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2687B1 - 휴대단말기 연동형 다이어트 가이드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연동형 다이어트 가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2687B1
KR101572687B1 KR1020140180221A KR20140180221A KR101572687B1 KR 101572687 B1 KR101572687 B1 KR 101572687B1 KR 1020140180221 A KR1020140180221 A KR 1020140180221A KR 20140180221 A KR20140180221 A KR 20140180221A KR 101572687 B1 KR101572687 B1 KR 101572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amount
exercise
diet
fat percen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0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니스헬스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니스헬스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니스헬스케어
Priority to KR1020140180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26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2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2687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연동형 다이어트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대상자의 현재 체중 및 체지방율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상자가 수행하여야 할 운동량 및 섭취하여야 하는 식사량에 관련된 권장섭취량 정보를 제공하는 다이어트프로그램(100)이 내장된 휴대단말기(10)를 포함한다. 이때 다이어트프로그램(100)은, 대상자의 현재 체중 및 체지방율 데이터, 성별 및 키에 관련된 데이터가 입력되는 대상자데이터입력부(110)와; 수행하고자 하는 다이어트일수 및 운동강도를 선택하는 운동프로그램선택부(120)와; 선택한 다이어트일수 및 운동강도에 대응하여 도달하고자 하는 목표체지방율을 계산하는 목표체지방율계산부(130)와; 선택한 다이어트일수 및 운동강도에 대응하여 도달하고자 하는 목표체중을 계산하는 목표체중계산부(140)와; 목표체지방율 및 목표체중에 도달하기 위하여 선택한 다이어트일수 동안에 대상자가 수행해야할 총운동량을 의미하는 목표운동량 및 그 목표운동량을 다이어트일수로 나누어 일일동안 수행해야할 일일목표운동량을 계산하는 목표운동량계산부(150)와; 대상자의 BMI(신체질량지수)를 기반으로 하여 섭취하여야 할 음식의 권장섭취량을 계산하는 권장섭취량계산부(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 연동형 다이어트 가이드장치{Diet management Apparatus using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연동형 다이어트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와 같은 휴대단말기를 통하여 목표한 체중 및 체지방율에 도달하기 위한 운동량 및 권장섭취량 정보를 가이드받을 수 있는 휴대단말기 연동형 다이어트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과 비만에 대한 염려가 증가하면서 다이어트를 위한 다양한 운동방법 및 식단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운동방법 및 식단은 주로 헬스클럽에서 체중 및 체지방을 측정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운동에는 많은 노력 및 시간이 요구되기 때문에, 다이어트 계획을 세우더라도 금방 포기하는 일이 빈번하였다. 특히 헬스클럽에서 제공된 운동방법 및 식단을 따르기 위하여 자신의 의지가 반드시 필요한데, 운동 및 식단조절에 따른 다이어트 상태의 변화를 알 수 없어 여러 이유를 들어 다이어트를 포기하는 일이 빈번한 것이다.
이에 따라, 빠른 다이어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비만 수술, 약품 복용, 단식 등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방법은 건강에 무리를 가져오고 요요현상에 의해 다시 비만의 상태로 돌아가게 되는 경우가 많아 효과적인 방법이 아님이 널리 알려져 있다.
따라서 다이어트를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다이어트 진행상황 및 목표한 다이어트를 위하여 수행하여야 할 운동량이나 음식의 섭취량등에 관련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술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이 공개번호 10-2006-0054814호에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체중관리장치 및 그 방법이란 명칭으로 개시된 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와 같은 휴대단말기를 통하여 목표한 체중 및 체지방율에 도달하기 위한 적절한 운동량 및 권장섭취량 정보를 가이드받을 수 있는 휴대단말기 연동형 다이어트 가이드장치를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연동형 다이어트 가이드장치는,
대상자의 현재 체중 및 체지방율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상자가 수행하여야 할 운동량 및 섭취하여야 하는 음식량에 관련된 권장섭취량 정보를 제공하는 다이어트프로그램(100)이 내장된 휴대단말기(10)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다이어트프로그램(100)은, 상기 대상자의 현재 체중 및 체지방율 데이터, 성별 및 키에 관련된 데이터가 입력되는 대상자데이터입력부(110); 수행하고자 하는 다이어트일수 및 운동강도를 선택하는 운동프로그램선택부(120); 상기 선택한 운동강도, 현재 체중 및 체지방율을 반영하여 상기 선택한 다이어트일수동안 도달하여야 목표체지방율을 계산하 는 목표체지방율계산부(130); 상기 목표체지방율에 상기 선택한 다이어트일수 및 운동강도, 상기 현재 체중 및 현재 체지방율을 반영하여 도달 가능한 목표체중을 계산하는 목표체중계산부(140); 상기 목표체지방율 및 목표체중에 도달하기 위하여 선택한 다이어트일수 동안에 상기 대상자가 수행해야할 총운동량을 의미하는 목표운동량 및 그 목표운동량을 다이어트일수로 나누어 일일동안 수행해야할 일일목표운동량을 계산하는 목표운동량계산부(150); 상기 대상자의 BMI(신체질량지수)를 기반으로 하여 섭취하여야 할 음식의 권장섭취량을 계산하는 권장섭취량계산부(160); 상기 대상자가 수행한 당일운동량이 입력되는 당일운동량입력부(170); 상기 대상자가 섭취한 음식의 당일섭취량이 입력되는 당일섭취량입력부(180); 및 전날 일일목표운동량에 상기 대상자가 수행한 당일운동량을 반영하고, 전날 권장섭취량에 상기 대상자가 섭취한 음식의 당일섭취량을 반영하여 앞으로 수행하여야 할 조정목표운동량을 계산하여, 상기 대상자가 수행하여야 할 조정목표운동량 및 그 조정목표운동량을 남은 다이어트일수로 나눈 일일조정목표운동량을 계산하는 조정목표운동량계산부(190);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체중은, 현재체중 - (현재 체중 × 현재 체지방율)/(1-목표체지방율)의 공식에 의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대상자의 현재 체중 및 현재 체지방율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현재 체중 및 체지방율 데이터를 휴대단말기(10)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전송부(21)가 내장된 디지털체중계(2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목표운동량 및 그 목표운동량을 다이어트일수로 나누어 일일동안 수행하여야 할 일일목표운동량, 일일동안에 섭취하여야 할 음식의 권장섭취량, 상기 조정목표운동량 및 그 조정목표운동량을 남은 다이어트일수로 나눈 일일 조정목표운동량에 관련된 가이드정보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전부 또는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가이드정보제공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목표운동량은, (현재체중 - 목표체중) × 7700 Kcal 의 공식에 의하여 계산된다.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권장섭취량은, (a) 상기 BMI 가 25 이상인 경우, [조정체중(Kg) × 32.5(Kcal/Kg)] - 500 Kcal 에 의하여 계산되되, 상기 조정체중은 상기 목표체중 + (현재체중-목표체중)/4 이고; (b) BMI 가 23~24.9 인 경우, [현재체중(Kg) × 32.5(Kcal/Kg)] - 500 Kcal 이며; (c) BMI 가 22.9 미만인 경우, [목표체중(Kg) × 32.5(Kcal/Kg)]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기를 통하여 대상자가 목표로 하는 체중 및 체지방율에 도달하도록 적절한 운동량 및 권장섭취량 정보를 가이드받을 수 있고, 이에 따라 계획한 다이어트일수동안 효과적인 다이어트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다이어트를 수행하는 동안, 체중 및 체지방율의 변화를 구체적으로 인식하여 체중 및 체지방율의 감량 진행정도를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지속적인 다이어트 진행상황을 체크할 수 있어 계획적인 다이어트를 수행할 수 있다라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연동형 다이어트 가이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휴대단말기에 내장된 다이어트프로그램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연동형 다이어트 가이드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연동형 다이어트 가이드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휴대단말기에 내장된 다이어트프로그램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연동형 다이어트 가이드장치는, 대상자의 현재 체중 및 체지방율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상자가 수행하여야 할 운동량 및 섭취하여야 하는 음식량에 관련된 권장섭취량 정보를 제공하는 다이어트프로그램이 내장된 휴대단말기(10)와; 측정된 대상자의 현재 체중 및 현재 체지방율 데이터를 휴대단말기(10)로 전송하는 디지털체중계(20);를 포함한다.
디지털체중계(20)는 측정된 대상자의 현재 체중 및 체지방율 데이터를 휴대단말기(10)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전송부(21)를 포함한다. 이때 데이터전송부(21)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초음파와 같은 무선방식을 통하여 현재 체중 및 체지방율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디지털체중계(20)와 휴대단말기(10) 사이를 연결하는 USB 케이블을 통하여 현재 체중 및 체지방율 데이터를 전송하는 유선방식일 수 있다.
휴대단말기(1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휴대용 노트북등 휴대가능한 모바일 기기로서, 목표한 다이어트를 수행하기 위하여 대상자에게 운동량 및 권장섭취량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다이어트프로그램(100)을 포함한다. 이러한 다이어트프로그램(100)은 휴대단말기(10)의 메모리에 저장되지만,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이어트프로그램(100)을 수행하기 위하여, 먼저 휴대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제공되는 회원가입창에서 회원가입을 하고, 이후 제공되는 인증창에서 ID 및 Password 인증함으로써 자격을 부여받는다.
다이어트프로그램(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자의 현재 체중 및 체지방율 데이터, 대상자의 성별, 키에 관련된 데이터가 입력되는 대상자데이터입력부(110)와; 수행하고자 하는 다이어트일수 및 운동강도를 선택하는 운동프로그램선택부(120)와; 다이어트일수 및 운동강도에 대응하여 도달하고자 하는 목표체지방율을 계산하는 목표체지방율계산부(130)와; 다이어트일수 및 운동강도에 대응하여 도달하고자 하는 목표체중을 계산하는 목표체중계산부(140)와; 목표체지방율 및 목표체중에 도달하기 위하여 선택한 다이어트일수 동안에 대상자가 수행해야할 총운동량을 의미하는 목표운동량 및 그 목표운동량을 다이어트일수로 나누어 일일동안 수행해야할 일일목표운동량을 계산하는 목표운동량계산부(150)와; 대상자의 BMI(신체질량지수)를 기반으로 하여 섭취하여야 할 음식의 권장섭취량을 계산하는 권장섭취량계산부(160)와; 대상자가 수행한 당일운동량이 입력되는 당일운동량입력부(170)와; 대상자가 섭취한 음식의 당일섭취량이 입력되는 당일섭취량입력부(180)와; 전날 일일목표운동량에 대상자가 수행한 당일운동량을 반영하고, 전날 권장섭취량에 대상자가 섭취한 음식의 당일섭취량을 반영하여 앞으로 수행하여야 할 조정목표운동량을 계산하고, 상기 대상자가 수행하여야 할 조정목표운동량 및 그 조정목표운동량을 남은 다이어트일수로 나눈 일일조정목표운동량을 계산하는 조정목표운동량계산부(190)와; 현재 체중, 현재 체지방율, 키, 목표체지방율, 목표체중, 목표운동량, 일일목표운동량, BMI, 당일운동량, 당일섭취량, 조정목표운동량 및 일일 조정목표운동량을 표시하는 데이터표시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다이어트프로그램(100)에 의하여, 대상자가 선택한 다이어트일수동안에 수행하여야 할 총 목표운동량 및 그 목표운동량을 다이어트일수로 나누어 일일동안 수행하여야 할 일일목표운동량이나; 일일동안에 섭취하여야 할 음식의 권장섭취량이나; 전날 목표운동량에 대상자가 수행한 당일운동량을 반영하고 전날 권장섭취량에 대상자가 섭취한 음식의 당일섭취량을 반영하여 상기 대상자가 일일동안에 수행하여야 할 조정목표운동량 및 그 조정목표운동량을 남은 다이어트일수로 나눈 일일 조정목표운동량에 관련된 가이드정보는 가이드정보제공부(210)를 통하여 대상자에게 가이드된다. 이에 따라 대상자는 자신의 다이어트 진행상황을 인지할 수 있어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다이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데이터표시부(200) 및 가이드정보제공부(210)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는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된다.
대상자데이터입력부(110)는 대상자의 현재 체중 및 체지방율 데이터, 성별, 키, 생년월일에 관련된 데이터가 입력된다. 이러한 데이터는 대상자데이터입력부(110)에서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제공하는 입력창에 대상자가 입력한다. 또한 대상자의 평상시 운동습관정도를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제공되는 다른 입력창을 통하여 입력한다. 예를 들면 팝업창에 운동을 전혀 하지 않음, 일주일에 3~4일 정도(1시간정도), 일주일에 4~5회 정도(1시간 정도). 일주일에 매일(1시간 정도)로 표시되는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입력한다.
한편 대상자의 현재 체중 및 체지방율 데이터는 디지털체중계(10)의 데이터전송부(21)를 통하여 대상자데이터입력부(110)로 직접 전송되어 입력될 수 있다. 이 경우 현재 체중 및 제지방율을 별도로 입력하기 위한 수고를 덜 수 있고, 더욱 정확한 데이터값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디지털체중계(10)는 대상자의 체중 및 체지방율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디지털체중계는 체중 및 제지방율을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측정기기로 대치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 용이한 설명을 위하여, 성별이 남자이고, 디지털체중계(10)에서 측정된 현재 체중이 90.3Kg, 현재 체지방율이 0.30 이고, 키가 176.6cm 인 특정 대상자를 예로써 설명한다. 현재 체중, 현재 체지방율, 성별, 키와 같은 대상자 입력값을 정리하여 표시하면 [표 1]과 같다.
대상자 입력값
성별 현재 체중(Kg) 현재 체지방율 현재 체지방율(%) 키(cm)
남성 90.3 0.30 40세 이하 ; 15.5
40세 이상 ;21
176.6
참고적으로. 20 대의 남성의 경우 이상적인 체지방율(ideal fat rate)은 15% 이고 20대 여성의 경우 20% 이다. 그리고 나이가 들수록 이상적인 체지방율을 점차로 커지는데, 40대 이상의 남성 및 여성의 경우 이상적인 체지방율을 각각 21% 및 28% 정도이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이상적인 체지방율을 도달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대상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체지방율을 더욱 낮출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운동프로그램선택부(120)는 대상자가 다이어트를 수행하기 위한 총 다이어트일수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면 대상자는 운동프로그램선택부(120)에서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제공되는 선택버튼을 통하여 3일 코스, 7일 코스, 30일 코스, 90일 코스의 다이어트일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운동프로그램선택부(120)는 대상자가 운동강도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대상자는 운동프로그램선택부(120)에서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제공되는 선택버튼을 통하여 운동강도가 낮은 easy 코스, 운동강도가 중간인 medium 코스, 운동강도가 높은 extreme 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목표체지방율계산부(130)는, 대상자가 입력한 다이어트일수동안 도달하기 위한 목표체지방율을 계산하며, 이때 목표체지방율은 대상자데이터입력부(110)를 통하여 입력된 현재 체지방율이 반영되어 계산된다.
[표 1]의 대상자가 운동프로그램선택부(120)에서 특정 다이어트일수 및 운동강도를 선택하였을 때, [표 2]에서와 같이 각각의 다이어트일수 및 운동강도에 대응하여 적절한 목표감소체지방율이 제시된다. 이때 설정된 목표감소체지방을은 기존 다이어트를 수행한 많은 사람들의 백데이터를 반영하여 얻어진 것으로서, 신체에 큰 무리가 가지 않을 정도에서 감소시킬 수 있는 체지방율을 의미한다.
목표감소체지방율(%)
다이어트일수 3일 7일 30일 90일
easy 코스 1.0 1.0 5.0
medium 코스 2.0 1.3 6.0 15.5
extreme 코스 2.5 1.6 7.0 12
목표체지방율계산부(130)는, 현재 체지방율에서 [표 2]에서 목표감소체지방율을 뺀 값으로서, 이를 정리하면 [표 3]이 된다. 여기서 목표감소체지방율을 % 단위이기 때문에, 목표체지방율을 계산할 때 목표감소체지방율을 100 으로 나누어 계산한다.
목표체지방율(결과표 : 백분율)
(현재 체지방율 - 목표감소체지방율)
다이어트일수 3일 7일 30일 90일
easy 코스 0.29 0.29 0.25
medium 코스 0.28 0.287 0.24 0.155
extreme 코스 0.275 0.284 0.23 0.12
한편 40세 미만인 남자 대상자가 90일 코스를 선택하였을 때, 목표체지방율은 medium 코스의 경우 15.5%로 고정하고, extreme 코스의 경우 12% 로 고정한다. 만약 목표체지방율이 더욱 낮아지면. 대상자 신체에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목표체중계산부(140)는 대상자가 입력한 다이어트일수동안 도달하기 위한 목표체중을 계산한다. 목표체중은 하기 [표 4]에 기재된 공식에 의하여 계산된다.
목표체중(Kg)
(현재체중 - (현재 체중 × 현재 체지방율)/(1-목표체지방율)
다이어트일수 3일 7일 30일 90일
easy 코스 89 89.0 84.3
medium 코스 87.8 88.7 83.2 74.8
extreme 코스 87,2 88.3 82.1 71.8
예를 들면, [표 1]의 대상자가 30일 코스 및 medium 코스를 선택한 경우, 목표체중은 현재체중인 90.3g, 현재 체지방율 0.30, 목표체지방율 0.24 를 대입함으로서 계산된다. 즉 (90.3 - (90.3 × 0.30))/(1 - 0.24) = 83.2 Kg 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소수점 2자리 이상은 반올림한다.
목표운동량계산부(150)는, 목표체지방율 및 목표체중에 도달하기 위하여 선택한 다이어트일수 동안에 대상자가 수행해야할 총운동량을 의미하는 목표운동량을 계산하고, 그 목표운동량을 다이어트일수로 나누어 일일동안 수행해야할 일일운동량을 계산한다. 목표운동량(Kcal)은, 하기 [표 5]에 기재된 공식에 의하여 계산된다.
목표운동량(Kcal)
(현재체중 - 목표체중) × 7700 Kcal
다이어트일수 3일 7일 30일 90일
easy 코스 9793 9793 45354
medium 코스 19314 12677 54893 119314
extreme 코스 23976 15538 63210 142223
이는 통상 1Kg 을 감량하기 위하여 7700Kcal 를 소모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일일운동량은 하기 [표 6]에 기재된 공식에 의하여 계산된다.
일일 운동량(Kcal)
목표운동량 / 다이어트일수
다이어트일수 3일 7일 30일 90일
easy 코스 3264 1399 1545
medium 코스 6438 1811 1830 1326
extreme 코스 7992 2220 2107 1580
권장섭취량계산부(160)는 대상자의 BMI(body mass index ; 신체질량지수)를 기반으로 하여 섭취하여야 할 음식의 권장섭취량을 계산한다. BMI 는 하기 [표 7]에 기재된 공식에 의하여 계산된다.
BMI(체질량지수) ; 체중/(신장(m)2 29
즉 [표 1]의 대상자는 체중이 90.3Kg. 키가 1.76m 이기 때문에, 90.3/(1.76)2 을 계산하면 29 가 되는 것이다.
BMI는 키와 체중의 비율을 사용한 체중의 객관적인 지수로 일반적인 사람의 체지방량과 상관관계가 크다. BMI가 연령, 성별, 체격을 고려하지는 않으며 비만을 규정하기 위한 기준으로 1990년대 이후로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BMI 에 따라 [표 8]에서와 같이, 저체중, 정상, 과체중, 비만, 고도비만으로 분류된다.
BMI(체질량지수)
저체중 < 18.5
정상 18.5 ~ 22.9
과체중 23.0 ~ 24.9
비만 25.9 ~ 29.9
고도비만 > 30
권장섭취량계산부(160)는 [표 8]의 기준을 반영하여 하기 [표 9]의 공식의 의하여 권장섭취량을 계산된다.
권장섭취량 계산식
BMI 가 25 이상인 경우 [조정체중(Kg) × 32.5(Kcal/Kg)] - 500 Kcal
※ 조정체중 = 목표체중 + (현재체중-목표체중)/4
BMI 가 23~24.9 인 경우 [현재체중(Kg) × 32.5(Kcal/Kg)] - 500 Kcal
BMI 가 22.9 미만인 경우 [목표체중(Kg) × 32.5(Kcal/Kg)]
여기서 권장섭취량은 BMI 에 따라 다른 기초대사량을 반영하여 계산한다. 이는 BMI 가 적은 사람(체중이 적게 나가는 사람)은 BMI 가 큰 사람(체중이 많이 나가기 사람)보다 기초대사량이 크므로, BMI 가 큰 사람의 권장섭취량은 BMI 가 작은 사람의 권장섭취량에서 기초대사량를 반영한 칼로리를 뺀 값이 되는 것이다. 즉 BMI 가 23~24.9 인 사람의 권장섭취량은, BMI 가 22.9 미만인 사람의 권장섭취량에서 기초대사량을 반영한 500Kcal 를 뺀 값이 되고, BMI 가 25 이상인 사람의 권장섭취량은 현재체중을 조정체중(목표체중 + (현재체중-목표체중)/4)으로 계산한 후 500Kcal 를 뺀 값이 되는 것이다.
당일운동량입력부(170)에는 대상자가 수행한 당일운동량이 입력된다. 당일운동량은 대상자가 당일 운동을 통하여 소비한 운동량을 의미하며, 이러한 당일운동량은 대상자가 소지한 휴대단말기(10)의 센서를 통하여 입력될 수도 있고, 대상자 스스로 디스플레이로 표시되는 입력창을 통하여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휴대단말기(10)에 내장된 가속도센서, 자이로센서 및 GPS 센서는 대상자의 운동상태를 측정하여 소비한 당일운동량을 계산한 후, 계산된 당일운동량이 당일운동량입력부(170)에 입력된다.
또는 운동상태에 따른 칼로리상수를 도입하여 운동량을 계산할 수도 있다. 이때 칼로리상수는 운동상태에 따라 다른데, 달리기와 자전거를 예로들어 하기의 [표 10] 및 [표 11]에 정리하였다.
달리기
시속(Km/h) 칼로리상수(C)
5 0.084
7 0.121
8 0.130
9 0.143
10 0.158
11 0.181
자전거
시속(Km/h) 칼로리상수(C) 시속(Km/h) 칼로리상수(C)
12 0.064 22 0.1183
13 0.0685 23 0.1207
14 0.073 24 0.1276
15 0.0775 25 0.1345
16 0.082 26 0.1414
17 0.0865 27 0.1483
18 0.091 28 0.1552
19 0.0955 29 0.1621
20 0.1 30 0.169
21 0.1069 이상
당일운동량(Kcal)은 칼로리상수(C) × 현재체중(Kg) × 운동시간(min)의 공식에 의하여 계산되며, 대상자는 자신의 당일운동량을 상기한 칼로리상수(C)를 반영하여 계산한 후 당일운동량입력부(170)에 입력한다.
그 이에도 휴대단말기(20)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운동의 칼로리상수를 반영하거나,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대상자 스스로 당일운동량을 계산할 수 있는 것이다.
당일섭취량입력부(180)는 대상자가 섭취한 음식의 당일섭취량을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되는 입력창에 입력된다. 당일섭취량은 휴대단말기(10)에서 제공되는 음식에 관련된 칼로리 시트를 반영하여 입력한다. 이러한 칼로리 시트는 식약청에 등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근거로 작성되었기 때문에 매우 정확하게 작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공기밥을 섭취할 경우 350Kcal, 꽁치(100g)를 섭취하였을 때 262Kcal, 김치(1인분)의 경우 54Kcal 를 더해서 당일섭취량을 계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음식에 대응되는 칼로리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되는 입력창을 통하여 검색한 후 직접 입력할 수도 있고,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되는 음식에 해당하는 선택버튼을 클릭하여 입력할 수도 있다.
조정목표운동량계산부(190)는, 전날 일일목표운동량에 대상자가 수행한 당일운동량을 반영하고, 전날 권장섭취량에 대상자가 섭취한 음식의 당일섭취량을 반영하여 앞으로 수행하여야 할 조정목표운동량을 계산하고, 대상자가 수행하여야 할 조정목표운동량 및 그 조정목표운동량을 남은 다이어트일수로 나눈 일일 조정목표운동량을 계산한다. 이를 위한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조정목표운동량(Kcal) = 전날 목표 운동량 + (전날 일일 운동량 - 당일 운동량) - (전날 권장섭취량 - 당일 섭취량)
예를 들면, 전날 목표 운동량이 9793Kcal, 전날 일일운동량이 1399Kcal. 당일운동량이 300Kcal. 전날 권장섭취량이 2392.5Kcal, 당일섭취량이 2000Kcal, 다이어트일수가 7일일 경우, 10499.5Kcal 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일일 조정목표운동량은 조정목표운동량인 10499.5를 남은 다이어트일수인 6으로 나눈 1750Kcal 가 된다. 이러한 일일 조정목표운동량이 대상자가 목표체중 및 목표체지방율에 도달하기 위한 당일에 수행하여야 할 운동량이 되는 것이다.
한편, 일일 조정목표운동량이 전날 일일운동량보다 클 경우, 남은 다이어트일수에 15% 를 연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결과적으로 소모되는 칼로리양을 늘려 조정목표운동량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운동시간(min)은 일일운동량 / (칼로리상수(C) × 현재 체중(Kg))에 의하여 계산된다. 그리고 2일재부터 운동시간(min)은 조절 일일운동량 / (칼로리상수(C) × 현재 체중)에 의하여 계산된다.
또한 걷기단위걸음당 칼로리(calories per step )는 (0.57 × 현재체중(Kg) × 2.2) / 2200)에 의하여 계산된다.
데이터표시부(200)는 현재 체중, 현재 체지방율, 키, 목표체지방율, 목표체중, 목표운동량, 일일목표운동량, BMI, 당일운동량, 당일섭취량, 조정목표운동량 및 일일 조정목표운동량등을 대상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표시된다.
또한 데이터표시부(200)는 일정기간 다이어트를 진행한 시점에서, 체줌의 변화량, 체지방율 변화량을 휴대단말기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그래프로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그래프에는 운동량 및 식사량에 대한 내용이 포함될 수도 있다.
가이드정보제공부(210)는, 대상자에게 목표한 다이어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가이드정보는, 대상자가 선택한 다이어트일수동안에 수행하여야 할 총 목표운동량 및 그 목표운동량을 다이어트일수로 나누어 일일동안 수행하여야 할 일일목표운동량, 일일동안에 섭취하여야 할 음식의 권장섭취량, 전날 목표운동량 및 전날 권장섭취량에 당일운동량 및 당일섭취량을 반영하여 조정 계산된 조정목표운동량 및 그 조정목표운동량을 남은 다이어트일수로 나눈 일일 조정목표운동량등이 있으며, 이러한 가이드정보는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전부 또는 선택적으로 제공된다.
가이드정보제공부(210)는 대상자에게 다이어트에 대한 동기부여를 위하여,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당일 섭취량에 따라 다양한 표정을 보이는 캐릭터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권장섭취량보다 많은 음식을 섭취하였을 때 슬픈 표정을 보이는 캐릭터를 표시하고, 반대로 권장섭취량보다 적은 음식을 섭취하였을 때 기쁜 표정을 보이는 캐릭터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기(10)를 통하여 대상자가 목표로 하는 체중 및 체지방율에 도달하도록 적절한 운동량 및 권장섭취량 정보를 가이드받을 수 있고, 이에 따라 계획한 다이어트일수동안 효과적인 다이어트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다이어트를 수행하는 동안, 체중 및 체지방율의 변화를 구체적으로 인식하여 체중 및 체지방율의 감량 진행정도를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지속적인 다이어트 진행상황을 체크할 수 있어 계획적인 다이어트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휴대단말기 20 ... 디지털체중계
100 ... 다이어트프로그램 110 ... 대상자데이터입력부
120 ... 운동프로그램선택부 130 ... 목표체지방율계산부
140 ... 목표체중계산부 150 ... 목표운동량계산부
160 ... 권장섭취량계산부 170 ... 당일운동량입력부
180 ... 당입섭취량입력부 190 ... 조정목표운동량계산부
200 ... 데이터표시부 210 ... 가이드정보제공부

Claims (7)

  1. 대상자의 현재 체중 및 체지방율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상자가 수행하여야 할 운동량 및 섭취하여야 하는 음식량에 관련된 권장섭취량 정보를 제공하는 다이어트프로그램(100)이 내장된 휴대단말기(10)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다이어트프로그램(100)은,
    상기 대상자의 현재 체중 및 체지방율 데이터, 성별 및 키에 관련된 데이터가 입력되는 대상자데이터입력부(110);
    수행하고자 하는 다이어트일수 및 운동강도를 선택하는 운동프로그램선택부(120);
    상기 선택한 운동강도, 현재 체중 및 체지방율을 반영하여 상기 선택한 다이어트일수동안 도달하여야할 목표체지방율을 계산하는 목표체지방율계산부(130);
    상기 목표체지방율에 상기 선택한 다이어트일수 및 운동강도, 상기 현재 체중 및 현재 체지방율을 반영하여 도달 가능한 목표체중을 계산하는 목표체중계산부(140);
    상기 목표체지방율 및 목표체중에 도달하기 위하여 선택한 다이어트일수 동안에 상기 대상자가 수행해야할 총운동량을 의미하는 목표운동량 및 그 목표운동량을 다이어트일수로 나누어 일일동안 수행해야할 일일목표운동량을 계산하는 목표운동량계산부(150);
    상기 대상자의 BMI(신체질량지수)를 기반으로 하여 섭취하여야 할 음식의 권장섭취량을 계산하는 권장섭취량계산부(160);
    상기 대상자가 수행한 당일운동량이 입력되는 당일운동량입력부(170);
    상기 대상자가 섭취한 음식의 당일섭취량이 입력되는 당일섭취량입력부(180); 및
    전날 일일목표운동량에 상기 대상자가 수행한 당일운동량을 반영하고, 전날 권장섭취량에 상기 대상자가 섭취한 음식의 당일섭취량을 반영하여 앞으로 수행하여야 할 조정목표운동량을 계산하여, 상기 대상자가 수행하여야 할 조정목표운동량 및 그 조정목표운동량을 남은 다이어트일수로 나눈 일일조정목표운동량을 계산하는 조정목표운동량계산부(190);를 포함하고;
    상기 목표체중은, 현재체중 - (현재 체중 × 현재 체지방율)/(1-목표체지방율)의 공식에 의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연동형 다이어트 가이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자의 현재 체중 및 현재 체지방율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현재 체중 및 체지방율 데이터를 휴대단말기(10)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전송부(21)가 내장된 디지털체중계(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연동형 다이어트 가이드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운동량 및 그 목표운동량을 다이어트일수로 나누어 일일동안 수행하여야 할 일일목표운동량, 일일동안에 섭취하여야 할 음식의 권장섭취량, 상기 조정목표운동량 및 그 조정목표운동량을 남은 다이어트일수로 나눈 일일 조정목표운동량에 관련된 가이드정보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전부 또는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가이드정보제공부(2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연동형 다이어트 가이드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운동량은,
    (현재체중 - 목표체중) × 7700 Kcal 의 공식에 의하여 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연동형 다이어트 가이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장섭취량은,
    (a) 상기 BMI 가 25 이상인 경우, [조정체중(Kg) × 32.5(Kcal/Kg)] - 500 Kcal 에 의하여 계산되되, 상기 조정체중은 상기 목표체중 + (현재체중-목표체중)/4 이고;
    (b) BMI 가 23~24.9 인 경우, [현재체중(Kg) × 32.5(Kcal/Kg)] - 500 Kcal 이며;
    (c) BMI 가 22.9 미만인 경우, [목표체중(Kg) × 32.5(Kcal/Kg)]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연동형 다이어트 가이드장치.
KR1020140180221A 2014-12-15 2014-12-15 휴대단말기 연동형 다이어트 가이드장치 KR101572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221A KR101572687B1 (ko) 2014-12-15 2014-12-15 휴대단말기 연동형 다이어트 가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221A KR101572687B1 (ko) 2014-12-15 2014-12-15 휴대단말기 연동형 다이어트 가이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2687B1 true KR101572687B1 (ko) 2015-12-11

Family

ID=55020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0221A KR101572687B1 (ko) 2014-12-15 2014-12-15 휴대단말기 연동형 다이어트 가이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26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666A (ko) 2018-06-27 2020-01-07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족압분포와 심박변이도 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체중계
US10770172B2 (en) 2016-08-25 2020-09-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health management
CN112951371A (zh) * 2021-01-27 2021-06-11 乐歌信息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热量摄入数据确定方法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83720B2 (ja) * 2011-02-16 2013-09-04 株式会社タニタ 活動量計、活動目標算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83720B2 (ja) * 2011-02-16 2013-09-04 株式会社タニタ 活動量計、活動目標算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70172B2 (en) 2016-08-25 2020-09-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health management
KR20200001666A (ko) 2018-06-27 2020-01-07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족압분포와 심박변이도 측정이 가능한 스마트 체중계
CN112951371A (zh) * 2021-01-27 2021-06-11 乐歌信息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热量摄入数据确定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90709A1 (en) Automated health data acquisition, processing and communication system
US2014017231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caloric intake using a personal correlation factor
JP5684097B2 (ja) 表示制御装置
US20160166195A1 (en) Energy and Food Consumption Tracking for Weight and Blood Glucose Control
US20140135592A1 (en) Health band
KR101113172B1 (ko) 휴대용 생체정보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KR20160049090A (ko) 고객이 입력한 운동기록과 음식섭취 정보, 트레이너가 입력한 전문분야 정보, 그리고 각자의 gps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건강관리 및 고객에 적합한 트레이너의 매칭과 추천을 가능하게 하는 헬스케어 시스템
KR101572687B1 (ko) 휴대단말기 연동형 다이어트 가이드장치
Stephens et al. " Smart" coaching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diet change, and cardiovascular health
WO2020195682A1 (ja) 生活習慣改善提案装置、生活習慣改善提案方法、及び生活習慣改善提案プログラム
CN110634543A (zh) 一种减脂管理平台及其实现方法
KR20180065593A (ko) 웨어러블 기기 기반의 헬스케어 시스템
Shtaynberger et al. Associations between decisional balance and health behaviors among adult cancer survivors
US8808146B2 (en) Activity meter
KR20110052196A (ko) 유헬스케어 개인화 서비스를 이용한 식단처방
KR20100001681A (ko) 다이어트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11412797B2 (en) System and method for waist circumference measurement and feedback for optimal placement of a smart belt
KR102426924B1 (ko)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시스템 및 건강 관리 장치
KR102006350B1 (ko) 생체 임피던스 측정장치를 이용한 건강 관리시스템 및 건강 관리 장치
JP2005168942A (ja) 健康管理システム
WO2013163627A1 (en) Health measurement systems
US20220392626A1 (en) Body dynamics system
US11875890B2 (en) Fitness and nutrition management system
WO2019035844A1 (en) SHOE WITH BODY FUNCTION MEASUREMENT SYSTEM
Ismail et al. Web-based calorie inform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