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3236A -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3236A
KR20180023236A KR1020160108241A KR20160108241A KR20180023236A KR 20180023236 A KR20180023236 A KR 20180023236A KR 1020160108241 A KR1020160108241 A KR 1020160108241A KR 20160108241 A KR20160108241 A KR 20160108241A KR 20180023236 A KR20180023236 A KR 201800232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health care
muscle
program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8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영준
남궁각
이열호
정명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8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3236A/ko
Priority to US15/404,657 priority patent/US10770172B2/en
Publication of KR20180023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32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61B5/4872Body fa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3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local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일 양상에 따른 건강 관리 장치는,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 및 특성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및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 및 특성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를 결정하고, 결정된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를 기초로 개인화된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HEALTH MANAGEMENT}
체성분 정보를 사용하여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건강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화 되지 않은 건강관리 방법은 개인의 신체 정보 및 체성분을 고려하지 않은 일률적인 시스템으로 그 효과가 미비하고 부작용의 우려가 있다. 일률적인 시스템은 규격화된 운동요법 및 식이요법을 제공하여, 모든 사람에게 동일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시스템들은 주로 체지방과 체중 관리를 중심으로 제공되는 것이지만, 성별, 나이 및 체성분의 불균형 정도를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그 운동요법 및 식이요법 수행으로 인한 효과가 미비하고, 부적합한 운동요법으로 인한 부상의 위험이 있다.
또한, 온 디멘드(On-demand)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가 필요할 때마다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직접 운동의 종류, 강도 및 식이요법 등을 직접 선택하고 제공받아 건강 관리를 시도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스템은 여전히 자신의 신체적 특성을 알지 못하거나 정확하게 알지 못하고 운동의 종류 및 강도를 선택하여 수행함으로써 여전히 부상의 위험을 내포하고 있으며, 피드백이 없는 시스템으로 사용자에 대한 동기 부여의 지속 가능성 및 건강 관리효과 획득의 한계가 있다.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를 기반으로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이 제시된다.
일 양상에 따른 건강 관리 장치는,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 및 특성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및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 및 특성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를 결정하고, 결정된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를 기초로 개인화된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체성분 정보는 근육량(muscle mass), 체지방량, 체수분량 및 BMI 지수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특성 정보는 근력(muscle strength), 신체 능력(physical performance), 성별, 나이, 신장, 체중 및 건강 상태 정보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르면, 처리부는 체성분 정보 및 특성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를 근감소증 전증(presarcopenia), 근감소증(sarcopenia), 중증 근감소증(severe sarcopenia) 및 근감소성 비만 (Sarcopenic obesity) 중의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분석부는 결정된 근감소 정도에 따라 사용자의 건강 상태의 변화를 예측하고, 예측 결과를 기초로 경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처리부는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 사용자의 건강 상태 변화 예측 결과 및 이전에 사용자에게 제공된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의 평가 결과 중의 하나 이상을 기초로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프로그램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그램 관리부는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가 결정되면, 건강 관리 프로그램 DB로부터 표준 건강 관리 프로그램 및 사용자에게 제공된 이전의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 중의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조정하여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생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프로그램 관리부의 제어에 따라 건강 관리 서버에 통신 연결하고, 건강 관리 서버로부터 표준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관리부는 사용자에게 생성된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이 제공되면,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의 수행 이력을 모니터링하고, 수행 이력을 기초로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평가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 및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근감소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는 근감소 정도에 따라 미리 정의된 시각 정보를 기초로, 근감소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는 사용자의 근감소 변화 이력 정보를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제1 영역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근감소 변화 이력에 대한 체성분 정보, 특성 정보, 근감소 정도, 건강 상태 예측 정보 및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의 평가 정보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세 정보를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는 제1 영역 상에 사용자가 선택한 근감소 변화 이력을 지시하는 식별 마크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은,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 및 특성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 및 특성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를 기초로 개인화된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체성분 정보는 근육량(muscle mass), 체지방량, 체수분량 및 BMI 지수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특성 정보는 근력(muscle strength), 신체 능력(physical performance), 성별, 나이, 신장, 체중 및 건강 상태 정보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근감소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체성분 정보 및 특성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를 근감소증 전증(presarcopenia), 근감소증(sarcopenia), 중증 근감소증(severe sarcopenia) 및 근감소성 비만 (Sarcopenic obesity) 중의 어느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 사용자의 건강 상태 변화 예측 결과 및 이전에 사용자에게 제공된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의 평가 결과 중의 하나 이상을 기초로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가 결정되면, 건강 관리 프로그램 DB로부터 표준 건강 관리 프로그램 및 사용자에게 제공된 이전의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 중의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선택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이 제공되면,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의 수행 이력을 모니터링하고, 수행 이력을 기초로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평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 및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근감소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하는 단계는 근감소 정도에 따라 미리 정의된 시각 정보를 기초로, 근감소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건강 관리의 효율을 증대시키고 건강 관리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사용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체성분 측정 장치와 건강 관리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처리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표시부(440)가 근감소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은 건강 관리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체성분 측정 장치와 건강 관리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의 체성분 측정 장치(100)는 DEXA(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전기저항측정법(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BIA) 및 다주파수 부위별 생체 전기임피던스 측정기(multi-frequency segmental bioelectrical impedance)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체성분 측정이 가능한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다.
한편, 체성분 측정 장치(100)는 측정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를 저장한 뒤에 건강관리 장치의 요청에 따라 건강관리 장치에 전송할 수 있고, 유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건강 관리 장치(200)는 체성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체성분 정보 및 특성 정보를 분석하여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 관리 장치(200)는 수신된 체성분 정보의 불균형 정도로부터 사용자의 체형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건강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 및 특성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를 결정하고, 이를 기초로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를 기초로 건강 관리 서버 또는 건강 관리 프로그램 DB로부터 표준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선택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조정하여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건강 관리 장치(200)는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기기나 스마트폰, 태블릿 PC, 데스크탑 PC, 노트북 PC 등의 단말, 혈압 측정 기기와 같은 의료기기 등에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의 형태로 탑재될 수 있다. 또한, 건강 관리 장치(200)는 독립적인 하드웨어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본 기술의 활용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체성분 측정 장치(100)는 건강 관리 장치(200)와 별도의 장치로 구분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체성분 측정 장치(100)는 체성분 측정 모듈의 형태로 건강 관리 장치의 구성의 일부일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건강 관리 장치(200)는 정보 수집부(210) 및 처리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정보 수집부(210) 및 처리부(22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의 조합에 의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정보 수집부(210)는 사용자의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 생성을 위한 기본 정보로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 및 특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는 체성분 정보는, 근육량(muscle mass), 체지방량, 체수분량 및 BMI 지수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특성 정보는 근력(muscle strength), 신체 능력(physical performance), 성별, 나이, 신장, 체중 및 건강 상태 정보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수집부(210)는 체성분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수집부(210)는 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유무선 네트워크로 외부 장치와 연결하고, 외부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를 획득하여 수집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수집부(210)는 사용자의 특성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수집부(210)는 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유무선 네트워크로 외부 장치와 연결하고, 외부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근력(muscle strength) 및 신체 능력(physical performance)의 측정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근력은, 악력 및 순간최고호출속도(Peak Expiratory Flow, PEF)의 측정 결과일 수 있고, 신체 능력은, 간이 신체 능력 배터리(short physical performance battery, SPPB), 보행 속도(gait speed), 일어서서 걷기(timed up to go, TUG) 및 제자리 뛰기(jumping test)의 측정 결과일 수 있다.
또한, 정보 수집부(210)는 이와 같이 수집된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 및 특성 정보를 저장 장치에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 장치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 장치는 건강 관리 장치(200)의 내부에 탑재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별도의 하드웨어 장치로 구현되어 건강 관리 장치(200)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처리부(220)는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 및 특성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근감소 정도는 사용자의 연령 대비 근육량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부(220)는 연령별 평균 근육량과 사용자의 근육량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근육량이 연령별 평균 근육량에 미달하는 경우, 미달 정도에 따라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처리부(220)는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 및 특성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를 단계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처리부(220)는 사용자의 근육량(muscle mass), 근력(muscle strength) 및 신체 능력(physical performance) 중의 하나 이상을 기초로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를 분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처리부(220)는 사용자의 근육량이 연령별 평균 근육량 이하이고, 근력과 신체 능력은 정상 범위에 해당하면,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를 근감소증 전증(presarcopenia)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근육량이 연령별 평균 근육량 이하이고, 근력 또는 신체능력 중 어느 하나가 정상 이하의 범위에 해당하면,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를 근감소증(sarcopenia)으로 결정할 수 있고, 사용자의 근육량이 연령별 평균 근육량 이하이고, 근력 및 신체능력이 정상 이하의 범위에 해당하면 중증 근감소증(severe sarcopenia)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근감소 정도의 분류는 일 예로써,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기준을 기초로 근감소의 정도를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처리부(220)는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가 근감소증 전증(presarcopenia) 이상의 근감소 정도로 결정되고, 사용자의 근육량 대비 체지방량의 비율이 소정의 비율(예: '근육량 대비 체지방량=2:1')을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를 근감소성 비만 (Sarcopenic obesity)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부(220)는 사용자의 체성분 불균형 정도를 분석하고, 체성분의 불균형 정도가 소정의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예: 근육량 대비 체지방량의 비율이 2:1을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의 체형을 비만 체형으로 결정할 수 있고, 이때,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가 근감소증 전증(presarcopenia) 이상으로 결정된 경우 사용자의 체형을 근감소성 비만 (Sarcopenic obesity) 체형으로 결정할 수 있다.
처리부(220)는 결정된 근감소 정도를 기초로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은 추천 운동 요법, 추천 식이 요법, 추천 음식점, 추천 운동 장소 및 이전 프로그램의 모니터링 내역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부(220)는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가 근감소증(sarcopenia)에 해당하는 경우, 속근(fast-twitch muscle)의 발달을 위해 짧은 시간 강도 높은 운동(예: 스쿼트, 풀업 등)을 추천하는 운동 요법 및 단백질과 비타민과 같이 근육의 회복 및 합성에 도움이 되는 음식(예: 달걀 흰자, 채소 등)을 추천하는 식이요법을 포함하는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부(220)는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 및 사용자의 건강 상태 변화 예측 결과를 기초로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 변화 예측 결과는 현재 결정된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를 기초로 건강 관리 프로그램에 따라 건강 관리를 수행하는 경우 장래 건강 상태의 변화 또는 별도의 조치를 하지 않은 경우 장래의 건강 상태의 변화를 예측한 결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결정된 근감소 정도에 기초하여, 장래의 근감소 정도를 예측하는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가 근감소증 전증(presarcopenia)으로 결정된 경우, 처리부(220)는 근감소증 전증(presarcopenia)을 방치할 경우 건강 상태의 변화(예: 근육량의 지속적 감소, 근력 감소, 신체 장애 동반 위험도 증가 등)를 예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가 근감소증 전증(presarcopenia)이하로 결정된 경우, 처리부(220)는 체성분 정보 및 특성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방치 하였을 때 근감소 전증(presarcopenia)의 위험도를 예측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처리부(220)는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 사용자의 건강 상태 변화 예측 결과 및 이전에 사용자에게 제공된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의 평가 결과 중의 하나 이상을 기초로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부(220)는 사용자에게 생성된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 수행 이력을 모니터링하여 수행 이력을 기초로 사용자의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평가할 수 있다. 예컨대, 처리부(220)는 사용자가 제공된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소정의 기간(예: 1주, 1개월)이 경과하면,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 및 특성 정보의 재측정 알람을 생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재측정된 체성분 정보 및 특성 정보의 변화량을 기초로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부(220)는 이전의 체성분 정보 및 특성 정보와 재측정된 체성분 정보 및 특성 정보를 비교하여, 이전의 체성분 정보에 비하여, 근육량이 증가하고, 근력 또는 운동 능력이 증가한 경우 제공된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은 사용자에게 적절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반면에, 처리부(220)는 이전의 체성분 정보에 비하여 근육량에 변화가 없거나 감소한 경우 제공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은 사용자에게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처리부(220)는 제공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이 사용자에게 적절하다고 평가된 경우 그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유지할 수 있고, 제공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이 사용자에게 적절하지 않다고 평가된 경우, 제공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조정하여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다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공된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의 운동 요법의 강도 및 반복 횟수를 조정하거나, 식이요법을 조정하여 섭취 영양소의 함량 비율이 조정된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생성할 수 있다.
처리부(220)는 생성된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부(220)는 생성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생성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으며,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생성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장치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진단하는 의료 장비, 결과물을 출력하기 위한 프린트, 또는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이외에도 외부 장치는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휴대폰, 스마트 폰, 태블릿,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외부 장치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처리부(220)는 생성된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의 건강 관리 프로그램 수행 이력 및 소정의 기간이 경과한 후에 재측정한 사용자의 체성분 변화량 및 근력과 신체 능력의 변화량을 기초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조정하여 사용자에게 조정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처리부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처리부(300)는 분석부(310) 및 프로그램 관리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분석부(310)는 수집된 사용자 체성분 정보 및 특성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를 단계별로 분류할 수 있다. 여기서 단계별 분류는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근육량이 연령별 평균 근육량에 미달하는 경우, 미달 정도에 따라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를 단계별로 분류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근육량(muscle mass), 근력(muscle strength) 및 신체 능력(physical performance)중의 하나 이상을 기초로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를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부(310)는 사용자의 근육량이 연령별 평균 근육량 이하이고, 근력과 신체 능력은 정상 범위에 해당하면,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를 근감소증 전증(presarcopenia)으로 결정하고, 사용자의 근육량이 연령별 평균 근육량 이하이고, 근력 또는 신체능력 중 어느 하나가 정상 이하의 범위에 해당하면,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를 근감소증(sarcopenia)으로 결정하고, 사용자의 근육량이 연령별 평균 근육량 이하이고, 근력 및 신체능력이 정상 이하의 범위에 해당하면 중증 근감소증(severe sarcopenia)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분석부(310)는 사용자의 근육량 대비 체지방량의 비율을 기초로 근감소 정도와 비만 정도를 함께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분석부(310)는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가 근감소증 전증(presarcopenia) 이상의 근감소 정도로 결정되고, 근육량 대비 체지방량의 비율이 소정의 비율(예: '근육량:체지방량 = 2:1')을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를 근감소성 비만 (Sarcopenic obesity)으로 결정할 수 있다.
분석부(310)는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가 결정되면 사용자의 건강 상태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여기서, 건강 상태의 변화의 예측은, 현재 결정된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를 기초로 건강 관리 프로그램에 따라 건강 관리를 수행하는 경우 장래 건강 상태의 변화 또는 별도의 조치를 하지 않은 경우 장래의 건강 상태의 변화를 예측한 결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부(310)는 사용자의 현재 근감소 정도가 근감소증(sarcopenia)으로 결정된 경우에, 사용자의 건강 상태의 변화를 예측하여 건강 관리 프로그램에 따라 건강 관리를 수행하면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가 근감소증 전증(presarcopenia)이하로 완화'로 예측하고, 별도의 조치를 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가 중증 근감소증(severe sarcopenia)으로 발전 위험'과 같이 사용자의 건강 상태 변화를 예측할 수 있다.
분석부(310)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 변화를 예측하여, 예측 결과를 기초로 경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경고 정보는 사용자의 현재 근감소 정보, 건강 관리 프로그램에 따라 건강 관리를 수행하였을 경우의 건강상태 변화 및 별도의 조치를 하지 않았을 경우의 건강 상태 변화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한 경고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석부(310)는 전술한 것과 같이 사용자의 건강 상태 변화의 예측 결과가, 별도의 조치를 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가 중증 근감소증(severe sarcopenia)으로 발전 위험'으로 예측되면, 현재의 근감소 정도인 '근감소증(sarcopenia)'과 별도의 조치를 하지 않는 경우의 예측 결과인 '중증 근감소증(severe sarcopenia)으로 발전 위험'의 정보를 포함하는 경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그램 관리부(320)는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가 결정되면, 건강 관리 서버 또는 건강 관리 프로그램 데이터베이스(DB)로부터 표준 건강 관리 프로그램 및 사용자에게 제공된 이전의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중의 적어도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표준 건강 관리 프로그램은 사용자들의 체형에 따라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하도록 생성된 것일 수 있다. 또는, 표준 건강 관리 프로그램은 사용자들의 체성분 정보 및 특성 정보를 기초로 소정 그룹으로 그룹핑되어 각 그룹별로 미리 생성된 운동 프로그램 및 식이요법을 포함하는 건강 관리 프로그램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표준 건강 관리 프로그램은 사용자 개개인의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일반적인 건강 관리 프로그램이 될 수 있으며, 예컨대,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를 분석한, 체성분 불균형 정보를 기초로 '표준 체형'인 사람에게 '균형 잡힌 식단을 제공하고, 근력 운동과 유산소 운동을 병행하는 운동 요법'으로 구성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일 수 있다.
한편, 이전의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은 현재 사용자에게 이전에 제공된 적 있는 건강 관리 프로그램일 수 있고,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 및 특성 정보와 유사한 사용자 정보를 가진 다른 사용자에게 제공된 적이 있는 건강관리 프로그램일 수 있다.
프로그램 관리부(320)는 선택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조정하여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관리부(320)는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 사용자의 건강 상태 변화 예측 결과 및 이전에 사용자에게 제공된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의 평가 결과 중의 하나 이상을 기초로 조정된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가 근감소증(sarcopenia)으로 결정되고, 사용자가 건강 관리 프로그램에 따라 별도의 조치를 하지 않을 때 '중증 근감소증(severe sarcopenia)으로 발전 위험'의 건강 상태 변화가 예측 되면, 프로그램 관리부(320)는 현재 사용자가 근감소증을 가지고 있음을 고려하여 강도 높지 않은 저항성 운동 요법 및 근육의 힘과 피로 회복을 도울 수 있는 크레아틴 및 테아닌이 포함된 육류나 생성의 섭취를 추천하는 식이요법을 포함하도록 건간 관리 프로그램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에게 이전에 제공된 적 있는 건강 관리 프로그램의 평가 결과가 '적절'인 경우 프로그램 관리부(320)는 동일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다시 제공할 수 있으며, 이전에 제공된 적 있는 건강 관리 프로그램의 평가 결과가 '부적절'인 경우 프로그램 관리부(320)는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의 운동 요법의 강도 및 반복 횟수를 조정하거나, 식이요법을 조정하여 섭취 영양소의 함량 비율이 조정된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 관리 프로그램에 따라 꾸준히 운동 및 식이요법을 수행한 70대의 근감소증(sarcopenia) 남성은 근육량 및 신체 능력이 상승될 수 있다. 이때, 프로그램 관리부(320)는 근육량 및 신체 능력 상승에 따른 운동 요법 난이도의 상향 조정이 필요할 수 있고, 운동 요법의 난이도를 '상향 필요'로 평가된 경우, 프로그램 관리부(320)는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운동 요법의 난이도를 상향 조정함으로써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생성함으로써, 건강 관리의 효율을 높이고, 부상을 미연에 예방하며 건강 관리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사용을 유도할 수 있다.
프로그램 관리부(320)는 생성된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관리부(320)는 생성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생성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으며,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생성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그램 관리부(320)는 사용자에게 제공된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의 수행 이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관리부(32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건강 관리 프로그램에서 추천한 음식점 및 운동 장소에 방문 하였는지 모니터링 함으로써, 일일 섭취 열량 및 소비 열량을 산출하여 제공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의 수행 정도를 분석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프로그램 관리부(320)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식사 정보 및 운동 정보로부터 건강 관리 프로그램의 수행 정도를 분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운동의 종류와 사용자가 섭취한 식단은 제공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에서 추천된 식이요법 또는 운동 프로그램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실제 섭취한 식단 및 운동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프로그램 관리부(320)는 모니터링 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의 수행 이력에 기초하여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관리부(320)는 사용자의 건강 관리 프로그램 수행 이력의 모니터링 결과, 사용자가 해당 건강 관리 프로그램의 운동 요법의 수행 횟수, 추천 식이 요법의 만족도를 기초로 제공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적절' 또는 '부적절'로 평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그램 관리부(320)는 사용자에게 제공된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수행 정도를 기초로 알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관리부(320)는 사용자가 제공된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소정의 기간(예: 1주, 1개월)동안 수행하면,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 및 특성 정보의 재측정 알람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관리부(320)는, 재측정된 체성분 정보 및 특성 정보의 변화량을 기초로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관리부(320)는 이전의 체성분 정보 및 특성 정보와 재측정된 체성분 정보 및 특성 정보를 비교하여, 이전의 근육량에 비하여, 근육량이 증가하고, 근력 또는 운동 능력이 증가한 경우 제공된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은 사용자에게 적절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고, 반면에, 이전의 근육량에 비하여 근육량에 변화가 없거나 감소한 경우 제공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은 사용자에게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건강 관리 장치 (400)는 정보 수집부(410), 처리부(420), 통신부(430) 및 표시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수집부(410) 및 처리부(420)는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정보 수집부(210) 및 처리부(220)의 일 예일 수 있으며, 이하 중복되지 않는 구성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통신부(430)는 처리부(420)의 제어에 따라 건강 관리 서버에 통신 연결하고, 건강 관리 서버(450)로부터 표준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430)는 건강 관리 서버(450)에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 및 특성 정보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430)는 건강 관리 서버(450)로부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표준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처리부(420)가 도 3을 참조하여 전술한 것과 같이 분석부 및 프로그램 관리부를 포함하는 경우, 통신부(430)는 프로그램 관리부의 제어에 따라 프로그램 관리부의 제어에 따라 건강 관리 서버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건강 관리 서버(450)로부터 표준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통신부(430)는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 지그비(ZigBee) 통신,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 WFD(Wi-Fi Direct) 통신, UWB(ultra-wideband) 통신, Ant+ 통신, WIFI 통신, 3G, 4G 및 5G 통신 방식 등으로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440)는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 및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근감소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440)는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에 따라 미리 정의된 시각 정보를 사용하여 근감소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가 근감소 전증(presarcopenia) 이하인 경우 '초록색' 근감소 전증(presarcopenia)인 경우 '노랑색' 근감소증(sarcopenia)인 경우 '주황색' 중증 근감소증(severe sarcopenia)인 경우 '빨강색'으로 표시하여, 시각적으로 구분되어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미리 정의된 시각 정보는 색상, 글꼴 및 크기를 달리하여 표현하는 것과 같이 시각적으로 구분될 수 있는 표현 방법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표시부(440)가 근감소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표시부(440)는 디스플레이(50)를 하나 이상의 영역, 예컨대 제 1영역(51) 및 제 2영역(52)으로 구분하여 근감소 관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440)는 사용자의 현재 근육량을 포함하여, 이전의 근감소 변화 이력을 디스플레이(50)의 제1 영역(51)에 표시하고, 제1 영역(51)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근감소 변화 이력에 대한 체성분 정보, 특성 정보, 근감소 정도, 건강 상태 예측 정보 및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의 평가 정보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세 정보를 디스플레이(50)의 제2 영역(52)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440)는 제1 영역 상에 사용자가 선택한 근감소 변화 이력을 지시하는 식별 마크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440)는 제1 영역(51)에는 현재 선택된 근감소 변화 이력 정보(53)를 표시하고, 근감소 변화 이력 정보(53)를 지시하는 마크(M)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마크(M)는 수직선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원, 사각형 등의 다각형, 그 위치를 가리키는 화살표 등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영역(51)에 근감소 변화 이력이 표시되면 어느 한 시점의 근감소 변화 이력 정보(53)를 터치하여 선택하거나, 그래프를 좌우로 이동하여 원하는 근감소 변화 이력 정보(53)를 마크(M)에 일치시킴으로써 어느 하나의 근감소 변화 이력 정보(53)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제1 영역(51)에서 어느 하나의 근감소 변화 이력 정보를 선택하면, 표시부(44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응답하여 선택된 근감소 변화 이력과 관련된 근감소 관련 정보, 예컨대, 체성분 정보, 근감소 정도, 제공된 건강관리 프로그램, 프로그램 평가 정보 등을 제2 영역(52)에 표시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의 건강 관리 방법은 도 2의 건강 관리 장치(200)가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법의 일 예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건강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의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 생성을 위한 기본 정보로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610). 이때,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 및 특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는 체성분 정보는, 근육량(muscle mass), 체지방량, 체수분량 및 BMI 지수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특성 정보는 근력(muscle strength), 신체 능력(physical performance), 성별, 나이, 신장, 체중 및 건강 상태 정보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강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의 특성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수집부(210)는 통신 모듈을 제어하여 유무선 네트워크로 외부 장치와 연결하고, 외부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근력(muscle strength) 및 신체 능력(physical performance)의 측정 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근력(muscle strength)은, 악력 및 순간최고호출속도(Peak Expiratory Flow, PEF)의 측정 결과일 수 있고, 신체 능력(physical performance)은 간이 신체 능력 배터리(short physical performance battery, SPPB), 보행 속도(gait speed), 일어서서 걷기(timed up to go, TUG) 및 제자리 뛰기(jumping test)의 측정 결과일 수 있다.
건강 관리 장치(200)는 수집된 체성분 정보 및 특성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620). 여기서 근감소 정도는 사용자의 연령 대비 근육량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건강 관리 장치(200)는 연령별 평균 근육량과 사용자의 근육량을 비교하여, 사용자의 근육량이 연령별 평균 근육량에 미달하는 경우, 미달 정도에 따라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 및 특성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를 단계적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의 근육량(muscle mass), 근력(muscle strength) 및 신체 능력(physical performance)중의 하나 이상을 기초로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를 분류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건강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의 근육량이 연령별 평균 근육량 이하이고, 근력과 신체 능력은 정상 범위에 해당하면,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를 근감소증 전증(presarcopenia)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건강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의 근육량이 연령별 평균 근육량 이하이고, 근력 또는 신체능력 중 어느 하나가 정상 이하의 범위에 해당하면,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를 근감소증(sarcopenia)으로 결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근육량이 연령별 평균 근육량 이하이고, 근력 및 신체능력이 정상 이하의 범위에 해당하면 중증 근감소증(severe sarcopenia)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근감소 정도의 분류는 일 예로써,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기준을 기초로 근감소의 정도를 분류할 수 있다.
또한, 건강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가 근감소증 전증(presarcopenia) 이상의 근감소 정도로 결정되고, 사용자의 근육량 대비 체지방량의 비율이 소정의 비율을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를 근감소성 비만 (Sarcopenic obesity)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의 체성분 불균형 정도를 분석하고, 체성분의 불균형 정도가 소정의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예: 근육량 대비 체지방량의 비율이 2:1을 초과하는 경우), 사용자의 체형을 비만 체형으로 결정할 수 있고, 이때,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가 근감소증 전증(presarcopenia) 이상으로 결정된 경우 사용자의 체형을 근감소성 비만 (Sarcopenic obesity) 체형으로 결정할 수 있다.
건강 관리 장치(200)는 결정된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를 기초로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630). 예를 들면, 건강 관리 장치(200)는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를 기초로 건강 관리 서버 또는 건강 관리 프로그램 DB로부터 표준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선택하고, 선택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조정하여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건강 관리 장치(200)는 생성된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의 건강 관리 프로그램 수행 이력 및 소정의 기간이 경과한 후에 재측정한 사용자의 체성분 변화량 및 근력과 신체 능력의 변화량을 기초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조정하여 사용자에게 조정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건강 관리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7의 건강 관리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건강 관리 장치(400)가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방법의 일 예일 수 있다.
건강 관리 장치(400)는 사용자의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 생성을 위한 기본 정보로서 사용자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710). 이때,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 및 특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건강 관리 장치(400)는 사용자 정보가 수집되면,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를 결정할 수 있다(720). 예를 들어, 건강 관리 장치(400)는 사용자의 근육량(muscle mass), 근력(muscle strength) 및 신체 능력(physical performance)중의 하나 이상을 기초로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를 분류할 수 있다.
건강 관리 장치(400)는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가 결정되면, 건강 관리 서버로부터 표준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수신할 수 있다(730). 예를 들어, 건강 관리 장치(400)는 소정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건강 관리 서버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표준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표준 건강 관리 프로그램은 사용자들의 체형에 따라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공통적으로 적용 가능하도록 생성된 것일 수 있다. 또는, 표준 건강 관리 프로그램은 사용자들의 체성분 정보 및 특성 정보를 기초로 소정 그룹으로 그룹핑되어 각 그룹별로 미리 생성된 운동 프로그램 및 식이요법을 포함하는 건강 관리 프로그램일 수 있다.
건강 관리 장치(400)는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 사용자의 건강 상태 변화 예측 결과 및 이전에 사용자에게 제공된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의 평가 결과 중의 하나 이상을 기초로 표준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조정할 수 있다(740).
예를 들어, 건강 관리 장치(400)는 사용자의 근육량이 연령별 평균 근육량에 미달하여 근감소증(sarcopenia)으로 결정한 경우, 표준 건강 관리 프로그램의 운동 요법 중에 운동 강도 및 운동 횟수를 조정하고, 식이 요법 중에 크레아틴 또는 테아닌이 포함된 육류나 생선의 섭취를 추천하는 식이요법을 포함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건강 관리 장치(400)는 표준 건강 관리 프로그램이 조정되어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이 생성되면, 생성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750).
그 다음, 건강 관리 장치(400)는 제공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이 적절한지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760). 예를 들어, 건강 관리 장치(400)는 사용자의 건강 관리 프로그램 수행 이력의 모니터링 결과, 사용자가 해당 건강 관리 프로그램의 운동 요법의 수행 횟수, 추천 식이 요법의 만족도를 기초로 제공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적절' 또는 '부적절'로 평가할 수 있다.
또한,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건강 관리 장치(400)는 사용자가 제공된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소정의 기간(예: 1주, 1개월)이 경과하면,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 및 특성 정보의 재측정 알람을 생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재측정된 체성분 정보 및 특성 정보의 변화량을 기초로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평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강 관리 장치(400)는 이전의 체성분 정보 및 특성 정보와 재측정된 체성분 정보 및 특성 정보를 비교하여, 이전의 근육량에 비하여, 근육량이 증가하고, 근력 또는 운동 능력이 증가한 경우 제공된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은 사용자에게 적절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고, 반면에, 이전의 근육량에 비하여 근육량에 변화가 없거나 감소한 경우 제공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은 사용자에게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건강 관리 장치(400)는 사용자에게 제공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이 사용자에게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 관리 프로그램의 적절성이 평가되고 나면, 건강 관리 장치(400)는 제공되었던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조정하여,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다시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낮게 산출된 운동 능력을 고려하여, 제공된 표준 건강 관리 프로그램의 운동 요법의 난이도를 하향 조정하거나, 사용자의 높게 평가된 운동 능력을 고려하여, 제공된 표준 건강 관리 프로그램의 운동 요법의 난이도를 상향 조정하여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다시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말하면, 건강 관리 프로그램에 따라 꾸준히 운동 및 식이요법을 수행한 70대의 근감소증 남성은 근육량, 근력 및 신체 능력이 상승할 수 있으며, 이때, 근육량, 근력 및 신체 능력이 상승에 따른 운동 요법 난이도의 상향 조정이 필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건강 관리 장치(400)는 운동 요법의 난이도를 '상향 필요'로 평가된 경우, 평가 결과에 기초하여 운동 요법의 난이도를 상향 조정함으로써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생성함으로써, 건강 관리의 효율을 높이고, 부상을 미연에 예방하며 건강 관리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사용을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체성분 측정 장치
110: 건강 관리 장치
200: 건강 관리 장치
210: 정보 수집부
220: 처리부
300: 처리부
310: 분석부
320: 프로그램 관리부
400: 건강 관리 장치
410: 정보 수집부
420: 처리부
430: 통신부
440: 표시부
450: 건강 관리 서버

Claims (20)

  1.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 및 특성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 및 특성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를 결정하고, 결정된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를 기초로 개인화된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성분 정보는,
    근육량(muscle mass), 체지방량, 체수분량 및 BMI 지수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특성 정보는,
    근력(muscle strength), 신체 능력(physical performance), 성별, 나이, 신장, 체중 및 건강 상태 정보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건강 관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체성분 정보 및 상기 특성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를 근감소증 전증(presarcopenia), 근감소증(sarcopenia), 중증 근감소증(severe sarcopenia) 및 근감소성 비만 (Sarcopenic obesity) 중의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결정된 근감소 정도에 따라 사용자의 건강 상태의 변화를 예측하고, 예측 결과를 기초로 경고 정보를 생성하는 건강 관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 사용자의 건강 상태 변화 예측 결과 및 이전에 사용자에게 제공된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의 평가 결과 중의 하나 이상을 기초로 상기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프로그램 관리부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가 결정되면, 건강 관리 프로그램 DB로부터 표준 건강 관리 프로그램 및 사용자에게 제공된 이전의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 중의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조정하여 상기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건강 관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관리부의 제어에 따라 건강 관리 서버에 통신 연결하고, 건강 관리 서버로부터 표준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건강 관리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 관리부는
    사용자에게 생성된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이 제공되면, 상기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의 수행 이력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수행 이력을 기초로 상기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평가하는 건강 관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 및 상기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근감소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건강 관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근감소 정도에 따라 미리 정의된 시각 정보를 기초로, 상기 근감소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건강 관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사용자의 근감소 변화 이력 정보를 디스플레이의 제1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1 영역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근감소 변화 이력에 대한 체성분 정보, 특성 정보, 근감소 정도, 건강 상태 예측 정보 및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의 평가 정보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세 정보를 디스플레이의 제2 영역에 표시하는 건강 관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 영역 상에 사용자가 선택한 근감소 변화 이력을 지시하는 식별 마크를 표시하는 건강 관리 장치.
  13.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 및 특성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의 체성분 정보 및 특성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를 기초로 개인화된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성분 정보는,
    근육량(muscle mass), 체지방량, 체수분량 및 BMI 지수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특성 정보는,
    근력(muscle strength), 신체 능력(physical performance), 성별, 나이, 신장, 체중 및 건강 상태 정보 중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건강 관리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근감소 정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체성분 정보 및 상기 특성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를 근감소증 전증(presarcopenia), 근감소증(sarcopenia), 중증 근감소증(severe sarcopenia) 및 근감소성 비만 (Sarcopenic obesity) 중의 어느 하나로 결정하는 건강 관리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 사용자의 건강 상태 변화 예측 결과 및 이전에 사용자에게 제공된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의 평가 결과 중의 하나 이상을 기초로 상기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가 결정되면, 건강 관리 프로그램 DB로부터 표준 건강 관리 프로그램 및 사용자에게 제공된 이전의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 중의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건강 관리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단계는
    사용자에게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이 제공되면, 상기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의 수행 이력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수행 이력을 기초로 상기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을 평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강 관리 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근감소 정도 및 상기 개인화된 건강 관리 프로그램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근감소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건강 관리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근감소 정도에 따라 미리 정의된 시각 정보를 기초로, 상기 근감소 관련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건강 관리 장치.
KR1020160108241A 2016-08-25 2016-08-25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8002323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241A KR20180023236A (ko) 2016-08-25 2016-08-25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US15/404,657 US10770172B2 (en) 2016-08-25 2017-01-12 Apparatus and method for health manag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8241A KR20180023236A (ko) 2016-08-25 2016-08-25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3236A true KR20180023236A (ko) 2018-03-07

Family

ID=61242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8241A KR20180023236A (ko) 2016-08-25 2016-08-25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770172B2 (ko)
KR (1) KR20180023236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916A (ko) * 2018-04-13 2019-10-23 최재영 체형 변화 예측 장치 및 방법
KR20210121720A (ko) * 2020-03-31 2021-10-0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근감소 예방을 위한 개인의 근감소 추이에 따른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조제 방법
KR20210157203A (ko) * 2020-06-19 2021-12-2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근감소증 진단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근감소증 분석 방법
KR20220095803A (ko) * 2020-12-30 2022-07-07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신체액 샘플을 이용한 근 감소증 인공지능 진단 시스템 및 방법
WO2023068408A1 (ko) * 2021-10-22 2023-04-27 경상국립대학교병원 근감소증 환자의 영양 상태 위험 여부 또는 삶의 질을 예측하기 위한 정보제공방법
WO2023090486A1 (ko) * 2021-11-18 2023-05-25 경상국립대학교병원 근감소증을 진단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06038A1 (en) * 2017-06-30 2019-01-03 Wendy Hajik Adaptive therapy management system
JPWO2019188259A1 (ja) * 2018-03-29 2021-03-18 株式会社タニタ 成分決定装置、成分決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21125756A1 (ko) * 2019-12-16 2021-06-24 김병양 개인의 유전체 정보를 관리하는 유전체 데이터 활용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13362948B (zh) * 2021-05-25 2023-12-22 上海博灵机器人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检测感兴趣对象的肌肉健康状态的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1516B1 (en) 1999-10-29 2004-11-02 Brian M. Dugan Methods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nd encouraging health and fitness
US7809153B2 (en) * 2000-04-27 2010-10-05 Inter-Images Partners, Lp System and method for assessment of health risks and visualization of weight loss and muscle gain
US20020133378A1 (en) * 2000-10-13 2002-09-19 Mault James R. System and method of integrated calorie management
KR100481677B1 (ko) 2004-06-21 2005-04-07 에버닉스 주식회사 사상 의학을 기초로 하는 운동 및 음식물 관리 기능을갖는 체지방 측정 장치 및 방법
US20080021731A1 (en) * 2005-12-09 2008-01-24 Valence Broadband, Inc. Methods and systems for monitoring patient support exiting and initiating response
KR20090033751A (ko) 2007-10-01 2009-04-06 주식회사 바이오스페이스 운동관리 시스템
KR101188225B1 (ko) 2010-05-27 2012-10-08 (주)라이프앤진 개인별 맞춤형 건강 기능 식품 관리 시스템
KR20120013817A (ko) 2010-08-06 2012-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건강 관련 컨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130053274A (ko) 2011-11-15 2013-05-23 (주)아모레퍼시픽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9569483B2 (en) * 2012-01-30 2017-02-1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Office Of Technology Transfer,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Personalized dynamic feedback control of body weight
KR20130142328A (ko) 2012-06-19 2013-12-30 김용래 자동 트레이닝 시스템
KR20150097671A (ko) 2012-12-19 2015-08-26 액세스 비지니스 그룹 인터내셔날 엘엘씨 개인 상관 인자를 이용하여 칼로리 섭취를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8690578B1 (en) 2013-01-03 2014-04-08 Mark E. Nusbaum Mobile computing weight, diet, nutrition, and exercise tracking system with enhanced feedback and data acquisition functionality
KR20150112234A (ko) 2014-03-27 2015-10-07 주식회사 씨디에스 헬스케어-자기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1592101B1 (ko) 2014-05-28 2016-02-04 주식회사 인바디 운동 능력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42180B1 (ko) 2014-05-28 2016-08-01 주식회사 인바디 낙상 위험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00124A (ko) 2014-06-24 2016-01-04 최준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 제공을 위한 모니터링 운동처방 및 관리 시스템 그리고 그 방법
KR20160002456A (ko) 2014-06-30 2016-01-08 주식회사 인바디 모바일 기기에서의 식단 관리 방법
KR101572687B1 (ko) 2014-12-15 2015-12-11 주식회사 제니스헬스케어 휴대단말기 연동형 다이어트 가이드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9916A (ko) * 2018-04-13 2019-10-23 최재영 체형 변화 예측 장치 및 방법
KR20210121720A (ko) * 2020-03-31 2021-10-0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근감소 예방을 위한 개인의 근감소 추이에 따른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조제 방법
KR20210157203A (ko) * 2020-06-19 2021-12-2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근감소증 진단 플랫폼 및 이를 이용한 근감소증 분석 방법
KR20220095803A (ko) * 2020-12-30 2022-07-07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신체액 샘플을 이용한 근 감소증 인공지능 진단 시스템 및 방법
WO2023068408A1 (ko) * 2021-10-22 2023-04-27 경상국립대학교병원 근감소증 환자의 영양 상태 위험 여부 또는 삶의 질을 예측하기 위한 정보제공방법
WO2023090486A1 (ko) * 2021-11-18 2023-05-25 경상국립대학교병원 근감소증을 진단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70172B2 (en) 2020-09-08
US20180060530A1 (en) 2018-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3236A (ko)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188766B1 (ko) 인공지능 기반의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장치
CN107423549B (zh) 健康跟踪设备
US20150093725A1 (en) Diet adherence system
US201200596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personal health and wellness
WO201614108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dentifying food nutritional values
KR102019202B1 (ko) 개인건강기록에 기반하여 개인 맞춤형 운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의 동작방법
WO2007102709A1 (en) Portable biofeedback exercise prescription apparatus and biofeedback exercise prescrip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190019397A (ko) 개인 맞춤형 건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7466222A (zh) 生命体征监测系统
KR20200141261A (ko) 개인의 건강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CN106455996A (zh) 用于无创地监测和识别药物效应和相互作用的方法和设备
CN105662346A (zh) 一种智能穿戴设备
US201700795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exercise capacity
KR20180092905A (ko)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개인별 건강 분석에 따른 영양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39403B1 (ko) 건강 검진, 식사 및 운동 데이터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Suryadevara et al. Towards a smart non-invasive fluid loss measurement system
CN109492779B (zh) 一种家用电器健康管理方法、装置及家用电器
JP2018175488A (ja) 健康支援装置、健康支援システム、健康支援方法及び健康支援装置のプログラム
KR20170109449A (ko)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개인별 건강 분석에 따른 영양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06805B1 (ko) 관리 싸이클과 주기를 이용한 체중관리방법
US9886557B2 (en) Safety ensuring system of exercise machine and method of ensuring safety while using an exercise machine
JP2004180939A (ja) 身体指標出力装置
US20170360367A1 (en) Method for monitoring the evolution of an indicator used to indicate the physical state of an individual, and monitoring device
KR20220105718A (ko) 신체정보 및 특허정보를 연계한 ai기반 개인 맞춤예측서비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