하기 위한 출구(3)를 갖는다.
입구(1)로부터 출구(3) 로의 코팅제의 흐름은 니들 밸브에 의해 제어된다. 니들 밸브는 변위 가능한 밸브 니들(4), 밸브 니들(4)의 말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니들 헤드(5)를 구비한다. 니들 헤드(5)는 티타늄으로 제조되고 그 단부를 향하여 원추형으로 가늘어지고, 환형 홈은 원추형 테이퍼(5)의 측면에 배치되고, 환형 홈에는 FFKM(perfluoro-elastomers)의 밀봉 링(6)이 설치된다.
도 2에 따른 폐쇄 위치에서, 니들 헤드(5)는 밸브 시트(7) 상에 밀봉 링(6)과 함께 밀봉 방식으로 놓이고, 밸브 시트(7)는 마찬가지로 원추형으로 가늘어져 출구(3)로 개방된다.
한편, 개방 위치 (미도시)에서, 니들 헤드(5)는 밸브 시트(7)로부터 들어 올려져 밸브 시트(7)를 통해 출구(3)로 흐르게 한다.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는 밸브 구동부(8)에 의해 설정되고 이 장치는 도 3에 상세히 도시되고 공기압으로 작동된다.
공압식 밸브 구동부는 2 개의 구성 요소 차단 밸브의 하우징 본체(10)에 나사 결합되는 외부 하우징 삽입부(9)를 갖는다.
내부 하우징 삽입부(11)는 외부 하우징 삽입부 (9)에 나사 결합된다.
피스톤(12)은 공압식 밸브 구동부(8)에 변위 가능하게 배열되고, 피스톤(12)은 밸브 스프링(13)에 의해 도 2에 따른 폐쇄 위치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밸브 스프링(13)은 외부 하우징 삽입부(9) 상에 놓여져서 피스톤(12)을 폐쇄 위치로 밀어 넣기 위해 피스톤(12)에 대향하는 대향 단부를 갖는다. 피스톤(12)은 피스톤 삽입부(14)를 통해 밸브 니들(4)에 연결되며, 피스톤(12)은 밸브 니들(4)에 작용하고 따라서 니들 헤드에도 작용한다.
피스톤 (12)은 피스톤 (12)과 내부 하우징 삽입부 (11)의 내벽 사이의 환형 갭에 배치되고 피스톤(12)이 움직일 때 내부 하우징 삽입부(11)의 내벽에 대하여 미끄러지는 밀봉 링(15)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또한, 변위 가능한 밸브 니들(4)의 외 측면 상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놓여서 또 다른 밀봉부를 제공하는 또 다른 밀봉 링(16)이 제공된다.
밸브 니들(4)은 작동 중에 각각의 유체(예를 들어, 경화제, 모재 페인트)로 채워지는 밸브 챔버(17)를 부분적으로 관통한다.
밸브 구동부(8)와 매체로 채워진 밸브 챔버(17) 사이에는 밸브 구동부(8)에 대해 밸브 챔버(17)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 요소로서 가요성 멤브레인(18)이 제공된다.가요성 멤브레인(18)은 내부 하우징 삽입부(11)의 외주 가장자리에 의해 내측 하우징 삽입부(11)의 하단부에 고정되고 중앙에 밸브 니들(4)이 안내되는 구멍을 갖는다. 멤브레인(18)은 밸브 니들(4)에 유체 기밀 방식으로 고정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멤브레인(18)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밸브 니들(4)의 변위 이동을 수행한다. 그러나, 반면에 멤브레인(4)은 밸브 구동부(8)에 대해 매체로 채워진 밸브 챔버(7)를 밀봉하기 때문에 밀봉 링의 경우와 같이 슬라이딩 운동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경화제 (H)에 대해서는 위험도 없다. 즉, 경화제 (H)는 저점도이고 양호한 크리프 특성을 갖고 밸브 구동부 (8)를 관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구동은 피스톤(12) 아래의 제어 공기 챔버(19), 제어 공기 챔버(19) 내의 제어 공기, 그리고 피스톤(12)을 상향으로 밀어낼 수 있는 제어 공기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제어 공기 챔버(19) 로의 제어 공기의 공급은 제어 공기 연결부(20)를 통해 이루어진다.
제어 공기는 대부분의 도장 시스템에 이미있는 6bar 압축 공기 네트워크에서 공급할 수 있다. 이것은 별도의 압축 공기 공급 장치가 필요없다는 이점이 있다. 피스톤(12)은 비교적 큰 유효 직경을 가지므로, 피스톤 상에 작용하는 제어 공기는 비교적 큰 개방력을 발생시킨다. 이 개방력은, 제어 공기를 통한 압축 공기에의 노출의 경우, 밸브 스프링(13)에 의해 피스톤(12)에 가해진 폐쇄력보다 과도한 특정 개방력만큼 크다.이 특정 실시예에서, 종래의 니들 밸브에서 15N의 개방력을 초과하는 경우에 비해 과잉은 57.4N 내지 136N의 범위에 있다. 이는 니들 헤드(5)가 밸브 시트(7)에 접착될 때조차도 니들 헤드(5)가 밸브 시트(7)로부터 "자유로워짐(break free)"것을 허용한다.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밸브 시트(7)가 유동 방향으로 시트 각(β) = 35 ° ~ 50 °로 원추형으로 테이퍼진 것과 같이, 니들 헤드(5)도 유동 방향으로 헤드 각(λ) = 35 ° ~ 50 ° 로 테이퍼진다.
밀봉 링(6)의 상류측의 니들 헤드(5)의 원추형 측면은 도 2에 따른 폐쇄 위치에서 밸브 시트(7) 상에 놓이는 지지면(21)을 형성한다. 지지면 (21)은 니들 헤드(5)를 폐쇄 위치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밀봉 링(6)의 과도한 압축이 방지되고, 이는 밀봉 링(6)의 수명에 유리하다.
지지면(21)은 니들 헤드(5)의 둘레에 걸쳐 분포된 축방향으로 이어지는 복수의 플러싱 홈(22)에 의해 차단된다. 도 2에 따른 폐쇄 위치에서, 플러싱 홈(22)은 유입구(1)로부터의 플러싱 매체 지지면(21)의 하류 영역에 도달한다.
도 5는 도 1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상기 설명을 참조하고, 대응하는 세부 사항에 대해 동일한 참조 번호가 사용되었다.
이 실시예의 특별한 특징은 3 개의 코팅제 라인이 회전 분무기(RZ) 내에서 연장된다는 것으로서, 즉 경화제용 코팅제 라인, 모재 페인트용 코팅제 라인 및 일액형 페인트용 코팅제 라인이 연장된다는 것이다. 경화제용 코팅제 라인은 라인 부분(L8 및 L7)으로 구성된다. 한편, 모재 페인트용 코팅제 라인은 라인 부분(L1, L3 및 L4)으로 구성된다. 한편, 일액형 페인트용 분리 코팅제 라인은 라인 부분(L12)으로 구성된다. 도 1에 따른 실시예와 비교된 차이는 실질적으로 단일 성분 페인트에 대해 별도의 코팅제 라인이 제공되는 반면, 도 1에서 라인 부분(L1, L12)으로 이루어진 코팅제 라인은 모재 페인트 또는 일액형 도료를 공급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6은 도 1의 단순화를 도시하며, 반복을 피하기 위해, 상기 설명을 참조하며, 동일한 참조 번호는 상응하는 세부 사항에 사용된다.
이 실시예의 특별한 특징은 단지 2- 성분 페인트를 도포하는 것만 가능하여, 모재 페인트 및 경화제를 도포하기 위해 단지 두 개의 코팅제 라인이 제공된다는 것이다. 경화제용 코팅제 라인은 라인 부분(L6, L10, L4)으로 구성된다. 한편, 모재 페인트용 코팅제 라인은 라인 부분(L1, L2, L3, L4)으로 구성된다. 대조적으로, 이 실시예에서는 도 1에서 가능한 일-성분 페인트를 대안으로 적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도 7은 도 6의 추가 변형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반복을 피하기 위해, 부호는 상기 설명을 참조하여 표시되었다.
이 실시예의 특별한 특징은 총 4 개의 코팅제 라인이 회전 분무기 내에서, 즉 제 1의 2-성분 페인트의 모재 페인트(1) 및 경화제(1)에 대한 것과 제 2의 2 성분 페인트의 모재 페인트(2) 및 경화제(2) 라인이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도 4에 따른 유체 개략도는 실질적으로 병렬화되고 2중적이다. 제1의 2성분 페인트의 구성 요소에는 도 6과 비교하여 추가된 ".1"이 제공되어 있다. 반면에 도 6에 비해 제2의 2성분 페인트의 구성 요소에는 ".2"가 추가되어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 위의 설명과 관련하여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은 보호 범위 내에 있는 다수의 변형 및 수정을 허용한다. 특히, 본 발명은 또한 각각의 청구 범위가 종속되지 않고 특히 주청구항의 특징없이 종속청구항의 특징에 대한 보호사항도 청구한다.
A1, A2 : 벨 컵에 대한 출구
By1 : 계량 펌프(PSL.1)를 우회하는 바이패스 라인의 모재 페인트
By.1 : 계량 펌프(PSL.1)를 우회하는 바이패스 라인
By.2 : 계량 펌프(PSL.2)를 우회하는 바이패스 라인
H : 경화제 연결부
H.1 : 경화제 연결부 1
H.2 : 경화제 연결부 2
HN1 : 메인 니들 밸브1
HN2 : 메인 니들 밸브 2
HV : 경화제 밸브
KS1 : 쇼트 플러시 연결부
KS2 : 쇼트 플러시 연결부
KSV1 : 쇼트 플러시 밸브
KSV2 : 쇼트 플러시 밸브
LCC : 선형 컬러 체인저
MIX : 믹서
PIK : 1 액형 페인트용 계량 펌프
PH : 경화제용 계량 펌프
PH.1 : 경화제 계량 펌프 1
PH.2 : 경화제 계량 펌프 2
PL : 펄스 공기 연결부
PL.1 : 펄스 공기 연결부
PL.2 : 펄스 공기 연결부
PLV : 펄스 공기 밸브
PLV.1 : 펄스 공기 밸브
PLV.2 : 펄스 공기 밸브
PSL : 모재 페인트용 계량 펌프
PSL.1 : 모재 페인트용 계량 펌프 1
PSL.2 : 모재 페인트용 계량 펌프 2
RA : 로봇 아암
RF1 : 귀환 연결부
RF1.1 : 2성분 페인트 귀환 연결부 1
RF1.2 : 2 성분 페인트 귀환 연결부 2
RF2 : 귀환 연결부
RFV1: 멤브레인 과압 밸브 형태의 귀환 밸브
RFV2: 페인트 스톱 밸브 형태의 귀환 밸브
RV : 귀환 밸브
RZ : 어플리케이터, 회전 분무기
SL : 모재 페인트 연결부
SL.1 : 모재 페인트용 모재 페인트 연결부 1
SL.2 : 모재 페인트용 모재 페인트 연결부 2
SLV1: 멤브레인 과압 밸브 형태의 모재 페인트 밸브
SLV1.1 : 멤브레인 과압 밸브의 형태의 모재 페인트 밸브
SLV1.2 : 멤브레인 과압 밸브의 형태의 모재 페인트 밸브
SLV2 : 니들 밸브 형태의 모재 페인트 밸브
VH : 경화제 라인용 용매 연결부
VHV1 : 용매 밸브
VHV2 : 용매 밸브
VS1 : 모재 페인트 라인용 용매 연결부
VS1.1 : 모재 페인트용 용매 연결부 1
VS1.2 : 모재 페인트용 용매 연결부 2
VSV1 : 용매 밸브
VSV1.1 : 용매 밸브
VSV1.2 : 용매 밸브
VSV2 : 용매 밸브
VSV2.1 : 용매 밸브
VSV2.2 : 용매 밸브
L1-L4 : 모재 페인트 라인의 라인 부분
L5 : 귀환 라인의 라인 부분
L6, L7 : 경화제 라인의 라인 부분
L8 : 경화제용 용매 라인의 라인 부분
L9, L10 : 펄스 공기 라인의 라인 부분
L11 : 모재 페인트용 용매 라인의 라인 부분
L12 : 제2 모재 페인트 라인의 라인 부분
L13 : 제2 귀환 라인의 라인 부분
L14 : 쇼트 플러시 라인의 라인 부분
L15 : 쇼트 플러시 라인의 라인 부분
1 : 입구
3 : 출구
4 : 밸브 니들
5 : 니들 헤드
6 : 밀봉 링
7 : 밸브 시트
8 : 밸브 구동부
9 : 외부 하우징 삽입부
10 : 2 성분 차단 밸브의 하우징 몸체
11 : 내부 하우징 삽입부
12 : 피스톤
13 : 밸브 스프링
14 : 피스톤 삽입부
15 : 피스톤 주위의 밀봉 링
16 밸브 니들 주변의 밀봉 링
17 : 밸브 챔버
18 : 멤브레인
19 : 제어 공기 챔버
20 : 제어 공기 연결부
21: 지지면
22 : 플러싱 홈
λ : 헤드 각
β : 시트 각

Claims (26)

  1. 코팅제, 특히 2-성분 페인트를 도포하기 위한 어플리케이터 (RZ), 특히 회전 분무기에 있어서,
    a) 제 1 코팅제, 특히 2 액형 페인트의 모재 페인트를 공급하기 위한 제 1 코팅제 연결부(SL),
    b) 상기 어플리케이터(RZ)에서 상기 제 1 코팅제 연결부(SL)로부터 유도되고 상기 제 1 코팅제를 안내하는 제 1 코팅제 라인(L1-L4), 및
    c) 제 1 코팅제 라인(L1-L4)에 배치되어 제 1 코팅제의 흐름을 제어하고, 제 1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 가능한 제 1 밸브(SLV1)를 포함하고,
    d) 제 1 코팅제 라인(L1-L4) SLV1)에, 과압 불량을 피하기 위해, 제 1 과압 밸브의 상류측의 압력이 특정 최대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자동적으로 개방되는 자체 매체 작동형의 제 1 과압 밸브(SLV1)가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RZ).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과압 밸브(SLV1)는 상기 제어 가능한 제 1 밸브(SLV1)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RZ).
  3.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제 1 코팅제 라인(L1-L4)은 도포 요소에, 특히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벨 컵에 이르게 하며,
    b) 제 1 과압 밸브(SLV1)와 도포 요소 사이의 제 1 코팅제 라인(L1-L4)에 메인 니들 밸브의 형태인 제 1 메인 밸브(HN1)가 배치되어 제 1 코팅제 라인(L1-L4)에서의 유체의 유동을 차단하거나 유동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RZ).
  4. 제 3 항에 있어서,
    a) 어플리케이터(RZ)는 제 2 코팅제, 특히 2액형 페인트의 경화제를 공급하기 위한 제 2 코팅제 연결부(H)를 가지며,
    b) 제 2 코팅제 연결부(H)로부터 제 2 코팅제 라인(L6, L7)이 유도되고,
    c) 제 2 코팅제 라인(L6, L7)에는 제 2 과압 밸브(HV)가 배열되며, 상기 제 2 과압 밸브(HV)는 자체 매체 작동형이며, 상기 제 1 과압 밸브의 상류 측압력이 특정 최대 압력을 초과할 때 자동적으로 개방되고,
    d) 제 2 코팅제 라인(L6, L7)은 제 1 메인 밸브(HN1)의 상류측의 제 1 코팅제 라인(L1-L4)과 결합하고,
    e) 제 1 코팅제 라인(L1-L4)에서, 제 2 코팅제 라인(L6, L7)이 합류하는 지점과 제 1 메인 밸브(HN1)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제 1 믹서(MIX)가 배치되어 모재 페인트와 경화제를 혼합하여 2 액형 도료를 형성하도록 하고,
    f) 제 1 믹서(MIX)는 바람직하게는 정적 혼합기, 특히 격자 혼합기 또는 나선형 혼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RZ).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a) 상기 어플리케이터(RZ)는 유체를 제 1 귀환 시스템으로 귀환시키기 위한 제 1 귀환 연결부(RF1)를 가지며,
    b) 제 1 귀환 라인은 제 1 과압 밸브(SLV1)의 상류측의 제 1 코팅제 라인(L1-L4)으로부터 분기하고,
    c) 제1 귀환 라인은 제1 귀환 연결부(RF1)로 개방되며,
    d) 제 1 귀환 라인에는 제 3 과압 밸브(RFV1)의 제 1 귀환 라인 상류측의 압력이 특정 최대 압력을 초과할 때 자체 매체 작동형으로서 자동적으로 개방되는 제 3 과압 밸브(RFV1)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RZ).
  6. 제 5 항에 있어서,
    a) 어플리케이터(RZ)는 특히 모재 페인트용 제 1 용매를 공급하기 위한 제 1 용매 연결부(VS1)를 가지며,
    b) 제 1 용매 연결부(VS1)로부터 제 1 용매 라인(L11, L10)이 분기되고,
    c) 제 1 용매 라인(L11, L10)은 제 1 과압 밸브(SLV1)와 제 1 메인 밸브(HN1) 사이의 제 1 코팅제 라인(L1-L4)에 결합되고,
    d) 제 1 용매 라인(L11, L10)에는 제 1 용매 밸브(VSV1)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RZ).
  7.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어플리케이터(RZ)는 펄스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펄스 공기 연결부(PL)를 가지며,
    b) 펄스 공기 라인(L9, L10)이 펄스 공기 연결부(PL)로부터 유도되고,
    c) 제 1 과압 밸브(SLV1)와 제 1 메인 밸브(HN1) 사이의 제 1 코팅제 라인(L1-L4)에 펄스 공기 라인(L9, L10)이 결합되고, 그리고
    d) 펄스 공기 라인(L9, L10)에 펄스 공기 밸브(PLV)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RZ).
  8.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어플리케이터(RZ)는 제 2 용매, 특히 경화제를 공급하기 위한 제 2 용매 연결부(VH)를 가지며,
    b) 제 2 용매 연결부(VH)로부터 제 2 용매 라인(L8, L7)이 유도되고,
    c) 제 2 용매 라인(L8, L7)은 제 1 과압 밸브(SLV1)와 제 1 메인 밸브(HN1) 사이의 제 1 코팅제 라인(L1-L4)으로 개방되고, 그리고
    d) 제 2 용매 라인(L8, L7)에 제 2 용제 밸브(VHV1)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RZ).
  9.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제 1 코팅제 연결부(SL)로부터 바람직하게 이어지는 제 3 코팅제 라인(L1, L12)이 제공되며,
    b) 제 3 코팅제 라인(L1, L12)에는, 특히 메인 니들 밸브의 형태인 제 2 메인 밸브(HN2)가 배치되고,
    c) 제 1 메인 밸브(HN1)와 제 2 메인 밸브(HN2)가 출구 측에 함께 제공되어 도포 요소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RZ).
  10. 제 9 항에 있어서,
    a) 어플리케이터 (RZ)는 유체를 제 2 귀환 시스템으로 귀환시키기 위한 제 2 귀환 연결부(RF2)를 가지며,
    b) 제 2 메인 밸브(HN2)의 상류 측의 제 3 코팅제 라인(L1, L12)으로부터 제 2 귀환 라인(L13)이 분기되고,
    c) 제 2 귀환 라인(L13)이 제 2 귀환 연결부(RF2)로 개방되고,
    d) 귀환 밸브(RFV2)는 바람직하게는 제 2 귀환 라인(L13)에 배치되고,
    e) 귀환 밸브(RFV2)는 바람직하게는 자체 매체 작동형이며,
    f) 귀환 밸브(RFV2)는 바람직하게는 자체 설계로 인해 한편의 액체 코팅제와 다른 한편의 압축 공기 또는 폼 사이에 다음 사항을 구별하고,
    f1) 귀환 밸브(RFV2)는 압축 공기 또는 폼이 귀환 밸브(RFV2)의 입구에 존재할 때 개방되고,
    f2) 반면 액체 코팅제가 귀환 밸브(RFV2)의 입구에 있을 때 귀환 밸브가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RZ).
  11.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어플리케이터(RZ)는 어플리케이터의 쇼트 플러싱(flushing)을 위한 플러싱 매체를 공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쇼트 플러시 연결부(KS1, KS2)를 가지며,
    b) 쇼트 플러시 라인(L14, L15)은 쇼트 플러시 연결부(KS1, KS2)에서 이어지고,
    c) 쇼트 플러시 라인(L14, L15)이 플러싱 매체를 코팅제 라인을 우회하여 도포 요소로 안내하고,
    d) 쇼트 플러시 라인(L14, L15)에 제어 가능한 쇼트 플러시 밸브(KSV1, KSV2)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RZ).
  12. 전술한 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방 상태에서, 제 1 과압 밸브(SLV1), 제 2 과압 밸브(HV) 및/또는 제 3 과압 밸브(RFV1)는 압력 서지 댐핑 기능이 있어 입구 측에 유입되는 압력 서지가 감쇠된 형태로만 출구 측에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RZ).
  13.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과압 밸브(SLV1), 제 2 과압 밸브(HV) 및/또는 제 3 과압 밸브(RFV1)는 하기하는 니들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RZ):
    a) 밸브 시트(7),
    b) 하기와 같은 니들 스템과 니들 헤드(needle head)(5)를 갖는 변위 가능한 밸브 니들(4),
    b1) 니들 헤드(5)는 밸브 니들(4)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밸브 시트(7)를 폐쇄하고,
    b2) 니들 헤드(5)는 밸브 니들(4)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밸브 시트(7)를 자유롭게 하며,
    c) 환형 및 밀봉 방식으로 니들 헤드(5)의 상류측에서 밸브 니들(4)을 둘러싸는 가요성 멤브레인(18)
  14. 제 13 항에 있어서,
    a) 밸브 니들(4)은 밸브 챔버(17) 내에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고, 밸브 챔버(17)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통형이며,
    b) 멤브레인(18)은 밸브 니들(4)의 니들 스템의 중간에 밀봉 방식으로 고정되고,
    c) 멤브레인(18)은 주연 에지에 의해 밸브 챔버(17)의 내벽에 밀봉 방식으로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RZ).
  15. 제 14 항에 있어서,
    a) 밸브 니들(4)을, 특히 피스톤(12)을 갖는 공압 밸브 구동부의 형태로 변위시키기 위한 밸브 구동부,
    b) 코팅제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밸브 구동부로부터 떨어진 멤브레인(18)의 측면에서 밸브 챔버(17)로 개방되어 멤브레인(18)이 코팅제로 채워진 밸브 챔버(17)에 대해 밸브 구동부를 밀봉하도록 하는 코팅제 입구(1), 및
    c) 코팅제를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밸브 시트(7) 내로 개방되어 밸브 니들(4)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코팅제 밸브 시트(7)를 통해 흐를 수 있도록 한 코팅제 출구(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RZ).
  16. 제 15 항에 있어서,
    밸브 구동부가 다음과 같은 것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RZ):
    a) 밸브 니들(4)을 변위시키기 위해 밸브 니들(4)에 작용하는 변위 가능한 피스톤(12),
    b) 제어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어 공기가 피스톤(12)과 밸브 니들(4)을 변위시키기 위해 피스톤(12)에 작용하도록 하는 제어 공기 입구(20),
    c) 스프링력에 의해 피스톤(12) 또는 밸브 니들(4)에 작용하는 밸브 스프링 (13),
    d) 폐쇄 위치 및 개방 위치에서의 밸브 스프링(13)의 스프링 력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N, 40 N 또는 80 N 및/또는 400 N 이하, 200 N 또는 100 N 이하임
  17. 제 16 항에 있어서,
    a) 밸브 스프링(13)이 밸브 니들(4)을 폐쇄 위치를 향한 방향으로 밀고, 그리고
    b) 제어 공기는 피스톤(12)을 통해 밸브 니들(4)을 열린 위치를 향한 방향으로 밀고,
    c) 밸브 스프링(13)과 니들 헤드(5)는 바람직하게는 피스톤(12)의 대향 측면 상에 배치되고,
    d) 밸브 니들(4)이 밸브 니들(4)로 이동할 때 큰 개방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피스톤(12)은 가급적 적어도 5mm, 10mm, 15mm, 20mm, 25mm 또는 32mm의 피스톤 직경을 가지며,
    e) 제어 공기는 밸브 니들(4)을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6 bar 미만, 특히 5.5 bar의 제어 공기 압력을 요구하며, 제어 공기는 통상적인 6 bar 압축 공기 네트워크로부터 얻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RZ).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a) 밸브 스프링(13)은 특정 폐쇄력으로 밸브 니들(4)을 폐쇄 위치를 향한 방향으로 밀고,
    b) 공압식 밸브 구동부는 공압식으로 작동될 때 밸브 니들(4)을 특정한 개방력으로 개방 위치를 향한 방향으로 밀고,
    c) 니들 헤드(5)가 밸브 시트(7)에 부착되면 니들 밸브를 개방할 수 있도록 개방력이 폐쇄력보다 과도한 특정 개방력 만큼 크며,
    d) 개방력 초과는 바람직하게는 20N, 40N, 60N, 80N, 100N, 120N, 130N 또는 180N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RZ).
  19. 제 13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특정 개방 압력 위에서, 코팅제 입구(1)에서의 코팅제 압력은 멤브레인 (18)을 통해 밸브 니들(4)을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밀어내고,
    b) 멤브레인(18)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mm, 6mm 또는 9mm 및/또는 40mm, 20mm 또는 11mm 이하, 특히 10mm 이하이고,
    c) 코팅제 입구(1, 2)에서 코팅제의 개방 압력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 bar, 10 bar, 12 bar, 14 bar 또는 38 bar 및/또는 38 bar 이하, 22 bar, 18 bar 또는 16 bar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RZ).
  20. 제 13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밸브 시트(7)가 특정 시트 각(β)으로 흐름 방향으로 좁아지며,
    b) 니들 헤드(5)는 특정 헤드 각(λ)으로 흐름 방향으로 좁혀지고,
    c) 시트 각(β)은 헤드 각(λ)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d) 시트 각(β)은 바람직하게는 20 °, 30 ° 또는 35 °보다 크고 그리고/또는 70 °, 60 ° 또는 50 °보다 작으며,
    e) 헤드 각(λ)은 바람직하게는 20 °, 30 ° 또는 35 ° 보다 크고 그리고/또는 70 °, 60 ° 또는 50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RZ).
  21. 제 13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폐쇄 위치에 밸브 시트(7)를 밀봉하기 위해 밸브 니들(4)의 니들 헤드(5)에 추가적인 밀봉 요소(6)가 설치되고, 그리고/또는
    b) 밀봉 요소(6)는 밸브 니들(4)의 니들 헤드(5)와는 다른 재료로 만들어지고, 그리고/또는
    c) 밀봉 요소(6)는 탄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그리고/또는
    d) 밀봉 요소(6)는 퍼플루오로 고무로 제조되고, 그리고/또는
    e) 밀봉 요소(6)가 니들 헤드(5) 상에 성형되고, 그리고/또는
    f) 밀봉 요소(6)는 니들 헤드(5)의 환형 홈에 설치되는 밀봉 링(6)이고, 그리고/또는
    g) 니들 헤드(5)는 티타늄으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RZ).
  22. 제 21 항에 있어서,
    a) 밸브 니들(4)의 니들 헤드(5)는 유동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원추형으로 가늘어지고,
    b) 밸브 시트(7)는 유동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원추형으로 가늘어지고,
    c) 니들 헤드(5)는 그 원추형 측면에 밀봉 요소(6)가 설치되는 환형 홈을 가지며,
    d) 니들 헤드(5)의 원추형 측면은 밀봉 요소(6)의 상류측에 환형의 주변 지지면(21)을 형성하여 밸브 시트 (7)상의 지지면 (21)과 안착되며,
    e) 니들 헤드(5)는 지지면 (17)에 밸브 니들(4)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플러싱 매체가 밸브 챔버로부터 밀봉 요소로 통과할 수 있도록 축방향으로 펼쳐지는 적어도 하나의 플러싱 홈(22)을 가지며,
    f) 플러싱 홈 (22)의 홈 폭은 바람직하게는 1mm 이상 2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RZ).
  23.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a) 니들 헤드(5)는 강성 스톱부(21)를 가지며 그리고 폐쇄 위치에서 밸브 시트(7)상의 스톱부(21)와, 특히 환형의 원추형 지지면 (21)과 안착되며, 그리고
    b) 밸브 니들(4)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니들 헤드(5) 내의 밀봉 요소는 니들 헤드(5)가 밸브 시트 (7)의 강성 스톱부(21)로 안착되어 있는 이상 밸브 니들(4)에 작용하는 폐쇄력과 무관한 압력에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RZ).
  24. 제 13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밸브 니들(4)은, 추가적인 밀봉에 의해, 특히 니들 스템의 외측면 상에 밀봉 방식으로 놓인 밀봉 립에 의해 밀봉되는 것이 아니고, 그리고/또는
    b) 경화제(H)가 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고, 그리고/또는
    c) 밸브 니들(4)의 니들 스템은 2mm, 3mm 또는 4mm보다 큰 직경 및/또는 10mm, 6mm 또는 5mm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그리고/또는
    d) 밸브 니들(4)은 3mm, 2.5mm, 2mm 또는 1.6mm 미만의 최대 니들 스트로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RZ).
  25.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2 액형 페인트의 모재 페인트는 제 1 코팅제 연결부(SL)를 통해 공급되고,
    b) 2 성분 페인트의 경화제는 제 2 코팅제 연결부(H)를 통해 공급되고,
    c) 모재 페인트용 제 1 코팅제 라인(L1, L3, L4) 및 경화제용 제 2 코팅제 라인은 제 1 믹서(MIX)로 개방되고,
    d) 제 1 메인 밸브(HN1)는 제 1 믹서(MIX)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e) 어플리케이터(RZ)는 일액형 페인트를 공급하기 위한 제 3 코팅제 연결부(1K)를 가지며,
    f) 제 3 코팅제 라인(L12)은 제 3 코팅제 연결부(1K)로부터 이어지고,
    g) 제 2 메인 밸브(HN2)는 제 3 코팅제 라인(L12)에 배치되고,
    h) 제 1 메인 밸브(HN1)와 제 2 메인 밸브(HN2)가 출구측에서 서로 모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RZ).
  26. 제 1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제 1 의 2 성분 페인트의 제 1 모재 페인트가 제 1 코팅제 연결부(SL.1)를 통해 공급되고,
    b) 제 1 의 2 성분 페인트의 제 1 경화제는 제 2 코팅제 연결부(H.1)를 통해 공급되고,
    c) 제 1 모재 페인트에 대한 제 1 코팅제 라인 (L1.1, L3.1) 및 제 1 경화제에 대한 제 2 코팅제 라인(L8.1, L10.1)이 제 1 믹서(MIX.1 )로 개방하고,
    d) 제 1 메인 밸브(HN.1)가 제 1 믹서(MIX.1)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e) 어플리케이터는 제 2의 2성분 페인트의 제 2 모재 페인트를 공급하기 위한 제 3 코팅제 연결부(SL.2)를 가지며,
    f) 제 2 모재 페인트의 제 3 코팅제 라인(L1.2, L3.2)은 제 3 코팅제 연결부(SL.2)로부터 유도되고,
    g) 어플리케이터는 제 2의 2 성분 페인트의 제 2 경화제를 공급하기 위한 제 4 코팅제 연결부(H.2)를 가지며,
    h) 제 4 코팅제 라인(L8.2, L10.2)이 제 2 경화제에 대한 제 4 코팅제 연결부(H.2)로부터 유도되고,
    i) 제 3 코팅제 라인(L1.2, L3.2) 및 제 4 코팅제 라인(L8.2, L10.2)은 제 2 모재 페인트 (MIX.2)와 제 2 경화제를 혼합하는 제2 믹서(MIX.2)로 개방하고,
    j) 제 2 메인 밸브(HN.2)가 제 2 믹서(MIX.2)의 하류측에 배치되고,
    k) 제 1 메인 밸브(HN.1)와 제 2 메인 밸브(HN.2)가 출구측에서 모이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터 (RZ).

KR1020187000001A 2015-07-03 2016-07-01 어플리케이터, 특별하게는 회전 분무기 KR1026122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5008658.8 2015-07-03
DE102015008658 2015-07-03
DE102015010158.7A DE102015010158A1 (de) 2015-07-03 2015-08-05 Applikationsgerät, insbesondere Rotationszerstäuber
DE102015010158.7 2015-08-05
PCT/EP2016/001126 WO2017005353A1 (de) 2015-07-03 2016-07-01 Applikationsgerät, insbesondere rotationszerstäub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884A true KR20180025884A (ko) 2018-03-09
KR102612208B1 KR102612208B1 (ko) 2023-12-11

Family

ID=57582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0001A KR102612208B1 (ko) 2015-07-03 2016-07-01 어플리케이터, 특별하게는 회전 분무기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10807110B2 (ko)
EP (1) EP3317023B1 (ko)
JP (1) JP6962905B2 (ko)
KR (1) KR102612208B1 (ko)
CN (1) CN107847951B (ko)
BR (1) BR112017028182B1 (ko)
DE (1) DE102015010158A1 (ko)
ES (1) ES2856681T3 (ko)
HU (1) HUE052424T2 (ko)
MX (1) MX2017016168A (ko)
PL (1) PL3317023T3 (ko)
RU (1) RU2690353C1 (ko)
WO (1) WO2017005353A1 (ko)
ZA (1) ZA20180024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22488A1 (de) 2017-09-27 2019-03-28 Dürr Systems Ag Applikator mit einer Dichtungsmembran
DE102019109208B3 (de) * 2019-04-08 2020-10-01 Dürr Systems Ag Applikationseinrichtung und entsprechendes Applikationsverfahren
DE102019130612A1 (de) 2019-11-13 2021-05-20 Dürr Systems Ag Zerstäuber und zugehöriges Betriebsverfahren
TWI807812B (zh) * 2022-05-06 2023-07-01 高科晶捷自動化股份有限公司 出膠裝置及其出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73728A1 (en) * 2007-01-22 2008-07-24 Patrick Ilfrey High-solids, reactive components spray application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53917U (ko) * 1976-05-19 1977-11-22
DE2747707C2 (de) 1977-10-25 1982-10-21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Anlage zum Farbspritzen von Serienteilen wechselnder Farbe
DE8131967U1 (de) * 1981-11-02 1983-04-07 J. Wagner AG, 9450 Altstätten Pumpvorrichtung zum gleichzeitigen zufuehren von zumindest zwei zerstaeubungsfluessigkeiten im waehlbaren mengenverhaeltnis zu einer spritzvorrichtung
US4509684A (en) 1982-09-30 1985-04-09 Ford Motor Company Color change apparatus
DE3415253C2 (de) * 1983-08-12 1994-06-30 Reinhardt Technik Gmbh & Co Vorrichtung zum Dosieren von einem viskosen Stoff bei niedrigem Anlagedruck
DE3713999A1 (de) * 1987-04-27 1988-11-10 Behr Industrieanlagen Verfahren zum selbsttaetigen serienweisen beschichten von werkstuecken
JP3408722B2 (ja) * 1997-07-03 2003-05-19 シーケーディ株式会社 弁装置
DE29719535U1 (de) * 1997-11-04 1998-02-05 Apson Lackiertechnik Gmbh Vielfarb-Lackiereinrichtung
US6056270A (en) * 1998-05-13 2000-05-02 Tri-Clover, Inc. Valve gasket formed of composite materials and process
JP4441960B2 (ja) * 1999-10-04 2010-03-3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塗料供給装置
US6431521B1 (en) * 2000-09-21 2002-08-13 Claude Ray Jones Silicon carbide valve disc for nuclear reactors
CN2551350Y (zh) * 2002-04-10 2003-05-21 台州陆雄农业高新科技有限公司 活(柱)塞泵自动泄压装置
DE10335358A1 (de) * 2003-08-01 2005-03-10 Duerr Systems Gmbh Beschichtungsmittelwechsler
US7070066B2 (en) * 2004-04-08 2006-07-04 Nordson Corporation Liquid dispensing valve and method with improved stroke length calibration and fluid fittings
CN1262352C (zh) * 2004-06-29 2006-07-05 深圳市卓宝科技股份有限公司 多组份防水涂料全自动喷涂机
DE102006022570A1 (de) * 2006-05-15 2007-11-29 Dürr Systems GmbH Beschichtungseinrichtung und zugehöriges Betriebsverfahren
DE102006053921B4 (de) 2006-11-15 2016-11-24 Dürr Systems Ag Lackiermaschine mit einem Zerstäuber und zugehöriges Betriebsverfahren
DE102007037663A1 (de) * 2007-08-09 2009-02-19 Dürr Systems GmbH Nadelventilanordnung
DE102008037035B4 (de) 2008-08-08 2023-05-25 Dürr Systems Ag Ventilanordnung eines Lackierroboters
DE102008015258B4 (de) * 2008-03-20 2023-05-25 Dürr Systems Ag Farbwechsler für einen Lackierroboter
DE102009020064A1 (de) 2009-05-06 2010-11-11 Dürr Systems GmbH Fluidventil, insbesondere Rückführventil für eine Lackieranlage
DE102009031180A1 (de) * 2009-06-29 2010-12-30 Magna Steyr Fahrzeugtechnik Ag & Co Kg Vorrichtung zur Beschichtung eines Werkstückes
DE102010010053B4 (de) * 2010-03-03 2019-05-16 Dürr Systems Ag Zerstäuber und Verfahren zum Applizieren von Ein- und Mehr-Komponenten-Beschichtungsmitteln
DE102010019771A1 (de) 2010-05-07 2011-11-10 Dürr Systems GmbH Zerstäuber mit einem Gittermischer
CN202182220U (zh) * 2011-08-25 2012-04-04 开维喜阀门集团有限公司 安全减压阀
CN202209455U (zh) * 2011-09-23 2012-05-02 福建福思特阀门集团有限公司 电动安全泄压持压阀
CN202270502U (zh) * 2011-10-11 2012-06-13 中国国际海运集装箱(集团)股份有限公司 智能调漆系统
DE102013002412A1 (de) 2013-02-11 2014-08-14 Dürr Systems GmbH Applikationsverfahren und Applikationsanlage
CN203540814U (zh) * 2013-10-24 2014-04-16 重庆特铺路面工程技术有限公司 双组份喷涂系统
DE102014012705A1 (de) * 2014-08-27 2016-03-17 Eisenmann Se Ventil
CN104174524B (zh) * 2014-09-16 2016-08-24 朱红庆 一种集装箱油漆自动化智能调漆输送系统及使用方法
CN204422196U (zh) * 2015-03-18 2015-06-24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北京分公司 一种涂装机器人雾化器检具
JP2021038846A (ja) * 2019-09-02 2021-03-11 エクセル インダストリー バルブ、このようなバルブを備える被覆体の適用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専用の取り付け及び取り外しツー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73728A1 (en) * 2007-01-22 2008-07-24 Patrick Ilfrey High-solids, reactive components spray application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7028182A2 (pt) 2018-08-28
EP3317023A1 (de) 2018-05-09
PL3317023T3 (pl) 2021-06-28
ES2856681T3 (es) 2021-09-28
JP2018526197A (ja) 2018-09-13
RU2690353C1 (ru) 2019-05-31
CN107847951A (zh) 2018-03-27
US20180185860A1 (en) 2018-07-05
US11623232B2 (en) 2023-04-11
HUE052424T2 (hu) 2021-04-28
DE102015010158A1 (de) 2017-01-05
US20200368766A1 (en) 2020-11-26
BR112017028182B1 (pt) 2021-10-05
ZA201800243B (en) 2019-07-31
MX2017016168A (es) 2018-04-24
US10807110B2 (en) 2020-10-20
WO2017005353A1 (de) 2017-01-12
CN107847951B (zh) 2023-05-12
JP6962905B2 (ja) 2021-11-05
KR102612208B1 (ko) 2023-12-11
EP3317023B1 (de)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3232B2 (en) Applicator, in particular rotary atomiser
KR102569615B1 (ko) 코팅제 밸브
KR102558726B1 (ko) 니들 밸브
FI58307C (fi) Ventil foer tryckfinfoerdelningsanordning
US11167308B2 (en) Print head for the application of a coating agent on a component
JP2018526197A5 (ja) 回転噴霧器
TWI544967B (zh) Dispensing device and its cleaning method
US11919022B2 (en) Atomizer and associated operating method
US11905102B2 (en) Cartridge, method of making a cartridge and method of using a cartridge
US7703702B2 (en) Pneumatically operated device having check valve vent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3398035B2 (ja) ニードルレス二液同心ノズルスプレーガン
JP2000237568A (ja) 二液混合装置
US20140070017A1 (en) Spray gun for the application of dual component media and use of the spray gun to apply adhesi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