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2407B1 -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2407B1
KR101422407B1 KR1020130047890A KR20130047890A KR101422407B1 KR 101422407 B1 KR101422407 B1 KR 101422407B1 KR 1020130047890 A KR1020130047890 A KR 1020130047890A KR 20130047890 A KR20130047890 A KR 20130047890A KR 101422407 B1 KR101422407 B1 KR 101422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slider
locking lever
rail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7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철
황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130047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24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2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2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4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 B60N2/0248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with logic circuits with memory of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12Location of the latch
    • B60N2/0825Location of the latch outside the r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31Movement of the latch
    • B60N2/0837Movement of the latch pivoting
    • B60N2/085Movement of the latch pivoting about a transvers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81Activation of the latches by the control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워크인 메모리 기능을 갖는 시트레일에 관한 것으로, 고정레일에 구비되는 메모리 레일와, 메모리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메모리 슬라이더와, 메모리 슬라이더를 메모리 레일에 록 또는 언록시키는 슬라이더 록킹레버와, 슬라이더 록킹레버를 작동시키기 위한 록킹레버 작동부재와, 시트레일 록킹기구를 작동시키고, 록킹레버 작동부재와 함께 회전되는 워크인 작동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워크인 작동시 워크인 전에 설정된 시트의 위치를 메모리 할 수 있어 워크인 작동후에 탑승자가 시트의 위치를 설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탑승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WALK-IN MEMORY APPARATUS FOR SEAT OF CAR}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더욱 상세하게는 탑승자가 시트에 착석하기 위하여 시트의 착석위치를 설정한 후에, 워크인 작용으로 시트를 전방으로 시켰다가 시트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때, 시트를 기설정된 착석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는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는 탑승자의 하중을 지지하고, 실내의 바닥면에 앞뒤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는 시트쿠션, 시트쿠션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탑승장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을 포함한다.
이 시트에는 운전자나 승차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도록 시트를 전후방으로 당기거나 밀어서 시트의 위치를 조절하기 위해 시트를 차량의 바닥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시트레일을 록킹하는 장치와, 시트쿠션에 대하여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리클라이너가 구비된다.
한편, 최근에는 3도어 차량이나 쿠페 차량의 경우 후석 탑승자의 탑승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전방시트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시켜서 도어의 개방면적을 넓히도록 하고 있다. 특히 시트의 슬라이딩과 함께 시트백을 폴딩시켜 공간의 확장을 극대화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전방시트를 슬라이딩시키는 것을 워크인 기능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시트에 워크인 기능을 갖는 기술들이 한국특허 한국특허 공개번호 10-2006-0010948(특허문헌1), 한국특허 등록번호 10-0649090(특허문헌2), 한국특허 공개번호 10-2012-0072600(특허문헌3), 한국특허 공개번호 10-2009-0109683 (특허문헌4)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들 중 특허문헌 4에 개시된 워크인 기능을 갖는 시트는 시트백에 장착되는 워크인 레버를 탑승자가 작동시키면 워크인 케이블이 당겨져서 리클라이닝 장치를 작동시키고, 리클라이너 장치의 작동에 의해 시트백이 전방으로 접힌다. 이때 시트백의 연통브래킷에 의해 워크인 브래킷이 회동되면서 슬라이딩 케이블을 당겨서 시트레일의 록킹레버를 해제하게 된다. 그러면 시트는 차량의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상태가 되는데, 이때 탑승자가 시트를 차량의 전방으로 밀어서 리어 시트에 탑승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워크인 기능을 갖는 시트는 워크인 작동 후에, 워크인 시트에 탑승자가 탑승하기 위해서는 전방으로 슬라이딩 되어 워크인되어 있는 시트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키면 워크인 작동 전에 탑승자의 체형에 맞도록 설정되어 있던 시트의 위치가 초기화 상태가 된다.
따라서, 종래의 워크인 기능을 갖는 시트는 탑승자가 워크인 작동 후에, 시트를 원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탑승자 자신의 체형에 맞도록 시트의 위치를 설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 공개번호 10-2006-0010948 한국특허 등록번호 10-0649090 한국특허 공개번호 10-2012-0072600 한국특허 공개번호 10-2009-0109683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워크인 작동시 시트 위치를 설정하기 위한 메모리 기구를 구성하여, 워크인 작동 후 시트의 원위치로 이동시킬 때 설정된 위치로 시트를 위치시키도록 한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정레일에 구비되는 메모리 레일과, 메모리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메모리 슬라이더와, 메모리 슬라이더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메모리 슬라이더를 메모리 레일에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는 슬라이더 록킹레버와, 이동레일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슬라이더 록킹레버를 작동시키기 위한 록킹레버 작동부재와, 이동레일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워크인 작동시 시트레일 록킹기구를 작동시키고, 록킹레버 작동부재와 함께 회전되는 워크인 작동레버를 포함하고, 메모리 슬라이더의 내측에는 록킹레버 작동부재의 회전시 상하로 왕복 이동되면서 슬라이더 록킹레버를 가압하는 록킹레버 가압부재가 구비되며, 록킹레버 가압부재의 근방에는 워크인시 록킹레버 작동부재가 회전되지 않도록 접촉되고, 워크인 해제시 메모리 슬라이더에 록킹된 록킹레버 가압부재의 록킹을 해제하기 위하여 이동레일에 결합되어 왕복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 록킹 해제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메모리 슬라이더에는 메모리 레일에서 이동될 때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메모리 레일의 양측 가장자리를 감싸는 절곡부가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모리 레일에는 복수의 록킹홀이 형성되고, 슬라이더 록킹레버에는 복수의 록킹홀 중 하나의 록킹홀에 걸림되는 걸림후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더 록킹레버는, 메모리 슬라이더의 내측에서 제1탄성부재에 의해 탄력 지지되며, 제1탄성부재는 슬라이더 록킹레버가 메모리 레일에 록킹되면 압축되어 슬라이더 록킹레버의 언록을 수행할 때 탄성력이 작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메모리 슬라이더에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록킹레버 가압부재에는 가이드홀로 진입 돌출되어 슬라이더 록킹레버의 록킹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록킹레버 가압부재의 록 및 언록을 수행하는 걸림부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부재에는 가이드홀에 진입되어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걸림턱에 이격되어 가이드홀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메모리 록킹 해제부재에는 록킹레버 작동부재의 상부를 가압하는 스톱퍼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록킹레버 가압부재와 메모리 록킹 해제부재는 하우징에 형성되는 제1공간과 제2공간에 안착되고, 하우징의 일면에 커버 브래킷이 결합되는 것에 의해 이동레일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모리 록킹 해제부재는 제2공간의 내측에 제2탄성부재에 의해 탄력 지지되며 제2탄성부재는 워크인 작동후에 시트가 원위치로 복귀할 때, 메모리 해제부재를 메모리 슬라이더 쪽으로 가압할 때 탄성력이 작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평상시 사용자가 설정해 둔 시트의 위치가 워크인 작동 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워크인 유저(user) 메모리가 가능하여 사용자가 시트의 워크인 후 복귀 위치를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워크인 작동시 워크인 전에 설정된 시트의 위치를 메모리 할 수 있어 워크인 작동후에 탑승자가 시트의 위치를 설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탑승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가 구비된 시트레일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워크인 장치가 구비된 시트레일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메모리 워크인 장치에서 메모리 레일에 록킹된 메모리 슬라이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단면도.
도 6은 도 1의 시트레일에서 메모리 록킹 레버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1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에서 워크인 메모리 장치의 언록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도 1의 시트레일에 워크인 작동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1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에서 워크인 메모리 장치의 록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도 2의 시트레일에서 워크인 되어 이동레일이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1의 시트레일에서 워크인 작동후 시트 복귀시 워크인 메모리 장치의 언록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는 도 1의 시트레일에서 워크인 작동이 끝난 후 시트가 완전히 복귀된 상태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참고로,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가 구비된 시트레일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워크인 장치가 구비된 시트레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메모리 워크인 장치에서 메모리 레일에 록킹된 메모리 슬라이더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시트레일에서 메모리 록킹 레버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에서 워크인 메모리 장치의 언록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100)는 워크인 작동 후 시트를 복귀시킬 때 워크인 작동 전에 설정한 시트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워크인 작동 전에 설정한 시트의 위치를 메모리 하기 위한 것으로, 메모리 레일(110), 메모리 슬라이더(120), 슬라이더 록킹레버(130), 록킹레버 작동부재(150), 록킹레버 가압부재(140), 워크인 작동레버(160)를 포함한다.
먼저, 시트레일은 차량의 실내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레일(101), 고정레일(10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시트의 밑면에 구비되는 이동레일(102)을 포함한다.
고정레일(101)은 한 쌍으로 구성되고, 차량의 바닥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되, 그 단면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고정레일(101)에는 레일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의 록킹홀(101a)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동레일(102)은 고정레일(101)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이동레일(102)은 고정레일(101)과의 사이에 구비되는 다수의 볼부재에 의해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동레일(102)에는 탑승자의 체형에 맞는 시트 위치를 설정하기 위하여 고정레일(101)에 이동레일(102)을 록킹시키기 위한 시트레일 록킹기구(103)가 구비된다.
메모리 레일(110)은 고정레일(101)의 윗면에 체결부재로 결합되며, 고정레일(101)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메모리 레일(110)에는 후술하는 슬라이더 록킹레버(130)가 록킹되는 메모리 록킹홀(111)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이 메모리 레일(110)의 상부에는 메모리 슬라이더(120)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메모리 슬라이더(120)는 상하부가 개구되는 통 형태로 형성되되, 그 하단이 메모리 레일(110) 위에 이동 가능하게 안착된다. 메모리 슬라이더(120)의 내측에는 후술하는 슬라이더 록킹레버(130)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간이 형성된다. 메모리 슬라이더(120)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메모리 레일(110)에서 메모리 슬라이더(120)가 이동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메모리 레일(110)의 양측 가장자리를 감싸도록 하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122)가 구비된다.
슬라이더 록킹레버(130)는 메모리 슬라이더(120)의 설치공간(121)에 구비되어 워크인 작동시 메모리 슬라이더(120)를 메모리 레일(110)에 록킹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슬라이더 록킹레버(130)는 일단부가 핀부재(132)로 메모리 슬라이더(1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슬라이더 록킹레버(130)는 타단부에 걸림후크(131)가 형성되어 메모리 레일(110)의 메모리 록킹홀(111)에 걸림되도록 구성되다. 이 걸림후크(131)는 슬라이더 록킹레버(130)의 타단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슬라이더 록킹레버(130)는 일단부가 메모리 슬라이더(120)에 힌지 고정될 때, 제1탄성부재(133)에 의해 탄력 지지되어 타단부가 메모리 레일(110)의 반대쪽 즉, 위쪽을 향하여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제1탄성부재(133)는 일단부가 메모리 슬라이더(12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슬라이더 록킹레버(130)에 연결되어, 슬라이더 록킹레버(130)의 타단부가 메모리 록킹홀(111)에 걸림될 때 압축되어 슬라이더 록킹레버(130)의 언록을 수행할 때 탄성력이 작용되도록 구성된다.
슬라이더 록킹레버(130)는 그 위쪽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록킹레버 가압부재(140)에 의해 가압되어 시트의 워크인시 메모리 슬라이더(120)의 록킹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록킹레버 가압부재(140)는 메모리 슬라이더(120)의 내측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그 하부가 슬라이더 록킹레버(130)의 위쪽을 가압하게 된다.
록킹레버 가압부재(140)의 일측에는 메모리 슬라이더(120)에 형성되는 가이드홀(123)에 걸림되어 록킹레버 가압부재(140)를 상하 이동을 록 및 언록하기 위한 걸림부재(141)가 형성된다.
걸림부재(141)는 록킹레버 가압부재(140)의 일측면 하측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되, 일단부(도 5에서 상단부)가 자유단으로 구성되어 록킹레버 가압부재(140)의 내측으로 유동되도록 탄성력을 가지고 형성된다. 즉, 걸림부재(141)는 일단부를 누르면 록킹레버 가압부재(140)의 내측으로 들어갔다가 놓으면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걸림부재(141)의 일단부에는 메모리 슬라이더(120)의 가이드홀(123) 위쪽에 걸리는 걸림턱(141a)이 형성되고, 타단부에는 메모리 슬라이더(120)의 가이드홀(123) 아래쪽에 진입 형성되는 돌출부(141b)가 형성된다. 즉, 워크인 작동시 슬라이더 록킹레버(130)의 걸림후크(131)가 메모리 레일(110)의 메모리 록킹홀(111)에 걸림된 후에 록킹레버 가압부재(140)에 구비되는 걸림부재(141)의 걸림턱(141a)이 가이드홀(123)의 위쪽에 걸림으로써, 슬라이더 록킹레버(130)가 메모리 레일(110)에 록킹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한편, 슬라이더 록킹레버(130)는 이동레일(102)에 구비되는 록킹레버 작동부재(150)에 의해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록킹레버 작동부재(150)는 이동레일(102)에 일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타단부가 슬라이더 록킹레버(130)를 직접 작동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도 7과 같이, 록킹레버 작동부재(150)의 하측에 록킹레버 가압부재(140)를 구성하여 록킹레버 가압부재(140)을 통하여 슬라이더 록킹레버(130)를 작동시키는 것을 예로서 설명하기로 한다. 즉, 록킹레버 작동부재(150)는 슬라이더 록킹레버(130)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슬라이더 록킹레버(130)의 위쪽에 구비되는 록킹레버 가압부재(140)의 위쪽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 록킹레버 작동부재(150)는 이동레일(102)에 결합될 때, 하우징(151)에 힌지 결합된 후에 하우징(151)이 이동레일(102)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 록킹레버 작동부재(150)는 하우징(151)의 일측면에 구비되는 제1공간(151a)에 안착된 후에 일단부가 힌지 고정된다.
하우징(151)에는 제1공간(151a)에 연통되는 제2공간(151b)이 구비된다. 그리고 제2공간(151b)에는 워크인 작동 후 시트 복귀시 메모리 슬라이더(120)에 록킹되어 있는 록킹레버 가압부재(140)의 록킹을 해제하기 위한 메모리 록킹 해제부재(152)가 구비된다.
이 메모리 록킹 해제부재(152)는 제2공간(151b)에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착된다. 메모리 록킹 해제부재(152)의 상부에는 워크인 작동시 록킹레버 작동부재(150)의 상단부에 걸려서 록킹레버 작동부재(150)의 작동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스톱퍼(152a)가 형성된다. 그리고 메모리 록킹 해제부재(152)에는 메모리 슬라이더(120)의 가이드홀(123)을 통해 돌출되는 걸림부재(141)의 돌출부(141b)를 누르기 위한 누름돌출부(152b)가 메모리 슬라이더(120)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메모리 록킹 해제부재(152)는 제2공간(151b)에서 제2탄성부재(153)에 의해 메모리 슬라이더(120)를 향하여 가압되도록 탄력 지지된다.
제2탄성부재(153)는 워크인 작동 전 즉, 도 9와 같이, 메모리 록킹 해제부재(152)의 스톱퍼(152a)가 록킹레버 작동부재(150)의 단부에 접촉된 상태에서 메모리 록킹 해제부재(152)와 제2공간(151b)의 내측면에 사이에서 압축되어 탄성력을 갖게 되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제1공간(151a)은 하우징(151)의 일측면에 형성되되, 제2공간(151b)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제1공간(151a)에 장착되는 록킹레버 작동부재(150)의 일단부가 제2공간(151b)에 장착되는 메모리 록킹 해제부재(152)에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제1공간(151a)은 대략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에 장착되는 록킹레버 작동부재(150)의 일단부가 제1공간(151a)의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하부에 관통부분이 형성된다. 제1공간(151a)과 제2공간(151b) 사이에는 연통부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메모리 록킹 해제부재(152)의 스톱퍼(152a)가 연통부를 통하여 제1공간(151a)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제2공간(151b)은 메모리 록킹 해제부재(152)가 제2공간(151b)에서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되, 메모리 록킹 해제부재(152)의 하단부가 하우징(151)의 하측으로 관통되어 이동레일(102)과 고정레일(101)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하우징의 제1공간(151a)과 제2공간(151b)에 각각 안착되는 록킹레버 작동부재(150)와 메모리 록킹 해제부재(152)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우징(151)의 제1공간(151a)과 제2공간(151b)이 형성되는 일측면에 커버 브래킷(154)이 결합된다.
커버 브래킷(154)은 하우징(151)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1공간(151a)과 제2공간(151b)을 폐쇄하고, 록킹레버 작동부재(150)와 메모리 록킹 해제부재(152)가 제1공간(151a)과 제2공간(151b)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메모리 록킹 해제부재(152)는 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152c)가 하우징(151)에 형성되는 가이드홀(123)이 이동 가능하게 끼워져서 수평으로 이동될 때 유동되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되는 것이다.
워크인 작동레버(160)는 록킹레버 작동부재(150)에 고정핀(170)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일측에는 회전시 시트레일 록킹기구(103)의 록킹을 해제하기 위하여 시트레일 록킹기구(103)의 작동레버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 돌기부(161)가 형성된다. 그리고, 워크인 작동레버(160)에는 작동 돌기부(161)에서 일정각도만큼 이격된 부분에 시트에 구비되는 워크인 조작레버(미도시)의 조작력을 전달하기 위한 조작 케이블의 일단이 연결되는 연결부(162)가 형성된다. 즉, 워크인 작동레버(160)는 탑승자가 워크인 조작레버를 조작하게 되면, 조작레버의 조작력이 조작케이블에 전달되고, 조작케이블이 연결되는 연결부(162)가 당겨짐으로써, 고정핀(170)을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워크인 작동레버(160)를 고정하는 고정핀(170)은 록킹레버 작동부재(150)를 고정하고, 하우징(1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조작레버의 조작에 의해 워크인 작동레버(160)가 회전되면, 워크인 작동레버(160)에 고정되는 고정핀(170)이 회전되고, 이 고정핀(170)에 고정되는 록킹레버 작동부재(150)도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워크인 메모리 기능을 갖는 시트 레일의 작용을 도 7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는 시트레일이 록킹되어 있고, 도 7과 같이, 슬라이더 록킹레버(130)가 메모리 레일(110)에서 록킹이 해제되어 있는 상태를 초기 상태라 한다.
즉, 슬라이더 록킹레버(130)가 제1탄성부재(133)에 의해 회전되어 슬라이더 록킹레버(130)의 걸림후크(131)가 메모리 레일(110)의 메모리 록킹홀(111)에서 이탈되고, 록킹레버 가압부재(140)의 상부가 메모리 슬라이더(120)의 상측으로 돌출된 상태에 있는 것을 말한다.
상기와 같은 초기 상태에서 탑승자가 시트를 워크인 시키기 위하여, 시트에 구비되는 워크인 조작레버를 조작하게 되면, 워크인 조작레버의 조작력이 작동케이블을 통해 워크인 작동레버(160)에 전달되어 워크인 작동레버(160)의 연결부(162)를 당기게 된다. 이때 워크인 작동레버(160)는 도 8과 같이, 고정핀(170)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워크인 작동레버(160)의 작동 돌기부(161)가 시트레일 록킹기구(103)를 작동시키게 된다.
워크인 작동레버(160)가 고정핀(170)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시트레일 록킹기구(103)를 작동시킬 때, 록킹레버 작동부재(150)는 도 9와 같이 회전하면서 그 타단부의 하부가 록킹레버 가압부재(140)를 위에서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록킹레버 가압부재(140)는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슬라이더 록킹레버(130)의 타단부를 가압하게 된다. 이때, 슬라이더 록킹레버(130)는 그 타단부에 형성된 걸림후크(131)가 메모리 레일(110)의 메모리 록킹홀(111)에 걸림되는 것에 의해 메모리 레일(110)에 록킹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또한, 메모리 록킹 해제부재(152)는 제2탄성부재(153)의 탄성력에 의해 메모리 슬라이더(120) 쪽으로 이동되면서 스톱퍼(152a)가 록킹레버 작동부재(150)의 단부 상측을 가압하여 록킹레버 작동부재(150)의 역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워크인 조작레버가 조작되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슬라이더 록킹레버(130)가 메모리 레일(110)에 록킹되었을 때, 록킹레버 가압부재(140)는 그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걸림부재(141)의 걸림턱(141a)이 메모리 슬라이더(120)의 가이드홀(123)의 상단에 걸림 상태가 됨으로써, 슬라이더 록킹레버(130)의 록킹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메모리 슬라이더(120)가 메모리 레일(110)에 록킹 되면서 탑승자의 체형에 맞는 시트의 위치가 설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메모리 슬라이더(120)가 메모리 레일(110)에 록킹되면서 시트의 위치가 설정될 때, 시트레일 록킹기구(103)가 해제 상태가 되어 이동레일(102)은 시트의 전방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렇게 시트가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되면 탑승자는 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후에 리어 시트에 탑승하게 된다. 이때, 이동레일(102)에 결합되어 있는 록킹레버 작동부재(150)는 도 10과 같이, 이동레일(102)과 함께 이동되어 시트의 위치 설정을 하는 메모리 슬라이더(120)로부터 이격되는 것이다.
이후에, 탑승자는 시트를 원위치 시키기 위해서 시트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록킹레버 작동부재(150)와 메모리 록킹 해제부재(152)가 이동레일(102)과 함께 원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시트가 차량의 후방으로 이동하여 메모리 록킹 해제부재(152)가 메모리 레일(110)에 록킹되어 있는 메모리 슬라이더(120)의 일측면에 부딪힐 때 시트의 이동이 정지된다.
또한, 메모리 슬라이더(120)의 일측면에 메모리 록킹 해제부재(152)가 부딪히면서 도 12와 같이 후방으로 밀리게 됨에 따라 록킹레버 작동부재(150)의 단부를 위쪽에 가압되어 있던 메모리 록킹 해제부재(152)의 스톱퍼(152a)가 이탈되면서 록킹레버 작동부재(150)가 회전되면서 원상태가 된다. 그리고 메모리 록킹 해제부재(152)는 제2탄성부재(153)에 의해 메모리 슬라이더(120) 쪽으로 가압되어 도 과 같이, 메모리 록킹 해제부재(152)의 누름돌출부(152b)가 메모리 슬라이더(120)의 가이드홀(123) 하단부로 돌출된 걸림부재(141)의 돌출부(141b)를 눌러서 록킹레버 가압부재(140)를 언록시키게 된다.
이렇게 록킹레버 가압부재(140)가 언록되면 슬라이더 록킹레버(130)는 제1탄성부재(133)의 탄성력에 의해 일단부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메모리 레일(110)의 메모리 록킹홀(111)에서 걸림후크(131)가 이탈되면서 메모리 슬라이더(120)의 언록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워크인 메모리 장치가 초기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워크인 작동 후 시트는 워크인 작동 전에 시트가 고정되어 있던 위치로 복귀한다. 따라서, 평상시 사용자가 설정해 둔 시트의 위치가 워크인 작동 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됨으로써, 워크인 유저(user) 메모리가 가능하여 사용자가 시트의 워크인 후 복귀 위치를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워크인 후, 시트가 후방으로 복귀할 때 시트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정지하여 고정되므로 시트의 후방 복귀 후 시트의 위치를 다시 조정해야 하지 않아도 됨으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1 : 고정레일 101a : 록킹홀
102 : 이동레일 103 : 시트레일 록킹기구
110 : 메모리레일 111 : 메모리 록킹홀
120 : 메모리 슬라이더 121 : 설치공간
122 : 절곡부 123 : 가이드홀
130 : 슬라이더 록킹레버 131 : 걸림후크
132 : 핀부재 133 : 제1탄성부재
140 : 록킹레버 가압부재 141 : 걸림부재
141a : 걸림턱 141b : 돌출부
150 : 록킹레버 작동부재 151 : 하우징
151a : 제1공간 151b : 제2공간
151c : 가이드홀 152 : 메모리 록킹 해제부재
152a : 스톱퍼 152b : 누름 돌출부
152c : 가이드 돌기 153 : 제2탄성부재
154 : 커버 브래킷
160 : 워크인 작동레버 161 : 작동 돌기부
162 : 연결부
170 : 고정핀

Claims (11)

  1. 고정레일에 구비되는 메모리 레일;
    메모리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메모리 슬라이더;
    메모리 슬라이더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메모리 슬라이더를 메모리 레일에 록킹 또는 언록킹시키는 슬라이더 록킹레버;
    이동레일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슬라이더 록킹레버를 작동시키기 위한 록킹레버 작동부재;
    이동레일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워크인 작동시 시트레일 록킹기구를 작동시키고, 록킹레버 작동부재와 함께 회전되는 워크인 작동레버를 포함하고,
    메모리 슬라이더의 내측에는 록킹레버 작동부재의 회전시 상하로 왕복 이동되면서 슬라이더 록킹레버를 가압하는 록킹레버 가압부재가 구비되며,
    록킹레버 가압부재의 근방에는 워크인시 록킹레버 작동부재가 회전되지 않도록 접촉되고, 워크인 해제시 메모리 슬라이더에 록킹된 록킹레버 가압부재의 록킹을 해제하기 위하여 이동레일에 결합되어 왕복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 록킹 해제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메모리 슬라이더에는,
    메모리 레일에서 이동될 때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메모리 레일의 양측 가장자리를 감싸는 절곡부가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메모리 레일에는 복수의 록킹홀이 형성되고, 슬라이더 록킹레버에는 복수의 록킹홀 중 하나의 록킹홀에 걸림되는 걸림후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슬라이더 록킹레버는,
    메모리 슬라이더의 내측에서 제1탄성부재에 의해 탄력 지지되며,
    제1탄성부재는 슬라이더 록킹레버가 메모리 레일에 록킹되면 압축되어 슬라이더 록킹레버의 언록을 수행할 때 탄성력이 작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메모리 슬라이더에는 가이드홀이 형성되고,
    록킹레버 가압부재에는 가이드홀로 진입 돌출되어 슬라이더 록킹레버의 록킹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록킹레버 가압부재의 록 및 언록을 수행하는 걸림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걸림부재에는 가이드홀에 진입되어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걸림턱에 이격되어 가이드홀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메모리 록킹 해제부재에는 록킹레버 작동부재의 상부를 가압하는 스톱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록킹레버 가압부재와 메모리 록킹 해제부재는 하우징에 형성되는 제1공간과 제2공간에 안착되고, 하우징의 일면에 커버 브래킷이 결합되는 것에 의해 이동레일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메모리 록킹 해제부재는 제2공간의 내측에 제2탄성부재에 의해 탄력 지지되며
    제2탄성부재는 워크인 작동후에 시트가 원위치로 복귀할 때, 메모리 해제부재를 메모리 슬라이더 쪽으로 가압할 때 탄성력이 작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KR1020130047890A 2013-04-30 2013-04-30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KR101422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890A KR101422407B1 (ko) 2013-04-30 2013-04-30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7890A KR101422407B1 (ko) 2013-04-30 2013-04-30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2407B1 true KR101422407B1 (ko) 2014-07-22

Family

ID=51742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7890A KR101422407B1 (ko) 2013-04-30 2013-04-30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2407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946B1 (ko) * 2014-09-01 2016-01-19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KR101598713B1 (ko) * 2014-10-31 2016-02-29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KR101600715B1 (ko) 2014-11-28 2016-03-07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시트레일
KR101607206B1 (ko) 2014-11-19 2016-03-29 대원정밀공업(주) 비대칭 트랙의 워크인 메모리장치
KR101610726B1 (ko) 2014-12-10 2016-04-11 현대다이모스(주) 시트용 워크인장치
WO2016093563A1 (ko) * 2014-12-10 2016-06-16 현대다이모스(주) 시트용 워크인장치
KR101662456B1 (ko) * 2015-06-29 2016-10-04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KR101670185B1 (ko) * 2015-08-25 2016-10-27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KR101716968B1 (ko) * 2015-11-13 2017-03-16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
KR101778606B1 (ko) * 2016-04-29 2017-09-14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KR101876427B1 (ko) * 2017-04-27 2018-07-10 대원정밀공업(주) 시트트랙 록킹장치
CN114013662A (zh) * 2021-11-19 2022-02-08 浙江省涡轮机械与推进系统研究院 一种行程可调固定翼飞机座椅安装结构以及固定翼飞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5377A (en) * 1995-09-27 1997-02-25 Atoma International Inc. Vehicle seat with full memory easy entry
KR100785234B1 (ko) 2006-12-29 2007-12-11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JP2009056912A (ja) * 2007-08-31 2009-03-19 Fuji Kiko Co Ltd 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20130013362A (ko) * 2011-07-28 2013-02-06 주식회사다스 워크인 메모리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시트레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5377A (en) * 1995-09-27 1997-02-25 Atoma International Inc. Vehicle seat with full memory easy entry
KR100785234B1 (ko) 2006-12-29 2007-12-11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JP2009056912A (ja) * 2007-08-31 2009-03-19 Fuji Kiko Co Ltd シートスライド装置
KR20130013362A (ko) * 2011-07-28 2013-02-06 주식회사다스 워크인 메모리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시트레일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6946B1 (ko) * 2014-09-01 2016-01-19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KR101598713B1 (ko) * 2014-10-31 2016-02-29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KR101607206B1 (ko) 2014-11-19 2016-03-29 대원정밀공업(주) 비대칭 트랙의 워크인 메모리장치
KR101600715B1 (ko) 2014-11-28 2016-03-07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시트레일
WO2016093563A1 (ko) * 2014-12-10 2016-06-16 현대다이모스(주) 시트용 워크인장치
WO2016093628A1 (ko) * 2014-12-10 2016-06-16 현대다이모스(주) 시트용 워크인장치
KR101610726B1 (ko) 2014-12-10 2016-04-11 현대다이모스(주) 시트용 워크인장치
KR101662456B1 (ko) * 2015-06-29 2016-10-04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KR101670185B1 (ko) * 2015-08-25 2016-10-27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KR101716968B1 (ko) * 2015-11-13 2017-03-16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
KR101778606B1 (ko) * 2016-04-29 2017-09-14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KR101876427B1 (ko) * 2017-04-27 2018-07-10 대원정밀공업(주) 시트트랙 록킹장치
CN114013662A (zh) * 2021-11-19 2022-02-08 浙江省涡轮机械与推进系统研究院 一种行程可调固定翼飞机座椅安装结构以及固定翼飞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2407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KR101054778B1 (ko)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장치
KR101774793B1 (ko) 워크인 메모리 기능을 가지는 차량용 시트레일
US6817646B2 (en) Vehicle seat
US8083287B2 (en) Headrest apparatus moveable in cooperation with seat back
KR101263153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
US20150151650A1 (en) Seat rail apparatus for vehicle having walk-in memory function
JP2007513817A (ja) 自動車シート用のレール長手方向ガイドに対するメモリ装置
US10150393B2 (en) Fitting with a pivoting-forwards mechanism and easy-entry latch, and vehicle seat with such a fitting
KR101864253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
KR101709354B1 (ko) 자동차 시트의 시트레일 록킹 장치
JP2004513820A (ja) 自動車シート
KR101549969B1 (ko) 차량용 암레스트 록킹장치
US20200056409A1 (en) Lock device for vehicles
US10081271B2 (en) Vehicle slide rail device
US6715833B2 (en) Slide rail structure of seat for vehicle
KR101662461B1 (ko) 시트 쿠션의 매뉴얼 익스텐션 장치
KR101598713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KR101593849B1 (ko) 헤드레스트 슬라이딩 장치
KR20150063694A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KR101716968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
KR101586946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KR101669761B1 (ko) 자동차 시트의 워크인 복원장치
KR101337941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
JP4669975B2 (ja) 座席位置復帰メモリー機構付き自動車用スライド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