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2994B1 -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2994B1
KR102402994B1 KR1020170155377A KR20170155377A KR102402994B1 KR 102402994 B1 KR102402994 B1 KR 102402994B1 KR 1020170155377 A KR1020170155377 A KR 1020170155377A KR 20170155377 A KR20170155377 A KR 20170155377A KR 102402994 B1 KR102402994 B1 KR 102402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plate
plate
disposed
fastened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7906A (ko
Inventor
김지훈
김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스
Priority to KR1020170155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2994B1/ko
Publication of KR20190057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9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60N2/14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rota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도록 제공되는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는 시트레일에 체결되는 하부 플레이트와, 시트쿠션 프레임에 체결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감싸도록 형성된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에 체결되고 일부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가 회전되게 제공되는 회전수단, 그리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회전을 구속하거나 구속 해제하는 록킹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갭이 형성되지 않아 이물질 침투를 방지하여 원활한 회전운동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SEAT SWIVEL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시트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도록 제공되는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3열 이상의 시트 열을 구비한 승합 차량은 후방 탑승자의 대화시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회전 가능한 시트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이, 회전 가능한 시트는 통상적으로 운전석 후방의 2열 시트부터 적용되며, 그 회전각도는 최대 180°를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보편적이다.
이와 같이, 시트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시트쿠션과 시트레일 사이에 일명 스위블(swivel)이라는 시트 회전장치가 장착된다. 상기 시트 회전장치는 탑승자의 체중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는 강성을 갖추고 있어야 하고, 또한 원활한 회전운동을 할 수 있어야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10)는 시트레일(미도시)에 체결되는 하부 플레이트(20)와, 시트쿠션 프레임(미도시)에 체결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2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대 회전되게 체결되는 상부 플레이트(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10)는 상부 플레이트(30)와 하부 플레이트(20) 사이에 갭(G)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갭(G)을 통하여 이물질이 상기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10) 내부로 유입되어 회전운동에 저항으로 작용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10)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상기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10) 측으로 손가락을 넣는 경우 상기 갭(G)에 손가락이 끼이게 되어 손가락을 다치는 등 안전상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갭이 형성되지 않는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는, 시트레일에 체결되는 하부 플레이트; 시트쿠션 프레임에 체결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감싸도록 형성된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에 체결되고, 일부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가이드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가 회전되게 제공되는 회전수단;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회전을 구속하거나 구속 해제하는 록킹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시트레일에 체결되고, 단면이 U자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공간을 형성하는 통로부; 상기 통로부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수단이 배치되는 회전 지지부; 및 상기 통로부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의해 감싸지는 차단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에 체결되고, 상기 통로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프레임 결합부; 상기 프레임 결합부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체결되는 플레이트 결합부; 상기 프레임 결합부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하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차단 절곡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차단 절곡부의 단부를 감싸면서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컬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상부 리테이너;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하부 리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레버조립체;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배치되고, 상기 레버조립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회전 구속을 해제하는 래치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버조립체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레버브라켓; 일측단은 상기 레버브라켓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타측단은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작동레버; 상기 작동레버와 상기 래치조립체를 연결하고, 상기 작동레버가 회전되면 상기 래치조립체를 동작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케이블; 및 상기 레버브라켓과 상기 작동레버를 연결하고, 상기 작동레버가 회전되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래치조립체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래치브라켓;
상기 래치브라켓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일측단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통로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체결홀에 삽입되게 절곡 형성되고, 타측단은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는 작동래치; 및 상기 래치브라켓과 상기 작동래치를 연결하고, 상기 작동래치의 일측단이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게 탄성력을 인가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에 따르면,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갭이 형성되지 않아 이물질 침투를 방지하여 원활한 회전운동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 플레이트와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갭이 형성되지 않아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2의 I-I' 부분을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5는 도 4의 A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4의 B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의 I-I' 부분을 절단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도 4의 A 및 B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확대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100)는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일측은 차량의 시트레일에 체결되고, 타측은 시트쿠션 프레임에 체결되어 시트쿠션 프레임을 시트레일 상에서 회전 시키도록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100)는 시트레일에 체결되는 하부 플레이트(200)와, 시트쿠션 프레임에 체결되 상기 하부 플레이트(2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플레이트(300)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의 하부에 체결되고 일부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200)의 하부에 배치되는 가이드 플레이트(400)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가 회전되게 제공되는 회전수단(500), 그리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의 회전을 구속하거나 구속 해제하는 록킹수단을 포함한다.
즉, 상기 하부 플레이트(200)는 시트레일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는 시트쿠션 프레임에 체결되며, 상기 회전수단(500)에 의해 상기 하부 플레이트(200) 상에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가 회전할 수 있어 시트쿠션 프레임을 회전시켜 시트의 방향을 바꿀 수 있다. 또한, 상기 록킹수단을 사용자가 동작시켜 시트의 회전이 필요한 경우 상기 록킹수단을 동작시켜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의 회전을 구속 해제하고, 시트의 회전이 완료되면 상기 록킹수단의 동작을 정지하여 상기 록킹수단이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의 회전을 구속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200)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200)의 사이에 갭이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200)는 상기 시트레일에 체결되고 단면이 U자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와 공간을 형성하는 통로부(210)와, 상기 통로부(210)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00)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수단(500)이 배치되는 회전 지지부(220), 그리고 상기 통로부(210)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에 의해 감싸지는 차단 절곡부(230)를 포함한다.
즉, 상기 하부 플레이트(200)의 통로부(21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상기 록킹수단의 작동래치(720)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의 회전시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공간부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차단 절곡부(230)는 상기 통로부(210)에서 연장되어 하측으로 절곡 형성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통로부(210)의 외측부과 함께 n자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의 컬링부(340)는 u자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컬링부(340)가 상기 차단 절곡부(230)를 감싸면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차단 절곡부(230)는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형상으로 상기 하부 플레이트(200)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 간에 외부로 노출되는 갭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상기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100)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로부(210)에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가 회전하는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스톱퍼(240)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가 180°로 회전되는 경우 상기 스톱퍼(240)는 상기 통로부(210) 상에서 180°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에 구비된 래치조립체(700)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와 함께 회전하다 상기 스톱퍼(240)에 접촉하여 회전이 구속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는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에 체결되고 상기 통로부(210)의 상측에 배치되는 프레임 결합부(310)와, 상기 프레임 결합부(310)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00)와 체결되는 플레이트 결합부(320)와, 상기 프레임 결합부(310)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하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차단 절곡부(230)의 외측에 배치되는 커버부(330), 그리고 상기 커버부(330)에서 연장되어 상기 차단 절곡부(230)의 단부를 감싸면서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컬링부(34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는 상기 프레임 결합부(310)가 상기 통로부(21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부(330)가 상기 프레임 결합부(310)에서 연장 절곡되어 상기 차단 절곡부(230)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컬링부(340)가 상기 커버부(330)에서 연장 절곡되어 상기 차단 절곡부(230)를 감싸면서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결합부(320)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00)와 체결되므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00)는 상부 플레이트(300)와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수단(500)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200), 상기 하부 플레이트(200)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00)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가 회전되게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수단(500)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200) 사이에 배치되는 상부 리테이너(510)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200)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하부 리테이너(520)로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하여, 회전의 축방향에 대하여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의 회전을 구속하고 있고,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의 구속을 해제하도록 동작한다.
여기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에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레버조립체(600)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에서 상기 레버조립체(600)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레버조립체(6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의 회전 구속을 해제하는 래치조립체(7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버조립체(600)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에 체결되는 레버브라켓(610)과, 일측단은 상기 레버브라켓(610)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타측단은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작동레버(620)와, 상기 작동레버(620)와 상기 래치조립체(700)를 연결하고 상기 작동레버(620)가 회전되면 상기 래치조립체(700)를 동작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케이블(630), 그리고 상기 레버브라켓(610)과 상기 작동레버(620)를 연결하고 상기 작동레버(620)가 회전되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6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래치조립체(700)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에 체결되는 래치브라켓(710)과, 상기 래치브라켓(710)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일측단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에 형성된 관통홀(311)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200)의 통로부(210)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200)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00)에 형성된 체결홀(211, 411)에 삽입되게 절곡 형성되고 타측단은 상기 케이블(630)과 연결되는 작동래치(720), 그리고 상기 래치브라켓(710)과 상기 작동래치(720)를 연결하고 상기 작동래치(720)의 일측단이 상기 체결홀(211, 411)에 삽입되게 탄성력을 인가하는 토션스프링(7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작동래치(720)는 일측단에 갈퀴형태의 래치부(721)가 형성되어 상기 체결홀(211, 411)에 삽입되게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사용자가 상기 작동레버(620)를 회전시키면 상기 케이블(630)이 당겨지면서 상기 작동래치(720)를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래치(720)가 회전하면서 상기 래치부(721)가 상기 체결홀(211, 411)에서 이탈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시트를 회전시키면 일정 각도 회전 후 상기 래치조립체(700)가 상기 스톱퍼(240)에 접촉하여 회전이 구속되고, 이때 사용자가 상기 작동레버(620)를 놓으면 상기 탄성부재(640)에 의해 상기 작동레버(620)는 원래 위치로 복귀하고, 상기 작동래치(720)는 상기 토션스프링(730)에 의해 회전하여 원래 위치로 복귀한다. 이때, 상기 작동래치(720)에 구비된 래치부(721)가 상기 체결홀(211, 411)에 삽입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의 회전을 구속하게 되어 시트가 회전된 상태를 유지한다.
여기서, 상기 래치조립체(700)가 상기 스톱퍼(240)에 접촉시 상기 작동래치(72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플레이트(300)에 체결되고 상기 작동래치(720)를 감싸도록 형성된 작동래치 브라켓(74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작동래치 브라켓(740)은 상기 프레임 결합부(310)의 하측면에 체결되고, 상기 래치부(721)가 삽입되게 홀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
200 : 하부 플레이트 210 : 통로부
211 : 체결홀 220 : 회전 지지부
230 : 차단 절곡부 240 : 스톱퍼
300 : 상부 플레이트 310 : 프레임 결합부
311 : 관통홀 320 : 플레이트 결합부
330 : 커버부 340 : 컬링부
400 : 가이드 플레이트 411 : 체결홀
500 : 회전수단 510 : 상부 리테이너
520 : 하부 리테이너
600 : 레버조립체 610 : 레버브라켓
620 : 작동레버 630 : 케이블
640 : 탄성부재
700 : 래치조립체 710 : 래치브라켓
720 : 작동래치 721 : 래치부
730 : 토션스프링 740 : 작동래치 브라켓

Claims (7)

  1. 시트레일에 체결되는 하부 플레이트;
    시트쿠션 프레임에 체결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를 감싸도록 형성된 상부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하부에 체결되고, 일부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가이드 플레이트;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가 회전되게 제공되는 회전수단;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회전을 구속하거나 구속 해제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반경방향 외측 단부에 단면이 n자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 차단 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차단 절곡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반경방향 외측 단부에 상기 차단 절곡부를 감싸면서 내측으로 절곡되며 단면이 u자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 컬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시트레일에 체결되고, 단면이 U자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공간을 형성하는 통로부;
    상기 통로부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회전수단이 배치되는 회전 지지부; 및
    상기 통로부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하측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의해 감싸지는 상기 차단 절곡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에 체결되고, 상기 통로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프레임 결합부;
    상기 프레임 결합부의 반경방향 내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체결되는 플레이트 결합부;
    상기 프레임 결합부의 반경방향 외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하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차단 절곡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차단 절곡부의 단부를 감싸면서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상기 컬링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상부 리테이너; 및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하부 리테이너;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동력을 발생시키는 레버조립체; 및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배치되고, 상기 레버조립체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회전 구속을 해제하는 래치조립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조립체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레버브라켓;
    일측단은 상기 레버브라켓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타측단은 외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작동레버;
    상기 작동레버와 상기 래치조립체를 연결하고, 상기 작동레버가 회전되면 상기 래치조립체를 동작하도록 동력을 전달하는 케이블; 및
    상기 레버브라켓과 상기 작동레버를 연결하고, 상기 작동레버가 회전되면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조립체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체결되는 래치브라켓;
    상기 래치브라켓에 회전되게 체결되고, 일측단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통로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체결홀에 삽입되게 절곡 형성되고, 타측단은 상기 케이블과 연결되는 작동래치; 및
    상기 래치브라켓과 상기 작동래치를 연결하고, 상기 작동래치의 일측단이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게 탄성력을 인가하는 토션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
KR1020170155377A 2017-11-21 2017-11-21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 KR102402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377A KR102402994B1 (ko) 2017-11-21 2017-11-21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377A KR102402994B1 (ko) 2017-11-21 2017-11-21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906A KR20190057906A (ko) 2019-05-29
KR102402994B1 true KR102402994B1 (ko) 2022-05-27

Family

ID=66672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377A KR102402994B1 (ko) 2017-11-21 2017-11-21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29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170B1 (ko) * 2019-11-29 2021-07-05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파워 스위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워 스위블 제어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563Y1 (ko) 2004-09-24 2004-12-14 대원강업주식회사 자동차 시트 회전장치
KR100501012B1 (ko) 2004-09-24 2005-07-18 대원강업주식회사 자동차 시트 회전장치
KR100799874B1 (ko) 2006-08-23 2008-01-31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 회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0251B1 (ko) * 2005-12-27 2007-11-27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 회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563Y1 (ko) 2004-09-24 2004-12-14 대원강업주식회사 자동차 시트 회전장치
KR100501012B1 (ko) 2004-09-24 2005-07-18 대원강업주식회사 자동차 시트 회전장치
KR100799874B1 (ko) 2006-08-23 2008-01-31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 회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906A (ko) 201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61759B2 (ja) 調節可能な車両シート
JP5239839B2 (ja) 乗物用シート
US20160168884A1 (en) Unlocking device for a vehicle hood
EP3309005B1 (en) Sliding armrest for vehicle
EP3309006B1 (en) Sliding armrest for vehicle
JP2005029151A (ja) 第1の要素を第2の要素にロック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このロックシステムを備えたシート
JP6613829B2 (ja) シートロック装置
KR101125337B1 (ko) 차량의 후석 테이블 어셈블리
US20140167476A1 (en) Folding headrest
KR20140005363A (ko) 잠금 장치
JP5233525B2 (ja) ヘッドレスト
KR102402994B1 (ko)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
US6786552B2 (en) Catch hook for a backrest adjustment armature in the seats of motor vehicles
JP2017047728A (ja) 車両用シートのウォークイン装置
US10081271B2 (en) Vehicle slide rail device
KR102112109B1 (ko) 차량용 시트의 폴딩 어셈블리
KR102234280B1 (ko) 피팅 장치 및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
KR101542692B1 (ko) 차량용 후드래치
KR101534529B1 (ko) 차량용 암레스트 어셈블리
JP5371281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の装着構造
KR101985702B1 (ko) 차량용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락킹구조
US9168847B2 (en) Horizontal action seat tilt mechanism and bezel
US20210188362A1 (en) Vehicle seat
JP6248846B2 (ja) 乗物用シートの跳ね上げ機構
JP2002087119A (ja) 車両のシー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