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6805B1 - 관리 싸이클과 주기를 이용한 체중관리방법 - Google Patents

관리 싸이클과 주기를 이용한 체중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6805B1
KR100506805B1 KR10-2003-0027956A KR20030027956A KR100506805B1 KR 100506805 B1 KR100506805 B1 KR 100506805B1 KR 20030027956 A KR20030027956 A KR 20030027956A KR 100506805 B1 KR100506805 B1 KR 100506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ycle
target
meal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7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4032A (ko
Inventor
박영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스
Priority to KR10-2003-0027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6805B1/ko
Priority to PCT/KR2004/001023 priority patent/WO2004097708A2/en
Publication of KR20040094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4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6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68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리 싸이클과 주기를 이용한 체중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방법은, 체중관리 싸이클의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 체중을 측정하여 자동 혹은 수동으로 입력하는 단계; 및 입력된 체중을 설정된 주기에 따라 분석하여 체중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체중관리 싸이클은 체중을 재는 모니터링 단계와, 동기부여 단계, 실행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기는 2-3일주기와, 1일주기, 식사별주기, 전후주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후주기는 식사전후, 운동전후, 취침전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체중관리정보는 이전주기의 측정체중과의 차이, 미리 설정된 목표체중과의 차이, 미리 설정된 변화값 이상의 급격한 체중변화 경고, 목표체중 도달여부, 식사량과 운동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이러한 체중관리방법은 단독형 디지털 체중계나 웹 사이트, 개인용 컴퓨터, 휴대용 단말기 중 어느 하나에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체중을 통해 각 개인의 건강을 쉽게 관리할 수 있고, 특히 칼로리를 이용한 체중관리방법에 비해 매우 쉬우면서도 정확하게 체중을 관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관리 싸이클과 주기를 이용한 체중관리방법{ Method of Managing Body Weight with Control Cycle and Period}
본 발명은 체중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관리 싸이클과 주기를 이용한 체중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의 건강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가장 쉽게 사용할 수 있고 효과적인 바로미터가 체중일 것이다. 또한 다이어트를 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체중 조절은 가장 기본일 것이다. 하지만 체중을 감량하기 원하는 사람들의 대부분은 그 목적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이 체중 감량에 실패하는 주요 이유는 첫째, 현재 자신의 다이어트 진행 상태를 정확히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즉, 자기가 실행하고 있는 방식이 맞는 것인지 아닌지를 확인하지 못하기 때문에 오리무중 상태에서 체중 감량을 실행하게 되는 것이다. 둘째 이유는 동기유발이 미흡하여 체중 감량에 대한 의지를 오래 유지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현재 시중에 다이어트를 위한 제안들이 여러 가지 있다.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방법이 칼로리 조절에 의한 다이어트 방법이다. 이 방법은 음식물을 종류에 따라 무게를 측정하고, 식사를 마친 후에 남은 음식물의 무게를 각각 종류별로 다시 측정하여 섭취한 음식물의 무게를 산출한 뒤, 음식물에 따른 칼로리 환산표 등을 사용하여 섭취한 열량을 계산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칼로리 조절 방법은 첫째, 칼로리 계산과정이 복잡하여 사용이 불편하고, 둘째 칼로리 계산이 부정확하며, 셋째 환산 오차가 지속적으로 누적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칼로리를 다이어트의 척도로 삼으려면 섭취 칼로리와 소비 칼로리의 정확한 데이터가 필요한데, 이를 얻기 위해서는 모든 섭취 음식(여러 반찬, 간식포함)의 칼로리 환산이 필요하고, 운동 및 대소변 배출량에 의해 소비되거나 호흡, 두뇌활동, 근육량에 따른 기초 대사로 인해 소비되는 칼로리의 정확한 환산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난해함으로 인해 대부분의 칼로리 환산은 정확하게 이루어지기 어렵다. 또한, 한번 잘못된 칼로리 계산 상태가 다음 번 칼로리 계산 시 기준이 되고, 이를 보정할 방법이 없다. 예를 들어, 아침 식사로 정확히 500kcal를 섭취했는데 칼로리 계산을 400kcal 로 했을 경우 100kcal 의 오차가 생기고, 이 오차가 있는 상태는 다음 번 입력 때에 보정되지 못하고 그대로 기준 상태가 된다. 결국, 다음 번 입력 시에 정확한 칼로리 계산이 되어도 결국 100 kcal의 오차를 안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체중관리 싸이클과 이 싸이클의 주기를 활용한 체중관리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법은, 체중관리 싸이클의 주기를 설정하는 단계; 체중을 측정하여 자동 혹은 수동으로 입력하는 단계; 및 입력된 체중을 설정된 주기에 따라 분석하여 체중관리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중관리 싸이클은 체중을 재는 모니터링 단계와, 동기부여 단계, 실행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주기는 2-3일주기와, 1일주기, 식사별주기, 전후주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후주기는 식사전후, 운동전후, 취침전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체중관리정보는 이전주기의 측정체중과의 차이, 미리 설정된 목표체중과의 차이, 미리 설정된 변화값 이상의 급격한 체중변화 경고, 목표체중 도달여부, 식사량과 운동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이러한 체중관리방법은 단독형 디지털 체중계나 웹 사이트, 개인용 컴퓨터, 휴대용 단말기 중 어느 하나에 구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된 PC 연결형 디지털 체중계(상표명 '엔바디')에서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다이어트 척도로 체중을 선택하였다. 첫째 체중은 측정이 간편하고, 둘째 섭취 및 소비의 정량적 판단이 가능하며(정확한 수치값으로), 셋째 체중 측정기의 정확한 보정으로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만약, 자신의 체중에 대해 정확히 모니터링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체중 감량에 대한 동기가 부여될 수 있다면 훨씬 많은 사람들이 체중 감량의 목표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체중관리 싸이클의 개념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체중관리 싸이클(이하 '3MO 싸이클'이라 한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링 (MOnitoring:12)" --> "동기부여 (MOtivation:14)" --> "실행(MObilization: 16)" --> "모니터링 (MOnitoring:12)" --> ...순으로 계속 반복하면서 체중을 관리하게 된다. 즉, 엔바디와 같은 정밀 체중계를 이용하여 정확한 체중을 측정 및 기록함으로써 자신의 체중을 확인할 수 있고(Monitoring), 이에 따라 운동과 식사조절에 대한 동기부여가 발생된다(Motivation). 그리고 이러한 동기부여에 의해 실제로 운동과 식사량을 조절하게 되고(Mobillization), 다시 체중계로 체중을 측정함으로써 반복인 싸이클로 체중을 관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니터링 - 동기부여 - 실행"으로 이루어지는 싸이클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MO 싸이클이라고 정의하고, 이 싸이클을 수행하는 주기에 따라 다음과 같이 4개의 주기로 구분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3MO 싸이클의 주기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3MO 싸이클의 주기는 2~3일 주기와, 1일주기, 식사별주기, 전후주기로 구분된다. 여기서, 2~3일 주기는 3MO 싸이클을 수행하는데 걸리는 기간이 2~3일인 경우이고, 1일 주기는 한 싸이클을 수행하는데 1일이 걸리는 경우이며, 식사별주기는 식사단위(1일 3회)를 주기로 하는 것이고, 전후주기는 특정한 이벤트의 전과 후를 주기로 한 것이다. 전후주기의 예로는 취침전후, 식사전후, 운동전후 등이 있다.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2~3일 주기(그래프 주기)는 체중관리 그래프를 보면서 그래프가 위로 계속 올라가면(Monitoring), '운동을 좀 해야겠구나', '식사횟수(야참)를 줄여야겠구나', '더 걸어야지(Motivation)'라고 생각하게 되고, 그 다음에 실제로 실행에 옮기면서(Mobilization), 다시 그래프의 추이를 보는 방법이다. 현재 체중 유지 중이거나 건강관리를 위해서 활용하는 사람들, 그리고 체중이 약간 오버된 사람들이 마음 편하게 며칠 주기로 반복하는 체중관리 싸이클이다.
1일 주기는 아침식사 전, 점심식사 전, 저녁식사 전 중의 한 번을 기준으로 해서 하루를 주기로 보고 모니터링하는 방법이다. 통상, 아침식사 전을 기준으로 할 것을 권장한다. 예컨대, 어제 아침에 64Kg이었는데 오늘 아침에 64.5 Kg이라면(Monitoring), '어제의 생활(섭취-소비)에서 0.5 Kg이 증가했구나', '어제보다 운동을 좀더 해야겠구나', '식사횟수(야참)를 줄여야겠구나', '더 걸어야지(Motivation)'라고 생각하게 되고, 그 다음에 실제로 실행에 옮기면서(Mobilization) 다음 날의 아침식사 전에 체중을 다시 재는(Monitoring) 것이다. 체중관리 그래프에서 쉽게 그 차이를 알 수 있다. 1일 주기는 현재 체중 유지중인 사람이나 체중이 약간 오버된 사람들이 하루를 주기로 반복하는 체중관리 싸이클이다.
식사별 주기는 아침식사 전, 점심식사 전, 저녁식사 전을 기준으로 해서 식사와 식사 간을 주기로 보는 모니터링 방법이다. 아침식사 전에 64 Kg이었는데 점심식사 전에 64.3 Kg이라면(Monitoring), 아침식사에서 소비하고 남은 것이 0.3 Kg이라는 것을 알 수 있고, '점심을 조금 먹어야지' 혹은 '점심먹고 나서는 좀 걸어야지', '활동을 해야지(Motivation)'라고 생각하게 되고, 그 다음에 실제로 실행에 옮기면서(Mobilization) 저녁식사 전의 체중을 재는(Monitoring) 것이다. 현재 다이어트를 본격적으로 하는 사람들 중에서 직장인들은 쉬는 날에, 집에 있는 사람들은 언제나 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벤트 전후 주기는 특정한 이벤트 전과 후에 각각 체중을 측정하여 분석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취침전후, 운동전후, 식사전후 등이 있다.
취침전후를 예로 든다면, 취침 후에 0.6Kg 감량을 목표로 했었는데 어제 취침 전에 비해 취침 후 체중이 0.5Kg 줄었다면 '어제 운동량이 부족했구나' 생각하게 되고 '오늘은 식사량을 줄이고 어제보다 30분 더 운동해야지' 하며 실행에 옮기고 다음날 취침 후 다시 측정해 보는 것이다.
식사전후를 예를 든다면, 식사 전에 64 Kg이었는데 식사후에 65 Kg이라면(Monitoring), '내가 너무 많이 먹어버렸구나', '1Kg이나 먹다니', '다음 식사 때는 조심해서 적당히 배부를 때 숟갈을 놓아야지(Motivation)'라고 생각하게 되고, 그 다음에 실제로 실행에 옮기면서(Mobilization) 다음 식사 때 다시 체중을 재는(Monitoring) 것이다.
그리고 운동전후를 예로 든다면, 밤에 재니까 목표보다 많이 오버해서 65.80Kg이 되었다고 하면 운동으로 '한 0.3Kg 빼고 자야겠다'고 생각하게 된다. 그래서 운동을 약 30분간 한 후에 측정한다. 그런데 65.60Kg이라면(Monitoring), '운동을 30분간 했더니 0.2Kg이 빠졌구나, 조금만 더해서 0.1Kg 마저 빼야지(Motivation)'라고 생각하게 되고, 그 다음에 실제로 운동을 하고(Mobilization) 다시 디지털 체중계(엔바디)에 올라가서 체중을 재는(Monitoring) 것이다.
현재 다이어트를 본격적으로 하는 사람들 중에서 식사는 적당히 하는 사람들은 운동전후와 취침전후를, 식사를 했다하면 폭식을 하는 사람들은 식사전후를 모니터링하면 효과적이다.
이상의 체중관리 싸이클과 주기를 참조해서 체중 감량 정도에 따른 주기 적용 방법을 대략적으로 정리하면, 다음 표 1과 같다.
목적 적용 주기
체중유지 2~3일 주기
가벼운 체중감량 2~3일 주기 혹은 1일 주기
중정도의 체중감량 1일 주기 + 이벤트 전후주기
고강도의 체중감량 식사별주기+ 이벤트 전후주기
체중 증량 2~3일 주기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체중유지를 위해서는 2~3일 주기가 적당하고, 가벼운 체중감량을 위해서는 2~3일 주기 혹은 1일 주기가 적당하며, 중정도의 체중감량을 위해서는 1일 주기와 이벤트 전후주기(운동전후, 취침전후)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고강도의 체중감량을 위해서는 식사별주기와 이벤트 전후주기(취침전후, 운동전후, 식사전후)가 적당하고, 체중증량을 위해서는 2~3일 주기가 적당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4가지 주기를 활용한 체중관리 싸이클의 적용은 데이터의 저장을 통해 가능하다. 물론, 수동으로 체중을 측정하고 문서로 기록하여 분석할 수도 있으나 과다한 데이터로 인해 실제로 수동으로 저장, 분석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디지털 체중계와 같이 자동 저장과 분석이 가능한 장치가 필요하다. 즉, 본 발명은 체중관리를 위한 전용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디지털 체중계나 웹사이트, 휴대용 단말기 등에 적용시켜 사용자에게 맞는 최적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쉽고 간편하게, 과학적으로 체중을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개인용 컴퓨터 상의 응용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서비스될 수도 있고, 웹 사이트 구축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될 수도 있으며, 디지털 체중계 내에 컴퓨터 기능이 포함된 단독형의 경우나 전자수첩과 같은 휴대용 단독기기로도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체중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단독형 체중계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휴대용 단말기의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체중관리시스템은 디지털 체중계(31)와, 컴퓨터(32), 인터넷(33), 체중 관리 사이트(34)로 구성된다.
디지털 체중계(31)는 로드셀과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컴퓨터(32)와 RS232C, USB방식 혹은 무선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함과 아울러 측정값을 컴퓨터(32)로 전달한다. 컴퓨터(32)는 체중관리를 위한 전용 소프트웨어를 탑재하여 디지털 체중계(31)로부터 전달된 체중값을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함과 아울러 사용자별로 건강관련정보를 누적적으로 관리한다. 그리고 인터넷(33)을 통해 체중관리 사이트(34)에 접속되어 사용자의 신체정보 및 체중데이터를 서비스 사이트(34)로 전송하고, 어디에서나 인터넷(33)에 접속해서 자기의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체중관리방법은 개인용 컴퓨터(32)상에 응용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서비스될 수도 있고, 건강 관리 사이트(34)에 구현되어 네트웍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된 단독형 디지털 체중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셀(41), 키입력부(42), 마이크로 프로세서(43), 메모리(44), LCD(45)로 구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로드셀(41)은 체중을 측정하여 체중값을 마이크로 프로세서(42)로 출력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43)는 로드셀(41)로부터 입력된 체중값을 메모리(44)의 지정위치에 저장함과 아울러 LCD(45)에 디스플레이하고, 키입력부(42)의 키입력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체중관리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체중관리를 위한 그래프나 분석표, 권고 메시지 등을 LCD(45)에 출력한다. 이때 마이크로 프로세서(43)는 사용자의 키입력에 따라 주기를 설정함과 아울러 목표체중, 급격한 체중변화에 의한 경고값 등을 설정한다.
또한 본 발명이 적용된 휴대용 단말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입력부(51), 마이크로 프로세서(52), 통신부(53), 메모리(54), LCD(55)로 구성된다.
도 5와 같은 단말기는 전자수첩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이므로 체중측정수단이 없으므로 키입력부(51)를 통해 체중측정값을 입력해야 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52)는 키입력에 따라 체중관련 데이터를 분석 처리한 후 그래프나 분석표 등과 함께 체중관리정보 메시지를 LCD(55)화면에 표시한다. 통신부(53)는 USB 등으로 메인 컴퓨터와 연결되어 체중관리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거나 각종 데이터값을 갱신하기 위한 것이다. 필요에 따라서는 통신부(53)에 디지털 체중계를 연결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체중관리절차를 도시한 순서도로서, 본 발명의 체중관리절차는 주기설정 단계(S1), 체중측정 단계(S2), 주기별 분석 단계(S3), 실행 단계(S4)로 구성되어 앞서 설명한 표 1과 같이 목적에 따라 주기를 설정한 후, 체중측정, 분석, 및 권고(advice)에 따른 활동을 반복하여 체중을 관리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주기 설정 단계(S1)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기 설정 화면에서 주기를 설정한다. 도 7에는 각 항목의 좌측에 체크박스가 있어 사용자가 클릭하여 주기를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나의 기기를 다수가 사용할 수 있는 경우에는 등록 사용자별로 각각 주기를 설정해야 한다. 주기를 설정하지 않은 경우는 주기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주기를 처음 사용하고자 할 때 1회만 설정하면 되며, 필요에 따라 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 주기 선택은 다음 표 2에서와 같이 선택하며, 복수 선택도 가능하다. 단, 1일 주기의 세부 주기내에서는 한가지만 선택이 가능하며 '사용 안함' 선택 시에는 타 주기는 선택할 수 없다.
대주기 세부주기 선택시 고려 사항
사용안함 - 다른 주기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 기본으로 설정됨
2~3일 주기
1일주기 아침식사전
점심식사전
저녁식사전
식사별주기
이벤트 전후주기 취침 전후
운동 전후
식사 전후
이어 측정 시점 선택 화면에서 체중측정 시점을 선택한다. 예컨대, 본 발명이 적용된 체중관리(엔바디) 시스템에서 화면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부(801)와 체중표시부(802), 기능선택부(803), 사용자관리(804), 옷입고 재기(805), 아기체중재기(806), 측정시점 선택(807) 등의 항목이 있고, 측정시점선택(807)을 클릭하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시점을 선택하기 위한 화면이 나타난다. 측정시점은 다음 표 3과 같이 아침식사 전/후, 점심식사 전/후, 저녁식사 전/후, 취침 전/후, 운동 전/후, 기타 등으로 되어 있다.
- 아침 식사 전- 아침 식사 후- 점심 식사 전- 점심 식사 후- 저녁 식사 전- 저녁 식사 후- 취침 전- 취침 후- 운동 전- 운동 후- 기타
측정 시점은 주기를 선택한 경우는 자동으로 선택되어 진다. 예를 들어, 식사 주기(아침 식사 전)로 설정한 경우, 아침 식사 전에 측정한 후 다음 번에 측정할 때는 아침 식사 후가 자동으로 선택되어 진다. 각 경우에 따라 자동 선택이 가능하고, 측정할 시점이 자동 선택된 시점과 다를 경우는 수동으로 변경하여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주기설정 단계(S1)에서는 위와 같은 주기 설정외에도 사용자별 목표체중이나 체중증감 경고값, 분기점 식사량, 분기점 운동량 등 분석에 필요한 각종 기초 데이터를 미리 입력한다.
이어 체중 측정(혹은 입력)단계(S2)에서는 체중계를 이용하여 실제 체중을 측정한다. 측정된 체중은 자동으로 입력되어 처리되는데, 휴대용 단말기 등과 같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측정한 체중값을 입력해야 한다.
이어 주기별 분석단계(S3)에서는 측정 후, 화면을 통해 선택한 주기별 분석 결과 및 결과에 따른 조언 내용을 도 9와 같이 출력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화면의 상부에는 각 주기별 그래프가 일 최고, 일 최저, 표준체중, 목표체중으로 구분되어 도시되어 있고, 하부에는 각종 분석표와 텍스트 형태의 어드바이스 내용이 표시된다.
이와 같은 주기별 분석 그래프와 분석내용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2~3일 주기 분석
새롭게 측정되는 데이터와 2~3일 전의 측정 데이터를 비교한다. 데이터 비교시 각 날짜의 최저 체중으로 비교한다. 이는 최저 체중이 하루의 체중을 대표하는 값으로 가장 적당하기 때문이다. 2~3일 주기 분석을 통해 서비스할 수 있는 정보는 다음 표 4와 같다.
- 3일전 체중과 현 체중의 비교- 목표 체중과 현 체중과의 비교- 급격한 체중 변화 경고- 목표 체중 도달 감지- 식사량과 운동량에 대한 조언
상기 표 4에서와 같이 3일전 체중과 현 체중을 비교하여 그 차이를 알려주고, 목표 체중과 현 체중을 비교하여 그 차이를 알려주며, 급격한 체중 변화를 경고한다. 즉, 3일내 체중 변화 한계를 설정하여 체중 측정 시 변화의 폭이 한계치를 넘을 경우 급격한 체중 변동을 경고한다.
또한 목표 체중 도달을 감지하여 체중이 목표 체중에 도달할 경우 목표 체중에 도달하였음을 알려주며, 식사량과 운동량에 대한 조언을 한다. 이때 누적된 식사량/운동량을 통해 체중의 증감 분기점이 되는 식사량/운동량(이하에서 식사량/운동량 분기점 이라 칭한다)을 산출할 수 있다. 체중의 증감 추세를 판단하여 식사량/운동량 분기점을 기준으로 적당한 식사량/운동량을 제시할 수 있다.
[분석예]
본 발명에 따른 2~3일 주기분석의 그래프가 도 10과 같고, 분석표가 다음 표 5와 같다고 하자.
구분 3일전 오늘
체중 64.8 Kg 64.3 Kg
3일전과 비교 -0.5 Kg
이 경우 그래프와 표 5에 따른 분석 결과, 어드바이스(조언, 도움말)의 예는 다음과 같다.
먼저, 그래프 및 상기 표5에서 3일전 체중과 현 체중을 비교하여 그 차이를 구해보면, "64.3kg - 64.8kg = - 0.5kg "이다. 따라서, "현재 체중은 3일전과 비교하여 0.5kg 감소하였습니다."라고 그 차이를 알려준다.
현재체중과 목표체중과의 차이를 구해 알려준다. 예컨대, 목표체중이 63kg 이라면 "64.3kg - 63kg= 1.3kg"이고, 따라서 "목표체중과 비교하여 1.3kg 초과 하였습니다."라고 안내한다.
급격히 체중이 변화된 경우, 예컨대 3일 체중 변화 한계치를 1.5kg으로 설정한 경우 3일 동안 2kg 감량했다면 "3일동안 2kg 감량하여 체중 변화 한계치 1.5kg을 초과하였습니다. 무리한 감량을 삼가하시기 바랍니다."라고 안내한다.
또한 목표 체중 도달을 감지하여 체중이 목표 체중에 도달했다면, "체중이 62.8kg 으로 목표 체중 63kg에 도달하였습니다."라고 안내한다.
이어 적정 식사량/운동량을 제시한다. 식사량 분기점이 1.6Kg, 운동량 분기점이 만보계로 7000보라면 3일간의 체중의 증감에 따라 "체중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1일 식사량을 1.8Kg으로 하시고 1일 운동량을 만보계 6500 보로 유지 하십시오" 또는 "체중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1일 식사량을 1.5Kg으로 하시고 1일 운동량을 만보계 8000보로 유지 하십시오" 라고 조언한다.
2. 1일 주기
새롭게 측정되는 데이터와 전날(1일전)의 측정 데이터를 비교한다. 데이터 비교시 주기 선택(1일주기의 세부 주기중)에서 선택한 체중을 각 날짜의 대표값으로 한다. 예를 들어, 각 날짜의 아침 식사 전 측정 체중을 대표 값으로 하는 방법으로, 이는 2~3일 주기의 최저 체중 사용과 구별된다. 1일 주기 분석을 통해 서비스할 수 있는 정보는 다음 표 6과 같다.
- 1일전 체중과 현 체중의 비교- 목표 체중과 현 체중의 비교- 급격한 체중 변화 경고- 목표 체중 도달 감지- 연속 증가/감소 날수- 1일 감량 목표치와의 비교- 식사량과 운동량에 대한 조언
상기 표 6에서와 같이 1일전 체중과 현 체중을 비교하여 알려주고, 목표 체중과 현 체중을 비교하며, 급격한 체중 변화를 경고해준다. 즉, 1일내 체중 변화 한계치를 설정하여 체중 측정 시 변화의 폭이 한계치를 넘을 경우, 급격한 체중 변동을 경고한다.
또한 목표 체중 도달을 감지하고, 연속 증가/감소 날수를 알려주며, 증가/감소가 연속되는 날수를 통해 증감의 추세를 알려준다. 1일 감량 목표치와 비교한다. 즉, 1일 감량 목표치를 설정한 후 체중 측정 시 이 목표치와의 비교를 통해 동기유발을 강하게 일으킬 수 있고, 식사량과 운동량에 대해 조언한다. 즉, 실제 체중 증감량과 1일 증감 목표치의 차이를 판단하여 식사량/운동량 분기점을 기준으로 적당한 식사량/운동량을 제시할 수 있다.
[분석예]
본 발명에 따른 1일 주기분석의 그래프가 도 11과 같고, 분석표가 다음 표 7과 같다고 하자.
3일전 2일전 1일전 오늘
체중 65 64.5 64.3 64.2
전날과 비교 -0.5 -0.2 -0.1
도시된 그래프와 상기 분석표에 의해 다음과 같은 어드바이스(조언, 도움말)를 제공한다. 즉, 1일전 체중과 현 체중의 비교하여 그 차이(현 체중 - 1일전 체중 = 64.2kg - 64.3kg = - 0.1kg)를 구해, "오늘의 아침식사 전 체중은 어제의 아침식사 전과 비교하여 0.1kg 감소하였습니다."라고 권고하고, 목표 체중과 현 체중의 차이를 구해( 목표체중이 63kg 이라면 차이 = 64.2kg - 63kg = 1.2kg) " 목표 체중 63kg과 비교하여 1.2kg 초과하였습니다."라고 권고한다.
급격한 체중 변화 예를 들면, 만약 1일 체중 변화 한계치를 1kg으로 설정한 후 1일 동안 1.5kg 감량했다면 "1일동안 1.5kg 감량하여 체중 변화 한계치 1kg을 초과하였습니다. 무리한 감량을 삼가하시기 바랍니다" 라고 권고한다.
목표 체중 도달을 감지하여 체중이 목표 체중에 도달 했다면 "체중이 62.8kg 으로 목표 체중 63kg에 도달 하였습니다"라고 권고하고, 연속 감소/증가된 날 수 분석에서 "3일 연속 체중이 감소하였습니다"라고 권고한다.
1일 감량 목표치와 비교하여 1일 감량 목표치를 0.2kg으로 설정한 후 1일 동안 0.1kg 감량했다면 "감량 목표치 0.2kg과 비교하여 0.1kg 덜 감량하셨습니다"라고 권고하고, 적정 식사량/운동량 제시에서 식사량 분기점이 1.6Kg, 운동량 분기점이 만보계로 7000보 이라면 실제 체중 감량치와 1일 감량 목표치와의 비교를 통해 "감량 목표치 0.2kg과 비교하여 0.1kg 덜 감량하였습니다. 식사량을 1.5Kg으로 하시고 운동량을 만보계 7500 보로 유지 하십시오" 등을 조언한다.
식사량/운동량 분기점이 없는 경우는 어제의 식사량과 운동량을 기준으로 조언해 준다. 어제 식사량이 1.5Kg이고 운동량이 6000보였을 때 0.2Kg 증가하였다면 "오늘은 식사량을 1.4Kg으로 하시고 운동량을 만보계 7500 보로 유지 하십시오" 등을 조언한다.
만약, 식사량/운동량 분기점도 없고 어제의 식사량과 운동량도 입력하지 않았다면 정확한 수치를 포함시키지 않고 조언을 해 줄 수 있다. 즉, 어제 0.2Kg 증가하였다면, "오늘은 식사량을 어제보다 약간 줄이시고 운동량을 더 늘리십시오" 등으로 조언한다.
3. 식사별 주기
새롭게 측정되는 데이터와 직전의 식사 전 데이터를 비교한다. 식사별 주기 분석으로 서비스할 수 있는 정보는 다음 표 8과 같다.
- 직전 식사전 체중과 현 체중의 비교- 목표 체중과 현 체중의 비교- 급격한 체중 변화 경고- 목표 체중 도달 감지- 식사별 체중 증감 목표치와의 비교- 식사량과 운동량에 대한 조언
상기 표 8에서와 같이 직전 식사전 체중과 현 체중의 비교하고, 목표 체중과 현 체중의 비교하며, 급격한 체중 변화 경고한다. 즉, 식사간 체중 변화 한계치를 설정하여 체중 측정 시 변화의 폭이 한계치를 넘을 경우, 급격한 체중 변동을 경고한다.
목표 체중 도달을 감지하고, 식사별 체중 증감 목표치와 비교한다. 즉, 각 식사 전 체중의 증감량 목표치를 정한다면 체중 측정 시 이 목표치와의 비교를 통해 동기유발을 강하게 일으킬 수 있다.
식사량과 운동량에 대해 조언한다. 즉, 실제 체중 증감량과 각 식사 전 체중의 증감량 목표치와의 차이를 판단하여 식사량/운동량 분기점을 기준으로 적당한 식사량/운동량을 제시할 수 있다.
[분석예]
본 발명에 따른 식사별 주기 분석의 그래프가 도 12와 같고, 분석표가 다음 표 9와 같다고 하자.
1일전 점심 1일전 저녁 오늘 아침 현재(점심)
체중 65 64.5 64.3 64.2
직전 식사전 체중과 비교 +0.3 -0.5 -0.2 -0.1
도시된 그래프와 상기 분석표의 결과에 따라 직전 식사전 체중과 현 체중을 비교하여 차이(현 체중 - 직전 식사전 체중 = 64.2kg - 64.3kg = - 0.1kg)를 구해 " 직전 식사전 체중과 비교하여 0.1kg 감소하였습니다. "라고 권고하고, 목표 체중과 현 체중을 비교하여 차이를 구해 알려주는데 예컨대, 목표체중이 63kg 이라면 차이 ( 64.2kg - 63kg = 1.2kg)를 구해 " 목표 체중 63kg과 비교하여 1.2kg 초과하였습니다"라고 안내한다.
급격한 체중 변화가 검출되면, 즉, 매 식사 체중 변화 한계치를 0.6kg으로 설정한 후, 직전 식사 전에 비교하여 0.8kg 감소했다면 "전 식사와 비교하여 0.8kg 감소하여 체중 변화 한계치 0.6kg을 초과하였습니다. 무리한 감량을 삼가 하시기 바랍니다" 라고 권고하고, 목표 체중 도달을 감지하여 체중이 목표 체중에 도달했다면, "체중이 62.8kg 으로 목표 체중 63kg에 도달하였습니다."라고 권고한다.
또한 식사별 체중 증감 목표치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을 경우 즉, 증감량 목표치를, 아침식사에서 점심식사까지는 "0.2Kg 증가", 점심식사에서 저녁식사 까지는 "동일 체중 유지", 저녁식사에서 다음날 아침까지는 "0.3Kg 감소"로 설정한 경우, 상기 표 9에서 보면 현재(점심)에서의 체중이 오히려 0.1 Kg 감소하였으므로 "아침에서 점심까지의 목표 증가치 0.2kg과 비교하여 0.3kg 감소하였습니다"라고 안내한다.
또한 하루의 식사량 분기점이 1.6kg, 운동량 분기점이 만보계로 7000보 라면 실제 체중 감량치와 끼니별 체중 증감 목표치와의 비교를 통해 "아침에서 점심까지의 목표치 0.2kg 증가와 비교하여 0.3kg 감소하였습니다. 저녁 식사량을 0.7Kg으로 늘리시고 1일 운동량을 만보계 6000보로 유지 하십시오"라고 조언한다.
4. 전후 주기
새롭게 측정되는 취침 후(식사 후 혹은 운동 후) 데이터와 취침 전( 식사 전 혹은 운동 전) 데이터를 비교한다. 전후 주기 분석으로 서비스할 수 있는 정보는 다음 표 10과 같다.
- 취침 전(식사 전, 운동 전) 체중과 취침 후(식사 후, 운동 후) 체중의 비교- 목표 체중과의 현 체중의 비교- 급격한 체중 변화 경고- 목표 체중 도달 감지- 한끼 식사량 목표치와의 비교 또는 운동을 통한 체중 감량 목표치와의 비교- 식사량과 운동량에 대한 조언
취침 전(식사 전, 운동 전) 체중과 취침 후(식사 후, 운동 후) 체중을 비교하고, 목표 체중과 현 체중을 비교하며, 급격한 체중 변화를 경고한다. 즉, 취침 전후/식사 전후/운동 전후 간 체중 변화 한계를 설정하여 체중 측정 시 변화의 폭이 한계치를 넘을 경우 급격한 체중 변동을 경고한다.
목표 체중 도달을 감지하고, 한끼 식사량 목표치와 비교 또는 운동을 통한 체중 감량 목표치와 비교한다. 즉, 한끼 식사량 목표치 또는 운동을 통한 체중 감량 목표치를 정한다면, 체중 측정 시 이 목표치와의 비교를 통해 동기유발을 강하게 일으킬 수 있다.
식사량과 운동량에 대해 조언하고, 실제 체중 증감량과 한끼 식사량 목표치 또는 운동을 통한 체중 감량 목표치와의 차이를 판단하여 식사량/운동량 분기점을 기준으로 적당한 식사량/운동량을 제시할 수 있다.
[분석예: 식사전후 주기]
본 발명에 따른 식사전후 주기분석의 그래프가 도 13과 같고, 분석표가 다음 표 11과 같다고 하자.
구분 식사전 식사후
체중 64.3 Kg 64.8 Kg
식사전과 비교 +0.5 Kg
도시된 그래프와 분석표를 참조하여, 식사전 체중과 식사후 체중을 비교하여 그 차이(식사량)를 안내한다. 즉, 상기 표11의 경우 차이( 현 체중 - 식사 전 체중)가 "64.8kg - 64.3kg = 0.5kg"이고, 이 경우 "식사 후 체중을 식사 전 체중과 비교한 결과 추정 식사량은 0.5kg 입니다"라고 안내한다.
목표 체중과 현 체중을 비교하여 차이를 구한 후 이를 안내한다. 즉, "차이 = 현재 체중 - 목표 체중"으로 구해지는데, 상기 표11의 경우, 목표체중이 63kg 이라면 차이 = 64.8kg - 63kg = 1.8kg이고, 이 경우 " 목표 체중 63kg과 비교하여 1.8kg 초과 하였습니다"라고 안내한다.
급격한 체중 변화를 경고한다. 예컨대, 1회 식사 체중 변화 한계치를 0.8kg으로 설정한 후 1회 식사로 인하여 1kg 증가했다면 "식사전와 비교하여 1kg 증가하여 1회 식사 체중 변화 한계치 0.8kg을 초과하였습니다. 과식을 삼가 하시기 바랍니다" 라고 안내한다.
목표 체중 도달을 감지하여 안내한다. 만약 체중이 목표 체중에 도달했다면, "체중이 62.8kg 으로 목표 체중 63.0kg에 도달하였습니다."라고 안내한다.
1회 식사량 목표치와의 비교하여 안내한다. 즉, 1회 식사량 목표치를 0.4kg으로 설정한 후 0.5kg을 식사하였다면, "식사량 목표치 0.4kg과 비교하여 0.1kg 초과하여 식사하셨습니다"라고 안내한다.
적정 식사량/운동량을 제시한다. 즉, 운동량 분기점이 만보계로 7000보 라면, 실제 체중 증가치와 한끼 식사량 목표치와의 비교를 통해 "목표 식사량보다 0.1kg 더 식사하였습니다. 다음 식사에서 목표량보다 식사량을 0.1kg 줄이시고 운동량을 만보계 7500 보로 늘리십시오"라고 안내한다.
[분석 예: 운동전후 주기]
본 발명에 따른 운동전후 주기분석의 그래프가 도 14와 같고, 분석표가 다음 표 12와 같다고 하자.
구분 운동전 운동후
체중 64.3 Kg 64.0 Kg
3일전과 비교 -0.3 Kg
도시된 그래프와 분석표를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어드바이스(조언, 도움말)할 수 있다.
운동 전 체중과 운동 후 체중을 비교하여 그 차이를 안내한다. 즉, "차이 = 현 체중 - 운동 전 체중 = 64.0kg - 64.3kg = -0.3kg"이면, "운동에 의하여 0.3kg의 체중이 감소하였습니다"라고 안내한다.
목표 체중과 현 체중을 비교하여 차이를 안내한다. 즉, "차이 = 현재 체중 - 목표 체중"이므로 목표체중이 63kg 이라면 "차이 = 64.0kg - 63kg = 1.0kg"이고, "목표 체중 63kg과 비교하여 1.0kg 초과하였습니다"라고 안내한다.
급격한 체중 변화를 경고한다. 예컨대, 1회 운동 체중 변화 한계치를 0.6kg으로 설정한 후 1회 운동으로 인하여 0.8kg 감소했다면, "운동 전과 비교하여 0.8kg 감소하여 운동 체중 변화 한계치 0.6kg을 초과하였습니다. 무리한 운동을 삼가 하시기 바랍니다"라고 안내한다.
목표 체중 도달을 감지하여 안내한다. 예컨대, 만약 체중이 목표 체중에 도달 했다면 "체중이 62.8kg 으로 목표 체중 63kg에 도달하였습니다"라고 안내한다.
운동 후 감량 목표치와 비교하여 안내한다. 예컨대, 1회 운동 감량 목표치를 0.4kg으로 설정한 후 1회 운동으로 0.3kg 감량했다면 "운동 후 감량 목표치 0.4kg과 비교하여 0.1kg 덜 감량되었습니다"라고 안내한다.
적정 식사량/운동량을 제시한다. 즉, 실제 체중 감량치 0.3kg과 운동 후 감량 목표치 0.4kg과의 비교를 통해, "목표 감량치보다 0.1kg 덜 감량하였습니다. 1200보 더 운동하십시오"라고 안내한다.
[분석 예: 취침전후 주기]
본 발명에 따른 취침전후 주기분석의 그래프가 도 15와 같고, 분석표가 다음 표 13과 같다고 하자.
구분 취침전 취침후
체중 64.5 Kg 64.0 Kg
취침전과 비교 -0.5 Kg
도시된 그래프와 분석표에 따라 다음과 같이 어드바이스(조언, 도움말)할 수 있다.
먼저, 취침 전 체중과 취침 후 체중을 비교하여 그 차이를 안내한다. 즉, "차이 = 현 체중 - 취침 전 체중 = 64.5kg - 64.0kg = -0.5kg"를 구해, "취침하시는 동안 0.5kg의 체중이 감소하였습니다"라고 안내한다.
목표 체중과 현 체중을 비교하여 그 차이를 안내한다. 즉, "차이 = 현재 체중 - 목표 체중"이므로, 목표체중이 63kg 이라면 "차이 = 64.0kg - 63kg = 1.0kg"이고, 이에 따라 "목표 체중 63kg과 비교하여 1.0kg 초과하였습니다"라고 안내한다.
급격한 체중 변화를 경고한다. 즉, 취침 중 체중 변화 한계치를 0.5kg으로 설정한 후 취침하는 동안 0.6kg 감소했다면, "취침 전과 비교하여 0.6kg 감소하여 취침 체중 변화 한계치 0.5kg을 초과하였습니다. 취침 전 무리한 운동을 삼가하시기 바랍니다"라고 안내한다.
목표 체중 도달을 감지하여 안내한다. 만약, 체중이 목표 체중에 도달했다면 "체중이 62.8kg으로 목표 체중 63kg에 도달하였습니다"라고 안내한다.
취침 중 감량 목표치와 비교하여 그 차이를 안내한다. 취침 중 감량 목표치를 0.4kg으로 설정한 후 취침하는 동안 0.3kg 감량했다면, "취침 중 감량 목표치 0.4kg과 비교하여 0.1kg 덜 감량되었습니다"라고 안내한다.
적정 식사량/운동량을 제시한다. 즉, 실제 체중 감량치 0.3kg과 취침 중 감량 목표치 0.4kg을 비교하여, "목표 감량치보다 0.1kg 덜 감량하였습니다. 오늘은 식사량을 100g 줄이시고 1200보 더 운동하십시오"라고 안내한다.
이와 같은 권고에 따라 사용자는 실제로 실행한 후 다시 체중을 재고, 이러한 체중관리 싸이클을 반복하여 원하는 체중을 유지할 수 있다(S4).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체중을 통해 각 개인의 건강을 쉽게 관리할 수 있고, 특히 칼로리를 이용한 체중관리방법에 비해 매우 쉬우면서도 정확하게 체중을 관리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체중관리 목적에 따라 적당한 주기를 선택하여 맞춤형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디지털 체중계나 컴퓨터, 웹사이트, 휴대용 단말기 등 다양한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체중 측정 데이터를 정밀하게 분석한 후 개인의 식사습관이나 운동습관, 취침시간 등을 고려하여 체중관리를 위한 최적의 어드바이스를 제공하고, 그래프나 테이블 등을 이용하여 분석결과를 시각화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고 과학적으로 체중을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체중관리 싸이클 개념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체중관리 싸이클의 4주기 개념을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체중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단독형 체중계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휴대용 단말기의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체중관리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주기를 설정하는 화면의 예,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 화면의 예,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측정시점 선택화면의 예,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주기분석 화면의 예,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2,3일주기 분석 그래프의 예,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1일주기 분석 그래프의 예,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식사별주기 분석 그래프의 예,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식사전후 주기 분석 그래프의 예,
도 14은 본 발명에 따른 운동전후 주기 분석 그래프의 예,
도 15은 본 발명에 따른 취침전후 주기 분석 그래프의 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체중계 32: 컴퓨터
33: 인터넷 34: 건강관리사이트
41: 로드셀 42,51: 키입력부
43,52: 마이크로프로세서 44,54: 메모리
45,55: LCD 53: 통신부

Claims (7)

  1. 체중계와 컴퓨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체중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컴퓨터가 체중을 관리하기 위한 주기를 설정하는 제1 단계;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컴퓨터가 목표체중을 설정하는 제2 단계;
    상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운동량과 식사량 데이터를 입력받아 해당 사용자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3 단계;
    상기 사용자가 체중을 측정하면, 상기 체중계로부터 측정된 체중값을 입력받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제4 단계; 및
    상기 사용자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데이터를 설정된 주기에 따라 분석하여 사용자별 체중관리정보를 제공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싸이클과 주기를 이용한 체중관리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이전주기의 측정체중과의 차이, 미리 설정된 목표체중과의 차이, 미리 설정된 변화값 이상의 급격한 체중변화 경고, 목표체중 도달여부, 식사량과 운동량에 대한 정보를 문자나 그래프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 싸이클과 주기를 이용한 체중관리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03-0027956A 2003-05-01 2003-05-01 관리 싸이클과 주기를 이용한 체중관리방법 KR1005068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956A KR100506805B1 (ko) 2003-05-01 2003-05-01 관리 싸이클과 주기를 이용한 체중관리방법
PCT/KR2004/001023 WO2004097708A2 (en) 2003-05-01 2004-04-30 Method of managing weight using control cycle and peri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956A KR100506805B1 (ko) 2003-05-01 2003-05-01 관리 싸이클과 주기를 이용한 체중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4032A KR20040094032A (ko) 2004-11-09
KR100506805B1 true KR100506805B1 (ko) 2005-08-09

Family

ID=33411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7956A KR100506805B1 (ko) 2003-05-01 2003-05-01 관리 싸이클과 주기를 이용한 체중관리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506805B1 (ko)
WO (1) WO200409770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2613B1 (ko) * 2012-05-21 2014-06-2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만성 심질환의 임상의사결정지원 방법
JP6656789B2 (ja) * 2013-10-29 2020-03-0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及び方法
CN107106029A (zh) * 2014-12-18 2017-08-29 皇家飞利浦有限公司 用于向受检者提供健康建议的系统、设备、方法以及计算机程序
KR102187816B1 (ko) * 2018-08-20 2020-12-07 (주)쥬비스다이어트 인공지능형 건강 상담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방법 및 사용자 단말
KR102459903B1 (ko) * 2019-09-02 2022-11-03 전대연 스마트 다이어트 시스템
KR102521740B1 (ko) 2020-07-15 2023-04-19 주식회사 백번 개인별 맞춤형 체중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18778B1 (ko) * 2021-02-05 2022-07-07 윤태훈 체중 측정 습관 형성을 유도하는 체중 관리 방법
KR102467888B1 (ko) * 2022-08-02 2022-11-16 윤태훈 맞춤형 식단 생성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4032A (ko) 2004-11-09
WO2004097708A2 (en) 2004-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695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blood glucose levels including convenient display of blood glucose value average and constituent values
EP1972270B1 (en) Method and glucose monitoring system for monitoring individual metabolic response
US6978221B1 (en) Computerized dietetic scale
US20120221495A1 (en) Digital weight loss aid
US20140236025A1 (en) Personal Health Monitoring System
US20050113650A1 (en) System for monitoring and managing body weight and other physiological conditions including iterative and personalized planning, intervention and reporting capability
US20020099274A1 (en) Portable self-administered health care terminal and a self-administered health support system
CN101644599B (zh) 称重分析装置及方法
BR0111995B1 (pt) sistema para modificar o comportamento de um indivìduo.
RU2712395C1 (ru) Способ выдачи рекомендаций по поддержанию здорового образа жизни на основе параметров ежедневной деятельности пользовате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и отслеживаемых в реальном времени,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ая система (варианты)
Hajj-Boutros et al. Wrist-worn devices for the measurement of heart rate and energy expenditure: A validation study for the Apple Watch 6, Polar Vantage V and Fitbit Sense
Lee et al. Comparison of three models of actigraph accelerometers during free living and controlled laboratory conditions
WO2006066585A2 (en) Method and device for enhanced determination of patterns in data related to at least one physiological condition of a user
Moreno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family health behavior scale
KR100506805B1 (ko) 관리 싸이클과 주기를 이용한 체중관리방법
Tosi et al. Accuracy of applications to monitor food intake: Evaluation by comparison with 3-d food diary
Horner et al. Development of an accelerometer-based multivariate model to predict free-living energy expenditure in a large military cohort
US20220005580A1 (en) Method for providing recommendations for maintaining a healthy lifestyle basing on daily activity parameters of user, automatically tracked in real time, and corresponding system
US2008018342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obesity-related disease risk indicators of a human subject
Ferri Marini et al. Effect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aerobic training on the% Hrr-% V O2r relationship
Vahedi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ratings of perceived exertion (RPE) and relative strength for a fatiguing dynamic upper extremity task: A consideration of multiple cycles and conditions
Lucernoni et al. ActivPAL accuracy in determining metabolic rate during walking, running and cycling
JP2019120981A (ja) 情報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525773B1 (ko) 체중기반 건강관리방법 및 그 기록매체
Chairunnisa et al. The prototype of IOT-Based weight scale and calorie tracking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