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1871A -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 Google Patents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1871A
KR20180021871A KR1020187002659A KR20187002659A KR20180021871A KR 20180021871 A KR20180021871 A KR 20180021871A KR 1020187002659 A KR1020187002659 A KR 1020187002659A KR 20187002659 A KR20187002659 A KR 20187002659A KR 20180021871 A KR20180021871 A KR 20180021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t
printing
detecting mechanism
detec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2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토시 아오야기
준스케 고미토
Original Assignee
시바우라 메카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바우라 메카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시바우라 메카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21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18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7/00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F17/36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inting on tablets, pills, or like smal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95Detecting means for copy material, e.g. for detecting or sensing presence of copy material or its leading or trailing e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07Marking tabl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06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pills, lozenges or drag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3/00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 B41F23/005Devices for treating the surfaces of sheets, webs, or other articles in connection with printing of non-flat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7Conveyor belts or like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85Using suction for maintaining printing material 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6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rinting on both faces of the print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2200/00General characteristics or adaptations
    • A61J2200/70Device provided with specific sensor or indic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203/00Embodiments of or processes related to the control of the printing process
    • B41J2203/01Inspecting a printed medium or a medium to be printed using a sensing device
    • B41J2203/011Inspecting the shape or condition, e.g. wrinkled or warped, of a medium to be printed before printing on i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k Jet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실시형태에 관련된 정제 인쇄 장치(S)는, 정제의 다른쪽의 면을 유지하여 정제를 반송하는 제1 반송 장치(1)와, 제1 반송 장치(1)로부터 건네진 정제의 한쪽의 면을 유지하여 정제를 반송하는 제2 반송 장치(2)와, 정제의 한쪽의 면에 인쇄하는 제1 인쇄 헤드(31)와, 정제(T)의 다른쪽의 면에 인쇄하는 제2 인쇄 헤드(41)와, 정제의 한쪽의 면을 검출하는 제1 검출 기구(32)와, 정제의 다른쪽의 면을 검출하는 제2 검출 기구(33)와, 제1 및 제2 검출 기구(32, 33)에 의해 검출된 정제의 한쪽 및 다른쪽의 면의 2개의 검출 정보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할선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인쇄 헤드(31, 41)에 인쇄 지시를 행하는 제어부(5)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제 등의 고형 제제의 표면에 문자나 마크 등을 인쇄하는 장치로는, 각종 고형 제제 인쇄 장치를 들 수 있다. 이들 인쇄 장치에서는, 표면에 피전사 패턴이 형성된 롤러를 이용하여 고형 제제에 대한 전사 인쇄를 행한다. 인쇄가 완료되면, 촬상 장치 및 판별 장치 등에 의해 인쇄의 양부가 판단된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6-143539호
그런데, 인쇄 대상이 되는 고형 제제(이하, 「정제」라고 함)에는, 할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있다. 그리고, 할선을 갖는 정제에 대한 인쇄는, 인쇄 내용이 할선에 걸친다고 하는 인쇄 불량이 생기지 않도록 할 것이 요구된다. 종래의 인쇄 장치를 이용하여 이 요구에 부응하고자 하면, 반송되는 모든 정제에 있어서, 할선의 방향을 정제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방향(예컨대 반송 방향)으로 하는 것, 그리고, 할선이 형성되어 있는 면을 위(혹은 전부 아래)로 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할선의 방향이 일정한 방향으로부터 어긋나 있거나 하면,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은 인쇄 불량이 생기고, 불량수는 1시간당 수십만 정에도 미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정제의 편면에 할선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반송되는 정제에 있어서의 할선의 방향이나, 할선이 형성되어 있는 면의 방향에 편차가 있더라도, 정제의 할선이 형성되어 있는 면과, 할선이 형성되어 있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대하여, 인쇄 내용이 할선 혹은 할선에 대응하는 위치에 걸치지 않고 인쇄를 행하여, 인쇄 품질의 유지를 실현할 수 있는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실시형태에 관련된 정제 인쇄 장치는, 한쪽의 면 혹은 다른쪽의 면 중 어느 편면에 할선이 형성되어 있는 정제에 대하여 양면에 인쇄를 행하는 정제 인쇄 장치로서, 정제의 다른쪽의 면을 유지하여 정제를 반송하는 제1 반송 장치와, 제1 반송 장치로부터 건네진 정제의 한쪽의 면을 유지하여 정제를 반송하는 제2 반송 장치와, 제1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의 한쪽의 면에 대하여 인쇄를 행하는 제1 인쇄 헤드와, 제2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의 다른쪽의 면에 대하여 인쇄를 행하는 제2 인쇄 헤드와, 제1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의 한쪽의 면을 검출하는 제1 검출 기구와, 제1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의 다른쪽의 면을 검출하는 제2 검출 기구와, 제1 검출 기구 및 제2 검출 기구에 의해 검출된 정제의 한쪽의 면 및 다른쪽의 면의 2개의 검출 정보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할선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인쇄 헤드 및 제2 인쇄 헤드에 인쇄 지시를 행하는 제어부를 갖는다.
실시형태에 관련된 정제 인쇄 방법은, 한쪽의 면 혹은 다른쪽의 면 중 어느 편면에 할선이 형성되어 있는 정제에 대하여 양면에 인쇄를 행하는 정제 인쇄 방법으로서, 정제의 다른쪽의 면을 유지하여 정제를 제1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하는 단계와, 제1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의 한쪽의 면을 제1 검출 기구에 의해 검출하는 단계와, 제1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의 다른쪽의 면을 제2 검출 기구에 의해 검출하는 단계와, 제1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의 한쪽의 면에 대하여 제1 인쇄 헤드에 의해 인쇄를 행하는 단계와, 제1 반송 장치로부터 건네진 정제의 한쪽의 면을 유지하여 정제를 제2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하는 단계와, 제2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의 다른쪽의 면에 대하여 제2 인쇄 헤드에 의해 인쇄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인쇄를 행하는 단계에서는, 제1 검출 기구 및 제2 검출 기구에 의해 검출된 정제의 한쪽의 면 및 다른쪽의 면의 2개의 검출 정보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할선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인쇄 헤드 또는 제2 인쇄 헤드에 인쇄 지시를 제어부에 의해 행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제의 편면에 할선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반송되는 정제에 있어서의 할선의 방향이나, 할선이 형성되어 있는 면의 방향에 편차가 있더라도, 정제의 할선이 형성되어 있는 면과, 할선이 형성되어 있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대하여, 인쇄 내용이 할선 혹은 할선에 대응하는 위치에 걸치지 않고 인쇄를 행하여, 인쇄 품질의 유지를 실현할 수 있는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정제 인쇄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반송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흡인 챔버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3에 나타내는 흡인 챔버의 정면을 A-A 선에 있어서 절단하여 이면 검출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절단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절단 단면도 중, 파선으로 둘러싼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고, 이해를 위해 반송 벨트 및 정제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내는 B-B 선에 있어서 절단하여 이면 검출 기구의 구성을 나타내는 절단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1 표면 검출 기구 및 이면 검출 기구를 이용한 정제의 할선의 상태를 파악하여 인쇄 처리에 반영시키는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면 검출 기구에 관하여, 도 3에 나타내는 흡인 챔버의 정면을 A-A 선에 있어서 절단하여 나타내는 절단 단면도이다.
도 9는, 인쇄 처리의 일례의 흐름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제1 실시형태>
(전체 구성 및 표면 인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정제 인쇄 장치(S)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정제 인쇄 장치(S)는, 인쇄 대상이 되는 정제(T)(도 2 참조)를 반송하는 반송 장치(C)와, 반송 장치(C)에 의해 반송되는 정제(T)에 대하여 인쇄를 행하는 인쇄 기구(P)로 구성되어 있다. 또,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반송 장치(C)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되는 정제(T)는, 평면에서 보면 원형이고, 더구나 어느 면에 할선(Tw)(도 2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정제 인쇄 장치(S)는, 정제(T)의 양면에 인쇄를 행하기 위해 2개의 반송 장치(C), 즉 제1 반송 장치(1) 및 제2 반송 장치(2)를 갖고 있다. 이들 제1 반송 장치(1) 및 제2 반송 장치(2)는 상하로 배치되어 있다.
제1 반송 장치(1)에는, 하나의 인쇄 기구(P), 즉 제1 인쇄 기구(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반송 장치(2)에도, 하나의 인쇄 기구(P), 즉 제2 인쇄 기구(4)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인쇄 기구(3)는 제1 반송 장치(1)의 상부에, 제2 인쇄 기구(4)는 제2 반송 장치(2)의 상부에, 각각 조합되어 설치되고, 전체로서 정제 인쇄 장치(S)가 구성되어 있다.
이 제1 반송 장치(1)와 제2 반송 장치(2), 혹은, 제1 인쇄 기구(3)와 제2 인쇄 기구(4)는, 각각 기본적인 구성을 모두 동일하게 한다. 그래서, 이하에 있어서 반송 장치(C) 및 인쇄 기구(P)의 설명을 행할 때에는, 제1 반송 장치(1) 및 제1 인쇄 기구(3)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우선, 제1 반송 장치(1)는, 제1 풀리(11)와, 제2 풀리(12)와, 이 제1 및 제2 풀리(11, 12)에 둘러쳐진 무단형의 제1 반송 벨트(13)와, 이 제1 반송 벨트(13)의 내측에 배치된 흡인 챔버(14)를 구비하고 있다.
제1 풀리(11)는 구동원에 접속되고,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동 풀리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제2 풀리(12)는, 제1 반송 벨트(13)를 통해 제1 풀리(11)가 회전하는 것에 맞춰 회전하는 종동 풀리이다. 따라서, 이 제1 풀리(11), 제2 풀리(12)에 둘러쳐진 반송 벨트(13)는, 상측의 수평 영역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화살표의 방향, 즉, 제1 풀리(11)로부터 제2 풀리(12)를 향하여 우방향으로 진행하게 된다. 제2 풀리(12)의 지지축에는, 제1 인코더(12a)가 설치된다. 이 인코더(12a)는, 제1 반송 장치(1)에 있어서의 정제(T)의 변위량을 측정하게 되고, 후술하는 제어부(5)는, 이 인코더(12a)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결과적으로 제1 반송 장치(1)에 있어서의 정제(T)의 위치를 구할 수 있다.
또, 이하에 있어서는, 제1 반송 장치(1)로 반송되고 있는 상태의 정제(T)에 있어서의 피인쇄면을 「표면(한쪽의 면)」, 제2 반송 장치(2)로 반송되고 있는 상태의 정제(T)에 있어서의 피인쇄면을 「이면(다른쪽의 면)」이라고 부른다.
이 제1 반송 벨트(13)의 표면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쇄 대상이 되는 정제(T)를 흡인하기 위한 슬릿(13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131)은, 부분적으로 좌우가 연결되어 사다리형으로 형성되고, 제1 반송 벨트(13)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는, 정제(T)가, 이 슬릿(131)에 의해 흡인되면서 반송되고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정제(T)는, 도 1에 나타내는 제1 반송 장치(1)의 제1 풀리(11)의 상류측에 설치된 정제 공급 장치(15)로부터 제1 반송 장치(1)에 공급된다.
흡인 챔버(14)는, 제1 반송 벨트(13)의 전체 둘레에 걸쳐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흡인 챔버(14)는, 제1 반송 벨트(13)에 형성되는 슬릿(131)을 통해 제1 반송 벨트(13) 상의 정제(T)에 흡인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인쇄 기구(3)는, 제1 풀리(11)로부터 제2 풀리(12)를 향하여 진행하는 제1 반송 벨트(13)의 표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즉, 이 제1 인쇄 기구(3)는, 제1 풀리(11)로부터 제2 풀리(12)로 제1 반송 벨트(13)가 진행하는 영역(도 1 중에 나타내는 부호 a, b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반송 벨트(13)에 있어서의 상측의 수평 부분에 대향하는 영역)에 대향 배치되어 있다.
이 제1 인쇄 기구(3)는, 정제(T)에 인쇄를 행하는 잉크젯 방식의 제1 인쇄 헤드(31)와, 제1 표면 검출 기구(32)와, 이면 검출 기구(33)와, 제1 인쇄 상태 확인 장치(34)로 구성되어 있다.
제1 표면 검출 기구(32)(제1 검출 기구)는, 제1 반송 벨트(13) 상에 재치(載置)되어 반송되어 오는 정제(T)의 표면의 상태, 예컨대 정제(T)의 위치, 표면에 할선(Tw)이 있는가 없는가, 할선(Tw)이 있는 경우에는 할선(Tw)의 상태(할선(Tw)의 기준 위치에 대한 각도와 회전 방향), 형상 결함(균열이나 결락)의 유무 등을 검출하는 기구이다. 제1 표면 검출 기구(32)는, 제1 인쇄 헤드(31)보다 제1 반송 벨트(13)의 진행 방향 상류측으로서, 제1 반송 벨트(13)의 제1 인쇄 헤드(31)측에 설치된다. 또한 이 제1 표면 검출 기구(32)는, 정제(T)를 촬영하는 제1 촬영 장치(321)와, 촬영의 대상이 되는 정제(T)를 비추기 위한 제1 조명(322)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제1 촬영 장치(321)는 제어부(5)에 접속되어 있고, 얻어진 정제(T)의 표면의 검출 정보는 제어부(5)에 송신되고 있다.
한편, 이면 검출 기구(33)(제2 검출 기구)는, 제1 반송 벨트(13) 상에 재치되어 반송되어 오는 정제(T)의 이면의 상태, 예컨대 정제(T)의 위치, 이면에 할선(Tw)이 있는가 없는가, 할선(Tw)이 있는 경우에는 할선(Tw)의 상태(할선(Tw)의 기준 위치에 대한 각도와 회전 방향), 형상 결함(균열이나 결락)의 유무 등을 검출하는 기구이다. 이면 검출 기구(33)는, 흡인 챔버(14)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1 인쇄 헤드(31)보다 제1 반송 벨트(13)의 진행 방향 상류측에 설치됨과 함께, 제1 표면 검출 기구(32)와는 제1 반송 벨트(13)의 진행 방향에 있어서 오프셋한 위치에 설치된다. 제1 이면 검출 기구(33)에 의해 얻어진 정제(T)의 이면의 검출 정보는, 제어부(5)에 송신된다.
또, 이 이면 검출 기구(33)의 상세 구성에 관해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후술한다.
제1 인쇄 상태 확인 장치(34)는, 제1 인쇄 헤드(31)보다 제1 반송 벨트(13)의 진행 방향 하류측에 설치되고, 제1 인쇄 헤드(31)에 의해 정제(T)의 표면에 인쇄된 인쇄의 상태를 확인하는 장치이다. 이 제1 인쇄 상태 확인 장치(34)는, 정제(T)에 있어서의 인쇄 상태를 촬영하는 촬영 장치(341)와, 촬영의 대상이 되는 정제(T)를 비추기 위한 조명(342)으로 구성된다. 촬영 장치(341)는 정제(T)를 촬영하고, 그 촬영 화상을 취득하여 제어부(5)에 송신한다. 제어부(5)에서는, 이 촬영 화상에 기초하여, 인쇄의 양부를 판단한다. 또, 인쇄 불량에는, 예컨대, 잉크가 번지거나, 인쇄 위치가, 예정하고 있는 위치에 대하여 허용치 이상 어긋나 있거나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제어부(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표면 검출 기구(32) 및 이면 검출 기구(33)로부터의 검출 정보, 및, 제1 인쇄 상태 확인 장치(34)로부터의 촬영 화상을 수신한다. 제어부(5)는, 제1 표면 검출 기구(32) 및 이면 검출 기구(33)로부터 수신한 검출 정보로부터, 정제(T)의 표면과 이면의 상태를 취득하고, 이 취득한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적절한 인쇄를 행하도록, 제1 인쇄 헤드(31)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인쇄 처리와, 정제(T)의 할선의 파악 처리의 항에서 설명한다.
또한, 제2 풀리(12)로부터 제1 풀리(11)로 제1 반송 벨트(13)가 진행하는 영역에는, 인쇄가 종료된 정제(T)에 열풍을 분사함으로써, 잉크를 건조시키는 제1 건조 장치(16)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건조 장치(16)는, 여기서는 반송 벨트(13)가 제2 풀리(12)의 회전에 따라 반전되고, 제2 풀리(12)로부터 이격되는 위치 c로부터 제1 풀리(11)를 향하여, 제2 반송 장치(2)에 있어서의 제1 풀리(21)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 d까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상이, 제1 반송 장치(1) 상에 재치된 정제(T)의 표면에 대한 인쇄를 적절히 완료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면 인쇄)
다음으로, 정제(T)의 이면에 대한 인쇄를 행하기 위한 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 반송 장치(1)의 하부에 설치된 제2 반송 장치(2)는, 그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2 인쇄 기구(4)를 이용하여 정제(T)의 이면에 인쇄를 행하기 위해 정제(T)를 반송하는 장치이다.
제2 반송 장치(2)의 기본적인 구성은, 제1 반송 장치(1)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즉, 제2 반송 장치(2)는, 구동원인 제1 풀리(21)와, 종동 풀리로서의 제2 풀리(22)와, 이 제1 및 제2 풀리(21, 22)에 둘러쳐진 무단형의 제2 반송 벨트(23)와, 이 제2 반송 벨트(23)의 내측에 전체 둘레에 걸쳐 배치된 흡인 챔버(24)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2 반송 벨트(23)의 표면에는, 제1 반송 벨트(13)와 동일하게, 인쇄 대상이 되는 정제(T)를 흡인 유지하여 재치하기 위한 슬릿(도시하지 않음)이 구성되어 있다.
제2 반송 장치(2)에 있어서의 제1 풀리(21) 및 제2 풀리(22)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풀리에 둘러쳐져 있는 제2 반송 벨트(23)는, 제2 반송 장치(2)의 상측의 수평 영역에 있어서 표시되어 있는 화살표의 방향인 좌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이 제2 반송 벨트(23)는, 제1 반송 장치(1)에 있어서의 제1 건조 장치(16)의 하류측에 있어서, 제1 반송 벨트(13)와 대향한다. 그 때문에, 제1 반송 장치(1)의 제1 반송 벨트(13)가 제2 반송 장치(2)의 제2 반송 벨트(23)와 만나는 영역에 있어서는, 양자 모두 동일한 방향, 즉, 도 1에 있어서 좌방향으로 진행하고 있게 된다.
이 제1 반송 벨트(13)와 제2 반송 벨트(23)의 반송 속도는,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양자의 상대적인 속도차는 없어지고, 제1 반송 벨트(13)와 제2 반송 벨트(23)의 반송 속도를 동기시킬 수 있고, 제1 반송 장치(1)로부터 제2 반송 장치(2)에 대하여 원활하게 정제(T)의 전달을 행할 수 있다.
제1 반송 장치(1)의 제1 풀리(11)와 제2 반송 장치(2)의 제1 풀리(21)는, 서로 그 축선이 연직 방향에서 일치하도록 위치 맞춤이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제1 반송 장치(1)의 제1 풀리(11)에 제1 반송 벨트(13)가 접촉하는 위치(도 1에 나타내는 부호 d의 위치)로서, 제2 반송 장치(2)의 제1 풀리(21)로부터 제2 반송 벨트(23)가 이격되는 위치(도 1에 나타내는 부호 e의 위치)에 있어서 정제(T)의 전달이 행해진다.
또한 제2 풀리(22)의 지지축에는, 제2 인코더(22a)가 설치된다. 이 인코더(22a)는, 제2 반송 장치(2)에 있어서의 정제(T)의 변위량을 측정한다. 제어부(5)는, 이 인코더(22a)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결과적으로 제2 반송 장치(2)에 있어서의 정제(T)의 위치를 구할 수 있다.
제1 반송 장치(1)로부터 제2 반송 장치(2)로 전달된 정제(T)는, 제2 반송 벨트(23)를 상부로부터 본 경우, 인쇄 기구(3)에 있어서 인쇄된 표면과는 반대측의 이면이 제2 인쇄 기구(4)측으로 향해진 상태로 반송 벨트(23)에 재치되어 있다.
흡인 챔버(24)는, 제2 반송 벨트(23)의 슬릿을 통해 제2 반송 벨트(23) 상에 재치된 정제(T)에 흡인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반송 장치(2)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고 있지만, 제2 반송 장치(2)의 상부에는, 제2 인쇄 기구(4)가 대향 배치되어 있다. 즉, 이 제2 인쇄 기구(4)는, 제1 풀리(21)로부터 제2 풀리(22)로 반송 벨트(23)가 진행하는 영역(도 1 중에 나타내는 부호 e, f 사이에 위치하는, 반송 벨트(23)에 있어서의 상측의 수평 부분에 대향하는 영역)에 대향 배치되어 있다.
제2 인쇄 기구(4)는, 제1 인쇄 기구(3)와 동일한, 정제(T)에 인쇄를 행하는 잉크젯 방식의 제2 인쇄 헤드(41)와, 제2 표면 검출 기구(42)와, 제2 인쇄 상태 확인 장치(44)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2 표면 검출 기구(42)(제3 검출 기구)는, 제2 인쇄 헤드(41)보다 반송 벨트(23)의 진행 방향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제2 표면 검출 기구(42)는, 정제(T)를 촬영하는 촬영 장치(421)와, 촬영의 대상이 되는 정제(T)를 비추기 위한 조명(422)으로 구성되고, 정제(T)의 위치를 검출한다.
또한 제2 인쇄 상태 확인 장치(44)는, 제2 인쇄 헤드(41)보다 반송 벨트(23)의 진행 방향 하류측에 설치되고, 정제(T)에 있어서의 인쇄 상태를 촬영하는 촬영 장치(441)와, 촬영의 대상이 되는 정제(T)를 비추기 위한 조명(442)으로 구성된다. 어느 구성도, 제1 인쇄 기구(3)와 동일하게 제어부(5)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제어부(5)는, 제2 표면 검출 기구(42)에 도달한 정제(T)에 관한, 제1 표면 검출 기구(32) 또는 이면 검출 기구(33)에서의 검출 정보를 수신함과 함께, 제2 표면 검출 기구(42)에서 얻어진 검출 정보, 제2 인쇄 상태 확인 장치(44)로부터의 촬영 화상을 수신한다. 제어부(5)는, 제1 표면 검출 기구(32) 또는 이면 검출 기구(33)로부터 수신한 검출 정보로부터, 정제(T)에 있어서의 할선(Tw)의 정보를 얻음과 함께, 제2 표면 검출 기구(42)로부터 얻어진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이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적절한 인쇄를 행하도록, 제2 인쇄 헤드(41)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인쇄 처리와, 정제(T)의 할선(Tw)의 파악 처리의 항에서 설명한다.
또한, 제2 반송 벨트(23)가 제2 풀리(22)로부터 제1 풀리(21)로 진행하는 영역(도 1 중에 있어서의 부호 g, h 사이의 영역)에는, 인쇄가 종료된 정제(T)의 잉크를 건조시키기 위한 제2 건조 장치(25)가 설치되어 있다.
제2 건조 장치(25)의 하류측의 위치에는, 표면, 및 이면에 대한 인쇄가 종료된 정제(T)를, 인쇄의 적부에 따라 회수하는 박스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인쇄 상태 확인 장치(34) 및 제2 인쇄 상태 확인 장치(44)로부터의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부(5)가 정제(T)마다 인쇄의 적부를 판단한다. 인쇄 상태가 적절한 경우에는, 정제(T)는 제2 반송 벨트(23)로부터 양품 회수 박스(26)로 보내진다. 한편, 인쇄 상태가 부적절한 경우에는, 정제(T)는 반송 벨트(23)로부터 불량품 회수 박스(27)로 보내진다.
(제1 흡인 챔버, 이면 검출 기구의 구성)
여기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반송 장치(C)의 구성 중, 제1 흡인 챔버(14) 및 이면 검출 기구(33)의 구성에 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제1 흡인 챔버(14)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에 나타내는 제1 반송 장치(1)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와 대략 동일한 방향으로 도시되어 있다. 즉, 도 3에 있어서는 그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그 좌측 앞쪽에 있어서 제1 흡인 챔버(14)를 사이에 두도록, 안쪽에 제1 풀리(11)가, 앞쪽에 제2 풀리(12)가 설치된다.
이 제1 흡인 챔버(14)는, 제1 풀리(11) 및 제2 풀리(12), 반송 벨트(13)와 조합되어 정제(T)에 대하여 흡인력을 부여하는 챔버 본체(141)와, 도시하지 않은 펌프에 접속되어 흡인을 행하는 흡인 경로(142)로 구성된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내는 제1 흡인 챔버(14)의 정면을 A-A 선에 있어서 절단하여 이면 검출 기구(33)의 구성을 나타내는 절단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흡인 챔버(14)의 챔버 본체(141)의 내부에는, 이면 검출 기구(3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이면 검출 기구(33)는, 정제(T)의 이면을 촬영하는 촬영 장치(331), 촬영의 대상이 되는 정제(T)의 이면을 제1 반송 벨트(13)의 슬릿(131)을 통해 비추기 위한 조명(332)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 도 4에 있어서는, 이면 검출 기구(33)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흡인 챔버(14)의 상부에, 제1 인쇄 기구(3)를 구성하는 각 장치를 가상선을 이용하여 나타내고 있다. 즉, 반송 벨트(13)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그 진행 방향은, 도 4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방향이다. 이면 검출 기구(33)는, 제1 인쇄 기구(3)를 구성하는 각 장치 중에서 가장 반송 벨트(13)의 진행 방향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슬릿(131)으로부터의 흡인력의 작용으로 반송 벨트(13) 상에 재치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정제(T)는, 반송 벨트(13)의 진행 방향을 반송 방향으로 하여 반송되고, 이면 검출 기구(33)의 상방을 통과한 후, 제1 표면 검출 기구(32)의 바로 아래를 통과하여 제1 인쇄 헤드(31)에 이른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절단 단면도 중, 파선으로 둘러싼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고, 이해를 위해 반송 벨트(13) 및 정제(T)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5에 있어서는, 제1 흡인 챔버(14)의 챔버 본체(141) 상에 제1 반송 벨트(13)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제1 반송 벨트(13)에 관해서는, 슬릿(131)의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제1 반송 벨트(13) 상에, 슬릿(131)으로부터의 흡인력으로 재치되어 있는 정제(T)가, 절단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정제(T)에는, 할선(Tw)이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내는 B-B 선에 있어서 절단하여 이면 검출 기구(33)의 구성을 나타내는 절단 단면도이다. 도 6에 있어서, 좌측이 도 1에 나타내는 제1 반송 장치(1)의 정면이 된다. 또, 도 6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반송 벨트(13) 및 정제(T)가 도시되어 있고, 또한, 정제(T)의 할선(Tw)의 방향은, 도 5와는 90도 어긋나게 한 도시로 되어 있다.
또한, 이 단면도에 있어서, 제1 풀리(11)의 회전축을 사이에 두고 상측은, 정제(T)가 정제 공급 장치(15)로부터 제1 반송 벨트(13) 상에 재치되어 제1 표면 검출 기구(32)에 이르기까지의 사이, 예컨대, 도 1에 나타내는 부호 a로 나타내는 부분과 제1 표면 검출 기구(32)와의 사이를 나타내고 있다.
챔버 본체(141)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를 흡인하는 흡인부인 흡인 홈(143)이 챔버 본체(141)의 외주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 흡인 홈(143)은, 제1 반송 벨트(13)가 제1 풀리(11) 및 제2 풀리(12)에 둘러쳐졌을 때에, 제1 반송 벨트(13)의 슬릿(131)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그 때문에, 흡인 경로(142)를 통해 챔버 본체(141)가 공기의 흡인을 행하면, 흡인 홈(143), 반송 벨트(13)의 슬릿(131)으로부터 공기가 흡인되게 된다. 그 때문에, 정제(T)는, 슬릿(131)으로부터의 흡인력을 받은 상태로, 반송 벨트(13)에 흡인 유지되게 된다.
이면 검출 기구(33)는, 흡인 챔버(14)의 내부에 그 촬영 장치(331)의 경통을 삽입하도록 하여 설치되어 있다. 촬영 장치(331)는, 아래로부터 위를 올려다보도록 흡인 홈(143) 및 반송 벨트(13)의 슬릿(131)을 통해 정제(T)의 이면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수집한다. 도 5에 나타내는 정제(T)는, 그 이면에 할선(Tw)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할선(Tw)의 상태에 관한 정보(구체적으로는, 할선(Tw)의 기준 위치에 대한 각도와 회전 방향이고, 이하에서는 「할선 정보」라고 하는 경우도 있음)는, 이면 검출 기구(33)에 의해 취득되고, 제어부(5)에 송신된다.
(인쇄 처리)
다음으로, 도 1을 이용하여 정제 인쇄 장치(S)를 이용한 정제(T)에 대한 인쇄 처리에 관하여, 순서대로 설명한다.
우선, 정제 공급 장치(15)에 수납되어 있는 정제(T)가, 우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반송 장치(1)의 제1 풀리(11)를 향하여 공급된다. 정제 공급 장치(15)로부터 공급된 정제(T)는, 반송 벨트(13)에 1개씩 순차 재치된다.
반송 벨트(13)에 재치된 정제(T)는, 흡인 챔버(14)로부터 부여되는 흡인력을 슬릿(131)을 통해 받음으로써, 낙하하지 않고 반송 벨트(13) 상에 흡인 유지된다.
정제(T)는, 흡인 챔버(14)에 의해 반송 벨트(13)에 흡인, 유지된 채로 반송되고, 제1 반송 장치(1)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1 인쇄 기구(3)에 의해, 그 정제(T)의 표면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문자나 도형 등이 인쇄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제어부(5)는, 제1 표면 검출 기구(32) 및 이면 검출 기구(33)에 의해, 슬릿(131)을 통해 제1 반송 벨트(13)에 의해 흡인, 유지되는 정제(T)의 표면의 정보와 이면의 정보를 얻는다. 제어부(5)에서는, 정제(T)의 위치나 할선(Tw)의 유무 등을 확인한다. 촬영 장치(321), 혹은, 촬영 장치(331)에 의해 촬영된 정제(T)의 위치나 할선(Tw)의 유무 및 있는 경우에는 그 할선(Tw)의 상태 등의 정보는, 제어부(5)에 송신된다. 제어부(5)에서는, 이 정보를 기초로 제1 인쇄 헤드(31)에 의한 인쇄의 가부, 인쇄 내용의 선택, 인쇄의 방향 등이 판단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사용되는 정제(T) 중 어느 면에 할선(Tw)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할선(Tw)의 상태에 관한 정보는, 제1 표면 검출 기구(32) 또는 이면 검출 기구(33)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얻어질 것이다. 그래서 제어부(5)는, 어느 쪽의 검출 기구로부터 할선(Tw)의 상태에 관한 정보가 얻어졌는가에 의해, 할선(Tw)이 정제(T)의 표리면의 어느 쪽에 형성되어 있는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할선(Tw)이 형성된 면이 하방향으로 반송되어 왔다고 하면, 이면 검출 기구(33)에서 할선(Tw)의 상태를 검출할 수 있지만, 제1 표면 검출 기구(32)에서는 할선(Tw)의 상태를 검출할 수 없다. 그래서 이 경우, 제어부(5)는, 이면 검출 기구(33)에서 검출된 정보 중에서, 특히 정제(T)의 위치 정보와 할선(Tw)의 상태(할선(Tw)의 기준 위치에 대한 각도와 회전 방향)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이 정제(T)의 표면에 인쇄하는 미리 정해져 있는 인쇄 패턴(정상적으로 인쇄되면 할선(Tw)에 걸치지 않는 인쇄 패턴)을, 위치, 각도, 회전 방향에 기초하여 수정한 인쇄 패턴을 생성한다. 그리고, 이 수정한 인쇄 패턴에 기초하여 제1 인쇄 기구(3)를 제어하고, 정제(T)가 제1 인쇄 헤드(31)에 의한 인쇄 위치에 도달하면, 정제(T)의 표면(이 경우는, 할선(Tw)이 형성된 면과는 반대의 면)에 인쇄한다.
인쇄 헤드로서 잉크젯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인쇄하는 패턴을 수정하는 경우에도, 인쇄 헤드에 부여하는 토출 패턴 신호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나타낸 상태와는 달리, 할선(Tw)이 형성된 면이 상방향으로 반송되어 왔다고 하면, 할선(Tw)은 제1 표면 검출 기구(32)에 의해 검출된다. 따라서, 제어부(5)는, 제1 표면 검출 기구(32)로부터 얻어진, 정제(T)의 표면의 상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인쇄 패턴을 수정하고, 이 수정 패턴에 기초하여 제1 인쇄 기구(3)를 제어하여, 정제(T)의 할선(Tw)이 형성된 면에 인쇄한다.
또, 통상, 정제(T)의 표리면에 인쇄되는 패턴은 상이하다. 그러나, 제1 인쇄 헤드(31)에 의한 인쇄 위치에 도달한 정제(T)에, 어느 쪽의 인쇄 패턴을 채용할지는,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할선(Tw)이 정제(T)의 표리면의 어느 쪽에 형성되어 있는가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구별 사용은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5)는, 제1 표면 검출 기구(32), 이면 검출 기구(33)에서 검출된 정보 중에서, 형상 결함의 유무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정제(T)에 결락이 발견된 경우 등, 혹시 인쇄 불가로 판단된 경우에는, 정제(T)에 대하여 인쇄를 행하지 않고, 그대로 제1 인쇄 기구(3)의 아래를 통과시키는 등의 처리가 행해진다.
제1 인쇄 헤드(31)에 의한 인쇄가 종료되면, 그대로 정제(T)는 반송되어, 다음으로 제1 인쇄 상태 확인 장치(34)의 아래로 이동한다.
제1 인쇄 상태 확인 장치(34)는, 반송되어 온 정제(T)를 촬영하고, 그 촬영 화상을 제어부(5)에 송신한다. 제어부(5)에서는, 제1 인쇄 상태 확인 장치(34)로부터 보내져 온 정보를 기초로, 인쇄 상태의 적부를 판단한다.
그 후, 정제(T)는 제1 반송 벨트(13) 상에 재치된 상태인 채로, 제2 풀리(12)에 의해 반전되어, 제1 반송 장치(1)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이동한다.
반전된 정제(T)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잉크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반송 벨트(13)가 제2 풀리(12)로부터 제1 풀리(11)로 도 1에 있어서 좌방향으로 이동하는 사이(도 1에 나타내는 c-d 사이)에 배치된 제1 건조 장치(16)에 의해 건조된다.
제2 반송 장치(2)에 있어서는, 정제(T)의 이면에 인쇄가 행해진다.
여기서의 인쇄는 다음과 같이 하여 행해진다. 우선, 제2 인쇄 기구(4)에 의한 인쇄 위치에 도달한 정제(T)에 관한 할선(Tw)의 상태에 관한 정보는, 제1 표면 검출 기구(32) 또는 이면 검출 기구(33)로부터 얻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이 정제(T)가 제1 반송 장치(1)에 의해 반송되고 있을 때에, 제1 표면 검출 기구(32) 또는 이면 검출 기구(33)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이미 얻어져 있는 검출 정보를 이용하여, 그 검출 정보 중에서, 할선(Tw)에 관한 정보(할선(Tw)의 기준 위치에 대한 각도와 회전 방향)와, 할선(Tw)이 형성되어 있는 면의 방향의 정보(할선(Tw)이 제2 인쇄 헤드에 대향하고 있는 상방향인지,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는 하방향인지)를 얻는다. 제어부(5)는, 할선(Tw)이 형성되어 있는 면의 방향에 관한 정보로부터 제2 인쇄 기구(4)에 의한 이면용의 인쇄 패턴을 선택하고, 할선(Tw)에 관한 정보와, 제2 표면 검출 기구(42)의 촬영 정보로부터 얻어지는 정제(T)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 정제(T)의 이면에 인쇄하는 미리 정해져 있는 전술한 인쇄 패턴(정상적으로 인쇄되면 할선(Tw)에 걸치지 않는 인쇄 패턴)을, 위치, 각도, 회전 방향에 기초하여 수정한 인쇄 패턴을 생성한다.
그리고, 이 수정한 인쇄 패턴에 기초하여 제2 인쇄 기구(4)를 제어하고, 정제(T)가 제2 인쇄 헤드(41)에 의한 인쇄 위치에 도달하면, 정제(T)의 이면에 인쇄한다. 제1 반송 장치(1)에 있어서 도 6의 반송 상태의 정제(T)의 경우에는, 제2 반송 장치(2)에 있어서는 정제(T)의 표면과 이면이 교체되기 때문에, 할선(Tw)이 형성된 면에, 할선(Tw)이 형성된 면용으로서 미리 설정된 인쇄 패턴이 인쇄된다.
제2 인쇄 헤드(41)로 인쇄를 행한 후, 제2 인쇄 상태 확인 장치(44)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인쇄 상태의 확인이 행해진다.
인쇄가 종료된 정제(T)는, 제2 반송 벨트(23)에 있어서의 하측의 수평 영역에 있어서, 제2 건조 장치(25)에 의한 잉크의 건조가 행해진다. 이 경우, 제2 인쇄 기구(4)에 있어서 인쇄된 정제(T)의 이면은 제2 건조 장치(25)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고, 제2 풀리(22)로부터 제1 풀리(21)를 향하여 제2 반송 벨트(23)가 이동하는 사이에 잉크의 건조 처리가 행해진다.
건조가 종료된 정제(T)는, 양품 회수 박스(26) 또는 불량품 회수 박스(27)에 수납되어 회수된다. 여기서, 제1 표면 검출 기구(32), 이면 검출 기구(33), 제1 인쇄 상태 확인 장치(34), 및 제2 인쇄 상태 확인 장치(44)로부터의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정제(T)에 형상 결함이 없고, 적절히 인쇄가 이루어진 것으로 제어부(5)에 의해 판단된 정제(T)는, 양품 회수 박스(26)에 수납된다. 한편, 형상 결함이나 인쇄 불량이 있는 것으로 제어부(5)에 의해 판단된 정제(T)는, 불량품 회수 박스(27)에 회수된다.
이상으로 정제(T)에 대한 인쇄 처리가 종료된다.
(정제의 할선의 파악 처리)
다음으로, 제1 표면 검출 기구(32) 및 이면 검출 기구(33)를 이용한 정제(T)의 할선(Tw)의 상태를 파악하는 처리에 관하여, 이하, 도 7에 나타내는 플로우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정제(T)가 정제 공급 장치(15)로부터 반송 벨트(13) 상에 공급되면, 정제(T)는 제1 반송 벨트(13) 상에 재치되어, 도 1에 나타내는 부호 a로부터 부호 b를 향하여, 즉, 제1 인쇄 헤드(31)를 향하여 반송된다. 반송 도중에, 우선, 이면 검출 기구(33)에 있어서, 정제(T)의 이면의 상태가 검출된다(ST1).
이면 검출 기구(33)에서는, 검출 결과인 정제(T)의 이면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5)에 송신한다(ST2). 제어부(5)에서는, 수신한 이면 검출 기구(33)로부터의 정보를 해석하여, 할선(Tw)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가 아닌가, 확인한다(ST3). 할선(Tw)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ST3의 YES), 정제(T)에 대한 인쇄 처리에 있어서, 그 할선(Tw)의 정보가 이용된다.
정제(T)가 이면 검출 기구(33)가 설치되어 있는 위치를 통과한 후, 제1 표면 검출 기구(32)의 바로 아래를 통과할 때에, 제1 표면 검출 기구(32)에 있어서는 정제(T)의 표면의 상태에 관한 정보가 취득되고, 제어부(5)에 송신된다(ST6, ST7).
다만, 제어부(5)가 이면 검출 기구(33)로부터 할선(Tw)의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제어부(5)에서는 정제(T)에 대한 인쇄 처리의 지시를 제1 인쇄 헤드(31)에 대하여 송신할(ST5) 때에, 제1 표면 검출 기구(32)로부터 수신한 정보는 이용하지 않는다(ST4). 즉, 이면 검출 기구(33)로부터의 검출 정보만을 이용한다.
제어부(5)에서는, 이면 검출 기구(33)로부터 수신한 할선(Tw)의 정보에 기초하여, 정제(T)의 기준 위치에 대한 각도와 회전 방향을 파악하고, 그 정보를 이용하여 인쇄 처리를 행하도록, 제1 인쇄 헤드(31)에 대하여 인쇄 처리의 지시를 송신한다(ST5). 제1 인쇄 헤드(31)에 있어서는, 수신한 지시에 기초하여 인쇄 처리를 행하지만, 할선(Tw)의 방향 등을 고려하여 인쇄를 행하기 때문에, 정제(T)에 대하여 적절한 인쇄 처리가 행해지게 된다.
한편, 이면 검출 기구(33)에 있어서, 정제(T)의 이면의 상태를 검출한 결과에 할선(Tw)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ST3의 NO), 제어부(5)는, 제1 표면 검출 기구(32)로부터의 정보의 송신을 대기한다. 즉, 제1 표면 검출 기구(32)에 있어서, 정제(T)의 표면의 상태가 검출된다(ST6).
제1 표면 검출 기구(32)에서는, 검출 결과인 정제(T)의 표면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5)에 송신한다(ST7). 제어부(5)에서는, 수신한 제1 표면 검출 기구(32)로부터의 정보를 해석하여, 할선(Tw)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확인한다(ST8).
제1 표면 검출 기구(32)로부터 송신된 정보에 할선(Tw)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ST8의 YES), 그 할선(Tw)의 정보에 기초하여 정제(T)의 기준 위치에 대한 각도와 회전 방향을 파악하고, 그 정보를 이용하여 인쇄 처리를 행하도록, 제1 인쇄 헤드(31)에 대하여 인쇄 처리의 지시를 송신한다(ST5).
이와 같이, 제어부(5)에 있어서는, 제1 표면 검출 기구(32), 혹은, 이면 검출 기구(33) 중 어느 하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검출 정보 중, 할선(Tw)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검출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인쇄 헤드(31)에 대하여 인쇄 처리의 지시를 송신한다.
그러나, 슬릿(131) 상의 정제(T)의 재치 방향 등에 따라서는, 할선(Tw)에 관한 정보가 어느 검출 기구에 있어서도 검출할 수 없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어부(5)에 있어서는, 이면 검출 기구(33), 및, 제1 표면 검출 기구(32) 중 어느 하나로부터도 할선(Tw)에 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없다. 이 경우에는(ST8의 NO), 정제(T)에 대한 인쇄의 방향을 결정할 수 없기 때문에, 제1 인쇄 헤드(31)에 대하여 정제(T)에 대한 인쇄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는 취지의 지시를 송신한다(ST9).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5)에 있어서는, 제1 표면 검출 기구(32), 혹은, 이면 검출 기구(33) 중, 한쪽의 검출 기구가 할선(Tw)에 관한 정보를 검출한 경우에는, 다른쪽의 검출 기구가 검출하는 정제(T)의 상태에 관한 정보는 이용하지 않는다. 이러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정제(T)의 상태의 파악, 정제(T)의 상태에 기초하는 제1 인쇄 헤드(31)에 대한 인쇄 처리의 지시를 신속히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정제(T)의 편면에 할선(Tw)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반송되는 정제(T)에 있어서의 할선(Tw)의 방향이나, 할선(Tw)이 형성되어 있는 면의 방향에 편차가 있더라도, 정제(T)의 할선(Tw)이 형성되어 있는 면과, 할선(Tw)이 형성되어 있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대하여, 인쇄 내용이 할선(Tw) 혹은 할선(Tw)에 대응하는 위치에 걸치지 않고 인쇄를 행하여, 인쇄 품질의 유지를 실현할 수 있는 정제 인쇄 장치(S) 및 정제 인쇄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제1 표면 검출 기구(32), 이면 검출 기구(33) 모두 정제(T)가 제1 반송 벨트(13)에 재치된 후에 설치되고 있는 점에서, 예컨대, 정제 공급 장치로부터 제1 반송 벨트(13)에 정제(T)가 공급될 때에 있어서의 정제(T)의 위치 어긋남에 좌우되지 않고, 정확한 할선(Tw)의 위치를 제어부(5)에 송신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정제(T)에 대하여 정확한 인쇄 처리를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구성 요소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구성 요소의 설명은 중복되기 때문에 생략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이면 검출 기구(33)는, 촬영 장치(331)를 구비하고, 촬영 장치(331)를 이용하여 정제(T)의 이면의 상태를 촬영하는 것으로 하고 있었다. 한편,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면 검출 기구(33)에서는, 촬영 장치(331)를 이용하지 않는 구성을 채용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면 검출 기구(33)에 관하여, 도 3에 나타내는 흡인 챔버(14)의 정면을 A-A 선에 있어서 절단하여 나타내는 절단 단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이면 검출 기구(33)는, 반사 부재(333)를 이용하고 있다. 반사 부재(333)는, 예컨대, 거울이고, 거울을 이용하여 정제(T)의 이면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정제(T)의 이면을 화상 정보로서 파악하는 것은, 제1 표면 검출 기구(32)이다.
즉, 흡인 챔버(14)의 내부에, 반사 부재(333)로서 예컨대 거울을 설치해 두고, 제1 표면 검출 기구(32)의 촬영 장치(321)가 거울의 반사를 이용하여 정제(T)의 이면의 상태를 파악한다. 도 8에 나타내는 이면 검출 기구(33)에서는, 2장의 거울을 이용하여, 표면 검출 기구(32)(촬영 장치(321))보다 반송 벨트(13)의 진행 방향 상류에 위치하는 정제(T)의 이면의 상태를 촬영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또, 도 8에 나타내는 구성에 있어서는, 2장의 거울을 설치한 예를 들고 있지만, 예컨대, 2장의 거울 사이에, 정제(T)의 이면에 대한 초점을 맞추기 위한 렌즈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반사 부재(333)로서 거울을 사용한 것을 설명했지만, 정제(T)의 이면을 관찰할 수 있으면 되고, 예컨대 프리즘이나 광 파이버와 같은, 광로를 변경할 수 있는 부재이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정제(T)의 편면에 할선(Tw)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반송되는 정제(T)에 있어서의 할선(Tw)의 방향이나, 할선(Tw)이 형성되어 있는 면의 방향에 편차가 있더라도, 정제(T)의 할선(Tw)이 형성되어 있는 면과, 할선(Tw)이 형성되어 있는 면과는 반대측의 면에 대하여, 인쇄 내용이 할선(Tw) 혹은 할선(Tw)에 대응하는 위치에 걸치지 않고 인쇄를 행하여, 인쇄 품질의 유지를 실현할 수 있는 정제 인쇄 장치(S) 및 정제 인쇄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제(T)의 표면의 검출과 이면의 검출 사이에서, 정제(T)는 동일한 반송 벨트(13)에 재치된 상태에서 검출되기 때문에, 표면의 검출과 이면의 검출 사이에서 정제(T)의 위치가 어긋나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보다 정밀도가 높은 정제(T)의 표면의 검출을 행할 수 있음과 함께, 정제(T)의 양면에 대한 인쇄에서 위치 어긋남을 없앨 수 있다.
특히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실시형태와 같이 이면 검출 기구로서 촬영 장치를 설치하고 있지 않은 점에서, 정제 인쇄 장치(S)의 장치 구성이 간단해짐과 함께, 이면 검출 기구의 설치 비용도 저감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지금까지 설명한 각 실시형태는, 그 밖의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의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예컨대, 반송 벨트(13)에 관해서는, 도 2에 나타내는 제1 반송 장치(1)에 있어서는, 반송 벨트(13)의 슬릿(131)은, 반송 벨트(13)의 폭 방향 중앙에 하나(1열) 설치되어 있지만, 복수(복수열)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혹은, 슬릿(131)은, 제1 풀리(11)와 제2 풀리(12)에 각각 독립적으로 둘러쳐지는 반송 벨트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반송 벨트(13)에 슬릿(131)이 아니라, 예컨대, 정제(T)를 수용하기 위한 포켓인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나아가서는, 오목부가 아니라, 정제(T)를 반송 벨트(13) 상에 흡인 유지해 두기 위한 흡착부만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반송 벨트(13)에 흡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이 흡착부의 크기, 형상, 개수 등은 한정되지 않고, 정제(T)를 흡인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정제(T)의 이면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면 된다. 혹은, 메시형의 구멍이어도 좋다.
또한, 반송 벨트(13)에 관해서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좋다. 반송 벨트(13)가 투명한 소재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특히 정제(T)의 이면의 상태를 파악하는 이면 검출 기구(33)에 있어서, 할선(Tw)의 유무라고 하는, 정제(T)의 이면의 상태의 파악이 보다 용이해진다.
또한, 제1 및 제2 표면 검출 기구(32, 42)나 이면 검출 기구(33)에 각각 설치되는 조명은, 링 조명 등을 이용하여 단일의 것으로 공용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복수 이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챔버 본체(141)의 흡인 경로(142)에 접속된 펌프는, 하나가 아니라, 예컨대, 복수의 펌프에 접속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펌프를 나누면 반송 벨트(13)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흡착부에 대하여, 영역을 나누어 복수의 흡인력을 가지고 정제(T)를 흡인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모두 이면 검출 기구(33)를 제1 표면 검출 기구(32)보다 반송 벨트(13)의 진행 방향 상류측에 설치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다. 즉, 우선 정제(T)의 이면의 상태를 확인한 후, 정제(T)의 표면의 상태를 확인한다. 다만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1 표면 검출 기구(32)인 위치 검출 장치의 하류측에 이면 검출 기구(33)를 설치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또한, 제1 표면 검출 기구(32)와 이면 검출 기구(33)의 설치 위치를, 반송 벨트(13)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제1 표면 검출 기구(32)와 이면 검출 기구(33)에서, 동시에 정제(T)의 표면과 이면의 상태의 검출을 행하게 된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표면 검출 기구(32)와 이면 검출 기구(33)가 진행 방향에 있어서 오프셋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류측에 배치되는 검출 기구에 있어서 얻어진 검출 정보에 할선 정보가 포함되어 있었을 때, 하류측에 배치되는 검출 기구는 검출을 행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하류측에 배치되는 검출 기구에 의한 검출을 행하게 하지 않도록 해도 좋다. 그렇게 함으로써 하류측에서의 검출에 관련된 처리 공정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동시에 검출을 행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인쇄 처리에 관하여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도 9에 나타내는 상류측 검출 기구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표면 검출 기구(제1 검출 기구)(32)보다 정제(T)의 반송 방향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는 이면 검출 기구(제2 검출 기구)(33)이고, 도 9에 나타내는 하류측 검출 기구는, 이면 검출 기구(제2 검출 기구)(33)보다 정제(T)의 반송 방향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는 제1 표면 검출 기구(제1 검출 기구)(32)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류측 검출 기구에서 정제(T)의 이면의 상태가 검출되고(ST21), 그 상태에 관한 정보가 제어부(5)에 송신된다(ST22). 이 이면의 상태에 관한 정보에, 할선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ST23의 YES), 상류측 즉 이면측의 할선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인쇄 헤드(31, 41)에 대하여 인쇄 지시가 송신된다(ST24). 즉 이 경우, 제1 반송 장치(1)로 반송되는 정제(T)의 표면에는 할선(Tw)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점에서, 제1 인쇄 헤드(31)에서는, 할선(Tw)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에 대한 인쇄 패턴에 기초하여 인쇄가 행해지고, 제2 인쇄 헤드(41)에서는, 할선(Tw)이 형성되어 있는 면에 대한 인쇄 패턴에 기초하여 인쇄가 행해진다. 그리고, 하류측 검출 기구에 의한 정제(T)의 표면 상태의 검출, 즉 하류측 검출 기구에 의한 정제(T)의 검출을 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하류측 검출 기구에 의한 정제(T)의 표면의 상태를 검출하는 처리 공정이 없어짐으로써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류측 검출 기구에서 할선 정보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ST23의 NO), 정제(T)가 하류측 검출 기구를 통과할 때에 하류측 검출 기구에 의해 정제(T)의 표면의 상태가 검출되고(ST26), 그 상태에 관한 정보가 제어부(5)에 송신된다(ST27). 이 상태에 관한 정보에는 할선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ST28의 YES), 그 할선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인쇄 헤드(31, 41)에 대하여 인쇄 지시가 송신된다(ST29). 즉, 제1 인쇄 헤드(31)에서는, 할선(Tw)이 형성되어 있는 면에 대한 인쇄 패턴에 기초하여 인쇄가 행해지고, 제2 인쇄 헤드(41)에서는, 할선(Tw)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에 대한 인쇄 패턴에 기초하여 인쇄가 행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류측 및 하류측 검출 기구에서 할선 정보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는(ST28의 NO), 제1 및 제2 인쇄 헤드(31, 41)에 대하여 인쇄하지 않는 지시가 송신되게 된다(ST30). 따라서, 이 경우, 도 9에 있어서의 인쇄 처리는, 인쇄하지 않는다는 처리를 포함하게 된다.
또, 상류측에 배치되는 검출 기구에 있어서 얻어진 검출 정보에 할선 정보가 포함되어 있었던 경우에, 상류측에 배치된 검출 기구는 할선(Tw)의 정보만을 검출하고, 하류측에 배치된 검출 기구는, 정제(T)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분담시켜도 좋다.
또한, 지금까지의 설명에서는, 제2 반송 장치(2)에도 제2 표면 검출 기구(42)를 설치하고, 제2 반송 벨트(23) 상에 있어서의 정제(T)의, 제2 인쇄 헤드(41)에 대향하는 면의 상태를 검출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은, 제1 반송 벨트(13)와 제2 반송 벨트(23)가 만나는 영역의 사이에서 정제(T)가 전달될 때에, 정제(T)에 생기는 위치 어긋남을 고려한 것이다. 따라서, 제1 반송 벨트(13)로부터 제2 반송 벨트(23)로 정제(T)가 전달될 때의 위치 어긋남이 허용되는 범위 내로서, 이 위치 어긋남을 고려할 필요가 없으면, 제2 표면 검출 기구(42)는 불필요하다.
여기서, 전달의 위치 어긋남으로는, 정제(T)의 반송 방향만의 어긋남에 한정되지 않고, 정제(T)의 반송 방향에 수평면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어긋남도 있다. 예컨대, 도 1에 나타내는 제1 반송 장치(1)의 제1 풀리(11)와 제2 반송 장치(2)의 제1 풀리(21)는, 축 중심이 연직 방향 일치하고 있지만, 제1 반송 벨트(13)와 제2 반송 벨트(23)가 오버랩하도록, 풀리(11)와 풀리(21)의 축 중심이 어긋나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제1 반송 벨트(13)와 제2 반송 벨트(23)가 평행하는 부분에서 정제(T)를 전달할 수 있고, 제1 반송 장치(1)와 제2 반송 장치(2)의 간격, 즉 정제(T)를 전달하기 위한 클리어런스의 조정이나, 제1 반송 장치(1)의 정제(T)에 대한 흡인의 해제와 제2 반송 장치(2)에 의한 정제(T)의 흡인의 개시의 타이밍을 취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이 전달에 의한 위치 어긋남을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정제(T)의 편면의 상태에 따라 양면의 인쇄를 행할 때에, 적어도 1조의 검출 기구(제1 표면 검출 기구(32)와 이면 검출 기구(33))를 구비하면 족하기 때문에, 각각의 면을 인쇄할 때에 때마다 양면을 검출할 필요가 없고, 보다 적은 검출 기구의 구성으로 장치를 간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검출을 위한 처리량이 적어도 되고,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인쇄 기구(P)로서 잉크젯 방식의 인쇄 헤드(31, 41)를 이용하는 경우, 잉크젯 방식의 인쇄 헤드의 구동 소자에 관해서는, 압전 소자에 한정되지 않고, 발열 소자나 자왜 소자여도 좋다.
또한, 흡인 챔버(14, 24)에 있어서의 반송 벨트(13, 23)와의 접촉면에, 벨트와의 마찰을 저감하기 위해, 막을 코팅하거나, 테이프 부재를 첩착하거나 하도록 해도 좋다. 이 마찰 계수가 작을수록, 반송 벨트(13, 23)에 발생하는 진동, 나아가서는 반송되는 정제(T)에 발생하는 진동이 억제되고, 품질이 좋은 인쇄를 행할 수 있다. 덧붙여서, 마찰을 저감하기 위한 부재로서, 흡인 챔버(14, 24)와 반송 벨트(13, 23) 사이에서의 마찰 계수(동마찰 계수)를 0.2 이하로 억제하는 부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정제」로는, 예컨대, 나정(裸錠)(소정(素錠)), 당의정, 필름 코팅정, 장용정, 젤라틴 피포정(被包錠), 다층정, 유핵정(有核錠) 등을 들 수 있다. 나아가서는, 경캡슐, 연캡슐의 어느 것으로 구성되어 있는가를 불문하고, 캡슐정에 관해서도 「정제」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이들 「정제」는, 의약용, 음식용, 세정용, 공업용, 방향용으로서 사용되는 것도 포함해도 좋다.
인쇄 대상이 되는 정제(T)가 의약용, 음식용인 경우에는, 사용하는 잉크는, 가식성 잉크가 적합하다. 구체적으로는, 가식성 색소로서 아마란스, 에리트로신, 뉴콕신(이상, 적색), 타트라진, 선셋 옐로우 FCF, β-카로틴, 크로신(이상, 황색), 브릴리언트 블루 FCF, 인디고 카르민(이상, 청색) 등을 이용하고, 이들을 비히클에 분산 또는 용해하고, 필요에 따라 색소 분산제(계면 활성제)를 배합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식성 잉크이면, 합성 색소 잉크, 천연 색소 잉크, 염료 잉크, 안료 잉크의 어느 것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전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정제(T)의 형상을 평면에서 보아 원형으로 했지만, 육각형 등의 다각형, 타원형 등, 형상은 특정되지 않는다.
이 실시형태나 그 변형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됨과 함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의 범위에 포함된다.
1: 제1 반송 장치, 14: 흡인 챔버, 2: 제2 반송 장치, 31: 제1 인쇄 헤드, 32: 제1 표면 검출 기구(제1 검출 기구), 33: 이면 검출 기구(제2 검출 기구), 331: 촬영 장치, 333: 반사 부재, 41: 제2 인쇄 헤드, 42: 제2 표면 검출 기구(제3 검출 기구), 5: 제어부, C: 반송 장치, P: 인쇄 기구, S: 정제 인쇄 장치, T: 정제, Tw: 할선

Claims (10)

  1. 한쪽의 면 혹은 다른쪽의 면 중 어느 편면(片面)에 할선이 형성되어 있는 정제에 대하여 양면에 인쇄를 행하는 정제 인쇄 장치로서,
    상기 정제의 다른쪽의 면을 유지하여 상기 정제를 반송하는 제1 반송 장치와,
    상기 제1 반송 장치로부터 건네진 상기 정제의 한쪽의 면을 유지하여 상기 정제를 반송하는 제2 반송 장치와,
    상기 제1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정제의 한쪽의 면에 대하여 인쇄를 행하는 제1 인쇄 헤드와,
    상기 제2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정제의 다른쪽의 면에 대하여 인쇄를 행하는 제2 인쇄 헤드와,
    상기 제1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정제의 한쪽의 면을 검출하는 제1 검출 기구와,
    상기 제1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정제의 다른쪽의 면을 검출하는 제2 검출 기구와,
    상기 제1 검출 기구 및 상기 제2 검출 기구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정제의 한쪽의 면 및 다른쪽의 면의 2개의 검출 정보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상기 할선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인쇄 헤드 및 상기 제2 인쇄 헤드에 인쇄 지시를 행하는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인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검출 기구는, 상기 제1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정제의 다른쪽의 면을 상기 제1 검출 기구보다 상기 정제의 반송 방향 상류측에서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검출 기구에 있어서 상기 할선의 상태에 관한 정보가 검출된 경우, 상기 제1 검출 기구에 상기 정제의 한쪽의 면의 검출을 행하게 하지 않고, 상기 제2 검출 기구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인쇄 헤드 및 상기 제2 인쇄 헤드에 인쇄 지시를 행하고, 상기 제2 검출 기구에 있어서 상기 할선의 상태에 관한 정보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검출 기구에 상기 정제의 한쪽의 면의 검출을 행하게 하고, 그 제1 검출 기구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인쇄 헤드 및 상기 제2 인쇄 헤드에 인쇄 지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인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검출 기구는, 상기 제1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정제의 다른쪽의 면을 상기 제1 검출 기구보다 상기 정제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서 검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검출 기구에 있어서 상기 할선의 상태에 관한 정보가 검출된 경우, 상기 제2 검출 기구에 상기 정제의 다른쪽의 면의 검출을 행하게 하지 않고, 상기 제1 검출 기구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인쇄 헤드 및 상기 제2 인쇄 헤드에 인쇄 지시를 행하고, 상기 제1 검출 기구에 있어서 상기 할선의 상태에 관한 정보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검출 기구에 상기 정제의 다른쪽의 면의 검출을 행하게 하고, 그 제2 검출 기구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인쇄 헤드 및 상기 제2 인쇄 헤드에 인쇄 지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인쇄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송 장치는, 상기 정제에 흡인력을 부여하는 흡인 챔버를 갖고,
    상기 제2 검출 기구는, 상기 흡인 챔버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인쇄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검출 기구는, 상기 정제의 다른쪽의 면의 상태를 촬영하여 검출하는 촬영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인쇄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검출 기구는, 반사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반사 부재를 통해 상기 정제의 다른쪽의 면의 상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인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정제의 다른쪽의 면을 검출하는 제3 검출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검출 기구 혹은 상기 제2 검출 기구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정제의 할선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인쇄 헤드에 인쇄 지시를 행하고, 상기 제1 검출 기구 혹은 상기 제2 검출 기구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검출된 상기 할선의 상태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3 검출 기구의 검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인쇄 헤드에 인쇄 지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인쇄 장치.
  8. 한쪽의 면 혹은 다른쪽의 면 중 어느 편면(片面)에 할선이 형성되어 있는 정제에 대하여 양면에 인쇄를 행하는 정제 인쇄 방법으로서,
    상기 정제의 다른쪽의 면을 유지하여 상기 정제를 제1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정제의 한쪽의 면을 제1 검출 기구에 의해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정제의 다른쪽의 면을 제2 검출 기구에 의해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정제의 한쪽의 면에 대하여 제1 인쇄 헤드에 의해 인쇄를 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반송 장치로부터 건네진 상기 정제의 한쪽의 면을 유지하여 상기 정제를 제2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되는 상기 정제의 다른쪽의 면에 대하여 제2 인쇄 헤드에 의해 인쇄를 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를 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 검출 기구 및 상기 제2 검출 기구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정제의 한쪽의 면 및 다른쪽의 면의 2개의 검출 정보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상기 할선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인쇄 헤드 또는 상기 제2 인쇄 헤드에 인쇄 지시를 제어부에 의해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인쇄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검출 기구에 의해 상기 정제의 다른쪽의 면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검출 기구에 의해 상기 정제의 한쪽의 면을 검출하는 단계보다 전에 행해지고,
    상기 인쇄를 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2 검출 기구에 있어서 상기 할선의 상태에 관한 정보가 검출된 경우, 상기 제1 검출 기구에 상기 정제의 한쪽의 면의 검출을 행하게 하지 않고, 상기 제2 검출 기구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인쇄 헤드 또는 상기 제2 인쇄 헤드에 인쇄 지시를 행하고, 상기 제2 검출 기구에 있어서 상기 할선의 상태에 관한 정보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검출 기구에 상기 정제의 한쪽의 면의 검출을 행하게 하고, 그 제1 검출 기구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인쇄 헤드 또는 상기 제2 인쇄 헤드에 인쇄 지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인쇄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검출 기구에 의해 상기 정제의 다른쪽의 면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검출 기구에 의해 상기 정제의 한쪽의 면을 검출하는 단계보다 후에 행해지고,
    상기 인쇄를 행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제1 검출 기구에 있어서 상기 할선의 상태에 관한 정보가 검출된 경우, 상기 제2 검출 기구에 상기 정제의 다른쪽의 면의 검출을 행하게 하지 않고, 상기 제1 검출 기구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인쇄 헤드 또는 상기 제2 인쇄 헤드에 인쇄 지시를 행하고, 상기 제1 검출 기구에 있어서 상기 할선의 상태에 관한 정보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2 검출 기구에 상기 정제의 다른쪽의 면의 검출을 행하게 하고, 그 제2 검출 기구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인쇄 헤드 또는 상기 제2 인쇄 헤드에 인쇄 지시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제 인쇄 방법.
KR1020187002659A 2015-06-29 2016-06-22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KR201800218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30488 2015-06-29
JP2015130488 2015-06-29
PCT/JP2016/068577 WO2017002689A1 (ja) 2015-06-29 2016-06-22 錠剤印刷装置及び錠剤印刷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3081A Division KR102212823B1 (ko) 2015-06-29 2016-06-22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1871A true KR20180021871A (ko) 2018-03-05

Family

ID=5760816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2659A KR20180021871A (ko) 2015-06-29 2016-06-22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KR1020207003081A KR102212823B1 (ko) 2015-06-29 2016-06-22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3081A KR102212823B1 (ko) 2015-06-29 2016-06-22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43424B2 (ko)
EP (1) EP3315113A4 (ko)
JP (2) JP6824164B2 (ko)
KR (2) KR20180021871A (ko)
WO (1) WO201700268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4331A1 (ko) 2018-02-23 2019-08-29 주식회사 엘지화학 헤테로고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49368B2 (ja) * 2016-09-30 2021-03-24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基板処理装置
JPWO2020067225A1 (ja) * 2018-09-28 2021-08-30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錠剤印刷装置及び錠剤印刷方法
JP7467196B2 (ja) 2020-03-27 2024-04-15 第一実業ビスウィル株式会社 吸着搬送装置
KR102271655B1 (ko) * 2020-06-12 2021-07-05 (주)엔클로니 정제에 대한 인쇄 및 검사를 수행하는 정제 인쇄 겸 검사 장치 및 방법
JPWO2022059583A1 (ko) * 2020-09-18 2022-03-24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23626B2 (ja) 1992-11-06 2001-01-15 シオノギクオリカプス株式会社 固形製剤印刷装置
JP2002039957A (ja) * 2000-07-26 2002-02-06 Shachihata Inc 印判検査方法及び印判作成用シート検査方法
JP2004219119A (ja) * 2003-01-10 2004-08-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欠陥検査方法および装置
WO2005123407A2 (en) * 2004-06-14 2005-12-29 Ackley Machine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inspection and/or identification of pellet-shaped articles
JP2009121919A (ja) * 2007-11-14 2009-06-04 Ihi Corp ワークの表裏判別装置
JP5752081B2 (ja) * 2011-06-09 2015-07-22 株式会社京都製作所 錠剤印刷装置および錠剤印刷方法
JP5688770B2 (ja) * 2011-12-09 2015-03-25 株式会社京都製作所 錠剤印刷装置
CA2879384A1 (en) 2012-07-19 2014-01-23 Otsuka Pharmaceutical Co., Ltd. Printer and tablet
JP6402105B2 (ja) * 2013-07-16 2018-10-10 クオリカプス株式会社 可食体のマーキング装置および方法
JP7017407B2 (ja) * 2015-06-05 2022-02-08 芝浦メカトロニクス株式会社 錠剤印刷装置及び錠剤印刷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64331A1 (ko) 2018-02-23 2019-08-29 주식회사 엘지화학 헤테로고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7002689A1 (ja) 2018-05-24
KR20200015813A (ko) 2020-02-12
JP6850917B2 (ja) 2021-03-31
WO2017002689A1 (ja) 2017-01-05
JP6824164B2 (ja) 2021-02-03
KR102212823B1 (ko) 2021-02-05
US20180104966A1 (en) 2018-04-19
US10343424B2 (en) 2019-07-09
JP2020097242A (ja) 2020-06-25
EP3315113A4 (en) 2018-12-26
EP3315113A1 (en) 2018-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21871A (ko) 정제 인쇄 장치 및 정제 인쇄 방법
CN111559176B (zh) 片剂印刷方法
JP7002686B2 (ja) 錠剤印刷装置
JP5752081B2 (ja) 錠剤印刷装置および錠剤印刷方法
KR20200034594A (ko) 반송 장치 및 반송 방법
WO2018021440A1 (ja) 錠剤印刷装置、錠剤及び錠剤製造方法
JP6633704B2 (ja) 錠剤印刷方法
JP2017189749A (ja) 物品選別装置
JP2019203704A (ja) 小型物品の処理システム
JP7394200B2 (ja) 錠剤印刷装置及び錠剤印刷方法
JP2020039946A (ja) 錠剤印刷方法
JP2014128903A (ja) 画像記録装置および画像記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