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4798A - 차량용 시트레일의 트랙레버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레일의 트랙레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4798A
KR20180024798A KR1020160111670A KR20160111670A KR20180024798A KR 20180024798 A KR20180024798 A KR 20180024798A KR 1020160111670 A KR1020160111670 A KR 1020160111670A KR 20160111670 A KR20160111670 A KR 20160111670A KR 20180024798 A KR20180024798 A KR 201800247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seat rail
bracket
lever member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1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수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160111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4798A/ko
Publication of KR20180024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7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with pin alignment systems, e.g. with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locking pins always aligned w.r.t.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pin-receiv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 B60N2/0715C or U-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레일의 트랙 레버에 관한 것으로, 시트레일의 어퍼레일에 고정되며, 끼움홀이 형성된 고정돌출부가 위쪽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고정브래킷과, 고정브래킷의 고정돌출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고정돌출부의 끼움홀에 연통되는 다른 끼움홀이 형성된 연결브래킷과, 연결브래킷에 결합되어 함께 회동 하면서 시트레일의 록킹작용을 수행하는 록킹레버를 작동시키기 위한 레버부재와, 연결브래킷을 고정돌출부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힌지부와, 록킹레버의 밑면에 지지된 후에 시트레일 반대쪽 측면에서 레버부재의 상단부까지 사선방향으로 지지한 후에 레버부재의 위쪽을 가로지른 후에 절곡되어 연결브래킷에 걸림되는 걸림부를 구비하고, 레버부재의 사용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여 부품수 를 줄일 수 있고, 제품의 단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레일의 트랙레버 {Track Lever Of Vehicle Seat-rail}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레일의 트랙레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레일의 록킹 레버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시트레일의 록킹레버와 트랙레버의 결합 구조를 단순히 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레일의 트랙레버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시트는 탑승자의 체형 및 실내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차체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구간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데, 이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시트레일이다.
시트레일은 통상 자동차의 실내 바닥면 즉, 플로어패널에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로우레일과, 로우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결합되면서 시트쿠션이 고정되는 어퍼레일과, 로우레일에 대해 어퍼레일의 이동을 단속하기 위한 록킹유닛과, 이 록킹유닛의 록킹을 해제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조작하는 트랙레버로 구성된다.
이러한 트랙레버는 록킹유닛의 록킹레버에 연결되어 록킹레버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며, 이 트랙레버와 록킹유닛의 록킹레버의 결합된 구조의 일 예가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5-0077704(2015.07.08: 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1에 개시된 시트레일의 트랙레버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레일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과, 회전축에 고정되어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레버부재와, 레버부재를 회전축과 함께 어퍼레일에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탄성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부재의 일부와 레버부재를 덮어서 보호하는 커버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레버부재를 들게 되면, 레버부재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면서 레버부재의 단부는 록킹유닛의 록킹레버의 상단을 눌러서 록킹유닛의 록킹을 해제하게 된다.
이때, 탄성부재는 레버부재가 록킹레버의 상단을 누를 때 탄성력을 발생시킨 후에 사용자가 레버부재를 놓게 되면 레버부재를 원상태로 원상태로 복귀시킨다.
이 탄성부재는 어퍼레일을 관통하여 지지됨과 동시에 회전축의 끼워져 결합되면서 레버부재의 상부와 하부를 함께 지지하기 위해서는 수회 절곡되어 독특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종래의 시트레일의 트랙레버는 수회 절곡되어 독특한 형상으로 형성하여야 하는 제작과정이 어려워 다량 생산이 까다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탄성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브래킷이 필요로 하기 때문에 부품 증가와 함께 제품의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77704 (2015.07.0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레버부재를 레일에 고정하는 구조를 단순히 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시트레일의 트랙레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레일의 어퍼레일에 고정되며, 끼움홀이 형성된 고정돌출부가 위쪽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고정브래킷과, 고정브래킷의 고정돌출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고정돌출부의 끼움홀에 연통되는 다른 끼움홀이 형성된 연결브래킷과, 연결브래킷에 결합되어 함께 회동 하면서 시트레일의 록킹작용을 수행하는 록킹레버를 작동시키기 위한 레버부재와, 연결브래킷을 고정돌출부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힌지부와, 록킹레버의 밑면에 지지된 후에 시트레일 반대쪽 측면에서 레버부재의 상단부까지 사선방향으로 지지한 후에 레버부재의 위쪽을 가로지른 후에 절곡되어 연결브래킷에 걸림되는 걸림부를 구비하고, 레버부재의 사용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탄성부재의 걸림부는, 시트레일의 반대편의 레버부재 측면부 상측에서 시트레일 쪽으로 절곡되어 레버부재의 위쪽을 반경방향쪽으로 지지하는 상측 지지부와, 상측 지지부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시트레일 쪽을 향하는 레버부재의 측면부를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와, 측면 지지부에서 시트레일의 후방쪽으로 절곡되어 연결브래킷 밑면에 걸려서 지지되는 걸림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힌지부는, 연결브래킷의 끼움홀과 고정돌출부의 끼움홀에 끼워지는 힌지볼트와, 고정돌출부의 끼움홀에 끼워져서 고정돌출부와 연결브래킷의 사이의 마찰을 줄이기 위한 부시와, 연결브래킷 쪽에서 힌지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시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고정돌출부의 끼움홀에 끼워진 후에 끼움홀의 가장자리에 밀착되는 리브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트랙레버의 레버부재가 연결브래킷에 의해 어퍼레일에 고정된 고정브래킷에 힌지 결합되고, 탄성부재에 의해 탄력 지지되는 구조인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중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시트레일의 트랙레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랙레버가 구비된 시트레일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트레일의 트랙레버 장치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트랙레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트랙레버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랙레버가 구비된 시트레일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트레일의 트랙레버 장치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트랙레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3의 트랙레버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시트레일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바닥에 고정되는 로우레일(50)과, 로우레일(50)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어퍼레일(60)과, 어퍼레일(60)을 로우레일(50)에 대해 록킹시켜 어퍼레일(60)의 이동을 단속하기 위한 록킹유닛(200)과, 록킹유닛(200)의 록킹을 해제하기 위한 트랙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록킹유닛(200)은 어퍼레일에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로우레일에 형성된 록킹홀이 끼워지는 록킹핀과, 록킹핀과 결합되되 어퍼레일에 힌지 결합되어 록킹핀을 상하 이동시키는 록킹레버(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트랙레버는 어퍼레일(6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양단부가 양쪽 어퍼레일(60)에 결합된 록킹레버(210)의 상단을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브래킷(110)과, 연결브래킷(120)과, 힌지부(150), 레버부재(130)와, 탄성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브래킷(110)은 어퍼레일(60)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그 일측부(어퍼레일의 측부 중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위쪽을 향해 돌출되는 고정돌출부(111)가 형성된다.
고정돌출부(111)에는 후술하는 힌지부(150)의 끼움부재()가 끼워지는 끼움홀이 형성된다.
연결브래킷(120)은 레버부재(130)를 어퍼레일(60)의 고정브래킷(110)에 회동되도록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브래킷(110)의 고정돌출부(111)에 후술하는 힌지부(150)에 의해 힌지 고정된다.
연결브래킷(120)은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수직부가 고정돌출부(111)에 밀착되되 완전히 밀착되지 않고, 후술하는 힌지부(150)의 부시를 매개로 밀착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연결브래킷(120)의 수직부에는 고정돌출부(111)의 끼움홀과 일치되어 연통되고, 후술하는 힌지부(150)의 힌지볼트(151)이 끼워지는 다른 끼움홀이 형성된다.
연결브래킷(120)의 수평부는 레버부재(130)와 결합하여 레버부재(130)의 회동시 함께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즉, 레버부재(130)가 연결브래킷(120)의 수평부 윗면에 올려진 후에 후술하는 탄성부재(140)에 의해 수평부에 결합된다.
힌지부(150)는 고정브래킷(110)의 고정돌출부(111)와 연결브래킷(120)의 수직부를 힌지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힌지볼트(151)와, 부시(152)와, 너트(153)를 포함한다.
힌지볼트(151)는 고정돌출부의 끼움홀을 통해 끼워져서 연결브래킷의 수직부의 끼움홀까지 관통하여 돌출된다.
즉, 고정돌출부(111)의 측면에 연결브래킷(120)의 수직부가 인접하여 끼움홀들이 연통되면, 힌지볼트(151)는 연통된 끼움홀들에 관통되어 헤드부분이 고정돌출부(111) 쪽에 걸림되고 반대쪽 끝이 연결브래킷(120)의 수직부 쪽으로 돌출되어 너트(153)가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부시(152)는 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고정돌출부(111)의 끼움홀 가장자리에 밀착되는 리브가 구비된다. 이 리브는 고정돌출부(111)에 연결브래킷(120)이 결합될 때, 고정돌출부(111)에 연결브래킷(120)의 수직부가 완전히 밀착되지 않도록 하여 고정돌출부(111)에 대해 연결브래킷(120)이 회전할 때 마찰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너트(153)는 고정돌출부(111)의 끼움홀과 연결브래킷(120)의 수직부에 형성된 끼움홀에 관통되어 연결브래킷(120)에 돌출된 힌지볼트(151)에 체결되어 연결브래킷(120)을 고정브래킷(110)의 고정돌출부(111)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탄성부재(140)는 대략 "ㅡ"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부에는 수회 절곡된 걸림부(141)가 형성되어 연결브래킷(120)의 수평부 밑면에 걸리고, 타단부가 록킹레버(210)의 하측에 지지되는 것에 의해 레버부재(130)를 록킹레버(210)에 대해 탄력 지지하게 된다.
걸림부(141)는 시트레일의 반대편의 레버부재(130) 측면부 상측에서 시트레일 쪽으로 절곡되어 레버부재(130)의 위쪽을 반경방향쪽으로 지지하는 상측 지지부와, 상측 지지부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시트레일 쪽을 향하는 레버부재(130)의 측면부를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와, 측면 지지부에서 시트레일의 후방쪽으로 절곡되어 연결브래킷(120)의 수평부 밑면에 걸려서 지지되는 걸림지지부로 구성된다.
이 탄성부재(140)는 사용자가 레버부재(130)를 들어올려 회동시키면 레버부재(130)의 단부가 록킹레버(210)의 상단을 가압한 후에 사용자가 레버부재(130)를 놓을 ‹š 레버부재(130)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탄성부재(140)는 레버부재(130)를 사용자가 들어 올릴 때 탄성력을 발생한 후에 사용자가 레버부재(130)를 놓으면 원위치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레일의 레버장치에 대한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초기 상태는 레버부재(130)를 작동하기 전 즉, 레버부재(130)를 연결브래킷(120)과 록킹레버(130)에 탄력 지지하는 탄성부재(140)에 탄성력이 작용하지 않은 상태이면서, 시트레일의 록킹유닛(200)이 록킹된 상태로 어퍼레일(50)이 로우레일(60)에 대해 고정되어 있어 시트가 움직이지 않도록 된 상태인 것이다.
이후에, 탑승자가 시트의 전후방 위치를 설정하고자 트랙레버를 작동시키게 된다. 즉, 탑승자는 레버부재(130)를 잡고 들어 올린다.
그러면, 레버부재(130)는 고정돌출부(111)에 힌지부(160)와 연결브래킷(120)에 의해 힌지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이때, 록킹레버(210)의 위쪽에 결합되는 레버부재(130)의 단부는 탑승자가 들어올리는 부분과 반대 쪽인 하측으로 이동되면서 록킹레버(210)를 하측으로 눌러 록킹유닛(200)의 록킹을 해제시킨다.
이렇게 레버부재(130)가 회전될 때, 탄성부재(140)에서는 레버부재(130)의 단부를 위쪽으로 밀어 올리려는 탄성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탑승자는 레버부재(130)를 들어올린 상태에서 시트를 이동시켜 위치를 설정한 후에, 레버부재(130)를 놓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 레버부재(130)의 단부는 반대 방향 즉, 위쪽이 이동되면서 원위치로 복귀되며, 이때 록킹유닛(200)은 록킹상태가 되면서 시트의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50 : 어퍼레일
60 : 로우레일
110 : 고정브래킷 111 : 고정돌출부
120 : 연결브래킷
130 : 레버부재
140 : 탄성부재 141 : 걸림부
150 : 힌지부 151 : 힌지볼트
152 : 부시 153 : 너트

Claims (4)

  1. 시트레일의 어퍼레일에 고정되며, 끼움홀이 형성된 고정돌출부가 위쪽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고정브래킷;
    고정브래킷의 고정돌출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고정돌출부의 끼움홀에 연통되는 다른 끼움홀이 형성된 연결브래킷;
    연결브래킷에 결합되어 함께 회동 하면서 시트레일의 록킹작용을 수행하는 록킹레버를 작동시키기 위한 레버부재;
    연결브래킷을 고정돌출부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힌지부;
    록킹레버의 밑면에 지지된 후에 시트레일 반대쪽 측면에서 레버부재의 상단부까지 사선방향으로 지지한 후에 레버부재의 위쪽을 가로지른 후에 절곡되어 연결브래킷에 걸림되는 걸림부를 구비하고, 레버부재의 사용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의 트랙레버.
  2. 제1항에 있어서,
    탄성부재의 걸림부는,
    시트레일의 반대편의 레버부재 측면부 상측에서 시트레일 쪽으로 절곡되어 레버부재의 위쪽을 반경방향쪽으로 지지하는 상측 지지부와,
    상측 지지부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시트레일 쪽을 향하는 레버부재의 측면부를 지지하는 측면 지지부와,
    측면 지지부에서 시트레일의 후방쪽으로 절곡되어 연결브래킷 밑면에 걸려서 지지되는 걸림 지지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의 트랙레버.
  3. 제1항에 있어서,
    힌지부는,
    연결브래킷의 끼움홀과 고정돌출부의 끼움홀에 끼워지는 힌지볼트;
    고정돌출부의 끼움홀에 끼워져서 고정돌출부와 연결브래킷의 사이의 마찰을 줄이기 위한 부시;
    연결브래킷 쪽에서 힌지볼트에 체결되는 너트;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레일의 트랙레버.
  4. 제3항에 있어서,
    부시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고정돌출부의 끼움홀에 끼워진 후에 끼움홀의 가장자리에 밀착되는 리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레일의 트랙레버.
KR1020160111670A 2016-08-31 2016-08-31 차량용 시트레일의 트랙레버 KR201800247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670A KR20180024798A (ko) 2016-08-31 2016-08-31 차량용 시트레일의 트랙레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670A KR20180024798A (ko) 2016-08-31 2016-08-31 차량용 시트레일의 트랙레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798A true KR20180024798A (ko) 2018-03-08

Family

ID=61726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1670A KR20180024798A (ko) 2016-08-31 2016-08-31 차량용 시트레일의 트랙레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479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6288A (ko) * 2018-07-19 2020-02-14 마터 이탤리 에스알엘 개선된 해제 조립체가 제공된 차량 시트용 슬라이딩 장치
KR102263859B1 (ko) 2020-12-08 2021-06-14 주식회사 리쿠스 차량용 시트의 잠금 해제장치
KR20220059250A (ko) 2020-11-02 2022-05-10 류인철 자동차용 시트레버 제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6288A (ko) * 2018-07-19 2020-02-14 마터 이탤리 에스알엘 개선된 해제 조립체가 제공된 차량 시트용 슬라이딩 장치
US11155186B2 (en) 2018-07-19 2021-10-26 Martur Italy S.R.L. Sliding device for a vehicle seat provided with an improved releasing assembly
KR20220059250A (ko) 2020-11-02 2022-05-10 류인철 자동차용 시트레버 제조장치
KR102263859B1 (ko) 2020-12-08 2021-06-14 주식회사 리쿠스 차량용 시트의 잠금 해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2709B2 (ja)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20180024798A (ko) 차량용 시트레일의 트랙레버
KR101422407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KR100794046B1 (ko) 액티브 헤드 레스트의 로킹 구조
JP2008143498A (ja) アクティブヘッドレストの高さ保持装置
KR101836472B1 (ko) 차량용 슬라이딩 암레스트
JP2007186104A (ja) 車両のスライドレール構造
US10493868B2 (en) Automobile seat
KR20070116496A (ko) 차량의 폴딩 시트 고정 장치
KR101864253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
KR101586947B1 (ko) 시트백 폴딩 장치
US20080122276A1 (en) Child vehicle seat
JP2005022506A (ja) 二段ロック式シートロック装置
KR102402994B1 (ko)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
KR20190016720A (ko) 콘솔 암레스트의 개폐 구조
KR101926066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작동장치
KR101716968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
KR101905542B1 (ko) 차량용 슬라이딩 암레스트
JP5206219B2 (ja) 車両用シートのテーブル構造
KR20150063694A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CN105799559B (zh) 高度调整机构及具有此高度调整机构的婴幼儿载具
KR100216287B1 (ko) 헤드레스트 조작장치
KR101734672B1 (ko) 보조매트 고정장치 및 그 작동방법
KR101936813B1 (ko) 콘솔 암레스트의 개폐 구조
KR20190016732A (ko) 콘솔 암레스트의 힌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