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2234A - 헬스케어-자기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 Google Patents

헬스케어-자기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2234A
KR20150112234A KR1020140035918A KR20140035918A KR20150112234A KR 20150112234 A KR20150112234 A KR 20150112234A KR 1020140035918 A KR1020140035918 A KR 1020140035918A KR 20140035918 A KR20140035918 A KR 20140035918A KR 20150112234 A KR20150112234 A KR 201501122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big data
healthcare
user
management progr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5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지대
양승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디에스
유지대
양승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디에스, 유지대, 양승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디에스
Priority to KR1020140035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12234A/ko
Publication of KR20150112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22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헬스케어 관련 IT 기술을 개시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자기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은 헬스기구 장치 이용하거나 번외에서 운동 중이거나 운동한 사용자의 운동량, 운동시간를 기록 관리하는 다양한 어플 컨텐츠(번외운동 체킹 앱 컨텐츠, 헬스케어용 어플 컨텐츠, 헬스수행용 앱 컨텐츠)를 적극 활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건강상태나 몸상태를 체크하고 그에 따른 운동기법, 운동 스케줄 또는 식이요법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온라인에서 건강 컨설팅을 지원해 준다.

Description

헬스케어-자기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Health Care-Self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on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헬스케어 관련 IT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헬스기구 장치 이용하거나 번외에서 운동 중이거나 운동한 사용자의 운동량, 운동시간를 기록 관리하는 다양한 어플 컨텐츠(번외운동 체킹 앱 컨텐츠, 헬스케어용 어플 컨텐츠, 헬스수행용 앱 컨텐츠)를 적극 활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건강상태나 몸상태를 체크하고 그에 따른 운동기법, 운동 스케줄 또는 식이요법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온라인에서 건강 컨설팅을 지원해 주는 헬스케어-자기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간 범국가적인 국민건강증진 및 복지사회건설에 대한 정부의 노력 및 개인의 건강에 대한 관심고조로 그 어느 때보다 운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이 사실이다. 특히 최근에는 사회전반의 고령화에 따른 건강관리, 유지, 증진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적절한 운동을 실시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으며, 또한 그에 알맞은 운동을 선택하고 실시, 기록, 유지, 관리하는 일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히 필요한 일로 인식되어가고 있으며, 심지어 초. 중. 고등학생들에 있어서도 최근 소아 비만 및 소아 성인병 발생율이 높아지고 있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정부 해당기관에서도 운동을 생활화하기 위한 독려 수단으로 운동시설의 확충을 위하여 다각도로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필요 환경 속에서 많은 학교, 운동시설 및 건강시설에는 이러한 목적을 이룰 운동장비들이 널리 보급 사용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의학 검진기관들을 통해 예방의학적으로 건강검진을 받고 전문가들의 조언과 진단을 받고 이미 성인병에 노출되거나 아직 노출되지 않았다 할지라도 건강관리에 대한 경각심을 느끼고 가정에서 직장에서 또는 가외의 시간에 전문 헬스클럽에서 운동을 하는 등 개인의 건강관리를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또한, 가정이나 헬스클럽 등에서 일반적으로 실시하는 운동 크게 유산소 운동과 무산소운동으로 나뉘어지는데, 예를 들어 유산소운동은 러닝머신, 실내용자전거, 스텝머신등과 같은 것이 있어 실내에서 산소를 이용하여 운동하는 유산소 운동기기와 근력을 이용하여 중량물을 들어 올리거나, 내리거나, 당기거나, 밀거나, 혹은 회전운동을 통하여 근육을 주로 사용하여 운동하는 무산소 운동기기들이 실내 스포츠 용구로 널리 보급 사용되고 있다.
최근 의료기술의 발달과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로 인하여 건강을 위한 헬스케어 시스템 및 서비스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유-헬스케어(U-Health Care)는 유비쿼터스와 원격의료 기술을 활용한 건강 관리 서비스를 말하며, 유비쿼터스 헬스케어(Ubiquitous Health Care)의 줄임말로 유비쿼터스 건강관리라고도 한다. 이는 시간과 공간의 제한 없이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차세대 건강관리 시스템으로 주목 받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1073 Personal Health Device 워킹 그룹에서는 현존하는 의료 및 헬스케어 기기들의 표준을 공표하고 있으며, 이는 의료 및 헬스케어 시스템의 중요성과 통합의 필요성을 보여 주는 일례라고 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건강 관련 아이템들은 예컨대 스포츠 서비스, 헬스 서비스, 건강 서비스 등과 같이 별개로 진행됨에 따라서 유지 보수면이나 사용자 건강 증진 효과 차원에서 차별성이 없고 전문화된 건강 및 체력 관리를 수행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왜냐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건강 관련 아이템들은 휘트니스센터와 인근 협동 진료 병원(이하, '협진병원'이라 칭함)을 유기적으로 연계시킬 수 없어서, 자신의 건강이나 체력 상태를 해당 장소에서만 조회 및 확인할 수 있고, 거주민 각각에 대해서 협진병원에서 참조 가능한 휘트니스센터의 운동결과값, 또는 휘트니스센터에서 참조 가능한 협진병원의 건강검진 결과값을 동시에 활용할 수 없기 때문에 거주민에게 최적의 운동처방, 운동가이드, 건강상태를 관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건강 관련 아이템들은 헬스클럽의 전문 체육지도사가 관심 있어 하는 체력관리와, 협진병원의 의사가 관심 있어 질병관리에 대해 상호 이용가능한 데이터로서 통합 관리되지 않기 때문에 정보 교환 또는 정보 공유가 원활하지 못하거나 데이터가 연동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기구들을 이용하여 헬스클럽이나 혹은 가정에서 운동을 하려고 하면 그 이용 방법을 잘 숙지하고 운동을 하는 경우는 그리 흔치 않고 이러한 내용을 알고 있는 헬스트레이너나 코치의 도움을 받아 운동을 시작하는 것이 일반적인 일이다 .이렇듯 운동을 시작하려고 할 때나, 운동 시작하여 운동을 하고 있는 중이나, 운동을 하고난 후에 운동의 기록, 관리를 통하여 운동량의 변화 및 조정이 필요한데, 운동코치가 그 일을 계속할 수 없을뿐더러, 운동한 기록에는 당사자가 실제 어떻게 운동을 실시하였는지 알 수가 없다.
한국특허 공개번호 : 10-2005-0113848 한국특허 공개번호 : 10-2007-0108837 한국특허 공개번호 : 10-2013-0082791 한국특허 공개번호 : 10-2013-0104977
본 발명은 헬스케어-자기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은 앞서 본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헬스기구 장치 이용해 운동 중이거나 운동한 사용자의 운동량, 운동시간에 상응하는 칼로리 소모량을 포함하는 제 1 빅 데이터를 비롯해 그외 제 2 빅 데이터 내지 제 4 빅 데이터를 기록 관리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탑재된 헬스케어용 어플 컨텐츠를 적극 활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건강상태나 몸상태를 체크하고 그에 따른 운동기법, 운동 스케줄 또는 식이요법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온라인에서 건강 컨설팅을 지원해 주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헬스클럽이 아닌 다른 외부 공간에서 소모된 칼로리 소모량을 체킹할 수 있는 컨텐츠 즉, 평상시의 도보정보, 달기기 정보 등을 칼로리로 환산해 주는 번외운동 체킹 앱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하여 다른 칼로리 소모량을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을 통해 보여주거나 원격관리 서버 및 헬스케어 서버에 제공해 줌으로써, 근거리 통신망 상에 기연결된 트레이너 단말기가 사용자 평소 건강을 레포팅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사용자 단말기가 SNS(Social Network Service)에서 실시되는 친구맺음을 통해 서로 간에 정보교류를 승인한 다수의 다른 사용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에 제 1 빅 데이터 내지 제 4 빅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해 줌으로써, 다수의 다른 사용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가 근친(近親)인 사용자의 건강상태나 몸상태를 언제든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운동전문가인 트레이너로부터 자신의 건강상태, 몸상태에 맞는 운동스케줄 혹은 운동기법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온라인 상에서 언제든지 전달받음으로써, 운동에 관한 맞춤식 트레이닝을 실시하는데 도움받기 위함이다.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자기관리 시스템은, 헬스기구 장치, 사용자 단말기 및 헬스케어 서버를 포함하는 헬스케어-자기관리 시스템으로, 상기 헬스기구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운동량, 운동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운동량, 운동시간에 상응하는 칼로리 소모량을 수치 환산해 상기 수치 환산된 칼로리 소모량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달하며, 상기 사용자의 이름, 성별, 신장, 질환유무, 의사처방, 칼로리 소모량에 관한 제 1 빅 데이터를 기록 관리하는 개인정보관리 프로그램과, 신장, 체중, 'BMI(체질량 지수)', 'SKINFOLD(피부의 접힌 두께 계측 값)', 허리둘레에 관한 제 2 빅 데이터를 기록 관리하는 체형관리 프로그램과, 맞춤식 운동 스케줄, 운동기법에 관한 제 3 빅 데이터를 관리하는 운동지도관리 프로그램과, 심폐지구력, 근력, 근지구력, 민첩성, 순발력, 협응력, 유연성에 관한 제 4 빅 데이터를 관리하는 체력측정 관리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헬스케어 서버; 및 상기 사용자의 번외운동으로 생성된 다른 칼로리 소모량을 기설치된 번외운동 체킹 앱 컨텐츠에 기록하며, 상기 개인정보관리 프로그램, 체형관리 프로그램, 운동지도관리 프로그램 또는 체력측정 관리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상기 제 1 빅 데이터 내지 제 4 빅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부 화면을 통해 표출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SNS(Social Network Service)에서 실시되는 친구맺음을 통해 서로 간에 정보교류를 승인한 다수의 다른 사용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제 1 빅 데이터 내지 제 4 빅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함에 따라, 상기 다수의 다른 사용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개인정보관리 프로그램, 체형관리 프로그램, 운동지도관리 프로그램 및 체력측정 관리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헬스케어용 어플 컨텐츠를 활용하여 상기 제 1 빅 데이터 내지 제 4 빅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자기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은 헬스기구 장치, 사용자 단말기 및 헬스케어 서버를 포함하는 헬스케어-자기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으로, 헬스케어 서버가 상기 헬스기구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운동량, 운동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운동량, 운동시간에 상응하는 칼로리 소모량을 수치 환산해 상기 수치 환산된 칼로리 소모량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헬스케어 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이름, 성별, 신장, 질환유무, 의사처방, 칼로리 소모량에 관한 제 1 빅 데이터를 기록 관리하는 개인정보관리 프로그램과, 신장, 체중, 'BMI(체질량 지수)', 'SKINFOLD(피부의 접힌 두께 계측 값)', 허리둘레에 관한 제 2 빅 데이터를 기록 관리하는 체형관리 프로그램과, 맞춤식 운동 스케줄, 운동기법에 관한 제 3 빅 데이터를 관리하는 운동지도관리 프로그램과, 심폐지구력, 근력, 근지구력, 민첩성, 순발력, 협응력, 유연성에 관한 제 4 빅 데이터를 관리하는 체력측정 관리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의 번외운동으로 생성된 다른 칼로리 소모량을 기설치된 번외운동 체킹 앱 컨텐츠에 기록한 후 유무선 통신망과 기연결된 상기 헬스케어 서버와 또는 원격관리 서버에 전달하거나, 상기 헬스케어 서버와 근거리 통신망상에서 연동하는 트레이너 단말기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개인정보관리 프로그램, 체형관리 프로그램, 운동지도관리 프로그램 또는 체력측정 관리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상기 제 1 빅 데이터 내지 제 4 빅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부 화면을 통해 표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SNS(Social Network Service)에서 실시되는 친구맺음을 통해 서로 간에 정보교류를 승인한 다수의 다른 사용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제 1 빅 데이터 내지 제 4 빅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다수의 다른 사용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개인정보관리 프로그램, 체형관리 프로그램, 운동지도관리 프로그램 및 체력측정 관리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헬스케어용 어플 컨텐츠를 활용하여 상기 제 1 빅 데이터 내지 제 4 빅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헬스케어-자기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은 헬스기구 장치 이용해 운동 중이거나 운동한 사용자의 운동량, 운동시간에 상응하는 칼로리 소모량을 포함하는 제 1 빅 데이터를 비롯해 그외 제 2 빅 데이터 내지 제 4 빅 데이터를 기록 관리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탑재된 헬스케어용 어플 컨텐츠를 적극 활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건강상태나 몸상태를 체크하고 그에 따른 운동기법, 운동 스케줄 또는 식이요법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온라인에서 건강 컨설팅을 지원하는 제 1 효과를 준다.
또한, 본 발명은 헬스클럽이 아닌 다른 외부 공간에서 소모된 칼로리 소모량을 체킹할 수 있는 컨텐츠 즉, 평상시의 도보정보, 달기기 정보 등을 칼로리로 환산해 주는 번외운동 체킹 앱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하여 다른 칼로리 소모량을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을 통해 보여주거나 원격관리 서버 및 헬스케어 서버에 제공해 줌으로써, 근거리 통신망 상에 기연결된 트레이너 단말기가 사용자 평소 건강을 레포팅할 수 있도록 지원해 줄 수 있는 제 2 효과를 준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가 SNS(Social Network Service)에서 실시되는 친구맺음을 통해 서로 간에 정보교류를 승인한 다수의 다른 사용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에 제 1 빅 데이터 내지 제 4 빅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해 줌으로써, 다수의 다른 사용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가 근친(近親)인 사용자의 건강상태나 몸상태를 언제든지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제 3 효과를 준다.
또한, 본 발명은 운동전문가인 트레이너로부터 자신의 건강상태, 몸상태에 맞는 운동스케줄 혹은 운동기법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온라인 상에서 언제든지 전달받음으로써, 운동에 관한 맞춤식 트레이닝을 실시하는데 도움받을 수 있는 제 4 효과를 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자기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기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자기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자기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자기관리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기 내 탑재된 헬스수행용 앱 컨텐츠의 일부를 나타낸 화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자기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자기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헬스케어-자기관리 시스템(1000)은 헬스클럽 내에서 트레이너로부터 자신(사용자)에게 맞는 운동요령 및 운동기법을 전수받아 헬스기구 장치(300)를 이용해 운동 중이거나 운동한 사용자의 운동량, 운동시간에 상응하는 칼로리 소모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헬스클럽이 아닌 다른 외부 공간에서 소모된 칼로리 소모량을 체킹할 수 있는 컨텐츠 즉, 평상시의 도보정보, 달기기 정보 등을 칼로리로 환산해 주는 번외운동 체킹 앱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하여 다른 칼로리 소모량을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을 통해 보여주거나 원격관리 서버(700) 및 헬스케어 서버(100)에 제공해 줌으로써, 근거리 통신망(800) 상에 기연결된 트레이너 단말기(400)가 사용자 평소 건강을 레포팅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는 시스템이다.
또한, 본 발명은 헬스기구 장치(300) 이용해 운동 중이거나 운동한 사용자의 운동량, 운동시간에 상응하는 칼로리 소모량을 포함하는 제 1 빅 데이터를 비롯해 그외 제 2 빅 데이터 내지 제 4 빅 데이터를 기록 관리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탑재된 헬스케어용 어플 컨텐츠를 적극 활용하는 시스템으로, 헬스케어 서버(100), 사용자 단말기(200) 및 헬스기구 장치(300)를 포함한다.
먼저, 헬스케어 서버(100)는 헬스기구 장치(300)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운동량, 운동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운동량, 운동시간에 상응하는 칼로리 소모량을 수치 환산해 수치 환산된 칼로리 소모량을 사용자 단말기(200)에 전달한다.
헬스케어 서버(100)는 사용자의 이름, 성별, 신장, 질환유무, 의사처방, 칼로리 소모량에 관한 제 1 빅 데이터를 기록 관리하는 개인정보관리 프로그램과, 신장, 체중, 'BMI(체질량 지수)', 'SKINFOLD(피부의 접힌 두께 계측 값)', 허리둘레에 관한 제 2 빅 데이터를 기록 관리하는 체형관리 프로그램과, 맞춤식 운동 스케줄, 운동기법에 관한 제 3 빅 데이터를 관리하는 운동지도관리 프로그램과, 심폐지구력, 근력, 근지구력, 민첩성, 순발력, 협응력, 유연성에 관한 제 4 빅 데이터를 관리하는 체력측정 관리 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기(200)에게 제공한다.
헬스케어 서버(100)는 개인정보관리 프로그램, 체형관리 프로그램, 운동지도관리 프로그램 및 체력측정 관리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헬스케어용 어플 컨텐츠를 근거리 통신망(800) 내 존재하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실시간으로 업로딩해 주며, 사용자 단말기(200) 내 탑재된 번외운동 체킹 앱 컨텐츠 상에 기록된 다른 칼로리 소모량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달받아 확인 후 근거리 통신망 상에 존재하는 트레이너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헬스케어 서버(100)는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유무선 통신망과 기연결된 미디어컨텐츠 제공서버(600) 내 탑재된 미디어컨텐츠 제공사이트를 사용자 단말기(200)에 제공하며, 미디어컨텐츠 제공사이트 내 유상 혹은 무상으로 오픈된 다수의 미디어컨텐츠 중 사용자 단말기(200)에 의해 선택된 하나가 헬스기구 장치(300)의 제 1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사용자 단말기(200)의 제 2 디스플레이 패널(혹은, 디스플레이부 화면)상에서 스트리밍되도록 헬스기구 장치(300) 및 헬스기구 장치(300)의 홀더부(310)에 부착된 사용자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개인정보관리 프로그램은 근거리 통신망(800)(ex : NFC, Bluetooth, Zigbee, CSMA/CD, RFID, WiFi, IrDA, UWB)내 들어온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사용자가 간식을 포함한 하루에 섭취한 식단의 음식물 종류와 양을 수치화시킨 제 1 정보, 사용자의 소화불량, 속쓰림, 두통, 몸살, 감기, 설사, 빈혈, 생리로 인해 신체에 느껴지는 변화패턴을 수치화시킨 제 2 정보, 사용자의 기쁨, 슬픔, 화남, 놀람, 공포, 짜증에 따른 감정의 변화패턴를 수치화시킨 제 3 정보, 사용자의 도보, 구보, 수면, 흡연, 소변, 운동, 음주에 따른 시간과 횟수를 수치화시킨 제 4 정보, 사용자의 수면, 코골이, 호흡, 맥박, 소변, 대변, 열, 이상증세에 따른 변화패턴을 수치화시킨 제 5 정보, 및 사용자의 혈압, 혈당, 심전도, 체성분, 체중, 체온, 산소포화도, 근육량, 체지방량, 신체 균형도에 따른 변화패턴을 수치화시킨 제 6 정보를 포함하는 제 1 빅 데이터를 기록 관리하는 프로그램임에 유의한다.
여기서, 맞춤식 운동 스케줄은 사용자의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이 함양 미달인 사용자의 특정부위를 대체할 만한 다른 헬스기구 장치의 사용법과 함양 미달에서 충족 상태로 변경되도록 다른 헬스기구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에 맞는 운동단계, 필요 운동량, 필요 운동시간, 운동목표 설정, 운동상태 모니터링, 건강상태 집중관리, 및 건강상태 진전도 추정예측 가이드를 제시한 정보임에 유의한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번외운동으로 생성된 다른 칼로리 소모량을 기설치된 번외운동 체킹 앱 컨텐츠에 기록하며, 개인정보관리 프로그램, 체형관리 프로그램, 운동지도관리 프로그램 또는 체력측정 관리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제 1 빅 데이터 내지 제 4 빅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부 화면(도 3에서는 제 2 디스플레이 패널로 도시)을 통해 표출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가 SNS(Social Network Service)에서 실시되는 친구맺음을 통해 서로 간에 정보교류를 승인한 다수의 다른 사용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에 제 1 빅 데이터 내지 제 4 빅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함에 따라, 다수의 다른 사용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는 개인정보관리 프로그램, 체형관리 프로그램, 운동지도관리 프로그램 및 체력측정 관리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헬스케어용 어플 컨텐츠를 활용하여 제 1 빅 데이터 내지 제 4 빅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제 1 빅 데이터 내지 제 4 빅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기(200) 및 헬스케어 서버(100)에 임시 저장되며, 헬스케어 서버(200)가 제 1 빅 데이터 내지 제 4 빅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망과 기연결된 원격관리 서버(700)에 주기적으로 업로드함에 따라, 헬스케어 서버(200) 혹은 원격관리 서버(700)의 오동작 혹은 작동 불능 상태이더라도 제 1 빅 데이터 내지 제 4 데이터는 원본 그대로 사용자 단말기(200), 헬스케어 서버(100) 및 원격관리 서버(700) 중 적어도 하나에 존재한다.
원격관리 서버(700)는 헬스기구 장치가 셋팅된 근거리 통신망(800)을 벗어난 사용자 단말기(200) 즉, 외부공간에서 번외운동을 실시하는 사용자의 다른 칼로리 소모량을 체킹할 수 있는 번외운동 체킹 앱 컨텐츠를 탑재한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사용자의 다른 칼로리 소모량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달받은 후 임시 저장한다.
헬스케어 서버(200) 혹은 원격관리 서버(700)의 오동작 혹은 작동 불능 상태이더라도 사용자의 다른 칼로리 소모량은 원본 그대로 사용자 단말기(200), 헬스케어 서버(100) 및 원격관리 서버(700) 중 적어도 하나에 존재한다.
헬스기구 장치(300)는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200)가 사용자 단말기(200)의 하단부를 고정시키는 홀더부(310)에 끼워져 홀더부(310) 내 기구비된 잭포트(Jack Port 미도시)와 자동 연결될 경우, 사용자의 운동량, 운동시간을 디스플레이부 화면(혹은, 제 2 디스플레이 패널)에 자동 오픈된 개인정보관리 프로그램 상에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한다.
추가 구성 중 하나인 트레이너 단말기(400)는 근거리 통신망(800) 내 함께 공유하고 있는 헬스케어 서버(100)로부터 전달된 사용자의 다른 칼로리 소모량을 수시로 체킹함으로써, 사용자의 평소 건강을 레포팅하는 유용한 자료로 활용한다.
또한, 트레이너 단말기(400)는 헬스케어 서버(100)로부터 헬스케어용 어플 컨텐츠를 다운로드한 후, 헬스케어용 어플 컨텐츠를 이용해 제 1 빅 데이터, 제 2 빅 데이터 및 제 4 빅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으며, 제 1 빅 데이터, 제 2 빅 데이터 및 제 4 빅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사용자의 체력을 증대시킬 만한 헬스기구 장치(300) 또는 비헬스기구 장치(미도시)를 대상으로 한 운동기법과, 사용자의 체력 또는 칼로리 소모량에 적합한 운동량, 운동시간을 포함하는 맞춤식 운동 스케줄을 운동지도관리 프로그램에 실시간으로 올린다.
추가 구성 중 다른 하나인 것으로, 헬스케어 서버(100)와 기연결된 협진병원 서버(500)는 제 1 내지 4 빅 데이터를 근거로 정밀 분석된 진료결과 데이터와 진료결과 데이터에 따른 전문의의 음성 또는 화상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실시간으로 원격진료 또는 전화상담을 수행한다.
추가 구성 중 또 다른 하나로, 헬스기구 장치(300)에 장착된 RFID 리더기(320)는 사용자 단말기(200) 내 소지된 RFID 태그(210)를 인식하여 헬스케어 서버(100)에서 운영 중인 헬스케어용 어플 컨텐츠의 회원가입 여부를 파악하고 회원인증을 실시한다.
사용자 단말기(200)는 도 4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헬스케어 서버(100) 또는 원격관리 서버(700)에서 제공하는 헬스수행용 앱 컨텐츠(230)를 다운받아, 헬스케어 서버(100)와 근거리 통신망(800) 상에 연계되어 있는 트레이너 단말기(400)으로부터 주기적(일, 주, 월, 년 단위)으로 운동해야만 하는 할당분을 전달받는다.
그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200)의 헬스수행용 앱 컨텐츠(230)는 헬스기구 장치(800)(ex : 아령, 런닝머신, 근력기, 사이클 등등)를 이용한 운동시 실시간으로 체킹된 운동량 혹은 칼로리 소모량을 백분율(%)로 환산하고 그 수치를 화면상에 실시간으로 나타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자기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헬스케어-자기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은 헬스클럽 내에서 트레이너로부터 자신(사용자)에게 맞는 운동요령 및 운동기법을 전수받아 헬스기구 장치를 이용해 운동 중이거나 운동한 사용자의 운동량, 운동시간에 상응하는 칼로리 소모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헬스클럽이 아닌 다른 외부 공간에서 소모된 칼로리 소모량을 체킹할 수 있는 컨텐츠 즉, 평상시의 도보정보, 달기기 정보 등을 칼로리로 환산해 주는 번외운동 체킹 앱 컨텐츠를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하여 다른 칼로리 소모량을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을 통해 보여주거나 원격관리 서버 및 헬스케어 서버에 제공해 줌으로써, 근거리 통신망 상에 기연결된 트레이너 단말기가 사용자 평소 건강을 레포팅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는 운영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헬스기구 장치 이용해 운동 중이거나 운동한 사용자의 운동량, 운동시간에 상응하는 칼로리 소모량을 포함하는 제 1 빅 데이터를 비롯해 그외 제 2 빅 데이터 내지 제 4 빅 데이터를 기록 관리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탑재된 헬스케어용 어플 컨텐츠를 적극 활용하는 운영방법이다.
헬스케어 서버는 헬스기구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운동량, 운동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운동량, 운동시간에 상응하는 칼로리 소모량을 수치 환산해 수치 환산된 칼로리 소모량을 사용자 단말기에 전달한다(S100, S110, S120).
헬스케어 서버는 사용자의 이름, 성별, 신장, 질환유무, 의사처방, 칼로리 소모량에 관한 제 1 빅 데이터를 기록 관리하는 개인정보관리 프로그램과, 신장, 체중, 'BMI(체질량 지수)', 'SKINFOLD(피부의 접힌 두께 계측 값)', 허리둘레에 관한 제 2 빅 데이터를 기록 관리하는 체형관리 프로그램과, 맞춤식 운동 스케줄, 운동기법에 관한 제 3 빅 데이터를 관리하는 운동지도관리 프로그램과, 심폐지구력, 근력, 근지구력, 민첩성, 순발력, 협응력, 유연성에 관한 제 4 빅 데이터를 관리하는 체력측정 관리 프로그램을 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한다(S130).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의 번외운동으로 생성된 다른 칼로리 소모량을 기설치된 번외운동 체킹 앱 컨텐츠에 기록한 후 유무선 통신망과 기연결된 상기 헬스케어 서버와 또는 원격관리 서버에 전달하거나, 헬스케어 서버와 근거리 통신망상에서 연동하는 트레이너 단말기에 전달한다(S140).
사용자 단말기는 개인정보관리 프로그램, 체형관리 프로그램, 운동지도관리 프로그램 또는 체력측정 관리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제 1 빅 데이터 내지 제 4 빅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부 화면을 통해 표출한다(S150, S160).
사용자 단말기는 SNS(Social Network Service)에서 실시되는 친구맺음을 통해 서로 간에 정보교류를 승인한 다수의 다른 사용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에 제 1 빅 데이터 내지 제 4 빅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한다(S170).
다수의 다른 사용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는 개인정보관리 프로그램, 체형관리 프로그램, 운동지도관리 프로그램 및 체력측정 관리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헬스케어용 어플 컨텐츠를 활용하여 제 1 빅 데이터 내지 제 4 빅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S18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헬스케어-자기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은 이하 기재된 바와 같이 추가적인 동작을 실시하는데 용이하다.
헬스케어-자기관리 시스템은 헬스클럽 내에서 트레이너로부터 자신(사용자)에게 맞는 운동요령 및 운동기법을 전수받아 헬스기구 장치를 이용해 운동 중이거나 운동한 사용자의 운동량, 운동시간에 상응하는 칼로리 소모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고 헬스클럽 외에서도 자신(사용자)이 소지한 사용자 단말기(200) 내 기설치된 번외운동 체킹 앱 컨텐츠를 활용하여 평상시의 도보정보, 달기기 정보 등을 칼로리로 환산하여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상에 보여주거나 헬스케어 서버 및 헬스케어 서버와 근거리 통신망 상에 기연결된 트레이너 단말기에게 레포팅해 준다.
헬스케어-자기관리 시스템에 더 포함된 트레이너 단말기는 헬스케어 서버로부터 헬스케어용 어플 컨텐츠를 다운로드한 후, 헬스케어용 어플 컨텐츠를 이용해 제 1 빅 데이터, 제 2 빅 데이터 및 제 4 빅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간으로 제공받는다.
트레이너 단말기는 제 1 빅 데이터, 제 2 빅 데이터 및 제 4 빅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사용자의 체력을 증대시킬 만한 헬스기구 장치 또는 비헬스기구 장치를 대상으로 한 운동기법과, 사용자의 체력 또는 칼로리 소모량에 적합한 운동량, 운동시간을 포함하는 맞춤식 운동 스케줄을 운동지도관리 프로그램에 실시간으로 올린다.
사용자 단말기는 사용자 단말기의 하단부를 고정시키는 홀더부에 끼워져 홀더부 내 기구비된 잭포트와 자동 연결되며, 헬스기구 장치는 사용자의 운동량, 운동시간을 디스플레이부 화면에 자동 오픈된 개인정보관리 프로그램 상에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한다.
헬스기구 장치에 장착된 RFID 리더기는 사용자 단말기 내 소지된 RFID 태그를 인식하여 헬스케어 서버에서 운영 중인 헬스케어용 어플 컨텐츠의 회원가입 여부를 파악하고 회원인증을 실시한다.
헬스케어 서버는 유무선 통신망과 기연결된 미디어컨텐츠 제공서버 내 탑재된 미디어컨텐츠 제공사이트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며, 미디어컨텐츠 제공사이트는 유상 혹은 무상으로 다수의 미디어컨텐츠를 오픈한다.
다수의 미디어컨텐츠 중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하나는 헬스기구 장치의 제 1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사용자 단말기의 제 2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서 스트리밍되도록 헬스기구 장치 및 헬스기구 장치의 홀더부에 부착된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 헬스케어-자기관리 시스템
100 : 헬스케어 서버 200 : 사용자 단말기
300 : 헬스기구 장치

Claims (15)

  1. 헬스기구 장치, 사용자 단말기 및 헬스케어 서버를 포함하는 헬스케어-자기관리 시스템으로,
    상기 헬스기구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운동량, 운동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운동량, 운동시간에 상응하는 칼로리 소모량을 수치 환산해 상기 수치 환산된 칼로리 소모량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달하며, 상기 사용자의 이름, 성별, 신장, 질환유무, 의사처방, 칼로리 소모량에 관한 제 1 빅 데이터를 기록 관리하는 개인정보관리 프로그램과, 신장, 체중, 'BMI(체질량 지수)', 'SKINFOLD(피부의 접힌 두께 계측 값)', 허리둘레에 관한 제 2 빅 데이터를 기록 관리하는 체형관리 프로그램과, 맞춤식 운동 스케줄, 운동기법에 관한 제 3 빅 데이터를 관리하는 운동지도관리 프로그램과, 심폐지구력, 근력, 근지구력, 민첩성, 순발력, 협응력, 유연성에 관한 제 4 빅 데이터를 관리하는 체력측정 관리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헬스케어 서버; 및
    상기 사용자의 번외운동으로 생성된 다른 칼로리 소모량을 기설치된 번외운동 체킹 앱 컨텐츠에 기록하며, 상기 개인정보관리 프로그램, 체형관리 프로그램, 운동지도관리 프로그램 또는 체력측정 관리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상기 제 1 빅 데이터 내지 제 4 빅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부 화면을 통해 표출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SNS(Social Network Service)에서 실시되는 친구맺음을 통해 서로 간에 정보교류를 승인한 다수의 다른 사용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제 1 빅 데이터 내지 제 4 빅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함에 따라, 상기 다수의 다른 사용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개인정보관리 프로그램, 체형관리 프로그램, 운동지도관리 프로그램 및 체력측정 관리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헬스케어용 어플 컨텐츠를 활용하여 상기 제 1 빅 데이터 내지 제 4 빅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자기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케어 서버와 기연결된 협진병원 서버는,
    상기 제 1 내지 4 빅 데이터를 근거로 정밀 분석된 진료결과 데이터와 상기 진료결과 데이터에 따른 전문의의 음성 또는 화상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실시간으로 원격진료 또는 전화상담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자기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맞춤식 운동 스케줄은,
    상기 사용자의 근력, 근지구력, 유연성이 함양 미달인 상기 사용자의 특정부위를 대체할 만한 다른 헬스기구 장치의 사용법과 상기 함양 미달에서 충족 상태로 변경되도록 상기 다른 헬스기구 장치를 이용하는 상기 사용자에 맞는 운동단계, 필요 운동량, 필요 운동시간, 운동목표 설정, 운동상태 모니터링, 건강상태 집중관리, 및 건강상태 진전도 추정예측 가이드를 제시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자기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케어 서버는,
    상기 헬스케어용 어플 컨텐츠를 근거리 통신망 내 존재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실시간으로 업로딩해 주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달된 상기 다른 칼로리 소모량을 확인해 상기 근거리 통신망 상에 존재하는 트레이너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자기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케어 서버로부터 상기 헬스케어용 어플 컨텐츠를 다운로드한 후, 상기 헬스케어용 어플 컨텐츠를 이용해 상기 제 1 빅 데이터, 제 2 빅 데이터 및 제 4 빅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으며, 상기 제 1 빅 데이터, 제 2 빅 데이터 및 제 4 빅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의 체력을 증대시킬 만한 상기 헬스기구 장치 또는 비헬스기구 장치를 대상으로 한 상기 운동기법과, 상기 사용자의 체력 또는 칼로리 소모량에 적합한 운동량, 운동시간을 포함하는 상기 맞춤식 운동 스케줄을 상기 운동지도관리 프로그램에 실시간으로 올리는 트레이너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자기관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기구 장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하단부를 고정시키는 홀더부에 끼워져 상기 홀더부 내 기구비된 잭포트와 자동 연결될 경우, 상기 사용자의 운동량, 운동시간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에 자동 오픈된 상기 개인정보관리 프로그램 상에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자기관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정보관리 프로그램은,
    상기 근거리 통신망 내 들어온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간식을 포함한 하루에 섭취한 식단의 음식물 종류와 양을 수치화시킨 제 1 정보;
    상기 사용자의 소화불량, 속쓰림, 두통, 몸살, 감기, 설사, 빈혈, 생리로 인해 신체에 느껴지는 변화패턴을 수치화시킨 제 2 정보;
    상기 사용자의 기쁨, 슬픔, 화남, 놀람, 공포, 짜증에 따른 감정의 변화패턴를 수치화시킨 제 3 정보;
    상기 사용자의 도보, 구보, 수면, 흡연, 소변, 운동, 음주에 따른 시간과 횟수를 수치화시킨 제 4 정보;
    상기 사용자의 수면, 코골이, 호흡, 맥박, 소변, 대변, 열, 이상증세에 따른 변화패턴을 수치화시킨 제 5 정보; 및
    상기 사용자의 혈압, 혈당, 심전도, 체성분, 체중, 체온, 산소포화도, 근육량, 체지방량, 신체 균형도에 따른 변화패턴을 수치화시킨 제 6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빅 데이터를 기록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자기관리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기구 장치에 장착된 RFID 리더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내 소지된 RFID 태그를 인식하여 상기 헬스케어 서버에서 운영 중인 상기 헬스케어용 어플 컨텐츠의 회원가입 여부를 파악하고 회원인증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자기관리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케어 서버는,
    유무선 통신망과 기연결된 미디어컨텐츠 제공서버 내 탑재된 미디어컨텐츠 제공사이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며, 상기 미디어컨텐츠 제공사이트 내 유상 혹은 무상으로 오픈된 다수의 미디어컨텐츠 중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하나가 상기 헬스기구 장치의 제 1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 2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서 스트리밍되도록 상기 헬스기구 장치 및 상기 헬스기구 장치의 홀더부에 부착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자기관리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빅 데이터 내지 제 4 빅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헬스케어 서버에, 상기 다른 칼로리 소모량은 유무선 통신망과 기연결된 원격관리 서버에 각기 임시 저장되며, 상기 헬스케어 서버가 상기 제 1 빅 데이터 내지 제 4 빅 데이터를 상기 원격관리 서버에 주기적으로 업로드함에 따라, 상기 헬스케어 서버 혹은 원격관리 서버의 오동작 혹은 작동 불능 상태이더라도상기 제 1 빅 데이터 내지 제 4 데이터 및 상기 다른 칼로리 소모량은 원본 그대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 헬스케어 서버 및 원격관리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자기관리 시스템.
  11. 헬스기구 장치, 사용자 단말기 및 헬스케어 서버를 포함하는 헬스케어-자기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으로,
    헬스케어 서버가 상기 헬스기구 장치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운동량, 운동시간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운동량, 운동시간에 상응하는 칼로리 소모량을 수치 환산해 상기 수치 환산된 칼로리 소모량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헬스케어 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이름, 성별, 신장, 질환유무, 의사처방, 칼로리 소모량에 관한 제 1 빅 데이터를 기록 관리하는 개인정보관리 프로그램과, 신장, 체중, 'BMI(체질량 지수)', 'SKINFOLD(피부의 접힌 두께 계측 값)', 허리둘레에 관한 제 2 빅 데이터를 기록 관리하는 체형관리 프로그램과, 맞춤식 운동 스케줄, 운동기법에 관한 제 3 빅 데이터를 관리하는 운동지도관리 프로그램과, 심폐지구력, 근력, 근지구력, 민첩성, 순발력, 협응력, 유연성에 관한 제 4 빅 데이터를 관리하는 체력측정 관리 프로그램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게 제공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사용자의 번외운동으로 생성된 다른 칼로리 소모량을 기설치된 번외운동 체킹 앱 컨텐츠에 기록한 후 유무선 통신망과 기연결된 상기 헬스케어 서버와 또는 원격관리 서버에 전달하거나, 상기 헬스케어 서버와 근거리 통신망상에서 연동하는 트레이너 단말기에 전달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개인정보관리 프로그램, 체형관리 프로그램, 운동지도관리 프로그램 또는 체력측정 관리 프로그램을 구동시켜 상기 제 1 빅 데이터 내지 제 4 빅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디스플레이부 화면을 통해 표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SNS(Social Network Service)에서 실시되는 친구맺음을 통해 서로 간에 정보교류를 승인한 다수의 다른 사용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제 1 빅 데이터 내지 제 4 빅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다수의 다른 사용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가 상기 개인정보관리 프로그램, 체형관리 프로그램, 운동지도관리 프로그램 및 체력측정 관리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헬스케어용 어플 컨텐츠를 활용하여 상기 제 1 빅 데이터 내지 제 4 빅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헬스케어-자기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케어-자기관리 시스템에 더 포함된 트레이너 단말기가,
    상기 헬스케어 서버로부터 상기 헬스케어용 어플 컨텐츠를 다운로드한 후, 상기 헬스케어용 어플 컨텐츠를 이용해 상기 제 1 빅 데이터, 제 2 빅 데이터 및 제 4 빅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간으로 제공받는 단계; 및
    상기 제 1 빅 데이터, 제 2 빅 데이터 및 제 4 빅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근거로 상기 사용자의 체력을 증대시킬 만한 상기 헬스기구 장치 또는 비헬스기구 장치를 대상으로 한 상기 운동기법과, 상기 사용자의 체력 또는 칼로리 소모량에 적합한 운동량, 운동시간을 포함하는 상기 맞춤식 운동 스케줄을 상기 운동지도관리 프로그램에 실시간으로 올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자기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하단부를 고정시키는 홀더부에 끼워져 상기 홀더부 내 기구비된 잭포트와 자동 연결되는 단계; 및
    상기 헬스기구 장치가 상기 사용자의 운동량, 운동시간을 상기 디스플레이부 화면에 자동 오픈된 상기 개인정보관리 프로그램 상에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자기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기구 장치에 장착된 RFID 리더기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 내 소지된 RFID 태그를 인식하여 상기 헬스케어 서버에서 운영 중인 상기 헬스케어용 어플 컨텐츠의 회원가입 여부를 파악하고 회원인증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자기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헬스케어 서버가,
    유무선 통신망과 기연결된 미디어컨텐츠 제공서버 내 탑재된 미디어컨텐츠 제공사이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미디어컨텐츠 제공사이트 내 유상 혹은 무상으로 오픈된 다수의 미디어컨텐츠 중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의해 선택된 하나가 상기 헬스기구 장치의 제 1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제 2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서 스트리밍되도록 상기 헬스기구 장치 및 상기 헬스기구 장치의 홀더부에 부착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케어-자기관리 시스템의 운영방법.
KR1020140035918A 2014-03-27 2014-03-27 헬스케어-자기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201501122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918A KR20150112234A (ko) 2014-03-27 2014-03-27 헬스케어-자기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5918A KR20150112234A (ko) 2014-03-27 2014-03-27 헬스케어-자기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2234A true KR20150112234A (ko) 2015-10-07

Family

ID=54343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5918A KR20150112234A (ko) 2014-03-27 2014-03-27 헬스케어-자기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12234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4795A (ko) * 2015-12-02 2017-06-12 박상섭 다이어트 네비게이션 시스템
WO2017104924A1 (ko) * 2015-12-18 2017-06-22 주식회사 호텔신라 영양 및 운동 정보를 이용한 토탈 헬스 케어 시스템
WO2019088459A1 (ko) * 2017-11-01 2019-05-09 주식회사 원소프트다임 헬스 케어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KR102066001B1 (ko) * 2018-09-10 2020-01-1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운동 지수기반의 운동 코칭 방법 및 시스템
US10770172B2 (en) 2016-08-25 2020-09-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health management
KR20200109719A (ko) * 2019-03-14 2020-09-23 ㈜하스피케어 클라우드 기반 암 재활환자 통합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91649B1 (ko) * 2020-05-21 2020-12-16 박준경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음료 추천 장치 및 방법
KR20220011845A (ko) * 2020-07-21 2022-02-03 주식회사 글로벌제조혁신네트웍 Ar 헬스케어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WO2023018147A1 (ko) * 2021-08-10 2023-0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운동 데이터 제공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4795A (ko) * 2015-12-02 2017-06-12 박상섭 다이어트 네비게이션 시스템
WO2017104924A1 (ko) * 2015-12-18 2017-06-22 주식회사 호텔신라 영양 및 운동 정보를 이용한 토탈 헬스 케어 시스템
US10770172B2 (en) 2016-08-25 2020-09-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health management
WO2019088459A1 (ko) * 2017-11-01 2019-05-09 주식회사 원소프트다임 헬스 케어 디바이스 및 이를 이용한 헬스 케어 시스템
KR102066001B1 (ko) * 2018-09-10 2020-01-1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운동 지수기반의 운동 코칭 방법 및 시스템
KR20200109719A (ko) * 2019-03-14 2020-09-23 ㈜하스피케어 클라우드 기반 암 재활환자 통합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91649B1 (ko) * 2020-05-21 2020-12-16 박준경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음료 추천 장치 및 방법
KR20220011845A (ko) * 2020-07-21 2022-02-03 주식회사 글로벌제조혁신네트웍 Ar 헬스케어 관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WO2023018147A1 (ko) * 2021-08-10 2023-02-1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운동 데이터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12234A (ko) 헬스케어-자기관리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US11433276B2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independently adjust resistance of pedals based on leg strength
JP3238491U (ja) 個人に適合する運動処方箋に対応する最適なリハビリ強度または運動量を調整するインテリジェントシステム
US20220016485A1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Determine a User's Progress During Interval Training
US20220016480A1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Present a User Interface Representing a User's Progress in Various Domains
JP5926517B2 (ja) 個人の健康およびウェルネスの管理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その命令を含む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非一時的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US11957960B2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adjust pedal resistance
US20220016482A1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Onboard a User for an Exercise Plan
US20160055758A1 (en) Delivering to a user a biometric display that communicates health and fitness performance related information about the user
US20070106127A1 (en) Automated patient monitoring and counseling system
US20070054252A1 (en) Method and a system for teaching and guiding an individual in changing the lifestyle and a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an individual
KR102124249B1 (ko) 건강 관련 앱과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성인초기 대상자를 위한 대사증후군 예방 프로그램
US20160147968A1 (en) Home-based health and skills development programming system
US20220016484A1 (en) Method and System fo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 Interact with a User of an Exercise Device During an Exercise Session
KR20060045404A (ko) 유비쿼터스 네트워킹 기술 기반하에 온/오프라인 서비스를연계한 헬스케어 시스템 및 그 방법
Zhen et al. Internet of things framework in athletics physical teaching system and health monitoring
Harris et al. The MyHeart project: A framework for personal health care applications
KR101228586B1 (ko)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질병 관리 시스템 및 방법
Wiemeyer Evaluation of mobile applications for fitness training and physical activity in healthy low-trained people-A modular interdisciplinary framework
Lewy Wearable devices-from healthy lifestyle to active ageing
KR101252654B1 (ko) 자가진단 건강관리 방법
JP6142266B2 (ja) 健康管理システム及び活動量計
Miura et al. Smartphone-based gait measurement application for exercise and its effects on the lifestyle of senior citizens
JP2007156839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を用いた健康増進管理システム
Wolvers et al. An mHealth Intervention Strategy for Physical Activity Coaching in Cancer Surviv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