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5773B1 - 체중기반 건강관리방법 및 그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체중기반 건강관리방법 및 그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5773B1
KR100525773B1 KR10-2003-0020052A KR20030020052A KR100525773B1 KR 100525773 B1 KR100525773 B1 KR 100525773B1 KR 20030020052 A KR20030020052 A KR 20030020052A KR 100525773 B1 KR100525773 B1 KR 100525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mount
exercise
me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0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5387A (ko
Inventor
박영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스
Priority to KR10-2003-0020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5773B1/ko
Publication of KR20040085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5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5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57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 G01G19/413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 G01G19/41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with provisions for indicating, recording, or computing price or other quantities dependent on the weight u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nic computing means using electronic computing means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별 특성을 고려하여 식사량이나 운동량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체중을 관리할 수 있는 체중기반 건강관리방법 및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각 개인별 체중과 운동량을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와,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체중증감 분기점 운동량을 산출하는 단계와, 산출된 체중증감 분기점 운동량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체중증가를 원하면, 체중증감 분기점 운동량보다 감소된 운동량을 제시하고, 현 체중유지를 원하면 체중증감 분기점 운동량을 유지하도록 제시하며, 체중감소를 원하면 체중증감 분기점 운동량보다 증가된 운동량을 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운동량을 기반으로 체중을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식사량에 대한 체중증감 분기점을 구하여 이를 기반으로 적절한 식사량을 제시하여 식사량을 기반으로 체중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일정기간동안 개인별로 식사량이나 운동량과 체중의 관계를 측정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한 후, 개인별 체중증감 분기점 식사량이나 체중증감 분기점 운동량을 구해 각 개인별로 체중을 관리할 수 있어 만병의 원인되는 비만등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체중기반 건강관리방법 및 그 기록매체{ Weight based Health care method and the media of being recorded the method}
본 발명은 컴퓨터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 및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인별 특성을 고려하여 식사량이나 운동량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체중을 관리할 수 있는 체중기반 건강관리방법 및 그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질문명이 발전하고 산업구조가 고도화되면서 인간의 생활환경과 각종 의료기술이 개선되어 평균수명이 늘어나게 되었고, 이에 따라 보다 풍요로운 삶을 위해 건강에 대한 관심도 더욱 증가하고 있다. 인간의 건강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체중, 혈압, 체온, 맥박, 심전도 등 다양한 신체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데, 이 중에서 체중이야말로 가장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정보이다. 특히, 경제가 발전하여 선진국화될수록 식생활 변화 등에 의해 비만과 같은 선진국형 질병이 문제가 되고 있고, 비만관리 즉, 다이어트와 관련된 산업이 기하급수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한편, 의학, 체육학 전문가는 물론 일반인들도 건강유지나 다이어트의 가장 중요한 핵심이 운동과 식사라는 것에는 이견이 없다. 따라서 대부분의 다이어트 상담에서는 매번 식사할 때마다 음식의 칼로리를 계산하여 음식의 종류와 식사량을 통제하도록 권고하고 있고, 운동에 있어서도 만보계 등을 착용하고 하루에 만보를 걷도록 권고하고 있다.
그런데 칼로리를 계산하여 음식을 섭취하는 방식의 다이어트는 칼로리 계산의 불편으로 인해 대부분 실패하고 있다. 즉, 칼로리를 이용한 체중관리에서는 섭취 칼로리와 배출 칼로리를 정확하게 계산하는 것이 중요한데, 섭취 칼로리의 경우 시간이 많이 걸리고 계산하기 복잡하므로 중도에 포기하게 되는 원인이 되고, 특히 섭취 칼로리는 대략적인 산출이 가능하나 소변, 대변, 휴식, 운동시 등과 같이 배출되는 칼로리의 계산은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만보계 등과 같이 운동을 계량하는 방식의 다이어트는 각 개인의 능력을 고려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운동량을 제시하지 못해 주먹 구구식으로 운영되어 대부분 실패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각 개인별로 체중과 식사량 혹은 운동량과의 관계를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개인별로 적합한 식사량과 운동량을 제시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건강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체중기반 건강관리 방법 및 그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법은, 각 개인별 체중과 운동량을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상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체중증감 분기점 운동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체중증감 분기점 운동량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체중증가를 원하면, 상기 체중증감 분기점 운동량보다 감소된 운동량을 제시하고, 현 체중유지를 원하면 상기 체중증감 분기점 운동량을 유지하도록 제시하며, 체중감소를 원하면 상기 체중증감 분기점 운동량보다 증가된 운동량을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건강관리방법은 각 개인별 체중과 식사량을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상기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체중증감 분기점 식사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체중증감 분기점 식사량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체중증가를 원하면, 상기 체중증감 분기점 식사량보다 증가된 식사량을 제시하고, 현 체중유지를 원하면 상기 체중증감 분기점 식사량을 유지하도록 제시하며, 체중감소를 원하면 상기 체중증감 분기점 식사량보다 감소된 식사량을 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체중관리시스템의 구성 예로서, 본 발명의 체중관리시스템은 디지털 체중계(110)와, 컴퓨터(120), 인터넷(130), 체중 관리 사이트(140)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지털 체중계(110)는 로드셀과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컴퓨터(120)와 RS232C, USB방식 혹은 무선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함과 아울러 측정값을 컴퓨터(120)로 전달한다. 컴퓨터(120)는 체중관리를 위한 전용 소프트웨어를 탑재하여 디지털 체중계(110)로부터 전달된 체중값을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함과 아울러 사용자별로 건강관련정보를 누적적으로 관리한다. 그리고 인터넷(130)을 통해 체중관리 사이트(140)에 접속되어 사용자의 신체정보 및 체중데이터를 서비스 사이트(140)로 전송하고, 어디에서나 인터넷(130)에 접속해서 자기의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체중을 기반으로 하는 건강관리방법은 개인용 컴퓨터(120)상에 응용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어 서비스될 수도 있고, 체중 관리 사이트(140)에 구현되어 네트웍을 통해 다수의 사용자들에게 서비스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체중계내에 컴퓨터 기능이 포함된 단독형의 경우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관리방법이 구현된 소프트웨어의 주요 기능들은 다음 표 1a 및 1b와 같다.
대항목 사용자등록 체중측정모드 측정 데이터확인 건강정보관리
세부항목 .사용자등록하기.사용자추가등록.입력정보수정.사용자삭제 .손님모드.특별손님모드.일반사용모드.사용자자동선택모드.단독사용자선택모드.옷입고재기모드아기체중재기모드 .체중출력창.메시지창.그래프보기.데이터보기.종합측정결과.레벨정보.분석정보 .운동정보관리.식사정보관리.신체사이즈정보관리.혈압/맥박정보관리
대항목 데이터관리
중항목 웹서버전송 백업
세부항목 .웹사이트로 전송.웹사이트로그인 .플로피.하드.FTP서버 .전체인원 데이터.개인별 데이터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를 수행하는 전용 소프트웨어는 상기 표 1a 및 1b에서와 같이 사용자등록, 체중측정, 측정 데이터확인, 건강정보관리로 구별되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사용자등록은 사용자등록, 추가, 수정, 삭제를 위한 기능을 제공하고, 체중측정은 다양한 방식의 체중측정모드를 제공한다. 예컨대, 손님모드에서는 사용자 등록없이 단순히 체중을 측정할 수 있게 하고, 일반 사용자모드는 사용자 등록 후 체중을 측정하는 모드로서 측정값은 해당 개인 데이터베이스(DB)에 저장관리된다. 사용자 자동 선택모드는 체중을 측정할 때, 매번 본인의 사용자명을 선택하지 않더라도 체중값이 비슷한 등록자는 자동으로 찾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것이며, 단독사용자모드는 주로 혼자서 사용하는 고객의 편의를 위해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설정된 등록자명이 자동으로 표시되어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측정데이터 확인모드에서는 체중출력창을 통해 현재 측정중인 체중값과 체질량지수(BMI), 체지방율이 동시에 산출되어 표시되고, 그래프 보기에서 사용자의 이전기록(체중, 체질량지수, 비만도, 복부비만도, 체지방율 등등)을 그래프로 보여준다.
건강정보관리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정보관리 및 식사정보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운동정보관리를 위해서는 1일 1회 취침전에 만보계의 수치를 입력하면 되고, 식사정보관리를 위해서는 식사량을 입력할 필요가 있는데, 구체적인 입력방법은 다양한 방식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건강관리방법은 운동량을 기반으로 하는 경우(제1 실시예)와, 식사량을 기반으로 하는 경우(제2 실시예)로 크게 구분해 볼 수 있다.
제1 실시예: 운동량 기반 체중관리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운동량을 기준으로 체중을 관리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운동량은 의식적인 운동에 따른 운동량뿐만 아니라 하루중의 활동량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라 운동량을 기준으로 체중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어느정도 기간의 운동량과 체중을 측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운동량은 런닝머신, 헬스사이클 등 각종 운동 종목별로 운동시간이나 운동거리 등을 측정하므로써 다양한 방식으로 계량화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만보계를 이용하여 하루의 운동량을 계량한다. 그리고 체중측정은 하루중에도 여러번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적어도 아침 기상시와 저녁 취침전에는 측정하도록 한다. 특히, 하루에 다수 회 측정할 경우에 모든 데이터를 저장하여 관리하면 대용량의 메모리가 요구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하루의 측정 데이터중에서 대표값을 선정하여 저장한다. 측정된 일일체중의 대표값으로는 일일 최고체중과 일일 최저체중, 일일 평균체중 등 다양한 값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일일 최저체중과 일일 최고체중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만보계를 착용한 사용자가 체중계를 이용하여 체중을 측정한 후 만보계의 횟수와 체중을 입력한다(201). 만보계는 아침부터 잠자기까지 착용해야 하고, 운동시에도 착용하여 정확한 운동량(활동량)을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기록은 일정기간동안 계속되어 개인별 데이터베이스로 관리되고, 일정 기간이 지나 체중의 변화를 날짜별로 정리하면 도 4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표시될 수 있다(202).
일정기간이 지난 후 기록된 정보들을 분석하여 '체중증감 분기점 운동량'을 산출한다(203). '체중증감 분기점 운동량'이란 각 개인의 체력특성을 고려하여 정해지는 값으로서 일정기간 체중이 균일하게 유지되는 기간에서의 운동량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체중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구간의 만보계 평균치로 구한다. 이와 같은 체중증감 분기점 운동량은 기준값으로부터 일정한 범위를 주어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체중증감 분기점 운동량이 산출되면, 산출된 적정 운동량(활동량)을 전후로 가감한 적정 운동량(활동량) 구간을 산정한다.
이와 같이 해당 개인에 대한 체중증감 분기점 운동량이 산출된 후, 해당 개인은 체중을 증가시키고자 하면 체중증감 분기점 운동량보다 하루의 운동량을 줄이고, 현재 체중을 유지하고자 하면 체중증감 분기점 운동량을 유지하며, 체중을 감소시키고자 하면 체중증감 분기점 운동량보다 운동량을 증가시킨다(204~209).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일정기간 체중과 운동량을 측정한 후 각 개인별 체중증감 분기점 운동량을 구하고, 이를 기준으로 필요에 따라 개인별로 운동량을 증감함으로써 원하는 체중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체중증감 분기점 운동량을 산출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통상, 운동량을 기본으로 하여 체중을 관리하는 경우 날짜별로 체중과 운동량을 측정하여 그날의 체중과 운동량을 입력한다. 이와 같이 입력된 날짜별 체중과 운동량의 자료(이하 '체중-운동량 데이터베이스(DB)'라한다)를 통계처리하여 체중증감 분기점 운동량을 산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체중-운동량 DB에 기록을 시작한 첫날을 '시작일'이라 하고, 최종 입력일을 '현재일'이라 정의한다. 그리고 동일한 날짜에 체중을 여러번 측정하여 체중값이 다수일 경우에는 대표값을 구해 그날의 체중으로 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일일 최저체중을 대표값으로 사용한다. 또한 분기점 운동량 산출의 기준이 되는 날짜를 '기준일'이라 하고, 분기점 운동량 산출의 기준이 되는 체중을 '기준체중'이라 한다.
본 발명에 따라 분기점 운동량을 산출하는 기본개념은 해당 개인의 체중-운동량 DB에서 현재일의 최저체중과 같은 최저체중의 날짜들을 찾아 두 날짜의 차가 유효한계기간 이상일 경우에 두 날짜 사이의 평균 운동량을 구하는 것이다. 만일, 현재일의 최저체중과 같은 최저체중의 날짜가 없을 경우에는 이차로 현재일을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이전일로 이동하면서 최저체중이 같은 날짜들을 찾고, 만일 시작일이 되어도 같은 최저체중의 날짜를 찾지 못하면, 삼차로 현재일의 최저체중을 기준체중으로 하여 일정범위까지의 인정기준체중(범위에 의해 적용 순위가 정해져 있다)을 기준으로 서로 체중이 같은 날짜를 찾는다.
도 3을 참조하면, 시작일부터 현재일까지의 체중-운동량 DB를 읽어 온다(301).
현재일을 기준일로 하고, 기준일의 최저체중을 기준체중으로 하여 상기 체중-운동량 DB를 검색하여 기준체중이 같은 날짜들을 모두 찾는다(302~303). 검색결과 같은 날짜가 없으면, 기준일이 시작일인지를 판단하여 시작일이 아니면 기준일의 이전일을 새로운 기준일로 정한다(305,309,310).
이어 새로운 기준일의 최저체중을 기준체중으로 하여 상기 체중-운동량 DB를 검색하여 기준체중이 같은 날짜들을 모두 찾는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기준일이 시작일이 되도록 체중이 같은 날짜가 없으면, 현재일의 최저체중을 기준으로 하여 차순위 인정기준체중을 구한 후 이를 새로운 기준체중으로 한다(311).
여기서, 인정기준체중은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음 표 2와 같다.
적용순서 인정 기준체중 범위(현재일의 최저체중 대비) 기준체중이 100Kg일 경우의 예
1 ± 1/1000 99.9Kg~100.1Kg
2 ± 3/1000 99.7Kg~100.3Kg
3 ± 5/1000 99.5Kg~100.5Kg
4 ± 10/1000 99Kg~101Kg
5 ± 20/1000 98Kg~102Kg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제1 순위 인정기준체중은 현재일의 최저체중을 중심으로 ±1/1000 범위의 체중을 동일체중으로 보는 것으로, 예컨대 현재일의 최저체중이 100Kg인 사람이 있을 경우에 그 사람의 제1 순위 인정기준체중의 범위는 99.9Kg∼100.1Kg이다.
제1 순위 인정기준체중을 새로운 기준체중으로 하여 상기 검색과정을 반복하는데, 만일 제1 순위 인정기준체중으로도 구할 수가 없으면 현재일의 최저체중을 중심으로 ±3/1000 범위의 체중을 제2 순위 인정기준체중으로 하여 상기 검색과정을 반복한다(312~314). 현재일의 최저체중이 100Kg일 경우에 그 사람의 제2 순위 인정기준체중의 범위는 99.7Kg∼100.3Kg이다.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제5 순위 인정기준체중에서도 체중증감 분기점이 구해지지 않으면, 현재의 체중-운동량 데이터베이스로는 산출이 불가능하므로 에러처리하여 일정기간 체중-운동량 데이터를 추가로 입력하여 다시 산출하도록 한다(315).
한편, 단계 305에서 기준체중이 같은 날짜가 있고, 그 날짜의 수가 다수이면, 기준일로부터 가장 먼 날짜를 선택한다(306). 기준체중이 같은 날짜가 기준일 외 하나뿐이면 그 두 날짜의 차이(기간)을 구하고, 다수일 경우에는 단계 306에서 구한 두 날짜(기준일과 기준일로부터 가장 먼 날짜)의 차이(기간)를 산출하여 그 산출기간이 유효한계기간보다 긴 지를 판단한다(307,308). 여기서, 유효한계기간은 산출값에 대한 신뢰성을 인정할 수 있는 최소기간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1~2주로 한다.
단계 308에서 판단결과, 산출기간이 유효한계기간보다 짧으면, 상기 309 단계로 돌아가 체중이 같은 날짜를 찾는 과정을 반복한다.
단계 308에서 판단결과, 산출기간이 유효한계기간보다 길거나 같으면 산출기간동안의 평균 운동량을 구해 그 값을 체중증감 분기점 운동량으로 한다(316).
체중증감 분기점 운동량이 정해지면, 다음 표 3과 같이 산출기간에 따른 신뢰도(변화지수)를 고려하여 다음 수학식 1과 같이 체중증감 분기점의 범위를 설정한다(317). 즉, 사람의 체중 변화는 다양한 변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약간의 범위를 두는 편이 보다 합리적이다.
산출기간인정체중 2주 4주 8주 12주 24주
1/1000(현재일의 최저체중포함) 5 5 3 3 3
3/1000 7 7 5 5 5
5/1000 9 9 7 7 7
10/1000 11 11 9 9 9
20/1000 13 13 11 11 11
상기 표 3은 기준체중이 같은 두 날짜의 간격(단계 307에서 구한 산출기간)과 인정체중에 따른 변화지수를 나타낸 표로서, 단위는 "%"이다. 체중증감 분기점 산출시 현재일의 최저체중이나 제1 순위 인정기준체중에 의해 산출하고 산출기간이 2주 이상 4주 이내인 경우에는 산출된 체중증감 분기점 운동량의 5%(변화지수)를 유효한계 범위로 인정하여 상기 수학식1에 따라 "체중증감 분기점 운동량 ± 체중증감 분기점 운동량×5%"로 구하고, 산출기간이 24주 이상이면 "체중증감 분기점 운동량 ± 체중증감 분기점 운동량×3%"로 구한다. 상기 표 3을 참조하면, 인정체중의 순위가 낮아짐에 따라, 산출기간이 짧아짐에 따라 변화지수가 커지는 것(즉, 운동량의 범위가 넓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운동량을 기준으로 체중을 관리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그래프의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종축은 체중을 나타내고 횡축은 날짜를 나타내며, 그래프는 개인의 일자별 최저체중의 체중변화를 나타낸다.
도시된 그래프에서 참조번호 401은 기준체중기간이고, 402는 기준체중이며, 403은 차선 기준체중기간, 404는 차선 기준체중(기준체중기간이 유효한계 범위 미만일 경우의 인정기준체중), 405는 기준체중과 차선기준체중과의 차이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량과 체중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의 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종축은 체중을 나타내고 횡축은 운동량을 나타내며, 도시된 그래프에 따르면 분기점 운동량을 기준으로 운동량을 증가하면 체중이 감소하고, 운동량을 감소하면 체중이 증가되는 관계인 것을 알 수 있다.
제2 실시예: 식사량 기반 체중관리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식사량을 기준으로 체중을 관리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라 식사량을 기준으로 체중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기간의 식사량과 체중을 측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식사량은 식사전의 체중과 식사후의 체중의 차이로 쉽게 구할 수 있는데, 정확한 식사량을 입력하기 위해 매 식사시의 정보를 모두 입력해야 한다. 이때 체중측정은 하루중에도 여러번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적어도 아침 기상시와 저녁 취침전에는 측정하도록 한다. 식사량정보와 체중의 입력은 저녁에 한번할 수도 있다. 그리고 측정된 일일체중의 대표값으로는 일일 최고체중과 일일 최저체중, 일일 평균체중 등 다양한 값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일일 최저체중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6을 참조하면, 매 식사시 마다 식사전과 식사후에 체중계를 이용하여 체중을 측정한다(601). 식사량은 식사전과 식사후의 체중의 차이로 구해지며, 이와 같은 기록은 일정기간동안 계속되어 데이터베이스로 관리되고, 일정 기간이 지나면 도 4에 도시된 그래프와 같이 일자별 체중의 변화로 표시될 수 있다(602).
일정기간이 지난 후 기록된 정보들을 분석하여 '체중증감 분기점 식사량'을 산출한다(603). 체중증감 분기점 식사량이란 각 개인의 체력특성을 고려하여 정해지는 값으로서 일정기간 체중이 균일하게 유지되는 기간에서의 평균 식사량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체중증감 분기점 식사량은 기준값으로부터 일정한 범위를 주어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체중증감 분기점 식사량이 산출되면, 산출된 적정 식사량을 전,후로 가감한 적정 식사량 구간을 산정한다.
이와 같이 해당 개인에 대한 체중증감 분기점 식사량이 산출된 후, 해당 개인은 체중을 증가시키고자 하면 적정 식사량보다 식사량을 늘리고, 현재 체중을 유지하고자 하면 적정 식사량을 유지하며, 체중을 감소시키고자 하면 식사량을 적정 식사량보다 감소시킨다(604~608).
이와 같이 일정기간 체중과 식사량을 측정한 후 체중증감 분기점 식사량을 구하고, 필요에 따라 식사량을 증감함으로써 원하는 체중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체중증감 분기점 식사량을 산출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통상, 식사량을 기본으로 하여 체중을 관리하는 경우 날짜별로 체중과 식사량을 측정하여 그날의 체중과 삭사량을 입력한다. 이와 같이 입력된 날짜별 체중과 식사량의 자료(이하 '체중-식사량 데이터베이스(DB)'라한다)를 통계처리하여 체중증감 분기점 식사량을 산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체중-식사량 DB에 기록을 시작한 첫날을 '시작일'이라 하고, 최종 입력일을 '현재일'이라 정의한다. 그리고 동일한 날짜에 체중을 여러번 측정하여 체중값이 다수일 경우에는 대표값을 구해 그날의 체중으로 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일일 최저체중을 대표값으로 사용한다. 또한 분기점 식사량 산출의 기준이 되는 날짜를 '기준일'이라 하고, 분기점 식사량 산출의 기준이 되는 체중을 '기준체중'이라 한다.
본 발명에 따라 분기점 식사량을 산출하는 기본개념은 해당 개인의 체중-식사량 DB에서 현재일의 최저체중과 같은 최저체중의 날짜들을 찾아 두 날짜의 차가 유효한계기간 이상일 경우에 두 날짜 사이의 평균 식사량을 구하는 것이다. 만일, 현재일의 최저체중과 같은 최저체중의 날짜가 없을 경우에는 이차로 현재일을 기준으로 순차적으로 이전일로 이동하면서 최저체중이 같은 날짜들을 찾고, 만일 시작일이 되어도 같은 최저체중의 날짜를 찾지 못하면, 삼차로 현재일의 최저체중을 기준체중으로 하여 일정범위까지의 인정기준체중(범위에 의해 적용 순위가 정해져 있다)을 기준으로 서로 체중이 같은 날짜를 찾는다.
도 7을 참조하면, 시작일부터 현재일까지의 체중-식사량 DB를 읽어 온다(701).
현재일을 기준일로 하고, 기준일의 최저체중을 기준체중으로 하여 상기 체중-식사량 DB를 검색하여 기준체중이 같은 날짜들을 모두 찾는다(702~703). 검색결과 같은 날짜가 없으면, 기준일이 시작일인지를 판단하여 시작일이 아니면 기준일의 이전일을 새로운 기준일로 정한다(705,709,710).
이어 새로운 기준일의 최저체중을 기준체중으로 하여 상기 체중-식사량 DB를 검색하여 기준체중이 같은 날짜들을 모두 찾는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기준일이 시작일이 되도록 체중이 같은 날짜가 없으면, 현재일의 최저체중을 기준으로 하여 차순위 인정기준체중을 구한 후 이를 새로운 기준체중으로 한다(711).
여기서, 인정기준체중은 다양한 방식으로 정의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잎서 설명한 표 2와 같다.
제1 순위 인정기준체중은 현재일의 최저체중을 중심으로 ±1/1000 범위의 체중을 동일체중으로 보는 것으로, 예컨대 현재일의 최저체중이 100Kg인 사람이 있을 경우에 그 사람의 제1 순위 인정기준체중의 범위는 99.9Kg∼100.1Kg이다.
제1 순위 인정기준체중을 새로운 기준체중으로 하여 상기 검색과정을 반복하는데, 만일 제1 순위 인정기준체중으로도 구할 수가 없으면 현재일의 최저체중을 중심으로 ±3/1000 범위의 체중을 제2 순위 인정기준체중으로 하여 상기 검색과정을 반복한다(712~714). 현재일의 최저체중이 100Kg일 경우에 그 사람의 제2 순위 인정기준체중의 범위는 99.7Kg∼100.3Kg이다.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제5 순위 인정기준체중에서도 체중증감 분기점이 구해지지 않으면, 현재의 체중-식사량 데이터베이스로는 산출이 불가능하므로 에러처리하여 일정기간 체중-식사량 데이터를 추가로 입력하여 다시 산출하도록 한다(715).
한편, 단계 305에서 기준체중이 같은 날짜가 있고, 그 날짜의 수가 다수이면, 기준일로부터 가장 먼 날짜를 선택한다(706). 기준체중이 같은 날짜가 기준일 외 하나뿐이면 그 두 날짜의 차이(기간)을 구하고, 다수일 경우에는 단계 706에서 구한 두 날짜(기준일과 기준일로부터 가장 먼 날짜)의 차이(기간)를 산출하여 그 산출기간이 유효한계기간보다 긴 지를 판단한다(707,708). 여기서, 유효한계기간은 산출값에 대한 신뢰성을 인정할 수 있는 최소기간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1~2주로 한다.
단계 708에서 판단결과, 산출기간이 유효한계기간보다 짧으면, 상기 709 단계로 돌아가 체중이 같은 날짜를 찾는 과정을 반복한다.
단계 708에서 판단결과, 산출기간이 유효한계기간보다 길거나 같으면 산출기간동안의 평균 식사량을 구해 그 값을 체중증감 분기점 식사량으로 한다(716).
체중증감 분기점 식사량이 정해지면, 앞서 설명한 표 3과 같이 산출기간에 따른 신뢰도(변화지수)를 고려하여 다음 수학식 2와 같이 체중증감 분기점의 범위를 설정한다(717).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식사량과 체중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의 예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종축은 체중을 나타내고 횡축은 식사량을 나타내며, 도시된 그래프에 따르면 분기점 식사량을 기준으로 식사량을 증가하면 체중이 증가하고, 식사량을 감소하면 체중이 감소되는 관계(즉, 비례관계)인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이 컴퓨터나 웹서버로 구현되는 것과, 단독형 디지털 체중계에 채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전자계산기와 같이 연산기능이 있는 휴대용 기기에도 적용되어 사용자가 입력한 체중-운동량 DB나 체중-식사량 DB로부터 체중증감 분기점 운동량 혹은 체중증감 분기점 식사량을 구해 건강관리정보로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일정기간동안 개인별로 식사량이나 운동량과 체중의 관계를 측정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한 후, 개인별 체중증감 분기점 식사량이나 체중증감 분기점 운동량을 구해 각 개인별로 체중을 관리할 수 있어 만병의 원인되는 비만등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가상의 표준정보를 이용한 권장치 산출방식보다 실제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운동량 측정장치의 측정치를 이용하므로 운동량 측정시 발생되는 측정오차를 상쇄할 수 있다. 즉, 운동량측정을 위해 만보계를 사용할 경우 만보계마다 감도차이가 있어 획일적으로 목표량을 권장할 경우 사용 만보계에 따라 개인별로 실제 운동량에 있어서는 차이가 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해당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만보계로 측정한 운동량을 기준으로 정보를 제공하므로 보다 정확한 실제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인터넷 웹 사이트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고, 체중계가 연결된 PC를 통해서도 구현될 수 있으며, 마이컴이 내장되어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단독형 기기의 경우와 휴대용 기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체중관리시스템의 구성 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운동량을 기준으로 체중을 관리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체중증감 분기점 운동량을 산출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체중증감 분기점을 산출하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체중변화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동량과 체중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의 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식사량을 기준으로 체중을 관리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체중증감 분기점 식사량을 산출하는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식사량과 체중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의 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체중계 120: 컴퓨터
130: 인터넷 140: 체중관리 사이트

Claims (9)

  1. 체중계에 연결된 컴퓨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하고 측정된 체중을 기반으로 건강을 관리하기 위한 건강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체중증가, 체중감소, 체중유지 등 관리목적 항목을 선택하면, 상기 컴퓨터가 선택된 관리목적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체중계로 체중을 측정하면, 상기 컴퓨터가 상기 체중계로부터 측정된 체중값을 입력받아 사용자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운동량 데이터를 입력하면, 상기 컴퓨터가 상기 운동량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소정 기간이 지나면, 상기 컴퓨터가 상기 사용자별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체중이 균일하게 유지되는 기간의 운동량의 평균값을 체중증감 분기점 운동량으로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터가 상기 설정된 관리목적에 따라 상기 산출된 체중증감 분기점 운동량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체중증가를 원하면 상기 체중증감 분기점 운동량보다 감소된 운동량을 표시하고, 현 체중유지를 원하면 상기 체중증감 분기점 운동량을 유지하도록 표시하며, 체중감소를 원하면 상기 체중증감 분기점 운동량보다 증가된 운동량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체중증감 분기점 운동량 산출단계는
    현재일의 최저체중을 기준체중으로 하여 체중이 동일한 날짜들을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날짜들에서 최근일로부터 가장 먼 날짜를 선택하여 양 날짜 사이의 기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기간을 소정의 유효한계기간과 비교하여 산출된 기간이 유효한계기간 이상이면, 그 기간 사이의 평균 운동량을 체중증감 분기점 운동량으로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기반 건강관리방법.
  2. 체중계에 연결된 컴퓨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체중을 측정하고 측정된 체중을 기반으로 건강을 관리하기 위한 건강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체중증가, 체중감소, 체중유지 등 관리목적 항목을 선택하면, 상기 컴퓨터가 선택된 관리목적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체중계로 체중을 측정하면, 상기 컴퓨터가 상기 체중계로부터 측정된 체중값을 입력받아 사용자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식사량 데이터를 입력하면, 상기 컴퓨터가 상기 식사량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소정 기간이 지나면, 상기 컴퓨터가 상기 사용자별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의 체중이 균일하게 유지되는 기간의 식사량의 평균값을 체중증감 분기점 식사량으로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터가 상기 관리목적에 따라 상기 산출된 체중증감 분기점 식사량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체중증가를 원하면 상기 체중증감 분기점 식사량보다 증가된 식사량을 표시하고, 현 체중유지를 원하면 상기 체중증감 분기점 식사량을 유지하도록 표시하며, 체중감소를 원하면 상기 체중증감 분기점 식사량보다 감소된 식사량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체중증감 분기점 식사량 산출단계는
    현재일의 최저체중을 기준체중으로 하여 체중이 동일한 날짜들을 검색하는 단계;
    검색된 날짜들에서 최근일로부터 가장 먼 날짜를 선택하여 양 날짜 사이의 기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기간을 소정의 유효한계기간과 비교하여 산출된 기간이 유효한계기간 이상이면, 그 기간 사이의 평균 식사량을 체중증감 분기점 식사량으로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기반 건강관리방법.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중증감 분기점 산출단계는
    현재일의 최저체중과 체중이 동일한 날짜가 없을 경우나 상기 산출기간이 유효한계기간 미만인 경우에는
    현재일의 이전일로부터 역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진행하면서 해당일의 최저체중을 기준체중으로 하여 상기 과정을 시작일까지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기반 건강관리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중증감 분기점 산출단계는
    현재일의 최저체중과 체중이 동일한 날짜가 없을 경우나 상기 산출기간이 유효한계기간 미만인 경우에는
    현재일의 최저체중을 기준으로 하여 소정 범위의 차순위 인정기준체중을 새로운 기준체중으로 하여 상기 과정을 마지막 순위 인정기준체중까지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기반 건강관리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정기준체중은 현재일의 최저체중 대비 ±1/1000, ±3/1000, ±5/1000, ±10/1000, ±20/1000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기반 건강관리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중증감 분기점 산출단계는
    상기 산출된 체중증감 분기점을 기준으로 소정의 변화지수만큼 범위를 갖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기반 건강관리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변화지수는
    인정기준체중의 순위가 낮아지고 산출기간이 짧을수록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중기반 건강관리방법.
  9. 삭제
KR10-2003-0020052A 2003-03-31 2003-03-31 체중기반 건강관리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0525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0052A KR100525773B1 (ko) 2003-03-31 2003-03-31 체중기반 건강관리방법 및 그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0052A KR100525773B1 (ko) 2003-03-31 2003-03-31 체중기반 건강관리방법 및 그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5387A KR20040085387A (ko) 2004-10-08
KR100525773B1 true KR100525773B1 (ko) 2005-11-04

Family

ID=37368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0052A KR100525773B1 (ko) 2003-03-31 2003-03-31 체중기반 건강관리방법 및 그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57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1873A (ko) 2014-06-09 2015-12-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맞춤형 식사량 또는 활동량 관리장치 및 방법
JP2018181154A (ja) * 2017-04-19 2018-11-15 Nttテクノクロス株式会社 食事内容提案装置、食事内容提案システム及び食事内容提案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305B1 (ko) * 2005-03-24 2007-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체중 관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체중 관리 방법
KR101409090B1 (ko) * 2012-07-10 2014-06-17 (주)도넛시스템엘에스아이 체형 판정 및 관리 장치 그리고 이의 방법
CN112565510B (zh) * 2020-12-02 2021-08-31 山东协和学院 身体锻炼智能控制方法及相关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1873A (ko) 2014-06-09 2015-12-2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맞춤형 식사량 또는 활동량 관리장치 및 방법
JP2018181154A (ja) * 2017-04-19 2018-11-15 Nttテクノクロス株式会社 食事内容提案装置、食事内容提案システム及び食事内容提案方法
JP7007101B2 (ja) 2017-04-19 2022-01-24 Nttテクノクロス株式会社 食事内容提案装置、食事内容提案システム及び食事内容提案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5387A (ko) 2004-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ntoye et al. Development of cut-points for determining activity intensity from a wrist-worn ActiGraph accelerometer in free-living adults
KR101632308B1 (ko) 혈당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CN103329135B (zh) 自动健康数据获取、处理和通信系统
J⊘ rgensen et al. Position statement: testing physical condition in a population–how good are the methods?
US20140156308A1 (en) Automated Health Data Acquisition, Processing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060015016A1 (en) Caloric balance weight control system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KR101723382B1 (ko) 지속 가능한 헬스케어를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500673B1 (ko) 이동 통신 기기를 이용하는 건강 관리 시스템, 이동 통신 기기 및 건강 관리 방법
US20110184754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health care management
US20160171180A1 (en) Incentivized wellness behavior modification
RU2712395C1 (ru) Способ выдачи рекомендаций по поддержанию здорового образа жизни на основе параметров ежедневной деятельности пользователя, автоматически отслеживаемых в реальном времени,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ая система (варианты)
CN102084368A (zh) 心脏年龄评估
US10629293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health determination service based on user knowledge and activity
JP2022084848A (ja) ユーザの知識および活動に基づいて健康判定サービスを提供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90065684A1 (en) Computer program products, methods, and systems for assisting a user to achieve a health-related goal
KR102169661B1 (ko) 질병 유전자 역추적을 통한 음식 추천 및 음식 제작 연계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170060557A (ko) 건강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미래 건강 예측 방법
JP2014174954A (ja) 行動支援システム、当該システムの端末装置、およびサーバー
KR100525773B1 (ko) 체중기반 건강관리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0506805B1 (ko) 관리 싸이클과 주기를 이용한 체중관리방법
WO2004012128A1 (ja) 分子時刻表作成装置及び体内時計推定装置
WO2022091551A1 (ja) 健康インセンティブ・サポート・システム
KR20020013999A (ko) 맞춤 다이어트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그 프로그램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CN113871014A (zh) 一种自主健康的辅助方法和装置
KR101917367B1 (ko) 헬스테인먼트 운영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