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5234B1 - 자동차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5234B1
KR100785234B1 KR1020060138003A KR20060138003A KR100785234B1 KR 100785234 B1 KR100785234 B1 KR 100785234B1 KR 1020060138003 A KR1020060138003 A KR 1020060138003A KR 20060138003 A KR20060138003 A KR 20060138003A KR 100785234 B1 KR100785234 B1 KR 100785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k
locker
lever
memory device
mount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8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희
오용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060138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52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5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5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워크인케이블(31)에 의해 당겨지는 언록레버(33)와; 상기 언록레버(33)가 당겨졌을 때 상기 언록레버(33)에 의해 상방으로 들어올려져 로어레일(17)의 걸림구멍(17a)으로부터 이탈되는 록커(39)와; 상기 언록레버(33)와 스프링(37)으로 연결되어 언록레버(33)와 동시 회동되어 언록레버(33)의 언록(unlock)방향 회동상태를 지지하는 지지레버(35)로 이루어진 록킹수단이 쿠션플레이트(13)에 설치되고, 상기 로어레일(17)을 플로어에 고정시키는 프론트마운팅브라켓(19)의 리벳(19a) 헤드와 폭이 확장 성형된 리어마운팅브라켓(21)이 각각 시트의 워크인 및 후방 복귀시 스토퍼 역할을 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조작레버를 1회 조작하는 것만으로 시트가 완전하게 워크인되고, 워크인 및 후방 복귀시 하프록(half lock)이 발생하지 않으며, 시트가 항상 일정한 위치로 이동하여 정지하게 되므로 워크인 및 후방 복귀 조작이 매우 간편하고 장치 작동의 정확성 및 신뢰성이 향상되어 뒷열 승객의 승차 및 하차 편의성이 향상되고 공간확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seat walk-in memory device of car}
도 1은 시트의 측면 구성도,
도 2는 시트의 리클라이닝 및 폴딩 작동 상태도,
도 3은 시트의 워크인 작동을 위한 워크인스프링의 설치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워크인 메모리 장치의 구성도로서, 워크인 작동 이전 상태의 도면,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도,
도 6의 (a),(b),(c)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록커어셈블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정면도 및 내부 구성도,
도 7은 도 4의 대응도로서, 워크인 작동된 상태의 도면,
도 8은 도 7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 쿠션플레이트 15 : 어퍼레일
17 : 로어레일 19 : 프론트마운팅브라켓
21 : 리어마운팅브라켓 31 : 워크인케이블
33 : 언록레버 35 : 지지레버
37 : 스프링 39 : 록커
41 : 지지브라켓 50 : 록커어셈블리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워크인(walk-in) 작동시 하프록(half lock)이 발생하지 않도록 된 자동차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시트는 통상 탑승자의 편의를 위해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리클라이닝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리클라이닝 장치에 더하여 시트백을 앞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하는 폴딩 장치와, 시트 전체를 앞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워크인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기존에는 상기 리클라이닝 장치와 폴딩 장치가 각각 개별적으로 구성되어 장치의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시트에 상호 이격된 2개의 회동점이 존재하게 됨으로써 그 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도 1 내지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형 리클라이닝 및 폴딩 장치가 개발되었는 바, 우선 그 작동을 간단히 살펴 보기로 한다.
탑승자가 시트백 일측 하부의 핸드레버(1)를 당기면 걸림핀(3)의 작용에 의해 워크인레버(5)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로어투스핀(7; lower tooth pin)을 하 향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로어투스핀(7)과 일체인 로어투스브라켓(9)을 하향이동시켜 그 상방의 어퍼투스브라켓(11)과의 치합상태를 해제시킨다.
따라서, 상기 어퍼투스브라켓(11)의 힌지핀(8)에 설치된 태엽형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어퍼투스브라켓(11)에 장착된 시트백이 앞쪽으로 폴딩되고, 더불어 상기 스프링의 반력(폴딩방향으로 작용)에 저항하여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한편, 시트는 쿠션플레이트(13)의 하면에 어퍼레일(15)이 일체로 장착되고, 상기 어퍼레일(15)을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로어레일(17)이 프론트 및 리어 마운팅브라켓(19,21)을 매개로 차체의 플로어에 고정된다. 상기 프론트 및 리어마운팅브라켓(19,21)은 상기 로어레일(17)의 전후단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핸드레버(1)의 아래쪽에는 상기 걸림핀(3)을 공유하는 릴리스레버(23)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릴리스레버(23)는 시트백 후면 상단에 설치된 조작레버(도시하지 않음)에 백케이블(25)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시트의 뒷열 승차자가 상기 조작레버를 조작하면 상기 백케이블(25)이 상방으로 당겨지면서 릴리스레버(23)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이에 상기 걸림핀(3)의 작용에 의해 워크인레버(5)가 상기와 동일하게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로어투스브라켓(9)과 어퍼투스브라켓(11)의 치합상태가 해제됨으로써 시트백이 폴딩된다.
또한, 상기 작용과 동시에 시트백 즉, 상기 어퍼투스브라켓(11)이 폴딩되는 것에 의하여 동축(힌지핀(8))상에 설치된 상부레버(29)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 며, 이에 따라 상부레버(29)에 연결된 워크인케이블(31)이 당겨져서 상기 쿠션플레이트(13)의 안쪽면에 설치된 록킹수단의 걸림상태를 해제하여 워크인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워크인 작동은 시트 전체가 앞쪽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크인스프링(47)의 수축작용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상기 워크인스프링(47)은 양단이 각각 프론트마운팅브라켓(19)과 어퍼레일(15)의 후단에 장착된 고정브라켓(43,45)들에 연결되어 있어서, 시트가 뒤쪽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신장되어 있게 됨으로써 상기 록킹수단이 해제되었을 때 시트에 전진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도 상기 백케이블(25)을 상방으로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폴딩과 워크인이 동시에 이루어짐으로써 뒷열 시트 승객의 승하차 편의성 향상 및 승차상태에서 보다 넓은 공간의 확보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워크인케이블(31)이 당겨진 상태가 유지되지 않으면상기 록킹수단의 해제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않음으로써 시트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중간에 록킹이 발생하여 워크인 작동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워크인케이블(31)의 당김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백케이블(25) 조작레버를 계속 조작하고 있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워크인 상태(완전히 앞쪽으로 이동된 상태)의 시트를 후방으로 원위치시킬 경우에도 상기 록킹수단의 해제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백케이블(25) 조작레버를 조작한 상태를 유지해야만 록킹수단이 중간에 걸리게 되는 하프록(half lock) 현상 없이 시트를 복귀시킬 수 있게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조작레버를 1회 조작하는 것만으로 하프록 현상의 발생 없이 시트가 원활하게 최후방 위치와 최전방 위치 사이에서 완전하게 워크인 및 리턴될 수 있게 됨으로써 조작 편의성이 향상되고, 뒷열 승객의 승하차 및 공간 확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자동차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쿠션플레이트와;
상기 쿠션플레이트의 하면에 고정된 어퍼레일과;
상기 어퍼레일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프론트마운팅브라켓 및 리어마운팅브라켓을 매개로 플로어에 고정된 로어레일과;
상기 프론트마운팅브라켓과 상기 어퍼레일의 후단을 연결하는 워크인스프링과;
상기 쿠션플레이트의 안쪽면에 장착되고, 워크인케이블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로어레일에 형성된 걸림구멍에 걸려지거나 이탈되어 상기 로어레일에 대해 상기 어퍼레일을 록 또는 언록시키는 록킹수단을 구비한 자동차 시트의 워크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워크인케이블에 의해 당겨지는 언록레버와;
상기 언록레버가 당겨졌을 때 상기 언록레버에 의해 상방으로 들어올려져 로 어레일의 걸림구멍으로부터 이탈되는 록커와;
상기 언록레버와 스프링으로 연결되어 언록레버와 동시 회동되어 언록레버의 회동상태를 지지하는 지지레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록커를 포함하여 록커어셈블리가 구성되며, 이 록커어셈블리의 하우징이 워크인시 상기 프론트마운팅브라켓을 플로어에 고정시키는 리벳의 헤드에 걸려짐으로써 워크인 위치가 정확하게 제한된다.
또한, 상기 리어마운팅브라켓의 측면은 상기 로어레일의 측면보다 돌출되어 워크인 상태에서 후방위치로의 복귀시 상기 리어마운팅브라켓의 전단에 상기 지지레버가 걸려져 지지레버에 의한 언록레버의 지지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록커가 재작동됨으로써 시트의 후방 복귀 위치가 정확하게 제한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워크인 작동 이전 상태를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워크인 메모리 장치의 구성도로서, 도 1,2에 도시된 쿠션플레이트(13)의 안쪽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요부 확대도이다.
쿠션플레이트(13)의 하면에는 어퍼레일(15)이 일체로 장착되어 있고, 상기 어퍼레일(15)은 로어레일(17)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상기 로어레일(17)의 전단과 후단은 각각 프론트마운팅브라켓(19)과 리어마운팅브라켓(21)을 매개로 플로어에 고정된다.
상기 로어레일(17)의 바닥면에는 이후 설명할 록킹수단의 록커(39)가 걸려지 는 다수의 걸림구멍(17a)들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쿠션플레이트(13)의 안쪽면에는 언록레버(33)와, 지지레버(35) 및 록커(39)를 포함하는 록킹수단이 설치되며, 이 록킹수단은 워크인케이블(31)에 의해 작동된다.(워크인케이블(31)의 작동은 앞서 기술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상기 언록레버(33)는 원형부가 상기 쿠션플레이트(13)에 힌지축(H1)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원형부의 하부로 하부아암(33a)이 돌출형성되어 이 하부아암(33a)에 상기 워크인케이블(31)이 연결되며, 상기 원형부의 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측부아암(33b)에는 상기 쿠션플레이트(13)측 면에 걸림핀(33c)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측부아암(33b)의 상부 모서리에 소정 각도 경사지고 단부가 둥글게 가공된 돌출단부(33d)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지지레버(35)는 상기 언록레버(33)의 힌지축(H1)과 동일한 높이에 힌지핀(H2)으로 상기 쿠션플레이트(13)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부에 자신의 몸체면에 대해 수직하게 대략 기역자(ㄱ)형상의 절곡단부(35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레버(35)의 상단과 상기 언록레버(33)의 상단은 스프링(37)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록커(39)는 하단에 상기 로어레일(17)의 걸림구멍(17a)에 삽입되어 걸려지는 다수의 삽입단(39a)이 형성되고, 상단에 수평으로 구부러져 상기 언록레버(33)의 걸림핀(33c)에 걸려지는 걸림부(39b)가 형성된다.
즉, 상기 록커(39)는 어퍼레일(15)의 상면에 형성된 홀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삽입단(39a)이 로어레일(17)의 걸림구멍(17a)에 삽입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록커(39)는 도 6의 (a),(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커어셈블리(50)로 구성된다.
상기 록커어셈블리(50)는 양단에 플랜지(51a)가 형성되고 하면에 상기 록커(39)의 삽입단(39a)이 관통되는 관통홀(51b)이 형성된 대략 U형상의 하우징(51)과, 상기 하우징(51)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면에 상기 록커(39)가 관통되어 그 승강경로를 안정화시키는 가이드홀(52a)이 형성된 가이드부재(52)와, 상기 록커(39)와 상기 하우징(51)의 일측 플랜지(51a)에 양단이 고정되어 록커(39)에 하향력을 가하는 스프링(53)과, 상기 록커(39) 및 가이드부재(52)를 상방으로 노출시키면서 상기 하우징(51)의 전체를 덮는 커버(5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하우징(51)의 양측 플랜지(51a)를 관통하는 리벳(55)을 매개로 상기 어퍼레일(15)의 상면에 고정된다. 즉, 상기 록커어셈블리(50)는 어퍼레일(15)에 내장되어 어퍼레일(15)과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커버(54)의 일측에 연장단부(54a)가 형성되고, 이 연장단부(54a)에 핀을 매개로 레버(56)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 레버(56)의 일측 단부는 상기 록커(39)에 연결되어 상기 스프링(53)의 하향력에 대항하여 록커(39)를 임의로 상승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마운팅브라켓(19)을 플로어에 고정시키는 리벳(19a)은 그 헤드부가 상기 로어레일(17)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게 되는데, 이 리벳(19a)의 헤드가 워크인시 상기 록커어셈블리(50)의 하우징(51)의 전진 위치를 제한하는 전방 스토퍼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로어레일(17)의 후단을 지지하는 리어마운팅브라켓(21)은 그 측면이 상기 로어레일(17)보다 돌출되는 폭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그 전단모서리(21a)에 상기 지지레버(35)의 하단이 걸려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리어마운팅브라켓(21)의 전단모서리(21a)에는 상기 지지레버(35)의 하단이 소정 깊이로 삽입되는 홈을 형성하여 상기 지지레버(35)의 걸림 작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의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제작 및 조립시 발생한 오차를 보정하여 정확한 위치에서 록커(39)가 하강하여 삽입단(39a)이 걸림구멍(17a)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워크인케이블(31)은 쿠션플레이트(13)에 고정된 지지브라켓(41)의 단부에 형성된 끼움홈(41a)에 끼워져 지지된다.
이제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4와 도 5는 시트가 후방으로 밀려져 있는 워크인 이전 상태의 도면(록커어셈블리(50)는 록커(39)만을 간략히 도시함)이고, 도 7과 도 8은 시트가 전방으로 완전하게 워크인 된 상태의 도면(록커어셈블리(50)의 하우징(51)을 추가 도시함)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크인 이전 상태에서는 상기 록커(39)의 삽입단(39a)이 로어레일(17)의 걸림구멍(17a)에 삽입되어 걸려져 있으므로 시트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언록레버(33)의 돌출단부(33d)는 지지레버(35)의 절곡단부(35a)에 접촉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워크인케이블(31)이 당겨지면 언록레버(33)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측부아암(33b)의 걸림핀(33c)이 상승하므로 이에 걸려져 있던 록커(39)가 상승하여 삽입단(39a)이 로어레일(17)의 걸림구멍(17a)으로부터 이탈되어 록킹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신장되어 있던 워크인스프링(47)의 수축력에 의하여 상기 어퍼레일(15)이 당겨지게 되므로 시트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록커(39)의 언록 이후에 상기 언록레버(33)와 지지레버(35)의 상태는 도 7,8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도 4,5의 상태에서 언록레버(33)가 회전됨에 따라 그의 돌출단부(33d)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때 스프링(37)에 의해 당겨짐으로써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된 지지레버(35)의 절곡단부(35a)가 언록레버(33)쪽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37)의 작용으로 지지레버(35)가 계속 당겨지게 되므로 상기 절곡단부(35a)와 상기 돌출단부(33d)는 상호 접촉상태에서 슬라이딩하게 되며, 회동량이 더 증가하면 결국 상기 절곡단부(35a)의 모서리가 돌출단부(33d)의 하측 모서리부에 안착되어 돌출단부(33d)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언록레버(33)의 반대방향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워크인 중 록커(39)의 하강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승객에 의한 조작레버의 조작상태가 중단되어 워크인케이블(31)에 조작력이 작용하지 않더라도 언록레버(33)의 언록방향 회동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워크인 중 의도하지 않은 록킹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즉, 하프록(half lock) 현상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워크인스프링(47)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던 시트는 도 7,8과 같이, 상기 록커어셈블리(50) 하우징(51)의 전방 하단 모서리가 상기 리벳(19a)의 헤드에 걸려짐으로써 정지하게 된다. 즉, 상기 리벳(19a)의 헤드가 전방 스토퍼의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프록 현상 없이 한번에 완전하게 워크인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워크인 상태에서도 지지레버(35)에 의한 언록레버(33)의 지지상태가 계속 유지되므로 록커(39)는 작동되지 않으며, 이로써 워크인 상태에서 시트를 후방 위치로 복귀시킬 때는 별도의 레버 조작 없이 단순히 시트를 후방으로 밀어 주는 것에 의하여 시트를 원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시트를 후방으로 밀면 시트는 상기 지지레버(35)의 하단이 도 4,5와 같이 리어마운팅브라켓(21)의 전단모서리(21a)에 걸려질 때까지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지레버(35)의 하단이 리어마운팅브라켓(21)의 전단모서리(21a)에 걸려지면 지지레버(3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므로 절곡단부(35a)가 돌출단부(33d)로부터 이탈되므로 더 이상 언록레버(33)의 언록방향 회동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지지레버(35)의 회동에 따라 지지상태가 해제된 후에는 스프링(37)에 의해 언록레버(33)의 상단이 당겨져서 언록레버(33) 역시 반시계방향으 로 회동하게 되고 이에 상기 록커어셈블리(50)의 스프링(53)에 의한 하향력이 더하여져 상기 록커(39)가 다시 하강하여 삽입단(39a)이 로어레일(17)의 걸림구멍(17a)에 삽입되어 걸려지며, 상기 록커어셈블리(50)의 스프링(30)에 의해 그 삽입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됨으로써 로어레일(17)에 어퍼레일(15)이 고정되어 시트의 위치가 고정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시트가 워크인 상태에서 후방의 위치로 복귀될 때에도 상기 지지레버(35)가 리어마운팅브라켓(21)에 걸려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기 전까지는 지지레버(35)에 의한 언록레버(33)의 지지상태가 계속 유지되므로 록커(39)의 하강이 방지되어 하프록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시트를 워크인 시킬 때와 워크인 상태에서 원위치로 복귀시킬 때 즉, 시트 이동중 하프록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시트의 이동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워크인시 최초 한 번의 조작레버 조작만 필요할 뿐 하프록 발생을 막기 위하여 조작레버의 조작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되며, 워크인 상태에서 후방위치로 복귀시킬 때는 별도의 조작레버 조작 없이 단순히 시트를 후방으로 밀기만 하면 되므로 조작이 매우 간편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가 하프록 발생 없이 언록레버 및 지지레버가 대응하는 리벳(19a)의 헤드 및 리어마운팅브라켓(21)에 걸려질 때까지 이동하게 되므로 시트의 위치 이동이 항상 정확하고 일정한 위치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레버를 1회 조작하는 것만으로 시트가 완전하게 워크인되고, 워크인 및 후방 복귀시 하프록이 발생하지 않으며, 항상 일정한 위치로 이동하여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워크인 및 후방 복귀 조작이 매우 간편하고 장치 작동의 정확성 및 신뢰성이 향상되며, 이로 인해 뒷열 승객의 승/하차 편의성이 향상되고 공간확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쿠션플레이트(13)와;
    상기 쿠션플레이트(13)의 하면에 고정된 어퍼레일(15)과;
    상기 어퍼레일(15)을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프론트마운팅브라켓(19) 및 리어마운팅브라켓(21)을 매개로 플로어에 고정된 로어레일(17)과;
    상기 프론트마운팅브라켓(19)과 상기 어퍼레일(15)의 후단을 연결하는 워크인스프링(47)과;
    상기 쿠션플레이트(13)의 안쪽면에 장착되고, 워크인케이블(31)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로어레일(17)에 형성된 걸림구멍(17a)에 걸려지거나 이탈되어 상기 로어레일(17)에 대해 상기 어퍼레일(15)을 록 또는 언록시키는 록킹수단을 구비한 자동차 시트의 워크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워크인케이블(31)에 의해 당겨지는 언록레버(33)와;
    상기 언록레버(33)가 당겨졌을 때 상기 언록레버(33)에 의해 상방으로 들어올려져 로어레일(17)의 걸림구멍(17a)으로부터 이탈되는 록커(39)와;
    상기 언록레버(33)와 스프링(37)으로 연결되어 언록레버(33)와 동시 회동되어 언록레버(33)의 회동상태를 지지하는 지지레버(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언록레버(33)는 상기 쿠션플레이트(13)에 힌지축 (H1)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부아암(33a)에 상기 워크인케이블(31)이 연결되며, 측부아암(33b)의 상기 쿠션플레이트(13)측 면에 걸림핀(33c)이 구비되고, 상기 측부아암(33b)의 상부 모서리에 소정 각도 경사진 돌출단부(33d)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버(35)는 힌지핀(H2)을 매개로 상기 쿠션플레이트(13)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부에 몸체면에 수직한 기역자(??) 형상의 절곡단부(35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커(39)는 하단에 상기 로어레일(17)의 걸림구멍(17a)에 삽입되어 걸려지는 다수의 삽입단(39a)이 형성되고, 상단에 수평으로 구부러져 상기 언록레버(33)의 걸림핀(33c)에 걸려지는 걸림부(39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록커(39)는, 양단에 플랜지(51a)가 형성되고 하면에 상기 록커(39)의 삽입단(39a)이 관통되는 관통홀(51b)이 형성된 하우징(51)과, 상기 하우징(51)에 삽입되고 상기 록커(39)가 관통되는 가이드홀(52a)이 형성된 가이드부재(52)와, 상기 록커(39)와 상기 하우징(51)의 일측 플랜지(51a)에 양단이 고정되어 록커(39)를 하향이동시키는 스프링(53)과, 상기 록커(39) 및 가이드부재(52)를 상방으로 노출시키면서 상기 하우징(51)의 전체를 덮는 커버(54)와 함께 록 커어셈블리(50)를 구성하고, 상기 록커어셈블리(50)는 하우징(51)의 양측 플랜지(51a)를 관통하는 리벳(55)을 매개로 상기 어퍼레일(15)의 상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커버(54)의 일측에 연장단부(54a)가 형성되고, 이 연장단부(54a)에 상기 록커(39)에 일측단부가 연결되는 레버(56)가 핀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록커어셈블리(50)의 하우징(51)은 워크인시 상기 프론트마운팅브라켓(19)을 플로어에 고정시키는 리벳(19a)의 헤드에 걸려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어마운팅브라켓(21)의 측면이 상기 로어레일(17)의 측면보다 돌출되어 워크인 상태에서 후방위치로의 복귀시 상기 리어마운팅브라켓(21)의 전단에 상기 지지레버(35)가 걸려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쿠션플레이트(13)에 단부에 끼움홈(41a)이 형성된 지지브라켓(41)이 장착되어, 상기 끼움홈(41a)에 상기 워크인케이블(31)이 끼워져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KR1020060138003A 2006-12-29 2006-12-29 자동차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KR100785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8003A KR100785234B1 (ko) 2006-12-29 2006-12-29 자동차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8003A KR100785234B1 (ko) 2006-12-29 2006-12-29 자동차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5234B1 true KR100785234B1 (ko) 2007-12-11

Family

ID=39140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8003A KR100785234B1 (ko) 2006-12-29 2006-12-29 자동차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5234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628B1 (ko) * 2008-02-28 2010-06-15 주식회사다스 차량의 시트쿠션용 워크인 장치
KR101046607B1 (ko) * 2009-02-24 2011-07-06 주식회사다스 시트의 워크 인 메모리 장치
DE102012105868A1 (de) 2011-12-12 2013-06-13 Hyundai Motor Company Einstiegs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KR101422407B1 (ko) 2013-04-30 2014-07-22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KR101621207B1 (ko) 2014-12-10 2016-05-17 현대다이모스(주) 시트용 워크인장치
WO2016093628A1 (ko) * 2014-12-10 2016-06-16 현대다이모스(주) 시트용 워크인장치
KR101662456B1 (ko) * 2015-06-29 2016-10-04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KR101669761B1 (ko) * 2015-06-29 2016-10-26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의 워크인 복원장치
KR101876427B1 (ko) * 2017-04-27 2018-07-10 대원정밀공업(주) 시트트랙 록킹장치
KR101910392B1 (ko) * 2017-01-12 2018-10-24 대원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US11148557B2 (en) 2019-11-13 2021-10-19 Hyundai Motor Company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restoring seatbac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0053A (ko) * 2004-09-06 2007-05-14 바이에리셰 모토렌 베르케 악티엔게젤샤프트 차 시트 상의 대상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0053A (ko) * 2004-09-06 2007-05-14 바이에리셰 모토렌 베르케 악티엔게젤샤프트 차 시트 상의 대상을 검출하기 위한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7-0050053호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3628B1 (ko) * 2008-02-28 2010-06-15 주식회사다스 차량의 시트쿠션용 워크인 장치
KR101046607B1 (ko) * 2009-02-24 2011-07-06 주식회사다스 시트의 워크 인 메모리 장치
DE102012105868A1 (de) 2011-12-12 2013-06-13 Hyundai Motor Company Einstiegs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US9108536B2 (en) 2011-12-12 2015-08-18 Hyundai Motor Company Walk-in apparatus for vehicle seat
KR101422407B1 (ko) 2013-04-30 2014-07-22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WO2016093563A1 (ko) * 2014-12-10 2016-06-16 현대다이모스(주) 시트용 워크인장치
KR101621207B1 (ko) 2014-12-10 2016-05-17 현대다이모스(주) 시트용 워크인장치
WO2016093628A1 (ko) * 2014-12-10 2016-06-16 현대다이모스(주) 시트용 워크인장치
KR101662456B1 (ko) * 2015-06-29 2016-10-04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KR101669761B1 (ko) * 2015-06-29 2016-10-26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의 워크인 복원장치
KR101910392B1 (ko) * 2017-01-12 2018-10-24 대원산업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KR101876427B1 (ko) * 2017-04-27 2018-07-10 대원정밀공업(주) 시트트랙 록킹장치
US11148557B2 (en) 2019-11-13 2021-10-19 Hyundai Motor Company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restoring seatba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5234B1 (ko) 자동차 시트의 워크인 메모리 장치
US10549655B2 (en) Seat slide mechanism
EP1908625B1 (en) Seat position adjusting apparatus for vehicle
US7025419B2 (en) Seat mechanism for vehicle
EP1974984B1 (en) Seat slide device for vehicle
EP2116415B1 (en) Lock structure for stowable vehicle seat
JP4305675B2 (ja) 車両用シート
US7854461B2 (en) Slide/flip-up type seat for automobile
US9731630B2 (en) Seat slide device
KR20090026257A (ko) 직립 시트
JP2011201434A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S6253377B2 (ko)
JPH106822A (ja) 車両シート用スライドおよび該スライドを備えた車両シート
US10150393B2 (en) Fitting with a pivoting-forwards mechanism and easy-entry latch, and vehicle seat with such a fitting
EP1780070A2 (en) Seat apparatus for a vehicle
JP2009126441A (ja) メモリー機構を有する自動車用シート調整装置
KR20070031493A (ko) 더블 폴딩 시트용 폴딩 위치 제한장치
JP5727222B2 (ja) シートフレーム及び該シートフレームを備えた車両用格納シート
US20210155126A1 (en) Internal Full Memory Seat Track With Interlock
KR101610726B1 (ko) 시트용 워크인장치
JP4078669B2 (ja) 自動車用チップアップ・スライド式シート
JP2002211292A (ja) 車両用シート
JP5347364B2 (ja) 自動車のシート装置
JP4278496B2 (ja) 車両のシート構造
JP5387000B2 (ja) 車両用シートのロック解除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