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9403B1 - 건강 검진, 식사 및 운동 데이터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강 검진, 식사 및 운동 데이터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9403B1
KR102139403B1 KR1020170031213A KR20170031213A KR102139403B1 KR 102139403 B1 KR102139403 B1 KR 102139403B1 KR 1020170031213 A KR1020170031213 A KR 1020170031213A KR 20170031213 A KR20170031213 A KR 20170031213A KR 102139403 B1 KR102139403 B1 KR 102139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information
food
health
m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1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4444A (ko
Inventor
고경록
박영목
박충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호텔신라
삼성웰스토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호텔신라, 삼성웰스토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호텔신라
Priority to KR1020170031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9403B1/ko
Publication of KR20180104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9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9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강 검진, 식사 및 운동 데이터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건강 검진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신체 정보 데이터베이스; 건강 검진 결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식사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식사 관리부; 건강 검진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 정보를 제공하는 운동 관리부; 및 신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치료약의 사용 주기에 맞추어 모바일 단말기에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건강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강 검진, 식사 및 운동 데이터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Health management system using health check, diet and exercise data}
본 발명은 건강 검진, 식사 및 운동 데이터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건강 검진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최적의 식사 및 운동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실제로 식사 및 운동을 수행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건강 상태가 변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많은 직장인들은 바쁜 일정에 따른 영양 불균형, 운동 부족 및 업무 스트레스로 인해 다양한 질병에 시달리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기업들이 임직원들을 위해 정기적인 건강 검진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며, 구내 식당을 통해 영양가 있는 식사를 제공하고, 휘트니스 센터를 제공하여 임직원의 체력 증진에 도움을 주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시설을 이용하는 임직원들은 건강 검진 결과에 따라, 본인에게 필요한 운동과 식사를 하고 싶지만, 현실적으로 이러한 정보를 항상 기억하고 다닐 수가 없기 때문에 결국 비효율적인 운동을 하게 되거나, 건강에 도움이 되지 않는 음식 섭취를 하게 되는 결과를 얻게 된다. 이러한 잘못된 운동과 식사는 건강 상태를 향상시키기 어렵고, 오히려 건강을 더 악화시킬 수 있게 되며, 건강 검진 프로그램은 더 악화된 결과만을 확인하게 되는 정기적인 행사가 되고 있다.
따라서, 건강 검진 결과를 바탕으로 각자에게 최적화된 운동과 식사를 제시하고, 그 수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면, 임직원들의 건강은 점차 향상될 것이고, 이를 바탕으로 기업의 경쟁력은 더 강화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정기적인 운동과 건강식 섭취는 장기적으로 수행하기가 어려운 것이 일반적이므로,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임직원들에게 운동과 건강식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동기가 부여된다면, 임직원의 건강 상태는 매우 향상될 것으로 예측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32039호(2014.03.14)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시스템의 목적은, 건강 검진 기관, 휘트니스 센터 및 식사 제공 기관을 연결하여, 건강 검진 결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최적의 식사 및 운동을 제안하고 수행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식사 섭취 및 운동 수행에 따라 변화되는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시스템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에게 식사 및 운동에 대한 미션을 부여하여 사용자가 미션을 수행하면 리워드를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강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모바일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으로서, 건강 검진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신체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건강 검진 결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식사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식사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식사 관리부는, 건강 검진 결과 데이터에 포함된 질환 정보를 바탕으로 식사 제공 기관 서버에서 제공받은 식단 정보에 포함된 음식을 사용자에게 유해한 음식과 유익한 음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식사 제공 기관에서 제공하는 식단에 포함된 음식의 정보가 저장된 음식 식별자가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선택되고, 선택된 음식 식별자의 정보가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식사 관리부로 전송되면, 식사 관리부는 선택된 음식 식별자에 대응되는 음식이 사용자에게 유해한 음식인지 또는 유익한 음식인지를 판단하여 모바일 단말기로 판단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식사 제공 기관에서 제공하는 식단에 포함된 음식의 정보와 관련된 음식 식별자가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선택되고, 선택된 음식 식별자의 정보가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식사 관리부로 전송되면, 식사 관리부는 선택된 음식 식별자에 관련된 음식의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음식 식별자의 정보는 대응되는 음식의 칼로리를 포함하며, 식사 관리부는 선택된 음식 식별자들에 대응되는 음식들의 칼로리를 합산하여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의 식사 입력 수단으로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한 데이터 송수신 장치가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사원증을 식사 정산 리더기에 인식하였을 때, 식사 제공 정보가 건강 관리 시스템에 전달될 수 있다. 신용카드 및 모바일 결제 시 발송되는 결제 정보를 근거로 식사 제공 정보를 추정하거나 사용자 입력으로 식사 제공 정보가 건강 관리 시스템에 전달될 수 있다. 가공 식품의 바코드, QR코드 등의 코드 인식 기술로 식사 제공 정보가 건강 관리 시스템에 전달될 수 있다. 영상인식 기술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식사 제공 정보가 건강 관리 시스템에 전달될 수도 있다.
건강 관리 시스템은 신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치료약의 사용 주기에 맞추어 모바일 단말기에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건강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건강 관리부는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높이 변화 정보를 분석하여, 유사한 높이 변화가 소정 횟수 반복되면 모바일 단말기로 흡연 자제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건강 관리부는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변화 및 생체 신호 변화를 빅데이터 분석하여 사용자가 음주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고, 알코올 분해 가능 시간 내에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가 원 궤도 내에서 소정 시간동안 감지되면, 음주 운전인 것으로 판단하여 모바일 단말기로 음주 운전 경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건강 관리 시스템은 건강 검진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신체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건강 검진 결과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 정보를 제공하는 운동 관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운동 관리부는, 건강 검진 결과 데이터에 포함된 질환 정보를 바탕으로 휘트니스 센터 서버에서 제공받은 운동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된 운동을 사용자에게 유해한 운동과 유익한 운동으로 분류할 수 있다.
휘트니스 센터에서 제공하는 운동 프로그램에 포함된 운동의 정보 또는 운동 기구의 정보와 관련된 운동 식별자가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선택되고, 선택된 운동 식별자의 정보가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운동 관리부로 전송되면, 운동 관리부는 선택된 운동 식별자에 대응되는 운동이 사용자에게 유해한 운동인지 또는 유익한 운동인지를 판단하여 모바일 단말기로 판단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휘트니스 센터에서 제공하는 운동 프로그램에 포함된 운동의 정보 또는 운동 기구의 정보와 관련된 운동 식별자가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선택되고, 선택된 운동 식별자의 정보가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운동 관리부로 전송되면, 운동 관리부는 선택된 운동 식별자에 대응되는 운동의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운동 식별자를 통해 얻어지는 정보는 운동 기구의 사용법과 소모되는 칼로리 정보를 포함하며, 운동 관리부는 운동 식별자 주변에 모바일 단말기가 위치된 시간을 바탕으로 사용자가 운동으로 소모한 칼로리를 계산하고, 계산된 결과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건강 검진 결과 데이터는 건강 검진 기관 서버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다.
식사 제공 기관에서 제공하는 식단에 포함된 음식의 정보와 관련된 음식 식별자가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선택되고, 선택된 음식 식별자의 정보가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식사 관리부로 전송되면, 식사 관리부는 선택된 음식 식별자들에 대응되는 음식들의 칼로리를 합산하여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운동 관리부는 합산된 칼로리의 소정 퍼센트를 소모할 수 있는 운동들의 순서 및 시간을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운동 관리부는, 사용자가 걷기 운동으로 소정 칼로리를 소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모바일 단말기로 목표 위치 및 목표 도착 시간을 전송하고,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위치 및 도착 시간에 대한 정보를 전송받아 목표 위치 및 목표 도착 시간과 비교하여 사용자가 목표 도착 시간에 목표 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되면 사용자에게 포인트를 부여할 수 있다.
운동 관리부는, 사용자가 소정 칼로리를 소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운동 순서 및 운동 시간을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고,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 및 이동 시간 정보를 전송받아 분석하여, 사용자가 운동 순서 및 운동 시간에 맞추어 운동한 것으로 확인되면 사용자에게 포인트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시스템은, 건강 검진 기관, 휘트니스 센터 및 식사 제공 기관을 연결하여, 건강 검진 결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최적의 식사 및 운동을 제안하고 수행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식사 섭취 및 운동 수행에 따라 변화되는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식사 및 운동에 대한 미션을 부여하여 사용자가 미션을 수행하면 리워드를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시스템의 건강 관리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시스템의 작동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신체 정보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식사 정보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운동 정보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코칭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스마트 밴드와의 연결 설정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시스템의 건강 관리 서버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시스템은 건강 관리 서버(100)를 포함하며, 건강 관리 시스템은 건강 검진 기관 서버(310), 식사 제공 기관 서버(410) 및 휘트니스 센터 서버(51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강 관리 서버(100), 건강 검진 기관 서버(310), 식사 제공 기관 서버(410) 및 휘트니스 센터 서버(51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호 간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건강 검진 기관 서버(310)는 의료 기관과 같은 건강 검진 기관에서 이루어진 건강 점진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건강 점진 결과 데이터는 신장, 체중, 허리 둘레, 시력, 청력,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근육량, 체지방량, 체지방률, BMI 등을 포함한다. 건강 검진 결과 데이터는 건강 검진 기관에서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체중, 허리 둘레 등은 휘트니스 센터에서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된 값은 휘트니스 센터 서버를 통해 건강 관리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건강 점진 결과 데이터가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서 업데이트가 가능하게 된다.
식사 제공 기관 서버(410)는 급식 공급 회사와 같은 식사 제공 기관에서 공급하는 식사에 대한 정보인 식단 정보가 저장된다. 식단 정보는 식사 시간에 제공될 음식의 종류, 해당 음식의 칼로리 및 해당 음식의 재료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음식의 재료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의 건강 검진 결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유익한 음식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된다.
휘트니스 센터 서버(510)는 휘트니스 센터에서 제공하는 운동 기구의 종류, 운동 기구에 의해 소모될 수 있는 칼로리 정보, 운동 프로그램 정보, 운동 프로그램에 의해 소모될 수 있는 칼로리 정보, 운동 방법 및 순서에 대한 정보 등이 저장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모바일 단말기(200)와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무선 네트워크는 인터넷, 데이터 통신망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모바일 단말기(200)는 스마트 밴드(210)가 바람직하며, 스마트폰(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밴드(210)와 스마트폰(220)은 상호 간에 블루투스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연결 방식으로 상호 직접 연결될 수 있으며, 스마트 밴드(210)에서 디스플레이되지 못하는 영상 및 정보를 스마트폰(220)에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스마트 밴드(210)와 스마트폰(220)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건강 관리 서버(100)를 경유하여 상호 연결될 수도 있다. 모바일 단말기(200)는 생체 정보(심장박동, 산소포화도 등)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 및 자이로스코프를 내장하고 있으며, NFC 유닛 및 비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강 관리 서버(100)는 신체 정보 데이터베이스(110), 식사 관리부(120), 운동 관리부(130) 및 건강 관리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신체 정보 데이터베이스(110)는 건강 검진 결과 데이터를 저장한다. 건강 검진 결과 데이터는 건강 검진 기관 서버(310)로부터 전송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건강 검진 기관에서 건강 검진을 받을 때마다 건강 검진 결과 데이터는 업데이트되어 건강 검진 기관 서버(310)에 저장되고, 건강 검진 기관 서버(310)는 신체 정보 데이터베이스(110)로 업데이트된 건강 검진 결과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송된 최신의 건강 검진 결과 데이터는 사용자의 건강 관리의 기본 자료로 사용이 된다.
식사 관리부(120)는 건강 검진 결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식사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200)로 제공한다.
식사 제공 기관에는 식사 제공 기관이 제공하는 식단에 포함된 음식들의 정보와 관련된 음식 식별자가 음식 제공 장소마다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음식 식별자의 인식은 다양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NFC 방식이 바람직하다. NFC는 10cm 이내의 가까운 거리에서 다양한 무선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 기술로서, 13.56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통신 기술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NFC 안테나가 내장된 음식 식별자에 접촉하지 않고, 근거리 태깅만으로도 음식 식별자의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게 된다. 음식 식별자로부터 직접 음식 정보를 전송받는 것도 가능하지만, 음식 식별자 ID 정보에 대응되는, 식사 관리부(120)에 저장된 식단 정보를 식사 관리부(120)로부터 전송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원하는 음식을 선택하면서, 해당 음식과 관련된 음식 식별자에 모바일 단말기(200)를 근접시켜 태깅함으로써, 해당 음식 식별자를 선택하고, 해당 음식 식별자와 관련된 정보는 모바일 단말기(200)를 거쳐 건강 관리 서버(100)의 식사 관리부(120)로 전송되고, 식사 관리부(120)는 선택된 음식 식별자에 대응되는 음식의 정보를 가공하여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음식 식별자의 정보는 대응되는 음식의 칼로리 정보, 음식의 재료 정보 등을 포함하며, 식사 관리부(120)는 선택된 음식 식별자들에 대응되는 음식들의 칼로리를 합산하여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음식 식별자 외에 다양한 음식 정보 입력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먼저, 가공식품의 외면에 부착된 바코드나 QR 코드 등이 음식 식별자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바코드나 QR 코드에 포함된 음식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200)의 코드 인식 기술로 읽어 들여 식사 관리부(200)로 전송할 수 있고, 식사 관리부(200)는 이 정보를 가공하여 모바일 단말기(200)로 다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음식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즉, 모바일 단말기(200)로 음식을 촬영하고, 촬영된 정보를 식사 관리부(200)로 전송하면, 식사 관리부(200)는 영상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음식 정보를 얻어 낼 수 있게 된다. 식사 관리부(200)는 이렇게 얻어진 음식 정보를 가공하여 모바일 단말기(200)로 제공할 수 있다.
음식 식별자의 태깅 외에,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200)에 직접 음식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기(200)는 이 정보를 식사 관리부(120)로 전송하고, 식사 관리부(120)는 음식의 정보를 가공하여 모바일 단말기(200)로 다시 전송할 수 있다. 즉, 식사 관리부(120)는 입력된 음식 정보들에 대응되는 음식들의 칼로리를 합산하여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사원증을 사용하여, 섭취한 음식의 정보를 식사 관리부(1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사원증을 식사 정산 리더기에 인식시키면, 사원증 정보와 정산된 음식의 정보가, 식사 정산 리더기가 연결된 식사 제공 기관 서버(410)를 통해 식사 관리부(120)로 제공되며, 식사 관리부(120)는 이 정보를 바탕으로 음식 정보를 가공하여 해당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결제 정보를 통해, 섭취한 음식의 정보를 식사 관리부(12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신용카드 및 모바일 결제시 발생되는 결제 정보, 결제자 정보 및 결제된 음식의 정보가 식사 제공 기관 서버(410)를 통해 식사 관리부(120)로 제공되며, 식사 관리부(120)는 이 정보를 바탕으로 얻어진 음식 정보를 가공하여 해당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식사 관리부(120)는, 건강 검진 결과 데이터에 포함된 질환 정보를 바탕으로 식사 제공 기관 서버(410)에서 제공받은 식단 정보에 포함된 음식의 음식 재료 정보를 기준으로 사용자에게 유해한 음식과 사용자에게 유익한 음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식 식별자의 정보가 모바일 단말기(200)를 통해 식사 관리부(120)로 전송되면, 식사 관리부(120)는 선택된 음식 식별자에 대응되는 음식이 사용자에게 유해한 음식인지 또는 유익한 음식인지를 판단하여 모바일 단말기(200)로 판단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를 받으면, 사용자는 해당 음식 선택을 취소하고, 다른 유익한 음식을 재선택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건강 검진 결과 데이터에 위염이 존재한다면, 식사 관리부(120)는 사용자의 음식 선택시에 위염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는 음식을 피하도록 유도하고, 위염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는 음식을 선택하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즉, 식사 관리부(120)는 위염에 좋은 음식인 양배추, 감자, 브로콜리, 부추, 연근, 무 등이 포함된 음식을 선택하도록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0)에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위염에 나쁜 음식인 생선구이, 바베큐, 소금에 오래 절인 음식, 과일주스 등을 피하도록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200)에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운동 관리부(130)는 건강 검진 결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운동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휘트니스 센터에서 제공하는 운동 기구에는 운동 기구의 사용법, 운동 기구가 영향을 미치는 신체 부위 및 소모 칼로리에 대한 정보 등과 관련된 운동 식별자가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휘트니스 센터에는 휘트니스 센터가 제공하는 운동 프로그램이 이루어지는 공간에 운동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운동 프로그램에 의해 소요되는 칼로리 정보, 운동 프로그램이 영향을 미치는 신체 부위, 적정 운동 시간 등)와 관련된 운동 식별자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동 프로그램으로는 그룹 운동으로서 다빈치 바디보드, 트램폴린 점프 스포츠, 보콰 댄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운동 식별자의 인식은 다양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NFC 방식이 바람직하다. 사용자가 NFC 안테나가 내장된 운동 식별자에 접촉하지 않고, 근거리 태깅만으로도 운동 식별자의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게 된다. 운동 식별자로부터 직접 운동 정보를 전송받는 것도 가능하지만, 운동 식별자 ID 정보에 대응되는, 운동 관리부(130)에 저장된 운동 정보를 운동 관리부(130)로부터 전송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동 프로그램에 포함된 운동의 정보에 관련된 운동 식별자가 모바일 단말기(200)에 의해 선택되고, 선택된 운동 식별자의 정보가 모바일 단말기(200)를 통해 운동 관리부(130)로 전송되면, 운동 관리부(130)는 선택된 운동 식별자에 대응되는 운동의 정보를 가공하여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운동 관리부(130)는 선택된 운동 식별자와 모바일 단말기(200)가 서로 인식할 수 있는 인식 가능 범위 내에 위치된 시간을 바탕으로 사용자가 운동으로 소모한 칼로리를 계산하고, 계산된 결과를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인식 가능 구역 내의 체류 시간은 다양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비콘 방식이 바람직하다. 비콘 방식은 저전력 블루투스(BLE)를 통한 차세대 스마트폰 근거리통신 기술로서, 반경 50~70m 범위 안에 있는 사용자의 위치를 찾아 메시지 전송, 모바일 결제 등을 가능하게 해주는 스마트폰 근거리통신 기술이다. 스마트 밴드(210)에는 비콘이 내장되며, 휘트니스 센터의 복수개의 위치들에는 비콘 스캐너들이 설치되어, 사용자의 비콘 신호를 탐지한 3개 이상의 비콘 스캐너들의 신호 강도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히 계산하여, 체류 시간을 통해 운동 기구의 사용 시간이나, 운동 프로그램의 이용 시간을 계산할 수 있게 된다.
운동 관리부(130)는, 건강 검진 결과 데이터에 포함된 질환 정보를 바탕으로 휘트니스 센터 서버(510)에서 제공받은 운동 프로그램 정보에 포함된 운동을 사용자에게 유해한 운동과 유익한 운동으로 분류할 수 있다.
휘트니스 센터에서 제공하는 운동 프로그램에 포함된 운동의 정보와 관련된 운동 식별자가 모바일 단말기(200)에 의해 선택되고, 선택된 운동 식별자의 ID 정보가 모바일 단말기(200)를 통해 운동 관리부(130)로 전송되면, 운동 관리부(130)는 선택된 운동 식별자에 대응되는 운동이 사용자에게 유해한 운동인지 또는 유익한 운동인지를 판단하여 모바일 단말기(200)로 판단 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공황 장애를 앓고 있는 경우, 운동 관리부(130)는 사용자에게 격한 운동보다는 요가와 같은 정적인 운동을 권할 수 있다.
한편, 식사 제공 기관에서 사용자가 섭취한 음식들에 관련된 음식 식별자의 정보는 모바일 단말기(200)를 통해 식사 관리부(120)로 전송되며, 식사 관리부(120)는 선택된 음식 식별자들에 대응되는 음식들의 칼로리를 합산하여 운동 관리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운동 관리부(130)는 합산된 칼로리의 적정 퍼센트를 소모할 수 있는 운동들의 순서 및 시간을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식사 관리부(120)의 섭취 칼로리 정보를 운동 관리부(130)가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소모해야 할 칼로리가 정확하게 계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운동 관리부(130)는, 사용자가 휘트니스 센터에 가지 않더라도, 근무지 주변에서의 걷기 운동으로 소정 칼로리를 소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모바일 단말기(200)로 목표 위치 및 목표 도착 시간을 전송한 후에, 모바일 단말기(200)가 전송한 위치 및 도착 시간에 대한 정보를 목표 위치 및 목표 도착 시간과 비교하여, 사용자가 목표 도착 시간에 목표 위치에 도달한 것으로 확인되면 사용자에게 포인트를 부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포인트를 증가시키려는 동기가 부여되고, 운동 관리부(130)에 의해 제공되는 무작위의 걷기 코스에 대한 기대감으로 운동 참여의 의지가 커지게 되는 효과를 얻는다. 포인트는 현금으로 환전할 수도 있으며, 소정의 물품으로 교환이 가능한 화폐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포인트 부여 방법으로는, 사용자가 소정 칼로리를 소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운동 관리부(130)가 운동 순서 및 운동 시간을 모바일 단말기(200)로 전송한 후에, 모바일 단말기(200)가 전송한 위치 정보 및 이동 시간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운동 순서 및 운동 시간에 맞추어 운동한 것으로 확인되면 사용자에게 포인트를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건강 관리부(140)는 신체 정보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된 정보인, 처방된 치료약의 사용 주기(즉, 복용 주기, 도포 주기 등)에 맞추어 모바일 단말기(200)에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치료약의 복용이나 도포를 잊지 않게 되고, 특히 식후 복용을 해야 하는 치료약의 경우에는 식사 관리부(120)를 통해 사용자의 식사 여부가 확인되므로, 보다 정확한 치료약 복용 시기 알림이 가능하게 된다.
이 외에도, 건강 관리부(140)는 자이로스코프가 내장된 스마트 밴드(210)로부터 전송되는 스마트 밴드(210)의 높이 변화 정보 및/또는 심박수 정보를 분석하여, 유사한 높이 변화가 소정 횟수 반복되고, 심박수가 흡연시 심박수인 것으로 확인되면 모바일 단말기(200)로 흡연 자제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스마트 밴드(210)에 내장된 자이로스코프를 통해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으며, 센서를 통해 심박수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 및 생체 정보는 건강 관리부(140)로 전송된다. 건강 관리부(140)는 사용자 손의 움직임이 반복적으로 입 쪽으로 가고, 더 나아가 심박수도 흡연 상태에서 발생되는 심박수로 변화하면 흡연상태로 판단하고, 모바일 단말기(200)로 흡연 자제 관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흡연 자제 관련 정보는 건강 검진 결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흡연에 의해 손상을 입거나 기능이 저하될 수 있는 신체나 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흡연 상태의 판단은 건강 관리부(140)에서 사용자들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딥러닝과 같은 비지도학습 알고리즘을 통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흡연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건강 관리부(140)는 자이로스코프가 내장된 스마트 밴드(210)로부터 전송되는 스마트 밴드(210)의 위치 변화 및 생체 신호(심박수, 혈압 등)를 분석하여 음주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고, 알코올 분해 시간 내에 스마트 밴드(210)의 위치가 원 궤도 내에서 소정 시간 동안 반복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감지되면, 음주 운전인 것으로 판단하여 모바일 단말기(200)로 음주 운전 경고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단말기(200)를 진동시키거나,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음주 상태의 판단은 건강 관리부(140)에서 사용자들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딥러닝과 같은 비지도학습 알고리즘을 통한 데이터 분석을 통해 음주 상태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강 관리 시스템의 작동 순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 밴드(210)는 내장된 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생체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S110). 스마트 밴드(210)의 센서는 그 자체적으로 또는 외부 장치와의 연결을 통한 확장에 의해, 생체 신호로서 걸음수, 심박수, 심전도, 맥파, 체성분(근육량, 체지방량, 골격근량, 체수분량, 단백질량, 무기질량, 지방량 등), 혈압, 혈당, 소모칼로리, 물병의 수분 섭취 정보 및 위치정보(GPS)를 감지할 수 있다.
스마트 밴드(210)의 센서는 생체 신호를 다양한 데이터 전송 방식과 경로를 통해 스마트폰(220)으로 전송할 수 있다(S120).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생체 신호 외에 운동 정보 및 식사 정보가 함께 전송될 수 있다.
스마트 밴드(210)에서 스마트폰(220)으로 직접 생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무선통신규약을 따르는 무선통신 방식(Bluetooth, Wi-Fi, Zigbee, Sound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밴드(210)에서 감지된 생체 신호는 무선통신규약을 따르는 무선통신 방식(Bluetooth, Wi-Fi, Zigbee, Sound 등)을 이용하여 생체 신호 수신 장치에 전송되고, 생체 신호 수신 장치는 건강 관리 서버(100), 식사 제공 기관 서버(410), 휘트니스 센터 서버(510) 및 건강 검진 기관 서버(310) 중 적어도 하나에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이들 서버는 무선 통신망(인터넷, 데이터 통신망 등)을 통해 스마트폰(220)으로 생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밴드(210)에서 감지된 생체 신호는 무선통신규약을 따르는 IoT 네트워크, 인터넷 등을 통해 스마트폰(220)으로 전달될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 밴드(210)에서 감지된 생체 신호는 헬스케어 클라우드에 저장되고, 헬스케어 클라우드로부터 무선통신 규약을 따르는 3/4/5G 데이터 통신망, 인터넷 등을 통해 스마트폰(220)으로 전달될 수도 있다.
스마트 밴드(210)에서 감지된 생체 신호와 운동 정보 및 식사 정보는 직접 건강 관리 서버(100)로 전달되거나, 스마트폰(220)을 통해 건강 관리 서버(100)로 전송된다. 건강 관리 서버(100)는 스마트 밴드(210)에서 생체 신호를 전송받고, 건강 검진 기관 서버(310)로부터 신체 정보를 전송받고, 식사 제공 기관 서버(410)로부터 식사 정보를 전송받고, 휘트니스 센터 서버(510)로부터 운동 정보를 전송받아 헬스케어 데이터 처리 및 해석을 수행할 수 있다(S130).
건강 관리 서버(100)의 건강관리부(140)에서 신체 정보를 바탕으로 체형 분석이 가능하며, 운동관리부(130)에서 운동 정보로부터 칼로리 밸런스 분석 및 운동량 분석이 가능하며, 식사 관리부(120)에서 식사 정보로부터 칼로리 밸런스 분석 및 영양소 밸런스 분석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분석된 정보는 스마트폰(220)으로 전송될 수 있다.
건강 관리 서버(100)는 온라인 코칭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S150). 운동관리부(130)는 체형 분석 결과와 운동량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권장 운동을 제시할 수 있으며, 칼로리 밸런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권장 활동량을 제시할 수 있고, 식사 관리부(120)는 칼로리 밸런스 분석 결과 및 영양소 밸런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권장 식사를 제시할 수 있으며, 건강 관리부(140)는 생체 신호 및 상기 분석 결과들을 바탕으로 생활 습관을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제시 내용은 스마트폰(220)으로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는 건강 관리 서버(100)로부터 온라인 코칭을 받고 오프라인에서 코칭을 수행하게 된다(S150).
이상,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건강 관리 서버
110: 신체 정보 데이터베이스
120: 식사 관리부
130: 운동 관리부
140: 건강 관리부
200: 모바일 단말기
210: 스마트 밴드
220: 스마트폰
310: 건강 검진 기관 서버
410: 식사 제공 기관 서버
510: 휘트니스 센터 서버

Claims (17)

  1. 사용자가 휴대하는 모바일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건강 검진 결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신체 정보 데이터베이스;
    건강 검진 결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적합한 식사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식사 관리부; 및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심박수 및 혈압을 포함하는 생체 신호를 바탕으로 음주 여부를 판단하고,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변화를 바탕으로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가 원 궤도 내에서 소정 시간동안 움직이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현재 시간이 알코올 분해 가능 시간 내인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음주 운전인 것으로 판단하는 건강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관리부는 음주 운전인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진동 또는 소리를 발생함으로써 음주 운전 경고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식사 관리부는, 건강 검진 결과 데이터에 포함된 질환 정보를 바탕으로 식사 제공 기관 서버에서 제공받은 식단 정보에 포함된 음식을 사용자에게 유해한 음식과 유익한 음식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식사 제공 기관에서 제공하는 식단에 포함된 음식의 정보가 저장된 음식 식별자가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선택되고, 선택된 음식 식별자의 정보가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식사 관리부로 전송되면,
    식사 관리부는 선택된 음식 식별자에 대응되는 음식이 사용자에게 유해한 음식인지 또는 유익한 음식인지를 판단하여 모바일 단말기로 판단 결과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식사 제공 기관에서 제공하는 식단에 포함된 음식의 정보와 관련된 음식 식별자가 모바일 단말기에 의해 선택되고, 선택된 음식 식별자의 정보가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식사 관리부로 전송되면,
    식사 관리부는 선택된 음식 식별자에 관련된 음식의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음식 식별자의 정보는 대응되는 음식의 칼로리를 포함하며,
    식사 관리부는 선택된 음식 식별자들에 대응되는 음식들의 칼로리를 합산하여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건강 관리부는 신체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치료약의 사용 주기에 맞추어 모바일 단말기에 알림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건강 관리부는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높이 변화 정보를 분석하여, 유사한 높이 변화가 소정 횟수 반복되면 모바일 단말기로 흡연 자제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 1 항에 있어서,
    건강 검진 결과 데이터는 건강 검진 기관 서버로부터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70031213A 2017-03-13 2017-03-13 건강 검진, 식사 및 운동 데이터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KR102139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213A KR102139403B1 (ko) 2017-03-13 2017-03-13 건강 검진, 식사 및 운동 데이터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1213A KR102139403B1 (ko) 2017-03-13 2017-03-13 건강 검진, 식사 및 운동 데이터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444A KR20180104444A (ko) 2018-09-21
KR102139403B1 true KR102139403B1 (ko) 2020-07-29

Family

ID=63720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1213A KR102139403B1 (ko) 2017-03-13 2017-03-13 건강 검진, 식사 및 운동 데이터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94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919B1 (ko) 2020-08-21 2021-05-04 정미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및 운용 시스템
WO2024085504A1 (ko) * 2022-10-18 2024-04-2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정보에 기초한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헬스 케어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89811B (zh) * 2019-06-11 2023-12-12 中国人民解放军海军工程大学 一种心梗急救喂药机器人及其工作方法
KR102161384B1 (ko) * 2019-10-22 2020-10-20 김광진 스마트 체중계를 이용한 헬스케어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01845A (ja) * 2007-10-12 2011-01-13 ペイシェンツライクミ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患者のコミュニティのプロファイルに基づく病状および転帰の個人管理ならびに比較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2026A (ko) * 2004-12-02 2006-06-09 김광훈 통신망을 이용한 식단안내시스템
KR20110043177A (ko) * 2009-10-21 2011-04-2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개인화 서비스 제공 스마트 디바이스
KR20110102278A (ko) * 2011-08-29 2011-09-16 송용준 스마트폰에서의 바코드 인식을 통한 자동 운동정보 관리 시스템
KR20140032039A (ko) 2012-09-03 2014-03-14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건강관리 장치 및 방법
US9037125B1 (en) * 2014-04-07 2015-05-19 Google Inc. Detecting driving with a wearable computing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01845A (ja) * 2007-10-12 2011-01-13 ペイシェンツライクミ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患者のコミュニティのプロファイルに基づく病状および転帰の個人管理ならびに比較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919B1 (ko) 2020-08-21 2021-05-04 정미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제공 및 운용 시스템
WO2024085504A1 (ko) * 2022-10-18 2024-04-2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정보에 기초한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헬스 케어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444A (ko) 2018-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9403B1 (ko) 건강 검진, 식사 및 운동 데이터를 이용한 건강 관리 시스템
JP6725619B2 (ja) 栄養摂取量のユーザ特異的な調整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6403488B (zh) 智能冰箱及其管理方法
CN108899073A (zh) 一种结合移动终端的智能健康饮食推荐系统
US1077017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ealth management
CN107924720A (zh) 用于健康相关建议的客户端计算设备
US20090075781A1 (en) System for incorporating data from biometric devices into a feedback message to a mobile device
US20160055758A1 (en) Delivering to a user a biometric display that communicates health and fitness performance related information about the user
US20140129240A1 (en) Health and Exercis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019202B1 (ko) 개인건강기록에 기반하여 개인 맞춤형 운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의 동작방법
CN105930656A (zh) 饮食习惯分析方法及装置
KR20200141261A (ko) 개인의 건강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 방법
CN107910043A (zh) 一种运动管理平台
US20140297738A1 (en) Domestic appliance and gaming system interface
CN104700140B (zh) 多功能体适能检测装置
CN109492779B (zh) 一种家用电器健康管理方法、装置及家用电器
KR20100052951A (ko) 일체형 헬스케어 장치
KR20190072137A (ko) 건강관리 프로그램 제공방법
JP7419616B2 (ja) 測定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
Díaz-Hellín et al. NFC as a childhood obesity treatment tool
KR101409345B1 (ko) 의료정보 제공방법
KR20170129524A (ko) 개인 맞춤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
JP4547667B2 (ja) 転地滞在型健康保養システム
KR20150135176A (ko) 실시간 운동 정보 관리 시스템
KR20230113508A (ko) 식사 보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